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죽음준비교육이 중년여성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생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김정림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발달주기 중 자녀독립에 따른 부모역할이 감소되어가는 위기 상황과 인생의 유한성에 직면하여 새로운 환경에 재적응이 요구되는 중요한 전환점에 있는 중년기의 여성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을 시행하여, 죽음에 대한 태도와 생의 의미의 긍정적 확립을 통해 변화된 역할을 수용하여 새로운 삶의 의미를 추구하도록 돕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부산광역시에 있는 일개 암센터에서 모집한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실험군 20명, 대조군 20명을 편의 추출하였다. 죽음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는 Collett & Lester(1969)가 제작한 FODS(Fear Of Death scale)를 심민경(2001)이 수정․보완 한 20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생의 의미 측정도구는 최순옥, 김숙남, 신경일, 이정지(2005)가 개발한 46문항의 생의 의미(Meaning of Life scale: MIL) 척도를 이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사전조사의 자료수집 기간은 일반적 특성과 죽음에 대한 태도, 생의 의미에 대하여 대조군 20명을 2013년 5월 9일, 실험군 20명은 죽음준비교육 첫날인 2012년 5월 24일에 실시하였다. 실험처치인 죽음준비교육은 연구자가 선행연구와 문헌을 중심으로 초기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간호학교수 2인, 심리학 교수 1인, 그리고 철학 교수 1인의 내용 자문을 구한 후 20시간의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여 주 2회, 2시간씩 총 5주간 10회의 강의와 토론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사후조사의 자료수집 기간은 일반적 특성과 죽음에 대한 태도, 생의 의미에 대하여 대조군 20명을 사전조사와 2주 간격을 두고 2012년 5월 23일, 실험군 20명은 죽음준비교육 10회를 끝마친 2012년 6월 27일에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구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과 실험 전 종속변수의 동질성 검정은 χ2-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처치 후 가설검정은 독립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가설인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은 참여하지 않은 중년여성보다 죽음에 대한 태도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실험 처치 후 실험군이 평균 37.70점, 대조군이 평균 56.35점으로 실험군의 죽음에 대한 태도 점수가 대조군보다 낮았고, 실험 전․후 차이가 실험군이 평균 16.35점으로 실험 후 죽음의 태도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t=-9.784, p<.001). 제 2가설인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은 참여하지 않은 중년여성보다 생의 의미에 대한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실험 처치 후 실험군이 평균 127.00점, 대조군이 평균 129.45점으로 실험군의 생의 의미 점수가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실험 전․후 차이가 실험군이 평균 -20.85점으로 실험 후 생의 의미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t=4.699, p<.001).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적용한 죽음준비교육은 중년여성에게 자신의 인생회고, 죽음의 의미, 존엄한 죽음, 상실의 치유, 죽음준비, 삶의 의미 찾기, 미래 삶에 대한 준비에 관한 강의와 토론은 중년여성에게 긍정적 죽음에 대한 인식을 통해 삶에 대한 목적을 재발견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 상호목표설정 간호중재가 복부수술환자의 기능회복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

        박순덕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a quasi-experiment, this study, which is based on King's goal attainment theory, tests differences in functional recovery and the degree of pain after abdominal surgery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mutual goal setting nursing intervention and a control group, receiving only routine nursing intervention. So the aim of the study is helping patients' functional recovery and reducing the degree of pain as patients participate in their postoperative recovery in an active way and achieve their goals through patients and nurses inter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7 patients hospitalized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of S general hospital in M city from September 15, 2003 to December 23, 2003.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sisted of 13 and 14 respectively. To measure postoperative recovery and the level of patients' pa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mutual goal setting nursing intervention five time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patients and nurses from the day before operation to the forth day after operation. The control group, however, received only routine nursing intervention. As recovery indicators, mobility and bowel function recovery were taken. As mobility recovery indicators, the first sitting-up, standing and walking time were measured. Also, as indicators for bowel function recovery, the first carminative, excrementitious and drinking time were measured. In addition, FVC(Forced Vital Capacity) and FEV1(Forced Expiratory Ventilation in One Second) were measured by using Microplus Spirometer MS03(2000) and the level of pain by VAS(Visual Analog Scale) and GRS(Graphic Rating Scale). For the data analysis, SPSS/WIN 10.0 Program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chi-square and Repeated measures of ANOVA.