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의 시제와 상 : 일대일 대응의 원리를 중심으로

        김원식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현대 한국어에서 시간 표현과 관련된 문법형태를 시제 범주와 상 범주로 명시적으로 구분을 하고 체계적으로 기술하여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에서 시제 범주와 상 범주를 실현하는 문법형태를 분석하는 데 있어 핵심은 시제와 상 범주를 넘나드는 ‘-었-’을 어떻게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기술하느냐에 달려 있다. ‘-었-’의 대한 문법기술은 주시경(1910)을 출발점으로 최현배(1929/1999)에서 시제와 상 범주로 명확히 구분이 되어 체계적으로 제시된 바 있는데, ‘-었-’을 하나의 문법기능을 지닌 상 범주로 분석하는 견해와 시제 범주로 해석하는 주장들이 제기되면서 문법기술이 제한적으로 간결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통사론적 기능과 의미․화용론적 기능이 엄격하게 구분되지 못하면서 문법기술이 복잡해지고 순환논증에 빠지는 경우도 생기면서 한국어의 시제와 상 범주를 이해하는 데 혼란을 초래했다고 할 수 있다. 그 원인으로는 시제와 상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 논리적으로 타당한 기술이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형태위주의 문법현상에 치우친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김석득(1974)를 중심으로 기존업적에 기대어 시제와 상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 비판적으로 재고하여 이에 대한 본고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자연의 시간과 인위적 시간(시제)의 개념을 명확히 구분을 하고 칸트의 인식론을 참고하여 자연언어에서 시제는 시간의 분별성을 나타내는 논리적 시제(오성)와 시간의 연속성을 실현하기 위해 전제가 되는 직관적 시제(감성)로 정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연언어에서 시간의 연속성을 실현하는 시간(상)과 공간(시제)의 형식을 유형화하여 체계적으로 기술하였다. 형태위주의 분석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김영욱(1989ㄱ)에서 제시된 ‘영형태 개념’을 도입하고 김영욱(1993/1995)에서 제시된 ‘일대일 대응의 원리’를 분석기제로 삼아 한국어에서 시간 표현과 관련된 문법형태를 시제 범주와 상 범주로 명시적으로 구분을 하고 체계적으로 기술하여 설명하였다. 하나의 문법형태가 문장 안에서 문법층위를 달리하여 실현하는 통사적 기능과 의미적 기능, 화용적 기능을 엄격히 구별을 하여 제한적으로 간결하게 기술하였고 의미적 기능에서 파생된 화용적 기능을 의미의 의미로 정의하였다. 통사적․의미론적 영역에서 문법기술은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화용론적 영역에서 직관에 의한 간주관적인 의미해석은 객관적으로 타당한 문법형태의 분석기준이 될 수 없다는 견해를 밝혔다. 본고는 다른 언어의 경우에서도 일대일 대응의 원리를 바탕으로 시제와 상 기능을 실현하는 문법형태들이 한국어와 동일하게 분석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촘스키(1965)에서 제시된 보편문법이란 일대일 대응의 원리에 의해 분석되는 문법형태소들의 체계이며, 기저형의 인지체계임을 확인하였다. 인지체계란 올바른 문장과 비문을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이 되는 통사체계이고 일대일 대응의 원리를 바탕으로 해석의 측면과 생성의 측면에서 모두 보편타당하게 기술하여 명확히 설명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보편문법은 변형생성문법에서 기술되었듯이 이성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이유는 본고에서 논의된 모든 언어에서 시제 범주와 상 범주를 실현하는 문법형태가 일대일 대응의 원리에 의해 일관되게 분석되고 해당 언어의 모국어화자들이 종전의 규범화된 문법과 기술된 문법과는 별개의 언어생활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본고의 논의과정에서 포착되었기 때문이다. 형태와 형태소의 관계는 언어의 특수성과 보편성의 그것과 같다고 할 수 있으며, 본고에서 사용한 표면형과 기저형이란 용어는 형태와 형태소에 각각 대응하는 메타언어이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는 변형생성적 접근방법에서 기술하고 있는 심층구조와 표층구조는 이원적으로 분리된 구조가 아닌 하나의 단일구조 체계임을 주장하였다. 또한 언어의 보편성에 대한 실마리는 모국어의 올바른 이해에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언어의 특수성은 언어의 보편성이 개별언어의 사정에 따라 표면구조에서 형태가 다르게 실현되는 자연언어의 보편적 성질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The following study aims to classify the grammar structure regarding time expressions into tense and aspect categories to provide a systematic and in-depth explanation about the modern Korean language. The core of grammar analysis concerning the classification of tense and aspect in Korean language lies in the form ‘-oet-’, which is used in both tense and aspect point of views. The grammar form ‘-oet-’ was first separated into tense and aspect categories by Sikyung Joo (1910) and later systematically defined by Hyunbae Choi (1929, 1999). In the existing studies however, the grammar explanations for ‘-oet-’ are provided in a rather complex and limited manner since they suggest multiple interpretations about grammar with regards to aspect and tense categories. The previous studies also do not separate syntactic and pragmatic functions and therefore it can be argued that they have only added more confusion and have given arise to circular arguments. The reason for such limitation in the existing studies is partly in the lack of logical explanation regarding the concepts of tense and aspect but more importantly, it is due to the fact the existing studies rely solely on morphs in grammar. In this study, the author critically analyzes the concepts and functions of tense and aspect based on the research by Seokdeuk Kim (1974) and provides his own interpretation. The author refers to Kant’s epistemology and defines natural time as the logical tense (Verstand), which represents the discrimination in time, and artificial time as the intuitive tense (Sinnlichkeit), which represents the continuity of time. Furthermore, the author analytically explains the concepts of time (aspect) and space (tense) within the time continuity of natural language. The author employs the zero morph concepts (Youngook Kim, 1989) and the one-to-one correspondence principle (YoungookKim, 1993, 1995)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morph-centered analyses and provides a detailed explanation regarding the time expression grammar in Korean language with regards to tense and aspect. The study summarizes the grammatical functions into three formats: the syntactic function, the semantic function, and the pragmatic function. The study also terms the pragmatic function, which is derived from the semantic functions, as the semantic meaning. The author also states that the grammatical statements in the syntactic and semantic areas should be based on objective data and claims that intuitive interpretation based on inter-subjectivity is an inappropriate grammar analysis method in the pragmatic point of view. The study also confirms that grammar structure regarding tense and aspect of both Korean and other languages can be explained within the one-to-one correspondence principal. It states that universal grammar (Chomsky, 1965) is a structure of grammatical morphemes based on the one-to-one correspondence principal and the cognitive system in the underlying form. The cognitive system is an objective syntactic system that distinguishes correct sentences from wrong forms and this system can be clearly explained in both interpretational and generative aspects in accordance with the one-to-one correspondence principal. Also it is confirmed that the universal grammar is based on the rationalism as mentioned in the 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The aforementioned facts are based on the idea that the grammar forms for a tense and aspect in all languages referred to in the study are consistently analyzed by the one-to-one correspondence principle and native speakers use the languages apart from the standardized grammar. The relationship between morph and morpheme is similar to the one between the languag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In the study, the terms in meta-language for morph and morpheme are used as surface form and underlying form respectively. The author discovers that the deep structure and surface structure in the 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exists in a single system rather than separated dualistic systems. Moreover, the author establishes that understanding of a mother tongue is the prerequisite to understanding the language universality. The author also further verifies that language universality is a natural language’s universal characteristic which is actualized on the surface structure depending on the specific language’s features.

