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내적 정서와 표현 정서의 관계 : 독서 감상문을 활용하여

        정지혜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독서 감상문 작성 시점에서의 작성자가 가진 정서가 감상문 작성 시 단어와 맥락을 통해 표현된다고 가정하면 사용 단어의 종류를 통해 작성자의 내적 정서를 유추할 수 있다고 본다. 작성자 자신이 의도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작품의 인물이나 상황, 주제 등에 대해 느끼는 감상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고 비슷한 감상을 하더라도 텍스트를 통해 표현하는 감상은 동일하지 않다. 독서 감상문 작성 시 사용하는 언어적 표현이 개인마다 다른 이유가 개별적인 내적 정서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찾아볼 수 없어 내적 정서와 표현 정서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중학생의 경우 수업 시간에 불편한 감정을 직접 표현하지 않고,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사회적 압력으로 인해 감정에 대한 억압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작성한 독서 감상문에 사용된 표현을 통해 중학생의 내적 정서를 알아차리고, 이를 참고자료로 하여 학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Assuming that the author's emotion at the time of writing the reading appreciation is expressed through words and contexts when writing the appreciation, it is possible to infer the author's inner emotion through the type of used words.,The author may or may not intend to do so, but the impression of the person, situation, and theme of the work may vary from person to person, and even if similar appreciation is made, the appreciation expressed through text is not the same.,The reason why the linguistic expression used in writing reading appreciation texts differs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is because the individual inner emotions are different.,There is no precedent study related to this,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emotion and expressive emotion. Especially, middle school students do not express uncomfortable feelings directly in class, and social pressure that expressing emotions is not appropriate can cause oppression of emotions.,Therefore, the researcher tries to recognize the inner emo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 expression used in the written reading appreciation text an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it by using it as reference material.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박행자 대진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은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연구목적을 가지고 연구 문제를 설정해 보았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조절능력은 관계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은 관계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 능력은 매개효과를 보이는가? 본 연구는 경기 북부 P시에 위치한 P초등학교 4학년 학생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도구로는 부모양육태도척도, 자기조절능력척도, 학교생활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와 요인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 test를 사용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자기조절 능력과 관계가 있다는 연구가설은 채택되었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은 관계가 있다는 연구모형은 타당하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 능력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이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 매개역할을 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제언으로는 경기 북부 일부 지역의 초등학교 한 학년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지역 환경이나 문화, 아동의 연령 등의 다름을 일반화할 수 없다는 점과 본 연구에서 실시된 변인들의 측정이 자기보고식에만 의존하였기에 자기보고식 측정이 가진 문제점을 배제할 수 없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아동이 신체적, 정서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가정에서의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올바른 인식개선과 꾸준한 부모 교육 및 상담을 병행하여 자녀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self-regulation skills have a medial effect in relation to parental attitudes and school life adaptation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I have set up a research problem with this purpose. First,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s and self-control abilitie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chool adaptation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does self-control ability have a medial effect in relation to parenting attitude and school life adaptation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surveyed 193 fourth graders of P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Psi, northern Gyeonggi Province, and used parenting, self-control, and school life adjustment measures as the research tools. The collected data used SPSS 25.0.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ical statistics and factors, and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Sobel test. First, the research theory that the parenting attitude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related to self-control ability was adopted. Second, a research model that is related to parental attitudes and school life adaptation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valid. Third, self-control ability is fully effective in relation to parenting attitude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chool life adaptation. In this study, we want to find out how the parenting attitude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fects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and to study whether the self-control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lays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is not to rule out the problem of self-reporting measurement, as it was intended for only one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ome areas of northern Gyeonggi Province, and the inability to generalize differences in the local environment, culture, and age of children, and the measurement of variables carried out in this study relied solely on self-reporting. In order for children to grow physically and emotionally healthy, the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help them understand their children by improving the correct perception of parenting behavior at home and by continuing parental education and counseling.

