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제화교육프로그램 참여와 팬데믹을 대하는 태도가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황희민 순천향대학교 미래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university global education programs and attitudes toward pandemic on university students' global citizenship. The global crisis that cannot be solved by only one country, such as the pandemic, nuclear weapons, and abnormal climate, is increasing. Global citizenship refers to the willingness to take interest in such international issues and to solve them. For this,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up as follows. First, a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ing tools for global citizenship and attitude toward pandemic appropriate?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level of education, major field of study, overseas travel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possible foreign languages? Third, does university participation in global education programs affect university students' global citizenship? Fourth, does the attitude toward pandemic affect the global citizenship of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problem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y A through allocation sampling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7, 2020. Accordingly, a total of 253 responses (129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 / 124 non-participating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For statistical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Jamovi 1.2.27.0 and Rex 3.0.3. Global citizenship was composed of 6 factors: knowledge (7 questions), analytical skills (6 questions), social skills (2 questions), attitudes (7 questions), empathic intention (2 questions), and public interest intention (7 questions). And the attitude toward pandemic was composed of 4 factors: anxiety about the governance for Covid-19 response (4 questions), Covid-19 infection phobia (4 questions), exploration of Covid-19 response measures (4 questions), and satisfaction with life (4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factor analysis on global citizenship and attitude toward pandemic, CFI=.902, RMSEA=.0601 / CFI=.929, RMSEA=.0759, both models were found to be suitable. Second, in terms of global citizenship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had higher knowledge, empathic intention, and public interest intention than male studen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with overseas travel experience after enrollmen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analytical skills, and public interest intention factors than those who did not. In addition,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can speak two or more foreign languages ​​have a significantly higher knowledge factor than those who cannot speak foreign languag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global citizenship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major field of study, and overseas experience before enrollment. Third, looking at the effect of global education programs on global citizenship,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represented by the “Development Awareness program of KOICA” had high knowledge and social skills factors. And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overseas volunteering had a high factor of empathic intention. Participation in overseas internships helps with analytical skills, and experience in living in a global village dormitory Dormitory where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live together has been shown to help with social skil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national student mentoring program had a high level of public interest intention, but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tion in the overseas exchange student or short-term language training program did not raise global citizenship. Fourth, looking at the effect of the attitude toward pandemic on global citizenship, phobia about Covid-19 infection did not affect global citizenship. However, the lower the confidence in governance to respond to the Covid-19, the lower the knowledge and attitude factors among global citizenship. On the other hand, the more actively searched for Covid-19 countermeasures, the five factors: knowledge of global citizenship, analytical skills, social skills, empathic intention, and public interest intention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In addi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life, the higher the five factors: analytic skill, social skill, attitude, empathic intention, and public interest intention, excluding knowledge fact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global education programs in the era of “with Covid-19” or “post Covid-1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국제화교육프로그램과 팬데믹을 대하는 태도가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팬데믹을 비롯하여, 핵무기, 이상 기후와 같이 한 국가의 힘으로만 해결할 수 없는 글로벌 위기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세계시민의식은 이와 같은 국제적 문제에 관한 관심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실천의지를 말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세계시민의식과 팬데믹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은 적절한가? 둘째, 성별 및 학년, 전공계열, 해외여행 경험, 가능한 외국어 수 등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세계시민의식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의 국제화교육프로그램 참여가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팬데믹을 대하는 태도는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30일부터 10월 7일까지 할당표집의 방법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총 253명(국제화교육프로그램 참여 학생 129명/미참여 학생 124명)의 응답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통계분석은 Jamovi 1.2.27.0과 Rex 3.0.3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빈도표작성, T-test, 카이제곱검정,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세계시민의식은 지식(7문항), 분석적 스킬(6문항), 사회적 스킬(2문항), 태도(7문항), 공감적 실천(2문항), 공의적 실천(7문항)의 6개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팬데믹을 대하는 태도는 코로나 대응 거버넌스에 대한 불안감(4문항), 코로나 감염 포비아(4문항), 코로나 대처방안 탐색(4문항), 삶에 대한 만족(4문항)의 4개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의식과 팬데믹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CFI=.902, RMSEA=.0601 / CFI=.929, RMSEA=.0759로 두 모형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세계시민의식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지식, 공감적 실천, 공의적 실천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입학 후 해외여행 경험이 있는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지식, 분석적 스킬, 공의적 실천 요인이 유의미한 차이로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2개 이상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학생이 외국어를 하지 못하는 학생보다 지식 요인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년 및 전공계열, 입학 전 해외여행 경험에 따른 세계시민의식의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국제화교육프로그램이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으로 대표되는 세계시민교육에 참여한 학생은 지식, 사회적 스킬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해외봉사에 참여한 학생은 공감적 실천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인턴십 참여는 분석적 스킬에 도움을 주며 글로벌빌리지 거주 경험은 사회적 스킬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학생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공의적 실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해외교환학생이나 단기어학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세계시민의식을 제고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팬데믹을 대하는 태도가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코로나 감염에 대한 우려는 세계시민의식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코로나에 대응하는 거버넌스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세계시민의식 중 지식과 태도 요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적극적으로 코로나 대처방안을 탐색할수록 세계시민의식의 지식, 분석적 스킬, 사회적 스킬, 공감적 실천, 공의적 실천의 5개 요인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삶에 대한 만족감이 큰 학생일수록 지식 요인을 제외한 분석적 스킬, 사회적 스킬, 태도, 공감적 실천, 공의적 실천의 5개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위드코로나 또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국제화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유학생들의 격리 기간과 해제 후 신체, 행동, 인지, 정서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