      • 默思集산法과 17세기 朝鮮 算學

        金玉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15

        [국문초록] 默思集筭法과 17 세기 朝鮮算學 이름 : 金玉子 學科: 數學科 指導敎授: 金英郁 본 논문은 17세기 조선의 대표적인 算書인 경선징(慶善徵,1616∼?)의《默思集筭法》에 대한 연구이다. 17 세기 중반의 조선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 끝난 뒤, 흔들린 나라의 기반을 다시 잡고 모든 것을 정상으로 되돌리고자 노력한 시기이다. 경선징의《默思集筭法》은 이러한 시대가 요구하는 필요성에 부응하고자 만들어진 책이다. 모든 기반이 무너진 상태에서 17 세기의 학자와 관리들은 가능한 모든 노력을 기울였음에 틀림 없다. 산학을 위해서 이들은 이곳 저곳에 조금씩 남아있는 자료들을 모으고 공부하여 새로운 기반을 다져나갔다. 金始振(1618∼1667) 은 자신은 산학자가 아니었지만 개인에게 소장되어 있던《筭學啓蒙》(1299) 과《楊輝筭法》(1274∼1275) 등의 책을 발굴해 내고, 중요하다고 생각되었던《筭學啓蒙》을 1660 년에 重刊해 낸 것을 보아도 나라의 재건을 위해서 모두가 마음을 합하여 노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이러한 상황에서 나라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던 曆法을 다시 세우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慶善徵이《默思集筭法》을 저술하였을 것이라는 것이며, 慶善徵은 《筭學啓蒙》을 제대로 다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자신이 공부한 내용을 모두 모아《默思集筭法》을 편찬하였다는 것이다. 《默思集筭法》은 학문적인 면에서 13 세기의 발전되었던 중국의 算學에 비하면 그 수준이 떨어지지만 17 세기의 조선의 상황을 감안하면 매우 뛰어나고 우수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방법론은 14 세기 이전의 방법론에 의존하면서도 이러한 방법론들을 철저하게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문제를 분석하고 변형하여 배우는 사람들에개 편하도록 만들고 있다. 특히 경선징은 《默思集筭法》을 편찬하면서 당시 중국에서 들어와 있던 세 算書인《楊輝筭法》,《筭學啓蒙》, 《詳明筭法》(1373) 의 내용을 모두 연구하고, 이해한 내용을 모아 새로이 정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默思集筭法》에 대한 연구는 이 책이《筭學啓蒙》을 기반으로 쓰여졌다고 가정하고 시작하였다. 여러 연구 논문에서《默思集筭法》의 개별적인 문제들이 어떤 책에서 인용하였는가는 언급하고 있지만《默思集筭法》이 어떤 책에 기초하여 만들어졌는가는 연구되어 있지 않다.본 논문에서는 17세기에 조선에 들어와 있던 3권의 중국 算書《楊輝筭法》,《筭學啓蒙》,《詳明筭法》을 모두 비교 연구하여《默思集筭法》이《詳明筭法》의 기초 위에 쓰여 졌으며《筭學啓蒙》과《楊輝筭法》에서 새로운 부분들을 보충해서 만들어졌다는 것을 보인다. 특히《默思集筭法》은 算學의 入門부분을 체계적으로 잘 정리하여 매우 훌륭한 입문서를 만들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각 책의 불합리한 체계를 개선하여 문제의 종류에 따라 구조적으로 정리한 것에서 慶善徵의 재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慶善徵의 한계도 확인되었다. 지금까지는《默思集筭法》에서 正負術(정부술) 과 天元術(천원술) 이 다루어지지 않은 이유에 대하여 算學入門者를 위한 교육서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당시 조선 상황을 볼 때 慶善徵은 공부할 때에 天元術에 대하여 알지 못하였음이 틀림 없고 따라서 후에《筭學啓蒙》을 공부하면서도 天元術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특히 그가《筭學啓蒙》의 開方術에서 增乘開方法을 공부하였음을 알 수 있지만 이를 제대로 적용하는 방법을 몰랐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천원술의 장점을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밖에도 慶善徵이 문제를 풀 때 통상적인 해법을 벗어나서 새로운 그러나 초보적인 시도를 많이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문항별로 중국의 3 권의 算書와 비교함으로써 각 門의 구성의 근거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慶善徵의《默思集筭法》17 세기의 국가적 필요성에 따라 편찬된 算書로 그 의미을 찾을 수 있으며, 17 세기 조선 산학의 상황을 알려주는 중요한 史料임을 알 수 있다.

