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금액과 기업성과 간 관계에 대한 연구

        박세희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은 2016년 제도 도입 후 2019년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했으나 최근 국내 크라우드펀딩 시장 규모는 급감하는 상황이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크라우드펀딩 발행 규모는 165억원으로 한 해 전(279억원)보다 40% 이상 줄었다. 사실상 제도가 도입된 2016년(166억원) 수준으로 뒷걸음친 것인데, 2017(271억원), 2018년(317억원), 2019년(390억원)까지 꾸준히 증가하던 발행 규모는 2020년부터 2년 연속 감소했다.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금액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크라우드넷의 2017년~2018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재무적특성, 임직원 수, 2017~2019년 매출액에 대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업종분류에 대한 2017~2019년 매출액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하였으며 재무적 특성, 임직원 수, 2017~2019년 매출액 간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재무적 특성, 임직원 수가 2017~2019년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자산총계, 펀딩금액, 임직원수가 2017년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든 변수가 2017년 매출액에 영향을 미쳤다. 자산총계, 펀딩금액, 임직원 수는 2018년 매출액에 자산총계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하지만, 2019년 매출액에는 자산총계, 펀딩금액, 임직원 수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부채총계, 자본금, 임직원 수가 2017년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모든 변수가 2017년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8년과 2019년 매출액에는 부채총계, 자본금, 임직원 수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자본금, 펀딩금액이 2017년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본금만이 2017년 매출액에 영향을 미쳤으며, 2018년과 2019년 매출액에는 자본금, 펀딩금액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함의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기업의 개념 및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연도별 매출액을 2017~2019년 3년으로 구분하여 각 재무적 특성과 임직원 수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의 성공기업 매출액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Securities-type crowdfunding continued to grow until 2019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in 2016, but the size of the domestic crowdfunding market is rapidly declining. According to the Korea Securities Depository, the size of crowdfunding wassuance last year was 16.5 billion won, down more than 40% from the previous year (27.9 billion won). In fact, it is a step back to the level of 2016 (16.6 billion won) when the system was introduced. did. [Exclusive] Flying crowdfunding market... Kiwoom Securities to close brokerage business following Daol – Chosun Biz (22.6.1.) It seems necessary to study whether securities-type crowdfunding, which is rapidly declining,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try to check whether the funding amount of Korea's securities-type crowdfunding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For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on financial characteristics, number of industry categories, number of employees, and sales from 2017 to 2019 using Crowdnet's 2017-2018 data. In addition, one-way ANOVA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sales from 2017 to 2019 for industry classification, and correlation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characteristics, number of employees, and sales from 2017 to 2019.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number of employees on sales from 2017 to 201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In terms of the impact of the total assets, funding amount, and number of executives and employees on sales in 2017, all variables affected sales in 2017. It was said that only the total asse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total assets, the amount of funding, and the number of executives and employees in 2018. However, the total assets, funding amount, and the number of executives and employees were not significant in sales in 2019. Second, regarding the effect of the total debt, capital, and number of executives and employees on sales in 2017, all variables were found to affect sales in 2017. Third, in terms of the effect of capital and funding on sales in 2017, only capital affected sales in 2017, and neither capital nor funding amount was significant in sales in 2018 and 2019.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security crowdfunding companies. In addition, by dividing the sales by year into three years from 2017 to 2019, the effect of each financial characteristic and the number of employees was confirmed, and factors affecting the sales of successful companies in securities-type crowdfunding were confirmed.

