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몰입을 위한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 개발 : 사비나 미술관을 중심으로

        강다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5

        Development of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Program for Flow -A focus on Savina museum- Kang, Da Vin Major in Museum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Ryu. Jaman After COVID-19, many art galleries and museums developed exhibition experience programs using online spaces as a countermeasure against non-face-to-face situations. In that exhibitions can be enjoyed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online exhibition programs were used as a way to replace the existing exhibition methods. The online exhibition space drew attention for being able to provide the same experience as what you actually saw without visiting the actual space, being able to view anytime, anywhere, and being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 visitors in real time. However, the online exhibition space was criticized for not sufficiently inducing visitors to immerse themselves in that there was a limit to feeling the aura and atmosphere of the field given by exhibits in the actual exhibition space. In addition, depending on age and individual ability, they may not fully enjoy online exhibition spaces due to differences in their ability to manipulate smart devices.Since the online space is a virtual space, the fact that you can easily feel tired if you watch it for a long time is also a factor that hinders the flow of visitors and has limitation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viewing program by applying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of flow. In the flow theory organized by Csikszentmihalyi, a program that applies this was conceiv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three prerequisites necessary for flow: clear goal, immediate feedback, and challenge-skill balance.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4th graders of W Elementary School to check whether they experienced flow through flow scale tests, personal interview records, class recordings, and exhibition viewing appreci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whether learners could fully flow themselves in the online exhibition space to watch the exhibition, and what elements of the online exhibition viewing program helped flow.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i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struct an exhibition viewing program for flow, three prerequisites for flow must be included: "clear goal," "immediate feedback," and "challenge-skill balance." The students said that the pre-learning of exhibition viewing based on three elements was very positive for the exhibition viewing. Giving clear goals every hour and setting individual exhibition viewing goals helped them to recognize what they had to do in their activities, which naturally helped them to flow themselves in their activities. In addition, students were able to check whether they were following the activities well with immediate feedback from teachers and questions within the activity sheet that they could look back on themselve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forming prior knowledge necessary for viewing the exhibition and learning how to manipulate the online virtual art museum were very helpful in flowing themselves in viewing the exhibition. Second, as a result, mos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rogram experienced 'concentration on the task at hand'. 'Concentration on the task at hand' means that when an actor focuses on a task, he or she does not think about anything other than the task. The students said that when they watched the exhibition, they did not think about anything other than the contents of the work they were watching or their thoughts on the work, and they were only able to focus on the exhibition. In fact, none of the students did anything other than watching the exhibition during class. Thir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rogram also experienced 'transformation of time'. Most people who experience flow experience a 'transformation of time', often referring to feeling so focused that they lost track of time. Students were surprised to hear the notification of the end of class, such as "Are you done already?" and "Why is the time so short?" the most common words in class. It proves that most students were flowed in this exhibition program. Four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and viewing program had a 'autotelic experience'. Students started with a sense of duty that everyone should attend classes, but by the end of the program, they would rather try more enjoyed it for the purpose of viewing the exhibition itself, such as wanting to go to an art museum, and they felt like I wanted to experience it more. Although it was an online space, it is expected to be a good motivating factor for future museum visits through the positive experience of exhibition viewing.