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린이집 팀티칭 학급 교사가 인식한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오상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perceived by team teaching child care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92 childcare teachers who are team teaching at childcare centers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o measure teacher efficacy, this study utilized a scale that Shin Hae-Young(2004) modified Enochs and Riggs(1990)’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 scale. The evaluation scale of Villa et al.(2004) devised by Lee Geum-sun(2017) was used to measure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To measure principal leadership, this study utilized the 4Roles of leadership profile developed by the Covey Leadership Center(CLC) in the United States, the scale developed by Spreitizer(1995), and the MLQ-6S developed by Bass& Avolio(1992). which was referring to the 4RL evaluation scale produced by Lee et al(2004) was used to suit the sit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to find out the general trends of measurement variables. The correlations among the measurement variables were calculated, using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perceived by team teaching child care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trend of measurement variables, the average question of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principal 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was higher than usual.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eam teaching child care teachers,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generally recognized the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principal 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Second,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perceived by team teaching child care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more positively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the higher the teacher efficacy. In conclusion,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affect teacher efficacy.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teacher efficacy by improving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improve policies, and develop and implement educational programs to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본 연구는 어린이집 팀티칭 학급 교사가 인식한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팀티칭 중인 보육교사 292명이다. 교사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Enochs와 Riggs(1990)의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번안 및 수정한 신혜영(2004)의 교사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팀티칭 교사 간 협력을 측정하기 위해 이금선(2017)이 번안한 Villa 등(2004)의 평정척도를 사용하였고, 원장의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미국 CLC(Covey Leadership Center)의 4Roles of leadership profile, Spreitizer(1995)의 척도, Bass와 Avolio(1992)의 척도인 MLQ-6S를 바탕으로, 이소희, 강경자와 김주아(2004)가 우리나라 유아교육 상황에 알맞게 개발한 4RL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측정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어린이집 팀티칭 학급 교사가 인식한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팀티칭 교사 간 협력, 원장의 리더십, 교사효능감의 문항평균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즉, 본 연구 대상인 어린이집 팀티칭 학급 교사들은 팀티칭 교사 간 협력, 원장의 리더십, 교사효능감을 대체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팀티칭 학급 교사가 인식한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교사효능감 또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을 향상시켜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개선과 교육 프로그램 실시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직무만족도가 역할수행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예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직무만족도가 역할수행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경력 5년 이상의 중간관리자 313명이었다. 중간관리자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장미숙(2021)의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중간관리자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이미정(2015)의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중간관리자의 조직몰입을 알아보기 위해 김은희(2016)의 측정 도구 중 어린이집 교사에 적합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개인적 특성(연령,최종 학력, 직급 수행 여부, 현 기관 경력, 총 보육경력, 직급 수행경력, 월평균 급여)과 기관의 특성(기관 유형, 규모, 직급 임명 배경, 임명제도 필요 여부)에 따라 직무만족, 역할수행, 조직몰입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중간관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 역할수행, 조직몰입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직무만족도가 역할수행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관리자가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본인의 역할수행 수준에 대한 인식과 조직에 대한 몰입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 중간관리자가 인식한 직무만족도는 역할수행 및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f middle managers in daycare centers on rol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13 middle manag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childcare experience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such as Seoul, Gyeonggi, and Incheon. Jang Mi-sook (2021)'s measurement tool was used to measure job satisfaction of middle managers, and Lee Mi-jeong's measurement tool was used to find out the middle manager's perception of role performance. In order to find ou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iddle managers, questions suitable for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used among the measurement tools of Kim Eun-hee (2016).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job satisfaction, rol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daycare center middle managers (age, final education, total childcare experience, job performance, monthly average salary) and institution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type, size, background, appointment system required). In other words,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job satisfaction, rol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iddle managers. Second,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of middle managers of daycare centers had an effect on rol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higher the middle manager's satisfaction with the job, the higher the awareness of his or her role performance level and the higher th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In conclusion,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middle managers of daycare centers affects rol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보육교사의 권리인식 및 권리침해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송희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권리인식 및 권리침해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9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보육교사의 권리인식, 권리침해 문항은 김미정, 임예슬(2019)이 ‘경기도 보육교사 권리보호 방안 연구’에서 개발한 조사 도구의 일부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2022)에서 실시한 ‘2021년 전국보육실태조사’ 도구의 일부 문항을 사용하였다. 직무만족은 Bloom(2010)이 개발한 도구인 ECJSS(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를 번역 및 수정하여 사용한 강형옥, 김명순(2016)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활용해 연구도구의 신뢰도 및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징에 따라 권리침해 경험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권리인식, 권리침해,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Pearson의 상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보육교사의 권리인식 및 권리침해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권리인식과 직무만족 수준은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권리침해 수준은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응답자의 57%는 권리침해를 당하거나 목격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은 담당학급, 연령,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권리인식, 권리침해, 직무만족은 모든 관계에서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권리인식이 높아질수록, 권리침해가 낮아질수록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This study focuses on evaluating how childcare teacher recognition of rights and infringement of rights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98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outh Korea. The questions asked to the respondents were created based on the following surveys: 1) Gyeonggi-do Childcare Teacher Rights Protection Plan Study developed by Kim and Lim(2019) 2) 2021 National Childcare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of Childcare and Education(2022), 3)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ECJSS) developed by Bloom(2010), and translated and modified by Kim and Kang(2016) The initial analysis included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measurement variable. With the results, a cross-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the experience of infringement of rights. In additi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measurement variables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rights and infringement of rights on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cores of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rights and job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and infringement of rights were lower than the average. Second, 57% of the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said they had been infringed or witnes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childcare teachers infringement of right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class in charge, age, and type of daycare center establish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of rights, infringement of rights,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it was confirmed recognition of rights, infringement of rights affect job satisfaction level. In other word the recognition of the rights increases and the infringement of rights decreases, job satisfaction has been found to increase.

