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사회 쇼윈도 이미지의 위장된 텍스트에 관한 시각표현 연구 : 광고적 표현을 중심으로

        최호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프랑스의 철학자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는 현대사회가 원본의 복제품인 허상, 시뮬라크르(Simulacra)들로 가득 차 있다고 묘사한다. 시뮬라크르는 실제를 뛰어넘는 힘을 가져 원본의 자리를 대체하고 그 기능까지도 수행한다. 이렇듯 소비사회에서는 보다 많은 상품의 소비를 위해 연출된 허상의 이미지들이 끊임없이 생산되고 숭배된다. 일상생활 속에서도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한 왜곡된 허상의 이미지들이 연출되고, 이는 원본인 ‘나’를 대체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언어는 효과적인 연출을 위한 전략적 장치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광고는 광고 메시지를 통해 소비자의 결핍을 만들고, 숨겨진 욕망을 이끌어낸다. 대인관계에서는 상대방과의 의사소통 속에서 자신을 유리하게 포장하기 위한 화법을 구사한다. 본 연구는 ‘쇼윈도 이미지’와 ‘위장된 텍스트’라는 두 키워드를 사용하여 이러한 허상의 이미지라는 개념을 이끌어나간다. ‘쇼윈도 이미지’는 타인을 의식하여 만들어진 외부로 내세워지는 왜곡된 허상의 연출된 이미지를 뜻한다. ‘쇼윈도 이미지’에는 자신을 적극적으로 포장하기 위한 만들어지는 능동적인 연출과 타인에 의해 강요되는 수동적 연출이 있다. 능동적 연출은 주로 대인관계에서 발견되며, 수동적 연출은 주로 대중매체의 광고에서 발견되는데, 이러한 연출을 돕는 언어적 장치는 ‘위장된 텍스트’라고 정의된다. ‘쇼윈도 이미지’의 능동적 연출을 위해 ‘위장된 텍스트’는 자기 노출을 최소화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화법을 구사하며, 이를 위해 언어의 의미를 왜곡시키는 언어오염의 화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쇼윈도 이미지’의 수동적 연출을 위해 ‘위장된 텍스트’는 광고 속에서 타자를 의식시키는 문구를 의도적으로 사용하여 개인으로 하여금 집단에서 낙오되지 않아야 한다는 불안감을 느끼게 하는 동시에, 독특한 개별성의 환상을 불러일으킨다. 이렇듯 설득을 목적으로 광고언어의 구조와 수사학을 이용한 화법이 사용된다. 본 연구는 ‘쇼윈도 이미지’를 위해 사용되는 ‘위장된 텍스트’를 수집하여, 이를 ‘광고적 표현 연구’를 통해 시각화하고자 하였다. ‘광고적 표현 연구’란 필자가 본 연구를 위해 정의한 키워드로 광고에서 쓰이는 표현 방법인 ‘텍스트와 이미지의 결합’, ‘차용’, ‘다양한 매체의 활용’, 그리고 ‘관객 참여의 방식’을 시각표현 방법에 이용하는 것이다. 광고는 현대인들에게 익숙한 매체로서 메시지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방법을 끊임없이 연구해왔다. 이러한 ‘광고적 표현’을 통해 관객에게 익숙한 현대사회의 모습을 담아내고 현대사회의 허구적 구조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현대사회에서 ‘쇼윈도 이미지’는 일종의 예의범절과 집단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가치로 자리 잡아 개인은 이를 사용할 것을 요구받는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 이를 거부하는 건 어려운 일이기에, 필자의 연구는 가치판단을 하기보다는 객관적인 시각으로 현대사회의 모습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이미지와 언어가 만들어내는 현대사회의 시뮬라크르를 발견하여, 이 구조 속에 감춰진 이면의 의미를 드러내는 데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타자를 의식한 ‘쇼윈도 이미지’의 연출을 위해 구사하는 전략적인 언어적 장치인 ‘위장된 텍스트’를 광고와 일상생활 속에서 수집하고 ‘광고적 표현 연구’를 통해 감춰졌던 그 의미를 드러내는 시각화 방법을 연구하였다. Jean Baudrillard, a French philosopher, describes a modern society full of delusion, a duplicate of the original or Simulacra. Simulacra has a power transcending the real so substitutes for the original, even carrying out its function. As such, in a consumer society, virtual images presented for consumption of more products are produced and admired continually. In a daily life, distorted images of delusion are presented with an aim to showing to others, replacing ‘me' of the original. In such a process, language is used as a strategic device for effective presentation. For instance, advertisement creates the lack from consumers through an ads message and derives hidden desire. As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he commands discourse for his advantage in communication with others. This study derives such a concept of the image of delusion using both key words of the ‘show window image' and the ‘camouflaged text'. ‘Show window image' refers to the presented image of the distorted delusion toward to the outside occurred when being aware of others. ‘Show window image' contains the active presentation to package himself actively and passive presentation forced by others. Active presentation is mainly found from interpersonal relations while passive presentation from advertisement of mass media. Linguistic device helping such presentation is defined as the ‘camouflaged text'. For active presentation of the ‘show window image'. ‘camouflaged text' minimizing self-disclosure commands discourse advantageous to itself so leads to discourse of linguistic pollution distorting the meaning of language. For example, in order to present the ‘show window image' passively, ‘camouflaged text' uses phrases intentionally making individual be aware of others and feel uneasy about falling behind from a group in advertisement, evoking illusion of the unique individuality. As such, persuasion-oriented discourse is being commanded using a structure and rhetoric of advertizing language. This study intended to collect ‘camouflaged texts' used for a ‘show window image' and visualize them through ‘Advertisement expression research'. ‘Advertisement expression research' is to apply ‘combination of text and image', ‘borrowing', ‘utilization of various media' and ‘audience participation' of expressive methods of ads to visual expression. Advertisement is a medium familiar with contemporary people and it has researched a way for effective delivery of a message. Through such ‘advertisement expressions', this study aimed at describing modern society's image familiar with audience and expressing its fictional structur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show window image' was settled as the common values pursued by a group like decorums so individual is forced to use it. It is difficult for humans called social animal to refuse it so this research intended to describe image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on an objective basis rather than attempt to judge value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found out Simulacra of the modern society generated by image and language and disclosed its hidden mea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collected ‘camouflaged texts', a strategical linguistic device for directing a ‘show window image' conscious of others from ads and daily life and visualized them to show a hidden meaning through ‘Advertisement expression research'.

