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앵커 프리 방법과 CNN을 이용한 실시간 번호판 검출 및 인식 시스템

        김대훈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car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s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systems need to guarantee real-time performance to recognize the license plate of a driving car. Also, they should keep a high recognition rate even in problematic situations such as small license plates in low-resolution and unclear image due to distor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car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that improved processing speed using object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anchor-free method and text recognition algorithm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In addition, we used Spatial Transformer Network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on the low resolution or distorted images. We confirm that the proposed system is faster than previously existing car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s and maintains a high recognition rate in a variety of environment and quality images because the proposed system’s recognition rate is 93.769% and the processing speed per image is about 0.006 seconds. 최근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실시간 자동차 번호판 검출 및 인식 시스템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주행 중인 자동차의 번호판을 검출 및 인식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입력 영상이 왜곡되어 선명하지 않거나 저해상도인 입력 영상에서도 높은 인식률이 유지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앵커 프리 방식의 번호판 검출 알고리즘과 CNN 기반의 번호판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처리 속도를 개선한 실시간 자동차 번호판 검출 및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동시에 공간 변형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왜곡되거나 저해상도인 입력 영상에서의 인식률을 높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입력 영상당 처리 속도는 약 0.006초, 번호판 인식률은 93.769%로 기존 자동차 번호판 검출 및 인식 시스템보다 빠른 속도로 동작하며, 다양한 품질 및 환경의 입력 영상에 대해 높은 번호판 인식률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학교부적응 여중생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대한 대상관계 미술치료 사례연구

        전혜빈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여중생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학교부적응을 경험하는 중학교 3학년 여학생으로 무기력감과 우울감을 호소하고 있으며 모의 양육태도평가 검사를 함께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22년 7월 4일부터 11월 7일까지 주 1회 50분씩 총 20회기를 실시하였으며, I시에 위치한 심리상담센터에서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능력 척도를 사전·사후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림검사는 집, 나무, 사람(HTP), 동적가족화(KFD), 빗속에 사람(PITR) 그림검사를 사전·사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회기별 관찰을 통해 주제에 따른 단계 및 회기별 변화를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여중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과업 효능감, 대처 효능감, 정서통제 효능감에서의 점수가 향상되었다. HTP 그림검사의 사전검사에서는 그림의 크기가 작고 상세묘사가 부족하였다. 사후검사에서는 전반적인 그림의 크기가 확장되었고 섬세한 표현의 변화를 보였다. KFD 그림검사의 사전검사에서는 그림의 크기가 작고 약한 필압을 보였다. 사후검사에서는 전체적으로 그림의 크기가 확장되고 특히 부모를 잘 그리고자 하는 욕구의 변화를 보였다. 둘째,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여중생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하위요인인 적극적 대처의 문제중심적 대처와 사회적 지지추구의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소극적 대처의 소망적 사고대처도 향상되었다. PITR 그림검사의 사전검사에서는 그림의 위치가 하단에 위치하며 약한 에너지와 고립감이 나타났다. 사후검사에서는 비의 양은 더 많아졌으나 용지 가득 그림을 채웠고 우산이라는 대처자원이 등장하는 변화를 보였다. 셋째,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회기 및 단계별 과정에서 학교부적응 여중생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회기가 진행될수록 대상자는 미술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고 자신의 감정과 어려움을 솔직하게 표현하였다. 또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 주변인들과 나누고자 하는 노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여중생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학교부적응 여중생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과 경험적 사례 연구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ubject-related art therapy on self-efficacy and stress response ability of middle school girls who have difficulty adapting to school lif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third-year middle school female student who had difficulty adapting to school life and was feeling lethargic and depressed. Her mother's parenting attitude evaluation test was also conducted. The study period was from July 4 to November 7, 2022, and a total of 20 sessions of 50 minutes were conducted once a week, and it was conducted at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located in "I" city. As research tools, self-efficacy scale and stress response ability scale were used to compare before and after subject-related art therapy. For the picture tests, the house, tree, and person picture test (HTP Test), the dynamic family picture (KFD) picture test, and the person in the rain (PITR) picture test were conductu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Subject-Related Art Therapy. In addition, changes in each session and changes according to the topic of each session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 observation by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ask efficacy, coping efficacy, and emotional control 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girls who find it difficult to adapt to school life, have been improved. The HTP picture test before art therapy performed showed no detailed description or explanation, but the overall picture size was expanded and delicate expression was changed in the test after art therapy performed. KFD picture tests before art therapy showed small size and weak pen pressure and rejection, but after art therapy, the overall picture size expanded and the desire to draw parents changed. Second, it was found that subject-related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tress response ability of middle school girls who had difficulty adapting to school life. Problem-centered response and social support response scale, which are sub-factors of stress response ability, have changed positively, and Wishful thinking response has also improved. In the PITR picture test before performing art therapy, the position of the picture was located at the bottom, and weak energy and isolation were shown. However, in the PITR test after art therapy, the amount of rain increased, but the picture was filled with paper and a coping resource called an umbrella appeared. Third, middle school girls who had difficulty adapting to school life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and stress response ability over the course of Subject-Related Art Therapy. As the session progressed, the subject showed an active participation in the art work and honestly expressed his feelings and difficulties. She also showed a commitment to solving her own problems and sharing them with those around her. Through the above study results, the effect of subject-related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and stress response ability of middle school girls who have difficulty adapting to school life was confirmed.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data on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and empirical case studies in the field of art therapy for middle school girls who have difficulty adapting to school life.

