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동차용 인서트 사출의 변수가 사출누설에 미치는 영향

        김성호 忠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Insert injection molding, which is the injection method of inserting different materials in the mold in advance, is widely applied in the automotive industries. It has a characteristic of leading to massive problem of loss of terminal, inmold, and housing parts if once failure occurs. The effect of raw materials and process variables were investigated for the leak problem in insert injection molding. The important factors of insert injection molding were identified and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leak was studied. The same raw material was selected for both inmold and housing and the optimization of injection condition was necessary in order to minimize the leak problem. The mold temperature needs to be maintained at 70 to 90 ℃. Both deformation of injection-molded product and burr generation need to be suppressed by maintaining the injection pressure at 160~180 MPa. Both density improvement and prevention of deformation for injection-molded product were necessary by maintaining the injection holding time for 8 to 12 seconds. The elimination of inner pores of injection-molded product was possible by keeping the thickness of injection-molded product uniformly. Smooth flowing was necessary for the suppression of leak problem. The main effects on the quality problems in insert injection molding were figured out through the study on variables in the leak problem. As a result, the operation standard was prepared and the quality of insert injection-molded products was improve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 외식기업의 SNS 마케팅이 지역의 음식이미지 및 메뉴상품만족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관광지 강릉지역을 중심으로

        정수림 가톨릭관동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NS marketing on local food image and food product satisfaction and re-visit of restaurant businesses. Also, the purpose of the analysis between the SNS marketing and revisit of the restaurant company was to analyze whether local foods had a medial effect on the taste and satisfaction of menu product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and understood each of the concepts variable. We also identified and analyzed the prior study, which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systematically. From August 27, 2018 to September 15, 2018, we surveyed through SNS Marketing for the tourist and Gnagneung citizen that men and women from teenagers to 50 years of age who visited restaurants in Gangneung. A total of 306 surveys were conducted. We used statistics programs from SPSS 21.0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in the survey. We also did a frequency analysis to identif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ing instrument that an exploratory factori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Also, prior to a hypothesis testing,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dire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hypothesis testing.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joys' and 'reliability' factors about the local food image of the SNS marketing effect on the food quality, service and local food experience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However, the 'visit experience' factor showed that only the reliabilty factors were affected. Also, 'Joy' and 'visit experience' factors was rejected. This means, while finding restaurants through SNS and going to the restaurants, people satisfies the pleasure and reliabil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original local food image so, it needs a lot of effort to change the image. Therefore The tourist attractions should be made up of food marketing not only on SNS, but also in other ways. Second, The 'visit experience' and 'reliability'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ood quality and taste in the SNS marketing's influence on menu product satisfaction. However, the 'joy' fact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food quality and taste. Price showed that 'joy' and reli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but 'visit experience' factors were rejected because the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When visiting a restaurant after watching SNS, you will have learned the price rang, quality and taste. However, contrary to your expectations, you can find out that the pleasure with you finding the restaurants on the SNS is not related with the food quality and taste. Third, In relation to the re-visit of SNS marketing, it was found that 'joy' and 'reliability' factors had positive effects on company loyalty and SNS use selection attributes in relation to the re-visit of SNS marketing. The 'visit experience' was rejected as having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two optional attributes. This shows that tourists and local visitors who used SNS to visit restaurants feel as much satisfaction and joy as expected. However, not only tourists, but also local visitors have visited the site through oral traditions or an acquaintance. Fourth, In the context of the impact on the re-visit of local food image, 'food quality and service'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company loyalty and the selection properties of SNS use after the visit. However, the 'local food experience' factor on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pany loyalty, and 'tourism inform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NS use after visiting the restaurant. This shows that the quality and service of food is an important reason for the revisit. Also, this showed that people who experience about the local food can trust in the restaurant and the tourist who get a lot of information about tourist attractions are more satisfied. Therefore, you can know that people use the SNS after visiting the restaurant. Fifth, The two factors, 'food quality and taste' and 'price', in the context of the re-visit of menu product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ompany's loyalty and the choice of using SNS after a visit. This shows that food quality, taste, and price are important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the re-visit. If they are satisfied, they will continue to visit and start to be handed down for others. Sixth, Although some factors were rejected because they did not have the mediated effect of the local food images played a role in the process, half of them have partial and complete mediated effect showed and som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NS marketing and re-visit. We need to look for ways to change the food in local areas. In such a way that to increase local food experience activities and provide more detailed and convenient information about tourist attractions. Seventh,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menu product satisfaction showed that only the factors of the visit were partially sold during the process of the restaurant company's SNS marketing to the re-visit and all the other factors have partial mediation effect. This shows that there are many tourists and Gangneung citizens who do not visit restaurants only through SNS marketing, but through oral effects. Therefore, the restaurant company should not satisfied with the current menu but make a constant effort to develop menu products. Through this research, it will be able to use the information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staurant tourism industry by providing information on how to conduct SNS marketing of restaurant businesses.

