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주민 사회복지사 실천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차별을 넘어 공존으로

        한호진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listically by narrative inquiry the work experiences of immigrant social workers. Since few of immigrant social workers have been working and never studied in Korea, it is important for the current study to help understanding of immigrant social workers and the experiences, and to contribute to the knowledge base for seeking implementation measure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of three participants who work or have worked in a social service agency and field observation as well as written materials and articles related to participants. The collected field texts were coded in the process of narrative analysis model(Blom, 2010) and drawn to results. Results regarding immigrant social workers’ meaning of work experiences are ‘ethics of you and me’ and ‘space of hospitality’, ‘space of enjoyment’, and the results integrate into ‘from discrimination to coexistence’ as a key theme. In Korea, immigrant social workers are minors having disparate cultures, while Koreans are the subject exercising their power over the immigrant social workers in language and expression, evaluation. In their work field there is no ‘ethics of you and me’ for respect of diversity but full of discrimination and humiliation. However unconditional hospitalities that all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in Korea impacted on turning their weakness and handicap into strength. They expand ‘space of hospitality’ from helping professionals to mediator and advocate, role-model, mentor for immigrants. Immigrant social workers underlined how joyful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in harmony with Korean social workers was. As immigrant social workers’ work field changes to the space for coexistence beyond discrimination, the barrier between you and me will be dismantled and hospitality be expanded, then the space develops into ‘space of enjoyment’ where each difference will be beneficial and joyful. The results serve as a basis to pres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political implications. The implications for theory: First, Korean immigrant integration is based on the theory of multiculturalism such as participation and coexistence, openness, but it was not realized in the multicultural service fiel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iscuss if multiculturalism is only direction theory which is useful for immigrant integration in Korea. Second, the definition of multiculture plays a vital role to make multiculture environment like multiculture awareness and policy. Currently multiculture is superficially interpreted in ideal concept of diversity coexistence. However, in this study the reality of multiculture in the immigrant service field appeared a political nature which means Korean mainstream society as the main group led the action. Accordingly the ideal definition of multiculture must be concretized in a political one, and the subject in practical activities for immigrants should be shifted from the mainstream society to immigrants. The implications for practice: First, immigrant social workers showed their culture competency and specialties in the work field. Social service agency should recruit immigrant social workers as a special workforce. Second, immigrant social workers burned out because they stood working more excessive workload than Korean social workers did. In terms of workload balance and efficiency, the agency supervisor should conceive the difference of competency between immigrant social workers and local social workers, and adjust workloads as well as evaluate accordingly. Third, support and participation of social service agencies had great impact on becoming an immigrant social worker. For fostering immigrant social workers, Social service agencies need to offer immigrants a chance to take part as a service provider in their service fields. Forth, immigrant social workers served as a cultural mediator in the agency and community who not only solved conflicts and misapprehension related to culture difference, but also improved multicultural acceptance. Presently immigrant integration programs of multicultural service agencies are confined to employment. Thus they would do well to enlarge the immigrant integration service depending on immigrants’ need and characteristics in the community, and aggressively to support immigrant social workers to take the lead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immigrant integration programs. The implications for policy: First, according to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Paragraph 2, Article 13), some administrators provide financial supports to cultivate multicultural professionals, while there is nothing for immigrant social workers. But as immigrant social workers are an essential asset for immigration integration, it is indispensable to include immigrant-social-worker training programs in the current program for multicultural professionals. Second, immigrant social workers are most suitable for representing immigrants who are an interested party of immigrant integration policy. In this reason the administration ought to include immigrant social workers working for communities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process of policy decision so as to establish culturally-sensitive policies. 