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기초안전교육 실태분석과 안전교육의 실효성 제고방안 연구

        김창한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내 건설현장에서는 매년 23,000여명의 재해자 및 500~6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로인한 경제적인 손실액은 6조원을 넘어서고 있다. OECD가입국으로써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 사망만인율이 2~4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에서도 그동안 건설현장의 재해예방을 위하여 각종 제도 도입 및 재해예방 활동을 펼쳐 왔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 건설업 재해율은 0.7%, 사망만인율은 1.69? 이후 지속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건설현장의 안전관리도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대기업 중심의 대형건설현장은 경영주가 안전을 경영의 필수요소로 인식하기 시작하여 안전에 대한 조직과 예산을 확대하고 중대사고 발생시 현장소장에게 안전관리 책임을 묻고 있으나, 중소규모 건설현장은 사업주의 안전에 대한 관심부족과 투자소홀로 안전시설투자 기피, 개인보호구 미지급, 안전교육 미실시 또는 형식적 실시와 근로자의 안전의식 결여 등으로 안전관리 사각지대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가운데 전체 건설업 재해의 88%이상, 사망자수의 70%이상이 공사금액 120억미만 중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에서는 공사기간이 짧고 이동이 빈번한 건설일용근로자의 신규채용시 안전교육의 대체수단으로 호주, 싱가폴 등 이미 선진국에서 운영 중인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이수제도를 도입하여 2009년~2011년간의 시범운영을 거쳐 2012.6.1.일부터 공사금액 1,000억원이상 현장부터 단계적으로 확대 시행하여 2014.12.1.일부터 국내 모든 건설현장에서 적용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제도가 공사금액 120억미만으로 확대시행 되면서 현장 공사관계자의 관심부족 및 안전관리자 미선임 등으로 미이수 근로자가 30%이상, 교육 이수비용 근로자 본인 부담이 50%이상 되고 현장 법정안전교육도 형식적으로 운영하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미이수 근로자에 대한 정부의 제재 미흡과 기초안전교육 대상 근로자수가 감소하면서 기초안전교육기관의 경영수지 악화에 따른 부실운영 등으로 외부 언론(mbn뉴스/2015.6.27.)으로부터 하나마나한 안전교육이라는 지적을 받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중소규모 건설현장에서는 기초안전교육이수 후 법정 안전교육(정기안전교육 및 특별안전교육)이 형식적으로 운영되거나 단절되는 등 근로자 안전의식 제고 문제가 지속발생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안전관리가 열악한 공사금액 3억~120억미만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기초안전교육 실태 분석 및 실효성 제고를 목적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 공사관계자 및 근로자를 대상으로 현장 방문 설문조사 및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효성 있는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기초안전교육 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근로자가 부담하도록 하되환급제도 도입을 통하여 근로자 교육비용 부담문제 해결. 둘째, 건설업 기초안전교육기관 등록제도 및 평가 강화를 통하여 부실운영 문제가 해결되고 교육기관의 수준관리가 가능. 셋째, 실습위주의 교육과정 개설 및 교육 후 근로자 평가방법을 통하여 근로자 안전의식 및 교육성과 제고. 넷째, 근로자 직종별, 경력별 체계적인 건설기능인 안전교육프로그램 도입을 통하여 2~3년마다 재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건설기능인으로써의 안전전문역량 배양. 다섯째, 지속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의 재해예방을 위하여 외국인강사 인력풀 구성지원 및 교육이수자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한 동종 재해예방 활용. 여섯째,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현장 안전교육의 재해예방지도기관 대행을 통하여 법정 안전교육의 효율성 제고 등을 통하여 중소규모 건설업체 및 현장에 도움이 되고 취약계층에 있는 일용건설근로자의 안전의식 제고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어 전체 88%이상의 재해를 점유하고 있는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감소로 이어져 전체 건설업 재해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공동주택 건설현장의 화재안전 문제점 분석 및 대응방안

        오영택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ABSTRACT Problem Analysis and Response of Securing Fire Protection of Apartment Building Projects Oh, Young Taek Dept.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Technology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Won, Seo Kyung Fire accidents in site industrial disaster during construction works are caused by finishing works such as waterproof work, coating work, heating and insulation work, welding and cutting work, heating and heater use during winter season, short circuit and of electricity. While fire accident in the construction site has less occurrence rate than other risk factors such as dropping, falling and electric shock, it has severity rate of injury once fire accident takes place. Fire disaster at the construction site are caused by water proof, coating, piping, welding, heating and insulating, heating and heater use of winter season, and short circuit of electricity. While its frequency is not high at the construction site, it causes huge social issues due to accompanying large accident such as injury and death and damage of structure. As many workers progress many process at the same time in the construction site, it is hard to make key safety management to prevent fire accident due to overlap of risk works such as handling ignite, and use of inflammable and combustible materials with other processes. Before the work, fire prevention and safety education must be performed and workers should observe it at the site. Bonfire and smoking in the site can be cause of fire. Thus, such must be strictly prohibited. Temporary office, warehouse and hazardous materials such as fuel and gas must be installed on the ground. And, welding, cutting, coating and urethane forming works must be strictly controlled and