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長期未執行 都市計劃施設 중 小路 類型別 特性 연구 : 경기도 九里市를 중심으로

        간광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 문 초 록 세계적인 경제위기 및 경기침체로 인해 2006년 각광을 받았던 뉴타운 계획에 대한 주민들의 반대가 2011년 구리시 지역에서도 생겨나기 시작했다. 기존의 뉴타운은 도심의 저층구조인 단독주택, 다가구, 다세대 주택, 연립주택, 또는 5층이하 아파트를 철거하고, 고층의 아파트를 계획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고밀도 주거정책이다. 도시계획을 잠깐이라도 접한 공무원으로 여건은 다르지만 구리시를 영국의 게이츠 헤드(Gateshead)와 같이 문화도시로의 도시재생을 꿈 꿀수는 없을까 하는 고민이 시작되었다. 이 고민은 아직도 꿈만 꾸고 첫 단추를 끼우지 못한 채 시간만 흐르고 있다. 기존의 건물과 기반시설을 놔두고 문화를 접목해 도시재생을 꾀하는 문화도시, 생명과 감성이 깃든 공간, 시민 모두는 아닐찌라도 대다수의 시민들이 머무르고 싶은 도시, 예술로 도시에 생명력을 불어 넣고, 예술로 도시를 아름답게 만들어 생태적, 사회적, 문화적 다양성이 존재하는 도시......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를 고민하다 일단 구리시의 장기 미집행 시설들은 무엇이 있으며, 어떤 시설들이 많을까 또 도시계획으로 결정된 후 20년이 지나서도 집행하지 않으면 도시계획 결정이 실효되는데 이에 따른 문제점은 무엇이 있을까 등등...이 궁금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구리시의 도시계획 시설 중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대다수를 차지하는 도시계획도로(소로)에 대한 현황을 살펴 보고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거 시가지가 조성된 지역과 뉴타운지역내 도시계획도로(소로)는 현황도로에서 1~2m 확폭이 필요한 도시계획도로(소로)와 신규로 개설해야하는 도로로 나뉘어 있으며, 두 경우 모두 도시계획도로를 대체할 수 있는 현황도로를 이용하고 있었고, 주차장 부족으로 인해 대부분 차들이 도로 양쪽에 주차되어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는 주차문제와 폭원이 좁아 재난(화재)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연녹지지역에서 도시관리계획(재정비)에 의거 용도지역이 주거지역으로 바뀐 지역의 도시계획도로(소로)의 특성은 현황도로를 확폭해야 하는 경우보다 신규로 도시계획도로(소로)로 결정한 경우가 많음을 볼 수 있다. 이는 대부분 자연녹지지역의 경우 토지임야 또는 전, 답의 농경지가 주거지역으로 변경되면서 도시계획도로를 결정한 경우이다. 셋째 개발제한구역에서 우선해제되어 지구단위계획에 의거 도시계획도로(소로) 결정된 지역 또한 현황도로를 도시계획도로로 지정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 지역들 모두 도시계획도로(소로) 미집행으로 인한 도시계획결정 실효시 기존의 현황도로를 이용해 표면상으로는 문제가 없는 것 같이 여겨 질 수도 있으나, 현황도로 미불용지에 대한 보상이 선결 과제라 할 것이다. 주요어 : 토지구획정리사업, 뉴타운, 도시계획도로(소로), 미집행 Abstract Characteristics research of Small Road by Type among Long-term No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Focused on Gyeonggi-do Guri City- Due to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d sluggish economy, residents' opposition to the newtown plans highlighted in 2006 began to emerge in Guri area from 2011.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existing newtown plans are based on the high-density housing policy as they plan to demolish the low-rise structures such as detached house, multi-family houses, town houses and apartments below fifth floor and construct high-rise apartment houses. As an city official to had an access to urban plans for a short period of time, I began to try devising plans for urban regeneration to change Guri into a cultural city like Gateshead in the UK, but this attempt has not yet been implemented. Cultural city to promote urban generation in conjunction with culture, leaving the existing buildings and infrastructure, space infused with vitality and sensibilities, city in which the majority of citizens want to stay and city where ecological, social and cultural diversity exists due to the artistic implementation of the city.. I didn't know where to start, but managed to start the research by investigating long-term non-executed facilities in Guri and problems due to a lapse of urban planning determination resulting from the non-execution even after 20 years.