본 연구는 이주민 사회복지사의 실천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총체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내 이주민 사회복지사는 소수이고 이들을 연구한 사례가 없으므로, 본 연구는 이주민 사회복지사의 실천경험을 풍성히 이해하게 돕고 이주민 사회복지 실천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에 의의가 있다. 연구자는 이주민 사회복지사로 활동하고 있거나 최근까지 활동한 3명의 연구 참여자를 집중 면접하고 실천현장을 관찰했으며, 참여자가 제공한 문서와 보도자료, 각종 문헌을 현장 텍스트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현장 텍스트는 내러티브 분석 모델(Blom, 2010)로 코딩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이주민 사회복지사 실천경험의 의미는 ‘너와 나의 윤리’와 ‘환대의 장’, ‘향유의 장’이며, 이러한 의미를 통합한 핵심 주제는 ‘차별을 넘어 공존으로’이다. 한국에서 이주민 사회복지사는 이질문화를 가진 소수자이다. 한국인은 이주민 사회복지사에게 언어와 표현, 평가에서 권력을 행사하는 주체였고, 이주민 사회복지사가 근무하는 실천현장에는 다양성을 존중하는 ‘너와 나의 윤리’가 아닌 차별과 모멸이 만연했다. 그러나 이들이 한국사회에서 경험한 무조건적 환대는 자신의 약점과 불리한 조건을 강점으로 발전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 이주민 사회복지사는 원조전문가에서 이주민의 중재자, 옹호자, 롤모델과 멘토로 그들이 받은 ‘환대의 장’을 확장했다. 이주민 사회복지사는 실천현장에서 한국인 사회복지사와 서로 협력하며 조화로운 관계를 강조했다. 이주민 사회복지사의 실천현장이 차별을 넘어 공존의 장으로 바뀔 때, 너와 나의 경계는 해체되고 환대는 확장되며 다름이 호혜와 즐거움이 되는 ‘향유의 장’으로 변화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이주민 통합정책은 참여, 공존, 개방성이라는 다문화주의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다문화 실천현장에서는 이러한 가치가 구현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주의 이론이 이주민 사회통합과정에 도움이 되는 유일한 대안인지 논의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문화의 정의는 다문화 인식과 정책 등 다문화 환경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 다문화는 다양성의 공존이라는 이상적 개념을 표면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다문화 실천현장에서 드러나는 다문화의 실재는 주류사회가 주체가 되어 실천을 이끌어가는 정치적 속성을 보였다. 따라서 다문화의 정의는 이상적인 개념에서 정치적 개념으로 구체화하여, 이주민 실천의 주체가 주류사회에서 소수집단인 이주민으로 전환하도록 해야 한다.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민 사회복지사는 문화역량과 전문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사회복지기관은 이들을 전문 인력으로써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주민 사회복지사는 한국인 사회복지사보다 많은 업무량과 스트레스로 육체와 정신이 소진되었다. 따라서 업무균형과 효율성을 위해 기관의 관리자는 한국인 사회복지사와 이주민 사회복지사가 보유한 핵심 역량의 차이를 인지하고 업무분담과 평가를 적절하게 해야 한다. 셋째, 본 연구 참여자가 이주민 사회복지사가 되기까지는 주변의 지지와 사회복지기관에서의 참여경험이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더 많은 이주민을 사회복지사로 양성하려면 사회복지기관은 이주민을 서비스 제공자로 참여할 기회를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 넷째, 이주민 사회복지사는 직장과 지역사회에서 이문화 갈등과 오해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다문화수용성을 높이는 문화 간 매개자로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다문화지원센터는 다문화 사회통합 서비스를 취업에 한정하여 제공하고 있다. 그러므로 다문화지원센터는 각 지역별 이주민의 욕구와 특성에 따라 이주민 통합 서비스를 확대하고, 이주민 사회복지사가 주도적으로 이주민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야한다.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부 중앙부처는 다문화가족지원법(제13조의2)을 기반으로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재정을 지원하고 있으나 이주민 사회복지사 양성을 위한 지원은 전무하다. 이주민 사회복지사는 이주민 사회통합을 위한 중요한 자원이므로 현행되는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제도에 이주민 사회복지사 양성 지원과정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주민 사회복지사는 이주민 통합정책의 주요 이해 당사자인 이주민을 대변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따라서 정부는 이주민 통합정책을 수립할 때 지역에서 활동하는 이주민 사회복지사를 정책 참여자로 포함하여 문화에 민감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 사회복지사의 성찰적 사고가 사례관리 역할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은경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의 성찰적 사고가 사례관리 역할수행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서울시 소재 사회복지관의 사례관리자 1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사례관리 역할수행능력은 3.76점으로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평균보다 약간 높았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사례관리 역할수행능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근무경력이 높고, 직급이 높은 사회복지사의 사례관리 역할수행능력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요인, 사례관리 요인, 슈퍼비전 요인, 조직특성 요인, 성찰적 사고가 사례관리 역할수행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성찰적 사고가 사례관리 역할수행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슈퍼바이저의 지지적 행동과 업무지침의 유무가 그 다음으로 비슷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복지사가 성찰적 사고 수준이 높을수록, 슈퍼바이저가 지지적으로 행동한다고 인식할수록, 사례관리 업무지침이 있을 때 사회복지사의 사례관리 역할수행능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성찰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마련하고, 명확하고 체계적인 사례관리 업무지침을 제공하고, 사회복지사의 강점에 초점을 맞추고, 존중과 이해, 신뢰를 토대로 한 슈퍼비전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n order to examine what effect reflective thinking has on the role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who are in charge of case management at local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is research surveyed 154 caseworkers working in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ocial workers' role performance ability in case management was 3.76 points,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in previous research. Second, social workers who held higher positions and those who worked longer showed higher role performance ability in case management. Third, reflective thinking had the largest effect on the role performance ability in case management. Supervisors’ supportive actions and the presence of work guidelines were the next two variables that had similar amount of effect on role performance ability. In other words, the more social workers used reflective thinking, the more their supervisors supported them, and when there were case management guidelines, social workers showed a higher level of ability in performing their case management roles.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preparing various opportunities in which social workers' reflective thinking ability can be cultivated, offering clear and systematic case management guidelines, and the need to focus on social workers’ strengths while maintaining a relationship based on respect, trust and understanding in supervision were proposed.

