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과일섭취 수준에 따른 영양섭취실태와 식행동 비교연구

        박주희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In this study, the dietary intake and eating behaviors of 260 elderly people (82 males and 178 females) were investiga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nutrition status and dietary behavior according to fruit intake levels.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consume a variety of nutrients less than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EAR) was less in the people who had consumed fruits more than once a day. Fruit sufficient group also had more positive eating habits, and had better eating conditions. In addition, the number of deficient nutrients increased in the fruit-deficient group as the age of the elderly increased, and it was found that the intake of fruit in the female elderly had a greater effect on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than in the male elder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of senior citizens for proper fruit intake, and the government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make it easier for senior citizens to eat fruit.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2개 노인복지관과 용인지역의 1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260명(남자82명, 여자178명)을 대상으로 식이섭취실태와 식행동을 조사하여 과일섭취수준에 따른 영양소섭취실태와 식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연령, 성별, 과일섭취수준에 따라 분류하였고 연령의 기준은 65∼74세와 75세 이상 연령군, 과일은 하루 1번 이상 섭취한 군(과일충분군)과 하루 1번 미만 섭취한 군(과일부족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 노인의 연령에 따른 영양소섭취와 식행동 조사대상 노인들은 에너지를 권장섭취비율의 87%로 적게 섭취하고 있었고, 칼슘,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 비타민 B6, 요오드의 경우 평균필요량보다 적게 섭취하는 사람의 비율이 25%이상으로 섭취부족율이 높은 영양소로 나타났다. 노인의 연령에 따라 65∼74세 노인은 75세 이상 노인보다 전반적으로 영양소 섭취실태가 양호했으며, 특히 식이섬유, 비타민 E, 비타민 B12, 철의 권장섭취비율이 75세 이상 노인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행동에 있어서는 65∼74세 노인이 75세 이상 노인보다 식사 시 채소 반찬수가 더 많았고 간식과 견과류를 자주 먹었으나, 과식과 음주의 비율은 65∼74세 노인에서 더 높았다. 전반적인 식사섭취실태와 식행동을 평가한 영양지수(NQ)는 65∼74세 노인이 75세 이상 노인보다 점수가 높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2. 성별에 따른 영양소섭취와 식행동 남자노인(79.9%)이 여자노인(90.3%)보다 에너지 섭취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식이섬유,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리보플라빈, 아연의 권장섭취비율이 더 낮은 반면, 인과 나트륨의 권장섭취비율은 더 높았고, 리보플라빈의 경우 남자노인이 여자노인보다 평균필요량미만으로 섭취하는 사람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행동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하루 중 식사와 간식을 더 자주 섭취하고 식사 시 반찬을 다양하게 먹으며, 평상시 음식을 더 짜게 먹고, 육류, 계란류, 가당음료와 라면을 더 자주 섭취하고, 흡연과 음주의 빈도가 더 높았다. 한편, 여자가 남자보다 과일을 더 자주 섭취하였으나, 저작의 어려움을 느낀다는 응답률도 높았다. 영양지수(NQ)점수는 남자가 여자보다 점수가 약간 낮은 경향이나, 유의차는 없었고, 영역별로는 남자가 여자보다 다양의 영역에서 점수가 유의적으로 더 높았으나 절제 영역에서는 점수가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 3. 과일섭취 수준에 따른 영양소섭취와 식행동 과일충분군이 과일부족군보다 견과류, 과일류, 난류, 어패류,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량이 더 많았고 당류, 육류, 음료 및 주류의 섭취량은 더 적었다. 철, 리보플라빈, 비타민 C, 엽산, 요오드의 경우 평균필요량 (EAR) 보다 적게 섭취하는 사람의 비율이 과일부족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과일충분군은 과일부족군보다 식사 시 채소 반찬수가 더 많고, 반찬을 골고루 먹고, 육류, 계란, 생선이나 조개류, 견과류, 과일, 우유의 섭취 횟수가 더 많고, 가당음료섭취는 더 적었다. 또한, 식사를 보다 규칙적으로 하고, 간식을 자주 섭취하며, 건강에 좋은 식생활을 하고자 노력하며, 가공식품 구매 시 유통기한을 더 자주 확인한다고 응답하였다. 영양지수점수는 과일충분군이 59.6점으로 과일부족군의 49점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특히, 균형성, 다양성, 식행동 영역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4. 연령과 과일섭취 수준에 따른 영양소섭취와 식행동 65∼74세 노인의 경우 과일충분군에서 리보플라빈, 칼륨의 권장섭취 비율이 더 높았고, 75세 이상 노인의 경우 과일충분군에서 비타민 D, 비타민 C, 리보플라빈, 비타민 B6, 칼슘, 인의 권장섭취비율이 과일부족군 보다 높았다. 과일충분군은 영양소를 평균필요량보다 적게 섭취하는 비율이 65∼74세의 경우 요오드, 75세이상은 칼슘, 철, 리보플라빈, 엽산, 비타민 B12에서 더 높아서 연령이 많을수록 과일부족군에서 부족한 영양소의 수가 증가하였다. 65∼74세 연령 중 과일충분군은 과일부족군 보다 콩제품류, 계란류,견과류, 과일류, 절임류를 더 자주 섭취하며 운동을 더 자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75세 이상 노인에서 과일충분군은 과일부족군보다 육류, 계란, 생선 및 조개류, 견과류, 과일류, 우유 및 유제품류를 더 많이 먹고,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연령군 모두 과일충분군의 NQ 지수 점수가 더 높고, 균형영역과 다양영역의 점수가 높았다. 5. 성별과 과일섭취 수준에 따른 영양소섭취와 식행동 영양소를 평균필요량보다 적게 섭취하는 비율이 남자노인에서는 과일충분군과 부족군사이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여자노인에서는 과일부족군에서 단백질, 인, 철, 리보플라빈, 비타민 C, 엽산, 비타민 B12, 요오드를 평균필요량보다 적게 섭취하는 비율이 높아서, 과일의 섭취여부가 남자보다 여자노인의 영양실태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남자 노인은 과일충분군이 과일부족군보다 곡류와 육류의 섭취량이 더 적었고, 여자노인의 경우 과일충분군이 견과류, 과일류, 난류,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량은 많은 반면, 당류와 육류의 섭취량은 적었다. 여자노인 중 과일충분군은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며 반찬을 골고루 섭취하였고, 식사 시 손을 더 자주 씻었다고 응답하였다. 남녀 노인 모두 과일충분군에서 NQ(영양지수)점수가 높았는데 NQ영역별로 남자는 균형과 식행동 영역점수가 과일충분군에서 더 높고, 여자는 균형과 다양성 영역점수가 과일충분군에서 더 높았다. 본 연구에서 과일을 하루에 1회 이상 섭취하는 노인들에서 여러 영양소를 평균필요량보다 부족하게 섭취하는 사람의 비율이 더 적고, 식습관이 긍정적이며 식생활 형편이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과일부족군에서 부족한 영양소의 수가 증가하였고, 남자노인보다 여자노인에서 과일의 섭취여부가 노인의 영양실태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노인의 영양개선을 위해 과일섭취의 중요성에 대한 영양교육을 수행할 때, 노인의 연령과 성별에 따르는 맞춤형 영양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노인들이 보다 손쉽게 과일을 섭취 할 수 있도록 정부지자체 및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외식업체 메뉴와 음료세트의 당저감화 전략

        오수보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15

        This study analyzed the ingredients of signature menu by each franchise company as well as regular and low-sugar drinks that are provided together in order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sugar reduction in the franchise food service industry. The study was recommended five signature menus and two popular menus of each company and conducted nutritional and sensory analysis on the drinks and popular menu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ingredients and sensory evaluation. This study also performed nutrition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on the 2 popular set menus that added drinks to lay the basis for expanding the sugar content reduction in the franchise food service industry through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of Chapter 1 were as follows. Per 100g of pizza and burger signature menus, pizza contained 4.23g of sugar and burger contained 2.29g of sugar, showing that the sugar content of pizza was 1.8 times more significant than the burger (p<0.05). However, one serving of pizza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burger as pizza was 153.53g while burger was 245.20g, and sugar content per serv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as pizza contained 6.47g of sugar and burger 5.64g. One serving of popular menu had 156.50g of pizza and 257.75g of burger, which was 4g more in pizza and 14g more in burger than signature menus, and the sugar content was 7.00g for pizza and 4.53g for burger. The sugar content of one serving of regular coke was 27.00g while carbonated water and coke zero was 0g, and the sensory test result indicated that coke had 7.7 of sweet flavor which was similar to coke zero. According to the correlations of nutritional and sensory test for pizza and burger, the saltier the food tasted, the significantly lower the preference was for delicious and cheesy flavors in overall satisfaction. The study results of Chapter 2 were as follows. 