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로스팅한 연근과 우엉을 이용한 건강 차 제조 및 품질특성

        정연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Chronic diseases have been recently increasing in South Korea due to economic improvement, western diet, and various types of stress. Accordingly, there have been increasing consumer interest and demand for natural substance-based health tea that helps to improve chronic diseases. Domestic root vegetables are highly useful as food material but there are very few studies on nutritional physiological activity or commercializat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developed health teas by strengthening the physiological activation effects through roasting process after selecting 2 or 3 root vegetables with excellent antioxidant capacity from 12 largely consumed domestic root vegetables, namely burdock root, lotus root, yam, turnip, Allium hookeri, carrot, garlic, bellflower root, potato, taro, red onion, and lanceolatae. Hot water extraction was performed on the 12 largely consumed domestic root vegetables and the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measured. The result showed that 72.09±0.75 mg TAE/g was measured for burdock root and 58.86±0.57 mg TAE/g for lotus root, taking the first and second places among the 12 varieties. Upon measur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urdock root and lotus root showed 90.21±0.91% and 87.83±1.20%, taking the first and second places among the 12 varieties, respectively. After roasting burdock root and lotus root, 7 different teas were made and antioxidant capacity was measured. The result showed that for 45 mL of lotus root tea and 135 mL of burdock root tea (RL1RB3) infused at 90℃,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99.75±0.52 mg TAE/g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88.86±0.49%, exhibiting the most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After roasting burdock root and lotus root, 7 different tea samples were made an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The result showed that 120 mL of lotus root tea and 60 mL of burdock root tea (RL2RB1) sample had the highest aroma and 90 mL of lotus root tea and 90 mL of burdock root tea (RL1RB1) had the most excellent flavor, color, and overall preference. In conclusion, 90 mL of lotus root tea and 90 mL of burdock root tea (RL1RB1) is excellent for flavor but it is anticipated that if 45 mL of lotus root tea and 135 mL of burdock root tea (RL1RB3) is developed as a cold beverage, then it will be able to satisfy the demand of the general public as a health tea with not only sensuality but also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 수준의 향상, 서구적인 식생활 및 각종 스트레스로 인해 만성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천연물을 이용한 건강 차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산 뿌리채소는 식품소재로 활용가치가 높으나 영양 생리활성 연구나 제품화 연구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소비 뿌리채소 12종(우엉, 연근, 참마, 순무, 삼채, 당근, 마늘, 도라지, 감자, 토란, 양파, 더덕) 가운데 항산화능이 우수한 뿌리채소 2, 3종을 선정한 후 로스팅 처리로 맛과 항산화활성을 강화시킨 후 건강 차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국내 다소비 뿌리채소 12종을 열수 추출한 후 total polyphenol 함량을 측정한 결과, 우엉은 72.09±0.75 mg TAE/g, 연근은 58.86±0.57 mg TAE/g로 측정되어 12종 가운데 1위, 2위를 차지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우엉은 90.21±0.91%, 연근은 87.83±1.20%로 12종 가운데 1위, 2위를 차지하였다. 로스팅한 우엉과 연근 혼합한 7종의 차 시료를 제조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90℃에서 우려낸 연근차 45 mL와 우엉차 135 mL를 혼합한RL1RB3의 total polyphenol 함량이 99.75±0.52 mg TAE/g, DPPH radical 소거능은 88.86±0.49%로 나타나 항산화 활성이 7종의 차 가운데 1위, 2위를 차지하였다. 로스팅한 우엉과 연근 혼합한 7종의 차 시료를 제조하여 관능평가를 한 결과, 향에 있어서는 90℃에서 우려낸 연근차 120 mL와 우엉차 60 mL를 혼합한 RL2RB1 시료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연근차 90 mL와 우엉차 90 mL를 혼합한 RL1RB1가 맛, 색,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한 점수가 나타났다. 즉,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한 시료는 RL1RB3이었으며, 맛이 가장 우수한 차 시료는 RL1RB1이었다.

