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여성의 자원봉사 활동유효성과 가정생활만족도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전정미 가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자원봉사 활동유효성과 가정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만 40세에서 만 59세까지의 중년여성 336명이다. 측정도구는 자원봉사자의 활동유효성의 경우 구혜영(2005)이 자원봉사자 특성에 맞게 재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아정체감은 박아청(1996)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를 박경혜(2003)가 중년 여성에 맞게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가정생활만족도 척도는 임정빈(1998)과 강기연(2000)의 척도에 기초하여 김연화(2002)가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검정과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중년여성의 자원봉사 활동유효성은 평균 4.05점, 하위요인 중 활동지속의지가 4.09점, 활동몰입 4.05, 활동만족 4.01 순서로 나타났다. 자아정체감은 평균 3.59점이고, 세부적으로는 목표지향성이 3.79로 가장 높고, 친밀성 3.76, 정체성유예 3.54 순서로 나타났으며 가정생활만족도는 3.6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를 보면, 연령에 따른 자원봉사 활동유효성은 차이가 없었으며, 자아정체감 은 하위요인 중에서 정체성유예(p<.05), 목표지향성(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종교에 따른 차이는 활동유효성 하위요인 중 지속의지(p<.05)에 대해서만 차이를 보였다. 학력에 따른 차이는 자아정체감은 하위요인 가운데 정체성 유예(p<.05), 주도성(p<.05)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유무에 따른 차이는 자아정체감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유효성은 유효성 전체(p<.05)와 활동지속의지(p<.05)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차이는 자원봉사 활동유효성의 하위요인 중 활동지속의지(p<.05)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아정체감은 하위요인 중 목표지향성(p<.001), 주도성(p<.001)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수준에 따른 차이는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인 목표지향성(p<.01)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구성 형태 에 따른 차이는 자원봉사 활동유효성의 하위요인 중 활동만족(p<.01), 활동몰입(p<.05)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자원봉사 활동유효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활동지속의지(p<.01)에 대해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자아정체감은 하위요인 중 정체성유예(p<.01), 목표지향성(p<.01), 정체성혼미(p<.001), 친밀감(p<.05)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중년여성의 자원봉사 활동유효성이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원봉사 활동유효성(p<.001)은 가정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원봉사 활동유효성이 높을수록(B=.398) 가정생활만족도가 높아지고, 설명력은 14.8%로 나타났다. 중년여성의 자원봉사 활동유효성 하위요인이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활동몰입(p<.01)과 활동지속의지(p<.05)가 가정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이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정체감은 가정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자아정체감이 높을수록(B=.496) 가정생활만족도가 높아지며, 설명력은 14.8%로 나타났다.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 하위요인이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목표지향성(p<.001), 자기수용성(p<.05), 주도성(p<.01) 요인이 가정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원봉사 활동유효성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설명력은 23.0%이었다. 자원봉사 활동유효성 하위요인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은 활동몰입(p<.01), 활동지속의지(p<.001)는 자아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4.3%이었다. 여섯째, 자원봉사 활동유효성과 가정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 활동유효성(β=.260)과 자아정체감이 높을수록(β=.260) 가정생활만족도가 높아지며, 가정생활만족도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20.0%로 나타났다. 자원봉사 활동유효성의 하위요인과 가정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활동만족은 매개효과가 없었으며, 활동몰입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지속의지는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년여성의 자원봉사 활동유효성과 자아정체감은 가정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중년여성들이 자원봉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기관·단체에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중년여성들의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중년여성의 자원봉사 활동유효성은 중년기 역할변화에 따른 자아정체감 확립을 도와주고, 가정생활만족도가 향상되는 만큼, 봉사단체나 관련 기관에서도 단순 반복적이고 노동집약적인 봉사활동보다는 중년여성이 갖고 있는 개인적 특성과 전문성 등을 충분히 고려한 자원봉사활동이 될 수 있도록 보다 정교한 정책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열의 및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

        황재형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청소년의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학업열의와 삶의 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양상을 규명하고, 부정적 부모양육태와 삶의 만족도의 종단적 관계에서 학업열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자료 중에서 1차 년도(중1), 2차 년도(중2), 3차 년도(중3)에 응답한 총 2.325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2.0과 Amo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학업열의, 삶의 만족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의미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변인 모두 초기치와 변화율의 평균과 분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개인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학업열의와 삶의 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초기값은 학업열의 초기값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의 변화율은 학업열의 변화율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의 초기값은 학업열의 변화율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에 부정적 부모양육태도를 높게 인식한 청소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학업열의 감소가 완만하게 진행됨을 의미한다. 넷째, 학업열의 초기값은 삶이 만족도 초기값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으며, 학업열의 변화율도 삶의 만족도 변화율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다섯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초기값은 삶의 만족도 초기값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으며,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변화율은 삶의 만족도 변화율에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초기값과 삶의 만족도 초기값과의 관계에서 학업열의 초기값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p<.01수준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곱째,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초기값과 삶의만족도 변화율과의 관계에서 학업열의 변화율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p<.05수준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덟째,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변화율과 삶의 만족도 변화율과의 관계에서 학업열의 변화율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p<.01 수준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인 부모양육태도 개선을 위해 학교현장 뿐만 아니라 청소년상담복지센터, 가족센터 등에서 효율적 부모역할훈련프로그램 및 부모교육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의 학업열의를 증진하고 학업소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성과추구행동, 학업진보격려행동, 학습선택권부여행동 등과 같은 학습관여행동을 적극 실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중학교 3학년 자료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등교가 중단된 상태에서 조사되었기 때문에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열의의 변화양상에 일시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지 후속 연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의 변화와 학업열의의 변화가 삶의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파악하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대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adolescents'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 academic enthusiasm, and life satisfaction over time,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thusiasm i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a total of 2.325 people responded to the first year (middle school), the second year (middle school), and the third year (middle school 3).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and Amos 25.0 statistical programs, and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academic enthusiasm, and life satisfaction changed significantly over time. In addition, the mean and variance of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l of these variables, indicating that there was an individual difference.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and analyzing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 academic enthusiasm,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itial value of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enthusiasm.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itial value of the negative parent parenting attitude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enthusiasm. This means that adolescents who perceived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high in the early stages gradually decrease their academic enthusiasm over time. Fourth,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enthusiasm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satisfaction, and the rate of change of academic enthusiasm also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life satisfaction. Fifth, the initial value of the negative parental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ts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rate of change in the negative parental attitude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life satisfaction.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enthusia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negative parent parenting attitude and the initial value of life satisfaction, p<.