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거환경의 질을 고려한 저렴주택 설계지침 연구 : 영국 디자인과 질의 기준(D&QS)를 중심으로

        이혜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최근 전세가격의 폭등으로 도시 저소득층의 주거공급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또한 인구 감소 및 가구 수 증가 양상에도 불구하고 인구변화에 대응하는 주거 공급비 및 이에 따른 거주환경의 질 악화 등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동안 저렴주택(Affordable Housing)으로 공급되어 온 임대주택의 경우,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는 것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분양주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낙후된 도시환경을 만들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저렴주택 공급 시, 공급방법과 함께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한 설계 지침이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하지만 국내에는 저렴주택의 설계 지침이 특별히 없다는 점에서 선진사례인 영국의 저렴주택 설계지침인 ‘디자인과 질의 기준(Design & Quality Standards (D&QS))’을 분석하였다. 또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분석틀로서 주거환경평가지표를 도출-안전성, 편리성, 쾌적성, 지속가능성 등 4가지 항목-하고, 이를 기준으로 국내의 설계지침을 영국의 D&QS를 비교분석한다. 국내의 경우, 저렴주택의 일환으로 공급되어 온 임대주택의 설계지침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안전성과 편리성 측면에서는 한국이, 쾌적성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는 영국의 설계지침이 더 강화되어 있었다. 또, 세부 항목들을 비교해 보았을 상대적으로 영국의 지침들이 분석틀과 고르게 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내용적 측면에서 국내는 단지 위주로 공급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단지 안에서의 ‘시설 설치’에 따른 설계지침들이 많은 반면, 영국의 경우 개별 건물 단위의 지침들로 단지 또는 지역과의 관계를 중시한 설계지침들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점은 향후 국내 저렴주택 공급에 있어 주거환경의 질을 향상하는 설계지침 정비에 적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D&QS를 적용한 저렴주택 공급 프로그램인 ‘국가저렴주택 프로그램(National Affordable Housing Programme(NAHP))’의 공급과정을 분석하였다. NAHP는 영국의 저렴주택 공급에 있어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공급단계는 ‘사전자격심사’, ‘입찰’, ‘입찰서 평가’, ‘계획의 승인’, ‘완공 후 검토’ 등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설계지침인 D&QS는 내부환경, 외부환경,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기준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공급단계와 연계하여 두 단계에서 적용된다. 즉, 입찰 단계에서 보조금 수령을 위해 준수해야 될 조건으로서, 완료 후 평가 단계에서는 보조금의 회수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D&QS는 보조금 지급을 통한 저렴주택 공급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주거환경 디자인의 설계 지침이 실효성을 갖도록 하고 있었다. 국내의 경우, 저렴주택 만을 위한 설계지침이 없고 임대주택을 포함한 일반적인 공동주택 지침들도 단지단위만을 위한 지침이기 때문에 개별 건물단위에 대한 지침까지 포함된 영국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저렴주택 공급에 있어 적용되어야 할 주거환경의 설계지침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의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국내 저렴주택 공급에 있어서 강화되어야 할 설계지침에 대한 기초적 조건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 도시 선형공원의 조성 특성과 유형별 근린환경 변화 비교 : 경의선 숲길공원을 중심으로

        권익현 서울시립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산업화 시대에 지역의 부흥을 이끌었던 산업의 쇠퇴 및 이전에 따라 남겨진 철도 유휴부지의 재활용을 통한 선형공원 조성이 주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단절되었던 구간을 연계하여 인근 지역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철도 유휴부지 공원화 사례인 경의선 숲길공원의 일부 구간을 대상으로 진행된 선행연구의 한계점에서 더 나아가 전체 구간을 대상으로 구간별 조성 특성을 도출하고, 주변 근린환경 변화를 유형별로 비교 분석하여 차이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선형공원의 조성 특성 및 근린환경 변화 지표를 구성하였고, 주변 토지이용 유형에 따라 구간별로 유형화를 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도시 선형공원의 구간별 조성 특성을 도출하고, 주변 근린환경 변화를 유형별로 비교 분석하여 차이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유형별로 규모, 경계부 조성방식, 가로와의 연계성, 시각적 개방감, 내부 공간구성 및 조성시설, 녹지 형태, 보행 단절구간, 인근 주요시설 등의 항목에서 조성 유무와 비율 등이 차이가 있으며 접근성 항목은 저층-일반형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형별로 1단계 완공 후의 평균 지가상승률, 건축물 인허가 행위 비율, 건축물 인허가 주용도 비율 변화 등은 미비하였으나, 2단계 완공 후의 변화는 활발하게 나타났다. 셋째, 저층-근린형과 고층-일반형 등 두 가지 유형은 평균 지가상승률, 건축물 인허가 행위 비율, 건축물 인허가 주용도 비율 등 변화의 유형과 속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저층-일반형은 평균 지가상승률, 건축물 인허가 행위 비율, 건축물 인허가 주용도 비율 등 변화의 유형과 속도 차이가 미비하였다. 본 연구는 공간적 범위를 한정하여 행정동 단위로 제공되는 인구·사회적 지표를 미시적으로 분석하지 못하였으며 구간의 재분류에 따른 통합·분할된 근린환경의 미시적 분석이 진행되지 못한 한계점을 갖는다. 그러나 선형공원 전체 구간에 대한 특성과 주변 근린환경의 변화를 통해 유형별 변화 차이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도시 내 선형공원의 조성 시 공원과 주변 지역의 운영 및 관리에 대한 기준과 관련 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Recent the creation of linear parks through the recycling of previously left idle railway sites have been linked closely to the daily lives of residents, thus revitalizing the nearby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y comparing th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each section and the changes in the surrounding neighborhood environment for the entire section of Gyeongui-Line Forest Pa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ch types are differences in size, boundary formation method, horizontal connection, visual openness, interior spatial composition and composition facility, green land type, walking section, but the ratio of accessibility items