        장만리 순천향대학교 미래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1년 가까이 발생된 코로나19에 대한 공포심과 안전성이 높은 백신의 부재로 수많은 사람들의 신체, 행동, 인지,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감염질환 격리자의 신체, 행동, 인지, 정서에 대한 비교 연구는 많지 않아 코로나19 에 대응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약 2주 동안 집단으로 격리되었던 대상자들의 신체, 행동, 인지, 정서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가 없어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약 2주간의 격리가 신체, 행동, 인지,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분석결과 및 제언 등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코로나19로 인한 순천향대하교에서 약 2주간 집단관리로 격리되었던 135명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조사항목은 주로 격리기간 및 격리해제 후에 경험한 증상(신체11개, 행동6개, 인지8개, 정서10개), 상태(7개) 및 방해 정도(10개) 등 있고 범주형 방법 McNemar로 분석 했다. 상태 항목들 중에서 “1.나는 격분하고 있다”(p<0.001), “2. 나는 짜증을 느끼고 있다”(p=0.003), "9.나는 속이 부글부글 끓고 있다”(p=0.004)가 격리기간과 격리 해제 후에 격리자들이 심리적인 증상에 대한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항목들은 p>0.05이므로 격리기간 및 격리해제 후에 신체, 행동, 인지, 정서에 대한 큰 변화가 없었다. 세부 항목들을 종합하며 증상, 상태 그리고 방해 정도를 다시 분석해 보았으나 여전히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격리해제 후에 부정적인 응답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격리 학생 중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지만, 코로나19 자체의 위험성보다 격리기간에 겪는 심리적 영향과 활동에 대한 제한이 신체, 행동, 인지,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더 크게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부모, 교사 그리고 학생 3가지 구성원으로 지원해 공중매체, 플랫폼, 심리건강 교양과목 또는 개인적인 심리상담을 활용하여 인지, 정서적인 체험 및 활동 등 서비스를 보장할 수 있는 맞춤형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The fear of COVID-19 that has occurred for nearly a year and the absence of highly safe vaccines have negatively affected the body, behavior, cognition and emotions of numerous people.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comparative studies on the body, behavior, cognition and emotion of the people isolated because of infectious diseases. So continuous and diverse studies are needed to deal with COVID-19. In particular, there are no comparative studies on changes in the body, behavior, cognition, and emotions of the people who experienced quarantine in a group for two weeks, so this study intended to verify how the two weeks quarantine impacted on physical, behavior, cognition and emo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The result data was used and analyzed for sugg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of 135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were quarantined in a dormitory of a university in South Korea for two weeks. The survey items were mainly about symptoms(11 physical, 6 behavioral, 8 cognitive, 10 emotional), state(7), and degree of disturbance(10) experienced after COVID-19 Quarantine. The results were studied with the categorical method of McNemar. Among the status items, "1. I'm infuriated“(p<0.001), "2. I'm feeling annoyed”(p=0.003), “9 .I'm upset”(p=0.004) during or after the quarantine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psychological symptoms. The rest of the items were p>0.05, so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physical, behavioral, cognitive, emotional changes caused by the quarantine. Although the detailed items were synthesized and studied again for symptoms, conditions, and degree of interference, still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However, negative responses tended to increase after release of the quarantine. In conclusion, although there were no COVID-19 confirmed cases among quarantine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effects and restrictions on activities experienced during the quarantine period had a greater negative impact on physical, behavioral, cognitive, emotional changes than the risk of COVID-19 itself. Therefore, I think that a customized support system that can provide services such as cogni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activities by using public media, platforms, psychological health liberal arts courses or personal psychological counseling, is necessary.

