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리직업 전문학교의 교육환경이 학습몰입 및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윤선정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ffects learning commitment and educational performance(education satisfaction, educational achievement) for learners taking in Culinary Vacational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purpose is to present efficient operation plans and marketing strategies to managers of Culinary Vacational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learners of Culinary Vacational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survey fo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30 days from October 1, 2021 to October 30, 2021, and the survey method used a face-to-face method by the survey method and a 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through online. A total of 3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257 copies were collected.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a total of 247 copies were used, excluding 10 copies with unfaithful responses and multiple missing valu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which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significantly affects educational performance for the test of <Hypothesis 1>, First, as variables affecting educational performance (education satisfaction), all three variables, such as curriculum, instructor quality, and administrative servic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and the remaining variables, physical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excluded. As variables affecting educational performance (educational achievement), all three variables, such as curriculum, instructor quality, and administrative servic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and the remaining variables, physical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excluded. Second, for the test of <Hypothesis 2>,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which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 learning commitment among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Next, as variables influencing learning commitment (behavioral commitment), all three variables, including curriculum, instructor quality, and administrative servic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and the remaining variables, physical environment variables, were excluded. Thir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whether the learning commitment facto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al performance for the test of <Hypothesis 3>, both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factor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variables. Next, both cognitive immersion and behavioral immersion factor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variables as variables affecting educational performance (educational achievement). Fourth,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whether learning environment factors play a role in educational outcomes for the test of <Hypothesis 4>, the influence of the curriculum on the dependent variable, should be reduced in the three-stage regression equation and not significant for complete media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fluence of the curriculum, the influence of the second stage educational environment decreased from β=0.742 to β=0.564, but it was found that learning commitment affected educ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learning commitment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performanc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is intended to help learners of Culinary Vacational Schools establish ways to improv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achieve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조리직업전문학교에서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교육환경이 학습몰입 및 교육성과(교육만족도, 교육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를 분석하 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조리직업전문학교의 경영자들에게 효율적 인 운영 방안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경기・인천 지역에 소재한 조리직업전문학교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설문 조사는 2021년 10 월 1일부터 2021년 10월 30일까지 30일간 실시하였으며, 조사 방법은 서베이법에 의한 직접 대면법과 온라인을 통한 단순 무작위 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 지는 총 300부를 배포하여 257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한 응 답과 다수의 결측값이 존재하는 10부를 제외하고 총 247부를 사용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의 검정을 위해 교육환경 요인 중에서 어떤 변수가 교육성과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 분석한 결과, 먼저 교육성과(교육만 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교육과정, 강사자질, 행정서비스 등 3개의 변수가 모두 유의한 변수들로 판명이 되었고 나머지 변수인 물리적 환경 변수는 제외되었 다. 교육성과(교육성취도)에 미치는 변수로는 교육과정, 강사자질, 행정서비스 등 3 개의 변수가 모두 유의한 변수들로 판명이 되었고 나머지 변수인 물리적 환경 변수 는 제외되었다. 둘째, <가설 2>의 검정을 위해 교육환경 요인 중에서 어떤 변수가 학습몰입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 분석한 결과, 먼저 학습 몰입(인지 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교육과정, 강사자질, 행정서비스 등 3개의 변수 가 모두 유의한 변수들로 판명이 되었고 나머지 변수인 물리적 환경 변수는 제외되 었다. 다음으로 학습몰입(행동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교육과정, 강사자 질, 행정서비스 등 3개의 변수가 모두 유의한 변수들로 판명이 되었고 나머지 변수 인 물리적 환경 변수는 제외되었다. 셋째, <가설 3>의 검정을 위해 학습몰입 요인이 교육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한 결과, 먼저 교육성과(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인지적 몰입, 행동적 몰입 요인 모두 유의한 변수들로 판명이 되 었다. 다음으로 교육성과(교육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인지적 몰입, 행 동적 몰입 요인 모두 유의한 변수들로 판명이 되었다. 넷째, <가설 4>의 검정을 위해 교육환경 요인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과정에서 학 습몰입이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 분석한 결과, 학습 몰입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종속변수인 교육성과에 대한 교육과정의 영 향력이 3단계 회귀식에서 줄어들어야 하며 완전 매개를 위해서는 유의미하지 않아 야 한다. 교육과정의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2단계 교육환경의 영향력이 β=0.742에 서 3단계 교육환경의 영향력이 β=0.564로 줄어들었지만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고, 학습몰입이 교육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교육환경과 교육성 과의 관계를 학습몰입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조리직업전문학교의 학습자들에게 교육만족도 및 교육성취도 제고 방안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빅데이터를 활용한 편의점 간편식품 수요 결정요인 분석

        김애숙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As the first research topic of this paper, Poisson analysis is us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sumers to choose convenience store food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purchasing demand decisions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second research topic is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sumers to choose convenience store simple food using MNP analysi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ir choice of demand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third research task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consumers' choice of convenience store food using LR-test analysis, such as demographic variables, convenience store convenience food selection attributes, and dietary lifestyle. The originality of this paper can be said to have been verified by a big data sensitivity analysis that reliably supports the results estimated by the questionnaire method. A quantitative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urchasing demand and selective demand for convenience store convenience foods. In the survey, 408 copies of valid samples were used for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in purchasing convenience stores in Seoul a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nvenience store simple food selection attribute factors and dietary lifestyle and demographic analysis were used as explanatory variables. Analysis of the factors determining the choice of dietary lifestyle and convenience store convenience food selection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onvenience of convenience store convenience food selection attributes to wealth. The reason for this is that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home-eating has become popular, reducing the time and effort of modern people who are pressed for time and are more preferred in terms of premium. In particular, if convenience stores bought convenient food based on "easy to eat" in the past, the recent release of convenience store meal kits and convenience store recipes using famous chefs' recipes while emphasizing the premium of ingredients. In the dietary lifestyle, the health-seeking type (5% attention level)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and the simplified type (1% attention level) had a positive (+) effect. The second study, the effect of dietary lifestyle and convenience store convenience food selection on purchasing decision factors, was found to have a higher preference for non-white-collar occupation groups (office, faculty, civil servan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whether the cost of products is appropriate in the development of simple food products by referring to the high preference of convenience stores for convenience stores such as professionals, civil servants, and clerical workers. In terms of noodles, men's choice over women's has a positive effect on men's choic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men's preference for noodles, and a new trend-sensitive menu and food preference among dietary lifestyle factors are higher. It was found that they prefer to buy cheap and discounted foods, which are sensitive to prices. This can be inferred that consumers' perception of convenience store convenience foods is increasing due to the subdivided consumption and gentrification of consumers, and the demand for a variety of new menus is increasing rather than price. In frozen foods, women's choice over men has a positive effect, which can be interpreted as women's preference for frozen food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more positive the choice is. With the prolonged social phenomenon caused by social distancing and restrictions on movement due to COVID-19, people prefer to visit nearby convenience stores or buy online or home shopping, which has the advantage of delivering to their homes.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positive effect on price rationality ends with the simple food selection attribute, and the positive effect on the diet lifestyle is trend-sensitive, gourmet-oriented, and price-sensitive.