      • 디저트카페의 고객접점서비스가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구전정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다솜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Customer contact service price of dessert caf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 -Focusing on the adjustment effect of oral information- Da-Som, Kim Department of Hotel Culinary & Food Service Management Graduate School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yeong il, Kim) Today, the trend of eating out is rapidly changing as consumers' income levels and lifestyle change, and consumers are showing a tendency to spend their happiness the most. As cafe culture has become popular due to such changes, coffee shops in the restaurant market are considered to be a complex cultural space of cultural contents that can enjoy an emotional atmosphere, not just a place to drink, and as of the end of January 2018, the number of cafes nationwide has been growing steadily, accounting for 9.2% of all restaurants in Korea. In addition, as the consumption trend of desserts that can be lightly replaced by young people increases, dessert cafes continue to emerge, and as the dessert cafe market gradually expands, dessert cafe users are communicating with others through SNS or oral tradition, sharing information, and showing consumer behavior to visit dessert cafes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As consumers' needs and expectations increase, consumers tend to consider both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when evaluating the quality of their dessert cafes, and emotional value is also important in choosing purchasing behavior. As a result, consumers judge whether to buy, not simply by the function of the product or the quality of the service, but also by considering the feelings they have in the process of purchasing, and the emotional factors in the service interface are known to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consumer behavior and evaluation. Accordingly,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contact service of dessert cafe,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 of consumers, and to analyze whether customer satisfaction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contact service and behavior of dessert cafe, and to analyze whether oral information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contact service and behavior of dessert caf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each variable was identified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the prior study of whether there was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presenting the setting of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establishment accordingly.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distributed a total of 298 questionnaires to restaurant consumers who had visited and used dessert cafes (including franchise stores) for 45 days from July 1, 2020 to August 15, 20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ployees' service attitudes, job performance,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dessert caf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but interaction with employe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Currently, restaurant consumers tend not to experience or value face-to-face interactions with employees frequently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unmanned store operations such as kiosks and siren orders and the recent strengthening of non-face-to-face services caused by Korona-19 fandemics. Second, the consumer's satisfaction with the customer contact service of the dessert caf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gree of behavior (purchase and revisit).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that show that customer satisfaction acts as a variable that influences the attitude of the customer, and indicate that the customer's behaviour may vary depending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with the customer's point of contact services. Third, the customer contact service of the dessert caf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ehaviour of consumers. In other words, the employee's service attitude, job performance, interaction with employee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dessert cafe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onsumers' purchasing and re-visiting intentions, and these factors show that consumers' attitudes may vary. Fourth, customer satisfac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contact service and intention of purchase. Service attitude and job performance were fully mediated,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partially mediated. Therefor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dessert cafe is influenced by the customer's satisfaction, and it also affects the intention of purchasing. However,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customer contact service and the degree of re-visit did not show any mediated effect, resulting in a study that found that consumers were willing to revisit without having to satisfy the customer. An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various variables (such as taste and accessibility of the menu, brand or corporate image, price, etc.) that affect consumers' intention to revisit. Fifth, oral information was found to show no adjustmen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contact service and behavior. These findings mean that while operating methods such as quickness and convenience and non-face-to-face-based kiosks, siren orders and delivery services are popularized not only by the Corona-19 fandom but also by the accelerating social changes, restaurant consumers still place more importance on the service experience they receive directly when purchasing or revisiting products. In addition, oral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extremely subjective views, and as commercial advertising marketing activities using oral information are maximized today, consumers' confidence in oral information is getting lower.