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리사회적 위험요인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또래관계의 조절효과

        박지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업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심리사회적 위험요인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또래관계가 학교적응에 조절효과를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을 했다. 이 연구를 위해 2012년 7차년도 한국복지패널의 부가조사를 이용하여 현재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을 대상으로 2012년 3월 현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지 않은 아동도 포함하여 512명 조사하였다. SPSS 12.0 패키지를 사용하여 척도의 신뢰도 검사와 회귀분석 및 조절회귀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사회적 위험요인 중에서 우울 및 불안은 학업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축은 심리사회적 학교환경과 학교성적, 학교유대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행성향은 심리사회적 학교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격성은 학교유대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사회적 위험요인이 심리사회적 학교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친구애착과 또래애착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조절변수 중 심리사회적 학교환경을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하위변수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심리사회적 위험요인이 학교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접촉빈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조절변수 중 학교성적을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하위변수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심리사회적 위험요인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접촉빈도는 우울 및 불안을 유의미하게 조절하며, 친구애착은 비행과 공격성을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심리사회적 위험요인이 학교유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친구애착과 또래애착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하위변수로서 접촉빈도는 우울 및 불안을 유의미하게 조절하고 또래애착은 우울 및 불안과 비행을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를 통하여 또래관계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긍정적인 학교생활 및 심리사회적 문제점을 지혜롭게 이겨낼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청소년 상담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2015 개정교육과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한국음악사 교육현황과 개선방안

        장하니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1,2 14종에 수록된 한국음악사를 분석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감상교육이 더 효율적으로 지도될 수 있기를 바라며 연구하였다. 감상수업은 기본적으로 음악사의 내용을 이해하여 감상활동으로 연계되어야 하므로, 교과서에 수록된 음악사가 대체적으로 흥미를 유발하고 충분한 내용과 오류가 없을 것이라 판단되어 이를 검증하고자 분석했다. 이 연구를 위해 교과서의 비중, 목차의 구성,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역량과 영역, 음악사의 명칭을 비교하고, 교과서에 수록된 내용과 시각자료를 비교·분석하여 교육현황을 살펴보았다. 또, 교과서 한국음악사와 기존문헌에 수록하고 있는 한국음악사를 시대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분석한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사의 내용이 교육용 소재로서의 문제점이 없는지 또, 그에 대한 개선방안이 무엇인지 제시하였다.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음악사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4종의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음악사의 교육현황을 살펴본 결과, 비중은 28권에 대한 평균비율은 2.4%로 평균을 넘는 교과서는 28권 중 10권이였다. 목차의 구성은 소단원에 각각 다르게 분류하여 수록하였고, 14종의 교과서 모두 감상영역이었으며, 다양한 교수학습활동과 목표를 수록하고 있었다. 시대별 명칭은 교과서마다 상이했고, 3~8개로 구분하고 있었다. 시대별 내용 분석 결과 제천의식, 문화의 교류와 왕산악 거문고, 미마지 기악무, 우륵 가야금, 범패, 태상시, 악학궤범, 판소리와 산조, 이왕직아악부, 국립국악원을 대부분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둘째, 교과서의 한국음악사와 기존문헌에 수록된 한국음악사를 시대별로 비교·분석한 결과, 교과서에는 수록하고 있지만 기존문헌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들을 찾아볼 수 있었고, 교과서의 내용이 더 간략하여 이해하기 쉬운 내용도 찾아볼 수 있었다. 또, 교과서에 수록된 내용의 오류를 살펴볼 수 있었다. 셋째, 앞에서 살펴본 전체적인 내용을 종합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교과서 소재로서의 문제점은 크게 교과서의 구성, 음악사 내용의 오기, 시각자료의 오류, 연도의 오류, 음악기관의 수록, 용어의 통일 총 6가지로 살펴볼 수 있었다. 교과서 구성의 문제점은 키워드, 캐릭터, 만화로 구성된 교과서로 문제점을 볼 수 있었다. 학습자들에게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지만, 충분한 설명이 없어 교사의 부가설명의 지도와 6가지 역량을 응용하여 활동하기를 개선방안으로 제시했다. 음악사 내용의 문제점은 6가지로 찾아볼 수 있었다. 첫 번째, 상고시대 동예를 예로 표기하여 한국사와 명칭을 같도록 통일하는 방안으로 제시했다. 두 번째, ‘주종소에서 편경을 만들어라’라는 내용에 편종으로 재집필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세 번째, 역사적인 배경이 충분하지 못한 점을 볼 수 있어 교사의 지도하에 한국사와 연계하여 음악사를 이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했다. 네 번째, 조선후기의 음악이 전란을 겪고 궁중음악을 음악이 위축되었다고 하여 혼란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교사의 설명을 필요로 했다. 다섯 번째, 민요와 농악의 경우 ‘등장했다’라고 대부분 수록하고 있어 ‘발전했다’또는 ‘성행했다’라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여섯 번째, 우리나라 최초의 음악기관인 음성서를 통일신라에 설치되었다고 수록하고 있어 신라시대로 정정하기를 제시했다. 시각자료의 문제점은 4가지로 살펴볼 수 있었다. 첫 번째, 상고시대 태백산의 천제단 사진을 수록해 학생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연대미상이나 설명, 교사의 보충설명이 필요로 했다. 두 번째, 일본 정창원에 소재된 신라금의 사진을 현행 정악가야금으로 수록해 혼란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원본과 비교하여 지도하는 방안을 가졌다. 세 번째, 통일신라에 거문고 줄 타는 여인으로 명칭을 수록한 교과서의 경우 거문고 줄 고르는 여인으로 정정하는 방안과 시대상 조선시대의 그림이므로 학생들에게 혼란을 주지 않기 위해 교사의 설명이 필요로 했다. 네 번째, 시각자료는 국악관현악단사진을 중복으로 수록해 다양한 자료를 수록하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도의 문제점은 서양식 극장인 원각사가 1908년에 설립되었지만, 몇 교과서는 1902년, 1906년으로 표기하고 있어 오류를 나타내므로 재집필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음악기관의 문제점은 우리음악이 신라시대부터 지금까지 올 수 있도록 지켜준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음악기관을 다룬 교과서는 딱 1종뿐 이였다. 