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자와 로저스의 '수용' 비교

        장순자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논 문 요 약 노자와 로저스의 ‘수용’ 비교 A Comparison of Acceptance between Laotzu and Rogers 장 순 자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전공 (지도교수 : 박 성 희) 이 연구의 목적은 노자와 로저스의 ‘수용’을 비교하여 현대 상담에서 동양 상담인 노자 수용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현대를 살아가는 한국인들이 자아를 잃어가면서 인간성이 상실된 채 가짜 자기 자신의 삶을 살아가고 있어 늘 불안하고 우울하며 강박에 시달리며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현대인들이 인격적 만남을 지금 순간순간의 일상생활 속에서 경험하여 인간성을 회복하며 ‘참된 자기’를 발견하며 자아를 실현하는 진정한 삶을 살게 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첫째, 노자와 로저스의 존재 실현에 관한 기본 관점을 인간의 내적 동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둘째, 노자와 로저스의 ‘수용’을 무위와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도덕경』을 다양한 관점에서 현대적으로 해석한 저술을 가지고 ‘무위’에 관련된 개념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로저스가 저술한 일차 문헌으로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에 관련된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이렇게 추출해낸 노자의 ‘무위’와 로저스의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을 유사점과 차이점으로 분류한 후 비교하였다. 이 연구 결과로서 첫째, 노자와 로저스는 인간은 누구나 선천적으로 내적인 동기를 지니고 태어난다고 보았다. 이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 노자는 내적 동기인 ‘복귀 지향성’으로, 로저스는 ‘실현경향성’으로 나누어 찾아보았다. 그래서 이 둘은 모두 긍정적 인간관을 갖게 되었음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노자의 ‘무위’를 가능하게 한 것이 ‘복귀지향성’이며, 로저스의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을 가능케 한 것이 ‘실현경향성’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노자와 로저스는 존재 실현에 관한 기본 관점을 갖고 있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무위와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즉 ‘수용’이 삶의 궁극적 목적인 존재를 실현하는 방법적 원리임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수용’을 노자는 ‘무위’로, 로저스는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노자의 무위(無爲)는 유위(有爲)와 대비되는 것으로 무지(無知), 무욕(無欲), ‘말이 없음(不言之敎)’의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무위(無爲)는 ‘스스로 그러함’의 의미, ‘있는 그대로 행위’의 의미, ‘빔’의 의미로 무위가 ‘수용’을 의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로저스의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은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되어가는 과정이 되게 하는 수용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셋째, 노자와 로저스의 ‘수용’에 관한 관점을 유사점과 차이점으로 비교하였다. 노자와 로저스의 수용의 유사점으로는 모두 상담자가 청담자에게 인위적이고 조작적인 행위 즉 인간의 지적인 행위를 반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밖에 유사점으로 인간을 판단하거나 평가하지 말아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노자와 로저스의 수용은 차이가 있음을 발견해 낼 수 있었다. 우선 수용을 함에 있어 상담자의 역할의 차이, 상담자가 청담자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 수용의 의미가 지닌 깊이의 차이, 수용의 궁극적 목적인 자아실현에 관한 관점의 차이가 있음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노자의 수용은 무명(無名) 혹은 무(無)의 세계로 도의 초월성과 신비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로저스의 수용은 우리의 감각기관으로 체험할 수 있는 유명(有名) 혹은 유(有)의 세계인 점에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마음을 변화시키는 상담 전략의 세 가지 수준을 통제, 수용, 초월이라고 볼 때, 로저스의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은 ‘수용’의 수준으로 노자의 무위는 ‘수용’과 ‘초월’의 수준(박성희, 2001)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서양 상담이 주를 이루고 있는 한국 상담에서 동양 상담인 노자의 수용이 얼마나 중요한지 왜 필요한지를 인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노자의 수용은 수용 받는 자와 수용하는 자가 이분법적으로 구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상담 없이 일상생활 속에서 순간순간의 인격적 만남을 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이 수용은 자기 자신 안에 있는 수용의 힘이 저절로 흘러나오게도 한다. 따라서 노자의 수용은 바쁘고 극도로 긴장하고 고통 받는 스트레스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 사회의 한국인들에게 가장 적합하고 꼭 필요한 상담적 요소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앞으로 노자의 ‘수용’이 현대 상담 이론으로 한국 상담에서 자리 매김하기 위해서는 노자의 ‘수용’을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이 계속해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연구가 계속 이루어질 때 한국인들이 삶의 진정한 목적은 성공과 소유에 있지 아니하고 생명 그 자체에 있음을 깨닫고 자족하며 유유자적하는 소박한 삶을 사는 행복한 이들이 점차 많아질 것이다. 주요어 : 자아실현, 수용, 무위,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진정한 자기

      • 마더 테레사의 서번트 리더십과 진정성

        여민정 청주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이 연구의 목적은 마더 데레사의 자서전과 마더 데레사에 관해 쓰여진 서적을 중심으로 마더 데레사의 서번트 리더십을 알아보고 그 바탕에 있는 진정성의 요소를 탐구해보는 데 있다. 마더 데레사의 삶과 행적을 살펴보고 그 안에 있는 서번트 리더십과 진정성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마더 데레사의 서번트 리더십을 아홉 가지로 제시하였다. 마더 데레사의 삶을 면밀히 살펴보고 이것을 토대로 마더 데레사의 서번트 리더십을 아홉 가지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마더 데레사의 서번트 리더십의 바탕이 되는 진정성을 박성희가 제시한 진정성(2011)의 여덟 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탐구하였고 그 외에 발견되는 진정성의 요소들을 탐구하였다. 마더 데레사의 서번트 리더십은 사람들과의 만남과 관계에서 발휘된 리더십이고 이러한 서번트 리더십은 상대방을 세워주고 자아실현을 돕고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인 만큼 다른 리더십보다 더욱 인간중심상담학적으로 근접하다. 따라서 현대 상담의 진정성과도 밀접하다고 할 수 있다. 