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mproving Public Investment Management Framework in Ghana

        Nachinja GMACHIN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assessed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public investment management (PIM) in Ghana and proposed evidence-based policy recommendations and future direction for PIM administration in Ghana. Several unanswered questions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government expenditure on public investment and efficiency gains arising from the PIM,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like Ghana. Therefore, the research focused on the institutional and regulatory framework index for strengthening PIM and capital accumulation in Ghana through the road-tested pragmatic framework established by the World Bank Group and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for assessing PIM quality and efficiency. The analytic framework centered on eight critical dimensions of PIM in Ghana, further grouped into four (4) stages and seventeen (17) indicators for assessment of PIM in Ghana.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based on the simple arithmetic mean. The scope was Ministries, Departments, and Agencies (MDAs), State-Owned Enterprises (SOEs), and Development Partners organizations (DPs) after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environment and the easy generating the best possible outcome from the experts through a survey questionnaire. The survey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data from all the four stages (4) and seventeen (17) indicators show that PIM's overall mean score is 2.7 out of a scale of 4, representing a PIM performance of 67%. However, several indicators such as the independent check, capital budget execution, complaints mechanism, among others within the stages, demonstrated gross weaknesses, hence the basis for the policy recommendations. Finally, the paper recommends future research in PIM assessment of the entire public sector of Ghana, which extends to cover cross-cutting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anti-corruption. 본 논문은 가나에서의 공공투자관리(public investment management, PIM)의 질과 효율성을 평가하고, 증거에 기반한 정책적 제언과 가나의 PIM 관리에 대한 향후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가나와 같은 개발 도상국에서 공공투자에 대한 정부지출과 PIM으로 인한 효율성 향상의 상관관계에 대한 몇 가지 해결하지 못한 문제에 대해 다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PIM의 질과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세계은행그룹(World Bank Group)과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이 정한 실증된 실용적 프레임워크를 통해 가나의 PIM 및 자본축적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및 규제적 프레임워크 지수에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의 틀은 가나 PIM의 8가지 중요한 차원에 중점을 두었으며, 가나에서의 PIM 평가를 위해 4단계와 17지표로 세분화하였다. 단순 산술평균을 기반으로 정성적, 정량적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환경을 면밀히 고려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전문가로부터 최상의 결과를 도출하기 용이하도록 정부부처 (Ministry, Departments, Agencies, MDA), 국유 기업(State-Owned Enterprises, SOE), 개발협력조직(Development Partner, DP)을 대상으로 했다. 4개 단계 및 17개 지표의 데이터를 모두 분석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PIM의 전체 평균점수는 4점 만점에 2.7점으로 PIM 성과가 67%로 나타났다. 그러나 독립적 견제, 자본예산 집행, 불만제기 방법과 같은 여러 지표는 단계 내에서 심각한 약점을 입증하였고, 그에 따라 정책 제언의 기초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기후변화 및 반부패와 같은 범분야적 문제를 포괄하는 가나 공공부문의 전체적 PIM 평가에 대한 향후 연구를 기대한다.