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at the 01 level.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enthusia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 and the rate of change in life satisfaction, p<.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at the 05 level. Eigh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enthusia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change in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 and the rate of change in life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at the level of p<.01.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som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 efficient parental role training programs and parental education should be activated not only at the school site but also at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s and family cent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duct learning center travel activities such as performance-seeking behavior, academic progress encouragement behavior, and learning option travel dongs to promote adolescents' academic enthusiasm and prevent academic exhaustion. Third, in the case of the middle school 3rd grade data used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rough follow-up studies whether it temporarily affected the change in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and academic enthusiasm because it was investigated while school was suspended due to COVID-19. Neverthel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basic data for preparing practical and policy alternatives that can improv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by grasping the longitudinal effect of changes in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and academic enthusiasm on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초기청소년의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위축 및 스마트폰의존도 간의 종단적 관계

        김양희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longitudinal changes in posi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social atrophy and smartphone dependence,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trophy i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and smartphone dependence. Among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and Amos 25.0 statistical programs, and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 total of 2,054 people responded to the first year (elementary school 4), the second year (elementary school 5), and the third year (elementary school 6).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 social atrophy, and smartphone dependence of early adolescents changed significantly over time. In addition, the mean and variance of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l of these variables, indicating that there was an individual difference.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and analyzing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 social atrophy, and smartphone depend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itial value of positive parental atrophy had a nega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atrophy change rat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itial value of the positive parent parenting attitude of early adolescents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smartphone dependence, and the change rate of the positive parent parenting attitude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smartphone dependence dependence. Fourth, the initial value of social contraction showe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smartphone dependence, and the rate of change in social contraction showe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smartphone dependence.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itial social contraction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posi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 and the initial value of smartphone dependence, p<.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at the 05 level.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ocial atrophy change r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rate of posi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 and the change rate of smartphone dependence, p<.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at the level of 01.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som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education and family therapy parental counseling should be continuously strengthened in the early stages as possible so that early adolescents can positively recognize their parents' parenting attitudes. Second, socially depressed adolescents need emotional stability and training and treatment through a behavioral therapy approach, considering the need to promote them to recognize and express their emotions and desires well. Third, in the case of the 6th grade data used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heck through follow-up studies whether it temporarily affected the change in posi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and social atrophy because it was investigated while school was suspended due to COVID-19. Neverthel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basic data to prepare practical and policy alternatives to smartphone dependence of early adolescents by grasping the longitudinal effect of changes in positive parental attitude and social atrophy on smartphone dependence. 본 연구는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사회적위축과 스마트폰의존도에 대한 종단적 변화양상을 규명하고,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폰의존도의 종단적 관계에서 사회적위축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자료 중에서 자료분석은 SPSS 22.0과 Amo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년도(초4), 2차 년도(초5), 3차 년도(초6)에 응답한 총 2,054명이다. 첫째, 초기청소년의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사회적위축, 스마트폰의존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의미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변인 모두 초기치와 변화율의 평균과 분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개인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사회적위축과 스마트폰의존도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초기값은 사회적위축 초기값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의 변화율은 사회적위축 변화율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초기청소년의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초기값은 스마트폰의존도 초기값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변화율은 스마트폰의존도 변화율에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위축 초기값은 스마트폰의존도 초기값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고, 사회적위축 변화율은 스마트폰의존도 변화율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다섯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초기값과 스마트폰의존도 초기값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위축 초기값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p<.05수준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변화율과 스마트폰의존도 변화율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위축 변화율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p<.01수준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청소년들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가능한 초기단계에서 부모교육 및 가족 치료적 부모상담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으로 위축된 청소년은 정서적으로 안정이 필요하며,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잘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촉진할 필요가 있음을 고려하여 행동치료학적 접근을 통한 훈련과 치료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초등학교 6학년 자료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등교가 중단된 상태에서 조사되었기 때문에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위축의 변화양상에 일시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지 후속연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의 변화와 사회적위축의 변화가 스마트폰의존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파악하여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초기청소년의 스마트폰의존도에 대한 실천적·정책적 대안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빈곤원인인식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소득분배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미진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Effects of the Awareness of Poverty Causes on Welfare Attitude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Awareness of Income Distribution Kim, Mi-jin Major in Social Welfare Counseling Graduate School of Administration Kaya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Ahn, Sang-Keu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awareness of income distribution on relations between the awareness of poverty causes and welfare attitude.