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been revealed that exhibition viewing programs using online exhibition spaces can sufficiently attract viewers' flow. It can be a very good substitute for those who cannot visit and see an actual art museum due to conditions. In particular, for students in rural areas, such an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and viewing program can give them a new flow experience and act as a motivating factor to visit the actual art museum. In addition, it will be of great significance because more people can enjoy various exhibitions if they can fully flow themselves in the works of famous overseas art museums through online exhibition spaces. keywords : online exhibition, virtual museum, museum program, flow 몰입을 위한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 개발 -사비나 미술관을 중심으로- 강다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박물관미술관교육전공 ( 지도교수 류재만 ) 분위기를 느끼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관람객의 몰입을 충분히 유도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연령, 개인의 능력에 따라 스마트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역량의 차이로 인해 온라인 전시 공간을 충분히 즐기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온라인 공간은 가상공간이다 보니 오랜 시간 관람할 경우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도 관람객의 몰입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몰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이론 을 적용하여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칙센트미 하이가 정리한 몰입 이론에서 몰입에 필요한 전제 조건 3가지(명확한 목표, 즉 각적인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균형)에 주목하여 이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구상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W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몰입을 경험 하였는지를 몰입 척도 검사, 개인 면담 기록, 수업 녹화 장면, 전시 관람 감상 문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이 온라인 전시 공간에 서도 충분히 몰입하여 전시를 관람할 수 있는지, 온라인 전시 관람 프로그램의 어떠한 요소가 몰입에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몰입을 위한 전시 관람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 ‘즉각적인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균형’ 3가지 몰입의 전제 조건 요소를 포함 해야 한다. 학생들은 3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전시 관람 사전학습이 본 전시 관람에 매우 긍정적인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차시별로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고, 개별적인 전시 관람 목표를 설정한 것이 활동에서 스스로 해야 할 일 을 인지하도록 도움을 주었고 이는 자연스럽게 몰입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학 생들은 프로그램 참여 중 교사의 즉각적인 피드백과 스스로 돌아볼 수 있는 활 동지 내 질문들로 활동 내용을 잘 따라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 다. 더하여 본 전시 관람에 필요한 사전 지식을 형성하고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의 조작 방법을 익힌 내용이 본 전시 관람에 몰입하는 데 매우 큰 도움이 된 것 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 결과 본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대부분 ‘과제에 대한 집 중’을 경험하였다. ‘과제에 대한 집중’은 행위자가 어떠한 과제에 집중하게 되 면 과제 이외의 어떠한 생각도 하지 않게 되는 것을 말한다. 학생들은 본 전시 를 관람할 때 관람하고 있는 작품의 내용이나 작품에 관한 생각 외에 다른 생각 은 하지 않았고 오직 전시에 집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수업 시간 중 전시 관람이 아닌 다른 행동을 하는 학생은 한 명도 찾아볼 수 없었다. 셋째, 본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시간 감각의 변형’도 경험하였 다. 몰입을 경험하는 사람 대부분은 ‘시간 감각의 변형’을 경험하게 되는데, 흔 히 너무 집중한 나머지 시간 가는 줄 몰랐다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학생들은 수업 중 가장 많이 했던 말이 “벌써 끝났어요?”, “왜 이렇게 시간이 짧아요?”와 같이 수업 시간 마무리 알림을 듣고 놀라는 표현들이었다. 학생 대부분이 본 전 시 프로그램에 몰입했다는 것을 방증한다. 넷째,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기 목 적적 경험’을 하였다. 학생들은 누구나 수업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무감으로 처 음엔 시작했으나, 프로그램이 마무리될 즈음에는 오히려 더해보고 싶다거나 직 접 미술관에 가보고 싶다는 등 전시 관람 그 자체를 목적으로 즐겼고 또 더 경 험하고 싶은 마음을 느꼈다. 이는 비록 온라인 공간이었지만 전시 관람의 긍정 적인 경험을 통해 앞으로의 미술관 방문에도 좋은 동기 요인이 될 것이라 예상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전시 공간을 활용한 전시 관람 프로그램도 충분히 관람자들의 몰입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여건 상 실제 미술관에 방문하여 관람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아주 좋은 대체재가 될 수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의 학생들에게는 이와 같은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 시 관람 프로그램이 새로운 몰입 경험을 안겨주어 실제 미술관에 방문하게 되는 동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해외 유명 미술관의 작품들을 온라인 전시 공간을 통해 충분히 몰입하여 감상할 수 있다면 더 많은 사람이 다양한 전시를 향유할 수 있게 되므로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주요어: 온라인 전시, 버추얼 미술관, 미술관 프로그램, 몰입 * 본 논문은 2023년 1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흰쥐 구개발생중 E-cadherin의 발현에 관한 연구

        이신규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박사

        RANK : 247615