      • 갈등적 이슈에 대한 논쟁 커뮤니케이션 분석 : 무상급식 이슈에 대한 수사학적 접근

        정이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갈등이 사회발전의 원동력이 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의미공유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행위 자체에 대한 관심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갈등연구에 대한 PR학 분야의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을 전략적 도구로 보는 체계론적 관점에서 접근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행위 자체에 관심을 두는 수사학적 접근을 통해 갈등적 이슈를 두고 나타나는 논쟁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 연구에서는 갈등적 이슈로서 '무상급식' 관련 논의를 선정하여 무상급식을 찬성하는 집단과 반대하는 집단 사이에서 어떤 논쟁 커뮤니케이션이 나타나는지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무상급식 찬성집단과 반대집단의 공격 커뮤니케이션에서 나타나는 세부이슈와 설득적 공격 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TV토론 별, 시기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논쟁에서 나타나는 방어 커뮤니케이션 또한 세부이슈와 설득적 방어 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TV 토론 별, 시기별로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수사정황에 따른 두 집단의 공격과 방어의 내용을 분석하여 논쟁의 양상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무상급식 관련한 MBC, KBS, SBS의 세 TV 토론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Benoit와 Wells(1996)의 수사적 분석틀을 이용하여 첫 번째 연구문제와 두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했으며, Marsh(2005, 2006)와 김영욱(2006a)가 이용한 수사정황 이론에 따라 주요 이슈에 대한 두 집단의 대전제, 소전제, 결론 순으로 공격 메시지를 도출하고 수사정황에 따른 방어 메시지를 분류함으로써 질적인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를 분석한 결과, 찬성집단과 반대집단의 논쟁은 '예산'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두 집단간 공격의 세부이슈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 전략으로는 두 집단 모두 쉽고 즉각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일반적 부정' 전략이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다음으로 행위의 부정적 인식을 증가시키는 전략이 많이 사용되었다. 무상급식 찬성 집단은 일반적 부정 전략을 제외하고 행위의 의무나 책무 관련성을 강조하는 전략과 부정적 결과의 효과나 정도, 범위를 강조하는 전략을 이용하여 여당인 한나라당과 정부에 대한 복지정책에 대한 의무를 강조하거나 감세정책과 토목사업으로 인한 복지 재정 확보의 실패를 지적하고 있다. 반대집단은 부정적 결과나 효과의 정보, 범위를 강조하는 전략을 이용하여 무상급식에 소요되는 비용이 과다하고 다른 교육 복지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세부이슈에 따른 공격 전략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세부이슈에 따른 공격 전략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세부이슈에 따라서 이용하는 설득적 공격 전략은 찬성집단과 반대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MBC, KBS, SBS 세 토론 간 공격 세부이슈를 비교한 결과 SBS의 주민투표 이슈를 포함했을 때는 세 토론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주민투표 이슈를 제외했을 때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주민투표 이슈를 제외한 후, 세 토론을 무상급식 주민투표 실시 확정 이전의 시기와 이후의 시기로 나누어 분석했을 때도 시기별 공격 세부이슈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세 TV 토론 간 공격 전략의 차이 또한 주민투표 이슈의 포함 여부 관계없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주민투표를 포함시켰을 경우 그 차이의 신뢰도가 더 높았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방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분석이다. 우선, 집단 간 방어 세부이슈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찬성집단은 대부분의 공격에 대해 무상급식의 필요성이나 효과, 의의를 역설하는 '무상급식 시행 근거'를 위주로 대응하고 있다. 반면 반대집단은 공격 커뮤니케이션과 마찬가지로 '예산'에 논쟁점을 두고 방어를 하고 있다. 설득적 방어 전략을 분석한 결과 집단 간 방어 전략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설득적 방어 전략을 다섯 개의 범주- 부인, 책임회피, 행위의 부정성 축소, 수정행위, 공격의 인정- 로 나누었을 때, 행위의 부정성 축소 전략 범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찬성집단과 반대집단 모두 행위의 부정성 축소 전략에 집중하고 있지만 찬성집단은 초월전략에 편중되어 있는 반면 반대집단은 입지강화/지지 전략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셋째, 세부이슈 별 방어전략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찬성 집단의 경우 '무상급식 시행의 당위성이나 근거'와 관련하여 초월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반대집단의 경우 예산, 복지정책 계획이나 급식의 전반적인 현재상황에 대한 방어에서 입지강화 전략과 같이 정당성을 강화하는 전략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MBC, KBS, SBS 세 토론 간의 방어 세부이슈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주민투표 이슈의 포함여부에 관계없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민투표를 제외한 후, 세 토론을 무상급식 주민투표 실시 결정 이전의 시기와 이후의 시기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시기 별 방어 세부이슈의 차이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세 토론 간 방어 전략의 차이 또한 주민투표 포함에 관계없이 유의미했다. 방어 전략을 부정, 책임회피, 행위의 부정성 축소로 나누어 토론 간 비교를 했을 때의 차이도 유의미함을 나타냈다. 그러나 주민투표 실시 결정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방어 전략을 비교해 본 결과 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세 번째 연구문제는 논쟁에서 두드러진 세부 이슈인 '예산'과 '주민투표'에 대한 공격과 방어 커뮤니케이션을 수사정황 이론에 대입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예산 관련 논쟁에서 찬성집단은 성격과 사실에 초점을 맞춰 공격하였고 반대집단은 성격과 사실 정황에서의 방어가 두드러졌다. 반대 집단은 예산 문제에 대해 정의정황과 사실정황에서 공격하였고 찬성집단은 이에 대해 정의정황과 성격정황에서 방어하고 있다. 주민투표 관련 논쟁에서 찬성집단은 성격정황과 사실정황 공격에 이에 반대집단은 사실정황에서 적극적인 방어를 펼치고 있다. 반면 반대집단은 성격정황에서 공격하며 찬성집단은 정의정황에서 방어하고 있다. 수사정황에 따른 논쟁 커뮤니케이션 분석에서 제기된 문제점은 공격과 방어의 정황의 일치가 효과적 논쟁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우선 사실-정의-성격의 위계를 밟지 않고 특정 정황에서의 공격과 방어가 집중되었다는 점은 논쟁을 통한 설득적 효과를 떨어뜨리고 있다. 또한 논쟁 참여자간에 정황 차원의 불일치와 동일한 정황에서의 치밀한 공격과 방어의 부재는 논쟁적 상황에서 상대의 의견을 경청하겠다는 의지 부족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결국 공중의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없게 된다. 나아가 무상급식 관련 논쟁은 내용적인 측면에 있어서 보편주의와 선별주의, 평등과 효율, 그리고 색깔론이라는 기존의 보수와 진보 담론의 틀을 답습하고 있다. 결국 무상급식이라는 갈등적 이슈를 중심으로 논쟁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관찰한 결과, 찬성집단과 반대집단간의 논쟁이 갈등 해결에 기여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갈등상황에 대한 수사학적 접근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현상을 관찰함은 물론 전체적인 논쟁의 문제점을 짚어내고 위기관리 이론이나 이미지 회복 이론 등 다른 커뮤니케이션 이론과의 결합을 통해 체계론적 관점에서도 전략적 함의를 제공하는 등 PR 커뮤니케이션의 학문으로서의 영역 확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rguments on the controversial issue such as 'free school meals' by adopting a rhetorical approach which focuses on the communication behavior itself. For this, this paper adopts Benoit & Wells(1996)'s rhetorical attack and defense communication frame work and stasis theory from classical rhetoric. This paper analyzes the persuasive attack strategies, the persuasive defense strategies, and the focused issues of the affirmatives and the opponents of free school meals project. Furthermore, this paper takes quantitative research by adopting stasis theory to evaluate the argumentation. First, the result shows that the primary issue of the arguments is 'budget'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focused attack issue between the affirmatives and the opponents. Each group predominantly used the'negative general' and 'increasing negative perceptions of the act' strategies. Except the 'negative general', the affirmatives used the 'obligation to protect certain group' and 'extent of the damage' strategies. The opponents chiefly used the 'extent of the damage' strategy.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argument issue among debates aired on MBC, KBS, and SBS only when the 'free school meal plebiscite' issue is included. After eliminating the 'free school meal plebiscite' issue and dividing three TV debates into two period which are before and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plebiscit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argument issue between those two periods. Also, the difference of the persuasive attack strategies is significant irrespective of the plebiscite issue, but the case when including the plebiscite issue is more significant.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focused defense issue. The affirmatives primarily focus on the'basis of free school meals' which emphasizes the necessity, effect, and significance of free school meals. On the other hand, the opponents focus on the 'budget' issue. The results of the persuasive defense strategy show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However, if the strategies a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denial, evading of responsibility, reducing offensiveness of event, corrective action, and recognitio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ducing offensiveness of event category.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argument issue among MBC, KBS, SBS debates irrespective of including the 'free school meal plebiscite' issue. Also,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of argument issue between two periods. The difference of persuasive defense strategies among three TV debates is significant irrespective of the insertion of the plebiscite issue.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ategies between two periods. Third, this paper conduct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attack and defense communication about 'budget' and 'plebiscite', which are primary issues on the arguments, by adopting stasis theory.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argument about the budget, the affirmatives attack the stasis of quality and fact, while the opponents defense the stasis of quality and fact. The opponents attack on the stasis of definition and fact, while the affirmatives defense on the stasis of definition and quality about budget issue. In the argument about the plebiscite, the affirmatives focus their attack on the stasis of quality and fact while the opponents primarily defense on the stasis of fact. The opponents attack on the stasis of quality while the affirmatives focus their defense on the stasis of definition. The correspondence of stasis between attack and defense does not mean effective arguments. First, the arguments do not follow the stasis hierarchy of fact - definition - quality and precede a specific stasis. It decreases a persuasive effect through arguments. Moreover, the disagreement between stasis and the lack of elaborated attack and defense communication implies the lack of willingness to listen to others' opinion, which cannot arouse the public support. In addition, the arguments on the free school meal issue take the traditional perspectives of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discourses when considering the contents which are based on universalism, selectivism, equality and efficiency, and red-complex. The analysis of arguments on the controversial issue shows that the arguments between the affirmatives and the opponents do not help to resolve the conflicts. However, the rhetorical approach to the conflict in this study is still applicable to understand communication phenomena itself by discovering the problems in the overall arguments. Also, this study contributes to broadening public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areas. The study shows the possibilities that the rhetorical approach can combine with other communication theories, such as theory of crisis communication and the theory of image restoration, and has a strategic implication in a systematic approach.