마더 데레사의 서번트 리더십과 그것의 기초와 바탕이 되는 진정성을 탐구하는 것은 가치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로서 마더 데레사의 리더십을 아홉 가지, 존중(尊重)의 리더십, 헌신(獻身)의 리더십, 겸손(謙遜)의 리더십, 열정(熱情)의 리더십, 정성(情誠)의 리더십, 신념(信念)의 리더십, 솔선수범(率先垂範)의 리더십, 감화(感化)의 리더십, 협력(協力)의 리더십으로 분류하고 마더 데레사의 진정성이 보여 지는 부분을 탐구하는 것에 힘썼다. 그리고 마더 데레사의 삶의 여러 부분에서 진정성을 발견하였고 각 리더십에서의 특히 더 보여 지는 진정성의 요소들을 알아내었다. 첫째로 마더 데레사의 존중의 리더십에서는 다양한 진정성의 요소 중 신뢰성을 볼 수 있다. 마더 데레사는 가난한 사람들을 포함하여 누구를 대하든지 진심으로 존중하여 대하였고 인간의 존엄성을 지켜주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것으로 말미암아 많은 이들에게 신뢰를 얻을 수 있었다. 둘째로 마더 데레사의 헌신의 리더십에서는 다양한 진정성의 요소 중 순수성과 현전재성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마더 데레사의 헌신은 진정으로 상대방을 위하는 순수한 마음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발휘될 수 있었다. 그리고 마더 데레사는 상대방의 어려움과 필요를 온 몸으로 느끼며 헌신했다. 이것은 서로 분리되어 존재 한다기 보다 현재 전체로 함께 존재하는 것으로 현전재성이다. 이처럼 마더 데레사는 순수성과 현전재성을 포함한 다양한 진정성을 토대로 마더 데레사의 헌신의 리더십으로 이끌었다. 셋째로 마더 데레사의 겸손의 리더십에서는 다양한 진정성의 요소 중 투명성을 들 수 있다. 투명성은 개인의 내면이 맑고 분명하게, 즉 투명하게 표현되는 마음이다. 겸손은 거짓으로 나타낼 수 없다. 마더 데레사의 겸손함은 내면에 있는 그 마음이 표현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마더 데레사는 투명성을 포함한 다양한 진정성을 토대로 마더 데레사의 겸손의 리더십으로 이끌었다. 넷째로 마더 데레사의 열정의 리더십에서는 다양한 진정성의 요소 중 현전재성을 들 수 있다. 마더 데레사는 열정을 가지고 리더십을 발휘하였는데 그것은 마더 데레사가 항상 현전재성을 바탕으로 매사에 열정적으로 임했기 때문이다. 마더 데레사는 만남들 가운데 현재를 전체와 연결되었고 가난한 사람들을 자신의 몸처럼 생각했다. 즉 진정성의 요소 중 현전재성과 관련됨을 알 수 있다. 마더 데레사는 이처럼 현전재성을 포함한 여러 진정성의 요소들을 밑거름으로 생애 동안에 열정의 리더십을 나타낼 수 있었다. 다섯째로 마더 데레사의 정성의 리더십에서는 다양한 진정성의 요소 중 성실성과 이타성을 들 수 있다. 마더 데레사는 작은 일에도 정성을 다하는 인물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장점으로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그리고 또한 이렇게 정성을 다할 수 있었던 것은 타인의 필요와 행복, 안녕을 진심으로 위하는 이타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더 데레사의 정성의 리더십은 성실성, 이타성과 연결된다. 여섯째로 마더 데레사의 신념의 리더십에서는 다양한 진정성의 요소 중 일치성, 일관성을 들 수 있다. 마더 데레사의 신념은 본인의 내면과 언어, 행동이 일치하는 것에서 나오는 진정한 신념이었고 또한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산다는 그 일관된 마음을 계속 유지했다. 일치성과 일관성은 다른 진정성의 요소와 더불어 신념의 리더십을 마더 데레사의 서번트 리더십으로 만들었다. 일곱째로 마더 데레사의 솔선수범의 리더십에서는 다양한 진정성의 요소 중 통합성, 성실성을 들 수 있다. 마더 데레사는 어려서부터 어머니에게서 배운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마음과 경험들은 후에 마더 데레사가 사랑의 선교회를 운영하며 그들을 위해 일하는 경험들과 통합된다. 또한 성실하게 앞장서서 남들보다 먼저 행동하는 성실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덟째로 마더 데레사의 감화의 리더십에서는 다양한 진정성의 요소 중 파급성을 들 수 있다. 감화를

      • 마음 비우기와 마음 채우기가 학급아동수용도에 미치는 효과

        신혜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해마다 아동들과 새로운 학급을 운영해나가야 하는 초등학교 담임으로서 가장 큰 고민은 어떻게 하면 학급 아동 모두가 서로에게 수용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을까란 것이다. 학급 내에서 또래집단으로부터 수용되지 못하는 아동들이 많거나 전반적으로 서로에 대한 수용도가 낮을수록 아동간 많은 갈등과 마찰이 생겨 원활한 학급경영이 어려워지게 된다. 이런 이유로 교사들은 아동간 관계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으며 반 전체 아동이 서로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분위기 조성을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수용’이란 마음 상태를 얻기 위해 취하는 방법에서 동양과 서양의 견해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동양에서는 마음을 궁극적으로 초월해야 할 어떤 것으로 보고 있다. 보다 높은 경지를 향해서 마음을 하나의 도구로 이용할 수는 있지만 결국은 마음을 벗어나려는 것이 동양의 방식이다. 이에 반해 서양은 마음을 초월한다는 개념이 없다. 초월적인 속성을 마음이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대해서는 관심이 있지만, 마음 자체를 초극되어야 할 대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따라서 마음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가운데 마음을 이해하고 이를 통제·조정하려는 것이 마음을 탐구하는 주목적이다. 이에 연구자는 동양과 서양의 마음 다루는 관점과 방법의 차이가 초등학교 학생의 학급 아동 수용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며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연구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양과 서양의 마음 다루는 관점을 대표하는 마음 비우기와 마음 채우기를 학교 현장에서 적용했을 때 학급 아동 수용도에 얼마나 효과적이며 그 효과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궁극적으로 학급 아동 수용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 비우기와 마음 채우기가 학급 아동 수용도에 효과적인가?를 각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둘째, 마음 비우기와 마음 채우기가 학급 아동 수용도에 미치는 효과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동질집단인 경기도 용인시 소재의 S초등학교 5학년 3개 반을 선정하여 연구자의 반에는 마음 비우기 프로그램을, 동료교사 C의 반에는 마음 채우기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동료 교사 J의반에는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이 후 세 개 반의 학급 아동 수용도를 비교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마음 비우기, 마음 채우기 프로그램은 최효순(2003)의 “불교명상 프로그램”과 김오순(2005)의 유아명상 프로그램, 신상곤(2007)의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김태희(2005) 자기 성장 프로그램“ 등을 참고하여 지도 교수(박성희)의 자문을 받아 초등학교 고학년에 알맞은 내용을 선택, 수정, 보완하였다. 학급 아동 수용도는 사전-사후 검사 결과 마음 비우기와 마음 채우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 모두에서 향상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집단간 차이를 보여주는 통계처리 결과 마음 비우기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과 다른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겠다. 