        구개(palate)는 상악융기에서 기원하는 구개돌기(palatine process)가 처음에는 혀를 향하여 사하방으로 돌출하고, 이후 혀 상방으로 상승하여 서로간에 융합하여 완성된다. 이러한 구개의 발생과정중 구개돌기의 상승에는 구개돌기내 간엽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구개돌기간의 융합에는 구개돌기상피가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구개돌기의 상승과 구개돌기간의 융합이 일어나지 않으면 구개열(cleft palate)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E-cadherin은 조직의 분화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간 결합물질로서 발생 초기단계에서부터 발현되며 성체에서는 표피, 대부분의 선상피 및 여러 상피세포에서 나타난다. 또한 E-cadherin의 발현에 이상이 생기거나 기능상에 장애가 일어나면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형되거나, 암세포의 전이가 일어나므로 암의 발생 및 암의 전이와 E-cadherin의 발현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상과 같이 E-cadherin은 초기발생단계뿐만 아니라 조직의 분화 및 성장에도 필수적인 물질로 작용하므로 본 연구자는 흰쥐의 정상적인 구개발생과정에서 발생시기에 따른 E-cadherin의 발현양상을 관찰하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체중 200gm 내외의 암수 흰쥐를 교배시켜 임신한 모체내의 태아를 사용하였다. 임신의 판정은 야간에 질도말법을 시행하여 발정주기가 발정기를 나타내는 암컷 흰쥐를 수컷 흰쥐와 교배시켜 다음날 아침 질도말법으로 질내 정자의 유무를 관찰하여 정자가 확인된 날을 임신 제 1일로 하였다. 제왕절개술로 적출한 태령 제 13일, 14일, 15일, 16일 및 18일 흰쥐태아를 고정하고, 조직절편을 제작하여 E-cadherin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면역활성 반응정도에 따라 강한 양성반응, 중등도 양성반응, 약한 양성반응, 미약한 양성반응 및 음성반응으로 구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태령 제 13일 흰쥐에서 구강은 비강과 넓게 통하고 있었고, 혀를 향하여 비스듬히 돌출한 구개돌기는 간엽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E-cadher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구개돌기의 내첨단상피세포는 미약한 양성반응을, 구개돌기 수평부의 상피세포는 약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2. 태령 제 14일 흰쥐에서 상승중인 구개돌기로 인하여 구강과 비강이 분리되기 시작하였고, 양측의 구개돌기 하방에서 혀가 관찰되었으며, E-cadher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내첨단상피세포는 약한 양성반응을, 구강에 연한 구개돌기의 상피세포는 중등도의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3. 태령 제 15일 흰쥐에서 양측의 구개돌기와 비중격이 서로 융합하여 구강과 비강이 완전히 분리된 소견을 보였으며, E-cadher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양측의 구개돌기가 서로 융합한 부위의 상피세포에서는 미약한 양성반응을, 구강에 연한 구개돌기의 상피세포는 약한 혹은 중등도의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4. 태령 제 16일 흰쥐에서 구개돌기간의 융합선이 소실되어 있었고, E-cadher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소견상 구개의 상피세포는 세포의 윤곽이 잘 관찰되어 중등도 혹은 강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5.태령 제 18일 흰쥐에서 구개내에 간엽조직이 치밀화되는 소견을 보였고, E-cadher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소견상 구개의 상피세포는 중등도 혹은 강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구개발생중 E-cadherin에 대한 면역활성소견상 양측의 구개돌기가 융합하기 전단계인 태령 제 13,14일에는 내첨단상피세포에서는 미약한 혹은 약한 양성반응을 보였고 구강에 연한 상피세포에서는 약한 혹은 중등도의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융합이 완성되는 태령 제 15일부터 제 18일까지 구개상피는 중등도 혹은 강한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바, 구강에 연한 상피세포에서 발현되는 E-cadherin이 구개의 융합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피부손상 치유시 진피층내 fibronectin, type I 및 type III collagen의 발현에 대한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조임철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박사

        RANK : 247615

        피부의 창상치유과정에서 창상부위에 형성되는 육아조직이 정상적인 결합조직으로 재형성(remodeling)되는 동안 세포와 세포외기질의 접착물질로 알려진 당단백질인 fibronectin, I형 및 III형 교원질이 재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는 창상치유과정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fibronection의 분포 위치와 양의 변화뿐만 아니라 창상치유시 형성되는 I형 및 III형 교원질과 fibronectin간의 상호 밀접한 분포관계를 추적하고자 면역전자현미경적 방법으로 이들 당단백 물질을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청정동물실에서 사육한 수컷 흰쥐(Sprague- Dawley strain)를 사용하였고, 실험동물의 등쪽 피부에 단순절개술을 시행하고 즉시 봉합한 후 2일, 3일, 5일 및 7일 경과후에 피부조직을 절취하여 고정시키고 전자현미경용 초박절편을 제작하였다. 면역조직염색을 위하여 일차항체로 rabbit anti-rat collagen type I polyclonal antibody, rabbit anti-rat collagen type III polyclonal antibody 및 rabbit anti-rat fibronectin polyclonal antibody등을 사용하여 Tris buffer에 1:20 비율로 희석하여 실온에서 반응시켰고, Tween 20과 NaCl이 함유된 gold conjugated biotinylated goat anti-rabbit IgG를 이차항체로 사용하여 면역반응염색을 시행하였으며, uranyl acetate로 염색한 다음 Hitachi-600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형 교원질은 창상후 3일군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고, 창상후 5일군과 7일군에서는 중등도의 양성반응을 보였다. 2. III형 교원질은 창상후 3일군 및 5일군에서 약한 반응을 나타내었고, 7일군에서는 약간 반응이 증가되어 대조군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3. Fibronectin은 창상후 2일군과 3일군에서는 중등도의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창상후 5일군에서는 강한 반응을 조직 전반에 걸쳐 나타내었으며, 창상후 7일군에서는 약한 양성반응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I형 및 III형 교원질은 육아조직 말기에 이르러 반응이 증가되어 있었고, 신생조직의 섬유형성 이후부터는 일정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fibronectin은 창상직후 육아조직 형성시기부터 새로운 정상적인 조직의 세포외기질 형성 직전까지 창상치유에 주도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이 공감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이은지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공감은 상대방의 감정, 생각 및 상대방이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그에 알맞은 감정을 느끼는 것이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공감은 초등학습자의 문제행동 감소, 갈등해결, 학교생활 적응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공감능력은 학습자의 사회성 형성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공감능력은 미술과의 성격 및 교과 역량과 관련이 있다. 2015 미술과 교육과정은 미술 시간에 시각 이미지를 주제로 의사소통하는 과정에서 타인과 감정과 생각을 이해, 공감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인성을 함양할 수 있다고 하였다. 미술과의 다섯 교과 역량 중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은 미술 활동 중 다른 사람의 생각과 느낌을 이해, 존중하는 능력으로 공감과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은 공감과 미술 수업과의 연관성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술 시간에 초등학습자들의 공감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역할놀이를 활용하였다. 역할놀이는 다른 사람의 역할이 되어 그 역할에 맞게 행동하는 놀이로 다른 사람이 되어 본다는 점에서 공감과 비슷한 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이 공감능력 신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초등학생 2학년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초등학교 2학년 학습자 30명에게 수업을 적용하였다. 