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1,719 respondents that gave their answers both in the survey of household members and the additional survey on welfare awareness in the 14th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The data analysis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48.3% and 51.7% of the subjects were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As for age, those who were in their fifties accounted for the biggest portion at 26.0%. As for educational backgrounds,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or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recorded the highest percentage at 38.2%. As for income, 84.2% and 15.8% were under and above the 60% level of median income, respectively.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means of the major variables and found that personal behavior, personal fate, and social structure under the awareness of poverty causes recorded 3.25, 2.85, and 2.95, respectively. The means of the awareness of income distribution and welfare attitude were 3.68 and 3.16, respectively. Third, the study analyz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found that those who were younger than 30 considered the social structure as a cause of poverty significantly more than those who were in their fifties. Those who were under the 60% level of median income had higher welfare attitude than those who were above the level. Those who had a progressive political tendency had higher awareness of income distribution and welfare attitude than those who had a moderate or conservative one. Fourth,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factors of the awareness of poverty caus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welfare attitude and found that personal behavior(p<.001) and social structure(p<.001) had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on welfare attitude, respectively. Fifth, the study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factors of the awareness of poverty caus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wareness of income distribution and found that personal behavior(p<.01) and social structure(p<.001) had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on the awareness of income distribution, respectively. Finally, the study test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awareness of income distribution on relations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awareness of poverty causes and welfare attitude and found that the awareness of income distributio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personal behavior and welfare attitude and between social structure and welfare attitud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a couple of proposals: First, given th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income distribution and welfare attitude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 and political tendencies, there is a need to provide promotions and programs to change the awareness of poverty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condly, there should be measures to help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nd practitioners in social welfare form an attitude of attributing poverty to social structure issues. In college, a poverty subject should be created to help students establish a realistic attitude toward poverty with proper connections established between the school and the field of practice to enable them to have a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field. In addition, technical and supplementary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regularly to civil servants responsible for social welfare work so that they can accept the changing social phenomena and changes to the poverty structure quickly and reduce their negative awareness of poverty. The present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future welfare policies by investigating effects on the awareness of poverty causes that did not attract much attention as a factor influencing welfare attitude and check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awareness of income distribution on relations between the awareness of poverty causes and welfare attitude,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국문초록> 본 연구는 빈곤원인인식과 복지태도와의 관계에서 소득분배인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4차 가구원조사와 복지인식 부가조사에 모두 응답한 1,71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자료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성별은 남성이 48.3%, 여성이 51.7% 였으며, 연령은 50대가 26.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학력은 대졸이상이 38.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소득은 중위소득기준으로 60%이하가 84.2%, 60%이상이 15.8%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수의 평균값을 보면, 빈곤원인인식의 하위요인 중 개인행태는 3.25점, 개인운명은 2.85점, 사회구조는 2.95점이었고, 소득분배인식의 평균값은 3.68점, 복지태도 평균값은 3.16점이었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30대미만 집단이 50대 집단보다 빈곤원인을 사회구조로 보는 경우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위소득 60%이하인 집단이 이상인 집단보다 복지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정치성향이 진보적인 집단이 중도나 보수집단보다 소득분배인식과 복지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빈곤원인인식 요인별로 복지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한 결과, 개인행태요인(p<.001)은 복지태도에 부적(-)으로, 사회구조요인(p<.001)은 복지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빈곤원인인식 요인별로 소득분배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한 결과, 개인행태요인(p<.01)은 소득분배인식에 부적(-)으로, 사회구조요인(p<.001)은 소득분배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빈곤원인인식 하위요인과 복지태도와의 관계에서 소득분배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개인행태요인과 복지태도와의 관계에서 소득분배인식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구조요인과 복지태도와의 관계에서 소득분배인식도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수준과 정치성향에 따라 소득분배인식과 복지태도에 차이가 있는 만큼,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빈곤인식전환 홍보 및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과 사회복지 실천가들이 빈곤원인을 사회구조적 문제에 귀인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는 방안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 교과에서부터 빈곤의 현실적 태도를 정립할 수 있도록 빈곤과목을 개설하고, 현장에 대해 실질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학교와 실천현장의 연계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담당공무원에 대한 전문교육과 보수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변화하는 사회현상과 빈곤구조의 변화 등을 신속히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빈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줄여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크게 주목을 받지 못했던 빈곤원인인식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하고, 빈곤원인인식과 복지태도와의 관계에서 소득분배인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복지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변화에 미치는 효과

        단문경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어떠한 변화를 보였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밀양시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만성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나누고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2016년 9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14회기 동안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초기(1-3회기)는 긴장이완 및 관계형성, 중기Ⅰ(4-7회기)는 자기탐색 및 표현, 중기Ⅱ(8-11회기)는 대인관계형성 및 상호작용을 촉진하였고, 마지막으로 후기(12-14회기)는 전체프로그램을 정리하고 마무리 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에는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측정도구로 자아존중감은 Rogenberg(1965)의 자아존중감척도를 전병재(1974)가 번역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인관계변화척도는 Schlein과 Guerney(1971)가 개발하고 문선모가(1980)가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맨-휘트니 U(Mann-Whitney U)검정을 실시하였고,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사전·사후 변화는 윌콕슨 부호순위검정 (Wilcoxon Signed Ranked Test)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만성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해볼 때, 실험집단 10명 모두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되었으나 통제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없어(Z=-1.409, p=.159)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만성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인관계변화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해볼 때, 실험집단 10명 모두 총체적 대인관계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Z=-2.807, p=.005), 통제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Z=-0.917, p=.359). 