      • 노인 대상 근감소증 중재요법 효과의 메타분석

        이현정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2009년∼2019년 7월) 연구된 근감소증을 완화하기 위한 중재요법 중 효과가 검증된 운동요법, 교육, 식품영양 분야의 선행연구 41편을 대상으로 신체활동능력과 근육량의 변화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는 관련 변인인 중재의 효과별, 중재특성별(중재방법, 중재의 병행 여부, 중재의 병행요법의 수, 대상자의 수, 연구의 기간, 대상자의 국적), 연구 설계 방식, 질병의 유무 등이 노인들의 근감소증 중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외의 65세 이상의 노인 대상 근감소증을 위한 중재요법의 효과 연구들을 PubMed, 한국교육학술정보서비스(RISS), 국회도서관(NANET)을 중심으로 키워드 ‘sarcopenia’, ‘elderly’, ‘physical’, ‘nutrition’, ‘education’, ‘근감소증’을 사용해 검색한 결과, 효과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고 판단된 최종 논문은 총 42편이었다. 수집된 자료를 코딩한 후 CMA3(comprehensive meta-analysis program)을 사용하여 효과크기의 수, 효과크기, 표준 오차, 95% 신뢰 구간, 동질성(Q, I2), 출판편향 검정, 통계적 이상치 등을 산출하고 분석하였다. 단, 통계적 이상치 1편을 제외하여 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총 41편이었다. 노인 대상 근감소증 중재요법 연구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는 0.493으로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으며, 이질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어 랜덤효과모형(random effect model)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근감소증을 완화하기 위한 중재요법(운동요법, 건강교육, 영양요법)을 진행한 연구들은 전체적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재 효과의 측면에서는 근육량의 증가보다 기능 개선에서 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중재특성에서는 요법들을 병행한 경우에 큰 효과크기를 보였는데 연구 단위에서는 운동요법과 영양요법을 병행한 경우, 중재 그룹 단위에서는 두 가지 요법을 병행한 경우, 그 중에서도 운동요법과 건강교육 또는 건강교육과 영양요법을 병행한 경우였다. 연구 대상자수는 많을수록, 연구 기간은 길수록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가 산출 되었으며, 연구 대상자가 질병이 없는 경우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운동요법, 교육, 식품영양 분야를 모두 포함한 중재요법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운동 방법, 교육 방법, 영양요법의 종류 등 분야별(운동, 교육, 식품영양) 중재방법에 대한 하위분류의 분석은 진행하지 못하였는데, 이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분류하고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운동요법의 경우, 대부분 저항운동과 유산소운동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동양 문화권에서의 명상, 요가 등과 같이 나라 정서에 맞은 운동을 중재로 사용하는 연구도 진행될 필요가 있다. 차후 본 연구의 분석들을 바탕으로 노인들의 근육량과 근력 개선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갖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근감소증에 대한 중재요법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performed a comprehensive analysis on change in physical ability and muscle mass, based on 41 research papers in the fields of physical activity, education, and food nutrition over the past ten years (2009∼July, 2019) that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tervention on the relief of sarcopenia. In particular,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lated variables such as effectiveness and characteristics of an intervention (method, whether that interventions parallel or not, number of parallel interventions, number of subjects, period of study, and nationality of subjects), research design methods, and presence of preexisting diseases on the intervention of senile sarcopenia. According to search results using keywords such as ‘sarcopenia,’ ‘elderly,’ ‘physical,’ ‘nutrition’ and ‘education’ on papers from databases including Pub-Med, RISS(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NANET(National assembly library), whi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tervention on sarcopenia for senior citizens over age of 65 from both Korea and abroad, a total of 42 papers judged to measure their effect size was found. The collected data were coded to compute and analyze the number of effect size, effect size, standard errors, 95% confidence interval, homogeneity (Q, I2), publication bias test, statistical outliers, and the like using CMA3(comprehensive meta-analysis program). Only 41 papers were used in the analysis after excluding a paper as a statistical outlier. An intermediate level of the total effect size (0.493) was computed for research on interventions of senile sarcopenia indicated heterogeneity; therefore, a random effect model was adopted. In this study that investigated interventions (physical activity, health education, and supplement), which relieves symptoms of sarcopenia for senior citizens over age of 65, generally had effect sizes of an medium level.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more positive results were found in functional improvement than muscle mass increase.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s, a Large effect size was shown in cases where parallel interventions were employed: at the study unit, physical activity and supplement; and at the intervention group unit, any combination of two intervention, but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education or health education and supplement showed a particularly large effect sizes. The effect siz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ubjects and length of research period. An absence of preexisting diseases showed a more positive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attempt in comprehensive analysis of interventions all across the fields of physical activity, education, and food nutrition. However, this study was unable to perform a sub-classification analysis of intervention methods by research fiel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and food nutrition) such as exercise method, education method, and nutrition treatment; hence, a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and analysis is called for in the future. As for physical activity, most techniques consisted of resistance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There is also a need for studies that employ exercises culturally more suitable for Asians such as meditation and yoga.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uscle mass and strength enhancement programs optimized for senior citizens and interventions of sarcopenia.