측정 도구는 기존에 있던 공감능력 검사지를 미술 감상과 관련된 내용으로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학습 모형은 류재만(2004)의 감상 학습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학습모형의 모든 단계에서 역할놀이를 하는 것은 여건상 어렵기 때문에 역할놀이를 활용하기 적합한 단계를 선택하여 3회기 10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을 진행하고 난 후 공감능력 사전, 사후검사지, 동영상 녹화자료, 학습지, 참여일지를 바탕으로 본 미술 감상 수업이 학습자의 공감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은 학습자들의 흥미 유발에 도움이 된다. 학습자들의 참여일지를 분석한 결과 역할놀이를 통해 미술 감상을 하면서 흥미를 느꼈다는 반응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하여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이 흥미 유발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은 공감능력 신장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통계 검증 결과 공감능력 사후검사 점수는 사전검사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사후검사 평균 점수도 사전검사 평균 점수보다 상승하였다. 셋째, 인지적 공감능력 신장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인지적 공감능력의 하위요소인 감정재인, 역할 취하기의 사후점수 평균이 사전점수에 비하여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사후검사 점수가 사전검사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정의적 공감능력 신장에도 효과가 있었다. 정의적 공감능력의 하위요소인 정서적 전이, 공감적 관심의 평균 점수가 상승하였으며 사후검사 점수가 사전검사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은 초등학생 2학년의 공감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가 앞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되어 학생들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고 미술 감상 수업을 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Empathy is understanding emotion and thoughts of others and their situation and feeling the appropriate emotions. According to precedent studies, empathy makes positive effect on reducing problematic behavior, resolving conflict,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elementary learners. As said, empathic ability is very important in social formation of learners. The empathic ability is related with nature and subject competency of art. The 2015 art curriculum stated that students can naturally cultivate character by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with emotion and thoughts of others during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visual image as a topic in art classes. Among five competencies of art subject, ‘self-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respect thoughts and feelings of others and is related with empathy. This study focused on the link between empathy and art classes and used role-play as a way to improve empathic ability of elementary learners in art classes. It is because role-play is a game of playing someone else’s role and behaving appropriately for the role that there are similarities with empathy in terms of becoming a different pers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role-play on improving empathic ability. This study selecte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taking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and applied the class on 30 2nd grade elementary students. For measurement tool, this study reconstructed existing questionnaire of empathic ability with art appreciation related contents. Appreciation learning model of Ryu Jae-Man(2004) was used as a learning model, and conducted 3 sessions of a set of 10 classes by selecting an appropriate stage to use role-play because it is difficult of conduct role-play in every step of the learning model. After the clas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art appreciation class on improving empathic ability of learners based on pre/post questionnaire of empathic ability, video recordings, workbook, and participation journa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role-play is helpful for arousing interest of learn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participation journal of learners, it was identified that learners felt interest while appreciating art through role-play and that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role-play is helpful for arousing interest. Secondly,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role-play had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empathic ability.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verification result, post-test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test scores, and average score of post-test increased more than the average score of pre-test. Thirdly, it had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cognitive empathic ability. The average post-score of taking a role which is a subfactor of cognitive empathic ability increased more than the pre-score, and post-test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score. Fourthly, it also had effects on improving affective empathic ability. Average score of subfactors of affective empathic ability as emotional transference and empathic concern increased and post-test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score. When all the results were combined, it was identified that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role-play makes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empathic ability of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schools in the future to improve empathic ability of students and in conducting art appreciation classes.

