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슐러 르 귄의 『어둠의 왼손』에 나타난 탈중심적 서사

        김소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어슐러 르 귄의 『어둠의 왼손』은 에큐멘과 게센의 대립 관계처럼 다양한 것들을 이원론적 도식 아래 놓는다. 본 연구는 우선 소설에서 암시되는 이분법적 구분 간의 위계를 살펴보며 주체, 남성, 이성과 같은 성질이 에큐멘에 투사될 때 게센에는 타자, 여성, 비이성과 같은 성질이 부여되며 두 문화 간의 대비가 명확하게 그려지고 있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은 『어둠의 왼손』이 형식과 내용 양면에서 남성 중심적 지식 체계에 대한 탈중심적 시도를 수행한다고 분석하고자 한다. 『어둠의 왼손』은 주인공인 겐리 아이가 에큐멘의 특사로서 작성한 보고서인데 서술자가 일원화되어있지 않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런데 이러한 겐리의 서술방식은 작중에서 포착할 수 있는 에큐멘의 지식에 대한 태도와도 상반된다. 에큐멘은 남성성으로 대표되는 하나의 권위를 중심으로 지식을 선별하고 축적해왔기 때문이다. 에스트라벤의 일기, 카르히데 화로들의 구전설화 등을 두루 포함하여 작성된 겐리의 보고서는 특정한 구심점을 두지 않은 게센의 지식 체계에 더 가까운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어둠의 왼손』이 텍스트의 형식 면에서 에큐멘의 주체 중심적 태도에서 벗어나고 있다면, 텍스트의 내용 면에서는 겐리가 남성성에 대한 추구에서 벗어나는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소설은 남성성을 최선으로 여기는 에큐멘의 주체 중심적 태도로부터 멀어지는 겐리의 변화를 방증하는 텍스트가 되기도 한다. 『어둠의 왼손』은 소설의 첫 문장으로 “진실은 상상력의 문제”라는 명제를 제시한다. 진실과 상상력은 함께 이원적 대립 관계를 맺고 있으며 소설 내에서는 각각 이성과 비이성을 비롯해 이원론에서 파생된 개념들을 상징할 수 있는 단어이다. 본 연구는 『어둠의 왼손』이 첫 문장에서 진실과 상상력의 조화를 강조하고 있는 것처럼 양성성의 가치를 독자에게 드러내 보이며 이원론에 항상 뒤따랐던 위계적 해석에 대안적인 관점을 유도한다고 해석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at Ursula Le Guin’ The Left hand of Darkness serves as an attempt to reconsider the absoluteness of the male-centered ideological subject. As The Left hand of Darkness can be categorized as an alien narrative of science fiction, it follows certain quality of the genre. In this genre, it has been common to depict aliens as the other, opposed to how humans are centered in the narrative as the subject. The Left hand of Darkness seems to such shceme by establishing the group of people called the Ekumen to project superiority on gethenians. However, as an alien Le Guin portrays defies the Ekumen’s gender hierarchy by being androgynous, the Ekumen fails to prevail over Gethen through reinforcing male-dominated values. Rather, male-centered values of the Ekumen are aggressively attacked in Gethen. Unlike the Ekumen, where knowledge is selected and accumulated by a single authority represented by masculinity, Gethenian culture refuses to establish one specific authority of knowledge. Hence, while Ekumen pursues the centralization of knowledge, Gethenians takes knowledge as more individualized articles. This characteristic differences is shown mainly through the construction of Le Guins work, by representing Ekumenical knowledge in the form of reports, and Gethenian knowledge in myths, journals, and hearth-tales. Then as Genly collects all these types of texts to organize the final volume of his report, The Left hand of Darkness once again denies the exclusive authority of the Ekumen. Ultimately, The Left hand of Darkness proves the statement “the truth is a matter of the imagin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Le Guin’s work leads to the perception of ignorance, another irrational element excluded from male-centered authority.

      • 돈 드릴로의 『화이트 노이즈』에 나타난 현대사회 속 개인의 위기

        이지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Don DeLillo’s White Noise depicts the changes and crises experienced by individuals in the U.S. society in the 1980s, which marked the beginning of the post-modern era. The primitive fear of death, like the white noise, sits all over the place of everyday life, making modern people miserable. At this time, exploring individual looks for ways to cope with death will suggest a modern attitude that adapts to the rapidly changing post-modern society. This paper attempts to criticize the technology-dependent capitalist society, tracking how Jack, a middle-class white male speaker, tries to adapt to modern society and escape from the fear of death that threatens him. The elements of modern society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Jack and those can be divided into material capitalism, technology, mass media, and images. The way of life changed as capitalism controls human life and material had the upper hand. Humans try to satisfy their hunger and gain emotional stability through consumption. While science and technology have also brought many benefits, including convenience and the extension of life, humans have become so absorbed in the benefits so that they have overlooked the things behind them. Disasters created by technology threaten people without any solution. As modern society is dominated by science, television plays a major role in the formation of an individual’s ego. Humans learn what the media sends, and even believe that the disguised image is real. However, modern belief is proven to be fictitious as all Jack’s efforts fail. That is because no changes have been made from Jack’s actions. Although nothing seems to have changed when Jack returns to daily life, the series of events he experienced shows how much influence modern society is having. Thus, Jack, who feels uncomfortable and refuses, is a human being who realizes what is going wrong and how meaningless an effort to avoid death is. Jack can never be separated from capitalism, technology, and image. Also, he has no choice but to adapt to this society, but nevertheless he became the one who is able to reconcile and accept death. Jack experienced failure and went back to normal, but his experience was not a failure. As soon as Jack conceals with death and admits it as an extension of life, he can only find himself and be free from his misery. 돈 드릴로의 『화이트 노이즈』는 포스트모던 시대를 맞이한 1980년대 미국 사회 속 개인이 겪는 변화와 위기를 그린 작품이다. ‘죽음’이라는 원초적인 공포는 백색소음처럼 일상의 도처에 자리하여 현대인을 괴롭게 한다. 이때 각 개인이 죽음에 대처하는 방안을 탐구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포스트모던 사회에 적응하는 현대인의 자세를 모색한다. 본 논문은 과학기술에 의존한 자본주의 사회를 비판하면서 중산층 백인 남성 화자인 잭이 현대 사회에 순응하는 동시에 그를 위협하는 죽음의 공포로부터 어떻게 벗어나려 하는지 추적한다. 잭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현대사회의 요소는 물질 자본주의, 과학기술, 대중 매체와 이미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자본주의가 인간의 삶을 통제하고 물질이 가장 우위를 선점하는 가치가 되어버리면서 삶의 방식이 변화하였는데 인간은 소비행위를 통하여 자신의 허기를 채우고 감정적인 안정감을 얻는다. 또한 과학기술 문명이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면서 편리함과 생명의 연장 등 여러 이점을 가지고 왔지만 인간은 혜택에 너무나도 심취한 나머지 이면에 있는 것들을 간과하고 말았다. 테크놀로지가 만들어낸 인재(人災)는 해결방안도 없이 인간을 위협하고 있다. 현대인이 과학에 지배당함과 동시에 텔레비전은 개인의 자아 형성에 지대한 역할을 수행한다. 인간은 미디어가 송출하는 이미지를 그대로 학습하며 심지어 위장된 이미지를 실재라고 믿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현대인의 믿음은 잭의 노력들이 모두 실패하면서 허구로 밝혀진다. 잭이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실천했던 행동들이 어떤 변화도 가지고 오지 못한 까닭이다. 비록 잭이 일상으로 회귀한다는 점에서 변한 것은 아무것도 없어 보이나 그가 경험한 사건들은 현대인이 간과하고 있는 현대사회의 요소들이 얼마나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지 보여준다. 따라서 불편함을 느끼고 거부를 행사하는 잭은 무엇이 잘못되어가고 있으며 죽음을 피한다는 노력이 얼마나 의미가 없는 일인지를 깨닫는 인간이다. 자본주의, 테크놀로지, 이미지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현대인인 잭은 이 사회에 순응할 수밖에 없다.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노력했던 잭은 실패를 경험하고 일상으로 회귀하지만 그의 경험은 실패가 아니다. 죽음과 화해하고 삶의 연장선임을 인정하는 순간, 잭은 괴로움에서 벗어나 비로소 자아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 서사를 통한 깨달음의 실천 : 테드 창의 「네 인생의 이야기」