only showed up in low-general commercial area. Second, although the average land price increase rate and building permit change were insufficient after completion of stage 1 by types, the difference in the speed of change between sections within types after completion of stage 2 was active. In particular, the two types differences in the types and speed of changes, such as average land price increase and building permit behavior, and local residents also felt the difference. but the low-general commercial area type showed a change i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index due to the creation of a linear park, while local residents felt a change in the section but did not notice a difference in the types. This study provides the criteria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park and its surrounding areas and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policies in the future of the linear park in the city, given that differences in the change in the nature of the entire section and the surrounding neighborhood environment have been derived.

      • 서울시 청년밀집지역 내 청년필요시설의 공간적 분포 특성

        박개랑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이후 고용시장 악화, 사회적 관계망 약화, 주거비 상승에 따른 주거 빈곤 심화 등 사회구조적 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청년의 결혼, 출산 등 자연스러운 생애주기 이행이 지체되고 있다. 이에 기존 일자리 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 청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며, 보편적 복지 측면에서 청년의 생애주기와 수요를 고려한 근린의 생활인프라 공급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청년이 필요로 하는 시설에 대한 연구는 청년공간 혹은 쉐어하우스 내 커뮤니티시설로서 논의되거나 근린주거환경에 대한 접근성 지표 중 일부로 언급하는 정도에 머물렀으며, 생애주기에 따른 청년층 내에서의 이질성을 고려한 복지서비스시설의 분포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한 연구는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 행정동을 중심으로 청년밀집지역을 도출하고 세대구성에 따라 구분한 후, 청년밀집지역 내 청년필요시설의 분포 특성을 공간적 접근성에 기반하여 도출하는 것으로 청년의 생애주기별 특성에 맞는 청년필요시설 공급 계획 수립 및 근린주거환경 개선 등 주거·복지 차원에서의 정책 마련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청년밀집지역은 ‘청년 다인가구 밀집지역’, ‘청년 1인가구 밀집지역’, ‘세대구성이 고른 청년밀집지역’ 등 세대구성별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필요시설의 공간적 접근성이 열악한 지역은 ‘청년 다인가구 밀집지역’ 중 강동구 상일2동, 마포구 상암동, 성동구 성수1가1동, 동작구 흑석동, ‘청년 1인가구 밀집지역’ 중 중구 필동, 서대문구 연희동, ‘세대구성이 고른 청년밀집지역’ 중 중구 명동, 성북구 정릉3동, 용산구 한강로동·이태원1동으로 나타났다. 행정동 간 공간적 접근성 수준의 차이가 큰 자치구는 ‘청년 다인가구 밀집지역’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청년 1인가구 밀집지역’에서는 광진구, ‘세대구성이 고른 청년밀집지역’에서는 용산구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필요시설의 공간적 분포 또한 청년밀집지역 구분에 따라 상이하게 도출되어 ‘청년 다인가구 밀집지역’에서는 돌봄·교육시설의 공급이, ‘청년 1인가구 밀집지역’에서는 청년공간의 접근성 확보가, ‘세대구성이 고른 청년밀집지역’에서는 행정동별로 공간적 접근성이 낮게 나타난 시설의 양적 공급 혹은 입지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re has been an exacerbation of socio-structural issues, leading to a delay in the natural life cycle progression of the youth. In response, various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yout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youth-dense areas in Seoul, focusing on administrative division, categorize them based on generational composition, and subsequently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youth facilities in youth-dense areas. The aim is to provide insights for the formulation of youth policies in the realms of housing and welfa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th-dense areas in Seoul were classified into categories such as ‘areas densely populated with multi-generational youth households’, ‘areas densely populated with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and ‘areas densely populated with a well-balanced composition of youth across generations’. Second, areas with poor spatial accessibility to youth faciliti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among the ‘areas densely populated with multi-generational youth households’, Gangdong-gu Sangil 2-dong, Mapo-gu Sangam-dong, Seongdong-gu Seongsu 1-ga 1-dong, Dongjak-gu Heukseok-dong; among the ‘areas densely populated with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Jung-gu Pildong, Seodaemun-gu Yeonhui-dong; among the ‘areas densely populated with a well-balanced composition of youth across generations’, Jung-gu Myeongdong, Seongbuk-gu Jeongneung 3-dong, Yongsan-gu Hannam-dong and Itaewon 1-dong. Third, concerning functional youth facilities, it was determined that prioritizing the supply of childcare and educational facilities is crucial in ‘areas densely populated with multi-generational youth households’, ensuring accessibility to youth spaces is essential in ‘areas densely populated with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and there is a demand for either quantitative supply or improved locations of facilities with low accessibility in ‘areas densely populated with a well-balanced composition of youth across generations’.