      •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 미술치료 단일사례 연구 : 애착과 자기조절력 중심으로

        박승아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prove and confirm how effectively the Art Therapy program applied wit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has influenced the attachment and self-control of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led siblings. The object of the research aims on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led siblings ,who are attending A Elementary School in K City. The research has been done for a total of 26 sessions, 60 minutes per week from April 2017 to October 2017. In terms of a measurement tool for research, the Korean Parent Adhesion Scale (IPA) and the Korea Center for Self - Control Balancing Scale (SCRS) has been applied. In order to observe the extent of attachment by qualitative analysis, Birds Nest Drawing(BND) has been conducted and Kinetic Family Drawing(KFD) also has been applied to observe the fluctuation in scale of self-control. As a result, these two measurement tools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y applied wit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has been proved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ttachment of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led siblings. According to conclusion on the analysis of the gap between the pre - and post-score on the attachment test by each subject area, it instructs that the average level of parental attachment confidence has been changed from 24 points on pre-score to 33 points on post-score, average scale in communication test has been improved from 21 points on pre-score to 30 points on post-score in measured value. Generally, the scales of all three sub-categories in the test were improved in all aspects, changing averagely from the 15 points on the pre-score to the 19 points on the post-score.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quality of the attachment relationship, Birds Nest Drawing (BND) has been conducted. In the drawing on pre-score, the child as the object of the research revealed his anxiety generally as drawing a picture with weak, broken lines, especially his anxiety was recognized as he depicted his picture that a baby bird in the nest was not protected and threatened by the snake and the egg in the nest was exposed to the outide without protection and cracked. On top of that, his picture also shows that bullets fly and stormy wind goes on outside the nest. In contrast , the overall expression in the drawing on post-score was observed with stronger pressured-touch, showing in the picture that the baby bird seems to be more stable on post-score than on pre-score. one of the transitional traits was detected on the picture showing that parents birds focus on taking care of baby bird well. Moreover, nurturing activities by parents bird in the picture were observed so that the baby bird felt secure. As a stove is introduced on the drawing, child expressed his emotion as stove as tool of expressing the emotion was designated as feeling of warmth and medium of expressing to set up an appointment and to restore trust with the mother. These changes found in the picture proved that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in attachment relationships. Second, Art Therapy applied wit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s positively effective on the self-controlling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pre - and post-score on the self-controlling scale shows significant change in various aspects. In terms of the endurance control ability, the result has been improved from 14 points on pre-scale to 25 points on post-scale. With regard to the ability to control concentration, the result has been developed from 9 point on pre-scale to 14 points on post-scale. In terms of attention control, it has been increased from 14 points on pre-scale to 23 points on post-scale. In terms of social control skills it has been improved from 16 points on pre-scale to 27 points on post-scale. As a result, all four sub-topics on test were developed in positive way. Additionally, in order to examine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esire for self-control, the Kinetic Family Drawing (KFD) picture examination was conducted. In the drawing on pre-scale, expression with a weak, broken line and depiction of child's desire and longing for physical attachment with the mother was observed. This depiction on the drawing on pre-scale shows rapture of mutual communication and lack of mutual intimacy. In contrast, the picture conducted on the post-scale showed that family members who talks to each other with joy as eating together. Based on Analysis of this picture, obsessive attention of child which was focused only on the mother was distracted as child shared his attention with the father and older sister. In other words, this positive change tells that child was building up healthy relationship with receptive and positive attitude within family. For such a reason, a positive transit in the drawing has resulted in a positive change in child's family life. On the basis of such a positive changes, It is obvious that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is very effective positively on improving self-controlling. The above research has proven that the Art Therapy Program applied wit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achment and self-control of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led siblings. However, Unfortunately, Since a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ility siblings who appeared in my research should be regarded as a single case of children at A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K, it is difficult to anticipate the same result will be produced in every other general cases of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ility siblings. Therefore, succeeding researches are needed to expand the extend to which the object of the research should cover up the other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led siblings in the same town or in various towns.