      •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학습된 무기력과의 관계

        성인경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요즘 학교에서는 매사에 의욕 없이 무기력하게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는 학생들이 많이 보인다. 이러한 학생들이 겪고 있는 학습된 무기력은 사회로 나갈 준비를 해야 할 중요한 시기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업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학습된 무기력의 일반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하위 요인 중심으로 살펴보고, 학업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북부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 1교, 실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1교, 외국어 특수목적 고등학교 1교의 1, 2, 3학년 학생 360명을 연구대상으로 임의표집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로 오미향, 천성문(1994)이 제작한 ‘학업 스트레스 척도’, 이미라(2000)의 ‘사회지지척도’ 및 신기명(1990)이 제작한 ‘학습된 무기력 진단척도’를 이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는 5점 만점 중에서 평균 2.99점, 사회적 지지는 평균 3.83점으로 나타났다. 학습된 무기력은 평균 2.59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학업 스트레스를 많이 겪고 있는 반면, 사회적 지지 또한 더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학습된 무기력의 차이는 없었다. 학교유형에 따라서는 외국어 고등학교와 인문계 고등학교의 학생들이 실업계 고등학생들보다 학업 스트레스가 높았고, 외국어 고등학교 학생들이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보다 사회적 지지를 많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 ‘중’과 ‘하’ 집단이 ‘상’ 집단보다 학업 스트레스와 학습된 무기력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 스트레스와 학습된 무기력 간의 상관계수는 r=.479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적 지지와 학습된 무기력 간의 상관계수는 r=-.510으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학업 스트레스가 학습된 무기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설명력은 23%였다. 특히, 학업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수업, 공부,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습된 무기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들은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가, 여학생들은 ‘공부, 수업,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습된 무기력이 높았으며, 성적이 ‘상’인 학생들은 ‘성적, 수업 및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가 성적이 낮은 학생들은 ‘공부와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습된 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어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수업, 공부,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인문계 학생들은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습된 무기력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실업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은 학업 스트레스의 요인들이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다섯째, 사회적 지지는 학습된 무기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6.1%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 중 ‘부모와 교사의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학습된 무기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부모 지지’가, 여학생의 경우, ‘부모와 친구의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학습된 무기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적이 높거나 낮은 학생들은 ‘부모의 지지’를, 성적이 중간인 학생들은 ‘부모와 교사의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학습된 무기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계 고등학생들은 ‘부모와 교사의 지지’를, 외국어고 학생들은 ‘부모와 친구의 지지’를, 실업계 고등학생들은 ‘친구의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학습된 무기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여주었다.

      • 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력의 차이

        김희정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학교 교육을 받는 학생들은 하루의 대부분을 학교에서 생활하면서 교사와 또래 친구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이러한 인간관계를 잘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의사소통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협상 기술이 부족하고, 명확한 이유도 없이 공격적인 행위를 하기도 하며, 예의에 어긋나고 규칙을 지키지 않는 행동 등을 하면서 다른 사람과 다투는 식의 언행을 하게 된다. 또 자신의 마음과 생각을 바탕으로 추측하고 가정한 것을 행동하는 특징이 있다. 오늘날, 초등학교에서는 의사소통을 제대로 하지 못해 교우관계나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이 적지 않다(양미희, 2008). 아동이 성장하여 학교에 입학하게 되면 사회 환경이 확대되어 새로운 학교 구성원들과 상호작용을 하며 의사소통을 하게 된다. 초등학생들의 학교생활은 대부분 학급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최지은(2003)은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그중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즉, 교사와의 원활한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담임교사가 일반교사보다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담임교사는 학생들에게 학급에 대한 애정을 느끼게 하여 명랑한 학급 분위기를 조성하여 즐거운 학교생활을 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양경천, 1996). 학급운영에 책임이 있는 학급 담임 교사는 학생들의 학교생활을 돕기 위해 학생들과 많은 의사소통을 하게 된다. 그리고 잠재적 교육과정 측면에서 아동은 교사를 모델링하여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아동이 느끼는 교사와의 의사소통은 아동들의 성장 발달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때 아동은 학급 담임교사뿐 아니라 학급 구성원인 또래들 사이에서도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하며 의사소통을 하게 되는데, 원만한 또래 관계는 아동의 사회성 습득 및 높은 자존감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양미희, 2008). 이러한 영향은 초등학생뿐만 아니라 청소년기를 겪는 중학교 학생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중학생이 되면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자아존중감을 확립해나가게 되며 타인과의 관계를 더욱 중요시하게 되므로 교사와의 의사소통과 또래와의 관계를 더욱 중요하게 여기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고, 학교적응력과도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그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 원예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존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현실요법에 근거한

