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압식 디스크 브레이크 Carrier의 강도해석 조건에 관한 연구

        하동진 영남대학교 공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소의 중량으로 요구되는 내구 수명을 만족하여야 하는 상용차용 Air Disc Brake는 무엇보다 정확한 경계조건을 통한 전산해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구 수명을 만족하지 못하고 파손된 상용차용 Air Disc Brake의 실제 사례를 통해, 기존 강도해석 경계조건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된 강도해석 경계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제 파손된 부품의 강도 전산해석 및 Strain 측정을 통해 설정된 해석경계조건이 실제 시험 결과와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재설정된 경계조건을 통해 내구 수명을 증대할 수 있는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개선안을 직접 제품으로 제작하여 내구수명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연구 과정을 아래와 같이 구성하여 기술하였다. - 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과정에 대해 기술한다. - 2장 ⌜대상부품 분석⌟에서는 상용차용 Disc Brake에 대해 설명하고, 해석 경계조건 검토를 위한 기본적인 제동 Mechanism에 대해 분석한다. - 3장 ⌜기존부품 해석⌟에서는 기존 강도해석 경계조건 및 해석결과를 정리하고, 실제 시험결과와 비교하여 문제점을 분석한다. - 4장 ⌜검증실험⌟과 5장 ⌜개선해석⌟에서는 Strain 시험을 통해 개선된 해석경계조건을 정리하고, 실제 개선안을 도출하여 제작된 부품으로 검증하는 과정을 정리한다. - 6장 ⌜결론⌟에서는 결과를 정리하고 향후과제에 대해 고찰한다.

      • 베인-롤러 힌지 결합형 로터리 압축기의 윤활 특성을 고려한 동적 거동 연구

        김동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Rotary Compressor is a key component used in a refrigerated cycle requiring high-performance compression such as an air conditioner or a washing machine. Instead of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a piston, a piston of rotary compressor is rotat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cylinder. This type of compressor makes vibration and noise high, but it has been researched for a long times because of few number of parts and low production cost. The general rotary compressor, rolling piston rotary compressor, has vane and roller which is not combined. In this model, refrigerant leaks through the gap between vane and roller. To prevent leakage problem, Rotary compressor with hinge-coupled type of vane and roller is developed. This type of rotary compressor has a completely different movement than before. This means that orbiting motion of roller directly affects motion of vane, which has different behavior characteristics from conventional rotary compressor. Identifying the behavior of the compressor and lubrication properties is a very important engineering problem as it can reduce friction loss and increase compressor efficienc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each component and the movement of the components. In addition, the properties of the oil film of each lubricating surface should also be considered. Accordingly, in this study, a study on the dynamic behavior of the rotary compressor with hinge-coupled type of vane and roller was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dynamic characteristics and the lubric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편심된 회전자(로터)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피스톤이 실린더 내면을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인 로터리 압축기는 압축 효율이 우수하여 에어컨, 세탁기 등의 고성능의 압축을 요하는 냉동-냉장 사이클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이다. 피스톤의 선형 왕복운동 대신에 실린더 내 회전자가 회전하면서 운전되기 때문에 진동 및 소음이 크지만 부품수가 적고 생산 비용이 싸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오랜기간동안 로터리 압축기의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압축기는 고압의 냉매 구역과 저압의 냉매 구역 사이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베인과 실린더 내면을 따라 회전축에 의해 선회운동을 하며 실질적으로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롤러는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작동한다. 일반적으로 베인은 스프링과 함께 결합되어 작동 시 발생하는 원심력을 스프링 복원력으로 최소한으로 줄여왔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압축기는 고속 운전시 점핑(Jumping)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베인과 롤러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는 현상으로 베인이 롤러의 면에서부터 점프하는 현상으로 일컫는다. 이는 압축실의 고압 냉매가 저압 냉매 구역으로 누설이 되고 베인과 롤러 면의 충돌로 진동 및 소음을 일으켜 압축기 효율의 떨어트리는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베인의 점핑 현상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롤러와 베인의 형상 설계에 대한 연구가 이뤄졌다. 그중 본 연구의 주제인 베인-롤러 힌지 결합형 로터리 압축기가 개발되고 연구되었다. 베인-롤러 힌지 결합형 로터리 압축기는 베인과 롤러가 힌지 조인트로 연결된 구조이다. 롤러는 실린더 벽을 따라 선회 운동을 하며 베인은 롤러를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베인-롤러 힌지 결합형 로터리 압축기에서의 롤러와 베인은 힌지 조인트로 결합되어 움직이기 때문에 점핑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고속 운전이 가능하다. 하지만 전엔 받지 않던 힌지 조인트에서 발생되는 반력을 받게 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의 로터리 압축기의 움직임과는 전혀 다른 움직임과 윤활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압축기의 거동을 파악하는 것은 압축기의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인-롤러 힌지 결합형 로터리 압축기 운행시 다물체 동역학적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부품들 사이의 반력과 부품들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윤활면이 서로 연동 될 수 있도록 정의하여 압축기의 동적 거동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 서울시의 일개 요양병원에서 발생한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유행에 관한 고찰