      • 임원경제지 정조지를 기반한 건강기능성 죽 개발

        김순연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최근 산업과 과학이 발달함에 따라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질병 예방과 장수 및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의 식문화 역시 웰니스를 기반한 건강 보호와 증진을 강조하는 경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우리 식문화 가운데 죽(粥)은 부드럽고 영양이 풍부하여 이유식, 유아식, 노인식, 건강식, 아침대용식, 별미식, 간편식, 보양식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최근 20∼30대 젊은 층을 타깃으로 한 치즈불닭죽과 트러플전복죽, 신짬뽕죽, 낙지김치죽 등 기호 중심으로 개발되어 끼니로 활용되고 있다. 이는 보양식, 치료식 등으로 활용되어온 전통 식문화와는 거리가 멀며 영양학적으로도 문제점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제8지 정조지(鼎俎志) 제3장 전오지류(煎熬之類)에 등장하는 40종의 죽 중 약이성 재료를 첨가한 죽을 제외한 21종의 죽류를 중심으로 5대 영양소의 분포 및 영양소 함량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전통 죽의 영양학적 가치를 현대·과학적으로 재조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대인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성 죽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임원경제지 정조지 제3장 전오지류에 등장하는 죽의 종류는 모두 40가지로 곡류를 주재료로 만들어진 죽류, 곡류에 부재료로 두류, 종실류와 견과류, 계육과 우유, 어패류, 채소와 과일, 약이성 재료와 기타 재료를 첨가한 죽류로 구성되어 있었다. 40종 죽류 가운데 약이성 재료를 제외하고 영양학적 분석이 가능한 21종 죽의 5대 영양소를 분석한 결과, 5대 영양소가 고루 분포되어있는 죽은 삼미죽, 산우죽, 계죽, 즉어죽, 우유죽 5종이었다. CAN-Pro를 사용하여 21종의 죽류를 1회 분량을 기준으로 영양소 함량을 산출한 결과, 열량의 범위는 164.41∼555 kcal/1 serving, 탄수화물의 범위는 24.91∼83.82 mg/1 serving, 지질 함량의 범위는 0.21∼20.87 mg/1 serving, 단백질 함량의 범위는 0.66∼24.24 mg/1 serving이었으며 식이섬유소 함량의 범위는 0.29∼14.45 mg/1 serving이었다. 비타민 A, E, B2 니아신, B6, 엽산의 함량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21종 죽류의 무기질 함량을 산출한 결과 중 칼슘은 거승죽이 245.6 mg, 나트륨은 우유죽이 129.7 mg, 칼륨은 적두죽이 1505.31 mg으로, 철은 적두죽이 4.3 mg, 아연은 해송자죽이 2.67 mg, 셀레늄은 담채죽이 38.57 μ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죽류에 첨가된 부재료의 종류와 양에 따라 영양소 함량이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호두, 마, 닭가슴살, 우유 등 4종의 식재료를 부재료로 선정하여 Ncontrol(쌀, 물), Pcontrol(쌀, 우유), W4Y2C4(호두 4 g, 마 2 g, 닭가슴살 4 g), W4Y2C8(호두 4 g, 마 2 g, 닭가슴살 8 g), W12Y6C12(호두 12 g, 마 6 g, 닭가슴살 12 g), W16Y8C16(호두 16 g, 마 8 g, 닭가슴살 16 g)을 제조하여 품질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 pH는 Ncontrol은 6.96, Pcontrol은 6.46이었으며, W4Y2C4는 6.60, W8Y4C8은 6.50, W12Y6C12는 6.53, W16Y8C16은 6.48로 나타났다. 색도 측정 결과, L값(lightness)은 Ncontrol이 54.80으로 가장 어둡게 나타났으며 Pcontrol이 81.02로 가장 밝게 나타났다. W4Y2C4은 75.25, W8Y4C8은 75.97, W12Y6C12은 72.55, W16Y8C16은 73.19로 나타났다. a값(redness)은 Ncontrol이 -0.40, Pcontrol이 -1.9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W4Y2C4은 -0.74, W8Y4C8은 -0.28, W12Y6C12이 -0.30, W16Y8C16은 -0.09였다. b값(yellowness)은 Ncontrol이 -2.13, Pcontrol이 5.72를 보였다. W4Y2C4은 2.60, W8Y4C8은 3.75, W12Y6C12은 4.72, W16Y8C16은 5.22로 나타났으며 각 첨가군 간에 유의적(p<0.001)인 차이를 나타냈다. 당도 측정 결과, Ncontrol이 5.83 °Brix%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control이 20.50 °Brix%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W4Y2C4은 12.10 °Brix%, W8Y4C8은 11.93 °Brix%, W12Y6C12은 9.33 °Brix%, W16Y8C16은 10.33 °Brix%로 나타났다. 점도 측정 결과, Ncontrol은 2.23 cp로 나타났으며 Pcontrol은 14.67 cp로 가장 높은값을 보였다. W4Y2C4은 1.37 cp, W8Y4C8은 1.50 cp, W12Y6C12은 1.00 cp, W16Y8C16은 0.63 cp로 나타났으며 각 첨가군 간에 유의적(p<0.001)인 차이를 나타냈다. 염도 측정 결과, Ncontrol은 0.00%, Pcontrol은 0.10%로 나타났다. W4Y2C4은 0.00%였으며 W8Y4C8, W12Y6C12, W16Y8C16은 모두 0.10%로 나타났으며 각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 평가 결과, 색(color)은 W12Y6C12이 6.75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향(flavor)은 색과 같은 결과로 W12Y6C12이 6.75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맛(taste)은 Pcontrol이 2.00으로 가장 낮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W12Y6C12이 6.50으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또한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preference)는 색과 향과 같은 결과로 Ncontrol이 2.00, Pcontrol이 2.25, W4Y2C4이 3.75, W8Y4C8이 5.00, W16Y8C16이 5.50의 순서로 기호도가 높았으며 W12Y6C12이 6.75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W12Y6C12의 9가지 영양성분 결과, 열량은 66.50±0.13 kcal/100 g, 탄수화물은 6.60±0.02%/100 g, 조단백질은 2.60±0.01%/100 g, 조지방은 3.30±0.01%/100 g, 트랜스지방은 0.06±0.01 g/100 g, 포화지방산은 1.50±0.02 g/100 g, 당류는 2.40±0.01 g/100 g, 콜레스테롤은 7.07±0.04 mg/100 g, 나트륨은 21.62±0.20 mg/100 g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당뇨, 콜레스테롤, 동맥경화 등과 같은 성인병 및 만성질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성분인 포화지방산, 콜레스테롤, 나트륨의 함량이 낮고, 열량 밀도 또한 낮은 W12Y6C12 죽이 차후 현대인의 건강증진용 죽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Recent industrial and advancements have increased average life expectancy and led to greater interests in disease prevention, a longer lifespan, and health. Food culture in South Korea is also redirecting its focus towards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based on the concept of wellness. South Korean porridge is soft and nutrition-rich food that is consumed in various ways by babies, toddlers, and the elderly. It is a healthy, delicate, convenient meal replacement, and energy-boosting food. Recently, many companies have developed and launched porridge with a focus on the preferences of the younger generations in their 20∼30s. These have included cheese buldak porridge, truffle abalone porridge, spicy jjamppong porridge, and octopus kimchi porridge, and individuals have been eating these as meals. However, these are far from traditional food culture that has been used as nourishing food and therapeutic food, and has many nutritional problems. Therefore, in this study,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and nutrient content of the 5 major nutrients was conducted focusing on 21 types of porridge except for porridge with medicinal properties, among 40 types of porridge appearing in the 8th, Jeongjoji, Chapter 3, Jeonjiryu of the Imwongyeongjeji. Through this, the nutritional value of traditional porridge from the Joseon Dynasty was re-examined in a modern and scientific way, and based on this, it was attempted to develop a healthy functional porridge that can help modern people's health.