      • 서울시 사회주택 유형별 특성 및 주거만족도 실증 연구

        민동환 서울시립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청년세대를 위한 저렴주택 공급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서울시에 거주하는 주거취약계층 중 1인가구, 신혼부부, 청년세대의 주거문제 해결과 공동체성 회복의 대안으로 민·관 협력형 사회주택이 공급되고 있다. 하지만 사회주택 관련 법률이 제정되지 않았고, 공급량은 주거취약계층의 수요를 맞추기 어려우며, 내·외부적 한계로 인해 개선할 것이 많다. 사회주택에 관한 연구는 주로 국내·외 사례연구와 성과 평가, 공급자 입장에서 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공급 취지에 맞는 성과를 평가하고 문제점 개선을 위해 실제 거주자에 대한 균형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사회주택 거주자 조사를 통해 유형별 특성과 주거만족도를 비교·분석하고, 주거만족도 향상을 위한 영향요인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주택은 유형별로 공간 구성, 커뮤니티 프로그램 운영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유형별로 개인공간과 공유공간의 구성방식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모든 주택에서 입주자 모임을 운영하고 있는 반면 그 외 다른 프로그램 운영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형별로 성별을 제외한 모든 입주자 특성에서 차이를 나타냈고, 특히 리모델링 유형과 토지임대부 유형의 차이가 나타났다. 리모델링 유형은 주로 청년세대 중 대학생이 거주하는 반면 토지임대부 유형은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등이 거주하여 월 평균소득, 최종학력, 혼인여부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형별로 공동체 활동 특성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임대부 사회주택 공급자는 느슨한 공동체를 지향하고 공유공간이 따로 조성되어 입주자모임 외 기타 공동체 활동 참여율이 저조하였다. 반면 리모델링 사회주택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고 공유공간의 사용빈도가 토지임대부보다 소폭 높았다. 넷째, 사회주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주택입지편리성과 경제적 요인이 높은 만족도로 나타났다. 다섯째, 빈집 리모델링, 토지임대부, 비주택 리모델링 유형 순으로 만족도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났다. 각 유형의 만족도 크기 차이는 유형별 공급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리직원의 적극성/친절성, 입주자 의사반영, 임대 보증금, 공원 및 녹지 접근성, 거주공간 크기 및 구조가 종합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사회주택을 공급할 때 해당 요인을 고려하여 계획·공급한다면 보다 나은 주거만족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need to supply affordable housing for the younger generation is increasing, and private and public cooperative social housing is being provided as an alternative to resolving housing problems among the vulnerable residents of Seoul, newlyweds and the younger generation and restoring their community. However, social housing-related laws have yet to be enacted, and the supply of social housing is difficult to meet the needs of the vulnerable, and there are many improvements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limitations. Research on social housing was conducted mainly from the perspective of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performance evaluations, and suppliers. A balanced study of actual residents is needed to assess performance to the purpose of the supply and to improve the probl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housing satisfaction level through the survey of residents of social housing in Seoul, and to propose factors of influence to improve housing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housing showed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space by type and the operation of community programs. Differences were seen in the composition of the private and shared spaces by type, and in the operation of other programs, while the residents’ groups were operating in all housing units. Second, the difference was expressed in all tenant characteristics except gender by type, and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modeling type and the land lease type was found, while the remodeling type was mainly occupied by college students among the youth generation, while the land rental type was inhabited by newlyweds, social beginners and so on, resulting in monthly average income, final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activities by type. The social housing provider with land rentals aimed at a loose community and created a separate shared space, which resulted in a low participation rate in other community activities other than the residents’ gathering. On the other hand, remodeling social housing operated various programs and was slightly higher than land lease in frequency of use in shared space. Fourth,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 of social housing tenants was generally high, especially with high satisfaction level with home location convenience and economic factors. Fifth, the size of satisfaction was different in order of type of remodeling of empty houses, type of land lease and type of non-residential remodeling.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each type of satisfaction was shown to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upply characteristic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active/friendly management staff, the reflection of the resident physician, the rental deposit, access to parks and green areas, and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residential space affected the overall housing satisfaction. It is expected that better housing satisfaction will be obtained if the factor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supplying social housing in the future.