inflammable, combustible and igniting materials must be removed, isolated and blocked. Sufficient ventilation facilities must be operated to release oil mist. Emergency evacuation training for workers must be performed regularly and exit sign, fire escape and broadcasting facilities to announce fire must be installed. Sufficient number of fire extinguishers and fire water must be equipped and water pipe and hydrant must be operated to prevent fire. To prevent fire, it is important not to place 3 factors of fire such as flammable, oxygen and ignition source at the same place. If welding and cutting work are carried out in the construction work, strict access control must be performed for introducing, application, management, storage, isolation and advanced permission of inflammable and combustible material. To minimize welding and cutting works which are the most frequent works, it is necessary to change construction method to reduce risk of fire to the full extent. Fire safety education must be performed repeatedly and continuously. Most construction sites have no statement of fire prevention on legal contents during safety education. So, workers begin to work without having knowledge on fire prevention measure, countermeasure in event of emergency, instruction of use of fire equipment and evacuation method. While education text book and video on high frequency disasters such as falling, drop and electric shock for foreign workers whose number continues to increase, the fire prevention textbook for foreign workers by the fire station and safety institutions are still elementary level.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fire disaster factors of 7 major industries and to establish a preventive measure with special reference to apartment building project. For this purpose, countermeasure was planned by analyzing disaster cases and preventive measure was suggested by figuring out progression of work, risk factors of fire by industrial type and inflammable and combustible materials.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used to improve fire prevention education during safety education to workers and to improve policy direction to meet educational needs and expectation by examining the status of inflammable and combustible material use by industrial type, fire risk factors per proces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fire risk factors by work process and preventive measures. 國文抄錄 공동주택 건설현장의 화재안전 문제점 분석 및 대응 방안 Problem Analysis and Response of Securing Fire Protection of Apartment Building Projects 오 영 택 慶熙大學校 테크노經營大學院 建設安全經營學科 指導敎授 元 瑞 卿 건설공사중의 현장 산업재해 중 화재에 의한 재해는 대부분 방수작업, 도장작업, 보온 및 단열작업등의 마감작업에서의 용접 및 용단 작업, 동절기 난방 및 전열기구 사용, 전기의 누전 및 합선에 의해 발생되고 있다.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화재사고는 추락, 낙하, 감전 등 다른 위험요소에 비하여 발생비율은 매우 적지만 만일의 화재사고시 다수의 중대재해가 발생하여 강도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건설현장의 화재에 의한 재해는 공정 작업상 대부분 방수작업, 도장작업, 설비배관 용접작업, 보온 및 단열작업, 동절기의 난방 및 전열기구사용, 전기의 누전 및 합선에 의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건설현장에서의 화재로 인한 재해는 그 빈도수는 높지 않지만 많은 인명피해 및 구조물의 손상을 동반하는 대형재해로 연결되는 등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킨다. 건설현장은 많은 건설근로자가 동일 장소에서 동시에 여러 공정을 진행하고 있으므로 화재 발생을 일으킬 수 있는 점화원을 취급하거나, 인화성, 가연성물질을 사용하는 위험작업과 타 공정간 중복으로 화재예방을 위한 중점 안전관리가 어렵다. 작업개시 전 화재예방 및 안전교육을 실시 후 작업자는 반드시 이를 준수해야 하며 현장 내에서는 모닥불 점화 및 흡연 등 화재원인이 될 수 있는 행위를 일체 금해야 한다. 가설 사무실, 창고 및 유류, 가스 등 위험물질은 반드시 지상에 설치 관리한다. 또한 작업장 내 인접장소에서 용접 및 용단 작업과 도장 및 우레탄 발포 등을 동시에 작업하는 행위를 엄격히 통제하여 인화성, 발화성, 가연물질을 제거·격리·차단하고 유증기 배출을 위한 충분한 환기시설을 설치 운영한다. 근로자들이 비상사태대비 대피를 위한 훈련을 연중 실시하며 유도등, 대피로, 화재를 전파할 수 있는 방송시설을 설치하며 적정한 소화기와 방화수를 비치, 연결송수관 및 소화전을 조기설치 운영하여 화재예방에 힘을 써야 한다. 화재발생을 원천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화재발생 3요소인 가연물, 산소, 점화원이 공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건설공사의 특성상 용접 및 용단작업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 인화성, 가연성 물질 반입 신청 및 관리, 보관, 격리와 사전 작업허가제를 통한 엄격한 통제를 실시하여야 한다. 설비 작업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접, 용단 작업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법변경 등을 통하여 이를 최소화함으로써 화재위험요소를 최대한 경감시킬 수 있다. 소방안전교육은 반복적,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하는데 대부분의 건설현장은 각종 안전교육 시 법규상의 내용 중 화재예방에 대한 언급이 없어 화재예방대책 ,비상사태 시 대처능력, 소화장비 사용 방법, 대피방법 등에 대해 소방안전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근로자들이 투입 작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건설현장에서 점차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을 위한 추락, 낙하, 감전 등 발생빈도가 높은 산업재해에 대한 교육용 교재 및 동영상 등은 많이 개발·보급되고 있지만 소방관서 및 안전관계기관 등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화재예방 교재는 아직 초보적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동주택 건설현장을 중심으로 7개 주요 공종별 화재위험요인 및 예방대책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재해사례 분석을 통하여 대책을 마련하였으며, 공사진척도 및 공종별 화재발생 위험요소, 인화성 및 가연성 물질을 파악하고 예방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사장의 공종별 인화성·가연성 물질의 사용 현황 파악과 시공공정에 따른 공정별 화재위험 요소파악, 작업공정별 화재위험요인 및 예방대책을 마련하여 근로자들에 대한 안전교육 과정 중 화재예방교육을 개선함으로써 다양한 교육적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 정책 개선방향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안전분야 감리업무에 대한 고찰 : 건설기술진흥법 및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안전관리를 중심으로

