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지면 변화에 따른 curl-up 운동 시 복부 할로잉 운동이 체간근육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장희정 인제대학교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curl-up 운동 시 체간근육의 근활성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또한 curl-up 운동 시 복부 할로잉 운동의 적용이 체간 근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다. 대상자는 건강한 성인 14명(남성 9명, 여성 5명)으로 본 연구에 자발적인 참여를 하였다. 대상자는 curl-up 운동을 수행하며 각각 안정된 지지면, 불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복부 할로잉 운동을 동반한 상태에서 운동을 실시하였다. 복부 할로잉 운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압력 생체피드백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복횡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실험 순서는 무작위로 진행되었다. 통계분석은 각 변수들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이용하였고 유의 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지면의 변화에 따른 근활성도의 변화는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복횡근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2) 복부 할로잉 운동의 유무에 따라서는 복직근, 내복사근, 복횡근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복부 할로잉 운동을 동반한 curl-up 운동 시 복직근의 근활성도는 줄어들고 내복사근과 복횡근의 근활성도는 증가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curl-up 운동 시 체간 근육은 불안정한 지지면보다 복부 할로잉 운동의 적용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환자를 대상으로 curl-up 운동 시 장기적인 근활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The Effects of 2 weeks wheelchair Skills Training Program on Wheelchair Skills Capacity, Confidence, and Risk of Fall in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

        최철훈 인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휠체어 기술 훈련 프로그램(Wheelchair Skills Training Program)은 척수손상을 가진 대상자의 수동 휠체어 훈련을 위해 가장 널리 알려진,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휠체어 기술 훈련에 있어서 근력은 중요한 요소이지만 근력과 휠체어 기술의 향상 사이에 어떤 구체적인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본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2주간의 휠체어 기술 훈련 프로그램 중재가 척수손상을 가진 대상자에게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또 2주간의 휠체어 기술 훈련 프로그램 전 후의 휠체어 기술 평가 (Wheelchair Skills Test)의 점수와 상지 근력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경수 6번 이하의 척수손상을 진단받은 자 중 휠체어 기술 훈련 프로그램 중재를 받은 적 없는 20명의 대상자들이 2주간의 휠체어 기술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중재 전 5가지 상지 근육군의 근력을 측정하였다. 2주간의 휠체어 기술 훈련 프로그램 중재 전 후의 휠체어 기술 평가, 척수손상 낙상 걱정률, 휠체어 기술 평가 설문지의 자신감 항목 점수를 각각 비교하였다. 중재의 효과는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사용하였고, 상관관계는 스피어만의 상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재 전과 비교해서 중재 후에 휠체어 기술 평가 점수, 척수손상 낙상 걱정률, 휠체어 기술 평가 설문지의 자신감 항목이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p<0.05). 또한 어깨 벌림근 근력과 휠체어 기술 평가 점수 변화량 간에 중간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486, p=0.03). 그러나 나머지 상지 근육군의 근력과 휠체어 기술 평가 점수 변화량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본 연구에서, 2주간의 휠체어 기술 훈련 프로그램 중재는 척수손상을 가진 대상자에게 휠체어 기술을 향상시키고, 자신감을 높여주며, 낙상에 대한 걱정률을 낮추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제안할 수 있다. 다만, 상지 근력과 휠체어 기술 향상의 정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Wheelchair Skills Training Program (WSTP) is reliable and safe. Muscle strength is an important factor in mastering manual wheelchair skill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and wheelchair skill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wofold: firs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WSTP delivered over a 2-week period; and seco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and improvements in wheelchair skills. Twenty subjects with spinal cord injuries below the C6 level, none of whom had previously participated in the WSTP, were enrolled in the 2-week WSTP. The strength of five upper extremity muscle groups was measured before the intervention with a hand-held dynamometer. We compared pre- and postintervention scores on the Wheelchair Skills Test (WST), Spinal Cord Injury–Fall Concerns Scale (SCI-FCS), and confidence subscale of the Wheelchair Skills Test Questionnaire (WST-Q). We analyzed the data using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Scores on the WST, SCI-FCS, and WST-Q confidence subscale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intervention (p < 0.05). Correlation analyses showed a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ρ = 0.486, p = 0.03) between improvement in WST scores and the strength of the shoulder abductors but no correlation between improvement on the WST and strength in other muscle groups (p > 0.05).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2-week WSTP can increase wheelchair skills capacity and confidence while decreasing the risk for a fal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and the progression of wheelchair skills.