        정선화 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연구배경: 2017년 서울의 일개 요양병원에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 (Carbapenem-resistantEnterobacteriaceae, CRE)의 유행이 발생하였다. 이에 역학조사를 통해 요양병원의 CRE 유행의 발생 원인과 감염의 위험도를 알아보고 전파의 위험 요인 및 중재 활동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요양병원의 입원환자는 총 149명이었고 같은 병실에 입원한 환자 39명이며 그 중 CRE 양성 환자는 15명이었다. 같은 병실에 입원한 전체 환자(n=39)를 대상으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하였다. 중재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 39명의 환자를 3주 동안 주 1회로 정기적인 직장 도말 검사를 하였고 6개월간 요양병원을 감시하였다. 결과: CRE발병률은 집중치료실 50.0%, 일반병동 각 2.8%, 전체 병원 발병률은 10.0%였고 치명률은 53.3%였다. 정확한 발병원인은 알 수 없었고 전파 위험요인은 항생제 (Relative risk [RR] = 18.12; 95% confidence interval [CI] = 2.64-124.5), 인공호흡기 (RR = 3.95; 95% CI = 1.53-10.22), 욕창 (RR = 15.56; 95% CI = 2.27-106.8), Tracheostomy (RR = 2.75; 95% CI = 1.06-7.12), 투석 (RR = 2.43; 95% CI = 1.21-4.89)이었다. 중재 활동 후 CRE 검사는 모두 음성이었고 신규 환자의 발생은 없었다. 결론: 요양병원에서 CRE 유행 시 발병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전파의 위험요인은 항생제 사용, 욕창, Tracheostomy, 인공호흡기 사용, 투석 여부였다. 요양병원에서 집중 감염 감시 및 중재 활동은 CRE 유행의 확산과 재발 예방에 효과적이었다. 주요어: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요양병원, 유행 Abstract Outbreak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at Long-term Acute care Hospital in Seoul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of Urban Public Health Jung, Sunwha Background: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 (CRE) broke out in a long-term acute care hospital in 201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sons why the CRE epidemic occurred in it, the risk of infection, risk factors of its spread and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Subjects and Methods: A total of 149 patients were hospitalized in the long-term acute care hospital and 15 among 39 patients who resided in the same ward were tested positive. Retrospective cohort research on the whole patients (n=39) hospitalized in the same ward was conducted. Results: The incidence rates of CRE were 50.0% for the intensive care unit, 2.8% for each general ward, and 10.0% for the whole hospital, with the case fatality rate of 53.3%. The risk factors of its spread included antibiotics (relative risk [RR] = 18.12; 95% confidence interval [CI] = 2.64-124.5), ventilator (RR = 3.95; 95% CI = 1.53-10.22), decubitus (RR = 15.56; 95% CI = 2.27-106.8), Tracheostomy (RR = 2.75; 95% CI = 1.06-7.12) and dialysis (RR = 2.43; 95% CI = 1.21-4.89). Conclusions: Both incidence and case fatality rates of CRE were higher when it broke out in the long-term acute care hospital. The risk factors of its spread included use of antibiotics, decubitus, tracheostomy, use of ventilator and dialysis. The interventions including intensive infection monitoring wer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furthering spread and relapse of CRE epidemic. Keywords: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CRE), long-term acute care hospital, outbreak