      • 지역사회에서 10대 양육미혼모로 살아가기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은녕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10대 양육미혼모로 살아가는 경험이 어떠한 것인지 이해하기 위해 10대 양육미혼모 3명의 경험적 이야기(narrative)를 전체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10대 양육미혼모 3명의 어린 시절부터 현재까지의 전체적인 삶을 조명하였으며, 연구방법은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경험의 깊은 이해를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시간성, 사회성, 공간성)을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10대에 임신과 출산을 경험하고 현재 아이를 양육하는 미혼모로, 미혼모 지원기관을 통해 3명을 의뢰받았다. 자료 수집은 2019년 3월부터 10월까지 진행하였고 심층면접과 현장일지, 녹음, 참여자가 제공한 일기, SNS에 올린 글 등을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인터뷰 전사본과 수집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며 현장텍스트를 정리하였고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을 배경으로 분석과 해석을 반복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에서 3명의 10대 양육미혼모로 살아가는 각자의 삶의 주제는 ‘잃어버린 자신의 근원을 찾아서’, ‘믿음과 존중으로 빚어진 단단함’, ‘외로운 광야에서 만난 작은 별’이였다. 3명의 10대 양육미혼모는 갑작스런 임신으로 입양과 양육을 고민하였지만, 아이를 통해 자신의 존재 이유를 발견하고 자신이 더욱 단단해 지는 성장의 시간을 경험함으로 꿈과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였다. 3명의 연구 참여자가 양육미혼모로 살아가는 전체적인 삶의 의미는 ‘가지 않을 수 없던 길’로 이해하였고 10대 양육미혼모의 삶을 관통하는 주제는 시간성과 존재성을 드러내기 위해 시간적인 맥락과 그 시간을 견뎌 낸 존재의 힘이었다. 전자의 3가지 주제는 ‘잃어버린 길 위에서’, ‘책임감, 또 다른 시작’, ‘아픔이 길이 되어’로 이해하였고, 후자의 3가지 주제는 ‘떨어진 나를 줍다’, ‘또 다른 나, 모성을 찾다’, ‘버팀목이 되다’ 로 이해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려고 한다. 10대 양육미혼모로 살아가는 삶을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중요한 관점인 강점관점과 회복탄력성의 구체적인 근거가 되었다. 또한 10대 양육미혼모로 살아가는 과정에서 사회적 자원과 지지체계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가 갖는 실천적 함의로는 첫째, 10대 양육미혼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미혼모의 정서적 지지를 도모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양한 문화와 계층의 사람들을 만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감수성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10대 양육미혼모가 가장 크게 겪는 어려움은 경제적 빈곤이었다. 둘째, 자립과 취업을 준비하는 10대 양육미혼에게 아이돌보미 등의 양육지원이 필요하였다. 셋째, 10대 양육미혼모의 교육권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10대 미혼부 책임을 강화하는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다섯 째, 10대 미혼모를 예방하기 위한 학교현장의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성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10대 양육미혼모의 경험과 전체적인 삶을 다각적으로 조명함으로 10대 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삶의 경험에 드러난 아픔과 좌절 뿐 아니라 아이를 통한 삶의 기쁨과 성장의 경험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삶의 이야기를 드러내고자 하였다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living in a local community as a child-rearing teenage unwed mother, this study explored the entire narratives of three such mothers. Through this, their whole lives were illuminated from their childhoods until the present. The research method utilized was the narrative inquiry of Clandinin and Connelly (2000). The interaction of the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 is intended to reveal a deep understanding of experience while utilizing a three-dimensional (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 narrative inquir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unwed mothers who experienced pregnancy and childbirth in their teens, who are now raising their children, and who had stayed in facilities supporting unwed mother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rch to October 2019 and utilized in-depth interviews, site logs, recordings, diaries provided by participants, and posts uploaded to social networking services, etc.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repeatedly reading the interview transcripts and the collected data and organizing field texts, and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repeat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hemes of the lives of the three teenage unwed mothers living in the community were: "Finding the Source of My Lost identity", "The Toughness That Emerged from Belief and Respect," and "The Little Star I Met in a Lonely Field." The three teenage unwed mothers who suddenly became pregnant had struggled with the decision to relinquish their babies for adoption or raise them, but they tried to achieve their dreams and goals through discovering their own reason for existence through their children and experiencing a time of growth that made them much tougher. The meaning of the overall lives of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was understood as "A Road I Had to Go Down," and the theme penetrating their lives was the temporal context revealing temporality and existence, and a strength in their existence that endured that time. The first three themes were understood as being about the passage of time. They were: "On a Road Where I Was Lost," "Responsibility: Yet Another Start," and "Pain Becomes a Way." The next three themes were on the theme of existence: "Picking Up Fallen Me," "Another Me: Finding Motherhood," and "Receiving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From an important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practice, living as a teenage unwed mother becomes a concrete basis from the perspective of strength and recovery and resilience. In addition, we can know that social resources and support system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course of living as a teenage unwed mother. Accordingly,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hift in awareness about child-rearing by teenage unwed mothers is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upport system that can promote emotional support for single mothers. Third, training is needed on the role and sensitivity of social workers who meet people from various cultures and classes.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difficulty faced by teenage unwed mothers living in the community is economic poverty. Second, teenage unwed mothers who are raising their children and preparing for self-reliance and employment need support for child-rearing, such as the government in-home baby sitting service. Third, improvement is needed in the system that guarantees the right to education for teenage unwed mothers. Fourth, the system that strengthens the responsibility of teenage unwed fathers should be improved. Fifth, realistic and practical sex education is needed in schools to prevent teenage unwed pregnan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ims to reveal not only the pain and frustration shown in the life experiences of child-rearing teenage unwed mothers in the local community by illuminating their experiences and overall lives from many angles, but it also reveals stories of the joy they experience in their lives through their children, and their determination to experience growth and live their lives.

