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ssociation between genetic polymorphisms of Wnt signaling pathway genes and schizophrenia in a Korean population

        이아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15

        Objectives: The disruption of the Wnt/β-catenin pathway has been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dysregulating brain development. This study examined a genetic association of some functional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of Wnt signaling pathway genes with schizophrenia. Schizophrenic mice model by MK-801 treatment was used to detect a change in the mRNA expression of Wnt signaling pathway genes in the schizophrenic-like brain. Methods: In MK-801-treated mice, schizophrenic-like behavior was measured by pre-pulse inhibition (PPI) test. The mRNA expression of Wnt signaling pathway genes was measured in the brain of MK-801-treated schizophrenic mice using quantitative RT-PCR (qRT-PCR). To examine the genetic association between Wnt/β-catenin pathway genes and schizophrenia, SNPs of 6 Wnt signaling pathway genes were selected from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SNP database. Selected SNPs were genotyped in 161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455 control participants. A genetic association between SNPs and schizophrenia was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multiple inheritance models (additive, dominant, and recessive). The association between genetic polymorphisms and clinical symptoms of schizophrenia was also investigated. Results: A significant decrease in PPI was observed in MK-801-treated mice compared to control mice. The mRNA expression of some Wnt signaling pathway genes, such as RSPO2, GSK3β, and CTNNB1, was increased in the prefrontal cortex, hippocampus, and striatum of the MK-801-treated mice. Two SNPs (rs374810, rs423940) of the R-spondin 2 (RSPO2) and one SNP (rs1261085) of Transcription factor-4 (TCF4) showed a different genotype distribution betwee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he controls. In particular, rs374810 of the RSPO2, which is a functional SNP located on the promoter region of RSPO2,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chizophrenia in the additive [odds ratio (OR) = 1.45, 95% confidential interval (CI) = 1.11-1.89, p = 0.0055], dominant (OR = 1.62, 95% CI = 1.04-2.52, p = 0.029) and recessive models (OR = 1.66, 95% CI = 1.09-2.52, p = 0.018). The distribution of the AA genotype was increased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0.30), compared to control participants (0.21). In addition, the promoter activity according to the alleles of rs374810 was assessed using the luciferase reporter system. The A allele of rs374810 increased the luciferase activity, compared to the G allele.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 allele of promoter SNP rs374810 in RSPO2 may be involved in the susceptibility of schizophrenia, increasing the promoter activity of RSPO2. 한국인 조현병 환자에서 Wnt 신호 유전자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적 연관성 이아라 경희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정신건강의학 전공 지도교수: 김종우 목적: Wnt/β-카테닌 경로의 이상이 뇌 발달 가설로서 조현병과 관련된다는 가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의 유전적 연관성에 대해 Wnt 신호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을 검토하였다. RSPO2 유전자에 의해 합성되는 R-spondin 2(RSOP2)는 Wnt 신호 전달을 증가시키고 β-카테닌을 활성화시키는 분비 리간드로 특히, RSPO2유전자와 조현병과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MK-801조현병 마우스모델을 만들어 뇌에서 Wnt 신호 유전자의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 조현병 모델의 감각 운동 역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PPI(pre-pulse inhibitory test)를 시행하였다. 이후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SNP 데이터베이스에서 Wnt 신호와 관련된 6개의 유전자 및 SNP를 선택하였다. 