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내포문의 오류 양상 연구

        딩티투히엔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Abstract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embedded sentence error occured in essays of 80 students from Hue University. In chapter one, the purpose, method of this study and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were mentioned. In chapter two, based on the differences of embedded sentence between Vietnamese and Korean, a hypothesis of the error analysis were proposed. In chapter 3, the numbers of different grammar and spelling errors were calculated. One of our significant results was that 23.31% of total errors was the embedded sentence error which was also the second most common one. Our result suggested that using embeded sentence could be quite difficult for Vietnamese students. Regard to embeded sentence errors, adnominal clause was the most common reason. Among student groups, from the first-year to the forth-year student group, the third-year students tended to make more mistake than others. This could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third year students used complex sentences more often than the first- and second-year students who prefered to use simple sentence. Compared with all other kinds of errors, substitution errors were the most common one. Because different types of sentence ending could have the same meaning but must be used in different situation, students may feel confused. The present study also pointed out 2 reasons for embedded sentence error: the error influenced by their native tongue and the error influenced by the target language. The error influenced by their native tongue could lead to omission the ending since Vietnamese language had no ending part while the error influenced by the target language were commonly found as relative tense errors.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the present study. The direct interview, which could give strong support for the conclusion, was not conducted. Furthermore, errors occurred in speaking language was not evaluated. The study could not suggest any better method in teaching embedded sentence for certain type of student. However,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be a valuable reference for improving teaching embedded sentence for Vietnamese students. 국문초록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내포문의 오류 양상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제출자: 딩티투히엔( Dinh Thi Thu Hien) 지도교수: 서종학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내포문 사용을 관찰하여 내포문 오류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하여 교육 방안을 제언하는 목적을 위하여 작성된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4 가지 분석 철자를 거쳤다. 첫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어휘적 문법적 오류 양상을 전체적으로 분류하고, 내포문 재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기 위해 내포문 오류가 전체 오류 중에서 얼마나 차지하고 있는지 통계를 냈다. 둘째, 한국어 내포문 및 베트남어 내포문에 대해서 파악하고 두 언어의 내포문 구성이 어떻게 각별한지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학습자 오류 발생 원인을 분석하였다. 셋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내포문 오류를 유형별로 학년별로 분석하였고 오류 유형은 내포문을 만든 어미 누락, 내포문 대치, 내포문 첨가, 내포문 환언, 형태론적인 오류, 관형사절 누락, 보문명사 오류 등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오류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내포문 교육 현황 및 베트남인 학습자에 맞는 내포문 교육 방안을 제언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내포문 종류 오류 중에 가장 어렵고 복잡한 관형사절 오류가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학년별로 내포문 오류율은 3학년이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는 3학년에 올라가면서 단순한 문장보다 복잡한 문장을 많이 쓰게 되는데, 내포문 쓰임에 대한 지식이 별로 많지 않아서 오류가 제일 많이 발생한다. 전성어미의 누락, 대치, 첨가, 환언, 형태적 오류, 관형사절 누락 오류, 보문명사 오류 유형 중에 대치 오류는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의미가 비슷하지만 쓰임이 다른 전성어미이기 때문에 오류가 많이 생겼다. 이러한 오류 양상 분석을 바탕으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내포문 오류 원인을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와 목표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 두 가지로 제시하여 설명하였다.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로는 어미와 조사가 없는 베트남어 문법의 영향으로 어미, 조사 누락 오류, 관형사절 오류에서의 ‘것’ 보문명사 누락 오류, 그리고 베트남어 표현을 한국어로 그대로 번역해서 생긴 오류 등 3 가지가 있다. 목표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로는 굳은 문형에 의한 오류, 품사에 의한 오류, 긴 관형사형 및 짧은 관형사형을 구별하지 못해서 생긴 오류, 주어 및 술어 호응 관계에 의한 오류, ‘-기’ 및 ‘-는 것’의 의미가 비슷해서 생긴 오류, 시제에 의한 오류, 어순에 의한 오류 등 7 가지가 이에 해당되었다. 위의 분석 결과를 통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교수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논문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내포문 교육에 보탬이 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라 기대한다. 주제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작문 오류 분석, 내포문 오류 양상

      •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질문 유형 및 양상