        이정룡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건설공사의 감리는 크게 건설기술진흥법에 의한 건설사업관리, 주택법에 의한 공동주택 감리, 건축법에 의한 CM 또는 감리업무로 그 영역이 구분 되어 있으며 이에 따른 안전분야 감리업무도 유형별로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다. 먼저 공공분야인 건설기술진흥법에 의한 건설사업관리 현장은 일정 규모 이상의 현장에서 안전관리 담당 감리원을 전담 배치하도록 명시하고 있는 반면 중․소규모 이하 현장은 별도 지정이 없이 책임건설사업관리 기술자가 현장에 배치된 건설사업관리 기술인 중에서 안전관리 담당자를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고, 주택법에 의한 감리현장은 안전담당 감리원의 별도 지정이 없어 현장에서 총괄감리원이 현장 감리원 중에서 1인을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건축법에 의한 CM 또는 감리현장은 발주자의 의지에 따라 별도로 안전 담당감리원의 고정배치를 요구하는 경우가 최근 들어 증가하는 추세이다. 안전관리업무 또한 시설물 안전관리를 중점으로 하는 건설기술진흥법에 의한 안전관리와 근로자의 안전을 중점으로 하는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안전관리로 이원화 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업무담당자 또한 상이하다. 그 동안은 감리자(건설사업관리, CM 포함, 이하 감리자로 통칭)는 양 법안에 의한 안전관리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실질적인 관리 차원보다는 시공사의 안전관리업무를 확인하는 정도의 업무에 그치고 있었으나, 중대재해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중대재해처벌법)의 제정 등 현장안전관리 및 재해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면서 발주자의 안전관리 업무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더불어 벌점 및 과태료 부과 등 다양한 제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서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업무를 바탕으로 안전 분야 감리업무를 통합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예비적 고찰로 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감리자의 안전분야 업무를 분석하고 선행연구 자료를 통해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현장업무수행 상황은 그동안 연구자 본인이 현장 점검 및 과거 3년간의 계약서류 등을 통해 분석한 자료와 현재 진행 중인 90여 개 현장의 단장 및 안전관리 담당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업무실태 파악, 문제점 및 개선안 도출을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제도적으로 안전관리 담당자를 전담인원으로 배치하여 업무의 전문성을 높이고 둘째로, 이들 인원에 대하여는 차후 보직관리 등 별도의 인력관리체계를 통해 업무의 연속성과 시행착오의 최소화, 전문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끝으로, 안전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인원에 대하여는 업무 부담과 책임감, 자긍심 고취를 위한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비 선호 보직이 아닌 선호 보직으로의 전환이 필요하고 적절한 현장교육을 통해 업무에 필요한 지식 전달 및 사례전파를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를 계기로 현장의 안전분야 감리업무가 통합되고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하며 감리자가 현장 안전관리의 관망자가 아닌 실질적인 현장 안전관리의 주체로서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건설업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 환경조성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강민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건설업은 인구감소 및 3D 업종 기피현상으로 인해 인력 부족을 겪고 있으며 국내 신규(청년층의 부재) 인력의 유입 없이 기존 인력의 고령화만 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중기(2022~2024년) 건설업 외국인 근로자 적정규모 산정연구' 보고서에서도 향후 3년간 연평균 내국인 근로자가 약 16만9000명 부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대부분의 국내 건설현장에서는 부족한 인력의 수급을 외국인 근로자로 대체하고 있으며 외국인 근로자의 비중이 커지면서 재해사고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앞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다각적인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건설업에 종사하는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현행 안전교육의 개선을 통해 근로자의 안전의식이 강화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안전사고 관련 이론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예방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실효성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 건설업 외국인 근로자의 실태 및 산업재해현황을 분석하였으며 현행 안전교육의 국내외 자료도 비교분석하여 살펴보았다. 외국인 근로자의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에 맞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국내 건설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2022년 11월부터 12월까지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국내 건설업 외국인 근로자의 재해사고는 의사소통의 부재로 인해 파생되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본 연구는 건설업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자 안전교육의 개선대책(모국어 교육, 교육방법의 다양화, 기초안전보건교육의 자격이수 시험제도 및 보수교육 도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experiencing a manpower shortage due to a decrease in population and avoidance of the 3D industry, and only the aging of the existing workforce is accelerating without an influx of new (lack of young) domestic workers.