      • 개정된 보육과정 교사교육 참여 및 원장의 보육과정 지도내용이 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에 미치는 영향

        김정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개정된 보육과정 교사교육 참여 및 원장의 보육과정 지도내용이 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0~5세반 보육교사 384명이었다. 개정된 보육과정 교사교육 참여 측정은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작성한 질문지 4문항이다. 원장의 보육과정 지도내용은 이현정(2018)이 사용한 ‘원장의 보육과정 지도’ 척도를 기초로 본 연구자가 교사가 이해하기 쉽도록 문장의 일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은 이영주(2021)가 개발한 ‘영유아 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 자기평가도구’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변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개정된 보육과정 교사교육 참여와 원장의 보육과정 지도내용이 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20년 1월~2022년 2월 사이에 교사들이 개정된 보육과정 교사교육에 참여한 빈도는 평균 1.9회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 교사들은 원장의 보육과정 지도내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자신의 놀이지원 역량도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정된 보육과정 교사교육 참여는 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의 하위 요인 ‘놀이 중요성 이해’에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원장의 보육과정 지도내용은 교사의 놀이지원 역량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 나타났다. 즉, 개정된 보육과정 교사교육 참여는 교사의 놀이 중요성 이해와 관련이 있으며, 원장의 보육과정 지도내용을 높게 인식할수록 교사의 놀이지원 역량도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원장의 보육과정 지도내용은 개정된 보육과정 교사교육 참여를 통제한 상태에서 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원장의 보육과정 지도내용이 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에 영향을 미치며 개정된 보육과정 교사교육 참여는 교사의 놀이 중요성 이해에만 관련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vised child-care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participation and child-care centers director’s guidance contents of curriculum among the childcare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wo variables on child-car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84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Kyonggi and Incheon. The revised child-care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participation measurement was prepared for expert advice and consists of 4 questions.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Guidance contents for Curriculum scale was based on the childhood director's guidance of childcare curriculum guidance scales used by Hyeon-jeong Lee(2018) and This researcher used a modified part of the sentence so that teachers could easily understand the scale. The childcar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scale was mod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a self-rating scale of assessing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for play-based curriculum practices by Lee Young-ju (2021). To analyze the data,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om January 2020 to February 2022, the average number of participating in the revised child-care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was 1.9 times. also, Child-care Teacher perceived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Guidance positively and They highly value their child-car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Second, Only the childcare teachers' understanding importance of pla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vised child-care curriculum teacher's education participa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center director’s guidance contents for curriculum to child-car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In other words, The revised child-care curriculum teacher's education participation is related to the teacher's competency to understanding importance of play. and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guidance contents for curriculum, the higher the child-car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Finally, the guidance contents of child-care centers director’s for curriculum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car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while controlling The revised child-care curriculum teacher's education participation. In conclusion, the guidance of child-care centers director’s for curriculum affects the child-car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and The revised child-care curriculum teacher's education participation is only related to the teacher's competency to understanding importance of play.

