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발관련 교과에 근거한 교재 개발 및 적용 : 헤어미용 교과를 중심으로

        문나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analyze curriculum of beauty-related departments and the textbook about a course of hair, to survey demands and interests of leaners and finally to provide how to construct contents and plot of hair beauty subject's material. It is all for develop and apply to instructional material about hair beauty subject. It is studying the curriculum at the 26 beauty-related departments in the 4-year universities, 25 textbooks about hair subject, the syllabus of hair beauty subject, and 3 textbooks from high school to identify the connection with applied hair study. In addition, it researches for learner's demands and interests with surveying 267 students who are at the beauty-related departments. The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from Jan. 2012 to Sep. 2012 and the survey was answered during Oct. 2012. For analyzing the research data, SPSS. v. 17.0 program was used. As a result of study, it shows that every universities has their own curriculum without any regulations and opens a course of study irregularly. It means to need formulation a system of curriculum. Contents, plots, and category of materials was figured through material analysis. Also, it results that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technical term about cosmetology. In addition, it revealed that the textbook from high school and applied hair study have connection with same system of the contents. Lastly the learners showed more positive interest in the new concepted model which is learner-oriented after survey. It suggests the standard and direc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 about hair beauty. The new concepted model to be developed with this ground from this study contributes to inspire the curriculum system to make effective and practical and to have the significance in the absence of instructional material about hair beauty which takes important part at the beauty related curriculum. 본 연구는 헤어미용 교재 개발 및 적용을 위하여 미용관련 학과의 교육과정 및 모발관련 교재의 실태를 분석하고 학습자 위주의 요구도 및 흥미도를 조사하여 헤어미용 교과목의 내용구성 범주(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의 대상 및 범위는 4년제 대학 미용관련 학과 26개교를 선정하여 교육과정, 모발관련 교재 25권 및 헤어미용 교과의 강의계획서를 분석하고, 고등학교 헤어미용 교재 3권을 분석하여 대학 모발응용학 교재와의 연계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미용관련 대학 2개교를 표본 추출하여 미용관련 학과 학생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학습자 요구도 및 흥미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2년 1월에서 9월까지 문헌연구를 위한 자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2년 10월 한 달간 조사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v. 17.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대학마다 미용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이 규정 없이 제시되어 있었으며, 교과목도 일괄적이지 못하게 개설되어 있어 교과목 체계의 재정립이 요구되어졌다. 교재 분석을 통해 내용 체계 및 범주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미용 전문용어의 표준화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헤어미용 교재와 모발응용학은 동일한 내용 체계임이 밝혀져 연계성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조사연구 결과 기존의 단원보다 학습자 중심으로 재구성된 단원의 모형이 더 긍정적 인식을 보여 헤어미용 교재의 기준 및 방향을 명확히 드러냈다. 이를 근거로 개발된 헤어미용 교재의 모형은 효율적이며, 실용적인 교육 체계의 정립에 기여하며, 미용교과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헤어미용 교과에 대한 교재의 부재라는 현실 속에 의의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 NCS학습모듈 헤어커트 핵심역량 연구

        박은수 한서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NCS학습모듈 헤어커트디자인과 관련하여 기존교육과정과 이·미용 NCS학습모듈 내용체계의 교과역량 간의 정합성 연계를 규명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로서 교재를 분석하여 교육과정 간 상관성을 비교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일-교육훈련-자격 간 정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는 기존교육과정으로서 헤어커트관련 14권과 이·미용 NCS학습모듈 2권, 총 16권의 교재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검정형교재인 A-1과 고등학교 교과서인 B-1은 국가수준에서 요구하는 교과역량에 가장 근접하게 진술되었으며, 대학교재 간 단원항목 및 단원항목요소를 분석하여 도출된 내용체계표에서도 하위학년별 검정형·고등학교의 헤어커트 핵심역량과 수직적·수평적 연계성이 나타났다. 이로서 NCS학습모듈이 포괄해야 할 최저수준부터 최고수준까지 내용범주를 정량화할 수 있었다. 정량화된 기존교육과정의 교과역량과 수행내용을 이·미용 NCS학습모듈(E-1, E-2)과 비교했을 때 E-1은 NCS학습모듈 개발매뉴얼, 즉 교육과정 설계로부터 출발된 수준별, 학년별 교과내용요소를 위계적으로 선정·조직함으로써 일관되게 연계되어 있다. 그러므로써 NCS기반 직업교육에서 학생은 특정 직업을 위해 훈련되기 보다는 직업의 유연성을 지향하는 교과역량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E-2는 구체화된 교과역량과 성취기준 관계에서 내용요소가 갖는 교과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학습목표가 단편적이고 분절적으로 제시됨으로써 명확한 그림을 보여줄 수 있는 수준별 교과내용 선정 및 조직이 요구되고 있다. 조사연구는 문헌연구의 타당성을 위하여 4개 시·도의 미용실종사자 352명을 대상으로 4주(2017.1.1∼1.30) 간 설문조사 하였다. 조사연구 결과, 응답자 대부분이 직무수행을 위한 작업기초능력 중 ‘의사소통능력’을 가장 중요시 하였으며 수행능력정도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남으로써 E-1이 현장과 연계되는 항목들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요도-수행빈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IPA격자도 분석결과 유지강화, 점진개선, 중점개선되어야 하는 항목들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중점개선되어야 할 항목들은 E-2에서 누락된 기초소양(역사, 디자인 개념 등)으로서 이를 함양할 수 있게 미용교과 개발자 또는 감독기관의 각성이 요구되었다. 이에 헤어커트관련 현장기반 직업교육에서 요구되는 헤어커트관련 기초소양 및 교과역량 등의 균형학습(작업기초능력)이 요구됨으로써 2019년에 수정·보완될 NCS학습모듈 헤어커트디자인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NCS학습모듈 교육과정 핵심역량 연구 : -‐ 헤어컬러디자인 교과목 중심으로 ‐-