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Industry's 'Medium-term (2022-2024) Calculation of the Appropriate Size of Foreign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report also predicted that the number of domestic workers will be short by about 169,000 per year on average over the next three years. As a result, most domestic construction sites are replacing the supply and demand of insufficient manpower with foreign workers, and as the proportion of foreign workers increases, the number of accidents is expected to increase. Therefore, it is time to make various improvement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strengthen the safety awareness of foreign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improving the current safety education to create a safe working environment for foreign workers. To this end, the causes of safety accidents were identified in the theory related to safety accidents. And effective measures for prevention were considered. In order to present an effective plan, the actual conditions and industrial accidents of foreign workers engaged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were analyzed, and domestic and foreign data on current safety education were also compared and analyze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22 targeting domestic construction workers in order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foreign workers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accordingly. It was analyzed that the accident accidents of foreign workers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are often derived from a lack of communication. Based on the analyzed data, this study presents a plan to improve safety education(Introduction of mother tongue education, diversification of education methods, qualification test system, supplementary education for basic safety and health education) to create a safe working environment for foreign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작업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윤보건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Concrete curing work in Winter season at domestic construction sites is an essential work area to shorten air. However, concrete curing work in winter season is a work in an enclosed space, and there is a risk of casualties due to the explosive generation of harmful gases such as carbon monoxide.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as made efforts to reduce harmful gases and prevent asphyxiation of closed space work, such as banning the use of lignite, recommending the use of hot air or solid fuel, thorough prohibition measures and on-site inspection. Despite these efforts, 17 out of 25 construction industry suffocation disasters that occurred in the 10 years from 2011 to 2020 were caused by concrete curing in winter season. The fatality rate of suffocation accidents is 47.4%, which is about 44 times that of general accidental disaster disease. Although the frequency of occurrence may be less than that of general accidental disasters, the risk of leading to serious disasters is judged to be very high, and active improvement measures are needed. Prior research on the prevention of choking disasters in enclosed spaces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However, previous studies analyzed the causes and countermeasures of various types of disasters as a comprehensive study on choking disasters in enclosed spaces, but a close analysis of concrete curing work in winter season, where similar types of choking disasters are repeated, was not conducted. In addition, among similar previous studies, studies on cold and cold concrete analyzed curing methods and materials used for quality and construction efficiency or effectiveness and derived improvement plans, but comprehensive studies and analysis in terms of safety and health were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improvement of concrete curing in winter season through an integrated analysis on the prevention of choking accidents in closed spaces based on the construction plan and quality of concrete in winter season.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concrete curing work in winter season and disaster statistics were analyzed, and the standards related to closed space work in Korea and abroad were summarized and compared and analyzed to identify problems. Finally, the reliability of the problems derived through interviews with related experts was secured, and related improvement measures were presented. The improvement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fundamental measure,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review the appropriate budget and air at the stage of establishing a preliminary plan, and to utilize a construction method that does not generate harmful gases. Second, as a management measure, harmful gas concentration standards, management supervision, and ventilation-related standards and regulations should be supplemented. Third, education, such as how to wea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hould be mandatory, and standards for apply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work characteristics. Finally,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safe and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by carefully review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ensuring safety, quality, and construction through Cold weather concrete curing work analysis. 