      • SWOT-AHP 분석을 통한 미국 인프라시장 진출 방안 연구

        임서현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Korean Contractors has been performing as top contractor in the plant market in the Middle East and the civil engineering market in Asia. However, they have to consider about entering into new markets due to decline of project budget in Middle East resulting from low oil price and intensifying competition in Asia. In this study, I want to analyze what can be a basic data on the advancement of the US infrastructure market, which has been slow to enter Korean contractors even though the scale of US market is large and infrastructure reconstruction is urgent. Korean contractors only won total USD 8.79bn in the US market, which accounts for only 1% of total Korean contractors' performance in the overseas market. Korean contractors' culture emphasis on short term profit, Koreans lack of track record in US, and they have technological gap with foreign companies including local companies. In addition, they have difficulty in issuing Surety Bond and difficulties due to different construction licenses in US st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analyzes the causes of Korean contractors' sluggish entry into the US. Second, it suggests ways to solve the causes of sluggish entry. Lastly, it suggests when entering the US by M&A. Major result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contractors have an advantage in terms of their excellent construction capability, price competitiveness, and a large number of experience in civil engineering infrastructures at home and abroad. However, weaknesses include lack of construction experience in the US, technological gap with advanced companies, and no experience in infrastructure PPP projects in the US. Opportunities in the US market are world's second-largest construction market, PPP project growth, and reconstruction of aging infrastructure. Finally, the US government's lack of financial resources, increasing protection trade stance and competitive local companies including foreign companies were analyzed as threats. Second, It is most appropriate to utilize M&A with local companies to solve the lack of technology and the lack of track in the US which were the cause of the sluggishness of Korean contractors entering the 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M&A with US companies are as follows. First, M&A deals with small-scale M&As to advance into the US infrastructure market. maximizing localization by minimizing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head office in Korea will enhance the performance of M&As. Second, since M&A is important for post-management, it is desirable to carry out post-management plans such as efficient manpower allocation and cultural gaps. keyword : US, Overseas construction, SWOT, AHP, M&A 한국의 건설사와 엔지니어링사는 그동안 중동 지역의 플랜트 시장과 아시아의 토목 시장에서 세계 상위기업(Top contractor)으로서의 성과를 내왔지만, 저유가 기조와 경쟁심화 등으로 신규 시장 진출을 고민해야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 연구에서는 신규 시장 중 규모가 크고 인프라 재구축이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한국 건설사들의 진출이 저조했던 미국의 인프라 시장진출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는 분석을 하고자 한다. 단기 수익에 치중한 기업문화 존재, 미국 내 실적(Track Record) 부족, 현지기업을 포함한 외국기업과의 기술격차 존재, 이행성보증(Surety Bond) 발급 어려움, 미국 내 州별로 상이한 건설면허로 인한 어려움 등의 이유로 한국 건설사 및 엔지니어링사의 미국시장 누계 수주액은 87.9억불 수주에 그치고 있으며 이는 한국기업 누계 해외건설 수주액의 1% 수준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기업의 미국 진출 부진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진출 부진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마지막은 M&A를 통해 미국 진출 시 고려해야할 점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주요 분석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기업의 미국 건설시장 진출 부진 원인 분석, 미국 인프라 시장동향 파악과 한국 기업의 해외건설시장 진출 현황 확인을 통해 한국 기업 미국 인프라시장 진출의 SWOT(강점, 약점, 기회, 위협)을 도출한다. 둘째, 해외시장 진입 방식인 현지법인 설립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단독설립, M&A, 합작설립 등 진출 방안을 검토한다. 셋째, 미국 진출 경험이 있거나 계획 중이거나 고려했던 기업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SWOT 그룹/요인과 진출 방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넷째,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분석법) 분석을 통해, SWOT 그룹별/요인별 중요도를 산출하고 진출 방안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위 연구과정을 바탕으로 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인프라 시장 진출에 대해 한국 기업은 우수한 시공능력, 가격 경쟁력, 다수의 국내외 토목 인프라 시공 및 엔지니어링 프로젝트 참여 경험을 강점으로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약점으로는 미국 내 시공 경험 부족, 선진기업과의 기술 격차 존재, 미국 내 인프라 PPP 사업 경험 전무가 있다. 미국 시장의 기회로는 세계 2위에 달하는 큰 건설 시장 규모, PPP 사업 증가 예상, 노후화된 인프라 재건 시급이다. 