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저탄소 농산물 원재료 수입형태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효과 분석

        김미림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제조되는 농식품에 원료로 사용되는 수입 농작물의 형태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다를 수 있다는 전제하에 그 효과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정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를 대상으로 유럽탄소 인증 센터인 ISCC(International Sustainable Carbon Certification)의 관련 규칙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분석하였다. 농식품 원료 형태별 분류는 편의상 원형태와 반제품 형태로 구분하였고, 주정원료 구분은 원형태인 농산물(카사바 칩)과 반제품(조주정)의 수입량과 수입국을 파악하여 현지에서부터 우리나라에서 주정이 생산되기까지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과정분석을 통해 산출하였다. 계산 결과 우리나라 주정제조에 사용되는 원료 형태별 탄소배출량은 원형태로 사용하였을 때와 반제품형태로 사용 하였을 때 각각 2.272tCO2/Tonethanol, 1.430tCO2/Tonethanol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에서 주정 원료로 반제품사용을 장려할 경우 전체적으로 미치는 온실가스 감축 효과는 제조 완제품 단위당 약 36%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즉, 반제품인 조주정 형태로 수입하여 제조한 정제 주정이 0.6tCO2/Tonethanol 적게 배출되었음을 의미한다. 특히 국내 공정배출부문의 경우에 그 에너지 절감 효과는 22.4%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달성과 저탄소 사회구현을 위한 정책의 하나로 저탄소 상품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를 통하여 밝힌 탄소배출량이 적은 저탄소 원료로서 반제품 사용이 촉진된다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달성을 위한 유익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different carbon intensive of agro-product by types of raw materials. The ethanol was choosen its representative agro-product due to its specific character of types of raw material, and analyzing tool to define the different carbon intensive was applied in line with standards of ISCC(International Sustainable Certification Center) in Europe. The different types of raw materials of agro-product has been categorized by original and semi-processed materials. For looking into the different effect of carbon intensive to the ethanol, it could be estimated via Life Cycle Analysis (LCA) to the types of raw materials. As a result of estmation of ethanol from cassava chip and crude alchohol were 2,272tCO2/Tonethanol and 1,430tCO2/Tonethanol, respectively. It means that the ethanol production from the crude alcohol(semi-processed materials) was emitted 0.8tCO2/Tonethanol less than that of the cassava chip(original materials). In case of encouraging the use of crude alcohol in the ethanol production, the effect of the GHG emission reduction per the finished product(ethanol) may reduce about 36%. Especially, in the domestic processing part, the effect of the energy saving is about 22.4%. Low carbon certification system operates as policy for the achievement of national GHG emission reduction target and low carbon society. At this point, the promotion of using the low- carbon materials i.e. semi-manufactured materials should be the effective way of GHG reduction policy.

      • 오존 처리에 따른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백합나무(Liriodendron tulipifera) 묘목의 생리․생화학적 특성 변화와 발현 유전자 기능 분류

        이성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소나무 및 백합나무의 반형매가계(half-sib family) 묘목을 대상으로 개체 별 오존 처리에 대한 반응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생리․생화학적 요인들 및 유전자 발현 양상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자연광 챔버를 이용하여 100μmol․mol-1의 오존을 하루 8시간(09:00~17:00)씩 처리하였으며, 오존 처리에 따라 유도되는 피해증상을 기준으로 유사한 반응을 보이는 개체들을 선별하였다. 소나무 묘목을 대상으로 45일간 오존 처리한 결과, 가시피해(황색얼룩반점) 증상과 광합성 감소율을 기준으로 피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그룹(가시피해 발현율: 전체 당년생 침엽의 30% 미만, 광합성 감소율: 16%~69%)과 높은 그룹(가시피해 발현율: 전체 당년생 침엽의 30%~55%, 광합성 감소율: 90%~95%)이 구분되었다. 백합나무 묘목의 경우 대부분 오존 처리 10일 이내에 갈색반점형태의 가시피해 증상이 관찰되었으며, 가시피해의 최초발현시기 및 처리 9일째의 피해 진전도를 기준으로 조기 가시피해 발현 이후 진전도가 현저하게 높은 그룹(가시피해 발현시기: 오존 처리 4일 이내, 피해엽 비율: 44%~67%, 가시피해지수: 3.5~5.0)과 가시피해의 최초 발현시기가 상대적으로 늦고 피해의 진전도 역시 현저하게 낮은 그룹(가시피해 발현시기: 오존 처리 6일 이후, 피해엽 비율: 0%~14%, 가시피해지수: 0.0~0.5)이 구분되었다. 두 수종 모두 오존 처리에 따른 전해질 유출량 역시 피해도가 높은 그룹에서 2배 이상 현저하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소나무와 백합나무 묘목 모두 오존 처리에 따른 피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그룹에서 피해도가 높은 그룹에 비해 오존 처리 초기, 엽 내 free salicylic acid(SA)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은 높게 유도된 반면 catalase(CAT) 활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ascorbate-glutathione cycle 내 항산화효소 활성의 경우, 대부분 오존 처리 초기에는 그룹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처리 후반기에는 ascorbate peroxidase(APX)와 glutathione reductase(GR)을 중심으로 피해도가 낮은 그룹에서 높게 유도되었다. Glutathione과 ascorbate의 redox state 변화를 조사한 결과, 두 그룹 모두 오존 처리 초기에는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그룹 간 차이는 현저하지 않았으나, 처리 후반기에는 피해도가 낮은 그룹에서 대부분 높은 경향을 보였다.