      • 대한민국 국방부 MI(Ministry Identity)디자인 개발연구 : 로고 디자인 리뉴얼을 중심으로

        김근화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를 일컬어 정보화 시대라고 한다. 정보화 시대란 정보가 사람들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을 결정하고 나아가 우리의 생활을 규제하는 시대라 할 수 있다. 우리들이 일상생활에서 받아들이는 정보 가운데 80%이상은 눈을 통해 얻어지고 있다. 즉, 시각적인 정보이다. 최초에 시각적 이미지로 판단하게 되는 시각적 표정인 비 주얼 아이덴티티(Visual Identity)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작용으로 정보를 전달한다. MI는 Ministry Identity의 약자로 최근 정부기관이나 산하기관들이 친숙한 이미지를 표현 하고자 하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으로써 정부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징물을 정부기관의 행동과 정책이념에 대해 내부에서 통일시킬 것을 기본으로 하고, 외부에도 그것을 인식시키는 활동을 말한다. 오늘날의 정부부처 상징체계는 국가의 본질을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객체에서 전달하기 위한 이미지 시스템으로 각 부처의 경제구조, 이념적 지향방향, 역사와 전통, 사회와 문화 등 본질적 요소를 이미지화하여 만들어진 아이덴티티(Identity)라고 볼 수 있다. Visual Identity는 이미지 전달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도구이기 때문에 좋은 정부부처 이미지를 만드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 시각적 형식(Modality)을 갖춘 Visual Identity의 시각적 정보는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지고 공감과 호감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오늘날 이미지와 아이덴티티의 사회 전반적인 인식의 확산으로 그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으며 이미지 전달방식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문자뿐만 아니라 강력한 이미지 소통방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대한민국 국방부 MI에 관한 연구로 시각적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는 상징마크와 로고타입 디자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한민국 국방부의 대표상징으로 65여 년간 사용되어져 온 심벌마크는 각종 공문서와 기타 주요 시설물 등에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외 홍보활동에서도 나타나는 Visual Identity이지만 아이덴티티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시각정보의 커뮤니케이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고 일관된 이미지를 전달하지 못하고 있으며 낡은 감각의 시각적 표현, 활용의 어려움, 통일된 이미지 결여의 문제를 동시에 발생시키고 있어 대한민국 국방부의 이미지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아이덴티티 시스템의 필요성을 느껴 본 연구에서는 로고 디자인 리뉴얼을 통해 대한민국 국방부 이미지 상승과 가치제고를 위한 MI 디자인 시스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곧 대한민국 국방부의 고유 위상을 지키는 것이 될 것이며, 국민에게 더욱 긍정적인 국방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국방부 상징에 관한 명확한 규정을 정함으로써 규정 없이 사용되어졌던 것을 재정립하고 고루한 이미지를 현대화하고자 리뉴얼을 실행하였다. 또한 지속 가능한 활용을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자 한다. 아울러 대한민국 국방부 MI의 상황을 검토하고 문제점 해결 방안을 통해 향후 국민들에게 긍정적이며, 국제적으로 국가 이미지 개선과 국가정체성 확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We refer to the society we live in today the Information Age. We can say that the Information Age is an age where information determines the thought process and behavior of people, and furthermore, where it regulates human life. We accept the information in their daily lives more than 80% of the eyes can also be obtained through. In other words, is visual information. First Schedule to the visual image that is scheduled to be considered as a visual identity through a variety of media, effective communication to convey information to act. MI, Ministry Identity stands Recently, the government agency or agencies to more familiar images to express a visual communication system that the government uses a symbol of government action and policy ideas about the internal unity that he be built and , outside activities, even to recognize it said. Today, the government of the symbol system of the state, the essence variety of communications from an object to convey the image system, each department of the economic structure and ideological orientation directions, history, tradition, society and culture, the essence of the image created identity that can be seen. Visual Identity in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because it is a very effective tool to create a good government ministries image may be a shortcut. Visual format (Modality) with a Visual Identity of the visual information is widely accepted that many people like and can be characterized as sympathetic. Today, the overall image and identity of the communit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spread of emerging and increasingly attracting attention as an image delivery system, as well as the powerful images that communicate the character the way because the reality is spreading. So in this paper, we study the MI Department of Defense Republic of Korea as a visual image to represent a symbol mark and logotype design was studied.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Defense representative symbol over 65 years been used for all symbol marks the various public records and other major facilities, etc. are used, as well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motional activities appeared in Visual Identity is the identity of the system due to the absence of visual information to communicate effectively will not work consistently Can not convey the image of the old sense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utilization of the difficulties, lack of a unified image and the problem occurs at the same time the image of the Pentagon's Republic of Korea has deepened the confusion. This systematic and efficient system of identity, logo design, in this study felt the need for renewal through the Department of Defense Republic of Korea for enhancing the image and value rose MI is to propose guidelines for designing the system. Ministry of Defense Republic of Korea, which soon will be a unique position to keep the people, to instill a more positive image for the Pentagon to produce the results will be. The symbol of the future Department of Defense to set forth clear rules that had been used, without redefining the rules and to modernize antiquated image renewal is complete. In addition, to allow for sustainable use of practical guidelines suggested. MI Department of Defense Republic of Korea, as well as reviewing the situation and ways to solve problems the people of the future is positive, improve international image and national identity, establishing a national impact is expected to be.