        조은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ed Chiang’s “Story of Your Life” is a novel that embodied the enlightenment of time and fate through the specific narrative structure. The main SF features of this novel are the setting of time travel which intersects the future and the past as well as the setting of aliens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huma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nonlinear time view of aliens by the language they used and aims to analyze their impact on humans. Subsequently, the study contras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orldviews of causation and teleology to examine Louise’s, the principal character of the novel, attitude changing toward fate. In consequence, this study analyze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plot of the “Story of Your Life” to examine the SF setting embodied by its narrative.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in this novel are the dual narrative and the circular narrative. Among these, the dual narrative allows the novel to shift in time, space, and narrative themes. Consequently, the overall plot of the novel maintains the structural cohesion of the novel itself even after combining different narrative themes that occurred in different temporal contexts. In addition, the circular narrative repeated the same plot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novel to show Louise’s different attitudes to the same event, then reveals her internal changes. In brief, the process of Louise embodied enlightenment is completed through the narrative. The combination of the dual narrative and the circular narrative draws out the time travel setting and SF ambiance of the novel. Therefore, Chiang’s “Story of Your Life” reveals the inner meaning of the novel to the readers. This novel makes readers have a new cognition about human self and future fate beside the traditional perception. Hence, this study analyzes the "Story of Your Life" aims to present readers with the content of enlightenment about a new understanding of human’s time view and fate an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future. 테드 창의「네 인생의 이야기」는 시간과 운명에 대한 깨달음을 독특한 서사 구조를 통해 표현한 작품이다. 미래와 과거가 교차한 시간 여행 설정 및 인류와 의사소통하는 외계인이라는 설정은 이 작품의 주요한 SF적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외계인의 언어를 통해 나타나는 외계인의 비선형적 시간관을 분석하여 외계인의 시간관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인간의 인과론과 외계인의 목적론이라는 두 가지 세계관의 차이에서 작품의 주인공 루이스의 운명을 대하는 태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네 인생의 이야기」의 서사 구조와 플롯을 분석함으로써 작품의 서사를 실현한 SF적 설정을 연구한다. 이 작품 속 서사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교차 서사와 순환 서사다. 그중 교차 서사는 소설의 시간, 공간, 서술 주제의 전환을 실현한다. 따라서 작품의 전체적인 플롯은 서로 다른 시점에서 발생하는 다른 서술 주제를 결합한 후에도 작품 자체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또한, 순환 서사는 소설의 시작과 끝에서 같은 플롯을 반복하기에 루이스가 같은 사건에 대해 다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루이스의 내적 변화를 보여준다. 즉 루이스가 깨달음을 실천하는 과정이 서사를 통해 완성되는 것이다. 교차 서사와 순환 서사의 결합은, 이 작품의 시간 여행이라는 작품의 SF적 주제와 설정을 끌어낸다. 이를 통해 테드 창의 「네 인생의 이야기」는 독자들에게 작품의 내적 의미를 드러낸다. 작품은 독자들이 전통적인 시각을 뛰어넘어 인간 자아와 미래 운명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네 인생의 이야기」가 인간의 시간관과 운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미래를 긍정적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깨달음의 내용을 독자들에게 제시하고자 함을 분석한다.

