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년기 여성의 요실금 팬티 실태조사 및 개발

        이주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노년여성의 요실금 문제를 요실금 팬티로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외관적합성, 동작적합성, 요실금 팬티 착용감이 향상된 연구 요실금 팬티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요실금 팬티 국내·외 시장조사를 하였다. 이후 서울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고령여성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을 실시하여 요실금 증상, 요실금 불편사항, 요실금 대처방안, 고령여성의 연령별 맞음새, 요실금 팬티 구매 시 고려사항 등을 분석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이후 연구 요실금 팬티 개발을 위해 시판 요실금 팬티 A, B, C의 패턴을 비교분석 하였으며, 요실금 팬티의 착용 시 가랑이 부분에 따른 요실금 패드의 여유량 산출을 위하여 고령여성 세 명을 대상으로 외관적합성과 동작적합성 착의 평가를 하였다.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를 바탕으로 고령여성 95size에 적합한 연구 요실금 팬티를 제작하였다. 요실금 팬티 개발은 연구 요실금 팬티와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로 구성하였으며 증상에 따른 요실금 패드는 15cc, 30cc로 제작하였다. 요실금 패드 15cc는 겉감(면), 타월지, 방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요실금 패드 30cc는 겉감(면), 타월지, 흡수지, 방수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요실금 팬티 디자인은 두 가지로 가랑이 부분 맞음새에 밀착성을 향상시킨 요실금 패드와 가랑이 부분에 여유량을 준 요실금 패드로 설계하였다. 두 회에 걸친 착의평가는 실금 실험을 통하여 외관, 동작기능성, 착용감평가에서 우수한 연구 요실금 팬티,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를 제작하여 제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요실금 팬티 실태 조사 국내 고령여성 요실금 팬티 시장 실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백화점 입점 브랜드에서 만든 제품의 경우 가격은 다른 국내 제품에 비해 비싼 편이지만 기능성 소재를 사용하여 착용감이 좋아 만족도가 높았다. 내의 전문 브랜드 제품의 경우는 상설할인매장, 대리점, 직매점 등 다양한 매장에 분포되어 고령여성이 선택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었다. 중소기업 제품의 경우 가격적인 면에서 저렴하여 가성비가 좋은 것이 특징이다. 이 밖에도 요실금 전문 브랜드 제품의 경우는 요실금 패드 용량이 30cc이며, 맥스와 삼각 미디 형태로 판매되고 있었다. 해외 요실금 팬티 시장의 경우 스위스 제품은 미니, 미디, 맥스, 트렁크 형태까지 다양한 디자인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가격은 국내 제품에 비해 다소 비싼 편이지만 전면 방수원단을 사용하였고 바느질 된 솔기까지 방수처리가 되어 있었다. 일본 제품은 실금량에 따라 20cc∼180cc까지의 요실금패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특징이 있었다. 그리고 흡수와 건조가 빠른 기능성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요실금 패드 부분이 넓어 요실금 증세가 있을 때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2. 고령여성 요실금 팬티 설문조사 요실금 유형으로는 긴장성 요실금이 48.6%(34명), 혼합형 요실금 44.3%(31명), 절박성 요실금 7.1%(5명)로 나타났다. 요실금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재채기, 기침’일 때 58.6%(41명), ‘신체활동 시’ 17.1%(12명), ‘수면 시’ 12.9%(9명)로 나타났다. 요실금 횟수로는 하루 1회 이상 55.7%(39명), 주 3∼4회 30%(21명), 주 1∼2회 10%(7명)로 나타났다. 요실금 양은 설문대상자 중에서 ‘몇 방울 정도’가 42.9%(30명)로 높게 나타났고, ‘팬티를 적시는 정도’의 경우 37.1%(26명)로 나타나 고령여성 80%가 ‘몇 방울 정도’와 ‘팬티를 적시는 정도’의 요실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실금 증상이 나타났을 때 대처 방안으로는 손수건, 팬티라이너 65.7%(46명), 작은 사이즈 생리대 착용 18.6%(13명), 속옷 갈아입기 11.4%(8명)로 나타났다. 즉, 집안에서는 “손수건, 팬티라이너, 속옷 갈아입기”로 외출 시에는 위생대 형태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실금 팬티 구입 시 고려하는 사항은 ‘착용감’(4.3점), ‘새는 정도’(4.2점), ‘티나지 않는 속옷’(4.2점)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팬티 제품은 맥스 타입 61.4%(43명), 미디 타입 18.6%(13명)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들의 요실금 증상에 따라 요실금 팬티를 선택하겠다는 의견이 91.4%(64명)로 나타났다. 3. 시판 요실금 팬티 비교분석 시판 요실금 팬티 A, B, C를 F-test와 Duncan-test로 실시한 결과 전면부분에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으로는 다리둘레선의 위치항목에서 C제품(2.7점)>B제품(2.4점)>A(1.4점) 순으로 나타났다. 다리둘레부분은 C제품의 경우 50cm로 앞 가랑이 곡선에 들뜸 현상이 있었고, B제품과 A제품은 각각 45cm와 44cm로 동일한 조임 현상이 나타나 모든 제품에서 개선이 필요하였다. 시판 요실금 팬티의 측면부분에서는 옆선이 지면과 수직항목에서 C제품(2.1점)>B제품(1.5점)>A제품(1.4점)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복부 돌출형 고령여성의 경우 앞판이 작고 뒤판이 큰 B와 A제품에서 옆선이 지면과 수직으로 나타나지 않아 낮은 평가를 받았다. 후면의 엉덩이둘레 여유분 항목에서는 C제품(2.4점)>B제품(1.7점)>A제품(1.6점) 순으로 C제품이 높게 나타났지만 요실금 패드의 처짐 현상이 심하였다. 그리고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다리둘레선의 착용감(들뜸)현상(1.7점)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요실금 패드의 두께항목은 B제품(2.6점)>A제품(2.1점)>C제품(1.8점) 순으로 나타나 B제품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실금 패드의 기능적인 부분은 C제품이 우수하였으나 두께감, 다리둘레 부분의 들뜸으로 인하여 밀착성이 떨어졌다. 이와 같이 시판 요실금 팬티 A, B, C 모두에서 개선이 필요하였다. 4. 연구 요실금 팬티 제품 개발 연구 요실금 팬티,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 두 가지를 제작하였다. 연구 요실금 팬티 경우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는 요실금 패드를 강화하여 요실금 환자들이 수면 중에도 사용 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가. 연구 요실금 팬티 1차 연구 요실금 팬티 1차 외관평가 결과 유의차가 나타난 전면의 밑위선 부분이 2.7점, 밑위선이 끼거나 처짐에서 2.8점으로 나타났다. 요실금 패드 부분에서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은 요실금패드의 외관과 맞음새(2.0점), 요실금 두께(2.8점), 요실금 패드의 너비(2.8점), 요실금 패드의 여유량(3.0점)으로 나타났다.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리둘레선의 착용감은 1.7점으로 낮은 평가를 받아 들뜸 부분의 개선이 요구 되었다.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 1차 외관평가 결과 전면 유의차가 나타난 부분은 엉덩이둘레 여유분(2.8점)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구 요실금 팬티 1차와 마찬가지로 가랑이 부분의 착용감에서 들뜸 현상이 1.2점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측면에서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은 옆 솔기선의 앞, 뒤폭 균형(2.6점), 옆선의 너비(2.4점)로 시판 C제품 보다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실금 패드부분 유의차는 요실금패드의 외관과 맞음새(2.4점), 요실금 패드너비(2.8점), 요실금패드 위치(2.8점), 요실금 패드의 두께항목(2.6점), 요실금 패드의 여유량(2.8점)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나. 연구 요실금 팬티 2차 연구 요실금 팬티 2차 착의실험에서는 연구 요실금 팬티(15cc, 30cc),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15cc, 30cc) 두 가지를 제작하였다. 요실금 패드의 종류로 가벼운 요실금일 경우에 15cc패드, 요실금이 심한 경우에 30cc패드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 최종 두 가지 요실금 팬티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요실금 팬티 디자인①의 경우 다리둘레 부분의 들뜸을 최소화하고 요실금 패드부분에 밀착성을 높였다. 요실금 팬티 디자인②의 경우 고령여성의 맞음새 항목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여유 있게 입는다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가랑이부분에 여유량을 주었다. 연구된 두 종류 요실금 팬티를 선별하기 위하여 실금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가 식염수 15ml를 부은 요실금 패드를 착용하고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외관, 동작기능성 평가 및 착용감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요실금 팬티 2차-15cc패드 ①, ② 결과 외관평가 결과 전면에서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은 허리선의 위치(3.5점), 허리둘레 여유분(3.2점), 다리둘레선의 위치(3.5점), 가랑이 부분의 착용감(들뜸/눌림)(3.3점)으로 나타났다. 외관평가에서 허리선에 위치 대한 외형적인 적합성을 보였다. 후면에서 다리둘레선의 위치부분(3.1점), 다리둘레선의 착용감(들뜸/눌림)(3.4점)으로 나타났다. 요실금패드 두께 항목에서 요실금패드 밀착성이 높은 연구 요실금 팬티①-15cc패드에서 전반적 항목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착용감 평가 결과 연구 유의차가 나타난 부분은 연구 요실금 팬티①-15cc패드에서 실금 후 몸에 밀착정도(3.0점), 실금 후 엉덩이로 새는 정도(2.2점), 엉덩이 앞쪽으로 새는 정도(2.1점), 요실금패드의 만족도(2.6점)로 나타났다. 요실금 패드의 흡수속도는 4.3점으로 요실금패드 중에서 흡수 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 요실금 팬티 2차-30cc패드 ①, ② 결과 외관평가 결과 전면에서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은 허리선의 위치부분(3.40점), 다리둘레선의 위치부분(3.50점), 가랑이 부분의 착용감(들뜸/눌림)(3.50점)으로 나타났다. 연구 요실금 팬티①-30cc패드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전체적으로 가랑이 부분에서 밀착 정도가 좋게 나타났다. 착용감 평가 결과 연구 요실금 팬티①-30cc패드에서 유의차는 실금 후 밀착정도(3.8점), 실금 후 다리 양쪽으로 새는 정도(3.2점), 실금 후 엉덩이 앞(3.8점), 뒤(3.8점) 새는 정도로 나타났다. 가랑이부분 고무줄 조임 항목에서는 연구 요실금 팬티②-30cc패드에서 3.6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피험자가 느끼는 주관적 평가 실시 결과 연구 요실금 팬티①-15cc패드보다 연구 요실금 팬티①-30cc패드에서 착용감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 요실금 팬티①-30cc패드 3.8점으로 개선되었다. 연구 요실금 팬티 2차-15cc패드 보다 연구 요실금 팬티 2차-30cc패드가 우수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착용감에서 연구 요실금 팬티①-30cc패드는 4.0으로 나타나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 2차-15cc패드 ①, ② 결과 외관평가 결과 전면부분에서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①-15cc패드에서는 허리선의 위치, 여유분에서 높게 나타났고,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②-15cc패드에서는 다리둘레선, 가랑이 착용감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후면에서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은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②-15cc패드 다리둘레선의 위치 3.4점, 다리둘레선의 착용감 3.3점으로 나타났다.