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殷芸의 小說 硏究

        송하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小說》은 南朝 梁나라 殷芸이 梁 武帝의 칙명에 따라 편찬한 志人類 筆記小說로 武帝가 《通史》를 편찬하면서 正史에는 실을 수 없는 이야기들을 모아 殷芸으로 하여금 편찬하게 함으로써 이는 魏晉南北朝 이전시기에 대한 시대적 · 사상적 배경 및 사회 · 문화를 이해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작가의 문학성이 돋보이는 소설집이라 할 수 있다. 魏晉南北朝는 정치적 · 사회적으로는 혼란기였으나, 문화사적으로 본다면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룬 시대였다. 특히 老莊思想이 대두하면서 현실도피와 이상세계 추구 및 청담을 즐기는 老莊玄學의 유행으로 인해 문학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자각이 생겨남으로써 당시 지식인들은 인물품평을 매우 중시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풍조를 반영하여 탄생한 것이 《世說新語》이다. 南朝 梁나라의 殷芸이 편찬한 《小說》은 《世說新語》의 뒤를 이어 나온 것으로, 志人類 筆記小說로 불리고 있으나 志人 · 志怪小說을 가리지 않고 여러 책으로부터 고사를 채록하고 윤색했을 뿐만 아니라, 민간고사들을 포함하여 작가 스스로 창작한 이야기도 실려 있다. 이와 같은 작품의 특징은 志怪的 성향을 배제해야 한다는 志人小說의 관념에서 보면 다소 미흡한 모습을 보이고는 있으나 훗날 唐 傳奇의 탄생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중국 古代 文言小說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가 있다. 《小說》은 인물을 바탕으로 신분별 · 시대별의 순서대로 나눈 이야기들로서 총 163條의 故事로 구성되어 있다. 또 작가는 고사를 채록하면서 각 고사마다 출처를 밝혀 놓았는데 이는 역사적 가치를 지니기에도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小說》의 原書는 이미 망실되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 원판본을 찾아볼 수도 없고 書誌 事項 및 편찬시기에 대한 기록 또한 매우 드물다. 그러나 이 후 1942년 余嘉錫이 出典을 통해 총 154條를 집록하여 편찬한 《殷芸小說輯證》으로써 작품에 대한 고증을 가했고, 이어 1984년 周楞伽가 그것을 바탕으로 총 163條를 집록하고 주석하여 《殷芸小說》을 편찬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 가장 완비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특히 周楞伽의 《殷芸小說》을 통해 작품의 특징 및 내용은 물론 당시 사회 · 정치· 문화 등 다방면을 살펴볼 수가 있다. 이로써 다시금 작품의 역사적 · 문학적 가치를 밝힘으로써 지금까지는 그 연구가 미비했던 《小說》이 재조명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唐代 傳奇 『謝小娥傳』과 淸代『兒女英雄傳』비교연구

        김은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兒女英雄傳』이 淸代의 대표적인 俠義小說로 발전하게 된 배경과 唐代 傳奇小說인 『謝小娥傳』과의 관계에 대해 다루었다. 中國의 小說은 唐代에 이르러서야 作家의 의식적인 창작이 이루어졌는데 대부분 文言體의 短篇小說로 이루어졌다. 서양의 小說이 처음부터 長篇으로 시작했던 것과는 달리 中國의 小說은 宋代의 話本小說이 등장하면서 가능해졌다. 話本小說은 본래 說話人(이야기꾼)의 대본이었다. 그러던 것이 小說의 한 부류로 정착하게 되면서 文言이 아닌 口語를 활용한 小說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小說은 편폭이 길어지고 세밀한 묘사와 생동감 있는 내용을 갖추게 되었다. 이러한 小說의 발전과정에 맞춰 『兒女英雄傳』은 淸代에 이르러 탄생하였다. 『兒女英雄傳』은 文康이 창작한 小說로써 대표적인 俠義小說로 손꼽힌다. 여주인공인 何玉鳳의 형상과 협의 행위에 관한 묘사는 俠義小說 가운데서도 성공적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전까지의 俠義小說에서는 찾아 볼 수 없었던 협의와 애정을 결합한 소재는 후세의 武俠言情小說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淸代의 적지 않은 작품들이 唐代에 모태를 두고 있는데, 『兒女英雄傳』의 母胎本은 唐代 傳奇 『謝小娥傳』일 것이라는 가정에서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두 작품 간의 관계를 입증하기 위해 『謝小娥傳』에서 『兒女英雄傳』에 이르기까지 협의소설의 발전에 관한 연원을 살펴보았으며, 두 작품을 구성, 문체, 인물과 주제사상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 《莊子》寓言 分析 및 寓言에 나타난 敎育的 意味 硏究

        박초영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莊子》는 중국 고대에 ‘우언’ 이라는 말을 가장 일찍 사용한 책으로, 자신의 논리를 위하여 꾸며낸 이야기로 이루어진 우언은 문학적인 측면에서 가장 중시되어야 할《莊子》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莊子》우언을 분석하고 우언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를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莊子》우언이 어떤 제재로 구성되었는지 그 제재를 분석해 보았다. 《莊子》의 우언 중에서 우언으로서 가치가 있을 만한 문장을 정리한 후에 각 편의 우언들이 어떤 제재로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였다. 제재는 인물, 자연물, 신화·전설물, 의인화된 사물, 기타 이렇게 다섯 가지로 분석했으며, 각각의 우언이 위의 범위 안에서 어디에 속하며, 또 구체적으로 어떤 제재로 구성되었는지 도표로 정리하여 나타냈다. 그 외에도 우언의 제재분석과 함께 각 우언들에 어떠한 수사기법이 사용되었는지 분석하였다.