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rough MNL analysi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implified food selection attributes, and dietary lifestyle are all related to the variables of convenience store convenience food preference types. Analysis on the effect of dietary lifestyle and simple food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which are the third research subjects, is the result of estimating the Ushijima Ratio Test (LR-test). The impact on the degree of involvement of the whole group was found to be positive (+) at 1% attention level in safety, convenience, product quality, product publicity and price rationality. However, the influence of factors on satisfaction in low-participation group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onvenience, product quality and price rationality except safety, and the influence of factors on satisfaction in high-participation groups had a positive impact on safety, convenience, product publicity and price rationality. 본 논문의 첫 번째 연구 과제로 인구통계학적 변수, 편의점 간편 식품 선택속성, 식생활라이프스타일 등을 Poisson 분석을 이용하여 소비자가 편의점 간편식품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적 특성 변수를 동시에 고려함하여 구매수요 결정에 영향을 주는 결정적인 요인을 밝히고자 것이다. 두 번째 연구 과제는 인구통계학적 변수, 편의점 간편식품 선택속성, 식생활라이프스타일 등을 MNP 분석을 이용하여 소비자가 편의점 간편식품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적 특성 변수를 동시에 고려하여 선택수요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혀 수요자 의사를 파악해 미래 예측을 위한 마케팅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세 번째 연구 과제는 인구통계학적 변수, 편의점 간편식품 선택속성, 식생활라이프스타일 등을 LR-test 분석을 이용하여 소비자가 편의점 간편식품을 선택하는데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적 특성 변수를 동시에 고려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추정하는 것이다. 설문지 방법으로 추정한 결과를 확실하게 뒷받침해 줄 수 있는 빅데이터 감성분석으로 검증한 것은 본 논문의 독창성이라고 할 수 있다. 편의점 간편식품의 구매수요와 선택수요에 대한 분석을 하기 위하 설문조사를 통해 정량적인 것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편의점 간편 식품구매 경험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유효표본 408부를 사용하였다. 편의점 간편식품 선택속성요인과 식생활라이프스타일 및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설명변수로 사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 과제인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편의점 간편식품 선택속성의 선택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을 수요모형 푸아송(Poisson)을 통하여 추정한 결과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편의점 간편식품 선택속성 수요 함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편의점 간편식품 선택속성에서는 가격 합리성에서 편의성(5% 유의수준)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COVID-19의 장기화 때문에 집밥이 유행하면서 바쁜 현대인들의 시간과 노력을 줄여주는 제품이 간편식품이라는 인식에서 점차 프리미엄 화되면서 더욱더 질적인 측면을 선호하는 추세로 바뀌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과거 편의점 간편식품은 “간편하게 먹을 수 있을 정도”에 기준을 두고 편의점에서 간편식품을 구매하였다면, 최근에는 음식 재료의 프리미엄을 중히 여기면서 간편식품으로 유명한 음식점의 밀키트나 유명한 쉐프의 레시피를 이용한 편의점 간편식품들의 출시가 위와 같은 결과를 나오게 하는 뒷받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서는 건강 추구형(5% 유의수준)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간편 추구형(1% 유의수준)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 과제인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편의점 간편식품 선택속성이 구매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MNP (Multinomial Logia) 분석을 통하여 추정한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상 탕류는 화이트칼라 직업군이(사무직, 교직원, 공무원) 아닌 기타 직업군의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편의점 간편식품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별, 나이, 가족 구성원 교육 수준은 소득, 구매 경로, 간편식품 선택속성 요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는 전문직, 공무원, 사무직 등 화이트칼라에 속하지 않는 직업군 집단의 편의점 간편식품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를 참고하여 간편식품 제품개발에 있어 제품의 비용이 적절한가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면류에서는 여성 집단 보다는 남성 집단의 선택에 긍정적 영향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남성 집단이 면류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의 요인 중 트렌드 민감형에 해당되는 새로운 메뉴와 음식의 유행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민감형에 해당하는 저렴한 간편식품이나 할인하는 간편식품의 구매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소비자들의 세분된 소비성향과 고급화 추세로 인하여 소비자들의 편의점 간편식품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가는 현시점에서 가격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메뉴에 대한 수요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유추해볼 수 있다. 냉동식품에서는 남성 집단 보다 여성 집단의 선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냉동식품류를 여성이 더 선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교육의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편식품 선택속성에서 가격 합리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마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서는 가격 민감형, 미식가형, 트렌드 민감형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유의미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MNL 분석을 통한 편의점 간편식품 선호유형에 미치는 변수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간편식품 선택속성, 식생활라이프스타일 모두 많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연구 과제는 우도 비율검정(LR-test)을 통하여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간편식품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하여 추정한 결과이다. 전체 집단에 있어서 관여도에 미치는 영향은 제품 품질, 제품홍보, 안전성, 편의성, 가격 합리성 모두 1% 유의수준에서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집단 중 저관여도 집단에서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은 안전성을 제외하고 제품품질, 편의성, 가격 합리성이 1% 유의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여도 집단에서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은 제품 품질, 제품홍보, 안전성, 편의성 및 가격 합리성 모두 1% 유의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빅데이터를 활용한 배달앱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박용정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elivery aps apeared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chnologies and played major roles in tearing down the boundary betwen online and ofline markets. In adition, the use of delivery ap services increased rapidly along with restrictions on busines hours and strict social distancing resulted from the COVID-19 pandemic. With this change in our society, it has become a new fod consuming culture to use mobile-based delivery aps ordinarily. However, the curent delivery ap market is dificult to sustain growth, and in order to maintain it, we should aproach it with new research methods.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factors that alow consumers to use delivery aps continuously in the domestic delivery ap market that has reached the phase of maturity and to present implications. Acordingly, big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o discover factors necesary to continue and expand delivery aps and perform empirical analysis. Acording to the results of big data analysis, studies before COVID-19 dealt with factors like ap characteristics, personal characteristics, or the technology aceptance model while after COVID-19, factors asociated with the quality of delivery such as sped, reliabilty, quality, and human servic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this author decided that in empirical analysis, it would be apropriate to conduct research focusing on delivery quality in order to realize the continuous use of delivery aps. To this end,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consumers having experience in using delivery ap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delivery quality, for instance, reliabilty, sped, human services, consumer atitudes, trust, or continuous use intention. Acording to the results of verifying hypotheses, Hypothesis 1-1 that reliabilty would influence atitudes was rejected whereas Hypothesis 1-2 that reliabilty would influence trust and Hypothesis 1-3 that reliabilty would influence continuous use intention were adopted. Also, Hypothesis 2-1 that atitudes towards sped would be influenced, Hypothesis 2-2 that sped would influence trust, and Hypothesis 2-3 that sped would influence continuous use intention were al adopted. Hypothesis 3-1 that atitudes towards human services would be influenced, Hypothesis 3-2 that trust would be influenced, and Hypothesis 3-3 that continuous use intention would be influenced were al adopted. Lastly, a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orelation of atitudes and trust with continuous use intention, Hypothesis 4-1 that continuous use intention would be influenced significantly was adopted, and Hypothesis 4-2 that trust would have significant efect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was also adopted. Based on the findings, we can se how to further improve delivery quality corespondingly to consumer neds and what folow-up research should be oriented to in order to enhance delivery quality by training those engaged in delivery aps. This study has analyzed research trends in academic journals and degre papers dealing with delivery aps, and it is believed that it wil be of great help as material to realize the continuous use of delivery aps. The sales and importance of the delivery market are increasing in fod service industry. By conducting aditional research on it, this author has conceptualized the status of the delivery market and quality of deliver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can be used as a measure to estimate delivery quality in the delivery market that wil continue to form a large part of fod service industry in the future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이르러 다양한 기술 발달로 배달앱이 등장하였고 배달앱은 온·오프라인 시장의 경계를 무너뜨리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COVID-19 팬데믹에 따른 영업시간 제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으로 배달 앱 서비스의 이용이 급속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모바일 앱을 활용한 배달앱 사용의 일상화는 새로운 음식소비문화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 배달앱 시장은 성장을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연구방법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성숙기에 접어든 국내 배달앱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지속적 으로 배달앱을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발굴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소비자와 소상공인이 배달앱을 통한 음식배달을 지속 및 확대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발굴 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빅테이터 분석을 하였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 COVID-19 이전의 연구에서는 앱특성, 개인특성, 기술수용모델 등의 요소들로 연구들이 이루어진 반면 COVID-19 이후에는 신속성, 신뢰성, 품질, 인적서비스 등의 배달품질 관련 요소들이 상위권에 도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인과관계 연구 에서 지속적인 배달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배달품질을 중심으로 연구를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서 배달앱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배달품질의 특성인 신뢰성, 신속성, 인적서비스, 배달앱의 태도, 신뢰, 지속적 이용의도 요소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신뢰성이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1은 기각되었고 신뢰성이 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2와 신뢰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3은 채택되었다. 신속성을 중심으로 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1, 신속성이 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2, 그리고 신속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3 모두 채택 되었다. 인적서비스를 중심으로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1, 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2, 그리고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3 모두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태도와 신뢰가 지속적 이용의도와 관계를 살펴 본 태도는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4-1은 채택 되었고 신뢰가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4-2도 채택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소비자의 니즈에 맞춰 배달품질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과 배달앱 관련 종사자들의 교육을 통한 배달품질 향상을 위해 앞으로의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로 배달앱 관련 학회지와 학위논문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배달앱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활용 자료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외식산업에서 나날이 매출과 그 중요성이 높아져가고 있는 배달시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배달시장의 현황과 배달품질을 기존 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개념화 하였으며, 이는 앞으로도 외식산업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될 배달시장에서 배달품질을 측정하는 척도로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디저트 카페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소셜네트워크상의 데이터를 활용한 추천 애플리케이션