향후 개정될 교육과정에는 음악사의 중심인 음악기관을 반드시 다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용어통일의 문제점은 백제의 금동대향로의 오악사, 통일신라의 유물, 양주별산대 놀이의 명칭에 대하여 문제점을 갖고 학자마다 주장하는 용어가 달라 통일성이 있어야 한다는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14종의 교과서를 종합적으로 살펴봤을 때, 충분한 음악사 내용과 감상, 다양한 활동면에서 수록된 교과서가 있는 반면에 음악사보다는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수록하거나 학습자들이 이해하기에는 부족한 내용으로 수록하고 있었다. 또한, 교과서 소재로서의 많은 문제점을 찾아볼 수 있었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각각 제시하였다. 따라서 교사는 본 논문을 활용하여 음악사 수업을 지도하기를 바라며 학습자들이 한국음악사와 감상, 활동을 통해 역량을 도달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수업연구를 해야 할 것이고, 제시한 문제점들을 토대로 끊임없는 학자들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studied history of Korean music featured in 14 types of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both 1 and 2), aiming at more efficient teaching of Korean music appreciation. For music listening class must be proceeded by proper understanding of music history, textbooks shall be able to attract student’s interest, provide sufficient details, and must be without errors. I therefore conducted analysis on textbooks to verify their contents. This study focuses on comparison and analysis of individual textbooks to identify proportion of music history, table of contents, capabilities and areas, names of historical eras, and photos. I have also compared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textbooks with other references in each era. Finally, I thoroughly examined the comparison results to check whether or not the details are appropriate as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refore developed improvement plans. This thesis suggests the following propositions. First, the proportion of Korean music history in the 14 types of textbooks (a total of 28 books) was 2.4% in average, and those that exceed the average were 10 books among 28. In the table of contents, it is categorized into different chapters, but into the appreciation area in all 14 types, with various teaching goals and activities. Names of historical eras are different one another, divided into 3 to 8 eras. The results of analysis by era showed that all textbooks featured jecheon uisik, cultural exchange and Wang Sanak’s geomungo, Mimaji gigaku, Ureuk’s gayageum, Buddhist chant (beompae), Taesangsi, the Akhak Gwebeom, pansori and sanjo, yiwangjik aakbu, and National Gugak Center.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extbook contents and Korean music history from the references, there are details in the textbooks that cannot be found in the references. As for some details, textbooks are more concise and simple, hence easier to understand. But some errors can be also found in textbooks. Third, as a result of this study, I derived several points that require improvements: textbook layout, errors of historical facts, problems with photos, year errors, substantiality of musical institutions, and consistency of terms. As for textbook layout, many textbooks comprise keywords, characters, and cartoon. Though effective in attracting students’ interest, such composition lacks in-depth explanation. To redress this insufficiency, teachers should give sufficient details to students and adopt practices using the 6 capability areas. Regarding the errors in historical facts, I have found major 6 issues and came up with corresponding remedies as follows. First, change the name of Dongye, an ancient chiefdom, to Ye to ensure consistency with Korean history. Second, regarding the sentence “Make pyeongyeong at the Jujongso,” revise the term pyeongyeong to pyeonjong. Third, as many textbooks lack explanation of historical background, taking references from Korean history class will help boost understanding. Fourth, the part that says Korean court music had been dimin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fter several wars required teachers’ additional explanations. Fifth, most of the textbooks describe minyo and nongak as ‘appeared,’ but the correct statements are ‘developed’ or ‘flourished.’ Sixth, Eumseongseo, the first musical institution in Korean history, is described to be installed in the Unified Shilla period, but must be revised as Shilla period.  Problems with photos are four. First, the photo of Cheonjedan of Taebaek Mountain in the ancient times can be confusing, therefore teachers must give additional explanations. Second, the shillageum at the Shoso Repository in Japan is described as the current jeongak gayageum, so it also requires correction. Third, there are some textbooks that feature ‘a woman playing geomungo in Unified Shilla period,’ which is in fact a woman tuning a geomungo, and it is also a paint from Joseon Dynasty. Last, multiple photos are of National Orchestra of Korea, which should be diversified for better education. As for year errors, the western style theater, Wongaksa, was established in 1908, but some textbooks says 1902 and others 1906, thus correction required. Regarding the substantiality of musical institutions, only one textbook features all musical institutions, although such establishments had been the core pillar of our traditional music history. I suggest, in the next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teaching about musical institutions must be included as mandatory. Regarding consistency of terms, different names are used for five musicians