      • 사회복지기관 중간관리자의 슈퍼비전 경험에 관한 연구

        박보연 숭실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 중간관리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슈퍼비전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일선 사회복지사(슈퍼바이지)였을 때와 중간관리자(슈퍼바이저)로 전환했을 때, 현재 중간관리자로서의 슈퍼비전 경험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기관의 슈퍼비전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에 위치한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중간관리자 8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심층 면접에 의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Giorgi가 제시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기관 중간관리자의 슈퍼비전 경험은 3개의 본질 주제와 9개의 도출 주제, 29개의 의미단위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연구의 본질 주제는 ‘슈퍼바이저가 되기 전, 울타리 사이를 넘나들다’, ‘슈퍼바이저로 전환, 미로 속을 헤매다’, ‘슈퍼바이저가 된 후, 경계 너머를 향해 나아가다’로 드러났다. 첫째, ‘슈퍼바이저가 되기 전, 울타리 사이를 넘나들다’를 보면, 연구 참여자는 사회복지기관에 첫발을 내딛는 순간부터 다양한 실천 현장을 경험했다. 어느 기관에 입사하였는지, 그리고 어떤 사람을 상사로 만났는지에 따라 배움의 갈림길에 놓이게 되고, 이러한 경험은 이후 조직에서 인정받으며 보람을 느끼게도 했지만, 조직의 비합리적인 모습에 회의를 느끼게도 하였다. 이는 연구 참여자의 소진으로 이어졌고, 이직을 통해 찾아간 다른 현장에서도 여전히 배움의 갈림길에 놓이게 되고 이어 보람과 회의를 느끼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다양한 울타리 사이를 넘나들었다. 둘째, ‘슈퍼바이저로 전환, 미로 속을 헤매다’를 보면, 연구 참여자는 어느 날 갑자기 떠밀리듯 슈퍼바이저 자리에 앉혀졌고, 슈퍼바이저로서 역할을 해야 했지만,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몰라 두렵고 답답했다.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 정신없이 바쁘고, 권한보다 책임만을 강조하는 현실은 이를 더 가중할 뿐이었다. 그렇게 연구 참여자는 높은 장벽에 둘러싸인 채 슈퍼바이저로서 역할을 해내기 위해 과거 자신의 슈퍼비전 경험에서 그 방법을 찾아 헤매며 고군분투하였다. 셋째, ‘슈퍼바이저가 된 후, 경계 너머를 향해 나아가다’를 보면, 연구 참여자는 팀장 역할에 대한 기준과 자신감, 노하우가 생기고, 도움을 주는 동료집단이 늘어나면서 슈퍼바이저로서 힘이 생겼다. 이러한 힘은 슈퍼바이저로 하여금 다시 마주한 실천 현장의 경계 사이에서 흔들리지 않는 버팀목이 되었다. 기관의 관심 속에 권한을 부여받기도 했지만, 간섭 아래 지시받고 보고만 해야 하는 현실을 마주한 연구 참여자는 슈퍼바이저이자 슈퍼바이지인 중간관리자로서 위와 아래 사이를 잇는 가교 역할(Kadushin, 1992)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기존의 평가제도로 인해 형식적으로 변해버린 슈퍼비전을 넘어 슈퍼바이저와 슈퍼바이지가 함께 성장하고 도움이 되는 슈퍼비전으로의 변화를 그리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는 슈퍼바이지로 입사한 시점부터 중간관리자(슈퍼바이저)가 되기까지 적절한 시기별 역할 수행을 위해 단계적이고 지속적인 슈퍼비전이 필요하다. 둘째, 슈퍼비전은 슈퍼바이저와 슈퍼바이지 간에 이루어지는 공동과정으로 각자의 욕구에 기반한 슈퍼비전이 이루어지려면 서로를 바라보는 시각이 강점관점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복지기관의 슈퍼비전 방침은 슈퍼비전의 필요성에 대한 조직 구성원의 합의를 바탕으로 마련해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학계와 전문직 협회 차원에서 슈퍼비전이 필요하다는 인식변화와 함께 이를 뒷받침하는 교육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다섯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실천에 도움이 되는 슈퍼비전이 이루어지려면 기관 외부 평가의 변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rying to investigate the supervision experience of supervisors in social welfare agencies. We examined the supervision experience of participants as they were promoted from social workers-supervisees- to middle managers-supervisors-, and proposed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ose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were supervisors working in social welfare agenc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nd the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A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was proposed by Giorgi wad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supervisors in social welfare agencies was categorized as below: Three essential themes, nine deductive themes, and twenty nine meaning units. The essential themes were ‘crossing the fence before becoming a supervisor,’ ‘wander around in amaze as turning to a supervisor,’ ‘toward beyond the boundary after becoming a supervisor.’ First, ‘crossing the fence before becoming a supervisor’, the participants experience various fields and events as they began to work in social welfare agencies. They were put a crossroads of learning according to which agencies they worked in, and whom they met as their superior. These experiences brought about not only being appreciated in the organization but also being awaken scepticism as they facing the irrational attitudes of the organization. These caused them exhaustion and made them move to another working field. However, the process above was being repeated, and they came to cross various boundaries back and forth in the end. Second, ‘wander around in amaze as turning to a supervisor’ represented their struggling of being supervisors all of a sudden, and had to perform a role, and the fear about not knowing what to do. They were urgent before they were ready, and the conditions of emphasizing the responsibility more than the authority aggravated frustration. Third, ‘drawing beyond the boundaries’ expressed their possibilities in the process of those; they acquired the authority as they set their own criteria, built up know-hows, and had more empowering peer groups. This power firmly supported them between the boundaries as supervisors. Moreover, they made efforts to build bridges(Kadushin, 1992) of understanding between the agencies which are reported and the supervisees who are in real field. The participants are drawing new supervision helping the supervisors and the supervisees grow together and exceeding the old supervision which was degenerated due to the evaluation system. The proposal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social workers need stepwise and continuous supervision from the beginning of working as supervisors in order to perform the roles appropreatly as time goes by. Second, for the supervision based on both sides‘ desires, the viewpoints on one another need to be changed into more focusing on the strengths between the supervisors and the supervisees since a supervision is a collaborative process. Third, actual supervision policies based on the agreement about the necessity of supervision from constituent individual of organization in a dimension of social welfare agencies. Fourth, the academia of social workers and the professional association need to establish the supporting curriculum on changing attitude of acknowledging the necessity of supervision. Fifth, the external estimations on social welfare agencies need to be changed for the purpose of the supervision for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 중국 조선족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길림성 통화시 조선족학교를 중심으로