마지막으로 미국 정부의 재원 부족, 보호 무역주의 증가 추세, 경쟁력 있는 현지기업 및 미국에 진출한 외국기업이 위협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SWOT 요인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강점 면에서는 가격 경쟁력, 시공능력, 다수의 토목 인프라 프로젝트 경험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점 부문에서는 미국 내 시공 경험 부족, 미국 내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 경험 전무, 선진기업과의 기술격차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회 요인에서는 미국 인프라 재건 시급, 미국 PPP 사업 증가 예상, 세계 2위에 달하는 큰 시장 규모 순으로 중요하며, 위협 요인에서는 외국기업과의 경쟁 존재, 보호 무역주의 증가, 미국 정부의 재원 부족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출 방안의 적정성(중요도)을 분석한 결과 현지기업과의 M&A, 합작설립, 단독설립 순으로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그동안 한국기업의 미국 진출의 부진 원인이었던 기술력 부족과 미국 내 실적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현지기업과 M&A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적정하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 미국 현지기업과의 M&A를 추진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M&A를 통한 미국 인프라 시장 진출 시 소규모 M&A를 시도한 후 성과에 따라 M&A 규모나 대상을 확대한다. 자회사에 대해서는 한국 본사의 관리와 감독을 최소한으로 하여 현지화를 극대화하는 것이 M&A의 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M&A는 사후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인력 배치와 문화 격차 해소 등 사후 관리 계획을 수반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수도권매립지 침출수처리장 생물학적 공정의 수온저감을 위한 통합 수온 관리시스템 효과분석

        서덕만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reducing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biological process (denitrification / nitrification process) by the integrated water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in SUDOKWON Landfill Site Leachate treatment plant. In the biological process of treating high pollution concentration,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s due to the heat generated from the biological reaction and the discharge heat supplied from the blower cause many problems such as reduced treatment efficiency and suspension of processing plant operation. SUDOKWON Landfill Site Management Corporation installed an integrated water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to handle the problem of temperature rise above 44°C in th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of the leachate treatment pla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integrated water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on reducing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biological process, it had a wate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and maintained the optimum temperature of the biological process at 33 to 38 degrees. Despite the increased COD and T-N inflow loads, biological process could have similar leachate treatment efficiency ratio due to the wate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I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foam overflow in the operation of the denitrification / nitrification process basin and it was able to increase quantity of leachate as biological process can be stably operated from April to September(summer season). As a result, the integrated water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had a wate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on the biological process and helped with the biological treatment effect. This system could be a good alternative to treatment plants with problems such as reduced efficiency due to high temperatures in biological treatment of leachate treatment. 본 연구는 수도권매립지 침출수처리장 통합 수온 관리시스템이 생물학적 공정(탈질/질산화 공정)의 수온을 저감시키는 효과와 생물학적 처리효과, 운영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부하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생물학적 공정에서는 탈질/질산화 반응에서 발생하는 반응열과 송풍기에서 공급되는 토출열 등으로 인해 수온이 높아져 처리효율저하와 거품발생으로 인한 처리장 운영중지 등 많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에서는 침출수처리장 생물학적 처리 공정에서 44℃ 이상 온도 상승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통합 수온 관리시스템을 설치하였다. 통합 수온 관리시스템이 생물학적 공정의 수온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온저감효과가 있었고, 생물학적 공정의 최적온도인 33~38도로 유지가 가능했다. 2016년 대비 2018년, 2019년에 증가된 COD, T-N 유입부하에도 불구하고 부하량 처리비율이 큰 차이없이 유지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수온 저감효과로 인해 탈질/질산화조 운영상 거품넘침 방지 효과가 있었고, 이로 인해 4~9월에 안정적으로 탈질/질산화조를 운전할 수 있어서 이는 처리량 증대로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통합 수온 관리시스템은 생물학적 공정에 수온저감효과가 있었고, 생물학적 처리효과에 도움을 주었다. 침출수 처리장의 생물학적 처리시 고온에 따른 효율저하등 문제가 있는 처리장에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우리나라 원전 수출의 정부 역할 및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주요 원전 수출국의 정부 주도 사례 중심으로