on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Unified Shilla artifacts, and Yangju byeolsandae nori. Even experts in this area suggest different terms, so consistency is required to prevent confusion. In conclusion, an in-depth analysis of the 14 types of textbooks shows that some provide with sufficient historical background, music appreciation, and activities, whiles some only focus on activities rather than history, therefore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to help boost students’ understanding. As for issues of textbook materials, I suggest improvement plans in this thesis. In teaching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ers should use this thesis to develop their class materials so that learners would be able to achieve learning goal through proper understanding of history, music appreciation, and activities. Experts should go through considerable discussions about the issues to bring about fundamental improvement.    

      • 과체중 및 비만 임부를 위한 생활습관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최혜경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i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of non‐equality control design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weight gain, dietary habits, fatigue and pregnancy stress, blood pressure, and birth weight after providing a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using Cox's Interaction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 for overweight and obese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women who received prenatal care at A Women's Hospital and B Women's Hospital in J province, they are overweight and obese pregnant women before pregnancy, and there are a total of 52 patients who met the criteria of selection including 2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in the control group. The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12 weeks and consisted of interactions involving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education, information provision, decision control and professional technical skills. The measurement variables were body weight, dietary habits, fatigue and pregnancy stress, blood pressur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neonatal birth weight after delivery was measure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February 1, 2017 to August 31,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in increasing the appropriate weight gain owing to higher rate of the appropriate weight gain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χ²=6.17, p=.013). 2.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had higher eating habit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eating habits(t=1.93, p=.029). 3.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had less fatigue increase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suppressing the fatigue increase in the pregnant women(t=-2.32, p=.012). 4.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was less effective in reducing pregnancy stress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suppressing the increase in pregnancy stress(t=-1.87, p=.034). 5.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atio of normal blood pressur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had no effect on the blood pressure of the pregnant women(χ²=1.45, p=.538). 6.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atio of optimal childbirth rat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did not show any effect on neonatal weight (χ²=1.88, p=.368). Based on Cox's Interaction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 the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contributed to suppressing the excessive weight gain, fatigue and the stress increase in the pregnant perio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gram should be used as an intervention for prenatal care during pregnancy unde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nurses in clinical practice. Second, it suggests that the provision of this program should be extended to pregnant women with high body mass before pregnancy. Third, it suggests follow‐up studies in rela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lifestyle intervention and postpartum weight congruence of th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 17종 초등 음악교과 국악 가창곡의 비교 분석

        위혜정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7th curriculum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and traditional music in the compulsory music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was specifically reflected in the curriculum content. Since then, in the revised curriculum for 2007, 2009, and 2015, 'improving the quality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making Korean music a daily life' were emphasized, resulting in many changes and developments. At this point in time when the importance of our uniqueness is being emphasized and the value of traditional music is being rediscovered, it is very necessary to review the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9-kinds of 3rd and 4th graders and 8-kinds of 5th and 6th graders, focusing on Korean traditional music among the materials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at is currently applied. It was examined whether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making Korean music into daily life' pursued in the curriculum was well ref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raditional music songs included in 17-kinds textbooks are classified into traditional nursery rhymes, folk songs, creative traditional music nursery rhymes, and Jeongga(Peongsijo) appears in 6th grade. More traditional and specialized song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each grade level, and and all 17-kinds textbooks had a unified composition.