대인관계의 하위영역인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친근감, 민감성, 개방성, 이해성 역시 점수가 향상되어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변화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만성정신장애인들은 미술매체의 활용과 집단미술활동을 통해 자신을 표현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고, 대인관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므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본 연구의 의의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만성정신장애인들에게 꾸준히 활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짧은 기간에 이루어진 효과이기 때문에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추후의 변화를 알아볼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만성정신장애인의 경우 개인 간의 차이 및 특징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환경의 변화 및 스트레스에 따라 프로그램 진행 시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인들을 고려하여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of people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It aimed to determine how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changed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people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who were users of the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in Miryang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N=10) and control (N=10) groups to perform pretest and post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run in a total of 14 sessions―60 minutes per session―on a weekly basi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6; the early phase (1-3 sessions) was for relaxation and relationship establishment, the middle phase I (4-7 sessions) was for self-exploration and expression, the middle phase II (8-11 sessions) was to establis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acilitate interaction, and the late phase (12-14 sessions) was to summarize and finish the entire program. No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run in the control group. Jeon's (1974) translation of the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genberg (1965), which contained a total of 10 items, was used to measure self-esteem. Moon's (1980) adaptation of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Schlein and Guerney (1971), which contained a total of 25 items, was used to measure the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data analysis,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level of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pretest and Wilcoxon Signed ranked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self-esteem of people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The program positively affected self-esteem of people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all of the ten pers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for self-esteem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whereas no signifi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ontrol group (Z=-1.409, p=.159).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people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All of the ten pers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for genera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Z=-2.807, p=.005), whereas no signifi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ontrol group (Z=-0.917, p=.359).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people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the scores for such sub-area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satisfaction, communication, confidence, intimacy, sensitivity, openness, and understanding were also higher in the posttes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people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saw self-esteem improve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ositively changed through self-expression by using art media and doing group art activity. S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cluded that a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people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apply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people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on a steady basis. Second, sinc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made short-term effects and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ow long the effects last, it is necessary to conduct continuous research to examine long-term changes. Third, people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showed different symptoms according to interpersonal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and were affected by the environmental changes and stress in running the program.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taking these variables into account.

      •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하는 정서요인, 부모진로지지, 자아존중감, 진로장벽과 진로태도결정성과의 구조적관계

        우영숙 가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had been carried out to find out ab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emotional factor, the parental career support, the self-esteem, the career barrier, and the career attitude determina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Regarding the data for the research, the final 1,233 persons had been analyzed, excluding the 392 persons whose fathers were the foreigners or whose parents were the foreigners and the 9 copies that answered insincerely, among the 1,634 people who responded to the investigation in the 6th year among the respondents who were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In this research, regarding the depression scale, the scale that had been developed by Kim, Kim and Won (1984) and that had been revised by Lee, et al (2011) had been used. For the social withdrawal scale, the scale that had been developed by Kim and Kim (1998) and that had been revised and supplemented by Lee, et al. (2011) had been used. For the parental career support scale, from the Korean Parental Career related Behaviors(K-PCB) that is related to the parental career that had been developed by Cho, et al (2013), by extracting the three questions each regarding the father's career support and the mother's career support, they had been used. Regarding the self-esteem scale, 4 questions were extracted and used out of the 16 questions that were related to the self-respect that had been developed by Coopersmith (1967) and that had been used by Park and Oh (1992) in the self-concept test. Regarding the career barrier scale, a total of 9 questions had been used by extracting and revising them with 3 questions each for the domains of the insufficiency of the self-understanding, the insufficiency of the career and job information, and the economic difficulty among the questions of the career barrier scale that had been developed by Lee (2005). Regarding the career attitude determination scale, 10 questions that pertained to the career attitude determination had been used from the level of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that had been developed by Lee and Han (1998). The analysis of the data had been carried out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s of SPSS 22.0 and Amos 25.0. And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if I take a look at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main variables, among the emotional factors, the depression averages showed the 1.71 points and the social withdrawal showed the 2.32 points. Between the parental career support factors, the father's career support showed the 2.77 points and the mother's career support showed the 2.87 points. The self-esteem showed the 3.14 points, and regarding the career barrier, the insufficiency of the self-understanding showed the 2.15 points, the insufficiency of the career and job information showed the 2.24 points, and the economic difficulty showed the 2.01 points. The average value of the career attitude determination showed the 2.59 points. Secondly, regarding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as a result of taking a look at the correlations among the emotional factor, the parental career support, the self-esteem, the career barrier, the career attitude determination, most of them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Thirdly, regarding the emotional factor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 of the self-esteem, th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 with the emotional factor and the career barrier, and th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of the parental career support and the self-esteem, all of them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ly, regarding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 with the self-esteem and the career