        신수현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기존교육과정과 NCS기반 교육과정의 절충식 교육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교재분석을 통해 기존교육과정의 체제에 대한 문제점과 개정사항을 파악하고 각 학급별 내용체계를 도출하였다. 더불어 2015개정 교육과정의 산출물로서 이·미용 NCS학습모듈이 이해중심 설계(개발매뉴얼)를 올바로 이해한 후 개발 하였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하위교재를 아우를 수 있게 개발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이·미용 NCS학습모듈과 박명란(2013) 헤어컬러리스트 직무분석을 비교 분석하여 현장과의 일치성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하기 위해 이·미용 NCS학습모듈의 학습목표에서 도출한 지식, 기술에 대한 지식, 기술 문항을 도출하여 중요도와 수행빈도를 분석하였다. 이는 문헌연구를 뒷받침 하여 2019년 NCS개정 시 기초자료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는 기존교육과정으로서 교재 및 교과서 13권과 이·미용 NCS학습모듈 2권 총 15권의 교재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조사연구는 문헌연구의 타당성을 위하여 서울, 인천·경기, 전라도, 강원도 4개의 지역의 현장종사자 총 352명을 연구대상으로 2016년 12월 13일에서 2017년 2월 10일까지 약 두 달간 설문조사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존교육과정인 검정형 교재와 고등학교 교과서는 국가수준의 내용체계와 A1 교재, B1 교과서가 근접하게 집필되었다. 그러므로 A1과 B1을 제외한 교재는 국가수준의 출제기준 내용체계에 맞도록 재구성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2·4년제 교재 간의 내용과 분량의 수준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교재인 검정형 교재와 고등학교 교과서에 비해 테크닉과 실제에 대한 단원분량이 많이 추가되었다. 셋째, NCS학습모듈을 NCS개발매뉴얼에 근거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그 결과 E1이 E2에 비해 학습목표 진술과 내용요소 구성이 설계자의 의도와 부합되게 집필되었다. 넷째, NCS학습모듈과 박명란(2013)의 헤어컬러리스트 직무분석과 비교 분석한 결과, E1이 직무와 일치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E1이 작업자 중심으로 개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문헌연구를 뒷받침하기 위해 산업현장 종사자를 대상으로 이·미용 NCS학습모듈의 학습목표에서 도출한 비공통 문항의 작업별 중요도와 수행빈도를 조사한 결과 기술에 대한 문항이 대부분 중요도와 수행빈도가 높은 유지강화로 많이 나타났으며, 지식과 기술에 대한 지식 문항은 중요도와 수행빈도가 낮은 점진개선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 연구는 미용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학습도구를 만들기 위해 2018년까지 NCS학습모듈 수정·보완에 따른 개정 NCS학습모듈이 교육부의 2019교육과정 NCS기반 교육과정 적용 또는 이행 시 기초자료로 제언하고자 한다.

      • 헤어펌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연구 : NCS기반 기본·응용 헤어퍼머넌트웨이브를 중심으로

        방선미 한서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NCS학습모듈 내용체계의 정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는 이·미용 관련 핵심역량인 헤어펌디자인의 교과역량과 관련하여 내용체계에 따른 단원체제와 내용선정 및 조직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문헌연구의 범위는 기존교육과정과 이해중심교육과정으로써 헤어펌 관련 교재 8권(A1∼4, B1∼4)과 2015개정 교육과정으로써 이・미용 NCS학습모듈 2권(C1∼2)의 내용체계를 비교‧분석 하였다. 조사연구는 전국 4개 지역 미용실 내 종사자 38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12월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과 작업별 중요도 및 수행빈도의 차이를 IPA격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2009개정 교육과정인 기존교육과정의 국가수준 단원항목의 내적구성체제와 분량분석에 따른 동사(인지‧활동)를 분석함으로써 교과역량의 하위요소를 내용체계표로 제시하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지향하는 균형학습(직업기초능력)으로서 지식을 단지 알거나 또는 기술을 단순한 행동이나 활동이 아닌 평생학습자로서 역량이 제시되었는지 학습목표를 중심으로 진술하였다. 문헌연구 결과로서 기존교육과정에서는 A1과 B1이 국가수준의 단원체제에 따라 내용요소정의를 근거로 내용체계가 비교적 체계화 되었다. 2015개정 교육과정인 이‧미용 NCS학습모듈을 비교 시 C1은 학습목표 간 내용선정 및 조직에 있어서 지식, 기술 간에서 체계화, 유목화, 행렬화 함으로써 일관되게 연계하여 진술하고 있다. 그러나 C2는 교과 간 교과내용 간 넓게는 학교급 간의 수준별로 서로 연계되지 않아 교과역량이 지향할 방향 제시가 미흡하였다. 조사연구 결과에서는 직무수행을 위한 작업기초능력 중 의사소통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IPA격자도 분석에서 유지강화 및 중점개선에서 도출된 항목들이 C2에서 누락됨이 문헌연구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C1의 교과 내용체계는 기존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내용과 연계되어 확대 심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2019 NCS기반 교육과정 적용 또는 이행 시 기초자료로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sis and compare to the compatibility of research and study on NCS study module. To analysis this study, I used the beauty related core-power, hair-perm design, text -power contents according to the contents system. The range of study is the before existed education course, and comprehension centered education, which are related to hair-perm textbook, 8th edition, 2015 revised version of education course, beauty NCS learning module 2nd edition contents system. The survey were conducted by the 380 surveys, 4 areas, they were surveyed from on October, 2016 to December in 2016. The analysis program was used SPSS of frequency analysis, investigation cause analysis, trust analysis, crosstabs analysis, one-way analysis and working importance analysis, conduction frequency difference by the IPA analysis. This thesis suggest the contents system's detailed category and subject's power by analysis in 2009 revised education course of before existed national unit's item of inward consistence system and quantity analysis according to verbs, In 2015 revised education coursed is as for balanced learning, suggested that knowledge is not just for the simple knowing nor simple action, but as a life long learner whether the power lead the or not. As a result, before the existed education course, according to the A1 and B1's national level's unit system, based on contents factor definition comparatively comes to systematic. When we compare the beauty NCS learning module, C1 class purpose, contents selection, knowledge of organization, system between the skills, making of similar purpose consisted the class purpose. But in C2 there is a less connected suggestion because not all of the classes not connected with each other, nor connected with the levels. When we see the result, for conduction, among the working basements abilities are high, also for IPA, manage enforcement and important improvement item are skipped in C2. Therefore, I could suggest that C1's education contents system was enforced because the before existed education course is connected with the core power content. It is possible to suggest this kind of thesis that is based on 2019 NCS basement education course's application or conduction.