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e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customer contact service of the dessert cafe and the consumer's customer satisfaction, behavior, and oral information, and presen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and their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is, we are going to improve the marketing data and problems of the dessert cafe in the future, and suggest them as a way to develop and utilize them. 논 문 개 요 오늘날 소비자들의 소득수준 향상과 라이프 스타일 변화에 따라 외식 소비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자신의 행복을 가장 중요시하는 소비성향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로 인해 카페문화가 대중화되면서 외식시장에서 커피전문점은 단순히 음료를 마시는 장소가 아닌 감성적인 분위기를 누릴 수 있는 문화콘텐츠의 복합문화공간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2018년 1월말 기준 전국 카페 수는 총 77,211개로 우리나라 전체 음식점 대비 9.2%를 차지할 정도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또한, 젊은 층들을 중심으로 가볍게 식사를 대체할 수 있는 디저트의 소비 경향이 높아짐에 따라 디저트카페가 지속적으로 생겨나고 있는 추세이며, 디저트카페 시장이 점차 확대되면서 디저트카페 이용자들은 SNS나 구전을 통해 다른 이들과 소통하며 정보를 공유하고,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디저트카페를 찾아다니는 소비자 행동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들의 니즈와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들은 디저트카페의 제품 품질을 평가할 때 내적인 특성과 외적인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구매행위에 대한 선택에 있어 감성적인 가치 또한 중요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은 단순히 제품의 기능이나 서비스의 품질에 의해서만 구매 의사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구매하는 과정에서 갖게 되는 감정도 함께 고려하여 구매 여부를 판단하며, 서비스접점에서 나타나는 감정적 요인은 소비자의 행동과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디저트카페의 고객접점서비스와 소비자의 고객만족,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디저트카페의 고객접점서비스와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고객만족이 매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디저트카페의 고객접점서비스와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구전정보가 조절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각 변수들의 개념을 파악하고, 변수들 간에 구조적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을 하였으며, 그에 따른 연구모형의 설정과 가설 수립을 제시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하여 2020년 7월 1일부터 2020년 8월 15일까지 45일간, 디저트카페(프랜차이즈 점포 포함)를 이용·방문한 경험이 있는 외식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총 298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업원의 서비스태도와 직무수행능력, 디저트카페의 물리적환경은 소비자들의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업원과의 상호작용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외식 소비자들은 키오스크와 사이렌오더 등과 같은 무인화를 기반으로 한 점포 운영방식의 대중화와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서비스 강화에 따라 종업원과의 대면 상호작용을 자주 경험하지 않거나 또는 중요시하지 않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저트카페의 고객접점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고객만족은 행동의도(구매·재방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고객만족이 행동의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로 작용한다는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며, 소비자가 가지는 고객접점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에 따라 소비자의 행동의도가 상이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디저트카페의 고객접점서비스는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종업원의 서비스태도와 직무수행능력, 종업원과의 상호작용, 디저트카페의 물리적환경은 소비자의 구매·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요인들에 따라 소비자의 행동의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넷째, 고객만족은 고객접점서비스와 구매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태도와 직무수행능력은 완전 매개 효과가 나타났으며, 물리적환경은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디저트카페의 물리적환경은 소비자들의 고객만족에 영향을 받으면서 구매의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고객접점서비스와 재방문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매개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고객만족을 하지 않아도 재방문할 의사를 가진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의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메뉴의 맛과 접근성, 브랜드 또는 기업의 이미지, 가격 등)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번 째, 구전정보는 고객접점서비스와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코로나-19 팬데믹 뿐만 아니라 가속화되고 있는 사회적인 변화에 의해 신속함과 편리함, 비대면을 바탕으로 한 키오스크나 사이렌오더, 배달 서비스 등과 같은 운영방식이 대중화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외식 소비자들은 제품을 구매하거나 재방문할 때 직접적으로 제공받은 서비스 경험을 더 중요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전정보는 지극히 주관적인 견해를 바탕으로 생성되며, 오늘날 구전정보를 활용한 상업적인 광고마케팅 활동이 극대화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구전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점점 낮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디저트카페의 고객접점서비스와 소비자의 고객만족, 행동의도, 구전정보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그에 대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와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디저트카페의 마케팅 수립 자료와 문제점 개선 및 발전·활용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조리사의 업무영역확장이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철성 가톨릭관동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논문개요 최근 조리사의 활동영역은 주방에서의 단순한 조리영역뿐만 아니라 고객과 조리사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차별화된 서비스품질이 필요한 상황이며, 조리사의 역량수준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우수한 인적 서비스 수준을 결정하는 속성인 조리사의 활동영역은 더욱더 중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조리사의 핵심 또한 노동집약적 산업이므로 타 산업에 비하여 인적 의존도가 높으며, 환경변화에 민감하여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면 경쟁우위를 선점할 수 없으므로 고객을 위한 최선의 노력으로 차별화된 서비스에 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조리사가 업무영역활동이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을 통한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측정하고자 하였다. 인터넷과 매스컴 등을 통해서 전 세계 요리사들의 요리를 눈으로 즐길 수 있게 되었고 해외의 유명한 브랜드(brand) 및 셰프(chef)의 명성을 신문이나 TV 등을 통해 접할 수 있으며 조리사의 활동영역을 확장하는데 관심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리사의 업무가 다양해지고 양질의 서비스를 위해서 조리사의 업무가 다양화되기를 바라는 시점에 조리사의 업무영역확장이 조리사에게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적 연구방법(literature research)과 실증적 연구방법(empirical research)을 병행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이론적 연구를 위해서 국내․외 전문서적, 선행연구논문, 학술지 등의 문헌자료 등을 정리하여 본 연구의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둘째, 실증 연구를 위해서 모집단은 호텔 및 외식업체에 근무하는 조리사를 대상으로 하며 모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경기․인천 지역 호텔 및 외식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조리사를 표본 집단으로 선정하고 자기기입식 설문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다. 