      • 청량리종합시장 일대 전통시장에 나타난 COVID-19의 영향

        이석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청량리종합시장 일대 전통시장에 대한 COVID-19 전후의 영 향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청량리종합시장 일대는 한방 관련 소매업종 위주인 약령시장, 종합 식자재 관련 소매업 종 위주인 경동광성상가, 종합 식자재 관련 소매업종 위주인 경동시장, 식자재 관련 소매업종 위주인 청량리종합시장, 잡화 관련 소매업종 위주인 청량종합도매시장, 야채 관련 소매업종 위주로 야외 노포 식당이 다수 밀집한 청량리농수산물시장, 과일 관련 소매업종 위주인 청량리청과물시장, 통닭/족발 등 포장이 용이한 먹거리 외식업종 위주인 청량리전통시장 등 8개 시장 모두 개방적 공간구조로 구성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OVID-19 이후 감염 예방을 위한 대면 및 외출을 자제하는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라 전체 시장의 생활인구는 감소했으나, 개별시장 중에서는 종합 식자재 취급 시장에서 생활인구의 감소가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OVID-19 이후 단위점포별 매출은 전문 특화시장에서 증가하였고, 업종별 매출은 소매업에 비해 외식업에서 더 많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문화 관련어의 순위가 텍스트마이닝 분석에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전통시장에서 외식업이 감염병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넷째, COVID-19 이후 포장이 용이한 음식 구매와 개방된 외식공간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고, 폐쇄적 실내 음식점과 대형쇼핑매장에서 감염병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방적 실외에서 식자재를 취급하는 전통시장의 중요도가 증가했고 소비 관련어의 순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앞선 분석에서 생활인구 및 매출 감소폭이 적게 나타난 결과를 확인했다. 본 연구는 미래 재발될 수 있는 바이러스 팬데믹 사태에 특화산물을 취급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종합 구매가 가능하며 개방된 외부공간으로 구성된 전통시장이 영향을 덜 받는다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mpact before and after COVID-19 on traditional markets in the Cheongnyangni Comprehensive Market a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rea around Cheongnyangni Comprehensive Market consists of eight markets, all with an open spatial structure. These include Yakryeong Market, which focuses on Korean traditional medicine-related retail businesses; Gyeongdong Gwangseong Market, primarily dealing with comprehensive food supply-related retail businesses; Gyeongdong Market, also specializing in comprehensive food supply-related retail businesses; Cheongnyangni Comprehensive Market, with a focus on food supply-related retail businesses; Cheongnyangni Comprehensive Wholesale Market, primarily dealing with miscellaneous retail businesses; Cheongnyangni Agricultural and Fishery Market, with a concentration on vegetable-related retail businesses and numerous outdoor eateries; Cheongnyangni Fruit and Vegetable Market, predominantly focusing on fruit-related retail businesses; and Cheongnyangni Traditional Market, which centers around takeout-oriented eateries offering convenient packaged foods such as chicken and pig's feet. Second, After COVID-19, changes in lifestyle to prevent infection, such as reducing face-to-face interactions and outings,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de facto population visiting the overall market. However, among individual markets, those specializing in comprehensive food supplies experienced a relatively smaller decline in the de facto population. Third, After COVID-19, sales by per-unit store increased in specialized markets, and sector-based sales showed a greater decline in the Restaurant sector compared to retail. The ranking of food culture-related words decreased in text mining analysis, confirming that the Restaurant sector in traditional market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infectious diseases. Fourth, after COVID-19, interest in purchasing food that can be easily packaged and open dining spaces have increased, and closed indoor restaurants and large shopping stores have been found to be greatly affected by the infectious disease. Lastly, the importance of open outdoor traditional markets handling food ingredients increased and the ranking of consumption-related words in those markets increased, confirm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alysis showing a small decrease in the de facto polulation and sales. This study can suggest that traditional markets, which handle specialized products, enable comprehensive purchases at low prices, and are composed of open outdoor spaces, are less affected by virus pandemics that may recur in the future.

