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이동성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수현 경희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ABSTRACT> Relationship between Mobility and Self-Rated Health of Older Adults by Su Hyeon Lee Master of Gerontology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Dr. Young Sun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ity and Self-Rated Health in older adults. Also, this study examines gender difference on the relationships. To address this purpose, this study applied the SOC model as a theoretical framework. 2014 National Elderly Survey conduct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is thesis selected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were older adults without their children (n=3,991).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the thesis included both male elderly (n=2,237) and female elderly (n=1,754).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ity and Self-Rated Health, current driving status, moving time as a pedestrian, and inconvenience by using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This research shows various important results. First, most elderly in this study were past drivers, but now they have stopped driving. Second, more than 80% of the elderly experienced inconvenience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s. Third, elderly’s average time spent walking about 17.15 minutes, which means that the elderly took 10 to 30 minutes to go to six types of targeting areas (i.e., hospitals, supermarkets, public offices, welfare centers, bus & subway stations). Given the SOC model, this research attempts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bility and Self-Rated Health, This study expects that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empirical evidences promoting successful aging and elderly’s mobility. In this respect, the SOC model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adequately explain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bility experienced by older adults and their Self-Rated Health. The results of ordinary least squares (OLS) multiple regression are as follows. In model 1 (male elderly), moving time to the destination and the inconvenience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longer moving time to destination and higher levels of inconvenience of public transport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Self-Rated Health. In model 2 (female elderly), current driving status,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moving time to the destination at the time of going ou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ore the current driving, the less time moving to the destination,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Rated Health of the elderly women.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education, household income, and occup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elf-Rated Health.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the higher the level of Self-Rated Health. Given the research results, all hypotheses in the thesis were suppor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everal notable implications in terms of gerontology.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ity and Self-Rated Health in South Korea. There has been little scholarly attention to mobility in the field of Korean gerontology. Second, to make a more sophisticated model, this study recruited older people living alone or without other family members. Third, this study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ity and Self-Rated Health. From the results, the thesis showed that each gender’s Self-Rated Health was predicted by common factors, as well as different specific factors. The findings also have implications for gerontologist in understanding older adult’s mobility-related issues, as well as for policy makers drawing up healthcare policies for older adults with declined physical and cognitive abilities. In terms of mobility, this study extends current knowledge in the fields of gerontology and healthcare. Key words Older Adults, Mobility, Age-friendly traffic factors, Self-Rated Health, Aging In Place <국문 초록> 노인의 이동성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계 이수현 노년학 석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지도교수 김영선 본 연구는 독거노인 및 노인 부부의 이동성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계를 남·여 성별의 차이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2014년 노인실태조사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위하여 SOC(Selection, Optimization, Compensation) 모델을 연구의 분석 틀로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자녀와 거주하고 있지 않은 독거노인 및 노인 부부(n=3,991)로 한정하였으며, 성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남성 노인(n=2,237)과 여성 노인(n=1,754)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동성은 현재 운전 여부, 외출 시 목적지까지 걸린 이동시간, 그리고 대중교통 이용의 불편함으로 구성되었으며, 종속변수는 주관적 건강상태이다. 