      • 복합문화공간의 인지도 향상을 위한 브랜드 전략 개발 연구 : SJ.Kunsthalle를 중심으로

        변정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요즘 현대인들의 대부분은 도심지에 거주하며, 이들의 라이프 스타일과 가치관은 과거에 비해 사회적 변화와 시대적 변화로 인해 매우 복잡하고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형태를 나타나고 있다. 이들은 일상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신체적, 정신적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문화 공간에 대한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보다 다양화되고 복합화 된 공간을 찾음으로써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이 등장하게 되었다. 과거에 기존 문화는 일반적으로 연극이나 영화, 공연 등 예술 활동을 말하는 것으로 일부 특정 계층만이 향유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즉 예술, 문화 컨텐츠라는 특정 영역이 일정한 공간에서 행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변화된 현대 사회에 접어들면서 문화의 의미와 향유 계층의 범위가 다양한 영역의 문화 예술 활동, 이를테면 여가, 체험, 학습 등 문화적 경험을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 문화 공간의 의미가 확대 되었지만 아직까지도 문화를 즐기는 일은 인간의 사회적 지위와 지적 수준을 나타낸다. 더불어 잉여 물질이 풍부해지고 여가 시간이 늘어나면서 현대인들에게 삶을 살아가는 방법은 더 이상 양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삶의 질을 따지며 정신적인 풍요로움을 추구하는 라이프 스타일을 형성하며 문화적인 삶을 추구한다. 때문에 이제 문화는 현대사회에서 빼놓을 수 없는 화제이며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하지만 도심의 문화 공간은 질적, 양적으로 대중의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근본적으로 도심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인데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인지 부족 현상이 가장 큰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문화공간의 인지도 강화를 위한 입지가 명확하지 않으며 브랜드를 알릴 수 있는 핵심 요소인 시각적 아이덴티티 측면에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과 브랜드의 가치를 표현하는데 있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SJ.KUNSTHALLE’를 선정하여 국내외 여러 분야별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새로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복합문화공간 인지도 향상을 위해 ‘SJ.KUNSTHALLE’의 아이덴티티를 개발함으로써 문화 예술 분야에서의 브랜딩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역할의 중요성을 재고하며 뿐만 아니라 나아가 다원화 시대에서 한국 문화산업 다양성 확보 및 중요성과 다양한 문화 예술의 균등한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해 본다. This paper is the product of extensive research on the brand identity of complex cultural space operated as SJ.Kunsthalle, which was targeted as subject of ‘Study of strategic brand development to raise awareness of complex cultural space.’ Most people of this modern age live in urban areas. Compared to the past, the lifestyle and values of these people are swiftly changing due to the shift in time as well as in the society. They continuously had searched to fulfill their needs in finding a cultural space where they can relieve their stress and take both mental and physical rest. This led to the appearance of a complex cultural space where all of these customer's needs could be satisfied. Culture, at one point in time, consisted of theatrical plays, films, performance, and other artistic activities, which were only enjoyed by those of high social status. However, the current shift in society shows expansion in the definition of cultural space to include the function of providing cultural artistic activities such as leisure, experience, and learning. What has not changed is this society's perception of cultural entertainment as an indicator of a person's social and intellectual status. For this reason, culture is a subject that cannot be neglected in modern soviety, and has become a trend. However, the cultural spaces located in urban areas have yet to meet the standards of the public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most profound problem would be the lack of awareness for these cultural spaces. This study focuses on analysis of SJ.Kunsthalle, which lacks the necessary conditions to raise awareness of complex cultural space, and fails to fully express its special characteristics of a complex cultural space in the area of visual identity as well as its brand value. This paper will conduct case studies wher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will be compared to discover its weaknesses in order to develop and propose a new brand identity. Through this research on complex cultural spaces, the current status of complex cultural spaces will be shared to instill interest and raise the necessity of SJ.Kunsthalle to differentiate itself into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true culture and arts identity. There in significant meaning in emphasizing the importance and role of brand identity in the area of cultural arts by proposing a new brand identity development of the SJ.Kunsthalle. The selection of colors were executed in reference to the brand concept of SJ.Kunsthalle. Various promotion designs, which are methods to raise awareness and interest of the public were presented in order to add finesse to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dentity of SJ.Kunsthalle in order to raise awareness of future complex cultural spaces. This will revisit the importance of brand identity and branding in the area of cultural arts. Further, this study expects this analysis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variety of Korea's cultural industry and in the equal development of various cultural arts in this pluralistic era. In addition, this woul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complex cultural space in this era of pluralism in cultural arts. In the area of visual express, methods to raise awareness of SJ.Kunsthalle was found and specific application methods were proposed. As a means to raise interest and awareness of the mass, various promotion designs were presented in order to add value to this research. As culture become more and more various, proportionate and equal development of multiple areas are required. This paper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branding construction as a method of raising awareness and developing the area of cultural arts; further research and study must be conducted on this matter.

      • 글로벌 커피브랜드 한글 로고타이프 표현연구 : 스타벅스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김슬기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Since Coffee is loved around the world, .even if You are easily accessible coffee brand in many areas. Typically, 'Starbucks' brand has gained great popularity, landed in the Korea since 1999. Because 'Starbucks' brand has gained popularity in world, and coffee is Developed that Product can produced more brand value of food. And Korea Becomes the developed countries, Korea 's economy has grown gradually. In 1999, after which the first store opened 'Starbucks' brand gradually developed about 500 more than the 2013. and The popularity of Starbucks caused another Golbal Coffee Brand's many stores opened This Country. global coffee brand get more populity, and in South Korea's culture get more populity in the world, so made word "Korean Wave". This trend fetched Korea's Pop culture, celebrities, language, fashion, medical services, etc loved in the wold people. Korean Wave, much more than the fetched many tourists visit on a regular basis in the 1990s, and they have a favor for South Korea is accepting our culture. Because of these changes can be found in various downtown. Hangul various brands and their signs. Especially Hanok Village, Insa-dong in the traditional places. Signs Hangul many people feel positive. The reason was not far Hangul is represented by many brands. This has led novelty, novelty, variety of things, such as self-esteem. Since consumer awareness, preference increased. Hangul is so much signage is installed. In this paper, current research, Starbucks has eight Hangul signs. But there is a problem in Hangul signs. The brand identity consists of logo, color system, only fonts, logotype, etc. Hangul, however, only made ​​signage typeface, without the logotype. I do not have the clearance Hangul fonts. The overlap of the Hangul fonts and other brands. So has led the brand identity, the personality that ambiguous. Of course, this is because the fine is not much sign Hangul. Hangul is growing, but will grow and signage. So consumers - dong, dong, and those who use a lot - is experiencing confusion due to the Hangul Signs. This paper will improv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tarbucks logotype Hangul. This helps Hangul signs of redevelopment. And to solidify brand identity. So is trying to convey to consumers reflecting the beauty of Hangul logotype. This study wants to help in the future. Various tasks - Hangul signs, logotype, etc - Korea design representation. So I want beautiful flag, personality, and fun to be signs Hangul. And I look forward to growing the Korea's renditional logotype. 전 세계적으로 커피가 사랑받기 시작하면서, 전 세계 어느 지역을 가더라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커피 브랜드가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으로 'Starbucks'브랜드가 있으며, 1999년부터 국내에 상륙하여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비단 'Starbucks'브랜드가 세계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으며 커피가 사람들에게 식품의 의미보다 그 이상의 브랜드가치를 생산할 수 있는 제품으로 발전하게 되었기 때문이며, 국내 경제가 점차 번성, 발전하면서 선진국으로써의 그 흐름을 함께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문에서 더 깊이 다루겠지만 1999년에 이대 앞에 1호점을 낸 후로 'Starbucks'브랜드는 점차 발전하여 2013년 현재 약 500여개의 점포를 국내에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Starbucks'의 열풍에 힘입어 다른 글로벌 커피브랜드 역시 국내 각 지역의 상권에 점포를 보유하게 되는 현상을 낳았다. 글로벌 커피브랜드 확산의 현상과 더불어 2000년대 이후로 한국 대중문화에 열풍이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한류’라는 신조어가 생김과 동시에 대한민국의 대중문화, 연예인을 비롯하여 언어, 문화, 패션, 의료 사업 등 다양한 분야의 제품 및 컨텐츠들이 전 세계인들에게 사랑받게 되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한류열풍으로 대한민국에는 90년대보다 훨씬 더 많은 관광객들이 꾸준히 방문하고, 그들은 한국에 대한 애착을 갖고 우리 문화를 받아들이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에 발맞추어 인사동이나 한옥마을과 같은 우리나라의 전통을 엿볼 수 있는 거리에서는 다양한 브랜드들이 입점해 있으며, 이러한 브랜드들의 간판을 한글화 하는 작업을 실시하기에 이르렀다. 한글서체로 표현되지 않았던 브랜드를 한글간판으로 표현하는 것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데, 이는 새로운 표현에 대한 참신함, 우리 서체로 표현되어지는 것에 대한 자부심과 같은 것들의 다양한 조화로 보여진다. 이러한 증가하는 소비자들의 인지도 및 선호도로 인해 현재 많은 한글 간판이 제작 및 설치중이며, 이번 논문에서 사례로 연구될 'Starbucks'브랜드는 현재 8개의 한글 간판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한글간판에 대한 문제점 역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브랜드를 구성하는 아이덴티티는 로고와 컬러시스템 그리고 전용 서체 혹은 로고타이프 등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각 브랜드의 전용 한글서체 혹은 한글 로고타이프가 개발되지 않은 상태에서 한글간판을 세우고 있다보니 사용되는 한글 서체는 제각각일 뿐 아니라, 타 브랜드의 한글 서체와 겹치기도 하여 각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개성이 오히려 모호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물론 현재로서는 많은 한글간판이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문제점은 크게 인식되지 않지만 앞으로 점차 한글간판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인사동 및 삼청동 등 한글간판이 설치되어 있는 특정지역을 자주 이용하는 소비자들에게는 다른 한글서체 간판 때문에 혼란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Starbucks'브랜드의 한글 로고타이프를 개발하는 연구를 통해 한글 간판의 재정비를 도울 뿐 아니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더욱 확고히 하고 소비자들에게 한글로 표현된 로고타이프만의 아름다움을 전달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앞으로 다양한 브랜드의 한글간판이 제작될 때 각자의 개성이 드러나며 미적으로도 아름다운 한글간판이 많이 제작 될 뿐 아니라, 외국 브랜드와 한국적인 이미지가 로고타이프에 재미있게 반영되어 표현되어지는 작업들이 점차 늘어나게 되길 바란다.