      • 미술 경매 활용 감상 활동이 미적 가치 판단에 미치는 영향

        이은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사회에서 문화 예술에 대한 비중이 커지게 되면서 미술 작품이 많이 생성되고 미술 시장도 커지게 되었다. 또한 특정 계층만 미술을 향유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기호로 모든 사람들이 소비할 수 있는 대중 문화로 자리잡았다. 이제는 누구나 쉽게 미술 경매나 미술품 구매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인터넷 등의 매체로 쉽고 저렴한 가격으로도 작가의 미술품을 구매하고 소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듯 미술품 향유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면서 우리는 미술품을 자신의 기준을 세워 가치 판단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본 연구는 미술 경매 활동을 통하여 아동이 자신의 미적 가치 판단을 기르는 미술 감상 수업을 실시하고, 이 수업이 학습자들의 가치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미술 경매는 학습자들이 자신의 가치 판단을 점검하고 종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좋은 수업 활동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 경매를 통한 학습자의 가치 판단을 신장시키는 지도 방안을 연구하여 총 7차시의 수업을 설계하였으며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미술 경매 활동이 학습자의 가치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총 7차시의 수업을 개발하여 성남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6명(남 11명, 여 15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행하였다. 적용에 대한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활동 사진, 관찰, 연구 일지, 활동지, 소감문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경매 활동을 통하여 미적 가치 판단의 요소 중 소재성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학생들은 작품에 어떤 소재가 표현되었는지를 찾아내어 이를 토대로 내가 좋아하는 소재를 골랐으며 그것을 미적 가치판단의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미술 경매 활동을 통하여 미적 가치 판단의 요소 중 독특성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학생들은 어떤 작품이든 그 작품만의 특색이나 독특한 점이 있음을 인지하고 그것이 미적 가치 판단에 영향을 끼쳤다. 셋째, 미술 경매 활동을 통하여 미적 가치 판단의 요소 중 조형성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학생들은 작품을 보고 형태, 색채, 사실성 등의 측면에서 미적 요소를 찾고 그것이 미적 가치 판단에 영향을 끼쳤다. 넷째, 미술 경매 활동을 통하여 미적 가치 판단의 요소 중 주제성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학생들은 작가가 어떤 의도를 가지고 작품을 만들었는지, 작품 속에 담긴 이야기나 주제는 무엇인지를 추측해보며 자신에게 와닿는 작품의 미적 가치를 높게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미술 경매 활용 감상 활동을 통하여 미적 가치 판단 요소가 확장되었다. 사전에 학생들이 위의 가치 판단 요소의 일부만 가지고 작품을 판단했다면 미술 경매활용 감상 활동 이후에는 위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감상하고 가치를 판단하게 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 경매 활용 미술 감상 활동이 미적 가치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여 미적 가치 판단의 교육적 의의를 도출하였다. 기존의 미술 감상 교육은 미술품의 정보나 감상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활동이 주라는 한계가 있었다. 앞으로의 미술 감상 교육은 스스로 미술을 향유하는 주체자가 되어 자신만의 기준으로 미술품을 가치 판단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 상업광고 비평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증진 방안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주혜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상업광고는 현대사회의 범람하는 시각문화 속에서 중요한 미적 대상 중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 상업광고는 제품의 영리 추구라는 광고제작자의 제작의도가 반영된다는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수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미술과에서 비판적 사고력이란 잘 다루어지지 않은 영역이지만, 비판적 사고력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핵심 역량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학생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상업광고를 통해 비판적 사고력의 증진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학생이 상업광고의 내포된 의미를 기반으로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광고의 의미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우선 문헌연구를 통하여 상업광고에 대한 개념 및 구성요소, 감상과 비평의 차이, 비판적 사고력의 개념 및 구성요소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11차시 분량의 수업을 구상하여 예비연구를 실시한 후, 이를 연구 대상에 직접 적용하였다. 효과적인 연구 진행을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한 교사의 연구일지, 수업관찰 녹취록, 학생 심층면담, 수업 활동지, 사전 설문지, 사후 설문지 등을 활용하였다. 먼저, 교사의 연구일지를 전사하여 수업 시간에 교사의 생각 및 성찰내용 등을 살펴보았고 수업관찰 녹취록을 전사하여 수업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들을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학생 심층면담 및 사전・사후 설문을 통하여 학생의 사고력 변화 양상 등을 분석하고 수업 활동지 및 학생들의 작품을 수집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이 다면적인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상업광고 비평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아래와 같은 변화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비판적 사고력의 사실적 차원이 증진되었다. 상업광고의 비평 활동에서 다양한 정보를 사실과 의견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타당한 근거를 바탕으로 자신의 의견을 정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비판적 사고력의 논리적 차원이 증진되었다. 상업광고에 대해 탐구할 때 이전보다 타당한 근거에 의해 판단하였고 타인의 주장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비판적 사고력의 이념적 차원이 증진되었다.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봄으로써 상업광고의 제작의도를 파악하고 광고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광고에 대한 감상능력이 증진되었다. 상업광고에 대한 분석 능력이 증진되어 상업광고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인지해낼 수 있었고, 광고의 의미를 해석하는 능력이 증진되어 광고의 주제를 찾아보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업광고에 대한 흥미가 증진되었다. 