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Hypothesis 1 : ‘Recovery will be faster in abdominal surgery patients who receive the mutual goal setting nursing intervention than those who receive only routine nursing intervention.' 1) Hypothesis 1-1 : ‘Mobility recovery will be fas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than the control group patients.' This was partly prov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rst sitting-up time and standing time after opera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 statistics. However, in terms of the first walking time checked, the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tatistically faster(t=2.149, p=.042). 2) Hypothesis 1-2 : ‘Bowel function recovery will be fas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other group.' This hypothesis was partly supported. In terms of the first postoperative carminative time,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were significantly faster than the other group patients(t=2.314, p=.029). And the same result was drawn in the first excrementitious time(t=2.314, p=.006). However, in the first drinking time showed the experimental group tendency that it is faster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3) Hypothesis 1-3 : ‘FVC of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 patients according to the time passed after operation'. It was 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two groups and as time passed, FVC show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F=2.667, p=.000). Als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found according the time passed(F=2.667, p=.037). 4) Hypothesis 1-4 : ‘FEV1 of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 patients.' The hypothesis has been rejected. The two groups were not different in statistics and as time passed, meaningful difference in FEV1 was seen(F=60.587, p=.000).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s and the time passed has not been found. 2. Hypothesis 2 : ' The pain of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will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atients according to the time passed.' This hypothesis has been rejected. The two groups had meaningful difference in statistics (F=5.887, p=.023) and as time passed, the degree of patients' pain was statistically diffenent(F=76.604, p=.000) but no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s and the time measured was found. As shown in the results of testing above, the mutual goal setting nursing intervention performed on abdominal surgery patients shortens patients' recovery period and reduces their pain. So my suggestion is that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mutual goal setting nursing intervention, repeated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more subjects and in various situations.

      • 호스피스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

        박양은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말기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 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조사하여 호스피스 간호사의 영적안녕 증진과 긍정적인 죽음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9년 11월 15일부터 2010년 1월 15일까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남도 및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11개의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서 호스피스 간호사 271명을 편의표집 하여 연구자가 직접 대상 병원을 방문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영적안녕은 Paloutzian과 Ellision(1982)이 개발한 영적안녕 척도를 최상순(1990)이 번안하여 강정호(1996)가 수정・보완한 20문항의 4점 척도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죽음에 대한 태도는 Thorson과 Powell(1988)이 개발한 Death Orientation 측정도구를 박석춘(1992)이 보완한 25문항의 4점 척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efficient 및 Cronbach's alph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대상자의 영적안녕 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56점이었으며, 영역별로는 종교적 영적안녕 정도는 2.60점, 실존적 영적안녕 정도는 2.51점이었다.