      • 블로그 위기시 책임성과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수용효과와 공중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 네이버 파워블로그 중심으로 분석

        정혜승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o what extant the crisis responsibility and adopted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are accepted by the public when a power blog copes with a crisis and their effects on the public relationship. The experiment scenario took into consideration of when the organization is highly or lowly responsible depending on the crisis origin and whether there was an attempt in the organization to control it. The three strategies - rebuild, diminish, and deny - were reflected as suggested by SCCT, and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on the strategies might be accepted by the public in each situation. Depending on the three indicators of each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s effects - truthfulness, acceptableness, and effectiveness, the differences in effects on acceptance as well as the public relationship in terms of four aspects - mutual control, reliability, satisfaction, and commitment - were compar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types of crisis were classified depending on whether the power blog was highly or lowly responsible, it turned out that the public would be more likely to accept when the level of responsibility was low. In addition, both types would most likely accept the 'rebuild(apology, compensation)' strategy, and then 'deny' and 'diminish' in the order. This supports the major premise of SCCT that the effects of a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depend on the nature of crisis although it does not corresponds to the research result that the case of higher responsibility would adopt acceptive strategies such as 'rebuild' while the case of lower responsibility would accept defensive strategies such as 'diminish' and 'deny.' Rather, this result is to be interpreted in that although the level of responsibility in the face of the crisis as discussed in Coombs(2000), acceptive communication might be required. When the level of relationship and expect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he public is excessively high, the public would accept the case even if the organization is not responsible, and would apologize and compensate for it.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if such an expectation was not met, the crisis would deteriorate, and the favo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he public might collapse. Besides, according to Yeonguk Kim, Sohun Park, and Huiwon Cha(2006) and Sanggyeong Lee and Myeongcheon Lee(2007), common Koreans with collectivism culture are likely to ask the organization for an apology even though it is not highly responsible. Another outstanding aspect is that whil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supported the order of 'rebuild > diminish > deny,' it turned out that they would prefer the 'deny' strategy to the 'diminish' strategy. This indicates that as they deny that the crisis was not originated from inside, they public reason that their would be a just reason for the crisis from the power blogger. In contrast, the 'diminish' strategy seems to avoid the responsibility and conceal what has happened by making excuses and justifying the situa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public relationships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in reflection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crisis, it turned out that as the power blog is highly responsible just as in other organizations' crisis, the response was more negative. Specifically, when the level of responsibility was low, the public relationship in reflection of the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preferred 'rebuild' in the order of 'rebuild' > 'deny' > 'diminish.' On the contrary, when the level of responsibility was high, the public relationship in reflection of the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was in the order of 'deny' > 'rebuild' > 'diminish,' which indicates that the public relationship preferred negative strategies. In a crisis that involved a high level of responsibility, when the power blogger regarded the crisis as baseless and responded grandly, the halo effect that still remained among the public seemed to reverse the condition to some extent, and they might maintain the existing relationship. Lastly, the differences in the crisis communication acceptance and public relationship depending on the use of blogs were examined. As a result, differences in the general acceptance of crisis communication were shown only in blogs that were frequently visited or regarded as reliable. Recently, there is no exception even among large scale power blogs highly utilized in marketing in that they might face a type of crisis at any time. Once a crisis occurs, it would be soon widely known through word-of-mouth, which brings tremendous effects. Thus, unless the blog cope with it promptly and appropriately, the crisis may not only harm the image and reliability, but also lead to the closing of the blog. Especially power blogs developed with an emotional bond and sympathy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need to respond more sincerely. Just like other organizations, power blogs cannot avoid a measure of damage upon crisis, but as long as they respond properly, the damaged blog image and public relationship can be restored, which can be a turning point for the power blog in crisis of closing to make a new leap forward. On the other hand, an inappropriate response may deteriorate the damage to the image and public relationship, and even result in closing the blog permanently.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s power blogs now that there is no study specifically on the risk management of power blogs, and that it introduces risk management theories into the theory of blog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basis to determine which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would be more effective for a private blogger without a crisis manager or PR professional when the power blog faces a crisis. In addition, this contributes not only to the academic research in that it advances the theory of public relationship and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but also to the practical affairs in that it presents directions for a power blog to more successfully cope with a similar crisis. 