국내 건설현장에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작업은 공정 진행을 위한 필수적인 공종이다. 그러나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작업은 밀폐공간 내의 작업으로써 일산화탄소 등 유해가스의 폭발적인 발생으로 인한 인명사고 위험이 있다. 고용노동부는 갈탄 사용 금지, 열풍기 또는 고체연료 사용 권장, 출입금지조치 철저 및 현장 점검을 통해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작업 등 밀폐공간 작업의 유해가스 저감 및 질식재해 예방을 위한 노력을 해왔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발생한 건설업 질식재해 25건 중 17건이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작업으로 발생했다. 질식재해의 치명률은 47.4%이며 이는 일반 사고성 재해 치명률인 1.1%의 약 44배 수준이다. 일반 사고성 재해에 비해 발생빈도는 적을 수 있으나 중대재해로 이어질 위험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되며 적극적인 개선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에 관한 선행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뤄져왔다. 그러나 선행 연구는 밀폐공간 질식재해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로써 다양한 유형의 재해 원인과 대책을 분석하였지만 유사한 형태의 질식재해가 반복되는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작업에 대한 면밀한 분석은 진행되지 못했다. 또한 유사한 선행연구 중 한중콘크리트에 관한 연구에서는 품질 및 시공 효율 또는 효과에 대해 양생 방법, 사용 재료 등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나 안전보건을 고려한 통합적인 연구와 분석은 제한적으로 이뤄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작업에 대해 한중콘크리트 시공계획 및 품질확보에 관한 사항을 기반으로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에 관한 통합적인 분석을 통해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작업의 개선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작업의 특성 및 재해통계 등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외의 밀폐공간 작업과 한중콘크리트 관련 기준을 정리 및 비교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관계 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관련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원적 대책으로써 사전 계획 수립 단계에서 적정 예산과 공기의 검토를 철저히 하고 유해가스 미발생 공법을 활용해야 한다. 둘째, 관리적 대책으로써 유해가스 농도 기준, 관리감독 및 환기 관련 기준 및 규정을 보완해야 한다. 셋째, 개인보호구 관련 착용방법 등 교육을 의무화하고 작업 특성을 고려한 개인보호구 적용 기준을 수립해야 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작업 분석을 통하여 현행 실태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개선을 도모하고 안전 및 품질,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사전 계획 수립 단계에서의 면밀한 검토에 활용되어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에 기여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 안전관리자 직무의식이 현장 안전관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윤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요 약 제목 : 안전관리자 직무의식이 현장 안전관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우리나라의 산업재해중 건설현장의 재해는 약 25%정도 지속적으로 발 생하고 있으며 또한 사망자수는 건설업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 이어 이와 같은 건설재해는 더 이상 근로자 개인 또는 기업의 문제가 아 니라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고용노동부의 「산업재해 분석」과 안전보건공단 산하 산업안전보건연구 원에서 발표한 「안전보건 연구동향 보고서」내용에도 관리자의 안전리더 십이 높을수록 조직의 안전문화가 높았으며 근로자의 안전행동이 높은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업재해중 교육적 원인으로 발생한 재해가 높다는것을 나타나고 산업재해 예방에 있어 교육이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난다. 건설현장에 근무하는 관리자에 대한 법적 안전관리 직무교육인 안전보건관리책임자와 안전관리자에 대한 교육과정 중 안전관리자에 대한 직무의식과 현장 재해예방관계를 설문지를 통해 분석한 결과 현재 안전관리자 직무교육에 대해 직종별, 공정별 세분화 교육과 강의식 교육 위주에서 실습형, 체험 교육 병행 및 직무교육 전문기관의 질향상과 교육편차 해소 방안이 도입 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협력업체 안전관리자 및 안전시설팀 조직에 대한 연구

        이경덕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사회의 건설업은 점차 고층화, 대형화, 복합화 추세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공사 절차 또한 복잡화, 장기화되고 있다. 이에 사고 유형도 다양해지고 발생 시 중대재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건설업계에서는 최근 안전에 대한 관심이 더욱커지고 있다. 하지만, 관심에 비하여 현실적인 해결책을 쉽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이 2017년 하반기에만 타워크레인 사고로 인해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실질적으로 도급사 소속의 안전관리자들이 현장의 모든 근로자들을 관리하기 힘든 현실과 법적 선임기준이 안되어 협력업체별 안전관리자가 부족한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는 공사를 진행하는 근로자들이 실질적으로 소속되어 잇는 협력업체의 안전관리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서 협력업체 관리감독자들도 안전관리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전문지식의 부족과 과다한 업무로 힘듦을 알 수 있었고 근로자들도 안전관리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현실적 어려움 때문에 쉽게 지키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다루는 내용은 협력업체 안전관리자를 대상으로 하여, 공사 금액이 아닌 인원수를 중심으로 선임하고, 업체별 안전시설팀을 조직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기업들이 안전관리자를 많이 두고 안전시설팀을 조직하였을 때의 손익을 ᄄᆞ지기 위해 재해정도별 산업별 재해자 비교표와 요양근로손실일수 산정요령을 이용하고 임금정보는 한국물가정보 공사부분 노임을 활용하여 그 평균값을 매겨서 하인리히 재해손실비를 추정하였다.