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77점이었다. • 제 특성에 따른 영적안녕 정도는 연령(F=5.496, p=.005), 결혼상태 (t=2.125, p=.035), 학력(F=6.734, p=.001), 종교(F=18.620, p<.001), 종교 참여도(F=18.957, p<.001), 신앙비중(F=22.674, p<.001), 삶의 만족도(F=5.625, p=.004), 경력(F5.014=, p=.002) 그리고 내세에 대한 생각(t=-2.963, p=.003)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는 종교(F=4.145, p=.007), 종교 참여도(F=3.631, p=.028), 신앙비중(F=3.564, p=.015) 그리고 삶의 만족도(F=3.329, p=.037)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 대상자의 영적안녕 정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의 관계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의 표집과정에서 일부 지역의 호스피스 간호사를 편의 표집하여 이루어진 연구로써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을 갖는다. 그러나 말기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 간호사의 영적안녕 증진과 긍정적인 죽음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갖는다. 주제어 : 호스피스 간호사, 영적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promote spiritual well-being of hospice nurses caring terminally ill patients and to form a positive attitude to death by investigating spiritual well-being and attitude to death of the nurses and determining their correlation.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5 November 2009 to 15 January 2010, and 271 hospice nurses were randomly recruited from 11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Busan, Daegu, Gyeongnam and Daejon. The researcher directly visited them for interview. Spiritual well-being of the subjects was evaluated by using a 4-point scale with 20 questions developed by Paloutzian & Ellision(1982), adapted by Choi, Sang-soon(1990)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ang, Jung-ho(1996), and their attitude to death was done with a 4-point Death Orientation Scale with 25 questions developed by Thorson & Powell(1988) and supplemented by Park, Seok-choon(199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test, Pearson's coefficient and Cronbach's alpha by using SPSS/WI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degree of spiritual well-being of the subjects was averagely 2.57 out of 4 points and religious an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recorded 2.62 and 2.52 points, respectively. Attitude to death was averagely 2.77 out of 4 points. • When the degree of spiritual well-being was examin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different by age (F=5.496, p=.005), marital status (t=2.125, p=.035), educational background (F=6.734, p=.001), religion (F=18.620, p<.001), participation in religion (F=18.957, p<.001), importance of religion (F=22.674, p<.001), satisfaction of life (F=5.625, p=.004), career (F5.014=, p=.002) and thought on afterlife (t=-2.963, p=.003). Attitude to death was observed to be different by religion (F=4.145, p=.007), participation in religion(F=3.631, p=.028), importance of religion (F=3.564, p=.015) and satisfaction of life (F=3.329, p=.037). •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piritual well-being and the attitude to death. As this study randomly recruited hospice nurses in some regions for sampling, it has a limitation on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basic data to enhance spiritual well-being of hospice nurses caring terminally ill patients and to form a positive attitude to death. Key words : Hospice nurses, Spiritual well-being, Attitude to death

      •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감성지능,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구

        성지영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identify the level of the nurse’s end-of-life care str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e and confirm the relationship.