본 연구의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대부분의 학생들이 상업광고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생겼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술 감상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의 미술 교육은 실제 삶과 괴리된 작품을 다룬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으며, 미술과에서의 비판적 사고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학생들의 실제 삶을 반영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여 학생들이 현대사회에 필요한 핵심적 역량을 기를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미술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 보도사진 감상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신장 방안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이슬기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modern society is filled with various visual culture. Photography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esthetic object and communication tool. This study focused on photojournalism to study the teaching method for critical thinking. News photographs not only deal with the various social issues but also reflect the intention of photographer which requires critical acceptance. Critical thinking is an important capability in modern soceity filled with images. Learners must learn critical thinking ability to recognize the meaning and context contained in the photograph, and accept it critically to prevent consuming the image fragmentarily.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teaching method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by appreciating news photographs, recognizing social issues and critically reading the images for the elementary upper graders. First, the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to extract concept and factors of critical thinking and recomposed those into proper form for the study, conducted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photojournalism to design image appreciation class model. The study designed a class with 12 sessions and conducted class targeting elementary fifth graders. The study was a execution research based on qualitative study, which collected various data based on triangulation and analyzed the results. First, the study collected study journal by observing and recording the class and categorized through coding analysis. Second, through unofficial interview data, the changes of learners was analyzed, and to supplement the qualitative study, the study utilized statistical data of the survey as quantitative study data. Third, the study collected class worksheets and students' works as non-intervention data to draw up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e learners' ability to recognize social problem improved through appreciating news photographs. As news photographs suggest various social issues, it provides learners a chance to critically recognize and reflect on the social issues. Second, the thinking ability and tendency about realistic level of critical thinking was improved through appreciating news photographs. The learners showed attitude to clearly observe the picture, separate information into fact and opinion, choose credible information and interpret the meaning of photograph. Third, the learners' thinking ability and tendency about logical level of critical thinking was improved through appreciating news photographs. They showed attitude of insisting opinion based on reasonable grounds whe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photograph, and when the grounds were satisfying, they recognized others' opinion as truth and considered upon it. Fourth, the learners' thinking ability and tendency about ideological level of critical thinking was improved through appreciating news photographs. By appreciating the photograph from various point of view, respecting others' opinion, trying to understand the intention of photograph or posing questions about them, the learners were able to improve their critical thinking ability. Fifth, the learners' ability to appreciating photographic image was improved through appreciating news photographs. The photograph appreciation ability was separated into an ability to observe visual elements and an ability to interpret the meaning for analysis. By subjectively interpreting the meaning of photograph based on observation and reasonable ground, the learners' confidence regarding appreciation was improved. Finally, the learners' interest to photograph media was improved through appreciating news photographs. Compared to previous survey results, the interest toward photograph appreciation activity increased, showed expectation for follow-up activity, and learners recognized positive changes. This study contemplate on measures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through photojournalism appreciation and drew up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in critical thinking. The previous art education overlooked context and social meaning of artwork, and only focused on aesthetical and formal aspect. Art education corresponding to post modernism society must actualize education in the lives of learners, and must instruct them to think critically about the visual subject from various points of view. 