첫째, 마음 비우기 프로그램과 마음 채우기 프로그램은 학급 아동 수용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마음 비우기와 마음 채우기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지도할 필요가 있다고 보겠다. 마음을 다루는 두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내면화 과정을 거치면 학급 아동 수용도가 점차 높아져 원활한 학급 경영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마음 비우기 프로그램이 마음 채우기 프로그램보다 학급 아동 수용도를 보다 더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학급 아동 수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마음 채우기보다 마음 비우기에 보다 더 초점을 맞추어 지도할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biggest concern of elementary school class teachers who have to lead new children in their class is how to induce all the children in the class to have a receptive attitude toward one another. If there are many children not accepted by the peer group in the class or the general acceptance level is low, there can be frequent conflicts and discords among the class children and this makes it difficult for the teacher to run the class. For this reason, class teachers invest a lot of time in improving children’s mutual relations, and use various methods to foster atmosphere for all the class children to acknowledge and accept one another.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n how to reach the mind state of ‘acceptance.’ In the East, mind is regarded as something to be transcended. Thus, according to Oriental thoughts, although mind can be used as a means to reach a higher state, it is ultimately something to be overcome. On the contrary, there is not such a concept of transcending mind in the West. Western people are concerned about how mind recognizes transcendent entities but they do not think that mind itself is an object to be transcended. In the West, accordingly, mind is identified with the self and the main objective of exploring mind is understanding, controlling and adjusting mind. Thus, the present study was started from the necessity for examining how the difference in the viewpoint and method of mind control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ffects class children’s mutual acceptance in elementary school.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pply mind emptying and mind filling, which respectively represent the viewpoints of the East and the West, to school children and to examine how effective they are in class children’s mutual acceptance and what difference there is between the two, and ultimately to enhance class children’s mutual acceptance. For these purposes, we set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are mind emptying and mind filling effective in class children’s mutual acceptance? Second, what difference is there between mind emptying and mind filling in their effect on class children’s mutual acceptance?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f the programs, we sampled 3 fifth-grade classes at S Elementary School in Yongin, Gyeonggi-do, which were proved homogeneous, and applied a mind emptying program to the present researcher’s class, a mind filling program to Teacher C’s class, and no program to Teacher J’s class. Then, class children’s mutual acceptance in the three classes was measured and analyzed. The mind emptying and mind filling programs applied in this study were prepared for high-grade elementary students, referring to Choi Hyo-sun’s (2003) “Buddhist Meditation Program,” Kwon O-sun’s (2005) “Medit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Shin Sang-gon’s (2007)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Kim Tae-hee’s (2005) “Self-growth Program” and getting advice from the supervisor (Professor Park Seong-hee). In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class children’s mutual acceptance was improved in the two groups of the mind emptying and mind filling programs,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mparison among the groups as well, the mind emptying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other two group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mind emptying program and the mind fill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class children’s mutual acceptan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apply mind emptying and mind filling programs to elementary children. It is believed that the two types of programs for mind control may be internalized in students, and then enhance class children’s mutual acceptance and, ultimately, facilitate class operation. Second, the mind emptying progra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mind filling program in enhancing class children’s mutual acceptance.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focus more on mind emptying than on mind filling in order to improve class children’s mutual acceptance in elementary school.