      • Chronic Low Back Pain Recognition Using a Smart Chair

        이욱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developed a smart chair-based chronic low back pain (CLBP) recognition system. The system analyzes a seated person’s posture-time data during a one-hour sitting session to determine whether the person is a CLBP patient or not . The smart chair is equipped with six pressure and six infrared reflective distance sensors, and, can classify a sitting posture as one of 11 predetermined posture categories in real-time. The smart chair utilizes the light gradient boost machine algorithm to achieve good posture classification performance and is an improvement over a previous version that employed the k-Nearest Neighbor algorithm. Fourteen CLBP patients and fourteen non-patients were recruited for data collection. They performed computer typing sitting on the smart chair for an hour. A dataset consisting of the participants’ sitting posture-time data was constructed using the smart chair. Afterward, the patient and the non-patient group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sitting posture-time data and a set of features that divide the two groups were selected.Finally, the CLBP recognition system was successfully developed by utilizing a CatBoost algorithm on a basis of the features selected and its performance was evaluated as well.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CLBP on the basis of sitting posture-time data. Furthermore, this study reports some findings on the differences between CLBP patients and non-patients in the postural characteristics during sitting. They are expected to support developing future CLBP diagnosis and prognosis systems. 본 연구는 스마트 의자를 활용해 오랜 시간 의자에 앉아있을 경우, 그 자세를 분석하여 만성요통의 유무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스마트 의자는 좌판에 압력 센서 6개, 등판에 적외선 거리 센서 6개를 부착하여 개발되었으며, 실시간으로 총 11개의 앉은 자세를 분류해낸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적용되었던 kNN 알고리즘 대신 LightGBM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류기의 성능을 높였으며, 개선된 스마트 의자는 데이터 수집을 위한 목적으로 실험에 활용되었다. 이후, 만성요통 환자 14명, 정상인 14명을 모집하여 1시간 동안 스마트 의자에 앉아 컴퓨터 타이핑을 실시하도록 하였으며, 스마트 의자를 통해 센서값을 실시간 수집하여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셋을 바탕으로 만성요통 환자와 정상인 간 앉은 자세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만성요통 진단 시스템 구축을 위한 변수를 채택하였다. 최종적으로, 구축된 데이터셋과 채택된 변수를 중심으로 CatBoos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만성요통 진단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개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앉은 자세를 분석하는 것만으로 만성요통의 진단이 가능하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으며, 만성요통 환자의 앉은 자세 패턴, 시계열에 따른 자세 변화와 관련하여 새로운 지식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만성요통 진단 및 예측 시스템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외식업 자동화 시스템의 체험경제와 지각된상호작용품질, 지각된결과품질이 외식업의 고객만족과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및 추천의도와 구매 의사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정호정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외식업 자동화 시스템의 체험경제와 지각된상호작용품질, 지각된결과품질이 외식업의 고객만족과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및 추천의도와 구매의사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외식업스마트시스템을 실제적으로 경험해본 총 400명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300명은 종업원과 점장, 100명은 고객으로 하였다. 주요변인으로는 체험경제, 고객만족, 지각된 결과 품질, 지각된 상호작용 품질, 구매의도, 추천의도, 외식업 이미지, 경영성과, 창업의지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언급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품질과 체험경제는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준다. 둘째, 서비스 품질과 체험경제는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준다. 셋째,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이 외식업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준다. 넷째, 고객만족은 구매의도, 추천의도, 외식업이미지, 창업의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준다. 다섯째, 추천의도와 경영성과는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준다. 따라서 외식업자동화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과 체험경제 즉 외식업 자동화시스템의 보급화에 따라 경험해본 사람들은 창업에 대한 의지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외식업 자동화 시스템의 보급화가 빨라짐에 따라, 외식업 자동화 시스템의 서비스품질이 높게 보급화가 되어야 하며, 이러한 현상은 향후 창업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거로 나타난다.

