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 지역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삶의 만족도

        신현선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explore relationships between those three variables, in the community living elderly in an area. A total of 215 participants from J city were interviewed between March 1 to 31, 2007 with questionnaire packets. Health status was measured with one item scale with possible scores from 1 (severely unhealthy), 2 (unhealthy), 3 (average healthy), 4 (healthy), to 5 (strongly healthy).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win 14.0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d Scheffe' post-hoc test.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ws: 1) Moderat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ree variables. Perceived health status was moderat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s (r=.39, p<.001), and with life satisfaction (r=.54, p<.001).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s (r=.52, p<.001). 2) The mean score of perceived health status was 3.14 (SD=.93). A total of 41.4% elders rated their health status either 'strongly healthy' or 'healthy', while 27.9% elders rated their health status either 'severely unhealthy' or 'unhealthy'. Perceived health statu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ge (F=3.136, p=.046), sex (t=1.912, p=.003), education (F=8.55, p<.001), marital status (t=1.038, P<.001), living status (F=6.720, p<.001), past job (F=5.236, p=.002), and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F=15.984, p<.001). 3) The mean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2.30 (SD=.33). The subscale of 'daily life management' scored the highest mean of 2.53 (SD=.38), and the subscale of 'health care visits' scored the lowest mean of 2.20 (SD=.39).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me of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religion (F=2.688, p=.048), education (F=4.22, p=.003), past job (F=3.436, P=.018), living status (F=2.77, p=.044), and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F=3.436, p=.018). 4) Life satisfaction was measured with 12-item, 3-point Likert-type scale and the mean score was 2.20 (SD=.54). The item of 'this is not the worst depressed time in my life'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of 2.51 (SD=.78), and the item of 'If I plan something new, I wouldn't be able to do it' showed the lowest mean score of 1.68 (SD=.1.84).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with sex (F=1.954, p=.015), education (F=4.313, p=.001), marital status (F=.364, p<.001), number of child (F=2.700, p=.047), living status (F=3.567, p=.015), past job (F=4.933, p=.002), monthly allowance (F=5.875, p<.001), and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F=19.917, p<.001). Basis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1) Elders with low perception of health status tend not to engag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refore health promoting interventions should be focused more heavily on those elders with low health perception. 2) Since elders with positive perceptions of health status were more likely to perform mor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o rate their life satisfaction highly. More welfare programs and nursing interventions at low cost should be provided to facilitate their perceptions of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and hopefully to promote more healthy behaviors. 본 연구는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의 수행정도 및 삶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서로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07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전라북도 전주시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재가 노인 남·여 21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가지고 직접 면담에 의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지각된 건강상태 측정은 대상자에게 현재의 건강상태를 주관적으로 묻는 1문항을 사용하였고, 건강증진행위수준을 측정도구는 Walker, Sechrist, Pender(1987)가 개발하고 우리나라 건강 증진 법에 의한 건강증진 사업 전개 시 국민건강 실천운동의 내용인 6개영역(건강진단 및 상담-3문항, 영양 및 식생활-8문항, 일상생활관리-7문항, 운동 및 활동-4문항, 음주 및 흡연-4문항, 스트레스-5문항)을 포함시켜 서인선(2000)이 개발한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삶의 만족도 측정도구는 Wood, wylie & Sheafer(1969)가 개발한 13문항의 삶의 만족 측정도구 (Life- satisfaction Index-Z)를 최혜경(1987)이 수정 보완하여 만든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고,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산출하였고 Cronbach's alpha 값은 건강증진행위 alpha=.906, 삶의 만족도 alpha=.874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대상자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 행위 및 삶의 만족도는 평균과 표준 편차를 구하였다. 대상자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삶의 만족도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고,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 행위 및 삶의 만족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 t-test와 ANOVA, scheffe′ test 로 하였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연령군은 65~74세, 여자가, 종교는 무교 , 교육수준은 초졸이, 결혼상태는 유배우자, 자녀수는, 노부부만 동거하는 경우, 과거에 오랫동안 종사했던 직업은 주부, 무직, 단순 노무직, 월수입은 21~50만원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회활동 참여는 ‘가끔 참여한다’, 사회적 모임에 나가는 곳은 ‘노인정, 경로당’, 집에 있을 때 주로 하는 활동은 ‘주로 간단한 집안일을 하거나 집을 지킨다’, 집안일 결정은‘부부 상의 하에 결정한다’, 평소 건강관리는 ‘운동을 한다′가 높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지각된 건강상태는 5점 만점에 3.14(.93)로 중정도 수준의 건강상태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건강증진 행위 수행정도는 3점 만점에 2.30(.33)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영역 중에서는 일상생활 관리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게 나온 영역은 건강진단 및 상담으로 이었다.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는 3점 만점에 2.20(.54)이었고, 지금이 ′내 인생에서 가장 울적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높았고, ′만일 어떤 일을 계획한다면 나는 앞으로 그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다′고 응답한 경우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삶의 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 지각된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도간에는 서로 상관관계를 보여 지각된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건강증진행위를 잘하며 삶의 만족도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4) 조사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지각된 건강상태는 연령군이 65~74세로 낮을수록, 남자인 경우에,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 , 자녀수가 1~3명인 경우에, 노부부만 동거하는 경우에, 과거직업이 사무직인 경우에,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5) 조사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종교가 불교인 경우에,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과거직업이 사무직(공무원, 전문직)인 경우,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6) 조사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남자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유 배우자인 경우에, 자녀수는 1~3명인 경우에, 노부부만 동거하는 경우에, 과거 직업은 사무직(공무원, 전문직)인 경우, 월수입이 많은 경우에,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우에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노인들 스스로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보건기관이나 복지시설과 연계하여 홍보하여 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2) 본 연구에서는 일 지역의 재가노인에 국한하여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삶의 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데 그쳤으나 지역과 대상의 범위를 넓혀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제언한다.