        엄정윤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질문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양상을 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교실 수업 현장에서 총 9차시 동안 초급 한국어 학습자 7명의 질문을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분류 기준을 세웠다. 즉,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질문 유형은 교사에게 설명을 요구하는 설명형, Yes or No의 대답을 요구하는 확인형, 행동을 요청하는 요청형, 그리고 외국어 학습에 나타나는 대화시도형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확인형과 요청형의 하위 분류로 단순·개념 질문, 비교·대조 질문, 적용·확장 질문과 방법 질문을 두었다. 다음으로 학습자를 성별과 인지 양식인 장독립성·장의존성으로 나누어 질문 유형이 나타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성별에서는 남자는 문법의 단순·개념 형성을 위한 설명형 질문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여자는 쇼핑과 문화에 관계한 적용·확장을 위해 확인형 질문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 밖에 여자가 남자보다 교사에게 행동을 요청하는 질문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인지 양식별로 살펴보았을 때, 장독립적 학습자는 자신의 개념 형성을 위해 확인형과 설명형의 단순·개념 질문을 많이 했고 장의존적 학습자는 확인형의 적용·확장 질문을 많이 했다. 또 장의존적인 학습자들이 요청형 질문을 사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대화시도형 질문은 학습자의 인지 양식 및 성별과는 상관 관계를 찾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에게 나타나는 질문 유형의 양상을 보는데 목적이 있다. 직접 수집한 질문을 통해 질문 유형을 제시했으며 각 유형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학습자 질문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비하다는 점에서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질문 유형을 밝힌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이연구 결과가 앞으로 학습자 질문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후속 연구로 문화권별과 한국어 등급별 학습자 질문 유형과 양상을 제안한다.

      • 연어 지도가 한국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미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s o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raise the ability of mid-level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words and reading comprehension at the same time, after researching on what effect is being made by teachers' expressive collocation teaching method onto the promotion of their reading comprehension. For it, this study set questions as below and analyzed the results; Research Question 1. It is to research what kind of co-relation their collocation understanding has with their general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o research their collocation understanding, 20 of collocation list was chosen after analyzing five volumes of mid-level Korean language text books, 「Collocation Diction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2007), and 「Analyzation and Research on Korean language textbooks」(2005)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Next, correlation analysis of collocation understanding score and reading comprehension score was done on 79 subjects of middle and high level,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ir collocation understanding, the higher their reading comprehension score they ha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ir collocation understanding, the higher reading comprehension they had. Research Question 2. It was researched on the effect of Teachers' Explicit collocation teaching to rais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of mid-level Korean learners. For it, for seven week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goal words in the reading text was taught for collocation teaching with various method relating with collocation; and for the control group, definition-centered word teaching was done for one-to-one corresponding dictionary definition for the goal words. And, their raising ability for before and after reading comprehension score were researched by ANCOVA and t-test for correspondi ng samples by SPSS. And, the result shows that average 3 score was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because it showed no big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Meanwhile, in the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was found with increase of 7.91 score. In other words, the increase of collocation-centered learning group was higher, and the collocation teaching was more effective on reading comprehension of learners.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collocation understanding of words was more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than understanding of individual words, and that, for teachers' teaching of vocabulary, learners' natural understanding of the collocation in the text is effective. In spite of the limit by experimental process and period, this research has suggesting points of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collocation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well. And,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an opportunity to prepare the basic foundation for collocation research of various theme in the future.