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are 40 types of porridge were introduced in the Jeongjoji Chapter 3 Jeonjiryu of the Imwongyeongjeji. There are 40 types of porridge made with grains as the main ingredient. Beans and seeds and nuts, chicken meat and milk, fish and shellfish, vegetables and fruits, was composed of porridge with medicinal properties and other ingredients add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ve major nutrients of 21 types of porridge that could be nutritionally analyzed, after excluding those that included medicinal ingredients, a total of five types of porridge, including sammi-porridge, yam porridge, chicken porridge, crucian carp porridge, and milk porridge, had an even distribution of five major nutrients.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nutrient content based on one serving of 21 kinds of porridge using CAN-Pro, the results of the tests were as follows: 164.41∼555 kcal/1 serving for calorie; 24.91∼83.82 mg/1 serving for carbohydrates; 0.21∼20.87 mg/1 serving for lipid; 0.66∼24.24 mg/1 serving for protein; and 0.29∼14.45 mg/1 serving for dietary fiber. Amounts of Vitamin A, E, B2, niacin, B6, and folic acid were generally low.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amounts of mineral in 21 types of porridge, black sesame seed porridge had the most calcium with 245.6 mg, milk porridge had the most sodium with 129.7 mg, red bean porridge had the most potassium with 1,505.31 mg and iron with 4.3mg, jat-porridge had the most folic acid with 2.67 mg, and mussel porridge had the most selenium with 38.57 μg. Hence,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nutrients was dependent on the type and amount of ingredients added to the porridg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a total of four kinds of ingredients, including walnuts, yam, chicken breast, and milk, were selected as supplementary ingredients. Ncontrol(rice and water), Pcontrol(rice and milk), W4Y2C4(walnut 4 g, yam 2 g, and chicken breast 4 g), W4Y2C8(walnut 4 g, yam 2 g, and chicken breast 8 g), W12Y6C12(walnut 12 g, yam 6 g, and chicken breast 12 g), W16Y8C16(walnut 16 g, yam 8 g, and chicken breast 16 g) was manufactured and quality evaluation was performed. As a result, the pH was 6.96 for Ncontrol and 6.46 for Pcontrol, 6.60 for W4Y2C4, 6.50 for W8Y4C8, 6.53 for W12Y6C12, and 6.48 for W16Y8C16. As a result of chromaticity measurement, the L value(lightness) was the darkest in Ncontrol at 54.80 and the brightest in Pcontrol at 81.02. W4Y2C4 was 75.25, W8Y4C8 was 75.97, W12Y6C12 was 72.55, and W16Y8C16 was 73.19. The a value(redness) was the lowest in Ncontrol at -0.40 and Pcontrol at -1.93. W4Y2C4 was -0.74, W8Y4C8 was -0.28, W12Y6C12 was -0.30, and W16Y8C16 was -0.09. The b value(yellowness) was -2.13 for Ncontrol and 5.72 for Pcontrol. W4Y2C4 was 2.60, W8Y4C8 was 3.75, W12Y6C12 was 4.72, and W16Y8C16 was 5.22. The differences between all the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As a result of the sugar content measurement, Ncontrol was the lowest at 5.83°Brix% and Pcontrol was the highest at 20.50 °Brix%. W4Y2C4 was 12.10 °Brix%, W8Y4C8 was 11.93 °Brix%, W12Y6C12 was 9.33 °Brix%, and W16Y8C16 was 10.33 °Brix%. As a result of viscosity measurement, Ncontrol showed 2.23 cp and Pcontrol showed the highest value with 14.67 cp. W4Y2C4 was 1.37 cp, W8Y4C8 was 1.50 cp, W12Y6C12 was 1.00 cp, and W16Y8C16 was 0.63 cp,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groups (p<0.001). As a result of salinity measurement, Ncontrol was 0.00% and Pcontrol was 0.10%. W4Y2C4 was 0.00%, and W8Y4C8, W12Y6C12, and W16Y8C16 were all 0.10%,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W12Y6C12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color at 6.75, and for flavor, the same result as color, W12Y6C12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at 6.75. As for taste, Pcontrol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at 2.00 and W12Y6C12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at 6.50. Also, overall preference showed the same results as color and flavor, with Ncontrol having the highest preference of 2.00, Pcontrol of 2.25, W4Y2C4 of 3.75, W8Y4C8 of 5.00, and W16Y8C16 of 5.50. As a result of nine nutritional components of W12Y6C12, were 66.50±0.13 kcal/100 g of calories, 6.60±0.02%/100 g of carbohydrates, 2.60±0.01%/100 g of crude protein, 3.30±0.01%/100 g of crude fat, 0.06±0.01 g/100 g of trans fat, 1.50±0.02 g/100 g of saturated fatty acid, 2.40±0.01 g/100 g of sugar, 7.07±0.04 mg/100 g of cholesterol, and 21.62±0.20 mg/100 g of sodium. This study confirmed that W12Y6C12 has low contents of saturated fatty acids, cholesterol, sodium, and low-calorie density, which have negative impacts on common diseases in adults such as diabetes, cholesterol, and arteriosclerosis. Hence, the recipe of this nutritionally excellent porridge should assist in promoting the health of individuals living in modern society.