      • 임상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양상에 관한 연구

        이미란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양상에 대한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도에 소재하고 있는 1개 대학교병원과 1개 종합병원에 3교대 근무를 하는 임상간호사 269명이다. 연구도구는 임상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위해 구미옥과 김매자(1985)가 개발한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기초로 간호학과 교수 1인과 간호학석사학위 소지자 2인, 임상간호사 5인의 경험과 문헌고찰을 통하여 수정, 보완하여 70개의 업무스트레스가 도출되었다. 스트레스 반응양상 측정도구는 이소우(1997)가 번역한 SOS(Symptoms of Stress)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사용하여 2007년 3월 1일부터 3월 10일 까지 이루어졌으며, 총269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PC+ 12.0을 이용하였고,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Cronbach's alpha 등의 통계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정도는 5점 만점에 4.00점이였고, 업무량과중 4.37점, 밤 근무 4.29점, 업무외의 책임 4.24점, 인력부족 4.21점, 의사와 갈등 4.17점, 환자 및 보호자와의 갈등 4.05점순 등으로 나타났고, 익숙치 않은 상황이 3.6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스트레스 반응양상은 평점 4점 만점에 1.39점이였고, 하위영역별로 보면 우울증상군은 1.71점, 정서적 불안정군(분노)은 1.67점, 인식력 장애군은 1.48점 순 등으로 나타났고, 심폐증상군 중 각성 증상군이 1.1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임상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업무스트레스는 밤 근무 일수가 7-12일 일 때, 간호직 만족도가 낮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임상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에 있어서 연령, 결혼상태, 간호사 근무경력, 밤 근무 일수, 간호직에 대한 만족, 간호직 이직의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업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양상은 중정도의 양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45, p=.000). 따라서 업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업무스트레스 반응양상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임상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반응이 높음이 확인되었고, 업무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반응양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tress and to find the symptoms of clinical nurses's stress. The participants are 269 nurses who work in clinical wards of the 2 general hospital and university general hospital in a city.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including Job stress scale of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measured by the instrument of modification supplement and development by the Kim and Gu (1984), and the stress response measured with Symptoms of Stress(SOS) inventory.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survey from March 1 to March 10, 2007.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s, mean and t-test, ANOVA, scheffe' test, Perason's Correllation Coefficient with SPSS for windows 12.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was 4.00 out of 5 points for each question and overwork(4.37), night duty(4.29), work outside responsibility(4.24), lack of manpower(4.21), conflict with doctor at work.(4.17), confilct with patient and patient's family(4.05) are followed. 2) The symptoms of stress scale (SOS) was 1.39 out of 4 points for each question and depression(1.71), emotional iritibility(1.67), cognitive disorganization(1.48) are followed. 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number of night duty(F=2.860, p=.037), job satisfaction(F=7.662, p=.001). 4)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SOS according to age(F=6.280, p=.000), marriage(t=2.858, p=.005), clinical experience(F=3.809, p=.005), job satisfaction(F=8.153, p=.000), predicted nursing(F=9.154, p=.000). 5) As a result of analysis on a cor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their response to stres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45, p=.000).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cording to the degress of job stress among clinical nurses is high, the degress of stress response among clinical nurses is high. also it seems evident that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effect stress response.