      • 도리스 레싱의 『풀잎은 노래한다』에서 나타나는 권력과 타자

        김여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다양한 권력 층위와 그 사이에 존재하는 타자들에 대해 논의해온 영국의 여류작가 도리스 레싱(Doris Lessing)의 첫 소설 『풀잎은 노래한다』(The Grass is Singing)에서 나타나는 지배사회의 권력구도와 이로부터 소외된 타자들에 집중하여 현대의 복잡한 권력체계에서 개인이 억압적인 현실을 자각하고, 주체적 자아로 성장하기 위한 타자간의 조화의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남부 아프리카의 성적·인종적·계급적 타자인 메리, 모세, 딕은 교육 및 문화를 통해 지배사회의 이념을 습득한 이데올로기화 된 주체들이다. 이들은 지배사회로 부터의 배척과 비난이 두려워 내적 자아의 욕망을 억압한 채 매번 권력에 순응하는 것으로 현실에서 도피해왔다. 그러나 지배사회로부터 배척된 세 명의 타자들이 한 공간으로 모여들게 되자, 이질적인 존재들 간에 지배질서에 반하는 결연이 형성된다. 타자와의 이데올로기화 된 추상적인 관계가 아니라 실질적인 인간관계의 형성을 통해 메리는 모세에게서 권력에 저항하는 자아를 발견하게 되고, 모세는 메리에게서 인종적 권력담론을 해체할 수 있는 전복의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반면 지배담론이 상정한 타자와의 관계에서 벗어나지 못한 딕은 타자와의 유대에 실패한 채 정신적 분열을 겪게 된다. 자신을 둘러싼 권력의 실체를 자각하게 된 메리와 모세는 수동적 자아에서 벗어나 권력에 대응하는 주체적인 자아로 성장하게 된다. 레싱은 메리와 모세의 변화를 통해 개인이 현실의 복잡한 권력구도를 파악하고, 이에 대항하게 위해서는 다른 층위에서 억압받고 있는 타자간의 조화가 중요한 것임을 증명한다. 본고는 개인이 현실의 거대 담론을 파악하고 주체적인 자아로 성장하기 위해서 타자와의 유대가 중요함을 주장하며, 이러한 타자간의 조화의 지점을 메리와 모세의 성장과정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By focusing on power and the others in Doris Lessing's first novel, The Grass is Singing, this article tries to discuss whether individuals can be aware of oppressive reality and make a self-development through the interrelation with 'the others'. The main character of The Grass is Singing, Mary, Mose and Dick, are under the pressure of main ideology of the Southern Africa. Through the collective's view, They are sexual, racial and hierarchical 'others' since they are not corresponded with ideal subject of the Southern Africa. The others have run away from confronting the oppressive reality by comforting themselves to the Patriachy-imperialism order. They have just accepted the negative identity as 'misfit' and adapted themselves in given situation which is restraining their free will. However situation got changed as the others gathered in Turner's house and made a interrelation with one another. Mary, Mose and Dick started to make a new kind of interrelation which is not based on sexual and racial order of society, but based on man-to-man relationship. After that, they started to find their own selves as repressed subject from each other. Mary who had been suffered from patriarchy power found a resistant self from Mose while Mose cognized Mary as suffered subject who once had been a racial oppressor to him. Mary and Mose recover their lost subjecthood through the interrelation with others. Meanwhile Dick fails to. Dick rejected to accept his sexual and racial others, Mary and mose, as equal subject so he fails to make a relation of equality with them. At the end of the story, he is slowly falling into schizophrenia. By showing the contrasting result of Mary and Mose versa Dick, Doris Lessing argues that to escape from the repressed self in the complicated power structure, individuals ought to realize not only the power structures of its own and also of the others. Lessing believes that one can understand its own suffering situation and repressive power structure with the help of the others. Through the Mary and Mose's attainment of extended vision after their realization of power, Lessing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ollaboration between others.

