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서인식 척도 타당화 연구 - 하위 요인 모형 검증

        김희정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15

        최근 정서 연구에서는 정서 인식에 초점을 맞추면서 정서 인식의 하위 요인을 규명하고 요인들 간 관련성을 탐색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정서인식은 자발적인 주의, 비자발적인 주의, 정서유형 명확성과 정서출처 명확성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세부 요인들의 구조 모형을 제시하고 타당성을 검증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특히 정서 인식과 밀접하게 관련된 신체감각 인식요인은 정서 인식 하위 요인으로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연구들에서 제안한 4가지 정서인식 하위 요인에 신체감각 인식요인을 포함한 5요인 정서인식 척도를 구성하여 타당화하며, 하위 요인들 간 구조 모형 검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발적 주의, 비자발적 주의, 정서유형 명확성, 정서출처 명확성과 신체감각 인식의 5개 요인을 포함한 45개 문항으로 정서인식 척도를 구성하였다. 이 척도의 타당화 및 하위 요인들 간의 구조 모형 검증은 각각 연구 1과 연구 2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온라인 리서치 전문 기관에 소속된 패널들로서 만 20∼39세, 고졸 이상, 성인 남녀 약 1,2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1에서는 Boden과 Berenbaum(2011), Boden과 Thompson(2015)과 Hung 등(2013)의 연구에서 사용한 40개의 문항(자발적 주의, 비자발적 주의, 정서유형 명확성, 정서출처 명확성)과 김희정과 송현주(2016)가 타당화한 Rieffe 등(2008) 척도 중 신체감각 인식 요인에 해당하는 5개 문항을 포함한 총 45문항에 대한 타당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1200명 중 398명(표본 1)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1200명 중 392명(표본 2)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CFI, TLI, RMSEA등을 통해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Rasch 문항 반응 이론에 따른 모형 검증을 통해 응답 범주의 적절성, 문항 적합도, 응답자 및 문항 분포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뢰도 분석과 준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자발적 주의, 비자발적 주의, 정서유형 명확성, 정서출처 명확성, 신체감각 인식의 5요인, 총 24문항이 도출되었다. 연구 2에서는 1200명중 396명(표본 3)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상정한 정서인식 5개 하위 요인의 구조 모형을 검증하였다. 구조모형 검증 결과, 전반적으로 적합한 모형으로 수용되었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성별, 연령 및 학력에 따라 일부 하위 요인들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다집단 분석이 실시되었다. 실시결과, 검증된 모형은 성별, 연령 및 학력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는 포함하지 않았던 신체감각 인식 요인까지 포함한 정서인식 5요인 척도를 제안하고 이에 대한 타당화와 모형 검증을 하였다는데 일차적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타당화한 정서인식 5요인 척도는 정서관련 병리의 평가 및 치료적 개입에 주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recent emotion-related studies are focusing on emotional awareness; studies to identify sub-factors of emotional awarenes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are being conducted. Putting the major studies together, emotional awareness consists of voluntary attention, involuntary attention, emotional type clarity, and emotional source clarity. However, no study has yet presented a structural model of the sub-factors and tested its validity. Especially, the somatic sensory awareness factor, which is closely related to emotional awareness and a sub-factor of emotional awareness, has not been examined in detail. Therefore, this study constructed and validated a 5-factor emotional awareness scale, including the somatic sensory awareness factor in addition to the 4 emotional awareness sub-factors that recent studies proposed; a verification of structural model was conducted for the sub-factors as well.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goals, this study constructed an emotional awareness scale, with 45 items including 5 factors, voluntary attention, involuntary attention, emotional type clarity, emotional source clarity, and somatic sensory awareness. The validation of the above scale and the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model among the sub-factors were conducted by dividing the study into Study 1 and Study 2.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bout 1,200 adult male and female who belong to an online research institution, aged 20 to 39 years old, and whose academic level is high school graduate or higher. Study 1 conducted validation research regarding 45 question items, including 40 items (voluntary attention, involuntary attention, emotional type clarity, emotional source clarity) that Boden and Berenbaum(2011), Boden and Thompson(2015) and Huang et al(2013) used in their studies, and 5 question items that are included in the somatic sensory awareness from the scale of Rieffe et al. (2008), which was validated by Kim and Song(2016).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398 participants out of 1200 (Sample 1);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392 participants out of 1200 (Sample 2) and the goodness of fit was confirmed through CFI, TLI, RMSEA, and so on. The appropriateness of response category, item-fit index, and person-item-map were tested per Rasch’s item response theory. Finally, a reliability test and criterion validity test were conducted. As a result, a total of 24 items and 5 factors, voluntary attention, involuntary attention, emotional type clarity, emotional source clarity, and somatic sensory awareness, were derived. Study 2, conducted on 396 participants of 1200 (Sample 3), verified the structural model of the 5 sub-factors of emotional awareness that this study assumed. The result of verifying structural model showed that the model can be generally accepted as a suitable model. A multiple-group analysis was conducted si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ome sub-factors per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and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er gender, age, and education in the tested model. This study primarily holds its significance for proposing a 5-factor scale of emotional awareness that includes the somatic sensory awareness factor, which previous studies have not included, and conducting validation of the scale and verification of the structure model. The 5-factor scale of emotional awareness that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is expected to make a major contribution to the evalua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emotion-related pathologi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조기 외국어 노출이 영아기 언어의 관습성 이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윤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동일 언어 사용자 간에 단어의 의미가 공유된다는 언어의 관습성(conventionality)에 대한 이해가 조기 외국어 노출 경험으로 인해 달라질 수 있는지를 한국의 13개월 영아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가정에서 영상 또는 오디오 등을 통해 영어에 정기적으로 노출되거나(노출 집단)과 그러한 경험이 거의 없는(비노출 집단) 영아들이 기대 위배 패러다임(violation-of-expectation)을 사용한 실험에 참가하였다. 우선 영아들은 두 행위자가 각각 한국어로 동요를 부르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후 친숙화 시행에서는 이 중 한 행위자가 무의미 단어(“파누”)를 말하며 무대 위 두 물체 중 한 물체를 잡는 장면을 보았다. 이어지는 검사 시행에서는 다른 한 명의 행위자가 동일한 단어(“파누”)를 말하며 첫 번째 행위자가 친숙화 시행에서 잡았던 물체를 집거나(같은 물체 사건) 다른 물체를 잡는 장면(다른 물체 사건)을 보았다. 비노출 집단의 영아들은 다른 물체 사건을 같은 물체 사건보다 더 오래 응시한 반면, 노출 집단의 영아들은 두 사건을 비슷하게 응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외국어에 대한 경험이 몰입적인 이중 언어 환경이 아닌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노출만으로도 조기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foreign-language experience in infancy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that word meanings are shared across speakers of the same language. Thirteen-month-old infants with regular exposure to English (the exposed group), or with very little exposure (the monolingual group) participated in a violation-of-expectation task. First, the infants watched two speakers alternately singing nursery rhymes in Korean. Then one of the speakers provided a novel label (“panu”) for one of two novel objects. In the following test trials, the other speaker used the same label (“panu”) to refer to the same object (same-object event) or a different one (different-object event). Monolingual infants looked at the different-object event longer than at the same-object event, while exposed infants looked about equal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posure to a foreign language can influence early understanding of the conventional nature of language.