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SSH) 분석을 통해 오존 처리에 따른 유전자 발현 양상을 조사한 결과, 수종 별, 각 그룹으로부터 획득된 expressed sequenced tag(EST) library 가운데 40% 이상이 기능적으로 상이하였으며, 오존은 매우 다양한 경로를 통해 광합성과 호흡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백합나무 묘목의 경우, 오존에 대한 인지 및 신호전달과정에 FERONIA receptor-like kinase, BZIP domain class transcription factor 혹은 WRKY transcription factor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오존 처리는 지질대사 및 이를 통한 세포막 지질조성의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종합적으로 오존 처리에 따른 초기 산화스트레스에 대해 SA가 SOD 및 CAT 활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세포 내 H2O2를 통한 신호전달체계를 활성화 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장기적 오존 처리에 대해 ascorbate-glutathione cycle을 통한 항산화 체계의 활성화와 세포 내 항산화물에 대한 redox state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반응들은 분자수준에서 매우 다양한 경로를 통해 조절될 수 있으며, 그 상호작용 효과에 따라 오존 처리에 대한 반응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physio-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y the functions of expressed genes in response to O3 exposure using an open-pollinated half-sib family of P. densiflora and L. tulipifera. Seedlings of each species were exposed to 100μmol․mol-1 O3 in the naturally irradiated phytotron for 8 hours(09:00~17:00) daily and seedlings were screened according to the similarities of O3-induced damage responses. P. densiflora seedlings exposed to O3 during 45 day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those with relatively low rate of chlorotic mottle appearance and photosynthetic decline (surface area of chlorotic mottle in current year needles: <30%, photosynthetic decline: 16%~69%) and those with higher rates of the same parameters (surface area of chlorotic mottle in current year needles: 30%~55%, photosynthetic decline: 90%~95%). Most seedlings of L. tulipifera showed visible injury (stippling) within 10 days of O3 exposure and also separated into two groups: those with earlier appearance and rapid progress of visible injury (timing of first appearance of visible injury: within 4 days, % of injured leaves to total leaf number: 44%~67%, leaf injury index: 3.5~5.0) and those with delayed injury and its progression (timing of first appearance of visible injury: after 6 days, % of injured leaves to total leaf number: 0%~14%, leaf injury index: 0.0~0.5). Relative electrolyte leakage as the indicator of cellular membrane damage was also higher (above two-fold) in more severely injured group of each species. In the case of less severely injured group, the content of free SA was markedly higher showing higher SOD activity and lower CAT activity in the early stage of O3 exposure.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which compose ascorbate-glutathione cycle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f both species at the early stage of O3 exposure. However, those activities especially in the case of APX and G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late stage of O3 exposure in less severely injured group of each species. The redox states of ascorbate and glutathione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seedlings at the early stage of O3 exposure in both specie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f each species. However, the redox states of both antioxidants were higher in less severely injured group than those in relatively more injured group of both species in the late stage of O3 exposure. In both species, gene expression profiles obtained from SSH analysis suggested that over 40% of functions for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each group was assigned to different categories and O3 could affect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through various metabolic pathways. In the seedlings of L. tulipifera, FERONIA receptor-like kinase, BZIP domain class transcription factor, and WRKY transcription factor could be involved in O3 perception and signal transduction. It was also assumed that O3 could induce the changes in lipid metabolism and thereby, cellular membrane composition in the seedlings of L. tulipifera. It could be conclude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SA has an important roll in the activation of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mediated by H2O2 through the regulation of SOD and CAT activities during the early stage of O3-induced oxidative stress. Such responses could be important for the induc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through ascorbate-glutathione cycle and the recovery of cellular antioxidants homeostasis against more prolonged O3 exposure. These responses of tree species to O3 seem to be regulated through various pathways at the molecular level and could be influenced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physio-biochemical changes and gene expression.