      • 섹스에서 젠더로 : 헨리 제임스의『나사의 회전』에 나타나는 가정교사의 성 인식을 중심으로

        김원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Henry James is a pioneering writer of literary realism, who the multiple aspects inherent in human being’s inner consciousness. The mystery and the ambiguity in The Turn of the Screw, which is regarded as his representative ghost novel as well as physiological novel, leaves a room for diverse interpretations, most of which focus on the main character, the governess. Above all, strong doubt forms in regard to the reality of ghosts that the governess encounters. Since the governess is the only person who witnessed the ghosts in the novel, the ghosts are interpreted as a sign of the governess’ abnormal mentality. In other words, the ghosts are imaginations, the outcome of the governess’ repressed sexual desires or fantasies. By departing from such previous criticisms and focusing on the governess’ sexuality, this paper will reveal that the governess is an independent woman who made endless attempts to explore and inquire into her sexual identity. The distinctive positions of a governess embodied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and issues in class distinction and sexual repression.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sexuality, the governess was caught in double confinement: on the surface, she was asked to be the ideal angel of the family, but on the other hand, she was seen as a sexualized working-class woman. However, the governess doesn't remain a victim of sexual repression, but endlessly inquire into her sexual identity. And the governess’ awareness of sexuality change and broaden while chasing after the secret meetings between the ghosts and the two children whom she is responsible for. During the chase, the governess’ awareness of sexuality broaden in multiplicity and complexity, breaking away from the simple, dichotomic logic that separated sexuality into man and woman by biological traits. Therefore, the governess break the established awareness of sexuality with her struggles in an attempt to inquire into sexual identity, and broaden sexuality into a context of gender, which view sexuality as a continuous complexity. W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her changing awareness of sexuality is the children’s hidden homosexuality. In the heterosexual society shaped by the 19th century patriarchal system, homosexuality was a taboo and a debasement. Therefore, the children’s homosexuality was the subject to keep under close watch and to eliminate for the governess. Such was the reason for the governess’ desire to protect the children from the ghosts who introduced and reinforced homosexuality in the children. However, the governess’ confined awareness of sexuality is not helpful in understanding and determining sexual identities of herself and of the children. The governess’ attempt to resolve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separation of sexuality into man and woman met its limitation. With the narrow perspective that separated sexuality into binary compos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women, the problems between women, the differences and the problems between men, and on a more profound level, the conflicts and differences in sexual identity within one’s self could not be overcome. Therefore, the governess attempt to change her awareness of sexuality which focus on sex. The governess’ new awareness of sexuality is obtained by projecting herself in diverse rol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rs. Grose and Miss Jessel, between Flora and Miss Jessel, Miles, and between Miles and Quint. Through this, the governess’ awareness of sexuality broaden into the context of gender that break down the rigid dichotomy of sexuality. Without regard to the governess’ broadened awareness of sexuality, it returns to the awareness of sexuality that focused on sex in the end of the novel. The governess lead Miles to his death with her own hands, and fall into a dilemma that defeat her attempt to inquire into her sexual identity in the end. The governess exhibit the limitation in a complete breakage from the heterosexual thinking, deep-rooted in the 19th century English society. Nonetheless, what is important is the endless attempt at inquiring into sexual identity that the governess shows throughout the novel. The governess’ profound effort to understand and acknowledge the diversity and the differences in sexuality shouldn't be overlooked. Thus, the attempt of the governess in The Turn of the Screw to inquire into sexual identity by broadening her awareness of sexuality from sex into the context of gender could be regarded as holding a great significance. 헨리 제임스는 그의 작품에서 인간의 내면 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복잡성과 다양성을 심도 있게 탐구한 리얼리즘 소설의 선구자적 작가이다. 특히나 그의 대표적인 유령소설이자 심리소설로 알려져 있는『나사의 회전』은 작품이 가지고 있는 애매함과 난해함으로 인해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남아있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의 다양성은 주인공 가정교사에 대한 논의로 초점이 맞춰진다. 특히 작품에서 가정교사만이 유일하게 유령을 목격하고 있는 탓에 유령은 그 실체 자체에 대한 강한 의구심을 제기하게 만든다. 그리고 대다수의 비평들 사이에서 유령의 실체는 가정교사의 정신적, 심리적 이상 증후로 해석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유령은 가정교사의 억압된 성적 욕망, 혹은 환상으로 인해 만들어진 심리적 환영의 결과라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가정교사에 대한 종전의 비평들에서 벗어나 가정교사 섹슈얼리티에 대한 논의로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이를 통해 가정교사가 자신의 성 정체성에 대한 탐구와 모색을 끊임없이 시도한 주체적인 여성이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왜냐하면 19세기의 가정교사라는 특수한 직업을 가진 여성으로서 가정교사가 자신의 성 정체성을 모색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가정교사라는 직업은 그 특수성으로 인해 경제적, 사회적, 계급적, 성적 억압 의 문제들을 끌어안고 있었다. 특히 가정교사는 성적인 측면에서 표면적으로는 가정의 천사의 이상을 요구받으면서도 한편으로는 성애화된 노동계층의 여성의 모습으로 이미지화 되는 성적 이중 구속에 사로잡혀 있었다. 그러나 가정교사는 성적 억압의 희생자로만 머무르지 않고 자신의 성 정체성을 끊임없이 모색한다. 그리고 이러한 가정교사의 성 인식은 자신이 책임지고 있는 두 아이들과 유령들과의 비밀스러운 만남을 추적하는 과정을 통해 변화되고 확장된다. 가정교사는 두 아이들과 유령의 만남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성을 생물학적 특성으로 남·녀로 나누는 단순한 이분법적 논리의 인식에서 벗어나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시각으로 성 인식을 확장시킨다. 가정교사는 성 정체성 모색이라는 시도의 분기점에서 고군분투하면서 고정화된 성 인식의 껍질을 깨고, 성을 복잡한 연속체 관점에서 조망하는 개념의 젠더로 확장시킨다. 이러한 성 인식의 변화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두 아이들의 숨겨진 동성애적 섹슈얼리티이다. 19세기의 가부장제가 주조해놓은 이성애주의에서 동성애는 금기이자 타락이기 때문에 가정교사에게는 아이들의 동성애적 섹슈얼리티는 경계하고 제거해야만 하는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가정교사는 아이들에게 이러한 동성애적 섹슈얼리티를 제공하고 강화하고자 하는 유령들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가정교사의 닫혀있는 성 인식으로는 자신과 아이들의 성 정체성을 이해하고 해결하는 것에 있어서 어떠한 도움도 되지 못한다. 성이라는 의미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들을 남·녀로 단순화시킨 이분법적 대결구도로써 해결하고자 한 가정교사의 시도는 한계에 부딪힌다. 성을 이항 대립적 구도로만 나누고자 하는 협소한 시각으로는 여성과 여성의 차이, 여성과 여성의 문제, 남성과 남성간의 차이와 문제, 더 깊게는 자신의 내부의 성 정체성에 대한 갈등과 차이를 극복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가정교사는 자신의 섹스 중심적 성 인식을 변화시키고자 한다. 가정교사의 성의 재인식은 그로스 부인과 제셀, 플로라와 제셀의 관계, 마일스, 마일스와 퀸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할에 자신을 투영해봄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가정교사의 성 인식은 경직된 성의 이분법을 타파하는 젠더의 개념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가정교사의 이러한 확장된 성 인식에도 불구하고 작품의 마지막에서 가정교사의 성 인식은 다시 섹스 중심의 성 인식으로 회귀해버린다. 이로써 가정교사는 자신의 손으로 마일스를 죽음으로 이끌게 되고 결국은 자신의 성 정체성 모색의 시도마저 실패하게 되는 진퇴양난에 빠지게 된다. 이는 가정교사가 19세기 영국 사회의 뿌리 깊은 이성애중심의 사고로부터 완전히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것은 가정교사의 성 정체성 모색에 대한 끊임없는 시도이다. 단일한 성으로써만 성을 인식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성 정체성의 다양성과 차이를 이해하고 인정하고자 한 가정교사의 뜻 깊은 노력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나사의 회전』의 가정교사가 사회적 제도의 제약의 강제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성 인식을 섹스에서 젠더로 확장시키고 이를 통해 성 정체성을 모색하고자 한 것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 미국 고딕소설에 재현된 여성과 집: 제임스, 잭슨, 벡델