조현병 환자 161명과 455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SNP와 조현병 사이의 유전적 연관성을 분석하였고, 유전자 단일염기다형성과 조현병 임상 증상과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모델(additive, dominant, recessive model)을 사용했다. 결과: RSPO2유전자의 2개의 SNP(rs374810, rs423940)와 TCF4유전자의 1개의 SNP(rs1261085)가 조현병 환자와 대조군 사이에 유전자형 빈도 차이를 보였다. 그 중 RSPO2유전자의 프로모터에 위치한 rs374810가 조현병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additive model [odds ratio (OR) = 1.45, 95% confidential interval (CI) = 1.11-1.89, p = 0.0055], dominant model(OR = 1.62, 95% CI = 1.04-2.52, p = 0.029) 및 recessive model (OR = 1.66, 95% CI = 1.09-2.52, p = 0.018). 이 모델에서 TT 유전자형의 빈도는 대조군(0.21)에 비해 조현병 환자(0.30)에서 증가하였다. RSPO2의 SNP에 대한 일배체형분석에서 AAATA형이조현병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OR = 1.72, 95% CI = 1.16-2.55, p = 0.0075). AAATA 일배체형의 빈도는 대조군(0.15)보다 조현병 환자(0.20)에서 더 높았다. 또한, 루시퍼라제를 이용하여 대립유전자에 따른 rs374810의 프로모터 활성을 평가하였다. rs374810의 T 대립유전자는 C 대립유전자에 비해 루시퍼라제 활성을 증가시켰다. 결론: RSPO2유전자의 프로터에 위치한 SPN인 rs374810가 RSPO2의 프로모터 활성을 증가시켜 조현병의 발병에 관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 내경계막 해리가 동반된 망막전막 환자의 임상양상

        이영훈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목적: 내경계막 해리가 동반된 망막전막 환자의 임상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건양대학교병원 안과에서 망막전막으로 수술받은 환자 중 12개월 이상 경과관찰이 이루어진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내경계막 해리가 동반된 환자(1군) 및 동반되지 않은 환자(2군)로 분류하여 수술 전후 교정시력 및 해부학적 변화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내경계막 해리가 동반된 환자는 46명(53.5%) 이었다. 수술 전 최대교정시력은 1군과 2군에서 각각 0.46 ± 0.29, 0.45 ± 0.25으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p=0.801) 수술 3, 6, 12개월 후의 교정시력은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수술 전 중심황반두께 및 망막내층두께는 1군에서 507.4 ± 80.0 과 270.2 ± 74.3 μm, 2군에서 417.6 ± 63.6 과 182.6 ± 60.4 μm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모두 p<0.001) 수술 후 12개월까지 차이는 지속되었다. 다변량 분석결과 내경계막 해리의 위치(B=-0.105, p=0.034) 와 최종 망막내층두께(B=0.001, p=0.046)가 최종교정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망막전막 환자에서 종종 발견되는 내경계막 해리는 수술 전후 망막내층두께의 증가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수술 후의 시력 및 형태학적 호전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Purpose: To identify the effect of internal limiting membrane (ILM) dehiscence on surgical outcomes in eyes performed epiretinal membrane (ERM) removal. Methods: Consecutive eyes performed vitrectomy for ERM removal were included.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patients with ILM dehiscence (group 1) and patients without ILM dehiscence (group 2).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nd retinal layer thickness were compared between 2 groups before and after surgery. Results: A total of 86 eyes were enrolled. 46 eyes (53.5%) showed ILM dehiscence before surgery. Baseline BCVA was 0.46 ± 0.29 and 0.45 ± 0.25 in group 1 and group 2, respectively (p=0.801). The BCVA at 3, 6, and 12 months after surger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 groups. The subfoveal thickness (SFT) and inner retinal layer thickness (IRLT) of group 1 and 2 were 507.4 ± 80.0 and 417.6 ± 63.6 μm, and 270.2 ± 74.3 and 182.6 ± 60.4 μm, respectively (both p<0.001). They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ntinuously until 12 months after surgery. In multivariate analyses, location of ILM dehiscence (B=-0.105, p=0.034) and final IRLT (B=0.001, p=0.046) were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final BCVA. Conclusions: ILM dehiscence is a relatively common finding and associated with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increased IRLT, which results in worse surgical outcomes compared to the absence of ILM dehiscence in patients with ERM. Additionally, the final BCVA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its location and final IRLT in patients with ILM dehiscence.