본 연구는 위기 상황에 처한 파워블로그가 위기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위기의 책임성과 사용하는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공중에 의해 얼마나 수용되고 공중관계성에는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따라서 내부에서 통제여부와 원인의 소재지에 따라 조직의 책임성이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로 실험 시나리오를 조합하고, SCCT에서 제안한 재건, 축소, 부정 3가지 전략으로 구성하여 각 상황에서 전략들이 어떻게 다르게 공중에게 받아들여지는지에 대한 설문지를 통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효과를 측정하는 척도인 진실성, 수용성, 효율성에 따라 수용효과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와 상호통제성, 신뢰성, 만족성, 헌신성 4가지 차원의 공중관계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위기 유형을 파워블로그의 책임성 고/저로 분류 하였을 때 공중은 책임성이 낮은 경우에 수용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두 유형 모두 재건(사과,보상)전략을 가장 많이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재건>부정>축소’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효과는 위기의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는 SCCT의 대전제는 지지하지만, 책임성이 높을수록 ‘재건전략’같은 수용전략을 책임성이 낮을수록 ‘축소전략’, ‘부정전략’ 같은 방어전략을 적용한다는 결과와는 상이하다. 오히려 이 결과는 Coombs(2000)가 논의한 책임성이 낮게 인식되는 위기일지라도 수용적 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그 이유를 밝힐 수 있다. 조직과 공중 간에 평소 관계성과 기대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 공중은 조직에게 책임이 없는 사건일지라도 사건을 수용하고 사과 및 보상하는 모습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대가 충족되지 않을 경우 오히려 위기가 커질 것이고, 조직과 공중간의 우호적인 관계는 붕괴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김영욱, 박소훈, 차희원(2006)과 이상경, 이명천(2007)의 연구에서 근거를 찾으면 집단주의 성향인 강한 한국인은 위기 상황에서 조직의 책임이 높지 않다고 인식하더라도 적절한 사과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특이할 점은 기존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재건 > 축소 > 부정’ 순으로 나온 것과는 달리 축소전략보다 오히려 부정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것은 아예 위기 사건의 근원이 내부가 아님을 부인하니 공중은 파워블로거가 발생한 위기에 대해서 떳떳하고 당당한 나름의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고, 반면에 축소전략은 변명과 정당화를 통해 책임을 회피하고 은폐시키려는 인상 때문에 오히려 거부감을 일으키는 것으로 간주된다. 두 번째로 위기책임성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따라 공중관계성의 차이를 확인해 본 결과, 파워블로그도 타조직의 위기와 마찬가지로 책임성이 클수록 공중관계성에는 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책임성 낮은 경우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따른 공중관계성은 ‘재건 > 부정 > 축소’ 순으로 재건이 확실히 높게 나타났는데, 예상 외로 책임성 높은 경우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따른 공중관계성은 ‘부정 > 재건 > 축소’ 전략으로 오히려 부정전략이 공중관계성에는 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상호관계성을 통해 인간적이고 진실성을 중요시하는 파워블로그에서는 도덕적 책임성이 큰 위기일 경우 재건전략도 공중관계성에는 큰 효과가 없었고 오히려 위기상황을 근거없는 사건으로 일축했을 때 믿고자 하는 의지가 더 강하게 드러나 후광효과가 어느정도 발휘되어 위기에 대한 반감이 기존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자하는 기대감으로 반전된 듯하다. 마지막으로 블로그 이용행태에 따라서 위기커뮤니케이션 수용효과와 공중관계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즐겨찾거나 신뢰하는 블로그 유무에서 위기커뮤니케이션 전체적인 수용효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마케팅으로 활용도가 높아지고 영향력이 큰 파워블로그도 언제 어느 형태로든 위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위기가 발생했다면 블로그 특성상 입소문으로 파급효과가 매우 커서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하지 않으면 위기는 이미지와 신뢰에 큰 손상을 줄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블로그 폐쇄까지 이어질 수 있다. 특히나 상호작용성 커뮤니케이션으로 감정적 유대감과 공감대로 형성된 파워블로그 일수록 더욱 진실하게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파워블로그도 타조직과 마찬가지로 위기가 발생시 일단은 어느 정도의 피해를 감수해야 하는 부분임에 틀림없지만, 이를 적절하게 잘 대응한다면 훼손된 블로그 이미지와 공중관계를 회복 할 수 있고 폐쇄 위기의 파워블로그를 새롭게 도약할 수 있게 만드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적절치 않은 대응을 했을 시에는 이미지 회복과 공중관계성 악화는 물론 블로그 폐쇄까지 도래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본 연구는 파워블로그의 위기관리에 대한 논문이 없는 현시점에서 파워블로그를 그 대상으로 설정했다는 것과 블로그 이론에 위기관리 이론을 도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파워블로그가 위기에 닥쳤을 때 위기관리자와 PR전문가를 따로 두고 있지 않은 개인인 블로거가 어떤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사용하면 더 효과적인지를 제시해줄 수 있는 첫 발판이 될 수 있다. 또한 학문적으로는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공중관계성 이론을 한걸음 더 뒷받침 할 수 있으리라 보고 실무적으로는 실제 파워블로그에서 유사한 위기 상황을 겪었을 때 보다 성공적으로 위기관리를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함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위험 유형에 따른 위험 정보 추구와 처리 과정 비교 연구 : 책임성 여부에 따른 위험 정보 처리 과정

        허서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seeking and processing of risk information as seen in two types of risk based on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RISP) model. For this purpose, set a temporary problem, and research is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are there any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of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model? [Hypothesis 1-1] Risk perception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negative emotion. [Hypothesis 1-2] Institutional trust will have a negative influence upon negative emotions. [Hypothesis 1-3] Negative emotions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information insufficiency. [Hypothesis 1-4] Information subjective norm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information insufficiency. [Hypothesis 1-5] Information insufficiency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systematic processing and negative influence upon heuristic processing. [Hypothesis 1-6] Information insufficiency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information seeking and negative influence upon information avoidance. [Research Question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between high responsibility risk and low responsibility risk? [Hypothesis 2-1] High responsibility risk is greater impact than low responsibility risk on the influence of risk perception to affective response. [Hypothesis 2-2] High responsibility risk is greater impact than low responsibility risk on the influence of institutional trust to affective response. [Hypothesis 2-3] High responsibility risk is greater impact than low responsibility risk on the influence of affective response to information insufficiency. [Hypothesis 2-4] High responsibility risk is greater impact than low responsibility risk on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insufficiency to information subjective norms. [Hypothesis 2-5] High responsibility risk is greater impact than low responsibility risk on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insufficiency to information seeking. Surveys were collected from 400 participants. Careless responses were exlcuded, leaving 357 surveys for analysis. Path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such as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s, affective response, information subjective norms, information insufficiency,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annel belief and perceived gathering information capacity (Hypothesis 3-1, 3-2).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risk percep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negative affection. Second, negative affection have negative influence upon information insufficiency. Third, Information insufficiency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heuristic processing and seeking of high responsibility risk and a positive influence upon systemetic processing of low reponsibility risk. Fourth, Institutional trust is only significant result has been derived typhoon case. Finally, Negative affection have only a negative influence upon information insufficiency, in case of high responsibility risk. Based on these results, in case of high responsibility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does not followed RISP model because negative emotion affects not only the character of risk, but insitutional trust and so on. The proposed RISP model will be applied to the high responsibility risk in case of future unknown risk. 