      • Relationship between Leaf Traits and PM Capturing Capacity of Major Urban Greening Species in Seoul

        박상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The high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PM) in urban areas is of great concern for human health. The attention on the role of urban greening in particle pollution mitigation has been increased around the world as an effective and eco-friendly way to alleviate particle pollution. This study evaluated species-specific PM capturing capacity of ten major urban greening species in Seoul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leaf traits and PM adsorption on leaves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s leaf functional traits, average leaf area (ALA), specific leaf area (SLA), and width to length ratio (W/L) were examined. Microstructures of leaf surfaces (stomata and trichomes) and parameters for leaf surface roughness was investigated as leaf micromorphological traits using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a non-contact surface profiler. As physicochemical traits, the contact angle for water (θw), surface free energy (rs), and the work of adhesion for water (Wa)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 static contact angle of deionized water and diiodomethane on leaf surfaces. The epicuticular wax loads (EWL) was examined by the colorimetric method. The separate gravimetric method was used to quantify the PM by particle size adsorbed on leaf surfaces or embedded in leaf epicuticular wax layers. The key factors for PM adsorption on leaf surfaces were SLA, the mean roughness value (Ra), and stomatal size. SLA and the Ra of adaxial leaf surfac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M accumulation on leaf surfaces. On the other hand, stomatal length and width (SL and SW)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rface PM load. rs and EWL were the major leaf traits affecting PM accumulation in leaf wax layers. Two factors appeared to influence positively on the in-wax PM load. Species-specific PM deposition was exhibited by complicated mechanisms of various leaf traits. Three evergreen shrub species –Buxus koreana Nakai ex Chung & al.,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and Euonymus japonicus Thunb. – were efficient species at capturing both surface PM and in-wax PM.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exhibited that the high efficiency of these three species might be attributable to interaction between stomatal size and EWL. Aesculus turbinata Blume,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showed the intermediate PM adsorption ability which might be resulted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stomatal density, the work of adhesion for water (Wa) of adaxial surfaces, ALA, and stomatal density (SD). Magnolia denudata Desr., Styphnolobium japonicum L., Liriodendron tulipifera L., and Ginkgo biloba L. showed low efficiency at PM accumulation. These four species exhibited a correlation with the SLA, Ra of adaxial leaf surfaces, and W/L which had a negative effect on PM adsorption. Summary in Korean 도시 녹화는 고농도 미세먼지(PM)로 인해 악화된 도시지역의 대기질을 완화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방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를 통해 잎 특성과 PM 흡착능력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성동구에 위치한 서울숲에 식재된 녹화 수종에서 잎을 샘플링하여 평균 엽면적(ALA), 비엽면적(SLA), 잎의 너비와 길이 비율(W/L), 잎 표면의 미세 구조(stomata 및 trichomes 특성), 잎 표면 거칠기, 접촉각(θw), 표면 자유에너지(rs), 잎 표면에 대한 물의 유착력(Wa), 덧표피 왁스 함량(EWL)을 조사하였으며 종별 잎 표면 및 덧표피 왁스층에 흡착된 PM10 및 PM2.5의 단위엽면적당 흡착량을 분석하였다. Pearson 상관분석 및 주성분분석(PCA)을 통해 PM 흡착량과 잎 특성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잎 표면에 흡착된PM의 경우 기공의 길이와 폭 (SL 및 SW)은 표면 PM 하중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LA와 향축면의 표면 평균 거칠기(Ra)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왁스층에 고착된 PM의 경우 rs 및 EWL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다양한 잎 특성 간 상호작용에 의해 종특이적 PM 흡착능력이 나타났다. 상록 관목수종인 회양목(Buxus koreana Nakai ex Chung & al.), 주목(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및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Thunb.)은 잎 표면과 왁스층 모두에 높은 PM 흡착량을 보였으며 이는 큰 기공 크기와 높은 EWL 함량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칠엽수(Aesculus turbinata Blume),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및 철쭉(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의 경우 Wa, ALA 및 기공 밀도(SD)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중간 PM 흡착 능력을 나타냈다. 백목련(Magnolia denudata Desr.), 회화나무(Styphnolobium japonicum L.), 백합나무(Liriodendron tulipifera L.) 및 은행나무(Ginkgo biloba L.)는 낮은 PM 축적 효율을 보였으며 이는 PM 흡착량과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SLA, 향축면의 Ra, W/L과 관련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멸종위기식물 단양쑥부쟁이의 종자 저장기간에 따른 발아특성