        이지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thesis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house’ and ‘women’ represented in gothic novel. Based on it, the relations and structures of various forces acting on the world around women can be identified. In gothic novel, for women ‘house’ appears as ambivalent meaning of imprisonment and escape. In the space of imprisonment women are under the paradoxical circumstances from where they want escape but have to conform the condition of oppression in order to gain protection and stability. The lives and experience of women in gothic novel are not described metaphorically and indirectly, but appear to be as distressing and strange state. Women feel a sense of separation and ‘uncanniness’ in where the ‘house’ should be protective and stable place. In this thesis I attempt to show the meaning of female experience and reality which presented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women and house in gothic novel, by considering Henry James’ The Turn of the Screw, Shirley Jackson’s The Haunting of Hill House and Alison Bechdel’s Fun Home. In the first chapter, I argue women’s placement and meaning of existence in patriarchal society represented in The Turn of the Screw. Women can be considered as the drifting existence which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ess and the ghosts. Moreover, I examine the novel’s ‘narrative of frame’ in relation with the objectification of women and the meaning of the presence of women trapped in domestic space under the patriarchal society. In the second chapter, I read the social pressure and repression on women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anor Vance, the main female character, and Hill House in The Haunting of Hill House. At the end of the novel, Eleanor's choice represents the subversive possibility of society's power to confine and oppress women. Though Eleanor’s ending is self-destructive, she pursues her desires by her own will and rejects social coercion. In the third chapter, I consider Fun Home as an alternative to the new possibil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space in gothic novel. In Fun Home, Bechdel escapes from her father who oppresses and manipulates her, and his home. Furthermore, she dissembles the house and recreates the house of her own by constructing archive about father and inscribing her personal story on canonical modernism literature. With her own perspective as a female / lesbian / graphic narrative artist, she creates whole new literary space. Bechdel's attempt is significant, for it acts as an subversive force on the power structure of male / heterosexual world / canonical writer. In additio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women and house in gothic novel shows the changes in the form and meaning of space. While the space in James' The Turn of Screw reflects the conventional elements of British female Gothic novels, the spaces in Jackson and Bechdel’s novel show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modern American society, along with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category of gothic novels’ content and form.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and women presented in gothic novels is meaningful to focus on the women's experiences and reality reflected in literature. However, the sense of ‘uncanny' in gothic spaces is also important, for it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literary research into not only women but also those who are seen but considered as not-be-seen. 본 논문에서는 고딕소설에 나타나는 ‘집’과 여성의 관계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여성을 둘러싼 세계에 작용하는 다양한 힘의 관계와 구조를 살펴본다. 고딕소설에서 여성에게 ‘집’은 감금과 탈출의 양가적인 의미로 나타난다. 이러한 억압과 감금의 공간에서 여성은 탈출하기를 원하면서도 보호와 안정을 얻기 위해서 억압과 감금의 조건에 순응해야하는 모순적인 상황에 처한다. 고딕소설에 나타나는 여성의 삶과 경험은 우회적이고 상징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고통스럽고 기이한 상태 그대로 드러난다. 여성은 보호와 안정의 공간이어야 할 집에서 오히려 불안하고 두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는 괴리감과 낯설음을 느낀다. 본 논문에서는 고딕소설에서 재현되는 여성과 공간의 관계를 통해 나타나는 여성의 경험과 현실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1장에서는『나사의 회전』에 나타나는 가부장 사회에서 적법한 자리를 갖지 못하고 가정교사와 유령처럼 부유하는 여성의 모습과 존재 의미에 대해서 분석한다. 또한 소설의 액자식 구성을 여성의 대상화와 가부장 사회에서 가정공간에 갇힌 여성의 존재 의미와 연결해서 살펴본다. 2장에서는 잭슨의『힐 하우스의 유령』의 엘리너와 힐 하우스의 관계를 통해서 여성에게 가해지는 사회적 압박과 억압에 대해서 고찰해본다. 엘리너를 압박하고 사람들 간의 관계를 단절시키는 힐 하우스의 구조와 초자연적인 힘은 소설의 배경이 되는 1950년대의 보수적인 미국사회에서 여성에게 작용한 가부장 사회의 억압으로 연결시켜 볼 수 있다. 힐 하우스에서 고통 받는 엘리너는 이상적 여성상으로 제시된 가정에 제한되는 삶을 강요당하는 당대 여성의 모습을 반영한다. 엘리너의 자기파괴적인 결말은 엘리너가 스스로의 선택으로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고 사회의 강요를 거부한다는 점에서 저항적 의미를 갖는다. 3장에서 살펴볼『펀 홈』은 고딕소설에 나타나는 여성과 공간의 관계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의 대안을 제시하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자신을 통제하고 억압하는 아버지의 집에서 탈출한 벡델은 이를 해체하고 재구성하여 자신만의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낸다. 아버지에 대한 기억과 관련 자료들을 모아서 이를 그래픽 내러티브 형식을 통해 시각화하여 『펀 홈』이라는 아카이브를 구성한다. 또한 벡델은 아버지와 자신을 연결해주는 요소인 문학을 차용하여 정전으로 불리는 문학작품에 사적인 경험과 기억의 조각들로 채워넣고 여성/레즈비언/예술가로서의 자신의 시각을 중심으로『펀 홈』이라는 새로운 문학적 공간을 만들어낸다. 벡델의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남성/주류작가/이성애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던 공간에의 권력 구조에 전복적인 힘으로 작용한다. 여성과 고딕적 공간의 관계의 의미와 그 변화를 살펴보는 과정에서는 또한 고딕소설에서 구현되는 공간의 변화도 함께 나타난다.『나사의 회전』에서 나타나는 공간이 영국 여성 고딕소설에서 비롯되는 전형적인 요소를 반영하고 있다면 『힐 하우스의 유령』과 『펀 홈』에서는 이를 미국 현대 사회의 환경에 적용하여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며 내용적으로도 형식적으로도 고딕소설의 범주의 확장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다. 고딕소설에 재현되는 집과 여성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문학에 반영되어 있는 여성 삶의 경험에 집중하여 여성의 현실을 고찰해보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고딕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익숙함 속의 낯설음’의 감각은 여성뿐만 아니라 보이지만 보이지 않는 존재로 치부되는 존재들에 대한 문학적 연구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는 것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멜빌의「빌리버드」연구: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부정과 도전