        이태경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람들의 소득수준이 향상함에 따라 디저트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기술 발 전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앱이 출시되고 있다. 단 순히 추천 또는 정보를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보다는 소비자의 성향 및 유형에 맞 춰 실질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디저트 카페 선택속성을 파악하 여 디저트를 추천해주고자 한다. 소셜네트워크상의 디저트 데이터를 수집하여 토픽 맵에 적용하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 디저트 카페 선택속성 유형을 연결한다. 또한, 와이드 앤 딥러닝 기법을 활용해 디저트 추천이 가능하다. 그 결과 하이브리 드 앱 기반의 추천 시스템에 반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디저트 카페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디저트 추천이 가 능하다고 보았고, 이에 따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설문 기간은 2020년 10월 14일부터 11월 4일까지 약 3주 동안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온라인 자기 기입방식으 로 총 223부를 수집하였다. 점차 IT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중요도 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디저트 카페 선택속성에 따라 토픽맵을 적용하여 와이드 앤 딥러닝 기법을 활용해 디저트 추천 애플리케이션으로 제안하였다. 이는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디저트 카페 선택속성의 연관성 을 분석하고 매핑하여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기존 추천 애플리케이션 획일성에 서 벗어나 흥미를 유발하고 소비자 개인에게 맞는 디저트를 추천해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디저트 카페 선택속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에 대해 4가지로 분석되었다. 첫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합리추구형은 디저트 카 페 선택속성 중 가격요인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웰 빙추구형은 디저트 카페 선택속성 중 메뉴요인, 분위기요인, 서비스요인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미식추구형은 디저트 카페 선택속성 중 메뉴요인, 분위기요인, 가격요인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식생활 라이프스 타일의 유행추구형은 디저트 카페 선택속성 중 메뉴요인, 분위기요인에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이브리드 앱 기반의 디저트 추천 시스 템을 구현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디저트 카페 선택속성 을 각각 4가지로 도출했기 때문에 모든 소비자의 정확한 유형을 파악하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디저트 추천 시 복합적인 시스템이 요구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Dessert consumption is increasing as people's income levels increase. In addition, as the use of smartphone applications increases, various apps are being released. A platform tha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about consumers' propensity and types is needed rather than a platform that provides all information.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recommend desserts by understanding the lifestyle and dessert cafe selection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It is possible to recommend desserts using wide-and-deep learning and the Topic Map by the data collected on social networks. As a result, the goal is to reflect it in recommended system based on hybrid app. This study found that it was possible to recommend desserts by identifying the impact of diet lifestyle on the dessert cafe selection characteristics through a survey. The survey period was about three weeks from October 14 to November 4, 2020. The survey collected a total of 223 copies on-line self-entry methods. As the IT industry progresses, application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refore, according to the type of diet lifestyle and dessert cafe selection attributes,, the recommended application for dessert was proposed using the Topic Map and wide-and-deep learning technology. It can recommend desserts to consumers. This study analyzed four things about how diet lifestyle affects dessert cafe selection attributes. First, the rational pursuit type of diet lifesty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ice factors among dessert cafe selection attributes. Second, the well-being pursuit type of diet lifesty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u factors, mood factors, and service factors among dessert cafe selection attributes. Third, the gastronomical pursuit type of diet lifesty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u factors, mood factors and price factors among the dessert cafe selection attributes. Fourth, the trend pursuit type of diet lifesty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nu factors and mood factors among dessert cafe selection attribut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hybrid app-based dessert recommendation system was established. However, the study will be difficult to figure out the exact types of all consumers because the lifestyle of the diet and the optional attributes of the dessert cafe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In addition, there are limitations that require a complex system when recommending desserts.

      • 장소마케팅을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이은혜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종전 이후 경제성장을 목표로 지내온 1900년대 중·후반기에는 재개발을 이유로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인 수많은 한옥이 철거되었다. 그러나 주목할 만한 사실은 2000년대에 들어선 이후 친환경, 친인간적, 친문화적 개발이 대두되면서 한옥 및 한옥마을에 대한 국민의 긍정적 인식이 꾸준히 증가해오고 있다는 점이다. 그 예로 2012년 서울연구원의 설문조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45.2%가 서울의 정체성을 한옥과 궁궐 등 역사문화공간에서 느낄 수 있다고 응답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통 관광명소가 가진 장소마케팅적 강점을 활용하여 해당 지역의 관광 활성화 및 자국민의 국내여행 증가를 도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전문 서적, 국내외 선행 논문과 각 연구기관의 보고서 및 기관 통계자료를 통해 이론적 토대를 정립하였다. 또한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자기기입형 설문지법을 이용, 2012년 7월 15일부터 7월 22일까지 전주 한옥마을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총321부를 배포하고 그중 300부를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회귀분석등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문화요소는 문화산업모델로써의 전주 한옥마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한옥의 건축적, 심미적 가치를 널리 알리는 한옥 도슨트의 도입이나 한옥길 걷기 투어 등 한옥의 전통미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둘째, 슬로건요소와 체험요소는 방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문객 만족도는 당연한 수순으로 긍정적인 피드백을 일으키는데, 한옥과 관련된 슬로건요소 중 호평을 받고 있는 전주의 한옥 톨게이트, 기와 버스정류장과 같은 고유의 심볼을 유지·확대시키고, 한옥마을의 캐릭터 상품화를 위해 공모전을 개최하는 등 지역자치단체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셋째, 체험요소는 재방문 의사 및 방문 권유 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주 한옥마을의 위치조건이 수도권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서울권 방문자가 전북지역 도내 방문자보다 높은 것으로 볼 때 전주한옥생활체험관의 비빔밥, 인절미, 한과만들기, 다례 등의 체험 프로그램들을 TV나 지면, 인터넷 포털 사이트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홍보하여 전국적인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대상지역을 전주 한옥마을로 한정하여 연구결과를 전체 전통문화지구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한옥마을 및 전통문화 관광지를 분석하여 장소간의 차이를 파악하고 일반화가 가능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ince the end of the Korean war especially during the 1990s, middle a number of Hanok were demolished by reason of redevelopment. But noteworthy part is from the 2000s, eco-friendly, culture-friendly, human-friendly urban development paradigm has emerged. and Public positive awareness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One example, 45.2% of Seoul institute surveyed replied that Seoul's place identity is in historic cultural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make activation plan on local tourism and make nationals domestic travel increas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study were done. Literature study was done through foreign and domestic thesis, periodical publication, technical book, a variety of reports from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s research center, statistical data and study from governments, relevant organizations. Empirical study was completed from the sample survey using questionnaire from July 15, 2012 to July 22, 2012. Survey was distributed to a total of 321 respondents and 300 questionnaires were validated as samples for statistical analysis. Respondents were tourists to Jeonju Hanok village. To support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es by enhancing the effectiveness and accuracteness of the research, the SPSS 12.0 program was adapted for frequency analysis, T-test, one way-anova, regression analysis. From a series of this empirical analysis, the research could abstract essential elements which may suggest realistic methods and directions. Firstly, cultural heritage factor generally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on Jeonju Hanok village as cultural industry model. Local government needs to draw up measures to support ideas like Hanok docent, Hanok walking program. secondly, slogan factor and experience factor generally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on satisfaction. Tourist satisfaction understandably makes positive feedback like Jeonju Hanok tollgate, Korean roof-tile shape bus stop. Local government need good practice on identifying symbol of Hanok and open a competition about Hanok character. Thirdly, experience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 intention. Even Jeonju Hanok village is not near by capital of Korea, number of tourists from Seoul make up the largest portion of tourists to the Jeonju Hanok village. For the progress the vallage made, Jeonju's local government should seriously condiser promote of Jeonju Hanok living experience center's Bibimbap making class, Injulmi making class, traditional Korean snack making class, Korean tea ceremony class through varios channels. With the empirical study at this time, the boundary was just Jeonju Hanok village. The writer recognized that the future study on the similar subject should consider to expand the boundary of the research region and the sampling group.