《莊子》우언의 특징 중 하나가 바로 비유, 과장 등 여러 가지 수사기법을 활용했다는 것인데, 제재 분석에서 작성한 도표를 바탕으로 각 우언들이 어떤 수사기법을 활용했는지 분석해 보고 많이 활용된 수사기법의 우언 몇 가지를 예로 들어 좀 더 자세히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우언의 제재 분석, 수사기법 분석과 함께《莊子》우언에서 나타나는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장자는《莊子》의 저자로서 사상가이자 철학가이다. 따라서 장자가 말하려고 하는 그의 핵심 사상이 그의 저서인《莊子》에 집약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莊子》를 통해서 그가 말하고자 하는 여러 가지 사상들 중에서 현재 우리의 교육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것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는데, 우언을 통해서 나타난 교육적 의미를 자세히 고찰해 보았다. 먼저《莊子》우언에서 많이 나타나는 몇 가지 교육적 의미들을 선정해 보았다. 우언의 교육적 의미는 관용의 교육, 개성추구의 교육, 생명존중의 교육, 평등의 교육, 체험의 교육 이 다섯 가지로 언급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莊子》의 우언을 몇 가지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이러한《莊子》우언의 분석을 통하여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이 있었지만 잘 알지 못했던《莊子》우언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莊子》우언의 문학사적 성취를 고찰해 봄으로써 중국 문학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에 본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You can say that the allegory for representing one’s logic with a made-up story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Zhuang Zi> in the literary aspect, because <Zhuang Zi> is the book that firstly used the word allegory in ancient Chin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llegory of <Zhuang Zi> and investigate its educational meaning. The topics forming <Zhuang Zi>’s allegory have been analyzed firstly. After selecting sentences which are worthy of allegories among the allegories of <Zhuang Zi>, they have been analyzed what topic was used to each allegory. Topics have been analyzed with 5 categories; character, natural object, myth/legend, personified object and others. They have been also tabulated what allegory is involved in what category and what theme in concrete as well. Adding to the analysis on topics, it has been studied what kinds of rhetorical devices were used to each allegory. It is the one of allegorical characteristics of <Zhuang Zi> to use several rhetorical devices such as metaphor and hyperbole, so based on the tabulated chart for topic analysis, I checked which rhetorical devices were made use of in each allegory and examined them more closely, taking some cases of rhetorical allegories which were used a lot. Lastly, the educational meaning from allegories of <Zhuang Zi> has been examined. Zhuang Zi is the author of <Zhuang Zi>, a thinker and a philosopher. Thus,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his core thoughts what Zhuang Zi intended to say have been summarized in his work <Zhuang Zi>. It is found that our current education is related with his several thoughts what he intended to mentionthrough <Zhuang Zi>, and the education meaning of the allegory has been deeply considered here. First, some educational meanings shown a lot through allegories of <Zhuang Zi> have been selected. Educational meanings of allegories can be categorized into 5 meanings tolerance, the pursuit of individuality, respect for life, equality, and experience. You can find here some examples about <Zhuang Zi>’s allegories in this regard. I expect that this study helps you more understand about the allegory of <Zhuang Zi> which is not familiar with us, although it has been closely related with our life. And I’ll attach here the meaning that Chineseliterature can be understood through considering literary accomplishment of <Zhuang Zi>’s allegories.