100g of pizza and coke set menu contained 15.26g of sugar and one serving contained 34.00g of sugar. Sugar content in one serving of pizza and coke zero set and carbonated water set was 7.00g, which was the same as one serving of pizza. The sugar content of 100g of burger and coke set menu was 12.52g, and one serving contained 37.53g of sugar. One serving of burger and coke zero set and carbonated water set contained 4.53g of sugar, which was the same as one serving of burg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tical sensory test, the sweet flavor of pizza and coke set menu ranged between 6.06-7.03. Sweet flavor of MA pizza and coke zero set was 6.95, while MB and DB pizza as well as coke zero set had high sweet flavors at 6.91 and 6.31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weet flavors of burger and coke set menu as well as coke zero set menu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overall satisfaction of pizza and coke as well as coke zero set menu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izza and carbonated water as well as RSB set, while the overall satisfactions of burger and coke as well as coke zero set menu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e sugar content of sampl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all items of analytical sensory test.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satisfaction of popular menus with drinks were sugar content of ingredients (standardization coefficient 0.123, p<0.05), overall harmony of sensory characteristic strength (standardization coefficient 0.543, p<0.01), and a sense of refreshment of preferenc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0.438, p<0.001). Therefore, since coke zero that is provided as a drink in the franchise food service industry has the same sensory characteristic strength and preference as regular coke, it can remarkably reduce sugar content in a set menu. This study result demonstrated a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drinks for sugar reduction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and can be used as basis to expand sugar reduction in the franchise food industry.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 외식업체의 당류 저감화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업체별 대표 메뉴 및 함께 제공될 수 있는 일반 음료와 저당음료에 대한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회사별 대표메뉴 5종과 인기 메뉴2종을 추천받고 음료와 인기메뉴에 대한 영양성분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영양성분과 관능평가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업체별 인기 메뉴2종에 음료를 더하여 세트구성화한 것의 영양성분 분석과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통해 프랜차이즈 외식업체에서 당류 저감화 참여 확대를 위한 기초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제1장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자와 버거 대표메뉴의 100 g당 당류함량은 피자 4.23 g 버거 2.29 g으로 피자가 버거에 비해 유의적으로 약 1.8배 정도 높았다(p<0.05). 그러나 피자의 1회 분량은 153.53g, 버거는 245.20 g으로 피자보다 버거가 유의적으로 훨씬 많았으며 이에 따른 1회 분량 당 당 함량은 피자 6.47 g, 버거 5.64 g으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인기메뉴의 1회 분량은 피자 156.50 g, 버거 257.75 g으로 대표메뉴보다 피자는 약 4g, 버거는 약 14g 정도 더 많았으며 이에 따른 당 함량은 피자 7.00 g, 버거 4.53 g으로 나타났다. 1회 분량 당 콜라의 당 함량은 27.00 g, 탄산수 및 제로콜라는 0g 이었으며 관능검사 결과 음료의 단맛은 콜라가 7.7로 제로콜라와 유사하였다. 피자 및 버거의 영양성분과 관능검사의 상관관계에서 짠맛이 강하면 전반적 만족도 고소한맛, 느끼한 맛의 기호도는 유의적으로 낮아졌음을 보였다. 제2장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 g 당 피자 콜라세트메뉴의 당 성분은 15.26 g이었으며 1회 분량에 함유된 당 성분은 34.00 g이었다. 1회 분량 당 피자와 제로콜라세트 및 탄산수세트의 당 성분은 7.00 g으로 피자의 1회 분량의 당 함량과 동일하였다. 100 g 당 버거 콜라세트메뉴의 당 성분은 12.52 g이었으며 1회 분량에 함유된 당 성분은 37.53 g이었다. 1회 분량 당 버거와 제로콜라세트 및 탄산수세트의 당 성분은 4.53 g으로 버거 1회 분량의 당 함량과 동일하였다. 분석적 관능검사결과 피자와 콜라 세트메뉴의 단맛은 6.06-7.03이었다. MA피자와 제로콜라세트의 단맛은 6.95, MB와 DB피자와 제로콜라 세트는 각각 6.91 및 6.31의 높은 단맛을 나타내었다. 버거와 콜라세트메뉴 및 제로콜라세트메뉴의 단맛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피자와 콜라 및 제로콜라세트메뉴의 전반적 만족도는 피자와 탄산수 및 RSB세트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 버거와 콜라, 제로콜라 세트메뉴의 전반적 만족도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시료의 당 함량은 분석적 관능검사시 모든 항목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기메뉴 음료추가 세트의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영양성분의 당 함량(표준화계수 0.123, p<0.05), 관능적 특성강도의 전반적 조화도(표준화계수 0.543, p<0.01), 기호도의 청량감(표준화계수 0.438, p<0.001)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랜차이즈 외식업체에서 음료류로 제공되는 제로콜라는 일반 콜라와 관능적 특성강도 및 기호도가 비슷하므로 세트 메뉴를 구성 할 때 당 함량을 현저하게 저감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외식업체 당 저감화를 위한 음료에 대한 연구를 계속 할 필요성을 보였으며 프랜차이즈 외식업체에서 당류 저감화 참여 확대를 위한 기초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 유아용 강황 및 양파 첨가 팽화 현미스낵 품질특성

        최근영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15

        This study examined physicochemical, antioxida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 brown rice snack for children aged between 3 and 5 years, added with onion powder to strengthen digestive, antioxidant and allergy suppression effects of brown rice and rice bud and curcuma powder to increase physiological functions and immunoregulation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1, the brown rice snack added with onion showed significantly lowest BD of 0.09g/cm3 and significantly highest (p<0.05) porosity of 0.67 for the control group (O0). The added groups showed similar tendenc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 length puffing, WSI and WSI. Adding onion had no effect on quality. For the sectional structure, the control group and all added groups had similar number and size of pores. Moisture content, ash content and chromaticity were similar in all experimental groups, showing that addition of onion does not affect quality of the brown rice snack. As for pH, the control group (O0) and 2% added group (O2) had the significantly (p<0.05) highest value of 6.37. For hardness among mechanical quality characteristics, the adde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hardness (p<0.0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the 4% added group (O4) and 6% added group (O6). For antioxidant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increasing onion content. The brown rice snack added with onion was found to be ‘appropriate’ as general bacteria, coliform bacillus and coliform group were not found in all experimental groups. Based on the analytical characteristic intensity test, the adde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nsity of savory scent than the control group. Intensity of sweet scent was 5.57 and 5.95 for the 4% added group (O4) and 6% added group (O6),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e control group. Highest intensity of off-flavor was shown by the 6% added group (O6) with a score of 4.67,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from 4.00 points of the 4% added group (O4). Based on the preference test, the 4% added group (O4) showed highest preferences for savory scent, off-flavor, savory taste, sweet taste, adhesiveness and overall satisfaction. In Chapter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D and porosity of the brown rice snack added with curcuma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added groups showed similar tendencies. Length puffing was significantly highest (p<0.05) in the control group (C0) and 2% added group (C2) with values of 63.78mm/g and 66.65mm/g. All experimental groups showed similar values of WSI and WSI, showing that addition of curcuma does not affect quality. For the sectional structure, the 2% added group (C2) showed a large number and small size of uniform pores. The L value became darker with increasing curcuma content. The a and b values and pH gradually increased with addition of curcuma. The highest significant values (p<0.05) of 6.47, 36.72 and 6.53 were shown by the 6% added group (C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chanical quality characteristics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Adding curcuma had no effect on quality of the brown rice snack. For antioxidant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increasing curcuma content. The brown rice snack added with curcuma was found to be ‘appropriate’ as general bacteria, coliform bacillus and coliform group were not found in all experimental groups. Based on the analytical characteristic intensity test, intensity of savory scent and off-flavor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curcuma added, but the smalles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2% added group (C2). Intensity of sweet scent was 4.24 for the 2% added group (C2), similar to the control group. Intensity of savory taste and sweet tas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l added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2% added group (C2)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p<0.05) of 2.86 and 3.33 compared to other added groups. As for the preference, the control group (C0) and 2% added group (C2) showed similar preferences for uniformity, curcuma scent, off-flavor, savory taste and chewiness,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other added groups. The preferences for savory scent and sweet scent were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C0) with values of 4.71 and 4.52. Among the added groups, the 2% added group (C2) showed values of 3.48 and 3.43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other added groups. The preference for sweet taste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curcuma powder added. The control group (C0) showed significantly highest (p<0.05) overall satisfaction of 4.62,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added groups. 본 연구는 3세에서 5세의 유아를 위하여 현미와 쌀눈이 가지고 있는 영양과 기능에 양파 분말을 첨가하여 소화기능, 항산화성 및 알레르기 억제 기능을 높이고 강황 분말을 첨가하여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 및 면역조절효과를 높인 현미스낵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항산화적 및 감각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장의 연구결과, 용적밀도(BD)는 대조군 양파 무첨가 현미스낵 O0의 0.09 g/cm3는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다공성은 0.67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첨가군들 간에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실밀도(AD)와 길이 팽화(LE)는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아 양파를 첨가하여도 품질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흡착지수(WSI) 및 수분용해지수(WSI)에서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양파의 첨가가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것으로 보였다. 단면구조에서는 대조군 및 첨가군들에서 모두 비슷한 기공 수와 크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현미스낵에 양파의 첨가가 기공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현미스낵 수분(moisture) 함량 및 회분(ash) 함량도 모든 실험군에서 거의 유사한 값으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양파 첨가가 현미스낵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유사한 값으로 현미스낵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pH는 대조군인 양파 무첨가 현미스낵 O0 및 양파 2% 첨가 현미스낵 O2가 모두 6.37의 값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기계적 품질특성의 견고성(hardness)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양파 첨가군들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p<0.05)양파 4% 첨가 현미스낵 O4 및 양파 6% 첨가 현미스낵 O6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양파를 6%까지 첨가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항산화 활성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모두에서 양파 함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0.05). 일반세균수 검사 및 대장균/대장균군 검사에서 모든 실험군에서 검출되지 않아 ‘적합’으로 판정되었다. 분석적 특성강도 검사의 결과에서 고소한 향(savory aroma)의 특성강도는 양파 첨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달콤한 향(sweet aroma)의 특성강도도 양파 4% 첨가 현미스낵 O4 및 양파 6% 첨가 현미스낵 O6는 5.57점 및 5.95점으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현저히 높게 평가되었다(p<0.05). 이취(odor)의 특성강도에 있어서는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이 양파 6% 첨가 현미스낵 O6로 4.67점이었으며 양파 4% 첨가 현미스낵 O4의 4.00점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5). 기호도 검사 결과, 고소한 향(savory aroma), 이취(Odor), 고소한 맛(savory flavor), 단맛(sweet flavor), 부착성(adhesiveness)의 기호도 및 전반적인 만족도(overall desirability)에서 양파 4% 첨가 현미스낵 O4가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제2장의 연구결과, 용적밀도(BD) 및 다공성에서 대조군과는 유의차가 있었으나 강황 첨가군 간에는 0.12~0.13 g/cm3 및 0.51~0.52로 유사한 경향을 보여 강황 첨가의 증가에도 품질은 변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길이 팽화는 대조군 강황 무첨가 현미스낵 C0가 63.78 mm/g 및 강황 2% 첨가 현미스낵 C2가 66.65 mm/g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으로 평가되었다(p<0.05). 수분흡착지수(WSI) 및 수분용해지수(WSI)에서는 모든 실험군에서 유사한 값을 보여 강황 첨가 수준이 증가하여도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단면구조는 대조군 강황 무첨가 현미스낵 C0 및 강황 2% 첨가 현미스낵 C2까지는 상대적으로 기공 크기가 균일하고 기공 수도 많은 구조형태를 보여주었다. 