      • 지역사회 연계 금연프로그램이 청소년 흡연자의 지식, 태도 및 흡연량에 미치는 영향

        崔貞淑 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a community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adolescent smokers' knowledge, attitude, and quantity of smoking.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adolescent smokers was done on May 10, 2004 and then further research was done on a vocational school students in 'I' city, with 40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4 in the control group. The whole research consisted of pre-test, post-test and another post-test 3 months later. The experiment design in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similar pre-test and post-test design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 community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adolescent smokers' knowledge, attitude, and quantity of smoking. The program for the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moking, created by Yang Haekyu (2000) was use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s a real number, percentage, x²- 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SPSS Win 11.0.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With respect to the change in smoking knowledge,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61 ± .28 before the program, .71 ± .19 right after the program, and .73 ± .11, 3 months later, while the score of the control group was .67 ± .18 before the program, .71 ± .19 right after the program, and .73 ± .11, 3 months later. The test results of the study subjects' knowledge level on smoking show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ime of each test (F=174.27, p=.000) and whether they attended the program or not (F=14.51, p=.000). Therefore, the 1st hypothesis, "the aspect of the change of smoking knowledge will show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attendance in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is supported. 2. Concerning the preventive attitude against smoking, the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27 ± .18 before the program, .18 ± .13 right after the program, and .20 ± .16, 3 months later, while the score of the control group was .20 ± .14 before the program, .20 ± .16 right after the program, and .18 ± .17, 3 months later. It showed a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they attend the program or not (F=7.77, p=0.007). The test results of the study subjects' preventive attitude against smoking show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ime of each test (F=14.86, p=.000) and whether they attend the program or not (F=5.14, p=.008). Therefore, the 2nd hypothesis, "the aspect of the preventive attitude against smoking will show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attendance in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is supported. 3. In the case of a change in the quantity of smoking,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a da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9.48 before the program, 5.48 right after the program, and 5.45, 3 months later, while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a day in the control group was 8.11 before the program, 8.21 right after the program, and 8.60, 3 month later. It showed a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they attend the program or not (F=11.809, p=.001). The test results of the study subjects' smoking quantity per day show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ime of each test (F=14.86, p=.000), and whether they attended the program or not (F=5.14, p=.008). Therefore, the 3rd hypothesis, "the aspect of the change of smoking quantity will show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attendance in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is supported.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흡연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하여 금연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I 시에 있는 1개 실업고 학생을 대상으로 담임선생님의 권유와 본인의 희망에 의하여 실험군으로 40명을 선정 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흡연자중 금연 프로그램에는 참여하지는 않았으나 연구에 참여를 희망한 학생으로 하였으며, 추후 3개월 후 분석은 실험군 39명, 대조군 40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양해규(1999)가 사용한 지식측정도구, 흡연예방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진행절차는 2004년 5월10일에 설문지를 이용하여 흡연자를 조사하였고 6월1일부터 7월 14일까지 학교수업 주1회 4회, 보건소에서 2회, 학교사회사업실과 전북알콜상담소에서 4회 등 총 10회의 금연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1.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x² - test, t - test, 시작 전, 종료시점, 추후 3개월에 조사한 자료를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금연 프로그램을 받은 후 흡연지식의 변화를 보면 1점 만점으로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실험군은 사전 .61 ± .28, 프로그램 종료직후 .81 ± .15, 3개월 후 .85 ±. 12이고, 대조군은 사전 .67 ± .18 , 프로그램 종료직후 .71 ± .19, 3개월 후 .73 ± .11로 대상자의 흡연에 대한 지식수준은 3회의 측정 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F=174.27, p=.000), 금연 프로그램 참석 여부에 따라 흡연에 대한 지식의 변화양상은 차이가 있었다(F=14.51, p=.000). 따라서 제1가설″지역사회와 연계한 금연프로그램을 받은 청소년 흡연자와 금연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청소년 흡연자의 흡연에 대한 지식의 변화 양상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2. 금연 프로그램을 받은 후 측정한 흡연예방태도 점수는 1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실험군은 사전 .27 ± .18, 프로그램 종료직후 .18 ± .13, 3개월 후 .09 ± .10이고 대조군은 사전 .20 ± .14, 프로그램 종료직후 .20 ± .16, 3개월 후 .18 ± .17로 대상자의 흡연에 대한 태도는 3회의 측정 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F=14.86, p=.000), 금연교육프로그램 참석여부에 따라 흡연에 대한 태도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었다(F=5.14, p=.008). 따라서 제2가설″지역사회와 연계한 금연프로그램을 받은 청소년 흡연자와 금연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청소년 흡연자의 흡연에 대한 태도의 변화 양상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3. 금연 프로그램을 받은 후 흡연량의 변화를 보면 실험군 사전 9,48개피, 프로그램 종료직후 5.48개피, 3개월 후 5.45개피이고, 대조군은 사전 8.11개피, 프로그램 종료직후 8.21개피, 3개월 후 8.60개피 로 대상자의 일일 흡연량은 3회의 측정 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F=8.91, p=.000), 금연 프로그램 참석여부에 따라 일일 흡연량 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었다(F=7.01, p=.002). 따라서 제3가설″지역사회와 연계한 금연프로그램을 받은 청소년 흡연자와 금연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청소년 흡연자의 흡연량의 변화 양상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한 금연교육 프로그램은 흡연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키고 흡연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흡연량 감소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자신에 대한 탐색, 흡연유형 진단, 니코틴 의존도 검사, 금연 캠프참여, 담배의 영향에 대한 강의, 비디오시청, 흡연해독 실험, 자기주장 훈련과 문제해결 기술, 역할극, 개별상담 및 추후관리 등 지역사회와 연계한 금연프로그램이 청소년흡연자의 금연을 위한 금연프로그램으로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 공관복음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의 연구 : 예수의 비유를 중심으로