      •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의 구직역량 분석 연구 :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와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임현민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Career competency is a concept that includes overall competencies such a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for job preparation. It is a concept that combines the concept of job search for finding a job and the concept of competency required to perform a certain task. Today's companies use the so-called specifications as the basis for recruitment, and job seekers spend most of their school days preparing the necessary competencies for employment. The hair beauty depart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also educates the basic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of the beauty job required in the field, and in addition to knowledge and skills, it is focusing on character education for attitude and adaptation required by the industry. However, many vocational high school cosmetologists still have difficulties finding employment, and schools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them find employment. In particular, when education in schools and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industry are heterogeneous, time and cost of re-education are incurred even after hiring. Therefore,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areer competency recognized by cosmetolog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e competency required by beauty-related industrie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areer competency required for successful employment,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help in career guidance for cosmetolog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for about one month from March 15, 2021 to April 15, 2021 by selecting students from the hair beauty depart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and hairdressing practitioners as research subjects. The data finally collected were 303 cosmetolog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and 305 hair and beauty practitioners, which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 way ANOVA, paired sample t-test, and IPA analysis were performed.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career competency of cosmetolog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attitud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and the importance of skill was analyzed as the relatively low competency. Also,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knowledge competency according to gender. In terms of achievement, attitude was the highest and skill was perceived the lowes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achievement according to gender, region, and grad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achievement, the difference in foreign language ability was the highest and the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the lowes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career capabilities of practitioners in the hair and beauty field, attitud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and knowledge was analyzed as the relatively least important competen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in importance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position, and type of hairdressing salon. In terms of achievement, adaptation was the highest and knowledge was perceived as the lowes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ifferences were recognized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region, and type of hairdressing sal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achievement, it was analyzed that the difference in foreign language ability was the highest and the difference in writing resume and self-introduction was the lowes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areer competency between cosmetology students at vocational high schools and hair and beauty practitioners, vocational high school cosmetology student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relatively high and showed high achievement in attitude. It was found that the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hair and beauty had relatively high achievement in skill. Fourth, as a result of IPA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career competencies of cosmetolog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ll and hairdressing practitioners , in the case of vocational high school cosmetology students, the competencies that need to be maintained and strengthened are self-understanding ability, ability to understand the field of employment, general knowledge, positive work attitude, challenge spirit, work ethic, field job performance ability, teamwork, problem solving ability, self-management and development ability were show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derived as a competency that showed high satisfaction compared to low importance. The items with low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as foreign language ability, decision-making ability, information search ability, human network usage ability, resume and self-introduction ability, global mind, and computer usage ability. Competencies that showed low achievement compared to high importance were analyzed as grades and certifications, and presentation ability during interviews. In the case of hair and beauty practitioners, the competencies with high importance and achievement are self-understanding ability, employment field understanding ability, decision-making ability, interview ability, positive work attitude, challenging spirit, professional ethic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ield job performance ability, teamwork, problem-solving ability, self-management and development ability. Competencies that showed high achievement compared to low importance were information search ability, resume and self-introduction ability. Competencies that showed low importance and achievement were credits and certificates, foreign language skills, general knowledge, human network utilization, global mind, and computer utilization.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no items with high importance but low achieve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priorities of cosmetology students' career competency, and according to the priorities of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current job, intensive employment education is conducted at vocational high schools to strengthen the cosmetology students' career ability, and based on this, it will be needed to guide them to help them find a job in the beauty field. 