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23, 2017 to October 31, 2017 for 209 nurses who have been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in B Metropolitan city for more than six months and have experience of end-of-life nursing. The research tool was developed by Wong and Law[9] developed by Lee[5] and developed by Lim[42] and Block and Kremen[16] developed by Jeong[24] Was used to measure the ego resilienc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33, married status was ‘unmarried' 63%, ‘no religion' was 53.4%, and the current state of health was ‘healthy' with 53.4%. Educational background was ‘Graduated college' and 42.8%, ’College graduation' was 44.7%. Clinical career was average 9.93 years, the general nurse job was 65.9%, and job satisfaction was the most common 49%. All subjects had experience of end-of-life nursing care, and 77.9% of those who experienced family or acquaintance dying were found. 2. The total average of the nursing stress for the subject was 3.71 points out of 5 points. Among the sub-domains, ‘overload' was the highest at 3.95 and ‘burden for the end-patient nursing' was 3.26 Respectively. 3. The total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ubject was 4.78 points out of 7 points. Among the sub-domains, ‘emotional understanding of others' was the highest with 5.01 points and ‘emotional use' was lowest with 4.38 points. 4. The average ego-resilience of the subjects was 2.69 out of 4 points. 5. The severity of nursing str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age (t=3.51, p=.032), presence of religion (t=-2.20, p=.029), work place (t=9.56, p<.001), The degree of dying performance (t=2.41, p=.017),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dying of family members and friends (t=2.25, p=.026). 6. The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marital status (t=-2.56, p=.011), religion (t=-3.74, p<.001), academic ability (F=4.50, p=.012), Work place (F=3.81, p=.011), job title (F=4.61, p=.011), and job satisfaction(F=16.99,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7. Ego resili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marital status (t=-2.50, p=.011), religion (t=-3.74, p<.001), rehabilitation level (F=6.88, p<.001), And job satisfaction (F=13.61, p<.001). 8.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rse’s end-of-life care str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e. The end-of-life care stress was not correlated with ego-resilience (r=.126, p=.035), indicating that there is a weak static corre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e (r=.344,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rationale fo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nd-of-life care stress and the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severe or terminal cancer based on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for prevention and reduction of end-of-life care stress. It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data.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감성지능, 자아탄력성의 수준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B광역시에 소재한 종합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임종간호 수행경험이 있는 간호사 209명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 23일부터 10월 31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Lee[5]가 개발한 임종간호 스트레스 측정도구, Wong과 Law[10]가 개발하고 Lim[29]이 번역하여 사용한 감성지능 측정도구, Block과 Kremen[20]이 개발하고 Jeong[30]이 번역하여 사용한 자아탄력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test, One-way ANOVA, Scheffé‘s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3세, 결혼 상태는 ‘미혼’이 63%, ‘종교는 ‘없다’가 53.4%였고, 현재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건강하다’가 53.4%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전문대학 졸업’이 42.8%, ‘대학교 졸업’이 44.7%로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고, 임상경력은 평균 9.93년, 근무지는 ‘기타’가 32.2%로 가장 많았고, ‘중환자 집중치료실’ 27.4%, ‘내과’ 26.9%, ‘외과’ 13.5%, 순으로 나타났다. 현 근무지 경력은 ‘3년 미만’이 51.9%,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65.9%, 직무만족도는 ‘보통’이 49%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는 모두 임종간호 수행경험이 있으며 ‘월 1회 이상’이 51.9%를 차지하였고, 환자의 죽음을 경험한 첫 임상경력은 ‘3개월 미만’에서 34.1%로 가장 많았으며, 가족과 지인의 임종을 경험한 대상자는 77.9%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총 평균은 5점 만점에 3.71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중 ‘업무량 과중’이 3.95점으로 가장 높았고, ‘임종환자 간호에 대한 부담감’이 3.26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3. 