        곽효선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is a study in the kingdom of God in Synoptic Gospels. It consists of five chapters. In chapter I, Introduction, the issue to be dealt with, the purpose and method of study are suggested and explained. In chapter Ⅱ, the Kingdom of God, the kingdom vocabularies are studied. In the Old Testament, the 'kingdom' means 'rule, government, reign, royal authority' and so on. In the New Testament, it usually means the rule and the authority of God. In chapter III, the Kingdom of God in Synoptic Gospels, the study is focused on the parables of Jesus. In the Synoptic Gospels, Jesus teaches about the kingdom of God in parables. The kingdom of God has both the present dimension and the future dimension. The parables which teaches the presence of the kingdom of God show us that the kingdom of God is now accomplished in our life. The parables of futuristic kingdom of God tell us that the kingdom will come in the future. We are to prepare for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In chapter Ⅳ, the Consummation of Kingdom of God and Its True People, the kingdom of God is shown to be a dynamic rule of God, which has infiltrated into history through Jesus himself and his services for the people who experience the Messianic blessings in the present. Jesus proclaimed 'The Kingdom of God' and it was an eschatological reality which was predicted and expected in the Old Testament. The kingdom of God also has the spiritual dimension, which is God's rule by his own authority, and transcends time and space. The kingdom has "already" come, but its consummation is "not yet" accomplished. It will be consummated with the future coming (the Second Advent) of Jesus Christ. We are supposed to prepare for his coming and the kingdom of God. We have to hope for the Heaven. In the meantime, we are to live accordingly. We are the children and the people of the Kingdom of God. So We have a mission. It is an absolute obedience to his plan for recovering his kingdom. As the people of the kingdom of God, we are to live a faithful life to be prepared for the kingdom and to be accepted into it. In chapter V, Conclusion, the study is summarized. 이 논문은 공관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비유를 중심으로 하여 하나님의 나라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1장에서는 서론을 다루었고, 2장 에서는 하나님 나라의 어휘를 연구하였다. 구약성경에서 ‘나라’는 ‘통치, 지배, 치세, 왕권’ 등을 의미한다. 신약에서의 ‘나라’는 주로 하나님의 통치와 왕권을 지칭할 때 사용되었다. 3장에서는 공관복음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를 연구했다. 공관복음에서 예수는 비유를 통해 하나님 나라를 계시했다. 하나님 나라는 현재적인 속성과 미래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현재적인 하나님 나라에 관한 12가지 비유는 하나님의 나라가 바로 지금 우리의 삶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래적 하나님 나라에 관한 비유는 은밀하게 자라는 씨 비유, 불의한 청지기의 비유, 도둑 비유, 열 처녀 비유 4가지이다. 하나님의 나라는 나중에 그러나 분명히 임한다. 우리는 후에 임할 하나님 나라에 대해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 4장에서는 하나님 나라의 완성과 그 나라의 참 백성을 통하여, 하나님의 나라는 사람들로 하여금 현 시대에서 메시야 시대의 축복을 경험하도록 하기 위하여 예수 자신과 그 사역 안에서 역사를 침투해 들어온 하나님의 역동적인 다스림이었음을 보았다. 또한 예수께서 선포하신 ‘하나님 나라’는 구약성경에서 기대되고 예언되었던 종말론적 실체이다. 또한 하나님께서 그의 왕권을 나타내심으로 그의 통치를 행사하신다. 결론에서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의 주권적인 통치와 지배가 임하는, 시ㆍ공간을 초월한 영적인 나라라고 할 수 있다. 하나님 나라는 “이미”(already)와 “아직은 아닌”(not yet)의 단계에 있는 것이다. 하나님 나라는 이미 현재에 와 있지만 아직 완성되지 않았고 장차 우리 주님의 재림과 함께 완성될 것이다. 예수의 가르침은 그 마지막 날, 주님의 재림을 우리가 준비하게 하는데 있다. 현실 생활에서 주님과 동행하므로 주님을 체험할 수 있는 것도 포함된다. 그래서 하늘의 소망을 갖게 하는 것이다. 우리는 하나님 나라의 자녀요 백성이다. 하나님이 우리를 소유하셨다. 우리에겐 사명이 있다. 하나님 나라를 위한 하나님의 계획에 온전히 순종하는 것이다. 우리는 현재적 하나님의 나라와 후에 올 나라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써 우리는 신실한 삶을 살아야 한다. 그것이 다가올 하나님의 나라를 준비하고 맞이하는 일이다.