연구결과, 노인들은 대부분 과거에 운전했으나 현재는 운전을 중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80% 이상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시 불편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노인들의 평균 이동시간은 17.15분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6가지 차원의 이동 목표(병원, 슈퍼, 관공서, 복지관 등, 버스‧지하철역)를 가는데 각각 10분에서 30분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을 의미한다. SOC 모델은 선택(Selection), 최적화(Optimization), 보상(Compensation) 세 가지 전략이 적절하게 활용되면 성공적 노화의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가정한다. 운전 여부를 선택으로, 이동시간을 최적화로, 대중교통 이용을 보상이라는 SOC 모델의 틀에서 본 연구를 살펴본다면, 첫째, 운전을 선택한 노인은 이동성 측면에서 가장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을 선택함으로써 성공적 노화를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노화의 상황에서 소모된 자원(체력 등)을 고려한 적정한 이동시간은 성공적 노화의 가능성을 증대시킬 것이다. 셋째, 이동성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운전)과 적정한 이동 계획(이동시간)이 달성되지 못할 시, 대체수단으로써 대중교통을 적절히 활용하여 자신의 목적 및 욕구를 달성하려고 노력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노인이 경험하는 이동성과 그들의 주관적 건강 상태와의 관계를 적절히 설명하는 이론적 틀로써 SOC 모델이 가지는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SOC 모델을 바탕으로 노인이 직면하는 이동성과 그들의 다차원적인 건강상태(주관적 건강, 심리, 정신, 그리고 육체적 건강)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의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남성 노인의 경우 통제변수를 통제하고도 주관적 건강상태를 종속으로 한 모형에서 외출 시 목적지까지 걸린 이동시간과 대중교통 이용의 불편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살펴보면, 목적지까지 이동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할수록 낮은 수준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변수 가운데 연령, 학력, 가구소득, 직업, 만성질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여성 노인의 경우 독립변수인 현재 운전 여부와 외출 시 목적지까지 걸린 이동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과를 살펴보면, 현재 운전을 할수록, 목적지까지 이동시간이 적게 걸릴수록 여성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지는 요소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인구사회학적 변수 가운데 학력, 가구소득, 직업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자세히 살펴보면 학력과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직업이 있는 경우 높은 수준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가설은 대부분 지지되었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연구되지 않은 노인의 이동성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내적 타당도(internal validity)를 높이기 위해 연구 대상자를 독거노인 및 다른 가족과 함께 지내지 않는 노인 부부로 한정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독거노인 및 노인 부부의 이동성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요소를 남·여 성별에 따른 차이를 통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분석을 통하여 성공적 노후(successful aging)를 위한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동성을 다양한 측면에서 측정 및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중교통 이용이나 차량이 없을 때의 이동시간 및 거리에 대한 분석은 대단히 미미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대중교통과 이동 거리를 포함한 이동성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 환경에서 본 연구는 이동성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추후 관련 연구의 기초적 자료로써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핵심어 노인 이동성, 연령 친화적 교통 요인, 주관적 건강상태, Aging In Place

      •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화, 자기초월이 웰다잉 인식에 미치는 영향

        홍지원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화, 자기초월이 웰다잉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12개 경로당을 이용하는 재가노인 137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2년 10월 6일부터 10월 3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최종 자료는 응답이 부실한 5부를 제외한 137명을 통계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성공적 노화는 Kim[26]이 개발한 The Korean Elderly’s Successful Aging Scale(KESAS) 도구를 Lee[27]가 재구성한 성공적 노화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기초월은 Reed[28]가 개발한 Self-Transcendence Scale (STS) 도구를 Kim 등[29]이 표준화 한 한국판 자기초월(STS-K)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웰다잉 인식은 Jung[8]이 개발한 웰다잉 인식 도구(Well-dying Awareness Scale: WDA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6.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è-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공적 노화는 5점 만점에 평균 3.81±0.50점이었고, 자기초월은 4점 만점에 평균 3.02±0.39점이었다. 