      • 국민건강보험 가입 유학생의 건강상태와 의료서비스 이용 실태조사 및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유학생 중심으로”

        채계항 순천향대학교 미래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민건강보험 가입 유학생의 건강상태와 의료서비스 이용 실태조사 및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유학생 중심으로” CAI QI HENG 순천향대학교 미래융합대학원 국제개발협력학과 지도교수 유병욱 서론: 지금까지 한국에 거주하는 유학생의 건강과 관련된 연구는 많이 진행 되지 않았지만 최근 국민건강보험제도 개편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외국인 유 학생들의 복지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조사대상인 외국인 유학생은 질병이나 상해로 인한 보험금 청구 경험 여부에 대해 79.0%가 없다고 응답했다. 이는 대부분의 외국인 유학생들의 국민건강보 험 인식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국민건강보험은 국민의 질병, 부상에 대한 예방, 진단, 치료, 재활 및 건강증진에 대하여 보험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건강보건을 향상시키고 사회보장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자국민뿐 아니라 국내 대학교 재학 중인 유학생의 경우 에도 국민건강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하여 유학 생활 동안 안전한 환경에서 수학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국내 체 류 유학생 중 중국인 유학생의 건강 및 의료 서비스 이용 실태와 국민건강보 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서 만족도 등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고 중국 유학생 들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정하고자 한다. 목적: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건강 상태와 의료서비스 이용 상황을 파악 하고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 였다. 또한 중국 유학생들의 국민건강보험에 대한 이해 정도를 파악하고 일반 적인 특성에 따른 국민건강보험에 대한 의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리고 유학생이 의무적으로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함으로써 유학생에게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부담과 그 이유를 분석하고 부담 정도를 측정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중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하고 있는 100명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설문조사 결과의 통계 처리는 IBM SPSS 26.0을 활용하였 고 비모수적인 통계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설문을 실시한 유학생들 중1년 동안 병원을 한 번도 방문하지 않았다 고 응답한 유학생은 59%로 절반 이상으로 나타났다.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경 우에도 약국 및 기타(45%) 목적으로 이용한 유학생이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 다. 건강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건강관리를 하고 있다고 한 응답자가 74%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97%가 본인의 건강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을 실시한 유학생들 중에서 50%가 국민건강보험제도가 필요하 지 않다고, 82%가 국민건강보험에 대해 부담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 원인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보험료가 비싸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62.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학년이 의료서비스 이 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학년 유학생보다 4학년 유학 생의 의료서비스를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부생보다 대학원생의 의료서비스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학생이 한국에 오랫동 안 거주하면 할수록 의료서비스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의 경우, 나이가 많을수록 의료기관 방문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구조사에 참여한 중국인 유학생의 절반 이상이 매달 아르바 이트가 아닌 부모로부터 생활비를 지원받았고, 생활비 부담이 없어 아르바이 트의 필요성을 못 느껴 외부활동이 적어 대체로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에 따라 의료서비스 이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결과가 나타났는데, 한국어 능력이 향상된 중국 학생일수록 의료서비스 를 더 많이 이용하게 되며 더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중국 유학생들은 국민건강보험 의무 가입 전 다양한 방법으로 사전 안내를 받았지만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중국 유학생들의 이해도는 높지 않 았다. 이로 인해 중국 유학생들의 국민건강보험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중국인 유학생으로 입국했을 때에 한국어 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국 민건강보험에 대해 사전 안내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므 로 보험제도의 사전 안내 전달을 대상자들의 모국어로 제공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유학생들이 국민건강보험제도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국민건강보험에 대한 교육이 다양한 국가의 언어로 진행되어야 하 고 교육 빈도도 높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핵심 주제어: 중국 유학생, 국민건강보험, 의료서비스 이용, 건강, 만족도