      • 기호(記號)소비사회의 허구적 정체성에 관한 시각표현 연구

        정미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Development in huge capital and technology in the middle of 20th century caused rapid economic growth for human beings. Production began to exceed consumption, and human society entered into a “society of consumption.” Corporations and society attempted to resolve the problem of excessive production by excessive consumption, and the meaning of “consumption,” previously indicating “plunder” and “waste,” was changed into “ordinary and positive behavioral patterns.” Keeping up with the times, corporations began to include meanings exceeding the actual value of use, or signs, in their products using advertisements and marketing. Thus, modern consumption can be understood as a kind of sign with cultural context, not as simple behaviors obtaining value of use. Modern people do not open their wallets just for value of use. Modern consumption is to consume the signs in products; thus, it is a course of communication based on social agreement and a measure of expressing social difference. Consumption is a way to express oneself and a way of existing. In this society of consuming signs, individuals consume products in order to identify their identity, and such aspect of consumption can be understood as positive meaning of individual’s personality or expression of preference. However, technically speaking, consumption of signs is already out of a person’s free will and serves as a mean of incorporating oneself into the system of signs that is implicitly defined by society. Consumption is just a means for one to belong to a class different from others, or to belong to a group that one thinks is ideal. Thus, modern consumption can be classist. Desire of consumption is maximized when there are people who cannot consume, for what can be owned by anyone cannot be an object of desire. Consequently modern people try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via consumption and to create their identity, but during that, they are placed in an ironic situation in which they lose their freedom and independence. Consumption in modern society, thus, may be signs that are forced by other people or social position in the name of a mean to express personal preference, indicating limitations and ficitonality of a sign-consuming society. Modern people seem to live within freedom of consuming everything, but actually are degraded to the slaves of consumption, not convincing that to consume is their own will. Thus, the sign-consuming society is a society in which it is generalized that fictional identity is obtained via consumption, revealing that sign-consuming society has structural limitations through which an identity of a person is determined by what they consume. The author of this paper fixed a thesis subject as Visual Expression of Fictional Identity in Society of Sign Consumption” and produced the work with a methodology of “concept design centering on context transformation.” Modern society put value as signs ahead of actual value of products, having a strange phenomenon in which identity obtained via consumption is preferred to inner identity. In order to visualize such a severe crisis of identity presented by the sign-consuming society, the author selected concept design methodology as a method of expression in which semantic transformation is materialized through contextual transformation. In the concept design methodology, the author researched a design methodology in which context and intellectual conception are emphasized and, via the methodology, visualized the ideas of the author on fictional identity of the society of consumption. Desig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signs of products in the society of consumption, but designers are no longer producers of signs to sustain the society of consumption. Designers can expand their scopes by caring about social problems and communicating with society through their designs. The author tried to have an opportunity to consider social roles of designers by having a critical mind on the society of consumption and visualizing the mind with concept design methodology, thus resulting in presenting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both consumer and designer who live in this sign-consuming society. 20세기 중반 거대 자본과 기술의 발달은 인류에게 급격한 경제 성장을 안겨주었다. 생산은 소비를 추월하기 시작했고 사회는 이른바 '소비의 사회'로 접어들었다. 기업과 사회는 과잉 생산의 문제를 과잉 소비로 해결하고자 하였고, 과거 '약탈'과 '허비'를 의미하던 '소비'의 의미는 '일상적이고 긍정적인 행동 양식'으로 변화되었다. 이에 발맞춰 기업은 광고와 마케팅을 이용하여 상품에 실질적 사용가치 이상의 의미, 즉 기호(記號)를 담기 시작했다. 이와 같이 현대의 소비는 사용가치를 얻는 단순한 행위를 넘어서 문화적 맥락을 갖는 일종의 기호(記號)로 이해할 수 있다. 현대인은 더 이상 사용가치 만을 위해 지갑을 열지 않는다. 현대의 소비는 상품에 담긴 기호(記號)를 소비하는 것이고 따라서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이자 계층과 사회적 차이를 드러내는 방식이다. 다시 말해 소비는 나를 드러내는 방식이자, 내가 존재하는 방식이다. 기호(記號)소비사회에서 개인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품을 소비한다. 소비의 이러한 측면은 개인의 개성이나 취향의 발현이라는 능동적 의미로 이해되기도 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기호(記號)소비는 이미 나의 자유의지를 떠나 사회가 암묵적으로 정해놓은 기호체계에 스스로를 편입시키는 수단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소비는 나를 남과 다른 계급에 소속시키기 위한, 또는 내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집단에 소속되기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서 현대의 소비는 계급적이라 할 수 있다. 소비의 욕망은 소비 할 수 없는 사람이 존재할 때 극대화된다.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것은 욕망의 대상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현대인은 소비를 통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 정체성을 확인하려고 하지만 오히려 그 과정에서 자유와 주체성을 상실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놓인다. 다시 말해 현대 사회의 소비는 개인의 취향을 드러내는 수단이라는 명목 하에 다른 사람의 눈을 의식한 강요된 기호(記號)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기호(記號)소비사회가 갖는 한계이자 허구성이다. 따라서 현대인은 무엇이든 소비할 수 있는 자유 속에 사는 것 같지만 정작 이것이 정말 나의 의지인가를 확신할 수 없는 소비의 노예로 전락하고 만다. 이러한 점에서 기호(記號)소비사회는 소비를 통한 허구적 정체성의 획득이 일반화된 사회이다. 결국 기호(記號)소비사회는 무엇을 소비하는가를 통해 한 인간의 정체성을 결정해 버리는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다. 이에 본 연구자는 ‘기호(記號)소비사회의 허구적 정체성에 관한 시각표현 연구’를 논문의 주제로 삼고 ‘정황(Context)의 변환을 중심으로 한 개념디자인’ 방법론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현대사회는 상품의 실질적 가치보다 기호(記號)로써의 가치를 우선시 하고, 내면적 정체성보다 소비를 통해 획득된 정체성을 앞세우는 기현상(奇現象)을 보인다. 이러한 기호(記號)소비사회가 가진 심각한 정체성의 위기를 시각화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정황(Context)의 변환을 통해 의미의 전환을 이루는 개념디자인 방법론을 표현 방법으로 설정하였다. 개념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연구자는 정황과 지적(知的) 개념이 강조되는 디자인 방법론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소비사회의 허구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자의 생각을 시각화하였다. 디자인은 소비사회에서 상품의 기호를 창출하는 주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디자이너의 역할은 더 이상 소비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기호의 생산자 역할에 머물러 있지 않다. 디자이너는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갖고, 디자인을 통해 사회와 소통함으로써 자신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본 연구자 또한 소비사회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이를 개념디자인 방법론으로 시각화하는 과정을 통해, 디자이너로서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생각해보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기호(記號)소비사회를 살아가는 소비자이자 디자이너로서의 정체성도 함께 생각해 보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 K-FOOD 한국식품 로고인증마크 제안 연구