웰다잉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4.19±0.40이었으며 하위 요인 중 신체적 웰다잉이 4.46±0.53점으로 가장 높았고, 영적 웰다잉이 3.39±1.10점으로 가장 낮았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는 연령(F=4.57, p=.012), 동거인(t=-2.13, p=.035), 취미활동(F=9.87, p<.001), 경제적 만족(F=17.77, p<.001), 지각한 건강상태(F=9.77, p<.00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자기초월은 종교활동(t=2.46, p=.015), 취미활동(F=7.34, p<.001), 경제적 만족(F=6.73, p<.001), 통증강도(F=5.05, p=.008), 지각한 건강상태(F=12.14, p<.001), 1년 이내 사별경험(t=2.02, p=.046)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웰다잉 인식은 성별(t=-2.01, p=.046), 종교활동(t=3.03, p=.003)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 성공적 노화, 자기초월, 웰다잉 인식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성공적 노화와 자기초월(r=.63, p<.001), 성공적 노화와 웰다잉 인식(r=.49, p<.001), 자기초월과 웰다잉 인식(r=.41, p<.001)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웰다잉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공적 노화(β=.46, p<.001)와 자기초월(β=.22, p=.030), 취미활동(교양 및 예술 β=-.19, p=.025), 종교활동(있음 β=.17, p=.034)이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8.9%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자기초월, 취미활동과 종교활동이 웰다잉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년기에 종교와 교양 및 예술분야 등에서 활동하여 웰다잉 인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개인의 특성, 심리적 요인 등 다양한 영향요인을 고려한 웰다잉 프로그램의 개발 및 중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재가노인의 웰다잉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ful aging, self-transcendence, and well-dying awareness of the elderly in-ho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7 elderly in-home who used twelve senior centers located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October 6, 2022 to October 31, 2022, and the final data used 137 statistical data for analysis except for five parts that were poorly responded. Successful aging was measured using the successful aging tool reconstructed by Lee[27] from The Korean Elderly's Successful Aging Scale(KESAS) tool developed by Kim[26]. Self-transcendence is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Transcendence Scale(STS-K)tool standardized by Kim et al.[29] and the Self-Transcendence Scale(STS) tool developed by Reed[28]. Well-dying awareness was measured using the Well-dying Awareness Scale(WDAS) developed by Jung[8].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è-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using SPSS WIN 2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uccessful aging averaged 3.81±0.50 points out of 5 points, and Self-transcendence averaged 3.02±0.39 points out of 4 points. Well-dying awareness averaged 4.19±0.40 points out of 5. Among the sub-domains, the physical well-dying had the highest points of 4.46±0.53, and spiritual well-dying had the lowest points of 3.39±1.10.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cessful aging by age(F=4.57, p=.012), housemate(t=-2.13, p=.035), hobbies(F=9.87, p<.001), economic satisfaction (F=17.77, p<.001), perceived health status(F=9.77, p<.00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transcendence by religious activities(t=2.46, p=.015), hobbies (F=7.34, p<.001), economic satisfaction(F=6.73, p<.001), pain intensity (F=5.05, p=.008), perceived health status(F=12.14, p<.001), experience of bereavement within 1 year(t=2.02, p=.046),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ell-dying awareness according to gender(t=-2.01, p=.046), religious activities (t=3.03, p=.003).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uccessful aging and self-transcendence (r=.63, p<.001), and successful aging and well-dying awareness (r=.41, p<.001). 4.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well-dying awareness, the factors that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were successful aging(β=.46, p<.001) and self-transcendence(β=.22, p=.030), hobbies(liberal arts and arts β=-.19, p=.025), religious activities(yes β=.17, p=.034),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28.9%.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uccessful aging and the self-transcendence, hobbies and religious activities of the elderly in-ho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ell-dying aware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ctivities in the fields of religion, culture, and art in old age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well-dying awareness, it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well-dying of the elderly at home by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of well-dying programs considering various influencing factors such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factors.