수분(moisture)의 함량 및 회분(ash)의 함량에서도 대조군 및 첨가군에서 유사한 값을 보여 강황 첨가가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색도의 L값(명도)은 강황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점 어두워졌고 a값(적색도), b값(황색도) 및 pH에서는 표고버섯 첨가에 따라 점점 상승하여 강황 6% 첨가 현미스낵 C6가 6.47, 36.72 및 6.53으로 가장 높은 유의적인 값을 보였다(p<0.05). 기계적 품질특성은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강황을 첨가하여도 현미스낵의 품질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모두에서 강황 함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0.05). 일반세균수 검사 및 대장균/대장균군 검사에서 모든 실험군에서 검출되지 않아 ‘적합’으로 판정되었다. 분석적 특성강도 검사는 고소한 향(savory aroma) 및 이취(Odor)의 특성강도에서 강황의 첨가량에 따라 대조군과 첨가군은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나 강황 2% 첨가 현미스낵 C2에서 가장 작은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달콤한 향(sweet aroma)의 특성강도에서는 강황 2% 첨가 현미스낵 C2는 4.24점으로 대조군과 유사하여 강황 2% 첨가는 달콤한 향을 낮추지 않았다. 고소한 맛(savory flavor) 및 단맛(sweet flavor)의 특성강도는 강황이 첨가될수록 대조군과 비교 시 모든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나 강황 2% 첨가 현미스낵 C2는 2.86점 및 3.33점으로 강황 4% 첨가 현미스낵 C4 및 강황 6% 첨가 현미스낵 C6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기호도 결과, 균일성(unifomy)의 기호도에서는 대조군 강황 무첨가 현미스낵 C0의 5.67점으로 강황 2% 첨가 현미스낵 C2의 5.05점과는 유사한 값을 나타내어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른 첨가군들보다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고소한 향(savory aroma) 및 달콤한 향(sweet aroma)의 기호도는 가장 높은 것이 대조군 강황 무첨가 현미스낵 C0의 4.71점 및 4.52점이었으며 첨가군들 중에서는 강황 2% 첨가 현미스낵 C2의 3.48점 및 3.43점으로 다른 첨가군들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p<0.05). 강황 향(curcumin aroma), 이취(Odor) 및 고소한 맛(savory flavor)의 기호도에서는 강황 무첨가 현미스낵 C0가 4.19점, 4.24점 및 4.52점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p<0.05) 강황 2% 첨가 현미스낵 C2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단맛(sweet flavor)의 기호도는 강황 가루 첨가량이 높을수록 낮은 값을 보였으며 전반적인 만족도(overall desirability)는 강황 무첨가 현미스낵 C0가 4.62점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p<0.05) 첨가군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 설화 다시쓰기를 통한 서사적 글쓰기 지도방안 연구

        김보경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ABSTRACT A Study on Instruction of Narrative Writing through the rewriting of tales Kim Bo-kyung Advisor : Prof. Kim Hye-young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Seventh Curriculum i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ncourages rewriting and imitating writing aiming at creative acceptance and active cre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The most common instructional method of specific creative activities is rewriting. Previous studies on narrative writing and rewriting are limited to presenting methods of writing education, and there are few studies on methods to improve creative writing. Therefore, this study is to develop methods to improve descriptive writing ability of learners using rewriting of narratives. This study developed programs to rewrite simple narratives to find effective writing instruction methods. Chapter Ⅱ examines studies on existing narrative structures and based on the results and identifies structures of <Baridegi Baridegi Princess Bari> and <Father's Heritage> to develop standards to analyse subjects' rewriting. Then educational meaning of rewriting was examined to prepare an instructional foundation of narrative rewriting. Chapter Ⅲ asked subjects to rewrite <Baridegi Baridegi Princess Bari> and <Father's Heritage> and analysed what they creatively rewrote according to characters, events and backgrounds. Then the results were analysed and problems in rewriting were found based on statistical results. Chapter Ⅳ organized the concepts and purposes of rewriting based on what the subjects rewrote and rewriting activities presented in textbooks and stated that the most appropriate activity to reach th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is narrative writing through the rewriting of tales. To reach th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a narrative writing instruction method through the rewriting of tal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asked subjects to rewrite narratives as a whole rather than segmentally and discovered that the subjects are able to write creatively with this way.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prepared a foundation for further studies on comprehensive writing beyond creative writing though it has a limit that it was not able to develop better instructional methods. ABSTRACT 설화 다시쓰기를 통한 서사적 글쓰기 지도방안 연구 김보경 지도교수 : 김혜영 국어교육 전공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문학교육에 있어서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문학 수용과 창작을 목표로 다양한 개작과 모작 활동들을 장려하여 문학창작의 생활화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창의적인 문학 활동의 구체적 방법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이 다시쓰기이다. 서사적 글쓰기에 대한 연구와 설화 다시쓰기를 활용한 선행 연구에서는 주로 창작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는데 국한되어, 문학적 글쓰기와 연관시킬 수 있는 방안과 서사적 글쓰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설화 다시쓰기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서사적 글쓰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서사적 글쓰기 지도방안의 모색을 위해 구조가 비교적 단순한 설화를 활용하여 다시쓰기를 실시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기존의 설화 구조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본 다음 이를 바탕으로 <바리데기 바리데기 바리공주야>와 <아버지의 유물>의 구조를 파악하여, 학생들이 다시쓰기 한 글의 분석을 위한 기준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다시쓰기의 교육적 의의를 살펴봄으로써 설화 다시쓰기를 활용한 서사적 글쓰기 지도방안 모색의 바탕을 마련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바리데기 바리데기 바리공주야>와 <아버지의 유물>을 학생들이에게 다시쓰기하도록 한 다음 인물, 사건, 배경으로 나누어 창의적으로 다시 쓰인 부분을 구체적으로 찾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중학교, 고등학교로 나누어 통계치를 나타내봄으로써 학생들 글에서 나타난 다시쓰기의 문제점들을 찾아보았다. 제 Ⅳ장에서는 실제로 학생들이 다시쓰기 한 글과 교과서에 제시된 다시쓰기 활동들을 토대로 다시쓰기의 개념과 목적을 정리한 다음, 문학교육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활동이 설화 다시쓰기를 통한 서사적 글쓰기임을 밝혔다. 그리고 문학교육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의 다시쓰기 활동들의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설화 다시쓰기를 통한 서사적 글쓰기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글을 쪼개보는 것이 아닌 전체 보기로써의 설화 다시쓰기 활동을 통해 한편의 서사적 글을 쓸 수 있도록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지도를 하였을 때 실제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서사적 글쓰기를 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더 나은 지도 방안을 모색해가는 연구까지 나아가지는 못했다는 점이 이 논문의 한계라고 할 수 있겠으나 다시쓰기를 기존의 부분적인 변용으로써의 창의적인 지도방법으로만 활용하기보다 전체적인 서사적 글쓰기를 지도하는데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새로운 연구들이 나오기 위한 바탕을 마련한다는 점에 이 논문의 의의를 둘 수 있다고 보겠다.