      • 드라마 대본 말뭉치로 알아본 현대국어 상대높임법 체계 연구

        장희은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지금까지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을 화자, 청자, 담화 상황 등을 고려하여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접근해 보았고, 구체적인 자료 분석을 통해 상대높임법 사용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많은 분량의 드라마 대본 말뭉치 분석을 통해 기존의 화계별 상대높임법 체계에 대해 다시 한 번 검토해 보고, 여러 사회적 관계에 따른 상대높임법 체계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기존의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 체계는 학자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하십시오체, 하오체, 하게체, 해라체, 해요체, 해체’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각각의 화계를 분석할 때, 화자를 직장 내 남녀, 가정 내 남녀, 기타로 구분하여, 사회 공간과 성별에 따른 상대높임법 사용 빈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비격식체인 해체와 해요체는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격식체인 하십시오체와 해라체는 그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하십시오체의 경우 공적인 상황이나 서로 어려운 관계에서 해요체가 사용되지 않고, 하십시오체만이 사용되는 대화 상황들이 있음을 고려할 때, 상대높임법 체계에서 가장 높은 등급으로 인정할 수 있다. 해라체의 경우는 해체와 함께 [-높임]의 자질을 가지고 그 나름의 위치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해체의 경우 자신보다 윗사람에게 사용되기도 하지만, 해라체는 자신보다 아랫사람에게만 사용되어 그 차이를 보이고, 청유형의 경우 해체의 종결 표현보다 해라체의 ‘-자’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미 언중들은 일반적으로 높임의 의도가 없을 때는 해체와 해라체를 함께 사용하고, 높임의 의도가 있을 때는 종결 표현 ‘-요’를 붙인다는 인식을 잠재적으로 하고 있고, 상대를 격식을 차려 많이 높이고자 할 때에 하십시오체를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하게체와 하오체는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의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 다 권위 있고, 연령대가 높은 남성 화자에 의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게체와 하오체는 그 쓰임이 일반적이지 않고, 특정 집단에 의해서만 사용되는 것을 볼 때 전체적인 상대높임법 체계에서 다른 화계들과 동등한 자리를 차지하기 어려워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여러 사회적 관계에 따른 상대높임법 체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사회적 관계를 가족 관계, 지인 관계, 공적 관계, 기타 관계로 나누어 각각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대높임법 체계에 대해 세부적으로 알아보았다. 가족 내에서는 거의 모든 관계에서 비격식체를 사용하였는데, 대체로 손윗사람은 해체와 해라체를 사용하고 손아랫사람은 해요체를 사용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형제/자매와 사촌 등의 비슷한 위치의 관계는 서로 해체를 사용하였다. 손아랫사람이 손윗사람에게 해체를 사용하는 경우는 화자가 나이가 어리거나, 청자와 화자의 나이 차이가 적은 경우, 청자가 화자에게 무척 편안한 상대인 경우가 있었다. 그런데 장인/장모와 사위 관계는 다른 가족 관계와 비교되는 결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다른 가족 관계에서는 찾아 볼 수 없었던 하게체를 장인/장모가 사위를 향해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사위도 장인/장모에게 하십시오체를 사용하였는데, 이 또한 다른 가족관계에서는 찾아 볼 수 없었다. 지인 관계에서 대표적인 애인 관계는 서로 해체를 사용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애인 관계는 서로 다양한 나이끼리의 만남이 가능하고, 서로 가깝고 편안한 사이이기 때문에 서로 해체나 해요체의 비격식체를 사용할 것이라 생각된다. 전체 말뭉치 분석에서는 애인 관계에서의 해요체 사용도 찾아 볼 수 있었다. 친구들 사이에서는 해체와 해라체의 사용이 일반적이었다. 그리고 친한 이웃 사이에는 연장자가 해체를 사용하고, 나이가 어린 사람은 해요체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공적 관계의 대표인 직장 내에서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장 내에서 다수를 상대로 말할 때는 주로 하십시오체를 사용하였고, 해요체를 사용하는 모습도 보였다. 그리고 직장 상사와 부하 직원의 일대일 관계에서는 상사는 해체와 하게체를 사용하고, 부하직원은 하십시오체와 해요체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직장 동료끼리는 하십시오체와 해요체를 함께 사용하였다. 직장 내에서는 가족 관계나 지인 관계에 비해 격식체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직장 내 관계는 다른 사회적 관계와 달리 격식을 차리는 공적 관계이기 때문이다. 이 외의 친분 관계가 없는 기타 관계에서는 서로 해요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렇게 최근 6~7년 사이에 방영된 드라마 대본 말뭉치 분석을 통해 상대높임법 체계에 대해서 연구해 본 결과, 하십시오체, 해라체, 해요체, 해체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에서 그 쓰임이 매우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하게체와 하오체는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의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 다 권위 있고, 연령대가 높은 남성 화자에 의해 사용되어 그 쓰임이 제한적이었다. 이렇듯 하게체와 하오체는 그 쓰임이 일반적이지 않고, 특정 집단에 의해서만 사용되는 것을 볼 때 일반적인 화자들이 사용하는 상대높임법은 4등분으로 나눌 수 있고, 하오체와 하게체를 포함한 6등분 체계는 일부 화자들에 의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최근 6~7년 내의 드라마 대본 말뭉치에서 화자/청자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대높임법 체계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하였다. 상대높임법 사용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사회적 요인들을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상대높임법 체계의 사용 현황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언중들의 언어 사용이 반영된 제대로 된 문법적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새로운 자료를 계속해서 분석하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is thesis approaches the modern Korean honorific system in terms of socio-linguistics, taking the speaker, the hearer, and the discourse into consideration. By analyzing collected materials, I wanted to figure out how people use the honorific system towards others. For the sake of this, I analyzed chunks of words in significant amounts of drama scripts, reviewed the honorific endings in the existing hierarchy and social relationships. Admitting there are different explanations on the modern Korean honorific system, I