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생활만족도 연구

        김희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A Stud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s Participating in Senior Job Programs Hee-Soon Kim Master's Program in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senior job program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s. The questions of this study presented by the researcher are as follows : First, does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s differ depending on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 job programs? Second, does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s differ depending on the types of the senior job programs? Third, does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s differ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 satisfaction of the senior job programs? Fourth, how do the senior job programs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s? In order to examine these four research questions, 350 respondents from the elderly groups aged sixty and above at 5 elderly community centers in Seoul and in metropolitan district in 2007 were selected using Quota Sampling, with 70 people being extracted in each type of the five typed programs. Of the 350 people in the sampling, 344 people were sampled finally, except 6 people who didn't answer or gave so slipshod answer. We collected data through visiting the elderly community centers and surveying participants in person. The data were analyzi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Scheffe's post verific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reason of participation, frequency and average monthly salary have positive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It shows that when the reason of participation is contributed to society, life satisfaction is higher. Also it shows that as frequency of participation a week is more and his salary is higher, life satisfaction tends to be higher. Second, of variables of types of programs, public-typed program has a negative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but educational-typed program has a positive influence on it. Compared to the elders in market-typed program, public-typed program participants tend to show the lower life satisfaction, but educational-typed program participants tend to show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Third, of organization satisfaction variables, satisfaction with his own manager has a notable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That is to say, as satisfaction with his own manager is higher, life satisfaction is higher. Fourth,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existence of spouse, positive self-evaluation of health conditions and economic status have a notable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healthier, the richer, and if he has a spouse, life satisfaction is proved to be higher. This research on the the senior job programs provides an important implication in social policy and research.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inior job programs according to this study. First, the senior job programs should be promoted to reduce gradually the public-typed program and welfare-typed program, but to develop and provide many of educational-typed program, manpower distributive- typed program, market-typed program which are suitable for the elders where the income levels for the above are guaranteed to some extent. Second, a plan for financial resources should be prepared immediately so that senior who participate in the public-typed program and welfare- typed program may work all year round. Third, professional consultants are needed who can advise about the program development of the working place, the areas where senior are needed, the diagnosis of the senior job programs and the hiring of the senior in the working place of the senior job programs. 국 문 초 록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생활만족도 연구 본 연구는 고령사회를 대비한 노인복지사업의 하나인 노인일자리사업과 관련하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특성, 사업유형, 기관만족도에 따라 생활만족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에 소재한 5개의 노인복지관을 통해 2007년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만 60세 이상 남⋅여 노인 344명으로 사업유형별 할당표본추출방법으로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자와 보조연구자가 선정된 복지관을 직접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교차분석, t검증, ANOVA 및 Scheffe의 사후검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특성의 변인 중 참여동기, 참여횟수, 월급여가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사회활동을 위해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으며 주당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월급여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업유형의 변인 중 공익형과 교육형이 각각 부(-)적⋅정(+)적으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즉 참조집단인 시장형 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에 비해 공익형 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가장 낮으며 교육형 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관만족도 변인 중 담당직원만족이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담당직원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인 중 건강, 배우자 유무, 경제상태가 유의미하게 정(+)적 영향을 미쳐 건강상태 및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배우자가 있는 노인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노인일자리사업의 발전방향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노인일자리사업은 정부보조금이 지원되는 공익형, 복지형에만 초점을 두어 양적으로만 일자리수를 늘리는 노인일자리사업 유형의 배분방식을 지양하고, 각 사업유형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욕구를 반영하고, 어느 정도 소득수준이 보장되는 교육형, 인력파견형, 시장형의 노인적합형 일자리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둘째, 공익형, 복지형, 교육형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들이 1년 내내 일할 수 있도록 재원확보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노인일자리사업 현장에서 일자리 개발 및 수요처 개발과 노인일자리사업의 진단 및 고령자 고용에 대한 상담을 할 수 있는 전문성이 있는 전담인력이 배치되어야 한다.

      • 대학 로고디자인의 감성요소를 통한 브랜드 인지도 향상 연구 : 중국 ‘985프로젝트’대학교를 중심으로

        펑윈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대학교 브랜드 이미지의 핵심 요소인 대학교 로고는 대학 문화 형성의 발전을 촉진하고 대외 전시의 중요한 창구이며, 대학의 브랜드 이미지 및 홍보에 큰 역할을 한다. 또한 대학교 로고는 대학 브랜드 문화를 더욱 부각하고 브랜드 가치를 구현하여 향상시키며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충분히 연구할 가치가 있는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브랜드 로고 디자인의 감성 요소 분석과 구체적인 실증방법을 통해 중국 대학교 로고 이미지 감성 디자인 요소의 적용을 연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대학의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우수한 재인성, 기억력, 예술성을 갖춘 디자인 방법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제1장에서 연구 배경과 목적과 함께 연구 문제를 제시하고,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선정하며, 선행 연구를 통해 연구의 차이점과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제2장에서 ‘중국 대학교 로고’, ‘감성 디자인’, ‘브랜드 인식’, ‘소비자 지식수준’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진행하였고, 특히 이론 연구를 통해 연구 모델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 985프로젝트’의 39개 대학교 로고에서 시각적 기호를 추출하고 분류한 후 사례 분석 대상으로 하여 감성 디자인의 본능 측면, 행동 측면, 반성 측면과 브랜드 인지의 브랜드 기억, 브랜드 재인, 대중의 지식수준 등에 대한 디자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4장에서 연구 모델과 사례 분석의 결론에 따라 가설을 제시하고 실증 분석 설문지를 설계하였다. 제5장에서 설문지 설문스타를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SPSS 데이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설문지 데이터에 대한 실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제6장에서 실증 분석을 근거로 가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중국 대학교 브랜드 로고 디자인은 감성 디자인 요소에 융합되어 브랜드의 관련 속성에 대한 대중의 연상을 적절히 유발하여 대중의 감성적 공감을 불러일으켜 대중이 대학교 이미지를 더욱 신속하게 이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를 빠르게 기억하고 재인식하며, 이를 통해 브랜드 인식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둘째, 중국 대학교의 브랜드 로고 감성 디자인 요소와 브랜드 인지 관계는 대중의 지식수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며, 이는 주로 대학교에 대한 대중의 친숙도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대학교는 브랜드 인지도를 더욱 적절히 향상시키기 위해 감성 디자인을 브랜드 로고 디자인에 융합하며, 대학교 브랜드 문화의 집약적이고 효과적인 전파에 중점을 두는 동시에 대학교는 자체 건설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고 교수 및 과학 연구 수준을 향상시키며, 특색을 집약하고 핵심 우위 학과를 만드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발전 방법이다. 셋째, 중국 대학교의 브랜드 로고 디자인 요소에 대한 현황 분석에 따르면 중국 대학교의 로고 디자인에 핵심적인 디자인 요소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는 우선 높은 재인성을 가진 텍스트에 의한 중국어 학교명, 영어 학교명, 개교 시간으로 나타난다. 그다음 학교 운영 이념, 학과 특색, 역사 연혁, 지역 특색 등 문화적 의미를 추출하여 표현한 그래픽 기호이다. 마지막으로 학교의 특색을 대표하는 색채요소이다. 넷째, 도널드 아서 노먼의( Donald Arthur Norman) 감성 디자인 이념은 디자이너에게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조사 대상 395명 중 18-30세 참여율이 최고 65.8%이며, 대학교 로고가 나타나는 장소인 ‘입시 관련 자료 사이트’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로고 디자이너로서의 디자이너는 이 연령대의 감성적 니즈와 함께 자료 인쇄 및 웹사이트 게시와 같은 상호작용적이고 흥미로운 행동 수준에서 로고의 감성적 공감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브랜드 로고의 그래픽 기호, 텍스트 기호, 컬러 기호의 선호도 관점에서 볼 때 응답자는 그래픽 기호> 텍스트 기호> 컬러 기호 순으로 감성 공감을 형성한다. 또한 그래픽 기호에서 선호도는 건축 그래픽> 동물 그래픽> 식물 그래픽> 인물 그래픽> 산천 그래픽> 기타 형상 순으로 나타났다. 텍스트 기호 선호도는 중국어 학교명> 학교명 약칭> 개교 시간> 학교 교훈> 영어 명칭 순이었다. 컬러 기호 선호도는 빨간색> 파란색> 두 가지 이상의 색> 기타 단색 순이었으며, 위 결과는 디자이너에게 효과적인 디자인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다. 