        이혜린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cultural trades among nations become more frequent all over the world, trust and guarantee are becoming important. Food markets also consider patents of other countries and international standard certifications important as it is becoming wider. As food markets are being globalized, quality and safety of products are becoming important issues and the significance of certification marks are being magnified. Also, a lot of countries are utilizing international by creating their own marks such as Kosher, USDA, JAS, IFoam, Halal. These certification marks are seen as the symbol of trust, safety, and other positive factors to the buyers. Customers from different countries might not be able to read other languages, but with the certification mark on the product, they can be relieved and buy international product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certification marks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also as the international cultural trading field is getting expanded. Recently, Korean wave is becoming more and more famous, led by K-pop and following Korean dramas, and Korean food. With the attention of many people from all around the world, Korean food is also drawing a lot of attention, and it could be the next leading wave. As exportation of korean food is increasing, cultural trades and many communication activities are in action to let as many people as possible to get to know about Korean food. As some examples, Korean government and corporations are holding exhibitions, inviting foreign buyers, advertising Korean food internationally to spread out positive image of Korean food under the name of K-Food. However, some unrelated facts and imitational products need improvement. In this research, it will explain the importance of certification mark and suggest how Korea can improve the problems that K-Food might have by conducting surveys and researches for foreign consumers. Also, by analyzing current market conditions, it will highlight the necessity of K-Food's certification logo and suggest it's ideal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 Currently, a lot of people around the world are already aware of K-Food pretty well. However there is no certain visual image of K-Food. Due to the lack of consistency of K-Food's image, people from different countries might not be able to acknowledge if it is Korean food at once. In addition, as K-Food is getting famous, a lot of imitation products have been produced. This can cause customer confusion and also drop the image of K-Food. Therefore, the necessity of logo mark is increasing. According to recent surveys, there are many people enjoying K-Food, and most of them said that when they purchase the food, they usually check the name of the brand and in which country it was produced. Also, they consider the quality and cleanliness of the product. However, many similar imitation products using unverified ingredients are leading consumers to wrong purchases and cause confusion. As a solution for this problem, if we could create a certain logo mark for K-Food, then it will help generalizing the image of real K-Food which will bring many positive outcomes. With such researches, I will suggest the development of K-Food's logo mark. It has to maintain the original image of K-Food, and include K-Food's true meaning when it comes to cultural trades. Simple and readable visual image can satisfy what an ideal logo mark needs. With this logo, the brand value of K-Food will increase and gain a competitiveness among the world's food market and also can solve the imitation problem. Concise but remarkable logo mark will bring foreigners the consistent image of K-Food. This research can be a normative reference for informing the necessity of K-Food logo. As cultural exchanges among countries are increasing, K-Food logo is expected to take a huge responsibility to introduce K-Food to new buyers. Follow-up researches should be continued and lastly, I hope this research can help the logo designers. 전 세계적으로 국가 간의 문화교류가 자유롭게 교류되면서 서로간의 신뢰와 보증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식품시장 또한 시장 영역의 확대 및 글로벌화 됨에 따라 국가 간의 특허권 및 국제 표준 인증을 중요한 요소로 인지하고 있다. 식품시장의 국제적 확산으로 인해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이 중요한 화두로 오르며 인증마크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코셔(Kosher), 유에스디에이(USDA), 자스(JAS), 아이폼(IFoam), 할랄(Halal) 등 자국을 대표하는 국제 인증마크 제도가 활성화 되고 있다. 이는 제품의 정보와 신뢰도, 안전성 등 브랜드의 정보가 인증마크(Certification Mark)라는 시각적인 요소로 표현되어 소비자에게 인식된다. 세계의 소비자들은 언어는 통하지 않고, 다른 국가의 제품이지만 국제적으로 인증된 마크를 확인함으로써 안심하고 제품 구매행동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인증마크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문화교류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영역이 확대되면서 세계 식품시장에서 그 중요성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최근 대한민국의 한류열풍이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K-Pop을 중심으로 Korea Drama, K-Food(Korean Food) 등 한류문화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세계인의 관심 속에 한국의 문화들이 인기를 얻으면서 한국의 위상이 세계화 속에서 높아지고 있다. 그 중 한류의 열기가 한식문화(K-Food)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며, 새로운 한류의 흐름으로 조명되고 있다.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한식에 대한 문화교류가 자유롭게 교류되며, K-Food 브랜드 경험을 위해 여러 형태를 지닌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로 K-Food의 맛과 멋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국가와 기업에서 “K-Food"용어와 함께 국내외에서 박람회, 바이어 초청, K-Food 홍보로 세계인들에게 한식의 문화를 긍정적 이미지로 전달하고자 하고 있다. 하지만 일관성 없는 K-Food 이미지와 K-Food 모방사례로 인해 개선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으로 K-Food에 대한 위상이 높아지는 가운데 문화적 교류간의 신뢰와 보증역할을 하는 인증마크에 대한 중요성을 알리고, 해외 소비자들이 한국식품 K-Food에 따른 인식과 K-Food 인증마크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하여 문제점 파악을 하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 하겠다. 또한 현황 및 사례분석을 통해 ‘K-Food'의 로고인증마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디자인개발과 개발과정을 제시하겠다. 현재 ‘K-Food'의 브랜드는 소비자의 높은 인지도와 함께 K-Food 용어가 빈번히 사용되고 있지만 정립된 시각적인 표현 요소가 체계화 되어 있지 않고 이미지의 일관성이 없는 상태이다. 전체적으로 로고의 모호한 이미지로 인해 로고에 대한 인지가 어려운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K-Food의 이름을 걸고 수출되고 있는 상품의 인기에 힘입어 생산되는 모방상품들로 인해 소비자의 혼란과 기업 및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세계인의 관심 속에서 K-Food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선 로고인증마크의 역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상당수의 소비자들은 K-Food를 선호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식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조사한 결과 ‘제조 국가와 브랜드를 보고 상품을 구매한 적이 있다’를 선택한 소비자가 상당 수 존재 했으며 제품의 안전성을 가장 높게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증되지 않은 값싼 재료와 공정비용으로 생산된 유명 K-Food의 모방제품들이 디자인까지 흡사하게 만들어져 시장에 유통되면서 소비자들의 혼란과 잘못된 구매로 이어지게 하고 있다. 이에 따른 제안으로 “글로벌로 수출되고 있는 K-Food 제품에 한국식품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로고인증마크가 있다면 제품 구매 시 도움이 될 것인가?”라고 문제점 해결 및 제안에 관한 질문 결과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답변을 얻을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설문조사 결과를 연구 및 분석하여 K-Food 로고인증마크를 개발 및 제안하겠다. 이는 기존의 K-Food의 이미지를 유지하며 문화적 교류에 있어 대한민국 한식문화가 가지는 의미를 내포하고자 한다. 간결하고 가독성을 고려한 시각적인 표현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 및 인증마크로서의 역할을 충족하려 한다. 이에 따라 개발된 K-Food는 대한민국의 국가 브랜드로써 로고인증마크로 개발되어 브랜드 가치를 이끌어내고 디자인적 가치가 내포되어 개발된 로고 인증마크를 통해 국제적 경쟁력 제고를 얻어 모방상품에 대한 문제점 해결을 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작지만 큰 의미를 내포하며 정확한 의미전달 표현이 가능한 로고인증마크는 K-Food에 있어 효과적인 활용개선방안으로 소비자에게 일관된 이미지를 효율적인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적 교류가 활발해지고 K-Food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발생되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개선 제안 및 활용방안 제시로 K-Food의 인증마크 필요성을 알리는 참고자료가 될 것이며, 향후 국가 간의 유통이 활발해지는 만큼 K-Food 로고인증마크의 역할이 한 축을 담당하기를 바란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 또한 계속적으로 이어지길 기대해본다. 마지막으로 로고인증마크 디자인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 치과병원 브랜드 개발에 대한 연구 : 미용치료전문치과 V.I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임미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사회, 경제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의료영역에서도 병원 브랜드의 차별화 전략이 화두가 되고 있다. 