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ty the status of city planning roads (small road) that account for the majority of no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in Guri, and to analyze the typ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rban area created based on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and urban planning roads (small road) within the new town area are divided into the urban planning road (small road) that requires the expansion of its width to 1-2m and the road that needs to be newly established. In two cases, the status road that can replace the urban planning road has been used. Due to the lack of parking space, most cars are parked on both sides of the road,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passage, and they are vulnerable to disasters (fir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planning roads (small road) in the area whose use is changed from natural vegetation area to residential area based on the urban management plan(readjustment) are that there are more cases where urban planning roads (small road) are newly determined than those in which the width of the status road needs to be expanded since most of natural vegetation areas are determined as areas for urban planning roads due to the change in the land use from agricultural area to residential area. Third,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status roads are designated to be urban planning roads even in the area relieved from the limited development district and determined as the urban planning road(small road) pursuant to the district-unit plan. The above areas are considered to have no problems since they can use the existing status road in case of a lapse of the urban planning determination due to non-execution of urban planing roads (small road). However, it is regarded is a prerequisite to the compensation for the uncompensated land of the status road. Key words: Land readjustment project, new town, urban planning road (small road), non-execution

      • 대규모 민·관 합동형 PF사업 전개과정의 주체별 갈등 연구 :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중심으로

        박준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코레일이 KTX사업 부채를 안고 출범하면서 재무구조가 좋지 않은 상황이었다. 과거 국토해양부는 코레일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하여 용산 철도 정비창 기지 개발을 승인하였고, 코레일은 본격적으로 개발사업의 구상을 작성하였고, 2005년 용산 철도 정비창 부지 개발에 대한 사업타당성 조사를 완료 후 공모를 하였으나, 서울시의 서부이촌동 구역 포함을 요구 하여 공모 취소 후 2006년12월 서부이촌동 구역까지 포함하면서 민관합동형 PF사업을 공모하였다. 건국 이래 최대 규모의 사업방식은 민관합동형 PF사업이고 법규상으로는 도시개발법에 의한 도시개발 사업으로 추진했으며, 공공 사업자로는 코레일과 국민연금공단 및 서울시(SH공사)가 참여 하였고, 민간 사업자로는 국내 대기업들이 참여 하여 투자목적회사(PFV)를 설립하였으며 별도로 자산관리회사인 사업을 위한 AMC가 만들어 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주체와 민간주체 그리고 서부이촌동 주민주체 등을 사업단계별 과정을 통해서 각 주체별 역할 분석 및 갈등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참여 주체가 본 사업이 채무불이행 되는 결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민관 합동형 PF사업은 크게 네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사전준비단계, 두 번째 공모단계, 세 번째 사업협약체결 단계, 네 번째 사업진행 및 청산 단계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진행 단계 까지만 연구 하였다. 첫 번째, 사전 준비단계에서는 서부 이촌동 구역 포함여부에 대한 서울시와 코레일의 의견 차이와 구역 포함에 대한 주민들을 배제하여 서울시와 서부이촌동 간의 역할 및 갈등을 연구하였다. 두 번째, 공모단계에서는 서울시 및 코레일의 역할 분석 및 서울시와 서부이촌동 주민과의 본격적인 갈등연구를 하였으며 민관 합동형 PF사업의 공모 문제점을 연구했다. 세 번째, 단계인 사업협약 체결 단계에서는 각 주체별 역할 및 갈등을 연구 하고 특히 부동산 경기가 냉각 되면서 사업성 악화로 인한 공공주체와 민간주체와의 갈등과 중재 역할을 해야 할 서울시의 입장을 파악하였으며 이로 인한 AMC 주간사 변경과정을 연구 하였다. 마지막 네 번째, 단계인 사업진행 단계에서는 본격적인 서부이촌동 주민보상 재원 및 사업자금 조달에 대한 코레일과 민간 주체의 갈등 등을 전개 과정별로 연구 하여 서울시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에 대한 입장 변화와 코레일 대표이사 변경으로 인한 개발방식에 대한 대립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러한 대규모 개발사업의 경험 사례와 수행경험 조직이 없는 현 시점에서 각 주체별 역할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주체별 갈등은 심화 되고 이해관계가 복잡하여 해결점을 찾기 어려우며 주체별 역할을 충실히 할 경우 사업의 손실은 최소화 할 수 있다.