      • 초기 유아용 감자 및 표고버섯 첨가 쌀 스낵 품질특성

        김은경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15

        This study examined physicochemical, antioxida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 nutritious puffing rice snack added with potato powder that does not lay a burden on digestion of early infants (1~2 years old) and a puffing rice snack added with shiitake mushroom powder rich in inorganic matters such as vitamin D and iron, which can easily become insufficient in early infa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1, BD of the rice snack added with potato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added group at 0.08g/cm3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orosity was highest (p<0.05) for the 4% added group or P4 at 0.71 compared to the 6% added group or P6. Significantly highest length puffing values of 130.86mm/g and 120.98mm/g were shown by the 6% added group (P6) and the 4% added group (P4). WSI was 23.00% for both the 2% added group (P2) and the 4% added group (P4), showing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p<0.05) compared to the 6% added group or P6. As fo the sectional structure, the 4% added group (P4) had larger number and smaller size of uniform pores. The L value and pH were significantly highest (p<0.05) for the control group (P0), and the a and b values were highest for the 2% added group (P2). For antioxidant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potatoes added. The rice snack added with potato was determined to be ‘appropriate’ as general bacteria, coliform bacillus and coliform group were not found during the microbial test in all experimental groups. Based on the analytical characteristic intensity test, the 4% added group (P4) showed scores of 5.19, 4.67, 5.24 and 3.90 points for the intensity of savory scent, sweet scent, savory taste and sweet taste. Thes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added groups were insignificant. As for the preference, the 4% added group (P4) showed scores of 5.76, 5.43, 6.00, 5.48 and 5.90 points for the preference of savory scent, sweet scent, savory taste, sweet taste and overall satisfaction. These scores were remarkably higher (p<0.05)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three added groups showed similar tendencies.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length puffing and savory scent, sweet scent and overall satisfaction and between WSI and sweet scent.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ntioxidant characteristics and savory scent, sweet scent and savory taste. In particular, antioxidant characteristics showed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overall satisfaction. In the regression analysis, total phenol content, chewiness, sweet taste and savory scent had positive (+) effects on overall satisfaction of the rice snack added with potato. In Chapter 2, BD of the rice snack added with shiitake mushroom was 0.11g/cm3 for the 6% added group (M6),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other added groups. Length puffing was 77.36mm/g for the 6% added group (M6),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87.62mm/g of the 4% added group (M4). For WSI,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4% added group (M4) and 6% added group (M6). For the sectional structure, the 4% added group (M4) had a large number and small size of uniform pores. The L value of chromaticity and pH showed the highes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M0). The a value showed the highest difference in the 2% added group (M2) and 6% added group (M6). The b value showed the highest difference (p<0.05) in the 6% added group (M6). For antioxidant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shiitake mushroom. The rice snack added with shiitake mushroom was determined to be ‘appropriate’ as general bacteria, coliform bacillus and coliform group were not found during the microbial test in all experimental groups. Based on the analytical characteristic intensity test, the 4% added group (P4) showed scores of 4.71, 3.95, 5.05 and 3.81 points for the intensity of savory scent, sweet scent, savory taste and sweet taste. Thes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three added groups showed similar tendencies. As for the preference, the 4% added group (P4) showed scores of 5.29 and 5.00 points for sweet taste and off-flavor. Thes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added groups were insignificant.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WAI and savory scent, between pH and overall satisfaction, and between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weet scent.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ost of antioxidant characteristics and overall satisfaction. Crispiness, savory scent, savory taste, pH, total phenol content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ad positive (+) effects on overall satisfaction of the rice snack added with shiitake mushroom. 본 연구에서는 영양적으로 우수하며 초기 유아(1세~2세)의 소화에 부담을 주지 않는 감자 분말을 첨가한 팽화 쌀 스낵과 초기 유아기에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 D, 철분 등 무기질이 풍부한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팽화 쌀 스낵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항산화적 감각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 감자 첨가 쌀 스낵의 용적밀도(BD)는 대조군보다 첨가군들이 0.08 g/cm3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다공성은 감자 4% 첨가 쌀 스낵 P4의 값이 0.71로 감자 6% 첨가 쌀 스낵 P6의 0.65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길이 팽화는 감자 6% 첨가 쌀 스낵 P6 및 감자 4% 첨가 쌀 스낵 P4가 130.86 mm/g 및 120.98 mm/g로 유의미하게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p<0.05). 수분흡착지수(WAI)는 감자 4% 첨가 쌀 스낵 P4 및 감자 6% 첨가 쌀 스낵 P6가 각각 6.98 g/g 및 6.64 g/g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수분용해지수(WSI)는 감자 2% 첨가 쌀 스낵 P2 및 감자 4% 첨가 쌀 스낵 P4가 모두 23.00%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감자 6% 첨가 쌀 스낵 P6에서는 15.00%로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p<0.05). 단면구조에서는 감자 4% 첨가 쌀 스낵 P4가 가장 작은 기공으로 많은 수의 기공과 균일한 구조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색도는 L값(명도)에서는 대조군 감자 무첨가 쌀 스낵 P0가, a값(적색도) 및 b값(황색도)에서는 감자 2% 첨가 쌀 스낵 P2가, pH는 대조군 감자 무첨가 쌀 스낵 P0가 가장 높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5). 항산화 활성에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감자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미생물 검사의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대장균군 검사에서 감자 첨가 쌀 스낵의 모든 실험군에서 발견되지 않아 ‘적합’으로 판정되었다. 분석적 특성강도 검사 결과, 감자 4% 첨가 쌀 스낵 P4는 고소한 향(savory aroma), 달콤한 향(sweet aroma), 고소한 맛(savory flavor) 및 단맛(sweet flavor)의 특성강도에서 5.19점, 4.67점, 5.24점 및 3.90점으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고(p<0.05) 세 첨가군 간에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기호도의 결과, 감자 4% 첨가 쌀 스낵 P4는 고소한 향(savory aroma), 달콤한 향(sweet aroma), 고소한 맛(savory flavor), 단맛(sweet flavor)의 기호도 및 전반적인 만족도(overall desirability)에서 5.76점, 5.43점, 6.00점, 5.48점 및 5.90점으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p<0.05) 세 첨가군 간에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상관관계에서 길이 팽화(LE)와 고소한 향(savory aroma), 달콤한 향(sweet aroma) 및 전반적인 만족도(overall desirability)와, 수분용해지수(WSI)와 달콤한 향(sweet aroma)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항산화 특성과 고소한 향(savory aroma), 달콤한 향(sweet aroma) 및 고소한 맛(savory flavor)은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특히 전반적인 만족도(overall desirability)와는 높은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에서 감자 첨가 쌀 스낵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총 페놀 함량, 씹힘성, 단맛 및 고소한 향이 정(+)의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제2장에서, 표고버섯 첨가 쌀 스낵의 용적밀도(BD)는 표고버섯 6% 첨가 쌀 스낵 M6가 0.11 g/cm3로 대조군 및 다른 첨가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길이 팽화는 표고버섯 6% 첨가 쌀 스낵 M6가 77.36 mm/g으로 표고버섯 4% 첨가 쌀 스낵 M4의 87.62 mm/g보다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수분흡착지수(WAI)는 표고버섯 4% 첨가 쌀 스낵 M4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수분용해지수(WSI)에서 표고버섯 2% 첨가 쌀 스낵 M2의 20.00%로 가장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표고버섯 4% 첨가 쌀 스낵 M4 및 표고버섯 6% 첨가 쌀 스낵 M6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단면의 구조는 표고버섯 4% 첨가 쌀 스낵 M4는 균일한 기공에 개수가 많으며 크기가 작아진 것을 볼 수 있었다. 