이에 병원의 브랜드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며 일반 메디컬 영역과 마찬가지로 치과영역 내에서도 이러한 브랜드 차별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 모습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치과 소비자들이 구강 내의 ‘치료’를 위한 것 외에도 ‘미용’적인 개선을 위해 치과 병·의원을 찾는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치과 병원의 브랜드 차별화 전략이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과 치과진료영역에서의 미용치료영역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미용치료가 강조되는 치과 트렌드에 따른 치과 병·의원 V.I 디자인이 나아가야할 발전적 미래방향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병원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주로 메디컬영역이나 종합병원의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치과 영역에서도 소아치과와 같이 특정진료영역으로 집중되어있으며, 디자인의 경우 치과 병·의원의 로고 디자인의 구조적인 형태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데에 그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전반적인 병원의 차별화된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는 부족하다는 데에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병원 브랜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의 흐름 속에서 등장한 전문 진료영역을 특화시킨 치과병원들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V.I 디자인 구축 사례를 살펴보고 이러한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특성을 분석 고찰하였다. 특히 치과미용치료전문 병원을 대상으로 하여 V.I 디자인 개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근거로 하여 미용치료전문치과 병원을 위한 새로운 V.I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의료계의 커다란 흐름인 병원 브랜드화에 대한 동향과 그 병원 브랜드의 특성을 이해하고, 지난 2007, 2008년도의 치과병원의 현황에 관련한 통계자료를 근거로 하여, 치과계 내의 치열한 경쟁상황을 이해하였다. 또한 1990년대에 처음으로 등장한 네트워크 치과 브랜드인 예치과를 시작으로 2000년도에 등장한 전문진료영역을 특화시킨 치과병원들의 브랜드 전략사례 및 브랜드 네이밍 및 디자인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치과계의 최근 동향과 함께 미용치료전문치과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국내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허가를 획득한 치아미백제가 출시되고 인비절라인이나 브라이트 스마일과 같은 미백시스템이 국내에 론칭되는 등 치과와 연계된 미용치료업계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보이고 있으며, 또한 미용치료와 관련된 치과계 내의 학회들의 활발한 동향도 살펴볼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미용치료전문치과 브랜드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에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용치료전문치과의 진료 영역 중 특히 치아미백, 치아 및 턱 교정 분야의 인지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치과진료에 비하여 미용치료전문치과 브랜드 선택 시 디자인 요소가 중요하며, 안전성, 전문성, 신뢰감등의 브랜드 이미지가 중요시 여겨진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밖에 미용치료전문치과 브랜드에 적합한 컬러계열과 심볼마크 이미지 선호도를 살펴 볼 수 있었다. 넷째, 위의 설문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화이트라인치과’라는 미용치료전문치과의 브랜드 네이밍 및 디자인을 제시하였으며, ‘화이트라인치과’의 차별화 된 브랜드 전략을 세우기 위해 기본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V.I 디자인의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고찰 및 제안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치과 진료 영역 내에서 특히 미용치료전문치과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앞으로 본 연구와 관련하여 보다 전문화 되고 차별화 되어질 치과 병원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대하여, 새로운 가치와 연구의 기준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앞으로 이 분야의 다양한 아이템 개발과 지속저인 관심 및 후속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Owing to today’s socio-economic factors, differentiation strategies in hospital brands have become a conversation topic in the medical community. So, the understanding of hospital brands has been heightening, and as is the case with the medical community, it can be easily seen that the dental community also is making efforts to attain such brand differentiation. Particularly, as the number of dental consumers visiting dental clinics not only for “treatment” in the mouth but also for “beauty” improvement has been increasing, dental clinics’ brand differentiation strategies have become indispensabl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such backgrou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treatment in the dental treatment field, and ultimately to present developmental future direction which dental clinics’ visual identity designs should follow in accordance with dental treatment trend that emphasizes beauty treatment. Researches on hospitals’ brand identity have been continuously made, but they have focused mainly on medical treatment areas or on general hospitals, or on particular areas such as pedodontics in dental areas. And in the dental clinics’ visual identity design areas, researches have been focusing mainly o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current conditions of structural forms of logo designs, so the problem is that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constructing differentiated brands of overall hospitals. This research examined the cases of differentiated V.I. established by dental clinics that are specialized in exclusive medical treatment in the current flow of the times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ospital brand, and based on thi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m. Particularly, in order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V.I. designs, survey via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on the dental clinics that are specialized in beauty treatment, and based on the data obtained by this, new V.I. designs for the dental clinics that are specialized in dental beauty treatment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 c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 brands and the trend on making brands of hospitals which is the main flow of the medical community today, and the severe competitive situations within the dental community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related to the conditions of dental clinics in 2007 and 2008. Also, I could examine Ye dental clinic, network dental brands that emerged in the 1990s, and the cases of brand strategies, brand naming,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dental clinics that were specialized in exclusive treatment realm that emerged in the 2000s. Second, this researcher could examine the recent trends of the dental commun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ntal beauty treatment”. I could examine the active movements and trends related to dental beauty treatment of dentistry society and of the dental community as dental whitener that obtained Korean FDA permissi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the whitening system such as Invisalign, and Bright Smile have been put on the market. Third, under these circumstances, survey on the general public about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the brands of ‘beauty treatment specialty’ dental clinics was conducted an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particularly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dental whitening, and of correction of tooth and chin was high. They also showed that design factors are more important in choosing ‘dental beauty treatment’ than general dental treatment, and that they attach importance to brand image in safety, specialty, and trust. Also I could examine preference for the color and symbol mark image that are suitable to the brands of ‘beauty treatment specialty’ dental clinics. Fourth, I presented the brand naming and design of ‘beauty treatment specialty’ dental clinic called ‘White Line Dental Clinic’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urvey. I attempted to examine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V.I. designs that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establish differentiated brand strategies of the ‘White Line Dental Clinic’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particularly ‘dental beauty treatment’ within the dental treatment realm. This research will provide the opportunity to present new value and basis of researches on dental clinic visual identity designs that will be further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I think the development of diverse items in this field and continuous interest and active follow-up researches should be made.