        서경실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599

        One of the remarkable changes that Literary study has shown since 1980s is that critics pay more attention to the inter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society that produces it. This new critical trend emphasizes that literature is produced under the influences of the social, political, and historical contexts of the time. Critics who have this view consider literature as a form of ideological practice that has an effect on the society. They study how the writer reacts against the dominant ideology of his time through his literary works. This paper approaches Melvilles Billy Budd, Sailor in the light of this critical view of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ideology. This paper intends to show how Melville reacts against social institutions, such as law, press, religion, and other apparatuses of ideologies which rationalize and justify evil practices and side effects caused in the process of pursuing the nations development. In Melvilles time,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brought not only the positive aspects of abundance and process but the negative aspects of the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Melville saw that the social institutions functioned not for human beings but for society in many cases. In Billy Budd, Sailor, he denounces the ideological functions of the law and the press by studying contradictory relations between human rights and social order. He shows that the social institutions which must guarantee human right and dignity infringe upon human rights for the social purpose. Showing the martial court that sentences Billy to the capital punishment without any volition to protect and defend Billy, and without any reasonable examination, Melville reprimands the inhuman ideological function of the law that sacrifices human beings only for the social purpose. This inhumanity of the social institutions culminates in Billys death. Citing the authorized organizations distorted news on the Billy-Claggart accident, he presents a question on the credibility, sincerity and absoluteness of the truth the social organization announces in public. In short, it might be argued that Melville embodies, as analysed in this study, the denial and challenge of the social values of America in the 1850s. 80년대에 들어서 문학 연구는 문학의 역사비평이라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는다. 학자들 사이에서 텍스트, 언어중심적인 기존의 문학연구를 지양하고 문학과 지배이데올로기의 상호연관성에 주목하고, 문학의 정치적, 사회적, 역사적 비평을 지향하는 움직임이 전개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비평사조는 작품을 이념적 실천행위(ideological practice)의 한 형태로 간주하고 문학작품을 의미 생산 기제로 연구한다. 이들은 작가들이 당대 지배이데올로기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작품을 통해서 지배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의미를 생산하거나 반지배이데올로기적인 의미를 생산한다는 관점에서 문학작품을 분석한다. 또한 이들은 문학 작품의 역사성을 복원했다. 다시 말하면, 문학 작품은 특정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서 산출된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이는 독자로 하여금 자신의 삶에 대한 바르고 객관적인 통찰과 비판을 가능케 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논문은 문학과 지배이데올로기사이의 관계에 주목하는 역사 비평의 관점에서 『빌리 버드』를 분석하고자 한다. 멜빌의 시대는 번영과 풍요의 긍정적 측면과 인권유린과 같은 부정적 측면이 함께 혼재해있던 모순의 시대였다. 멜빌은 많은 경우에서 사회의 제도적 장치들이 인간을 위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목적을 위한 기능을 하는 것을 경험했다. 본 논문은 멜빌이 인간을 위해 존재해야하는 사회의 제도적 장치들-법, 재판, 언론, 종교 등-이 국가의 발전과 번영의 과정에서 야기되는 폐단과 부작용을 합리화, 정화하는 지배이데올로기적 기구로 변용되어 진실을 왜곡하고, 인간을 구속하는 현상에 대해 어떻게 대응했는가를 보여주고자 한다. 『빌리 버드』에서 멜빌은 개인의 인권보장과 사회질서유지라는 상충되는 두 요소의 관계 규명을 통해 법과 언론이 가지는 지배이데올로기적 기능을 비판한다. 그는 개인의 인권을 보장해야하는 제도적 정치들이 사회의 목적에 부합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보여준다. 빌리를 보호하고, 변론하려는 의지도 없이, 그리고 정당한 조사도 없이 빌리에게 사형을 선고한 군법회의를 통해서, 멜빌은 사회목적을 위해 인간을 희생시키는 법의 비인간적인 지배이데올로기적 기능을 비판한다. 제도적 장치들의 비인도주의적 성향은 빌리의 죽음에서 정점에 이른다. 또한 멜빌은 빌리-클레거트 사건에 대한 공식기관지의 왜곡된 보도를 그대로 인용함으로써, 사회 기관에 의해 공표되는 진실에 대한 진실성, 절대성 등에 의문을 제기한다. 간략히 말하면, 이상에서 살펴봤듯이, 멜빌은 1850년대의 사회가치에 대한 부정과 도전을 『빌리 버드』에 형상화하고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와 <블레이드 러너>에 그려진 인간과 기술의 관계

        이서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필립 K. 딕의『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와 리들리 스콧의 <블레이드 러너>는 인간과 기술의 공존을 그린 작품이다. 딕의 소설과 스콧의 영화는 인간과 흡사한 기계를 등장시켜 인간과 기계의 유사성을 부각시키고, 기계에 대한 인간의 차별적 시각의 변화를 보여줌으로써 인간과 기술의 관계를 재정립한다. 본 논문은 기술에 대한 인간의 차별적 시각에 의문을 제기하고, 인간과 기술의 관계의 지향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딕의 소설과 스콧의 영화는 데커드가 기계들을 차례로 대면하면서 결국 기계들에 공감하게 되고, 이들과의 공존을 모색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이러한 데커드의 변화 과정은 기술에 대한 충격, 기술에 의한 변화, 그리고 인간과 기술의 공존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진화한 기계는 노예로서의 삶을 거부하고 반란을 일으킨다. 인간은 기계의 반란으로 표현된 기술의 역습에 충격을 받게 된다. 기술의 역습은 인간의 차별적 시각에서 기인한다. 인간은 공감 능력이 인간에게만 내재한 것으로 간주하면서 차별의 근거를 마련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제는 허구로 밝혀지면서 인간의 기계에 대한 차별적 시각이 드러나게 된다. 기술의 발달은 이와 같은 인간의 차별적인 시각에 변화를 일으킨다. 인간과 흡사한 기계의 출현은 인간중심적인 가치관을 파괴하고, 사물의 소유 개념에 변화를 가져온다. 딕의 소설과 스콧의 영화는 데커드의 변화를 통해 인간과 기술의 공존 가능성을 보여준다. 딕의 소설과 스콧의 영화는 인간과 기술의 공동체적 관계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같지만, 두 작품 사이에 차이점 역시 발견된다. 이것은 딕과 스콧의 관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딕은 “공감”에 초점을 맞추고, 인간뿐만 아니라 기계 역시 공감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딕의 소설에서 인간은 결국 기계에 공감하게 되고, 이로써 인간과 기계는 공동체 관계를 맺게 된다. 반면, 스콧은 “기억”에 초점을 맞춘다. 스콧은 인간과 기계를 동일하게 바라보고, 이들의 공존을 보여준다. 또한 딕의 소설과 스콧의 영화는 장르의 차이로 인해 이야기의 재현 방식에서 차이점이 발견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데커드의 변화를 중심으로 인간과 기술의 차별적 관계에 의문을 제기하고, 장르의 차이와 딕과 스콧의 관점의 차이에 주목하면서, 딕의 소설과 스콧의 영화에 그려진 인간과 기술의 공동체적 관계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기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시대적 상황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hilip K. Dick’s 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 and Ridley Scott’s Blade Runner describe the coexistence of human and technology. As the appearance of machines similar to humans in Dick’s novel and Scott’s film emphasizes the similarity between humans and machines and presents the changes of human’s discriminative viewpoints for mach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is re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questions of the human’s discriminative viewpoints for technology and discuss the direc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In Dick’s novel and Scott’s film, Deckard faces machines one by one and empathizes with them in the end and searches for coexistence with them. The Deckard’s change process can be examined by shock about technology, changes by technology, and coexistence of human and technology. Evolved machines reject the life as slaves and rise in rebellion. Humans are shocked by the counterattack of technology that is expressed as machine’s rebellion. The counterattack of technology is caused by the human’s discriminative viewpoint. Humans consider that empathy only exist in humans and prepare for the grounds of discrimination. However, this premise turns out to be a fake and the human’s discriminative viewpoint for machines is expose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causes the changes of human’s discriminative viewpoint. The emergence of machines similar to humans destructs anthropocentric values and brings about changes to the notion of possession of objects. Dick’s novel and Scott’s film present the possibility of the coexistence of human and technology through the changes of Deckard. Even though both Dick’s novel and Scott’s film have the same goal of communal relations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orks are discovered. This is caused by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Dick and Scott. Dick focuses on “empathy” and presents that not only humans but also machines have empathy. In Dick’s novel, humans finally empathize with machines, and as a result, humans and machines enter into the relation of a community. On the other hand, Scott focuses on “memory.” Scott sees humans and machines equal and presents their coexistence. In addition, Dick’s novel and Scott’s film have differences in the way of reproduction due to the differences of genre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questions about the discriminative relations of human and technology based on the changes of Deckard, pays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of the perspectives of Dick and Scott for genre, and attempt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the commun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in Dick’s novel and Scott’s film. This work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times that demand the necessity of a new awareness of technology.