      • 지역활성화를 위한 폐공간 재생방법연구 : 서울도서관 전문가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소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Current issue about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industrial heritage has emerged as an important buzzword. Utilizing historical buildings is a way to coexisting current and future value, rather than limiting the history in the past. Even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servation, utilizing can be the most aggressive way of conservation.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came up with an analyzing framework of regenerating useless space, and derived current status of common regeneration cases. Through comparative case study of the Seoul Library and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Seoul, changes of regeneration methods could be observed. From expert survey on the Seoul Library, activating methods of facilities and regional areas, and difference between visitors and non-visitors could be found. At the end, this study could mak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historical heritage should be preserved and utilized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preserve the architectural aesthetics and historical value of the building, and repair and reuse with care simultaneously. The usage of the converted facility should be planed by regional people, opened to all generation. The formative value should reflect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the both in harmony. Second, connection among internal facilities(such as the new Seoul City Hall, Seoul Citizens Hall and Seoul Library) contributes to revitalization of facilities, and connection to outer space contributes to activation of regional area. Accessibility and convenient use were two of the biggest advantages of Seoul library, but in the meanwhile unreasonable formation of facilities due to accommodation of new usage other than the original usage. By developing various cultural program, advantages would be maximized and disadvantages would be minimized, and that revitalization of facilities would be realized. Third,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the visitors are more fond of the facilities and revitalization itself than the non-visitors, and government employees have different opinion compared to project planner. Reducing such differences is vital to revitalizing and utilizing useless space. On the basi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on the underlying reasons of different opinions by various experts can be made. By establishing clear cut lines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nd obtaining social consensus, the past and present can co-exist in harmony. 근대 문화유산, 산업유산 등의 보존과 활용의 문제는 현재 우리 시대의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역사적 건축물의 활용이란 역사를 과거에 한정 짓는 것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가치를 공존 시키는 행위이고 보존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활용은 적극적인 의미의 보존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한 폐공간 재생 계획의 분석의 틀을 도출하여 사례의 현황을 파악하고 최근 재생된 서울도서관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비교 연구로 변화하고 있는 재생 방법을 관찰하였다. 또 서울도서관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시설 및 지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전문가 사이의 생각의 차이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분석의 틀에 따라 비교, 검토해 볼 때, 서울도서관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은 과거에 비해 발전된 형식의 재생 및 활용방법이라고 판단된다. 적절한 시설 용도의 도입으로 활발한 시민 참여를 유도한 서울도서관과 폐쇄적 용도에 의해 단절되었던 도시맥락을 재생한 서울관은 도시 계획 및 폐공간 재생에 있어 큰 교훈을 제시한 것으로 판단되고 서울시 중심지의 문화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활성화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둘째, 재생 방법에 대한 연구 결과, 건축미학과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건물 원형을 최대한 확보하되 활용 가능하도록 최소한 보수해야하고 활용을 통해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전환하는 시설의 용도는 모든 세대의 참여, 공유가 가능한 열린 용도로서 시민을 주체로 계획되어야 하고 조형적으로는 과거와 현대의 가치가 각각의 상징성을 가지되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셋째, 서울도서관의 활용 방법에 대한 조사를 통해 서울신청사, 시민청, 서울도서관 등 시설 연계가 시설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주변 지역 외부 공간과의 연계가 지역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평가 및 인식이 확인되었다. 활성화 위해 반영할 요소로는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의 개발을 꼽아서 이를 통해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넷째, 대상에 따른 비교분석 결과, 방문자가 시설에 대한 호감도와 재생에 대한 평가가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행정전문가와 계획실무자의 경우는 여러 항목에 걸쳐 상이한 결과가 나왔는데 이러한 이견을 좁혀가는 것이 폐공간의 재생 및 활용에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향후에는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전문가의 생각의 차이가 발생한 근본적인 이유를 심화하여 살펴볼 수 있겠다. 이를 통해 객관적으로 보존과 활용 사이의 범위를 명확하게 정하고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여 이러한 바탕에서 과거와 현재를 조화롭게 공존 시킬 수 있는 노력을 함께 경주해야 할 것이다.