      • 뉴 실버세대를 위한 시니어포털사이트 개발 연구 :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네이버 포털사이트를 중심으로

        김경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로 급변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실버세대를 넘어선 뉴 실버세대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러한 사회 환경을 받아들여 현실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뉴 실버세대의 특성에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 을 적용하여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의 정보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 되고 있는 웹 환경에 적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신체적인 장애를 가져 생활의 어려움을 가진 것뿐만 아니라 노인과 어린이, 그리고 왼손잡이 등 다양한 상황이나 연령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사람들이 가질 수 있는 핸티캡 모두를 고려한다는 점에서, `평생 디자인' 이라고도 불린다. 위와 같은 유니버설 디자인은 기존에는 공공 시설물이나 패키지디자인에 주로 적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정보화 시대에 발맞춰 현실적으로 생활의 기반이 되는 디지털 기기와 IT 분야에서도 새로운 이슈로 급부상하여 웹사이트를 비롯해 소프트웨어나 디지털TV, 휴대전화 등 다양한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로 확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에 이와 같은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을 IT와 각종 디지털 기기에 접목시키려는 시도가 점차 늘고 있다. 이 중에 오늘날의 커뮤니케이션의 주요수단이 인터넷이라는 점에서 웹 환경에 유니버설 디자인을 어떻게 적용하고 구현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앞으로 점점 더 중요한 화두가 될 것이다. 하지만 그동안 우리 사회의 웹 환경은 소수자, 취약 계층인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배려가 매우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는 웹으로부터 정보 소외 계층으로 분리시켜 정보의 격차를 발생시키고 계층 간의 차별을 점차 심화시켜 문화적 불평등을 악화시키고 인터넷 이용 계층 간의 갈등을 야기 시키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에 대한 문제가 커지면서 이를 반성하고 성과위주의 성장의 부작용을 개선하고 정보 소외 계층에 대한 배려로서 유니버설 디자인의 중요성이 새롭게 강조되고 있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추세를 감안했을 때, 이제는 더 이상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단순히 피해가야 할 규제가 아닌 새로운 과제인 동시에 기회로 생각해야 할 때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속하게 고령화 사회인 동시에 인터넷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현시점에서 뉴 실버세대가 가장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 중 하나인 포털사이트를 그들이 쉽고 편리하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하여 시니어전문 포털사이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 연구를 개척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 정보 소외계층이었던, 고령자들 또한,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웹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론을 적용한 웹사이트 디자인을 통해 이들 또한 평등하게 웹에 접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helps peopl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new silver generations beyond silver generations at this time of becoming rapidly aging society, to accept the reality of aging society, and to respond these social environments in reality. In addition, this study helps people to apply to Web environment that is today's information and the means of communication with 'Universal Design' for new silver generations. The Universal design is referred to as `Lifetime Design" considering handicaps that many people have according to various kinds of conditions on the base of people, physical disability to live, the elderly, children, and left-handed, depending on various conditions. This universal design has been applied to public facilities and package designs. Nowadays, it has been used for digital devices and IT sectors on information age as well as web sites, software, digital TV, mobile phones with a variety of digital products and services as a new issue. Because of useful device, the attempt to combine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IT and various digital devices is increasing gradually recently. The way to apply and implement universal designs for web environment in the future will be increasingly important issues as main means of communication on internet nowadays. But on the web environment in our society, it is true that there is not a lot of consideration for the minority and poor people who seldom get information on internet. These kind of people are separated from internet information, which causes information gap, deepens conflicts worse, causes cultural inequalities and conflicts between people who use internet. However, the importance of universal design is focused to consider the neglected class for internet to help them and to improve the side effects of performance-oriented development, which is some issues to be solved. Considering the rapid change of aging society in Korea, especially the study of universal design is not any regulations to avoid but a new assignment and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is study proposes to be portal sites for only seniors by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 new silver generations to access and use easily one of the portal sites that they use frequently on the rapidly aging society and the time moving into the Information Society. This researcher expects that new researches for designs are to be studied and the elderly, the underprivileged layers of information, also access to the web environment easily and equally through the designs for web sites that are ·

      • UI(University Identity)시스템을 반영한 모바일 앱(App)디자인 개발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모바일 앱(App)중심으로