      •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중학생을 대상으로

        조미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중학교 1, 2, 3학년 420명을 대상으로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 척도(CCNES)-회고형,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CERQ), 또래관계 질 척도(NRI)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실시하였으며, Sobel(1982)의 방법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부모 모두 여아보다 남아에게 비지지적 반응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남아가 여아보다 부적응적 전략 중 타인비난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또래관계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지지적 반응은 또래관계 질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비지지적 반응은 또래관계 질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모의 지지적 반응은 적응적 전략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비지지적 반응은 부적응적 전략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적응적 전략은 또래관계 질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부적응적 전략은 또래관계 질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부의 지지적 반응 중 정서중심, 문제중심 반응과 모의 지지적 반응 모두 또래관계 질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의 비지지적 반응 모두 또래관계 질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의 지지적 반응은 적응적 전략 모두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적응적 전략 중 반추와 자기비난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비지지적 반응은 적응적 전략 중 긍정적 재평가와 계획 다시 생각하기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적응적 전략 중 타인비난과 파국화 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적응적 전략은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재평가 순으로 또래관계 질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응적 전략은 타인비난, 파국화, 반추 순으로 또래관계 질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적응적 전략은 부의 지지적 반응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모의 지지적 반응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적응적 전략은 부모의 비지지적 반응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또래관계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적 및 개인내적 요인을 확인하고,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또래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청소년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상담의 함의를 담고 있으며,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한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sponse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420 7th‐ to 9th‐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areas were surveyed using the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 (CCNES)–Retrospective,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and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Inventory (NRI).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major variables. Then,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sponse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was tested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testing procedure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by Sobel’s (1982) metho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examining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both mothers and fathers gave unsupportive response more to boys than to girls. Next, boys used other‐condemnation among maladaptive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girls, and girls showed a higher quality of peer relations than boys.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parental supportive response was i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and parental unsupportive response was i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Next, parental supportive response was i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daptive strategies, and parental unsupportive response was i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strategies. In addition, adaptive strategies were i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and maladaptive strategies were i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Thir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parental response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on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emotion‐centered and problem‐centered responses among paternal supportive responses and all of material supportive respons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On the other hand, all of parental unsupportive respons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Fourth,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parental response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ental supportive respons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of adaptive strategies, an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umination and self‐condemnation among maladaptive strategies. On the other hand, parental unsupportive respons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ositive reevaluation and plan reconsideration among adaptive strategies, an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ther‐condemnation and catastrophizing among maladaptive strategies. Fifth,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adaptive strateg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in order of plan reconsideration and positive reevaluation, and maladaptive strateg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in order of other‐condemnation, catastrophizing, and rumination. Lastly,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sponse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adaptive strategies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supportive response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bu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upportive response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On the other hand, maladaptive strategie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unsupportive response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home, environmental and intrapersonal factors aff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quality of peer relations, and expla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sponse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The outcome of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dolescents with difficulty in peer relations, and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parent education to cope adequately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