        김양희 서울시립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멸종위기 식물인 단양쑥부쟁이(Aster altaicus var. uchiyamae)의 증식,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연도별로 채집된 종자를 대상으로 온도별 발아실험을 발아특성을 분석하였다. 종자의 저장기간에 따른 온도별 발아는 저장기간이 가장 짧은 2018년 채집종자는 온도별 평균발아율 15℃에서 93.3%로 가장 높았고, 2011년 채집종자는 10℃에서 1.3%로 가장 낮았으며, 저장기간이 가장 긴 2010년 채집종자는 모든 온도에서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4년 채집종자부터 2011년 채집종자까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발아율이 30% 미만으로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GA₃ 농도별 발아율은 2018년 채집종자가 GA₃ 1000mg·l‐¹에서 97.3%로 가장 높았으며, 2014년 채집종자에서는 GA₃ 500mg·l‐¹에서 발아율 8.0%로 저장기간이 긴 채집종자에서는 GA₃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2018년, 2015년 종자의 수분함량 측정 결과 0, 1, 3, 5, 9, 24시간 건조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분함량별 발아 결과로는 2018년 채집종자에서 액체질소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LNC)와 액체질소 1시간 처리구(LN)의 수분함량별 발아율에서는 건조 0시간 에서 대조구 72.0%, 처리구 62.7%, 24시간에서 대조구 75.3%, 처리구 48.0%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2015년 채집종자의 건조 0시간 에서 대조구 68%, 처리구 46%, 24시간에서 대조구 66%, 처리구 70%의 발아율로 2015년 채집종자 또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e line data for proliferation,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endangered plant, Aster altaicus var. uchiyama and analyzed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eeds collected from 2010 to 2018 annually through the germination experiment on the different temperatures. The results of germination by temperature according to storage period for studying storage period of seeds is as follows: The average germination rate of the collected seeds in 2018 with the shortest storage period was the highest at 93.3% at 15 ℃, the collected seeds in 2011 were lowest at 1.3% at 10 ℃. and the collected seeds in 2010 with the longest storage period did not germinate at all temperatures. The longer the storage period became, the lower the germination rate tended to be less than 30%. The germination rate by GA₃ concentration during storage period are listed below: The germination rate of the collected seeds in 2018 was the highest at 97.3% in GA₃ 1000mg·l‐¹ and the germination rate of the collected seeds in 2014 was 8.0% at GA3 500mg·l‐¹. The effect of GA₃ was not significant in the collected seeds with a long storage period. The results of germination by the moisture content of seeds in 2018 and 2015 showed that the moisture content was decreasing as the drying time - Fresh, 1, 3, 5, 9, and 24 hours - was longer.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in the germination rates in both the control (LNC) without liquid nitrogen treatment and the one hour treatment (LN) of the collected seeds in 2018 and 2015.

      • 광도 차이가 소나무와 잣나무 묘목의 광합성, 엽록소함량에 미치는 영향

        김서경 서울시립대학교 기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Several factors exist in the growth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and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eedlings. Light environments have a great influence on plants. In particular, Korean red pine and Korean pine, which are representative plants of the Pinus spp., have different requirements for light to flux and growth carbon through photosynthesis. In addition, light environment is a factor that affects tree physiology and ecology and is an essential factor in adapting to the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2022 to March 2023 at a test site located in Hanam region to investigate how the shading treatment affects Korean red pine and Korean pine seedlings. Korean red pine and Korean pine were planted in five replicates per treatment, respectively, in control (natural light) and shading treatments (30%, 50%, and 70% of natural light). Light intensi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hysiological indicators such as height growth, photosynthetic rate, stomatal conductance, and chlorophyll content. However, the growth of height and root diameter of Korean red pine and Korean pine were not affected regardless of shade treatments. In particular, Korean red pine tended to have lower height growth rates as levels of shading increased, and Korean pine showed high the growth of root diameter under the shading treatments. Therefore, an increase in light intensit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tree growth, an increase in photosynthetic rate, and an increase in stomatal conductance and chlorophyll content. Korean red pine and Korean pine showed height growth decreased under the increased levels of shade, which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decrease in photosynthetic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In conclusion, in order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forest ecosystem due to global warming, light intensity is a very important basic data, and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on the biochemical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Korean red pine and Korean pine.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잣나무(Pinus koraiensis) 묘목의 생장에는 다양한 요인이 관여한다. 특히, 광 환경은 매우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이와 관련하여 소나무와 잣나무는 대표적인 소나무 속 식물로, 소나무는 양수, 잣나무는 중용수로서 광합성을 통해 탄소를 고정하고 생장하는데 빛에 대한 요구량이 서로 다르다. 또한, 광 환경은 수목의 생리, 생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수목 환경에 적응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실험은 광도 차이가 소나무와 잣나무 묘목의 광합성과 엽록소 함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하남지역에 위치한 시험장에 2022년 4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수행하였다. 소나무와 잣나무는 대조구(자연광)와 차광 처리구(자연광의 30%, 50%, 70%)에서 각각 5반복으로 식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광도는 생리적 지표인 수고 생장, 광합성률, 기공전도도, 엽록소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소나무와 잣나무의 수고 및 근원경 생장은 차광 처리와 관계없이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특히, 소나무는 차광수준이 높아질수록 수고 생장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잣나무는 차광처리구에서 높은 근원경 생장을 나타냈다. 따라서, 소나무와 잣나무는 차광이 증가할수록 수고 생장이 감소하였고, 이는 광합성률과 기공전도도 감소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으로 온난화에 따른 산림생태계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광도는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광도가 소나무, 잣나무 묘목에 생화학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도시하천의 서식환경에 따른 계절별 야생조류의 분포에 관한 연구 : 탄천을 중심으로