      • 루브르박물관과 국립중앙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 비교 연구

        엄주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우리나라 사회는 과거 공동체의 결속, 노력과 성과를 중시했던 풍조에서 벗어나 개인의 발전과 행복을 중시하는 분위기를 조성해 가고 있다. 일과 삶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길 바라는 국민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정부는 주당 근로시간을 단축하였고, 이에 따라 사회 전반에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여가시간을 이용하여 학습에 매진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인류의 문화유산을 수집하고 연구하며 전시하는 박물관도 학습의 장소로 주목받고 있다. 과거 귀족들의 부를 자랑하는 장소로 쓰였던 박물관은 19세기에 공공 박물관이 등장하게 되면서 교육적 기능을 띠기 시작하였다. 서양에서 박물관들이 등장한 이후 동양에서도 박물관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 이후 1945년에 국립박물관이라는 이름으로 지금의 국립중앙박물관이 개관하였다. 하지만 국립박물관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역사가 짧은 편이다. 본 논문은 국립중앙박물관과 최초의 공공 박물관으로 여겨지는 프랑스 루브르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현주소를 살피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를 위하여 먼저 박물관이 교육의 장으로 거듭나기까지의 역사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한국과 프랑스의 박물관 교육 흐름을 살펴보고, 박물관 교육에 영향을 미친 정책과 활동들을 알아보았다. 교육 프로그램 비교는 두 박물관에서 나온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두 박물관에서 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대상과 유형별로 분류하고, 다양한 대상에 따라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국립중앙박물관과 루브르박물관은 교육 프로그램의 대상과 유형에 있어 비슷한 점을 보였다. 두 박물관은 성인, 학생, 전문가 뿐만 아니라 사회 취약 계층까지 모든 계층을 아울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공통적으로 해설과 아뜰리에, 연수 등 비슷한 유형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및 운영 방향은 한국과 프랑스의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립중앙박물관과 루브르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 비교·분석을 통하여 박물관 교육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박물관이 모든 이들을 위한 교육의 장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다양한 계층을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은 문화 자본을 넓혀주고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다. 둘째, 정부 부처 간 협력으로 교육 프로그램이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이다. 부처 간 맺은 협약은 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을 넓히고 교육 프로그램의 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다. 셋째, 박물관은 대중을 위한 문화 향유의 공간뿐만 아니라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장소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박물관이 가진 수많은 소장품과 전문 인력들은 관련 학계 인재 양성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 감정노동, 감정고갈 및 혁신행동 간의 관계

        임순희 동양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 감정고갈 및 혁신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감정노동은 조직구성원이 조직에서 자신들의 상사, 동료 및 조직자체와 관련하여 감정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표면행동과 심층행동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정노동의 두 차원이 감정고갈 및 혁신행동과 맺고 있는 각각의 관계 그리고 감정고갈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함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는 한국철도공사 경북본부에 근무하는 구성원들(n=370)로부터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가설 