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hierarchy by grade level and the content system were well maintained. Second, textbooks were compiled in a free structure according to the authorized and approved textbook system, which enabled a variety of learning experiences. However, some publishers still showed a lack of song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n imbalance in the composition of song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problem should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mis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by adjusting the ratio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r supplementing the number of songs for imbalance in composition.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ame songs that are duplicated in 17-kinds textbooks, the contents of the score were different for each textbook. In addition, errors due to indiscriminate differentiation aimed at diversity such as problems with the notation of the 'Peongsijo' melodic score, notation of music, and lack of explanation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notation appeared. In the case of essential content, it is desirable to deliver the content in common use, and prompt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are required. In addition, it was discussed in the main text that it is urgent to produce and disseminate a ‘standard data plan’ that can be referred to when writing ‘elementary education’ books. Gugak is the unique culture of the nation in which the history and traditions of the country are melted. Therefore, in order to accurately convey the esse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s necessary to correct and supplement the confusion and content errors caused by diversification according to the authorized and approved textbook system.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ased on correct information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and succession of our culture. 우리나라 음악 부문 의무 교육과정에서 전통문화와 국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구체적으로 교과 내용에 반영되었던 시기는 7차 교육과정이다. 이후 검인정 교과과정인 2007,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국악 교육의 질적 제고’와 ‘국악의 생활화’가 강조되며 많은 변화와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우리의 고유한 것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며 국악의 가치가 재발견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초등 교과 내의 국악 교육에 대한 내용적 검토는 매우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발행된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수록된 제재곡 중 국악 가창곡을 중심으로 3, 4학년군 9종과 5, 6학년 8종을 비교·분석하였다. 검인정 교과과정에서 추구하는 ‘국악 교육의 질적 제고’와 ‘국악의 생활화’에 따른 방향성이 잘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는데 이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7종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가창곡은 전래동요, 민요, 창작국악동요, 정가(평시조)로 분류되고 있는데, 학년이 올라갈수록 전래동요, 창작국악동요 보다 민요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었으며 정가(평시조)는 6학년에서 출현한다. 각 학년에 따른 이해 수준에 맞게 더욱 전통적이고 전문적인 내용의 곡을 선정하고 있었으며 17종의 교과서 모두 통일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전반적으로 학년별 위계와 그에 따른 내용 체계가 잘 유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과서 검인정 제도에 따라 자유로운 구성으로 교과서가 편찬되며 그로 인해 다채로운 학습의 경험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부 출판사에서 여전히 국악 관련 수록곡의 부족함과 분류에 따른 곡 구성의 불균형을 보여주고 있었다. 부족한 국악 제재곡의 비중을 높이고 곡 구성의 불균형은 분류에 따른 비율을 조율하거나 해당 곡의 수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개선해야 할 것임을 제언하였다. 셋째, 17종 교과서에 중복적으로 수록되어 있는 동일한 곡을 비교하며 분석한 결과 악보에 기재된 내용이 교과서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평시조’ 가락선 악보 기보의 문제점과 악곡의 채보, 편보에 따른 내용의 설명 결핍 등 다양성에 목적을 둔 무분별한 차별화로 인한 오류가 나타나고 있었다. 본질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통용되는 내용으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속한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초등교육용’ 서적을 집필 시에 참고할 수 있는 ‘표준 자료안’의 제작 및 보급이 시급하다는 것을 본문에서 논하였다. 국악은 나라의 역사와 전통이 녹아 있는 유일무이(唯一無二)한 민족 고유의 문화이다. 따라서 국악의 본질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도록 교과서 검인정 제도에 따른 다양화에 의한 혼란과 내용적 오류를 수정, 보완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바른 정보에 의한 국악 교육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나아가 우리 문화의 보존과 계승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시니어 평생교육 음악 프로그램 참여의도의 결정요인 검증 : 계획된 행동이론 관점