barrier and th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 too, with the career barrier and the career attitude determination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factor and the career attitude determination of the adolescent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barrier was confirmed. Sixthly, from the path of 'the emotional factor -> the self-esteem -> the career barrier -> the career attitude determination' and the path of 'the parental career support -> the self-esteem -> the career barrier -> the career attitude determinat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regarding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the self-esteem and the career barrier was confirmed. As a result, in order to improve the reverse-functional, emotional factor like the depression and the social withdrawal that have been experienced by the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must be heightened by invigorating the peer counseling program on the school level and the diverse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s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must be pushed ahead aggressively. Also, the specialized career counseling must be provided, including the expansion of the opportunity for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obtain the appropriate career information and the others of the like.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서요인, 부모진로지지, 자아존중감, 진로장벽과 진로태도결정성과의 구조적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MAPS) 다문화청소년 응답자 중 6차년도 조사에 응한 1,634명 가운데 아버지가 외국인이거나, 부모 모두 외국인인 392명과 불성실하게 응답한 9부를 제외하고 최종 1,233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우울척도는 김광일, 김재환과 원호택(1984)이 개발하고 이경상 외(2011)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위축 척도는 김선희와 김경연(1998)이 개발하고, 이경상 외(2011)가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부모진로지지 척도는 조아라 외(2013)가 개발한 한국판 부모 진로관련 행동척도(K-PCB)중 부진로지지, 모진로지지 각 3문항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척도는 Coopersmith(1967)가 개발하고 박난숙과 오경자(1992)가 자아개념검사에서 사용한 자아존중 관련 16문항 중 4문항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진로장벽척도는 이은설(2005)이 개발한 진로장벽 척도 문항 중 자기이해 부족, 진로 및 직업정보의 부족, 경제적 어려움의 영역에서 각각 3문항씩 총 9문항을 발췌·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진로태도결정성척도는 이기학과 한종철(1998)이 개발한 진로태도성숙도 중 진로태도결정성에 해당하는 10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Amo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를 살펴보면, 정서요인 중 우울 평균은 1.71점, 사회적 위축은 2.32점을 보였다. 부모진로지지 요인 중 부진로지지는 2.77점, 모진로지지는 2.87점을 보였다. 자아존중감은 3.14점을 보였고, 진로장벽은 자기이해부족이 2.15점, 진로 및 직업정보부족이 2.24점, 경제적 어려움이 2.01점을 보였다. 진로태도결정성의 평균값은 2.59점을 나타내었다. 둘째, 관찰변인인 다문화 청소년의 정서요인, 부모진로지지, 자아존중감, 진로장벽, 진로태도결정성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다문화 청소년의 정서요인과 자아존중감의 표준화경로계수,정서요인과 진로장벽과의 표준화경로계수, 부모진로지지와 자아존중감의 표준화경로계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장벽과의 표준화경로계수와 진로장벽과 진로태도결정성과의 표준화경로계수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서요인과 진로태도결정성과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정서요인→자아존중감→진로장벽→진로태도결정성’ 경로와 ‘부모진로지지→자아존중감→진로장벽→진로태도결정성의 경로에서 자아존중감과 진로장벽의 이중 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이 지역사회나 학교 구성원으로부터 존중과 지원을 받고, 차별과 편견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학교차원에서 다문화 수용성을 강화하는 또래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특성상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다양화되고,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자아탐색, 감정표현, 긍정적 사고 등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다문화 청소년이 안고 있는 진로장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직업 탐색 및 체험 기회를 늘리고, 다문화 청소년에게 특화된 진로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

        신명수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for an alternative that can improv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nger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For the measurement of the personality level, the scale for the use with the university students that had been developed by Kim, Seon-joo(2017) based on the core value virtue in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had been used. Regard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the tool that had been developed by Waner(2007), which had been adapted by PSI Consulting in Korea, which, then had been revised by Chung, Tae-yeong(2011) had been used. Regarding the anger control, from the scale(STAXI-K) that had been developed by Chun, Gyeong-goo et al.(1997) as the Korean version based on the condition-characteristic anger expression scale that had been developed by Spielberger, Krasner, and Solomon(1988), the 8 questions that pertain to the anger-control had been used. Regarding the analysis of the data, by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he t-test and the ANOVA,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that is based on the mediation model of Baron and Kenny (1986) had been carried out. If I were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ly, the averages of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was 3.98 points and 3.81 points, respectively, based on the full score of 5 points. And the average of the anger control was 3.02 points based on the full score of 4 point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sonality level,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and the anger control of the university student,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most of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were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on the level of p<0.001. Thirdly, the personality level of the university student had given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p<0.001). Or, in other words,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personality level(β=.623),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got. And the explanatory power(adjR2) was 38.6%.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s of the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level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communication(β=.124), thoughtfulness(β=.290), cooperation(β=.138) and responsibility(β=.349),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go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5.8%. Fif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ity level on the anger control,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personality level(β=.527), the higher the anger control go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7.5%. It appeared that, among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level, the higher the honest(β=.176), communication(β=.222), and responsibility(β=.195), the higher the anger control got. Six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anger control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 ship capability,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anger adjustment (β=.415),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go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6.9%. Seventh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ire personality level of the university student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the anger control was confirmed. And, in a Sobel-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Eigh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nger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it appeared that, among the sub-factors, the communication and the responsibility had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s. And, in a Sobel-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If I were to propose a few th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y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rsonality level of the university student, by generally considering the contents, including the identity,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sympathizing and solidarity capabilities, the community awareness, etc., the development of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must be pushed ahead. Second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anger control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an anger control program that integrally carries out the self-awareness regarding an anger situation, the cognitive bias, the misinterpretation self-awareness, the execution and practise of a positive alternative, etc. on the level of the university must be invigorated. Also, there is a need to aggressively push ahead with the conversation skills, the sympathization training, the emotional expression, the listening closely, the argument training, etc. through a social skills promotion program. Lastly, regarding this research, it has the meaning with regard to the point that,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nger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rsonality level had been developed and a basic material with regard to the preparation of a practical intervention plan for the control of the anger emotion had been provided.