검증을 위해서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적정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고갈은 표면행동에 의해서는 정(+)의 영향을, 심층행동에 의해서는 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고, 둘째, 혁신행동은 표면행동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고, 심층행동에 의해서만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셋째, 혁신행동은 감정고갈에 의해 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감정의 여러 차원(감정노동 및 감정고갈)과 혁신행동과 관련된 이론적 측면과 실무에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향후 연구를 촉진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 보들레르의 시에 나타난 현대성 연구

        송진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보들레르의 업적 중에서 가장 큰 것은 문학사에 현대시의 길을 열어 놓은 것이다. 보들레르는 문학비평의 영역에서 동시대의 예술가들에 대한 비평을 통해 예술 전반에 대해 새로운 성찰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19세기의 파리는 혁명과 도시재개발로 격동하고 있었다. 중세의 파리는 사라져가고 있었고, 독버섯처럼 화려한 새로운 현대가 파리 시민들의 삶을 지배했다. 바로 새 시대와 변하지 않는 인간조건은 그곳 파리에서 그 시대에 격렬한 충돌을 한다. 인간의 근본조건에 대한 의식에 민감했던 그는 시대 상황과의 충돌에서 더욱 예민해진다. 그에게 있어서 예술은 더 이상 도덕과 절대적인 전통에서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되었다. 보들레르의 현대성도 바로 여기에서 출발한다. 보들레르는 「현대생활의 화가」를 통해 예술은 영원불변한 것과 시류적인 것이 공존했을 때 진정한 가치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그대로 그의 현대성의 정의가 된다. 예술의 절반은 일시적이고 우연한 유행과 같은 시대성을 포함해야 한다. 그리고 나머지 절반은 변하지 않는 영원성의 아름다움이다. 현대성은 영원성과 일시성의 교착점에서 정의된다. 보들레르가 활동했던 당시는 봉건사회에서 혁명으로 인한 시민사회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산업혁명은 도시에 군중이라는 새로운 무정형의 무리를 형성하였다. 그들은 정치적으로는 계급을 벗어난 평등한 시민이었지만, 경제적으로 부르주아 계급의 보이지 않는 지배 아래 있었다. 군중은 도시 건설의 주역들이었으나 도시의 중심에서 밀려나 도시의 후미진 뒤안길에 움츠린 채 가난, 방탕, 부패, 저주를 안고 살아가고 있었다. 군중은 19세기에 등장한 인간들의 새로운 집단이다. 그들은 사회의 저변 층이지만 사회를 움직이는 중요한 집단이었다. 보들레르는 군중이라는 새로운 무리를 만나면서 이전 시대가 사라져가고 있음을 인식한다. 이제 고전파와 낭만파가 지키려는 예술에는 더 이상 생기가 없음을 깨닫고 그들을 향한 비평을 하면서 그의 예술론은 시작한다. 『악의 꽃』과 『파리의 우울』은 혁명과 자본주의로 발생한 군중과 도시의 이미지를 새로운 형식과 새로운 시어로 표현하고 있다. 그것은 현대시의 발원 이 되었다. 산업혁명으로 당시의 삶은 빠르게 변하고 있었고 이 변화가 가장 격렬한 곳은 도시였다. 이런 변화를 담아내는 예술이어야 진정한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이며 고전이나 신화에서만 아름다움을 뽑으려 한다면 그것은 추상적인 이브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 것일 뿐이라고 그는 주장한다. 빠르게 변하는 도시의 모습은 진정 마음으로 보아야 한다. 보들레르는 도시의 겉모습 속에 감추어진 군중들의 내면을 볼 줄 알았다. 그는 자신이 살고 있었던 시대의 군중으로부터 모든 시적인 재료를 가져왔다. 그에게 군중은 고독인 동시에 삶의 에너지가 된다. 보들레르에게 진정한 영웅은 군중이었다. 그에게 있어서 현대성이란 단지 변화된 새 시대만을 의미한 것은 아니다. 그것은 새로운 시대적인 변화와 영원히 벗어날 수 없는 숙명적인 인간조건이 충돌하면서 생기는 현상들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군중 속에 있을 때 가장 잘 나타났으며, 시인은 그것을 인식할 줄 아는 명철한 의식의 소유자였다. 추상적인 것만을 추구하는 예술은 진정한 예술이 아니라고 그는 말한다. 보들레르에게 예술은 종교처럼 인류 구원의 사명을 갖고 있어야 했다. 지금, 이곳에서 살아가는 군중의 울부짖음을 들어야 하고 상처에서 흐르는 피와 고름을 알아보아야 한다. 그에게 군중은 예술이고 매춘이었다. 그는 그들을 시로써 현실의 악과 고통으로 부터 위로하려 했다. 보들레르 현대성의 기본 정서는 권태다. 보들레르가 현대를 바라보는 근본 시선은 권태로부터다. 권태는 그를 예술가의 길로, 시인의 길로 가게 하는 근본적인 감정이다. 보들레르는 자신 앞에 나타난 새로운 시대, 현대를 ‘권태’로 인식하는 데에서 그의 미학은 출발한다. 보들레르는 권태를 극복하기 위해 공원의 산책자가 되어서 군중 속으로 들어간다. 그의 세계는 권태에서 출발하여 권태를 인식하였고 권태를 해결하고자 하는 방식으로 예술을 선택하였다. 