        허순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ree component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jzen, 1985, 1991):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elf-esteem; and the motivation and intentions of elderly people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y in lifelong music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intends to analyz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differs according to four cognitive age levels, such as sensory, appearance, activity, and interest. To this end, 368 elderly people older than 65, including 148 men and 220 women, were recruited for an online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form provided by Google.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people's attitude toward lifelong music education programs,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tellectual motivation for leisure activity, ability-mastery motivation, and social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music education programs. However,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ion intention. Second, the negative effect of self-esteem on participation intention was greater in the group with lower sensory ages than in the counterpart. The positive effect of intellectual motivation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was greater in the group with lower sensory ages than the other group. Third, the positive effect of attitude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was greater in the group with higher appearance ages than the lower group. The negative effect of self-esteem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was greater in the group with lower appearance ages than the counterpart. In addition, the positive effect of intellectual motivation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was greater in the group with lower appearance ages than the other.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lderly people’s attitud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y in lifelong music education programs, except for self-esteem, increase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In addition, the research results imply that elderly people’s attitud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elf-esteem, and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y in lifelong music education programs differ according to sensory and appearance ages among the cognitive age types.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eachers instill positive attitudes and beliefs about music programs in the elderly so that they can fully participate in lifelong music education programs and encourage them to believe that they can properly control their behavior to live healthily in old age. 계획된 행동이론(Ajzen, 1985, 1991)이 적용된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음악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계획된 행동이론의 세 가지 구성개념(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과 자아존중감 그리고 여가생활 참여동기가 참여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과 동시에 이들 변수 간의 관계가 네 가지의 인지연령(감각 연령, 외관 연령, 활동 연령, 관심 연령) 수준에 따라 다른지를 분석하는 데에 두었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의 노인 368명(남성 148명, 여성 220명)이었으며, 자료는 구글(Google)에서 제공하는 설문지 양식을 활용하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내적 일관성 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및 다집단 분석을 통해서 처리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층의 평생교육 음악 프로그램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여가생활에 대한 지적 동기, 능력-숙달동기 그리고 사회적 동기는 평생교육 음악 프로그램의 참여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노년층의 자아존중감은 평생교육 음악 프로그램의 참여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둘째, 자아 존중감이 참여의도에 미치는 부(-)의 영향은 감각연령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더 크다. 지적 동기가 참여의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감각 연령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더 크다. 셋째, 태도가 참여 의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외관 연령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더 크다. 그리고 자아 존중감이 참여 의도에 미치는 부(-)의 영향은 외관연령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더 크다. 또한, 지적 동기가 참여의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외관연령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더 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노년층의 평생교육 음악프로그램과 관련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여가생활 참여동기가 자아존중감을 제외하고 이들의 평생교육 음악프로그램의 참여의도를 증가시키며, 평생교육 음악프로그램의 참여의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자아존중감 그리고 여가생활 참여동기 요인의 영향은 인지연령 유형 중에서 감각연령과 외관연령 수준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사는 노년층이 평생교육으로서 음악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이들에게 음악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신념을 심어주며,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 경혈·발반사 요법이 비만여성의 비만도, 혈액지질, 자기 신체상에 미치는 효과

        박심훈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599