      • 개인의 사업실패부담감과 창업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사내벤처지원정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종화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the pressure of business failure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hich are personal psychological facts affect on the will of business foundation toward workers in the companies. In total 310 would-be start-ups, established start-ups who already took part in start-up programs from the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and company worker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26.0 and AMOS 18.0. The internal corporate venture supporting policy in this research restricted to the support of re-employment in case to fail the start-up, the payment and welfare programs during entrepreneurial activities, and the support for distribution channel through the simplification of subcontractor registrati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pressure of business failure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by the internal corporate venture supporting policy. This study made a model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effect and relationship between these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will of business foundation, and analyzed it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As the result, the pressure of business failure had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upport for re-employment and distribution channe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d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to the re-employment, the payment and welfare guarantee and the distribution channel. The support for re-employment and the guarantee of payment and welfare program had meaningful effect on the will of business foundation. The internal corporate venture supporting policy variables such as the support to re-employment, the guarantee of payment and welfare program, and the support for the distribution channel influenced on both of existing and potential entrepreneurs, and based on the result, such an internal corporate venture supporting policy will be the great influential factor. The development of the various policies which can raise th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the will of business foundation will increase the effect of internal corporate venture foundation. 본 연구는 사내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개인의 심리적 요인인 사업실패부담감과 창업효능감이 사내벤처지원정책을 매개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내벤처 창업프로그램이나 지원정책에 참여하고 있는 사내벤처 창업가와 사내벤처 창업을 희망하는 예비창업자와 근로자 등 모두 310여명을 대상으로 검증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통계프로그램 SPSS 26.0와 AMOS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사내벤처지원정책은 자금이나, 교육, 시설등 일반적인 기업에서 지원하는 일반적인 정책은 제외하고, 일부 기업에서 지원하는 벤처창업 실패시 재입사지원, 창업활동 동안 급여/복지보장, 협력업체 등록 간소화등을 통한 유통채널지원으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사내벤처지원정책을 통해 사업실패부담감과 창업효능감의 심리적요인도 살펴보고, 이러한 심리적 요인이 창업의지와의 관계 및 효과를 규명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모형을 만들었으며, 이를 통해 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사업실패부담감은 재입사지원과 유통채널지원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창업효능감은 재입사지원, 급여복지보장 및 유통채널지원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는 효과크기는 재입사지원과 급여복지보장지원이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내벤처 창업활동을 하고 있는 창업자와 사내벤처를 도전하는 예비창업자 모두에게 사내벤처지원정책인 재입사지원, 급여복지보장, 유통채널지원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비춰보아 이러한 사내벤처지원은 창업결정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영향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창업효능감과 창업의지를 높일 수 있는 정책의 다양성과 개발은 정부와 기업이 기대하는 사내벤처 창업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 자아탄력성과 외상후 성장이 재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임은정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prevent the fact that many companies go out of business due to business failure every year from expanding to a social problem beyond personal problems, and to help entrepreneurs who fail to start again. There are many factors that can increase the willingness of failed entrepreneurs to re-start, but it is important to overcome various difficulties after experiencing failure and the capabilities of failed entrepreneurs, who are the main agents of re-startups. Therefore, this study aimed at entrepreneurs who failed to start a business,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ego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on re-entrepreneurship intention, and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re-entrepreneurship intention, self-leadership,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on re-entrepreneurship.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ills was analyzed, and self-leadership,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showed the moderated effects of the re-entrepreneurship support system.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ego resil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an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re-entrepreneurship. Third,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ship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re-entrepreneurship, and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entrepreneurship support system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go-resilience and entrepreneu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ntrepreneurs who have experienced failure have a higher ego-resilience than self-leadership, a higher willingness to re-start, and that entrepreneurship-enhancing education and expansion of the re-startup support system ar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본 연구는 매년 많은 기업들이 사업 실패로 인한 폐업을 하는 것이 개인적인 문제를 넘어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는 것을 예방하고 창업실패기업인들의 재창업 의지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창업실패기업인들의 재창업 의지를 높일 수 있는 요인들은 많이 있겠지만 재창업의 주체인 창업실패기업인들의 역량과 실패 경험후 여러 가지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하여, 본 연구는 창업실패기업인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및 자아탄력성과 외상후 성장이 재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가정신이 재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 및 자아탄력성과 외상후 성장이 재창업의지간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셀프리더십및 자아탄력성과 외상후성장이 재창업지원제도의 조절된 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자아탄력성은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둘째, 기업가정신은 재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아탄력성과 재창업의지 간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자아탄력성과 기업가정신간에 재창업지원제도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볼 때 실패를 경험한 창업가들은 셀프리더십보다는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재창업의지가 높아지고 여기에 기업가정신을 높이는 교육과 재창업지원제도의 확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게 해준다.