결국 대학교 브랜드 로고의 감성 디자인 구축은 대학 이미지와 브랜드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체로써 대학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매우 중요한 감성 디자인 전략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가 향후 중국 대학교의 브랜드 로고 디자인 마케팅 전략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As the core element of the brand logo of a university, the brand logo of a university promotes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a university. It is an important window for a university to display externally and plays a huge role in the brand logo and brand communication of a university. How to better highlight the brand culture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rough the brand logo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highlight and enhance brand value, and then establish a good brand logo and improve market competitiveness has become a problem worth studying. Therefore, based on this problem,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motional design of Chinese university brand logos, specifically studies the impact of the application of Chinese university school logo image emotional design elements on university brand cognition through empirical methods. The design structure of nature and artistry provides inspir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rand logo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future. Chapter 1, first of all, present the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raise research questions, select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nd find the differences and necessity of research through previous studies. Chapter 2, theore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University of China logo', 'emotional design', 'brand recognition', and 'consumer knowledge level'. A research model was derived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Chapter 3, '985 Project' extracted and classified visual symbols from 39 university logos, and conducted design analysis in terms of emotional design instinct, behavior, reflection, brand memory, brand recognition, and public knowledge. Chapter 4, hypotheses were presented and empirical analysis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model and case analysis. Chapter 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stars, and empirical analysis of questionnaire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data software. Chapter 6, the hypothesis is verified and concluded based on empirical analysis. First, Chinese university brand logo design can be fused with emotional design elements to attract the public's association with brand-related attributes and arouse public emotional empathy, allowing the public to understand the university image more quickly. It can also quickly remember and re-sign brands, and deepen brand awareness. Second, the results differ according to the level of public knowledge in the brand logo emotional design element and brand cognitive relationship of Chinese universities. It mainly appears in public familiarity with universities. Therefore, the most effective way to develop is to integrate emotional design into brand logo design to improve brand awareness and to focus on intensive and effective dissemination of university brand culture, while universities pay more attention to their own construction, improve teaching and scientific research levels, and focus on features and create core advantages.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brand logo design elements at Chinese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reflect key design elements in logo design at Chinese universities. First of all, it is a text with high re-personality and appears as a Chinese school name, an English school name, and an opening time. Next, it is a graphic symbol that shows and extracts cultural meanings such as school management ideology, department characteristics, history histor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Finally, it is a color element that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Fourth, Donald Arthur Norman's emotional design ideology has a very important impact on designers. Of the 395 surveyed, participation rates between the ages of 18 and 30 were up to 65.8%, the most interested in "admission-related materials and sites," a place with university logos. Therefore, designers as logo designers had to fully consider the emotional needs of this age group as well as the emotional empathy of the logo at the level of interactive and interesting behavior such as printing materials and posting websites. Fif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ference of graphic symbols, text symbols, and color symbols of the brand logo, respondents form emotional empathy in the order of graphic symbols > text symbols > color symbols. In graphic symbols, preferences are in order of architectural graphics > animal graphics > plant graphics > human graphics > mountainous graphics > other features. The preference for text symbols is in the order of Chinese school name > abbreviation of school name > school opening time > school lesson > English name. Color symbol preferences are in order of red > blue > two or more colors > other monochrome. Through the above results, effective reference materials can be provided to designers. In the end, the establishment of the emotional design of the university brand logo is a very important emotional design strategy that improves the university brand image as an important medium that affects the university image and brand awarenes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reference to the brand logo design marketing strategy of Chinese universities in the future.

      •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김유나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For youth, Career maturity which improve their abilities and interest is developed the most actively through the process which select and determine the future course. So, in spite that the school which the youth spend most of time should provide a opportunity of proper career research and education, a career maturity development task was relatively considered less important than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entrance exams.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what factor affects to school adjustment in relation with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which is not yet. The purpose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ly, how is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oh the youth? secondly, how is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oh the youth? thirdly, how much does the youth's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have influence upon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568 students at their first grade and second grade of high school of four school at Incheon, that is to say, four coeducational high school. 501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25 copies having inadequate answers. The finding were as follows: A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areer maturity level had relation with the youth's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maturity level did after the youth's general factor variables are controlled. Also, career maturity level had relation with grade and gender, control variables. The confidence and the orientation of sub-variables for career maturity which influence upon the youth's school adjustment, more specifically the confidence and the orientation influence upon school teacher-related adjustment, school life-related adjustment, school instruction-related adjustment, school friend-related adjustment, school environment-related adjustment. Also, the decisiveness influence upon school friend-related adjustment, the independence influence upon school environment-related adjustment. Based on these results and fi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On the theoretical side, this study contributed to insistence and theory of pre-research about school adjustment by verifying the impact which career maturity influence upon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maturity can be a factor explaining some part of school adjustment. secondly, this study also supported insistence of pre-research which there is difference of school adjustment depending on gender and grade, by verifying that gender, grade, constituent family members have a relation with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the need about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nsultant program is emphasized through the result that career maturity affects school adjustment, and found that school adjustment can be improved by strengthening the factors of confidence and orientation. 청소년기는 자신의 흥미와 이에 맞는 능력을 개발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과정에서의 진로성숙이 가장 활발하게 탐색되고 발달되어진다. 따라서 청소년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학교에서 발달단계에 맞는 진로성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한 진로탐색 및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학업성취와 대학입시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진로탐색 및 진로성숙과 같은 발달과업이 상대적으로 경시되다가 최근에서야 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진로성숙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신의 적성과 진로탐색을 이룬 청소년이 자신이 계획한 진로를 이루기 위해 학교에서의 과업달성과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최근의 관심을 반영하여,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진로성숙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성숙 요인이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진로성숙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둘째, 청소년의 학교적응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셋째, 청소년의 진로성숙 수준은 학교적응 수준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 본연구의 대상은 인천 지역에서 임의적으로 선정된 남녀공학 인문계 고등학교 4개교의 1학년과 2학년학생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01개의 유효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전체 학생은 남학생이 237명(47.3%), 여학생이 264명(52.7%)이었으며, 응답자 중 1학년은 244명(48.7%), 2학년은 257명(51.3%)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가정의 월 평균 가계소득에 대한 결과로는 월 평균 200~300만원의 소득수준이 26.5%(133명)로 가장 많았으며, 300~400만원의 소득수준은 22.2%(111명), 400만원 이상의 소득수준이라고 응답한 학생은 16.0%(8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구성에 대한 청소년들의 응답에서 친아버지, 친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76.8%(385명), 한부모 가정이라고 응답한 학생은 15.8%(79명), 재혼 가정이라고 응답한 학생은 10명(2.0%)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진로성숙의 전반적인 수준은 진로성숙의 총 평균이 134.27점이며, 그 하위변인은 진로준비성이 29.46점으로 가장 높았고, 진로목적성 23.12점으로 가장 낮았다.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과 학년, 소득수준, 가족구성에 따라 진로성숙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청소년의 진로성숙은 여학생(M=136.47)이 남학생(M=131.83)보다 진로성숙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년에 따른 진로성숙의 평균은 1학년(M=134.84)보다 2학년(M=133.74)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소득수준에 따른 진로성숙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F=1.342, P=.245), 가족구성에 따른 진로성숙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역시 친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을 가정과 한부모가정, 재혼가정, 부모님이 계시지 않는 가정, 기타의 각 항목별 진로성숙의 평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220, P=.927). 