        Obesity population is more than 30 percentiles and they are increasing. Obesity causes hypertention, diabitic mellitus, hyperlipidemia and relatie disease. This is a study doing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effect for obese management and verifying it due to grasping the effects of body spots for meridian?foot reflexology on obesity degree in obese women, blood lipid and body image. It was practiced the massage to obese woman three times a week for 8weeks and the finger-pressure three times for 3 seconds once with 3-10kg pressure by pressure-stick or finger on the foot-reflex field including in elongation, ephros, uriniferous alvenus, bladder, cerebrum, thyroid, stomach, pancreas, small intestine, large intestine and backbone of 62 reflex-fields. The period of material collection was from February 11 to April 7, 2008 and I utilized the points of the obesity drgree, blood lipid and body image for the analysis of 19 persons in experiment group and 18 persons in contrast group reistered in J. city Public Health Center for obesity management. Its results are the same as following; 1. Verification of the 1st hypothesis 1) The hypothesis which experiment group received by body spots for meridian?foot reflexology will decrease more in weight than contrast group didn't was supported(U=57.50, p=.00). 2) The hypothesis which experiment group received by body spots for meridian?foot reflexology will decrease more in constitution-quantity indicator than contrast group didn't was supported(U=53.50, p=.00). 3) The hypothesis which experiment group received by body spots for meridian?foot reflexology will decrease more in abdomen girth than contrast group didn't was supported(U=55.50, p=.00). 2. Verification of the 2nd hypothesis 1) The hypothesis which experiment group received by body spots for meridian?foot reflexology will decrease more in cholesterol density than contrast group didn't was rejected(U=137.00, p=.30). 2) The hypothesis which experiment group received by body spots for meridian?foot reflexology will decrease more in triglyceride density than contrast group didn't was supported. (U=63.00, p=.00). 3) The hypothesis which experiment group received by body spots for meridian?foot reflexology will decrease more in LDL density than contrast group didn't was supported. (U=83.00, p=.01). 3. Verification of the 3rd hypothesis The hypothesis which experiment group received by body spots for meridian?foot reflexology will be higher in points of body image than contrast group didn't was supported(U=90.00, p=.01). Through this study, I was able to know that one could change positively the self body-image if he should decrease obesity degree as stimulating the body spots for meridian?foot reflexology and improve the blood lipid indicator. Therefore, in the case of managing the health problem called an obese, the therapy stimulating the reflex-fields of body such as body spots for meridian?foot reflexology will be provided as basic materials necessary to apply more scientific in the future. 비만은 성인 인구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관 리하지 않으면 고혈압,당뇨,이상지질 혈증 등을 유발하는 심각한 건강문제 이다.이에 본 연구는 경혈·발반사 요법이 비만여성의 비만도,혈액지질, 자기 신체상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경혈·발반사 요법은 경맥과 낙맥이 만나는 경혈점을 자극해서 인체의 기(氣)흐름을 원 활히하여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경혈 자극과 발바닥과 발등에 존재하는 반 사구를 자극하여 몸의 오장육부를 튼튼하게 하는 발반사 자극을 통칭하는 중재로 지압봉이나 손가락,손바닥,손등을 이용하여 문지르고 쓰다듬고 누 르고 자극하는 방법을 주3회씩 8주 동안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8년 2월 11일부터 2008년 4월 7일까지였고,J시 보건 소에 비만관리를 받기위하여 등록한 실험군 19명,대조군 18명의 비만도,혈 액지질,자기신체상 점수를 전·후 조사 하였다.자료의 분석은 SPSSWIN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백분율,표준편차,Kolmogorov-Smirnovtest, Shapiro-wilk'stest,Chi-sqauretest,Mann-WhtneyU test를 실시하였다.그 결 과는 다음과 같다. 1.제1가설 검증 1)경혈·발반사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몸무게가 감소할 것이다는 가설이 지지되었다(U=57.50,p=.00). 2)경혈·발반사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체질량지수가 감소할 것이다는 가설이 지지되었다(U=53.50,p=.00). 3)경혈·발반사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복부둘레가 감소할 것이다는 가설이 지지되었다(U=55.50,p=.00). 2.제2가설 검증 1) 경혈·발반사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할 것이다는 가설이 기각되었다(U=137.00,p=.30). 2) 경혈·발반사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중성지방 농도가 감소할 것이다는 가설이 지지되었다(U=63.00,p=.00). 3) 경혈·발반사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저밀도 지단백 농도가 감소할 것이다는 가설이 지지되었다(U=83.00,p=.01). 3.제3가설 검증 경혈·발반사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기 신체상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가설이 지지되었다(U=90.00,p=.01). 본 연구에서 경혈·발반사 요법은 비만여성의 비만도와 혈액 지질을 감소 시키고,자기 신체상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따라서 앞으로 비만이라는 건 강문제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경혈·발반사 요법은 비만여성의 비만도,혈액 지질,자기 신체상 개선을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 중국 초중고등학교 음악 교육과정 개념틀 개발 연구

        등소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캐나다, 독일 및 미국의 음악과 교육과정 문서들을 분석하고, 그 결 과에 기초하여 중국 초.중.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개념틀을 설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과 4개 국가의 음악과 교육과정 문서들이 수집되었다. 수집된 문서들은 내용분석을 통해 각 국가의 교육과정 배경, 교육과정 문서의 구성체제, 그리고 음악과 교육과 정 등으로 분류되었다. 국가별 비교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중국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적합한 역량중심의 음악과 교육과정 개념틀을 설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중국의 초.중.고등학교 음악교육의 주요 목적은 학생들이 음악관련 학습활동을 통해 다 양한 음악적 지식을 비롯하여 인지적 및 실천적 기술뿐만 아니라 삶에 필요한 핵심역 량으로서 다양한 사회.심리적 기술을 발달시키는데 두어야 한다. 둘째, 중국의 초.중.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개념틀에서는 음악교과의 목적, 음악 교과역량, 내용지식 및 주요 학업 성취기준이 구성요소로서 제안되었다. 