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자본이 빈곤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비빈곤 아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배영자 경일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velopmental trajectory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grades 4-6 an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poor children, as well as to compare non-poor children. Multi-group latent growth modeling was analyzed on first grade panels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using data from the fourth to sixth year of the survey. First, it was found that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had decreased through the 4th to 6th grade. Second, parent-children relationships, and most importantly relationships with pe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oor children at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 Lastly, the effect of parent-children relationship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poor children was less pronounced in comparison with non-poor children.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ies and other practical means to aid poor children in their academic advancement are proposed.

      • 복지태도 변화추이와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복지지출 확대와 증세를 중심으로

        함재봉 경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오늘날 정부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의 복지를 향한 의지는 복지국가를 향한 주요 과제로 인식되고는 있지만, 이러한 과제가 순조롭게 달성되어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평가가 있다. 건강한 복지태도를 형성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아직까지도 이권과 복지를 정확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동시에 자신의 복지욕구에는 적극적이면서도 다른 사람의 복지욕구에 대해서는 비교적 부정적인 모습이 만연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경과에 따라 분배중시 가치관, 보편적 복지중시 가치관 등은 복지태도인 복지지출 확대 및 복지증세 동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적용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배중시 가치관과 관련해서 민주화 세대는 이전 세대와는 다른 정치사회적 가치관을 형성해왔으며 분배에 대한 요구 역시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 등을 고려한다면 개인의 가치성향 역시 성장과 분배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사람들은 때로 자신의 경제적 이득이나 목적 보다는 정부의 개입에 대한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분배를 선호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분배중시 가치관이 복지지출 확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분배중시 가치관이 높을수록 복지지출 확대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시간이 경과하면서 복지지출 확대에 대한 인식에는 변화가 없음을 의미한다. 둘째, 보편적 복지중시 가치관 5차년도 초기치는 복지지출 확대 초기치에 유의하게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변화율에 대해서는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편적 복지중시 가치관이 높을수록 복지지출 확대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지만, 시간이 경과하면서 복지지출 확대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는 점이다. 한국의 복지제도들은 주로 저소득층에게 집중하는 ‘표적화(targeting)’ 혹은 ‘선별주의’의 원리가 크게 적용되어 왔으나, 2010년의 지방선거에서 ‘무상급식’ 이슈를 놓고 촉발된 보편주의 논쟁은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이루어진 긴급재난지원금이 2차례 지급되고, 제1 야당에서 정책적 기조로 기본소득을 첫번째 과제로 들고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제는 복지국가 논의가 정치권으로 옮겨지는 새로운 지평을 열어 주었다. 따라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복지정책의 정립을 위해서는 국민들의 가치와 의견, 세목의 활용 방안 등에 대하여 폭넓게 반영하는 절차를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박은희 경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을 매개로 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각 변수의 하위요인들을 통해 분석하여 대학생들이 보다 적응적으로 대학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성인애착,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 근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대상은 대구·경북 지역에 위치한 372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대학생활 측정도구는 Baker와 Siryk(1989)가 제작한 대학생활적응척도(SACQ)를 사용했고, 애착척도는 Fraley, Waller, & Brennan (2000)이 개발한 성인 애착 유형검사인 친밀 관계 경험-개정판(ECR-R)을 김성현(2004)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척도는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척도(RSE)를 전병재(1974)가 번안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했으며, 대인관계 척도는 Buhrmester, Furman, Wittenberg와 Reis(1988)가 개발한 대인관계능력 척도(ICQ)를 김창대와 김수임(1999)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적인 통계부분을 분석하였고, 변인들 간의 관계와 매개효과를 동시에 검증하기 위해 AMO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EM)검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대학생활적응은 학년, 전공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성별에 있어서 대학생활적응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성적에서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사후검증 결과 지난학기 성적이 높은 학생이 성적이 낮은 학생보다 대학생활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애착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애착은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생의 애착은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을 매개로 하여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정된 성인애착과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대학생 개인만이 아니라 학교와 지역사회를 토대로 하여 조력 프로그램이 이루어진다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증진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의 연구에서는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들을 고려하여 연구하고, 변인들의 좀 더 다양한 지표변인들을 선정하여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이론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모델을 찾아 비교 연구하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통제·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대학생에게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