      • 간호정보 제공이 당일수술 환자의 불안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임연호 전북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요약 본 연구는 당일 성대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정보 제공이 불안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당일 성대수술 환자의 불안 감소와 만족도에 도움이 되는 간호중재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시차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일개 종합병원 이비인후과에서 당일 성대수술이 결정된 환자로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이었으며 실험군에게는 20~30분 동안 4~6명에게 수술 전ㆍ후로 수술과 관련된 간호정보가 제공되었다. 연구도구는 Spielberger(1972)가 개발하고 신동균, 김정택(1978)이 변역한 상태-기질 불안도구(STAI)와 La Monica 등(1986)이 개발하고 신현진(1999)이 당일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수정&#8228;보완한 환자 간호만족도 척도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보완하여 교육영역만을 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는 2006년 2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1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불안정도는 간호정보를 제공받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아졌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60, p=.552). 2. 교육만족도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졌다(t=-4.53, p=.000). 본 연구를 통해서 당일 성대수술 환자에게 제공된 수술과 관련된 간호정보는 환자의 교육만족도에 유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수술과 관련된 간호정보는 당일 성대수술 환자에게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실무에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죽음에 대한인식 및 임종간호태도

        김갑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occupational stress of nurse and perception of death and attitude of terminal care. Data was collected from 1 April 2013 to 30 April 2013,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8 nurses who have clinical experience more than six month in three public health and medical institution, general hospital In J providence.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visual analogue scale tool for occupational stress measurement, measuring instrument toward to death perception of Cho(2011) and measuring instrument toward to terminal care attitude of Kim(2012).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9.0 for real number,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 occupational stress of participants shows 6.34(1.99) in averge out of 10. the death perception scale was 3.51(0.30) in averge out of 5. and terminal care attitude 2.94(0.22) in averge out of 4. 2) Occupational stress according to character of participant shows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whole working career, education concerning death. 3) The perception of death of participants shows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religion (t=2.047, p=.042). 4) Terminal care attitud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F=3.780, p=.011), spouse(t=-2.278, p=.024), whole working career(F=3.102, p=.027), and monthly income(F=4.489, p=.012). 5) There were no relationship among occupational stress of participant and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r=.50, p<.001). This study shows that if the perception of death is high, it affect optimistic effect to terminal care attitude. Thus, for controlling nurses' positive perception toward to death and terminal care stress, methodical program concerning death education may be needed.

      •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소진

        양윤선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dilemma and burnout of nurses in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Data collection was from April 2nd, 2013 to April 12th and the samples were 202 nurses working at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located in two metropolitan cities and one city. Nurses’ ethical dilemma was measured with the scale developed by Han(1992) and revised by Yang(2003) and burnout was measured with the scale developed by Maslach & Jackson(1996), translated by Chang(1995), and revised by Kim(2012).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dow 20.0, using frequency, percentag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d Scheffé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 1. Ethical dilemma was 2.44 (0.33) in average out of 4. 2. Burnout was 2.78 (0.52) in average out of 5. 3. Ethical dilemma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department and types of training received relevant to hospice palliative care. 4. The degree of burnout turned out to be high in case the sample was younger, unmarried, did not have a religion, graduated with a 4-year bachelor’s degree, had less work experience as a nurse, normal nurses in lower position, shift workers, received lower salary, consult fellow nurses when experiencing ethical dilemma, felt less sense of necessity for ethical dilemma counseling services, did not receive trainings received relevant to hospice palliative care, and did not receive ethics education after graduation. 5. Ethical dilemma had significant but low correlation with burnout(r=.186, p=.008). In conclusion, we were able to discover from this study that net correlation existed between ethical dilemma and burnout of nurses in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Considering that hospice palliative care is being emphasized as important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has been under the process of systemiz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resources to discover the problem of ethical dilemma and burnout and to resolve the issue.