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인성수준의 측정은 김선주(2017)가 인성교육 진흥법의 핵심가치덕목에 근거하여 개발한 대학생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인관계능력은 Waner(2007)가 개발하고 국내의 PSI컨설팅이 번안한 도구를 정태영(2011)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분노조절은 Spielberger, Krasner와 Solomon(1988)가 개발한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에 기초하여 전겸구 외(1997)가 한국판으로 개발한 척도(STAXI-K) 중 분노조절(anger-control)에 해당하는 8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과 ANOVA, 상관관계 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모델에 근거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의 평균은 5점 만점기준으로 각각 3.98점과 3.81점이었으며, 분노조절의 평균은 4점 만점기준으로 3.02점이었다. 둘째,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 분노조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대부분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인성수준은 대인관계능력(p<.001)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즉 인성수준이 높을수록(β=.623) 대인관계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adjR2)은 38.6%이었다. 또, 인성수준의 하위요인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소통(β=.124), 배려(β=.290), 협동(β=.138) 그리고 책임(β=.349)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5.8%이었다. 넷째, 인성수준이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성수준이 높을수록(β=.527) 분노조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7.5%이었다. 인성수준의 하위요인 중에는 정직(β=.176), 소통(β=.222), 책임(β=.195)이 높을수록 분노조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분노조절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분노조절이 높을수록(β=.415) 대인관계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6.9%이었다. 여섯째, 대학생의 인성수준 전체와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Sobel-test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일곱째, 인성수준 하위요인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중 소통과 책임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bel-test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인성수준 향상을 위해 정체성, 의사소통능력, 공감·연대능력, 공동체의식 등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 둘째, 대학생의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해 대학차원에서 분노상황에 대한 자각, 인지적 편향과 오해석 자각, 긍정적 대안의 실행과 연습 등을 통합적으로 실시하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한다. 또한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대화기술과 공감훈련, 감정표현, 경청하기, 주장훈련 등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인성수준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분노감정 조절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학습몰입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최인하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학습몰입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 학위과정에 재학 중인 만 30세 이상 성인학습자 275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과 ANOVA, Pearson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는 Hayes의 Process macro 프로그램 Model 4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성별은 남성 36명(13.1%), 여성 239명(86.9%)이었으며, 연령은 39세 이하가 31명(11.3%), 40-49세가 87명(31.6%), 50-59세가 122명(44.4%), 60세 이상이 35명(12.7%)이었다. 둘째, 주요 변수의 평균값은 5점 만점기준으로 긍정심리자본 3.76점, 자기주도학습능력 3.81점, 학습몰입 3.54점이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하위요인 중 학습실행은 남성보다 여성이 높게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 중 낙관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 하위요인 중 학습실행은 50대가 39세 이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년에 따라 긍정심리자본과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3학년 이상이 1학년보다 높았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 전체와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는 모든 변인 간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심리자본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β=.719) 학습몰입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β=.220), 희망(β=.337)과 낙관성(β=.221)이 높을수록 학습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성인학습자들의 긍정심리자본(β=.757)이 높을수록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아지며, 자기주도학습능력(β=.728)을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학습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과 희망, 낙관성과 학습몰입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회복탄력성과 학습몰입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자본은 학습이나 훈련에 의해서 변화가 가능한 상태적(state-like)인 것이므로 성인학습자들의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을 학년 초기부터 체계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긍정심리자본과 학습몰입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학습자 특성에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학습자특성과 학습환경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장면에서 고려해야 할 학습자특성과 그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rning commit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75 adult learners aged 30 or older who are enrolled in university degree cours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for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by applying Hayes' Process macro program Model 4.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 of the study subjects was 36 men (13.1%) and 239 women (86.9%), and 31 women (11.3%) were under the age of 39, 87 (31.6%) were 40-49, 122 (44.4%) were 50-59, and 35 (12.7%) were over the age of 60. Second, the average value of major variables was 3.76 points f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3.81 points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3.54 points for learning commitment based on a perfect score of 5.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the sub-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omen were higher in learning execution than men. Among the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earning execution among the sub-factors of optimism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ir 50s than under the age of 39. In addi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commit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grade, and those in the third grade or higher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first grade.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verall learning commitment, and sub-factor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learning commitment, the high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719) It was found that learning immersion was good. And self-efficacy (==) among the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220), Hope (==.337) and optimism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221), the higher the learning commitment. Six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adult learners (==).The higher 757), the higher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more positively perceive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728), the higher the learning commitment. Seven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rning commitm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hope, optimism, and learning commitment, which are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learning commitmen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several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i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state-like that can be changed by learning or training,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carry ou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mprovement programs from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to increase adult learners' immersion in learning. Second, as adul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not only directly affects learning commitment but also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rning commitment, active intervention is needed to improve adul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rd, this study was conducted lim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mong the factors affecting adult learners' learning commitment.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learning commitment by considering both learner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learner characteristics and their effects to be considered in the learning scene of adult learners and provides basic data necessary to prepare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hem.