셋째, 자료의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시행하고, 가설의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규명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범위를 공간적 범위와 시간적 범위, 그리고 내용적 범위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공간적 범위는 서울․경기․인천에 소재한 호텔 및 외식업체에서 근무하는 조리사를 대상으로 한다. 둘째, 본 연구의 설문조사의 시간적 범위는 2017년 7월1일부터 7월15일까지로 하였다. 서울․경기․인천에 소재한 호텔 및 외식업체 조리사를 대상으로 총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440부를 회수하여 최종적으로 428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범위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제1장은 본 연구의 서론으로 연구의 배경, 문제 제기, 연구의 목적, 연구의 중요성, 연구의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제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조리사의 업무영역확장,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경영성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각 구성개념 간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 연구들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제3장은 연구의 설계와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된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설문지의 구성, 표본의 설정과 분석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제4장은 실증분석의 결과 및 해석부분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제시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잠재변수와 측정문항들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설계를 통하여 가설의 검증하여 제시하였다. 제5장은 본 연구의 결론 부분으로 연구결과를 요약․정리하고 학술적․실무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업무영역확장은 조리사의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검정에서는 대외활동, 경영참여, 고객응대 3개의 요인 모두 노력효능감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외활동에서는 능력효능감은 미치지 않았다. 둘째, 조리사의 업무영역확장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검정에서는 대외활동, 경영참여, 고객응대 3개의 요인 모두 미치지 않았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검정에서는 노력효능감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능력효능감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리사에게는 업무영역확장이 자기효능감을 가져다 줄 수 있으나 기업의 입장에서는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볼 수 있으므로 매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며, 자기효능감은 경영성과에 부분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보아 조리사의 노력을 통한 효능감이 높아질수록 경영성과에 미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리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업무영역확장에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미래의 연구에 있어서는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조리사의 업무영역확장의 세부 요인별 좀 더 세분화하여 학습동기와 자기 효능감을 통한 경영성과를 극대화 시키는데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6차산업을 적용한 외식업체의 마케팅전략이 고객만족과 감성몰입에 미치는 영향 : 축산농가의 한우정육식당을 중심으로

        조영애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6차산업화 정책은 「농촌 융·복합 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6차산업화는 변화하는 소비자에 맞춰 다른 식품에서 수입품이 대체할 수 없는 가치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야 하며, 농산물을 농촌지역 환경과 등과 융·복합 하여 문화 서비스로 변화하는 다각화 경영을 통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농가소득 증대, 농촌 지역의 발전을 이루는 중요한 수단이다. 본 연구에서는 6차산업을 적용한 한우 외식업체의 마케팅전략과 고객만족, 신뢰, 구전의도의 영향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6차산업, 마케팅전략, 고객만족, 신뢰, 구전의도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둘째, 마케팅전략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고객만족과 신뢰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넷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6차산업을 적용한 외식업체의 효과적인 마케팅전략 방안을 제시하여 고객만족과 신뢰, 구전의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2021년 9월1일부터 9월15일까지 6차산업 한우정육식당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기 기입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립된 자료의 실증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빈도분석,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파악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은 남자가 192명(59.1%)과 여자가 133명(40.9%)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20대가 33명(10.2%)으로 나타났으며, 30대가 76명(23.4%), 40대가 72명(22.2%), 50대가 86명(26.5%), 60대 이상이 58명(17.8%)으로 나타났다. 한우 식당 이용빈도에 대한 응답은 주2-3회가 26명(8.0%), 주 1회가 9명(28.3%), 월 2-3회가 120명(36.9%), 월 1회가 56명(17.2%), 3개월 1회 미만이 31명(9.5%)로 나타났다. 연구가설은 모두 채택되었으며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한우식당의 육류의 마블링, 육질, 밑반찬의 다양성 등은 제품에 대한 만족을 향상시키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한우식당에서는 기본적인 소고기의 육질에 대한 품질은 유지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하며 적절한 부위별 차등 가격책정, 비교적 저렴한 소고기 가격에 제품만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고기의 품질과 적절한 가격과 더불어 명절 등 시즌별 상품의 개발과 판매가 서비스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접대손님의 접대장소로써의 역할과 직원과 사장의 고객인지는 서비스만족의 중요한 영향 변수임을 알 수 있어서 고객의 만족을 위해서 마케팅전략의 모든 변수와 연관 되어진 사항을 고려하여 고객서비스를 실시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한우식당의 소고기 육질, 품질, 탕류의 농도 등은 고객의 제품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품권, 경품 등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어서 한우식당의 선물용 상품권의 개발, 고객에게 제공 할 수 있는 경품 등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식당의 예약 및 취소의 원활함과 고객의 인지, 접대손님의 초대가 가능하도록 되어있는 품질과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은 고객으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한우식당의 소고기에 대한 이력 확인의 수월함과 신선한 고기, 적절한 가격, 품질 높은 소고기는 고객의 타인에 대한 구전효과를 가지게 함을 알 수 있었다. 6차산업을 적용한 한우식당에서는 직접 축산하고 있는 농장에 대한 정보와 유통과정을 거치지 않은 믿을 수 있는 품질의 소고기를 제공하는 것을 홍보해야 할 것이다. 6차산업을 적용한 한우식당을 이용한 고객의 가격만족, 유통이력확인, 소고기의 품질은 제품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침으로 각 요인에 해당하는 사항을 관리 감독하여 고객의 신뢰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한우식당의 고객응대 서비스. 고객관리, 예약과 취소 절차의 편의, 주차시설, 인테리어, 환기시설 등은 서비스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고객의 가격, 품질, 유통이력, 고객응대, 물리적환경에 대한 만족을 통해서 구전의도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신규고객의 창출이 어려움을 고려한다면 고객의 구전을 통한 신규고객 창출의 중요성을 보다 절실하게 인지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고객이 6차산업을 적용한 한우식당을 이용하면서 느끼게 되는 품질신뢰와 서비스신뢰는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재방문 시에도 동일한 품질의 소고기를 제공해야하며 소고기와 음식의 위생상태관리, 생산자와 판매자, 서비스 제공자가 동일하다는 것을 홍보, 항상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신뢰를 형성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6차산업을 적용한 한우식당의 마케팅전략을 상품전략, 가격전략, 유통전략, 판촉전략, 고객관계유지전략이라는 변수로 나누어 고객만족과 신뢰, 구전의도의 영향관계를 연구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6차산업을 적용한 외식산업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한우식당의 마케팅전략, 고객만족과 신뢰, 구전의도의 설문척도를 제시하여 향후 한우식당의 경영에 대한 연구 기틀을 마련하였다.