      • 《京本通俗小說》硏究

        이량현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중국 소설사에서 宋代 話本小說은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전의 주류였던 문언소설에서 백화소설로 이전함에 따라 독자층이 확대 되었으며 더욱 많은 사람이 향유할 수 있는 문학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그 가운데 話本小說의 가장 오래된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고 보여 지는 宋代 7편의 話本小說集인《京本通俗小說》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관점으로《京本通俗小說》을 자세히 분석하고자 한다. 제 2장에서는《京本通俗小說》및 話本小說이 창작될 수 있었고 흥성할 수 있었던 宋代 배경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京本通俗小說》및 話本小說의 발생배경을 크게 2가지로 나누어서 분석하고자 한다. 第 1 節에서는 宋代의 時代的 배경을 알아보고 있고, 第 2 節에서는 宋代의 文學的 배경을 파악하고 있다. 제 3장에서는《京本通俗小說》의 7개 작품의 內容分析에 중점을 둔다.《京本通俗小說》내용에는 당시 사람들의 사상이 반영되어있다. 그런데 7개의 작품에서 표현하는 사상적 관점은 다양하다. 따라서《京本通俗小說》의 내용분석 통해 第 1 節에서 주제사상, 第 2 節에서는 종교적 사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제 4장에서는《京本通俗小說》의 體裁, 韻文의 套語性, 白話的 언어묘사가 가지는 특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京本通俗小說》은 入話-正話-篇尾의 話本小說의 體裁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운문의 활용은 매우 특징적인데 특히 투어적인 양상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이것은 구연의 흔적을 잘 보유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언어사용에 있어서 실생활 용어를 반영하는 백화를 구사하여 문학적으로 주목할 만하다. 마지막 제 5장에서는《京本通俗小說》연구를 종결하고 있다. 中&#22269;古代小&#35828;&#21457;展到了宋代,出&#29616;了一&#20010;非常重要的&#21464;化,就是由以前&#25285;&#24403;主流的文言小&#35828;&#36716;&#21464;到白&#35805;小&#35828;"&#35805;本"。&#38405;&#35835;小&#35828;的&#38454;&#23618;也得到&#25193;大,&#24182;且成&#20026;了更多人享受的一&#31181;文&#23398;形式。其中,宋代的七篇&#35805;本小&#35828;集《京本通俗小&#35828;》保留了&#35805;本小&#35828;最早的形&#24577;。本&#35770;文依照此&#35266;点&#23545;《京本通俗小&#35828;》&#36827;行分析。 第二章的&#30740;究重点是理解《京本通俗小&#35828;》及&#35805;本小&#35828;在宋代&#35806;生和&#20852;盛的&#21382;史背景。《京本通俗小&#35828;》及&#35805;本小&#35828;的&#21457;展背景大分&#20026;&#20004;&#31867;。第一&#33410;&#35848;到宋代的時代背景,第二&#33410;把握宋代的文&#23398;背景。 第三章的&#30740;究重点是分析《京本通俗小&#35828;》中的七篇作品的&#20869;容。《京本通俗小&#35828;》在&#20869;容上都反映了&#24403;&#26102;人民的思想,但是七篇小&#35828;所表&#36798;的&#35266;点却是各&#31181;各&#26679;的。因此,&#23545;《京本通俗小&#35828;》&#20869;容的分析分&#20026;第一&#33410;的主&#39064;思想分析和第二&#33410;的宗&#25945;思想分析。 第四章的&#30740;究重点在分析《京本通俗小&#35828;》的&#20307;裁,&#38901;文的套&#35821;性,白&#35805;的&#35821;言描述的特征。《京本通俗小&#35828;》保留了入&#35805;-正&#35805;-篇尾的&#35805;本小&#35828;&#20307;裁的特征,而且&#38901;文的活用是重要的特征,特&#21035;是套&#35821;性占有重要的地位,&#36825;可以&#35828;是保留了口&#35821;的痕迹。在&#35821;言使用上用于反映&#29616;&#23454;生活的用&#35821;就是白&#35805;,相&#23545;于文言文,白&#35805;能更直接更生&#21160;的描述人物的&#20010;性,而且更容易被大&#20247;接受和吸收。 第五章是&#23545;整篇《京本通俗小&#35828;》&#30740;究的&#24635;&#32467;和&#24402;&#32435;。 《京本通俗小&#35828;》中的故事情&#33410;生&#21160;,人物刻&#30011;,尤其是心理描&#20889;&#36798;到了一定的水平,生&#21160;、&#30495;&#23454;地反映了&#24403;&#26102;的社&#20250;生活及人民的思想。不但&#23545;小&#35828;史的&#30740;究具有&#24456;高的价&#20540;,也有相&#24403;重要的民俗、&#35821;言&#30740;究价&#20540;。

      • 《老殘遊記》에 나타난 藝術的 特徵 分析

        문나윤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Laocanyouji》is the only pure-literary work of Liu E written at the end of Qing Dynasty.《Laocanyouji》 is the novel in a travel essay style that the writer described what he saw, heard, and felt, in person on the journey of every region in China, and it is a full length novel with 20 volumes in the first part and 6 volumes in the second part. As censual novel is to criticize and rebuke sharply the political authority of those days, similar to chivalry novel and novel for public peace and order, it showed up at the end of Qing Dynasty and got into big public favor. Among the censual novels,《Guanchangxianxingji(官場現形記)》of Li Bao Jia, 《Ershinianmuduzhiguaixianzhuang(二十年目睹之怪現狀)》of Wu Wo Yao,《Laocanyouji》of Liu E, and 《Niehaihua(孼海花)》of Zeng Pu etc represented the social phenomenon the most, and they are called the major 4 censual novel.