      • 도시설계 변화에 따른 계획내용 및 건축물 특성 비교연구 : 마포구 신촌지역을 중심으로

        정훈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아시안게임과 올림픽게임 등 중요한 국제적 행사를 앞두고 도시미관 및 환경개선을 위해 대규모 공동개발 및 층고 제한 등을 규제하는 도시설계가 건축법을 근거로 하여 1983년부터 1987년까지 최초로 수립지정되었다. 도시설계는 현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해 지구단위계획으로 수립되기까지 계속 변화되고 다양화되는 등 도시계획의 핵심적인 관리제도로 자리잡았으며 도시재생, 노후시가지 정비, 상권활성화 등 좀 더 입체적이고 다양한 목적의 지구단위계획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초로 도시설계가 수립되어 반영된 지역의 도시설계 내용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계획내용 변화에 따라 시기별 건축물을 분석하여 지구단위계획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최초 도시설계가 수립된 지역인 신촌지구일대 지구단위계획구역 중 도로 등 도시기반시설과 대학교 입지 등 주변환경 등을 보았을때 개발여건이 충분한 마포구 상업지역일대를 선정하였다. 도시설계의 전반적인 개념 변화 및 지구단위계획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기 위하여 관련법과 문헌 및 유사연구사례를 검토하고, 대상지의 각 연도별 도시설계 결정도서 및 지침내용을 수집하였으며 도시설계 계획내용 및 주변 도시계획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도시설계 지정 전 수립용역시기(1984년)부터 현재(2013년)까지 각 연도별 도시설계 이후 신축 건축물 현황을 조사하여 도시설계 계획요소별로 반영여부를 확인하고 도시설계 계획요소 중 필지규모, 용적률, 용도, 층수별로 나누어 유형별로 건축물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1987년부터 2013년 현재까지 도시설계의 계획내용은 법적으로 체계적이고 다양한 변화를 이루었지만 그에 따라 대상지 도시설계는 규제의 확대축소 및 변경을 반복함으로써 현황은 오히려 개발이 정체되는 양상을 보였다. 대부분의 신축은 단독필지개발이거나 조정심의를 거쳐 신축하는 형태를 보여 공공과 민간의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부분에 대한 합리적인 조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블록별 민간 개발자의 선호양상이 매우 달라 입지적 강점을 활용한 차별화된 단지성격을 부여하여 실현 가능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Expecting important internal events such as the Asian game and the Olympics, urban planning has been established and designated for the first time from 1983 to 1987 based on the construction law regulating large scale common joint development and height limit for improving city appearance and environment. Urban designing has settled as the core management system of urban planning such as constantly changing and diversifying until being established into a district unit plan by the current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and keeps on developing into a district unit plan of rather 3-dimensional and diverse purposes including city reproduction, dilapidated areas repair and market revitalization. Therefore, the study is to look at the changing stages of the urban planning content of the regions with the urban planning established and reflected for the first time and re-establish the function and roles of the district unit plan by analyzing the constructions by period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plan. Mapo district commercial area with sufficient development conditions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target among the Shinchon district unit plan areas which was the very first urban planning established region, by looking at the infrastructure such as the road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the university. In order to consider a pilot study on the overall concept change of urban planning and district unit plan, related laws, books and similar research cases were reviewed, urban planning decision books and guidelines were collected by years of the target area and the urban planning content and the surrounding urban planning status were investigated. Additionally, by investigating the status of new constructions since the urban planning by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service period(1984) before designating the urban planning until now(2013), the reflecting status by urban planning elements was verified, the construct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the types and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Although the content of urban planning since 1987 until now, 2013 has been making legally systematic and diverse changes, status of the following urban planning of the target area has showed delay in development by repeating expansion, reduction and changing. It could known that rational arbitration was necessary on parts contracted with a concern of the public and private for most of new constructions as they were residential plot development or showed a form of being constructed by going through consideration of regulation . Al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alistic plan by imposing a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 which has utilized locational benefits as the preference phase of private developers is different by blocks.