본 연구는 위험 정보 추구 및 처리(RISP) 모델을 근간으로 책임성이 있는 위험과 책임성 없는 위험의 두 가지 유형의 위험에서 어떻게 위험정보를 처리하고 추구하는지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가설 및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위험정보 추구 처리 모델의 변수들 사이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가설1-1] 위험 인지는 부정적 감정과 정의 관계를 나타낼 것이다. [가설1-2] 기관의 신뢰는 부정적 감정과 부의 관계를 나타낼 것이다. [가설1-3] 부정적 감정은 정보 불충분성과 정의 관계를 나타낼 것이다. [가설1-4] 정보의 주관적 규범은 정보 불충분성과 정의 관계를 나타낼 것이다. [가설1-5] 정보 불충분성은 체계적 처리와 정의 관계를 나타내며, 주변적 처리와 부의 관계를 나타낼 것이다. [가설1-6] 정보 불충분성은 정보 추구와 정의 관계를 나타내며, 정보 회피와 부의 관계를 나타낼 것이다. [연구문제 2] 책임성 있는 위험과 책임성 없는 위험의 정보 추구 과정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가설2-1] 위험 인지가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태풍에 비해 유해물질에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가설2-2] 기관의 신뢰가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태풍에 비해 유해물질에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가설2-3] 감정적 반응이 정보 불충분성에 미치는 영향은 태풍에 비해 유해물질에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가설2-4] 정보의 주관적 규범이 정보 불충분성에 미치는 영향은 태풍에 비해 유해물질에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가설2-5] 정보 불충분성이 정보의 추구에 미치는 영향은 태풍에 비해 유해물질에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이를 위해 조작점검을 통해 책임성 있는 위험과 책임성 없는 위험의 사례를 각각 선정하였고, 설문을 실시하여 배포한 400부 중, 불성실한 응답과 응답자를 제외한 35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인지된 위험의 성격, 감정적 반응, 정보의 주관적 규범, 정보 불충분성, 정보 수집 능력, 정보원 신뢰도, 정보의 회피와 추구, 체계적 처리와 주변적 처리와 같은 변수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에 따른 경로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가설3-1]과 [가설3-2]의 정보 불충분성과 정보의 주변적 처리에서 정보원의 신뢰의 조절 효과와 정보 불충분성과 정보의 체계적 처리에서 정보 수집 능력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책임성 없는 위험에서 위험 인지가 부정적인 감정과 정의 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책임성이 있는 위험에서 부정적 감정이 높을수록 정보 불충분성이 오히려 낮아졌다. 셋째, 책임성 있는 위험은 정보 불충분성이 주변적 처리와 정보 추구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책임성 없는 위험은 정보 불충분성이 체계적 처리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책임성이 있는 위험과 책임성 없는 위험 자체의 비교에서는 두 가지 위험의 경로가 동시에 유의한 경우는 없으며 위험 인지와 기관 신뢰가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태풍에서만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다섯째, 책임성이 있는 위험에서만 감정적 반응이 정보 불충분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여섯째, 책임성 없는 위험에서 정보 불충분성이 체계적 처리에 대해 정보 수집 능력이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알 수 있는 것은 RISP가 그동안 환경 위험, 건강 관련 위험과 같은 책임성 없는 위험에서 다루어져왔기 때문에, 책임성이 있는 불산과 같은 위험의 경우 기관에 대한 불신이 위험 자체가 아닌 기관에 대한 부정적 감정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RISP 모델과 같은 흐름으로 정보를 추구하거나 처리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책임성 있는 위험에 적용할 만한 RISP 모델을 제시하여 공중들이 정보를 처리하고 추구하는 과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 자음 체계표를 활용한 비음화·유음화 현상의 원리 지도 방안 연구

        나미경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sign a principle-oriented teaching method of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using a phonetic chart of the Korean consonants an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teaching method in real instructions at school.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second year high school students in 2011, who did not understand exactly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of Korean consonants although they had already learned those kinds of coarticulation. The sampling was intended to compare the principle-oriented teaching method of this article with existing phenomena-oriented teaching method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importance of principle-oriented teaching in Korean grammar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following process: In chapter 2, I analyzed revised points about the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o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its sixteen kinds of authorized textbooks, comparing with those of the previous national curriculums and their textbooks. As a result,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ointed out that phonological articulations should be taught in connection with phonological system and student research learning strategy, and some textbooks also offered specific process of the student research. Reflecting these directions, teachers need to design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in order to make students themselves study principle of phonological coarticulation. In chapter 3, based on chapter 2, I designed specific strategies of principle-oriented teaching method. First, on the content aspect of the teaching method, it was presented how to explain the principle of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using Korean consonant charts. The effect of the process was tested related to the previous pedagogical researches; it was found out that using the consonant charts in teaching the principle was effective. Based on the result, strategies of using consonant charts in the real instruction were planned. On the formal aspect of the teaching method, student research learning strategy, supported by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its textbooks, was embedded in the general teaching-learning process(Introduction-Development-Arrangement). While actively adopting the whole process of student research learning, this teaching-learning process placed major emphasis on the point that student research activities would not be burdensome in the formal instructions at high school. Besides, "Block Time" strategy for time allotment was established in order to give students chances of further study to apply given rules of coarticulation to real examples and to study exceptions of the rules. Combining block time strategy and student research learning strategy, both 'principle-oriented' and 'students research' could be put to work at the same time. In chapter 4, based on the strategies of chapter 3, I described the actual school instruction in which the principle-oriented teaching method of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was used. Divided into two sessions of the block time, the actual process of instruction and some important points to be considered during the class were illustrated specifically. Also, it was presented how to use various activities such as individual work, pair work, group work and whole class work during each stage of the instruction so as to enhance individual students' performance. Detailed examples, such as handout used in the actual lesson and students' results of their research, were also demonstrated. Finally, survey on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teaching, using both questionnaire and interview, showed that the principle-oriented teaching method of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with a phonetic