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②-15cc패드의 경우 요실금패드의 여유분으로 인하여 활동 시 편안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요실금 팬티의 경우 요실금 팬티① 디자인이 더 높게 평가되었지만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에서는 요실금 팬티②의 디자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착용감 평가 결과 유의차 항목은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②-15cc패드에 대한 디자인 만족(3.4점), 가랑이부분 고무줄 조임 정도(4.2점)으로 나타났다. (4)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 2차-30cc패드 ①, ② 결과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②-30cc패드에서 다리둘레선의 위치, 가랑이 부분의 착용감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에서는 요실금 팬티② 디자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②-30cc패드의 경우 요실금 패드 두께가 가장 두껍고 착용감에서 불편을 느낄 수 있으므로 가랑이 부분에 여유분을 주어서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적합하였다. 착용감 평가 결과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은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②-30cc패드 가랑이부분 고무줄 조임 정도로 3.6점으로 나타났다.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②-30cc패드의 착용감이 더 좋게 나타났다. 실금 이후 만족감에서는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30cc패드가 높았지만 전체적인 착용감에서는 실금 이후 요실금패드 두께감, 요실금패드 무게감, 요실금패드 처짐 현상으로 인하여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15cc패드의 착용감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외관, 동작기능성 평가 및 착용감 평가 결과 연구 요실금 팬티(30cc)①과 연구 수면 요실금 팬티(15cc)②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This paper was conducted to help the problem of elderly women's urinary incontinence with incontinence panties in aging society. Therefore, it is aimed to develop advanced incontinence panties in terms of suitability for appearance and motion, and wearing comfort. In this vein, preliminary research was carried out on both domestic and overseas incontinence panty markets and then a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70 elderly women over 60 in age, living in Seoul areas, to know symptoms and inconvenience they experience from incontinence, countermeasures to take for urinary incontinence, its fitness to them by age, and considerations taken in purchasing urinary panties.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analysis for the this study. For actual development of incontinence panties, A, B, and C types of surveyed incontinence panties were compared for their patterns. In addition, suitability for appearance and motion comfort of incontinence panties was evaluated with 3 elderly women to calculate size tolerance in crotch area. The data from the 6th Korean anthropometric survey were employed to help develope incontinence panties for elderly women in size of 95. By type,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and overnight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were developed and 15cc and 30cc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were developed for each type by absorption capacity. 15cc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were composed of outer fabric (cotton), towel paper, water-proof paper while outer fabric (cotton), towel paper, absorbent paper, and water-proof paper were used to make 30cc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Two patterns were applied to the developed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one to improve adhesion at crotch fit of crotch and the other to give some tolerance to it. Two urinary incontinence tests found the developed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and overnight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excellent in suitability for appearance and wearing comfort. For data analysis, SPSS WIN 18.0 program used and descriptive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alysis, were crosstaps analysis were implemen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Actual Status Survey of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The actual status survey of domestic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market for elderly women shows the followings. Most of the products selling in departments are much more expensive than other domestic products on average, but they were highly satisfied for wearing comfort due to applied functional materials. Since the specialized brands in underwear are distributed through a variety of channels such as discount outlet, authorized retail stores, and direct outlet store, they give elderly women rich and easy choice. As for the products manufactured by small and medium companies, they are cheaper and cist-effective. Other specialized brands in urinary incontinence pads are sold in size of 30cc, max, and midi. For overseas market of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Swiss products are various in size and type (mini, midi, max and trunk). A little bit more expensive than those in the domestic market, they use water-proof fabric on the front side and even seams are showerproof. Japanese urinary incontinence pads are characterized as wide range of choice from 20cc to 180cc by the amount of incontinence. And they use functional materials, which are fast to absorb and dry, and the pad area is relatively broad so that user can feel easy when they have a symptom of urinary incontinence. 2. Questionnaire Survey on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for Elderly Women Among participants, urinary incontinence is divided by type in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48.6%, N=34), composite urinary incontinence (44.3%, N=31), and overactive bladder (7.1%, N=5). Urinary incontinence occurs at sneeze and cough (58.6%, N=41), physical activity (17.1%, N=12), and overnight sleep (12.9%, N=9). For frequency, urinary incontinence breaks out more than once a day (55.7%, N=39), 3 to 4 times a week (30%, N=21), and once or twice a week (10%, N=7). For the amount of urinary incontinence,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ve 'a few drops' (42.9%, N=30), ‘enough to wet panties' (37.1%, N=26), so it turned out that 80% of the elderly women experience urinary incontinence. As countermeasure taken when urinary incontinence occurs, the respondents uses handkerchief or panty liner (65.7%, N=46), small-size sanitary napkin (18.6%, N=13), and changing underwear (11.4%, N=8). In other words, when they have urinary incontinence at home, they use “handkerchief or panty liner" or change underwear while they go out, they prepare sanitary napkin. They consider the followings in purchasing incontinence panties: ‘wearing comfort’ (4.3), ‘extent of leaking’ (4.2), and ‘inconspicuous underwear’ (4.2). For preference, they answered they like 'max' (61.4%, N=43) and 'mini' (18.6%, N=13) for panty type. In addition, 91.4% or 64 elderly women said they would choose incontinence panties depending on their symptom. 3. Comparison of Commercial Incontinence Panties on Market F-test and Duncan-test were conducted on A, B, and C incontinence panties selling on market and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ant difference in the features of front side: leg circumference line (C product (2.7) > B product (2.4) > A product (1.4)). C product has leg circumference of 50cm and a bulge in crotch line. And leg circumference line of B product and A product are 45cm and 44cm, respectively, and both are too tight. Therefore, all the products need improving. It turned out that those products gained the following scores depending on right angle to the bottom line at the side: C product (2.1) > B product (1.5) > A product (1.4). B product had the low score due to its small front side and big rear side for elderly women who have bulging belly in general. A product also had low score because its side line is not at a right angle to the bottom line. For the tolerance of hip circumference line at rear, it turned out C product (2.4) > B product (1.7) > A product (1.6). C product had a high score, but its urinary incontinence pad was sagging much. Not statistically signifiant, C product had a low score in wearing comfort (1.7) because of bulging in leg circumference line. The thickness of urinary incontinence pad turned out B product (2.6) > A product (2.1) > C product (1.8). B product was evaluated as proper. C product was rated satisfactory in functions while it had low adhesion due to bulging in leg circumference line. As mentioned above, all of the incontinence panties (A, B, and C) selling on market need improving. 