      • 노인장기요양기관 돌봄제공자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및 태도

        김혜숙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find out caregivers’ perception of death and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hospic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Data was collected from 182 caregivers’ who worked in 15 in-door long term care facilities and 5 out-door ones in N city from April 3, 2013 until April 25, 2013. Instruments on perception of death developed by Spilka (1997) and revised by Cha (2005), perception toward hospice developed by Kim (1990) and revised by Choi (2011) and attitude toward hospice developed by Frommelt (1991) and revised by Lee and Lee (2001) were used for this study. Data analysis was done to find out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y using the SPSS 19.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 level of perception on death of participants was 3.29 out of 5.00. Averages scores on dimension of ‘death affirmations’ and ‘their life respect’ were 3.68 and 3.54. 2) The level of perception toward hospice was 2.82 out of 4.00. while attitude toward hospice was 2.47 out of 3.00. 3)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on perceptions of deat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on dimension of 'perception of death' by sex and age, 'death affirmations' by sex and age, 'death denials' by age and religion, 'their life respect wills' by age and monthly income, 'their perceptions toward hospice' by education level and religion and dimension of 'their attitudes toward hospice' by education level, monthly income, religion and hospice education. 5)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ir perception of death and their perception (r=.327 p<.001) and attitude toward hospice (r=.146 p=.050).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ositive perception about death was affected by positive perception and attitude about hospice. Therefore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for establishing positive caregivers’ perception about death should be provid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in hospice care.