색도는 L값(명도)에서 대조군 표고버섯 무첨가 쌀 스낵 M0가, a값(적색도)에서 표고버섯 2% 첨가 쌀 스낵 M2 및 표고버섯 6% 첨가 쌀 스낵 M6가, b값(황색도)에서 표고버섯 6% 첨가 쌀 스낵 M6가, pH는 대조군 표고버섯 무첨가 쌀 스낵 M0가 가장 높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5). 항산화 활성에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표고버섯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미생물 검사의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대장균군 검사에서 표고버섯 첨가 쌀 스낵의 모든 실험군에서 발견되지 않아 ‘적합’으로 판정되었다. 분석적 특성강도 검사 결과, 표고버섯 4% 첨가 쌀 스낵 M4는 고소한 향(savory aroma), 달콤한 향(sweet aroma), 고소한 맛(savory flavor) 및 단맛(sweet flavor)의 특성강도에서 각각 4.71점, 3.95점, 5.05점 및 3.81점으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세 첨가군들 간에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기호도의 결과는 표고버섯 4% 첨가 쌀 스낵 M4가 단맛(sweet flavor) 및 이취(odor)의 기호도에서 5.29점 및 5.00점으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보였으며(p<0.05) 세 첨가군들 간에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상관관계에서 수분흡착지수(WAI)와 고소한 향(savory aroma)과, pH와 전반적인 만족도(Overall desirability)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와 달콤한 향(sweet aroma)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항산화 특성과 전반적인 만족도(overall desirability)는 높은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표고버섯 첨가 쌀 스낵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바삭바삭한 정도, 고소한 향, 고소한 맛, pH, 총 페놀 함량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정(+)의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 온라인 기반 영어학습환경이 아동의 자율성과 영어읽기 효과에 미치는 영향

        박혜윤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학습 환경에서 자율적 영어학습이 취학 전 아동에게도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하였다. 성공적인 온라인학습의 중요한 요소로서 학습자의 자율성 요인이 언급되고 있지만 이를 취학 전 아동에게 적용시킨 연구 사례는 많지 않다. 그러나 최근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최신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발전은 다양한 이러닝(e-learning)이 가능한 온라인 환경을 제공해 주면서 우리나라 아동의 영어학습 환경에도 여러 가지 온라인 학습법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학습 환경에서의 아동의 학습 자율성 가능성을 생각해보고 그 효과와 결과를 아래와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온라인기반 영어학습환경은 아동의 자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가? 둘째, 온라인기반 영어학습환경은 아동의 읽기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영어 교육환경에 맞게 재구성된 온라인 영어프로그램을 영어 유치원 수업에 적용하여 824명의 아동들에게 10개월 동안 온라인기반 영어학습 환경과 온라인 도서관 환경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내의 로그 데이터 변화를 파악하여 취학 전 아동의 학습 자율성 여부를 예측해 보았다. 아동 학습자의 온라인 접속 여부, 접속 시간 그리고 학습 진도량을 파악하여 아동이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어떤 학습 데이터를 남겼는지 자율성 관점에서 알아보았다. 또한 온라인을 통해 개별적 수준별 도서를 제공했을 때 아동 학습자들이 어떤 도서 활동을 했는지 그것이 영어학습과 읽기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로그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데이터 분석 결과, 본 연구의 중심이 되는 온라인 프로그램의 자기 접근식 영어학습 공간, 실제적인 도서 읽기와 지속적인 개별 학습활동은 아동의 자율성 신장을 위해 모두 매우 중요한 부분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연구결과가 보여지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첫째, 온라인기반 영어학습환경은 아동의 자율적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전체 아동이 90%가 넘는 온라인 접속률을 보이며 자기 접근식 학습공간에 대한 빠른 적응력을 보여주었으며 동시에 다독과 도서지수 향상이라는 실제적인 효과를 보이면서 긍정적이고 다양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속적인 접속률 상승과 학습량을 누적자료로 확인함으로써 취학 전 아동 학습자라 하더라도 적절한 환경과 훈련이 주어진다면 충분히 자신이 학습 내용을 선택하여 학습해 나가는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온라인기반 영어학습환경은 아동의 읽기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 대상의 전체 아동은 10개월간 평균 약 74권을 책을 읽고 90에 가까운 도서지수(Lexile)향상을 보여 읽기 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증명했다. 아동 학습자들은 온라인 프로그램의 개별 학습 보드로 제공되는 추천 도서를 통해 자신의 영어 읽기 능력에 맞는 도서를 읽을 수 있었으며, 이것을 통해 자신만의 읽기 지수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매우 흥미로운 결과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autonomous English learning is possible for preschoolers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n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online learning is the learner's autonomy factor, but few studies have been applied to preschool children. However, the recent development of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long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provided various e-learning online environments for Korean children's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examine the possibility of learning the autonomy of children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nd set the research subjects as follows. First, how does online-based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affect children's autonomy? Second, how does online-based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affect children's reading achieve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bove research problem, this study applied the online English program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English education environment in Korea to the kindergarten English special aptitude class and provided 824 children with online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and online library environment for 10 months respectively. And the change of the log data in the program was grasped and predicted whether the child was autonomous or not. Research data analysis results show that self-accessing English learning spaces, actual reading of books, and ongoing personal learning activities of the online program that is central to this research are an important part of all research. Therefore, we conclude the following conclusions based on the data presented in the study results. First, the online-based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children's autonomous learning. All children showed more than 90% online connection rate, showed fast adaptability to the self - access learning space, and at the same time, they showed positive and diverse changes by showing the actual effect of reading and book index improvement. In addition, by confirming the continuous increase in connection rate and the amount of learning, it is shown that even if the preschool child learners are given appropriate environment and training, they can develop their ability to select and study the contents. Second, online-based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reading achievement. All children in the study demonstrated an average reading of approximately 74 books over a 10-month period and a nearly 90-point improvement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index (Lexile), demonstrating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achievement. Children were able to read books that matched their ability to read English through the recommended books provided on the individual study boards of the online program, which provided very interesting results that consistently improved their own reading scores.