        이희병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과학도시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탄소 중립 실현의 대안으로 유럽 및 미국 등이 원전을 청정에너지로 분류함에 따라, 원전 신르네상스 시대가 예상됨에 따라, 우리나라 원전(K 원전)의 수출을 위한 정부의 역할과 정책에 관한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파리 기후변화 협약에 따라 지구 온난화 완화 목표인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1850년부터 1900년까지의 지구 기온평균 대비 2℃ 이하로 막고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상 기온 상승을 제한”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계 각국은 태양광 및 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 의한 각국의 탄소 중립(Net Zero)목표치를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온실가스 영향으로 예측되는 원인으로 신재생에너지의 효율 저하와 천연가스 활용으로 인한 전기료 급등으로 원자력 발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1979년 미국의 쓰리마일 원전사고, 1986년 구 러시아의 체르노빌 원전사고 및 2011년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하여 원전의 안전성 및 사용 후 핵폐기물 재처리 기술 등의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럽의 국가들이 각각 친 원전과 탈원전으로 구분되어 원전정책을 펼쳐오고 있는 가운데, 세계 각국은 탄소 중립의 대안으로 원전의 활용을 고민하고 있었다. 이에 EU(유럽연합의회)는 2022년 7월, 원전의 안전한 운영 및 핵폐기물 최소화를 위한 혁신적 원전 연구개발 등을 조건으로 원전을 그린 택소노미 어떤 에너지원이 친환경•녹색 사업인지 아닌지 알려주는 기준으로 택소노미에 포함된 에너지 업종에 대하여 각종 금융 및 세제 지원을 제공해 투자를 육성하기 위한 금융분류 체계로, 기업과 투자자의 투자 여부를 결정할 때 지침서로 활용에 포함하는 법안을 최종 통과시킴에 따라, 유럽 및 중동 국가에 원전건설에 새로운 붐, 이른바 “원전 신르네상스 시대”가 이루어질 것으로 원전 전문가 및 세계 언론이 예상하고 있다. 원전 신르네상스 시대에 즈음하여 세계 주요 원전 수출국인 미국, 러시아, 중국, 프랑스 및 일본 등의 정부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원전정책에 대하여 알아보고, 원전건설을 추진 또는 계획 중인 유럽 및 중동의 주요 국가의 원전정책 및 원전건설계획의 현황을 조사하고자 한다. 원자력은 탄소 중립과 에너지 안보 및 에너지 경제성 확보의 중요한 수단으로, 세계 5대 원전 생산국 Nuclear Energy Institute(2020년 기준): 세계 원전 생산량 순위는 미국, 중국, 프랑스, 러시아, 한국, 캐나다 순위임으로서 원전 수출이 방산 및 경협 등 패키지화하여 수출되는 현재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원전 수출 강국으로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국가의 역할 및 주요 정책에 대해 제언을 하고자 한다. 또한, 원전 수출 관련 연구보고서, 학위 논문, 학술지와 원전 관련 단행본 등을 참조하여 SWOT 분석 및 사례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내용을 정리하여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As nuclear power plants are now considered as clean energy classified by the governments of both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primary role of the Korean government as well as its policies on the export of the nuclear power plants (K Nuclear power plants), which would be in a line with the era of new Renaissance of nuclear power plants. According to the Paris Climate Change Agreement,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announcing their Net Zero targets through renewable energy conversion policies such as solar and wind power to prevent global average temperature rise below 2℃, and to limit temperature rise 1.5℃ or higher compared to pre-industrialization by 2100. The need for nuclear power generation is emerging due to the decrease in the efficiency of renewable energy and the surge in electricity prices owing to the use of natural gas, which is presumably expected to be the greenhouse gas effect. However, Three-mile nuclear accident in USA in 1979, Chernobyl nuclear accident in Russia in 1986, and Fukushima nuclear accident in Japan in 2011 require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for reprocessing spent nuclear waste and for the safety operation In this situation while European countries have been implementing nuclear power plant policy, divided into pro-nuclear and de-nuclear power plants, countries around the world were considering using nuclear power plants as an alternative to carbon neutrality. In July 2022, the EU passed a bill to include nuclear power plants in Green Taxonomy on condition of safe operation of nuclear power plants and innovative R&D of nuclear power plants to minimize nuclear waste, Nuclear power plant experts and the world media predict a new boom in the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in European and middle eastern countries, the so-called "Era of new Renaissance of nuclear power plant.“ For these reasons, the primary focus of this research is to deep dive into the investiga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policies promoted by the U.S., Russia, China, France, and Japan, which are major nuclear power plant exporters in the world. It will als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olicies and plans for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in major European and Middle Eastern countries. It is worth a note that nuclear power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vehicle for carbon neutrality energy security as well as energy economy. This research, therefore, would address the role and/or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to secure competitiveness as one of the world’s top five nuclear power plant producers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tender of overseas nuclear power plant has been issued as a package business deal with military and economic cooperation basis.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following resourc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reports related to nuclear power plant exports, academic papers, academic journals and nuclear power plant-related books and information commonly presented in both SWOT analysis and case studies.