      • 경복궁 서측(서촌) 갤러리 촌 형성에 관한연구 : 서울시 통의동, 창성동, 효자동을 중심으로

        유동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초록> 21세기는‘문화와 감성', ‘소통과 참여’의 시대이다. 그러므로 각 지역은 문화와 예술에 주목하여 지역이벤트나 축제, 문화지구의 지정, 문화시설의 집적으로 문화공간의 역할과 지역이미지 제고, 이에 따른 지역의 활성화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오랜 역사와 문화의 분위기 속에서도 낙후된 주거지역으로 또는 근 , 현대사의 장소로 인식되었던 경복궁 서측(서촌)이 지나친 상업화와 과밀한 삼청동과 인사동의 대안으로 부상하였고, 밀집된 한옥과 오래된 골목길의 경관과 역사문화자원이 위치하여 구도심의 재발견으로 각광 받고 있다. 경복궁 서측(서촌)은 인위적으로 조성된 장소가 아니고 자생적으로 갤러리와 카페, 음식관련 업종의 집적으로 인하여 변화하여 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복궁 서측(서촌)을 분석, 연구하여 갤러리들의 집적으로 형성된 갤러리 촌과 카페, 음식관련업종의 입점으로 문화 소비 공간으로 변모하는 배경과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갤러리 촌 형성배경을 살펴보면 첫 번째, 역사문화자원이 풍부하게 보전되어 있고 수려한 자연환경을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가능성의 영역으로 주목되는 장소이다. 두 번째, 도심지 배후에 위치하여 광역적 접근성이 매우 양호하고 편리한 대중교통망과 평탄한 지형적 특성으로 보행의 편리함과 골목길 치안의 안전성이 담보 되고 있다. 세 번째, 도심지 타 지역 삼청동, 인사동에 비교하여 저렴한 지가는 갤 러리 입지에 경제적으로 매력적인 요소이다. 네 번째, 경복궁 서측(서촌)은 시각적 즐거움과 소음 등 예술가들이 선호 하는 분위기를 갖추고 있다. 갤러리 촌 형성과정을 정리하면 첫 번째, 1977년 1개소에서 2007년까지 6개소의 갤러리가 개관 하였으나, 2008년부터 현재까지 21개소가 개관하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초기에는 효자로 측에 인접하여 개관 하였고 2008년 이후 내부 소로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두 번째, 카페, 음식점 관련 업종들은 자하문로 측과 갤러리 주변지역으 로 양분되어 자하문로 측은 개, 폐업신고가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갤러리 주변지역은 최근에 개업신고가 늘고 있고 양식관련 업종의 입점이 증가 하고 있다. 세 번째, 초기 갤러리 입지는 공시지가와 관계없이 개관 하였으나 자하문로 측 지가의 급격한 상승으로 대상지 내부의 비교적 지가가 낮은 지역으로 갤러리 촌이 형성하였으며 카페, 음식점 관련 업종들이 갤러리 주변지역에 입점하여 주변 필지의 상승이 나타나고 있다. 연구를 종합 하면 초기의 갤러리는 갤러리 촌 형성배경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매력적 요소로 갤러리들이 개관 되었고, 그 과정 속에서 카페, 음식점 관련 업종의 개업이 증가하고, 대상지의 지가가 상승하였다. 2008년 이후에는 갤러리들은 비교적 지가가 저렴한 효자로 측과 내부소로를 중심으로 갤러리 촌을 형성하고 있으며 주변지역으로 카페, 음식점 관련 업종의 개업이 증가하고 과정에 있다. 이는 지가의 변화에 따라 갤러리들이 생성, 전개, 확산, 소멸 또는 이동한다는 갤러리 입지 주기 순환이론의 가능성을 모색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주요어 : 경복궁 서측(서촌), 갤러리, 입지, 형성과정, 갤러리 입지 주기 순환이론 <ABSTRACT> 21 century is generation of ‘Culture and Sensitivity’ and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Therefore, each region focuses on culture and art, so is much concerned role of cultural space, improvement of local image, and local vitality according to these by local event or festival, designation of local image, and accumulation of cultural facilities. West of Gyeongbokgung(Sechon) realized as backward residential section or place of modern history even in atmosphere of long history and culture emerged as an alternative of overcrowded Samcheongdong and Insa-dong having excessive commercialization, and landscape of close Korean-style house and old alley, and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were located near Gyeongbokgung, so this is in the limelight as rediscovery of old-city. West of Gyeongbokgung is not artificial place, and is changed by autochthonic gallery, café, and food shops. The researcher analyzes and studies west of Gyeongbokgung, so desires to explain background and process of its change to the place for cultural consumption through launching gallery village by accumulation of galleries, café, and food shops. Formative background of gallery village is, First,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in west of Gyeongbokgung are preserved fully and west of Gyeongbokgung holds the graceful natural environment, so west of Gyeongbokgung is focused as the place of various possibilities. Second, west of Gyeongbokgung locates behind the downtown area so universal access is so good, and convenience of walk and safety in alley are guaranteed by convenient public transportation and flat physiographic feature. Third, cheap price of land in comparison with other regions of the downtown area such as Samcheongdong and Insa-dong is attractive economically to launch gallery. Fourth, west of Gyeongbokgung has atmosphere artists prefer such as visual pleasure and noise. If formative process of gallery village is arranged, First, from one gallery in 1977 to 6 galleries until 2997 had been opened, but 21 galleries have been opened from 2008 until now. Galleries were opened near Hyojaro in early days, and have expanded territory to inside narrow path after 2008. Second, café and eatery are divided into two such as Jahamun-ro and neighboring area of galleries, so cafe and eatery in Jahamun-ro do a report of open and shut-down actively, and open report of café and eatery in neighboring area of galleries has increased and western restaurants