took the six honorific endings, 'Hashipshio-style, Hao-style, Hage-style, Haera-style, Haeyo-style, and Hae-style' into consideration. Moreover, the speakers are classified into men and women in the workplace and family, and other types of speakers, and surveyed on the frequency of the honorific endings in different social areas and between different genders. The survey showed that the Hae-style and Haeyo-style were used in the most frequency in the modern honorific system, followed by the Hashipshio-style and Haera-style. As far as the Hashipshio-style is concerned, it was considered as the highest level in the honorific system, given that only the Hashipshio-style was used in discourses among people with the formal and not close relationships. As for the Haera-style, along with the Hae-style, it has [-honorific] quality. As for the Hae-style, it was occasionally used towards the hearer in the higher hierarchy than the speaker, while the Haera-style is only used towards the lower hierarchical hearer. As an offer, the ending '-ja' of the Haera-style is more commonly used than the ending of the Hae-style. Generally speaking, the majority use both the Hae-style and Haera-style when they have no intention of honoring the hearer, while they acknowledge the addition of the ending '-yo' with the honorific intention. For the most honorific use, they use the Hashipshio-style towards the hearer. Meanwhile, the Hage-style and Hao-style are considered rarely used in the modern honorific system. If ever, though, they are normally used among male speakers with some authority and seniority. In this respect, the Hage-style and Hao-style are considered not having as an equal status as the other honorific endings. To study the honorific system towards the hearer based on the variety of social relationships, I divided the relationships into four areas, such as the family, acquaintance, business, and other relationships, and then analyzed their honorific system in detail. In the family, the non-formal way was used in almost all relationships. Overall, the elder used the Hae-style and Haera-style while the younger used the Haeyo-style. Among siblings and cousins, they used the Hae-style to each other. When the younger used the Hae-style to the elder, it was when the speaker was at young age, the age distance was not big enough, or they were comfortably intimate. Mean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in-law and sons-in-law turned out to be different. Parents-in-law used the Hage-style toward sons-in-law, and sons-in-law used the Hashipshio-style toward parents-in-law, which was not found in the other family relationships. As for the acquaintance, the lovers used the Hae-style to each other. It is assumed that lovers use the non-formal ending such as the Hae-style or Haeyo-style, as they are different in their ages and rather intimate. According to the word chunk analysis, the Haeyo-style was also found among lovers. Among friends, the Hae-style and Haera-style were commonly used, and among close neighbors, the Hae-style was used by the elder and the Haeyo-style by the younger. As far as the business relationship is concerned, the Hashipshio-style was used toward a mass, and the Haeyo-style was also used in this situation. Meanwhile, in the one-to-one relationship between the boss and the subordinate, the boss used the Hae-style and Hage-style while the subordinate used the Hashipshio-style and Haeyo-style. Among the collegues, both the Hashipshio-style and Haeyo-style were used. Compared with the family and acquaintance relationships, the business relationship showed more use of the formal way of speaking. This demonstrates that the business relationship is more formal than the other relationships. In other formal relationships other than the business relationship, the Haeyo-style seems to be commonly used. To sum up, through the analysis of word chunks from the dramas broadcast on TV for the past six to seven years, the Hashipshio-style, Haera-style, Haeyo-style, and Hae-style endings were widely used while the Hage-style and Hao-style were rarely used in the modern Koean honorific system. The latter two endings were used by limited speakers of old male speakers with authority. Considering the limitation of the use of Hage-style and Hao-style, the honorific system can be classified into four levels instead of six used by ordinary speakers. In conclusion, I analyzed in the thesis the soci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s on the speaker's use of the Korean honorific system, and was able to obtain the practical facts. The speakers' use of the language keeps changing. Therefore, continuous research into new linguistic materials must be made in order to reflect the timely grammar of the endlessly changing speakers.

