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업무환경과 정서노동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현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Environmental changes of society made women in the traditional role which toddler nursery is weaken than past years. And this Change made needs of child care facilities for day-care. In addition, the recent discussions and policy are having free child care due to the increased needs of child care facilities. Social change evoked quality child care services increases the level of desire for more. Child-care teachers spend a lot of time together during the day, with most infants became infants and emotional activities, in the interest of the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by one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as the core service delivery. Burnout will decreas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as a result, catastrophic consequences. This research is a child-care teacher's work environment and emotional labor’s affect on burnout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Results are as follow : First,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observed more than average. They have experienced emotional labor. Second, Their Burn-out was observed more than average, exhaustion was more than average others were not, Child-care teacher have experienced burn-out, too. Third,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eacher’s marriage, role-onflict, work-load, work-surface and work-inner sight were significant on exhaustion. Effects of Significant variables for cynicism were marriage, role-conflict, natural work, work-inner sight, work-surface.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had income, work-load were significant and tree of emotional labor’s factors were significant, but natural-work had negative effect. Implications from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Number of teachers in a kindergarten need to increase. this intervention will be reduce teacher’s work-load. And teacher’s stress-management-program between teachers and teachers set up, too. Second, have to keep on our eyes on emotional work of child care teacher. We did not have attention of it before but, in this study had observed it. A cause of burn-out is emotional work, exhaustion was observed, to prevent exhaustion researcher propose sabbatical vacation. Finally, limitations of study is study use convenience sampling. Results are not going to generalize. Key words : Child-care teacher, Burn-out, Emotional work, Work-environment. 사회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여성인력의 사회진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전통가정에서 여성의 일로 받아들여져 왔던 가정 내 영유아의 보육기능이 약화되고 이에 따라 영유아보육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였다. 또한 최근의 무상보육과 관련한 논의 및 정책의 시행으로 인하여 보육시설이용에의 욕구가 더욱 증대될 것이다. 사회적 변화와 함께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인간의 삶의 질에 대한 욕구 및 욕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양질의 보육서비스에 대한 욕구는 더욱 증가하였다. 양질의 보육서비스 제공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서비스 제공 주체는 보육교사이다. 보육교사는 영유아와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같이 지내며 영유아와 정서적인 활동을 함으로써 영유아의 신체적·정서적 발달을 도모하는 사람으로서 보육교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은 영유아기 아동에게 높은 수준의 영향을 주게 된다. 보육교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이 낮다면 영유아에게는 치명적인 결과가 될 수도 있다. 이렇듯 보육서비스의 제공 및 그 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가 보육교사이기 때문에 보육교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있어 왔으며 특히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소진현상은 보육교사가 제공하는 보육서비스의 질을 낮추는 것으로 많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증명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업무환경과 정서노동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보육교사의 소진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보육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보육교사들은 평균보다 높은 수준의 정서노동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소진수준을 알아보았다. 보육교사의 소진은 정서적 고갈이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비인격화와 개인의 성취감 저하는 평균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 중 결혼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역할갈등과 업무량의 업무환경요인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정서노동의 변수는 자연적 행동을 제외한 표면적 행동, 내면적 행동 두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비인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육교사의 결혼여부와 역할갈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정서노동은 자연적 행동, 내면적 행동, 표면적 행동의 세 변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대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의 마지막 요인인 개인의 성취감 저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소득과 업무량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노동의 세 가지 요인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중 자연적 행동은 통계적으로 소진에 부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종합하자면 보육교사의 정서적 고갈에 강력한 가장 영향력을 가진 요인은 업무환경요인인 역할갈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진의 다른 하위요인인 비인간화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가진 요인은 정서노동인 표면적 행동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성취감 저하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요인은 자연적 행동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소진에 정서노동이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역할갈등과 정서적 고갈, 표면적 행동과 비인간화는 정의 영향관계로 나타났으며 자연적 행동과 개인의 성취감 저하는 부의 영향 관계로 나타나 보육교사의 정서노동 중 자연적 행동은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요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업무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보육교사가 느끼는 과중한 업무량은 업무분장에 의하여 해결할 수 도 있으나 절대적인 노동력의 수로 해결하는 방법도 있다. 