《Laocanyouji》of them is very unique to expose misconducts of officials of integrity, and it is the outstanding work literally and artistically in the aspect of its subject, pilot and detailed description etc. This study aims to synthesize researches up to now and examine in parallel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thematic thought which is given in《Laocanyouji》. First, the thematic thought of《Laocanyouji》has been analyzed in Chapter 3. Prior to analysis of artistic characteristics, I examined the thematic thought that this novel reflects. For this examination, the thematic thought has been classified into criticism of situations and politic, censure of cruel officials in Cheonggwan(淸官), and pursuit of ideal world. 《Laocanyouji》is more than just revealing and criticizing the politics and social aspect in chaotic days. It imaged a utopia without realizing the intention to save the public under tyranny and decaying nation. Furthermore, on the other hand, he presents a hope through ideal character who the writer seeks for, although he is critical of the politics and social aspect of those days. In Chapter 4, various artistic characteristics of《Laocanyouji》have been investigated. For analyzing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structure, technique of description, and shapes of characters have been examined. 《Laocanyouji》have been artistically accomplished in many aspects. The most outstanding of them is artistic value of sentences. Unlike other pieces of works, it is kept describing the people, landscapes, things etc. very well and actively, and bears vivid and bright colors. That’s why readers feel as if they are looking around there in reality. And《Laocanyouji》is written in elegant and refined style, so it’s very interesting to read in spite of the novel from Qing Dynasty. Characters in《Laocanyouji》are not meaningless, but their personality is in accordance with periodical and environmental effects and ideals of the writer. Pilot of《Laocanyouji》is well organized like this, and details are also smoothly composed in overall. In particular, it has various artistic characteristics. You can say that the real status of those days was expressed sometimes realistically, sometimes metaphorically, and the writer sublimated the work in art from an outstanding artistic view and senses. 《老殘遊記》는 淸末에 쓰여진 劉&#40346;(유악)의 순수문학적인 유일한 작품이다.《老殘遊記》는 작가 스스로 중국 각 지방을 여행하면서 실제로 보고 듣고 느낀점을 쓴 遊記體 소설이자, 초편 20회 · 속편 6회로 구성된 장편소설이다. 譴責小說은 당시의 정치권력에 대해 신랄하게 책망하고 꾸짖는다는 뜻으로, 義俠&#8228;公案小說과 비슷하게 청말에 등장하여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다. 견책소설 중에서도 사회의 현상을 가장 잘 반영한 작품으로 李寶嘉의《官場現形記》, 吳沃堯의《二十年目睹之怪現狀》, 劉&#40346;의《老殘遊記》, 曾樸의《孼海花》등이 있는데, 이들을 四大譴責小說이라고 한다. 그중《老殘遊記》는 청렴한 관리의 비행을 폭로하는 매우 독특한 것으로, 주제, 구성방식, 세부묘사 등 문학적, 예술적으로 뛰어난 작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제까지 연구된 것들을 종합하는 동시에,《老殘遊記》에 나타난 주제사상과 예술적 특징을 살펴봄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제3장에서는《老殘遊記》의 主題思想을 분석하였다. 예술적 특징 분석에 앞서 소설이 반영하고 있는 주제사상을 살펴보았다. 주제사상 분석에서는 時局과 정치에 대한 비판, 淸官酷吏에 대한 견책, 이상세계의 추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老殘遊記》는 단지 혼란스러운 시대 속의 정치와 사회상을 폭로, 비판하는데 그치지 않고, 기울어가는 나라를 구하고 虐政에 시달리는 백성들을 구하고자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이상향을 그려보았다. 그리고 여러 인물들의 형상을 통해서 신랄히 비판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작자가 추구하는 이상적 인물을 등장시켜 희망을 제시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老殘遊記》의 다양한 예술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예술적 특징 분석에는 구조적 특징, 묘사기법의 특징, 인물형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老殘遊記》는 여러 면에서 예술상의 성과를 거두었다. 그 가운데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文章의 예술성이다. 다른 작품과는 달리 작가의 뛰어난 관찰력과 묘사능력을 발휘하여 풍경과 인물, 사물에 대한 묘사 등이 잘 표현되었고 생동적이며, 선명한 색채를 띠고 있다. 그래서 독자들로 하여금 실제 그곳에 가서 구경하는 듯 한 착각에 빠져들게 한다. 그리고《老殘遊記》는 典雅한 문체로 이루어져 청대의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읽는 재미가 있다. 《老殘遊記》속의 인물의 성격은 아무런 의미 없이 부여된 것이 아니라 당시의 시대적&#8228;환경적 영향&#8228;작가의 이상에 따라 출현하고 있는 인물들에게 성격적 특징을 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이《老殘遊記》는 구성 방식이 잘 짜여 있으며, 전체적인 세부 처리도 매끄럽게 잘 이루어져 있다. 특히, 다양한 예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당시의 실상을 때로는 사실감 있게, 때로는 은유적으로 표현해냈으며, 탁월한 예술적 감각과 안목으로 작품을 예술적으로 승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 干寶의《搜神記》연구 : 異物과 人間과의 關係를 中心으로