특히, 역량중심 음악과 교육과정은 음악교과의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역량뿐만 아니라 여러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범교과적 역량들이 제시되는 것이 필요하다. 교과 역량과 범교과적 역량을 교육 목적에 제시하는 것은 음악교과가 추구하는 핵심역량을 설정하 는데 중요한 기초가 되며, 음악교과의 내용지식과 성취기준을 포함하여 역량 중심 음 악과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그 방향을 잡아주기 때문이다. 셋째, 중국의 초.중.고등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음악 교과역량은 음악적 지식과 기술, 태도가 통 합적으로 발달되는 기술이다. 음악수업에서 학생들의 핵심역량은 따로따로 발달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음악과 교육과정 개념틀에서는 음악 교과 역량과 범교과적 역량을 모두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넷째, 중국의 초.중.고등학교 음악과 교육목적은 국가 수준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서 강조하 고 있는 모든 구성요소를 반영해야 한다는 점에서 학교 음악교육의 목적에 부합되는 핵심역량과 내용지식이 반드시 기술되어야 한다. 다섯째, 중국의 초.중.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교과의 핵심역량과 교과 내용지식은 상 호 밀접하게 연관되어야 하고, 학생들의 성취기준도 학년별에 따라 음악 교과역량과 관련시켜 세부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음악수업에서 학생들이 성취해야 하는 교과역 량은 교과 내용지식과 성취기준과 연관되어 설계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중국 초.중.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개념틀은 무엇보다 국가 수준의 범교과 핵 심역량에 근거하여 학교 음악교육의 목적, 핵심 교과역량, 교과 내용지식 그리고 성취기준을 상호 밀접하게 연계시켜 설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행 중국 초.중.고등학교 음악과의 교과 내용과 구성요소 및 성취기준 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음악교사에게는 핵심역량 중심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절차를 제공하며 중국 학생들이 교과 핵심역량을 발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As an exploratory research for designing school music curriculum framework in Chin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eral music curriculum framework on the basi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propelled by the government of China since 2011. For this purpose, many types of curriculum documents and national or state music curriculum published in China, England, Canada,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 music curriculum.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guidelines for designing the 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 framework appropriate for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of China. First,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China is to develop not only cognitive and practical skills, but also various social psychological skills for successful life including different forms of musical knowledge through music education. Second, the objective of music education, subject-specific competency, content knowledge, and student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re suggested as core components of music curriculum framework for Chinese students. Especially, 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 is needed to provide not only core competency for achieving the objectives of music education, but also cross-curricular competency developed in different subjects. Describing both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y and cross- curricular competency in the objective of education is based on setting core competency in music education and helps design the competency- based music curriculum including the content knowledge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music education. Third, the music-specific competencies for Chinese students are skills that music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re holistically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music classes have the interrelated factors, so that the curriculum design in music should consider all of the subject-specific and cross-curricular competencies. Forth, the objectives music education in China should include key components that the contemporary curriculum and China’s national curriculum have been emphasized. It requires core competency and content knowledge suitable to the objectives of school music education in China. Fifth,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y and content knowledge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curriculum in China should b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Chinese students’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described in enough detail to grades in relation to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y of music.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y of music that students must achieve should be designed in connection with content knowledge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music curriculum. In conclusion, music curriculum framework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ina should be designed such that the objectives of school music education, core competency, content knowledge,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national-level cross-curricular competency.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contents, compon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school music curriculum in China should be reexamined. Chinese government should provide music educators with procedures that they can efficiently manage key 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 and develop useful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enhancing students’ key competencies through school music education.