      •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듣기, 읽기 상관관계와 전이 연구

        윤민애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효과적인 듣기 · 읽기 통합 교수를 위하여 언어의 네 기능 중, 이해의 영역으로 분류되는 듣기와 읽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그 전이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의 듣기와 읽기 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 r=0.669의 비교적 높은 수준의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듣기 능력과 읽기 능력이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는 뜻으로 그 입력 신호가 다를지라도 듣기에서 일정 수준의 능력을 가진 학습자라면 읽기의 경우도 그와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읽기에서 일정한 수준의 능력을 갖춘 학습자라면 듣기의 경우에도 그러한 능력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둘째,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의 듣기 능력과 읽기 능력은 그 하위 기능 간에도 상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듣기와 읽기의 각 사실적 이해와 추리 상상적 이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 r=0.605와 0.544의 비교적 높은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셋째, 두 능력의 전이 양상에 대해서 살펴 본 결과 듣기 중심 학습 집단의 듣기 능력과 읽기 능력이 읽기 중심 집단의 결과보다 더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듣기 중심 학습 집단의 읽기 능력이 읽기 중심 집단의 읽기 능력의 향상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발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의 경우 듣기에서 읽기로 그 능력이 전이되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그러나 듣기와 읽기의 공통 하위 기능인 사실적 이해 능력에서는 양방향의 전이가 확인되었다. 이는 사실적 이해라는 비교적 낮은 수준의 이해를 점검하는 영역에서는 듣기와 읽기의 양방향 전이가 확인됨에 따라 적절한 교수와 학습에 의해서 다른 하위 기능들에서도 양방향 전이가 가능함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듣기와 읽기의 높은 상관관계와 전이 가능성이 한국어 학습 상황에서도 검증됨에 따라 다음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듣기와 읽기는 근본적으로 같다는 일원가설을 지지해 주고 있다. 또한 듣기와 읽기의 높은 상관관계는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듣기 연습뿐만 아니라 읽기 연습도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와 마찬가지로 읽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듣기 연습도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둘째, 듣기와 읽기 능력 사이의 높은 상관성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두 기능을 통합하여 교수하는 것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서론에서도 밝혔듯이 언어 기능 간 통합에 앞서 그 기능들 간의 상관성 연구가 선행되어야 올바른 방법적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공통 기능을 중심으로 한 듣기와 읽기 기능 지도, 기능의 전이를 고려한 듣기와 읽기 지도 등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사실적 이해 능력에서의 듣기와 읽기의 양방향 전이가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됨에 따라 앞으로 추리 상상적 이해와 같은 다른 하위 기능 요소들의 양방향 전이 또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이며 실제적인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듣기와 읽기의 통합 교수 방안에 대해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통합적 문법 교육의 내용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독서와 문법Ⅰ,Ⅱ’과목을 중심으로-

        성현영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has a purpose of suggesting education content according to the integrated composition of <Reading> and <Grammar> based on the theoretical content of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For this, it is to analyse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 of <Reading & Grammar I,Ⅱ> subject in the critical aspect, and to suggest the education content that can be possible to integrate <Reading> and <Grammar> as the improvement measure according to that. Despite the necessity and appropriateness, since the grammar education was composed of knowledge and theory focused education content, it was performed as the independent to the practical life or it was criticized that the choice rate of grammar subject in school site was low. For solving this problem, this research considered that the goal of Korean education was that the <grammar> performance with connection to the function of language use could contribute on the accomplishment of goal of Korean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use of learners. Especially,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Grammar> which was less interested before is meaningful in the perspective that it must be based on grammar education fo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bout the text. Like this, before finding the integration possibility of <Reading> and <Grammar>,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was accomplished as the principles of learner centrality, function