        박혜준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위 · 진 남북조 시대는 360여 년간 끊임없는 전쟁과 병란이 일어났던 시기로, 쇠퇴해진 왕권과 혼란한 사회 속에서 백성들은 고통을 받아야만 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혼란한 시대 상황 속에서 전통적 이념이었던 유가의 관념에서 벗어나게 된 문인들은 개인의 문학창작의 계기를 만들어, ‘소설’이라는 당시에는 가치를 두지 않았던 장르가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또한, 불안한 사회 분위기로 인한 백성들의 괴로움은 당시에 널리 성행하던 새로운 사상들과 원시신앙에 투영되어, ‘志怪’라는 새로운 문학 장르를 개척하는 기반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하여 개인의 삶과 사회에 효용 있는 문장만을 문학으로 인정했던 고대 중국에서는 위 · 진 남북조 시대에 이르러서야 현대적 의미에서의 문학 개념의 정립의 기틀을 마련하게 된다. 이처럼 위 · 진 남북조 시대에 등장하는 지괴소설은 중국문학사 전반에 있어 과도기적 양상을 띠며, 중국 문학의 질적 발전에 도량 역할을 했던 장르이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지괴소설이 단순히 기이한 이야기들의 모음집일 뿐이라는 과거의 단편적인 연구 방향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각의 연구가 점차 시도되고 있다. 本稿에서는 위 · 진 남북조 지괴소설의 대표작인 干寶의《搜神記》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작품 안의 異物과 人間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비현실적인 이야기 구조가 대다수인 지괴소설 속에 반영되어 있는 당시 중국 고대인들의 사유방식을 알아보고자 한다.《搜神記》작품들을 살펴보게 되면 인간의 상상력에 의해 나타나는 여러 異物들의 등장과 함께 인간과의 다양한 형태의 관계가 인간이 주체가 되어 전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짧은 내용과 황당무계한 이야기가 대다수이지만, 고대 중국인들의 異物에 대한 인식과 그들과의 관계를 통해 어지러운 현 세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상의 도래를 희망하면서 더 큰 세계를 인식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볼 때,《搜神記》는 중국문학사에 있어 소설의 발전에 있어서의 맹아이며, 무한한 상상력이 가미된 설화의 보고이자, 그 시대 중국인들의 생활과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철학서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魏晋南北朝&#26102;代是在360多年&#38388;一直&#21457;生&#25112;&#20105;和兵&#20081;的&#26102;期。&#36825;&#26102;期王&#26435;逐&#28176;衰弱,因而社&#20250;&#24456;混&#20081;,所以老百姓&#36807;了痛苦&#33392;&#38590;的生活。在&#36825;混&#20081;的社&#20250;中文人&#25670;&#33073;了&#20256;&#32479;的儒家&#35266;念,而&#24320;始&#21019;作具有&#20010;性的文&#23398;作品,因而&#24320;&#36767;了&#24403;&#26102;不受&#27426;迎的“小&#35828;”&#20307;裁的&#21457;展可能性。&#24182;且&#24403;&#26102;社&#20250;不&#31283;定,老百姓的生活&#24456;&#33392;&#38590;,&#24403;&#26102;的文人把&#36825;&#26679;的社&#20250;情&#20917;都投影于&#24403;&#26102;流行的思想和原始信仰,奠定了被&#31216;&#20026;“志怪”的文&#23398;&#20307;裁的基&#30784;。古代文&#23398;只重&#35270;“文以&#36733;道”,&#21363;所&#35859;文&#23398;&#24212;&#35813;具有&#23545;社&#20250;的效用价&#20540;,而且文&#23398;&#20869;容&#24212;&#35813;具有做人的道理。因此到了魏晋南北朝&#26102;期才奠基了&#29616;代&#20542;向的文&#23398;&#35266;念。 在中&#22269;文&#23398;史上魏晋南北朝&#26102;期的志怪小&#35828;是中&#22269;&#36807;渡&#26102;期的文&#23398;&#20307;裁之一,而且&#23545;中&#22269;文&#23398;的&#21457;展做出了&#24456;大的&#36129;&#29486;。可是到&#29616;在一直&#35748;&#20026;志怪小&#35828;只是古怪故事的&#36873;集,因而最近&#24320;始&#25670;&#33073;&#36807;去&#23545;志怪小&#35828;的&#26029;片的&#30740;究而&#20174;多&#26679;的&#35266;点&#26469;&#30740;究。 干&#23453;的《搜神&#35760;》是魏晋南北朝&#26102;期志怪小&#35828;的代表作品,因此本稿把&#23427;作&#20026;&#30740;究&#23545;象。志怪小&#35828;的&#20869;容大部分都是以在作品中的&#24322;物和人&#38388;的&#20851;系&#20026;中心的非&#29616;&#23454;的故事,&#36825;&#31181;志怪小&#35828;反映了&#24403;&#26102;中&#22269;古代人的思&#32500;方式。《搜神&#35760;》作品中出&#29616;的多&#31181;&#24322;物都是人&#38388;的被造物,作品中&#23427;&#20204;和人&#38388;的&#20851;系&#24456;&#22797;&#26434;,可是&#20869;容大部分都以人&#38388;&#20026;中心展&#24320;。作品中大部分的&#20869;容&#34429;然都&#24456;短,而且荒唐无稽,但是可以看出古代中&#22269;人通&#36807;&#23545;&#24322;物的&#35748;&#35782;和&#19982;&#23427;&#20204;的&#20851;系期待着能&#22815;&#25670;&#33073;混&#20081;的&#29616;&#23454;,而且&#36824;期待着&#24456;有希望的新未&#26469;的到&#26469;。 &#20174;&#36825;&#26679;的角度&#26469;看,在中&#22269;文&#23398;史上《搜神&#35760;》不但是小&#35828;&#21457;展的萌芽,而且是具有无限的想象力的&#35828;&#35805;的&#23453;&#24211;,也可以&#35828;《搜神&#35760;》是能&#22815;看出&#24403;&#26102;中&#22269;人的生活和思想&#35266;念的哲&#23398;&#20070;。

