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이 체육수업을 선호하지 않는 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허진화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인 담임교사와 체육전담교사가 체육수업을 선호하지 않는 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G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체육수업을 받고 있는 학생들을 학급담임과 체육교과전담의 2유형으로 분류하여, 설문에서 체육수업을 선호하지 않는다고 대답한 학생 109명의 설문지를 통하여 체육 수업의 교육적, 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만족도를 전산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그리고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체육을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만족도에 있어서 체육전담교사에게서 수업을 받는 학생들의 교육적 만족도가 담임교사에게서 수업을 받는 학생들보다 높았다. 신체적 만족도에 있어서도 체육전담교사에게서 수업을 받는 학생들의 만족도가 담임교사에게서 수업을 받는 학생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체육수업의 사회적 만족도는 전담교사보다는 담임교사에게서 수업을 받는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만족도와 마찬가지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평균치 비교에서 심리적 만족도도 담임교사에게서 수업을 받은 경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스포츠스태킹’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 공격성 및 주의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김정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스포츠스태킹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 공격성 및 주의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봄으로써 ‘스포츠스태킹’ 도입의 효과성 입증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스포츠스태킹’ 활동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효과적인 체육수업방법을 개발하여 즐거운 학교생활을 및 사회에 대한 적응력을 기르는 교육의 기초자료를 얻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안양시 P초등학교 5학년 4개 학급 121명(실험집단 61명, 비교집단 60명)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스포츠스태킹’ 활동을 일과 전 아침, 점심시간, 쉬는 시간 등 틈새시간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시간을 이용하여 월~금 30분 이상의 활동 시간을 확보, 총 15주간에 걸쳐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스포츠스태킹’ 활동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설문지이며 그 내용은 스트레스 29문항, 공격성 27문항, 주의 집중력 30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이미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예비조사를 통하여 신뢰도를 검증한 후 사용하였다. 학생들이 설문지에 직접 기입하는 자기평가 기입법을 사용하여 두 집단의 스트레스, 공격성, 주의 집중력에 대한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연구목적에 따라 통계 처리하여 비교,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스태킹’ 활동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학우스트레스, 가정환경스트레스를 제외한 학업스트레스, 학교스트레스, 신체성격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는 ‘스포츠스태킹’ 활동 참여 전에 비해 참여 후에 감소한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스포츠스태킹’ 활동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격성의 하위요인 중 언어적 공격성, 부정성을 제외한 신체적 공격성, 흥분성, 우회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실험집단의 공격성은 ‘스포츠스태킹’ 활동 참여 전에 비해 참여 후에 감소한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스포츠스태킹’ 활동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주의 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의 집중력의 하위요인인 기억력, 감성, 주의력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실험집단의 주의 집중력은 ‘스포츠스태킹’ 활동 참여 전에 비해 참여 후에 향상된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스포츠스태킹’ 활동에 참가 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와 공격성이 감소되고 주의 집중력이 향상된 점을 고려했을 때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에서 또는 체육수업에서 ‘스포츠스태킹’ 활동의 적용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Ultrasound-guided Percutaneous Needle Biopsy for Small Pleural Lesions: Diagnostic Yield and Impact of CT and Ultrasound Characteristics

        임재광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발견된 2 cm 이하 크기의 작은 흉막 병변이 발견된 103명의 환자에서 초음파 유도하 경피적 바늘 생검술을 시행하여 영상 소견에 따른 최종 진단을 얼마나 정확히 진단을 할 수 있는지 연구하였다. 작은 흉막 병변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경피적 바늘 생검술의 진단 정확도,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은 각각 85.4%, 84.8%, 100%, 100%, 21.1%이었다.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서 흉막 병변이 결절성 모양을 보이는 경우 초음파 유도하 경피적 바늘 생검술의 진단 정확도는 96.4%이였다. 흉막 병변이 미만성 모양으로 보이는 경우 진단 정확도는 72.3%였지만, 이 경우 흉막의 두께가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4.5 mm 이상으로 흉막이 두꺼워져 있는 경우 진단 정확도는 95.0%이였다. 