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modern society is new, novel, and even higher, making the mall tower even bigger. In this situation, as the process becomes complicated and bigger, the types of accidents become diverse, and once it happens, there are many cases of serious disasters.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we are not interested but offer a proper solution. Unfortunately, between September and December, when this paper was first published, three tower crane accidents occurred, and many lives lost their lives. In this situation, we will argue in this paper that the safety management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subcontractors to which the workers are actually involved. In the reality that the safety managers at main contract are not able to manage all the workers in the field and the criteria of legal appointment are insufficient and the safety managers for each partner are lacking, in the survey of this paper, the supervisors of the suppliers also feel the necessity of safety management, I was able to understand the difficulty with the overwork of the tribe and work, and the workers felt the necessity of safety management but they could not easily keep it because of the real difficulties.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a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in law, the contents of this paper emphasized that the safety manager of the supplier should be selected centering on the number of persons, not the construction amount, In order to determine the profit and loss when the enterprises have a lot of safety managers and the safety facilities team, we use the comparison chart of the industrial accident disaster according to the disaster level and the calculation method of days for lost work, and the wage information is obtained by using the average value Heinrich's disaster loss ratio was estimated.

      • 건설업 재해 저감을 위한 설계안전성검토 개선에 관한 연구

        백기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계속되는 건설 안전사고 및 중대 재해 발생의 증가로 이를 예방하고자 지속적인 정부의 안전사고 감소를 위한 다각적인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안전사고 발생은 감소되고 있지 않다. 안전사고 발생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서 2016년 5월 건설기술진흥법을 개정하여 시공자 및 건설 사업관리자 중심이 아닌 발주자 및 설계자 중심의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하여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의식을 강화하기 위해 설계안전성검토 (Design for Safety) 제도를 의무화 하였다. 제도가 도입 된 지 7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건설분야의 안전수준은 영국, 싱가폴 등 OECD 국가 중 최하위권 이며, 대형 기술사고는 지속 발생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설계 수주단계부터 DFS 운영팀을 구성하여 위험요인을 검토하고, 기술적· 선제적인 대책을 적용하여 유지관리 단계까지 유관부서의 참여를 유도하고 건설사업 전 단계에 걸친 제거·저감하는 활동을 확대하여 DFS Review를 통해 예방형 안전관리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CIS (국토안전관리원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 Constrction Safety management Intergrated Information)을 통해 DFS 상의 위험요인에 대한 대책이 설계사 및 시공사의 프로젝트 계약 조건상에 반영된 일반적인 대형 건축현장을 대상으로 하고, 수주단계부터 유지관리단계까지 DFS를 반영한 실증을 통해 위험성 관리 활동들을 사례를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접근방법은 DFS 제도 정착 및 실질적인 업무수행이 실무에 제대 로 정착되지 못하는 실정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사고분석을 통한 제도 변화, 해외 선진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개선뱡향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학술지 및 연구보고서 내용을 검토 분석하는 절차로 진행하여 DFS 관점의 개선방향을 제안하고, 수행관리 단계에서 잔여 위험요인에 대해 DFS Registry 자료를 통해 위험성평가에 반영하여 개선된 DFS를 빅데이터화하여 철골공종 뿐만아니라 전 공종 유사 반복 공종에 적용하였으며, 개선 대책을 도출 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DFS의 개념은 위험공종 선정 및 평가기준을 수주 단계부터 운영단계까지 건설공사 전 단계의 위험성에 대한 사전 위험요인을 제거 · 저감을 위한 것이며, 인공지능(AI)기술과 Machine Learning & Deep Learning 기술 등의 적용을 통한 장기적인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기술개발의 협업, DFS 전문가 양성을 통한 안전 체계구축, 제도의 이행력 강화로 예방형 안전관리를 통한 안전문화로의 개선 효과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has not decreased despite the government's various improvement efforts to reduce safety accidents in order to prevent them from continu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and serious disasters. In May 2016,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was revised to clarify the responsibility and role of the orderer and designer, not the contractor and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r, and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for safety accidents. Although sev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ystem was introduced, the safety level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sector is the lowest among OECD countries such as the UK and Singapore, and large-scale technical accidents continue to occu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a DFS operation team from the design order stage to review risk factors, apply technical