      • 원어민 영어강사를 위한 교실 한국어 교재 개발 :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이현숙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원어민 영어강사들의 직장 생활 능력 향상과 한국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해, 그들의 요구와 특성에 맞는 교실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원어민 영어강사들은 영어를 가르칠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다른 문화를 공유하는 체험을 하게 하는 교사의 역할과 본국으로 돌아갔을 때 한국에서의 경험을 주변사람들에게 전달하는 문화 전파자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따라서 원어민 영어강사는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교실 내에서 뿐만 아니라 동료 교사들과 생활하고 있는 교무실 내에서 한국어 의사소통능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고는 원어민 영어강사를 위한 교실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해 부산의 공·사립 기관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54명의 원어민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 분석 결과 원어민 영어강사들은 교실 내에서 ‘학생들이 하는 말을 이해하기 위해’, ‘학생의 부모님과 교류하기 위해’, ‘학급을 잘 다루기 위해’, ‘용기를 북돋아 주기 위해’ 등의 이유로 한국어 학습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교무실 내에서 ‘서류 작성을 위해’, ‘학교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하기 위해’, ‘불필요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올바른 직위명을 사용하기 위해’, ‘거절하기 위해’ 등의 이유로 한국어 학습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원어민 영어강사를 대상으로 직장의 특수한 상황과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직장 생활 중에서 가장 한국어를 필요로 하는 상황들을 ‘교실’과 ‘교무실’이라는 장소로 분류하여 교실 한국어 교재 단원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원어민 영어강사들이 직장 생활에 빠르게 적응하고 학생 및 동료교사들과 원활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그들을 위한 다양한 교실 한국어 교재가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 개화기 외국인의 한국어 문법 연구

        김정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amined the word class, phoneme and phonological phenomena of Korean grammar study by foreigners in the age of enlightenment. After the conclusion of Ganghwado Treaty with Japan in 1876, the door of Joseon is open. Since that time onwards, many foreign missionaries and diplomats freely entered and exit Joseon, many Korean textbooks appeared and the study on Korean became earnestly. At this time, the study on Korean language by foreigners was recognized its high value in the education area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linguistics area. Existing studies used to select one research data of foreigners and analyzed it thoroughly. And, there are not many comparative studies by describing the research data of westerners and Japanese together. There is difference in the traditional grammar of the western world and the Japanese grammar that accepted the western tradition. There was no systematic study on Korean language during the port opening era. So, foreigners analyzed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grammar system of their mother language. Therefo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Korean language studied by foreig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examine the Korean language study by westerners and Japanese respectively and to compare their achievement. Korean language study data by foreigners during the port opening period had a great impact on the grammar scholars at the initial period, which resulted in the initial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In particular, the main target of research on grammar by domestic scholars was word class, which continued until the establishment of unified school grammar plan. Considering such fact, it is undeniable the impact of foreigners on the domestic grammar scholars. Therefore, the study on the Korean grammar by foreigners during the port opening period is very significant in the study of the Korean grammar. 본 연구는 개화기 외국인의 한국어 문법 연구의 품사·음운·음운 현상을 살펴본 것이다. 1876년 일본과 강화도 조약을 맺은 후 조선의 문호가 개방되었다. 이후 많은 외국인 선교사나 외교관 등이 조선을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다량의 한국어 교재가 등장하고 아울러 본격적으로 한국어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 외국인의 한국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분야와 국어학 분야에서 높은 가치를 인정받았다. 기존 연구는 이 시기의 외국인 연구 자료 하나를 선정해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서양인과 일본인의 연구 자료를 함께 기술하며 서로 비교하는 논의는 드물다. 서양의 전통 문법과 이러한 전통 문법을 수용한 일본 문법은 차이가 있다. 개화기에는 한국어 연구가 체계적으로 정립되지 않았다. 그래서 외국인들은 모국어의 문법 체계를 기준으로 한국어를 분석했다. 이에 외국인이 연구한 한국어 또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고의 목적은 서양인의 한국어 연구와 일본인의 한국어 연구를 나누어서 살펴보고 그들의 성과를 서로 비교하는 것이다. 개화기 외국인의 한국어 연구 자료들은 국내 초기 문법 학자에게 많은 영향을 끼쳐 국어의 초기 문법이 탄생할 수 있었다. 특히 국내 학자들의 문법 연구의 주된 대상은 품사였고, 이는 학교 문법 통일안이 제정되기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점을 고려했을 때 외국인이 국내 문법 학자들에게 미친 영향을 부정할 수 없으므로 개화기 외국인의 한국어 문법 연구를 살펴보는 것은 한국어 문법 연구에 있어 중요한 의의가 있다.