      • COVID-19 상황에서 건강행태와 일자리 환경 변화의 상호작용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서효정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증에서 건강행태와 근로조건 변화 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222,774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우울과의 관련성을 확인한 후 관심 독립변수의 상호작용항을 주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결과: 신체활동 증가 및 감소, 인스턴트 식품 및 탄산음료 섭취 증가 및 감소, 음주 및 흡연 증가, 근무조건의 부정적 변화가 우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환경 변화가 없을 때, 인스턴트식품이나 탄산음료 섭취가 비슷한 경우에 비하여 섭취가 증가한 경우와 감소한 경우에 유의하게 우울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환경 변화가 부정적으로 변화하였을 때, 인스턴트식품이나 탄산음료 섭취 변화에 상관없이 우울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COVID-19 상황에서 건강행태 변화와 일자리 환경 변화와의 상호작용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determine interaction between health behavior and working condition changes in depression Method: We analyzed the data of 222,774 from the 2021 Community Health Survey. Association between variables was identifi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 conducted a logistic repression analysis to examine interaction effect between health behavior and working condition changes in depression. Results: Increase and Decrease physical activity, Increase and decrease consumption of instant food and carbonated beverages, Increase alcohol consumption and smoking, negative change of working condition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lso The change in consumption of instant food and carbonated beverages and negative change of working condition and depression had positive interaction. Conclusion: Changes in health behavior and working conditions interacted with depression.

      • 오일리스 리니어 컴프레서용 가스베어링의 피스톤 거동 해석 및 측정

        이재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기후 변화와 에너지 문제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면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기 조화 및 냉동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등 다양한 기계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압축기는 시스템의 효율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품이기 때문에 압축기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압축기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이용하여 압축실의 유체를 고압의 상태로 압축하는 기계 부품이다. 압축기는 운동 메커니즘에 따라 크게 2가지의 종류로 나뉘어진다. 크랭크의 회전운동으로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만드는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와 리니어 모터가 직접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압축기(Linear compressor)가 있다. 리니어 압축기는 크랭크 메커니즘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리니어 모터의 제어를 통해 압축기를 비교적 단순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마찰이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서만 발생하기 때문에 마찰 손실이 적다. 이러한 장점에 힘입어 리니어 압축기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LG전자는 리니어 압축기를 냉장고에서 확대하여 모든 제품에 적용하고 있다. 리니어 압축기의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는 오일이 윤활제로 사용되어 왔다. 오일은 점성이 높기 때문에 피스톤에 비교적 큰 마찰력이 작용하고, 작동주파수의 측면에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오일을 윤활제로 사용하지 않는 오일리스 컴프레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오일리스 컴프레서는 오일 유출에 대한 위험이 없고, 오일로 인한 마찰 손실이 없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가 적으며,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이 줄어들고 구조적으로 단순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윤활제를 교체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오일을 가스로 교체하기 위해 가스베어링의 원리가 적용된 리니어 압축기의 피스톤 거동 해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스베어링의 하중지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빠른 상대운동과 높은 점성의 유체가 필요하다. 가스는 점성이 낮고, 피스톤의 왕복 운동의 최대 속도는 3m/s를 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하중지지력을 발생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리니어 압축기의 실린더는 외부에서 가압된 공기를 윤활 면에 주입하는 정압 가스베어링의 원리가 적용되었으며, 압축실에서 토출된 가스의 일부분을 재활용하여 실린더의 윤활 면에 공급하였다. 점성이 낮은 가스를 윤활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스베어링의 윤활 성능에 대한 분석이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피스톤의 거동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후, 해석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대기압 조건의 피스톤 거동 측정 실험을 진행하여 실험 결과와 해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 상용차용 전자식 웻지 브레이크의 구조 및 동역학 해석

        이상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is paper, Electronic Wedge brake for commercial vehicle has been developed. It has a new mechanism for self-reinforcement, using a worm gear, eccentric shafts, and wedge. After introducing the new brake mechanism, equivalent stress and fatigue limit of some important parts like worm gear and eccentric shaft was also checked through structural analysis in the computer-aided engineering software, ANSYS workbench. The construction conditions in ANSYS workbench are introduced in detail in the paper Besides, dynamic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check whether self-reinforcement effect occurs properly in the new brake mechanism. After verification of the self-reinforcement, dynamic analysis was proceeded continuously while changing degree of wedge and friction coefficient of a brake pad variously. At various degree of wedge and friction coefficient of brake pad, the result was verified when jamming occurs in the wedge brake. Also, the analysis result say that it may be better to choose big degree of wedge while considering the braking force.