      • 지역관광특산품의 제품속성이 제품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강릉지역관광특산품을 중심으로

        고도윤 가톨릭관동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지역관광 특산품의 제품속성이 제품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지역관광지를 방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지역관광특산품의 제품속성이 제품만족과 재 구매의도에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또한 제품만족과 재 구매의도의 영향관계에 조절 영향관계를 미치는 것인지 분석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변수들의 개념을 조사하고 이 변수들이 어떤 조사 관계가 있는지를 문헌 고찰을 통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2020년 8월 01일부터 2020년 9월 01일까지 강릉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250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분석은 SPSS 24.0의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표본의 특성을 조사하여 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수에 대해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 분석실시하였다. 또한 가설검증에 앞서서 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찾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조사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 효과 분석 및 매개효과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관광특산품의 제품속성은 제품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연구가설의 검증결과 지역관광특산품의 제품속성 중 디자인, 품질, 가격, 브랜드 명성, 기능들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품속성 중 제품품질, 브랜드명성, 기능은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종속변수의 제품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관광특산품의 제품만족은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연구 가설의 검증 결과 제품만족은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역관광특산품의 제품속성은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역관광특산품의 제품속성 중 제품품질, 브랜드명성, 기능은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종속변수의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제품 만족은 지역 관광 상품의 제품속성과 재구매의도간의 관계를 매개 할 것이다. 이 연구 가설은 지역 관광 상품과 재구매의도의 영향관계에서 제품 만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의 연관성 규명을 위해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에서는 독립변수로 지역관광특산품의 제품속성인 디자인, 제품품질, 가격, 브랜드명성, 기능 등을 투입하고, 매개변수인 제품만족을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2단계에서는 독립변수로 지역관광특산품의 제품속성인 디자인, 제품품질, 가격, 브랜드명성, 기능 등을 투입하고 종속변수인 재구매의도를 투입하여 회귀부석을 실시하였다.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지역관광특산품인 디자인, 제품품질가격, 브랜드명성, 기능과 제품만족을 투입하고 종속변수인 재구매의도를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총 3단계까지 보았을 때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인 지역관광특산품과 제품만족을 종속변수인 재구매의도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제품품질과 기능의 경우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브랜드의 경우 완전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결과를 살펴보면 지역관광특산품의 제품 속성 중 제품품질, 브랜드명성, 기능은 제품만족에 대해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디자인과 가격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기각되었다. 지역관광특산품의 제품만족은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제품속성은 이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디자인, 가격은 기각되었고, 제품품질, 브랜드명성, 기능 등은 유의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지역관광특산품은 그 지역의 특산품으로써 제품의 품질, 브랜드명성, 기능을 중점적으로 소비자들이 구매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지역관광특산품을 개발할 때 그 지역의 특색을 잘 나타내고, 품질을 향상시키고, 브랜드명성을 떨칠 정도로 유명한 제품을 생산하는 반면 제품 기능의 질의 향상을 토대로 개발되어야 한다. 앞으로 품질과 기능이 뛰어난 그 지역만의 다양한 특산품을 개발 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만 그 제품의 브랜드 명성도 높아질 것이라 기대된다.

      • 지역관광특산물의 속성이 관광상품개발 필요성 인식과 지역이미지 및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도윤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지역 관광특산물의 속성이 관광상품 개발 필요성의 인식이 지역이미지 및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지역관광지를 방문하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지역 관광특산물의 속성을 이용한 관광상품 개발 필요성의 인식과 지역이미지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또한 제품 만족과 소비자행동의 조절 영향관계를 미치는 것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변수의 개념 과 변수들의 관계여부를 문헌 고찰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2022년 8월 01일부터 2022년 9월30일까지 관광객을 대상으로 278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 표본 특성을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수의 신뢰도 분석과 탐색 요인 분석 은 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찾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관광 특산물의 속성은 관광상품 개발 필요성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연구가설 검증결과 지역 관광특산물의 속성 중 지역문화콘텐츠, 지역특산물, 지역음식문화, 등의 기능들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관광특산물의 속성중 지역문화콘텐츠, 지역특산물, 지역음식문화는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종속변수의 관광상품 개발 필요성의 인식과 지역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 관광특산물의 속성은 지역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검증 결과 지역관광특산물의 속성은 지역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역관광특산물의 속성은 소비자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역관광특산물의 속성중 지역문화콘텐츠, 지역특산물, 지역음식문화는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종속변수의 소비자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광상품 개발 필요성의 인식과 지역이미지는 지역관광특산물의 속성과 소비자 행동간의 관계를 매개 할 것이다. 이 연구 가설은 지역 관광 특산물속성과 소비자행동의 영향관계에서 관광상품 개발 필요성의 인식과 지역이미지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의 연관성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에서는 독립변수로 지역관광특산물의 속성의 지역문화콘텐츠, 지역특산물, 지역음식문화 등을 투입하고, 매개변수인 관광상품 개발 필요성의 인식과 지역이미지를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2단계에서는 독립변수로 지역관광특산물의 속성인 지역문화콘텐츠, 지역특산물, 지역음식문화 등을 투입하고 종속변수인 소비자 행동를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지역관광특산물의 속성인 지역문화콘텐츠, 지역특산물, 지역 음식 문화등을 투입하고 종속변수인 소비자 행동를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총 3단계까지 보았을 때 독립변수와 지역 관광특산물속성과 관광상품 개발의 인식과 지역이미지를 종속변수인 소비자 행동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지역 문화 콘텐츠와 지역특산물의 경우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지역음식문화의 경우 완전 매개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지역관광특산물의 속성은 지역특산품으로써 제품의 품질, 명성, 기능을 중심으로 관광객들이 구매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지역 관광특산품을 개발할 때 그 지역 특색을 잘 나타내고, 품질 향상, 명성으로 유명한 제품을 생산하는 반면 제품 기능의 질의 향상을 기반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앞으로 품질, 기능이 뛰어난 지역의 다양한 특산품을 개발 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만 그 제품의 관광특산품 브랜도 높아질 것이라 기대된다.