4. Development of Incontinence Panties Product In this study, two types of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were developed by purpose: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and overnight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the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were designed for daytime activity while overnight incontinence panties whose capacity of absorbing urinary is reinforced were developed for use of overnight sleep. A. The 1st Wearing Test of Developed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The results of the 1st test of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and overnight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are as follow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ppearance evaluation of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it has 2.7 point for crotch line in the front side. Therefore, the developed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is better than C product. The developed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pa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ose on market in appearance and fitness (2.0), thickness (2.8), width (2.8), and tolerance (3.0).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g circumference of the proposed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had 1.7 point for wearing comfort, which is still low and requires improvemen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1st appearance evaluation of overnight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it has 2.8 point for the tolerance of hip circumference in the front side, but it improved bulging in the wearing comfort in crotch line by 1.2 like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It also h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ide line: the front of side seam line and balance of rear width (2.6) and the width of side line (2.4) were better than C product. The developed overnight urinary incontinence pa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ose on market in appearance and fitness (2.4), width (2.8), position (2.8), thickness (2.6) and tolerance (2.8). B. The 2nd Wearing Test of Developed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For the 2nd wearing test for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and overnight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this study made two capacity types (15cc, 30cc) for each. 15cc pad was designed for light urinary incontinence and 30cc pad for heavy urinary incontinence. As for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Design 1 were made in a way to minimize bulging in leg circumference and maximize adhesion of the pad.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Design 2 gave some tolerance to crotch area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wearing fitness from the survey that elderly women prefer wearing a bit large size of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Incontinence test was conducted on two capacity types. The results on appearance, motion, and wearing comfort are as follows. (1) The 2nd Wearing Test of 15cc Pad of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for Design 1 and 2 The results of appearance evalu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ont side: position of waist line (3.5), tolerance of waist circumference line (3.2), position of leg circumference line (3.5), wearing comfort in crotch area (bulging/pressing) (3.3). The appearance evaluation confirmed suitability for appearance in position of waist line. In rear side, it was scored as follows: position of leg circumference line (3.1), wearing comfort in leg circumference line (bulging/pressing) (3.4). 15cc Pad of Design 1 gained overall high satisfac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earing comfort was found in adhesion to body after incontinence (3.0), leaking to hip after incontinence (2.2), leaking to front hip after incontinence (2.1), satisfaction with urinary incontinence pad (2.6). 4.3 point was given to 15cc Pad of Design 1 for absorption speed, which was fastest. (2) The 2nd Wearing Test of 30cc Pad of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for Design 1 and 2 The results of appearance evalu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ont side: position of waist line (3.4), position of leg circumference line (3.5), and wearing comfort in crotch area (bulging/pressing) (3.5). 30cc Pad of Design 1 gained overall high satisfac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earing comfort of 30cc Pad of Design 1 was found in adhesion to body after incontinence (3.8), leaking between legs after incontinence (3.2), leaking to front hip after incontinence (3.8), and leaking to rear hip after incontinence (3.8). For tightening of rubber strip in crotch area, 30cc Pad of Design 2 obtained high score of 3.6. According to the subjective evaluation by the participants, they preferred the wearing confirm of 30cc Pad of Design 1 to that of 15cc Pad of Design 1. Wearing test confirmed that the proposed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15cc and 30cc Pad of Design 1) improved leaking to rear hip after incontinence (2.20 and 2.1, respectively). In addition, overall wearing comfort was improved in the developed 15cc Pad of Design 1 (3.8) and much more in 30cc Pad of Design 1 (4.0). (3) The 2nd Wearing Test of 15cc Pad of Overnight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for Design 1 and 2 The results of appearance evaluation of overnight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in the front side: position of waist line and tolerance of waist circumference line for 15cc pad of overnight Design 1 and leg circumference line and crotch wearing comfort for 15cc pad of overnight Design 2. It turned out that the tolerance of 15cc pad of overnight design 2 gives wearing comfort. And while Design 1 was more highly evaluated than Design 2 in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Design 2 was more highly evaluated than Design 1 in overnight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In the evaluation of wearing comfort, a significant score was found in 15cc pad of overnight urinary incontinence: satisfaction of appearance (3.4) and rubber tightening (4.2) (4) The 2nd Wearing Test of 30cc Pad of Overnight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for Design 1 and 2 The results of appearance evalu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ont side: 30cc Pad of Design 1 gained overall higher satisfaction in position of waist line while 30cc Pad of Design 2 gained overall higher satisfaction in position of leg circumference line and comfort in crotch area. It resulted from tolerance given to crotch area to improve comfort because 30cc Pad of Design 2 is thickest and it may cause discomfort. Wearing comfort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rubber tightening in crotch area (3.6) for 30cc Pad of Design 2 and 30cc Pad of Design 2 turned out to have better wearing comfort 30cc Pad of Design 1. While 30cc Pad was preferred to 15cc Pad for after-incontinence satisfaction, 15cc Pad gained higher satisfaction with wearing comfort than 30cc Pad because the latter gets thicker, heavier and more sagging after incontinence. In conclusion, suitability test for appearance and motion and wearing comfort test demonstrated that the developed 15cc overnight urinary incontinence panties of Design 2 are the most favored.

      • 슬랙스 패턴의 바지 중심선 위치이동에 따른 형태 변화 연구