      • 아동용 영어 파닉스 애플리케이션의 분석 연구

        채미연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to help children select suitable English phonics applications and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high quality contents. This study examined the common features and technical features of children's English phonics applications, and tried to analyze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ch applications. After selecting the top 10 apps in Android Google Play, evaluated and analyzed them based on the content and technical evaluation criteria. The result shows that most applications were able to do basic phonics learning but lack of systematicity and functions as effective language learning tool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limitations be supplemented to develop high-quality cont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학습자에게 적합한 파닉스 학습 애플리케이션을 선별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양질의 콘텐츠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아동용 영어 파닉스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내용적 특징과 기술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고 각각의 개발사에서 나타나는 개별적인 특징은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했다. 안드로이드 구글 플레이에서 상위 10개의 평가 대상을 선정한 뒤 내용적, 기술적 평가 준거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문제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들이 기본적인 파닉스 학습은 가능했지만 체계성이 부족했고 읽기를 위한 파닉스 학습과 효과적인 모바일 보조 학습 도구로서는 그 기능들이 상당히 부족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들이 갖고 있는 이러한 한계점이 보완되어 양질의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 만6세 아동의 파닉스 학습 성취도에 대한 연구

        이성숙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ness of phonics learning time in children by a study of the achievement how much children could understand phonics learning and whether it was the possible learning for children. To do so, phonics classes were performed for 30 minutes twice a week for 8 months in 62 subjects with 6-year-old children in a kindergarten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in Incheon. Self-initiative learning was performed for the participant children with online phonics program additionally after school. Hence, to monitor the status of phonics learning, login time for online learning and its stage of the participant children were monitored us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 of “ABCeggs,” phonics test consisting of 15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chievement rate, and interest rate in the phonics learning was evaluated. Also,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honics learning duration and test score in the participant childre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mpleted lesson step and test score, significance analysis of test score by gender,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evel of phonics test questionnaires and test score, correlation between interest level by questionnaires and test result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ir learning status in detai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6-year-old children can understand the contents of phonics learning and their acquisition is possible. However, it should be the status excluding learning on double consonants and vowels among phonics learning. Upon the results of phonics learning status for 8 months in 6-year-old children, 66% of them acquired the contents of phonics. Although the acquisition rate is not high, it would be higher if the learning was performed excluding learning of double consonants and vowels which showed significantly lowered acquisition rate. Second, phonics learning contents that children did the best were consonant learning while they had difficulty in learning single vowels. In addition, they were good at finding first sound and remaining sound excluding first sound after listening to the vocabularies with repeated end sound learning without exposure of vocabularies. Learning to speak replacing the first sound from the vocabulary with one syllable showed lower understanding than learning to speak combining the sound of consonant/ vowel / consonant. The most difficult learning for 6-year-old children was to make new sound with two consonants and new sound with two vowels. Third, the parts that children showed the interest among the contents of phonics learning were related to most of the children’s interest, demonstrating higher understanding and concentration on the learning contents with higher interest level. The results showed 6-year-old age was a proper timing for phonics learning in children and learning contents should be modified by the learners’ age as their age was younger. Among the contents of phonics learning, learning to make new sound with two consonants and with two vowels showed significantly lower interest level as well as phonics test score, reflecting inappropriateness for 6-year-old children. It is suggested that the teachers teaching phonics to children at the sites should refer to these results when they consider the phonics curriculum. 본 연구는 아동이 파닉스 학습 시 아동이 파닉스 학습을 얼마나 이해하며 파닉스 학습이 아동에게 습득 가능한 학습인지에 대한 성취도 연구를 통해 아동의 파닉스 학습 시기의 적절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인천시 소재 대학부설 유치원 만 6세 아동 62명을 대상으로 8개월 동안 주 2회 30분씩 파닉스 수업을 하였고, 참여 아동들은 방과 후 온라인 파닉스 프로그램으로 추가 적으로 자율주도 학습을 하였다. 이에 아동들의 파닉스 학습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ABCeggs”의 학습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참여 아동들의 온라인 학습 로그인 시간 및 학습 단계를 관찰하였으며 파닉스 성취도 조사를 위해 15문항으로 구성된 파닉스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참여 아동의 파닉스 학습에 대한 흥미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참여 아동 파닉스 학습상태의 세부적인 분석을 위하여 참여 아동의 파닉스 학습시간과 파닉스 테스트 점수와의 상관관계, 완료된 레슨단계와 파닉스 테스트 점수와의 상관관계, 성별에 따른 테스트 점수의 유의성 분석 및 파닉스 테스트 문항별 레벨과 테스트 점수와의 상관관계 분석, 문항별 흥미도 조사와 파닉스 테스트 결과와의 관련성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만 6세 아동들은 파닉스 학습 시 학습 내용을 이해할 수 있으며 습득 가능하다. 단, 파닉스 학습 내용 중 이중 자음 학습과 이중모음 학습을 제외된 상태여야 한다. 만 6세 참여 아동은 8개월 동안의 파닉스 학습상태를 조사한 결과 66%의 파닉스 내용을 습득하였다. 습득률이 많이 높지는 않으나, 파닉스 학습 중 습득률이 현저히 낮은 이중 자음 학습과 이중모음 학습이 제외된 상태에서 학습을 하였다고 가정해 본다면 파닉스 습득률은 더 높아졌으리라 여겨진다. 둘째, 참여 아동들이 가장 잘하는 파닉스 학습 내용은 자음 학습이며 단모음 학습은 어려워 하였다. 또한, 반복되는 끝소리 학습과 문자 노출 없이 소리로 단어를 듣고 첫소리와 첫소리를 제외한 나머지 소리를 찾는 학습을 잘 하였다. 또한 자음/모음/자음 소리를 합쳐서 발화하는 학습부터 한 개의 음절이 있는 단어에서 첫소리를 다른 소리로 대체해 발화하는 학습은 이해도가 위의 학습에 비해 낮았으며, 자음 두 개를 합쳐서 새로운 소리를 만드는 학습과 모음 두 개를 합쳐서 새로운 소리를 만드는 학습을 만 6세 아동들이 가장 어려워 하였다. 셋째, 참여 아동들의 파닉스 학습 내용 중 흥미를 보였던 부분은 대부분 아동의 흥미와 관계가 있었으며, 흥미가 높은 학습 내용에서 이해력과 집중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동의 파닉스 학습의 적정 시기는 만 6세의 경우는 학습 시기적절하며 아동의 나이가 낮아질수록 파닉스의 학습 내용은 그 시기에 맞게 조정되어야 하겠다. 또한, 파닉스 학습 내용 중 자음 두 개를 합쳐서 새로운 소리를 만드는 학습과 모음 두 개를 합쳐서 새로운 소리를 만드는 학습은 파닉스 테스트 점수와 흥미도 부분에서 현저히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6세 아동에게 적절하지 않은 학습 내용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아동 대상으로 파닉스를 가르치는 선생님들이 파닉스 커리큘럼을 구상할 시 참고하여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 만 2세 이전의 구강검진이 치과의료 이용 및 치료 유형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검진코호트DB 분석(2011-2015)