응답자의 학교적응의 전반적인 수준을 알아보았을 때, 학교적응의 총 평균은 134.27점이며, 학교교사적응(21.64점) 평균이 가장 높았고, 학교생활적응(14.93점)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학교적응의 평균과 학년에 따른 학교적응 평균의 차이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가구소득수준에 따른 학교적응에 차이는 150~200만원의 소득수준일 경우 평균이 91.23으로 가장 높았고, 100만원 이하의 소득수준일 때는 85.05로 가장 낮았으나, 본 연구의 소득별 학교적응의 평균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에 대한 가족구성의 평균 차이는 친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는 경우 평균이 90.3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각 집단별 평균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고(F=1.223, P=.300), 가족구성의 하위변인을 친아버지, 친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재분류하였을 때에는 친아버지와 친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학교적응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독립변수인 진로성숙이 종속변수인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독립변수와 통제변수를 포함한 각 변수들과 종속변수의 회귀모형을 세워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설명력은 12.7%로 나타났으며,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통제변수인 학년(=-.129, P=.003), 성별(=-.090, P=.041)의 유의도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인 진로성숙(=.243, P=.000)은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성숙의 하위변수들로는 진로확신성(=.247, P=.000)과 진로준비성(=.300, P=.000)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더욱 구체적으로 학교적응의 각 하위변인에 대한 진로성숙 하위변인의 설명력을 분석해본 결과 학교교사적응, 학교생활적응, 학교수업적응, 학교친구적응, 학교환경적응에는 공통적으로 진로성숙의 하위변인인 진로확신성과 진로준비성이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친구적응에는 진로결정성(=-2.064, P=.040)이 학교환경적응에는 진로독립성(=.224, P=.011)이 또한 영향력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의 함의를 찾으면 다음과 같다. 이론적 측면에서의 함의는 첫째, 진로성숙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서 진로성숙이 청소년의 학교적응 중 일부를 설명해 주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밝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주장과 이론을 뒷받침하는데 기여하였다는 것이며 둘째, 청소년의 성별, 학년, 가족구조가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관계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서 성별과 학년에 따라 학교적응의 정도에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들의 주장을 뒷받침하였다. 또한 실천적인 함의는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통해 진로성숙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됨과 더불어 진로성숙의 하위변인인 준비성과 확신성의 요소를 강화하여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 문화기억에 기초한 중국 사족 전통문양의 의미확장에 따른 디자인 변환연구

        장루이즈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중국의 전통문양은 독특한 민족적 특성과 예술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중화민족의 풍부한 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다. 중국 전통문양은 현대 디자인에 풍부한 소재를 제공하며 중국 디자인의 민족화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표현 기호이다. 사족의 전통문양은 오랜 역사와 풍부한 내용을 가지고 있다. 사족의 전통문양은 사족 사람들의 생활 기록과 사상 교류를 반영하고 사족의 문화적 기억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다. 사회가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족 문화의 보호와 전파는 점점 더 많은 충격을 받았으며 기억의 소멸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사족의 전통문양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개발은 민족 전통 문화를 보호하고 전승하며 국가 문화의 소프트 파워와 문화적 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적 요구이다. 1) 사족 전통문양의 예술적 가치나 문화적 의미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 2) 디자인 응용의 관점에서 합리적이고 표준화 및 형성화된 디자인 방안 제안. 본 연구는 위의 두 가지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총 5개의 부분으로 나눴다. 첫 번째. 1992년-2021년까지 중국 전통문양 디자인 연구의 핫이슈와 추세 분석. 이 분야의 연구 열기는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연구자와 기관 간의 협력도 계속 강화해야 한다. 전통문양 자원의 발굴, 전통문양 요소의 추출 방법, 디자인 변환에서 전통문양의 문화적 의미 표현, 전통문양 디자인 변환 방법의 혁신의 4가지 연구 방향은 30년 동안 중국 전통문양 디자인 변환의 주요 연구 핫이슈이다. 문화 의미의 구현과 과학적인 디자인은 전통문양 디자인 변환의 발전 방향이다. 학문의 융합, 신기술과 새로운 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래의 발전 추세이다. 이를 통해 중국 전통문양 디자인 변환의 현황을 파악했다. 두 번째. 사족 문화 기억의 형성과 발전을 정리. 사족의 역사에서는 주로 이주 경작과 수렵의 생산 방법, 산간 지역의 흩어져 있는 주거 방식을 선택했다. 이는 사족의 문화 기억의 바탕을 구성했다. 판후(盘瓠)과 봉황의 토템 신앙은 사족 문화 기억의 핵심이다. 다양한 형식과 풍부한 내용을 가진 사족 민속 예술 문화는 사족 문화 기억의 구체적인 내용을 구성했다. 사족의 문화유산은 사족 문화 기억의 전통적인 매체이다. 문화유산 속의 사족 전통문양은 사족의 문화 기억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다. 사족 문화 창조 제품은 문화 기억의 새로운 매체이다. 세 번째. 사족 전통문양의 시각적 특징과 미적 가치를 요약. 사족 전통문양의 형태는 크게 문자 기호 문양, 기하 문양, 식물 문양, 동물 문양 및 인물 문양으로 나뉠 수 있다. 구도는 주로 연속 형태 도식 구조, 불규칙 적응 형태 도식 구조 및 대칭 형태 도식 구조를 포함하며 불규칙 적응 형태 도식 구조는 사족 전통문양 구도의 전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사족의 전통문양의 미적 가치는 주로 사족의 민속 생활에서 발생하는 미적 가치, 사족의 집단 문화 정체성에서 발생하는 미적 가치, 사족 사람과 자연환경의 조화로운 공존에서 발생하는 미적 가치 이 세 가지 측면에서 반영되었다. 네 번째. 사족 전통문양의 문화 창조 제품 및 시장분석. 사용자 수요조사를 수행. 문화의 3단계 이론을 기반으로 한 Kano 모델의 사용자 수요 분석은 사용자의 필수 수요 사항, 선형 수요 사항 및 매력형 수요 사항을 명확히 하고 주로 사족 문화 기억, 시대 혁신성 및 디자인 미관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사족의 전통문양 디자인 변환을 최적화해야 한 것을 제시했다. 사족의 전통문양 디자인 변환에 대한 수요 조사 결과는 사족의 전통문양이 확장 가능한 언어 의미 디자인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최적화된 아이디어와 방향을 제공했다. 다섯 번째. 확장 가능한 언어 의미 분석을 통해 변환된 문양을 추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전통문양을 정리하여 확장 가능한 언어 의미 디자인의 소수 연구 사례를 기반으로 확장 가능한 이론을 사용하여 사족 전통문양의 확장 가능한 언어 의미 디자인의 이론적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그런 다음 사족의 대표적인 문양인 판후 문양을 대상으로 실증 연구를 수행했다. 확장 가능한 언어 의미 분석을 통해 판후 문양의 언어 의미 모델이 구성되었다. 확장 가능한 구간이 큰 '충용', '상서', '신비'가 주요 디자인 언어 의미 방향으로 선택되었다. 언어 의미 특징을 그래픽으로 표현하고 형상문법을 사용하여 판후 문양의 창의적인 소재가 얻게 되었다. 창의적인 소재를 바탕으로 판후의 문양을 변환하여 디자인한 혁신적인 문양이 얻게 되었고, 방안이 출력되었다. 본 연구는 문화 기억의 관점에서 사족 전통문양의 문화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를 정리와 연구하며, 발굴된 사족 전통문양에 응집된 문화 기억은 사족 전통문화의 보호, 전승 및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사족의 전통문양의 확장 가능한 언어 의미 디자인 방법론 프로세스는 문양의 시각적 특성과 문화적 의미를 발굴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디자인 프로세스는 질적, 양적 합리화, 표준화 및 형식화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개방적인 진화 및 확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사족의 문화적 기억, 시대적 창의성 및 디자인 미관도를 가진 디자인 변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어 민족 문화 창조 제품 디자이너에게의 홍보 및 적용에 적합하다. Traditional Chinese culture has unique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values and contains the rich cultural meaning of the Chinese people. Traditional Chinese patterns provide abundant materials for modern design and are an important symbol of the nationalization of Chinese design.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Sajok has a long history and rich content.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Sajok reflects the life records and exchanges of ideas of the Sajok people and has specific information on the cultural memories of the Sajok. As society develops at a high rate, the protection and dissemination of quadrupedal culture has been more and more shocked and risks leading to the disappearance of memory. Systematic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four tribes is a strategic demand to protect and pass on national traditional culture, and to improve the soft power and cultural confidence of national culture. 1)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protection, it is not systematic enough to organize and analyze the artistic values and cultural meanings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four tribes. 2)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application, most of the current design conversion process of traditional patterns of the four tribes relies on experience and emotion, and design methods lack rational, standardized, and formal design methods. This study focused on the above two problems and divided them into a total of five parts. In the first part, we analyzed the research hot issues and trends of traditional Chinese text design research from 1992 to 2021 using CiteSpace literature quantification methods and content analysis methods in this study. Research enthusiasm in this field continues to increase, but cooper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institutions should also be strengthened. The four research directions of discovering traditional pattern resources, extracting traditional pattern elements, expressing the cultural meaning of traditional patterns from design transformation, and innovating traditional pattern design transformation methods are major research hot issues. The realization of cultural meaning and scientific design a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text design. The study of academic convergence, new technologies, and new methods is a future development trend. Through this, the current status of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Chinese text design was identified. In the second part, this study summariz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quadrupedal cultural memory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memory theory. In the history of the four tribes, they mainly chose migration cultivation, hunting production methods, and scattered residential methods in mountainous areas. This formed the basis of the cultural memory of the four tribes. Pan Bak and phoenix's totem beliefs are the core of the four-legged cultural memory. The four-legged folk art culture, which has various forms and rich contents, constituted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four-legged cultural memory.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four tribes is a traditional medium of cultural memory.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four tribes of cultural heritage has specific information on the cultural memory of the four tribes. Four-legged culture creation products are a new medium of cultural memory. In the third part, this study summarized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s of the traditional patterns of the four tribes by conducting various field surveys on the main residences of the four tribes. The traditional patterns of the four trib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character symbol patterns, geometric patterns, plant patterns, animal patterns, and human patterns. The structure mainly includes a continuous type schematic structure, an irregular adaptation type schematic structure, and a symmetrical type schematic structure, and the irregular adaptation type schematic structure has typical characteristics of a four-legged traditional pattern structure. The aesthetic value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Sajok was mainly reflected in three aspects: the aesthetic value arising from the folk life of the Sajok, the aesthetic value arising from the collective cultural identity of the Sajok, and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the Sajok and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fourth part, this study conducted a cultural creation product and market analysis of the traditional four-legged culture and conducted a user demand survey. The user demand analysis of the Kano model, based on the three-step theory of culture, clarifies the user's essential, linear, and attractive needs, and suggests optimizing the traditional design transition of the Sajok in three aspects: Sajok cultural memory, period innovation, and design aesthetics. The results of the demand survey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design of the four tribes provided optimized ideas and directions for establishing a language meaning design process in which the traditional design of the four tribes can be expanded. The fifth part constructed an extensible language meaning design path for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four tribes.