      •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이 중년여성의 건강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수영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paper explores the role of Metacognitive Beliefs in the context of health anxiety in middle-aged women. In Study I, a tool to measure metacognitive beliefs in the context of health anxiety was validated and named The Korean version of Metacognitive belief – Health Anxiety (K-MCQ-HA). The K-MCQ-HA consisted of 14 questions and 3 factors; : “Beliefs that Thoughts can cause Illness”, “Beliefs about Biased thinking”, and “Beliefs that Thoughts are Uncontrollable” as same as the original scale. In order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K-MCQ-HA structur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nd variou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s related to metacognitive belief were analyz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three factor model with all selected goodness-of-fit statistics a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K-MCQ-HA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anxiety, illness attitude, anxiety sensitivity, somatization, anxiety sensitivity and depression, whi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steem. In particular, the K-MCQ-HA incremental validity was examined. The result indicated the MCQ-HA accounted for additional variance in health anxiety over and above that accounted for by Illness attitude which is known to measure the more generic cognition in health anxiety. These results prove the K-MCQ-HA has good internal-consistency, incremental,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in relation to associated measures. The K-MCQ-HA captures more specific metacognitive content in the context of health anxiety and appears to be a potentially useful predictor of health anxiety. In Study II, in the process of physical self-concept and negative affect influencing health anxiety in middle-aged wome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metacognitive beliefs was verified.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etacognitive beliefs was examined in the high and low health anxiety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metacognitive beliefs moderated the path from physical self-concept and negative affectivity to health anxiety through somatosensory amplification.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middle-aged women who think they are weak or experience strong negative emotions, health anxiety may increase through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this process worsens if they have metacognitive beliefs. Furthermore, these results were only seen in high-health groups and not in low-health groups. This study show that somatosensory amplific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negative affect and health anxiety. Consistent with metacognitive theory, this association is also moderated by unhelpful beliefs about health and disease. High maladaptive metacognitive beliefs are likely to render the individual more sensitive to engage in difficult to control extended processing in response to negative interpretations of symptoms. This is a important finding that is in line with the metacognitive (S-REF) model. In this model the content of thoughts are more likely to cause psychological disorder because of their relationship with metacognitive beliefs. Therefore Metacognitive beliefs could become new therapeutic targets to help improve psychological treatments for health anxiety-relate distress. 본 연구는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이 중년 여성의 건강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은 건강불안과 관련하여 개인이 자신의 인지와 내적 상태 그리고 이 두가지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대처전략에 대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연구 I에서는 건강 불안의 맥락에서 메타인지 신념을 측정하는 도구를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만 20~64세 남녀 454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살펴보고 이후 메타인지 신념과 관련된 다양한 심리적 특성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판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 척도는 원척도와 동일한 14문항, 3요인(“사고가 질병의 원인이 된다는 신념”,“편향된 사고”,“생각을 통제할 수 없다는 신념”)구조가 확인되었으며, 신뢰도도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위한 상관분석 결과 건강불안, 질병 태도, 불안 민감성, 신체화, 불안 및 우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갖는 반면, 삶의 만족 및 자존감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증분 타당도 결과, 기존의 건강불안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알려진 질병태도를 통제하고도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은 건강불안의 추가변량을 설명하고 있어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이 건강불안의 맥락에서 보다 특수한 메타인지의 내용과 처리 특성을 잘 포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II에서는 연구 2에서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적 자기개념, 부정정서와 건강불안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건강불안 치료에 있어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40~64세 여성 476명의 자료를 Preacher와 Rucker, Hayes(2007)가 제안한 순차적 방식으로 검증하였다. 먼저, 신체적 자기개념 및 부정정서와 건강불안의 관계를 신체감각 증폭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는데, 신체감각 증폭은 신체적 자기개념과 건강불안의 관계는 완전 매개하고, 부정정서와 건강불안의 관계는 부분매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신체감각 증폭과 건강불안의 관계에서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이 높을 때에만 신체감각 증폭이 건강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신체적 자기개념 및 부정정서와 건강불안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과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함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건강불안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별하고 집단별로 건강불안 발생과정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및 부정정서, 신체감각 증폭과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건강불안이 높은 집단에서는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낮은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 척도가 건강불안의 맥락에서 메타인지 신념을 측정하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도구임을 확인하였으며, 자기조절 실행기능 모델과 일치하여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이 부적응적 대처행동을 활성화하여 건강불안을 발생시키고 유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이러한 결과의 시사점 및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내적 자원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발달 장애 자녀 어머니의 긍정적 자동적 사고, 자기효능감, 신체화에 미치는 효과