      • 창업기업의 디자인사고, 창업가정신 그리고 창업지원 제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 문화예술 분야의 1인창업을 중심으로

        김연희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문화예술 분야의 1인 창업기업의 디자인사고, 창업가정신 그리고 창업지원 제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분야의 1인 창업기업중 창업지원 제도를 받은 300명을 대상으로, 디자인사고의 하위변수인 공감, 통합적사고, 낙관주의, 실험주의 그리고 협업과 창업가정신의 하위변수인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 그리고 문화예술 분야의 창업지원 제도의 하위변수인 자금지원제도, 교육 및 컨설팅 지원제도, 창작지원제도가 창업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 분야의 1인 창업기업은 창업가정신의 진취성은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창업가정신의 위험감수성과 혁신성 또한 비 재무적성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부분적으로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문화예술 분야의 1인 창업기업의 디자인사고특성중 기업의 재무적성과에 실험주의 요소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낙관주의와 공감 능력은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예술 분야의 1인 창업기업의 창업지원 제도는 자금지원 제도, 교육 및 컨설팅 제도, 창작지원 제도 모두 문화예술 1인 창업기업의 비 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은행원의 Big5 성격요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미디어 활용역량의 매개효과-

        김경선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5개의 시중은행(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NH농협은행)에 종사하는 은행원의 성격특성을 Big5 성격요인으로 분석하고, 그 성격 요인에 따라 창업의도와 디지털미디어 활용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Big5 성격요인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디지털미디어 활용역량의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도 진행하였다. Big5 성격요인은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신경증, 개방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지털미디어 활용역량으로는 콘텐츠 활용역량,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의 변수를 사용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10부의 표본을 확보하였고, 연구자료 분석은 SPSS(Ver.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요인분석에서는 Varimax 회전방식을 사용하였고, 신뢰성 분석에서는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는 과정에서는 단일 또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ig5 성격요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향성, 개방성이 창업의도에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고 성실성은 창업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Big5 성격요인과 디지털미디어 활용역량과의 관계에서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은 콘텐츠 활용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은 개방성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디지털미디어 활용역량인 콘텐츠 활용역량과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이 높으면 창업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Big5 성격요인과 창업의도 사이에 디지털미디어 활용역량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이 개방성과 창업의도를 매개하였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본격적인 은퇴와 초고령화 사회는 정년퇴직 이후에도 상당 기간 경제활동을 지속해야 하는 상황이 형성되었고, 이에 따라 창업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창업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외향성, 개방성의 은행원을 발굴하여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창업 교육을 함으로써 퇴직 후 실제 창업에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창업 준비 과정과 창업 이후의 지속적인 성장에 있어 디지털미디어 활용역량의 중요성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은행원의 일반적인 성격 특성이 창업과의 연관성이 적기도 하지만 창업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정보 습득이 어려운 것이 창업률이 높지 않은 원인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창업교육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창업지원정책, 아이템 발굴, 창업트렌드 등 창업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역량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실제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시급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핵심주제어: Big5 성격요인, 디지털미디어 활용역량, 창업의도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banker’s personality who were engaged in five commercial banks (KB Kookmin Bank, Shinhan Bank, Woori Bank, KEB Hana Bank and NH Nonghyup Bank) with Big5 personality traits and als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trai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capability, especially based on preceding research. Also, it analyzed mediated effect of digital media capability between Big5 personality trait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ig5 personality traits consisted of extroversion, friendliness, sincerity, nervous disease and openness. the contents utilization capability, communication utilization capability were used as variables for the digital media utilization capability. After conducting on-line survey, a total of 210 samples were collected andanalyzed through SPSS(Ver. 18.0). Also, Varimax Rotation was used to analyze factors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secure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the analysis of reliability. To verify a carried out and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nfluence of Big5 personality traits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showed that extroversion, openness had positive impa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but sincerity had negative impa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the friendliness, sincerity, openness had positive impact on contents utilization capability while openness had positive impact on the communication utilization capability. Third,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utilization capability on the entrepreneurialintention was positive. Fourth, the mediated effect of digital media capability between Big5 personality trait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discovered that the communication utilization capability mediated the opennes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the baby boomers have been set to retire and people have entered super-aged society, they had to continue economic activity for considerable time even after their regular retirement. Thus, the importance of foundation has become much bigger. It’s required to look for the bankers with extroversion, openness that positively influence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carry out systematic, practic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help set up actual business after retirement. In addition, the digital media utilization capability has become more critical, especially for the continuous growth after starting business and preparation for it. As the general personality traits of the bankerswere not related with the entrepreneurship, they were likely to have poor knowledge in the business start-up and find it difficult to acquire knowledge. This study successfully derive conclusion that it’s in urgent need to impro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so that the bankers could strengthen their communication utilization capability through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improve their capability to gather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start-up support policy, new business item and start-up trend and furthermore, create new value followed by starting their own business.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창업지원제도인지도를 매개로