chart of the Korean consonants was effective. This research placed the emphasis on how to make learners grasp not individual phenomenon but the principle of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in, using student research learning strategy. Most of all, however, it can be regarded as meaningful to suggest a possible way of synthetic and connected grammar education further away from the existing fragmented Korean grammar education by showing how to use consonants system in the principle-oriented teaching, which learners as Korean native speakers have repeatedly learned from the beginning stage of language learning development. Keyword: principle-oriented, a phonetic chart of the Korean consonant, students research learning strategy, block time, nasalization, lateralization, hierarchy of resonance, place of articulation, manner of articulation, assimilative agent 본 연구는 자음 체계표를 활용하여 비음화․유음화 현상의 원리를 중심으로 지도하는 교수-학습 과정을 구안하고, 이를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중학교 때 비음화․유음화 현상을 배웠음에도 불구하고 그 현상들이 나타나는 발음을 정확하게 하지 못하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기존에 배웠던 현상 중심 교육과 본고의 원리 중심 교육을 비교, 대조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통하여 문법 교육에서 원리 중심 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2장에서는 ‘비음화․유음화’와 관련된 내용을 현행 교육과정인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측면과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16종 검정 교과서 측면으로 나누어 이전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와 비교했을 때 변화된 점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음운 체계와 관련지어 탐구 학습 방법으로 지도하라는 교육과정의 내용과 탐구 학습의 구체적인 단계를 학습활동으로 제시한 몇 몇 검정 교과서의 내용을 반영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원리를 탐구할 수 있게 하는 교수-학습 과정을 구안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였다. 3장에서는 2장의 내용을 반영하여 비음화․유음화 현상의 원리 중심 지도 전략을 구체적으로 세웠다. 먼저 내용 측면에서는 자음 체계표를 활용하여 비음화․유음화 현상의 원리를 밝히는 과정을 보여주고 이를 기존 연구의 내용과 관련지어 검증하였다. 이것은 곧 학생들이 원리를 터득하는 과정에서 자음 체계표 활용의 가능성을 입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실제 구현하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자음 체계표를 활용하는 전략을 세웠다. 형식 측면에서는 문법 교육에 있어 현행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구성이 지향하고 있는 탐구 학습의 단계를 ‘도입-전개-정리’라는 일반적인 수업 전개 과정과 엮어 교수-학습 단계를 계획하였다. 특히 탐구 학습의 전 과정을 살리면서도 부담 없이 수업이 진행될 수 있게 하는 데 중점을 두어 계획하였다. 또한 음운 규칙이 적용되는 순서나 유음화의 예외 사항들에 대한 심화 탐구 학습까지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타임을 이용할 전략을 세웠다. 이를 통해 ‘원리 중심’이라는 내용도 살리고, ‘탐구 학습’이라는 방법도 살릴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지도 전략을 토대로 비음화․유음화 현상의 원리 중심 교수-학습 과정을 실제로 구현한 내용을 담았다. 블록타임 1차시와 2차시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수업할 때의 주의점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탐구 학습 과정에서 학생 개개인의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개별 활동, 짝꿍 활동, 모둠 활동, 전체 활동 등의 다양한 활동 형태를 학습 내용이나 단계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하는 과정도 보여주었다. 실제 수업에서 활용한 학습지 내용이나 학생들이 도출해 낸 결론 등을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원리 중심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기 전과 후, 설문 조사와 면담 조사를 통해 대상 학생들의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실제 구현한 ‘자음 체계표를 활용한 원리 중심 교수-학습’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탐구 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비음화․유음화의 현상이 아닌 원리를 학습자가 스스로 터득할 수 있게 하는 지도 방안을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모국어 학습자로서 언어 습득 초기 단계부터 수없이 배우고 익혀왔던 국어의 자음 체계를 활용하여 음운 현상의 원리를 좀 더 쉽게 탐구하는 지도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파편적인 문법 교육에서 벗어나 연계성을 살린 문법 교육이 가능함을 보여주고자 한 점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주요어(Keyword) : 원리 중심, 자음 체계표, 탐구 학습, 블록타임, 비음화, 유음화, 공명도 위계, 조음위치, 조음방법, 동화주

      • 수도권신도시의 공간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민경미 세종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도시공간은 도시생활을 영위하는 시민들 입장에서 집이나 일터와 같은 삶터의 하나이다. 인간의 행태를 담고 있는 도시공간은 시장원리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되어지기도 하며 도시정비나 신도시계획과 같은 정책에 의해서 형성되어지기도 한다. 신도시는 의도적으로 새롭게 건설되는 도시형의 인간정주공간이며 국가사회, 경제 및 교통정책의 일환으로 계획구도 하에 건설되며 해당도시 주민의 생활에 필요한 서비스와 일자리를 충족하는 자족성을 지닌 정주공간을 의미한다. 위 계획의 근간이 되는 가장 기본적인 계획은 공간계획인데 공간계획은 각 부문별 계획을 통합하고 도시환경의 미래를 제시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이러한 공간계획을 위한 가로망의 구성은 그 구성형태에 따라 공간의 위계를 결정하게 되며, 토지이용계획은 가로망의 구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가로망의 구성에 따른 공간의 잠재성을 객관적으로 설계단계에 분석하여 적용하는 것은 신도시가 완공된 이후의 토지이용계획과 실제 공간 이용상의 부조화를 사전에 방지하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초기 계획 단계부터 이러한 가로망의 잠재성을 고려하여 도시를 설계하게 되면, 컴팩트시티 혹은 지속가능한 개발 관점에서 도시를 개발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간계획을 통해 도시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전문가 집단이 참여하고 있지만, 계획 및 설계단계에서 많은 부분을 계획가 혹은 설계자의 주관과 직관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계획을 위한 자료수집 및 분석단계에서는 정량적인 분석이 이루어지나, 실제 계획 및 설계단계에서는 정성적인 접근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대안 작성과 이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평가 및 검증이 미흡한 채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신도시 개발의 목표를 건축계획에 이르기까지 일관성 있게 실현시키고 보다 쾌적한 도시환경의 창출과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도시설계는 유용한 수단임에는 틀림없지만 도시는 기본적인 틀 정도를 제외하고는 초기의 설계안과 부분적인 면에서 예상치 못한 결과물로 변형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원인 분석과 평가 작업이 있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공간구문론(Space Syntax)법은 개발계획이 사회, 경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계획초기단계에 종합적으로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는 분석 방법으로, 전 세계적으로 학술적, 실무적으로 여러 분야에 걸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초기 계획 단계에 완공 후의 토지이용현황을 비교적 정확하고 신속하게 예측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시대별 도시계획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토지이용계획시 고려해야 할 기준 및 계획 방법을 숙지하여 수도권 1, 2기신도시들의 물리적 구성과 가로망 및 토지이용계획 중 특히 상업시설, 업무시설, 중심축, 녹지체계를 분석하고,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도시공간구조의 속성을 수도권 신도시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개발될 신도시에서의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비영리조직의 위기책임성과 사과유형이 조직에 대한 태도와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현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causal attribution of crisis and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in the NGO(Non-Government Organization)'s crisis situation affect the public's perception of attitude toward an organization and donation intention. The study also intended to reveal what kind of combination of crisis types and crisis communication types would contribute to public's positive perception of attitude toward organization and donation intention with the NGO. Throughout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assumes that as the public would perceive the stronger crisis responsibility of the organizations, it would perceive the less favorable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In combination of crisis types and crisis communication type, presumably both the combination of stronger organization's responsible crisis and more accommodative crisis communication and the