보들레르는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짊어져야할 생의 조건에서 탈출하고 싶어 한다. 생득적인 인간조건에서 벗어나려고 도취를 꿈꾸었다. 원죄적인 인간의 조건은 보들레르를 끊임없이 권태롭게 했고, 시간으로 인한 고통을 느끼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인가에 의한 도취가 필요했다. 아편과 마약은 보들레르에게서 유죄선고를 받았고, 보들레르는 무엇으로 도취를 해야 했을까? 보들레르는 아편과 아시시에 대해서는 결국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고통에서 탈출의 수단으로 여전히 도취를 말하고 있다. 시간에 학대 받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으로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들레르는 현실 속에서 강한 혼란을 겪게 된다. 그가 무한한 천상의 세계를 소망할수록 주어지는 것은 고통일 뿐이며, 그랬을 때 시인은 인공낙원을 기웃거려 보지만, 인공낙원의 도취는 그에게 대답을 주지 못한다. 매혹과 도취는 보들레르의 또 한 편의 현대성의 미학이다. 그가 추구했던 도취 중에서 시에 의한 도취만이 그를 구원했고 그에게 시간을 초월하여 오늘날까지 독자들에게 살아있다. 그는 이제까지 아무도 보지 않으려 했고, 외면했던 당대의 삶의 모습들을 영혼 없는 언어가 아닌 자신이 체험한 살아 있는 언어로 훌륭하게 시적인 감동을 끌어내었다. 보들레르는 이러한 사명의식으로 시를 썼다. 그는 그가 살았던 시대에 발생한 현대성의 제 문제를 인식했고, 그의 시 쓰기는 이러한 현대성의 문제들에서 탈출하고자 하는 방편이었다. 그는 시를 통한 영원한 아름다움을 추구하였고 현실의 고통으로부터 탈출을 꿈꾸었다. 그는 그 시대 애환을 군중과 함께 하였고 그들을 위로하는 예술가로, 자기 시대의 연금술사로 훌륭히 사명을 다하였다고 본다. 시대는 변하고 있다. 시대와 함께 예술도 변하고 시도 바뀌어야한다는 보들레르의 전망이 그대로 그의 시집이 되었다고 본다.

      • 四象體質에 따른 精神 病理 特性에 관한 硏究

        김명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Object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the psycho-pathologic features of sa-sang constitutions and the same features in sub-groups divided by both the health level and the age. Method : We selected 405 subjects in their twenties and 382 in sixties. The O.M.D.s, specially trained with sa-sang constitution medicine, classified volunteers into constitutions, which enabled us to believe that the constitution of each subject is pretty certain. SCL-90-R test was given to these selected subjects. At the same time, SF-36 test was performed to divide the subjects into healthy and unhealthy groups. Results : 1. In all symptoms except hospitality Soyangins marked lower scores than either Soeumins or Taeumins. 2. In the analysis using ratio value ( which was obtained through dividing the score of one symptom by the total score of SCL-90-R), Soeumin marked higher scores than the other two constitutional groups in depression, and Soyangin did in hospitali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cism. When the age was taken into account, Soemins in their twenties marked higher scores than the other two constitutional groups in interpersonal sensitivity. On the other hand, Soemins in their sixties did mark higher scores than the other two constitutional groups in obsessive-compulsive. 3. Under effects of constitution, the difference in scores due to symptoms was larger among subjects in their sixties than among those in their twenties. This difference also was larger in the unhealthy group than in the healthy one. Conclusion : The subjects showed particular profiles of psycho-pathologic symptoms depending on their constitution. The profile turned out to be more outstanding both in the unhealthy group and in the aged group.