have increased. Third, gallery was opened independently of appraised value of land in early days, but gallery village was formed in inside region whose price of land was low relatively among object regions by a sharp increase in price of land in Jahamun-ro, and eateries launch in neighboring area of galleries so there is the rise of surrounding plot of land. If the study is synthesized, early galleries were opened by several attractive elements explained in formative background of gallery village, opening café and eatery increased in this process, and price of the land increased. After 2008, galleries have formed gallery village with Hyojaro and inside narrow path, which are cheap relatively, as the center, and café and eatery in these regions have increased. Possibility of gallery location cycle circulation theory that galleries are produced, developed, expanded, died out, or moved according to changing price of land can be seeked. Keywords : west of Gyeongbokgung(Sechon), gallery, location, formative process, gallery location cycle circulation theory

      • 토지이용과 소득수준이 거주자의 건강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주시 33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유현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토지이용과 소득수준이 실제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거주민의 건강 및 정신건강을 개인변수와 환경변수로 나누어 설명하려 하였고 건강과 관련해서는 기존의 설문조사에 의한 자료 대신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불하는 진료비로 대체함으로써 의학적인 전문 데이터에 의거하여 좀 더 객관적인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개인변수와 관련해서는 공시지가와 주택유형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는데 공시지가와 주택유형은 소득과 큰 관계가 있어 소득수준으로 설명하는데 적절하였으며, 환경 변수로는 도시의 토지이용을 주거, 상업, 공업 그리고 공원/녹지로 구분하여 총 12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건강 및 정신 및 행동장애(F코드) 진료비의 구득이 가능한 전라북도 전주시 33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변수별 데이터를 구축한 후 해당 지표들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회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특성과 건강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행정동의 공시지가가 높을수록, 아파트와 연립주택이 많아질수록 건강 및 정신 및 행동장애(F코드) 진료비가 늘어나는 한편, 공시지가가 낮거나, 다세대 주택이 많아질수록 정신관련 진료비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거주자의 소득계층에 따라서 건강에 대한 관심과 지불능력이 진료비와 관계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환경특성과 건강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중에서 공원과 건강 및 정신건강의 관계는 행정동 내에 공원의 면적이 클수록 관련 진료비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원에서 건강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운동과 레크레이션, 녹지 체험이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환경특성과 건강 및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행정동 내에 주거지역과 녹지면적이 늘어날수록 건강 및 정신건강 관련 진료비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주시 주택유형의 70% 이상을 아파트가 차지하고 있음을 감안하였을때, 진료비 지출이 많은 아파트 거주자들로 인해 분석에 정의 영향을 끼쳤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녹지면적이 늘어날수록 진료비 또한 늘어나는 것은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공원과 상반되는 결과로써 전주시에서 녹지와 아파트는 상당히 유사하게 분포되어있는데 이 때문에 아파트가 가진 진료비의 특성이 녹지의 분석결과에까지 영향을 미쳐 녹지와 건강 및 정신 건강간 정의 영향을 보이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건강 및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개인 변수가 중요하며, 특히 도시계획적으로는 공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행정동 기준으로 등분포시키는 공원계획에 합리적 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대상지가 전주시로 한정되어 학문적 일반화가 어려운 점과 정신 건강과의 관계를 토지이용과 소득수준에만 집중시켰다는 점은 연구의 한계이다. 차후에는 통섭적인 모형을 설정한 후, 공원의 조성비용과 국가의 보험 부담금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국가 정책추진의 동인이 될 실증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has changed the pedestrian movement.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movement and internet photo on grid street system, and to suggest the new complementary factors of space syntax.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pedestrian volume and connectivity of space syntax is very high on grid street system. Second, old complementary factors of space syntax h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volume and distribution of the stores. Third, the distribution of the photos in the internet photo map, a newly suggested index, has the close relationship with pedestrian volume, and had the highest level of explanation when supplemented by local integration of space syntax. In conclusion, internet photo and pedestrian movement are closely related and the outcomes of space syntax using the internet photo may be utilized as a preliminary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urban space structure.