      • 영국의 기후변화 대응 도시개발의 특성 연구 : 영국 에코타운 사례를 중심으로

        이상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analyze scale characteristics for the climate change city and its sustainability.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concerning climate change have th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Also, the planning & design elements related with these 3 aspects should be adapted according to the scale, world - nation - region - city - neighborhood - building - individual. As the result of the UK eco town case study, the final target of the eco town i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corresponding to the climate change. As the site of the case study, in Whitehill Bordon pursuing th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e planning & design elements have scale characteristics. These are applied to each scales and there is strong connectivity in each other.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the aspect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scale characteristics of the planning & design elements for the climate change city. 지난 100년간(1906~2005년) 지구의 지표 기온이 0.74±0.18℃ 상승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Climate Change) 이슈가 대두되고 있으며 탄소제로도시(Zero Emission City), 탄소중립도시 (Carbon Neutral City), 저탄소도시 (Low Carbon City) 등의 기후변화 관련 도시패러다임이 등장하였다(국토해양부 2009).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이슈가 대두되면서 우리나라는 2008년에 국가비전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선포하였다. 그러나 지속가능한 개발과의 개념적 논란이 있으며, 도시차원의 접근이 미흡하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개발을 위한 접근방법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국가사업으로 에코타운 사업을 진행중인 영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공간위계별 특성과 내용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론연구를 통하여 기후변화 대응 도시는 지속가능한 개발의 3가지 측면인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인 면을 동시에 추구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구하며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간단위별로 ‘세계-국가-광역-도시-근린-건물-개인’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내 도시개발 사업들은 각 부처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 우수지자체 사업이거나 단기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며, 국가비전인 저탄소 녹색성장의 경우 지속가능한 개발과의 개념적 논란이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영국의 국가사업인 에코타운에 대한 사례분석을 하였다. 영국의 기후변화 대응 도시정책은 최상위 목표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유지하며 내용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속에서 2007년 고든 브라운 총리는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주거 24만 가구를 포함하여 신규 주택을 공급하는 에코타운 사업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에코타운 사업은 지속가능한 개발을 최종 목표로 지향하고 있으며 내용적인 면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있고, 기존 뉴타운과 달리 하나의 주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일자리를 동시에 공급하도록 하는 자급자족의 도시를 추구하고 있다. 공간위계별 측면에서 에코타운은 국가계획으로서 입지선정과 다양한 공간위계의 관련계획과 관계를 맺고 있으며 계획기준도 다양한 공간위계로 적용되는 특성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에코타운 사업의 최종 대상지인 Whitehill Bordon을 사례분석하였다. Whitehill Bordon은 국가 에코타운 계획의 13가지 기준 중 12가지가 부합하여 국가계획과 지자체가 수립한 마스터플랜의 정합성을 추구하였다. 내용적 측면에서 계획·설계요소들은 지속가능한 개발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인 면을 추구하고 있으나 단일 요소가 단일한 목표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간의 관계성 속에서 복합적으로 작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간위계별 계획·설계요소들의 분석결과 광역/도시, 근린, 건물, 개인의 공간위계별 적용이 나타났으며 각 공간위계별 계획·설계요소는 크게 자연환경 그린인프라, 지속가능한 교통, 토지이용과 시설이라는 3가지 항목으로 적용되어 공간위계별 연계성이 나타났다. 결론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개발은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구할 수 있도록 실행목표의 복합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도시의 실행을 위해서는 다양한 공간단위별 특성을 고려한 계획·설계요소의 접근이 하나의 실천적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다 앞서 국가사업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개발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영국의 에코타운을 보았다는 점과 공간위계별 접근을 통하여 기후변화 대응 도시가 실천되기 위한 여러 방법 중 하나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트랜섹트 계획방법론이 적용된 형태기반코드(FBCs) 특성 연구 : 미국 heart of peoria plan 사례를 중심으로

        한중섭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내 도시공간의 조성과 변화는 지구단위계획, 경관계획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상임 도시관리계획의 용도지역을 토대로 하는 용도지역 중심의 계획으로서 지역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거나, 실현수단이 미비하여 실현성이 부족하다는 점들이 선행연구에서 지적되었다. 한편 미국에서는 용도지역 중심의 계획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형태기반코드(FBCs)라는 도구를 활용하였고 최근 서울시는 지구단위계획에 형태기반코드(FBCs)의 계획방식을 적용하여 지역특성을 반영한 3차원 계획을 수립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형태기반코드(FBCs)의 모태가 되는 계획방법론인 트랜섹트 계획(Transect Planning)에 대해서 규명하고 실제 적용된 형태기반코드(FBCs)의 특성을 도출하는 것으로 계획의 전 과정을 포함하고 있는 미국 Heart of Peoria Plan 사례를 분석하였다. 트랜섹트 계획(Transect Planning)은 토지이용의 분류체계를 용도가 아닌 트랜섹트(Transect)로 분류하며 뉴어바니즘의 계획원칙들과 선행사례들을 토대로 제시된 경험적 계획방법론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서 트랜섹트 계획방법론의 계획요소 8가지를 도출하였으며, 사례 연구에서 트랜섹트 계획방법론이 실제로 적용되었을 때 형태기반코드(FBCs)의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8가지 계획요소 기준들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트랜섹트 계획방법론이 적용된 형태기반코드(FBCs)에서 3가지 특성이 도출되었다. 첫째, 기존 토지이용분류체계에서 새로운 트랜섹트 분류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정치,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 지역 맥락과 연속적 도시환경을 고려하였다. 지역 주민들과의 집단토론(Charette)을 통해 근린주구 중심의 중심성 정도를 평가하고 지역 맥락을 경험적으로 반영하는 과정을 거쳐 중심 트랜섹트(Transect)를 설정하였으며 중심지 주변에 대해서 연속적 도시환경이 되도록 도시의 강도를 조절하였다. 둘째, 공공공간/교통시스템/도로구조의 현황파악 및 분석을 통해 공원과 교통의 통합적 공공공간 기준을 수립하였다. 