      • 로스팅 서리태를 이용한 골 건강 개선을 위한 커피 대체 음료의 제조 및 품질평가

        정수옥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커피 소비량 증가에 따른 골질환을 예방하고자 로스팅 처리로 isoflavone 함량을 증가시킨 서리태를 이용하여 커피대체음료를 제조하여 그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로스팅 온도(90℃, 110℃ 및 130℃)에 따른 서리태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로스팅 온도가 높아질수록 수분함량은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로스팅 온도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은 110℃에서 20 동안 로스팅한 서리태 시료(OpRoS-11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로스팅 온도에 따른 항산화 활성 역시 OpRoS 시료에서 total polyphenol과 total flavonoid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도 OpRoS-110 시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적 로스팅 서리태(OpRos-110: 110℃에서 20분 로스팅)를 끓이는 시간(5분∼90분)과 음용온도(15℃와 65℃)를 달리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음용온도 15℃에서는 OpRoS-110 시료를 30분 동안 끓인 시료(15℃-OpRoS-30분)의 관능평가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음용온도 65℃에서는 OpRoS 시료를 60분 동안 끓인 시료(65℃-OpRoS-60분)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15℃-OpRoS-30분 시료와 65℃-OpRoS-60분 시료 각각에 더치커피를 5 mL로 고정시키고 각각의 시료 첨가량(0, 25, 50, 75 및 100 mL)을 달리하여 커피 대체 음료를 제조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음용온도 15℃에서 관능평가 점수가 가장 우수한 15℃-OpRoS-30분 시료 50 mL, 물 45 mL, 더치커피 5 mL이 혼합되었을 때 관능평가 점수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음용온도 65℃에서 관능평가 점수가 가장 우수했던 65℃-OpRoS-60분 50 mL, 물 45 mL, 더치커피 5 mL 비율로 혼합되었을 때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커피대체 음료는 골 질환 예방에 도울 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산양삼 분말을 첨가한 선식 제조 및 품질특성

        이세우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선식 제조 시 산양삼(10년산과 15년산) 분말을 각각 0.2%, 0.4%, 0.6% 첨가한 후 색도, pH, 관능적 특성(색, 향, 맛, 선호도, 순위), 항산화능(total polyphenol 함량과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 및 이화학적 성분(일반성분과 무기질함량) 등과 같은 품질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색도 측정결과 10년산과 15년산 산양삼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낮아졌는데, 15년산 산양삼 분말 0.6%가 첨가된 선식(15yrWS0.6)의 명도(L값)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적색도(a값)과 황색도(b값)의 경우도 명도와 마찬가지로 10년근, 15년근 산양삼 분말의 첨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pH의 경우도 10년근, 15년근 산양삼 분말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 평가에서 선식 제조 시 10년근과 15년근 산양삼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감, 향, 맛, 선호도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항산화능의 경우 10년근과 15년근 산양삼 분말 0.6%가 첨가된 선식시료에서 각각 높게 나나났다. 전체적으로는 15년근 산양삼 분말 0.6%가 첨가된 선식(15yrWS0.6)의 total flavonoid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 또한 15yrWS0.6 시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년근과 15년근 산양삼이 첨가된 선식 시료 중 항산화활성이 우수하고 관능평가가 가장 우수한 15yrWS0.4을 대조군과 비교 시 탄수화물,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등과 같은 일반성분과 칼슘, 인, 나트륨, 칼륨 및 마그네슘과 같은 무기질 함량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제조된 15년근 산양삼이 0.4% 첨가된 선식(15yrWS0.4)은 항산화능 뿐 만 아니라 관능적 평가도 우수하여 아침식사를 거르기 쉬운 현대인들의 식사대용식으로 활용가치가 높을 것이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lightness, pH, sensory properties preference(color, flavor, taste, overall quality, and rank), antioxidant activity(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physicochemical component(principal components and minerals) of Sunsik which was added 0.2%, 0.4%, 0.6% of cultivated wild ginseng powder(10years cultivated and 15years cultivated) with. In the result of lightness measurements, L-value of samples were decreased depending on increasing the amounts of 10yrWGP(10years cultivated wild ginseng powder) and 15yrWGP(15years cultivated wild ginseng powder) added with, and then, that of Sunsik added with 0.6% 15yrWGP (15yrWS0.6) was shown the lowest one compared with control. A-value and b-value of both 10yrWS and 15yrWS were increased depending on increasing the amounts of 10yrWGP and 15yrWGP added with like as L-value of them. And pH of 10yrWS and 15yrWS were decreased depending on increasing amounts of 10yrWGP and 15yrWGP added with. In the result of sensory property evaluations, samples of Sunsik had a tendency to be rated more low for color, flavor, taste, and overall quality depending on increasing amounts of 10yrWGP and 15yrWGP added with generally. The samples of Sunsik added 0.6% of 10yrWGP and 15yrWGP with were measured as higher than others each for the antioxidant activity.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15yrWS0.6 were measured as the highest one in all the sample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15yrWS0.6 were measured as higher than any other samples as well. When 15yrWS0.4 which was the sample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highest preference among the samples of Sunsik added 10yrWGP and 15yrWGP with was compared with contro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5yrWS0.4 and control by the principal component contents and mineral contents such as carbohydrat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Ca, P, Na, K, Mg. In conclusion, 15yrWS0.4 which was prepared with 0.4% of 15yrWGP will be highly worth to be utilized as a substitute meal for modern people who can easily take breakfast skipping because it was evaluated not only as a sample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y but with the highest sensory properties also.