      • 한국 공적 사과문의 수사학적 특성 연구 : 사과 전략과 상황, 화자, 주체 유형을 중심으로

        최유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한국 공적 사과문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다음의 몇 가지 경향을 보인다. 첫째, 주로 신문기사를 분석하거나 신문기사에 보도된 사과문을 분석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사과문 전문을 분석하려는 시도가 생겨나고 있다(김영욱, 2006; 김영욱, 2011). 둘째, 특정 이슈에 국한된 연구가 많은 편이다. 그렇지만 김영욱(2006)의 연구에서는 특정 이슈가 아닌 다양한 이슈를 다루기도 했다. 셋째, 분석 대상이 기업이나 정치인, 또는 행정기관의 사과문이었다. 넷째, 서양의 학자들이 고안해 낸 이론과 분석방법들을 사용한다. 최근에는 한국의 문화적 요인들을 고려하거나 우리나라의 현상에 맞게 수정된 틀들이 연구에 적용되고 있다(김영욱, 2008, p.333; 박은혜·김영욱, 2007). 최근의 연구에서 시도되는 점들은 기존 연구의 흐름을 발전적인 방향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방편이다. 최근의 흐름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사과문 전문을 다루려는 시도, 다양한 이슈를 대상으로 조사, 한국적인 요인의 고려 등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최근의 연구경향을 따르는 연구이다.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분석틀을 통해 한국 공적 사과문의 보편적인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특정 이슈가 아닌 다양한 이슈를 다루었으며, 분석 대상에 있어서도 한국에서 공공성을 가지는 모든 집단을 포함시켰다. 이러한 시도는 한국 공적 사과문에 대해 더 풍부한 설명력과 함의를 제공하고, 한국 공적 사과문의 전반적인 커뮤니케이션 특성에 대해 고찰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사과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문헌 연구를 시행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수사학적 접근에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였고, 한국의 커뮤니케이션 특징에 대해 조사하였다. 위와 같은 논의를 통해, 한국 공적 사과문 사례에 적용할 수 있는 분석틀을 추출하였고, 추출된 틀을 사전 검사(pilot study)하여 유효한지 확인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분석 유형을 사례에 적용하여 한국 공적 사과문의 수사학적 특성을 찾고자 하였다. 추출된 분석틀 외에, 기존 연구에서 한국 공적 사과문의 특성을 분석할 때, 사용되었던 화자 유형, 상황 유형 등이 요인으로 추가되었다. 연구결과, 한국 공적 사과문에는 수용적인 전략, 즉, 사과전략과 개선행위 전략이 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사과문에는 사과 전략이 거의 필수적으로 나타났고, 책임회피나 초월, 동정과 같은 비(非)수용적인 전략들이 함께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황별 전략 분석 결과, 자연재해 상황에서는 직접적 개선행위가 주로 나타났고, 사고와 위반 상황에서는 사과 전략 유형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다. 화자 유형별 전략의 경우도 사과 전략이 주 전략으로 나타났으며, 정부 및 공공기관과 비영리조직의 경우에는 간접적 개선행위 전략이, 영리조직의 사과문에는 직접적 개선행위 전략이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을 최대한 낮추고 자신의 운명을 철저히 청중의 처분에 맡기겠다는 ‘동양식 사과법’의 전형(박성희, 2001)”이 한국의 공적 사과문에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밖에 연구결과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결론에서 다루었다. Previous researches about public apologies of South Korea have studied by the following ways: First, researchers considered newspaper articles or reported articles about public apologies. A recent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whole parts of public apologies(Kim, 2006; Kim, 2011). Second, many studies focused on a particular issue. But Kim(2006) tried to deal with various issues rather than a particular issue. Third, public apologies by the target company or a politician, or government agency was analyzed. Fourth, they made use of analytical methods or quoted the theory devised by Western scholars. In recent years, scholars tried to take into account or modified to cultural factors of South Korea or Orient(Kim, 2008, p.333; Park & Kim, 2007). This study focused followed those trends of recent researches: Considering cultural factors of South Korea, dealing with various issues and public groups. To explore the common characteristics examined public apologies through analytical frameworks for consider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 In addition, various issues rather than specific issues were analyzed all kinds of public group's apologies. These attempts provide a rich explanatory power and implications about Korea's public apologies. It is meaningful that finding the attributes of Korea's public apology with viewpoint of Apologia rhetoric. To this end, this study tries to analyze literature of Apologia communication and previous researches, especially rhetorical approach and South Korean or Oriental communication.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Korean analytical frameworks that was extracted, and the extracted frame was pre-tested for its validity. Then, Extracted frameworks applied to the cases of Korea official apology for analyzing rhetor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public apologies in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such as the types of speaker, the types of situation, and so on. According to frequency statistics, Korea's the public apologies primarily contain acceptable strategy, like mortification and corrective actions. In addition, each apology was shown mortification with non-acceptable strategy par example, evading of responsibility, transcendence, corrective action, exposing expressions. Analyzed strateg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situation show that in natural disasters situation speakers take direct corrective actions mostly, and in an accident and violation situations the most mainly strategy type is mortifications. Also, strateg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speaker reveal that governments and public agencie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prefer indirect corrective actions to indicate, whereas profit organizations contain direct corrective actions highly. These results means that Oriental apology ways("Lowering one's own destiny thoroughly and waiting the disposal of audiences"(Park, 2001)) is appeared in South Korea's apology. More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백범 김구의 리더십과 진정성

        이진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이 연구의 목적은 백범 김구(白凡 金九)의 발자취가 담긴 자서전 『백범일지』를 중심으로 백범의 리더십을 조명하고 그 속에 담긴 진정성의 요소를 알아보는 데 있다. 『백범일지』는 백범의 자서전으로 독립운동의 증언서이며 한국 근대사에 큰 가치를 지닌 자료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백범일지』에는 한국 근대사의 큰 획을 그은 역사적 사건이 사실대로 기록된 것은 물론 백범의 정치 철학과 사상, 인간성 등이 솔직하고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위해 백범의 리더십을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백범의 삶의 행적 중 중요한 사건을 토대로 백범의 리더십을 네 가지로 압축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백범의 리더십에 담긴 진정성을 박성희가 정리한 진정성의 여덟 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탐구하였다. 백범의 리더십은 상담학적 관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왜냐하면 백범의 리더십은 리더가 일방적인 능력을 발휘한 리더십이 아닌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함께 소통하며 형성한 리더십이기 때문이다. 이는 바람직한 인간관계와 소통을 강조하는 현대 상담의 진정성이라는 개념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백범의 리더십이 후세에 높은 평가를 받는 이유를 진정성에서 찾는 과정은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로서 백범의 리더십을 네 가지, 용기(勇氣)의 리더십, 포용(包容)의 리더십, 헌신(獻身)의 리더십, 신념(信念)의 리더십으로 분류하고 백범의 진정성을 알 수 있는 요소를 탐구하는 것에 주력했다. 그 결과 백범은 다양한 진정성을 지닌 인물이라는 사실과 각 리더십에서 특히 많이 작용한 진정성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첫째로 백범의 용기의 리더십에서는 다양한 진정성의 요소 중 일치성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백범의 용기는 본인의 내면과 언행이 일치하는 당당함에서 나온 진정성 있는 용기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 백범의 포용의 리더십에서는 다양한 진정성의 요소 중 순수성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백범이 지닌 포용력은 순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진면목을 발휘할 수 있었다. 셋째로 백범의 헌신의 리더십에서는 다양한 진정성의 요소 중 성실성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백범은 상대방에 대하여 깊은 관심과 정성을 바탕으로 헌신하는 인물이다. 마지막으로 백범의 신념의 리더십에서는 다양한 진정성의 요소 중 현전재성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백범의 애국심은 백범 자신과 함께 존재하는 즉, 한 몸과 다름없는 개념이자 그의 인격으로 이는 곧 백범이 지닌 신념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리더십의 개념을 상담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진정한 리더십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리더십이 백범을 비롯한 위인들만이 가져야 할 능력이 아니라 현대 사회의 구성원 모두가 갖춰야 할 능력이라는 사실과 그 원천은 진정성에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리고 백범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인물의 리더십과 진정성을 연구하고 나아가 진정성 리더십이 일상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오일러 감마함수의 미분 가능성