      • 어린이공원 이용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설계요소에 관한 연구 : 송파구 제2종일반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신승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 문 초 록 현재 도시계획을 진행함에 있어서 도시공원 및 녹지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도시공원은 새로운 택지개발사업 및 재건축, 재개발사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계획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떠한 친환경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모든 분야에서 높아지면서 도시공원의 설치방법과 기준도 시대에 맞추어 개선되고 발전해 가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 발맞추어 어린이공원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실제로 도심지에 있는 어린이공원은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그러나 어린이공원의 이러한 변화가 주로 놀이시설의 개선, 운동기구의 현대화, 바닥재의 교체 및 어린이공원의 특화요소 도입 등 공원시설 및 환경개선 측면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원시설측면이 아니라 어린이공원을 구성하고 있는 도시설계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 도시설계요소가 어린이공원 이용활성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향후 어린이공원 계획에 있어서 이와 같은 도시설계요소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그 계획방향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였는데 그 선정조건으로 첫째, 현재 어린이공원이 고르게 분포되어 잘 운영되고 되고 있는 지역일 것과 둘째, 아파트 단지 등 대규모 필지로 개발되지 않은 제2종 일반주거지역중 저층주거 밀집지역일 것이다. 이와 같은 선정조건에 의거 서울시내에서 제2종 일반주거지역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송파구를 대상지로 선정하고 그중에서도 저층주거가 가장 넓게 분포되어 있는 7개 동 즉, 잠실본동, 삼전동, 석촌동, 송파1, 2동, 방이1, 2동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위 대상지내에 있는 총 28개의 어린이공원의 일반현황을 조사하고 각 공원의 이용활성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일과 주말로 나누어서 걱 어린이공원을 이용하는 인원수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 조사를 토대로 어린이공원을 이용하는 인원이 많은 공원과 상대적으로 이용하는 인원이 적은 공원을 각각 6개 공원씩 활성화공원군과 비 활성화공원군으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어린이 공원을 구성하고 있는 도시설계요소를 도출한 후 그 요소를 지역지구, 주변용도, 주거지, 도로, 필지, 주차, 건물배치 등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분류된 각각의 도시설계요소를 바탕으로 활성화 공원과 비 활성화공원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어린이공원 이용활성화에 있어서 도시설계요소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요약 정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어린이공원을 계획할 때에 필요한 도시설계요소의 계획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제안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공원이 주거지 내에 균질하게 분포하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둘째, 어린이공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인접도로보다 접근할 수 있는 도로를 많이 설치해야 한다. 셋째, 어린이공원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인접도로의 폭을 최소화하고 주차가 최소화되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넷째, 어린이공원의 독립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필지 계획시 주출입방향과 건물의 측면배치를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어린이공원 이용활성화에 대하여 도시설계요소를 바탕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는 차별화 되었다. 또한 향후 어린이공원 계획시 도시설계요소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하는 대상지가 송파구에 국한되었다는 점은 본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앞으로의 연구는 각각의 도시설계요소별로 더욱 밀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가 어린이공원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작은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 마스터플랜 공모방법과 수립과정이 도시형태에 미치는 영향분석 : 세종시 2-3생활권과 2-2생활권 비교중심으로

        노홍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서울市立大學校 都市科學大學院 국 문 초 록 마스터플랜 공모방법과 수립과정이 도시형태에 미치는 영향분석 -세종시 2-3생활권과 2-2생활권 비교중심으로- 90년대 이후 대규모 신도시 설립을 추진하면서 여러신도시에서 마스터플랜 현상설계를 진행해 왔다. 과거 분당, 일산등 1기신도시나 동탄1, 판교, 김포, 동탄2, 위례, 국민임대주택단지, 보금자리주택단지등 수많은 신도시를 진행하면서 마스터플랜 현상설계를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서 진행해왔다. 하지만 블록별 건축계획 진행시 MP심의나 MP자문, 지구단위계획등을 통해서 계획을 유도하는방법으로 진행하고 있지만, 이런 현상설계안이 블록별 설계까지 진행하는 경우는 어려운일이다. 현상설계안이 토지공급을 고려하지 않은 현실적이지 못한부분도 있지만 진행과정에 있어서의 불합리한점도 있다. 세종시도 기존 신도시와 마찬가지로 마스터플랜 현상설계를 진행했다. 세종시는 생활권별로 마스터플랜 현상설계를 진행해왔다. 그중 시범단지인 2-3생활권은 다른 타생활권보다 먼저 다른방법으로 마스터플랜 현상설계를 진행했고, 마스터플랜 및 지구단위계획 수립과정도 다르게 진행했다. 그 결과 2-3생활권은 다른 기초생활권과는 도시형태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도시형태의 차이가 도출되게된 원인을 마스터플랜 현상설계의 공모시기와 공모방법의 차이, 마스터플랜 및 지구단위계획 수립과정의 차이에서 영향분석을 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마스터플랜 공모 시기와 공모방법, 마스터플랜 및 지구단위계획 수립과정이 차이가 있으면 도시형태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마스터플랜에서 지구단위계획까지의 일체적이고 입체적인 도시건축 통합형 도시계획디자인을 추구할때는 개발계획안이 확정되기전에 마스터플랜을 공모하는게 효과적일 수 있다는점이다. 