      • 소비가치가 시판김치 이용고객의 소비성향과 제품선택속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위험지각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김문경 가톨릭관동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today's society, the frequency of use of traditional fermented foods is gradually decreasing due to social phenomena such as the development of food industry, westernization of dietary life, increase of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s, and changes in family size. Traditional consumption of kimchi was generally eaten by making directly at home, but the trend of kimchi consumption behavior has been diversified, not only making directly but also in various tendency, such as eating or buying from family, relatives and neighbors. In addition, the recent changes among Koreans' dietary habits are focused on convenience and preference-oriented diets, reducing the chance of cooking at home, and the demand for processed foods is gradually increasing.However, Kimchi is an important health functional food that has been selected as one of the world's top five health foods, and is listed on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on December 5, 2013.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nsumer's consumption value on the consumer's propensity, product selection attribute and repurchase intention of commercial kimchi. It provides basic data for consumer research on kimchi,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by analyzing the role of risk perception. Seeking a way to activate sales and exports of commercial kimchi, It provides data on the development, product production plan and marketing strategy of Kimchi, Korea's leading brand, and conducted research to contribute to raising awareness about various kimchi products. In addition, this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in presenting a model of the consumption propensity and the commercial kimchi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by introducing a risk perception factor.For achieving these objectives, documentation and empirical research were conducted. Documentation research reviewed precedent research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propensity to consume,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repurchase intention, and risk perception. The empirical research suggested in establishing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based on precedent research.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men and women from 20s to 60s who experienced commercial marketed kimchi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from July 1 to July 30, 2019,and the 400 paper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used as a sample.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as a results of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consumption value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ption tendency, the functional value of consumption valu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health pursuit type of consumption tendency. Economic value of consumption valu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onsumption pursuit type and plan pursuit type, and situational value was found to have them on the consumption pursuit health type.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consumption tendency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the health pursuit type of consumption tendency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and quality of product selection attribute. The stall pursuit type of consumption tenden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and price of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However, the planning pursuit type of consumption tendenc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duct selection attributes.Thir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consumption tendency wil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 health pursuit type and stall pursuit type of consumption tendency have a positive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Fourth, as a results of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the product selection attribute wil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purchase intention, the brand, quality, and price of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Fifth, as a result of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risk perception will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tendency and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it showed that physical perception was controlled in relation to quality among the pursuit of consumption propensity and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Economic perception was found to be similar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pursuit type of consumption tendency and the brand influence of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and pure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pursuit type of consumption propensity and the quality influence of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Functional perception was found to be purely controll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ption pursuit type and brand influence of the product selection attribute, and health pursuit type and stall pursuit type of consumption tendency were found to be similarly controlled in relation to the quality influence of product selection attribute.Based on thos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intended to help the consumer’s confidence to further activate the Kimchi, Korea's unique traditional fermented food, by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on changes in market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commercial kimchi manufacturers.