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a theoretical process of scalable language meaning design of quadrupedal traditional patterns using scalable theories based on a small number of research cases of scalable language meaning design by organizing traditional patterns at home and abroad. Then,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the plate gourd pattern, a representative pattern of the four tribes. The language meaning model of the plate gourd pattern was constructed through scalable language meaning analysis. Chungyong, Sangseo, and Sinbi, which have large expandable sections, were selected as the main design language meaning directions.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meaning were graphically expressed and the creative material of the plate gourd pattern was obtained using shape grammar. Based on creative materials, innovative patterns designed by switching the patterns of plate gourds were obtained, and a plan was printed. This study organizes and studies the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of traditional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memory, and cultural memories aggregated in the discovered traditional culture can provide data for the protection,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The scalable language meaning design methodology process of traditional four-legged patterns established in this study can focus on discover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meanings of patterns. Design processes have qualitative, quantitative rationalization, standardization, and formalization properties, as well as open evolution and expansion. It is suitable for promotion and application to national cultural creation product designers as it can achieve design transformation goals with cultural memories, period creativity, and design aesthetics of the four tribes.

      •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보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농촌지역은 급속한 인구고령화로 인하여 국가차원에서 보호해야할 대상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농촌지역의 사회복지 전문 인력에 대한 관심과 수요도 증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농촌지역 사회복지 전문 인력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실천 환경 및 기반을 확립하기 위한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에 관한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조직몰입, 직무환경, 전문능력요인이 농촌지역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실천향상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과제를 발견하고 제언하고자 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전국 ‘면ㆍ리’ 단위 재가복지시설 사회복지사 249명을 이었으며, 우편, 이메일 등의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196부 중 18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조직몰입, 직무환경, 전문능력의 수준을 파악한 결과, 조직몰입(3.69점), 전문능력(3.54점), 직무환경(3.28점)순으로 보통(3점)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징적인 점은 조직몰입의 하위범주인 거래적 몰입의 경우, 기존 연구에서는 낮게 나타난 데 비해 농촌지역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경우 종사자가 조직을 떠나게 되면서 발생하는 기회비용을 고려하여 조직에 몰입하는 정도가 도시지역 사회복지사에 비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거래적 몰입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종속변수인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 수준을 파악한 결과,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수준은 보통보다 높았다(3.70점). 직무수행의 하위범주 중에서는 ‘전문가들이 갖추어야 할 속성 및 태도(3.87점)’가 가장 높았으며, ‘기관행정에 대한 이해(3.58)’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은 ‘기관행정에 대한 이해’정도를 의미하는 사회복지사의 기관의 목표, 정책에 대한 이해와 개선이 요구되는 정책과 절차의 변경에 책임지려하는 행동의 강화를 통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기관의 조직적 특성에 따라 직무수행 수준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본 결과,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연령이 높고, 미혼일수록 직무수행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적 특성에 따라 직무수행 수준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립변수 중 ‘전문능력’이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던 ‘조직몰입’, ‘직무환경’요인도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몰입’의 하위범주인 ‘거래적 몰입’이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을 낮추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론적 함의는 첫째, 선행연구에서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난 ‘전문능력’요인이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조직몰입 요인 중 거래적 몰입이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을 낮추는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실천적 함의는 첫째, 전문능력과 현임교육이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실천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농촌지역 특성을 반영하는 교육체계가 필요함에 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농촌지역 사회복지사간의 정보교류를 위한 협의체 구축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In recent years, rural areas in Korea have been experiencing a growth in the number of people eligible for governmental assistance due to a rapidly aging of the population in the areas. Therefore, the interest and the demand for professional manpower of social work in rural areas have been sufficiently increased. Despite this trend, however, only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oles and tasks of social workers in rural areas of Korea. In this context, a study on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n rural areas may play a positive role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manpower of social work in the areas and in establishing a practical environment and basis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factors inclu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ability on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n rural areas and then to discover and present problems that should be improved for enhancing the practicality of the social workers in the area. To achieve this purpose, 249 social workers who worked in home care service centers established in 'Myun's and 'Ri's throughout the nation were asked to answer questionnaires sent by mailing or e-mailing, and 186 out of 196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analyzed. Based up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could be made. First, we have analyzed where we are currently positioned in terms of organization commitment, job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ability factor. We scored 3.69 for organization commitment, 3.54 for professional ability, and 3.28 for job environment, which is higher than average score of 3. Continuance commitment, which is part of organization commitment, was low in social workers in urban areas, but high in social workers in rural areas. This means that social workers in rural areas have higher continuance commitment than social workers in urban areas since they consider about chance-cost which will occur when they leave their organization. Second, we have measured the level of job performance of rural area social workers. It was higher than average in job performance for social workers in rural areas(3.70), it which was not very different with from social workers in generally urban areas. Social workers in rural areas scored highest on 'attitudes for professional social worker', which is part of job performance(3.87), 'understanding in governmental policies'(3.58) was the lowes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 by improving social worker's understanding in policies and goals in it's whithin their organization which can enhance the level of involvement and responsibility on the part of social workers. Third, we have gathered information on how demographic trait and systematic trait of individual social workers influence job performance. Amo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ocio-population have shown that job performance is higher when social worker's age is older and single workers have shown better job performance than married workers,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had no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Lastly, multiple regression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n rural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ofessional ability' among independent variables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n rural areas most. Als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environment', two factors affecting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according to precedent researches,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n rural areas. In particular, 'continuance commitment', a sub-categor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revealed to have an effect of reducing on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n rural areas. As a conclusion,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ed. First, theoretical implications have suggest that 'professional ability', which is proven in previous studies for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job performance, is most important factors for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 in rural areas. Second, continuance commitment, which is part of organization commitment can lower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n rural areas. For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of all, professional ability and re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that influencing social workers in rural area , and this study taught us why it is so crucial to have proper educational system in rural areas. Second, it gave us a chance to think investigate why it is necessary to have better communications between social welfare service center with one another in rural areas. Aforementioned results, in order to promote more favorable practical environment for social work in rural areas, it may be necessary to establish a gathering of practitioners in rural areas in which various problems that can occu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are discussed and professional skills can be acquired.