따라서 정부차원에서 보육교사 인건비를 현실화 하고 보육시설당 보육교사의 수를 늘리는 차원의 정책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역할갈등의 문제는 보육시설 원장과 보육교사 보수교육 등을 통하여 계속해서 해결해야 할 부분이다. 이들에 대한 보수교육을 통하여 영유아 보육에 대한 보수교육만이 아닌 동료 간 스트레스 조절 교육 등을 실시하여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보육교사 보수교육 프로그램에 스트레스 조절 프로그램을 신설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대한 관심이다. 보육교사는 돌봄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노동을 제공하고 이는 정서노동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정서적 고갈은 정신적 에너지의 고갈을 의미하는데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정서적 고갈의 정도가 보통보다 조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정신에너지의 고갈이 관찰된 것으로 보육교사 안식휴가제도를 정부차원에서 도입하여 이를 통해 보육교사가 안정적인 정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은 서울시 강남구에 소재한 보육시설의 보육교사만을 대상으로 유의표집한 결과로 일반화 시킬 수 없는 연구라는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후속연구에는 이러한 점이 보강되어 보육교사에게 일반화 시킬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주요어 : 보육교사, 소진, 정서노동, 업무환경

      • 지적·자폐성 장애자녀의 평생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김미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에 거주하는 지적∙자폐성 장애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장애자녀를 위한 평생계획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평생계획의 수준과 욕구 및 평생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부모가 평생계획 수립에 어려움을 겪는 원인을 파악하고, 평생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양천구내 지적∙자폐성 장애자녀를 둔 부모이고 특수학급, 장애인복지관, 보호작업장, 주간보호센터, 부모회 등 유관기관을 통하여 유의표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128부를 회수하였고, 응답이 불성실한 1부를 제외하고 총 127부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집단간평균비교, 다중회귀분석(step-wise))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양천구내 지적∙자폐성 장애자녀의 평생계획실태를 알아본 결과 주거계획은 주거계획이 있는 경우 현재사는 집(34.3%), 영구형 그룹홈(25.7%)로 나타났으며 주거계획이 없는 경우 자녀의 주거계획에 대한 뚜렷한 방안이 없을 것 같다는 응답이 67.3%로 높게 나타났다. 재정계획은 개인적금 및 신탁(40.3%), 장애자녀 부모공동적금 및 신탁(37.%)순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재정계획이 없는 경우는 자녀에 대한 뚜렷한 방안이 없는 것 같아서(47.3%),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어서(36.%)로 나타났다. 법률계획은 후견인으로 지정하고 싶은 사람으로 사회복지전문가(37.7%), 비장애자녀(22.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법률계획이 없는 이유도 여타 다른 평생계획과 마찬가지로 자녀에 대한 뚜렷한 방안이 없는 것 같아서(51.4%)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혼계획은 결혼을 시키지 않을 이유로 결혼생활자체가 불가능 할 것 같다는 응답이 (57.1%)로 나타났으며 결혼계획을 세우려 해도 배우자 선정문제(41.4%), 생활비 마련 등 경제생활문제(36.9%)가 결혼의 걸림돌로 나타나 장애자녀의 결혼계획수립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장애자녀의 평생계획논의를 하는 주기가 연 1회 이상(40.9%)로 미약한 수준의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논의를 하는 대상으로는 자조집단(34.8%), 배우자(34.4%)로 나타났다. 자녀의 평생계획과 관련하여 사회복지사와 상담하고 싶다(25.5%), 장애자녀를 가진 부모들, 배우자(20.9%)의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전문상담기관이 매우 필요하다가 전체의 79.4%로 나타나 장애자녀 부모가 전문가 집단을 통하여 장애자녀의 평생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부담, 가구소득, 자녀수가 주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재정계획에는 가구소득과 장애등급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률계획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장애자녀 부모 중 모의 학력으로 나타났으며 결혼계획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장애등급, 신체적부담, 전문가지지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지적∙자폐성 장애자녀의 평생계획을 위한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계획의 중요성을 가족과 당사자가 함께 인식하고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와 친화적인 방식의 거주환경과 거주유형이 마련되어야 한다.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에 적합한 지역사회기반의 거주환경이 마련되고 당사자와 가족이 선택할 수 있는 지역사회 거주유형이 다양화된다면 주거계획을 좀 더 현실적으로 준비하고 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장애자녀의 안정적인 소득보장을 위한 직업지원이 선결되어야 한다. 넷째, 지적∙자폐성 장애인의 법적보호를 위한 장애인성년후견제의 현실적인 제도 시행이 필요하다. 다섯째, 장애자녀 평생계획에 관한 인식을 강화하는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여섯째, 장애자녀의 평생계획을 위하여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다각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주제어 : 지적∙자폐성장애, 평생계획, 주거계획, 재정계획 This study is about to know Mental Retardation ․ Autism children's permanency planning whom live in Yang-chun district, Seoul. Purpose of study, which is to realize Mental Retardation ․ Autism children's actual conditions of permanency planning and to figure out factors which are interfering with building up permanency plan. Target of the study is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 Autism children who live in Yang-chun district, Seoul. For study, survey executed with non-random sampling(purposive selection) and then 127cases were collected. Analysis tool was SPSS 18.0 and frequency, cross-tab, t-test,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ysis were execut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ousing plan is house which they live(34.3%), permanent group home(25.7%) were present. other cases (housing plan did not build up) present that "there are no way to housing plan for help my children" is 67.3%.