      • 보육교사가 인식한 주임교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도 매개효과

        윤성욱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인식한 주임교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 인천 · 경기의 수도권 지역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311명이다. 주임교사의 서번트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Laub(1999)의 Development of the Servant Organizational Leadership Assessment(SOLA)을 바탕으로, Spears(1996)의 서번트 리더십 특성을 참고해 성복련(2010)이 개발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유아교육기관의 실정에 맞춰 수정 · 보완한 함소영(2018)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측정을 위해 Huang(2001)이 제작하고 박근희(2003)가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춰 번역 · 수정한 척도를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대상으로 수정한 조재희(2012)의 도구를 수정 · 보완한 우이슬(2023)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최은경(2013)의 도구를 김진희(2020)가 보육교사의 실정에 맞춰 수정 ·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와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해 측정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PROCESS macro 프로그램에서 Model 4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해 매개효과의 통계적인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 보육교사들이 인식한 주임교사의 서번트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는 보통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임교사의 서번트 리더십 전체와 하위요인 가치 존중, 성장 지원, 공동체 형성, 진정성, 리더십 발휘, 리더십 공유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전체와 하위요인인 책임감, 개인적 성장과 전문적 발달, 교수 성취감, 성취의 인정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임교사의 서번트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주임교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매개로 할 경우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보육교사가 주임교사의 서번트 리더십을 높게 평가할수록 보육교사가 직무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이로 인해 이직의도가 낮아짐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주임교사의 서번트 리더십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매개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어린이집에서 주임교사의 서번트 리더십을 적극적으로 발휘하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은 결과적으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중요하다.

      • MZ세대 보육교사가 인식한 조직분위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1990년대생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김윤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MZ세대의 보육교사 중 1990년대에 출생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조직분위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경기·인천 수도권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중 1990년대 출생자 337명이다.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분위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Bloom(2010)이 개발하고 2016년 개정된 평정척도(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 ECWES)를 조예슬(2020)이 일부 번안 및 수정한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Allen과 Meyer(1990), 그리고 Hazel(2010)의 연구를 토대로 송순옥(2017)이 개발한 유아교사 이직의도 측정도구를 보육교사의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MZ세대 보육교사 대상 조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고 응답된 설문지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MZ세대 보육교사가 인식한 조직분위기와 이직의도의 일반적 경향과 두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어린이집 조직분위기가 이직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단계에는 통제변인인 학력과 기관 유형을 투입하고 2단계에는 어린이집의 조직풍토의 하위변수들을 예측변인으로 투입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Z세대 보육교사들이 인식한 조직분위기는 보육교사의 학력, 근무하는 기관의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 MZ세대 보육교사의 학력별 조직분위기 인식을 살펴보면 전문대학 졸업 집단 보다 대학교 졸업 집단이 재직하고 있는 기관의 교사들이 조직분위기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유형별 조직분이기 인식 차이는 민간어린이집 교사 집단이 직장어린이집보다 전문성 향상지원 요인을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물리적 환경 요인의 경우 민간어린이집 교사들이 직장어린이집과 법인·단체어린이집 교사들보다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Z세대 보육교사들의 경력, 학력, 기관유형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유의한 관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Z세대 보육교사가 인식한 조직분위기와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는 조직분위기의 하위변인 7가지와 모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1990년대 출생한 MZ세대 보육교사가 조직분위기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MZ세대 보육교사들이 인식한 조직분위기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분위기의 하위 영역 중에서도 상급자의 지원, 의사결정, 물리적 환경, 보상체계 순으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