      • 한국 전통 복합처방 음청류를 이용한 양갱제조 및 품질평가

        양경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노인의 기호에 맞는 간식을 개발하고자 노인이 즐겨 마시는 한국 전통 복합처방 음청류 5종(봉수탕, 잡곡미수, 오과차, 오미갈수 및 수정과)을 제조하여 그 품질특성(색도, pH, 당도, 관능평가)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한국 전통 복합처방 음청류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양갱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색도, 기계적 물성, 관능평가, 일반성분, 무기질 및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5종의 한국 전통 복합처방 음청류의 색도측정 결과, 명도(L)값은 대조군 63.91, 적색도(a)값은 오미갈수 2.85, 황색도(b)값은 오과차 16.76으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5종의 한국 전통 복합처방 음청류의 관능평가 결과, 색에서는 오미갈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 등에서는 오과차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차적으로 수행한 한국 전통 복합처방 음청류를 이용하여 제조한 양갱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명도(L)값은 봉수탕양갱(BSY) 58.04, 적색도(a)값은 잡곡미수양갱(JGY) 1.42, 황색도(b)값은 잡곡미수양갱(JGY) 10.85으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 전통 복합처방 음청류를 이용하여 제조한 양갱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한 결과, 경도에서는 대조군, 탄력성에서는 오과차양갱(OGY), 씹힘성과 검성에서는 수정과양갱(SJY), 응집성에서는 잡곡미수양갱(JGY)이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 전통 복합처방 음청류를 이용하여 제조한 양갱의 관능평가를 측정한 결과, 색, 맛, 향,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 등의 항목에서 오과차양갱(OGY)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국 전통 복합처방 음청류를 이용하여 제조한 양갱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과 조단백질함량에서는 잡곡미수양갱(JGY), 탄수화물은 대조군, 조지방함량은 봉수탕양갱(BSY)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에서 칼슘(Ca), 칼륨(K) 및 인(P)에서는 잡곡미수양갱(JGY)이, 마그네슘(Mg)은 봉수탕양갱(BSY), 나트륨(Na)은 대조군이 각각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한국 전통 복합처방 음청류를 이용하여 제조한 양갱의 항산화능에서 폴리페놀 함량은 수정과양갱(SJY), DPPH radical 소거능은 오과차양갱(OGY)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오과차양갱(OGY)은 무기질함량과 항산화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관능평가가 우수하여 노인용 건강간식으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5 types of traditional Korean combined beverages(Bongsutang, Jabgokmisu, Ogwatea, Omigalsu, and Sujunggwa) which are frequently prescribed for elderly health using color values, pH level, sweetness, and sensory evaluations, firstly. Secondarily, yanggaeng samples were processed prepared with the 5 traditional Korean combined beverages and evaluated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color values, mechanical properties, sensory evaluations, gener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mineral content. In case of color values, brightness(L) of control(63.91), redness(a) of Omigalsu(2.85), and yellowness(b) of Ogwatea(16.76) showed in the height values, in the 5 types of traditional Korean combined beverages, respectively. In case of sensory evaluations, Ogwatea was most favored in smell,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Secondly, yanggaeng samples were processed prepared with 5 types traditional Korean combined beverages and evaluated quality characteristics. In mechanical properties, hardness of control, springiness of Ogwatea yanggaeng(OGY), chewiness and gumminess of Sujunggwa yanggaeng(SJY), cohesiveness of Japgokmisu yanggaeng(JGY) showed in the height values, in the yanggaengs samples. In sensory evaluations, Ogwatea yanggaeng(OGY) demonstrated the highest preference in color, taste, smell,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In general compositions of the yanggaeng samples, Jabgokmisu yanggaeng(JGY) showed the highest water content, Jabgokmisu yanggaeng(JGY) showed the highest crude protein content and Bongsutang yanggaeng(BSY) showed the highest crude fat content. In mineral contents of the yanggaengs samples, Jabgokmisu yanggaeng(JGY) showed the highest calcium(Ca), potassium(K), and phosphorus(P) content. Bongsutang yanggaeng(BSY) showed the highest magnesium(Mg) content. and control yanggaeng showed the highest sodium(Na) content. I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yanggaengs samples, Sujunggwa yanggaeng(SJY) show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 Ogwatea yanggaeng(OGY)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It was concluded that Ogwatea yanggaeng(OGY) was not only oxidative activities but also good sensory evaluations.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o garner a high popularity as healthy snack for the elderly.