교통시스템에서 높은 위계의 도로들이 교차하는 지점을 중요시 여겼으며, 주요 교차지점이 주요 근린주구의 중심으로 결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기준과 함께 현존 공원들에 대한 개발, 유지, 재개발에 대한 사항들이 결정되었으며 결정된 사항이 트랜섹트의 분류와 연결되었다. 셋째, 몰입적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서 건축형태의 기준이 수립되었다. 건물배치, 건물기능, 건물구성, 전면공간 등의 계획요소별로 형태 유형을 정함에 따라 구체적인 규제요소들을 제어하였다. 이를 통해 민간공간과 공공공간의 구체적인 형태를 제시하였으며, 두 공간 사이의 접경부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 사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고 국내 사례와 연관성을 살펴보지 못하였다는 데에 한계점이 있다. 국내와 미국은 행정적, 환경적 차이점이 존재하여 트랜섹트 계획(Transect Planning)을 그대로 도입하기에는 어려운 사항이 있다. 하지만 3차원 공간에 대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있어서 새로운 토지이용분류체계가 적용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성들은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Design of the domestic urban space is carried out through the district unit plan and the landscape plan. It is a plan based on the use area of ​​the standing city management plan.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that local characteristics are not taken into account, or realization means is insufficient. In the United States, Form Based Code (FBCs) was use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use-oriented planning. Seoul City applied the planning method of FBCs to the district unit through 3-Dimensional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Transect Planning, which is the planning methodology that is the basis of FBCs, an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FBCs analyzing The Heart of Peoria Plan. Transect Planning is a heuristic planning methodology that classifies the land use classification system as transect, not use, based on the planning principles and precedents of New Urbanism.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8 Planning elements of the transect planning methodology were deducted. And Case study was analyzed based on the 8 planning element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based code (FBCs) when the transect planning methodology was actually applied . 3 characteristics have been derived from the Form-based codes (FBCs) which the transect planning methodology is applied. First, we considered regional context and continuous urban environment in terms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aspects in establishing new transect classification scheme in existing land use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Charette’ with the local residents, the degree of centrality of the center of the neighborhood was assessed and local context was reflected. This criteria set the center transect and The intensity of city was adjusted. Second, the public space standard of park and traffic was established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c space / traffic system / road structure. In the traffic system, the point of intersection of high hierarchical roads was regarded as important, and the main crossing point was determined as the center of the main neighborhood. With these criteria, the development, maintenance and redevelopment of existing parks have been determined and the decision has been linked to the classification of Transect. Third, Building form standard was established for the immersive urban environment. The specific regulatory elements were controlled by defining the type of building for each planning factor such as building disposition, building function, building composition, and frontyard. In this paper, the concrete form of private space and public space is present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spaces is clarified. This study focuses on the US case and has limitations in not examining the relationship with domestic cases. There are administrative and environmental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ransect Planning as it is. However,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new land use classification system suggest meaningful implications to the 3-dimensional district unit plan.

      • 단절지역 연계가 필요한 입체개발구역 대상지 유형화 연구 : 서울시 통과교통과 그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황지상 서울시립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는 급속한 도시화로 도시기능이 극도로 고도화되고 인구가 집중되면서 기반시설의 수요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서울과 같은 대도시는 매년 증가하는 인구를 감당하기 위해 주택과 기반시설을 공급해야만 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지가상승과 기반시설 부지 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입체도시계획제도를 연구하고 활용해왔다. 공공부문에서는 주로 도시계획시설을 ‘중복결정’하거나 ‘구분지상권’을 설정하여 기반시설을 확충하였으나, 민간부문에서 제도를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기존 법률간 상충이 발생하는 등의 제도적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2019년 ‘도로공간의 입체개발에 관한 법률(안)’이 발의되는 등 도로와 그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입체개발구역을 지정하여 입체개발사업을 실시할 수 있는 제도 입법이 추진되었다. 한편 도로 등 기반시설을 입체개발하는 사업은 가용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대안이지만 도시 경관을 훼손하고 난개발을 초래할 위험이 있으므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위의 입법안과 관련연구에 따르면 입체개발구역은 반드시 단절된 지역을 연결하고 주변 도시가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등의 지정 요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동차전용도로와 철도지상구간과 같이 주변지역을 단절하는 통과교통과 그 주변지역을 입체개발구역 대상지로 설정하고 통과교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철도 지상구간’과 ‘고속국도’, ‘도시고속도로’, ‘간선도로 중 자동차전용도로’를 통과교통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통과교통으로 인해 단절된 지역에 입체적 활용방안을 제시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통과교통으로 인해 단절된 주변지역을 ‘중심지’, ‘하천·공원’, ‘역세권·환승거점’, ‘동일한 용도지역’ 등 네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각 유형별 대상지 분석 방법을 설정하고 유형별 통과교통의 주변지역 중 입체개발계획이 수립된 사례를 통해 각 유형별 특성을 구체화하였다. 