        김효청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국에서 소수의 조선족이 산재하여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가족, 학교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들의 학생생활적응에 미치는 요인 중 어떤 요인들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조선족 청소년더러 학교생활을 보다 더 좋게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개인적 요인에는 자아존중감, 민족정체성으로 구성되었고 가족요인에는 부모애착으로 구성되었으며 학교요인에서 또래애착과 교사지지로 구성되었다. 이를 위해 통화시에 위치한 조선족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조선족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139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학력과 성적, 그리고 주 사용언어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적 요인 중,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요인 중, 부모애착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학교요인 중, 교사지지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일수록, 성적이 높을수록, 한국어를 주 사용언어로 많이 쓸수록, 민족정체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부모, 교사, 또래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학교적응에 더 잘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중, 교사의 지지가 조선족 학생의 학교적응에 제일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산재지역에서 생활하고 있는 조선족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더욱 좋게 할 수 있게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한국어 능력이 낮은 학생에게 한국어 언어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필요가 있다. 둘째, 조선족 청소년이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는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가 학생에 대한 이해, 세심한 배려와 지지가 필요 한다. 넷째, 본 민족에 대한 민족교육을 많이 진행시키고 이들더러 본 민족에 대한 관심을 많이 가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ersonal factors, family factors, aspects of the school factors which can make Korean-Chinese adolescent who live in scattered area in China to adapt school life better. Personal factors have two sub areas; self-esteem and national identity. Family factors include parental attachment. Aspects of the school factors consist of two sub factors; peer attachment and teacher support. For this study, survey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questionnaires for the students who study in Korean-Chines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Tonghua city. Data from 139 Korean-Chinese students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es. Through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chelors, achievement and main use language which included in demographic factors have been found to have influences on Korean-Chinese students' adaption to school life. In personal factors, self-esteem has been found to have influences on Korean-Chinese students' adaption to school life. In family factors, parental attachment has been found to have influences on Korean-Chinese students' adaption to school life. In school factors, teacher support has been found to have influences on Korean-Chinese students' adaption to school life. In conclusi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adapt school life better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whose achievement is higher better than the other, who use korean as main use language is better than the other ,whose national identity is higher better than the other, whose self-esteem is higher better than the other, who has better friendship with teacher and the same perioed students is better than the other. The most important is that teacher support has the biggest influences on Korean-Chinese students to adapt school life well. For adolescent of Korean Chinese who Live in scattered areas in China to adapt school life better,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followings. Firstly, Need to improve the language ability of the student whose Korean language ability is low. Secondly, need to find a way to boost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he Korean Chinese adolescent. Thirdly, The teacher need a lot of understanding, need meticulous care and the support for students. Finally, need to push forward the national education of ethnic Korean and let the student can have a lot of interest in ethnic Korean.

      • 교육복지조정자의 지방교육행정기관 내 실천경험 연구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담당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서동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조정자가 지방교육행정기관인 시도교육청과 교육지원청에서 어떤 실천을 경험하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복지조정자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19명을 심층 면접하여 Chamaz의 구성주의 근거이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교육복지조정자의 지방교육행정기관 내 실천 경험은 초기 코딩을 통해 443개 개념과 67개 하위 범주, 초점 코딩을 통해 18개 범주와 9개 이론적 범주를 도출하였다. 먼저, 지방교육행정기관에서 교육복지조정자가 경험하는 핵심 현상은 역할 정체성의 혼란에 직면하는 것과 권한이 적은 직위가 변하지 않는 데서 오는 무력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을 유발하는 구조 전체에 영향을 준 문화적 조건이나 영향력, 즉 맥락(Context)은 지역교육복지 조정 역할의 중요성을 깨닫고 지방교육행정기관에서 근무하길 희망하는 학교사회복지사나 사회복지사가 있었다는 점과 이들이 낯선 행정기관에서 분투하면서 조직에 적응하며 전문가로 인정받게 된 점, 교육행정기관의 유형과 소속 부서에 따라 교육복지조정자가 실천할 내용과 범위가 달라진 점으로 나타났다. 현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면서 연구 참여자의 개인적인 상황과 정서인 조건(Condition)에 영향을 미친 원인(Cause)은 시도교육청에서 교육공무직원 관리정책을 도입한 것이었다. 이 정책의 도입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것으로 교육복지 전문 인력 간 갈등이 불거지는 단초가 되었다. 공무원 7급에 상당하게 대우받았던 교육복지조정자는 교육공무직원 관리정책 도입으로 자신의 역할이 업무 지원과 보조의 지위로 하락했다고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교육복지조정가가 개인적으로 매력으로 여기며 수행하던 학교와 지역 간 중간 다리 역할 전문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었고, 초기에 친밀했던 교육복지사 간 관계도 소속기관에 따라 불가피하게 드러난 입장 차이로 거리를 두는 관계로 변화하였다. 공유 요인(Covariance)은 상황 변화에 따라 연구 참여자가 공통으로 경험한 상황이나 정서이며, 우연성(Contingencies)은 연구 참여자가 의도하지 않았지만, 삶에서 나타난 사건으로 둘 다 연구참여자가 스스로 구성하는 결과(Consequence)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핵심 현상 즉 역할 정체성의 혼란과 고정된 직위에서 비롯한 무력감을 강화하는 공유 요인은 무기 계약직과 관련된 것이었다. 또한, 연구참여자가 자신들의 입장 옹호를 위해 일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기관 내·외부에 존재하는 영향력 있는 개인이나 단체를 활용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때로는 조직간 대립 관계 등의 부작용으로 이어졌고, 이러한 우연성이 핵심 현상을 강화하였다. 반면 연구 참여자가 경험하는 역할 정체성의 혼란과 무력감을 약화하는 공유 요인은 자신들에게 힘과 용기로 다시 일할 수 있게 버팀목이 되어 준 교육복지사와 교육복지조정자, 직장 동료, 지역기관 관계자였다. 또한, 2010년대 중후반부터 교육지원청에서 교육복지조정자 미배치 학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면서 교육복지조정자의 임무 중 교사 지원 비중이 늘게 되었다. 이는 연구참여자가 자신들의 역할 정체성을 다시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러한 우연성이 역할 정체성의 혼란과 무력감이라는 현상을 약화해 다시 자기 일의 의미를 상기하고 만족감을 느끼게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이처럼 자신들이 경험한 핵심 현상을 극복해 나가는 과정에서 공유요인과 우연성을 통해 스스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구성하였다. 즉 연구 참여자는 역할 정체성 혼란과 무력감이라는 핵심 현상을 겪었지만, 자기 돌봄을 통해 역할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지방교육행정기관에서 자신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존재임을 자각하고, 법제화되지 않은 교육복지전문인력 제도의 한계로 이어질 시련에도 학생의 복지를 위해 계속해서 도전해야 할 현장으로 여겼다. 본 연구결과 교육복지조정자의 지방교육행정기관 내 실천경험은 시간과 공간에 따라 변화가 있었는데, 이는 <시도기>와 <적응기>, <안정기>, <갈등기>, <성장기>로 나타났다. 교육복지조정자의 실천경험은 연구 참여자가 실천하는 순간마다 겪는 일이며, 실천 그 자체가 과정이므로 실천경험을 특정 시기로 묶어 구분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교육복지조정자의 실천경험은 시간이 흐르고, 적응과 대처 능력과 수준이 변화하면서 특정 행동패턴을 나타내는데, 이 패턴은 교육복지 관련정책 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점차 성숙해 나가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시도기>에는 교육부에서 제시한 규범적인 역할에 머물렀다면, 마지막 시기인 <성장기>에는 스스로 자신의 역할 정체성을 조정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의 역할 정체성 조정은 역할 조정 유예, 복지 전문성 강화, 교육과 복지 영역 간 융합의 시도라는 3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학교사회복지의 현장에 대한 정의를 학교에 국한하는 경향이 있는데, 지방교육행정기관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또한 교육복지조정자의 지방교육행정기관 내 실천과정 모형을 제시하고, 역할 정체성 조정 방식을 밝혀내 학교사회복지 지식 축적에 이바지하였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는 학교사회복지 관련 분야나 교육복지조정자 역량강화 연수에 교육 정책과 교육행정기관에 관한 이해를 돕는 교육과정을 포함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교육복지조정자는 지방교육행정기관에서 내부 신뢰를 획득하고 내부의 인적·물적 자원을 연계할 수 있어야 하고, 특히 교사와 연결해서 활동할 지점을 마련해서 실천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아울러 교육복지 전문 인력은 서로 기관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입장을 존중하며, 외부의 영향력을 활용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방교육행정기관은 교육복지조정자의 역할 정체성 강화를 위한 슈퍼비전 체계를 마련하고, 내부 구성원의 교육복지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알려주었다. 