셋째, 택지와 주거단지의 통합개발계획을 진행할고자 할때는 진행주체가 공공기관이 최선이며, 민간에게 공급시에는 지구단위계획에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넷째, 대규모 신도시를 진행할때는 여러 가지 계획수립에 필요한 사전연구가 필요하고 마스터플랜 공모시 제공되어야만 한다는 점이다. 다섯째, 마스터플랜이 지구단위계획수립에서 개념이 변경되지않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수행조직이 도시계획가와 건축가가 동등하게 용역책임을 수행하는 방법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세종시라는 대규모 자족형 계획도시 건설과정에서 택지와 주거단지 통합개발을 추구하는 계획에 있어서 어떤 과정이 진행되어졌는지 대표적인 주거단지 기초생활권인 2-3생활권과 2-2생활권의 마스터플랜 공모방법과 마스터플랜 및 지구단위계획 수립과정을 비교분석해 보고 도시형태의 차이를 비교분석해보는 목적을 갖는다. 주요어 :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 시범단지, 마스터플랜, 도시형태, 마스터플랜 현상설계, 도시건축 통합설계, 지구단위계획, 첫마을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competition methods and establishment process of master plan on urban form -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2-2 and 2-3 living area - Since the 90's, master plan competition was introduced by many new towns with implementing large-scale new town planning. In the past, master plan competition was promoted with diverse method in the first new town such as Bundang, Ilsan, and etc. and many large-scale housing development districts such as Dongtan 1st and 2nd district, Pangyo, Gimpo, Wirye, National Rental Housing, and Bogeumjari Hous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oceed architectural design of each block on the master plan of competition winner, although each block's architectural plan is controlled by Master Plan review & advice, and Unit District Plan. It is because supply of land is not considered in the competition process and there are difficulties on the process to apply master plan of competition in practice. Similarly with existing new town, Sejong city implemented master plan competition in each living area. Among them, 2-3 living area, a model complex of Sejong City, held master plan competition in advance with different method and proceeded the establishment of master plan and Unit District Plan with different approach as well. As a result, 2-3 living area is distinguished from other areas by urban form. This study analyzed on the factors, which caused differences in urban form, by period of time and promotion method of competitio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master plan, and Unit District Plan.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came to a conclusion as follows. Firstly, it is possible to be different in urban form, if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eriod of time and promotion method of competitio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master plan, and Unit District Plan. Secondly, it can be effective to promote master plan competition before development plan is fixed, when new town pursues urban architecture integrated planning which is three-dimensional and consolidated from master plan to Unit District Plan. Thirdly, it is ideal for harmonized development if public agency can be main body in development process and rigid control over District Unit Plan is required if private sector develops land by itself. Fourthly, research in advance is necessary before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large-scale new town and collected data from advanced research should be provided for master plan competition. Fifthly, to maintain original concept of master plan during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Unit District Plan, it is required to devise method how urban planner and architect can equally take responsibility for the project in perform organization. This study is on the purpose of comparing and analyzing competition method for master pla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Unit District Plan for 2-3 and 2-2 living area, and differences in urban form during the process of integration between land for housing and housing complex in Sejong city, a large-scale & self-sufficient planned city Key Words :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Sejong City, Model complex, Master Plan, Urban Form, Master Plan Competition, Urban Architecture integrated plan, First T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