      • GIS를 활용한 서울의 보편적 복지시설 입지의 지역편차 및 복지서비스권역분석

        김동균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Korea, with the course of time, experiences a multitude of social problems and discord born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light of the emergence of multifaceted social issues,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the organizations indispensible to building sound communities since they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communities by performing a role of averting and mitigating social dissension. Despite of the significance of welfare facilities, those organizations are located only in the areas on where a limited budget works or where land can be easily acquired, on account of the challenges in securing a sufficient budget and building site. In regard of the supply-side of the location for facilities, there have been problems of underserviced regions or of duplicative supply since the convenience of the facility provision is prioritized over that of users. Furthermore, regional disparities in the distribution of service which had been brought about by the aforelisted problems, led to spatial imbalance of the provision of public service. In response to such unceasing disequilibrium, there has been pressing need to provide service which corresponds to welfare-demand of users based upon a thorough study at city level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ocation of welfare facilities. This paper, hence, analyzes the locational pattern of non-specific public-use welfare facilities with unrestricted access and their service areas in Seoul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research on the concept of the location of public facilities and on the socially disadvantaged groups. Firstly, this paper defines the population-weighted center as the optimum locational point of the facility through the population size by administrative district in Seoul and analyzes the difference in distance from the actual locational point. The finding of analysis reveals that the location of facilities in Gangseo-gu and Nowon-gu is contiguous to the optimum locational point and that in the southeast part of Seoul(Seocho-gu, Gangnam-gu, Songpa-gu and Gangdong-gu) which has a relatively high income level, also obtains high efficiency of the service coverage, since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no distinctive gap between the optimum location point and the actual locational point. Secondly, this papers analyzes non-beneficiary areas and non-beneficiary ratio(non-beneficiary areas/residential areas) of the welfare service in the residential areas in each respective borough.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provision of service is well established in Yeongdeungpo-gu, in the central areas of Gangnam-gu, and in the areas between Jongno-gu and Jung-gu, and Dobong-gu and Nowon-gu. Moreover, there appear few non-beneficiary areas in the autonomous districts in the southeast part of Seoul, including Dobong-gu, owing to the high efficiency of service coverage, since these areas are located relatively adjacent to the population-weighted center compared to those boroughs in other regions. Lastly, the underserviced areas, detected by the network analysis of service areas on six types of welfare faciliti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regions: suburban areas, areas adjacent to natural environment(mountains, hills, rivers, etc.) and other areas. As for the suburban areas, in particular, even if the district-level welfare facilities and their subsidiary organizations are appositely positioned, the supply of complete service is impeded by the uneven, unstandardized shape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Therefore the problem of a paucity of service in the outer cities of Seoul should be addressed by the operation of and support for the supplementary means of access to welfare service and the running of smaller welfare facilities and of mobile facilities with social welfare contents. The findings of this paper, which show the current supply situation of Seoul's non-specific public-use welfare facilities and the priority regions for future construction of welfare organization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ectual settlement of problems of duplicative service supply and issues of service blind spots. 