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현옥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원이 성역할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성역할 인식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행 연구 고찰과 3차에 걸친 전문가 자문을 거쳐 총 59문항을 예비문항으로 개발하였다. 4년제 교원을 241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검증 결과를 통해 얻은 사적인 생활의 성평등, 여성성역할고정관념, 공적생활의 성평등, 성역할에 따른 민감성, 남성성역할 고정관념으로 구성된 5개 요인으로 15개 문항을 도출되었다. 또 다른 대상인 4년제 교원 373명을 표집 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문항의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척도의 타당화 작업을 위하여 한국형 남녀평등 의식척도와 한국형 다면성별 의식척도를 통해 상관관계를 통해 타당도를 갖춘 검사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척도가 상담에 활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ough universities as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have more gender-equal education systems and value systems, there are, still in reality, lots of power-related violence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seniors and juniors. In this situation, it is important to complete the scale development which offers exact understanding and examination of gender role recognition of faculty members in universities, with the full understanding of the necessities of developing assessment tools for gender role recognition in the studies and researches of gender equality in universities. This study aims to perform the reliability tests and validation researches of the objective tools for examining how faculty feel and express the gender issues in their education fields and daily lives through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gender role recognition inventory for university faculty. I have primarily extracted the component factors of the gender role recognition in university faculty member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nd then have prepared preliminary surveys consist of 59 questions divided by 5 subdivisions, scrutinized by 10-12 experts and professors who demonstrated, revised, and deleted the questions after proving content validity a few times. To develop scale, I did the online preliminary survey for the university faculty members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and extracted 15 questions from the 241 responses, classified by 5 component factors, such as gender role sensitivity, gender equality in public life, male gender-role stereotype, gender equality in private life, female gender-role stereotype screened through the question analysis and validation of reliability. I have conducted the online main surveys of 373 respondents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with the questions in Korean-Multiple Sexism Inventory(K-MSI) questionnaire and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KGES) questionnaire. In the analysis results of 373 responses analyzed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gender role recognition suitability of the university faculty scores .924 and .942 each in TLI and CFI, and in RMSEA analys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n the subordinate scope scores .75(p<.001), which proves construct validity resulting in significant consequences in a higher level. It has proved that with the K-MSI and KGES scales, to verify the convergen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extracted 15 questions confirm the validity. Consequentially, it can be said that gender role recognition scale for university faculty developed in this research consists of reasonable and suitable questions which prove their own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questionnaire. This gender role recognition scale can contribute to making it possible for the faculty in universities to produce policies and educational programs preventing sexual violence including sexual harassment by teachers through the self-assessment committed by themselves.

      • 초등학교 고학년의 놀이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정향숙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놀이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놀이성 척도의 요인과 구성 문항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놀이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적절한가? 셋째, 놀이성과 관련 변인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놀이성 척도의 기본적 틀을 설정하였다. 우선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놀이성에 대한 연구들을 개관하고, 특히, 국내에서 이루어진 유·아동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한 놀이성 연구를 수집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개념적 요소를 잠정적으로 설정하였다. 또,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 초등학생이 생각하는 놀이와 놀이성의 개념을 수집하였고 그 응답을 분석하여 놀이성의 구성요인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체계적인 척도 개발 과정에 따라 문항 분석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놀이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놀이성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4, 5, 6학년 255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놀이성 척도를 5요인 30문항으로 결정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놀이성 척도는 주도성, 즐거움, 창의성, 관계지향성, 무목적성의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개발된 초등학교 고학년의 놀이성 척도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은 초등학교 4, 5, 6학년 504명이였으며, 응답 자료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 구조의 적합성을 검증하였고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놀이성 척도의 적합도 CFI(.913)는 .90보다 높았으며, RMSEA(.07)는 기준인 .08보다 낮았으므로 놀이성의 5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놀이성과 학업 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수준에서의 부적 상관관계(-.597)가 있어 변별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동시에 놀이성과 친사회성 간의 상관계수는 .685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에 놀이성 척도의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셋째,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놀이성 척도의 전체 신뢰도계수 .883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 신뢰도계수는 .843에서 .910의 범위를 보여 본 검사 도구의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검사에서 개발한 놀이성 척도의 검사-재검사의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놀이성 척도 개발과 타당화를 통해 초등학교 상황에서 나타내는 놀이성의 특징을 고찰하여 척도에 반영함으로써 초등학교 고학년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척도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놀이성의 구성 요인은 초등학교 고학년 수준을 고려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