셋째, 정책적인 측면에서는 교육부는 미래 교육체제 안에서 지방교육행정기관의 목적과 특성에 따라 교육복지조정자의 역할 정체성을 분명히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고, 교육복지 전문 인력간 직무 차이, 역할 분담 등을 명확히 안내하게 정책을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모든 시도교육청과 교육지원청에 교육복지 전문성을 갖춘 교육복지조정자의 배치를 확대하고, 효과적인 교육복지 전달체계 마련을 위해 지방교육행정기관 내 교육복지 전문가의 배치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what kind of practice the educational welfare coordinator is experiencing in the provinci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education support offices, which are local education administrative agencies. For this, 19 social workers working as educational welfare coordinators were interviewed in-depth and analyzed through Chamaz's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The practical experience of the educational welfare coordinator in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was derived from 443 concepts and 67 subcategories through initial coding and 18 categories and 9 theoretical categories through focus coding. To begin with, the core phenomena experienced by educational welfare coordinators in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were the confusion of role identities and a sense of helplessness resulting from the lack of change in positions with less authority. The cultural conditions or influences that affected the entire structure that caused this phenomenon, that is, the context, were that there were school social workers who realized the importance of coordinating local education welfare and wanted to work in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recognized as experts by adapting to the organization while struggling in foreign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nd that the contents and scope of the educational welfare coordinator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and department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 The cause that directly affected this phenomenon and influenced the personal and emotional condition of the participants was the introduction of the education officer management policy by the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No one expected the introduction of this policy, and it was the beginning of a conflict between education and welfare specialists. The education welfare coordinator, who had been treated fairly as a civil servant in 7th grade, felt that his role had been reduced to the position of job support and assistant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education civil servant management policy. This situation became a factor that threatened the professionalism of the role of a bridge between schools and regions, which the educational welfare coordinator personally regarded as attractiv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welfare workers.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ers also inevitably changed because of the different positions depending on the affiliated institution. Covariance is a situation or emotion that the study participants commonly experienced according to a change in circumstances, and contingency is an event that the study participant did not intend but occurred in life. However, both affect the consequence that the study participant constructs by themselves. The core phenomenon experienced by the study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e confusion of role identity and the shared factor that reinforced the sense of helplessness resulting from fixed positions, was related to contract workers. In addition, while working to defend their posi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accidentally used influential individuals or groups existing inside and outside the institution, which sometimes did not only lead to side effects such as confrontational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s but also strengthened the core phenomenon. On the other hand, the shared factors that weakened the confusion of role identity and the helplessness experienced b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education workers, education welfare coordinators, co-workers, and officials from local institutions who supported them to work again with strength and courage. In addition, since the mid-to-late 2010s, as the Office of Education Support strengthened support for schools without an education welfare coordinator, the proportion of teacher support among the duties of the education welfare coordinator increased. This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re-confirm their role identity. This contingency weakened the confusion and powerlessness of role identity, reminding them of the meaning of their work and making them feel satisfied. In overcoming the core phenomena they experienced,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tructed the following results by themselves through shared factors and contingency. In other words, although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core phenomenon of role identity confusion and powerlessness, they re-established their role identity through self-care. Finally, they realized they played an essential role in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lso, they considered this field where they should continue to be challenged for students' welfare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e enacted educational welfare professional workforce syste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the educational welfare coordinators in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varied according to time and space, which were found to be <trial>, <adaptation>, <stabilization>, <conflict>, and <growth>. The practical experience of the educational welfare coordinator is something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every moment they practice it. Since the practice is a process, it is not easy to classify the practical experience by grouping it into a specific period. However, the practical experience of the educational welfare coordinator shows a specific behavior pattern as time passes and the ability and level of adaptation and coping skills change. Therefore, it was found that while they stayed in the normative role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trial period>, they adjusted their role identity by themselves in the <growth period>, the last period.