      • 안정한 지면과 불안정한 지면에서 엉덩관절 폄 시 후방경사고리 이론에 관한 연구

        한지연 인제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후방경사고리는 넓은등근과 반대측의 큰볼기근이 등허리근막을 통해 척추의 후방에 사선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보행을 하거나 체간을 회전하는 동안 공동수축을 하여 체간에 안정성을 제공해 준다. 임상에서는 허리통증 환자들에게 척추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운동들을 실시하고 있다. 엎드려 누운 자세에서 엉덩관절 폄 운동은 허리통증 환자들에게 큰볼기근을 선택적으로 강화시키기 위한 운동으로 많이 실시되고 있으며 폼롤이나 공을 사용한 불안정한 지면에서의 운동들은 근력이나 균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이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안정한 지면과 불안정한 지면에서 엉덩관절 폄 시 척추 후방의 안정성을 담당하고 있는 후방경사고리 근육들의 근 활성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건강한 성인 남녀 22명(남자 11명, 여자 11명)을 대상으로 안정한 지면과 불안정한 지면에서 우세 다리인 오른쪽 엉덩관절 폄 시 후방경사고리로 연결된 왼쪽 넓은등근, 양쪽 척추세움근, 오른쪽 큰볼기근, 오른쪽 대퇴두갈래근의 근 활성도를 표면근전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량화된 각 근육의 근 활성도는 짝 비교 t검정(paired t-test)을 사용하여 지면에 따른 근 활성도 차이를 비교 하였다. 연구 결과 안정한 지면에 비해 불안정한 지면에서 오른쪽 엉덩관절 폄 시 왼쪽 넓은등근, 오른쪽 척추세움근, 오른쪽 큰볼기근의 근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o5), 그 중 왼쪽 넓은등근의 근 활성도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왼쪽 척추세움근은 안정한 지면에 비해 불안정한 지면에서 근 활성도가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오른쪽 대퇴두갈래근은 불안정한 지면에서 근 활성도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불안정한 지면에서 엉덩관절 폄 운동은 후방경사고리로 연결되는 근육들이 체간과 골반의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공동수축을 일으키지만, 넓은등근의 근활성도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것을 볼 때 하지의 운동이 상지근육의 과도한 수축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불안정한 지면에서의 재활운동 프로그램을 계획 하거나 척추의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들의 재활운동 프로그램을 계획 할 때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유도했던 근육의 공동수축이 과도한 보상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치료사들의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 슬링 뉴렉 기법이 교각 운동 시 몸통 근육과 뒤넙다리 근육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하용목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몸통 안정화 운동은 몸통 안정화 근육인 배가로근 및 뭇갈래근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몸통과 척추 분절에 안정성을 제공하며 허리-골반부의 올바른 기능을 위해 필수적이다. 또한, 몸통 안정성 감소는 다리 부상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몸통 안정화 근육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는 운동인 교각 운동은 배가로근, 뭇갈래근 및 뒤넙다리 근의 치료에 사용된다. 현재까지 슬링 운동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슬링 뉴렉 기법을 적용하여 교각 운동을 하였을 때 배가로근과 뭇갈래근 및 뒤넙다리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건강한 20대 남녀 17명이 대상자로 참여하였으며, 다양한 지지면의 형태에서 교각 운동 시 대상자의 양쪽 배가로근, 양쪽 뭇갈래근, 우세측 넙다리 두갈래근, 반힘줄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대상자가 선택한 무작위 순서(지지면)에 따라 바닥, 폼롤러 및 슬링 뉴렉 기법을 적용한 지지면에서 교각 운동을 진행하였으며, 세 가지 지지면 간의 근활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 배치 반복 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지지면 별 유의성 검증을 위해 Bonferroni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지지면의 차이에 따라 모든 근육의 근활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뭇갈래근, 넙다리 두갈래근 및 반힘줄근은 바닥면에 비해 폼롤러와 슬링 뉴렉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반면에, 배가로근에서는 슬링 뉴렉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바닥과 폼롤러 지지면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본 연구에서는 지지면이 불안정할수록 모든 근육의 근활성도가 증가하였다.특히, 슬링 뉴렉 기법을 적용한 교각 운동에서는 다른 지지면에 비해 배가로근의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슬링 뉴렉 기법을 적용한 교각 운동은 몸통의 안정성에 관여하는 배가로근과 뭇갈래근의 동시 활성화를 촉진하며 뒤넙다리 근육의 근활성을 유도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 시각적 생체 되먹임을 이용한 볼기근 쪼임 운동이 척추세움근의 근 활성도와 허리뼈 및 엉덩관절의 움직임 패턴에 미치는 효과