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number of children, social burden, family income are significant. Second, finacial plan present trust-fund(40.3%) and savings(37.0%). other cases(financial plan did not build up) present that "lack of money"(36.0%).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rate of disability, family income are significant. Third, legislation plan, Parents want to appoint guardian of their child is social work profession, other child(who does not have disability). In case of no guardian ship present "there are no way to legislation plan for help my children".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school years of mother is only significant. Forth, marriage plan, parents answered "marriage is impossible(51.7%)" and if they want to marry there will be problems to select children's groom(bride) present 41.4%..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support from profession, rate of disability, physical burden are significant. Last, Needs for permanency planning is counseling with profession(25.5%) and professional counseling depart is shown 79.4%. almost of them are not having professinal counseling. they discussed with help-group.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family and children have to know importance of permanency plan by profession's support. Second, community friendly housing environment and housing type is needed. In normalization paradigm, community friendly housing is important and it is going to provide more specific housing plan for family. Third, job for income security of disability children have to bo beforehand. Forth, a statutory guardian have to institutionalize for legislation protect of disability children. Fifth, parents education for understanding of permanency plan is need. Last, groping empowerment of social support for permanency plan. Keyword : Permanency Planning, Mental Retardation ․ Autism, housing plan, financial plan, legislation plan.

      •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의 매개효과

        한지윤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연구는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 청소년 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0’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중학교 1학년 1차년도 자료 중 결측치를 제거한 2,3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 and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통하여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는 청소년의 행복감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은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test를 실시한 결과 P<0.001 수준에서 부분매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

        서지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장애정체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대학생활 적응의 향상을 위하여 사회적 지지와 장애정체감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지지는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장애정체감은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사회적 지지와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장애정체감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연구 대상자는 서울·경기 지역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장애대학생 117명이며, 우편설문과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과정과 오류검토 작업을 실시한 후, PASW 18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모두 대학생활 적응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전체적인 사회적 지지의 정적 영향은 장애대학생이 높은 수준의 사회적 지지를 가지고 있을수록 자신의 대학생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림으로써 대학생활 적응의 질이 향상됨을 보여준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장애정체감도 대학생활 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대학생이 높은 수준의 장애정체감을 가지고 있을수록 자신의 대학생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함으로서 대학생활 적응의 수준이 향상됨을 보여준다. 세 번째 연구문제인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장애정체감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인들과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장애정체감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소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모두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장애정체감은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적응, 일반적 적응과의 관계에서만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적 지지를 강화함으로써 장애정체감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장애대학생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회적 지지체계를 발굴 및 연계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상사의 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세형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of turnover intentions of social workers also analyz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real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is to determine the factors. In reality, our country turnover of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is happening frequently. Moreover, in the case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 negative effect of turnover on the organization-wide severe impact than