        이준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바지 중심선의 이동에 따른 바지의 실루엣 변형 실험을 통해 바지 착의 시 문제가 되는 군주름을 최소화하며, 패턴 제작에 있어 예측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바지 중심선 이동을 위한 기본 바지를 착의실험을 거쳐 선정한 후 4가지 방법 안솔기쪽으로 평행이동, 옆솔기쪽으로 평행이동, 안솔기쪽으로 대각선이동, 옆솔기쪽으로 대각선이동으로 바지 중심선을 이동시켜 형태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바지 중심선 안솔기쪽으로 평행이동' 한 결과 안솔기선의 경사도가 사선 형태에서 90°에 가까운 직선 형태로 변형되고 옆솔기선의 경사가 완만해짐으로써 바지 앞판의 ‘안솔기 허벅지 부위에 당기는 주름’과 뒷판의 ‘허벅지에서 무릎까지의 당기는 주름’이 나타났으며, 안솔기와 옆솔기가 인체 다리 각도와 달리 안쪽으로 집중됨으로써 크러치점(crotch)을 기준으로 솔기선 당김이 힙과 밑위부분에 영향을 주어 힙과 밑위부위에 가로 방향 군주름이 생기는 현상이 나타났다. 바지 보정 시 중심선을 옆솔기쪽으로 평행이동 시켜 이와 같은 현상을 보정할 수 있을 것이다. 2. ‘바지 중심선 옆솔기쪽으로 평행이동’한 결과 앞판에서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뒷판에서 ‘허벅지 부위의 늘어짐 및 엉덩이선에서 무릎선 사이의 불규칙한 늘어짐’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 경우 중심선을 안솔기쪽으로 이동시켜 보정할 수 있을 것이다. 3.‘바지 중심선 안솔기 쪽으로 대각선 이동’한 결과 크러치점을 기준으로 전체적인 앞·뒤 바지의 중심선 기울기가 사선에서 직선에 가까운 형태로 변경되면서 ‘앞중심 허리에서 힙부위에 옆선을 향해 가로 방향 군주름’이 나타났으며 ‘바지 중심선 안솔기쪽으로 평행이동’한 실험과 유사하게 ‘허리에서 무릎까지 크러치점을 향한 사선방향의 군주름’이 나타났다. 이 경우 바지 중심선을 옆솔기 쪽으로 대각선 이동시켜 보정할 수 있을 것이다. 4.‘바지 중심선 옆솔기쪽으로 대각선 이동’한 결과 앞중심 기울기가 실제 인체의 허리에서 엉덩이까지의 경사각도보다 완만해짐으로 인해 앞판에서는 ‘힙에서 허벅지 사이에 사선 방향의 군주름’, ‘안솔기 밑위에서 허벅지 늘어짐’이 나타났으며 뒷판에서는 ‘허리에서 힙’사이에 여유 없이 fit하게, ‘안솔기 밑위에서 무릎사이에 늘어짐’이 나타났다. 이 경우 중심선을 안솔기쪽으로 대각선 이동시켜 보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바지 제작 시 시행착오가 생기는 군주름이나 당기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보정, 패턴 제작 시 예측이 가능하여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미술치료가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미경 경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의 건강한 정서적 발달과 대인관계의 중요한 요인이 되는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하여 미술치료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아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P유치원 만 5세반 유아들로 위축성향을 보이며 자기표현의 부족이나 낮은 자존감으로 인해 유치원 생활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유아들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유아들을 개별 면접하고 본 연구를 위해 동질집단 12명을 선정하여 사전 검사 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6명씩 배정하였다. 연구는 2011년 9월 16일부터 12월 23일 까지 주 2회 매회 50분씩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한 총 20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장태경(2006)이 제작한 자기표현척도를 본 연구자가 본 연구를 위해 항목을 수정·보안하여 사용하였고, Harter와 Pike가 개발하고 김영숙(1997)이 보완한 유아용 그림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맨-휘트니 U 검증(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비모수 검증인 Wilcoxon 부호-순위 검증(Wilcoxon's signed-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의 사전, 사후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 (Wilcoxon's signed-ranks test)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을 위하여 자기표현력과 관련된 행동 및 태도 변화를 관찰 기록하여 단계별로 비교 분석하고 자아존중감의 질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Burns(1987)의 동적 집-나무-사람(K-HTP)그림에서 나타난 내용적형식적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통계 결과를 보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척도에 의한 사전사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 점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전에는 각 집단의 자기표현력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후 실험집단의 자기표현력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고 사전사후검사 점수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자아존중감 척도에 의한 사전·사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 점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전에는 각 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후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고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인 신체적 능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인지적 능력, 동료 수용, 어머니 수용, 자기 수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전반적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므로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심리치료와 건강한 자아성장을 위한 상담 및 교육, 치료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본 연구의 목적인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하여 주제의 타당성과 명확성을 검토하여 미술치료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중국 동북 지역 20대 여자의 바지 원형 패턴에 대한 연구

        왕암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중국의 의류시장은 한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특히 중국동북에서 진출한 한국사업이 많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패션에 대한 연구 부족을 한다. 그중에서 가장 느끼는 큰 문제점은 체형이 다양하여 치수도 한계점을 들고 있다. 그러므로 의복의 피트성을 높이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또 소비자의 입장에서도 구매시 의복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 즉 맞음새에 비중을 둔다는 것을 알 수 있다(임순 외 1인, 2004). 의류 제품이 외국 시장에 전개하기 위해서는 의류 상품을 개발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므로 원형에 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바지원형에 비교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국동북의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가장 잘 어울리는 패턴 제작법을 연구하는 목적으로 하반신 인체 형태에 대하여 계측을 진행하였다. 인체측정치를 분석하여 분류된 체형 중에서 피험자( A기본체형, B마른체형, C비만체형)를 선정하였다. 기본 원형의 비교연구를 위해 수집된 바지원형의 제도법은 김효숙, 이소영. (2009). 바지패턴북. 李英兰, 李好定. (1979). 文化服装讲座(妇人服篇). 어미경. (2003). 어패럴 메이킹 각각3 종류이다. 3명 피험자에 대한 바지 패턴을 연구 진행하였다. 원형제도법의 연구하는 과정을 거쳐 제시한 문제점에 대해 분석·보완하였다. 바지원형에 비교연구를 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국식 바지패턴의 결과 가장 큰 문제점은 전체적인 여유분량의 부족으로 특히 허리둘레 여유분량이 부적당하여 허리부분의 불편감이 느끼며 실험을 통해 적합하다고 판단된 양을 제시하였다. 또 밑위부위에도 문제는 발견되었다. 엉덩이에서 밑위선까지 당기는 사선의 주름이 생기며 앞 밑위부위에 주름이 생겼다. 밑위앞뒤부분의 맞음새를 좋게 하기 위하여 부족한 분량은 보정되도록 하였다. 2. 일본식 비지패턴의 결과 가장 큰 문제점은 전체적인 밑위부위에 문제는 발견되었다. 엉덩이에서 밑위선까지 당기는 사선의 주름이 생기며 앞 밑위부위에 주름이 생기며 뒤 밑위부분에 사선의 당기는 주름이 생겼다. 밑위앞뒤부분의 맞음새를 좋게 하기 위하여 부족한 분량은 보정되도록 하였다. 또 허리둘레 여유분량이 작은 문제를 발견되었다. 실험을 통해 적합하다고 판단된 양을 제시하였다. 3. 한국산업체 바지패턴의 결과 가장 큰 문제점은 전체적인 뒤 밑위길이가 짧은 주름이 생겼다. 외관으로도 좋지 못했다. 뒤 밑위길이부분의 맞음새를 좋게 하기 위하여 부족한 분량은 보정되도록 하였다. 또 허리둘레 여유분량이 작은 문제를 발견되었다. 실험을 통해 적합하다고 판단된 양을 제시하였다. 한국산업체 패턴은 비교적으로 좋게 적합하였다. 앞으로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세부적으로 체형을 유형화하여 유형별로 사이즈를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패턴 연구가 더욱더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The study on pattern has not formed a rounded system yet in China. The limitation of Size is big problem, which has been recognized by Chinese fashion company. Chinese female bodily is not only so different from Korean female, but also can be separated into north-china bodily and south-type bodily, it is very diversification. The consumers always think about the size and suitability fist. Therefore, the sturgeon pattern in china is necessary for entering Chinese market. With the development of fashion, the pattern of costume changed over and over again, especially it can be influenced by the consumer’s age, bodily, style and so on The suitability of a clothes is very important to individual. Because the costume can reflect the body’s characteristics clearly. Therefore, the study on basic pants sloped is very important in the movement. With the development of production technology, a large quantity of clothing made. During this period , most of the study is about the clothing Ready-made。Therefore, the study on basic sloped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cartography. The cartography of basic sloped should be simple; the main measure should be short too. We chose the women in their twenties as the object; the designers consider the bodily characteristics for emphasizing on feminine charm, so we developed the basic pants sloped. This thesis will choose the Chinese women (22-38years old) as the object. The measure methodology is application of tapeline, weighting machine, and measurement by 3D software for lower half of body. The three types of body are chose by writer according to 임순석’s study (Anormal bodily, B slim bodily , C and fat bodily) For the comparison of the basic sloped , the writer collected many kinds of basic pants sloped from china and other countries , and then basic pants sloped of Korean , Japanese and Korean industry were chose by writer, and then the writer pattern for these three kinds of people. According to the study on basic pants sloped and their advantages. The writer try to find the problems of the pattern process, analysis .

