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ssociation between genetic polymorphisms of Wnt signaling pathway genes and schizophrenia in a Korean population

        이아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15

        Objectives: The disruption of the Wnt/β-catenin pathway has been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dysregulating brain development. This study examined a genetic association of some functional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of Wnt signaling pathway genes with schizophrenia. Schizophrenic mice model by MK-801 treatment was used to detect a change in the mRNA expression of Wnt signaling pathway genes in the schizophrenic-like brain. Methods: In MK-801-treated mice, schizophrenic-like behavior was measured by pre-pulse inhibition (PPI) test. The mRNA expression of Wnt signaling pathway genes was measured in the brain of MK-801-treated schizophrenic mice using quantitative RT-PCR (qRT-PCR). To examine the genetic association between Wnt/β-catenin pathway genes and schizophrenia, SNPs of 6 Wnt signaling pathway genes were selected from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SNP database. Selected SNPs were genotyped in 161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455 control participants. A genetic association between SNPs and schizophrenia was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multiple inheritance models (additive, dominant, and recessive). The association between genetic polymorphisms and clinical symptoms of schizophrenia was also investigated. Results: A significant decrease in PPI was observed in MK-801-treated mice compared to control mice. The mRNA expression of some Wnt signaling pathway genes, such as RSPO2, GSK3β, and CTNNB1, was increased in the prefrontal cortex, hippocampus, and striatum of the MK-801-treated mice. Two SNPs (rs374810, rs423940) of the R-spondin 2 (RSPO2) and one SNP (rs1261085) of Transcription factor-4 (TCF4) showed a different genotype distribution betwee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he controls. In particular, rs374810 of the RSPO2, which is a functional SNP located on the promoter region of RSPO2,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chizophrenia in the additive [odds ratio (OR) = 1.45, 95% confidential interval (CI) = 1.11-1.89, p = 0.0055], dominant (OR = 1.62, 95% CI = 1.04-2.52, p = 0.029) and recessive models (OR = 1.66, 95% CI = 1.09-2.52, p = 0.018). The distribution of the AA genotype was increased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0.30), compared to control participants (0.21). In addition, the promoter activity according to the alleles of rs374810 was assessed using the luciferase reporter system. The A allele of rs374810 increased the luciferase activity, compared to the G allele.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 allele of promoter SNP rs374810 in RSPO2 may be involved in the susceptibility of schizophrenia, increasing the promoter activity of RSPO2. 한국인 조현병 환자에서 Wnt 신호 유전자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적 연관성 이아라 경희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정신건강의학 전공 지도교수: 김종우 목적: Wnt/β-카테닌 경로의 이상이 뇌 발달 가설로서 조현병과 관련된다는 가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의 유전적 연관성에 대해 Wnt 신호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을 검토하였다. RSPO2 유전자에 의해 합성되는 R-spondin 2(RSOP2)는 Wnt 신호 전달을 증가시키고 β-카테닌을 활성화시키는 분비 리간드로 특히, RSPO2유전자와 조현병과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MK-801조현병 마우스모델을 만들어 뇌에서 Wnt 신호 유전자의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 조현병 모델의 감각 운동 역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PPI(pre-pulse inhibitory test)를 시행하였다. 이후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SNP 데이터베이스에서 Wnt 신호와 관련된 6개의 유전자 및 SNP를 선택하였다. 조현병 환자 161명과 455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SNP와 조현병 사이의 유전적 연관성을 분석하였고, 유전자 단일염기다형성과 조현병 임상 증상과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모델(additive, dominant, recessive model)을 사용했다. 결과: RSPO2유전자의 2개의 SNP(rs374810, rs423940)와 TCF4유전자의 1개의 SNP(rs1261085)가 조현병 환자와 대조군 사이에 유전자형 빈도 차이를 보였다. 그 중 RSPO2유전자의 프로모터에 위치한 rs374810가 조현병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additive model [odds ratio (OR) = 1.45, 95% confidential interval (CI) = 1.11-1.89, p = 0.0055], dominant model(OR = 1.62, 95% CI = 1.04-2.52, p = 0.029) 및 recessive model (OR = 1.66, 95% CI = 1.09-2.52, p = 0.018). 이 모델에서 TT 유전자형의 빈도는 대조군(0.21)에 비해 조현병 환자(0.30)에서 증가하였다. RSPO2의 SNP에 대한 일배체형분석에서 AAATA형이조현병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OR = 1.72, 95% CI = 1.16-2.55, p = 0.0075). AAATA 일배체형의 빈도는 대조군(0.15)보다 조현병 환자(0.20)에서 더 높았다. 또한, 루시퍼라제를 이용하여 대립유전자에 따른 rs374810의 프로모터 활성을 평가하였다. rs374810의 T 대립유전자는 C 대립유전자에 비해 루시퍼라제 활성을 증가시켰다. 결론: RSPO2유전자의 프로터에 위치한 SPN인 rs374810가 RSPO2의 프로모터 활성을 증가시켜 조현병의 발병에 관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 영웅서사원형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진로수업 방안