        임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스마트폰 시장이 급증하면서 새로운 미디어의 보급은 기존 미디어 이용 형태를 급속하게 변화시키며 우리들의 생활 속으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빠르게 확산되어 라이프스타일의 시대가 되어가고 있다. 이에 스마트폰의 급증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의 열풍으로 보고 있다. 2007년 1월 아이폰 출시로 애플에서 운영하는 앱스토어(App store)의 수 많은 앱의 개수가 쏟아지면서 국내 또한 구글의 ‘안드로이드 마켓’의 이름으로 2008년 8월에 발표하여 10월부터 이용이 시작되어 앱의 수는 2012년 3월, 현재 45만개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 많은 앱으로 인해 앱의 종류와 디자인의 중요성도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편승하여 국내 각 대학들은 학생 및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학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앱을 개발하였고, 이용도 또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학교 앱은 주로 도서관 빈자리 현황과 도서 반납과 대출, 대학내 건물 위치, 학생식당 메뉴, 강의시간표, 사이버 캠퍼스 등 대학종합정보시스템 전반의 효율성 향상과 재학생의 행정 처리의 개선을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기위해 만들어 졌다. 현재 많은 대학들은 수요에 발맞춰 학교생활에 도움을 주는 기능적 컨텐츠를 주로 갖춘 UI(University Identity)를 반영하여 개성있는 디자인을 개발하고 있다. 각 대학교 앱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인해 애플의 앱스토어와 구글의 안드로이드 두 방식으로 앱을 만들고 있으나 정보전달의 그래픽요소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서비스 앱 시장인 구글의 안드로이드에 등록되어있는 대학교 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앱 디자인 연구를 진행 하였다. As the smart phone market expanded rapidly, new media has changed the previous media usage massively and has become a era of our lifestyle that has rapidly came into our liv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ccordingly, the widespread increase of smart phone is taken as a boom in the application market that provides the mobile application. Ever since the i-phone was released in January, 2007 by Apple, numerous apps came out to the market from the App store and in Korea, as it was released in the name of Google’s ‘Android market’ in August, 2008, it started it use from October and as of March, 2012, the number of the app has reached 450 thousand. Due to such a huge number of app, the type of app and the importance of design has become a major topic. Leveraging such trend, local universities has developed apps for the student and user convenience and to transcend the school information and its usage has risen as well. School app was made mainl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university total information system that shows vacant seats and book renting in the library, university facility location, school cafeteria menu, class timetable, cyber campus etc and improve the administrative works for the students. Upon the demand of the app, numerous universities are developing creative design that reflects the UI which is equipped with functional contents that helps school life. Due to the usage of mobile device of the users, although the universities are making apps in types of Apple’s app store and Google’s Android, the graphic components to transcend the information are similar and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university app which is registered on Google’s Android and started the Ewha Womens University app design study based on such analysis.

      • 소상공인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 매뉴얼 개발 연구 : 분식점 사례를 중심으로

        김지원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소상공업은 서민 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일반 대중과 가까이에 있으며 경제 환경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 또한 수적인 측면과 고용창출의 측면에서 대기업 혹은 중소기업만큼 우리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못지않게 소상공인 역시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음은 물론 보호하고 육성해야할 집단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장기화된 경제 불황과 경기 침체는 소상공인들에게 큰 타격을 입히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와 선도 기업은 소상공인의 불황 극복, 경영 환경 개선 등 다양한 지원책 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일시적이고 대상은 선택적이다. 보다 보편적이고 실용적인 소상공인 지원 정책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보편적 지원 정책 마련에 있어 디자인적 해결 방안의 모색은 그 해답이 될 수 있다. 다수의 소상공인이 창업과 경영에 있어 디자인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 가이드의 마련이 불황극복의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생계를 우선시해야 하는 경영조건과 열악한 창업환경, 자금의 영세성으로 인해 디자인 정책마련은 상대적으로 소외를 받고 있다. 이는 디자인이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브랜드의 존폐를 좌우한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의 효과적인 경영 개선에 있어 디자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근거로, 소상공인을 위한 디자인 정책 및 지원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소상공인 지원 정책의 일반적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대표적 생계 밀착형 업종인 분식점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조사는 생계형 자영업이 가장 많이 밀집해있는 서울 중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안 도출의 경우 최근 분식업계에 불고 있는 디자인 고급화와 차별화할 수 있는 ‘친근함’이라는 속성을 기본으로 분식점 고유 정체성을 살리는 집단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시각화 하였다. 이 시안은 범용성과 전형성, 사용자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최종 결정하였으며 소상공인의 편의와 경제성 등에 최적화된 형태인 디자인 가이드 매뉴얼로 구체화 하였다. 본 연구는 더 폭넓은 디자인 마케팅 전략으로 확대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분식점을 비롯한 다양한 업종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발판으로 소상공업 지원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지속적 정책수립, 소상공인의 경쟁력 강화가 실현되기를 기대해본다. Micro-enterprise which is an important part, the basis of ordinary people's economy, is close to general people and responds to economic environment the most sensitively. Also, it makes effects on our economy as many as big-sized enterprise 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from angles of quantity and job creation. Therefore, the importance of micro-enterprisers is recognized as much as big-sized enterprise 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and they are focused as a group which must be protected and developed. But, the extended economic depression and economic recession recently cause severe damage to micro-enterprisers. Therefore, government and leading companies are preparing various supporting plans such as recession overcoming of micro-enterprisers, improvement of management environment, etc. But, the effects are temporary and the objects are selective. It's necessary to seek more universal and practical supporting plans for micro-enterprisers. For the preparation of universal supporting plans, the answer can be to seek design solutions because lots of micro-enterprisers feel a necessity of design in foundation and management and preparation of design guide can be an effective solution for recession overcoming. However, design approach is relatively neglected by management condition focusing on livelihood, poor environment of foundation and small scale of funds. It implies, the facts that design is an factor which decides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and controls brand's continuousness and abolition are ignored. Therefore, this research considered design approach and supporting plans for micro-enterprisers based on the fact that micro-enterprisers play an important role for effective improvement of management. To achieve it, this researcher examined general state of micro-enterpriser supporting policies for snack bar which is a representative type of livelihood contact-type business.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Jung-gu, Seoul that the most livelihood-type businesses are gathered. In case of draft proposal, group brand identity vitalizing snack bar's own identity was visualized based on the attribute of 'familiarity' which can make design's 'high-quality' and 'differentiation', recent trend of snack bar. This draft proposal was finally decided by considering generality, typicality, user's convenience, etc. And, it was materialized to design guide manual which is a type optimized to convenience, economic feasibility, etc. of micro-enterprisers. This research can be expansively applied to broader strategy of design marketing. In addition, it's significant to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business including snack bar. Based on this research, supports of micro-enterprise should be more interests and continuous establishment of policies and strengthening of micro-enterprisers' competitiveness should be rea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