      • 3D 의상 CAD를 이용한 가상 의복과 실물 의복의 실루엣 비교 연구

        이선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Although 3D simulation became universal in many fields, including architecture and machinery,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it hasn't become universal in the clothing field yet. A 3D apparel CAD program is used to reduce personnel expenses, economize resources, and protect environment in this clothing industry. It is to simulate several designs on 3D apparel CAD to manufacture the final design alone as a sam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clothes simulated by 3D apparel CAD and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to find out things to improve and complement in the 3D apparel CAD program. For this purpose, attempts are made to see: 1. If a 3D apparel CAD program can easily express the whole silhouette of an actual manufacture. 2. Properties of a 3D apparel CAD program manufacture and actual one in front, back, right, and left parts. 3. The degree of expressing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of the actual manufacture by the 3D apparel CAD program manufacture. After testing physical properties of thin, low-elasticity cotton stuff, soft, low-elasticity, glossy polyester silk satin stuff, and thick, tough-touch woolen stuff by using a KES-FB-AUTO-A SYSTEM, one-piece dresses were made with each stuff into the 3D apparel CAD program manufacture and the actual manufacture and printed into pictures; then, a sensory test was carried out with 44 questions in terms of front, back, right, and left parts with 30 persons―clothing majors and fashion school students. With the results,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on differences in silhouette between two stimuli. With a woman with 6cm difference between front and back length as a subject, items necessary to make a one-piece dress were selected and measur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2004 Size Korea.” The experiment procedure is as follows: 1. Select a design needed for the research. 2. Test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for manufacturing clothes and input data about the physical properties. 3. Take the measurements of the model and input them in the body. 4. Use the measurements to manufacture a pattern with 2D apparel pattern CAD. 5. Use data about the body of the model,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and the pattern manufactured in 2D to manufacture clothes with a 3D simulation program. 6. Print the inputted pattern data to manufacture actual clothes. 7. Make a comparative research on general silhouette expression, physical property expression of fabric, and expression of each part between 3D-manufactured clothes and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mean of the results of the sensory test.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clothes manufactured by 3D apparel CAD and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was more than 4.00 on the average, 3D apparel CAD was found to have no difficulty in expressing the general silhouette of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2.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clothes manufactured by 3D apparel CAD and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was on the average 3.80 for the front part and 3.75 for the back part, as compared with 3.66 for the left part and 3.70 for the right part with needlework seen, it is necessary to improve expression at parts of needlework. 3. The 3D program should improve express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to express the curve of body and folds more accurately. Future researches should select fabric in the same color to reduce errors caused by color difference of fabric and use the body in the same posture as 3D apparel CAD to reduce errors caused by the pos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hich made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clothes simulated by 3D apparel CAD and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and found out things to improve and complement in the current 3D apparel CAD program,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research to develop a better 3D apparel CAD program. IT 기술의 발달로 건축, 기계 등의 여러 분야에서는 3D 시뮬레이션이 보편화 되어있지만 의류분야에서는 아직까지 보편화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의류업계의 인건비 절감, 자원의 절약과 환경 보호를 위해 3D 의상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3D 의상 CAD 상에서 여러 디자인을 시뮬레이션하여 최종 디자인만을 샘플로 제작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3D 의상 CAD로 시뮬레이션된 의상과 실물 제작된 의복과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3D 의상 CAD 프로그램의 개선, 보완되어야 할 점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3D 의상 CAD 프로그램이 실물 제작물의 전체적인 실루엣을 표현하는데 무리가 없는지 알아본다. 2. 3D 의상 CAD 프로그램 제작물과 실물 제작물이 정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별로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본다. 3. 3D 의상 CAD 프로그램 제작물이 실물 제작물의 원단 물성 표현 정도를 알아본다. 연구 방법은 얇고 신축성이 적은 면 소재, 부드럽고 신축성 적고 광택이 있는 폴리 공단 소재와 두껍고 거친 느낌이 나는 모직 소재를 KES-FB-AUTO-A SYSTEM을 사용하여 물성 테스트 한 후 각 각 3D 의상 CAD 프로그램과 실물로 원피스를 제작하여 사진으로 출력한 후 의상 전공자와 패션학원생 30명을 대상으로 정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으로 나누어 44문항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나온 결과로 두 자극물간의 실루엣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피험자는 유차 6㎝인 여성으로 원피스를 만드는데 필요한 항목을 선정하여 계측하였으며 계측은 “2004 Size Korea”의 계측기준에 따라 계측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연구에 필요한 디자인을 선정한다. 2. 의복 제작에 사용할 원단의 물성을 테스트하여 물성 데이터를 입력한다. 3. 모델의 치수를 측정하고 바디에 사이즈를 입력한다. 4. 측정된 모델의 치수를 사용하여 2D 의상 패턴 CAD로 패턴을 제작한다. 5. 2D로 제작한 패턴 데이터, 원단의 물성 데이터, 모델의 바디데이터를 사용하여 3D 의상 CAD 프로그램으로 의복을 제작한다. 6. 입력된 패턴 데이터를 출력하여 실물 의복을 제작한다. 7. 3D 제작 의복과 실물 제작 의복의 전체적인 실루엣 표현력, 원단의 물성 표현 정도, 각 부분의 표현 정도를 비교 연구한다. 자료의 분석은 관능검사 결과의 평균을 가지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3D 의상 CAD로 제작된 의복과 실물 제작된 의복의 차이가 평균 4.00점 이상이므로 3D 의상 CAD가 실물 제작 의복의 전체적인 실루엣을 표현하는 데는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3D 의상 CAD로 제작된 의복과 실물 제작 의복의 차이가 정면의 평균 3.80점, 후면의 평균 3.75점에 비해 봉제선이 보이는 좌측면의 평균은 3.66점과 우측면의 평균은 3.62점으로 낮게 나왔으므로 봉제선 부분의 표현력을 높여야겠다. 3. 3D 의상 CAD 프로그램이 원단의 물성 표현력을 더 높여 몸의 곡선과 주름의 표현을 더 정확히 할 수 있어야 한다. 차기 연구에서는 동일한 색상의 원단을 선택하여 원단의 색상 차이에 의한 오차를 줄이고 3D 의상 CAD의 바디와 같은 자세의 바디를 사용하여 자세에 의한 오차도 줄이도록 해야 하겠다. 본 연구는 3D 의상 CAD로 시뮬레이션된 의복과 실물 제작된 의복과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3D 의상 CAD 프로그램의 개선, 보완되어야 할 점을 밝혀 보다 나은 3D 의상 CAD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사용되길 바란다.

      •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 기독대안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서유미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미디어 세계는 현실의 사람을 움직이는 실재하는 세계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미디어 세계는 일상생활을 유지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가상공간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의 청소년들은 어릴 적부터 디지털 세계를 당연하게 생각하면서 자라는 디지털 원주민이기 때문에 가상의 공간을 대하는 태도가 기성세대와는 확연하게 다르다. 기존에도 미디어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미디어 교육에 대한 관심은 있었다. 코로나 팬데믹 상황 이후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은 한층 강화되었고, 생존에 필요한 역량이 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해외와는 달리 미디어가 효율이나 사용의 차원으로 인식되어 교육과정 속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통합적으로 다루지 못하는 실정이다. 기독교교육 내의 상황도 유사하다. 미디어의 부정성으로부터 보호하거나 수용하는 등의 태도를 견지할 뿐 적극적인 교육적 개입을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디어 세계라는 중요한 세상에서 그리스도인에게 어떠한 역할과 책임이 있는지를 알지 못하는 현 상황에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개념화한 후 청소년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개발・실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 프로그램 설계의 핵심적이고 공통적 절차인 ADDIE 모형에 따라 진행되었다. 분석(Analysis) 단계에서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및 국내외의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들을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육 참여자의 사전 미디어 리터러시를 조사(47개 문항, 신뢰도 계수는 .684~.915)하여 요구도를 분석하고, 기술에 대한 이미지와 학습환경을 분석하였다. 설계(Design) 단계에서 본 연구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들을 도출하였다. 즉, ‘디지털 주체성’과 ‘비판적 성찰’, ‘창조적 제작’, ‘호혜적 참여’의 4개 역량을 비롯해 11개 하위요인(디지털 정체성 형성, 주체적 역량 강화, 비판적 미디어 이해, 비판적 정보 식별, 미디어 변화에 대한 성찰, 창조적 미디어 활용, 창조적 미디어 제작, 윤리적 미디어 이용, 상호적 소통, 디지털 안전 관리, 공동선을 위한 실천)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들의 발달 수준 및 교육환경, 요구도를 고려하여 목표를 구체화하고, 양적(사후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검사), 질적 평가도구들(교사 관찰일지, 활동지, 학생 에세이, 소감문)을 설계하였다. 교육 내용은 독립교과 형태로 5주 과정으로 설계하였으며, 내용에 따른 적절하고 다양한 교수전략과 미디어를 선정하였다. 개발(Development) 단계에서는 청소년에게 가장 필요한 주제를 선별해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할 총 5차시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한 차시는 100분으로 구성하였으며, 이해-활동-실천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로 개발하였다. 각 차시의 특징에 맞게 수업자료를 개발하였으며, 모든 차시는 긴밀히 연계되도록 개발하였다. 실행(Implement) 단계에서는 본 연구의 참여자인 경기도 소재 S기독대안학교 청소년들(N=9)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실행하였다. 