      • 고린도교회의 문제 해결을 통해 본 바울의 교회론 : 고린도전서를 중심으로

        김영묵 성결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논문의 목적은 고린도교회에 일어난 제반의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는 바울의 대처와 답변을 통해 그의 교회론을 밝히는 데 있다. 바울에게 있어서 교회는 로마의 제국주의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세상과 다른 윤리와 도덕, 신앙고백을 갖춘 평등공동체로서의 대안사회이다. 그러나 바울의 사역기간 동안 교회의 정체성은 계속 위협받았고, 교회의 운영과 문제들에 대한 해결로부터 바울의 교회론은 표출되었다. 연구를 위해 Ⅱ장에서는 바울서신 전반에 걸쳐 드러난 바울의 교회론을 포괄적으로 고찰했다. 이는 바울의 교회론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가져다 준다. Ⅲ장-Ⅴ장은 고린도전서에 나타난 고린도교회의 세 가지 큰 문제를 선택하여 석의함으로 문제와 그 해결을 통해 드러난 바울의 교회론을 연구했다. Ⅵ장은 Ⅲ장-Ⅴ장에서 석의되어진 연구결과를 통하여 고린도교회의 문제 해결을 통해 드러난 바울의 교회론을 정리하였다. 첫째 연구본문인 고린도전서 1장 10절 - 4장 21절은 교회 분열조짐에 따른 교훈을 주고 있다. 이 문제는 교회의 공동체성을 위협하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고린도교인들의 영적 미성숙은 교만으로 표출되었고 세례와 지혜 등 본질이 아닌 것을 자랑하게 만들었다. 이에 대한 바울의 대답은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를 자랑하라는 것이다. 본문에서 바울은 교회를 “하나님의 성전”(고전 3:16)으로 정의하면서 교회는 그리스도의 고난과 부활에 근거하여 형성된 하나님 백성의 언약 공동체임을 분명히 한다. 교회가 하나님의 성전이기에 분쟁을 통하여 교회를 분열로 몰아가는 것은 건물인 하나님의 성전을 파괴하는 것보다 더한 죄이다. 본문은 교회의 정체성이 무엇인가를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바울에게 있어서 교회는 십자가에 달린 예수를 따라가는 언약 공동체이다. 교회는 결코 분쟁으로 말미암아 분열되어서는 안 되며, 하나 된 공동체로 세워져 가야 한다. 둘째 연구본문인 고린도전서 5장 1절 – 6장 20절은 고린도교회에 일어난 도덕적 문제에 대한 답변을 통해 교회의 성격은 ‘거룩’이어야함을 보여준다. 교회는 ‘거룩’을 중심 성격으로 하는 ‘거룩한 공동체’이다. 고린도교회는 아버지의 아내를 취하였으며(고전 5:1-13), 성도간의 법정 다툼이 일어났으며(고전 6:1-11), 창녀와 음행하는(고전 6:12-20)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사건을 대하는 고린도교인들의 반응이 매우 경솔하고 교만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마땅히 비난을 받을만한 것이다. 본문에서 바울은 교회를 “하나님의 성전”으로 정의한다. 이는 첫째 연구본문에서 “하나님의 성전”으로 정의한 것과 같은 것이지만 그 의미는 구별된다. 앞의 것이 십자가에 달린 예수를 따라가는 언약공동체의 분열을 막기 위한 제안이었다면, 본문은 “하나님의 성전”이 가지고 있는 ‘거룩성’에 그 초점을 맞춘다. 교회가 그 어떤 공동체와 구별되는 성격은 거룩이다. 하나님의 성전이 거룩하듯, 하나님의 성전으로 상징되는 교회 역시 거룩한 장소, 하나님의 소유된 장소이다. 종말을 기다리는 교회는 신랑을 맞이할 신부가 되어 거룩한 옷으로 덧입혀져야 한다. 셋째 연구본문인 고린도전서 12장 1절 – 14장 40절은 고린도교회에 일어난 성령의 은사에 대한 문제를 통해 교회 공동체의 행동 방식은 ‘사랑’이어야 함을 확고히 한다. 본문에서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 비유된다. 고린도교회는 성령의 은사를 받아 성장했으나 은사로 인한 갈등의 골이 깊었다. 바울은 은사의 다양성과 통일성의 원리를 몸과 지체의 비유를 들어 설명한다. 교회는 전체적으로 ‘그리스도의 몸’이요, 부분적으로나 개별적으로는 ‘그리스도의 지체’이다. 특히 바울이 제시한 ‘몸의 비유’는 당시 헬라에서 사용되고 있던 ‘몸의 비유’를 뛰어 넘는 것이었다. 