        김은경 서울시립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2019. 6월 ~ 2020. 3월까지 탄천을 대상으로 조사경로를 따라 상류로부터 하천 및 주변 지격 등을 중심으로 도보로 답사하면서 하천에 서식하는 식물상, 조류상, 시민들의 하천이용형태와 인원을 계절별, 서식지 유형별로 조사 분석하여 자연친화형 하천 사업 전과 사업 후의 적부성을 판단할 대조자료를 구축하고, 한강의 상류인 탄천의 생물다양성 확보와 증진을 위해 지역주민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친수성공간의 적절한 관리방안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관찰된 식물상은 탄천 전체에서는 총 77과 264종이었다. 우점종은 국화과 식물이 35종으로 가장 많았고, 콩과 21종, 장미과 19종, 버드나무과 9종의 순이었다. 탄천을 서울, 성남, 용인구간으로 나누어 관찰된 식물상을 비교해 보니, 서울구간은 총 66과 223종이었고, 목본 31과 71종, 초본은 41과 152종이었다. 성남구간은 총 71과 241종이었고, 목본 30과 76종, 초본 48과 165종이었다. 용인구간은 총 69과 235종이었고, 목본 31과 70종, 초본 43과 165종이 관찰되었고, 3구간에 출현하는 식물 종과 식물 종 수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3구간에 출현하는 식물 종의 개체수와 생육환경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서울구간은 생태경관지역으로 지정된 자연형하천이 포함되어 있었고, 하천폭도 넓고, 하천주변지역도 넓으며, 형성시기가 상대적으로 오래되어 식생이 안정된 상태였고, 용인구간은 도심하천 생태복원사업을 실시한 직후여서 식생이 안정되지 않은 상태였다. 또 성남구간은 도심을 관통하고 있었다. 탄천의 전체 조류상을 구간별로 비교해보니, 탄천 전체구간에서는 33과 80종 29,455개체가 관찰되었는데, 서울구간은 28과 61종 8,816개체, 성남구간은 33과 68종 15,258개체, 용인구간은 25과 50종 5,381개체였다. 조류는 계절적 변화뿐만 아니라 탄천의 구간별 자연생태환경조건에 따라 출현하는 종과 개체군의 밀도에 차이를 보였는데, 성남구간의 경우 도심을 통과하고 있음에도 탄천의 다른 구간보다 많은 종과 개체수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우점종은 참새, 집비둘기였고, 성남구간만이 아니라 탄천 전구간의 우점종이 집비둘기였다. 탄천의 조류상을 인간의 간섭, 식물상, 덤불 제거작업 등 탄천 관리 현황 과 연결하여 비교하여 보니, 탄천의 경우 조류가 많은 곳에는 사람도 많았고, 조류가 적은 곳에는 사람도 적었는데, 조류의 생존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먹이나, 은신처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 종의 존재 여부와 그 식물의 개체수의 밀도, 모래톱, 자갈밭 등의 서식지의 유무로 보였고, 인간의 간섭은 영향을 미칠지언정 먹이와 은신처만큼 중요한 요인은 아닌 것으로 보였다. 탄천은 인공적인 도심하천이긴 하지만 자연형하천을 표방하여 다양한 서식지를 갖고 있으므로 체육시설을 늘리기보다는 인공하천이기에 오히려 적극적으로 자연에 가깝게 다양한 수종을 심고 가꾼다면 일부 시민과 집비둘기만이 찾는 탄천이 아니라 전 연령층의 시민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가 될 것이고 생물다양성 증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walking through Tancheon from June 2019 to March 2020 on the upper reaches of the river, focusing on streams and surrounding areas, analyzed the types of plants, birds, number of visitors in the stream sides by season and type of habitat to establish a control data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river before and after the nature-friendly river project, and to secure and enhance the biodiversity of the stream. As a result of the survey, 77 and 264 bird species were observed in the entire Tancheon area. The most dominant bird species were 35 asteraceae, followed by 21 fabaceae, 19 rosaceae, and 9 salicaceae. Comparing Tancheon into the sections of Seoul, Seongnam and Yongin, the total number of plants observed was 66 and 223 in Seoul, 31 and 71 in woodcuts, and 41 and 152. The Seongnam section had a total of 71 and 241, followed by 30 and 76 woodblocks and 48 and 165 herbivores. There were a total of 69 and 235 species in the Yongin section, with 31 and 70 species of woodblocks, 43 and 165 species of herbivores observ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lant species and plant species appearing in the third section. However,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plant species appearing in the third section and the growth environment. In the case of the Seoul section, the natural stream designated as an ecological landscape area was wide, the surrounding area was wide, and the vegetation was stable due to the relatively old formation period, and in the case of Yongin section, the vegetation was not stable because it was righ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urban stream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 In the case of Seongnam, it was penetrating the city center. Comparing the total number of birds in Tancheon by section, 29,455 individuals of 33 and 80 species were observed in the entire section of Tancheon, with 8,816 individuals of 28 and 61 species in the Seoul section, 15,258 individuals of 33 and 68 species in the Seongnam section and 5,381 individuals of Yongin section. The density of species and populations also varied depending on the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conditions of Tancheon, in addition to seasonal changes. In Seongnam, more species and populations were observed than in other sections of Tancheon, even though they were passing through the city center. However, dominant species were a sparrow and a house pigeon, and dominant species were a house pigeon in Tancheon, not just in the Seongnam section. Comparing Tancheon's wild birds to the current status of Tancheon management, such as human interference, plant life, and bush removal, if there were many birds, there were many people, and if there were few birds, there were few people. However, it seemed what affected the wild birds’ survival most was the existence of plant species that could be used as a shelter, and the density of plant populations, sandbars, gravel fields, and other factors were not as important as food and shelter. Although Tancheon is an artificial downtown stream, it has diverse habitats for natural streams, so if we actively plant and cultivate diverse species close to nature rather than increasing sports facilities, it will be a place where citizens of all ages can relax and enhance biodiversity.