수업 주제는 ‘I’m 디지털 환경의 청지기‘, ’알고 있다! 알고리즘’, ‘야! 나두 팩트체크해’, ‘주도적인 크리에이터 생활⑴’, ‘주도적인 크리에이터 생활⑵’ 등이다. 수업 후에도 학생들이 다양한 학습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패들렛을 활용해 소통하였다. 평가(Evaluate) 단계에서 본 연구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후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조사하였다. 이는 사전 조사 문항에 ‘디지털 주체성’을 추가한 총 54개 문항(신뢰도 계수 .652-899)이다. 일부 문항 신뢰도 계수는 사전 검사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는데, 평균 자체가 매우 높고 동형검사로 인한 학습 효과로 해석되어 그대로 사용하였다. 그 외에 교사의 관찰일지를 비롯해 연구 참여자의 에세이와 소감문 등의 질적 결과물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은 ⑴ 청소년들의 ‘디지털 주체성’ 형성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M=4.54, SD=.53). 특히, 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은 ‘디지털 환경에서 개인의 이미지가 왜곡되거나 편향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M=4.77, SD=.42). 이에 비해 ‘디지털 환경에서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에 의해 형성되는 상호의존적 네트워크나 변화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역량은 상대적으로 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M=3.77, SD=1.31).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비판적 성찰력과 창조적 제작력, 호혜적 참여력에 미친 영향은 비모수적 방법인 Wilcoxon 부호순위검정을 통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⑵ ‘비판적 성찰력’의 하위 역량인 ‘비판적 미디어 이해’의 경우 사전(M=4.47, SD=.43)-사후(M=4.86, SD=.25)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비판적 정보 식별’ 또한 사전(M=3.10, SD=1.04)-사후(M=4.62, SD=.16)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5). 이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청소년들의 비판적 성찰력 함양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⑶ ‘창조적 제작력’의 하위 역량인 ‘창조적 미디어 활용’의 경우 사전(M=3.68, SD=1.07)-사후(M=4.31, SD=.88)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창조적 미디어 제작’ 또한 사전(M=3.75, SD=.94)-사후(M=4.37, SD=.70)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5). 이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청소년들의 창조적 미디어 활용 및 제작에 효과적이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윤리적 미디어 이용’은 사전(M=4.43, SD=.59)-사후(M=4.89, SD=.17)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⑷ ‘호혜적 참여력’의 하위 역량인 ‘상호적 소통’의 경우 사전(M=4.00, SD=.90)-사후(M=4.78, SD=.44)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디지털 안전 관리’ 또한 사전(M=2.63, SD=.91)-사후(M=4.33, SD=.48)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5). ‘공동선을 위한 실천’에서도 사전(M=3.28, SD=.92)-사후(M=4.42, SD=.53)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p < 0.5)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청소년들의 ‘상호적 소통’과 ‘디지털 안전 관리’, ‘공동선을 위한 실천’에 효과적이었음을 뜻한다. 이를 질적 연구 결과와 종합해보면, 미디어 영향력, 미디어에 대한 균형성, 디지털 주체성, 비판적 사고, 팩트체크, 윤리적 미디어 이용,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실천적 앎으로 확장되어 지식, 기술, 태도적 측면에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자기 성찰을 통해 자신의 세계관을 점검하는 등 미디어에 대한 자기 성찰 능력과 디지털 기술활용 능력 강화 의지, 미디어를 통한 공동선을 위한 실천 역량이 향상되었다. 상관분석 결과에 따르면,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은 디지털 정체성이 형성이 뒷받침될 때에 원활하게 개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은 스마트폰 사용이 제한된 기독대안학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제시된 온라인 활동은 스마트폰 기반의 온라인 활동이 아닌, 컴퓨터 기반의 온라인 활동을 의미한다. 또한 본 교육 프로그램은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에 효과적이었으나, 후속 연구를 통해 교육 효과를 지속적으로 검증해 갈 필요가 있다. 이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시대에 기독교교육자들에게 주어진 과제일 것이다.

      • 니트 장갑의 착용감 향상을 위한 편성방법 연구 : 20〜30대 여성용 장갑을 중심으로

        김예지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인들은 자신의 개성을 살리기 위하여 의복과 함께 부수적인 장식품을 추가하여 자신만의 패션이미지를 연출하고 있다. 액세서리의 한 종류인 장갑은 패션 아이템 뿐만 아니라 각종 스포츠 활동이나 산업현장에서도 꾸준히 활용되고 있다. 현재 시중에서 다양한 종류의 장갑이 판매되고 있으나 니트 소재의 장갑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니트 소재 장갑의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니트 장갑은 과거 방한 목적으로 사용했던 것과 달리 오늘날엔 의료용, 레저스포츠용, 패션용, 산업용장갑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서 판매중인 니트 장갑은 대량 생산에 중점을 둔 생산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손 부위의 특성을 고려한 패턴이 반영되지 않아 착용감이나 동작 시 손가락 연결부위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니트 장갑의 착용감 향상을 위한 개선점을 도모하고자 실증적 연구를 통해 이상적인 편성 방법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연구 조사 및 인터넷 사이트 검색을 통한 실질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니트 장갑에 관한 일반적 고찰을 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시중에서 판매중인 니트 장갑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니트 장갑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5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한 후 실험 장갑을 제작하여 착용감과 동작 적합성 여부를 조사하여 통계 처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1의 첫째 손가락의 편성방법을 달리하여 첫째 손가락 모양이 만들어지는 위치를 다르게 한 실험 장갑의 경우 착의평가와 동작 적합성평가에서 모두 3D 타입의 장갑이 가장 편안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2는 손가락 연결부위의 겹침 코 수를 달리하여 착의실험을 실시하였는데 겹침 코가 없는 실험 장갑이 가장 편안하고 겹침 코가 많아질수록 불편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연구문제3에서는 주먹을 쥐었을 때 손바닥에 나타나는 여유량을 줄이기 위하여 세로방향으로 줄어드는 특성이 있는 터크(tuck), 미스(miss), 가터(purl) 조직을 손바닥 부분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미스 조직의 여유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나 착용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연구문제4는 동작 시 움직임이 많은 둘째마디의 여유량을 높이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탄성이 있는 1X1 리브(rib)조직과 세로방향으로 줄어드는 성질이 있는 미스, 가터조직을 적용하였는데 착의 실험 결과 가터조직이 가장 편안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진행한 실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손 형태를 더욱 반영한 장갑 제작을 위해 연구문제5의 손바닥의 편성 비율을 달리한 장갑을 제작하였다. 손바닥 편성 비율을 달리하여 제작한 실험 장갑의 경우 연구문제3에서 손바닥 여유량이 적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장갑과 비교하였을 때 손바닥 여유량이 훨씬 줄어 자연스러운 손의 형태와 흡사한 입체적인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이상적인 편성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니트 장갑의 착용감 향상을 위한 제작방법 개선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로써 업체에 도움을 주며 장갑 디자인의 발전 및 향상과 제품 개발에 활용되기를 바란다. Today's people produce their own fashion image by adding accessories to clothes to express their individuality. Gloves, which are accessories, are steadily used for various sport activities and in the industrial field as well as in forming fashion items. While diverse types of gloves are now on the market, there are lots of knitted gloves, which seem to be highly preferred. While knitted gloves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on against the cold in the past, they are now used for various purposes: medicine, leisure sports, fashion, industry, and so on. Since the knitted gloves currently on the market are mostly mass-produced and fail to reflect patterns, with no feature of hands taken into account, they have caused poor wearing sensation or inconvenience in the connecting parts of fingers for mov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n ideal knitting method through empirical research to improve wearing sensation of knitted gloves. Substantial data obta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search were used to get a general understanding of knitted glove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problems with knitted gloves on the marke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ive questions were set to solve these problems; then, experimental gloves were manufactured to determine wearing sensation and appropriateness for movements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zed. For the experimental gloves with different positions of the first finger on the basis of different knitting methods in Question 1, both wearability test and movement appropriateness test found that 3D gloves were most comfortable. In wearability test with variation in the number of overlapped stitches in the connecting parts of fingers in Question 2, the experimental gloves with no overlapped stitch were most comfortable and more overlapped stitches led to greater inconvenience. In Question 3, the tuck, miss, and purl structures, which may shrink vertically, were applied to palms to give less ease to the palms in clenching their fist. As a result, the miss structure gave the least ease, affecting wearing sensation. When the 1X1 rib structure with horizontal elasticity and the miss and purl structures with vertical shrinkage were applied to give greater ease to the second knuckle with great mobility for movements in Question 4, wearability test found that the purl structure was most comfortabl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gloves with different knitting rates for palms were manufactured to reflect the shape of hands more positively in Question 5. The experimental gloves with different knitting rates for palms gave significantly less ease to the palms, expressing a cubic shape similar to a natural shape of hands ideally, than those most highly evaluated with less ease to the palms in Question 3.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of help to businesses as basic data important in improving the manufacturing methods to improve wearing sensation of knitted gloves and be useful to develop and improve the design of gloves and develop products.