      • 빅데이터 검증을 통한 반려견 친화 호텔의 물리적 환경 연구

        황선기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paper analyzes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 hotel,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ravel with a dog, which is increasing as the typ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become more diverse. do. For dog-friendly hotels,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 happy time with dogs in existing hotels, segment the market according to hotel customer satisfaction, and provide a service that can satisfy customers for the demand for an appropriate physical environment according to targeted market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hotel management method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requirements of dog-friendly hotels according to customer satisfac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receding study and 8 domestic dog-friendly hotels were selected and field surveyed. All of the hotels that conducted the field survey tried different physical environments and designs. As a result, it was unable to meet customer needs. Based on the field survey,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dog-friendly hotel was deriv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hotel users to identify the physical environment requirements according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each group. It was verified through analysis, and the overall status and problems were identified. Textom was used for big data analysis. As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 dog-friendly hotel according to customer satisfaction, data could be collected on the factors of 'cleanliness and safety', 'accessibility', 'convenience', 'esthetic', and 'comfort'. Accordingly, it was possible to propose a specific physical environment for a dog-friendly hotel according to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satisfaction of dog-friendly hotel users is subdivided into four groups: ‘work-seeking group,’ ‘knowledge-seeking group,’ ‘rest-seeking group,’ and ‘interaction-seeking group’. The 'work-seeking group' was in their 30s to 40s mainly for the purpose of work. The requirements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were in the order of cleanliness, safety, convenience, comfort, and accessibility, and the requirements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related to functions were high. This group is to provide a dog-friendly hotel that considers work convenience and functionality. It provides an efficient space arrangement for use with dogs, and provides minimal amenities for a competitive price. The ‘knowledge-seeking group’ was a group in their 50s who were interested in history, culture, and knowledge acquisition, and showed high demands on the physical environment in all factors in the order of cleanliness, safety, comfort, convenience, accessibility, and aesthetics.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vide services that meet these needs,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secure aesthetics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e of the region where the hotel is located. Efforts should be made to realize an aesthetic space by utilizing the unique culture and history of the region, and to maximize the comfort of the hotel room space by considering the inflow and ventilation of natural light. The ‘rest seeking group’ had the largest number of customers in their 20s and 30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requirements of this group were highest in the order of cleanliness, safety, comfort, accessibility, convenience, and aesthetics. It seems important to develop a dog-friendly hotel where you can enjoy a vacation in the city, and make a hotel that can satisfy customers. Specialized swimming pools and spas are planned so that people can enjoy relaxation and entertainment at the same time. The ‘interaction-seeking group’ is a group that aims to socialize or socialize at a dog-friendly hotel. The physical environment requirements appeared in the order of cleanliness, safety, convenience, aesthetics, comfort, and accessibility. Depending on the number of people and the purpose, a common space is required for meetings. For the room space, use the layout of Suite Room and Loft Style, and for the common space, plan a functional space layout that can be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ople or the purpose of the event. By provid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 dog-friendly hotel according to customer satisfaction, users can plan the optimal dog-friendly hotel that meets the most desired needs, and maximize the efficiency of operation. By applying the differentiated physical environment to accommodations that are smaller than hotels, it is expected to attract customers and secure tourism competitiveness by improving the tourism infrastructure. 본 논문은 1인 가구(家口)의 형태가 다양(多樣)해 지면서 증가하고 있는 반려견(伴侶犬)동반(同伴)여행 중 가장 중요한 요소인 호텔의 물리적(物理的) 환경에 대해 분석하고, 향후 경쟁력 강화를 통해 고객 만족에 따른 호텔의 물리적 환경 전략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반려견 친화(親和)호텔은 기존의 호텔에 반려견과의 행복한 시간을 고려해, 호텔 고객 만족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細分化) 하고, 표적 마케팅에 따른 적절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요구도(要求圖)에 대해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고객 만족에 따른 반려견 친화 호텔의 물리적 환경 요구도에 대해 호텔의 운영(運營) 방법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선행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국내(國內) 반려견 친화 호텔 8곳을 선택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현장조사를 실시한 호텔에서는 모두 차별화 된 물리적 환경 및 디자인을 시도하고 있었으나, 일반적인 공간의 배치와 평면(平面), 공용(公用) 공간 부족으로 인해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있었다. 현장조사를 토대로 반려견 친화 호텔의 물리적 환경을 도출 하였으며, 호텔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고객 만족과 각 집단의 고객 만족에 따른 물리적 환경 요구도를 파악하였고, 이에 제안된 물리적 환경을 빅데이터(Big Data) 분석을 통해 검증(檢證) 하였으며, 전반적인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빅데이터에 대한 분석은 텍스톰(Textom)을 사용하였고. 고객 만족에 따른 반려견 친화 호텔의 물리적 환경으로는 ‘청결(淸潔)과 안전성(安全性)’, ‘접근성(接近性)’, ‘편의성(便宜性)’, ‘심미성(審美性)’, ‘쾌적성(快適性)’의 요인으로 자료을 수집할 수 있었다. 이에 고객 만족에 따른 반려견 친화 호텔의 구체적인 물리적 환경을 제안할 수 있었다. 반려견 친화 호텔 사용자의 고객 만족은 ‘업무추구(業務追求)집단’, ‘지식추구(智識追求)집단’, ‘휴식추구(休息追求)집단’, ‘교류추구(交流追求)집단’의 4가지 집단(集團)으로 세분화(細分化) 된다. ‘업무추구집단’은 주로 업무(業務)를 목적으로 하는 30∼40대로 물리적 환경 요구도는 청결과 안전성, 편의성, 쾌적성, 접근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능과 관련된 물리적 환경 요구도가 높았다. 이 집단은 업무 편의성과 기능적인 면을 고려한 반려견 친화 호텔을 제공 하도록 한다. 반려견과 이용에 효율적인 공간 배치를 제공하며, 경쟁력 있는 가격을 위하여 최소한의 편의시설을 제공한다. ‘지식추구집단’은 역사, 문화, 지식 습득에 관심이 많은 50대 연령층으로 청결과 안전성, 쾌적성, 편의성, 접근성, 심미성 순으로 모든 요인에서 물리적 환경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요구도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여야 하고, 호텔이 위치한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활용, 심미성을 확보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그 지역 고유의 문화와 역사를 활용하여 심미적(審美的)공간을 구현하고, 호텔 객실 공간이 자연 채광의 유입(流入) 및 환기(換氣)를 고려하여 쾌적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휴식추구집단’은 20∼30대의 고객이 가장 많으며, 이 집단의 물리적 환경 요구도는 청결과 안전성, 쾌적성, 접근성, 편의성, 심미성 순으로 요구도가 높았다. 도시에서 휴가를 즐길 수 있는 반려견 친화 호텔을 개발하여, 고객이 만족 할 수 있는 호텔을 만드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화된 수영장과 스파 등을 기획하여 휴식(休息) 및 오락(娛樂)을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유도(誘導)한다. ‘교류추구집단’은 반려견 친화 호텔을 친교(親交)나 사교(社交)를 목적으로 하는 집단이다. 청결과 안전성, 편의성, 심미성, 쾌적성, 접근성 순으로 물리적 환경 요구도가 나타났다. 인원과 목적에 따라 모임을 할 수 있는 공용 공간이 필요하다. 객실 공간은 스위트룸(Suite Room)과 로프트스타일(Loft Style)의 배치를 활용하도록 하며 공용 공간은 인원이나 행사 목적에 따라 변형(變形) 할 수 있는 기능적인 공간 배치(配置)를 계획하도록 한다. 고객 만족에 따른 반려견 친화 호텔의 물리적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장 원하는 욕구(欲求)를 충족시키는 최적(最適)의 반려견 친화 호텔을 계획할 수 있으며, 운영의 효율성(效率性)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차별화(差別化)된 물리적 환경을 호텔보다 작은 규모의 숙박시설(宿泊施設)에도 적용함으로써 관광 인프라(Infrastructure) 개선(改善)으로 인한 고객 유치(誘致)와 관광 경쟁력(競爭力)을 확보 할 것으로 기대된다.