      • 너새니얼 호손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청교도 사회와 개인

        조희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너새니얼 호손은 청교도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작가이다. 청교도 박해의 역사에 가담한 선조에 대한 성찰과 반성을 바탕으로 작품을 썼던 호손은 특히 청교도 사회와 개인의 관계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무엇보다 호손이 주목한 것은 청교도 사회가 개인에게 가하는 억압성과 편협함이었다. 호손이 그리는 청교도 사회와 개인은 갈등을 겪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호손은 이런 갈등관계에 천착하여 지속적으로 작품을 통해 이 관계를 그려냈다. 호손의 작품 속 개인은 사회와 대립하거나 지나치게 청교주의에 천착한 나머지 고립되는 등 문제적으로 사회와 관계를 맺는다. 이런 관계를 재현하는 과정에서 청교주의에 대한 호손의 비판이 드러나며 이 비판은 주로 원죄설과 선민사상에 집중되어 있다. 주목할만한 점은 호손이 고립을 택함으로써 사회를 등지는 개인의 선택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오히려 호손은 문제적으로 사회와 관계맺는 개인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문제를 지닌 사회라 할지라도 개인이 사회와 유리된 채 살아갈 수 없다고 말하며 사람 사이의 유대와 공감을 강조한다. 본고에서는 호손의 단편 소설에 나타난 청교도 사회의 개인이 각기 다른방식 으로 사회와 관계 맺는 모습을 보고 그가 사회와 고립된 개인에 대해 비판적이었음을 살펴본다. 나아가 호손이 개인과 사회 사이의 대립과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감정으로 주목했던 공감의 감정에 대해 고찰해보기로 한다. 본론의 첫번째 장에서는 「젊은 굿맨 브라운」과 「나의 친척, 몰리네 소령」의 브라운과 로빈의 모습을 통해 청교도 사회의 개인이 선조들의 박해의 역사나 미래의 성공을 보장해주리라 믿었던 친척의 몰락을 목격하면서 성인사회로 입문하는 모습을 살펴본다. 본론 두번째 장에서는「이선 브랜드」의 이선과「목사의 검은 베일」의 후퍼 목사가 죄의 문제에 집착하다가 자의적으로 고립을 택하는 모습을 보며 마지막 장에서는 「유순한 소년」에서 대립하는 두 종파 사이에서 갈등하는 개인 토비아스의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갈등 끝에 ‘내면의 목소리’를 따라 아이를 구하고 청교도들이 부모로서의 감정에 공감하도록 만든 토비아스의 선택을 지지하는 호손의 관점을 고찰하기로 한다. Nathaniel Hawthorne is closely connected with Puritan. The connection between Hawthorne and Puritan comes from that he deals with New England Puritan Society through many of his works. At the same time, the fact that his ancestors took part in repression of pagan has special meaning of his works. His works are based on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of his ancestors and reveal Hawthorne’s interest in the relation between Puritan Society and the individual. He focused on repression and intolerance of Puritan Society. In seventeenth century, Puritans had to leave their homeland and endure barren land and climate of Massachusetts Bay. They started to adopt rigid rules to control the diverse opinion of newly immigrated society. As a result, Puritan society characterized as strong control of community and obstinacy. In most of the Hawthorne’s works, there is a conflict between Puritan society and the individual which is Hawthorne consistently dealt with. Individuals in his works are in conflict with society or have problematic relation by excessively burying themselves in Puritanism. In the process of reenact this relationship, Hawthorne’s criticism of Puritanism was revealed mainly concentrated on theory about original sin and the doctrine of election. What is remarkable is that while criticizing the contractedness of Puritan society Hawthorne doesn’t support those who choose to be isolated from society. Instead, he emphasizes the fact that one cannot live being removed from society and importance of bond between people by showing one’s problematic relationship with society. This Thesis proves that Hawthorne criticizes the individual’s isolation through studying the protagonists of Hawthorne’s Short Stories have relation with Puritan society in different ways. Furthermore, this Thesis considers what Hawthorne's inten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ritan society and individual is through analyzing empathy which Hawthorne give attention as a passibility to alleviate the opposition and conflict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s. Chapter One studies how individual of Puritan society goes through initiation of society through Brown from "Young Goodman Brown" and Robin from "My Kinsman, Major Molineux". Their initiations are made up of observing ancestors' history of oppression or collapse of relative. Individuals in Hawthorne's work enter the society with sense of guilty and negative memories. In Chapter Two, analyzes how individuals choose an isolation over conflict with society. Ethan from "Ethan Brand" and Hooper from "The Minister's Black Veil" autonomously choose to be cut off after obsession over sin. They choose isolation with an aim of their own, however they lost solidarity and face with death alone. While criticize the theory of original sin of Puritanism, Hawthorne claims the fact that one can not exist being isolated and emphasizes solidarity at the same time. At the last Chapter studies individuals who conflict between denominations in "The Gentle Boy". In this work, Hawthorne critically shows illiberality of Puritanism and fanatical faith of Quaker's. Hawthorne pursues affini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 and sublates isolated individuals through created protagonists who relate with society problematically. Though ability of sympathy Hawthorne claimed can't settle the conflicts of Puritan society completely, he take a stand that solidarity which bonds between individuals with universal feelings has possibility to relieve the conflicts.