      • 폐경 여성에서 출산 횟수와 당뇨병의 관련성과 모유수유 기간과의 상호작용

        이선아 서울시립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기 여성의 출산 횟수와 당뇨병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출산 횟수와 당뇨병 사이에서 모유수유 기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조사된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50세 이상의 폐경 여성 4,0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산 횟수는 두 그룹으로 나누고, 자녀 한 명당 모유수유 기간은 세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당뇨병은 공복혈당 수치가 126 mg/dl 이상이거나, 혈당강하제를 복용하고 있거나, 인슐린의 투여하고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출산 횟수와 당뇨병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오즈비(odds ratio, OR)를 구하였다. 연령, 소득, 직업, 교육 수준과 같은 인구 사회학적 요소, 월간 음주율, 걷기 실천율, 체질량 지수, 고혈압, 당뇨병의 가족력,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등의 건강관련 요소, 폐경 연령, 첫 출산 연령, 피임약 복용, 호르몬 대체 치료, 모유수유 기간 같은 여성생식과 관련된 요소는 교란변수로써 보정하였다. 교란변수를 보정하지 않고 출산 횟수와 당뇨병과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OR=1.73, 95% confidence interval(95% CI)= 1.40-2.13, P<0.001]. 그러나 관련 혼란변수를 모두 보정한 모델에서는 출산 횟수와 당뇨병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OR=1.08, 95% CI=0.79-1.48, P=0.63). 출산 횟수와 모유수유기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을 때, 출산 횟수의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지만(P=0.034), 모유수유 기간의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42). 본 연구에서는 출산 횟수와 당뇨병 사이의 관련성 및 모유수유 기간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ity and diabetes and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breastfeeding period parity on diabetes among postmenopausal women. The study was conducted on 4,053 women aged 50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rom 2010 to 2012. The parity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n the median of total number, and the duration of breastfeeding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to be analyzed. Diabetes was defined according to a fasting blood glucose level(blood glucose level ≥ 126 mg/dl), and/or use of an anti-hypoglycemic agent or administering insuli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parity and diabetes.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related indicators, and women's reproduction factors were adjusted to the model as confounding variabl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ity and diabet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out controlling for the confounding variables (OR=1.73, 95% CI=1.40-2.13, P<0.001).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all confound variables were adjusted for (OR=1.08, 95% CI=0.79-1.48, P=0.6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action terms between parity and breastfeeding period, the main effect of par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34), but the main effect of the breastfeeding perio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teraction term of the breastfeeding period and par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42). In conclusi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ity and diabete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breastfeeding period and par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 노인의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양방향적 연관성

        황정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주로 일방향적 관점(unidirectional model)으로만 확인되었던 노인의 우울증상과 인지기능 사이의 인과관계가 양방향적 관점(reciprocal effect model)에서도 성립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Korea 2006-2018)를 활용하여,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상호 인과관계를 평가하였다. 1차 조사 시기에 65세 이상이었던 대상자 중 7차까지 추적된 1,612명의 노인이 연구대상이다. 1차(2006), 4차(2012), 7차(2018)에서 확인된 CES-D10 척도 점수를 우울증상으로 K-MMSE 척도 점수를 인지기능으로 확인하였다. 이후,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활용하여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인과관계가 성립하는지 평가하였다. 결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이용하여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인과관계를 확인한 결과, 두 요인은 종단적 그리고 양방향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자기회귀계수를 통해 이전시점의 우울증상 및 인지기능은 각각 이후시점에 유의미하게(p<.00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확인한 교차지연효과는 이전시점의 우울증상(t-1)이 높을수록 이후시점의 인지기능(t)이 악화하고(1차→4차, 4차→7차 교차지연표준계수: -.087, -.055), 이전시점의 인지기능(t-1)이 높을수록 이후시점의 우울증상(t)이 낮아짐(1차→4차, 4차→7차 교차지연표준계수: -.123, -.140)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우울증상과 인지기능 두 요인간 상호인과관계가 성립함이 확인되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nature of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 trajectories among older adults. This study extended prior literature by using a reciprocal effect model to address causality in the association Methods: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rom 2006 to 2018), we selected 1,612 participants (aged 65 and over at wave 1 and data followed up by wave 7). Using data from wave 1 (2006y), wave 4 (2012y), and wave 7 (2018y)- depressive symptom and cognitive function were measured based on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10-item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nalysis was utilized to estimate bi-directional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ve symptom and cognitive function. Results: We identified the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 over time. First,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 at the prior wav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p<0.0001). Second, the higher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t-1) predicted lower levels of cognitive function (t, wave 1→wave 4, wave 4→wave 7, β: -0.087, -0.055), and higher levels of cognitive function (t-1) predicted lower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t, wave 1→wave 4, wave 4→wave 7, β: -0.123, -0.140).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