대상자의 감성지능 총 평균은 7점 만점에 4.78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중 ‘타인의 감성이해’가 5.01점으로 가장 높았고, ‘감성의 활용’이 4.38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자아탄력성 평균은 4점 만점에 2.69점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는 연령(t=3.51, p=.032), 종교의 유무(t=-2.20, p=.029), 근무지(F=9.56, p<.001), 임종수행 정도(t=2.41, p=.017), 가족과 지인의 임종경험 유무(t=2.25, p=.02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결과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연령에서 40세 이상(3.87점)이, 종교여부에서는 ‘없다’(3.79점)가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지에 따라 내과병동(3.83점), 기타병동(3.82점), 외과병동(3.80점), 중환자 집중치료실(3.44점)로 이는 중환자 집중치료실 간호사 보다는 내과병동, 외과병동, 기타병동 간호사가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임종간호 수행정도에서는 ‘월 1회 이상’(3.79점), ‘년 1회 이상’(3.63점) 순으로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과 지인의 임종경험 ‘있다’(3.73점), ‘없다’(3.66점)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성지능은 결혼상태(t=-2.56, p=.011), 종교(t=-3.74, p<.001), 학력(F=4.50, p=.012), 근무지(F=3.81, p=.011), 직위(F=4.61, p=.011), 직무만족도(F=16.99,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사후검정결과 감성지능은 결혼 상태에서 기혼이(4.96점), 종교여부에서는 ‘없다’(4.99점)가 감성지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 대학원이상(5.12점), 대학교 졸업(4.83점), 전문대학 졸업(4.64점)의 순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감성지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근무지에서는 외과병동(4.42점)보다는 내과병동(4.99점)이 직위에서는 일반간호사(4.68점)보다는 수간호사(5.09점)가, 직무만족도에서는 불만족(4.33점)보다는 만족(5.12점)과 보통(4.60점)이 감성지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은 결혼상태(t=-2.50, p=.011), 종교(t=-3.74, p<.001), 재 건강수준(F=6.88, p<.001), 직무만족도(F=13.61,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사후검정결과 자아탄력성은 결혼 상태에서 기혼이(4.96점), 종교여부에서는 ‘없다’(4.99점)가 자아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 건강수준에 따라 매우건강하다(2.84점), 건강하다(2.74점), 보통이다(2.56점)로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건강할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무만족도에서는 불만족(2.48점)보다는 만족(2.82점)과 보통(2.61점)이 자아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 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감성지능, 자아탄력성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한 결과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감성지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126, p=.03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감성지능과 자아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344,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 볼 때 중환자 집중치료실 이외의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환자 집중치료실이 내과병동, 외과병동, 기타병동보다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낮은 것은 중환자 집중치료실의 특성상 응급상황이나 예상치 못한 상황 발생 시 즉각 대처할 수 있는데 반해 일반병동에서는 다소 제약이 있고, 일반병동에서는 중환자 집중치료실과는 달리 보호자가 상주할 수 있어서 보호자에게 받는 스트레스가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임종간호 스트레스 측정도구[5]의 세부내용 중 ‘임종환자나 보호자가 의료진을 원망할 때’, ‘임종환자가 자신의 상태를 부정하며 화를 낼 때’, ‘임종선언 후 보호자가 죽음을 수용하지 않을 때’, ‘가족들이 환자에게 무관심한 태도를 보일 때’와 같이 환자나 보호자로부터 올 수 있는 스트레스가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최근 대다수 병원에서 시행중인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의 확대, 무분별한 보호자 면회 제한 같은 시스템의 개선과 일반인들의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관련한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고, 중증환자나 말기 암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종간호 스트레스 예방 및 경감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라미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임종 환자 돌봄 경험이 있는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 태도와 영성, 고통 경험 및 상실에 대한 정서표현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품위 있는 죽음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자료수집은 B광역시 간호사 중 임상경력 6개월 이상의 임종 돌봄 경험이 있는 간호사 198명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27일부터 2021년 11월 24일까지 이루어졌고, 그 중 182명의 통계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는 Jo[27]가 개발한 품위 있는 죽음 태도 측정 도구를 수정·보완한 측정 도구, Park[25]이 개발한 영성측정 도구를, Jo[11]가 개발한 고통 경험 도구를 수정·보완한 측정도구, Kring등[33]이 개발한 정서 표현성 척도(Emotional Expressive Scale)를 Im[34]이 수정·보완한 상실에 대한 정서표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을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상자의 품위 있는 죽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 회귀 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의 경우 30-39세가 40.1%로 가장 많았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64.8%로 기혼자보다 많았으며, 종교가 없는 대상자가 54.4%로 나타났다. 학력은 4년제 대학 졸업이 70.3%로 가장 많았으며, 총 임상경력은 5년-9년이 35.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무 부서는 호스피스가 34.1%로 가장 많았으며, 임종 관련 간호교육 경험은 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70.3%로 높게 나타났다. 