      • 그래픽 디자인에서 한자 도형화의 응용에 관한 연구 : 포스터 디자인을 중심으로

        천예시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한자는 중국 역사 문화의 ‘살아있는 화석’이며, 언어를 기록하고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나타났다. 한자는 수천 년의 발전과 변화를 거듭하며 신령에게 기원하는 갑골문과 예법을 기록한 금문, 규범화된 소전(小篆), 간독(簡牘)과 비석에 새긴 예서(隷書)에서 자유분방한 행초(行草), 획이 엄밀한 해서(楷書)에 이르렀다. 그 과정에서 형상을 통해 의미를 전달하는 방식이 유지되고 심미적 표현이 변화되었으며, 또한 네모의 외형이 변하지 않았으나 조합의 구성이 변화되었다. 이처럼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은 한자의 독특한 도형적 매력을 형성하였고, 포스터 디자인에서 개성이 뚜렷한 표현 요소가 되었다. 한자의 기원과 발전은 한자의 변화 또는 한자 도형에 대한 사람들의 끊임없는 창조와 디자인을 증명하는 과정이다. 현대 디자인에서 한자의 도형화 디자인은 지면 디자인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특히 포스터와 표식 등 분야에서 한자의 독특한 매력을 잘 드러내고 있다. 한자 디자인과 관련된 연구와 자료는 비교적 많으나 한자 도형화의 디자인 이론과 표현이 제한적이고 단편적이다. 대부분 현대 디자인 이론을 활용하여 한자의 시각 이미지에 연구를 진행하여 한자 예술의 문화성을 소홀히 하고, 한자 도형화 디자인에 대한 다각도의 이론 연구가 미흡하다. 본 논문은 한자의 시각 예술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자의 역사, 문화 의미, 특징과 조자(造字, 글자 창작) 원리를 토대로 포스터 디자인에서 한자 도형화 응용 예술에 대해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문헌 조사와 사례 분석을 통해 한자 구조와 조형을 기초로 한자 도형화 디자인의 핵심 방법, 즉 한자와 한자의 결합, 한자와 도형의 결합, 한자 필획의 제거 등을 활용하여 한자의 의미와 외관을 발굴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외형과 의미를 융합하여 감성적이고 생동적으로 한자의 문화적 의미를 반영하며, 한자의 의미 전달 기능을 최대화한다. 그리고 이는 포스터 디자인 속 한자 도형화의 응용 방법에 일정한 이론적 참고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총 네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은 한자의 기원과 조자 방법을 고찰하며, 구체적으로 한자와 한자 도형화의 개념, 한자 도형화의 문화적 영향, 포스터의 개념과 역사 및 유형, 포스터 디자인 속 한자 도형화의 응용 모습과 디자인 이념 등 한자 도형화 이론과 관련 배경을 살펴보았다. 한자의 기원 부분에서 한자의 문자 형태, 쓰기 방식, 전파 매체의 변혁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한자의 변화와 발전의 역사적 배경을 소개하며, 한자의 형태 변화를 촉진하는 핵심 동력에 대해 설명하였다. 한자 도형화 개념에서 한자와 도형의 시각적 표현, 심미적 특징을 분석하고, 토템 숭배와 농경문화, 길상 문화, 서예 문화의 관점에 따라 한자 도형화의 구조적 특징과 문화 배경, 한자 도형의 원천을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스터의 한자 도형화 응용에 대해 한자 도형화는 한자 디자인을 도형화 느낌을 지닌 시각 형태를 구축하는 것이라는 연구 결론을 얻었다. 또한 포스터 디자인과 결합할 경우 한자 조형에 문자 의미를 부여하고, 한자 내용의 핵심 의미를 승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 형식은 한자 기능을 다양화시킬 뿐만 아니라 한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더욱 생생하게 전달하며, 도형 의미 전달 기능을 추가하여 신선하고 독특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두 번째 부분은 3가지 측면에서 한자 도형화 조형과 디자인 방법을 고찰하였다. 첫째, 한자 형태는 표현 측면에서 외형, 구조와 필획의 3가지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구조는 골격과 같고, 필획은 살이라 할 수 있으며, 양자는 외형 디자인의 필요에 부응하거나 외형 변화를 유도하고, 3가지가 합쳐져 한자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한자의 적절한 공간 배치와 시각적 표현을 통해 한자의 시각 표현력을 강화하고, 한자에 독특한 시각적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문자 형태의 표현 기법을 통해 한자 도형은 시각 이미지를 더욱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다. 구체적인 디자인에서 한계를 초월하는 점, 선, 면 등의 형식을 통해 문자 형태를 표현하고, 이를 통해 한자의 다양하고 풍부한 시각적 매력을 구현할 수 있다. 셋째, 본래 한자의 시각 조형을 기초로 한자와 한자의 결합, 한자와 도형의 결합, 한자 획수의 제거 등 3가지 디자인 기법을 활용하여 한자의 시각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완전히 새로운 한자 이미지를 창조하고, 더욱 섬세하고 깊은 시각 정보를 전달하여 감상자를 감화시키며, 더 높은 감정적 경지에 도달하여 한자의 의미 전달 기능을 확대할 수 있다. 세 번째 부분은 사례 분석 방식으로 한자 도형을 요소로 하는 포스터 디자인 작품을 분석하였다. 중국 논문 웹사이트 검색을 통해 대표적인 6명의 디자이너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6명의 디자이너 중 4명은 중국의 알란 찬(陈幼坚), 칸타이킁(靳棣强), 비쉐펑(毕学峰), 류샤오캉(刘小康)이고, 2명은 일본 디자이너 시라키 아키라(白木彰)와 타카하시 요시마루(高桥善丸)이다. 이 6명 디자이너의 한자 포스터 작품은 디자인의 명작 또는 기준이라 할 수 있으며, 사례 분석과 정리를 통해 현대 포스터 디자인의 한자 도형화 응용 방법과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한자의 해체와 재구축, 한자의 동구(同構)와 이구(異構), 한자와 수묵 요소의 결합, 한자와 도형의 교체, 한자와 도형의 상호 요소화, 한자의 공간화, 한자의 포지티브와 네거티브 형태, 한자 필획의 연속 사용, 한자 필획의 감소와 생략, 한자의 도형 구성, 한자의 중첩 조합, 한자의 시각적 예술 표현 12가지 디자인 방법을 정리하였다. 한자는 표의(表意)의 이성적 기호이고, 도형은 표의의 감성적 기호이다. 한자와 도형의 결합은 이성과 감성의 결합이며, 이를 통해 한자는 더욱 적절하고 흥미롭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포스터는 정보 전달의 중요 매개이며, 한자 도형화와 포스터의 결합은 정보 전달에 시너지 효과를 형성하여 포스터가 더욱 완벽하고 흥미롭게 정보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전달 내용을 강조할 수 있다. 네 번째 부분은 전체 연구에 대한 요약과 전망이다. 포스터 디자인 속 한자 도형의 시각 의미 연구를 통해 포스터 디자인의 한자 도형화 조합 디자인은 시각 전달 기능을 강화하고, 심미적 느낌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독자의 기본적인 독서 욕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포스터가 전달하는 정보 내용에 독자의 관심을 유도하는 독특한 시각적 매력과 의미를 지녔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심미 사유의 관점에 따라 독특한 예술 효과가 있는 도형은 한자의 형태뿐만 아니라 시각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고, 한자의 정보 의미와 언어 전달 형식 역량을 극대화한다. 즉, 강렬한 심미적 사유와 감정을 지녀 “정확하고 예술적으로 정보의 의미를 전달”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연구를 통해 한자 도형의 “형태로 의미를 표현하고, 의미로 감정을 전달하는” 특징을 포스터 디자인에 활용할 경우 사람들의 상상력을 확대할 수 있고, 사람들의 심미 능력과 예술 창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창조 이념의 정신적 함축성과 포스터 작품에 담긴 중국 특유의 철학 사상과 문화적 의미를 해석할 수 있으며, 중국 특유의 독특한 매력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독특한 매력으로 예술 표현력과 감화력을 확대할 수 있다. 한자 도형화는 일정한 이론적 의의와 실제적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한자 도형화 디자인의 형태와 의미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정확하고 적절한 시각 형태는 한자의 내재적 의미에 대한 외부적 표현이며, 한자 내용의 핵심 의미를 승화시킬 수 있다. 한자의 도형 언어를 포스터 디자인에 적용할 경우 대중이 도형화 부분에 큰 관심을 갖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자인 형태는 한자 기능을 다양화하고 시청자에게 단일한 한자 또는 도형보다 더욱 큰 매력을 제공할 수 있다. 포스터 디자인의 발전 과정에서 한자의 도형 언어는 독특한 예술 표현 형식이 되었고, 특정한 의미 기호와 의미 특징을 지녀 시각 유도 측면에 대한 역할이 외관만을 지닌 도형보다 더욱 중요하다. 문자의 내용에 따라 ‘형태가 아름다운’ 문자 이미지를 만들어 ‘뜻이 정확한’ 정보 전달을 실현하고, 한자를 도형화한 디자인 방법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문자 이미지를 형성하여 ‘아름다운 경지’의 문자 의미를 표현할 수 있다. 한자 도형화의 기호성과 시대성에 따른 한자 도형 언어의 적절한 활용은 포스터 디자인을 더욱 다양하게 만드는 특별한 수단이며, 궁극적으로 형태와 의미의 완벽한 통합을 실현하여 문화와 정신문화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디자인 산업을 발전시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Chinese characters are the "fossils" of Chinese history and culture. They were born in response to the need to record language and transmit information. Chinese characters have undergone thousands of years of development and evolution, from oracle bone inscriptions for praying to the gods, golden inscriptions for ceremonies, unified and standardized small seals, an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From the official script engraved on the tablet to the free and unrestrained cursive script and the regular script with strict strokes, the constant is the freehand brushwork of the shape, the change is the aesthetic expression, the constant is the shape of the block, and the change is the composition. The unique graphic charm of Chinese characters has been created, and it has also become a distinctive expression element in poster design.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proves that the evolution of Chinese characters is the process of people's continuous creation and design of Chinese characters. In modern design, the graphic design of Chinese characters still plays an important role in graphic design. At present, in the international graphic design field, there are many works designed with Chinese characters as the main element, and they are displayed in the fields of posters and signs. out of its unique charm. According to the survey, there are many existing researches and materials on the design of Chinese characters, but the design theories and expressions for the graphic design of Chinese characters are relatively partial and one-sided. The cultural nature of Chinese character art is ignored, so that the graphic design of Chinese characters lacks multi-angle theoretical research. This paper takes the visual art design of Chinese characters as the center, based on the history and cultural connota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principles of Chinese character creation, to conduct a systematic and in-depth study of the applied art of Chinese character graphics in poster design.At the same time, the reading of the literature and the analysis of the cases, on the basis of the original visual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use the core method of graphic design of Chinese characters: the comb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the comb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graphics, and the reduction of Chinese character strokes, mining Chinese characters. The connotation and appearance of meaning make its appearance and inner meaning integrated into one, which reflects the cultural connotation of Chinese characters perceptually and vividly, and maximizes the transmission function of Chinese characters. It provides some theoretical guidance for the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graphics in poster design.