우리나라는 급격하게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친 영향으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여러 가지 사회문제와 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사회복지 시설은 사회적 갈등을 예방하고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지역사회의 회복력(resilience)을 강화시킴으로써 건강한 지역사회구축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중요시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회복지시설 입지는 예산 및 부지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한정된 예산에 맞추거나 용지취득이 용이한 곳으로 입지하고 있는 실정이며 시설입지에 있어서는 이용자들의 편의보다 시설공급의 편의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복지서비스 부재지역이나 중복공급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복지서비스의 지역별 분포차이를 가져와 공공서비스 공급의 공간적 불균형이 이루어 졌고 현재까지 불균형 현상이 계속됨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 차원의 종합적인 복지시설 입지실태를 파악하여 이용자의 복지수요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시설의 형평성과 효율성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현재 서울시에 입지한 보편적 복지시설의 정의와 시설별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격차, 서비스권역을 분석하였다. 첫째, 행정동별 인구규모를 통해 인구가중중심점을 시설입지의 최적입지점으로 정의하고 실제입지점과의 거리격차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강서구와 노원구가 평균적으로 시설의 입지가 최적입지점에 가까이 위치해있었고 소득수준이 비교적 높은 서울의 동남권(서초, 강남, 송파, 강동구) 또한 대체로 최적입지점과 실제입지점의 차이가 크지 않음으로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구 단위 시설의 공급을 위한 적정거리설정기준을 본 연구에서는 입지이론을 통해 제시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삼아 GIS의 네트워크 서비스영역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자치구별 주거지역의 각 복지서비스 미수혜면적과 미수혜비율(미수혜면적/주거지역면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등포구, 강남구 중심지역, 종로구와 중구의 사이 지역, 도봉구와 노원구의 사이지역이 서비스 공급이 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도봉구를 포함한 동북권에 속하는 자치구들은 대체로 타 권역의 구(區)보다 비교적 인구가중중심점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입지함에 따라 복지서비스 공급의 효율성이 높기 때문에 미수혜영역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6개 종류의 복지시설에 대한 네트워크 서비스영역 분석에서 모든 시설에 대해 서비스를 공급받지 못하는 지역을 도출한 결과 도시 외곽지역, 자연환경과 접한 지역, 기타지역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시외곽지역의 경우에는 구 단위 복지시설과 하위 시설이 적합한 위치에 입지하더라도 행정구역의 형태로 인해 완전하게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소외되는 도시외곽지역에 대하여 보조접근수단의 운영과 지원, 소규모시설 및 이동시설의 설치와 운영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서울시 보편적 복지시설의 공급현황과 우선설치지역으로 향후 시설의 설치에 있어서 서비스중복 및 서비스사각지대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다양한 아로마 젤 처치가 20대 여성 운동선수와 일반인의 생리적·심리적 피로에 미치는 영향

        이연주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10여 가지의 아로마 유효성분을 혼합 사용한 네 가지의 시험용 젤의 처치가 생리적․심리적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평소 고강도의 운동을 실시하는 여성 운동선수들(n=40)과 DOMS를 유발한 20대 일반여성(n=37)으로 하였다. 각 대상별로 다섯 그룹으로 나누어 아로마 젤 처치 성분별 로 구분하였다. The data collectead was analyzed using the survey program SPSS 18.0 for Windows. 를 이용하여 모든 측정치에 대한 기술 통계량을 산출하였으며, 그룹과 처치시기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repeated measure design two-way ANOVA를 실시 하였으며, 자세한 개별 분석을 위해 반복요인이 있는 repeated maesure design one-way ANOVA 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후 사후검정을 위해 LSD를 사용하였다. 모든 검정에서 통계적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The results found from the above method of research and analysis procedure are as follow. 1. 평소 고강도로 훈련을 실시하는 여성 운동선수의 피로를 살펴보면, 다섯 가지 처치 후 안정 시 심박수와 안정 시 젖산 수치에서 처치와 시기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처치 간의 주효과와 시기의 주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2. 일반여성의 DOMS 유발로 인한 피로지표를 살펴보면, 혈중 크레아틴 키나아제의 경우 처치와 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시기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젖산 수치의 경우, 처치와 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시기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좌전굴의 경우, 처치와 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시기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관절가동범위의 경우, 처치와 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시기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허벅지 둘레의 경우, 처치와 시기의 상호작용 효과와 처치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시기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3. 