        고상희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by focusing on the start-up support system awareness. While most of existing studies focused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and individu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has taken a look at the influence of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s the psychological variable to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o negatively a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under the control of entrepreneurship is shown to have the negative (-) influence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has high level of recognition on the start-up support system awareness, and the start-up support system awareness is confirmed to have positive (+) influence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it also indicates that, with respect to the influence of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start-up support system awareness has the partial medium effect. Following this result of the study, it provides following indications: First the existing studies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had not covered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but it is confirmed as the psychological variable with negative influence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it is feasible for the preliminary start-up businesses may turn the fear on start-up failure into positive entrepreneurial intention with the start-up support system awareness as the leading vehicle. And, third, based on the result, the government should enhance the start-up support system awareness even more by seeking ways of efficient publicity to enable more preliminary start-up businesses to participate in diverse start-up support policies. Lastly, it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proposal for ensuing study plans.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창업지원제도인지도를 매개로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 선행연구들이 대부분 긍정적인 심리 변수들과 개인의 환경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창업의지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심리변수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경로분석결과, 기업가정신 통제하에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창업의지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창업지원제도인지도에 대해 높은 인지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창업지원제도 인지도는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창업지원제도인지도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는데 첫째 기존의 창업의지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한 번도 다뤄지지 않았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창업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심리변수임을 확인하였고, 둘째 예비창업자들이 창업지원제도인지도를 매개로 창업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긍정적인 창업의지로 바꿀 수 있으며, 셋째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부는 다양한 창업 지원 정책을 많은 예비창업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홍보방법을 강구하여 창업지원제도의 인지도를 더욱더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을 논의 하였다.

      • 변혁적 리더십, 내부마케팅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 고객지향성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의류매장 관리자를 중심으로