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first part explains the origin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method of making them; discusses the concept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 graphics; the cultural impact of Chinese character graphics; the concept, history and categories of posters; The application performance and design concept in poster design, etc. related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hinese character graphics. In the origin of Chinese characters, this paper comprehensively sorts out the changes of Chinese characters' character forms, writing methods, and communication media, introduc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onstant changes and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and analyzes the core driving force that promotes the changes in Chinese characters' forms. In the concept of graphic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visual performanc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between Chinese characters and graphics are analyzed, and then from the perspectives of totem worship, farming culture, auspicious culture and calligraphy cultur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background of graphic Chinese characters are analyzed. Exploring the source of graphics.Finally, from the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graphics in poster design, it is explored that Chinese character graphics is to design Chinese characters into a visual form with a sense of image. Combined with poster design, the shape of Chinese characters can be matched with the connotation of the text, and the core meaning of the content of Chinese characters is sublimated. This design form makes the functions of Chinese characters tend to be diversified, more vividly conveys the information to be expressed, adds the function of graphic communication, and creates novel and unique forms. The second part expounds the modeling and design methods of Chinese characters from three aspects. First of all, the form of Chinese characters is mainly affected by three elements: shape, structure and strokes. The structure is like bones, and the strokes are like flesh and blood, both of which conform to the needs of shape design or guide shape changes, presenting the whole picture of Chinese characters in a trinity. In addition, the spatial arrangement and visual expression of Chinese characters are just right, which will also enhance the visual express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bring them unique visual rhythm.Secondl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expression methods of text forms are more diversified, in order to better display the visual image of Chinese characters, graphics can break through the restrictions in specific design, and use points, lines, surfaces and other forms to express the form of characters, so that Chinese characters can show The ever-changing and endless visual charm. Finally, on the basis of the visual modeling of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s, three design techniques are used, which are the comb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the comb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graphics, and the reduction of Chinese character strokes to break through the visual limitations of Chinese characters and create a new image of Chinese characters.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is more nuanced, more in-depth and vivid visual information, infecting the viewer, reaching a higher emotional realm, and maximizing the conveying func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third part mainly analyzes the poster design works with Chinese characters graphics as elements through case analysis. The work of six designers was selected through a search on the Chinese Papers website. Four Chinese designers: Chen Youjian, Jin Diqiang, Bi Xuefeng, Liu Xiaokang; two Japanese designers: Shiraki Akira, Takahashi Zenmaru. The Chinese character poster works of these six designers represent a high level of design standards.Therefore, through the analysis and summary of the case, the applicatio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graphics in modern poster design are expound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the isomorphism and heterogeneity of Chinese characters, the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reduction of Chinese character strokes. Twelve design methods, such as province, Chinese characters and graphics as elements, replacement of Chinese characters and graphics, positive and negative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combination of Chinese strokes, images of Chinese characters, and comb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ink and wash elements.Chinese characters belong to the rationalized symbols of ideology, while graphics belong to the perceptualization of ideograms. The comb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graphics belongs to the combination of sensibility and rationality, so that Chinese characters can convey information better and more interestingly. As one of the important ways to convey information, the comb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posters can achieve the visual effect of "1+1>2" in the ability to convey information, make the information conveyed by the posters more comprehensive, give interest, and make the content of the text more interesting. more powerful. The fourth part makes a comprehensive arrangement and prospect of the full text. Through the research on the visual significance of Chinese character graphics in poster design, it is shown that the combination design of Chinese character graphics in poster design is to enhance its visu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give aesthetic emotions, which can not only satisfy readers' basic reading pleasure needs, but also It can induce viewers to be interested in the information content conveyed by the poster, and has unique visual charm and significance.At the same time, from the perspective of aesthetic thinking, graphics with unique artistic effects can endow Chinese characters with visual connotations beyond the physical form, greatly expand the information connot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formal power of language expression, and contain strong aesthetic thinking and emo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accurately and artistically convey the meaning of information", and finally realize the perfect unity of the image form and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Through research, it has been found that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meaning with shape and conveying emotion with meaning" in Chinese graphics in poster design can greatly expand people's imagination space and improve people's aesthetic ability and artistic creativity. It interprets the spiritual connotation of the creative concept. The poster works contain the unique philosophical thoughts and cultural connotations of the Chinese people, showing the unique char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t is self-evident that this unique charm has an extremely strong artistic expression. and infectious.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graphics in poster design will not be gradually abandon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and changes in viewers' aesthetics. On the contrary,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and the emergence of various new media, Chinese character graphics The innovative design method will be continuously applied and innovated. The graphic design of Chinese characters has certain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The form and meaning of the graphic design of Chinese characters are inseparable. The accurate and appropriate visual form is the external expression of the inner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which can sublimate the core meaning of the content of Chinese characters. Applying the Chinese graphic language to poster design, such a design form makes the functions of Chinese characters tend to be diversified, and its appeal to the audience is far greater than that of individual Chinese characters or graphics.In the process of poster design development, the graphic language of Chinese characters has become a unique form of artistic expression. It also has certain semantic symbols and implication features, and its role in visual guidance is more important than graphics with only appearance feature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Chinese characters, a "beautiful shape" text image is created to realize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of "accurate meaning"; using the graphic design method of Chinese characters to create a "novel shape" text image, expressing the "beautiful artistic conception" text meaning.By paying attention to the symbolic and epochal nature of Chinese character graphics, rational use of Chinese character graphic language is a special method to enrich poster design, and ultimately achieve the perfect unity of form and meaning, promote the identity of local culture and spiritual culture, and the design industry. All have a positive effect.