        권혁득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에서 우리는 세 가지 방법으로 감마함수가 구간 위에서 무한 번 미분가능한 함수임을 보인다. 첫 번째 증명은, 해석학 기본서에 널리 소개된 방법으로, 적분기호 아래에서 이변수함수를 미분하는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을 이용하는 것이다. 두 번째 증명은 일 때 함수 의 매클로린 전개에 기초하여 소위 논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특이한 점은,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지 않고, 각 차수의 고차도함수의 존재를 직접 증명한다. 세 번째 증명은 감마함수로 점마다 수렴하는 미분가능한 함수열을 찾아, 그 함수열이 몇 가지 특별한 성질을 만족함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극한함수의 미분가능성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 또래 강점 찾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학급응집성 향상과 또래 관계 개선에 미치는 효과

        이은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할 수 있는 또래 강점 찾기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행하여 학생들이 지각하는 학급응집성과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강점 찾기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와 내용 및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또래 강점 찾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학급응집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또래 강점 찾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또래관계 개선에 효과가 있는가? 이 연구에서 개발한 또래 강점 찾기 프로그램은 기존에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성격강점을 활용하여 개발된 프로그램과 또래 칭찬프로그램의 활동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청주시 B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 중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반 22명의 학생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같은 학년의 6반 중에서 임의로 1반을 정하여 그 반의 22명의 학생을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학급응집성과 또래관계를 알아보는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는 2달에 걸쳐 주 1회∼2회 총 10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회기 당 소요 시간은 초등학교 정규 수업시간 40분을 따르되 활동의 양과 학생들의 집중도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하였다.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전검사에서 사용했던 동일한 검사지로 실험집단, 통제집단에 모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 학급응집성 검사를 위해 사용한 검사지는 이윤식(1992; 채연희, 2002 재인용)의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이상희·이지은·노성덕(2000; 채연희, 2002 재인용)이 수정한 것을 초등학교 5학년 수준에 맞추어 (최현정,2008)이 보완한 검사도구로 환경 분위기, 상호신뢰, 사기, 일체감, 의사소통 5개의 하위변인으로 총 20문항이다. 또래관계 검사를 위해 사용한 검사도구는 홍옥순(1984)이 개발한 자료를 참고하여 아동 상호간의 신뢰감, 존중감 및 교우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민영종(2003), 김인석(2015)이 재구성한 교우관계 검사로, 구체적인 하위 요인은 신뢰감, 존중감, 친밀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40문항이다. 자료처리는 사회과학통계 프로그램 IBM SPSS Statistics 23을 이용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독립표본t 검증으로 전산처리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 .05에서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학급응집성 향상과 또래관계 개선을 위해 또래 강점 찾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학급응집성과 또래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급응집성의 하위요인별 분석 결과에서 실험집단의 환경 분위기, 사기, 일체감 영역과 또래관계 하위요인별 분석 결과에서 존중감 영역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단순히 친구를 칭찬하는 활동에서 나아가 친구를 자세히 관찰하고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친구의 강점을 찾아주는 심층적인 활동으로 활동의 깊이를 확장시켰다. 둘째,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가질 수 있도록 돕고, 강점이라는 개념을 익혀 직접 적용해보고 학급의 모든 학생들이 서로 강점을 주고받을 수 있는 상호작용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강점 찾기 프로그램의 효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여러 지역, 다양한 연령대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또래 강점 찾기를 통해 학급응집성과 또래관계 외에 다른 요인의 향상 및 개선을 위하여 다양한 활동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단기간의 효과만을 검증 하였으므로, 또래 강점 찾기 프로그램의 지속효과에 대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 초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수진 청주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happiness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how can a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be designed to improve student’s happiness? Second, how does a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affect students on improving their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This counseling program is modified, complement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fter researching precedent programs developed by using character strength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and the triangle scale of happiness were used as test tools. For the subjects of the study, 5th and 6th grade students(30 students) of M elementary school in Chungcheongbuk-do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as a control group, 5th and 6th grade students(30 students) in J elementary school with similar geograph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lso, prior to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conducted based on the pre -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2 classes and the control group of the other 2 classes. And the 4 classes were confirmed to be highly homogeneous groups. After completion of the preliminary preparation process,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10 times for 8 weeks. And for the control group, no treatment was. taken.