combination of weaker organization's responsible crisis and less accommodative crisis communication would be affective in sustaining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NGO and donation intention. In order to test those hypotheses, the study sets a 2X4 experiment setting. Crisis types are divided into two kinds: strong NGO's crisis responsible type and weak organization's crsisi responsible one. Crisis communication types are divided into four kinds based on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SCCT) by Cooombs: Deny crsis response strategies, Diminish crisis response strategies, Rebuild crisis response strategies, and Bolstering crisis response strategies. For the first crisis type, the study makes up a crisis scenario caused by the staff's misbehavior(misappropriation of public money) and for the second crisis type, it makes up another one caused by rumor. For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type, the study makes up four crisis communication scenarios, which the NGO denies, diminishes, rebuilds, bolsters the crisis responsibility. Then it makes two kinds of scenario sets and those subjects are exposed to those two kinds of scenario and four kinds of crisis communication scenarios. After the respective scenario set, the individual subject is designed to evaluate the attitude toward NGO and future donation intention about the imaginary NGO repeatedly. Also, Donation intention is affected by many other sources like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factors, so they are settled as a covariance. An experimental survey is undertaken with 240 male and female, repeated measures Mancova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mainly employed to analyze collected data using SPSS/PC.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s that those exposed to stronger organization's responsible crisis scenario perceive public relationship more negative than those exposed to weaker organization's responsible crisis one. It also shows that those exposed to rebuild and bolstering crisis response strategies perceive attitude toward the NGO and donation intention more positive than the deny or diminish crisis response strategies. In conclusion, public exposed to weaker organization's responsible crisis perceived more favorable attitude and donation intention with the NGO and the public exposed to stronger organization responsible crisis perceives less favorable attitude and donation intention with the NGO. It also reveals that whatever a NGO faces crisis, rebuild crisis response strategies which offer sincere apology and bolstering strategies which reminds stakeholders about NGO's past good deed would give affirmative effect on attitude and donation intention toward NGO. 조직의 이익 추구보다 사회의 안녕과 질서를 위해 자발적으로 생성되는 비영리조직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는 현대 사회에서 정부와 기업의 감시기능을 함과 동시에 대중의 필요 욕구를 채워주는 없어서는 안 될 조직으로 점점 더 많은 분야에서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국민들에게 두터운 신망의 대상이 된 NGO는 종종 재정적 취약성으로 인해 다소 어려움에 봉착하는데 기관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재정 확보가 필수적 요건이고 이는 국민들의 기부가 가장 큰 재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재정의 기본적 원천이 되는 대중의 기부는 NGO가 원활히 활동하고 그 영향력을 높이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급속한 양적 성장을 이루고 있으나 한정된 예산과 기부금에 대해 서로 경쟁하게 되는 비영리조직에 위기가 발생하였을 때에 그 책임성에 따라 비영리 조직에 대한 태도와 기부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틀은 책임귀인 판단에 따라 적합한 사과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는 Coombs & Holladay의 상황위기 커뮤니케이션 이론(SCCT)을 차용하였다. 위기가 발생하게 되면 공중은 위기에 대한 조직의 책임성을 지각하게 되고 이 지각의 정도는 조직의 향 후 위기 대처 방안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연구의 핵심 역시 조직에 발생한 위기의 책임귀인이 각각 다를 때 적절한 사과 전략인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공중이 영향을 받는지에 있다. SCCT에 따르면 책임귀인이 낮은 루머나 외부 조직에 의한 상품 훼손은 위기에 대해 부인하거나 외부 조직, 사람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등의 전략을 쓸 수 있고, 책임귀인이 강한 조직의 비행이나 경영위법 등 공중을 기만하는 행위로서 위기가 발생하게 되면 조직이 총체적인 책임이 있음을 인정하고 용서를 구하는 적극적이고 신속한 사과전략을 이행해야 한다. 특히 내부적이고 의도적인 과실로 인한 위기가 발생했다면 이는 가장 크게 경계해야할 대상임을 인지하고 내적 외적으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펼쳐야 한다. 그러나 비영리조직의 기부가 기존 영리 기업을 대하는 공중의 태도와 다른 점은 바로 조직의 모금활동을 통해 기부하는 많은 개인기부자들이 있지만 그러한 기부자들 역시 각각 자신만의 상황과 심리적인 태도로 인해 기부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자선적 기부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은 특히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성별, 연령, 소득, 교육수준 등 개인 기부자를 판단하는 데에 가장 용이한 변인으로 대표되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기부에 대해 얼마나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느냐를 예측할 수 있게 도와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6가지 요인들을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공변인으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 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사전조사를 통해 내적 귀인에 따른 책임성이 높은 위기로서 공금횡령을 설정하였고 외적 귀인에 따른 책임성이 낮은 위기로서 루머를 설정하였다. 기존 연구를 통해 위기 커뮤니케이션과 책임 귀인에 따라 공중들의 조직에 대한 태도와 향후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40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책임성이 높은 시나리오와 책임성이 낮은 시나리오 두 집단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피험자들은 시나리오 노출 후 네 가지 사과유형에 대해 반복적으로 응답하였고 실험의 결과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공변인에서 공중의 연령과 동정심의 정도에 따라 각각의 사과 유형별로 조직에 대한 태도에 차이를 보였다. 위기 상황에 관계없이 동정심이 높으면 조직의 긍정적인 면모를 상기시키는 강화 전략에 의해서 국제와 사회의 공익을 도모하는 비영리조직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책임성이 낮다고 판단되면 연령이 낮을수록 무조건적인 사과를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책임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연령이 높을수록 무조건적인 사과를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즉 모든 연령대에서 위기 상황에 따라 용서를 구하는 복구 전략에 의해서 비영리조직에 대한 태도가 가장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화 전략을 사용할 경우에는 조직의 책임성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조직에 대한 태도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령이 높을수록 조직의 과거 선행사실을 주장할 때에 공금횡령과 같은 책임성이 높은 심각한 위기가 있더라도 더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위기를 발판삼아 공익을 위하여 더 좋은 일을 할 것이라는 믿음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위기가 조직의 책임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면 조직의 잘못으로 인해 발생한 사건보다 공중의 태도는 더욱 긍정적이다. 이 긍정적인 태도는 기부의도에까지 이어져 공중이 기부를 하여 비영리 조직이 더욱 활발히 활동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준다. 따라서 위기 상황이 조직의 책임이 아님을 공중들이 인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설사 위기 상황에 대한 조직의 책임성이 높더라도 그 책임성이 낮도록 인식하게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위기가 발생하게 되면 그 책임성에 관계없이 비영리 조직은 가장 먼저 사건에 대해 사과하는 ‘복구’ 전략과 그동안 조직이 행해왔던 선행사실을 상기시키는 ‘강화’ 전략을 사용함으로서 조직에 대한 태도와 기부의도에 더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책임성이 높을 때에는 사건에 대해 잘못을 부인하는 부인전략을, 책임성이 낮을 때에는 사건에 대해 어쩔 수 없던 상황이었다고 위기를 축소시키고자 하는 축소 전략을 피해야 한다. 또한 공중은 내적 책임 귀인 위기보다는 외적 책임 귀인에서 조직에 대한 태도와 기부의도가 더 긍정적이었던 것을 감안해 볼 때 위기에 대하여 적절한 사과 전략이 매우 중요함과 동시에 그 위기가 조직의 내적 책임 귀인에 의한 것이 아니도록 방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는 함의를 가지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