이후 유형별 대상지를 중첩하여 중첩 수에 따라 재유형화 하였다. 그 결과 2개·3개·4개 유형이 중첩된 대상지들을 도출하였으며, 모든 유형의 단절이 존재하는 4개 유형 중첩 대상지는 ‘광운대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신길역’, ‘신도림역’ 일대로 나타났다. 그중 광운대역과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은 서울시 역세권개발사업의 대상지로 입체개발사업이 진행 중에 있으며, 신길역과 신도림역은 경부선 지하화 논의를 거쳐 철도로 단절된 지역을 연계하고 도심기능을 강화하는 입체개발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통과교통의 범위를 ‘철도’와 ‘자동차전용도로’로 한정하였으므로 일반도로 중 간선도로와 자동차전용도로 해제구간에 대한 검토가 추가로 필요하며, 통과교통 주변지역의 유형화 결과가 네 가지 이외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세부적인 유형화 지표연구가 필요하다. 또 서울시 전역을 대상으로 GIS 공간분석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실제 대상지 주변의 보행자가 느끼는 단절의 정도를 측정하지 못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고려하여 입체개발구역의 유형별 대상지를 구체화하고 세부가이드라인 연구를 진행하여야 한다. Due to rapid urbanization caused by the increase of population and the expansion of urban function, the demand for infrastructure has been explosively increased. Metropolitan cities had to supply housing and infrastructure to handle the growing population every year. As other metropolitan areas, Seoul city government has been studying and utilizing the multi-level urban planning system to address the difficulties of land price hikes and securing infrastructure sites. Although the government expanded infrastructure by 'overlap' urban planning facilities or establishing 'sectional superficies', there are difficulties in utilizing the system in the private sector. There are also institutional limitations such as the conflicts with existing laws. Therefore "Act on the Development of Multi-level Space" was proposed in 2019 to allow multi-level development for roads and their neighboring areas. Multi-level development built on infrastructure may be a good alternative to supply available land, but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there can be a risk of damaging the urban landscape and causing reckles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above legislation and related research, the multi-level development zone must be designated by connecting disconnected areas and solving the problems of neighboring areas. In this research, ‘Highway’, ‘urban highway’, ‘main road’, and ‘railway’ were defined as ‘through traffic’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es, and the neighboring area was designated as the target area for the multi-level development zone. Also the multi-level development zon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central', 'river and park', 'station area, transfer point' and 'same land us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arget areas which the multi-level development plans were already established. Subsequently, multi-level development zones were re-fo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overlays such as two-, three- and four-overlapped types. As a result, four-overlapped types were found in the areas of "Gwangwoon University Station," "Digital Media City Station," "Shingil Station," and "Shindorim Station." Among them, Gwangwoon University and Digital Media City Station are already the target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development project. And Singil and Sindorim Station seem to need multi-level development plans to connect neighboring areas disconnected by railways and strengthen urban functions after discussing the undergrounding of Gyeongbu Railway Line. Because the definition of through traffic was limited to ‘railway’ and 'automobile-only roads', further researched will be required to extend to the general roads, and therefore the detailed researches for the categorization of multi-level development zones will be needed. Also the degree of disconnection felt by pedestrians was not be measured because this research relied on GIS spatial analysis method.

      • 고령화 관련 도시계획 정책에 관한 연구 : 미국 뉴욕시 맨하탄의 커뮤니티 구역 7을 중심으로

        서정숙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ccording to becoming aged society in Korea, age-friendly communit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urban planning.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urban policy in NYC and the urban characteristics of age-friendly communities by the case study of community district 7 in Manhattan. Analysis results that housing, land use, and transportation are the elementary policy sectors for low-income elderly residents who have lived in existing urban district. First, on the basis of the ‘aging in place’concept, affordable housing policy for creating and preserving housing units is adapted for the age-friendly community. Secondly, high level of mixed-use promote the livable community environment for elderly residents. Third, remodelling crossroads, such as ‘complete street’, and improving public transport result in walkable and easy-to-access environment. Therefore, urban planning can be the tool for maximizing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age-friendly community. The Urban sprawl and unplanned land development of modern city caused the increase in road traffic. Especially, the private cars are a principal cause of the problem for environment including traffic congestion, energy consumption and air pollution. 급속한 고령화 추세에서 우리나라의 고령화정책은 재정지원에 집중되어 도시계획적 대응이 부족한 실정이다. 