      • 판옵티콘 시대의 하이브리드 여성 히어로 : 「헝거게임」의 캣니스 에버딘을 중심으로

        권가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미국 문학 중 수잔 콜린스의 『헝거 게임』3부작은 판매 부수에서『해리 포터』시리즈를 앞서며 신드롬에 가까운 인기를 얻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청소년 문학으로 분류되지만 청소년과 성인 모두에게 폭넓은 지지를 받았으며, 디스토피아, 전쟁, 로맨스, 프로파간다, 탐정극, 서부 활극, 동화 등 다양한 장르를 망라하여 다룸으로써 탈세대, 탈장르적 성격을 띤다. 작품 자체가 지니는 혼종성은 『헝거 게임』의 주인공인 캣니스에게서도 나타난다. 본고는 캣니스가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하이브리드 영웅이라고 정의하고, 더 이상 순수주의적인 저항이 통하지 않는 판옵티콘적인 체제 안에서 어떻게 저항해야 하는지를 그녀의 행보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헝거 게임』의 배경인 파넴은 한때 노스 아메리카라 불리던 지역이 멸망한 이후에 생겨난 독재 정권으로 수도인 캐피톨과 그 지배를 받는 12개의 구역들로 이루어져 있다. 파넴은 과거 캐피톨을 상대로 구역들이 일으킨 반란에 대한 징벌로써 매년 각 구역에서 남녀 한 쌍을 뽑아서 단 한 명이 살아남을 때까지 싸우게 하는 살인 게임인 헝거 게임을 거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헝거 게임이 치러지는 아레나가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에서 언급된 신체형이 이루어지는 공개 처형장으로 보고, 헝거 게임의 플레이어인 청소년들의 몸을 신체형이 구현되는 공간이라고 본다. 헝거 게임은 일종의 리얼리티 쇼 프로그램으로써 파넴의 하나뿐인 TV채널을 통해 방영되며, 반드시 시청해야 한다. 헝거 게임은 이를 예능으로 즐기는 캐피톨 시민들이 정치 현안에 관심을 가지지 않도록 하고, 게임의 각 단계에서 구역민들끼리 경쟁하게 함으로써 캐피톨 정권을 강화하는 데 이바지 한다. 또한 파넴은 캐피톨과 구역들 간의 지정학적 특성과 캐피톨이 구역민들을 관리하고 감시하는 방식에서 벤담이 제안하고 푸코가 구체화한 판옵티콘의 완벽한 은유라고 볼 수 있다. 캣니스가 영웅인 이유는 소수에 의한 다수의 감시인 판옵티콘의 시선을 시놉티콘으로 바꾸며, 캐피톨 정권을 강화하는 도구인 헝거 게임과 미디어를 역으로 이용하여 체제에 균열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또한 그녀는 사람의 죽음이 예능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일깨우며, 파넴의 국민은 물론 작품을 읽는 독자에게도 리얼리티 쇼 프로그램에 열광하는 현실을 돌아보게 한다. 우리는 웹과 모바일 상의 모든 행동이 감시되는 IT판옵티콘의 시대에 살고 있다. 콜린스는 이처럼 미디어가 이미 우리의 일상의 전부가 되어버렸기 때문에 더 이상 모든 것을 뒤바꾸는 방식의 혁명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고 보는 듯하다. 따라서 파넴의 체제에 속하면서 체제에 저항하는 캣니스의 행보를 면밀히 살펴보는 것은 기술발전으로 인한 감시, 극심한 경쟁 등 파넴과 거울같이 닮은 시대를 맞이한 이 시점에서 한번쯤은 짚어야할 과제일 것이다. Suzanne Collins's The Hunger Games trilogy has overtaken the sales of the Harry Potter series and proved its sensational popularity. Though The Hunger Games is classified as young adult literature, it appealed to both teenagers and adult readers. Moreover, it includes multiple sub genres, such as “dystopia,” “war,” “romance,” “propaganda,” “detective,” “western,” and “fairy tale.” This multiplicity of literary genres makes the novel a hybrid. Interestingly, Katniss Everdeen, the female hero of this novel, also has the quality of hybrid. She is a hybrid hero who corresponds to this age of panopticon. By tracing out Katniss Everdeen,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one can relate to the modern society and its system that operates on the panoptical mechanism. The Hunger Games happens in Panem once called North America. Panem is a totalitarian country that consists of Capitol and twelve districts. As a punishment for and a reminder of the rebellion by the ancestors of the districts, the hunger game is held every year. Each of the twelve districts must provide one girl and one boy to participate in the hunger games. The participants of the hunger games have to fight to the death till only one person remains. This thesis analyses the arena in which the hunger games take place in terms of Michel Foucault's Discipline and Punish: The Birth of the Prison. The arena plays a role of an execution ground especially for teenagers. Through the only television channel of Panem, the hunger games are aired. Moreover it is compulsory to watch the hunger games. The games have a double purpose. On the one hand, they entertain the crowd in the Capitol and help to forget any political issue. Secondly, the games play a role of forcing the district people to compete with one another. All in all, the games serve to enhance Capitol's power. Moreover, due to the geographical attribute as well as the way of control, Panem is a perfect metaphor of panopticon. Panopticon is suggested by Jeremy Bentham, and developed by Foucault. Katniss tries to change panopticon into synopticon. Although the hunger games are political tool for the Capitol, Katniss uses them to make a leak in the Capitol system. Moreover, she cherishes the significance of real people's precious life which should not be treated as a mere entertainment. Through her resistance, not only the people of Panem but also the readers would critically reflect on their enthusiasm over reality show programs. These days we live in the age of IT panopticon in which the every footprint of web and mobile is under surveillance. Collins seems to assume that the past revolution which turns over the world is no longer valid. It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media has become our daily life itself. In this respect, scrutinizing the way Katniss reacts to the system is truly important for modern men whose world resembles Panem and panopticon system in many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