      • Temporary bonding/debonding behavior of photo curabl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or multi chip packaging

        유종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Nowadays, the wafer thinning process has increased attention due to its promising application in device miniaturization and packaging. The key factors for thinned wafers are improved heat dissipation, three-dimensional stacking, reduced electrical resistance and substrate flexibility. A reduction in wafer thickness combined with an increasing wafer diameter produces the tendency for the wafer to wrap and fold and hence creates a demand for new methods of wafer handling. The thinned substrates need to be supported during the backside grinding process and through the subsequent processes such as lithography, deposition, etc. Using temporary adhesives to bond the processed device wafer to a rigid carrier wafer offers an efficient solution and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both integrated circuit board and MEMS applications, mailnly due to its low cost, ease of processing, and adaptability. Multi-Chip Packages (MCP) refers to a packaging configuration at most five chips, connected via wirebonds to a multilayer circuit board, and protected by either a molded encapsulant or a low-cost ceramic package. As the Si-wafers become ultra-thinner and request wafer handling technology, because of wafer thickness <20um, the bonding adhesives for MCP need to show proper adhesion and debonding technique from thin wafer. In this study, semi-IPN structured acrylic adhesives as temporary bonding adhesives in wafers were introduced using a photo curable PSAs and multifunctional monomer with a UV-curing system. Emphasis was placed on the optimal conditions such as photo-initiator contents and UV doses and so on. UV-curing behaviors were obtained by using photo-DSC, FTIR-ATR spectroscopy and gel fraction. Also, elastic property of each sample was studied by ARES analysis. The acrylic copolymer PSAs having improved wettability on thin silicon wafer were synthesized by introducing long lauryl side chains via addition reaction between acrylic copolymer and lauryl glycidyl ether. Cohesivenes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the degree of crosslinking but decreased noticeably as the content of lauryl side chain increased in acrylic copolymer. Both probe tack and peel strength decreased rapidly as both the degree of crosslinking and the content of lauryl side chain increased due to the hindrance in chain mobility and the decreased surface energy of PSAs, respectively. The wettability of acrylic PSA was improved significantly for the acrylic copolymers having higher content of lauryl side chain. The acrylic copolymer PSAs having long side chain spread efficiently on the surface of silicon wafer without strong adhesion force applied. The gel content of acrylic PS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GMA and the UV dose resulting from the increased extent of crosslinking. The wettability of acrylic PSAs was improved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lauryl side chain due to both the decreased surface energy and the increased flexibility of acrylic copolymer. Both probe tack and peel strength of acrylic PSAs decreased rapidly as both the content of GMA and the UV dose increased due to the hindrance in chain mobility induced from the increased extent of crosslinking. Cohesiveness of acrylic PS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GMA and the UV dose due to the increased extent of crosslinking. For the use in semiconductor process, the UV cured adhesives were designed to have the specific properties such as large variation of bonding and debonding strengths and no residues on the wafer after debonding. Various UV cured adhesives were synthesized as a function of acryl copolymer structure which showed the adhesive properties, the functionality, and the content of multifunctional monomers. The adhesive force of acrylic copolymer varied with the contents of 2-EHA and MA. The photo crosslinking density was changed depending on the multifunctional monomer. As a result, the adhesive force after UV exposure was decreased when the 2-EHA content became lower in the base acryl copolymer. As the functionality of C=C double bond was increased, the cross-linking density was also increased after UV exposure. The debonding force and the residues on the debonded wafer were drastically suppressed. 2-EHA/EA/AA acrylic copolymers were chemically modified with GMA to carry the photo-crosslinkable carbon double bonds in the side chains. The photo-crosslinked acrylic copolymer PSAs showed the decreased peel strength and probe tack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GMA and the UV dose resulting from the hindrance in chain mobility induced from the increased extent of crosslinking. The contamination of silicon wafer substrate after debonding of photo-crosslinked acrylic copolymer PSAs decreased significantly by crosslinking the acrylic copolymers modified with GMA into fully crosslinked networks. The peel strength of PSAs could be decreased significantly further by introducing the thermally induced foaming step. Peel strength of PSAs decreased significantly by increasing content of GMA in the main chain of acrylic polymer as well as UV dose. The Tg of the acrylic PSAs slightly increased and the tan δ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UV dose suggesting that the storage modulus of the acrylic PSAs is strongly related to UV dose at high temperatures. The peel strength started to decrease drastically at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foaming agent, likely 120℃ for foaming agent H and 190℃ for foaming agent AC. Effective debonding was obtained by combining the crosslinking with UV irradiation and the thermally induced foaming. The PSAs debonding could be performed easily by combining the photo crosslinking and thermal foaming due to the effectively reduced interfacial adhesion. Contact area of interface was effectively decreased to give the lower debonding force between acrylic PSAs and surface of silicon wafer. 