      • 《鶯鶯傳》과《西廂記》比較硏究

        신현실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A literary work that its characteristics of a work was evaluated as an excellent work of a life history in Dang Dynasty is《Aeng Aeng Life》of Jin Won, since it includes all excellent literary values among works of the life history in the Dang Dynasty. 《Aeng Aeng Life》is a work about love between Aeng Aeng and Saeng Zhang, and a heroine, Aeng Aeng is a very beautiful and slender maiden and has talent and arts ability. Psychological pain of Aeng Aeng who is deserted by Saeng Zhang, sacrifices and endures all things under suppression of feudal teaching about courtesy makes readers feel sympathy and response, so this novel is widely read by people. Afterwards, Aeng Aeng Choi has been continuously noticed by poets, novelists and playwriters in history, and her love story continuously appeared in literary works of various genres. Ancient history was formed in a life history novel of《Aeng Aeng Life》 in the Dang Dynasty, various song types prevailed at the age was used in Song Dynasty and a work of large size called as《Seo Sang Gi》of Shil Bo Wang was formed along with prevalence of various dramas in Song Dynasty after passing through Gum Dynasty. The present paper studied characteristics of works like the life history novel and the various dramas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between《Aeng Aeng Life》that is a masterpiece of love-style life history novels and has been received love from Chinese people and《Seo Sang Gi》of typical various dramas in the Song Dynasty developed from the ancient history of Aeng Aeng, and it was analyzed that work patterns were generated by receiving what influence from 《Aeng Aeng Life》to《Seo Sang Gi》and there was what change in aspects of man shape and motif consciousness according to change of a work type. There was change in only a type as well as contents from《Aeng Aeng Life》to《Seo Sang Gi》, so conclusion structure was changed from a tragedy to a comedy as the end. It can be said that this is changed by varied mind of people according to the times background. As behavior of Saeng Zhang was criticized and Aeng Aeng deserted got sympathy from peop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the end was recreated as a conclusion that love between them was realized at las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ntents, comparatively much change was brought even in character shape. Shil Bo Wang created more personal and characteristic character shape through conflict between characters. 《Seo Sang Gi》recreated flat character shape in《Aeng Aeng Life》to be more characteristic and lively characters, so it could be one factor to make it a masterpiece capable of representing the times. It could be known that an idea of a writer was penetrated into characters and expressed in the work while analyzing character shape comparatively. The writer of《Aeng Aeng Life》, Jin Won had strong fame mind and the idea of feudal teaching about courtesy, and the writer of 《Seo Sang Gi》, Shil Bo Wang had a free loveism idea that removes the unethical feudal teaching about courtesy and seeks free love and marriage, so their motif mind was directly reflected to the two works. Also, it was compared about how marriage culture of women and social treatment to women were in the Dang and Song Dynasties through Aeng Aeng, a heroine of the work. Although it was not easy to view woman shape of the total times with one work, rough marriage and mind views was found by referring to background or customs, etc. of the times Chinese culture and idea of the times was understood by reading the works hard through this comparative study.