        김동휘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몸통 굽힘 동작은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동작이며 잘못된 방법으로 수행할 시 허리뼈에 기계적 스트레스를 발생시켜 허리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몸통 앞쪽 굽힘 동작 시 허리뼈에 기계적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허리뼈의 잘못된 움직임이나 척추세움근의 과활성화가 있으며, 허리뼈에 발생하는 기계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보조장치를 이용한 치료적 운동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생체 되먹임을 이용한 볼기근 쪼임 운동이 몸통 앞쪽 굽힘 시 허리뼈에 나타나는 움직임과 척추세움근의 근 활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5명의 건강한 성인이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대상자는 몸통 앞쪽 굽힘을 하는 동안 장력센서가 부착된 벨트를 휴대폰에 연동하는 방법을 통해 시각적 생체 되먹임의 정보를 확인하였으며, 볼기근을 최대한 수축시킨 상태에서 동작을 수행하였다. 시각적 생체 되먹임을 이용한 볼기근 쪼임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운동을 적용하기 전·후의 몸통 앞쪽 굽힘 동작에서 발생하는 허리뼈의 움직임과 척추세움근의 근활성도 값을 비교하였다. 허리뼈와 엉덩관절의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해 동작 분석 시스템인 Image J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척추세움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를 사용하였 다. 통계분석은 운동 전·후의 결과값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짝 비교 t-검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시각적 생체 되먹임을 이용한 볼기근 쪼임 운동을 적용하여 몸통 앞쪽 굽힘 동작을 수행했을 때 허리뼈 굽힘의 각도가 운동을 적용하지 않고 몸통 앞쪽 굽힘 동작을 수행했을 때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운동을 적용하여 몸통 앞쪽 굽힘 동작을 수행했을 때 척추세움근의 근활성도 값이 운동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 보다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운동을 적용하기 전·후의 몸통 앞쪽 굽힘 시 나타나는 엉덩관절의 굽힘 각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시각적 생체 되먹임을 이용한 볼기근 쪼임 운동은 건강한 성인이 몸통 앞쪽 굽힘을 하는 동안 척추세움근의 근활성도를 감소시키고 허리뼈의 움직임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으로의 임상에서 시각적 생체 되먹임을 이용한 볼기근 쪼임 운동은 몸통 앞쪽 굽힘 동작을 자주 반복하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수행하여 허리통증을 겪는 환자들의 허리뼈에 기계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적인 치료적 운동방법으로 사용될 것이다.

      • Effects of Passive Scapular Stabilization on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in Patients with Rotator Cuff Repair

        정원정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견갑골 운동이상증은 어깨뼈의 내측연과 하각 돌출이 나타나는 것으로 어깨뼈의 내회전, 전인과 관련이 있으며, 변화된 어깨뼈 위치는 견봉하 공간의 압박을 발생시켜 회전근개 손상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회전근개 근력을 감소시킨다고 하였다. 이전 연구들에서 어깨뼈를 수동적으로 안정화시켜 바른 위치로 고정하는 것만으로 근력이 증가 한다고 하였다. 견갑골 운동이상증은 회전근개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지근력 약화의 원인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회전근개 봉합술 이후에 나타날 수 있는 견갑골 운동 이상증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전근개 봉합술을 실시한 대상자들에게 견갑골 운동 이상증이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확인하고 회전근개 봉 합술을 실시한 어깨의 수동적 어깨뼈 안정화가 상지근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총 30명의 회전근개 봉합술을 실시한 대상자를 모집하여 봉합술을 한 어깨와 반대측 어깨의 견갑골 운동이상증 비교와 익상견갑의 정도를 평가하고 편안한 어깨뼈 위치에서의 상지근력과 수동적 어깨뼈 안정화 위치에서의 상지 근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봉합술을 실시한 어깨와 반대측 어깨의 견갑골 운동이상증 발생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모수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익상겹갑의 평균은 짝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회전근개 봉합술을 한 어깨와 반대측 어깨 어깨뼈 위치에 따른 근력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 이원분산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회전근개 봉합술을 실시한 어깨와 반대측 어깨간의 견갑골 운동이상증 발생과 익상견갑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양측 어깨간 상지근력의 차이가 있었으며 어깨뼈 수동 안정화 위치에서 회전근개 봉합술을 한 어깨의 상지근력이 증가 하였다. 본 연구에서, 회전근개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의 어깨에서 견갑운동이상증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어깨의 수동적 어깨뼈 안정화가 상지근력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견갑운동이상증이 회전근개 손상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근개 봉합술 이후의 어깨뼈 재활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으며, 봉합술 이후 상지 근력 회복에 어깨뼈 안정화 재활운동을 제안 할 수 있다. Rotator cuff tear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musculoskeletal pathologies and shoulder pain can result in muscle weakness. Scapular dyskinesis is prominence of the medial scapular border and inferior angle, which are related to the scapular position of the internal rotation and protraction. Abnormal control of scapular motion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subacromial compression of the rotator cuff tendons and it makes muscle weaknes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muscle strength is increased by passively stabilizing the scapular. The biceps brachii is attached to the coracoid process of scapula, and the length and function of the muscle can be influenced by the position of the scapular, and it is expected that it may affect the muscle strength. Despite the fact that scapular dyskinesis may cause not only rotator cuff tear but also weakness of the upper extremity, studies on scapular dyskinesis that may occur after rotator cuff repair are still lac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scapular dsykinesis were present in patients with rotator cuff repair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assive scapular stabilization on upper extremity strength. We recruited 30 patients with a rotator cuff repair. The rotator cuff repair shoulder had significantly greater scapula dyskinesis and winged scapula than contralateral shoulder (p<0.05). There was a difference in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between rotator cuff repair shoulder and contralateral shoulder.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of rotator cuff repair should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capular stabilization position. These results show that scapula dyskinesis could affect rotator cuff tear and it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in shoulder rehabilitation after rotator cuff repair. It has also been shown that stabilization of scapular can be recommended for the recovery of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 The Study of Cervical Muscle Strength Assessment and Intervention Deep Cervical Flexor in Subjects with Forward Head Posture