other organizations because it commanded a whole turnover of social workers on the environmental impacts surrounding the empirical analysis of social workers to lower turnover intentions is to find ways. In this study, Social Welfare Center in Seoul, Disabled Welfare Center, the elderly welfare, child-related organizations, corporate foundations, co-raisers, Social Welfare Council to engage in a total of 29 institutions selected for sampling bias by social workers, social worker’s job stress, emotional labor, the leadership of the firm also affects the turnover of the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nder the hypothesis. As a result, the unmarried than the married woke shown that a high degree of turnover, you need to provide for my family with a burden for a more stable life than singles looking to lower turnover intentions are estimated. College graduates than graduates of the university have higher turnover intentions woke, increased complaints about working conditions, better working environment to one that you're going to see hope. Social workers who work in the area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turnover intentions appear to be higher than the disabled welfare center, a lot of the work of social workers with a high degree of turnover is considered. Social workers also affects the turnover of the firm's leadership and job stress factors which indicate that the firm's leadership shone lower, the higher the job stress was higher turnover intentions. The turnover of social workers 'emotional labor also found that does not affect the wake, which is due to the social workers' professional vocation conscious customers, clients versus the stress of the vast emotional labor that occurs directly affect turnover intention can not do. The complaints about the firm's leadership and the degree of job stress increases the degree of emotional labor turnover intentions did not offset the impact on the look of a guess. On the basis of an analysis of these studies also reduce the turnover of social workers, plan for improving efficiency are as follows: First, it is appropriate for the changing environment, the firm's leadership in social work is required. Second, a social worker for the excessive burden will require a realistic alternative. Limitations of this study also surveyed our country is full of social workers is not a limitation in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generalized. Turnover and virtually the only one social worker turnover is not a substitute for the target variable,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use of thresholds to determine whether a direct turnover has. In a follow-up study of actual turnover of experienced social workers targeted for turnover and turnover intention of affecting a variety of detailed studies on factors that the proposal should be made by.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이들의 이직의도에 실제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있다. 현실적으로 우리나라 사회복지시설에서 사회복지사들의 이직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더욱이 사회복지조직의 경우, 이직이 조직차원에서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다른 조직보다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을 둘러싼 환경적 영향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낮추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소재한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종합복지관, 노인복지관, 아동관련기관, 기업재단, 공동모금회, 사회복지협의회 등 총 29개 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 편의표집으로 선정하여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상사의 리더십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아래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혼자보다는 미혼자의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혼자의 대부분이 가족을 부양해야하는 이유로 보다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미혼자보다는 낮은 이직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전문대 졸업자의 이직의도가 대학교 졸업자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 역시 학력이 낮을수록 근무환경에 대한 불만이 높아 보다 나은 근무환경에서 일하기를 희망한다고 볼 수 있겠다. 장애인복지관보다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업무가 과다하다하여 이직의도가 높게 나왔다고 판단할 수 있겠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상사의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상사의 리더십이 낮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복지사의 직업적 소명의식으로 인해 고객 즉, 클라이언트를 대하는데서 발생하는 감정노동의 스트레스는 직접적인 이직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또한 상사의 리더십에 대한 불만이나 직무스트레스의 정도가 높아 감정노동의 정도는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상쇄시키지 않았나하는 추측을 해 본다. 이러한 연구 분석을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줄이고,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화하는 사회복지환경에 적합한 상사의 리더십이 요구된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과도한 업무 부담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우리나라 전체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 아니므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이직한 사회복지사만이 대상이 아닌 이직의 대용변수인 이직의도를 사용함으로써 직접적인 이직여부를 확인하는데 한계점을 갖는다. 후속연구에서는 실제 이직을 경험한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이직과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세부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이뤄져야함을 제언한다.