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를 적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의 애착과 자기조절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 소재 A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4월부터 2017년 10월 까지 주 1회 60분씩 각각 총 26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로 한국형 부모애착척도(IPA), 자기조절력척도(SCRS(Self-Control Rating Scale))를 사용하였고 질적 분석으로 애착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새둥지화(Birds Nest Drawing : BND) 그림검사를 하였고, 자기조절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동적가족화(Kinetic Family Drawing : KFD) 그림검사를 실시해 비교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치료를 적용한 미술치료는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의 애착관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애착척도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부모애착 신뢰감 평균이 사전 24점에서 사후 33점으로, 의사소통 평균이 사전 21점에서 사후 30점으로, 소외감 평균이 사전 15점에서 사후 19점으로 3가지 하위항목이 모두 향상되었다. 또한 애착관계를 질적 분석하기 위하여 새둥지화(Birds Nest Drawing : BND)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그림에서는 약하고 끊어진 선으로 그려 불안함을 표출하였고 둥지안의 아기새가 보호받지 못하고 뱀으로부터 위협을 받거나 알이 바깥으로 노출되어 깨지는 것으로 표현하였고 둥지 안은 뱀이, 밖은 비바람이 치고 총알이 날아다니는 상황으로 그렸으나 사후그림에서는 보다 강한 필압으로 전체적인 표현을 했으며 그림에서의 아기새가 안정적으로 느낄 수 있는 모습이었고 부모새가 아기새를 위해 보호하고 잘 돌보는 것에 집중하는 모습으로 바뀌게 되었다. 또한 아기새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양육활동이 전개되었고 아동은 그것을 난로라는 도구를 통해 ‘따뜻하다’라고 표현하였으며 엄마와 약속을 정하고 지키고 신뢰를 회복하는 과정으로 표현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를 통해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애착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인지행동치료를 적용한 미술치료는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의 자기조절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자기조절력척도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인내심조절능력은 14점에서 25점으로, 집중력조절능력은 9점에서 14점으로, 주의조절능력은 14점에서 23점으로, 사회성조절능력은 16점에서 27점으로 4가지 하위항목이 모두 향상되었다. 또한 자기조절력을 질적 분석하기 위하여 동적가족화(Kinetic Family Drawing : KFD) 그림검사를 사전그림에서는 약하고 끊어진 선으로 표현하였고 엄마와 신체적으로 밀착한 모습에서의 애정욕구가 중심이 되었고 상호작용이 단절되어 있으며, 친밀감 형성이 부족하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가족구성원이 함께 대화를 나누면서 식사하는 것에 즐거운 감정을 담아 이야기하는 것으로 보아 엄마에게만 집중하였던 아동의 관심이 아빠, 누나에게도 나누어져 서로를 수용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로 관계를 형성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것으로 보아 가정생활에 긍정적인 변화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변화를 보면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자기조절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인지행동치료를 적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의 애착과 자기조절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은 K시에 있는 A초등학교 아동 단일사례라는 점에서 모든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들에게 적용하여 동일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렵다고 판단되어 후속 연구는 같은 지역 또는 다양한 지역의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결과를 일반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모바일 엣지 컴퓨팅을 위한 자세 추정 기반 고령자 행동 분류

        박민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고령화로 인한 사회 문제 해결 방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 인구 증가로 돌봄 서비스의 인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서버에 부담을 줄이면서 빠르고 쉽게 배포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자세 추정 기반으로 행동을 분류하는 딥러닝 모델을 만들고자 했다. 고령자의 일상행동 인식을 위한 ETRI-Activity3D 데이터셋에서 제공하는 약 먹기, 리모컨 컨트롤, 쓰러짐을 구분할 수 있는 고령자 동영상을 활용하였다. 동영상으로부터 이미지를 프레임 단위로 추출 후 MoveNet을 통하여 얻은 사람의 관절 정보를 3가지 이미지 크기와 3가지 데이터셋의 크기, 3가지 분류 모델로 추론하여 27가지의 결과를 도출하였고, Tensorflow Lite로 변환 후 성능을 비교하였다. 성능 비교에는 클래스별로 임의의 테스트 이미지를 1,000장씩 총 3,000장을 사용하여 추론하였으며, precision, recall, f1-score를 내포하는 Confusion matrix를 활용하였고, 경량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추론 시간을 측정하였다. 가장 성능이 좋은 모델의 경량화 전, 후의 Accuracy가 각각 84%, 81.6%로 도출했고, 추론 시간은 각각 0.2487s, 0.0002s로 측정되었다. 이 결과는 본 논문에서 실험한 MoveNet을 활용한 분류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모바일 엣지 디바이스를 통해 고령자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을 시사한다.  This thesis conducted a study on how to solve social problems caused by aging. As a way to overcome the labor limitations of care services due to the rapidly aging population, we wanted to create a model for classifying behavior based on posture estimation in a mobile edge computing environment that can reduce the burden on servers and solve personal information problems. The video of the elderly that can distinguish between taking medicine,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and falling down in a large-scale 3D image dataset (ETRI-Activity3D) for recognizing the daily behavior of the elderly was used. After extracting the image frame by frame from the video, 27 results were derived by inferring human joint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MoveNet into 3 image sizes, 3 dataset sizes, and 3 classification models, and performance comparison was performed after converting to Tensorflow Lite. For performance comparison, a confusion matrix containing precision, recall, and f1-score was used by inferring a total of 3,000 random test images, 1000 for each class, and the inference time was measur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weight reduction. The Accuracy before and after lightweight of the best performing model was derived as 84% and 81.6%, respectively, and the inference time was measured as 0.2487s and 0.0002s, respectively. This result suggests that using the classification model using MoveNet experimented in this paper,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can be provided through various mobile edge devices. 