상층계급을 위하여 하층계급의 희생을 요구하던 당시의 이론을 깨고 ‘비천하고 연약한 자들에게 귀중함을 더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하나님께서 ‘몸’을 조성하신 이유는 각 지체들이 서로 돌보는 것이지 결코 분쟁하는 것이 아니다. 바울은 고린도교인들에게 더욱 큰 은사를 사모할 것을 요청하는데 큰 은사는 ‘사랑’이다. 이것은 교회의 행동 방식이며 지체를 섬기는 수단이다. 연구를 통해 바울의 교회론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교회란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를 따라가는 언약 공동체이다. 이 공동체의 일치됨을 깨뜨리려는 어떤 분쟁도 용납될 수 없다. 교회의 성격은 거룩이다. 교회는 그들의 몸을 통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자 되어야 한다. 교회가 살아가야 할 삶의 방식은 사랑이다. 이것이야 말로 공동체를 섬기는 진정한 삶의 방식이며 하나님이 주신 모든 은사의 목적이다.

      • 간호대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임경자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Purpose. This research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nursing simulation program developed by the author for junior nursing students in a baccalaureate course.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by 43 experimental participants and 39 control participants between September 26th and November 9th, 2013. We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measurement tools for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the clinical judgement was measured by Lasater Clinical Judgement Rubric (LCJR) and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ratio, Chi-square, Fisher's exact probability, Independent t-test by using SPSS 20.0 program. Results.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F=211.15, p<.001).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3.000, p<.004). The clinical judgement 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s well (t=7.607, p<.001).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developed simulation educational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were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improve the clinical performa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judgement. Using educational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showed improvements i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hrough discussion and skills practice and clinical judgement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ere also improved by well designed scenari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