임상기간 동안 임종 돌봄 횟수는 30회이상으로 답한 응답자가 47.8%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품위 있는 죽음 태도는 4점만점에 평균 3.15±0.40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으로 자율적 의사결정 유지 3.27±0.48점, 역할보존 3.16±0.45점, 정서적 안위 유지 3.15±0.43 점, 사회적 관계정리 3.11±0.46점, 고통 없음 3.06±0.63점 순으로 나타났다. 영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51±0.34점이었으며 하위영역 별 평균으로는 수평적 영성 3.62±0.47점, 수직적 영성 3.44±0.36점 순이었다. 고통경험은 4점 만점에 평균 2.90±0.30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은 가족과의 공감대 형성 3.29±0.41점, 가치관의 변화 2.98±0.45점, 자기의식 확대 2.94±0.37점, 영적 승화 2.85±0.54점, 무력감 2.80±0.60점, 전문직에 대한 도전 2.61±0.51점, 죽음 거부 2.27±0.54점 순이었다. 상실에 대한 정서표현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16±0.50점 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품위 있는 죽음 태도에 대한 차이는 연령(F=10.73, p<.001), 결혼상태(t=-2.41, p=.017), 임상경력(F=6.40, p=.002), 근무 부서(F= 2.40, p=.039), 임상 기간 동안 임종돌봄 횟수(t=-4.08 ,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종교, 최종학력, 임종간호 교육경험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에 대한 Scheffé 사후검정 결과 40세 이상 그룹이 다른 연령 그룹에 비해 품위 있는 죽음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임상경력 10년 이상 그룹이 임상경험 10년미만 그룹에 비해 품위 있는 죽음 태도 점수가 높았다. 임상기간 동안 임종 돌봄 횟수의 경우 30회 이상의 그룹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 영성, 고통경험 및 상살에 대한 정서표현 정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품위 있는 죽음 태도는 영성(r=.38 p=<.001), 고통 경험(r=.46, p=<.001), 상실에 대한 정서표현(r=.22, p=.003)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품위 있는 죽음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고통경험(β=.31, p<.001), 연령(β=.23, p<.001), 임종 돌봄 횟수(β=.20, p=.001), 영성(β=.18, p=.009)이 있었으며 이들 변수는 품위 있는 죽음 태도를 33.7% 설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간호사의 영성, 고통 경험 정도, 상실에 대한 정서표현이 품위 있는 죽음 태도 간에 서로 상관이 있었으며, 간호사의 영성, 고통 경험 정도가 품위 있는 죽음 태도 배양을 위한 중요한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반으로 임종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의 영성과 고통 경험을 이해하고 품위 있는 죽음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안 모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암환자가족의 돌봄부담 영향요인

        강경순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Purpose: This research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burden of care on family members of cancer patient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254 family members of cancer patients who were under treatment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B city from Nov. 12, 2013 to Dec. 12, 2013. CRA-K (Caregiver Reaction Assessment-Korean Version; Lee Young-Seon, 2009a)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o measure the care burden perceived by family members of cancer patients. The Self-Esteem Scale (RSES; Jeon Byeong-Jae, 1974) and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Shin Jun-Seob, Lee Yeong-Bun, 1999) were also employed to measure the level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respectivel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including analysis of real numbers,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 total of 254 family members of cancer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described the largest percentage of participants: aged in the 50s (75 people, 29.5%), spouse of the patient (110 people, 43.3%), having no job (137 people, 53.9%), spent less than 5 hours per day for patient care (110 people, 43.3%), middle class infinancial status (166 people, 65.4%), having nobody to rotate with for care (142 people, 55.9%), mid-level economic burden (125 people, 49.2%), caring for patients with quite severe cancer (136 people, 53.5%), and caring for patients with high difficulty performing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118 people, 46.5%). The care burden on family members of cancer patients scored 1.88 points out of 4, while self-esteem scored 3.51 out of 5. Social support was at moderate levels, with a score of 3.28 out of 5.