      •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이 여자비행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애착에 미치는 효과

        심소영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is to prove the effect of art therapy with adaptation of real therapy on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attachment of juvenile delinquents who entered the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institution. The subject of study was conducted on 12 female juvenile delinquents who entered the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institution in A city in Gyeonggi Province. This group was commissioned by a counselor for lack of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attachment issues, and A group of six people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same group of 12 members was organized, and the other six agreed to organize the control group and conduct collective art therapy programs later. This research had been conducted at a total of 15 sessions, for 90 minutes once to two times a week, from June 2016 to August same years. The first 15 minutes consisted of homework inspection and presentation, guiding the program for 5 minutes, performing art activities for 40 minutes, and sharing feedback with each other for the remaining 30 minutes. As a measurement tool for research, quantitative analysis used that Oh Ji Hye(2010) reconstructed emotional regulation test based on research and development by Goleman(1996), Mayer(1994) and that Kim Tae Hyeong(2013) reconstructed peer attachment test based on research and development IPPA(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by Armsden & Greenberg(1987).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tested using a separate sample t-test using SPSS 24.0 to confirm that they were homogeneous. Afterwards, the experimental group stage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ith reality therapy techniques and analyzed the changes in stages. As a measurement tool for research, qualitative analysis used that the DAS(Draw-A-Story Test) was developed by Silver (1988, 2002) to see chang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a KSD(Kinetic School Drawing) developed by Prout and Phillips (1974) to see changes in peer attachment. Afterwards, the experimental group stage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ith reality therapy techniques and analyzed the changes in stag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btained according to the theme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reality therapy with group art therapy of juvenile delinquents who entered the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emotional regulation. In comparison with the emotional regulation tests, the experimental group has increased by an average of 1.08. The experimental group had positive effects in all five areas : self-controlling and expression, emotional control and impulse control, use of self-impression,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other people, and interpersona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ol groups. In the beginning, when negative emotions appeared, the work was not completed because of the lack of ability to work, and a fight broke ou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blaming others. However, in the later,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its ability to emotional regulation, creating positive, future goals,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choices, and trust in themselves created and strengthened positive emotions. This allowed subjects to improve their emotional regulation by creating and strengthening positive emotions by selecting and implementing feasible ways to meet their needs. In addition, DAS (Draw - A-Story Test) was used for qualitative analysis of emotional regulationl. The dictionary showed aggressive or destructive emotions and lacked the ability to control them because there was no means to deal with them, but in the afterlife, negative emotions were reduced and positive. This suggests that the subjects ' emotional regulation has improved. Second, the reality therapy with group art therapy of juvenile delinquents who entered the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peer attachment. In comparison with the peer attachment tests, the experimental group has increased by an average of 1.49. The experimental group had positive effects in all three areas : communication, trust and alien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ol groups. In the beginning, research subjects did not lend materials to each other, and there were fights. They also rarely spoke during the time when they exchanged feedback on homework. Later, however, they praised each other and thanked each other for distributing materials, helping friends in need, and giving feedback on assignments. This shows that research subjects have a positive effect on peer attachment by choosing and practicing what is feasible in a friendship. In addition, KSD(Kinetic School Drawing) was used for qualitative analysis of peer attachment. At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ainted it out of tune with their friends. However, later, the group drew images of enjoying themselves with their friends. This shows that the subjects ' peer attachment have improv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verified that the reality therapy with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emotional regulation and enhancing peer attachment of the juvenile delinquents who entered the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institution. The reality therapy with group art therapy of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ombined the reality therapy and art therapy and presented systematic and structured programs, showing effects in enhancing emotional regulation and enhancing peer attachment. As the juvenile delinquents in this research were the teenagers who entered the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institution in A city,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same results by applying it to all of the juvenile delinquents. In this respect,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done to generalize the results by expanding the range of the targets from different regions. 