하지만 국제기구 및 미국, 유럽 등에서는 고령화에 대응하는 지역사회를 조성하기 위해 도시계획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본 논문은 고령화 관련 정책방향이 지역사회차원으로 변화된 미국의 고령화 정책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뉴욕의 도시계획정책 분석과 커뮤니티 구역 단위의 실행계획을 분석함으로써 고령화에 대응하는 지역사회를 조성하는 도시계획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지로 미국 지역을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미국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이르러 노인복지와 관련된 핵심과제인 소득, 의료, 사회적 서비스 등 각종 법안의 제정과 개정으로 노인복지의 전성기를 맞게 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 미국을 비롯한 세계의 주요 국가들은 노인복지를 위한 재정지원의 한계에 봉착하였다. 더불어 주요 국가들의 고령화 전진은 지금까지와 다른 노인복지의 국가적 정책 대응을 요구함에 따라, 지역사회에 기반 하는 도시환경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관점이 전환되었다. 이러한 추세에서 국제기구인 세계보건기구(WHO)는 2007년 ‘고령친화도시(Age-friendly Cities)’ 조성을 위한 계획을 착수했으며, 국제적 협력 및 관심을 형성하고자 ‘고령친화도시 네트워크(Global Network Age-friendly Cities & Communities)’를 만들었다. 미국 뉴욕은 2007년 고령친화도시 평가가이드를 위한 시범도시로 참여하였으며, 2011년 WHO에 의해 고령친화도시로 인증되어 네트워크에 가입된 최초의 도시가 되었다. 이에 미국의 고령화에 따른 지역사회의 도시계획 특성을 분석하고 뉴욕시 맨하탄의 ‘커뮤니티 구역 7(CD7 : community district 7)’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도시계획정책 분석과 커뮤니티 단위의 실행계획을 분석하여 도시계획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미국의 고령화에 대비한 도시계획정책은 지역 특성과 시민의 욕구(needs)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주거 및 근린환경의 물리적 개선을 통해 지역주민 모두가 평생에 걸쳐 신체적·심리적으로 건강하고 삶의 질을 유지하며, 고령이 되어도 독립적인 생활을 지속할 수 있는 도시환경을 추구한다. 이는 노인이 거주하던 지역사회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는 노인복지정책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기존의 주거지에서 지속적으로 거주를 원하는 지역 주민을 위해 경제적으로 부담가능한 주거 공급 및 유지비용이 우선순위 정책 지원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더불어 고령자의 행동 특성을 고려한 근린환경의 토지이용계획 및 교통계획이 수반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조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주택계획 측면에서 자연발생적으로 고령인구가 증가한 지역에 노인이 고령에도 불구하고 집에서 거주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에 어포더블 하우징을 보존하고 공급하는 주택정책을 통해 살던 집 또는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개념인 ‘aging in place’의 욕구를 충족함으로써 어포더블 하우징(affordable housing) 주택정책이 고령화에 대응하는 지역사회를 조성하는 중심적 수단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토지이용(land use) 측면에서 용도혼합(mixed-use) 및 리조닝(rezoning)계획을 통한 가로용도 및 가로경관 개선은 고령 거주민을 위한 살기좋은 지역사회(Livable Community) 환경을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통계획 측면에서 ‘complete street'와 같은 가로환경 개선사업 및 대중교통의 증진은 보행 안전성 및 접근성이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령화에 대응한 세계차원의 노력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 뉴욕의 도시계획 정책을 고찰하였다. 특히 맨하탄의 기성시가지인 CD7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국내 기성시가지에 고령친화적 지역사회 구축을 위한 도시계획 정책을 예측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 서울시 노후저층주택 밀집지역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김민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정비(예정)구역에서 소외된 서울시 내 노후·저층주택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1만㎡ 넓이의 육각형 그리드를 기반으로 물리적 특성지표 외 사회적·경제적 특성지표 등을 활용하여 유형화하고, 유형별로 특성의 차이를 밝히는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서울시 내 노후·저층주택 밀집지역은 주로 서남권과 동북권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저층주택 밀집지역 유형화를 위해 물리적 특성, 인구·가구 특성, 경제적 특성, 건축물 관련 특성, 입지 특성 등 5개 특성영역 내 총 21개의 특성지표들을 도출하였다. 셋째, 서울시 내 노후·저층주택 밀집지역은 교통접근성이 불량한 노인인구 밀집지역, 교통접근성이 불량한 청년세입자 밀집지역, 역세권 주변의 용도복합 지역, 비소형 노후주택 과밀 지역 등 총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육각형 그리드의 공간단위를 활용하여 노후·저층주택 밀집지역의 실질적 형태를 고려하지 못하였으며 데이터 구득의 한계로 분석 대상지를 한정하였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그러나 서울시 내 노후·저층주택 밀집지역을 물리적인 요소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경제적 지표를 활용하여 유형화하고, 유형별로 차이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유형별 특성에 부합하는 노후·저층주택 밀집지역 계획 방향과 관리방안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ough a number of policies aim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deteriorated low-rise residential areas, most of them are no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s enough because they are only considering limited indicators such as the count and ratio of the old housing lots.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deteriorated low-rise residential areas located in Seoul utilizing 10,000㎡ hexagon grid density analysis and to examine their types and typological characteristics utilizing the determinants of deteriorated low-rise residential area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294 grids in which deteriorated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Seoul belong, which are distributed mainly in the southwest and northeast regions. Second, 21 indicators divided into five characteristics, including physical characteristics, population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economic characteristics, building-related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as categorization indicators for deteriorated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Seoul. Third, Four types were derived Dense elderly populated area with poor traffic access, Dense young tenant populated area with poor traffic access, the complex area within the subway station area, and Overcrowded non-small deteriorated houses are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rives and categorizes areas of deteriorated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Seoul through grid density analysis and reveals differences in types by using various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as well as physical factors.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differentiated planning directions and management plans that mee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