일반여성의 DOMS 유발로 인한 통증 회복 척도를 살펴보면, 다섯 가지 처치와 시기에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처치 간의 주효과와 시기의 주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피로회복에 대한 각기 다른 성분의 젤 처치간의 효과는 유사한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아로마 젤이 생리적․심리적 피로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낼 수 있는지에 대한 보다 명확한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앞으로 다양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혼합 처치에 대한 구성 물질 및 비율 조절 또는 도포량의 변화, 마사지나 다른 치료요법과의 병행 그리고 장단기 처치 효과 등을 적용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effect of treatment of four types of test gel, which mixed 10 or so aroma ingredients,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tigu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female athletes who do intense exercise (n=40), and ordinary women in their twenties who caused DOMS (n=37). By each subject, they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by each ingredient of aroma gel treatment.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the survey program SPSS 18.0 for Windows. And by using this method, technological statistical mass for all measurement is calculated, and in order to verify mutual interaction effect on group and treatment period, repeated measure design two-way ANOVA is conducted, and for detailed individual analysis, repeated measure design one-way ANOVA with repeat factor is used, and for after-analysis verification, LSD is used. In every verification statistical level of significance(α) is set at .05. The results found from the above method of research and analysis procedure are as follow. 1. When fatigue of female athletes who do intense exercise regularly is studied, there i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reatment and timing on heartbeat in stabilization period after five treatments and lactic acid figure, and main effect of between-treatment and that of period are not found. 2. When fatigue index by DOMS of ordinary women is studied, in case of blood creatine kinase, interaction effect of treatment and timing is not meaningful, but main effect of timing is meaningful, and in case of lactic acid figur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reatment and timing is found meaningful and the main effect of period is meaningful. In case of sit up, interaction effect between treatment and timing is not meaningful but main effect of timing is meaningful, and in case of joint movement extent, interaction effect of treatment and timing is not meaningful, but main effect of timing is meaningful. In case of thigh circumference, interaction effect of treatment and timing and main effect of treatment are not meaningful, but main effect of timing is meaningful. 3. When pain recovery measure due to DOMS induction of ordinary women is taken look at, there is no interaction between five treatments and timing, neither main effect of treatment nor that of timing. Combining the above outcomes, each different ingredient's gel treatment effect on fatigue recovery is deemed similar, and in order to have more finite conclusion on whether the aroma gel suggested by the research has positive effect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tigue, continued study that applies long-short term treatment effect, uses massage or other treatment, change in ingredient, ratio and application amount on the combined treatment on diverse participants are necessary.

      • 소득분위 및 부채상환비율에 따른 가계소비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이정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2004-2008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가처분소득 분위별로 소비와 소득 및 부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발견한 중요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처분소득 등 수준변수만으로 구성된 모형보다는 부채비율 등 부채관련 변수들이 추가되는 경우 이론 부합 측면이나 소비에 대한 설명력에 있어 의미가 있다. 둘째, 국내에서도 부채조달을 통한 소비행태가 작동되고 있으며 저소득층으로 갈수록 소비에 미치는 민감도가 크다. 셋째, 부채에 대한 감당능력을 나타내는 금융부채/금융자산 비율이나 DSR(원리금상환액/가처분소득)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하다. 넷째, 거시변수는 대출금리의 경우 소비와 음(-)의 방향성을 보였으며, 주가증감률과 주택가격변동률은 일부 소득계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관계가 나타났다. 본 논문은 2004-2008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DSR 수준별 및 가처분소득 분위별의 소비와 소득 및 부채관련 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발견한 중요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DSR이 직접적으로 소비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하지만 DSR 수준별로 나눈 경우 설명변수들이 소비에 미치는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채는 DSR이 낮은 구간에서 부채가 소비로 연결되고 있다. 다만 DSR 수준이 높거나 거시변수인 대출금리 등이 포함될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셋째, 실물자산과 금융자산의 경우 DSR 수준 및 소득분위별로 다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거시변수가 소비에 미치는 효과는 DSR이 낮은 수준이고 소득수준이 비교적 안정적인 일부 계층의 경우 통계적 유의성이 있고 미시적 이론과 잘 부합되고 있다.