      •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조사 및 교육적 활용방안 고찰

        김동균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실태를 조사 · 분석하고,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방안 고찰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 설문결과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방안 모색의 순서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일반적 변인을, 재학 중인 학교소재 지역, 성별, 학년, 스마트폰의 필요성, 스마트폰 사용 여부, 일반 핸드폰 사용 여부의 총 6개로 정하였다. 일반적 변인과 스마트폰에 대한 지식 · 태도 · 실천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집단과 사용하지 않는 집단의 지식 · 태도 · 실천 수준도 분석하였다. 첫째, 일반적 실태에 대한 스마트폰 지식?태도?실천 수준을 분석하였다. 둘째, 일반적 실태와 스마트폰에 대한 설문문항을 분석하였다. 셋째, 스마트폰에 대한 설문문항과 지식?태도?실천수준을 분석하였다. 넷째, 스마트폰을 활용한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학습자의 다양성을 고려한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방안 연구는 앞으로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lementary status of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smart phone use, and utilize of smart phones educational way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Literature study and survey research methods, analysis of survey results and utilize the educational plan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sought. In this study, factors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use of smart phones, in school area, gender, grade, and the need for a smart phone, smart phone using, whether for general cell phone use was a total of six tablets. General knowledge, attitude, practice about the factors and smart phone levels were analyzed using a smart phone and do not use the group's collectiv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levels were analyzed. First, the general status of the smart phone about knowledge, Attitude. Practice level were analyzed. Second, the general situation for smart phones an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ird, Between the survey questions and smart phones Knowledge, Attitude. Practice level were analyzed. Fourth, take advantage of the smart phone utilizing educational strategies were suggested. Forward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learners educational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mart phones will be continued in the future.

      • 사회적 교환관계, 조직기반자긍심 및 역할행동 간의 관계

        저우제 동양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사회적 교환관계(리더-구성원 교환관계, 팀-구성원 교환관계 및 조직지원인식), 조직기반자긍심 및 역할행동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필요한 자료는 중국 저장성 지역에 입지하고 있는 은행과 다양한 기업의 구성원들로부터 수집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가설 검증을 위해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적정하였으며, 4개의 가설 가운데 3개가 지지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교환관계의 하위차원들 가운데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조직기반자긍심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구성원 교환관계와 조직지원인식은 조직기반자긍심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조직기반자긍심은 구성원의 역할행동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직기반자긍심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고, 관련 분야에서 후속 연구를 촉진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in-role behavior. To test the hypothes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800 employees of various organizations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is performed by the AMOS package. The results reveal that (1) team-member exchang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ve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2)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has positive effect on in-role behavior. Thes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both theory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business practice. Future research direction are outlined.

      • Comparative effectiveness and acceptability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insomnia in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권찬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Objectives The prevalence of insomnia, which has been reported to be 20-55%, increases with the physiological aging process, multiple aging-associated pathological conditions, and increased prescription medications in the elderly. Elderly insomnia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various negative outcomes such as cognitive impairment, dementia, depression and cardiovascular events. Therefore, elderly insomnia has been regarded as causing huge socioeconomic burden, not simply a health