centrality, and integration centrality with taking the perspective of totality oriented in integrated linguistics and total language education. And for ensuring the necessity of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it was surveyed that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has a meaning in the position of Korean education, grammar education, teacher, and learner. It was analyzed the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of <Reading & Grammar I, II> in the critical perspective for integrated composition of <Reading> and <Grammar> based on the understanding about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As a result, since the basis of the standard for the textbook composition and curriculum, the integration composition was not clearly accomplished. Also, the integration aspect of <Reading> and <Grammar> in the learning goal and unit composition was superficial and just parallel listed, and the content of learning activities seemed not to reflect on the element of integrated content dutifully.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tent structure and composition needs to be re-organized for organic connection of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Grammar>. According to this, it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measure for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Grammar> subject. Here, the education content for possible integration of <Reading> and <Grammar> was divided into essence, 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and practice. It was selected the unit composition and learning activity content that could be learned in school site practically with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Grammar> based on this. Even though the integration measure of <Reading> and <Grammar> did not show the aspect of true integration completely, this research has a meaning that it is to provide more effective learning content to the learners, and in addition to this, it is to prepare the basis for true integration further through this research. 본 연구는 통합적 문법 교육의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독서>와 <문법>의 통합 구성에 따른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독서와 문법Ⅰ,Ⅱ> 과목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비판적 시각에서 분석하였고 그에 따른 개선 방안으로 <독서>와 <문법>의 통합 가능한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 문법 교육은 그 필요성과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지식이나 이론 위주의 교육 내용으로 구성되어 실생활과 별개로 이루어지거나 학교 현장에서 문법 교과의 선택률이 낮다는 등의 비판을 받아왔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국어 교육의 목표가 학습자의 국어 사용 능력을 신장하는 데 있다는 점과 관련하여 <문법>이 언어 사용 기능과 연계되어 이루어진다면 국어 교육의 목표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텍스트에 대한 의미의 이해를 위해 문법 교육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동안 관심이 덜 했던 <독서>와 <문법>의 통합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이처럼 <독서>와 <문법>의 통합 가능성을 찾아보기에 앞서 통합적 문법 교육은 통합 언어학과 총체적 언어 교육에서 총체성을 지향한다는 관점을 취하면서 학습자 중심성, 기능 중심성, 통합 중심성의 원리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리고 통합적 문법 교육의 당위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국어 교육, 문법 교육, 교사, 학습자 입장에서 통합적 문법 교육이 의의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통합적 문법 교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독서>와 <문법>의 통합 구성을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독서와 문법Ⅰ,Ⅱ> 과목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비판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구성이 어떤 기준으로 통합된 것인지 그 근거가 명확하지 않아 통합 구성도 분명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 학습 목표나 단원 구성에서 <독서>와 <문법>의 통합 양상이 표면적이고 병렬적 나열에 그쳤고 학습 활동의 내용도 통합적 내용 요소를 뽑아내 충실하게 반영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독서>와 <문법>의 통합이 유기적으로 연계되기 위해서 내용 체계나 구성에 있어 재구조화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독서>와 <문법> 과목의 통합을 위해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는 <독서>와 <문법>의 통합 가능한 교육 내용을 본질, 이해와 탐구, 실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독서>와 <문법>이 통합되어 실제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학습될 수 있는 단원 구성과 학습 활동 내용을 선정해 보았다. 이렇게 <독서>와 <문법>의 통합 방안이 진정한 통합의 양상을 완벽하게 보여주지는 못했지만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학습 내용을 제공해주고 더 나아가 진정한 통합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두고자 한다.