      • 원예활동이 중등 여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하미경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Horticultural activity in everyday lives is said to protect humans from being isolated from nature in the midst of the materialistic civilization of complex modern society, as well as allow them to enjoy mentally and physically abundant lives. The existing studies are proving the fact that horticultural activity is showing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variables for children, teenagers, people with physical, mental or cognitive disabilities, and senior citizens. Since there isn't any study on its effect on teachers, however,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the psychological sense of wellbeing, job stress, burnout and teacher efficacy of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female teachers working at M Middle School located in Siheung-si, Gyeonggi-do that consisted of 19 people in experimental group and 14 people in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was conducted for 12 sessions while the people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conduct any activities. Afterwards, the pre- and post-experiment result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In regards to the pre- and post-horticultural activity change of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psychological sense of wellbe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job stress and burnout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It was also found that teacher 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Namely, the difference test of the two group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d psychological sense of wellbeing, decreased job stress and burnout, and improved teacher efficacy through horticultural activ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pre- and post-horticultural activity difference test according to period, psychological sense of wellbeing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lthough there were no meaning differences in probability in the job stress and burnout, the mean score decreased. In addition, the teach efficacy also showed improved score. In the difference test according to period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psychological sense of wellbeing showed improved result through increased mean score, but the scores of job stress and burnout increased rather and teacher efficacy decreased. Namely,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difference test according to period for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ut considering the mean scor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tendency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opposite tendency except for the psychological sense of wellbeing. Based on this, it can be thought that horticultural activity provides emotionally positive result. In the result of cut flower decoration and potted plant decoration satisfaction, the two program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higher than 4.5 out of 5, and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shown between the two programs. It is thought that it would be fine to use either program between cut flower decoration or potted plant decoration when composing program. Based on the above result, it was found that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sense of wellbeing, job stress, burnout and teacher efficacy that are the emotional variables of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result since it was conducted for female teachers from M Middle School located in Siheung-si, Gyeonggi-do,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small with short research period.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need for a follow-up study for developing long-term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that will allow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 Keyword : Horticultural activity, Psychological Well-Being, Job stress, Burnout, Teacher-efficacy 원예활동은 식물 또는 식물과 관련된 제반 활동을 통하여 신체와 정신을 향상시키고 단련하는 활동으로 선행연구들은 여러 분야의 대상자에게 정서적 변인들에 긍정적 효과를 보여 주고 있음이 입증되고 있으나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므로 본 연구는 원예활동이 중등학교 여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M중학교의 여교사들로 실험군 19명 대조군 14명으로 구성하여 실험군에게는 2012년 3월 9일부터 2012년 5월 7일 까지 12회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실시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전에 두 그룹 모두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두 그룹의 동질성 검증을 마친 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끝난 후 두 그룹 모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12회기의 프로그램은 테이블 꽃꽂이, 꽃바구니, 꽃다발, 토피어리형 꽃꽂이, 코싸지 만들기, 콘형 꽃꽂이로 구성된 절화를 이용한 절화 장식이 6회, 벤자민 화분 옮기기, 테라리움, 접시정원, 숯분경, 수경재배, 상추 모종심기로 구성된 분식물 장식을 6회로 총 12회기로 구성하였다. 심리적 안녕감에서 원예활동 실시 전후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변화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심리적 안녕감이 향상되었음을 보였다. 