      •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AI 셀프서비스기술 자동결제 시스템 설계

        김희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removed industry boundaries and had been converged, and it led to a great influence on society as a whole. This is also changing the way businesses and consumers transact and communicate. Social anxiety increases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outbreak, consumers naturally prefer non-face-to-face and unmanned payments. The food distribution industry is changing into the food tech industry and expanding adoption of self-service technology(SST) as technology supports mechanisms to achieve better productivity and satisfaction and provide convenient services to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dentifies the consumer perception of ‘self-checkout counter’, a type of self-service technology, and proposes and designs a system that applies a smart payment method to improve the inconvenience of the existing payment system for products without barcodes. The aforementioned system is a system which can be used at autonomous restaurants in highway service areas, vegetable corners of supermarkets, fresh food stores, traditional markets, and bakeries. In this paper, we have decided to propose and design a system that can be specifically applied for ‘Donut’ at a bakery as an exemplary case. Before designing the proposed system, the big data analysis method was adopted to identify consumer perception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selfcheckout counter. For 2 years and 8 months from January 2019, a total of 18,411 documents extracted from blogs, news, cafes, web documents, intellectuals, and academic information provided by NAVER, Daum, and Google, focusing on the keyword ‘self-checkout counter’ were collected, and key word analysis for self-checkout counters, Degree centrality analysis, N-gram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performed. It has been confirmed that consumers are highly interested in self-checkout counter in the COVID-19 situation from the results of big data analysis, and although there are pros & cons, there is a lot of willingness to use it.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nsumer-oriented payment system for continuous use rather than temporary use. Items such as fresh foods and baked goods which do not have barcodes attached cannot be scanned for price check with the currently available system, we need an innovative payment metho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feature for quick and accurate pricing. In addition, Customers' complaints continue to arise due to the instability of manpower supply and demand, the aging of small business owners, the increase in labour costs, and the difference in the skill level of employees according to individual abilities. Therefore, the design necessity of unmanned kiosks and automated retail operations was identified for improving these kinds of problems, and this paper intends to propose a method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payment system found at fresh food store or bakery,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current self-checkout counter. The AI self-service technology automatic payment system designed in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hardware devices: image acquisition equipment, PC with integrated AI, and payment terminal. AI PC mounting the AI algorithm recognizes the objects and transmits the result back to the terminal. The data for AI training and learning of this payment system was built using directly photographed data, crawling, image segmentation, and augmentation techniques. For performance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YOLO v2, Tiny YOLO v2, and the latest YOLO v5 among AI object detection algorithms. The performance result of YOLO v5 was the highest as mAP 96.9%, satisfactory for all types of Donuts. Thus, YOLO v5 was selected as the AI object detection algorithm to be applied in this paper. When the optimal threshold was set for each Donut, the precision and recall of all Donuts exceeded 0.85, and the majority of Donuts showed excellent recognition performance of 0.90 or more. It is estimated and expected that the performance will be improved over time as the amount of additional training dataset is accumulated in the future. In the situation of increasing demands for unmanned payment systems due to the increase in labour costs, this paper meaningfully guides and leads the design of automatic payment systems using cutting edge AI object detection algorithms and improves efficiency through fast business processing and presents a competitive solution in the foodservice industry.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form a free and comfortable shopping culture for consumers through non-face-to-face payment to provide consumers with a flexible shopping environment without the aid of employees. It will also increase sales revenues in the stores like fresh food or bakery through marketing tailored to customer preferences through qualified data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ic payment system using AI self-service technology with excellent usability in the non-face-to-face era. 오늘날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모든 산업 간의 경계가 없어지고 융·복합되 면서 사회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업과 소비자 간의 거래와 의사소통 방식 에도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COVID-19의 장기화로 사회적 불안감이 증가 하면서 소비자들은 자연스럽게 비대면, 무인 결제를 선호하고 있다. 기술이 더 나은 생산성 과 만족도를 얻고 고객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커니즘을 지원함에 따라 식품유통업계는 푸드테크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셀프서비스기술(SST)의 도입 을 확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셀프서비스기술 유형인 ‘셀프계산대’의 소비자 인식을 파악하고 기존의 바코드가 없는 상품에 대한 결제시스템에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스마트한 결제방 식을 적용한 시스템 제안 및 설계에 목적을 두었다. 본 시스템은 고속도로 휴게소 내 자율 식당, 대형마트의 야채코너, 신선식품 매장, 재래시장, 베이커리 매장에 적 용될 수 있는 시스템이며, 본 논문에서는 베이커리 매장의 ‘도넛’을 예시로 시스템 을 제안 및 설계하였다. 제안시스템 설계 전에 셀프계산대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개선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채택하였다. 2019년 1월부터 2년 8개월 동안, ‘셀프계산대’ 키워드를 중심으로 네이버, 다음, 구 글에서 제공하는 블로그, 뉴스, 카페, 웹문서, 지식인, 학술정보로부터 추출된 총 18,411의 문건을 수집하였으며, 핵심 단어 분석, 연결 중심성 분석, N-gram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통해 COVID-19 상황 속에서 소비자들은 셀프계산대에 대 한 관심도가 높고 편리하면서도 불편한 점이 있지만 이를 이용하려고 하는 의지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일시적인 이용이 아닌 지속적인 이용을 위한 소비자 지향적인 결제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바코드를 넣을 수 없는 신선식품 또는 베이 커리 등의 종류는 현재 이용 가능한 시스템으로 가격 조회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빠 르고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인공지능이 적용된 혁신적인 결제방식이 요구된다. 또한 인력 수급의 불안정, 소상공인의 고령화 및 인건비 상승, 개인의 능력에 따른 직원의 숙련도 차이 등으로 고객의 불만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 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무인 키오스크 및 점포 운영에 대한 솔루션을 설계할 필 요성이 확인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기존 셀프계산대의 단점인 신선식품이나 베이 커리 매장의 결제시스템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설계하는 AI 셀프서비스기술 자동결제 시스템은 영상 취득 장비, 인 공지능 PC, 결제 단말기의 총 3가지 하드웨어 장치로 구성된다. AI 알고리즘이 탑 재된 인공지능 PC는 물체를 인식하고 그 결과를 단말기로 다시 전송한다. 본 결제 시스템의 인공지능 훈련 및 학습데이터는 직접 촬영한 데이터, 크롤링, 이미지 세그 먼트 및 증강기술을 사용하여 구축되었다. 인공지능 객체 검출 알고리즘 중 YOLO v2, Tiny YOLO v2, 최신 YOLO v5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YOLO v5의 성능 결과는 mAP 96.9%로 가장 높았고 모든 도넛에서 만족스러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적용할 인공지능 객체 탐지 알고리즘으로 YOLO v5를 선정하 였다. 각 도넛별로 최적의 임계값을 설정했을 때, 모든 도넛의 정밀도와 재현율이 0.85를 넘었고 대다수의 도넛들이 0.90 이상의 우수한 인식 성능을 보였다. 또한 추 가적으로 학습데이터의 양이 축적되면서 성능은 시간이 가면서 우수해지리라 판단 된다.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무인결제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공지 능 객체 검출 알고리즘을 활용한 자동결제 시스템 설계를 통해 빠른 업무처리로 인 한 효율성 향상과 외식산업 분야의 경쟁력 있는 솔루션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큰 의미가 있다. 또한 비대면 결제를 통해 소비자들이 자유롭고 편안한 쇼 핑 문화를 형성하여 직원들의 도움 없이 자유로운 쇼핑 환경을 제공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한 고객 성향에 맞는 마케팅을 통해 신선식품 또는 베이커리 매장 등에서 매출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 결과가 비대면 시대에 사용성이 뛰어난 AI 셀프서비스기술을 이용한 자동결제 시스템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반려동물 애착이 펫 동반 관광 동기와 관광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 펫 동반 숙박업소 방문객을 중심으로