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role identity adjustment of study participants was carried out in three ways: deferring role adjustment, strengthening welfare expertise, and attempting convergence between education and welfare domains. The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s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the definition of the field of school social welfare tends to be limited to schools. However, it is proved that it should be extended to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In addition, it contributed to the accumulation of school social welfare knowledge by suggesting a model of the educational welfare coordinator's practice process within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nd revealing the role identity adjustment method. Secon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it was shown that it is necessary to include a curriculum that helps students understand educational policie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in school social welfare-related fields or training for capacity-building education welfare coordinators.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 welfare coordinator should be able to acquire internal trust in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link internal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particular, establish a point for activities with teachers and practice it.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 welfare specialists should respect each other's posi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and utilize external influence. Finally,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indicat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epare a supervisory system to strengthen the role identity of the educational welfare coordinator and to seek ways to improve the educational welfare professionalism of internal members. Third, in terms of policy, it is shown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provide directions to clarify the identity of the role of an education welfare coordinator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in the future education system. Also, it is shown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revise the policy to distinguish job differences and role division among education and welfare specialists.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expand the arrangement of education welfare coordinators with education welfare expertise in all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education support offices and to institutionalize the arrangement of education welfare experts in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to prepare an effective educational welfare delivery system.

      • 슈퍼비전요인이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영인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슈퍼비전 요인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이 개편되면서 중요시된 사례관리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슈퍼비전을 통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시·경기도·인천시 내 142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127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한 문제로서 슈퍼비전 요인 중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슈퍼바이저의 지지적 행동특성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슈퍼바이저는 사례관리자를 강점관점으로 보고 사례관리자의 결정권을 지지해주며 슈퍼바이저는 정직하고 성실한 모습을 통해 사례관리자에게 관계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과 사례관리자의 능력성장을 중요시하고 사례관리 수행에 있어 이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해 주며 문제 중심보다는 해결책을 강조하는 슈퍼바이저의 참여적 도움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슈퍼비전의 요인 중 슈퍼비전의 교육적 기능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슈퍼바이저가 교육적 기능을 많이 활용할수록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사례관리자가 사례관리를 수행하는데 사례관리의 전반적 과정을 논의하는 것을 슈퍼바이저와 함께 하는 것 뿐 아니라 사례관리자의 책임성의 한계인식, 자기인식향상, 이론적 지식 향상을 위한 교육적인 슈퍼비전을 통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슈퍼바이저의 지지적 행동특성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으로 슈퍼바이저는 강점관점, 존중, 자율성, 신뢰, 이해와 같은 슈퍼바이저의 태도와 지식습득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사례관리자의 교육 뿐 아니라 슈퍼바이저의 교육과 훈련의 시스템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강점관점의 실천이 클라이언트에게만 실천되는 것이 아니라 사례관리자에게도 실천된다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슈퍼비전의 기능중 교육적 기능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사례관리자의 자기개발의 기회 및 전문적인 지식향상을 위한 기회확대와 교육비 지원 등 교육을 위한 지원과 내부시스템의 안착화가 필요하다. 셋째,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슈퍼바이저의 경우에는 사회복지 경력이 바탕이 되는 슈퍼바이저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실천경험과 교육훈련을 받은 경력의 사회복지사가 슈퍼바이저가 될 수 있도록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supervision factors associated with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I began this study with the feeling that how supervision develop the self - efficacy of community welfare center case managers who have became important role by reform of the funtion of community welfare center. For this stduy, 127 case managers of 142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City, Gyeonggi Province, Incheon City participated and there are the crucial results. First, the supportive behavior characteristic of supervisors has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the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Supervisor's behaviors affects the morale of case magers such as supporting the decision of case managers, helping social relationship for case managers with good reputation, developing case manager's ability,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se and focusing on a solution rather a problem. Second, the educational role, one of the factors of supervision have an effect on the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It means that using more educational function have an good influence on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with more satisfaction. Self-efficiency of case managers is risen with not only solving a process of a case together with a supervisor but also a supervisor's understanding of the limit of authority, self-awareness-advancement, cooperation discussion, and educational supervision for theoretical knowledge improvement. There are suggestions on this study. First, supervisor should make an effort to achieve the attitude such as strength perspective, respect, autonomy, trust, understanding because the supportive behavior characteristic of supervis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 In addition, the education program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not only for case managers but also for supervisors. If the practice of strength perspective apply on not only clients but also case managers, the self-efficacy of case managers will be better level. Second, social workers who managing case at community welfare center need supports and interests. According to the effect of educational function on self - efficacy, the financial plan and the system for the opportunity for case managers' self -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skills. Third, an experienced person in social welfare sector should be selected to the supervisor of case manager. We need to make a personal system which social workers of broad experience become a supervisor.