and preemptive measures to induce participation of related departments to the maintenance stage, and expand activities to remove and reduce construction projects. The scope of the study was investigated by CIS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tergrated Information) on large construction sites where the risk factors on DFS were reflected in the project contract conditions of designers and contractors. The main approach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vious studie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DFS system and the fact that practical work performance was not properly established in practice, and to study improvement directions by analyzing institutional changes through accident analysis and cases of developed countries. The research procedure was to review and analyze academic journals and research reports to propose improvement directions from DFS perspective. The improved DFS was reflected in risk assessment through the DFS Registry data and applied to all types of repetitive engineering. The concept of DFS proposed in this study is to eliminate and reduce risk factors at all stages of construction from order to operation, and to strengthen safety management through cooperation in technology development, training DFS experts, and safety management.

      •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문화 인식도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박주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업장의 산업재해 발생 원인에 대한 국내·외 조사 및 연구결과에 따르면 불안전한 상태에 의한 재해발생 보다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의한 재해가 더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건설사업장의 재해발생 빈도 및 강도는 다른 산업 대비 더 높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2017년 산업재해 현황분석(고용노동부, 2018)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건설사업장은 동일한 장소에서 유사한 작업이 반복되나 작업자 등의 변경이 많고 옥외 작업으로 기후 등의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작업방법 자체가 위험하고 어렵기 때문에 다른 산업 대비 더 많은 재해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건설사업장의 재해발생 특성상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근로자의 안전한 행동은 유지 및 증진하고 불안전한 행동은 안전한 행동으로 변화시켜주는 접근이 효과적이나 이에 대한 국내연구 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며 기업체에서도 안전 관계 법령에서 요구하는 안전시설의 설치 등 불안전한 상태 개선을 위한 투자와 노력에 머무르고 있다. 건설사업장의 산업재해를 근원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로자가 작업 중 안전규칙과 작업절차를 잘 준수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관리자의 안전리더십과 안전에 대한 강력한 의지표명으로 사업장의 안전분위기 즉 긍정적 안전문화를 구축할 때 가능하다. 본 연구는 안전리더십, 안전분위기, 안전문화 등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사업장의 안전문화 구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핵심요인을 선정하고 이를 건설현장 관리자와 근로자에게 내재화 시킬 수 있는 ‘안전문화 구축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국내 건설현장에 적용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관리자와 근로자의 관계개선, 안전에 대한 의사결정에 근로자 참여보장, 관리자와 근로자와의 지속적인 의사소통 등 근로자 참여형 프로그램이며 단기적 성과 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근로자의 행동변화를 유도한다. 안전문화 구축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건설현장에서 관리자와 근로자 사이에 안전문화 인식도에 차이가 있는지와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 근로자의 안전문화 인식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향상되었는지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등을 통하여 관리자와 근로자의 안전문화 인식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관리자와 근로자의 인식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며 관리자의 인식도가 근로자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프로그램 적용 후 근로자의 인식도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어 안전문화 구축 프로그램 주요 구성요소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안전문화 구축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요소’를 각 사업장 규모와 특성에 따라 조직 구성원 모두가 인식하고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수립하여 적용하면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안전한 행동으로 교정하고 안전한 행동을 유지 및 증진함으로써 불안전한 행동에 의한 산업재해를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tried to reduce accidents at work and continuously commit painstaking effort and investment in improving unsafe condition in the workplace. It achieved the desired results during several decades but the downward trends of accident rate has not continued since 2000. According to the results on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safety studies, there were more accidents caused by employees unsafe acts than unsafe conditions. It was also verified in the analysis of the industrial accidents statistics in 201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of Korea, 2018) and in many other countries. The average accident rate of construction industry is higher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because it is dangerous by nature, difficult to manage due to constantly changing site conditions and work environments. Also, construction