결론적으로 컴퓨터 촬영 영상에서 흉막 병변이 결절성 모양으로 보이거나, 미만성 모양이면서 흉막이 4.5 mm 이상으로 두꺼워져 있는 경우 초음파 유도하 경피적 흉막 생검술이 환자의 정확한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diagnostic yield of US- guided PCPNB for small (≤ 2 cm) pleural lesions and the impact of CT and US morphologic and technical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3 patients (73 men and 30 women; mean [± SD] age, 68.0 ± 13.3 years) who underwent US-guided PCPNB of a small pleural lesion performed by a single experienced operator from July 2013 to December 2019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Final diagnosis was established via histopathologic results, including findings from repeat US-guided and CT- guided biopsies as well as imaging and clinical follow-up. Pleural morphology and thickness were assessed on CT and US, and needle pathway length throughout the pleura was measured on US. Accuracy,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were calculated. The association of diagnostic yield with imaging and technical factors was evaluated. ROC curve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CT pleural thickness cutoff value.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identify independent predictors of diagnostic yield. Results: The diagnostic accuracy,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of US- guided PCPNB were 85.4%, 84.8%, 100.0%, 100.0%, and 21.1%, respectively. Diagnostic, compared with nondiagnostic, procedures more commonly (p ≤ .002) revealed nodular morphology on CT (96.4% vs 3.6%) and US (97.3% vs 2.7%), greater pleural thickness on CT (7.5 vs 3.2 mm) and US (7.4 vs 3.0 mm), and a greater needle pathway length (11.0 vs 6.1 mm). The optimal cutoff value for pleural thickness on CT was 4.5 mm. Diagnostic yield was 96.4% for nodular lesions, 95.0% for diffuse lesions that had a thickness of 4.5 mm or greater on CT, 55.6% for diffuse lesions that had a thickness less than 4.5 mm on CT, and 100% for diffuse lesions on CT that had nodular morphology on US. Nodular morphology on US (p = .002) and needle pathway length (p = .04)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diagnostic yield. Conclusions: US-guided PCPNB has excellent diagnostic accuracy for small pleural lesions; imaging characteristics influence this accuracy. Advances in knowledge: US-guided PCPNB may be warranted as an initial or repeat diagnostic test if the pleura is nodular or thicker than 4.5 mm on CT.

      •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학교폭력태도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학교폭력태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변인에 따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여부,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여부ㆍ참여정도(시간, 빈도, 기간)ㆍ교외대회 학교대표 경험 여부ㆍ학생의 주관적 운동능력에 따라 학교폭력태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3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9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였다. 유의수준 p<.05 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21.0v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카이검정,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은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여부에 영향을 미쳤다. 즉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약 1.5배 많이 참여하였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집단이 비 참여집단 보다 학교폭력태도는 낮고, 학교생활만족도는 뚜렷하게 높았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정도(시간ㆍ빈도ㆍ기간)에 따른 학교폭력태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 교외대회 학교대표 경험이 있는 집단이 비 경험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학교생활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섯째, 주관적 운동능력이 좋을수록 학교폭력태도 점수는 낮고, 학교생활만족도는 뚜렷하게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는 학교폭력태도를 낮추고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요어 : 학교스포츠클럽, 학교폭력태도, 학교생활만족도

      • 협동학습을 활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스포츠 품성 및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차미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협동학습을 활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스포츠 품성 및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차 미 영 본 연구는 협동학습을 활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스포츠 품성과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지역 소재의 H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4명(남 23명, 여 21명)으로 선정하였다. 