본 연구는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 프로그램이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애착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A시에 위치한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집단은 정서조절능력이 부족하고 또래애착에 문제가 있어 상담사에 의해 의뢰되었으며, 12명의 동일 집단으로 실험에 참가하길 원하는 6명을 실험집단을 구성하였고 나머지 6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추후에 집단미술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기로 약속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6년 6월부터 2016년 8월까지 주 1-2회 90분씩 각각 총 15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도입 15분은 약속지키기 점검 및 발표하기, 5분은 본 회기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 40분은 미술 활동을 하였고 남은 30분은 서로 피드백을 나누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를 위한 측정 도구로 양적 분석으로는 Goleman(1996), Mayer(1994 )의 연구 개발한 토대로 오지혜(2010)가 재구성한 정서조절능력검사와 Armsden & Greenberg(1987)가 제작한 애착 척도 IPPA(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에서 또래에 대한 애착을 김태형(2013)이 번안한 또래애착척도검사를 사용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하여 SPSS 24.0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으로 실시하여 동질의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이후 실험집단은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 프로그램을 단계별로 실시하고 사전·사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으로는 정서조절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Silver(1988, 2002)가 개발한 DAS(Draw-A-Story Test: 이야기그림검사)그림검사를 하였고, 또래애착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Prout와 Phillips(1974)가 개발한 KSD(Kine tic School Drawing: 학교생활화)그림검사를 실시하고 이후 실험집단은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 프로그램을 단계별로 실시하고 사전·사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이 소년보호입원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정서조절능력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비교 검증한 결과, 정서조절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나타난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로 정서조절능력검사를 실시하고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은 평균 1.08 향상되고 하위영역인 자기정서 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정서이용,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대인관계 5가지 영역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내담자들은 초기에는 부정적 정서가 나타날 때 과제 수행능력이 떨어져서 미완성하거나 대충 마무리하고 딴짓하고 부정적 정서에 대한 원인을 주변 환경에서 찾고 분노를 표출해서 내담자 간에 충돌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후기에는 자신의 정서를 안전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익혀 긍정적 정서 능력을 키우고 미래에 대한 목표를 스스로 선택하여 자신의 선택에 책임을 지며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때 내담자에 자신에 대한 믿음으로 인해 긍정적 정서가 발생하고 강화되었다. 이는 내담자들이 자신이 원하고자 하는 욕구를 이루기 위해 실현 가능한 방법을 선택하여 실천함으로써 긍정적인 정서를 일으키고 강화하면서 정서조절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서조절능력을 질적 분석하기 위해 DAS(Draw-A-Story Test: 이야기그림검사)그림검사를 사용하였는데 사전그림에서는 공격적이거나 파괴적인 정서가 보이고 이를 대처할 수단이 전혀 없어 정서조절능력이 거의 없는 반면에 사후그림에는 부정적인 정서가 감소하고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정서로 변화함으로서 정서조절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이 소년보호입원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의 또래애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또래애착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비교 검증한 결과, 또래애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나타난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로 또래애착검사를 실시하고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은 평균 1.49로 향상되고 하위영역인 신뢰도, 의사소통, 소외감 3가지 영역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내담자들은 초기에는 재료가 남는데도 불구하고 전혀 빌려주지 않거나 나눠서 써야 하는 상황에서는 싸움이 일어나기도 하고 과제에 대해 서로 피드백을 나누는 시간에도 이야기를 잘 하지 않았다. 그러나 후기에는 재료를 양보하거나 과제를 수행할 때 어려운 친구가 있으면 도와주기도 하고 과제에 대해 서로 좋은 피드백을 하면서 칭찬하고 감사하는 표현도 하게 되었다. 이는 내담자들이 친구들 간의 관계에서 실현 가능한 것을 선택하여 실천함으로써 또래애착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또래애착을 질적 분석하기 위해 KSD(Kinetic School Drawing: 학교생활화)그림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전그림에서는 자신만 나오거나 또래가 나오더라도 상호작용이 나오지 않은 모습이었으나 사후그림에는 대부분 또래 간에 실습이나 생활관에서 노는 모습의 상호작용이 나오며 표정도 웃으며 즐거운 모습으로 변화하여 또래애착이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이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애착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였고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집단미술상담 프로그램은 현실치료기법과 집단미술상담을 접목하여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서조절능력 향상과 또래애착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이 경기도 A시에 위치한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들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모든 비행청소년에게 동일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후속 연구는 보다 다양한 지역의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결과를 일반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극저온 환경에서의 DRAM 셀 트랜지스터 신뢰성 특성 분석 및 모델링