activities are diverse with changing project teams and difficult-to-handle materials and equipment. Because of these factors, construction industry needed a new approach that transform employees behaviors and attitude to prioritize safety e.g. changing unsafe acts into safe acts, promoting and maintaining safe acts during work. However, this new approach lacks domestic studies and needs practical implementation in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key elements of a safety culture building program after verifying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in several construction sites. First, the existing studies and researches relevant to safety leadership, safety climate and safety culture were reviewed and accidents statistics for years were analyzed. Second, the common components, which were affecting organization’s safety climate and culture, were selected after careful consideration. Third, they were reflected and internalized in the program, and raised the employees awareness to the importance of safe behaviors and attitude to safety which is caring for each other. The critical factors of the program were composed of safety leadership and commitment, effective two-way communication, observation and rectification of unsafe acts, recognition and commendation of safe behaviors, and promotion of better relationship. Prior to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a survey targeting both workers and supervisors was conducted to identify perceptible difference to the safety climate and culture between two parties at each construction site, and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two more surveys to workers were conducted, one for three (3) months later and another for six (6) months later. These were carried out to analyze if there is a noticeable big difference in worker’s safety percep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rogram can make an improvement into the workers safety perception as time progresses. In view these results, the key elements to build a positive safety culture at work will be effective to improve the safety climate and culture of an organization when a practical program is established reflecting their own site condition and committedly adopting it into their organization.

      • 건설업 안전관리자 선임기준 개선방안 연구

        안현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에서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하여 1981년 산업안전보건법을 제정하였다. 이 법에 의하면 사업장에는 안전관리자를 배치하여 사업장의 순회 점검․지도 및 위험작업 시작 전 실시하는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도․조언을 통해 해당 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사전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등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일정 공사금액 이상의 건설현장에서도 전담 안전관리자를 의무적으로 선임토록 하고 공사금액이 증액되는 것에 비례하여 안전관리자의 선임 인원 또한 무한히 증원하는 것을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25년간 연도별 건설업 재해현황을 살펴보면 건설현장에 안전관리자의 선임이 의무화되기 시작한 1990년도 초반부터 건설업의 재해율이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나, 1999년을 기점으로 현재까지 재해율이 등락을 거듭하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오히려 재해율 및 재해자수가 증가하고 있어 건설업 안전관리자 선임 기준에 대한 보완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업에서의 법적인 안전관리자 선임 기준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실효성이 있는 개선안을 도출함으로써 건설재해 감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총공사금액 120억(토목공사는 150억) 이상인 현장을 대상으로 안전관리자의 선임 인원 수, 안전관리비 집행현황과 안전관리자 인건비 지출 비중, 일평균 출역인원과 안전관리자 선임 인원수의 상관관계, 공사담당자의 인원수와 안전관리자 선임 인원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수행은 국내 제조업에서의 안전관리자 선임기준, 해외 선진국의 유사제도 고찰, 건설업 관련 기타 법령 등에서의 건설기술자 배치 기준, 유사 논문 및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하여 기존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한 안전관리자 선임기준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 수행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건설업에서 안전관리자의 선임은 총공사금액만을 기준으로 하므로 가변성이 많은 건설공사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건설공사에서 합리적인 안전관리자 선임기준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총 공사금액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 공사 난이도, 지리적 특성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야 하나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셋째, 모든 사항을 고려하여 안전관리자 선임기준을 개선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나 건설사업관리기술자 배치기준에 나와 있는 시공단계에서의 공사금액별 평균건설사업관리기간을 적용하여 안전관리자 선임 기준을 인⦁월(Man⦁Month)로 변경하는 경우 공사기간의 증감에 따른 보정이 가능하며, 적용 기준 또한 복잡하지 않아 제도개선이 매우 용의하며 기존 기준에 비하여 훨씬 합리적인 기준이라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다만, 이번 연구는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회사의 내부자료에 근거한 것으로 안전관리자 선임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자료의 검토가 필요하며 건설업의 여러 고려사항 들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추가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