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happiness, this program was designed as 3 sessions for the development of signature strength and 7 sess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average of character strength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subjected to post - test using the same pre – test tools. The data of the post - test results for the analysis of effect on improving happiness were tested by independent sample t - test using SPSS / PASW18. The results of the program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pleasant life, engaged life, meaningful life)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Second, this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happiness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is program is meaningful because it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happiness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lso, the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post 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three sub-factors(pleasant life, engaged life, meaningful life) of the triangle scale of happiness. This shows that th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each sub-facto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character strengths f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class group counseling program is composed of various fun activities and play. So many students were able to participate happily. It is meaningful that this program is designed to enable elementary students to understand and utilize character strengths at their own level through various audio-visual materials and play activiti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strengths and happiness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ince there is no research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strengths an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Seco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monstrate the continuity of effects since this study verified only the short-term effects of a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improving the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a personalized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students who have decreased feelings of happiness due to depression or learned helplessnes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행하여 학생들의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될 수 있는가? 둘째,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 연구는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성격강점을 활용하여 개발된 프로그램들을 선행 연구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 개발하였다.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삶의 만족도 척도(SWLS)와 행복의 삼각형 척도를 사전․사후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소재 M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2학급(30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도내 유사한 지리적․사회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J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2학급(30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처치에 앞서 실험집단 2학급과 통제집단 2학급의 사전 검사를 토대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두 집단이 동질성이 높은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전 준비과정을 마친 후 실험집단에는 8주 동안 10회기의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회기별 구성은 성격강점과 행복감과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대표강점 집중 계발 3회기, 성격강점의 평균적 함양 7회기로 계획하였다.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처치가 모두 종료된 후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행복감 증진에 있어서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사후검사 결과의 자료처리는 SPSS/PASW18에서 독립표본 t 검증을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즐거운 삶, 몰입하는 삶, 의미 있는 삶)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감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삶의 만족도 및 행복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본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행복의 삼각형 척도의 하위요인인 즐거운 삶(pleasant life), 몰입하는 삶(engaged life), 의미 있는 삶(meaningful life) 3가지 요인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검사 결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이는 구안된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행복감의 각 하위 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행복감 증진을 위한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 다소 지루해질 수 있는 학급 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다양한 활동 및 놀이 등으로 구성하여 많은 학생들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양한 시청각 자료 및 놀이 활동을 통하여 초등학생이 알맞은 수준으로 성격강점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경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성격강점과 행복감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부재하기 때문에 초등학생의 성격강점과 행복경험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단기간의 효과만을 검증한 것이므로, 그 효과의 지속성을 입증할 수 있는 추후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우울감이나 학습된 무기력 등으로 행복감이 저하된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 이순신과 진정성

        강환욱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denotation of authenticity by discovering characteristics of authenticity through our classic and by finding its implications to counseling in light of authenticity of modern counseling. For this purpose, the study intends to discover characteristics of authenticity focused on Yi Sun-sin who lived an authentic life as seen in his frank and individual documentary, 『A War Diary』. As the method of study, situations where the authenticity is well disclosed in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authenticity' were extracted by analyzing『A War Diary』written in the form of diary and other records about Yi Sun-sin. Based on the analysis, the objects of authenticity were divided into ‘authenticity for family’, ‘authenticity for himself’, ‘authenticity for others’, 'authenticity for the nation and people’, and ‘people looking for Yi Sun-sin'. And, characteristics of authenticity in each situation were specifically named as; congruence, truthfulness, genuineness, altruism, consistency, confrontation, acceptance, reliability, connectedness, passion, openness, self-initiative, and charity. In addition, they were compared with characteristics of modern counseling's authenticity so as to describe common grounds and differences and to draw implications. congruence means that what Yi Sun-sin experienced and felt are expressed as it is without exaggeration, ommission or distortion; truthfulness denotes that even shameful appearance is shown humanly without wrapping up with himself for keeping dignity or showing as a perfect commander; genuineness means he meets others in pure heart, neither for his welfare nor for his success, let alone making a friend with them; Altruism means he considers even a lowly soldier important in his affection and concern; Consistency means he always keeps orders and conducts all duties unflappably, honestly and correctly in his determination to save the country and people, and to precede official interests over private ones, which shows that he fiercely had exercised self-discipline from his birth to official position; Confrontation means that self-healing is shown by expressing various human feelings faced in battlefield; acceptance means he accepts any situation facing him as it is without denying or distortion; Reliability denotes there