이중 실험집단 1학급(22명)과 비교집단 1학급(22명)을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6학년 표적 도전 활동과 배구형 게임을 선택하여 각각 8차시씩 총 16차시 체육수업을 동일한 주제로 8주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협동학습을 활용한 체육수업을 운영하였고, 비교집단은 교수전략 중 직접교수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측정 도구는 스포츠 품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엄혁주, 성창훈(2012)이 개발한 스포츠 품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공감 능력의 변화는 박성희(1997)가 수정․보완한 공감 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측정 도구의 타당도는 Ch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여 척도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스포츠 품성과 공감 능력의 사전-사후 검증을 위하여 일원 반복측정 분산분석(one-way 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설정된 연구 변수들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스포츠 품성의 영향을 미치는 공감 능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을 활용한 체육수업은 초등학생의 스포츠 품성에 관한 집단 간 사전-사후 검사 결과 집중력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협동학습을 활용한 체육수업은 초등학생의 공감 능력에 관한 집단 간 사전-사후 검사 결과 공감적 각성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스포츠 품성과 공감 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공감 능력 하위요인 중 조망 취하기, 공감적 각성 그리고 공감적 관심 요인은 스포츠 품성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상상하기는 집중력, 준법정신 요인에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 협동학습을 활용한 체육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공동의 목표 도달 과정에서 각자의 역할과 책임감을 갖고 타인과 협력하면서 스포츠 품성과 공감 능력을 향상할 수 있었다. 이는 협동학습을 활용한 체육수업이 체육수업의 교육적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어: 협동학습, 체육수업, 스포츠 품성, 공감 능력

      •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초등체육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이재웅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2020년을 하나의 단어로 대표할 수 있다면 그것은 단연 ‘코로나 19’일 것이다. 비말을 통한 개인간 전파와 빠른 확산세는 전 세계를 감염의 공포로 몰아넣었고 마스크 착용의 의무화와 함께 사회적 거리두기의 문화가 자리잡게 되었다. 학교교육 또한 변화를 맞이하였다. 교육부는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비대면으로 수업을 운영하도록 계획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이라는 형태로 교육과정을 운영할 것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전례없는 교육 방식을 갑작스럽게 맞이하게 된 교사들은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들을 겪게 되었다. 특히 신체활동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체육 교과가 가장 어려움이 컸다. 본 연구는 온라인 체육수업을 진행하는 체육교사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한계점들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그들이 제안하는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도적, 시스템적인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향후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온라인 체육 수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교육청 소속의 초등학교 체육교사 여섯 명을 선택적으로 표집하여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3회에 걸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의 모든 과정을 녹음하였으며 녹음 내용을 전사하고 개방형 코딩 과정을 거쳐 선택적 초점 코딩으로 범주화를 하였다. 또한 참여관찰자로서 연구참여자들의 온라인 수업을 직접 관찰하고 관련 공문서 및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자료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먼저, 체육교사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온라인 수업 자료 제작을 위한 콘텐츠가 타교과에 비해 부족하다는 점,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을 준비하면서 직접 수업 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는 과정에서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점, 가정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적절한 교구를 제공하기가 어렵다는 점, 체육교과의 특성상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이 어렵다는 점, 학생들의 수업 참여에 대한 피드백과 평가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 교육적 약자들이 소외받고 있다는 점, 저작권 문제에 대한 우려, 비자발적인 수업 공개에 대한 부담 등이 있었다. 어려움을 기반으로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를 거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온라인 수업의 내실화를 위한 교육당국의 교육과정 재구성 및 운영에 대한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일원화하고 품질을 개선하여 실제적으로 활용도와 교육적 효과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의 적극적인 온라인 수업 콘텐츠 제작을 위해 교육당국이 나서서 제도적인 한계들을 해결해줄 필요가 있다. 이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체육수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도적인 보완이 먼저 이루어져야한다. 둘째, 학급 관리 플랫폼의 일원화와 품질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향후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단계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과정을 병행하여 구성해야 한다. 이 연구는 온라인 체육수업의 운영과 관련하여 교사들만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교육수요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지는 못하였다. 학생과 학부모들이 온라인 체육수업을 통해 느끼는 바는 무엇인지를 듣고 그들의 관점에서의 개선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 초등교사의 배드민턴 운동부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권일호 경인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운동부 담당교사로 생활했던 2년간의 운동부 실제 운영 모습을 자전적 내러티브 연구방법으로 조사한 자기반성적 연구이다. 이를 통하여 현재 학교 현장에서 겪는 운동부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고, 운동부 운영 경험이 초등교사 인 ‘나’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봄으로써 추후 연구의 경험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연구자를 포함하여 수도권 소재의 튼튼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배드민턴 부원 4명과 운동부 지도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운동부 운영일지, 기안문, 공문, 메모, 녹취록, 교육 분석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5단계 과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겪는 운동부 운영의 현실적 어려움과 그것을 극복하고 성장해 나가는 ‘나’의 경험 이야기를 시간별로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자는 운동부를 운영하면서 다양한 이해관계들 속에서 일종의 역할 갈등을 겪었다. 