        이효원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반려동물 애착에 대한 펫 동반 관광 동기와 관광객 만족에 대한 영향의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반려동물에 양육 실태와 반려동물 이론 및 반려동물 애착, 펫 동반 관광 동기의 이론적 연구로 기틀을 마련한다. 그 기초위에 실증분석으로 다시 한번 검증하여, 반려동물 애착의 어떤 요인들이 펫 동반 관광 동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펫 동반 관광 동기와 관광객 만족에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침체되어있는 관광산업 증진에 기여 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현재 반려동물을 양육 중인 19세 이상의 성인으로 네이버를 통한 온라인 설문지 78부와 동반 숙박업소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여 221부를 실시하였으며, 그중 252부를 최종적으로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의 반려동물 애착 요인인 행복, 존중, 친밀, 애정은 펫 동반 관광 동기인 나를 위한 요인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요인들은 행복, 친밀과 애정이며, 존중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관광 동기의 특성이 일상의 탈출과 심리적 보상 작용 때문이다. 반려동물 애착 요인인 행복, 존중, 친밀, 애정은 펫 동반 관광 동기에 반려동물을 위한 여행의 요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가설2의 펫 동반 관광 동기의 나를 위한 여행과 반려동물을 위한 여행은 모두 관광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가설3의 반려동물 애착 요인인 행복, 존중, 친밀은 관광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애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의 이유는 애정이 높으면 기대치가 높고 따라서 만족도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미 반려동물은 옷을 입고, 유모차를 타고, 피트니스센터에 가고, 유치원을 다닌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인식하고 반려동물을 동반 여행에 대한 관광산업 관련자와 관계기관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companion animal attachment on companion animal travel motivation and tourist satisfaction. Based on this, it lays the foundation for theoretical research on the facts of breeding companion animals, theory of companion animals,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s, and motives for traveling with companion animals. By verifying this again through empirical analysis, we intend to contribute to vitalization of the stagnant tourism industry through empirical research on how the factors of companion animal attachment affect companion animal tourism motivation and tourist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8 copies of an online questionnaire through Naver and 221 copies of accompanying tourists, and 252 adults raising companion animals over the age of 19 were the final analysis subjec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Hypothesis 1, The happiness, respect, intimacy, and affection, which are the factors of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s, partially affected the motivation to travel with companion animals for themselves, and the effective factors were happiness, intimacy, and affection. However, respect did not affect it. This is because the nature of tourism motivation is a daily escape and psychological reward. Happiness, respect, intimacy, and affection, which are the factors of companion animal attachment, all influenced the motives for travel motivation with a pet. Second, in Hypothesis 2, both travel for themselves and travel for companion anima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t satisfaction. Third, the companion animal attachment factors of Hypothesis 3, such as the happiness, respect, and intim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t satisfaction, but affection did not. The reason for this phenomenon is that high attachment feeling leads to high expectations and thus does not satisfy satisfaction. Already, pets wear clothes, ride strollers, go to the fitness centers and attend kindergarten. Recognizing these social phenomena, it is necessary to take close consideration of the tourism industry and related organizations for traveling with companion animals.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지역화폐 이미지 인식에 관한 연구 : -소비자 신뢰 및 지속 사용 의도-

        김명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Currency is a means to avoid the hustle and bustle of commodity exchange, and is used as a value scaler and an wealth storage tool other than a commodity exchange tool for commodities. These functions of money and the system of social composition have created the monetary system of capitalism along with the flow of history. In particular, the interest rate-based capitalist monetary system, which is combined with finance, has recently came up with a variety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ssues. Since 2017, it has been replaced by the form of community-based gift certificates du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and is currently being evaluated as an economic policy instrument that can demonstrate the fastest effect due to COVID-19 (Choi Junkyu, 2018) . Community currency is a new economic policy that can be promoted by local governments, and has emerged as a new policy tool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local governments, which lacked decent regional economic policy means other than government budget support and corporate attraction (Hwang Young-sung, 2019). In 2019, the central government (Ministry of Administration and Security) proposed a variety of policy plans to revitalize the economy of the local currency system, supporting small business owners, self-employed people, and revitalizing local alley commercial areas. It was designed and issued in the form of a regional currency in the form of a regional gift certificate that strengthens the purpose of building the economy. In this research, I will explore the social value of protecting self-employed small businesses and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local currency. And I would like to present suggestions that can lead to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onsumers and business operators (affiliated stores) and effectively increase the usage rate.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50 adults in their 20s to 60s living in Gyeonggi-Do and Seoul.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currencies derived factors related to the types of community currencies, access routes, purchases, and difficulty of us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urrency, the gender distribution of respondents was 138 men (44.2%), 174 women (55.8%), and the age distribution was confirmed in the order of 107 people in their 50s (34.3%), and 94 people (30.1%) graduated from University with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distribution by average monthly income (after tax) was confirmed to be 87 people (27.9%) with the highest rate of 2 million won to less than 3 million won, and the distribution by occupation was 79 people (25.3%) in clerical and technical job types with this high percentage. 