        정은미 대진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Based on Reality Therapy Jung, Eun Mi Counselling Psychology Major,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jin University Advisor Professor Yang Jae Hyu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based on reality therap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argeted to 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local children’s center in the northern region of Gyeong-gi do Province.The composition of the group consisted of ‘experiment’ group of 10 people and ‘comparison’ group of 10 people. To identify the elementary student's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both groups were tested for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before and after experiment, and for the experiment group,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 sampling (t-test) verification and binary analysis of variance using the SPSS 18.0 Window program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written opinions and the researcher's observations were analyzed during each activity s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lementary student's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of their sub-factor, but the general and the family self-esteem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school life adjustment and teacher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of their sub-factor, but was not significant in school regulation adjustment. Third, while doing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changed behavior of the students was observed in the written opinions of elementary students and observations of the researcher. Children have effectively shown self-esteem and adaptability to school by choosing their own desires on a responsible basis and learning how to care for others and respect others.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shown that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was effective for elementary student's self-esteem and its sub factor, which is social self-esteem improvement, and also showed improvement eff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its sub-factors: 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course adaptation. However,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family self-esteem and school regulation adaptation. It is judged that a program to connected with the home is necessary as the home environment also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child’s self-esteem. As shown in the press release (body p1), the higher the school year, the harder it is for students to self-esteem and adapt to school. Therefore, it is regarded that from the early years of elementary school, helping the students to solve the problems by looking for their desires they feel in school life and experiencing a sense of responsibility from the result of their own choice will make effective change in student’s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Horticultural activity has an effect that could feel a sense of responsibility through plant selection and caring. Many researches have shown that these kind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do not only help the elementary student's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but also in many fields. Therefore, if they experience the horticultural activity based on reality therapy constantly from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t seems that it would be of great help in elementary student's stable emotion, self-esteem improve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국 문 요 지 본 연구는 현실요법에 근거한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존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 북부에 소속되어 있는 지역 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생 20명을 실험집단 10명과 비교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인 초등학생의 자존감과 학교생활적응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전과 실험 후에 두 집단 모두 자존감과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하였고, 실험집단에는 현실요법에 근거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두 집단 간의 평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t-test) 검증과.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자존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이원변량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각 회기별 소감문과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존감과 그 하위요인 사회적 자존감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지만, 일반적 자존감과 가정적 자존감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그 하위요인인 교사 관계, 또래 관계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고, 학교규칙적응에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하면서 초등학생이 작성한 소감문과 검사자의 관찰내용에서 아동의 변화된 행동이 관찰되었다. 아동은 자신의 욕구를 책임감 있게 스스로 결정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존중하는 태도를 배움으로 자존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실요법에 근거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존감과 그 하위요소인 사회적 자존감 향상에 효과가 있고, 학교생활 적응과 그 하위요소인 교사, 또래관계와 학교수업적응에 향상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적, 가정적 자존감과 학교규칙적응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가정환경 또한 아동의 자존감에 많은 영향이 있으므로 가정과 연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보도 자료(본문 p1)에서 알 수 있듯이 학년이 높을수록 자존감과 학교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저학년 때부터 학교생활에서 느끼는 욕구를 살피고 관찰하여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고, 자신이 선택한 결과에 책임감을 경험하는 것은 학생들의 자존감과 학교생활적응에 효과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본다. 원예활동은 식물을 선택하고 돌보는 활동을 통해 책임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원예활동은 초등학생들의 자존감과 학교생활적응 외에도 많은 영역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꾸준하게 현실요법에 근거한 원예 활동을 경험한다면 초등학생들의 안정된 정서와 자존감향상, 학교생활적응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한글 문해 지도 효과 연구