구직역량은 취업 준비를 위해 요구되어지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총체적인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직업을 구하는 구직의 개념과 어떠한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의 개념이 결합된 개념으로 직장을 구하고 그곳에서 적응하기 위해 구직자가 갖추어야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오늘날 기업체에서는 소위 스펙이라는 지원자가 갖추어야 하는 역량을 채용의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구직자들은 학교생활의 대부분을 취업에 필요한 역량을 준비하며 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역시 현장에서 요구하는 미용 직무의 기본 실무지식과 기술을 교육하고 있으며 지식, 기술 이외에도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태도 및 적응을 위한 인성교육에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 전공자들은 취업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교는 이들의 취업지도를 돕기 위한 중대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특히 학교의 교육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역량이 이질적인 경우, 채용 후에도 재교육이라는 시간과 비용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구직역량과 미용 관련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비교 분석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성공적인 취업을 위해 요구되어지는 구직역량을 분석하여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과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21년 3월 15일부터 4월 15일까지 약 한 달간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데이터 수집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 303부,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 305부이며 이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대응표본 t-test 및 IP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의 구직역량 인식을 분석한 결과, 태도가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성별에 따라 지식 역량의 중요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성취도에 있어서도 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술이 가장 낮게 인식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성별, 지역, 성적에 따라 성취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중요도와 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외국어 능력에 대한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에 대한 차이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의 구직역량 인식을 분석한 결과, 태도가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나타났으며 지식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연령, 학력, 경력, 직급, 미용실 형태에 따라 중요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성취도에 있어서는 적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식이 가장 낮게 인식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연령, 학력, 경력, 지역, 미용실 형태에 따라 차이가 인식되었다. 중요도와 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외국어 능력에 대한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에 대한 차이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전문계고 미용과 학생과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의 구직역량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문계고 미용과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지식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태도에 대한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는 상대적으로 기술에 대한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계고 미용과 학생과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의 구직역량 인식에 대한 IPA 분석 결과, 전문계고 미용과 학생의 경우, 유지강화가 필요한 역량은 자기 이해능력, 취업 분야 이해능력, 일반상식, 긍정적인 업무태도, 도전정신, 직업윤리, 현장직무 수행능력, 팀워크, 문제해결 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 능력으로 나타났다. 낮은 중요도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는 역량으로는 조직몰입이 도출되었다.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게 나타난 항목으로는 외국어 능력, 의사결정 능력, 정보탐색능력, 인적 네트워크 활용능력,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능력, 글로벌 마인드, 컴퓨터 활용능력으로 분석되었다. 높은 중요도에 비해 성취도가 낮게 나타난 역량으로는 학점 및 자격증, 면접 시 발표능력으로 분석되었다.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의 경우, 중요도와 성취도가 모두 높은 역량은 자기 이해 능력, 취업 분야 이해능력, 의사결정 능력, 면접 시 발표능력, 긍정적인 업무태도, 도전정신, 직업윤리, 조직몰입, 현장직무 수행능력, 팀워크, 문제해결 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 능력으로 분석되었다. 낮은 중요도에 비해 성취도가 높게 나타난 역량은 정보탐색능력,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능력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성취도가 모두 낮게 나타난 역량은 학점 및 자격증, 외국어 능력, 일반상식, 인적 네트워크 활용능력, 글로벌 마인드, 컴퓨터 활용능력으로 나타났다. 중요도가 높으나 성취도가 낮은 항목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용과 학생의 구직역량 우선순위를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현직에서 요구되는 역량의 우선순위에 따라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집중적으로 취업 교육을 실시하여 미용과 학생의 구직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토대로 성공적인 미용 분야로의 구직활동을 도울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 IPA를 이용한 미용사의 직무분석 : 두개피관리 중심으로

        전형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미용산업체는 고객에게 수준 높은 미용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개만족을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용서비스의 질을 좌우하는 인적기술자원인 미용사는 미용실 내의 여러 가지 전문적인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그 중 두개피관리는 최근 시대적 부응에 따라 영업장 내에서 주요한 업무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그러나 두개피관리사의 직무분석은 여전히 실무와 학계에서 연구의 공백으로 남아있으며 과학적이고 구체적인 직무분석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영업장 내에서 미용사의 일과 연관되는 두개피관리사의 직무와 작업을 기초로 국내프랜차이즈와 국내 소재 외국프랜차이즈 미용실 간의 인식하는 작업 중요도와 작업 빈도의 직급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두개피관리에 대한 IPA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013년 2월에서 3월까지 약 6주간 서울과 천안에 소재한 국내프랜차이즈 미용실 5곳과 외국프랜차이즈 미용실 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측지가 없는 302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SPSS. v. 17.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효 표본을 분석하였으며 IPA 분석, t-test 및 ANOVA 분석을 통해 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개피관리사의 직무는 9개의 직무와 그 하위요소인 50개의 작업으로 도출되었으며 중요 직무로 인식된 요소는 클렌징 및 트리트먼트, 두개피관리 과정, 두개피관리사 에티켓 순으로 나타났다. 두개피관리사 직무의 중요도-빈도를 분석한 결과 직무에 대한 빈도는 중요하게 인식하는 정도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PA격자도 분석결과, 두개피관리 시 직무 중 중점 개선되어야 할 직무와 유지 강화되어야 할 직무가 무엇인지 분석되었다. 또한 경영형태별, 직급별로 직무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용전문인을 양성, 교육할 때 균형 있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하며 두개피관리가 최대한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근무환경 조성이 절실함을 시사해준다. 뿐만 아니라 경영방식의 차이는 직무의 중요도-빈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효율적 경영방침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직급별로 전문화된 기술을 집중 훈련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두개피관리사의 직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에서 직무의 중요도-빈도를 실증 분석하여 두개피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하지만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인, 현 시점의 횡단적 연구라는 점과 다양한 브랜드 미용실의 직무를 배제하고 일부 브랜드의 미용실을 표본으로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한 점들은 향후 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it aims to study a job analysis of scalp care experts in the hair salon and to provid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job as a scalp care expert is getting more important at the salon, but the study of job analysis of them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job analysis of them through IPA and also is necessary to present the fundamental materials for developing the beauty industry. This study designs to proceed with job analysis of scalp care experts in the hair salon through IPA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m by means of forms of management and employees grade. It surveyed 302 staff in the 17 hair salons where are domestic and foreign franchises from Feb. to Mar. 2013. SPSS. v.17.0, IPA, t-test, and ANOVA were used for tha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jobs of scalp care experts Include 9 Jobs and 50 tasks and appear 'cleansing and treatment', 'scalp treatment process', 'etiquette' and so on in turns. The consequence of IPA means the performance to do the jobs is far less than the importance to be awarded of them. Also, it shows what should be done more or less. It presents the jobs according to management forms and grades. All of these suppose to lay special emphasis on acquiring the balanced skills and knowledges when they are trained, and making proper working environment to demonstrate their ability as a scalp care expert. In addition, it fells us it is necessary to get an efficient management form and to train them with specialized skills by grades. It is significant to provide the basis about scalp cares, but needs to supplement the limit of samples, cross-sectional study, and exclusion of various jobs from the various salons in the advanced study.