      • 대학생의 학교진로지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은진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an actual directionality fo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career support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 In order to measure the school career support, the scale that had been developed by Kwak, Min-ho(2012) had been used. For the scale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scale regarding which Lee, Eun-gyeong(2001) had validated the shortened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t had been developed by Betz and Voyten(1997) had been used. Fo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the scale that Im, Eun-mi and Lee, Myeong-sook(2003) added the 2 questions on the invigoration of the use of the Internet that is related to the career path and the opening and the management of a department that is related to the school career to the scale that had been developed by Kim, Bong-hwan(1997) had been used. For the analyses of the data,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22.0,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t-test, the ANOVA,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that is based on the mediation model of Baron and Kenny(1986) had been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ly, the average of the school career support of the university student was 3.13 points.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3.62 point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3.41 point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chool career suppor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most of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were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on the level of p<0.001. Thirdly, the school career support(p<0.001) had given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r, in other words,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school career support,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β=.466) got. It appear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chool career support, the better the emotional support(β=.306) had taken place, the bett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taken place.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school career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entire school career support(p<0.001) had given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r, in other words, it appeared that, the more there had been the school career support(β=.442),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 y got.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s of the sub-factors of the school career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appeared that the information support(p<.05) and the emotional support(p<.05) had th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r, in other words,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more the information support(β=.223) and emotional support(β=.254),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got. Fif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entir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t appeared that the entir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p<.001)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β=.631),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got. Also, it appear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job information(p<0.01) and the future plan(p<0.001) had the influence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states that, the higher the job information(β=.282) and the future plan(β=.347),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got. Six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career support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 it appeared that there had been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r, in other words, it had been revealed that, the more the school career support(β=.282) and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β=.529),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got.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school career support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appeared tha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p<.001) had completely mediated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suppor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a result, within the difficulty of the employment rea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for the entry into the job world, in order to be able to continue the aggress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diversification of the job experience program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mployment and business startup information system are needed. Especially, in order to be able to experience the actual job world, the invigoration, too, of a program that is linked to the community will be needed. Also, in order for th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been preparing for the career path to be able to receive the emotional support, the career guidance utilizing the guiding professor system, the mentoring with a senior, the provision of a career counseling program, etc. must be pushed ahead aggress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교진로지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대학생의 활발한 진로준비행동을 위한 실질적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학교진로지원을 측정하기 위해 곽민호(2012)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는 Betz와 Voyten(1997)이 개발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단축형을 이은경(2001)이 타당화 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진로준비행동 척도는 김봉환(1997)이 개발한 척도를 임은미와 이명숙(2003)이 진로와 관련된 인터넷 사용 활성화와 학교 진로관련 부서개설 운영 등 2개 문항을 추가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검정과 ANOVA, 상관관계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모델에 근거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학교진로지원의 평균은 3.13점이었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3.62점, 진로준비행동은 3.41점이었다. 둘째, 대학생의 학교진로지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대부분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교진로지원(p<.001)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즉, 학교진로지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β=.466)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진로지원의 하위요인 중에는 정서적지원(β=.306)이 잘 이루어질수록 진로준비행동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진로지원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교진로지원 전체(p<.001)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즉, 학교진로지원(β=.442)이 많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진로지원 하위요인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보적지원(p<.05)과 정서적지원(p<.05)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보적지원(β=.223)과 정서적지원(β=.254)이 많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체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체(p<.001)는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β=.631)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에는 직업정보(p<.01)와 미래계획(p<.001)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업정보(β=.282)와 미래계획(β=.347)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을 말한다. 여섯째, 대학생의 학교진로지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진로지원(β=.282)이 많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β=.529)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학교진로지원 하위요인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서적지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p<.001)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취업 현실의 어려움 속에서 직업 세계로의 입문을 위해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직업체험 프로그램의 다양화, 취·창업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특히, 실제 직업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의 연계프로그램 활성화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진로준비를 하고 있는 대학생들이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지도교수제를 활용한 진로지도, 선배와의 멘토링, 진로상담프로그램 제공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정서문제, 스마트폰 의존도, 학업무기력과의 구조적 관계