      • 농촌 여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시울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2017년 8월 우리나라는 예상보다 빨리 고령사회 진입을 했다. 농촌지역은 그보다 앞선 2010년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20%인 초고령 사회에 도달했다. 또한 농촌지역은 여성 노인의 비중이 도시지역보다 높다. 여성 노인은 남성 노인보다 평균수명이 길어 더 오래 살지만 그들의 삶의 질은 크게 나아지지 않는다. 노인 인구 증가는 불가피한 현상이며 노인 인구증가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는 사회문제로 그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노인의 문제는 결국 노인의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하며, 이는 노인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Rowe & Kahn의 성공적 노화 모델의 Disease & risk factors, Physical & mental function, Active engagement 등의 성공적 노화 구성 요소가 농촌지역 여성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얼마나 설명하는지를 조사한 것이다. 농촌지역 여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설명하고 성공적 노화와 삶의 만족도 검증을 통해 농촌지역 여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프로그램 개발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 검증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한국 보건 사회연구원이 전국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2014년 노인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전체 조사 대상 중 농촌지역 여성 노인 1,459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모형 및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Rowe & Kahn의 성공적 노화 모델의 구성요소인 Disease & risk factors- 건강생활습관, Physical & mental function- 신체적·인지적 기능 영역 및 심리적 특성, Active engagement- 생산적 활동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로 삶의 만족도합으로 구성하였다.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 여성 노인의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흡연 유무(β=-.048, p<.05,), 운동 유무(β=.068, p<.01), 주관적 건강상태(β=.043, p<.001), 기능 상태 제한(β=-.095, p<.001), 우울 증후(β=-.125, p<.001), 경제적 활동 포함 생산적 활동(β=.202, p<.001)으로 나타났다. 즉 금연할수록, 운동을 할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기능상태 제한이 없을수록, 우울 증후가 없을수록, 경제적 활동 포함 생산적 활동을 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β=.115, p<.001)과 소득분위(β=.179, p<.001)가 농촌지역 여성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거 가구 노인 보다 자녀 동거 노인(β=-.151, p<.001), 기타 가구 노인(β=-.067, p<.01)의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분위가 높을수록 농촌지역 여성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와 동거를 할수록, 기타 가구 유형일수록 노인 독거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았다. 위의 결과를 요약하면 농촌지역 여성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흡연, 운동, 주관적 건강상태, 기능상태 제한, 우울 증후, 생산적 활동, 연령, 소득분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분석되었다. 이런 결과는 Rowe & Kahn의 성공적 노화 모델의 구성요소가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영향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농촌지역 여성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들을 활용하여 성공적 노화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프로그램이 모색되어야한다. 농촌지역 특성과 여성 노인의 연령, 교육 수준, 거주 유형, 신체활동 수준 등을 고려하여 대상자들의 유형에 맞는 지속적이고 다양한 건강관리, 생산적 활동 프로그램을 제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인지기능 이상과 우울 증후 판단을 위한 심리적, 정서적 지원 프로그램개발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In August 2017, Korea entered the aged society earlier than expected. The rural areas have reached a super-aged society in which the proportion of people aged 65 and older exceeded 20% in 2010. In rural areas, the proportion of elderly women is higher than in urban areas. The elderly women have longer life expectancy than men, but their quality of life does not improve significantly.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inevitable phenomenon and various problems caused by increasing the elderly people. There are becoming serious social problems. The problems caused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degraded. This is not a problem of the elderly person but a problem to be solved at the national and social level. This study uses Rowe and Kahn's successful aging model which consists of avoiding disease and disability, high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 and engagement with life. It examines how these thre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rural elderly women. The study aims to provide data for successful aging of female elderly women in rural area and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and policy programs to improve successful aging and life satisfaction of rural elderly wome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3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conducted to 1.459 respondents of ‘The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the Elderly(2014).’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rural elderly women were smoking(β=-.048, p<.05), exercise(β=.068, p<.01), self-rated health(β=.043, p<.001), physical and cognitive activities such as IADL, ADL(β=-.095, p<.001) depression(β=-.125, p<.001). In other words, life satisfaction of rural elderly women appeared to be the better life satisfaction. when one does not smoke, exercises, high self-rated health, no functional limitation and depressive symptom, the more productive activity with economic activity. Second. Age(β=.115, p<.001) and income(β=.179, p<.001) showed statistically relationships with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omen in rural areas. And living alone is the better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women than other living That is,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income level, living alone found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omen living in rural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smoking, exercise, self-rated health, functional limitation, depression, productive activity, age, income level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s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Rowe & Kahn's successful aging model are factors that increase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omen in rural areas, policy and practical programs for successful aging should be u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inuous and diverse health care and productive activity program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type of the subjects, taking into accoun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age, education level, residence type, and physical activity level of the elderly women.