      • 두개피용 화장품 안전성기준에 따른 중금속 분석 비교

        김시원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Cosmetic safety is required by explaining all cosmetic ingredients by us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has the most complex system among the skin surrounding the human bod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afety management measures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management for hair cosmetic products such as perms, hair dyes, shampoos and treatments. As an experimental material, domestic and foreign scalp cosmetics, which have been distributed since 2020, were randomly selected from products that are generally used in hair shops. For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heavy metals (6 types) and other potentially hazardous heavy metals (10 type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resented in the guidelines for ingredi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safety management standards for distribution cosmetics, a total of 75 hair products were presented as test subjects as follows. First, perm cosmetics were divided into 5 domestic companies and 3 overseas companies. Domestic perm agents were cold perm (5 types) and thermal perm (3 types), respectively for healthy and damaged hair. Overseas cold perm agents and heat perm agents (including three types for healthy and damaged hair respectively) from three companies were targeted. The domestic perm products of companies A, B, C, D, and E use one type of cold perm (including 1 and 2), and two types of thermal perm, which are the same products of the three companies A, B, and C as the cold perm manufacturer. Second, as for hair dye cosmetics, 27 items were selected from 6 companies, 3 companies for gray hair dye agent and another 3 companies for oxidized hair dye agents. The products from a total of 6 foreign companies, including 4 stylish hair dyes and 2 henna (vegetable) hair dyes, were targeted, except for gray hair dye (including 1 and 2 agents), only 1 hair dye (1 and 2 reflection color covered over 3~8 levels) was analyzed. Third, for shampoo cosmetics, a total of 6 items, 3 products of 1 each from 3 domestic hair cosmetics companies (Cool · Conditioning · Collagen shampoo) and 3 products of 1 each from 3 overseas companies (Scalp · Oily Scalp · Moisture Shampoo)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ame criteria when it comes to perm and dye products. Fourth, as for treatment cosmetics, we selected 3 products from 3 domestic hair cosmetics companies (vitamin · LPP protein · moisture treatment) and 3 products from overseas companies (keratin mask · cream bath · for damaged hair) respectively. A total of 6 items of the produc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ame criteria. In addition, the test was done with the same standard of heavy metals ,which was abid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d substances with potential risks were sampled and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21 types)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s such, 10 heavy metals of concern for cosmetic safety in Korea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is study. Arbitrarily selected Cr, Co, Cu, Mg, Mn, Se, Ti, Zn, Ai, and Ba were analyzed based on <10 mg/kg. A total of 34 perm products, 2 types from 5 domestic companies (19 items) and 2 types from 3 overseas companies (15 items),was targeted. For hair dye agent was 29 items in total – 2 types from 6 domestic companies (15 items) and 2 types from 6 overseas companies (14 items). For shampoo and treatment, which was consisting of 75 items in total(40 domestic items and 35 overseas items), it included 1 type(3 items) from 3 domestic companies, and 3 overseas companies for 1 type (3 items) for a total of 12 products. In the case of measuring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the safety standards of domestic distribution cosmetics and safety management standards, the elements of pb, Cd, As, Sb, and Ni are analyzed by ICP-MS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ss when measuring prohibited ingredients, and Hg is analyzed by an automatic mercury analyzer (DMA- 80). In addition, 10 types of potentially dangerous heavy metals were tested for the safety by using ICP-OES mass spectrometer.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e six types of heavy metals in the cosmetic safety management standards (MFDS) meet the guidelines for the detection content of heavy metals in the current cosmetic safety management standards in all of the products for the scalp. However, as a result of expanding the range to detect other potential risks, the level of Mn from the domestic cold perm agent 2 and the foreign cold perm agent 1 was higher than the standard in some of the perm products. Mg and Al were detected with the value above the standard in the domestic and foreign oxidative hair dyes (agent 1) as well. From the shampoo, Mg of the moisture shampoo of foreign products and Zn from the shampoo for oily scalp were detected above the standard value. Treatment agents showed higher levels of Mg in domestic and foreign products. In domestic products, Ti of the LPP treatment agent showed a high level. In the case of the use of these products, problems may occur, so there should be a room to make for better system management and improvement for reinforced safety of cosmetic products. In addition, in March 2020, as a customized cosmetic dispensing manager's license was required, the scope of product quality improvement was further expanded. Among the properties of the skin with higher absorption than discharge through pores or sweat glands, terminal hair (90,000 to 100,000) accounts for ⅔ per square meter of the scalp. The size of the pores in the scalp is 2 to 2.5 times more than that of the skin, so the absorption rate is also high. Therefore, they are more likely to expose to an environment that heavy metals can affect. Accordingly, cosmetic safety standard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functional and sensual customized products suitable for individual scalp physiology in detail. 인체 외양을 감싸고 있는 피부 중에서도 가장 복잡한 체계를 가진 두개피 생리와 형태의 화합물인 화장품 전성분을 이론적 배경으로 설명함으로써 그의 안전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발용 화장품류인 펌제, 염모제, 삼푸 · 트리트먼트제에 대한 안전관리 방안과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로서 2020년부터 유통되고 있는 국내 · 외 두개피 화장품류는 실험을 위해 현재 헤어숍에서 대체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제품을 무작위로 차출하였다. 유통화장품 안전관리기준에 따른 성분분석법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식약처고시 중금속(6종)과 이 외 잠재적 위해성 중금속(10종)을 실험분석하기 위해 총합 75개 두발용 제품을 실험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펌화장품은 국내 5개사, 국외 3개사로 구분하였다. 국내 펌제는 콜드펌제(5종), 발열펌제(3종) 각각 건강 · 손상모용으로 하였다. 국외는 3개사의 콜드펌제와 발열펌제(건강모 · 손상모용 각각 3종 포함)를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 펌제인 A, B, C, D, E회사 제품은 콜드펌제(1 · 2제 포함)를 1종으로 하고, 발열펌제는 2종으로 콜드펌 제조사와 동일한 A, B, C 3사 제품을 선택하였다. 둘째, 염모화장품은 국내 모발화장품 관련 백모(새치)염모제 3사, 멋내기(산화)염모제 3사 총 6개 회사를 대상으로 27개 품목을 선별하였다. 