104 people (36.2%) answered that they had started using a local currency after recommendations from their friends and surrounding acquaintanc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136 people (43.6%) have some difficulties in using a community currency because there are only a few member stores that accept it. And 150 people (48.1%) are using credit cards and check cards as the actual form of local currency. 150 people (48.1%) are using the credit/check card type community currency (duplicate responses) as the main type. 38 people (48.1%, duplicate responses) answered that they had come to use a local currency after receiving recommendations from their acquaintance. By occupation, 28 clerical and technical workers (36.8%) answered that they used the disaster relief funds route after COVID-19. Regarding the inconvenience of using local currency (duplicate response figur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only a few stores accepting it and they experienced the inconvenience of using it. According to the result of big data analysis, Crowd 1 (named reliability) has keywords, such as trust, guidance, production, citizens, promotion, sales, finance, etc., which shows the reliability of the community currency. Furthermore, a group of respondents who showed integrity and help as the keywords are using community currency for some benefits and cashback but are facing difficulties due to small number of member stores. It can be confirmed as a policy for a local currency not only for self-employed small businesses but also for consumers who use it. Crowd 2 (named social impact) has keywords, such as scale, money, introduction, cash, COVID-19, proposal, news, expansion, debate, controversy and disaster. Economic social flow due to the pandemic COVID-19 is issued in the form of disaster relief money through the central government's budgetary support and local government budgets, the keyword "cash" was confirmed along with the contents of the money. Consumers tend to use community currency like cash. Crowd 3 named perceptibility has keywords, such as area, effect, payment, amount, mobile, use, delivery, online, receipt, guidance, new, menu, creation, terminal, summary, purchase and offline. Furthermore, since consumers are using community currency with keywords such as disaster and income, the perceptibility of community currency can be analyzed in terms of disaster and income, purchase usage of community currency, etc. Crowd 4 (named satisfaction), consists mainly of content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urrency, such as effect, inconvenience, discount, delay, efficiency, inconvenience with life, stagnation, criticism, restriction, credit, etc. It was confirmed that it is difficult for self-employed people, to introduce the same payment method using existing terminals as well as new economic policies. The prevailing opinion was that mobile community currency gift certificates were inconvenient for the silver generation, who have difficulty using smartphones because community currencies can be used as mobile gifts. In addition, the original data confirms the inconvenience that consumers have to go through the procedure of confirming whether the store where can use the local currency before purchasing the product because the place of use is fixed. Crowd 5 (named community currency recognition) has keywords, such as community currency, issuance, currency, sale, region, introduction, Incheon, plan, enforcement, Sejong, Corona, merchant, issunace, card, application. Crowd 5 has confirmed the original data that many consumers will be delivered cards or gift certificates to receive community currency as local governments implement it as a way of COVID-19 disaster relief. Community currency was identified as a keyword that consumers recognize community currency for cashback and many discount rates. Crowd 6 (named ethical consumption) was identified as keyword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such as small merchants, subsidies, consumption, delivery, trade areas, alleys, help, production, community and stagnation. Community currency is an economic policy tool for local governments, and in order to effectively achieve its goal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onsumer-oriented market environment that is centered on consumers who are policy beneficiaries and users. Problems such as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payment transactions pointed out as the initial limits of local currency have been resolved by changing the electronic money method. Bu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and it is necessary to make the local currency institutionally stable. In terms of consumer life, there is a lack of member store information, restrictions on online payment methods, limited product service selection, incentives (discount rates, cashback) management problems, and digital problem in using mobile type card. In the legal part, along with reviewing the provisions that need to be included in each local governments’ the consumer rights protection level, there is a need to classify the Enforcement of the Local Love Merchandise Rights Act. (2020.7.2) At present, community currencies are issued with the aim of building a virtuous regional economy that can coexist with the local consumers who use them and self-employed small businesses. The issuance of money results in budget waste and cuts the budgetary finances. However, it is understood that local currency will gradually show on effect in the recovery of sales at the actual consumption site using local currency. The sales status of each community currency issuance is also steadily increasing. Accurately incorporating the voices of consumers on the ground is the basis of economic policy planning for all economic policies, and the payment method and usage requirements for local currency are directly linked to the sales of self-employed small businesses in alley commercial areas. It's a given fact. We believe that helping small businesses and self-employed people who are in financial difficulties to increase their sales and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is an opportunity for all citizens to live together during the COVID-19 pandemic. 화폐(Currency)란 물물교환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품에 대한 물물교환 도구 외의 가치척도 기능과 부의 저장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폐의 기능과 사회구성의 체계는 역사의 흐름과 함께 자본주의 화폐 시스템을 만들어 왔다. 특히 금융과 결합하여 금리를 출범시켰고 금리를 기초로 한 자본주의적 화폐 제도는 최근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적 문제로 부각 되고 있다. 2017년 이후, 지역경제 활성화로 지역 기반의 상품권 형태로 교체되면서 현재는 COVID–19로 인한 가장 빠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경제 정책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최준규, 2018). 지역화폐는 지방자치 정부가 추진할 수 있는 새로운 경제 정책으로, 정부 예산 지원이나 기업 유치 외에 마땅한 지역 경제 정책 수단이 없던 지방자치 정부의 한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정책도구로 등장하였다(황영순, 2019). 2019년 중앙정부(행정안전부)에서는 지역화폐 제도의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의 도모로 소상공인, 자영업자 지원 및 지역의 골목상권 활성화 등과 같이 지역의 선순환 경제구축의 목적을 강력하게 띄는 지역 상품권 형태의 지역화폐 형태로 설계 발행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화폐 도입으로 지역 내 영세 소상공인 자영업자 보호와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사회적 가치 공감과 함께 사용 소비자의 지역화폐 관련 문제를 살펴 지역 상권의 지속적인 발전과 소비자, 사업자(가맹점)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사용률을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 서울 · 경기도에서 거주하는 20∼60대 성인 350명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 결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지역화폐 일반적 특성을 통해 지역화폐의 종류, 접근경로, 구매 및 사용의 어려움에 관한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지역화폐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결과, 응답자의 성별 분포는 남성 138명 (44.2%), 여성 174명 (55.8%), 연령별 분포는 50대 가 107명 (34.3%)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 94명 (30.1%) 순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세후)별 분포는 200만 원 이상∼300만 원 미만 87명 (27.9%) 이 가장 높은 비율로 확인되었으며, 직업별 분포는 사무·기술직 79명 (25.3%) 순으로 사무﹡ 기술직이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다. 