운동부를 운영하면서 다양한 역할을 동시다발적으로 수행해야했고 그 과정에서 충돌하는 여러 역할들 사이에서 수많은 좌절과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운동부 업무는 범위가 지나치게 범위가 넓어 운동부 담당교사에게 과도한 업무부담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현장에서 운동부 업무가 기피업무로 인식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연구자는 이런 어려움을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극복함으로써 운동부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운동부 운영을 통해 일반 체육교육에선 이해하기 힘든 엘리트 체육교육만의 환경과 문화를 경험 했고, 엘리트 선수들을 직접 관찰하면서 이해하는 과정을 겪으면서 학생선수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공감을 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체육교육 체계 및 지식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체육업무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통해 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자신감, 자아효능감이 향상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도 더욱 개선된 학교 운동부 운영사례 제시를 통해 학교엘리트체육 문화의 성장 뿐만 아니라 한 개인으로서 성장과 발전에도 기회가 제공 되었으면 한다.

      • 초등학교 여교사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

        김성용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여교사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인천광역시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여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여교사의 스포츠활동 참여유무, 참여유형, 참여정도(빈도, 시간, 기간)에 따라 체육수업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스포츠활동 참여유무, 참여유형, 참여정도는 빈도분석을 사용하였고, 스포츠활동 참여유무 및 참여정도에 따라 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은 t-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스포츠활동 참여유형에 따라 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은 일원변량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여교사의 스포츠활동 참여자는 비참여자에 비해 체육수업 인식 및 체육 교수활동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포츠 참여자 중에서 스포츠 참여 유형에 따른 체육수업은 간접적 대결 활동군이 수행기록 활동군과 심미적 활동군에 비해 체육 교수활동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포츠 참여정도에 따른 체육수업은 참여빈도에서 주 2회 이상 참여한 여교사가 주 1회 이하로 참여한 여교사보다 체육교수활동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스포츠활동 참여시간 및 참여기간에 따라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여교사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체육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impact to athletics class teaching of sport activities participation by primary school female teachers. 300 female teachers teaching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primary schools had answered questionnaire for the research. We collected whether these female teachers had participated in the sports activities in the past or not, if they did, how they had participated in and degree of participation (frequency, time, period). We analyzed if there is difference in athletic class teaching dependent on these experiences. We used frequency analysis in analyzing data of whether they had participated in the sports activities in the past or not, if they did, how they had participated in and degree of participation. We analyzed the impact to athletic class by whether they had participated in the sports activities in the past or not and degree of participation by t-test. We used one way ANOVA to analyze the impact to athletic class teaching by degree of participation. The result showed that primary school female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had higher average in athletic class recognition and athletic class teaching than those who had not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participators to sports activitie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indirect competition type sports” had higher average in athletic class teaching than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performance record type sports” or “aesthetic sport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ing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twice and more than twice a week had higher average in athletic class teaching than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once or less than once a week.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regarding participating time or participating period in sports activities. In conclusion, our research suggests that sports activities participation by primary school female teachers gives positive impact to athletic class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