국외는 멋내기염모제 4개사와 헤나(식물성)염모제 2개사를 합한 총 6개 회사를 대상으로 새치염모제(1 · 2제 포함)를 제외하고는 염모제 1제(3~8레벨의 영역에서 1 · 2차 반사색을 포함)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샴푸화장품은 국내 모발 화장품관련 3개사에서 각각 1개 품목씩 3개(쿨 · 컨디셔닝 · 콜라겐 샴푸), 국외 또한 3개사에서 각각 1개 품목씩 3개(스캘프 · 지성두피 · 모이스처 샴푸) 제품류를 선택하여 총 6개 품목을 펌 · 염색제와 동일한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트리트먼트화장품은 국내 모발 화장품관련 3개사 3개(비타민 · LPP단백질 · 모이스처 트리트먼트), 국외 3개사 3개(케라틴마스크 · 크림바스 · 손상모발용) 제품류를 선택하여 총 6개 품목을 앞선 제품들과 동일한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식약처기준 중금속과 동일 제품으로 하였으며, 이외 잠재적 위해성을 갖는 물질은 미국 환경청을 기준(21종)으로 샘플링 하였다. 이와 같이 국내에서도 화장품 안전성 위해 우려 중금속 10종을 본 연구에서 임의 선정하였다. 임의 선정된 Cr, Co, Cu, Mg, Mn, Se, Ti, Zn, Ai, Ba는 <10mg/kg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펌제는 국내 5개사 2종(19개 품목), 국외 3개사 2종(15개 품목)으로 하여 합 34개, 염모제는 국내 6개사 2종(15개 품목), 국외 6개사 2종(14개 품목)으로 합 29개, 샴푸 · 트리트먼트제는 국내 3개사 1종(3개 품목), 국외 3개사 1종(3개 품목)으로 각각 합 12개 제품류로서 총합 75품목(국내 40 · 국외 35개)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 유통화장품 안전기준 내 중금속 함량과 안전관리기준으로서 배합금지성분 측정 시 질량 유 · 무를 위해 분석원소 pb, Cd, As, Sb, Ni은 ICP-MS로 분석하고, Hg은 자동 수은분석기(DMA-80)를 사용하였다. 이 외 잠재적 위해성이 있는 중금속 10종은 ICP-OES 질량분석기기를 사용하여 안전성을 실험측정 하였다. 결과적으로 화장품 안전관리기준(식약처) 중금속 6종은 시중에 유통되는 두개피용 제품 모두에서 현 화장품 안전관리기준 중금속 검출함량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족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이 외의 잠재적 위해성을 검출하기 위해 범위를 넓혀서 본 결과 일부 제품 중 펌제에 있어서 국내 콜드펌제 2제와 국외 콜드펌제 1제에 Mn의 수치가 기준치 보다 높았다. 염모제 역시 국내 · 외의 산화염모제(1제)에서 Mg과 Al이 기준값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샴푸제에서는 국외 제품의 모이스처 샴푸에 Mg과 지성두개피 샴푸에 Zn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트리트먼트제는 국내 · 외의 제품에서 Mg이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국내 제품에서는 LPP트리트먼트제의 Ti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제품의 경우 사용 시 문제점이 제기될 수도 있어 보다 높은 안전성을 위해 제도관리와 개선의 여지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2020년 3월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증이 요구되면서 제품의 질적 개선의 폭이 더욱 넓게 확장되었다. 모공이나 한선을 통해 배출보다 흡수력이 높은 피부의 성질 중 두개피는 평방미터당 ⅔를 경모(9~10만개)가 차지한다. 두개피 내 모공 크기는 피부의 2~2.5배에 달하므로 흡수률 또한 높다. 그러므로 중금속에 노출될 수 있는 환경에 접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안전성도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개개인의 두개피 생리에 적합한 기능적이면서 관능적인 소비자 맞춤형의 제품을 디테일하게 개발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 실험의 분석 결과에 이어 다양한 두개피용 제품군의 연구가 이루어지므로써 시장활성화와 함께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샴푸교수·학습방법에 따른 평가도구 개발방안

        정새미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샴푸관련 지속가능발전 교육개발에 따른 평가를 제시함으로써 기술교과가 갖는 통합적인 관점의 접근에 의한 문제해결력 신장을 개발하기 위하여 표준교재, 검정형, 과정형-이·미용 교재를 비교분석하여 평가표의 보조 학습교재인 체크리스트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필요지식과 수행내용을 분류하고 이를 토대로 총 12개의 루브릭(암묵적·기법적지식을 평가하기 위한 2개 항목, 수행내용을 평가하기 위한 10개 항목)으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NCS기반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전문계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문헌연구는 표준교재 1권, 검정형 이론 및 실기서 각 1권, NCS학습모듈-이·미용 각 1권 총 5권의 교재를 대상으로 각 교재의 내용체계표를 재구성하고 이를 분량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교재마다의 특이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필요지식과 수행내용에서의 명시적·기법적지식이 분리되지 않고 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재 내 필요지식과 수행내용의 분량분석 결과 표준교재(4 : 1), 검정형(1 : 0.8), 과정형-이용(3 :1), 과정형-미용(1 : 1)로 나타났다. 교재별 학습목표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과정형-미용의 학습목표는 수행내용을 중심으로 한 단순한 활동위주의 목표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과정형-미용의 교재의 구성이 과거의 교육과정에서 보여진 모습인 ‘시키는대로 할 수 있다’로 보여지는 결과와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조사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된 루브릭 10개 항목을 가지고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실업계고등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3개월간(2018.7.1.~2018.11.01.) 자기평가(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 전체의 자기평가의 평균은 3.87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들 평균적으로 루브릭 10개 항목 중 ‘주변정리를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에 가장 높은 점수를 ‘선수과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에 가장 낮은 점수를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응답자가 현장실습 경험이 있을수록, 샴푸·트리트먼트 경험 횟수가 많을수록, 샴푸과목 학습 학년이 높을수록 점수를 높게주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술교과를 교수·학습할 때 필요지식과 수행내용의 연계를 통해 산학의 정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교과목의 평가도구 개발시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pose a checklist of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in the assessment table by comparing and analyzing standard, Qualification-type, process-type, and beauty course textbooks to develop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the integrated approach of the technology curriculum by presenting an assessment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related to shampoo. To this end, the NCS-based education was surveyed by developing a checklist of 12 Rubrices (two items for evaluating tacit and technical knowledge and 10 items for assessing performance)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In the literature study, the content system table of each textbook was reconstructed and analyzed for five volumes, each of which is a standard textbook, a black theory and a practical book, and a total of five volumes of NCS Learning Modules-beauty books. This revealed the existence of specificity in each textbook, and the necessary knowledge and the explicit and technical knowledge in the performance details were not separated but mixed.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amount of required knowledge and performance in the textbook showed standard teaching materials (4 : 1), test type (1 : 0.8), process type-barber (3:1), process type-beauty (1 : 1), and process type (1 : 1). Comparing study goals for each textbook, it was shown that the course-based learning goal consisted of simple activity-oriented goals centered on performance. This showed that the composition of course-type and aesthetic textbooks was followed by what was seen as ‘you can do what you want’ in the past curriculum. The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on self-evaluation (2018.7.1.-2018.11.01) for three month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business community by compiling a checklist with 10 rubric items analyzed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s a result, the average of the overall self-evaluation of respondents was 3.87, which is more than "normal." Overall respondents, on average, were found to have given the lowest score of ‘Consultative Career Handling’ out of 10 Rubric categories. The more hands-on experience the respondents had, the more often they experienced shampoo and treatment, and the higher the year they studied for the shampoo subject, the higher the score was foun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ssessment tools for each subject so that convergence of industry and academia can be achieved through the linkage of knowledge needed to teach and learn technical subjects.