are always people, around Yi Sun sin, who came to experience his authenticity together; connectedness means his love and affection for others were connected to dream and divination; Passion means he does his best with determination, 'If I want to live at a combat, I'll die', in a war after thorough preparation for defending the country; Openness denotes open attitude to communicate and sympathize with even low-rank soldiers including subordinates; Self-initiative means he intends to solve any difficulty for himself; and Charity means Yi Sun-sin has sufficient love and affection based on the family love, which, in turn, come to love neighbors, subordinates, people and eventually, their country! Yi Sun-sin's authenticity, if compared with modern counseling, has congruence, genuineness, truthfulness, Altruism and Reliability in common, while such characteristics as Consistency, Confrontation, connectedness, Self-initiative and Charity are not described in modern counseling. This implies that authenticity must go through ceaseless process of self-cultivation and that the authenticity could be founded on the love of wide range of human beings. In addition, it also implies that authenticity could be kept by capabilities for realizing goals and that self-healing effects could be obtained by possessing authenticity. A study on authenticity through the life of Yi Sun-sin is significant because it became the foundation of human beings' intention to expand denotation for authenticity and to approach the authenticity. In our history, there should be lots of people who lived authentically like Yi Sun-sin, and thus, studies on authenticity by utilizing more classics are deemed necessary.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의 고전을 활용하여 진정성의 특성을 발견하고, 이를 현대 상담의 진정성에 비추어 상담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찾음으로써 진정성의 외연을 확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난중일기』라는 진솔하며 개인적인 기록물을 통해 진정성 있는 삶을 살아갔음을 알 수 있는 이순신을 중심으로 진정성의 특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일기의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난중일기』와 그 외 이순신에 관한 여러 기록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진정성’에 대한 포괄적인 개념을 기준으로 진정성이 잘 드러나는 장면들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진정성의 대상에 따라 ‘가족에 대한 진정성’, ‘자신에 대한 진정성’, ‘타인에 대한 진정성’, ‘나라와 백성에 대한 진정성’, ‘이순신을 찾는 사람들’로 분류하였고 각각의 장면에서 나타나는 진정성의 특성을 일치성, 진솔성, 순수성, 이타성, 일관성, 직면성, 수용성, 신뢰성, 연결성, 열정성, 개방성, 자기주도성, 박애성으로 명명하여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이를 현대 상담의 진정성의 특성들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서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일치성은 이순신이 자신이 경험하여 느낀 감정에 대하여 과장함, 생략함 혹은 왜곡함 없이 있는 그대로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 진솔성은 체통을 지키려고 하거나 완벽한 장수로 보이기 위해 자신을 포장하지 않고 도리어 부끄러운 모습까지도 인간적으로 드러내는 것을, 순수성은 누군가를 만나거나 사귈 때 자신의 안위나 출세를 위해서가 아니라 순수한 마음으로 상대방을 목적으로 두고 만났던 것을 말한다. 이타성은 미천한 군졸 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소중하게 생각하며 애정과 배려를 쏟는 것을, 일관성은 구국제민과 선공후사의 정돈된 마음의 기준이 항상 질서를 지키며 모든 일을 흔들림 없이 정직하고 바르게 해 나갔던 것은 그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치열한 자기 수양을 한 결과임을 말하는 것이다. 직면성은 전장 생활을 하며 느끼는 다양한 인간적인 감정들을 직면하여 표출함으로써 자기 치유를 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을, 수용성은 자신이 처한 상황이 어떠하든 부정하거나 왜곡하지 않은 채 온전히 직시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신뢰성은 이순신의 주변에는 그의 진정성을 경험하고 그와 함께하고자 찾아오는 사람들이 항상 존재하였음을, 연결성은 상대에 대한 사랑과 애정이 꿈과 점으로까지 연결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열정성은 나라를 지키기 위해 철저히 준비하여 전쟁이 났을 때에 필생즉사의 각오로 전력을 다했음을, 개방성은 부하 장수들을 포함하여 지위가 낮은 군졸이라도 기꺼이 대화에 임하고 공감해주는 개방적인 자세를 의미한다. 자기주도성은 어떠한 어려움이 생겨도 오로지 자신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음을, 박애성은 이순신의 성품에는 가족 사랑을 원천으로 하는 사랑과 애정이 충만하여 이것이 이웃, 부하, 백성에 대한 사랑으로 이어지고 이들의 터전인 나라 사랑으로 이어지게 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이순신의 진정성은 현대 상담의 진정성과 비교하였을 때 일치성, 순수성, 진솔성, 이타성, 신뢰성의 공통된 특성을 지녔음을 알 수 있었고 일관성, 직면성, 연결성, 자기주도성, 박애성은 현대 상담에서 기술되지 않은 특성이었다. 이를 통해 진정성은 부단한 자기수양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인간을 폭 넓게 사랑할 수 있는 마음을 닦아 진정성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실력을 얻어 진정성을 지켜낼 수 있고, 진정성을 갖춤으로써 자신에게도 치유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순신의 삶을 통하여 진정성을 연구하는 일은 진정성에 대한 외연을 확장하여 진정성에 다가가고자 하는 인간 변화의 밑바탕이 되었음에 의의가 있다. 역사에는 이순신과 같이 진정성 있게 살아간 인물들이 많을 것이므로 더 많은 고전을 활용한 진정성의 연구가 필요하다.

      • 중국 sns 뉴스보도 댓글의 매체심판 프레임연구

        JIN, FENG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e background of the internet era, because of its strong interaction, repid and timely transmission and wide range of influence, it plays a more and more important role in social public events, which makes the traditional ‘media trial’ inevitably have new characteristics under the background of new media era. Thus deriving ‘the network morals judgment’. However, the new media immediacy, extensive , central to the disse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dissemination of the process of network rumors, false Network, false information and other reports, so that the people more extreme emotional expression, verbal abuse and emotional catharsis, leading to the phenomenon of public opinion trial and moral trial.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ypical cases of media trials to explore media phenomenon which occurs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In previous studies, the analysis of media trials mainly focused on media reports. However, in environment of the new media, the public does not receive information unilaterally, but actively disseminate information or even produce information. The public get news information and express their thoughts through blogs such as Weibo .For example, the public comment on the event and express their opinions through media information. And the public’s freedom of speech often results in  different attitudes towards the same ev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comments, we can see the diverse and direct views of the public, and how the media trial phenomenon that appears in the framework of the comment is expressed in media reports. In this study, we selected the "suicide of female student Bao Li of BeiJing University" in December 2019, and searched "Bao Li's suicide" in traditional Chinese blog media by selecting "The Paper","Headline" and "Beijing News". It can be seen that different media analyzed what the dominant post appeared in the suicide of the girl Boli at Peking University. The results show that among the entire message frame, the easy-to-judgment frame has the highest comments, which may be questioning the responsibility frame of the supervision frame, evaluation Framework, result forecast framework, legal principle framework and frame work .From the time point of view, the results of the types of frames appearing in the replies of various media's reports on the suicide of a girl from Peking University, Boli, show that the three media have used the most moral judgment frame during the entire period. In addition, a lot of further supervision frameworks and responsibility attribution frameworks have also been used.