        박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반도체 소자의 고성능, 고집적화를 위해 소자의 크기를 줄이는 스케일링이 심화되고 있다. 그로 인해 소자 내부 전기장의 크기가 증가하여 hot-carrier degradation, bias-temperature instability, time dependent dielectric breakdown 등의 신뢰성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양자 컴퓨팅을 위한 극저온 환경에서의 DRAM 신뢰성 평가도 주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나, 상용화된 DRAM 셀 트랜지스터인 BCAT의 신뢰성 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극저온을 포함한 다양한 조건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전기적 특성 변화를 측정 및 분석하였으며 모델링을 통해 수명을 성공적으로 예측하였다. 더 나아가, ring oscillator의 주파수 열화를 분석하여 소자의 열화가 회로 열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PN junction forward current로 인한 joule heating을 이용하여 열화된 소자를 회복시키는 국부적인 어닐링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제안한 어닐링 기법을 통해 열화가 성공적으로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The scaling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s being intensified for high performance and high integration. As a result, electric field inside the device has increased, and reliability problems such as hot-carrier degradation, bias-temperature stability, and time dependent dielectric breakdown have increased. In addition, DRAM reliability evaluation at cryogenic temperature for quantum computing is also becoming a major issu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reliability evaluation of BCAT, which is a commercial DRAM cell transistor. In this paper, I measured and analyze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to stress in various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voltage, and stress time including cryogenic temperature, and successfully predicted the device lifetime through modeling. Furthermore, the frequency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ing oscillator were measured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device degradation on the circuit degradation. Also, a local annealing technique was proposed to repair the stressed device to an initial state using the joule heating due to the PN junction forward current, and the proposed annealing technique confirmed that the stressed device was successfully recovered.

      • 가정폭력 피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이진아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가 가정폭력 피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가정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9세 아동으로, 2021년 3월 29일부터 2021년 10월 4일까지 주 1회, 60분씩 총 26회기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변화는 자아존중감척도와 동적 집-나무-사람 (KHTP)그림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공격성 변화는 공격성 척도와 동적가족화(KFD)그림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매회기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가정폭력 피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척도 전체와 하위영역인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아존중감 모두 상승하였다. KHTP 그림검사의 사전에는 상호작용에 대한 두려움, 좌절감으로 낮은 성취욕구와 낮은 자아존중감을 나타내었으나 사후에는 현재의 자신과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상을 나타내며 자아존중감 향상의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가 가정폭력 피해 아동의 공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성척도 전체와 하위영역 중 언어적 공격성, 우회적 공격성, 흥분성은 감소하였고 부정성은 변화가 없었다. KFD 그림검사의 사전에는 부모에 대한 억압된 분노감을 나타내었으나, 사후에는 부모와 상호작용하려는 의지를 나타내며 공격성이 감소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미술치료가 가정폭력 피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회기별로 살펴본 결과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미술치료를 통해 억압된 감정을 해소하며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수용하고 긍정적 자아상을 형성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미술치료가 가정폭력 피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 긍정적인 영향 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담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과 경험적 사례연구의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aggression and self esteem of children victims of family violence. The subject was a 9 year-old boy who experienced family violence. The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60 minutes each from March 29th, 2021 to October 4th, 2021 in total of 26 times. There was a comparison analysis of the self esteem changes which were the results of Self Esteem Scale and Kinetic House-Tree-Person(KHTP) Drawing tests. For aggression changes, a comparison analysis was realized after conducting Aggression Scale and Kinetic Family Drawing(KFD) tests. In addition, for observing the changing process of subject’s self esteem and aggression, there was a qualitative analysis in each s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 esteem of children victims of family violence. The total scale of self esteem and its all sub-areas such as general self esteem, social self esteem, families self esteem and academic self esteem were increased. In the pre KHTP drawing tests, he displayed an anxiety of interactions, low achievement need due to his frustration and low self esteem. On the contrary, in post tests, he showed a positive imagination on his future, reflection and an improvement of self esteem. Secondly,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aggression of children victims of family violence. There was a decrease in the total aggressive scale and some of sub-areas such as verbal aggression, indirect aggression, irritability but the negativity maintained the same. In pre KFD drawing tests, he displayed a suppressed irritation for his parents but in post tests, he showed willing to interacting with them and there was a reduction of his irritability. Thirdly, after observing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the aggression and self esteem of children victims of family violence in each session, there were positive changes. The subject released his suppressed feelings through art therapy and at the same time established a positive identity and accepted his feeling and feelings of others too. In conclusion, it was verified that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 esteem and aggression of children victims of family violence and it is also significant as it provides the applicability and empirical case study data for counseling field.