      • NCS헤어커트 내용체계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개발 : -국가기술자격 미용사(일반) 헤어커트 교과를 중심으로-

        차소연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교과서는 교실의 수업과정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자료로서 각 교과의 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교육내용과 방법이 구체화되어 있다. 이는 교수‧학습에서의 중요한 자료일 뿐 아니라 교사와 학생 간 수행의 일관성과 교실수업이 추구하는 다양성을 극대화한다. 2015개정 국가교육과정인 NCS기반 NCS학습모듈은 일반 교과서와 같이 교과구분에 있어서 효율적인 수업에 근거하고 있다. 중복 또는 누락없이 필요한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포괄성과 배타성의 원리에서 제공된다. 이는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기본교과로서 실제적인 측면과 이론적 측면에서 교과구분의 기준이 된다. 이 연구는 2015개정 국가교육과정에 준하는 2022년 검정형 필기시험 출제기준 내 단원명 기초헤어커트를 연구의 배경으로 하였다. 근대 이후 신문물인 미용산업이 현재 K-뷰티로의 선진화에 ‘대한민국 사람이 아름답다’는 국가적 신용도의 높은 선입견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고교학점제의 중심에서 논의된다. 이에 앞서 교과구분의 기준에 따라 검정형 분류체계를 구조화하여 도출된 분석표는 NCS학습모듈과 양적‧질적으로 교과지식을 분류하여 분량화하는 문헌연구를 하였다. 즉 검정형과 NCS학습모듈의 수행내용을 중심으로 핵심개념을 추출하여 필요지식 간의 연계성과 교과역량을 분류‧대조한 것이다. 또한 구조화된 내용체계를 바탕으로 QR코드를 접목한 디지털교과서의 보교재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4개의 단원항목(헤어커트도구, 커트의 절차, 커트기법, 커트의 기본형)으로 영역화한 분류체계표를 토대로 검정형 실기시험의 세부과제 분석 시, 내용지식 및 내용요소가 고르게 적용되고 있었다. 반면 NCS학습모듈은 부적절한 개념오류 및단어선택, 부적정단어 반복사용 등 학습활동과 관련 올바르게 습득되지 못함을 나타내었다. 둘째, 분량분석을 통한 양적분석 측면에서 본 결과 NCS학습모듈은 두 차례 개선됨에 따라 외재적 분량은 늘어났지만, 검정형 내용체계보다 질적‧양적면에서 구조화와 체계화가 부족하다는 것이 분석되었다. 또한 수행내용과 필요지식의 양적 배분에서 NCS학습모듈은 모두 필요지식보다 수행내용의 양이 50% 이상 적게 작성되었다. 셋째, 수행내용에 있는 각각의 커트형태의 유형에서 수행순서 과정을 도식화 작업한 결과 NCS학습모듈은 내용 설명이 부족하여 정확한 이미지로서 전개할 수가 없었다. 넷째, 분류체계 분석표의 내용체계를 적용하여 수행내용과 필요지식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NCS학습모듈은 맥락과 맞지 않은 문맥상 오류가 나타났다. 반면 검정형 교재는 요구되는 핵심개념을 적절한 배경지식(schema)으로 적용하고 있었다. 살펴본 바와 같이 NCS학습모듈은 국정교과서로서 학습동기와 흥미유발을 위해 내용의 심화나 보충자료뿐 아니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나 학습내용의 적정화가 오히려 내용을 생략하는 방안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는 교사의 책무성으로서 교과내용의 재구성 능력을 일괄 맡기는 책임회피로 나타난다. 특히 미용관련학과 교사는 사범대가 아닌 특수교육학과 출신이라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커트도구(Ⅰ), 커트기법(Ⅱ), 커트 절차(Ⅲ), 커트기본형태(Ⅳ) 등의 내용지식을 체계화하고자 스마트폰을 이용 자료에 접속할 수 있는 QR코드를 생성하여 각 자료에 연결하였다. QR코드 주제는 커트도구 6개, 자르기기법 4개, 기본형태 1개, 커트의 절차 1개, 남성형 커트스타일 3개 등 총 15개로 설정하고 자료를 제작하여 교수‧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는 기초헤어커트 단원항목에서 선정된 주제로서 QR코드로 제공받아 자료의 내용에 해당하는 교과서의 위치에 부착할 수 있는 교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이 학습자료의 양과 질에서 학습량의 적정화(적게 가르치고 많이 아는)뿐 아니라 수업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를 스마트폰을 이용한 QR코드 활용에 두었다. Textbooks are the most central material in the classroom proces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realizing the goals of each subject are specified. This is not only an important material in teaching and learning, but also maximizes the consistency of performance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and the diversity pursued by classroom lessons. The NCS learning module based on the NCS, which is revised in 2015, is based on efficient classes in subject classification like general textbooks. It is provided on the principle of inclusivity and exclusivity so that you can learn what you need without duplication or omission. This is a basic subject required of learners, and serves as a standard for classifying subjects in both practical and theoretical aspects.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was the basic haircut for the unit in the criteria for the 2022 test-type test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ince modern times, the prejudice with high credibility that ‘Koreans are beautiful’ have led to the advancement of the beauty industry as K-beauty. Accordingly,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being discussed with a focu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quantify and categorize subject knowledg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ith the NCS learning module by deriving an analysis table that structured the test-type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subject classification. In other words, the core concept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test type and the NCS learning module, and the connection between necessary knowledge and subject competency were classified and contrasted. In addition, based on the structured content system, supplementary materials for digital textbooks incorporating QR codes were developed. The research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table divided into four unit items (haircut tool, cutting procedure, cutting technique, basic type of cut), the content knowledge and content elements were evenly applied when analyzing the detailed tasks of the test-type practical test. On the other hand, the NCS learning module was not acquired in relation to the activity due to inappropriate concept errors, word selection, and proper word repetition. Second,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volum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although the external volume increased as the NCS learning module was improved twice, it was lacking in structur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compared to the test-type content system. In addition, in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of performance content and required knowledge, all of the NCS learning modules had less than 50% of performance content than required knowledge. Third, as a result of schematizing the practice sequence process in each cut type in the performance content, the NCS learning module could not be developed as an accurate image due to the lack of content descript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nection between performance content and required knowledge by applying the content system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analysis