      •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 및 실천(KAP) : 2022년 순천향대학교 유학생 대상

        Phengsombath, Anousone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Background: The problem of prevention COVID-19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living in Korea during pandemic.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international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knowledge related to COVID-19 and the attitudes formed toward COVID-19 among foreign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Soonchunhyang University, and their adherence to preventive measures to prevent the COVID-19 pandemic. Material and Methods: A cross-section survey was conducted among 88 international students from 991 different countries at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Korea. Data collection took over one week (April 18-29) in 2022. The study uses convenience sampling and the questionnaire is given directly to the participants and exported to R software (RStudio) version 4.0.3 for data analysis. Results: A total of 88 participants (male, 45; female, 43) were enrolled. This study included 59 participants aged between 19-26, 25 participants aged between (27-34), and 4 participants aged above 35-42 years. The results show that 75%, 76%, and 86% of the students had good knowledge, a positive attitude, and good practice toward Covid-19.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had low Korean ability proficiency levels (TOPIK) but a high level o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toward the Covid-19 prevention measure. We found a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s- attitudes (p<0.01). There are no significant variations in knowledge and practice means scores. Conclusion: The pandemic COVID-19 has caused irreparable damage to all sectors, especially the education sector had closed down educational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For instance, it is found that due to COVID-19, students all across the world are unable to attend their classes physically. Many student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COVID-19 and felt safe in Korea during the outbreak. Furthermore, the majority of students have enough information and are taking stronger COVID-19 preventive actions. Suggesting that a University provide information to improve awareness and develop preventive measures about Covid-19 and the possibility of infectious disease (local disease) or any pandemic disease is helpful and necessary to control the disease.

      • 몽골 영양섭취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개선 및 사과 간식 파일럿 프로젝트