        여상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내적 자원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 세션이 장애 자녀 어머니의 긍정적 자동적 사고, 자기효능감, 그리고 신체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장애 자녀 어머니는 장애 자녀를 평생 돌봐야 한다는 압박감이 비장애 자녀 어머니보다 높지만 현실적으로 장애 자녀의 치료와 교육 때문에 적절한 심리치료를 제공받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는 무용/동작심리치료 세션을 통해 장애 자녀 어머니의 삶의 질을 통합적으로 신체적, 정서적 그리고 인지적으로 향상 시키고자한다. 연구 대상자는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 긍정적 자동적 사고, 자기 효능감, 그리고 신체화척도를 사용하였다. 매주 12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진행 되었으며, 내적 자원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초기, 중기, 후기로 총 3단계로 구성된 치료 세션은 신체 인식에서부터 시작하여 신체 감각 및 활성화를 하여 개인마다 다른 내적 자원을 찾아 신체 감각을 재조명하였다. 이렇게 재조명된 신체 감각은 새롭게 신체적, 심리적, 그리고 인지적 사고를 전환하는 단계로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치료 세션 전에 연구 대상의 동질성을 확보하였고, 세션 종료 후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검사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 신체화에 유의한 결과가 있음이 검증 되었고, 긍정적 자동적 사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나오지 않았지만, 평균 점수의 근소한 변화가 있음을 검증했다. 결론적으로 새롭게 감각된 신체의 재조명은 긍정적 자동적 사고, 자기효능감 그리고 신체화에 긍정적 영향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해석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심리치료가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소외된 장애 자녀 어머니에게 통합적인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어 : 무용/동작심리치료, 내적 자원, 장애 자녀 어머니, 긍정적 자동적 사고, 자기효능감, 신체화