직무스트레스의 원예활동 후의 집단별 차이 검증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낮은 직무스트레스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원예활동 후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진의 원예활동 후의 결과는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평균 점수는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교사 효능감에서는 원예활동 후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교사효능감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원예활동 전, 후의 시기별 차이검증은 실험군에서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평균점수가 향상되었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평균점수가 감소하였으며 교사 효능감도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향상된 점수를 보여 긍정적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대조군에서의 시기별 차이검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심리적 안녕감은 평균점수가 상승했으며 직무스트레스, 소진의 점수는 오히려 상승하고 교사효능감은 감소한 결과를 보면 원예활동이 정서적으로 긍정적 결과를 준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유의한 확률 값의 차이가 없는 것은 원예활동 시기가 1주에 1~2회 실시하여 2달 남짓으로 짧은 기간 후에 평가한 결과로 사료되며 좀 더 긴 기간의 원예활동을 제안해 본다. 절화 장식과 분식물 장식의 만족도 결과는 5점 만점에 4.5점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연령별, 담임 유무별, 결혼 유무별, 원예활동 경험 유무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경력별에서 10년 이상인 경우에 절화 장식 보다 분식물 장식을 선호하는 것(p<.05)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이는 10년 이상의 대상자가 전체의 5.3%(1명)로 집단의 수가 적은 결과라 사료되며 프로그램 구성시에 절화 장식이나 분식물 장식 중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해도 무방할 것이라 판단된다. 이상에서 볼 때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중등학교 여교사들의 정서적 변인인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시흥시에 소재한 M중학교의 여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되었고 대상자의 수가 적고 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장기간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일반화가 가능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 : 원예활동 심리적 안녕감, 직무스트레스, 소진, 교사효능감

      • 도시재생을 위한 국내외 폐철도부지 공원화 사례분석

        윤수정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산업혁명 이후 폐철도의 의미와 탈산업화 시대에 방치된 폐철도의 성공적인 공원화 사업을 고찰한다. 한때 폐철도 부지는 도시미관과 안전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여겨졌으나 이제는 귀중한 산업유산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이를 활용한 수많은 선형공원과 생태 공원이 조성되면서 도시재생의 촉매제가 되고 있다. 특히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부지를 공원으로 전환하여 지역주민들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 제공과 도심의 녹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재생의 성공적인 사례 이면에는 재정적인 측면, 관리 운영 측면 등으로 어려움에 처해있는 사례들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 세계 폐철도 공원화 성공사례를 검토 및 분류하고 성공에 기여하는 핵심 요인을 선정하여 성공적인 공원화를 위한 사례분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전 세계 폐철도 공원 40여 곳을 선정하여 학술논문, 학술지, 학위논문, 인터넷사이트 등 다양한 문헌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산업유산과 폐철도의 개념을 검토하고 다양한 국내외의 성공과 실패 사례들을 통해 폐철도 공원화 프로젝트의 현황을 고찰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폐철도 공원화 프로젝트의 성공은 개발 주체, 활용 수준, 사후관리 등의 요인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시재생을 위한 폐철도 공원화 프로젝트의 성패는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이 계획 및 추진단계에 체계적으로 얼마만큼 참여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부는 제도적 지원을, 민간은 전문성과 자원을 제공하는 시너지 관계를 형성하여 성공적인 도시재생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활용 수준의 측면에서 기존 철도 인프라와 경관을 보존하면서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소극적 재활용’ 방법이 적극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원화 프로젝트의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사후관리 역시 중요하다. 신중한 계획, 이해 관계자 협력, 지속적인 커뮤니티 참여 및 유연한 거버넌스 구조가 공원화 프로젝트의 지속적인 성공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자연 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폐철도 공원화 프로젝트 창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공원화 프로젝트의 성공은 기업과 관광객 유치의 선순환으로 이어져 독특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이 가능해지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abandoned railroads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successful park development project of abandoned railroads in the post-industrial era. At one time, the abandoned railway site was considered an obstacle to urban aesthetics and safety, but is now recognized as a valuable industrial heritage, and numerous linear parks and ecological parks using it worldwide have been created, serving as a catalyst for urban regeneration. In particular, developed countries are converting these sites into parks to provide community space for local residents and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green space in the city center. However, behind these successful cases of urban regeneration, there are also cases that face difficulties in terms of finance and manage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proposals for successful parkization by reviewing and classifying successful cases of park conversion of abandoned railroads around the world and selecting key factors contributing to success. For the research method, about 40 abandoned railway parks were selected and cases were analyzed based on various literature research data such as academic thesis, academic journal, dissertation, and internet site. Through this, the concepts of industrial heritage and abandoned railroads were reviewed,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abandoned railroad park project was reviewed through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successes and failures, and alternatives were suggested. Research results The success of an abandoned railway park project can depend on factors such as the development subject, utilization level, and follow-up management. In other word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abandoned railroad park project for urban regeneration depends on how much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systematically participate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stages.