        바야르마 순천향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몽골 울란바토르시 수흐바토르구 관내에 위치한 2개 초등학교(4번, 16번) 학생을 대상으로 고른 영양 섭취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과 사과 간식 제공 파일럿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1개 초등학교(16번)의 경우 사과간식 제공 없이 고른 영양 섭취에 대한 교육만을 주 1회 실시하였고 4번 초등학교에서는 사과 간식 제공과 영양 관련교육을 매주 월요일 또는 수요일, 주 2회 실시하였다. 양교 모두 전체 사업 기간은 10주로 동일하였다.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학부모와 학생을 대상으로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사전 설명 및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였으며 학부모, 학생 참가 동의서를 받았다. 또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해당 프로젝트 전과 후로 구분하여 총 2회에 걸쳐 영양 교육 및 식습관에 관련된 설문을 실시 그 결과를 비교 하였다. 본 프로젝트는 초등학생 대상 올바른 영양 섭취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의 결과로 인식개선 정도를 측정함으로서 향후 몽골 내 효과적인 영양 섭취 관련 교육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Improving Awareness of importance on the nutrition in Mongolia and Apple snack pilot project” was implemented during 10 weeks in the 4th and 16th elementary school of Sukhbaatar district in Ulaanbaatar City, Mongolia. The improving awareness of importance on the nutrition training class was taught once a week in 16th elementary school. In 4th elementary school, Monday and Wednesday had apple snacks and proceeded the nutrition training once a week. Before running the project, we had the family of the students sign the project participant form. We evaluated the students with a survey about nutrition education and eating habits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project. Based on these results, we will develop the nutrition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and help them for choose healthy foods. However, students learning how to manage their overall health is this project's main goal.

      •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국내 유학생의 인식 및 의료서비스 이용현황 분석

        임재삼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국내 유학생의 인식 및 의료서비스 이용현황 분석 연구배경 및 목적: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유학생 의 의료서비스 접근성에 대한 논의가 2019년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교육부는‘교육국제화 역량인증제’를 시행하여 대학들이 외국인유학생의 민 간 건강보험가입을 직접 추진하고 민간보험 가입률을 매년 평가받도록 하였 다. 이후 보건복지부는 국내 늘어나는 외국인의 건강보험의 합리적 관리를 위 해 2019년‘외국인 건강보험제도’를 개편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국민건강보험 가입을 의무화하였고 2021년 3월부터 유학생을 제도권 내 건강보험정책에 포 함시켰다. 이런 외국인 건강보험제도 개편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은 받을 수 있는 의료 혜택은 크게 늘어나게 되었지만 보험료에 대한 경제적 부담도 증가한 것이 사 실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 수학중인 유학생 중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유학생을 대 상으로 건강보험제도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국민건강보험에 대한 외국인 유학 생의 인식, 특성, 의료서비스 이용정도, 만족도 등을 분석하고 주요 결과와 동 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내국인을 대상으로 기 진행된 「건강보험제도 국 민인식조사」의 결과와 유학생 조사 결과 값을 비교 분석하여 두 집단 간 건 강보험제도에 대한 인식 및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유학생들의 여러가지 자 료를 측정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 값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유학생 중 국민건강 보험에 가입하여 의료 서비스를 받고 있는 유학생을 대상 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건강보험정책연구원에서 내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건강보험제도 국민인식조사」결과 값과 본 연구에서 실시한 유학생대상 조 사 결과 값을 비교 분석하여 두 집단 간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인식 및 의료서 비스 이용에 대한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를 보면 지난 1년간 의료기관 이용 경험과 관련해서 의 료기관을 이용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내국인이 83.9%로 42.4%인 유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의료기관을 1회 이상 이용한 유학생의 의료기관 이용 유형을 보면 응급의료 이용(4.3%)이나 입원(6.9%) 등의 위중한 상황이 아닌 외래진료 (20.2%), 약국 이용(37.8%)과 같은 비교적 가벼운 증상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그룹 모두 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판단은 긍정적인 것 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내국인은 75.6% 가 긍정으로 답한 반면 유학생은 16%만이 긍정이라고 답변했다. 유학생의 부 정적 인식의 이유로는 높은 보험료 부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부의 보험료 책정방식에도 두 그룹 사이에 차이를 보였다. 내국인의 경우 소득수준과 재산, 직업 군별 특성을 고려하여 보험료를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유학생은 국적, 나이, 소득, 재산과 상관없이 동일한 보험료를 일괄 적용 받고 있다. 외국 유학생들의 경우 다수가 젊고 건강하고, 만성 질환 유병율이 낮고, 병원 서비스 사용에 대한 인식이 낮으며, 국가 건강검진 이용율 낮다. 따라서 현재 와 같이 일률적인 보험금 부과를 진행하는 경우 보험금 납부 저항 등이 발생 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연구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건강보험의 외국인 적용과 적정 보험료 산 정에 대해 좀 더 많은 연구와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한민국의 구성원으로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나아 가 비자 관련 정책을 통한 우수 인재 유치를 위하여 건강보험비용 부과에 따 른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 핵심 주제어: 국민건강보험, 공공의료서비스, 의료비, 보건의료체계