        최정희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individual capability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well as the systematic factor of internal marketing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customer-orient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by examining preceding research examples under the title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ternal marketing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customer-orient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focusing on clothing store managers”. This is to serve the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ve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clothing distribution industry and maximizing business performance of all companies related to strategic businesses such as outlets, franchises and department stores by applying, complementing and modify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ternal market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urveying 483 subjects including managers and other employees, store managers and staff and franchise owners, 305 of whom responded for final analysis. The materials have been analyzed based on the response from the 305 subjects thus far and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derived us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bivariate coefficient analysis, AMOS analysis and other methods.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clothing store managers and internal marketing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customer-orient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ternal marketing and business performance as well as betwee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orient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research result according to the hypothesis show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ternal marketing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customer-orientation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business leadership and AMOS analysis with other variables denied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business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n customer-orientation as well as internal marketing on business performance. Firs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clothing store managers and internal marketing led to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which made difference in business performance.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fluenced on customer-orientation and thereby business performance. Third, entrepreneurship (control variable) also influenced business performance.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relational development can be enhanced as individual factor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well as the systematic factor of internal marketing hav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orientation, which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and entrepreneurship, which was used as a control variable, also influence business performance. 국문요약 변혁적 리더십, 내부마케팅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 고객지향성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의류매장 관리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창업학과 최 정 희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 내부마케팅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 고객지향성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의류매장 관리자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선행 연구의 사례를 통해 변혁적 리더십이라는 개인적인 역량 그리고 내부마케팅이라는 SYSTEM적 영향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 고객지향성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즉 국내 의류관련 유통업계 발전을 위해 할인매장, 대리점, 백화점 등 전략적 사업에 관련된 모든 회사에서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 내부마케팅을 관계적 적용과 보안-수정으로 경영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자료로 제공 하는 데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의류매장에 관련된 관리자, 일반사원, 매니저, 일반판매원, 대리점 점주 등 483명에게 설문을 의뢰했고 그중 305명으로부터 설문지를 받아 분석 자료로 진행하였다. 현재까지 수집된 자료는 305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자료는 통제변인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빈도분석을 변수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기술통계 및 이변량 상관계수 분석, AMOS분석 등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변혁적 리더십, 내부마케팅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 고객지향성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의류매장 관리자를 중심으로”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변혁적 리더십, 내부마케팅은 경영성과와 상관관계가 유의했으며, 직무만족, 고객지향성 역시 경영성과와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가설에 따른 연구결과 변혁적 리더십과 내부마케팅은 직무만족에 정(+), 고객지향성은 경영성과에 정(+), 직무만족은 경영성과에 정(+), 변혁적 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그 외에 변수간의 AMOS분석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경영성과에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에 내부마케팅이 경영성과에 기각되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의류매장 관리자들의 변혁적인 리더십과 내부마케팅을 통해 조직구성원들은 직무만족의 성과를 이룰 수 있었으며 직무만족을 통해 차등의 경영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은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로인해 경영성과에도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기업가 정신(통제변수) 역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이 변혁적 리더십이라는 개인적인 영향과 내무마케팅이라는 SYSTEM적 영향은 직무만족, 고객지향성에 직접 혹은 간접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그리고 통제변수로 사용한 기업가 정신 역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재조명하여 관계적 발전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창업자의 창업동기, 창업가정신 그리고 창업가 역량특성이 창업기업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창업기업 경영성과를 매개로 하여

        강한혁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고용 없는 성장으로 실업률이 증가되어 국가는 창업진흥정책을 전개 중이나 수많은 창업자 생성으로 성공이 보장되지 못하고 생존조차 불투명한 바, 본 연구는 창업자들의 창업동기, 창업가 정신 그리고 역량특성이 경영성과를 매개로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유용한 방향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재무적 성과가 높은 기업이 지속경영을 활발히 이행한다는 여유 자원설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을 통해 창업자의 창업동기, 창업가 정신 그리고 역량특성이 경영성과의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를 강화시켜 궁극적으로 지속가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임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실증적으로 지지시키기 위하여 설문지 작업을 통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여 그 통계의 유의함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창업 동기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 중 성취동기만이 재무성과, 비재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이 검증되었다. 둘째로, 창업자정신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 중 혁신성만이 재무, 비재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위험감수성과 진취성은 기각되었다. 셋째로, 역량특성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 중 기술적 역량과 조직적 역량은 기각되었고 전략적 사고역량만이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넷째로, 경영성과는 지속가능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재무, 비재무적 요인들이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지속성에 대하여 모두 유의한 정(+)의 관계성을 보유하였다. 다섯째로, 경영성과의 매개관계를 검증해 본 결과, 창업동기, 창업자 정신 그리고 역량특성 모두가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영성과는 매개역할을 함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창업자가 그들 창업의 장, 단기적 경영성과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성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생존을 위한 수익창출에 앞서 성취지향적 마인드를 통해 창업동기를 구축하여 창업을 시작해야 하고 경영함에 있어 혁신성에 역점을 두어 그들이 보유한 인적, 물적 요소를 새롭게 결합시켜 지속적으로 신제품 개발과 새로운 서비스 구축, 생산기술의 증진에 주력해야 하며, 이를 성취하기 위한 실무적 측면에서는 기술적 역량이나 조직적 역량에 앞서 서비스나 제품 개발 뒤 이를 능률적으로 판매하기 위한 전략적 마케팅과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기업정비체계에 대한 전략이 우선적으로 요구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