      • 小說 三國志의 變化樣相 硏究 : 回目과 內容의 變化를 중심으로

        옥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小說 三國志는 三國의 歷史를 根幹으로 하여 宋代부터 淸代까지 수백 년에 걸쳐 回目과 內容 및 體裁 등에서 많은 變化過程을 거친 끝에 우리가 알고 있는 지금의 版本形態로 定着하였다. 小說 三國志는 이러한 變化過程 속에서 版本 간의 系列이 생겨났으며, 系列에 따라 書名, 回目, 內容, 體裁 등에서 다양한 差異를 보인다. 또 같은 系列의 版本이라고 할지라도 동일 版本은 매우 드물며 대부분 상당히 差異가 나는 현상이 확인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小說 三國志의 變化過程에서 보이는 變化樣相에 대하여 書名, 回目, 內容, 體裁 등 전반에 걸쳐 比較 · 分析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동안 書誌 · 文獻에 대하여 부분적이고 단편적으로 연구되던 이론들을 整理하고 새롭게 分析함으로써 小說 三國志의 形成過程과 定着過程 전반에 걸친 變化過程을 한 번에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치밀한 分析을 위하여 먼저 國內 · 國外에 산재 되어있는 小說 三國志의 版本 자료들을 최대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版本들의 比較 · 分析을 통한 小說 三國志의 形成過程과 時代的特徵 그리고 書名에서 보이는 變化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도표로 整理하였다. 이러한 결과 書名에도 일정한 規則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書名 分析에 이어 주요하다고 판단되는 몇 개의 版本에 대하여 回目의 도표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回目의 變化程度와 變化原因 그리고 變化類型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 書名과 回目의 變化에 이어 內容 變化에 대한 分析도 진행하였는데, 이 또한 주요하다고 판단되는 몇 개의 版本에 대하여 版本 별 原文의 對照뿐만 아니라 正史와도 比較 · 分析하였다. 그리고 內容에 揷入되어 있는 揷入句 전체를 모두 整理한 후 揷入句에서 보이는 變化도 살펴봄으로써 內容과 揷入句 전반에 걸친 變化樣相을 면밀히 檢討하였다. 이 외에도『花關索傳』의 關索故事와 小說 三國志의 關係를 살펴보기 위하여 演義系列과 志傳系列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두 系列에서 關索故事가 回目과 內容에서 보이는 變化樣相을 중점적으로 比較하였다. 그리고 回目과 內容에서의 比較를 根據로 關索故事의 揷入 有無에 따라 演義系列과 志傳系列로 나뉘는 根據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整理하였다. 또 이후 小說 三國志에서 關索故事가 점차 사라지게 된 것에 대하여 몇 가지 原因을 고려하여 추론해 보았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小說 三國志의 變化樣相에 대하여 전반에 걸친 分析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각 版本의 內容과 體裁의 聯關關係를 살펴봄으로써 形成過程과 定着過程 전반에 걸친 變化過程을 다양한 版本을 根據로 세밀한 고찰을 하였다는 점에서 意義가 있다.