현대 사회는 다양한 시각문화가 범람하는 사회로서 사진은 중요한 미적 대상이자 소통의 도구가 되었다. 본 연구는 소통 도구로서의 사진을 재조명하여 보도사진을 활용한 비판적 사고력의 지도 방안을 연구하였다. 보도사진이란 다양한 사회문제를 다루는 한편, 사진기자의 의도가 반영된다는 점에서 비판적인 수용이 필요한 사진이다. 비판적 사고력은 이미지가 범람하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핵심 역량이다. 학습자는 비판적 사고력을 통하여 사진에 내포된 의미와 맥락을 인지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이미지를 단편적으로 소비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보도사진 감상을 통하여 다양한 사회문제를 인식하며 이미지를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지도 방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진행은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비판적 사고력의 개념 및 구성 요소를 추출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형태로 재구성하였으며, 보도사진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총 12차시의 수업을 설계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를 통한 실행연구로서 삼각 검증법에 따라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수업 장면을 관찰․녹취하고 연구일지를 수집하여 전사한 후 코딩 분석을 통해 범주화하였다. 둘째, 비공식적 면담 자료를 통해 학습자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질적 연구를 보완하기 위하여 양적 연구 자료로서 설문지의 통계 자료를 활용하였다. 셋째, 비개입 데이터로서 활동 결과물인 학습지 및 학생 작품을 수집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실행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도사진 감상을 통하여 사회문제를 인식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보도사진은 사회문화적 맥락을 통하여 다양한 사회문제를 제시하므로 학습자가 사회문제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둘째, 보도사진 감상을 통하여 비판적 사고력의 사실적 차원에 대한 사고 기능 및 성향이 향상되었다. 다양한 정보를 사실과 의견으로 구분하고 사진을 보다 명료하게 관찰하려는 태도를 보이며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선택하여 작품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보도사진 감상을 통하여 비판적 사고력의 논리적 차원에 대한 사고 기능 및 성향이 향상되었다. 작품의 의미를 해석할 때 타당한 근거에 따라 의견을 주장하며 타인의 진술에 대하여 근거가 충분한 경우에 진실로 인정하며 숙고하는 태도를 보였다. 넷째, 보도사진 감상을 통하여 비판적 사고력의 이념적 차원에 대한 사고 기능 및 성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을 다양한 관점에서 감상하고 타인의 관점을 존중하며, 사진의 숨겨진 내용을 파악하거나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사진을 비판적으로 읽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다섯째, 보도사진 감상을 통하여 사진 이미지를 감상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사진 감상 능력은 시각적 요소에 대한 관찰력과 의미를 해석하는 능력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사진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타당한 근거에 따라 사진의 의미를 주체적으로 해석하며 감상 활동에 자신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보도사진 감상을 통하여 사진 매체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가 향상되었다. 사전 설문 결과에 비하여 사진 감상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향상되어 후속 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으며 학습자 스스로 긍정적인 변화를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보도사진 감상을 통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비판적 사고력의 미술 교육적 의의를 도출하였다. 기존의 미술 교육은 작품의 맥락과 사회적 의미를 간과하고 미적, 형식적 측면에만 집중하는 한계가 있었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부합하는 미술 교육은 학습자의 삶 속에서 교육 내용을 구현해야 하며 시각적 대상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 모의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 비평 수업 연구

        김혜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미술 감상 교육의 목적은 풍부한 감성을 기르고 미술 작품을 비평할 수 있는 지적인 미적 인식 능력을 높여 궁극적으로는 미술 문화를 향유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미술 감상 능력은 감성과 지성이 융합된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비단 표현 영역 뿐 만이 아닌 미적체험, 표현 , 감상 영역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지도되어야만 이러한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이러한 미술 감상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모의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 비평 수업 연구를 구안하였다. 학생들의 작품을 활용하여 모의 미술관을 설치하고 도슨트가 되어 작품을 설명하고 관람객이 되어 전시를 관람하는 일종의 역할극을 통해 감상 수업의 흥미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미술 작품 비평 능력을 높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수업을 구현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먼저 선행 연구들을 통해 필요한 모의 미술관 학습법의 개념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미술 교과서 및 지도서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단원을 도출하여, 학생들이 미술작품들을 3월-5월까지 제작하도록 하였다. 그 다음에 모의 미술관을 설치하고 관람하기 위하여 작품 선정-전시-감상 절차에 따라 수업을 하였다. 이러한 수업의 실제적인 적용을 위해 실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5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적용하였다. 전시기획 및 역할분담, 역할별 활동, 모의 미술관 전시 감상 및 비평, 작품 심화 비평, 전시 평가의 수업과정을 바탕으로 학생작품으로 학급모의 미술관을 구현하였다. 학생들은 자신의 작품과 친구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전시를 기획하였다. 전시 홍보자가 되어 홍보물을 만들고 작품들을 배치하여 전시를 디자인 하였다.모의 미술관 전시 당일에는 도슨트가 되어 학생 자신과 친구들의 작품을 설명하거나 관람객이 되어 도슨트의 설명을 듣고 워크시트를 작성하며 작품을 감상해보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감상한 친구들의 작품 중 한 작품을 선정하여 다시한번 감상해 보고 펠드먼의 4단계 비평에 따라 비평문을 글로 써보고, 친구들과 이야기, 토론을 해보는 수업을 적용하였다. 