      • Association between iron deficiency anemia and myopia in Korean adults

        서민이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배경: 철 결핍성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IDA)과 안질환 사이의 관계를 증명한 기존 연구들이 있지만, IDA와 근시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IDA와 근시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의 자료를 이용하여 20-54세 성인 8,6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IDA는 혈색소(hemoglobin, Hb) 농도가 남성 13 g/dL 미만, 여성 12 g/dL 미만, 임산부 11 g/dL 미만으로 정의하였다. 추가로 Hb 농도에 따라 IDA를 경증과 중등도 및 중증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근시는 구면렌즈대응치가 –0.5 diopters 이하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IDA와 근시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공변량을 보정 후 복합표본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근시 유병률은 남성이 43.5%, 여성이 56.5%로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IDA가 있는 여성은 IDA가 없는 여성에 비해 근시의 오즈가 1.30배 높았다(odds ratio, OR = 1.30, 95% confidence interval, CI = 1.04-1.62, p = 0.020). IDA의 중증도에 따라 근시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IDA가 없는 여성에 비해 중등도 및 중증 IDA (Hb <11 g/dL)를 가진 여성은 근시의 오즈가 1.66배 높았다(OR = 1.66, 95% CI = 1.21-2.28, p = 0.007). 남성의 경우 IDA와 근시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IDA가 있는 한국 성인에서 중등도 및 중증 IDA를 가진 여성은 근시 유병률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Iron deficiency anemia (IDA) is a significant public health issue worldwide and has been associated with ocular chang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DA and myopia in an adult population in Korea. Methods: The study group included 8,672 participants, 20-54 years old, who participated i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DA was defined by a hemoglobin (Hb) <13 g/dL for men, <12 g/dL for women, and <11 g/dL for pregnant women. IDA was subdivided into mild IDA (men, 11-12.9 g/dL; women, 11-11.9 g/dL; and pregnant women, 10-10.9 g/dL) and moderate to severe IDA (men and women, <11 g/dL; and pregnant women, <10 g/dL) categories. Myopia was defined by a spherical equivalent (SEQ) value ≤-0.5 diopters (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IDA and myopia. Results: The prevalence of myopia was higher among women (56.5%) than men (43.5%). Participants with myopia were significantly younger than those without myopia (p <0.001) for both men and women.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myopia was more likely in women than men (odds ratio, OR = 1.30, 95% confidence interval, CI = 1.04-1.62, p = 0.020). Moreover, among women, the risk of myopia was higher for those with moderate to severe IDA (Hb <11 g/dL) compared to those without IDA (OR = 1.66, 95% CI = 1.21-2.28, p = 0.007).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IDA and myopia in men was identified. Conclusions: Among Korean adults, an association between IDA and myopia was identified in women with moderate to severe IDA.

      • 소변 중 코티닌 농도에 따른 청소년의 자가보고 흡연 상태의 정확도 및 관련요인 분석 : 제3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정선경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배 경: 청소년기의 흡연량은 흡연 시작이 빠를수록 증가하고 이는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정확한 흡연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흡연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평가하는데 중요하다. 자가보고 설문의 타당도 평가는 설문 데이터가 얼마나 정확하게 흡연 상태를 반영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방 법: 제3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참가자 중 13-18세 청소년 92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소변 시료 분석을 통한 코티닌 농도와 자가보고 설문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였다. 청소년의 코티닌 절사점 39.85 ㎍/L를 이용하여 흡연 상태를 구분하였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 과: 청소년의 자가보고 설문에 의한 흡연율과 절사점 기준 흡연율은 각각 3.1%, 5.1%였다. 정확도 평가 결과, 자가 보고된 청소년 흡연자와 코티닌 농도에 따른 흡연자의 일치도는 97.1%로 나타났다.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간접 흡연, 전자담배 사용 여부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결 론: 본 연구 결과 청소년의 자가보고 설문과 실제 흡연 상태의 정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문 보완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청소년 흡연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he amount of smoking in adolescence increases with a younger age of smoking initiation, affecting physical health. To establish and evaluate smoking-related policie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actual smoking status. Validation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can identify the accuracy of the questionnaire data reflecting smoking status.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sistency between cotinine concentrations and self-reported questionnaire data through the analysis of urine samples collected from 922 adolescents aged 13-18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cycle 3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Smoking status was classified using the cotinine cut-off point of 39.85 μg/L in adolescents, and factors affecting the accuracy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smoking rate according to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cut-off point-based among adolescents was 3.1%and 5.1%,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e accuracy evaluation found 97.1% consistency between the self-reported smokers and the smokers according to the cotinine concentration. Factors affecting accuracy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cluding gender, secondhand smoke, and use of e-cigarett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high accuracy between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ctual smoking status.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can be further enhanced by improved questionnaires items affecting the discrepancy and continuous monitoring, which also can serve as basic data for adolescent smoking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