      • 장애인의 재활보조기구 사용에 관한 연구

        박종기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신체기능의 제약을 갖고 있는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장애특성, 재활보조기구의 가격특성에 따라 재활보조기구 사용에 차이점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서울ㆍ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장애인을 표본으로 설문조사연구를 실시함으로써 향후 장애인의 보다 효율적인 재활보조기구 지원과 서비스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장애인의 재활보조기구 사용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장애특성에 따른 장애인의 재활보조기구 사용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재활보조기구의 가격 특성에 따른 장애인의 재활보조기구 사용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분석에 사용된 종속변인은 재활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 재활보조기구에 의존하는 정도를 말하는 ‘재활보조기구의 사용 정도’였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은 장애특성과 재활보조기구의 가격 특성으로 나누어, 장애특성은 장애등급과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의 제약정도를 살펴보았고, 재활보조기구의 가격 특성은 구입비용에 따른 재활보조기구의 사용의 영향 정도 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문조사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서울ㆍ경기 지역에 거주하면서 재활보조기구를 사용하거나 사용경험이 있는 지체ㆍ뇌병변ㆍ청각ㆍ언어 등의 외부신체기능장애를 가진 장애인 135명을 대상으로 면접ㆍ우편ㆍ전화를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통계분석 하였다. 그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장애인의 재활보조기구 사용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장애특성과 재활보조기구의 가격특성에 따른 장애인의 재활보조기구 사용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장애등급을 1~6급ㆍ미등록으로 각 등급별로 재활보조기구 사용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재활보조기구 사용은 장애등급이 높은 집단일수록 장애등급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높은 의존도를 보였으며, 사후검증의 결과를 보더라도 유의미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와 함께 일상생활의 제약정도에 따른 재활보조기구 사용 비교 역시 일상생활의 제약정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제약정도가 낮은 집단들에 비하여 재활보조기구 사용 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른 사후검증을 통해서도 유의미한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재활보조기구의 가격 특성에 따른 재활보조기구 사용 비교의 결과, 구입비용이 높아질수록 재활보조기구 사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장애정도(등급)가 높거나, 일상생활에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중증장애인일수록 신체적 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재활보조기구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 더불어 재활보조기구 사용 정도가 높은 중증의 장애인일수록 재활보조기구 가격에 따른 영향을 더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알 수 있듯이 장애인의 재활보조기구 사용 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정책적, 실천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버내큘러 요소의 표현 특징 분류를 통한 중국 패키지 디자인 연구 : 중국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췌웨이타오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With the global recovery of economy and trade in the post-epidemic era, the trend of globalization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has been resumed in terms of exchanges of various countries. All regions around the globe are constantly enhancing their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values. Additionally, in the highly competitive market under the trend of globalization, standardized designs from the perspective of a unified global market have developed rapidly. Hence,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the vernacular design has developed and evolved. As a response to the glob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it not only protects and expresses vernacular culture, but also help the market participants find differentiated and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global market, bringing new possibilities and innovation to the design industry. Compared to Western design, Chinese design has been relatively weak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vity and cultural core in the international arena. It is the obligation for Chinese designers to convey the unique values of vernacular culture through artistic design language and expression as Chinese culture is the only ancient culture at present without discontinuity. Recently, Chinese design gradually obtains its global reputation in the unfavored environment, especially in the packaging design, which has become the focus of international competitions, and Chinese designers, who are gradually recognized around the globe, attempt to find a competitive path of global development through methods of vernacular design. Through studying the theoretical concept of vernacular design, this study hope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vernacular design in packaging, with the significance of expanding the research on the expression features of vernacular design in packaging. The study innovatively proposes a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the expression features of vernacular elements and selects the works of Chinese designers for evidence, so as to provide data and reference for subsequent researches.In this context, this study utilizes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to conduct a theoretical review of previous studies, providing an explanation of packaging and the concept of vernacular design. It introduces a definition of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vernacular design expression. Concurrently, qualitative research is predominantly employed as the primary research method. Through extensive surveys, collec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works, it deduces classifications of the distinctive features and modes of vernacular design expression. In this study, the focus is on Chinese design, specifically examining Chinese designers who have won international competitions. The defining criterion for inclusion was the presence of vernacular design expressions in the works. Only packaging designs created after 2010 and incorporating at least one vernacular design expression are considered as vernacular design packaging. Following these criteria, a case study approach is utilized to analyze a total of 60 packaging design works by ten Chinese designers: Tiger Pan, Xiongbo Deng, Andy Liu, Kuanfu Wu, Ke Xia, Rock Lv, Xiaoxiao Qiu, Shaobin Lin, Linjie Huang and Chaoyang Zhang.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based on the research of vernacular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s in such fields as architecture, interior decoration and brand, this paper concludes the vernacular design areas at which Chinese designers are good, their habits in selecting vernacular elements and the commonly adopted expression modes of Chinese designers through analyzing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ir packaging works. Besides, it also summarizes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aracter, regional character, and folk custom character. 2. The Chinese vernacular design features the following nine systematic classifications on the basis of the above expression characteristics: (1) traditional figures, (2) traditional language, (3) traditional architecture, (4) regional style, (5) regional animals, (6) regional plants, (7) folk stories, (8) daily necessities, and (9) folk crafts. The number of works in the 9 classification methods is concentrated in 6 to 7, which is relatively average, and among them, folk crafts are the most used local expression elements by Chinese designers. 3. After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vernacular design are classified, the common design expression modes of designers are summarized as vernacular patterns, vernacular characters, vernacular colors, vernacular shapes, and storytelling, and the content of each mode is refined and classified to obtain 15 expression modes: (1) monochrome painting, (2) ink and wash painting, (3) handwritten calligraphy font, (4) vertical typesetting of text, (5) auspicious words, (6) Chinese "red", (7) "yellow" represented by Chinese emperors, (8) mysterious “black”, (9) “white” represented by Chinese recluses, (10) form borrowing, (11) biomimetic form, (12) nostalgia through old goods, (13) narration of legends, (14) narration of myths, and (15) narration of homesickness stories. Then the application of these 15 modes in China's vernacular packaging design is elaborated. 4.