학습 실시 후, 소감문과 자기 평가를 통해 수업 적용 결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모의 미술관을 활용한 비평 수업은 미적체험과 비평활동을 교과서의 도판 작품 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교과서의 도판 그림은 너무 작고 질감이나 색채감을 느끼기에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학급 모의 미술관 전시회는 효과적인 미술비평 수업을 할 수 있는 직접적인 기회가 되었다. 둘째, 미술작품 비평능력이 향상되었다. 사전-사후 실태조사와 비평 학습지와 감상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를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 후에 훨씬 향상이 많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미술비평 수업 후, 표현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해 볼 수 있다.친구들이 제작한 작품들을 감상하면서 자신의 작품과 비교하는 활동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친구들의 작품의 의도나 제작 배경, 기법들을 학습하며 다음의 표현활동에 적용해볼 수 있도록 하는 경험을 가지게 되었다.. 넷째, 미술관 관람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해 볼 수 있다. 학급 모의 미술관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은 미술관 관람예절을 배웠다. 이를 통해 미술관이라는 장소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미술관이라는 공공장소에서 지켜야할 예절을 습득하여 실제 미술관에서의 관람태도에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다섯째, 모의 미술관 전시회 학습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미술관 관련 직업들을 경험 할 수 있었다. 큐레이터, 전시 디자이너, 전시 홍보자, 도슨트 등의 여러 직업을 경험해 봄으로서 진로지도의 효과도 가져왔다. 여섯째, 학생들은 성취감과 협동심을 기를 수 있었다. 학생들 스스로 구상해낸 작품을 전시를 함으로써 친구들에게 자신의 작품을 보여주는 과정에서 성취감을 느꼈다. 또한 학급 모의 미술관 전시회를 기획하며 전시를 디자인하고 홍보하며 전시회에서 직접 도슨트가되어 설명하는 역할을 나누어 맡아 전시회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협동심을 기를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모의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 비평 수업 경험이 다음의 미적 체험, 표현, 감상과 연계된 미술 수업과, 더 나아가 실제의 미술관 체험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리라 기대해본다.

      • 상호문화 미술교육이 문화 이해에 미치는 영향

        김지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우리 사회는 다양한 문화가 유입되면서 점차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고 있다. 교실에서도 다양한 국적의 아이들이 모여 수업을 듣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여러 교과목에서 문화 다양성 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현재 미술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 교육의 경우 감상 교육을 통해 다양한 문화를 아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다문화 미술교육에서 나아가 대화와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상호문화 미술교육이 학습자의 문화 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상호문화 미술교육이란 문화 간 대화와 소통을 통해 우리나라와 나라의 문화에 대한 발견 및 두 문화의 비교를 통해 지식적인 이해를 넘어서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미술교육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호문화 미술교육을 통해 문화를 인지하고 소통, 존중하는 문화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수업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호문화 미술교육의 가치는 무엇인가?’, ‘문화 이해 증진을 위한 상호문화 미술교육의 구체적인 지도방안은 무엇인가?’. ‘상호문화 미술교육이 학습자의 문화 이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4명(남12명, 여12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총 6차시의 수업을 개발하여 상호문화 미술교육이 학습자의 문화 이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수업을 적용하면서 학습자와의 면담 자료, 수업 사전·사후 설문지, 수업 장면 중 학생과의 대화 녹취 및 전사, 학습자의 활동지 및 활동 작품, 교사의 연구 일지 등을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세운 기준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문화 미술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문화 인지가 향상되었다. 학습자는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미술 작품을 살펴보면서 문화적 요소를 발견하고 자신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활동을 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바탕으로 문화에 대한 자신만의 정의를 내려보았다. 또한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문화를 발견하고 비교하면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습자는 문화에 대한 깊이있는 인지를 할 수 있었다. 둘째, 상호문화 미술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문화 소통이 향상되었다. 학습자는 문화에 대한 인지를 바탕으로 각 문화를 소개할 수 있는 자료를 제작하였다. 영상과 포스터의 형태로 제작하는 과정에서 친구들과 활발한 토의를 이어갔으며, 문화에 관한 대화와 의사소통을 하였다. 표현활동 이후에 문화 체험 활동을 하면서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해 질문과 답변을 하며 문화 간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짐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상호문화 미술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문화 수용이 향상되었다. 학습자는 인도의 식생활 문화나 프랑스의 볼뽀뽀를 하는 인사법 문화 등에 대해 처음에 이상하고 특이하다는 생각을 하였다. 하지만 상호문화 미술교육 수업을 통해 자연스럽게 여러 나라의 문화의 다양성에 대해 긍정적이고 열린 마음을 갖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마음을 바탕으로 여러 나라의 문화를 존중하고 수용하는 자세를 갖추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호문화 미술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문화 이해를 위한 수업 방법을 고안하고 적용하였다는 데 의의를 도출하였다. 기존의 다문화 미술교육이 문화의 지식적인 측면을 학습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면, 상호문화 미술교육은 문화 간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문화의 소통 및 수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의 삶과 연계되어 보다 문화가 실제 삶의 맥락에서 실천될 수 있었다. 이러한 의의를 가진 상호문화 미술교육이 점차 다양한 문화와 함께 공존하는 사회에서 학습자의 문화 이해를 넓히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