지역화폐 접근경로는 친구, 주변 지인 이용해 본 후 주변 권유 104명 (36.2%)로 순의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지역화폐 소비자 어려움은 취급 가맹점이 적어 사용의 어려움 136명 (43.6%) 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지역화폐 사용 종류(중복응답 수치)로 신용/체크 카드형 150명(48.1%)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경로에 대한 응답(중복응답 수치)은 친구, 주변 지인 이용해 본 후 주변 권유를 38명(48.1%) 통하여 지역화폐 사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 사무 · 기술직 28명(36.8%)이 코로나 이후 재난지원금을 통한 경로 사용이 확인되었으며, 지역화폐 선택이유(중복응답 수치)로 혜택(할인율, 캐시백)이 많아서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화폐 사용의 불편 사항(중복응답 수치)은 취급 가맹점이 적어 사용의 불편함을 겪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 신뢰성으로 명명된 군집 1은 신뢰, 안내, 생산, 시민, 추진, 매출, 금융과 같은 키워드가 분포되어있어 지역화폐에 대한 신뢰성이 나타나고 있다. 더 나아가 정직, 도움과 같은 키워드들은 혜택, 캐시백이 많아서 이용하며, 불편함은 취급 가맹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 자영업자뿐만 아니라 사용 소비자를 위한 지역화폐에 대한 정책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허위 정보와 지연은 지역화폐에 대한 정확한 정보에 의한 키워드들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영향으로 명명된 군집 2는 규모, 화폐, 도입, 현금, COVID –19, 제안, 뉴스, 확대, 논란, 논쟁, 재난과 같은 단어들이 나타남으로써, 팬데믹 COVID -19로 인한 경제 사회 흐름이 중앙정부의 예산지원과 지방자치단체 자치 예산을 통해서 지역화폐를 재난지원금의 형태로 발행되기에, 화폐에 관한 내용과 더불어 현금이라는 키워드가 확인되었다. 지역화폐를 현금처럼 사용하는 사용 소비자들의 소비성향이 나타나고 있다. 지각 용이성으로 명명된 군집 3은 지역, 효과, 결제, 금액, 모바일, 이용, 배송, 온라인, 수령, 안내, 신규, 메뉴, 작성, 단말기, 요약, 구매, 오프라인에 대한 지역화폐 지각 용이성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소비자들이 지역화폐를 재난과 소득 같은 키워드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으므로, 지역화폐에 대한 지각 용이성을 재난과 소득, 지역화폐의 구매 사용 방법 등으로 분석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만족도로 명명된 군집 4는 효과, 불편, 할인, 지연, 효율, 생활과 함께 불편, 침체, 비판, 제한, 신용과 같은 지역화폐에 대한 만족도에 관련된 내용이 원문 데이터에서 주를 이뤄 소상공인 자영업자에게는 새로운 경제 정책과 더불어 기존 단말기와 사용이 같은 결제 도입 부분이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화폐는 상품권을 넘어서 모바일로 선물이 가능해 짐에 따라서 스마트폰이 어려운 실버 세대에게는 모바일 지역화폐 상품권은 불편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또한 사용처가 정해져 있어 사용 소비자들은 제품을 구매하기 전 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있는 매장인지를 먼저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는 불편 사항이 원문 데이터에서 확인되었다. 지역화폐 인식으로 명명된 군집 5는 지역화폐, 발행, 화폐, 출시, 지역, 도입, 인천, 방안, 시행, 세종, 코로나, 가맹점, 출시, 카드, 신청은 COVID –19로 인해서 재난지원금을 지역화폐로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함에 따라서 많은 소비자는 지역화폐를 받기 위해서 카드 또는 상품권을 배송받는다는 원문 데이터를 확인하였다. 지역화폐는 캐시백 및 많은 할인율로 인해 사용 소비자들이 지역화폐를 인식하고 있는 키워드들 확인되었다. 윤리적 소비로 명명된 군집 6은 소상공인, 지원금, 소비, 배달, 상권, 골목, 도움, 생산, 공동체, 침체, 과 같은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키워드로 확인되었다. 지역화폐는 지자체 정부의 경제 정책도구로 효과적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정책 수혜자이자 사용자인 소비자 중심과 소비자에게 지향적인 시장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지역화폐 초기 한계로 지적된 지불거래의 접근성이나 사용 편리성 등의 문제는 전자화폐 방법의 변경으로 해결되고 있으나 아직 보완되어야 할 다수의 문제가 존재하며 지역화폐를 제도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소비자 측면에서의 정책적 개선 보완점이 필요 실정이며, 먼저 사용자의 소비생활 부분에서는 가맹점 정보 부족과 온라인 결제방식 제약, 상품의 서비스 선택 한계, 인센티브(할인율, 캐시백) 운영 문제, 모바일 카드형(앱카드) 사용에 따른 디지털 이슈 등의 이용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법적 부분에서는 각 지방자치단체 소비자의 권익 보호 수준에서 포함될 필요가 있는 조항검토와 함께 지역 사랑 상품권법 시행(2020.7.2.) 구분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현재 지역화폐는 사용하는 지역 소비자, 소상공인 자영업자 모두 함께 상생할 수 있는 지역 선순환 경제 구축을 목적으로 발행되고 있지만 현재 일각에서 지역화폐 무용론이 제기되면서 지역화폐 발행이 예산 낭비라는 결과를 내놓고 예산재정을 삭감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지역화폐 사용소비 현장에서는 지역화폐가 매출 회복에 점차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각각의 지역화폐 발행 판매현황도 꾸준히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모든 경제 정책은 소비 현장의 목소리를 정확하게 담아내는 것이 경제 정책 입안의 기본으로 지역화폐는 지급방식과 사용처 요건 등이 골목상권 영세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매출과 직결되는 것은 기정사실이다. 팬데믹 COVID –19 경제적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는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의 매출 증대를 돕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가 국민 모두에게 상생의 기회라고 믿고 있다.

      •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관광 서비스 플랫폼 구현 모델에 관한 연구

        손현곤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의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들은 대량의 콘텐츠 속에서 고객이 만족할 만한 콘 텐츠와 서비스를 선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추천 시스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에서는 방문자의 성향을 분석하여 상품을 추천해주고, 포털에서는 방문 자가 자주 보아왔고 새롭게 관심을 가질만한 분야의 기사를 우선적으로 추천해주는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추천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을 방문하는 외래 여행객에게 개인이 선호하는 최적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최신 ICT 기술 이 접목된 맞춤형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관광 분야의 공급자들 이 생산하는 여행 콘텐츠와 서비스 기능들을 통합된 플랫폼에서 다양한 형태로 재 조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관광 서비스 플랫폼 모델을 제시하였 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플랫폼을 이용하면 멤버십 중심의 고객 관계 형성을 통해 국내외 관광객의 고질적인 관광 불편사항을 해소하는 모바일 중심의 여행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관광 경험 데이터 분석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개 인 맞춤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관광객 개인에 맞춤화된 관광 콘텐츠와 서비스 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광객 개인 맞춤형 관광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발 생하는 고객 데이터의 분석하여 관광 콘텐츠 서비스 개선과 관광 산업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개별 관광객의 여행 편의와 만족과 감동을 주며 지역 관광 활성화에도 기여하여 국내 관광 산업 경쟁력 제고와 관광 콘텐츠 국가로의 도약 기반 마련에 이바지하는 다양한 형태의 응용 서비스와 플랫폼 구현 모델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로 이어지길 기대해 본다. Today's online service providers are investing heavily in recommended systems to selectively provide content and services that their customers will be satisfied with amid a large amount of content. Recommended technologies are being used in a wide range of areas, including analyzing visitors' tendencies to recommend products, and the portal prioritized articles in areas that visitors have seen often and will be interested in. This study proposed a customized service model incorporating the latest ICT technology to provide optimal personal content to out-of-town travelers visiting Korea, and based on this, a personalized tourism service platform model that enables suppliers in the tourism sector to provide a reassembled service in various forms from an integrated platform. Using the platform proposed in this paper, it can provide mobile-oriented travel convenience to address the chronic tourism inconvenience of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through the formation of membership-oriented customer relationships. And through a personalized service system applied with tourism experience data analysis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urism contents and services tailored to individual tourists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analysis of customer data arising from the use of personally customized tourist content services by tourists can be used to improve tourism content services and establish tourism industry policies. Based on this research, we hope that it will lead to various studies on various types of application services and platform implementation models that contribute to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tourism industry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a leap into a tourism content country by providing convenience, satisfaction and excitement for individual tourists visiting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