전기, 전자 통신 및 컴퓨터 산업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서 미래의 전기, 전자부품 및 모바일 기기의 경박단소화, 고성능화, 다기능화 추세에 따라 큰 메모리 용량과 고성능의 메모리/logic IC 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TSV(Through Silicon Via) 패키징 방법은 기존 3D 패키징에 비해 높은 집적도로 접속이 가능하며 전기적 연결선이 짧아 RC delay 가 매우 작기 때문에 저전력, 고성능의 칩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3D 패키징 방법으로 TSV 를 이용한 적층 방법에 대해 최근에 가장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50㎛이하의 초박형 웨이퍼 핸들링 기술이 요구되며 양산화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웨이퍼의 두께가 박형으로 갈수록 공정속도가 빨라지나 박형 웨이퍼는 충격에 약하며 내부 응력에 의해 뒤틀림이 발생하기 쉬워 수율 향상 기술이 필요하므로 박형 웨이퍼를 핸들링 하기 위한 임시 공정형 속경화형 접착 소재가 필요하다. 박형 웨이퍼의 핸들링을 위한 임시고정 속경화 기술은 속경화 점착제 제조 기술과 내충격성, 내뒤틀림성, 완벽한 박리특성 등을 부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분자설계 기법을 활용하여 아크릴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제조된 공중합체에 부가반응을 통하여 측쇄길이를 변화시키거나 측쇄에 탄소 이중결합을 포함시킨 광가교형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아크릴 공중합체의 측쇄길이를 변화시키면서 실리콘 웨이퍼에 대한 젖음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Lauryl glycidyl ether (LGE)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접촉각이 증가하였고 그 결과 소수성 특성의 실리콘 웨이퍼 상에서의 젖음성이 향상되었다. 아크릴공중합체의 LGE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착제의 표면에너지와 측쇄 유동성 감소로 인하여 점착력이 감소하였다. 아크릴공중합체에 부가반응을 통해 광경화 반응이 진행될 수 있는 기능기를 도입하여 자외선에 의해 속경화 및 가교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개질하였다. Glycidyl methacrylate (GMA) 함량과 UV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아크릴공중합체의 가교밀도가 증가하였고 그 결과 측쇄 유동성이 감소하여 점착력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반면 GMA 함량과 UV 조사량이 증가할수록 아크릴 점착제의 응집력은 증가하였다. 아크릴공중합체 구성성분 중 주로 ethylhexyl methacrylate와 methacrylate의 함량 변화가 점착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관능성 단량체로 탄소 이중결합이 2관능성, 3관능성, 6관능성인 단량체를 각각 사용하여 3차원 가교구조와 가교밀도를 변화시켰다. 다관능성 단량체의 탄소 이중결합 관능성이 증가할수록 자외선 조사 후 아크릴공중합체의 가교밀도가 증가하여 박리 점착력이 감소하여 용이하게 박리될 뿐만 아니라 박리 후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잔류하는 잔사물도 크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크릴공중합체와 GMA의 부가반응을 통해 아크릴 측쇄에 광경화 그룹을 도입하였다. GMA 함량과 자외선 조사량이 증가할수록 실리콘 웨이퍼 상에서의 점착력이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잔사물이 생기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아크릴공중합체를 화학개질하여 광경화를 진행함으로써 박리력이 크게 감소하고 박리후 잔사물이 크게 감소하였지만 박리 특성을 보다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에 의한 발포가 가능하도록 발포제를 혼합한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발포제의 최적 발포개시온도 영역에서 주로 진행되는 미세발포 형성에 의해 계면 접촉면적이 크게 감소하여 실리콘 웨이퍼 상에서의 점착력이 크게 감소할 뿐만 아니라 실리콘 웨이퍼 표면의 잔사물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되었다. 결과적으로 아크릴공중합체의 측쇄길이를 변화하고, 광경화 기능기를 도입하여 경화도를 조절하고, 발포 형성에 의하여 계면 접촉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반도체 제조공정에 필수적인 우수한 물성의 임시점착/박리용 점착제를 합성할 수 있었다.

      • 식품표시제도가 소비자의 정보수용력과 제품에 대한 신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자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식품의 표시제도가 소비자의 정보수용력과 제품에 대한 신뢰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문제를 고찰하고 식품 표시를 통한 소비자의 선택은 실제 식품표시 정보를 이용할 때 가능하다는 차원에서 소비자의 정보수용력과 제품에 대한 신뢰, 구매의도 간에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하여 각 변수들의 개념을 분석하고 구조적으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2021년 7 월 01일부터 2021년 8월 14일까지 20대 이상의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582부의 자기 기입식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자료는 데이터 코딩 과정을 거치고 실증분석을 위해 SPSS 21.0의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변수에 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설검증을 하기 전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찾아보기 위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품표시제도는 소비자의 정보수용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연구가설 H1의 검증결과 식품표시제도의 주원료원산지, 유통기한, 식품첨가물, 영양성분은 소비자의 정보수용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식품표시제도는 제품에 대한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연구가설 H2의 검증결과 주원료원산지와 식품첨가물은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통기한과 영양성분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셋째, 식품표시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연구가설 H3의 검증결과 주원료원산지와 식품첨가물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통기한과 영양성분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넷째, 소비자의 정보수용은 제품에 대한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H4를 검증한 결과 소비자의 정보수용력은 제품에 대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자의 정보수용은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H5를 검증한 결과 소비자의 정보수용력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제품에 대한 신뢰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H6를 검증한 결과 제품에 대한 신뢰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핵심인 식품표시제도 중 유통기한과 영양성분은 신뢰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제품을 구입하는데 있어서 유통기한과 영양성분에 대한 부분은 신뢰와 구매의도에 영향이 없음을 볼 수 있었다. 일곱째, 정보수용과 신뢰는 식품표시제도와 구매의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는 매개회귀분석을 검증한 결과 매개효과에 미치지 않는 요인도 있지만 절반 정도의 요인이 완전매개,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며 식품표시제도와 구매의도 사이에 어느 정도 영향관계를 보여준다. 이에 따라 식품표시제도에 대한 정보와 제품에 대한 신뢰는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소한의 제도적인 표시를 넘어 소비자들이 더욱 신뢰할 수 있는 표시정보를 제공을 통해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합리적이고 올바른 소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