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government provided institutional support and the private sector provided expertise and resources to form a synergistic relationship, laying the foundation for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In addition, in terms of the level of utilization, it was found that the 'passive recycling' method was actively used as a way to minimize adverse effects on the environment while preserving the existing railway infrastructure and scenery. Follow-up management is also important to ensure the success of the park project. Careful planning, stakeholder collaboration, ongoing community engagement, and flexible governance structures are critical to the continued success of parkification projects.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nature-friendly and sustainable abandoned railroad park project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The success of these park conversion projects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enabling a unique and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by leading to a virtuous cycle of attracting businesses and tourists.

      •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비대면 산림치유에 대한 IPA 분석 : 산림치유 관련 종사자를 중심으로

        박경선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감염병 발생의 우려와 비대면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비대면 산림치유와 대면 산림치유의 IPA 분석을 통해 각각의 유지ㆍ개선 사항을 도출하며, 상호보완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2022년 3월 23일~4월 14일까지 비대면 산림치유를 운영해 본 경험이 있는 전국의 산림치유지도사와 산림치유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산림치유와 대면 산림치유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와 비대면 산림치유에 관한 의견 및 제작과 홍보, 형식과 내용 등을 조사했다. IPA 분석 결과, 대면 산림치유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비대면 산림치유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비대면 산림치유가 COVID-19로 인해 갑작스럽게 시작돼 이를 구현할 숙련된 인력과 콘텐츠가 부족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대면 산림치유는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았지만, ‘산림치유 장소에 대한 접근성’과 ‘산림치유 시간에 대한 편의성’에서 개선이 요구되었다. 비대면 산림치유는 참여자가 시간과 장소 등을 비교적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 대면 산림치유보다 접근의 폭이 넓었으나, 산림치유지도사와 참여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부족해 관리 부문에서 시급한 개선이 요구됐다. 한편 비대면 산림치유는 참여 여건의 제약이 적어 취약계층 복지에 편의적이다. 또 비대면 현장 자율체험형은 산림치유자원의 효과를 여전히 가지면서도 비대면을 선호하는 세태와 독립적으로 나만의 숲을 즐기려는 욕구를 반영할 수 있어 향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비대면과 대면 산림치유가 상호보완적으로 병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선택은 참여자의 여건과 선호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을 도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In the Post-Covid 19 period, when concerns about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and preference for non-face-to-face treatment are inreasing, IPA of non-face-to-face forest therapy and face-to-face forest therapy is used to draw maintenance and improvement points, and find complementary point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non-face-to-face forest therapy and face-to-face forest therapy’ and opinions, production and publicity, format and content on non-face-to-face forest therapy for forest experts of nationwide who have experience in non-face-to-face forest therapy opinion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IPA,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ace-to-face forest therapy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face-to-face forest therapy. It is analyzed that this was because non-face-to-face forest therapy started abruptly due to Covid 19, and there were a lack of skilled manpower and contents to implement it. Although the overall performance with face-to-face forest therapy was high, improvements in accessibility to forest therapy sites and convenience for service time were required. While non-face-to-face forest therapy was more accessible than face-to-face forest therapy because participants could choose a time and place, the urgent improvements are required on the part of management by reason of a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forest therapy instructor and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it was suggested that non-face-to-face forest therapy can be a convenient welfare for the underprivileged because there are few restrictions on participation conditions. The demand for non-face-to-face forest self-experience type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because it can reflect the desire to enjoy one’s own forest independently and the current preference for non-face-to-face while having the effect of forest therapy resources. This thesis suggested that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forest therapy can be complementary cooperation in the Post-Covid era, and the choice depends on the conditions and preferred methods of the particip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