      • 청소년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나승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amily, peer and stress factors affecting juvenile smoking, seek ways to decrease juvenile smoking, which cause negative effect on teenager'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present suggestions for healthy life management. Accordingly,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juvenile smoking surveys were conducted and completed by teenagers using 6 welfare centers, 2 youth centers, 1 youth shelter and teen reading room located in Gangnam-gu and 248 survey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youth smoking rate of the surveyed teenagers were higher than the youth smoking rate of 2010. Therefore, to decrease smoking active programs that put regional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are in need. Second, students with amicable relationship with his or her patron(family) have shown low smoking rate. Hence, programs that strengthen intimacy within family members should be positively applied in order to reduce juvenile smoking. Third, regarding peer relationship, teenagers who associate themselves with local friends than schoolmates have shown higher smoking rate and students with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school life have low smoking rate. Thus, various programs to raise teenager’s school life satisfaction level should be implemented and devices such as creating entertainment culture which the students can enjoy within school boundaries is necessary to decrease the unregulated time outside school fence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teenagers experience stress from sexual problems the most and the stress factor, which influences smoking the most, was school problems. Thus, a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n grade assessment should be made which will enable evaluation from more diverse aspects and in order to decrease stress occurring from school problems a program for quality improvement of teachers and programs to betterment of peer-relationship are found necessary. Based on above results plans like below could be suggested to reduce juvenile smoking. First, results suggest the influence of family, peer and stress on youth smoking and to reduce juvenile smoking continuous cause analysis should be done. Second, application of programs that assist in forming healthy peer relationship is needed and political and institutional plans, which promote easier access to various leisure programs, should be sought. Third, continuous observation and education should be done to prevent secondary problems related to juvenile delinquency of the smoking youth. Fourth, to solve juvenile related problems social welfare approach(individual, group) and social welfare role(counselor, curer, defender, mediator, etc.) are demanded. Through this, fundamental plans to solve youth problems could be sought. Lastly, social climate on education policy focused not on entrance to universities but on character development education is necessary. Therefore, youth will acquire upright character which will lead to a development of healthy society. Key words: smoking, youth, juvenile smoking, drug, social-environmental factor, stress 본 연구는 청소년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로 가족요인, 친구요인, 스트레스요인이 청소년 흡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보고, 청소년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 흡연 감소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보다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강남구 소재 복지관 6개소, 청소년 수련관 2개소, 청소년 쉼터 1개소, 청소년 독서실 1개소를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48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청소년 흡연율이 2010년 전체 청소년 흡연율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흡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보다 적극적인 방안들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흡연에 있어 보호자(가족)와의 관계가 좋은 학생들이 흡연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 흡연을 줄이기 위하여 가족을 대상으로 친밀성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개발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구관계에 있어 학교친구보다는 동네친구들과 어울리는 학생이 흡연율이 높게 나타났고, 학교생활에 만족도가 높은 학생이 흡연율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학교생활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놀이문화를 학교내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여 학교 밖에서 통제되지 않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장치들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받는 스트레스는 성적문제로 나타났고, 흡연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은 학교문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적 평가 적용에 대한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성적을 평가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며, 학교문제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교사의 자질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교우관계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제도적인 보완장치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청소년들의 흡연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 하였다. 첫째, 연구결과 청소년 흡연은 가족, 친구, 스트레스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음으로 보다 청소년 흡연에 대한 지속적인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건전한 친구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하며,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에 대하여 청소년들이 쉽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제도적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흡연을 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는 청소년 비행과 관련된 2차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찰과 교육을 하여야 한다. 넷째, 청소년문제해결을 위한 사회복지학적 접근 방법(개별, 집단)과 사회복지적 역할(상담가, 치료자, 옹호자, 조정자 등)이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청소년의 문제 해결에 대한 근본적인 대안들을 모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대학 진학을 위한 정책이 아닌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정책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가 필요하다. 그럼으로써 청소년들의 올바른 인성을 가지게 되며, 건강한 사회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 조손가정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양육보상감을 조절효과