      • 가출청소년의 자살시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남녀 비교연구 : 청소년쉼터 이용청소년을 중심으로

        신지현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factors, personal characteristics, frequency and length of running away, and conditions at youth shelters on suicide attempts among runaway adolescents, girls and boys. To accomplish this, I analyzed a secondary dataset on suicide attempts among 386 adolescents obtained from the 2010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runaway adolescents and youth shelter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Korea Youth Shelter Association. The following methods were employed f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ender differences in suicide attempts analyzed across general characteristics (demographics, personal, family, running away and shelter),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emale and male participants according to age, level of education, level of happiness, experience with smoking, experiences with sexual victimization and number of times running away from home. Suicide attempts were slightly higher among girls about 16 years old with middle or high school education, most of whom had below average grades. Results from the personal factors showed that girls had a lower level of happiness and were more often exposed to experiences of sexual victimization, while boys had more experience with smoking. The runaway factors showed that boys had run away from home more often than girls. Girls had more suicide attempts than boys. Second,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s within the adolescent boys’ group, between those who had attempted suicide and those who had not, was that the group of boys who had attempted suicide had a lower level of happiness, more experiences with smoking and drinking, and more experiences as both physical abuser and sexual abusee. This group also had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life in shelters. A similar comparison between the girls who had attempted suicide and those who had not attempted suicide showed that the group of girls who had attempted suicide had a lower level of happiness, more experiences with smoking and drinking, and more often had been sexually abused. The group had also more often been exposed to parental neglect and they had been away from home longer, the group furthermore had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overall life in shelter. Third, key factor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suicide attempt groups showed that adolescent girls had a lower level of happiness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and adolescent girls were also more exposed to sexual abuse that the boys. Fourth, results from analysis of other important factors predicting suicide attempt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participants showed that happiness had a statistical significant influence on adolescent boys’ suicide attempt, as well as girls’. Moreover, the analysis showed that parental neglect and the length of stay away from hom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adolescent girls’ suicide attempts. Based on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to solve and prevent suicide attempts among run away adolescent. In accordance with the findings showing that runaway adolescents’ suicide attempts increases as their happiness decreases, intervention for parental neglect is proposed to increase the runaways adolescents’ happiness and thereby decrease their suicide attempts. It is also recommended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shelters used by runaway adolescents. Because parental neglect was a contributing factor to suicide attempt for teenage girls, intervention for family problems is needed. There is an urgent need to establish adequate social services to provide treatment and emotional support for neglected adolescent. Furthermore, findings showed that the length of stay away from home influenced runaway adolescent girls’ suicide attempts. Therefore, for adolescents finding it difficult to return to their family, and consequently spending a prolonged length of time away from home, a new type of shelter and policies are needed to create permanent protection measures.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개인요인, 가출요인, 청소년쉼터요인이 자살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부와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가 조사한 「2010년 가출청소년 및 청소년 쉼터 실태조사」의 데이터 중 자살시도에 응답한 청소년 386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 상관관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인구사회학적 특성, 개인요인, 가정요인, 가출요인, 청소년쉼터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령, 학력, 행복감, 흡연경험, 성피해 경험, 가출횟수, 자살시도 경험 유무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은 만 16세 정도의 중·고 수준의 학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여자 청소년이 다소 높게 나타났고, 성적은 대부분 하위권이었다. 개인요인의 행복감은 여자청소년이 더 낮았고, 흡연 경험은 남자 청소년이 더 많았으며 성피해 경험은 여자 청소년이 더 많았다. 가출요인의 가출횟수는 남자청소년이 더 많았다. 자살시도는 여자청소년이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자살시도군과 비자살시도군의 주요요인 수준을 살펴본 결과 남자 청소년의 경우 자살시도군이 비자살시도군에 비해 행복감이 낮고, 흡연과 음주 경험이 많으며, 폭행가해경험과 성피해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쉼터생활전반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청소년의 경우 자살시도군이 비자살시도군에 비해 행복감이 낮고, 흡연과 음주경험 및 폭행가해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로 부터의 방임경험이 많았고, 최장가출기간이 더 길었으며 쉼터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살시도군의 성별에 따른 주요요인의 수준을 살펴본 결과 행복감은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 보다 행복감이 낮게 나타났고, 성피해경험은 여자 청소년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을 확인한 결과 남자 청소년은 행복감이 자살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 청소년은 행복감과 부모의 방임경험 및 최장가출기간이 자살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 중 주요 결과를 토대로 가출청소년의 자살시도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출청소년의 행복감이 낮을수록 자살시도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가출청소년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고 자살시도를 줄이기 위하여 부모로 부터의 방임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과 해결책이 필요하다. 또한 가출한 청소년이 이용하는 청소년쉼터의 서비스 질의 향상이 필요하다. 둘째, 여자 청소년의 경우 부모로부터의 방임경험이 자살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어 가출 청소년의 가정문제를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방임경험이 있는 청소년에 대한 치료와 정서적 지원을 할 수 있는 사회복지 서비스의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최장가출기간이 가출한 여자 청소년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가정복귀가 어렵고 가출이 장기화되고 있는 청소년들을 위하여 영구적인 보호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쉼터 모형과 정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