        임혜경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사회에 적응하여 살아가기 위해서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은 가장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다양한 한글 해득 수준을 가지고 초등학교에 입학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어떻게 하면 모든 학생이 한글을 잘 읽고 쓸 수 있게 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으로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림책은 우리 생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어 학생들에게 친근함을 주면서도 교육적 가치도 높다. 이런 이유로 그림책을 이용한 한글 해득 지도 과정을 살펴보고 효과를 검증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적용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한글 문해 지도는 학생들의 한글 해득 수준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다만 다문화가정 자녀 중 한글 해득 학생의 경우 부모의 한쪽만이라도 한글을 사용할 수 있고,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에서 생활한 경우 그 효과가 뚜렷이 보였다. 한글 미해득 학생의 경우는 중도입국 외국인 자녀로 그림책을 가지고 한글 문해 교육을 해도 향상도가 높지 못하였다. 이것은 앞에서도 말한 것처럼 아이들이 한국에서 태어나서 부모로부터 한국어를 듣고 자랐다면 듣는 훈련이 되었겠지만, 이 아이들의 경우 이미 유치원생 정도의 듣기나 말하기조차 훈련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읽기는 더욱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경우 이중언어 교육을 통해 듣기와 읽기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둘째, 학생들의 면담 결과를 토대로 볼 때 그림책을 활용한 한글 문해 지도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 책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심어 주었다. 교사가 그림책을 읽어 줄 때 학생들은 부담 없이 책을 읽을 수 있어서 좋았다고 응답했고, 그림책을 스스로 읽고 싶다는 동기를 부여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책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은 자연스럽게 책 읽기 활동으로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읽기, 쓰기 능력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연구 실행 후 사후 검사를 통해 개별 학생의 한글 문해 능력을 변별한 후 한글 미해득으로 판별된 학생에게 보충 지도를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현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교육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내용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오히려 이러한 한국어 교육을 통해 실제 교과 학습의 부담감이 증가할 수 있다. 앞으로 한국어 교육에서는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국어교육과 함께 학습능력 신장이나 독해력 신장과 같은 다양한 목적의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설계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일반 학급의 아동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습 진도 격차를 줄이며 특수 목적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이 계획되어야 하며, 이중언어교육을 통한 한국어 교육이 필요하다.

      • 부모-교사의 협력관계와 영유아 교사효능감의 관계 : 교사 경력의 조절효과

        김민선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영유아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교육의 인적 요인인 영유아 교사들의 경력에 따라 부모와의 협력관계 및 의사소통이 얼마나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러한 부모-교사의 협력관계가 교사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한다. 또한 영유아 교사들의 교육경력이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협력관계가 영유아 교사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유아교육기관의 영유아 교사들의 효능감을 높여 어려움을 극복하고, 전문성 발달을 지원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영유아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교육의 인적 요인인 영유아 교사들의 경력에 따라 부모와의 협력관계 및 의사소통이 얼마나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러한 부모-교사의 협력관계가 교사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한다. 또한 영유아 교사들의 교육경력이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협력관계가 영유아 교사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유아교육기관의 영유아 교사들의 효능감을 높여 어려움을 극복하고, 전문성 발달을 지원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교사의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영유아 교사의 부모-교사 협력관계의 정보공유, 정보추구, 상호관계는 일반적 효능감, 개인적 효능감, 교사효능감 전체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교사의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교사경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영유아 교사의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교사효능감 중, 일반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교사경력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유아 교사의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교사효능감 중, 개인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교사경력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었고, 부모-교사 협력관계 중에서도 정보추구 요인에서 유의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교사경력이 낮은 집단이면서 부모-교사 협력관계의 정보추구 수준이 높을 때 개인적 효능감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