      • 현미 상황균사체 버섯재배 및 항균활성 검색

        박호식 경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상황버섯은 소나무비닐 버섯과의 진흙버섯(Phellinus) 에 속하는 백색부후균이다. 주로 뽕나무와 활엽수 줄기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학명은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이라고 한다. 다년생 버섯으로 항암 및 면역조절, 혈액순환, 빈혈방지, 해열 등 많은 생리효능이 알려져 있는 약용버섯이다. 활엽수의 고사목 또는 부분 고사된 곳에 기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대량 인공배양을 성공하여 재배하며, 한국산 자생 상황은 맛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재배법 또한 다양하며, 재배방법에 따른 상황버섯의 영양적 가치와 활용법도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버섯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식용뿐만 아니라 약용 및 기호 식품으로 확대 되고 있으며, 버섯의 균사체 및 자실체의 추출물이나 균사체 배양물이 각종 질병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버섯류는 새로운 바이오산업 소재로써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개발에 필요한 생물자원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상황버섯 인공 재배 방식인 원목이나 톱밥에 상황 버섯균을 접종하여 버섯을 생산하는 방식을 벗어나서, 식품으로서 가치가 있는 버섯재배를 위해 영양가치가 우수한 현미에, 약리 활성이 우수한 Phellinus Linteus 균주를 증식시켜, 액체배양액을 만들어 균사체를 접종, 배양하여 25∼30일간의 생육단계를 거쳐, 현미 상황균사체 버섯을 재배하였다. 재배한 현미 상황균사체 버섯은 동결건조 분말화한 후 일반성분 및 비타민 무기질 함량을 측정하고 ,열수 에탄올 추출물의 색도와 고형분 함량을 비교 측정한 결과 색도(L, a, b)는 각각 63.95, 4.54 및 30.18이었다. 물 추출물은 색도가 39.5, 3.2 및 4.6이였고, 에탄올 추출물은 36.5, 3.1, 및 2.3으로 나타났다. 고형분 함량 실험에서는 물 추출물의 수분함량과 수용성 고형분 함량은 각각 45.8%와 54.2%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경우 88.8%가 수분이고 11.2%가 고형물 이었다. 또한 Paper disc법에 의한 항균력 검색 결과, 물 추출물은 4종의 그람양성세균에 대해 9.1∼10.1 mm의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Microbial growth analyser(Bioscreen C)를 이용한 항균력 검토에서도 물 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은 4종의 피검균에 대해 항균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물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다소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앞으로 상황현미균사체버섯에 대해 독성, 동물실험 등의 연구가 필요하고 또 다른 활성 성분을 확인하여, 통합의학적 식품치료식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알로에 베라, 맥주 효모 및 실크 펩타이드를 이용한 핸드·네일 화장품 개발

        배민규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알로에 베라(Aloe vera L.), 맥주 효모(brewer's yeast) 및 실크 펩타이드(silk peptide)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체에 안전한 핸드·네일 화장품을 제조 및 품질평가 하는 데 있다. 핸드·네일 화장품 제조에 앞서 에탄올추출법과 열수추출법으로 시료들을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측정 한 결과, 열수추출법이 에탄올추출법에 비해 항산화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용매(에탄올과 증류수)별로 각각 1:1:1 비율로 시료들을 혼합하여 항산화능을 비교측정 한 결과에서도 열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시료들의 혼합물에서 보다 높은 수치의 항산화 효능이 나타나 핸드·네일 화장품 제조 및 품질평가를 위해 열수추출법을 채택하게 되었다. 핸드·네일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 2가지 종류의 기성화장품과 2가지 화장품을 1:1 비율로 혼합한 화장품을 포함하여 총 3가지 종류의 화장품을 대조군으로 준비하였고, 비교군으로는 본 연구를 통해 제조한 총 18종의 핸드·네일 화장품을 준비하여 30명을 대상으로 피부측정을 통한 간이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간이 임상시험 결과 핸드전용 화장품은 5%로 혼합물을 첨가한 샘플(HCABS5)에서 가장 우수한 피부개선 효과가 나타났고, 네일전용 화장품 또한 5%의 혼합물이 첨가된 샘플(NCABS5)에서 우수한 피부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핸드·네일전용 화장품의 경우에서는 2.5%로 혼합물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피부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핸드전용 화장품, 네일전용 화장품은 각각 5% 혼합물 첨가 비율을 적용하였고, 핸드·네일 화장품은 2.5% 혼합물 첨가 비율을 적용하여 총 3가지 종류의 항산화능이 우수한 핸드·네일 화장품을 제조하여 30명을 대상으로 화장품 1회 도포 후 6가지 항목(점도, 발림성, 보습력, 편리성, 피부개선효과, 구매의사)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통해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점도(viscosity)는 3.97±0.76으로 네일전용 화장품이 높은 수치를 보였고, 발림성(spreadability)은 4.10±0.66으로 핸드전용 화장품이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보습력(moisturize)은 4.43±0.50으로 네일전용 화장품이 높았으며, 편리성(convenience)은 4.47±0.51로 핸드전용 화장품이 높은 수치를 보이며, 피부개선효과(skin improvement effect)는 4.47±0.51로 핸드·네일전용 화장품이 높은 수치를 보였고, 구매의사(purchase intension)는 4.60±0.50으로 네일전용 화장품이 높은 수치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항산화능이 우수한 천연소재 알로에 베라, 맥주 효모 및 실크 펩타이드 혼합물은 적용 부위에 따른 피부개선 효과가 우수함이 증명되었으므로 다양한 방법에 의한 핸드·네일 화장품 소재로서 연구 개발 가능성이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se Aloe vera L., brewer's yeast, and silk peptide extracts, which are known to have excellent antioxidant efficacy, to manufacture hand/nail cosmetics that are safe to human body and quality evaluation of such cosmetics. Prior to manufacturing the hand/nail cosmetics, samples were extracted by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ion method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tracts from hot water extraction had superio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ose from ethanol extraction. In the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after mixing the samples at a ratio of 1:1:1 for each extraction solvent (ethanol and distilled water), the samples extracted by hot water extraction had superio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e samples extracted by ethanol extraction. Accordingly, hot water extraction method was selected for manufacturing of hand/nail cosmetics and quality evaluation. To manufacture the hand/nail cosmetics, a total of three types of cosmetics (two types of commercial cosmetics and one type of cosmetic with two cosmetics mixed at a 1:1 ratio) were prepared as the control group. Meanwhile, a total of 18 types of hand/nail cosmetics manufactured through the this study were prepared as the comparison group. The samples were used to conduct a simplified clinical trial involving skin measurements of 30 participants. The simplified clinical trial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hand only cosmetics, the sample containing 5% mixture (HCABS5) showed the best skin improvement effect. Among the nail only cosmetics, the sample containing 5% mixture (NCABS5) showed the best skin improvement effect. Among the hand/nail cosmetics, the sample containing 2.5% mixture showed the best skin improvement effect. Accordingly, three types of hand/nail cosmetics (hand only cosmetic containing 5% mixture, nail only cosmetic containing 5% mixture, and hand/nail cosmetic containing 2.5% mixture) with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were prepared. The samples were applied once to 30 participants, after which, qua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by a questionnaire survey consisting of six categories (viscosity, plaster, moisturize, convenience, skin improvement, and purchase intension). In the results, the nail only cosmetic showed the highest viscosity score of 3.97±0.76; hand only cosmetic showed the highest plaster score of 4.10±0.66; nail only cosmetic showed the highest moisturize score of 4.43±0.50; hand only cosmetic showed the highest convenience score of 4.47±0.51; hand/nail cosmetic showed the highest skin improvement score of 4.47±0.51; and nail only cosmetic showed the highest purchase intension score of 4.60±0.50. In conclusion, the findings in th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mixture of Aloe vera L., brewer's yeast, and silk peptide, which are natural ingredients with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ies, has excellent skin improvement effect depending where it is applied. Therefore, potential for use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and/nail cosmetic material by various methods is expected.