        고건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ABSTRACT The Effects of Grandparents' Parenting Stress on Life Satisfaction -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compensation -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KO Geon Advised by Professor KIM, Ju-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adjustment effect of child rearing compensation in rel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rearing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grandparents in grandparents' grandpar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15, 2020 to May 15, 2020, and the methods of collection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principals of the day care centers, the grandparents of the grandparents of the grandparents of the grandparents of the grandparents who are using daycare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155 were collected, excluding 45 questionnaires that were unresponsive and failed to retrieve. Second,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00 grandparents who had experience supporting their grandchildren, and 8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excluding 26 non-response ones. A total of 239 people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living satisfaction was confirmed, and the higher the parent stress, the more negative the effect on living satisfaction. Daily life care stress, a sub-variety of parenting stress,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and daily child care stress had the most negative impact on subjective economic satisfac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compensation and living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higher the parenting compensation, the more positive the life satisfaction. Psychological compensation has been shown to have the greates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compensation has the greates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economic satisfaction. Third,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compensa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child rearing stress on life satisfaction can be said to be effective in controlling child rearing compensation.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the lower the life satisfaction level, and the higher the parenting compensation means less the effect of the child care stress on the living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the lower the parenting stres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and the lower the parenting compensation, the greater the impact of the child care stress on the living satisfaction. Therefore, regular counseling and professional case management are needed for grandparents who support their grandchildren. A professional family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proper service intervention in various environments and various problem situations of the grandparents' famil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cial resources that can enhance the capabilities of grandparents through professional education. This will enable effective intervention in the problems experienced by the grandparents. Key words: life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compensation, grandparents, grandparent-grandchild family. 국문초록 조손가정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양육보상감의 조절효과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고 건 지도교수 김주일 본 연구는 조손가정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양육보상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조사는 2020년 4월 15일부터 2020년 5월 15일까지 시행하였으며, 수집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님들의 협조를 통해 수도권 내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조손가정 주 보호자 조부모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 가운데 무응답 및 회수하지 못한 45부의 설문지를 제외 후 155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둘째, 온라인조사는 손자녀를 부양한 경험이 있는 조부모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무응답 26부를 제외한 84부의 설문지가 수집되었다. 이에 총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일상생활 양육스트레스가 주관적 건강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 양육스트레스가 주관적 경제만족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보상감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는 양육보상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보상감이 주관적 건강만족에 가장 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보상감이 주관적 경제만족에 가장 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육스트레스와 양육보상감의 상호작용항이 생활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양육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양육보상감을 조절효과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양육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생활만족도는 낮아지며, 높은 수준의 양육보상감은 양육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양육스트레스가 낮아질수록 생활만족도는 높아지며, 낮은 수준의 양육보상감은 양육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증가시킨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손자녀를 부양하고 있는 조부모들에 대한 정기적인 상담과 전문적인 사례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조손가정의 여러 환경과 다양한 문제 상황에 적절한 서비스개입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가족 지원체계가 성립되어야 한다. 전문적인 교육을 통해 조부모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사회적 자원들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조손가정에 경험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 효과적인 개입이 가능할 것이다. 주요어: 생활만족도, 양육스트레스, 양육보상감, 조손가정, 조부모