      • Read Aloud가 EFL 초등학생의 영어 능숙도와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김남희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언어 습득에 있어 읽기 능력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오늘날과 같은 정보화 시대에 가장 중요한 의사소통 능력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읽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학습 방법 중 하나가 Read Aloud라 할 수 있으나(허선영, 2017), 아직 우리나라의 학교 수업시간에는 Read Aloud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은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이하 EFL) 즉, 교실 밖에서는 영어가 상용되지 않는 외국어로서의 영어를 학습하는 환경에서는 부족한 언어 자극 요소의 해결과 학생의 학습 흥미 및 동기의 유발을 위하여 Read Aloud를 활용한 자기 주도적 수업 운영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동화책을 활용한 Read Aloud 기법이 학생들의 영어 능숙도와 읽기 흥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한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 학생이 참여하였고, 학년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를 설계 및 진행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업시간 40분 중 20분을 할애하여 5주 동안 총 10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고, 그 중 실험집단만 Read Aloud를 활용한 수업을 적용하여 운영하였다. 사전 및 사후 영어 능숙도 평가와 흥미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영어 능숙도의 경우 PELT Jr.와 선행연구, 흥미도 검사지의 경우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각각의 결과는 모두 사전·사후 t-검증과 변량분석, 공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교사의 사후 인터뷰를 통해 연구의 질적인 결과를 보완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ead Aloud는 4학년의 영어 능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읽기 영역에서 가장 큰 유의미한 평균값의 향상을 보였다. 이는 초보 학습자들이 반복적인 언어 노출을 통해 문맥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Read Aloud는 6학년의 영어 능숙도에도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특히 어휘 영역에서 가장 큰 유의미한 평균값의 향상을 보였다. 이는 다양한 어휘에 반복 노출됨으로써, 새로운 어휘가 자연스럽게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Read Aloud는 정의적 영역에서 크게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왔고, 4학년과 6학년 모두의 흥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학년과 무관하게 Read Aloud가 학습 동기 및 흥미를 유발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교사 인터뷰를 통해, 동화책을 통한 Read Aloud 활용으로 4학년의 읽기 자료에 대한 관심과 자기 주도 학습 의지의 향상을, 6학년의 어휘 학습의 폭을 넓히고 학습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Read Aloud는 EFL 초등학생들의 영어 읽기에 대한 흥미를 진작시키고, 읽기 능력뿐만 아니라 어휘 습득에도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어 능숙도의 결과에 있어, 학년별로 서로 다른 세부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음을 확인한 바,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교수·학습법의 적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EFL 초등학생의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시켜 지속적인 자기 주도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영어 동화책을 활용한 Read Aloud 기법의 수업 활용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ad Aloud on English proficiency and reading motivatio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also attempts to highlight whether EFL learners can improv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which can provide an environment for continuous exposure to language using Read Aloud. For this purpose, Read Aloud with English storybooks was performed on 87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Instrumentation includes proficiency tests in vocabulary, reading, and writing, and survey questionnaires. Tests and survey results were further triangulated with the interview data by teachers. For the data analysis, ANOVA, ANCOVA, and t-test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erms of proficiency, Read Aloud had a positive impact both on the 4th and 6th graders. Especially in the 4th grade, English proficiency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reading domain. This is because students naturally understood the overall context of the story book in the process of doing Read Aloud. 6th graders showed the greatest improvement in English vocabulary. This is because students are repeatedly exposed to various vocabulary in the process of Read Aloud, where they can memorize and understand the meaning while understanding the context. 2) Read Aloud has a positive impact on both grades reading motivation, especially in the affective domain showing the greatest significant improvement. The results eventually show that Read Aloud plays a role in motivating learning language regardless of students’ grade. This study finds out that Read Aloud can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Korean EFL students are constantly exposed to English. In addition, students can improve their English proficiency through Read Aloud, becoming interested in reading and active in learning. This eventually enables students to learn self-directedly, indicating the need for proper use of Read Aloud in elementary school class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