        최은실 고려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World Health Organization asserts that comprehensive health is foundational, and emphasizes health equity, meaning that anyone can benefit from health care without discrimination. There have been reports of health inequity based on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hood experience and health have been reported to be very important factors in adulthood health. In Korea,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childhood have been ongoing since 2007, resulting in early intervention for health equity in children. With the availability of the Childhood Health Screening Cohort database in conjunction wit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claims data, empirical cohort studies in identifying the oral health of childhood are of critical necessity. This study applied the Anderson model as a conceptual model of dental care utiliz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oral health screening prior to the age of 2 on the utilization of dental care in order to identify the evidence for improving the policies regarding oral health screening. This study has divided its analysis into two parts. First, in Part I, this study has confirmed the influence of oral health screening prior to the age of 2 on utilization of dental care, preventative dental care and treatment dental care. Part II segmented the treatment dental care utilization into treatment types, in order to confirm factors influencing the endodontic care and restorative care for childhood. The analysis method wa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were obtain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05,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AS Enterprise, provided by the servers of NHIS. The analysis results of Part I indicate that the oral health screening prior to age 2 raised the utilization of dental care and preventative dental care. After modifying for oral health screening, there was inequity depending on household income and region of residence. Analysis results of Part II show that factors influencing endodontic care were low birth weight and household incom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restorative care included the region of residence and breastfeeding. This study has confirmed the efficiency of oral health screening prior to the age of 2 on the utilization of dental care and preventative dental care.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the public health plan on the utilization rates of the oral health screening projects. Moreover, this study has investigated inequity in the utilization of dental care and treatment types depending on the household income and region of residence. These factors are in line with factors influencing the dental care utilization of adul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equity in the utilization of dental care are demanding governmental intervention. As such, the government must consider expanding its guaranteed healthcare, and also requires a strategic intervention through public health policies for low-income classes. This study has also confirmed factors of breastfeeding and oral health, which details the birth conditions of childhood low birthweight, preterm and childrearing habits of the parents. Going forward, further epidemiological studies are required to examin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birth conditions and breastfeeding act is risk factors or protective factors. To overcome the gap in endodontic care by household income levels, and in restorative care by region of residence shown in this study, continued public interest as well as the policy consideration by the government and the regional community to ensure the oral health equity of childhood are needed. 국제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는 누구나 차별없이 누릴 수 있는 건강 형평성(health equity)을 강조하며, 건강을 근본적 가치 및 기본 인권으로 여기고 있다.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성인의 건강 불평등이 보고 되고 있으며, 어린시절의 경험과 건강은 성인기의 건강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7년부터 영유아의 건강검진 사업을 통해 영유아의 건강 형평성을 위한 조기 개입이 시행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 공단의 의료보험 청구 자료와 연계된 자료가 구축되어 영유아검진코호트DB가 제공된 시점에서 영유아의 구강건강 불평등을 파악하는 실증적인 코호트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의료이용의 개념 모형인 앤더슨 모형을 적용하여 영유아의 치과의료 이용 현황과 치료 유형의 차이를 구강건강 형평성 관점에서 확인하며, 구강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한 방안 마련의 근거를 제공한다. 특별히 만 2세 이전의 구강검진이 치과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여 구강검진 수검의 제도 개선을 위한 근거를 산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영역 분석 Part Ⅰ에서는 만 2세 이전의 구강검진이 치과의료 이용, 예방차원 치과의료 이용, 치료차원 치과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두번째 영역 분석 Part Ⅱ는 치료차원 치과의료 이용을 세분화 하여 치료 유형으로 살펴본 연구로 영유아의 근관 치료, 수복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 하였으며, 승산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 95%CI)을 구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으며,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SAS Enterprise를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분석 Part Ⅰ의 결과를 살펴보면, 만 2세 이전의 구강검진이 치과의료 이용과 예방차원 치과의료 이용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2세 이전의 구강검진을 보정한 후 에도 여전히 가구 소득, 거주 지역에 따른 치과의료 이용의 불평등이 나타났다. 분석 Part Ⅱ의 결과를 살펴보면, 근관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출생시 저체중, 가구 소득이 나타났으며, 수복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거주 지역과 모유수유 여부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만 2세 이전의 구강검진이 치과의료 이용 및 예방차원 치과의료 이용을 높이는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구강검진사업의 수검률을 높이기 위한 보건 계획에 근거 자료 제공에 기여 하고자 한다. 영유아의 가구 소득과 거주 지역에 따른 치과의료 이용, 치료 유형의 불평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의 치과의료 이용 불평등과 동일한 패턴으로 나타나, 정부 개입이 시급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정부는 영유아의 치과의료 이용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더불어 저소득 계층의 전략적 보건정책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 영유아의 출생 상태인 저체중, 미숙아 여부, 부모의 양육 행태를 알 수 있는 모유수유 여부와 구강건강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더 많은 역학 연구를 통해 구강건강 위험 예측 요인을 확인하며, 영유아 출생 상태의 특성, 모유수유의 특성과 구강건강의 관련성을 다양한 측면으로 살펴봐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가구 소득에 따른 근관 치료의 격차, 거주 지역에 따른 수복 치료의 격차가 나타난 점은 영유아의 구강건강 형평성을 위해서 국가와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보건 의료 정책의 확대 및 방안이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