        곽경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와 진로개발역량을 살펴보고, 영웅서사원형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실제적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은 개인이 자신의 진로를 계획하고 그 진로에 대한 준비를 하며 적절한 시기에 직업을 선택하고 선택한 직업에 잘 적응하며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체계적인 교육활동이다. 따라서 학교교육의 전반에 걸쳐 이루어져야 하며, 학교 진로교육 방법의 다양화를 위한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진로교육은 교과 지도 과정에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는 주어진 진로활동 수업 운영뿐 아니라, 각 교과의 특성에 맞는 교수·학습을 재구성하려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해나가야 한다. 셋째, 문화원형콘텐츠는 수업의 소재로서는 물론이고 수업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학교 수업에서 문화원형은 콘텐츠화 된 자료로서만 사용될 것이 아니라, 수업의 방향을 정하거나 수행 과업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문화원형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은 보다 풍부한 학습 자료를 학생들에게 제공함은 물론이고 문화원형이 갖는 정체성과 보편성을 통해 수업의 목표 달성을 위한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영웅서사원형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초등학교 진로교육은 자아이해와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 역량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다섯째, 총 10차시로 개발한 문화원형콘텐츠를 활용한 진로수업은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활동과 교과 연계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 온라인 리뷰에서 중립 감성을 포함한 삼진 분류가 고객 만족도 예측에 미치는 영향 분석

        노태동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온라인 고객은 구매 결정을 내릴 때 다른 고객이 작성한 온라인 리뷰를 참조하는 경우가 많다. 딥러닝 기술의 발전을 통해 기계는 온라인 리뷰에서 나타나는 긍정, 부정, 중립 등의 감성을 학습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온라인 리뷰를 분석하는 연구에서 긍정 또는 부정적인 감성에만 초점을 맞추고 중립적인 감성을 제외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중립적인 감성을 무시하면 제품 속성에 대한 부정확한 감정 추론으로 이어질 수 있다(Liu et al., 2017;Tang et al., 2014). 본 연구는 호텔 투숙객의 구매 결정을 위해 호텔 리뷰의 감성을 긍정/부정으로 이진 분류한 모델과 긍정/중립/부정으로 다중 분류한 모델을 비교/분석한다. 감성 분류를 위해 리뷰를 문장 단위로 나누고 20,000건의 문장을 추출하여 수동으로 감성을 레이블링 하여 전이 학습 모델인 BERT를 위한 학습 데이터로 사용한다. 또한 구매 결정에 있어서 고객마다 중요하게 생각할 수 있는 호텔의 속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호텔 속성을 Location, Cleanliness, Service, Value, Meal, Facility 6개의 차원으로 분류한다. 이후 고객 만족도를 대체할 수 있는 평점을 종속변수로, 리뷰의 각각의 감성 비율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회귀 분석을 진행한다. 분석 결과, 6가지 속성에 대한 감성 비율이 평점에 미치는 영향이 속성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중립 문장이 포함되었을 때, 중립 감성 문장의 비율은 리뷰 평점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또한 속성별 분석을 통한 결과 중립적인 감성이 별점에 미치는 영향은 속성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립 감성의 중요성을 조명하여, 온라인 리뷰 분석에서 중립 문장이 분석에서 제외되었을 때,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왜곡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 (A) study on the antecedents and effects of game players’ attachment to self-character

        쉐팅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etaverse platform, avatars as the core factor connecting users and virtual worlds have become a hot topic. But it is not the first time that avatars have appeared in people's field of vision. Avatars serve as the digital representation of users in the virtual world, and users rely on avatars to express themselves in the virtual environment. As early as in MMORPG video games, players have used avatars (self-characters) to perform activities in the game world. However, few existing studies address the reasons why players have an attachment to their characters, and it is not clear how the players' attachment toward characters is related to game behavior. This study uses attachment theory and self-expansion theory to connect players' emotional changes with their characters and game behaviors. This study proposes a model with the self-related antecedent variables (Customization, Perceived Resource Investment, Ideal Self-Congruity, and Self-Expression) of players' attachment to game characters with the influencing variables (Game Item Purchase Intention and Gameplay Intention) of this attachment. To verify the model, the researcher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Chinese gamers. The model was tes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1) Customization, Perceived Resource Investment, Ideal Self-Congruity, and Self-Expression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Character Attachment; (2) Self-Character Attachmen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ame Item Purchase Intention and Gameplay Intention; (3) Self-Character Attachmen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model.