      • 전·후기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영양 상태를 중심으로

        김수경 경희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앤더슨 행동모형(Andersen Behavior Model of Service Utilization, 1968)을 바탕으로 전·후기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고, 영양상태와 의료서비스 이용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집한 2017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기노인(74세 이하) 5,342명, 후기노인(75세 이상) 4,957명이 최종분석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전·후기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소인성 요인(성별,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가능성 요인(민간의료보험 가입여부, 사회활동참여여부, 자녀동거여부), 필요성 요인(평소의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개수), 건강행태요인(영양상태)을 독립변수로 선택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기노인의 경우 공통적으로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평소에 건강한 편이라고 인식할수록, 영양상태가 안 좋을수록 입원서비스, 외래서비스 모두 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후기노인의 경우 공통적으로 평소에 건강한 편이라고 인식할수록, 만성질환 수가 많을수록 영양상태가 안 좋을수록 입원서비스, 외래서비스 모두 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후기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나아가 노인의 영양상태와 의료서비스 이용의 연관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학문적·실천적 함의와 더불어 노년기 의료서비스 이용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노인의 지역사회만족도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 -생태체계이론을 중심으로-

        이광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Bronfenbrenner(1979)의 생태체계이론(Ecological System Theory)을 바탕으로 한국적 상황에서의 노인의 지역사회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개인체계와 환경체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경희대학교 친고령특성화대학원에서 수집한 2017년 노쇠이해능력 실태조사(Frailty Literacy Survey)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최종분석대상자는 324명이 선정되었다. 연구의 모형을 검증하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전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주요변수 수준을 파악하였고, 측정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연구모형 검증을 통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체계 요인 중 건강변수, 환경체계요인 중 지역사회환경 변수와 네트워크 변수와 지역사회만족 간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우울 수준이 낮을수록, 만성질환 수가 적을수록 지역사회만족이 높아짐을 나타냈다. 또한, 도시에 거주할수록, 지역사회환경 구축 중 가게 접근성, 이동성, 여가시설, 치안에 대한 안전성으로 구성된 핵심요인과 옵션요인의 구축 정도가 높을수록,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참여를 통한 네트워크 형성 정도가 높을수록 지역사회만족이 높음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국내상황을 반영하고 IPAQ-E 척도 활용을 통해 지역사회환경 구축 정도를 주요변수로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학문적·실천적 함의와 더불어 지역사회만족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Frailty Literacy Survey in 2017 collected by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old people’s community satisfaction in Korean conditions, separately in two categories,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system, based on the Bronfenbrenner (1979)’s Ecological System Theory. 324 target people of final analysis were selected for verification of the study model.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ere any problems with multicollinearity by verifying study model, understand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ajor variable level of research targets before achieving a goal of the study and analyzing relationships between measurement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for verification of the study model.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variable among individual system and community setting variables, network variable, and community satisfaction among environmental system. In other words, the study showed that lower depressive symptoms and chronic disease produce higher community satisfaction. Moreover, the higher degree of an urban dwelling, the higher degree of build-up of a major and optional factor, composed by stability, about a store accessibility, mobility, leisure facility and public order among community setting, and lastly, the higher degree of a networking by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lead to higher community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policy suggestion for community satisfaction improvement along with an academic·practical agreement by verifying empirically, reflecting the domestic situation and utilizing the degree of a community setting construction as a major factor through IPAQ-E scale.