      • 기업의 사회책임(CSR)활동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의 공중인식비교를 중심으로

        김해월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간의 CSR활동에 대한 인식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양국 내 에서 CSR활동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했으며 또한 CSR활동을 집행하는 기업의 국적(자국/다국적)이 CSR활동이 기업의 평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moderation)하는지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 모두 자국적기업의 CSR활동에 대한 인식과 다국적기업의 CSR활동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CSR활동 자체의 인식에서 기인하는데, 한국에서의 연구결과는 CSR활동을 지속적이고 다양하게 진행한 기업에 인식이 높다는 것을 시사하며 중국에서의 연구결과는 중국 공중이 CSR활동에 대한 인식이 아직 부족하며 CSR활동을 단지 기부나 자선활동정도로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한국과 중국에서 각 기업에 대한 공중의 평판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CSR활동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평판에 있어서의 차이로 연결되지는 못함을 설명한다. 셋째, 한국과 중국 모두 CSR활동에 대한 인식이 기업평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극적으로 CSR활동을 할수록 기업은 긍정적인 기업평판을 가질 수 있으며 기업평판의 형성에 있어서 CSR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알 수 있다. 넷째, 한국과 중국에서 CSR활동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의 국적에 의해 조절효과를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과 중국에서 CSR활동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의 국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급속하게 변화하는 세계기업환경 속에서 공중에게 있어서 기업의 국적이 더 이상 중요하지 않음을 추측할 수 있다. For this study, we find out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Korean public's perceptions and Chinese public's regarding CSR and consider how CSR affect corporate reputation. Also, we find out if the corporation(national/multi-national)'s nationality conducting CSR moderates the effect on its reput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first, there is some difference between Korean public's perceptions and Chinese public's regarding CSR, both national corporation and multi-national corporation. It comes from its perception of CSR. The research shows that the Korean company which has conducted lots of CSR gets higher perceptions.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have lack of understanding "CSR". We can predict that they just regard it as contribution or charity. Seco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Korean public's perceptions and Chinese's regarding corporation. It says that difference of perceptions regarding corporation CSR does not lead to difference of reputation. Third, the Korean and the Chinese public's perceptions regarding CSR have a good effect on corporate reputation. The more CSR the companies do, the more good reputation they have. We can find out that CSR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king good corporate reputation. Forth, the effect of CSR on corporate reputation in Korea and China does not have any moderation effect by corporate's nationality. The effect of CSR on corporate reputation, therefore, does not depend on corporate's nationality. Through the findings, we can predict that corporate's nationality is not important to the public anymore, in the rapidly evolving global corporate world.

      • 중국 동북지역 60대 노년기 여성의 바지원형 패턴에 대한 연구

        호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중국 동북지역 60대 노년 여성 체형의 특성을 파악하고 맞음새 및 착의적합성이 향상 된 바지패턴을 제시하고자 한다. 세계보건기구가 정한 체형 설정기준을 참고하여 BMI 18.5이하 마른체형, BMI 18.5-24.9 정상체형, BMI 25.0-29.9 비만체형에 각각 속하는 3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였다. 중국 Shanghai University Of Engineering Science 의류학 전공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육용 바지원형의 제도법에 따라 실험바지를 제작하고 외관평가와 동작기능성평가를 통해 바지패턴을 수정‧보완하여 각각의 체형에 맞는 연구바지 패턴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바지패턴의 가장 큰 문제점은 샅점위치의 부적합으로 밑위부위의 당김현상이 심하고, 체형별로 배 부위와 엉덩이 부위의 여유량이 다르게 나타났다. 피험자 A(마른체형)의 최종 바지패턴은 앞판의 다트길이를 각각 11cm, 12cm로 1cm 연장하고 다트분량은 0.3cm 추가하여 2.7cm, 뒤판의 다트분량은 0.5cm 줄여 2.5cm, 샅점위치는 0.5cm 내렸다. 실험바지 패턴의 수정으로 배 부위의 주름과 뒤 허리부부의 당김현상이 완화되고 엉덩이와 밑위부위의 당김현상도 해결되었다. 피험자 B(정상체형)의 최종바지 패턴은 배부위의 주름과 샅 부위의 당김현상을 완화하고자 앞판의 다트길이는 2cm 연장하여 각각 12cm, 13cm, 뒤판의 다트길이는 2cm 연장하여 14cm로 수정하고 샅점위치를 0.7cm 내렸다. 피험자 C(비만체형) 전체적으로 허리부위의 여유량 부족하여 앞·뒤 허리중심점은 1cm, 앞·뒤 허리옆점은 0.5cm 연장하였으며 앞판의 다트분량은 0.8cm 줄여 각각 1.7cm, 뒤판의 다트분량은 1.5cm 줄여 1.5cm로 수정하였다. 엉덩이 부위의 여유량 확보와 샅과 밑위부위의 당김현상을 해결하고자 엉덩이너비를 H/4+2, 샅점위치를 1cm를 내렸다. 또한 안다리선의 샅위치 증가점부터 무릎선까지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넙다리 부위의 여유량을 확보하여 바지의 외관과 착용감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는 중국 동북지역 60대 여성을 대상으로 체형에 적합한 바지원형을 개발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피험자를 3명으로 한정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확대‧해석하는 데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pants pattern with a high level of fit and comfort for elderly women in their 60s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body types of elderly women of the age group were classified into three, mild underweight with a BMI (cut-off point) of less than 18.5, normal range with a BMI in between 18.5-14.9, and pre-obese with a BMI in between 25.0-29.9, according to the BMI classifications for Asian populations recommend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hree fitting models were selected with reference to the classifications within the age group. A pants sloper from a textbook used at Fashion College of Shanghai University of Engineering Science was chosen as a default pattern to produce sample patterns for each body type. Fitting tests were conducted on the sample pants to assess their appearance and comfort levels. Some of the most common but serious problems of the sample patterns were the wrinkles created by fabric pulling and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amounts of ease on abdomen and hip areas for each body type. These issues were brought by the ill-fitting crotch point. Sample A (mind underweight);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ront darts of the pants pattern were extended by 1cm to 11cm and 12cm each, and the ease amount was extended by 0.3cm to 2.7cm, while reducing its back dart length by 0.5cm to 2.5cm, and lowering the crotch point by 0.5cm. By modifying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method, the creases at the abdominal area and lower back decreased, the problems of severe creases and discomfort around the hip and crotch areas were alleviated. Sample B (normal range); this sample pants had more creases by fabric pulling around abdominal and crotch areas, which caused discomfort. The front darts were extended by 2cm to 12cm and 13cm each, the back dart was also extended by 2cm to 14cm, while reducing the crotch length by 0.7cm and moved downwards by 1cm. Sample C (pre-obese); the ease amount on the waist was not enough, so the front and back center lines were extended by 1cm, and the front and back side seam lines by 0.5cm, while reducing the front dart amount by 0.8cm to 1.7cm each, and the back dart amount by 1.5cm to 1.5cm. In order to give more ease on the hip area and reduce creases by fabric pulling around the crotch area, hip width was set at H/4+2, and the crotch point was moved downwards by 1cm. 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based off of the body measurements of three fitting models who were randomly selected in the applicable regions, the results should not be broadly interpreted and there should be careful application to the general populace.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여성문화의 미적표현에 관한 연구 : 기녀를 중심으로