      • 심인성 쇼크 환자를 위한 체외막산소화 장치에 적용된 경대동맥 카테터 통한 좌심실 감압에 대한 고찰

        정재준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서론: 정맥-동맥간 체외막산소화장치(VA ECMO)는 심정지(cardiac arrest) 및 심인성 쇼크(cardiogenic shock) 환자에게 널리 적용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중증 좌심실 기능 저하(sever left ventricular dysfunction)에서는 정맥-동맥간 체외막산소화 장치를 적용 후에 좌심실 부하 증가(overloading)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좌심실 감압(decompression)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심정지 및 심인성 쇼크로 정맥-동맥간 체외막산소화장치가 적용된 환자에서 좌심실 감압의 목적으로 시행한 경대동맥 카테터 감압(TACV)의 결과를 고찰하는 것이다. 대상 및 연구방법: 우리는 2017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심정지 혹은 심인성 쇼크로 인하여 정맥-동맥간 체외막산소화장치와 경대동맥 카테터 감압을 모두 시행한 18명의 환자들의 의료 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경대동맥 카테터 감압을 시행한 후 좌심실 박출량, 평균 동맥압, 그리고 평균 맥압은 상승하였다. 그리고 젖산 수치와 노르에피네프린 요구량은 경대동맥 카테터 감압 적용 후 감소하였다. 경대동맥 카테터 감압 적용 후 환자의 젖산 농도와 노르에피네프린 사용량은 정맥-동맥간 체외막산소화장치가 성공적으로 이탈되지 않은 환자와 비교해서 성공적으로 이탈된 환자에게서 낮았다. 정맥-동맥간 체외막산소화장치의 성공적인 이탈률(successful weaning rate)은 77.8% (15/18)이고 생존율(survival rate)은 50% (9/18)이었다. 결론: 경대동맥 카테터 감압은 심정지 및 심인성 쇼크로 인하여 정맥-동맥 체외막산소화장치가 적용된 환자에서 좌심실 감압 목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쉽고, 안전하고, 그리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경대동맥 카테터 감압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좌심실 감압을 위한 방법 중에서 하나의 유용한 처치법 또는 브리지 방법(alternative or bridge method)이라고 하겠다. 주요어: 쇼크; 심인성; 체외막산소화장치; 좌심실 감압. Objectives: Veno-arteri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VA ECMO) has been applied to patients with cardiogenic shock. Left ventricle (LV) decompression is necessary when LV distension develops with pulmonary ede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result of trans-aortic catheter venting (TACV) performed during VA ECMO.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8 patients who underwent both VA ECMO and TACV between January 2017 and December 2019. VA ECMO was applied in cardiogenic shock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situations. Results: After insertion of a TACV catheter, th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the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and the pulse pressure increased. Lactate levels and continuous infusion of norepinephrine decreased after applying TACV. Lactate levels and continuous infusion of norepinephrine for patients of weaning success were lower than those of patients of weaning failure after applying TACV. The successful weaning rate of ECMO was 77.8% (14/18) and the survival rate was 50% (9/18). Conclusion: Trans-aortic catheter venting may be an easy, safe, and effective technique for LV decompression in patients with VA ECMO for cardiogenic shock. Also, this technique may be helpful as an alternative or bridge method for LV decompression. Key words: shock; cardiogenic;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left ventricular decompression.

      • 피트니스 앱 지속 사용에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 : Keep 사례

        마흔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피트니스 앱 지속 사용의 요인을 도출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피트니스 앱에 대한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요인들이 사용자의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미치는 정도가 얼마인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피트니스 앱 사용한 경험이 있는 중국 사용자 총 5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모형은 이용과 충족 이론에 관련 선행 연구와 앱의 사용 실태를 바탕으로 피트니스 앱의 지속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체형개선 만족, 정신적 만족, 사회적 만족, 기능 만족의 네 가지로 구성하였다. 실증 조사 결과 네 가지 요인 모두가 지속 사용 의도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환경적 외모 중시정도 등의 외부 요인들이 피트니스 앱 지속사용 의도에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피트니스 앱을 설계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의 이용 의향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한의원 임상 현장에서 화병에 대한 사티어 변형 체계적 치료모델의 적용 : 화병의 자기에 대한 질문기법 중심의 사례연구

        김명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questioning technique by modifying Satir therapy model. The question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the Hwabyung and application in the clinical field of Korean medicine. Methods: A questioning technique applying Satir therapy model was devised and applied to Hwabyung patients. Three case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the treatment of Hwabyung. Results: 1. Identify theoretical similarities between Korean medicine and Satir model and developed a questioning technique and applied them to Hwabyung patients. 2. By analyzing three cases of Hwabyung patients applying newly developed questioning technique, this study able to confirm the treatment effect of developed questioning technique in the clinical field. Conclusions: A newly developed questioning technique(a modified version of Satir therapy model) can be a meaningful treatment of Hwabyung and in the clinical field of Korean medic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