        이정훈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people with forward head posture (FHP), the cervical vertebrae are flex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neck extensor is activated, strength of the deep cervical flexors is weakened, and the craniocervical angle (CVA) is reduced. FHP anomalies are assessed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PBU) and craniocervical flexion test (CCFT). Is used to increase muscle activity in deep cervical flexors (DCF). The DCF option has been activated, and muscle strength is measured and increased. A study that examined ways to improve FHP by using exercise or equipment that uses effective equipment, and the fact is that it is lacking. is there. In this study, 1)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thod for measuring muscle strength of the neck using a load-cell-type muscle strength sensor, 2) does the CCFT method using PBU actually increase DCF strength? 3)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DCF strengthening intervention method using a load-cell-type muscle force measuring sensor of DCF force, neck pain, and neck bone alignment in people with FHP. In the first study, we included 16 healthy adults (5 men and 11 women), with a portable force measuring system and load-cell-type with four neck movements (craniocervical flexion, craniocervical extension, cervicothoracic flexion, and cervicothoracic extension). Cervical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in the supine position and the prone position by using the muscle force measurement sensor of the above,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of the load-cell-type muscular force sensor and the portable muscular force measurement system inside the probe were excellent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0.78–0.99). The reliability between the load-cell-type muscular strength sensor and the stylus of the portable muscular strength measurement system showed excellent reliability (ICC: 0.68–0.99). The load-cell-type muscle strength sensor of the portable muscle strength measurement system showed excellent validity (ICC: 0.83–0.98). In the second study, we included 24 participants (6 men and 18 women) and used a PBU to measure CCFT intermediate muscle strength to load-cell-type muscle strength. The measurement sensor was used to measure the DCF strength. The average DCF strength measured using the CCFT Medium Strength Sensor using the PBU is the following: maximum muscle strength: 3.21±2.80kg, 20 mmHg: 0.87±0.70kg, 22 mmHg: 1.03±0.89kg, 24 mmHg: 1.30±1.14kg, 26 mmHg: 1.45±1.30kg, 28 mmHg: 1.68±1.52kg, 30 mmHg: 1.91±1.73kg. The ratio of muscle strength at each pressure of maximum muscle strength is 20 mmHg: 27.76±2.26%, 22 mmHg: 32.82±1.63%, 24 mmHg: 42.05±2.15%, 26 mmHg: 47.01±2.25%, 28 mmHg: 55.11±2.57%, 30 mmHg: 62.89±3.17%. In the third study, 30 FHP participants (11 men, 19 wom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used a PBU-based CCFT exercise method and a load-cell-type muscle force sensor. Then, the practice method of maintaining CCF muscle strength and performing CCFT in real time is divided into two groups, arbitrated and CVA, DCF strength, and neck pain of FHP participants. CCFT using a load-cell-type muscular force sensor significantly increased CVA and DCF strength and significantly reduced neck pain compared with CCFT using PBU.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ad-cell-type muscular force sensor was a highly reliable and useful device for measuring muscular force, which can be used to measure muscular force in real time. The method of confirming and performing CCFT can be used in an intervention method that strengthens cervical muscle strength and further presents a method to improve the posture of participants with FHP and selectively strengthen DCF. The intervention method of performing load-cell using can be used as a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DCF strength by substituting the practice method of using PB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