      •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강성호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college students’ self 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ubjects were 8 college students majored in companion animals volunteering for group art therapy. The group art program was conducted twice or once a week for 90 minutes each in total of 13 times from September 3rd, 2021 to November 26th, 2021. In this research, the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berg(1965), adapted by Wan Yong Park and applied by Gyeong Mi Baek(2012) was used for calculating the changes of the self-esteem. For observing the increas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RCS) of Seung Gu Lee which was developed by Schlein & Guerney(1971), adapted by Seon Mo Moon(1980), corrected & revised by Seok Kyun Jeon(1995)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 20.0 and an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realize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In addition, after conducting pre and post Kinetic House-Tree-Person(K-HTP) drawing tests, these chang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al Suk Kim's interpretation standard(2007) and the explanations of participants. Besides, after doing pre and post Kinetic School Drawing(KSD) tests, the changes were analyzed and each session was reviewed according to the Miok Lee & Nanhee Gwon's interpretation standard(2008) and the explanations of participants. The summary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ly,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 esteem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mpanion animals. The subjects could establish a better positive identity by self identification and acceptance of others in each session. Furthermore, there was a positive change like restoring self confidence and overcoming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formation as their self esteem got increased. Secondly,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improvemen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mpanion animals. The subjects could get self-confidence in solving and handling problems and also they showed a stable relationship with others. Thirdly, in each session, the subjects displayed positive changes in positive emotion, self acceptance, self expression and self confidence. To sum up these results, this study verified that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 esteem and relationship form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mpanion animals. Moreover, we could observe a positive communication with other members, formation of self-esteem through encouragement and support,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 confidence.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an empirical data of group art therapy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mpanion animal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A시에 소재한 B대학교 반려동물전공 대학생들로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에 동의한 8명을 선별하였으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21년 9월 3일부터 11월 26일까지 주 1회∼2회, 90분씩 총 13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Rosenberg(1965)의 의해서 개발된(Self-Esteem Scale)를 박완용(2009)이 번안하고 백경미(2012)가 적용한 것을 재사용하였고, 대인관계 향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Schlein & Guerney(1971)의 대인관계 변화 (Relationship Change Scale : RCS)척도검사를 문선모(190)가 번안하였고, 전석균(1995)가 수정․보안한 것을 토대로 한 이승구(2020)의 내용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0.0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후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동적 집-나무-사람(K-HTP) 사전·사후 그림검사를 실시하여 참여자들의 설명과 김말숙(2007)의 해석기준을 토대로 그 변화를 분석하였고, 동적 학교 생활화(KSD) 그림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참여자들의 설명과 권난희, 이미옥(2008)의 해석기준을 토대로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회기별 내용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연구대상자는 회기가 진행되면서 자기 인식과 타인 수용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립하였고,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어 관계형성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회복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전공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연구대상자는 주어진 문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갖게 되었고, 타인과의 관계형성에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원만한 관계로의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셋째, 회기별 내용에서 대상자는 긍정적인 정서와 자기수용, 자기표현, 자신감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이를 종합하여 보면,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으며, 집단원 간의 긍정적인 대화, 격려와 지지를 통해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형성되고 대인관계 향상과 자신감이 강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향후 반려동물전공 대학생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반복적 예술행위를 통한 심상표현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하영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연구자가 ‘반복적 예술 행위’를 통한 작품제작 과정에서 심리적인 치유 경험을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반복행위를 통한 심상 표현연구’를 주제로 하여 작품제작 과정에서 이루어진 치유적 경험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현대인들은 무형의 권력 아래 감시와 통제를 받기 때문에 정해진 일상을 반복하며 살아가고 있다. 감시와 통제로 반복되는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자기소외와 상실, 무기력 등의 문제점을 안고 살아간다. 이런 감시와 통제로 나타나는 병리적 현상은 현대인들이 피할 수 없는 숙명이 되고 있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병리적 현상의 원인을 미셀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의 권력 이론을 통해 확인하였다. 