      • 뎅기바이러스 진단 시스템 개발

        누엔민녹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뎅기바이러스는 열대지역에서 확산되고 있는 모기 매개 질환이고 모기에 의한 황열, 지카 바이러스가 만연한 지역에서 동시에 발생하고 있다. 특히 뎅기 감염시 4가지 다른 유형의 뎅기가 2차로 감염되었을 때, 뎅기 출혈성 쇼크에 의해 환자가 위험해질수 있어서, 뎅기 감염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대응 준비를 해야 한다. 그러나 바이러스가 혈중에서 존재하는 시간이 낮고, 환자가 증상을 보일때는 이미 항체 IgM이 생성되는 시기이므로 항체를 진단할 수 있는 진단법의 개발이 고도화 되어야 한다. 본연구에서는 뎅기 항체를 진단하는 신속하게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결과: 뎅기 표면 단백질중 가장 면역원성이 높은 envelope단백질의 domain (III)을 유전자재조합 항원으로 개발하고 이를 면역진단법에 활용한 결과 바이러스를 이용한 진단법과 약 80% 이상의 민감도를 보였다. 이 항원을 신속형광면역진단법에 적용하여 환자 IgM를 20만에 측정할 수 있는 진단법을 개발하였다. 결론: 뎅기 envelope단백질의 domain (III)이 면역진단법 뿐 아니라, 신속형광면역진단법에 적용하여 환자의 IgM을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Dengue virus is the most critical mosquito-borne viral disease that rapidly spreading in the tropics and subtropics region. In particular, when the patients are infected with the different types of Dengue at the second time, a Dengue hemorrhagic shock syndrome (DHS) might lead to death. Thus, an efficient and rapid diagnostic is necessary to develop. However, since the period of time the patients show the symptom in which the virus is present in the blood is short and titer of virus is low, the anti-Dengue IgM is persisting until about 3 to 8 months post onse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ethod for detecting antibodies IgM was developed in advanced. Result: The recombinant Envelope protein domain III (EDIII) derived from each serotype of Dengue virus were successfully cloning into the pET21b vector, expressed on BL21 E.coli system and purified by affinity with 6xHis tag. These antigens source was applied to rapid fluorescence immunoassay to develop a diagnostic method to measure patient IgM and its sensitivity compared with the virus was about 80% or more.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DIII can be applied to rapid fluorescence immunoassay as well as the immunoassay.

      • ODA 사업의 성과지표 개선방안 연구 : 도로ㆍ철도부문 지속가능성 평가를 중심으로

        곽창범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는 2010년에 OECD 개발원조위원회에 24번째 회원국으로 가입을 계기로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ODA 통합평가시스템을 도입하였다. 평가체계 중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은 크다고 볼 수 있는데, 수억 달러대의 대규모 자본투자의 결과물인 인프라의 성능의 유지관리능력이 일정 수준 저하될 시 사회적 비용이 증가함과 동시에 복구하기 위한 인적·재정적 재(再)투입비용이 상당히 증가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교통 분야 중 큰 규모의 인프라시설인 도로·철도시설의 사업성과를 평가할 때의 기준 중 하나인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때 고려하는 항목을 감성분석을 이용하여 면밀하게 검토한다. 이후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사업평가 시 핵심지표의 도출 가능성을 분석하고 지속가능성 평가점수와 실제 평가점수 간의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해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적용한다. 최종적으로 우리나라 원조사업의 기존 성과평가제도를 검토한 후 현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성도 같이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모형을 통해 첫째, 지속가능성의 세부요소를 점수화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을 정량적인 기준을 통해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가 틀의 완성도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한다. 둘째, 지속가능성의 평가특성을 명확히 정의하고, 평가결과에 영향을 주는 주요소의 분석과정 및 필수적인 요소를 제시한다. 이후 필수요소만으로 기존의 평가 설명력을 크게 해치지 않는 선에서보다 더 간략한 지표로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South Korea has introduced an integrated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evaluation system that meets international standards after joining the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as the 24th member in 2010. The "sustainability" in the assessment framework gets critical in the present among the four key assessment factors. Social loss and human and financial investment costs for recovery skyrocket if the maintenance capacity of road and rail infrastructure, to be needed for numerous-scale investment, decreases to a certain level. This study aims to derive core factors that affect sustainability, which is one of the criteria for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road and rail projects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Reviewed are carefully the items to be considered in the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current development projects. The core indicators during project assessment and the validation of the sustainability assessment score are analysed. Last but not least,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current problems is also presented after reviewing the existing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of ODA projects in Korea. The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an approach to the integrated quantitative assessment model through a numeric database set. Second, it presents the elements the assessment committee should consider in a primary. The researcher proposes a way of evaluating with fewer indicators, but the assessment result is not changed. This paper first contributes to the advanced assessment system by scoring sub-factors. Assessed can be sustainability through a quantitative framework. Second, this presents the key factors and analysis process that impact the evaluation after each assessment characteristics of sustainability is clearly defined. It proposes an assessment methodology with essential indicators without lower explanatory power of assessment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