      •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정성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Recently,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is being regarded as an important and serious social problem. The main target of the school violence moves from middle school/high school student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for them to commit a serious delinquency and a criminal act in their adolescence and adulthood unless there's any early intervention for them. Therefore, the prevention and the countermeasure for school maladjustment and aggressive behavior in their childhood are being sought after, whereupon this research attempts to verify the effect of school adaptation, self-esteem and aggression on the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 violence prevention program using a dance/movement psychotherapy. The target of this research is the 3rd grade, 147 students of B elementary school in Seoul, Korea. Experiment group consists of class 2, 3 and 6, totall 73 students. The control group consists of class 1, 4 and 5, totall 74 students. The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of 5 sessions through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have been performed for each class of experiment group from Sep. 27, 2012 to Nov. 01, 2012, during 40 minutes, once a week. This research, based on 'Violence Prevention Through Movement & Pro-Social Skills' (Cornblum, 2002), has applied one topic to each session as the objective using a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rough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These 5 topics are Spatial Awareness, Self-Control and Stress Management, Awareness of and Response to Dangerous Situations, Building Empathy and Managing Anger. Each topic consists of the review of main concept & activity in previous session, main activities development and the topic-discussion. For this research, the juvenile self-reported school adaptation scale, self-esteemed scale, aggression scale and teacher-child rating scale have been applied and the change has been measured using pre- and post-test. In result, it was not achiev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in school adaptation, self-esteem, aggression, however, it was verified in rating by teacher for the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rough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to effect significantly to a whole juvenile school life. Through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rough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affirmatively affects the 3rd grade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For that reason,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violence prevention program of which body movement approach is emphasized, is to be developed continuous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최근 학교폭력 문제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중요시되고 있으며, 폭력의 주요 대상이 중·고등학생에서 초등학생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이들에 대한 초기개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청소년기와 성인기에 심각한 비행과 범죄행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동기의 학교 부적응 및 공격적 행동에 대한 예방과 대책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무용/동작 심리치료를 활용한 폭력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교적응, 자아존중감, 공격성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의 B초등학교 3학년 147명으로, 실험집단은 2반, 3반, 6반의 73명, 통제집단은 1반, 4반, 5반의 74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의 각 학급은 2012년 9월 27일부터 11월 1일까지 주1회 40분씩 총 5회기의 무용/동작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폭력예방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Kornblum(2002)의 ‘Violence Prevention Through Movement & Pro-Social Skills'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무용/동작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폭력예방 프로그램으로, 매 회기마다 한가지의 주제를 단기목표로 적용하였다. 5가지의 주제는 공간 인식(Spatial Awareness), 자기조절과 스트레스 관리(Self-Control and Stress Management), 위험한 상황에 대한 인식과 반응(Awareness of and Response to Dangerous Situations), 공감형성(Building Empathy), 분노조절(Managing Anger)이다. 각 주제는 이전 회기의 주요 개념 및 활동 복습, 주제 활동 전개, 주제에 대한 토의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아동의 자기보고식 학교적응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초등학생용 공격성 척도, 교사용 아동평정(T-CRS: Teacher-Child Rating Scale)을 사용하였고, 이는 모두 사전/사후에 검사를 시행하여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학교적응, 자아존중감, 공격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으나, 교사용 아동평정에 대하여 하위영역 중 수줍음-불안을 제외한 외현화 문제, 학습문제, 좌절-인내, 자기주장기술, 과제지향 그리고 또래관계기술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무용/동작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에게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초등학생을 위한 신체움직임 접근의 측면이 강조된 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함을 제시하는 바이다.

      • 사회불안에서 인지재구조화 전략이 사후반추사고와 정동에 미치는 영향

        박계원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사회불안을 가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의 접근에서 단기적인 인지재구조화전략(cognitive restructuring strategies)이 이들의 사후반추사고와 사회불안과 관련된 정동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 중 사회불안을 가진 학생 31명을 선별하여 인지재구조화 전략 집단, 습관화 전략 집단에 각각 15명, 16명씩 무선으로 배치하고, 실험 시작 전 두 집단 공통으로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척도, 발표불안척도, 우울/불안/스트레스 척도, 부정정서/긍정정서 척도, 사회적 사건과 관련된 부적응적 자기신념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참가자에게 연구자가 제시한 주제에 대한 3분 발표를 수행하게 한 후 바로 사후반추사고, 부정정서/긍정정서를 측정하였다. 이후 각 집단별로 인지재구조화 전략과 습관화 전략을 실시 한 후 집단 별 전략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후반추사고, 부정정서/긍정정서를 다시 측정하였다. 그리고 실험 종료 이틀 후 추적 연구를 시행하여 전략의 효과가 얼마나 지속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후반추사고와 부적응적 자기신념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재구조화 전략 집단과 습관화 전략 집단 모두 사후부정반추의 감소와 사후긍정반추의 증가가 나타났으며, 실험 종료 후 이틀 후 추적연구에서는 인지재구조화 집단에서만 사후부정반추가 유의미하게 낮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재구조화 전략 집단, 습관화 전략 집단에서 부정정서와 긍정정서 모두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전략 실시 이후 인지재구조화 전략 집단에서만 부적응적 자기신념이 유의하게 낮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단기적인 인지재구조화 전략이 사후반추사고의 부정반추를 감소시키고 긍정반추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주었으며 사회불안과 관련한 부정적 정동을 보다 증진시키고 사회적 사건과 관련된 부적응적 자기신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등을 논의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