        이주영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contemplates the culture and life of women of Goryeo and Joseon Dynasties with an aesthetic expression, with a concentration on the gisaeng, or trained courtesans. Classical literatures and advanced research found in Goryeosa(History of Koryo), Goryeodokyeong(Illustrated Travelogue of Goryeo), Samgooksagi(History of the Three Dynasties) were studied as reference for Goreyo Dynasty, and classical literature from Joseonwangjosilloc(The Chronicle of Joseon Dynasty), Seungjeongwonilgi(Daily Records of Seungjeongwon), and Ilseongloc (Journal of the rulers of Joseon) were studied as a refer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view on womanhood was comprehended by the time period, and the standards of beauty from each time period were studied. The women of Goryeo had firm self-confidence, and coexisted in the environment of equality, whereas the women of Joseon were forced the restraints and strict standards of Confusion social ethics to live in irrationality. The standard of beauty in Goryeo Dynasty was based on serving the husband, sacrificing for the family, and having an independent viewpoint of womanhood rather than the external beauty. The elements of elegance, inner virtues, phraseology, figure, and wisdom within the housekeeping as a woman appraised the beauty of Joseon Dynasty. Secondly, the origin and culture of gisaeng of Goryeo and Joseon were studied. There exists a stance where gisaeng originates from the moonyeo (female shaman, or medium), and that gisaeng originates from mid-Silla as the Samgooksagi(History of the Three Dynasties) records “Wonhwa (youth association of Silla in practice)sacrificed.” AccordingtoLeeIk’sSeonghosaseol (An Article of Late Joseon written by Lee Ik), speculations are made that gisaeng originates from the water drawer(mujari), or the daughter of the water drawer of the post-Baekje nomads. The gisaeng of Goryeo was properly marked as a social class, and was administrated by the dimensions of the state as institutions. The gisaeng of Goryeo were catergorized by sex (Yeogi, the female gisaeng, and Namgi, the male gisaeng), and by its affiliation: gwanji was the gisaeng of the government office, and gagi was the gisaeng of a private household. There were also those who were not tied to any affiliations. The category by the legion separated the gisaeng by its location residence, and the category by function separates the gisaeng from its sexual attraction(Saekgi), and its talents in music, art and literature (Yaegi). Joseon succeeded the government institution of Goryeo. The succeeded Yeoak(female dancer and musician) specialized in music and performance, and as they added to the amusement by participating at the banquets of the court and noble families, they can be considered as the gisaeng of Joseon. Thirdly, the internal meaning of attire of the gisaeng from both dynasties, 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attire of gisaeng were studied. The attire of gisaeng in Goryeo Dynasty was not under a regulation, and the gisaeng could wear freely without any restrictions.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attire was similar to the ordinary fits of the Empress, but fancifully and extravagantly decorated in the material, color, and the accessories. Towards to the end of Joseon, the jeogori(upper garment) of the gisaeng attire was shortened and tightened, and the skirt was lavishly inflated, bearing some difference from the mode of wearing of women of the common middle class homes. They also announced their presence by lavish accessories, and exposing their inner garments to draw the attention of men. Lastly, the culture of gisaeng attire is categorized into symbolic beauty, ornamental beauty, and formal beauty. Apart from the attire regulation, the symbolic beauty of Goryeo Dynasty depicts the attire of gisaeng formed with extravagant fabric, and the reddish colors also symbolized gisaeng. Fruits and flowers were used as an imagery of the gisaeng. In joseon Dynasty,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of poetry signifying the beauty as the flowers and the color red also represented the gisaeng. The ornamental beauty of Goryeo Dynasty depicted a strong impression as Bundae(white powder, and eyebrow ink) makeup allowed to emphasize the long, thin eyebrows resembling weeping willow, light skin, and red lips. The unbalanced Choomagye(a loose topknot) form of the hair itself created an ornamental effect. The fluttering headdress’ ornamental effects appealed to the sexual attraction. Through the extravagant development in cosmetic techniques of the gisaeng’s luxurious trend formed by Joseon’s social background, the cosmetics of an ordinary woman and that of the gisaeng is contrasted from one another. Gache(the braided hair to make the hair appear fuller) built the gisaeng’s image of extravagancy, jeonmo(an outdoor hat Joseon women wore when leaving the house), a symbol of gisaeng, also created an ornamental effect, and binyeo(a hairpin) resembling the form of a male genitals stimulated men’s sexual curiosity. Norigae(an ornament worn by women), the finest luxury item, was used to display oneself. The formal beauty lied on the straight silhouette flowing smoothly and flexibly in the early Goryeo. Towards to the end of Goryeo, a border between the top and the bottom appeared: the widened breast of the jeogori is shortened, along with the relatively inflated form of the skirt. The widened top, and stable and balanced silhouette when proportioned with the skirt characterize the formal beauty of early Joseon. The characteristic of late Joseon is uniquely expressed in an aesthetic form with the repetition of expansion and reduction. 본 연구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기녀를 중심으로 여성문화와 생활을 미적표현으로 고찰하였다. 고려시대에서는『고려사』, 『고려도경』, 『삼국사기』 등에 나타난 고전문헌과 선행연구를, 조선시대에서는 『조선왕조실록』,『승정원일기』, 『일성록』 등에 나타난 고전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대별로 여성관을 이해하고, 시대별로 추구했던 미의 기준을 고찰하였다. 고려의 여성은 자기주관이 확고하며 남녀 간의 차별대우 없이 남성과 동등한 환경에서 공존하였고, 이와 반대로 조선의 여성은 유교적인 사회윤리가 여성에게 절제와 엄격한 규범을 강요하여 여성으로서 불합리적 삶을 살았다. 고려시대의 미의 기준은 외형적인 아름다움보다는 지아비를 섬기고 가족에 대한 희생정신 특히, 독립적인 여성관을 가지는 것이 진정한 고려여성의 미인상으로 어겨졌고, 조선시대 미인의 요소는 단아함과 내적의 부덕(婦德), 부언(婦言), 부용(婦容), 부공(婦工)을 두루 갖추어야 미인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기녀유래 및 문화를 고찰하였다. 기녀의 유래는 무녀(巫女)로부터 발생되었다고 보는 입장과 『삼국사기(三國史記)』에서 진흥왕 37년 봄 ‘원화(源花)를 받치다’ 『三國史記』,卷4, 新羅本紀4, 眞興王-37年, 三十七年春, 始奉源花. 初, 君臣病無以知人, 欲使類聚群遊, 以觀其行義, 然後擧而用之. 라는 기록을 통해 기녀의 기원은 신라 중엽부터 있었다는 입장, 그리고 이익의 『성호사설(星湖僿說)』 李瀷,『星湖僿說』 卷23, 經史門, 遼金元,契丹本漢之東胡, 避居鮮卑山, 則與鮮卑相近, 而在幷營之界. 及其太宗德光破渤海, 據全遼之地, 而遂改國號曰遼, 幷有燕雲十六州. 에 의하면 기녀는 후백제의 유목민 중에서 ‘무자리의 딸’ 또는 ‘무자리(揚水尺)’에서 기원되었다고 추측하기도 하였다. 고려시대의 기녀는 정확한 신분계층으로 자리 매김하였고, 제도화(制度化)하여 국가차원에서 관리하였다. 고려시대의 기녀 유형에는 성별로 보면 여기(女妓)와 남기(男妓)가 있으며, 소속이 있는 관기(官妓), 가기(家妓), 또는 얽매임이 없는 기녀가 있었다. 주거지에 의해 경기기녀, 지방기녀가 분류되었고, 기능에 따른 종류는 예기(藝妓)와 색기로 나뉜다. 조선시대 기녀는 고려의 관기제도를 그대로 이어받아 계승된 여악(女樂)은 특기가 가무였고, 궁중과 사족의 연회에 참여하여 잔치의 흥을 돋우는 일이 조선기녀의 업이라 말할 수 있다. 셋째,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기녀복식의 내적의미와 기녀문화 복식의 미적특성을 고찰하였다. 고려의 기녀복식은 복식에 대한 규제 없이 자유롭게 옷을 착용 한 것을 알 수 있다. 복식의 일반적인 구조 및 형식은 왕비의 연거복과 다소 큰 차이는 없어 보이며 의복의 소재 또는 색, 장식연출 등 에 더욱 화려하고 호사스러운 장식을 연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선말엽으로 갈수록 기녀복식은 저고리 길이를 짧게 하고 몸에 달라붙게 밀착하여 입거나 치마를 과할정도로 풍성하게 부풀려 입는 등 일반 여염집의 의복착장방식과 다소 달랐다. 또한, 남성의 이목을 끌기위해 속옷을 일부러 노출하여 입거나 사치스런 장식연출로 자신들의 존재를 알린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녀복식문화의 미적표현은 상징미, 장식미, 형태미로 나누어지는데, 고려시대의 상징미는 복식규제와 상관없이 화려한 직물로 기녀의 복식을 형성하였고, 붉은색 계열은 기녀를 상징하는 의미를 알 수 있었다. 또한 과일 및 꽃을 기녀로 형상화하였고, 조선시대는 시조에서 나타나 있는 기녀의 은유적 표현하여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꽃과 붉은색은 기녀를 의미하였다. 고려시대의 장식미는 분대화장으로 인한 하얀 피부강조, 검고 가느다란 수양버들 같은 눈썹과 붉은 색의 입술화장으로 인한 화려하면서 강한인상을 나타내었고, 불균형적 비대칭의 추마계의 머리형태 자체만의 장식적인 효과를 주었다. 또한, 하늘거리는 몽수의 장식적인 미적효과 향기로 기녀만의 성적매력을 어필하였다. 조선시대는 사회적 배경으로 형성된 기녀의 사치풍조의 화려한 화장기술발달로 기녀와 일반여성과 대조된 화장술을 알 수 있다. 가체로 인한 기녀만의의 화려한 이미지를 구축하였고, 기녀의 상징하는 전모 또한 장식적인 효과를 주었으며, 남성의 성기모양의 비녀로 남성을 성적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었다. 또한, 최고급 사치품인 노리개를 패용하여 자기과시를 하였다. 고려시대 형태미는 고려 초기, 부드럽고 유연하게 흐르는 일자형의 실루엣과 고려후기 상의와 하의의 경계가 생겨 품이 넉넉한 형태로 저고리의 길이가 짧아진 상의와 더불어 상대적으로 부풀려진 치마형태를 알 수 있다. 조선시대의 형태미는 조선 초기, 넉넉하고 품과 비례하는 치마와 균형 잡히고 안정감이 보이는 실루엣과 조선후기 실루엣의 특징은 확대와 축소의 반복으로 독특한 미적형태로 표현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