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 data, it is concluded that designers mostly apply vernacular design to wine products. Wine packaging reflects the traditional character of vernacular design and presents the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of wine through adopting traditional figures, language and architecture as design elements in the modes of ink and wash painting, handwritten calligraphy, vertical typesetting of text, Chinese "red", form borrowing as design innovation; In food packaging, food safety and regional attributes are highlighted through adopting regional features, animals and plants are used as design elements in the modes of monochrome painting, auspicious words, "yellow" represented by Chinese emperors, and biomimetic form; As for the packaging for FMCG, with the purpose of generating emotional resonance and promoting consumer purchase, folk stories, daily necessities, and folk crafts are adopted in the modes of narration of legends, myths and homesickness stories, vertical typesetting, mysterious “black”, “white” represented by Chinese recluses, and reproduction of old goods; The relevance of these most commonly used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design methods to the product industry provides valuable references for subsequent such studies and puts forward suggestions for the optimization of vernacular design. 5. Finally, through summary and analysis, the vernacular design procedure is divided into (1) preliminarily investigating to determine the design direction of the product; (2) studying the investigation to analyze the packag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vernacular design; (3) defining theme by referring to the nine expression elements under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aracter, regional character, and folk custom character; (4) selecting appropriate designing method from 15 modes to carry out vernacular design or unitized design; (5) optimizing design through integrating current new technologies into new concepts to create vernacular packaging design that meets the needs of the present. As a complex and comprehensive design, the vernacular design, featuring strong regional characteristics, embodies the integration of vernacular traditional culture, folk customs and other cultural resources. The application methods of the classification of vernacular element expression characteristics in packaging design are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which may provide valuable exploration for the development trend of packaging design, and introduce experience for the creation of new designs. This study is committed to reflecting vernacular design while endowing national spirit with interpretation and the value of times, so that designers are able to create Chinese vernacular design packaging works that keep pace with the time and remain at the forefront in the wave of globalization. In the study process, there are also limitations, such as only studying Chinese designer cases, instead of studying cases from other countries. It is hoped that relevant research can be continued in the future and expanded to the international scope. In the future, more research topics might be proposed such as the integration of vernacular design into sustainable development, China's rural revitalization strategy, and world fashion and trend.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에 접어들어 세계 경제와 무역이 회복되고 있으며, 각 국가 간 교류도 과거의 글로벌화 추세로 회귀하여 각 지역의 정치, 경제, 문화 가치를 계속 발전시키고 있다. 글로벌화는 시장의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만들었고, 글로벌화에 따른 표준화된 디자인이 빠르게 발전하였다. 또한 버내큘러 디자인도 글로벌화 배경에 따라 발전하고 있으며, 이는 버내큘러 문화에 대한 보호와 전시뿐만 아니라 글로벌화에 따른 다원화에 대한 응답이다. 그리고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차별화와 경쟁 우위를 갖추게 할 수 있고, 디자인에 새로운 가능성과 창의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중국 디자인은 서양 디자인에 비해 창조력과 문화 핵심이 부족한 상태에 놓여 있다. 그러나 중국 문화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중단되지 않는 오랜 역사를 지닌 문화이며, 디자이너는 예술 디자인 언어와 표현 방식을 통해 버내큘러 문화의 독특한 가치관을 전달할 책임이 있다. 최근 중국 디자인은 점차 역경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특히 패키지 디자인 분야가 국제 디자인 어워드의 초점이 되었다. 누구도 알아주지 않는 상태에서 세계의 인정을 받을 때까지 중국 디자이너는 버내큘러 디자인 방식을 통해 경쟁력 있는 세계적인 디자인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버내큘러 디자인의 이론과 개념을 기초로 패키지 분야에서 버내큘러의 응용을 탐구하였다. 그 의미는 패키지에서 버내큘러 디자인의 표현 특징 연구를 확대하고, 창의적으로 버내큘러 요소 표현 특징의 분류 방법을 제시하며, 또한 중국 디자이너의 작품을 통해 이를 논증하여 후속 학자들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와 참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기존 이론 연구와 패키지 및 버내큘러 개념을 고찰하고, 버내큘러 디자인 표현 형식과 표현 특징의 정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동시에 정성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대량 조사 연구, 작품 수집과 비교 분석을 통해 버내큘러 디자인 표현 특징의 분류와 버내큘러 디자인 표현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디자인 어워드에서 상을 받은 중국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버내큘러 디자인의 표현 형식을 기준으로 하여 작품을 선정하였다. 해당 작품은 반드시 한 가지 이상의 버내큘러 표현 형식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2010년 이후 창작된 작품을 대상으로 하며, 이 조건에 따라 사례 분석에 최종적으로 판호(潘虎, Tiger Pan), 등웅파(邓雄波, Xiongbo Deng), 유문(刘文, Andy-Liu), 무관부(武宽夫, Wu Kuanfu), 하과(夏科, Xia Ke), 여영화(吕荣华, Rock Lv), 구소소(邱潇潇, Qiu XiaoXiao), 임소빈(林韶斌, Lin shaobin), 황림걸(黄林杰, Huang Linjie), 장조양(张朝阳, Zhang Chaoyang) 등 10명 디자이너의 60개 디자인 작품을 선정하였고,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건축, 실내 공간, 브랜드 등 분야에서 버내큘러 디자인 표현 특징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중국 디자이너들의 패키지 작품에 나타나는 표현 특징 분석을 통해 중국 디자이너가 뛰어난 성과를 거둔 버내큘러 디자인 분야와 버내큘러 요소 선택 습관 그리고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고찰하였다. 또한 작품 분석을 통해 전통성, 지역성, 민속성의 3가지 표현 특징을 요약하였다. 둘째, 작품 표현 특징을 기초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전통 인물, 전통 언어, 전통 건축, 지역 모습, 지역 동물, 지역 실물, 민속 스토리, 생활용품과 민간 공예 등 9가지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 9가지 분류 방식의 작품 수량이 상대적으로 균일한 6~7개에 집중되어 있고 그중 민간 공예는 중국 디자이너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버내큘러 표현 요소이다. 셋째, 버내큘러 디자인의 표현 특징에 대한 분류를 도출한 후 디자이너들의 디자인에 대한 공통적인 표현 방식을 버내큘러 도안, 버내큘러 문자, 버내큘러 색채, 버내큘러 조형의 4가지 방식과 기타 방식인 스토리텔링으로 요약하였다. 또한 모든 방식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① 단색 판화, ②, 수묵 의경(意境), ③ 손으로 쓴 서예 폰트, ④ 문자의 세로 포맷, ⑤ 길상(吉祥) 용어, ⑥ 중국의 빨간색, ⑦ 황제의 노란색, ⑧ 신비한 검은색 ⑨ 은사(隐士)의 흰색, ⑩ 형태 차용, ⑪ 바이오 형태, ⑫ 옛날 물건 재현, ⑬ 전기 인물 스토리, ⑭ 신화 전설 스토리, ⑮ 향수(乡愁) 스토리 등 15가지 표현 방식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15가지 방식이 중국의 버내큘러 패키지 디자인 응용에 끼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넷째, 작품 데이터를 통해 디자이너가 버내큘러 디자인할 때 대부분 주류(酒类) 제품에 집중되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주류 패키지는 버내큘러 디자인의 전통성을 보여주었고, 전통 인물과 전통 언어 그리고 전통 건축을 디자인 요소를 사용하여 수묵 의경, 손으로 쓴 서예 폰트, 문자의 세로 포맷, 중국의 빨간색, 형태 차용 등의 방법을 통한 디자인 창의로 술의 역사와 전통문화를 전달하였다. 또한 식품 패키지에 일정한 지역성을 지닌 지역 모습, 지역 동물과 지역 식물을 디자인 요소로 하여 단색 판화, 길상 용어, 황제의 노란색과 바이오 형태 등의 방법으로 디자인을 주도하고, 식품 안전과 지역 속성을 부각하였다. 그 외에 일상 소비재에서 민속성을 지닌 스토리, 생활용품, 민간 공예를 디자인 요소로 하여 전기적 인물, 신화 전설과 향토 스토리텔링을 문자의 세로 포맷, 신비한 검은색, 은사의 흰색, 옛날 물건 재현 등 방법으로 디자인을 주도하였다. 그 목적은 소비자의 공감을 일으켜 구매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표현 특징과 디자인 방법과 제품 업계의 관계는 이 유형의 후속 연구에 충분한 가치를 지닌 참고를 제공할 수 있고 버내큘러 디자인에 대한 최적화 건의를 제시할 수 있다. 다섯째, 마지막에 버내큘러 디자인 과정에 대한 요약 분석을 진행하였고, 구체적으로 이를 다음과 같은 5가지로 나누었다. ① 사전 조사를 통해 제품과 부합한 디자인 방향을 확정하고, ② 조사 분석을 통해 버내큘러 디자인의 패키지 표현 특징을 연구하며, ③ 주제를 확정하고 전통성, 지역성과 민속성 등 3가지 특징으로 요약한 9가지 표현 요소로 선정하고, ④ 15가지 디자인 방법에서 적합한 디자인 방법을 선정하여 버내큘러 디자인 또는 조합 디자인을 진행하며, ⑤ 디자인을 최적화하고, 현재 신기술과 새로운 이념을 융합하여 수요에 부합하는 버내큘러 디자인의 패키지를 창조한다. 버내큘러 디자인은 종합적이고 복잡한 디자인이며, 특정 지역의 전통문화와 민속, 관습 등 문화 자원에 대한 집단적 표현으로 매우 강한 지역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패키지 디자인에서 버내큘러 요소 표현 특징의 응용 방법을 도출하고, 향후 패키지 디자인의 발전 추세에 가치 있는 탐구를 제공하며, 새로운 디자인 창조에 지혜로운 경험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디자이너는 버내큘러 디자인에 집중하는 동시에 민족정신과 시대 가치를 부여하고 시대와 함께 발전하며, 글로벌 트렌드에서 확고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는 중국의 버내큘러 패키지 디자인을 창작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 일정한 한계가 존재한다. 즉, 다른 국가의 디자이너가 포함되지 않았고, 오직 중국의 디자이너 사례만을 연구하였다. 향후 관련 연구를 통해 연구 범위를 세계로 확대하고, 버내큘러 디자인을 지속적인 발전 이념과 중국 농촌 진흥 전략 그리고 세계 트렌드 심미를 결합하여 더 많은 건의를 제공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