아울러 현대인들의 무의식 속에 존재하는 타자의 욕망도 같은 맥락으로 파악하여 또 다른 치유의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자크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의 욕망 이론으로 철학적 근거로 삼았다. 연구자는 이런 병리적 현상과 욕망으로 인한 상처의 치유를 경험함으로써 이를 심미적 사유로 가져오게 되었다. 심미적 사유로 시작된 작업과정의 ‘반복적 행위’는 마음의 치유를 하게 되었고, 이와 유사한 선행 작가로 최병소(1943~), 로만오팔카(1931~2011)를 연구자의 작품과 비교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최병소의 경우 반복적인 행위의 작업과정에서 노동집약적인 수련행위가 연구자의 작업과정과 공통점이 있지만, 연구자의 행위의 궤적을 드러내는 최병소의 묘법과 행위의 흔적을 가리는 그의 묘법은 큰 차이점을 보였다. 또한, 로만 오팔카의 작업은 연구자의 작업에 시간성이라는 개념을 실존의 기록으로 더욱 깊게 연구하는 기반을 만들었으며 그의 작업과 연구자의 작업에서 무의식이 만들어 내는 행위의 시간성을 비교분석을 하여 작품에서 표현할 수 있는 시간의 궤적을 도출하였다. 연구자의 작품 분석에서는 내용적 측면과 형식적 측면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우선 내용적인 측면으로는 연구자가 반복적 행위를 통한 과정을 미셀 푸코의 권력 이론과 자크 라캉의 욕망 이론을 통해 두 가지의 철학적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심미적 치유의 실마리를 찾고자 했다. 한편,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오토마티즘(돌리다), 마티에르(쌓다), 낙인(인두로 지지기)의 3가지 표현기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기법들이 형상을 이루어 나가는 방법들을 살펴본 결과 반복적 행위를 통한 표현기법은 시각적인 형태의 반복을 가져오며 정지된 화면 안에 리듬과 연속성을 만들어 내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연구자의 작품은 반복적인 행위에 따라 확장성, 시간성, 리듬감과 같은 형식적인 요소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런 결과를 토대로 동시대 미술로서 발전할 수 있는 연구자의 새로운 작품제작의 동기를 찾았으며, 동시대 사람들에게도 치유의 미술을 제시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연구자가 본 논문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병리학적 이론에 관한 연구의 한계가 있었고 사회적 소통의 문제에 관한 연구도 부족하였다. 하지만 연구자는 작품제작을 통해 치유하는 경험을 바탕으로 미술작품이 직간접적으로 치유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진행될 연구자의 작업과정에 기저가 될 것이며, 예술이 갖는 치유의 효용적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미술치료의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가 되길 기대한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researcher's psychological healing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works through 'Art form of repetition.'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healing experience made in the production process, under the theme of 'Study of Imagery Expression through Repetitive Behavior.' Modern people live by repeating their daily routine because they are monitored and controlled by an intangible power. People who live their daily lives with repeated monitoring and control face problems such as self-alienation, sense of loss, and lethargy. This pathological phenomenon of such monitoring and control has become an inevitable fate for modern people. The researcher was able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se pathological phenomena through Michel Foucault's Theory of power (Michel Foucault, 1926–1984). Also, by grasping others' desires in the unconsciousness of the modern people in the same context, the concept of desire by Jacques Lacan (1901~1981) was used as a philosophical foundation. The researcher had experienced this pathological phenomenon and healing of wounds caused by desire, leading to aesthetic reasoning. The 'repetitive behavior' of the work process began with aesthetic reasons, led to the healing of the mind, and similar preceding artists, Choi Byeong-so (1943~) and Roman Opalka (1931~2011) works were compared with the researcher's work. As a result, Choi Byung-so's labor-intensive practice has similarities with the researcher's work process in repetitive behavior. However, the researcher's method of revealing the trajectory of the action and Choi Byung-so's method of covering the traces of his ac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ddition, Roman Opalka's work created a basis for further study of the concept of temporality in the researcher's work as an existing record. The timeliness of unconsciousness created in his work and the researcher's work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derive the time trajectory expressed in the work. I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er's work, the content and formal aspects were divided and analyzed. First, in terms of content, the researcher sought to find a clue to aesthetic healing by analyzing the process through repetitive behavior through Michel Foucault's Theory of power and Jacques Lacan's concept of desire.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formality, it was divided into three expression techniques: automatism (turn), matiere (stack), and branding (branding iron). By examining the methods in which the techniques take shape, the method of expression through repetitive behavior creates a repetition of visual forms and creates rhythm and continuity in a stationary picture. Therefore, the researcher's work can confirm formal elements such as extensibility, time, and rhythm according to repetitive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found the motivation to create new works that could develop as contemporary art which became the basis for presenting healing art to contemporary people. During this study, there were limitations in the study of pathological Theory and lack of research on the problem of social communication. However, based on this experience of healing through art-creation, the researcher was able to find the possibility that art could play a role of healing directly and indirectly. Also,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researchers' future work processes and provide a basis for various directions of art therapy in the future by providing the useful value of healing that art h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