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frame works mainly used according to the time between the media, the over all preference is to rely on moral judgment frameworks and graffiti on judicial legislation. In addition, the news coverage of each media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and three comments with the most thumb up were selected for each period. Using seven framework: responsibility attribution framework, conflict framework, the results of prediction framework, law and order framework, recognition frame work, inquiry supervision framework, and moral judgment frame work, we come to conclude that chinese media THE PAPER’s comments showed, from first to the third period, inquiry supervision framework and common responsibility framework have high frenquency. The question supervision frame and the responsibility attribution frame are still widely used in the Chinese media TouTiao News. And the responsibility attribution framework is used more than other frames in the commentary of Beijing News-The inquiry supervision frame, the moral judgment frame and the legal order frame are also used Finally, it analyzes the media trial phenomenon in these commentary frames. In the first period of comments on the suicide case of Bao Li, a female college student of BeiJing University, the public not only inferred the case from the article without knowing the general information, but also asked Peking University and the judicial departments of the government to take responsibility and identify the suspect as the murderer. In this case, the phenomenon of media trial appeared. In the second period, due to the death of the victim Bao Li, the degree of the public's anger was the highest, and a large number of extreme words and angry expressions were used in the public’s comments. Here,netizens have been more active in demanding responsibility for the incident and suggesting that Mou be given judicial punishment. Form here, the phenomenon of media trial sap pears frequently, and every netizen is playing the role of a judge. By the third stage, one year has passed since the incident, the public have forgotten the specific process of the incident, but the result of the first instance judgment has aroused a lot of anger. In the third stage, compared with Mou Linhan's moral criticism, the public showed interest in the education system of Chinese society and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justice. This reflects the reason for the emergence of media trials, that is, people's distrust of the government's judicial system.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research, only a small part of the massive information was analyzed, so the significance of there sults of this study is inevitably limited. Howev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ttempts to analyze comments about the media trial phenomena, not the article.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more thumb up comments, we can understand the influence of public opinion in the era of new media. 인터넷 시대를 배경으로 한 weibo를 비롯한 인터넷 매체들은 상호작용성이 뛰어나고 메시지의 전파가 신속하고, 광범위한 영향력의 특성으로 인해 사회 공공사건에서 점점 중요해지는 정보 교류와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매체심판이 뉴미디어 시대에서 불가피하게 새로운 특성을 만들어져 인터넷 도덕 심판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뉴미디어의 즉각성, 광범위성, 탈중심적인 전파 특성으로 전파 하는 과정에서 생긴 인터넷 루머, 인터넷 가짜 민주, 허위 정보등 보도 내용은 사람들을 극단적으로 표현하게 하고 언어적 욕설과 과도한 감정표현으로 인터넷 매체심판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일어나는 매체의 현상을 탐구하기 위해 ‘매체심판’의 전형적인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매체심판의 관련 내용에 대한 분석이 주로 매체의 보도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뉴미디어 환경에서 네티즌들은 일방적으로 정보를 받은 자가 아닌 정보를 적극적으로 전파하고 심지어 정보를 생산하나는 주체가 되었다. 수용자들은 weibo를 비롯한 블로그를 통해 뉴스 정보를 알게 되고 또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 할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자들은 댓글을 통해 미디어 정보를 받는 즉시 사건에 대해 논평하고 의견을 표현할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댓글의 자유로 인해 동일한 사건보도에 대해 다른 태도가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댓글의 분석을 통해 사건에 대한 수용자들의 다양하고 직접적인 의견을 볼수 있으며, 댓글 프레임에서 나타나는 매체심판 현상이 언론 보도에 어떻게 표현되는 지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 12월에 발생한 ‘북경대학교 여학생 바오리 자살’ 사건을 선택하여 중국의 weibo에서 전통 매체중 펑파이 뉴스, 해드라인 뉴스, 신경뉴스를 선택하여 ‘바오리 자살’ 사건에 대해 검색하였다. 매체별로 북경대학교 여학생 바오리 자살 사건에서 보도된 댓글에 나타난 지배적인 프레임은 무엇인지를 분석한 결과는 전체 댓글의 프레임 유형중 도덕적 판단 프레임의 댓글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질의 감독 프레임 책임 귀인 프레임, 인정 프레임, 결과 예측 프레임, 법리 질서 프레임, 그리고 갈등 프레임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별로 각 매체에 북경대학교 여학생 바오리 자살 사건 관련 보도댓글 내용에 나타난 프레임 유형의 결과를 보면 3개 매체는 전체적으로 각시기에서 모두 도덕적 판단 프레임을 가장 많이 사용했음을 나타났다. 다음 질의 감독 프레임과 책임 귀인 프레임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매체간 시기별 따라 주로 사용하는 프레임 유형은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도덕적 판단 프레임에 대한 의존과 사법적 입법에 대한 도촉에 많이 기울린다. 그리고 각 매체의 뉴스보도를 다시 세시기로 나누에 각 시기에서 좋아요가 가장 많은 댓글을 세 개씩 선정하였다. 다음 각 댓글을 매체별 시기별로 책임 귀인 프레임, 갈등 프레임, 결과 예측 프레임, 법리 질서 프레임, 인정 프레임, 질의 감독 프레임, 도덕적 판단 프레임 등 총 7개의 프레임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펑파이 뉴스의 댓글에서는 첫 번째 시기에서 세 번째 시기까지 공통적으로 질의 감독 프레임과 책임 프레임이 자주 나타나고 있었다. 해드라인 뉴스에서는 질의 감독 프레임과 책임 귀인 프레임이 여전히 많이 쓰이고 있었으며 신경 뉴스에 달린 댓글에서는 다른 프레임에 비해 책임 귀인 프레임을 보다 많이 활용하고 있었고, 질의 감독 프레임, 도덕적 판단 프레임, 법리 질서 프레임도 활용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댓글의 프레임에서 나타난 매체심판 현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북경대학교 여대생 바오리 자살사건에서 보도된 첫 번째시기의 댓글에서는 네티즌들이 전반적인 정보를 알기전에 기사의 내용을 통해 사건을 추리하였을뿐만 아니라 처음부터 북경대학과 정부사법부에 대해 책임을 요구하였으며 용의자를 살인자로 정의하였고 이번 사건에서 매체심판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두 번째 시기에서 피해자 바오리의 죽음으로 네티즌들의 분노가 가장 높은 과정에서 네티즌들의 댓글에서는 극단적인 어휘와 분노의 이모티콘의 사용이 많았다. 여기서 네티즌들은 더욱 적극적으로 사건에 대한 책임을 요구 하였고 또한 무린한에 대한 사법형벌에 대해 권장하였다. 이시기에서 매체심판 현상은 빈번히 나타나고 있으며 네티즌들은 저마다 판사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세 번째 시기에서는 사건이 지난지 일년이 지났고 넷티즌들은 사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잊어버린 상태이지만 첫 판정이 나온 결과에 대해 여전히 많은 분노를 이를켰다. 세 번째 시기에서 네티즌들은 무린한의 대한 도덕적인 비판보다 중국사회의 교육시스템과 정부사법의 입법에 대해 관심을 보였으며 이는 매체심판 현상이 나타난 정부사법에 대한 불신의 원인으로 보인다. 연구 가능성을 고려하여 방대한 정보중 일부에 대한 분석만을 시도한 관계로 본 연구의 결과물이 가지는 함의는 제한될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매체심판 현상에 대해 기사를 분석하는 것이 아닌 댓글을 분석하고자 시도했다는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좋아요가 많은 댓글을 분석함에 있어서 뉴미디어 시대의 오피니언 리더들의 영향을 알수 있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