      • 코로나 19 집단감염 사태로 인한 의료기관 종사자의 심리변화에 관한 단면적 연구 - 분노, 불안, 우울을 중심으로

        선화연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COVID-19 대유행은 정신 건강 문제의 증가를 초래하였고, 감염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정신 건강 문제가 우려되었 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와 같은 집단 감염 사태에서 의료진 뿐 아니라 비의료진과 같은 모든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불안, 분노, 우울 수준을 조사하는 것이다. 실제 국내의 한 종합 병원에서 발생한 집단 COVID-19 감염 사례를 바탕으로, 감염 환자와의 대면 의료진 (의 사, 간호사 등), 비대면 의료진 (진단검사 의학과, 검사실 의료진 등), 대면 비의료진 (통역, 원무과 등), 비대면 비의료진 (총무팀, 홍보팀 등) 149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분노, 불안, 우울에 대한 평가는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General Anxiety Disorder-7 (GAD-7), Korean Screening Tool for Depressive Disorder (K-DEP)를 활용했다. 연구 결과 불안과 우울항목은 의료진이 비의료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직무형태나 자가격리여부, 동거형태(가구 수, 65세 이상 구성원 혹은 미성년 자녀와의 동거 여부)에 상관없이 대면직종이 비대면 직종에 비해 우울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우울감이나 분노 등은 PTSD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집단 감염 발생 시 직무나 근무형태에 상관없이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점검과 관리가 필요하다. 이는 사스, 메르스와 같은 집단 감염 발생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집단 감염 발생이 PTSD를 유발할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또한 동일하게 연구 결과 COVID-19가 의료기관 종사자들에게 심리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런 징후의 판별은 실제 임상에서 PTSD를 예방적으로 판별하고 개입할 수있도록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정신 건강 문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인 이슈화를 통해 다양한 제도 또는 정책적인 변화가 필요하며 의료기관차원이 아닌 정부차원에서도 집단감염과 관련하여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PTSD 자가진단 등 사후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평과 결과에 따라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정신건강문제를 조기 발견하여 개입, 치료까지 가능하게 해야 한다. 이 외에도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사례를 세분화하고 분석, 정보화를 통해 많은 전문 의료진과 함께 전문소견 및 치료방법을 도출하고 직무와 상관없이 업무 형태에 따라 감염노출 고위험군의 주기적인 직무훈련과 단축 근무제 등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The COVID-19 pandemic contributed to an increase in mental health issues; Psychological changes occur in health professionals who are more susceptible to inf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ealth professionals’ levels of anxiety, rage, and depression in COVID-related special circumstances. A general hospital in Korea experienced a widespread COVID-19 outbreak. There was a total of 149 involved frontline and non-frontline health professionals surveyed.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General Anxiety Disorder-7, and Korean Screening Tool for Depressive Disorders were utilized in the evaluation of their rage, anxiety, and depression. Anxiety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among health professionals by occupation than among non-health professionals. Frontline workers were more depressed than non-frontline workers, according to type of work. These psychological changes can cause PTSD, so it is necessary to check and care for the mental health of health care workers working in medical institutions in the event of mass infections. These issues have been confirmed through studie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mass infections such as SARS and MERS that the occurrence of mass infections can cause PTSD. The findings proved that the COVID-19 pandemic had a psychological impact on healthcare work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t is critical to raise awarenes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 코로나19 시대 언어장벽이 외국인 유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아산시 소재 대학의 베트남 학생을 중심으로