      • 《儒林外史》의 主題思想과 藝術的 特徵 分析

        박혜정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Rulin Waish, (儒林外史, The Plot of the Scholars)》 is not only the masterpiece of the 18th century Chinese novels but is the immortal satirical novel in Chinese novel history, written by Kyung Jae OH. 《Rulin Waishi》 is presenting the original spirit of the author by using the author's own age, society and family life as subject matters. Also, in the works are clearly presented the author's outlook on the world and the attitude of creation. 《Rulin Waishi》 is a full length satirical novel and the materials of which are the intellectuals' lives. OH is describing the features of intellectuals vividly to represent the social realities of Ching Dynas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thematic thoughts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Rulin Waishi》 based on what is studied until now. First, in chapter Ⅲ, the thematic thoughts of 《Rulin Waishi》 is analyzed. In the analysis of thematic thoughts, the four categories as following are reviewed : criticism on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satire on the tyranny of feudal officers and landlord, satire on the evil practices of feudal society, and pursuit of the ideal society. 《Rulin Waishi》 does not only criticize and satirize the contradiction and absurdity of the society, but also suggests the alternatives and the vision of the reality and educates the society by proposing the ideals of the author through ideal characters. Severe criticisms are done through various features of characters who represent the corrupted society, but, on the contrary, the hope is suggested by presenting the ideal characters whom the author pursues. In chapter Ⅳ, artistic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For artistic characteristics analysis, structural characteristics, satirical technique characteristics, character featuring characteristics, and linguistic expression technique characteristics are reviewed. 《Rulin Waishi》 has obtained artistic results in several aspects. The most prominent one of all is a sharp satire on the dark side of the society. 《Rulin Waishi》 has absorbed the experiences of the previous satirical novels and created new one to be on the top of Chinese classical satirical novels. The personality of characters in 《Rulin Waishi》 has not been given without meaning but endowed with characteristic features to the appear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age, environment, and ideal of the author. The linguistic artistic characteristics are simple but emphasizing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the characters. Each word is delicate, and each sentence is full of vividness. Likewise, 《Rulin Waishi》 is satirizing to show the society in those days concentratively, as well as containing various artistic characteristics. As the techniques are highly diverse, the contents deserve to draw attentions of people. Therefore, it is regarded as representative satirical novel in Ching Dynasty times and has made great influence to the later ages. 《儒林外史》는 18세기 중국 소설계의 걸작일 뿐만 아니라 중국소설 역사상 불후의 풍자소설로서 吳敬梓(오경재) 만년의 작품이다. 《儒林外史》는 작자 자신의 시대&#8228;사회 및 가정생활을 소재로 하여 작자의 독창정신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작품에는 작자의 세계관과 창작태도가 매우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儒林外史》는 지식인들의 생활을 제재로 한 장편 풍자소설이다. 吳敬梓는 생동감이 있게 지식인들의 형상들을 묘사하여 청대 시기의 사회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제까지 연구된 것들을 바탕으로 《儒林外史》에 나타난 주제사상과 예술적 특징을 살펴봄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제Ⅲ장에서는 《儒林外史》의 주제사상을 분석하였다. 주제사상 분석에서는 과거제도에 대한 비판, 봉건관료와 지주의 횡포 및 풍자, 봉건사회의 병폐에 대한 풍자, 이상적인 사회의 추구 등 네 가지로 분류해서 살펴보았다. 《儒林外史》는 단지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만을 비판하고 풍자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상적 인물상을 통해 작가의 이상을 제시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개선 방안과 비전을 제시하고 사회를 교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당시의 부패한 사회를 대변하는 여러 인물들의 형상을 통해서 신랄히 비판하고 있지만, 한편으로 작자가 추구하는 이상적 인물을 등장시켜 희망을 제시하고 있다. 제Ⅳ장에서는 예술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예술적 특징 분석에는 구조적 특징, 풍자기법의 특징, 인물형상의 특징, 언어 표현기법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儒林外史》는 여러 면에서 예술상의 성과를 거두었다. 그 가운데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사회의 어두운 면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이다. 《儒林外史》는 그 이전 시기 풍자소설의 경험을 섭취하고 새롭게 창조하여 중국 고전풍자소설의 최고봉에 올라섰다. 《儒林外史》속의 인물의 성격은 아무런 의미 없이 부여된 것이 아니라 당시의 시대적 영향 · 환경적 영향 · 작가의 이상에 따라 출현하고 있는 인물들에게 성격적 특징을 부여하고 있다. 《儒林外史》의 언어 예술적 특색은 간결하지만 인물의 가장 중요한 특징을 부각시키고 있다. 글자 하나하나가 치밀하며 문장마다 생생함이 넘쳐흐르고 있다. 이와 같이 《儒林外史》는 당시 사회를 집중적으로 풍자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예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로 그 수법들은 매우 다양하며 그 내용 또한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하다. 그러므로 청대 풍자소설의 대표로 손꼽히며 후대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