problem. The treatment of elderly insomnia is mainly focused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for insomnia, and in consideration of the therapeutic benefits and risks, pharmacotherapies, in particular, the use of benzodiazepines is very limited. Despite the importance of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treating elderly insomnia, the comparative advantage between the available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has not been determ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the effectiveness and acceptability of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available in elderly insomnia based on the evidence to date, using the methodology of conventional pair-wise meta-analysis and network meta-analysis. Methods Comprehensive searches in 13 English, Korean and Chinese databases were performed to search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elderly insomnia, up to August 5, 2019. The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analyzed in this review were based on the treatment options in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made by international sleep disorder experts in 2009, the most recent clinical guidelines for insomnia in the elderly.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studies included was assessed using the Cochrane’s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Review Manager version 5.3 for Windows and Stata version 16.0 were used to perform conventional pair-wise meta-analysis and network meta-analysis, respectively. Priorities of interventions for each outcome were estimated using surface under the cumulative ranking probabilities (SUCRA). Results Twenty-eight RCTs involving 2,391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The following treatments were compared in terms of effectiveness as assessed by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total score: (1) acupuncture, (2) acupuncture combined with benzodiazepines, (3) acupuncture combined with relaxation, (4) behavioral treatment (BT), (5) benzodiazepines, (6) benzodiazepines combined with CBT, (7) benzodiazepines combined with exercise, (8) CBT, (9) sleep education, (10) melatonin, (11) qigong, (12) relaxation and (13) wait-list.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to wait-list, acupuncture (mean difference (MD) -4.37, 95% confidence interval (CI) -8.53 to -0.12), acupuncture combined with benzodiazepines (MD -5.20, 95% CI -9.82 to -0.57), BT (MD -10.44, 95% CI -17.31 to -3.58), benzodiazepines (MD -4.28, 95% CI -8.45 to -0.11), benzodiazepines combined with CBT (MD -7.18, 95% CI -12.17 to -2.19), and CBT (MD -4.92, 95% CI -8.63 to -1.22) showed significant superiority. Sleep education (MD -4.31, 95% CI -9.78 to 1.15) or relaxation (MD -2.44, 95% CI -5.98 to 1.09) did not show significant or near-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wait-list. The sensitivity analysis removing the outlie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esults.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comparative superiority or inferiority was found between the treatments in terms of acceptability as all-cause drop-out. In terms of safety as the incidence of adverse event, nearly half of the interventions were excluded from network meta-analysis because they did not form a network. As results, acupuncture (odds ratio (OR) 0.00, 95% CI 0.00 to 0.08), acupuncture combined with relaxation (OR 0.00, 95% CI 0.00 to 0.01), benzodiazepines (OR 0.00, 95% CI 0.00 to 0.25), melatonin (OR 0.00, 95% CI 0.00 to 0.30), and relaxation (OR 0.00, 95% CI 0.00 to 0.08) seemed significantly safer than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 Moreover, there was insufficient evidence in pair-wise meta-analysis that acupuncture is safer than benzodiazepines (OR 0.28, 95% CI 0.09 to 0.89) and acupuncture combined with relaxation is safer than SSRI (OR 0.00, 95% CI 0.00 to 0.01). Conclusion In this systematic review, the methodology of conventional pair-wise meta-analysis and network meta-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elderly insomnia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and acceptability, based on current evidences. In terms of effectiveness in PSQI total score, compared to wait-list, acupuncture, acupuncture combined with benzodiazepines, BT, benzodiazepines, benzodiazepines combined with CBT, and CBT showed superior benefits. Combined treatments including benzodiazepines combined with