      •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케어매니지먼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임소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우리나라는 고령이나 치매, 중풍 등으로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제5의 사회보험인 노인장기요양보험을 도입하였다. 케어매니지먼트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의도하는 서비스의 통합성을 확보하고 수발의 연속성을 보장하며, 적정 급여 이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도 시행 후 경증자의 서비스 욕구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고, 장기요양기관의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수급자에게 필요 이상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상황은 케어매니지먼트의 필요성을 더욱 증대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케어매니지먼트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케어매니지먼트에 관련된 연구와 이론들을 검토하여 효과적인 케어매니지먼트를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케어매니지먼트 수행 기관의 적합성, 케어매니지먼트 과정의 충실성, 케어매니저의 전문성으로 정리하고 연구의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그 다음으로 분석틀을 기준으로 현행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케어매니지먼트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케어매니먼트 수행 기관의 적합성 측면에서 수급자와 등급외자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수행 주체에 대한 법적 규정이 부재하여 수급자와 등급외자, 장기요양서비스와 지역사회복지서비스가 단절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일원화된 케어매니지먼트 수행 기관이 설치되어야 하며, 이 기관은 공적 성격의 기관으로 지역밀착 통합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케어매니지먼트 과정의 충실성 측면에서 충분한 욕구사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대상자의 욕구를 반영하지 못한 케어플랜이 작성되고 있다. 이로 인해, 케어플랜 실행 시 케어플랜의 내용을 기초로 하지 않은 서비스 이용이 초래되고 있다. 등급외자의 경우, 단편적인 서비스 연계만 이루어질 뿐 케어매니지먼트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인테이크, 사정, 케어플랜 작성과 실행, 점검 및 재평가 각 단계의 과업에 충실한 케어매니지먼트가 이루어져야하고 적절한 ‘이용자 중심의 케어매니지먼트’ 수행되어야 하며, 등급외자를 위한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예방급여가 신설되어야 한다. 셋째, 케어매니저의 전문성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아직 케어매니저에 대한 법적 자격 기준이 없으며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기요양관리요원이 케어매니저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들은 케어매니지먼트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실무 경험이 미흡하고 1인당 100명이 넘는 대상자를 관리하고 있어 전문적인 케어매니지먼트를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케어매니저 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국가시험에 의한 자격 부여가 바람직하며 1인당 적정수의 대상자를 관리하도록 해야 한다.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케어매니지먼트 기대효과는 대상자의 욕구에 적합한 서비스를 연계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고 한편으로는 대상자의 건강 악화를 예방함으로써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안정을 도모한다는데 있다. 따라서,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케어매니지먼트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기대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we improve the current care management system in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Recently,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as part of the fifth social insurance for supporting the old who are difficult to perform daily activities by themselves due to old age, dementia, stroke, and other factors. The care management which is the special program of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play as an important role through providing the unity of service, the continuity of care and utility of proper benefits. The needs for the care management have increased as a result of that requirements of non-serious care service and the excessive competition between suppliers of long term care service dramatically rose u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ways of improvement on the care management policy, this study employed the analysis frameworks which involved in the effective care management requirements such as the suitability of care management agency, the fulfillment of the process in care management and the professionalism of care manager after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s of the care management in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ed the proper solutions for the current problems of the care management have been searched by the analysis frameworks.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follow as below. First, this study with perspective on the suitability of care management agency found that the each service for the beneficiary, the excepted subjects from grade, the long term care and regional social welfare operated independently without control and management of united authority which supported by the legal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united public institute for the care management and perform the integration of regional service. Second, this research with respect to the fulfillment of the process in the care management found that the care plan did not fully reflect and meet the customer’s needs. Consequently, the care service resulted in the mismatch with care plan contents. For instance, the excepted subjects from grade did not take the full care management but connected only to partial service. So, this paper suggested the customer oriented care management which follows and satisfies the steps; in-take, assessment, plan, perform, control and feedback. In addition, this paper claimed to build a new preventive benefit for the excepted subjects from grade under the long term care system. Finally, this paper with view on the professionalism of the care manager came up with that the long term care agency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work as a care manager because there is no requirements in the legal system. However, they did not only have enough knowledge and practical experience to provide professional care service but also overloaded too many people at least 100 to take care. Therefore, this paper insists on that the government need to introduce the public license or certification for qualified and professional care manager. And the care manager has to take care of the reduced number of people. In conclusion, the care management in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is reinforced to accomplish the financial stability and effective operations through accepting the suggestions of the paper. Furthermore, this paper expect that the care management leads to meet the customer’s needs as well as increase in quality of life and prevent the illness.