      • 홀리바질(Octimum Sanctum L.) 추출물의 스트레스 개선 효과에 대한 동물실험 및 인체적용시험

        김민정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스트레스란 인체의 비특이적 반응으로 외부의 자극이나 변화에 대해 인체의 적응이 원활하지 못한 부적응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인간의 여러 체계에 장·단기적 장애를 유발하는데, 불면증이 이러한 스트레스 장애의 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수면장애는 일생동안 어떤 형태로든 경험하게 되며 수면유도제나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등의 수면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수면제 의존과 내성의 부작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대체 식·의약품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홀리바질(Octimum Sanctum L.)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인도 전통의학인 아유르베다(ayurveda)에서도 다양한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었다. 홀리바질은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1980년대부터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어져 왔으며, 홀리바질 추출물 (Octimum Sanctum extract, OSE)에서 구조적으로 특성화 된 여러 화합물이 항 스트레스 활성을 갖는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그 효능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홀리바질 추출물의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속 스트레스와 수면 장애가 유발된 랫트 모델로 항 불안, 항 스트레스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체적용 시험을 통해 홀리바질 추출물의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평가하였다. 랫트를 대상으로 구속 스트레스 모델을 유도한 후 3 가지 행동 테스트를 수행하고 혈중 코티졸 농도를 측정하였다. 고가십자미로 실험에서는 개방통로에서 가장 오래 머무른 OSE 200 mg/kg 투여군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꼬리 매달기 실험 및 강제 수영 테스트에서 OSE는 부동시간(immobility time, ImT)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또한 혈장 코티졸 농도를 감소시켰다. 스트레스 개선에 미치는 OSE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건강한 성인 74명(시험군 38명, 대조군 36명)을 대상으로 8주간,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으로 인체적용시험을 시행하였다. 시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배정하여 각각 매일 OSE 또는 결정셀룰로스로 제조된 정제를 8주간 복용하였다. 1차 유효성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스트레스 반응의 변화는 시험군에서 4주 및 8주에서 대조군에 비해 스트레스 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우울증상 정도 및 불안증상 정도의 감소량에서도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차 유효성 평가인 심박변이수의 변화 또한 대조군에 비하여 시험군에서 유효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고려해 볼 때, 홀리바질은 스트레스 및 수면 개선에 효과적이었으며, 더 많은 연구 대상과 더 긴 기간의 향후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Stress is an emerging and inevitable entity. Stress causes anxiety, depression, imbalance of homeostasis, hormone imbalance, and sleep disturbanc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onset of metabolic syndro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Ocimum sanctum extract (OSE) on anti-anxiety, anti-stress, and control of physiological changes due to sleep disturbance in a rat model with restraint stress and sleep disorder induced. After inducing the rat model with restraint stress, three behavioral tests were performed and blood cortisol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In Elevated plus maze test, the test substance OSE at dose of 200 mg/kg showed the best effect in increasing time that stayed on the open arms. In tail suspension test (TST) and forced swimming test (FST), OSE significantly reduced immobility duration time (IMT). OSE also decreased plasma cortisol concentration. In the model after inducing sleep disturbance OSE treatment decreased plasma cortisol and norepineprine concentrations in the rat model with sleep disorders induced. Decreases of melatonin levels in the plasma of the rat model with sleep disorders induced were increased by OSE treatment. The clinical trial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ly basil extracts. This study was a 8-weeks, double blind, comparative clinical trial. The experimental groups had taken OSE for 8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had taken placebo in an identical manner. The primary outcome measure was Korean version of Stress Response Inventory(SRI), Korean-Beck Depression Inventory-Ⅱ(K-BDI-Ⅱ), Korean-Beck Anxiety Inventory(K-BAI) of which reliability was approved in a previous study. The Secondary outcome measure was PSQI, HRV, Cortisol, ACTH of which reliability was approved in a previous study. 74 recruited subjects were randomized into OSE group (n=38) and placebo group (n=36). Although both groups showed improved stress after 4 and 8-week study, no significant dif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