      • 테이핑요법이 수술실 간호사의 통증, 유연성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

        손지영 부산가톨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테이핑요법이 수술실 간호사의 어깨와 허리 통증, 유연성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Y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 수술실에 1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로 대조군 29명, 실험군 25명이었다. 연구도구로 어깨와 허리의 통증 정도는 시각상사척도(VAS)로 측정하였다. 어깨 유연성 측정은 back and reach test, 허리 유연성 측정은 Schober's test를 사용하였다. 피로 측정은 장은희(2013)가 개발한 간호사의 피로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10월 16일부터 2017년 11월 24일까지였으며, 실험군에게는 실험처치로 테이핑요법을 주 2회 2주간 총 4회 적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2-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테이핑요법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테이핑요법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어깨 통증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6.45, p<.001). 2) 제 2가설: ‘테이핑요법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테이핑요법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허리 통증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5.22, p<.001). 3) 제 3가설: ‘테이핑요법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테이핑요법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어깨 유연성이 증가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1) 제 1부가설: ‘테이핑요법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테이핑요법을 제공받지 않 은 대조군에 비해 왼쪽 어깨 유연성이 증가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4.74, p<.001). (2) 제 2부가설: ‘테이핑요법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테이핑요법을 제공받지 않 은 대조군에 비해 오른쪽 어깨 유연성이 증가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t=-6.15, p<.001). 4) 제 4가설: ‘테이핑요법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테이핑요법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허리 유연성이 증가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4.39, p<.001). 5) 제 5가설: ‘테이핑요법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테이핑요법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피로도가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6.32, p<.001).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테이핑요법은 근골격계 증상을 호소하는 수술실 간호사를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수술실 간호사에게 테이핑요법 이외에 근골격계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는 다른 중재프로그램과의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일개 병원의 수술실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대상자에게 적용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수술실 간호사의 근골격계 증상 발생 근본 원인인 수술실 근무 환경의 개선을 위한 인간공학적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고령친화산업체의 기업네트워킹이 기업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플랫폼 사용의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대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체의 기업네트워킹과 네트워킹성과로서 기업혁신성과를 검증하고 플랫폼의 사용의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고령친화산업의 기업네트워킹 및 플랫폼을 통한 고령친화산업의 혁신적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 고령친화융합연구센터에서 고령친화산업에 현재 영위하고 있거나 진출에 관심을 갖고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고령친화산업 교육 혁신 기업수요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분석대상 기업은 고령친화산업체중 기업네트워킹활동 경험이 있는 기업 172개를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5.0을 활용하였으며,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통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네트워킹활동이 기업혁신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네트워킹활동이 플랫폼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obel Test를 진행한 결과 p<.05 수준에서 플랫폼 사용의도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기업네트워킹활동과 기업혁신활동의 관계에서 플랫폼 사용의도가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다른 산업분야에서의 기업네트워킹에 관한 기존 연구들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기업네트워킹성과를 살펴본 초기 연구로서 학문적 함의를 갖는다. 이는 고령친화산업의 기업성과를 높이기 위해 기업네트워킹에 참여하고 다양한 기업네트활동이 중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기업네트워킹활동이 기업혁신활동을 높이는데 있어 플랫폼 사용의도가 중요한 매개변수로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업네트워킹과 기업혁신활동 수단으로서 기업네트워킹을 목적으로 하는 플랫폼의 중요성과 실무적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 혁신발전을 위한 정부의 플랫폼 구축 지원과 민간의 주도적인 운영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