table, errors in the context of the NCS learning module did not match the context. On the other hand, the test-type textbook applied the required core concepts as appropriate background knowledge (schema). As we have seen, the NCS learning module, as a government textbook, should be made so that it can be easily understood as well as in-depth or supplementary materials to motivate learning and arouse interest. However, the optimization of learning contents is produced as a way to omit the contents. This appears as a responsibility evasion of entrusting the ability to reorganize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as a teacher's responsibility. In particular, it is overlooked that the teachers of the beauty-related department are from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not the college of educa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n order to systematize content knowledge such as the cutting tool (Ⅰ), cutting technique (Ⅱ), cutting procedure (Ⅲ), and basic cutting form (IV), a QR code that can be accessed using a smartphone is generated. Each data was linked. A total of 15 QR code themes were set, including 6 cutting tools, 4 cutting methods, 1 basic shape, 1 cutting procedure, and 3 masculine cut styles, and materials were produced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is is the subject selected in the Basic Haircut section, and it is provided as a QR code and can be attached to the location of the textbook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f the mater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optimize the amount of learning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learning materials (teaching less and learning more), but also to use the QR code using a smartphone for positiv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classes.

      •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두개피관리사 직무분석 : 4년제 대학 미용관련 학과 중심으로

        장지혜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두개피 질환 환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두개피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인식이 증가되었고 이러한 추세는 미용관련 대학에서 두개피관련 교과목의 개설을 확산시켰지만 두개피관리사에 대한 구체적인 직무분석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그에 대한 교육과정 및 내용이 체계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데이컴기법을 통해 두개피관리사의 직무모형을 제시하여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내용을 정립하고 두개피관리 직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두개피관리사의 직무모형을 연구하기 위하여 두개피관련 분야에서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내용전문가 10인을 설정하여 데이컴기법을 활용했으며, 교육요구도 수준을 파악하고자 데이컴 리서치 차트를 작성하여 두개피관련 분야 실무 전문가 집단 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미용관련 대학의 교과과정 중 두개피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9개교의 강의계획서를 수합하고 강의계획서에 기재된 주교재 7종을 분석하여 두개피관련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교육현황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v. 17.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두개피관리사의 직무는 22개의 직무 영역과 166개의 작업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다시 지식 영역, 기술 영역, 능력 영역으로 나누어 작업자 중심의 직무모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직무모형을 바탕으로 교육요구도 수준을 분석한 결과 기술영역의 중요도, 난이도, 빈도가 높은 점수를 보였고 이에 반해 지식 영역과 능력 영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두개피관련 교과의 교육현황을 분석한 결과 체계적인 교과의 정립이 요구되어짐을 시사했으며, 이와 관련된 강의계획서 및 교재에 대한 연구 결과, 기술영역에 대한 비중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 기술역역의 중요함을 의미하는 동시에 지식영역과 능력영역의 균형적인 교수-학습이 요구되어짐을 시사했다. 본 연구는 체계적 정립이 요구되어지는 두개피관리사의 직무를 분석하여 두개피관련 분야에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시행된 두개피관련 교과의 분석을 통해 두개피관련 교과가 미용학과의 타 영역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학문으로서 초석을 다져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As increasing the number of patients experiencing the scalp disease recently, the social interest and recognition about the scalp treatment is getting increased and this trend makes scalp related subject opened at the beauty related universities. However it is not clear what the scalp care experts do on site and also the curriculum about that is not systematic proper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jobs of scalp experts through DACUM, to develop and correct the course of scalp related curriculum and then to provide basic date about the duty of scalp treatment. To study job model of scalp care experts, 10 experts with 5-year experiences in the scalp related field was selected for DACUM and 25 experienced scalp care experts was surveyed with DACUM research chart to identify education demanding levels. In addition 9 syllabus and 7 teaching materials about the scalp related subject was collected and analyzed to realize the present condition of curriculum and to know what is demanded. The document research was conducted from Jan. 2012 to Dec. 2012 and SPSS. v. 17.0 was used for analyzing the data.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jobs of scalp care experts include 22 dutied and 166 tasks. This makes knowledge, skill, and competence came out as the worker focused job analysis. Also the analyzed education demanding level about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shows that skill area has high points compared with knowledge and competence. After analyzing the curriculum, syllabus and teaching materials, it tells that the present condition of scalp related course is to need proper set-up and the balanced teaching-learning is demanded because the skill area appeared relatively high.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 to scalp related field where is demanded systematic establishment. Also it hopes to help to lay the cornerstone of the scalp related subject wit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s a cofigurativ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