        Khanh, Nguyen Tuan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Background: 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viral diseases have emerged and display a serious health-related concern for the health administrations. The foreign population and immigrant are one of those who are more vulnerable to such diseases due to the language barrier. This study is set to present in-depth exploration and analysis of the Vietnamese community knowledge, practice, attitude and the language barrier to the exercise of COVID-19 prevention approaches at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Korea. Methods: A qualitative study was done on the Vietnamese students of Soonchunhyang Korean Language School,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Korea. The interview was conducted in line with WHO’s guideline for social distance and use of protective equipment. The study uses Convenience sampling and the questionnaire is given directly to the participants. The data is translated into English and analyzed using the open-source version of R Software (RStudio Desktop open-source version 2022.02.0+443) Results: There is total 47 Vietnamese participants (26 females; 21 males), the average age was 20 years, age of participants ranged from 19 to 29.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have low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evel (TOPIK) (83%) but high level of knowledge (83%), moderate to high tendency of attitude (42.6%) and practice (51.1%) towards COVID-19 prevention measure. Knowledge scores significantly differed across TOPIK level groups (p<0.01). Additionally, Attitude and Practice scores significantly differed across TOPIK level groups (p<0.01) and Cultural group (p<0.05).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and Practice towards COVID-19 of the students (p<0.05). Results from linear regression tests indicated that higher TOPIK level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 of Knowledge (p<0.05) and higher level of Knowledg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Attitude toward compliance to be quarantined (p<0.05). It is also noted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suffered no stress during their time in Korea (95.7%). Conclusion: The lack of fluency in Korean language literacy about the disease were the major barriers for the Knowledge of COVID-19 prevention measures examined in this study. It is indicated that students with higher level of TOPIK have higher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COVID-19 prevention compare to students with lower level of TOPIK. Besides, the study revealed the urgency for building awareness about the severity of COVID-19 for the foreign population. Therefore, subsequent researches should escalate the number of groups of study subject to more foreign population other than Vietnamese students in the local area. Those studies may bring further information of other obstacles experienced by the foreign population in South Korea.

      • 대한민국 순천향대학교 학생들의 하루 물 섭취량과 물 섭취의 장점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KAP) 탐색 연구

        Ei Shwe Yi Phoo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Background: Our body is composed of 75% of water in infants and 50% of water in adult. An adult male needs about 3 liters of water per day while an adult female needs about 2.2 liters per day. Every day we lose water through our breath, perspiration, urine and bowel movements. For our body to function properly, we must replenish its water supply by consuming plain water, beverages and foods that contain water. Many studies pointed out that water intake among students and youths are not adequat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aily intake amount (Liter) of water in Soon Chun Hyang University Students, to access the knowledge, practice and attitude upon benefits of water intake. Material and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among 30 students age (19 years and older) at SCH university of Korea. Data collection took over two weeks (April 14-28) 2022. The study uses convenience sampling and the questionnaire is given directly to the participants and exported to R software (R studio version 4.0.3 for analysis). Results: While accessing the amount of daily water intake, only 30% of students were taking enough amount of their daily requirement and 70% is not. The mean knowledge and attitude of students are high but the majority of students drink less than 2L of water per day and most of them answered drinking 1L per day of water is enough for health. Some of the students think drinking soft drinks and plain water have the same effect on our body. Among the students, the amount of daily water intake is higher in male than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drink more soft drinks and beverages than master degree students do and surprisingly the amount of daily water intake is lower in master degree students than undergraduate students. Conclusion: The overall daily intake amount of water among the students are not enough which means their practice upon daily water intake is not adequate. However, the level of knowledge and attitude upon daily water intake of SCH university students are found to be adequate. This means that the reason for not taking adequate amount of water is not due to the lack of knowledge and attitude. Therefore,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finding 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aily intake of water among SCH universit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