      • We Start 센터 이용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염미경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It is common to find poor children from poor and broken families. Moreover, poor and broken family have strong mutual connection and broken families have a high possibility of assuming poverty. Cases with single parent or absence of both parents due to divorcement, death, or elopement are defined as broken families and recently the number of children from broken families living with grandparents or relatives without their parents is substantially increasing. Thus, children, naturally dependent and unable to change the financial state of their family, are brought up in poverty regardless of their will. Lately, as the concerns about inheriting poverty are voiced social concerns over child poverty is becoming high. This is so because poverty is not a simple financial stain but it has negative impact on physical health, intelligenc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which could lead to learning or emotional disability. This will then lower school adjustment ability and lead to juvenile delinquency and problems of deviation such as academic underachievement, school violence and school dropout. Overall, these problems will bring high-risk of becoming unemployed and produce vicious circle of pover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at We Start center and propose policy alternatives for school adjustment of poor children. Research was carried out by surveying children at We Start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Gangwon and South Jeolla and main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survey, social support of fosters(including parents) scored the highest while that of friends scored the lowest and level of support of We Start center teachers scored substantially high. Judging from the result of the survey done through dividing school adjustment into three sub-categories - perception on school, activeness in school and class and attitude and behavior related to studies - the perception on school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 Through observing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was examined by sub-categorizing school adjustment and it was foun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affecting perception on school is parents and teachers, a sub-factor of social support, and financial condition among socio-demographic variable and parents and teachers among social support affecting activeness in school and class. Lastly, the independent variable affecting attitude and behavior related to studies is social support of teachers.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suggestions such as below could be made. Firstly, it showed that the social support of We Start center teachers do not undertake a large role in school adjustment. Therefore, studies on political and institutional schemes on continuous in-service education to enhance professionalism of We Start teachers are necessary. Secondly, the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of children, who had counselling sessions with We Start center teachers, means that studies on providing chances to We Start teachers to perform as a counselling professional through education on social welfare counseling technique are in need. Lastly,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new position of We Start center.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recognizing the center as a facility open to anyone rather than a facility for poor children resulting unintentional stigmatization. keyword : poor children, We start Center, social support, school adjustment 빈곤 아동은 빈곤가정과 결손가정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빈곤가정과 결손가정은 상호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결손가정이 빈곤가정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결손가정은 부 또는 모의 이혼, 사망, 가출 등으로 인하여 한부모, 소년소녀가장가구가 된 경우를 말하며, 최근에는 부모와 같이 살지 않고 조부모, 친척등과 함께 사는 결손가정의 아동도 많이 증가하고 있다. 이렇듯 타인에게 의존적일 수밖에 없는 아동은 스스로가 가족의 경제적 상황을 변화시킬 수가 없어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빈곤한 가정의 아동으로 성장 할 수밖에 없다. 최근 빈곤 세습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아동빈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빈곤이 단순한 경제적 결핍뿐만 아니라 아동의 신체적 건강과 인지‧사회‧정서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 미쳐 학습장애, 정서장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학교적응능력을 저하시켜 학업부진, 학교폭력, 학교중퇴 등 비행 및 일탈문제로 연결되어 성인이 된 후에도 실업에 처할 위험이 높고 빈곤의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We Start 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들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빈곤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언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서울․경기․강원․전남 지역 We Start 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지지의 대상별로 구분하여 평균을 조사한 결과 양육자(부모님 포함)에 대한 사회적 지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친구에 대한 사회적 지지도는 대상 중 가장 낮게 나타났고 We start 센터 선생님에 대한 지지도도 상당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조사응답자의 학교적응에 대하여 학교적응의 하위영역인 학교에 대한 지각, 학교․학급 내 활동성, 학습관련 태도․행동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별 평균을 측정한 결과 학교에 대한 지각 영역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 간에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학교적응의 하위영역별로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본 결과 학교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 중 부모와 교사로 나타났고 학교․학급 내 활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가정의 경제적 여건, 사회적 지지 중 부모와 교사로 나타났으며 학습관련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교사의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하였다. 첫째, We Start센터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큰 역할을 담당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We Start센터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보수교육에 대한 정책적․제도적 방안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We Start센터 교사와 상담을 받은 아동은 사회적지지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We Start센터 교사에 대한 사회복지 상담기법 교육을 통한 상담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제공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We Start센터에 대한 새로운 위상 설립이 필요하다. 의도치 않은 낙인의 효과를 발생시키는 빈곤아동을 위한 시설이 아닌 누구나 이용하는 시설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빈곤아동, We start 센터, 사회적지지, 학교적응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