CBT and acupuncture combined with benzodiazepines were generally superior to monotherapies. In terms of acceptability, there was not enough data to draw conclusions. In terms of safety, there was insufficient evidence that acupuncture is overall safe. The results of this review suggest that more head-to-head trial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insomnia in the older people should be conducted and national supports are also needed because the condition in this population causes serious medical and social burdens. Moreover, in treating insomnia in older people, clinicians need to establish the treatment plan by balancing the patient’s benefits and risks in context of shared-decision making. 연구 목적 불면증은 노인에서 생리적 노화과정이나 동반된 병리적 상태, 복용 약물의 증가와 함께 그 유병률이 증가하여, 연구에 따라 유병률이 20-55%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노인에서 불면증과 인지장애, 치매, 우울증, 심혈관계 사건 등 각종 부정적인 결과와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으며, 따라서 노인 불면증은 단순히 건강 관련 문제가 아닌 사회경제적 부담을 야기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한편, 노인 불면증의 치료는 불면증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를 위주로 하고 있으며, 치료 상의 이득과 위해를 감안하여 약물치료, 특히 benzodiazepines계 약물은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노인 불면증 치료에 있어 비약물요법의 중요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비약물요법 간의 비교 우위는 결정되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메타분석과 네트워크 메타분석의 방법론을 사용하여, 현재까지의 근거를 토대로 노인 불면증에서 사용 가능한 비약물요법의 효과성과 수용가능성에 관한 비교 우위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연구 방법 2019년 8월 5일까지 13개의 영어, 한국, 중국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노인 불면증에 대한 비약물요법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을 수집했다. 본 연구에서 비약물요법은 노인 불면증에 대한 가장 최근의 임상진료지침인 2009년에 다국적 전문가에 의해 제작된 근거-기반 권고문에 수록된 요법을 기준으로 하였다. 포함된 연구들의 방법론적 질은 코크란 연합의 비뚤림 위험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되었으며, Review Manager version 5.3 for Windows와 Stata version 16.0를 사용하여 각각 일반 메타분석과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각 지표에 대한 우선순위는 SUCRA를 사용하여 추정되었다. 연구 결과 검색 및 선별 결과, 2,391명의 연구대상자를 포함하는 28편의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 총점으로 평가한 효과성 측면에서 다음의 치료들이 비교되었다: (1) 침치료, (2) 침치료와 benzodiazepines의 병용, (3) 침치료와 이완요법의 병용, (4) 행동요법, (5) benzodiazepines, (6) benzodiazepines과 인지행동치료의 병용, (7) benzodiazepines과 운동의 병용, (8) 인지행동치료, (9) 수면교육, (10) 멜라토닌, (11) 기공요법, (12) 이완요법, (13) 대기군. 분석 결과, 대기군과 비교하여, 침치료 (mean difference (MD) -4.37, 95% confidence interval (CI) -8.53 to -0.12), 침치료와 benzodiazepines의 병용 (MD -5.20, 95% CI -9.82 to -0.57), 행동요법 (MD -10.44, 95% CI -17.31 to -3.58), benzodiazepines (MD -4.28, 95% CI -8.45 to -0.11), benzodiazepines과 인지행동치료의 병용 (MD -7.18, 95% CI -12.17 to -2.19), 인지행동치료 (MD -4.92, 95% CI -8.63 to -1.22)는 유의한 우수성을 보였다. 한편, 수면교육 (MD -4.31, 95% CI -9.78 to 1.15)과 이완요법 (MD -2.44, 95% CI -5.98 to 1.09)은 대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 또는 유의성에 가까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치 데이터(outlier)를 제외한 민감도 분석은 본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모든-원인 탈락으로 평가한 수용가능성에서는 치료들 간의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반응 발생으로 평가한 안전성에서는 네트워크를 이루지 못한 절반에 가까운 중재가 네트워크 메타분석에서 제외되었다. 그 결과,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와 비교하여, 침치료 (odds ratio (OR) 0.00, 95% CI 0.00 to 0.08), 침치료와 이완요법의 병용 (OR 0.00, 95% CI 0.00 to 0.01), benzodiazepines (OR 0.00, 95% CI 0.00 to 0.25), 멜라토닌 (OR 0.00, 95% CI 0.00 to 0.30), 이완요법 (OR 0.00, 95% CI 0.00 to 0.08)은 유의하게 우수한 안전성을 보였다. 또한, 일반 메타분석 결과에서 침치료는 benzodiazepines에 비해 (OR 0.28, 95% CI 0.09 to 0.89), 침치료와 이완요법의 병용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OR 0.00, 95% CI 0.00 to 0.01)에 비해 유의하게 더 안전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 본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일반 메타분석과 네트워크 메타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여, 현재까지의 근거를 토대로 노인 불면증에서 사용 가능한 비약물요법의 효과성과 수용가능성에 관한 비교 우위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효과성 측면에서 대기군과 비교하여 침치료, 침치료와 benzodiazepines의 병용, 행동요법, benzodiazepines, benzodiazepines과 인지행동치료의 병용, 인지행동치료는 유의한 우월성을 보였다. 특히 benzodiazepines과 인지행동치료의 병용 혹은 침치료와 benzodiazepines의 병용은 개별 요법에 비해 유의한 우월성을 보였다. 한편, 수용가능성에서는 결론을 내릴 만한 충분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았다. 안전성 측면에서는 침치료가 전반적으로 안전하다는 제한된 수준의 근거가 존재했다. 하지만 포함된 연구의 수가 적고, 특히 수용가능성과 안전성 측면에서의 데이터가 부족하므로, 확고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노인 불면증에 비약물요법을 사용한 잘 설계된 대규모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이 더 수행될 필요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