      • 한국어 학습자의 서사 담화 연구 : 담화 구조와 시제 사용을 중심으로

        박수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599

        A Study on the Narrative Discourse of Korean Learners: Discourse Structure and Tense Usage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study the structure of a narrative discourse and tense usage and to present a teaching method to be closer to the narrative discourse of the Korean language through comparison with a narrator who is a native Korean speaker. Since a narrative has a characteristic of a discourse that reveals incidents by the order of sequence, the study focuses on the tense which is a grammar category that indicates the time factor. Since a narrator can choose a tense on his or her will,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s of discourses at a condition that includes texts and the context. Therefore, this study displays discourse grammar viewpoint which analyzes grammatical aspects according to the contexts of discourses. The targets of this study are Korean learners who are at the intermediate or above level and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narrative discourses used in this study are divided into personal narratives and impersonal narratives by their types. Also, T-unit is determined as the unit of the analysis with a purpose to analyze them at the horizon of discourses so that the problem caused by an analysis unit within a sentence which is common in the old studies, does not exist in this study. In Chapter 2, the analysis standards are established by discourse structures. The analysis standard of information structure is divided into external scope and internal scope of a story and also into foreground information and background information based on temporal continuity and sequentiality. Then it is divided into more details; major information, introductory information, detailed information, and evaluation information. As the analysis standard for the structure of a story, a comment category is to solve the problems that exist in the story grammar as suggested in narratology, and detailed categories of story structures are presented along with it. I looked into how intermediate or above Korean learners construct narrative discourse structures based on these information structures and the analysis standards for story structures, and I categorized the learners’ proficiency into intermediate and advanced to show the discourse patterns of the Korean learners’ interlanguag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proven that the narrative discourse structures, the information structures and the story structures, change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discourses. However, in the case of a story structure, detailed categories other than the setting, event, outcome, and the comment can be chosen or ruled out by the narrator’s intention, therefore these technical dimensions by detailed categories cannot be considered as an universal narrative structure. In Chapter 3, I looked into usages of tenses in the narrative discourse structures.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Korean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use different tenses in the narrative discourse structures by the types of the discourses. They used past tenses for the foreground information most of the times, but used past tenses and nonpast tenses for the background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information structures. Their use of past tenses decreased for the background information. Unlike the foreground information in which the past tenses are likely to show due to the temporal continuity of incidents, the background information does not mandatorily require the past tense since the background information includes non-sequential incidents or the narrator's opinions. However, the native Korean speaker’s use of nonpast tenses in the two information structures, the foreground information and the background information, tends to be higher than the Korean learners’ use of nonpast tenses. This shows that the native Korean speakers change the tense more often than the Korean learners. Use of past tenses in the foreground information of the personal narratives especially shows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is is proved again in the story structures. The native Korean speakers used nonpast tenses to describe all categories of the story structures in the personal narratives and used nonpast tenses in narrating most of the story structures such as settings, events, internal responses, attempts, outcomes, and the ending in impersonal narratives. This is in complete contrast to the Korean learners who used past tenses in all story structures except in the comment category. This clearly shows the interlanguage discourse pattern of the Korean learners. In other words, the Korean learners show the interlanguage discourse that cannot express the narrator’s intention nor the status of the information through change of tenses. In Chapter 4, a teaching method that can help Korean learner’s interlanguage discourse be closer to a native Korean speaker’s is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rom Chapter 2 and 3 show how the structures of discourses narrated differ for each type of discourse and how the narrator’s intention is freely expressed depending on the types and structures of the discourses. For this phenomenon, I, the researcher, suggest a teaching method called “focalization,” and explain it with informational focalization and narrative focalization. I applied it in an actual class to prove its effectiveness in bo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aw that the Korean learners were able to express their narrative intentions using the tense-switching method depending on the types and structures of the discourses. In other words, the Korean learners were able to get closer to that of native Korean speakers’ narrative discourses through teaching/learning using “focalization.” In other words, “focalization” can be a way to focus on the intention of a narrative and also can be a meaningful teaching tool for the narrative discourse structures and the use of tenses shown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