        신현아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had been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ab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negative parental rearing attitude, the emotional problem, the smartphone dependency and the academic helplessness that are perceived by the youths. Regarding the data for the research, among 2,590 junior high school 7th graders, who had been used for the data in the 1st year (2018)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s Panel, excluding the 49 copies that had answered insincerely, the final 2,541 persons had been used in the analysis. Regarding the negative parental rearing attitude scale in this research, from the parental rearing attitude scale (PSCQ_KA) regarding the Korean-version motivation model for the use by the youths of Kim, Tae-myeong and Lee, Eun-joo (2017), the questions that were related to the refusal, the coercion, and inconsistency, which were the negative factors, were extracted and used. For the emotional problem scale,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scale regarding the children that had been developed by Cho, Boong-hwan and Im, Gyeong-hee (2003) had been used. And it includes the attention concentration, the aggressiveness, and the physical symptoms. For the level of dependence on the smartphone, the scale that had been developed by Kim, Dong-il et al. (2012) had been used. And the lower-ranking factors had been organized with the daily living impediment, the virtual world orientation, the withdrawal, the tolerance, etc. For the academic helplessness scale, the scale that had been developed by Park, Byeong-gi et al. (2015) had been used. This scale is organized with 4 lower-ranking factors, including the lack of the control belief, the lack of the learning motivation, the lack of the positive emotion, the lack of the active performance, etc. The analysis of the data had been carried out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s of SPSS 22.0 and Amos 25.0. And the specific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if I were to take a look at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main variables, regarding the average of the negative parental rearing attitude, among the sub-factors, the coercion was the highest at 2.18 points. And it was in the order of 2.05 points for the inconsistency and 1.77 points for the refusal. Regarding the average of the emotional problems, among the lower-ranking factors, the attention concentration showed 2.17 points, the aggressiveness showed 1.92 points, and the physical symptoms showed 1.86 points. Regarding the average of the level of dependence on the smartphone, among the lower-ranking factors, the tolerance was the highest at 2.34 points, and it was in the order of the daily living impediment being 2.22 points, the withdrawal being 1.73 points, and the virtual world orientation being 1.60 points. Regarding the average of the academic helplessness, among the lower-ranking factors, the lack of learning motivation was the highest at 1.97 points, and it appeared in the order of the lack of active performance being 1.96 points, the lack of positive emotion being 1.85 points, and the lack of control belief being 1.80 points. Secondly, as a result of taking a look a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negative parental rearing attitude, the emotional problem, the level of dependence on the smartphone, and the academic helplessness that are perceived by the youths, most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on the level of P<0.001.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h coefficients between the latent variables of the structural model, the negative parental rearing attitude gave th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emotional problem and the level of dependence on the smartphone. And the influence, too, of the emotional problem on the level of dependence on the smartphone was significant. Also, it appeared that all of the negative parental rearing attitude, the emotional problem, and the level of dependence on the smartphone had th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academic helplessness. Fourth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the academic helplessness of the youth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s of the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the emotional problem and the level of dependence on the smartphone were confirmed. Fifthly, in the route of the negative parental rearing attitude -> the emotional problem -> the level of dependence on the smartphone -> the academic helplessnes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s regarding the continuous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the emotional problem and the level of dependence on the smartphone were confirmed. If I were to suggest a few th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y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negative rearing attitudes of the parents that are perceived by the youths, the promotion of the sympathy capabilities of the parents, the understanding regarding the personalities and the developments of the children, and a parents education program that h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as the content are needed. Secondly,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emotional stabilities of the parents are the very important, internal elements with regard to the provision of the sound and healthy rearing to the youth children, the counseling service related to the parents, the individuals, and the families must be provided. And an actual counseling manual for the families must be developed. Thirdly, regarding the use of the smartphone by the youths, it must be intervened so that the families and the schools use the smartphones after establishing the consistent rules and while following the rules. Also, before the youths depend on the smartphone, a many-sided, preventive program with which the parents can intervene effectively and a therapeutic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addicted youths must be supported together.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정서문제, 스마트폰 의존도, 학업무기력과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1차년도(2018) 데이터인 중학교 1학년 2,590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49부를 제외하고 최종 2,541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척도는 김태명과 이은주(2017)의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KA) 중에서 부정적 요인인 거부, 강요, 비일관성과 관련된 문항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정서문제 척도는 조붕환과 임경희(2003)가 개발한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주의집중, 공격성, 신체증상을 포함하고 있다. 스마트폰 의존도는 김동일 등(2012)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하위요인은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성. 금단. 내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업무기력 척도는 박병기 등(2015)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통제신념결여, 학습동기결여, 긍정정서결여, 능동수행결여 등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분석은 SPSS 22.0와 Amo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를 살펴보면,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의 평균은 하위요인 중 강요가 2.18점으로 가장 높았고, 비일관성은 2.05점, 거부 1.77점 순이었다. 정서문제의 평균은 하위요인 중 주의집중 2.17점, 공격성 1.92점, 신체증상 1.86점을 보였다. 스마트폰 의존도의 평균은 하위요인 중 내성이 2.34점으로 가장 높았고, 일상생활장애 2.22점, 금단 1.73점, 가상세계 지향성 1.60점 순이었다. 학업무기력의 평균은 하위요인 중 학습동기결여가 1.97점으로 가장 높고, 능동수행결여 1.96점, 긍정정서결여 1.85점, 통제신념결여는 1.80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정서문제, 스마트폰 의존도, 학업무기력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P<.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셋째, 구조모형의 잠재변수 간 경로계수를 분석한 결과, 부정적 부모양육태도는 정서문제와 스마트폰 의존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정서문제가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하였다. 또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정서문제, 스마트폰 의존도 모두 학업무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학업무기력과의 관계에서 정서문제와 스마트폰 의존도의 병렬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정서문제→스마트폰 의존도→학업무기력의 경로에서 정서문제와 스마트폰 의존도의 연속다중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의 개선을 위해 부모의 공감능력증진, 자녀의 성격과 발달에 대한 이해, 부모자녀 관계를 내용으로 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부모의 정서적 안정은 청소년 자녀에게 건전하고 건강한 양육을 제공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내재적인 요소임을 감안하여 부모 개인 및 가족관련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족들을 위한 실제적인 상담매뉴얼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 가정이나 학교에서 일관된 규칙을 세우고 규칙을 준수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입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이 스마트폰 의존으로 이행하기 이전에 부모가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여러 방면의 예방적 프로그램과 중독 청소년을 위한 치료적 개입프로그램이 함께 지원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