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care burde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f family members of cancer patients revealed that care burde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r=-.229, p<.001) and social support (r=-.285, p<.001), while self-esteem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r=.433, p<.001). The level of ability of the patients to perform daily activities, hours of patient care, financial status and social support were all identifi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as factors affecting the burden on family members of cancer patients. These factors accounted for 22.7% of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of caring for the cancer patients. Conclusion: Further causal relation studies, qualitative studies, and intervention studies are required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the burden of care on family members to reduce the burden, as well as to provide tools for the development of a nursing service to relieve the burden on families of cancer patients. Key words: Cancer, Family, Self-concept, Social support 본 연구는 암환자가족을 대상으로 돌봄부담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로 연구대상자는 B시에 소재한 1개 종합병원에서 치료중인 암환자가족 254명을 대상으로 2013년 11월 12일부터 12월 12일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암환자가족이 지각하는 돌봄부담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형 돌봄 부담 측정 도구 CRA-K(Caregiver Reaction Assessment-Korean Version)(이영선, 2009a)를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Self-Esteem Scale(RSES)(전병재, 1974)을 사용하였으며, 사회적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Multide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MSPSS)(신준섭, 이영분 1999)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 상관계수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암환자가족의 일반적인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암환자가족은 총 254명으로 연령은 50대가 75명(29.5%), 환자와의 관계는 배우자가 110명(43.3%), 직업은 없다가 137명(53.9%), 암환자를 돌보는 시간은 매일 5시간미만이 110명(43.3%), 경제 상태는 보통이다가 166명(65.4%), 교대자는 없다가 142명(55.9%), 경제적 어려움은 보통이다가 125명(49.2%), 암으로 인한 심각성을 묻는 질문에는 많이 심각하다가 136명(53.5%), 암환자의 일상생활 수행정도는 많이 어렵다가 118명(46.5%)으로 가장 많았다. 2) 암환자가족의 돌봄부담,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정도 암환자가족의 돌봄부담은 4점 만점에 1.88점이었고, 자아존중감은 5점 만점에 3.51점이었으며, 사회적지지는 5점 만점에 3.28점으로 중간수준이었다. 3) 암환자가족의 돌봄부담,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지지간의 상관관계 암환자가족의 돌봄부담,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간의 상관관계는 돌봄부담은 자아존중감(r=-.229, p<.001), 사회적지지(r=-.285, 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r=.433, p<.001)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암환자가족의 돌봄부담 영향요인 암환자가족의 돌봄부담 영향요인으로 암환자의 일상생활 수행정도, 환자를 돌보는 시간, 경제상태, 사회적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요인들이 암환자가족의 돌봄부담을 22.7% 설명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암환자가족의 돌봄부담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인과적 관계연구, 질적연구, 돌봄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연구 및 간호실무에서 암환자가족 돌봄부담을 사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을 제언한다. 주제어 : 암, 가족,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과 임종간호태도

        김수언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완화간호에 대한 지식과 임종간호태도를 확인함으로써 학부과정에서 호스피스·완화간호의 체계적 교육을 도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B광역시에 소재한 4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 중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3, 4학년 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2013년 11월 1일에서 11월 30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Ross 등(1996)이 개발한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와 Frommelt(1991)가 개발한 Frommelt Attitude Toward Care of The Dying로, 자료 분석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및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92.4%이고, 학년은 3학년이 70.3%이였다. 51.7%가 종교가 없다고 응답하였고, 호스피스 교과목 개설유무에서는 61.4%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호스피스 교육시간은 2학점 이상이 24.8%이고, 학점없음이 61.4%으로 응답하였다. 호스피스 정보는 학교에서(책 또는 교과과정)가 6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호스피스의 필요성에 대해 ‘반드시 필요하다’가 48.3%로 응답하였고 ‘필요하다’가 51.7%로 응답하였다. 호스피스제도 도입이 활발하지 않는 이유로는 병원의 경제성(타산이 맞지 않으므로)이 51.7%로 가장 많았으며 호스피스·완화의료 운영 찬성여부는 찬성이 99.3%였고, 호스피스 찬성이유로는 통증 및 증상을 관리해 주니까가 88.2%로 가장 많았다. 임종경험 유무에서는 임종경험이 없다가 75.9%, 호스피스 받을 의향은 95.9%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2)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의 평점은 0.52점이었다. 3개 하위 영역별 지식의 평균을 살펴보면, 통증 및 증상관리영역의 문항은 0.56점이었고, 철학과 원칙영역의 문항은 0.37점, 심리사회영역의 문항은 0.54점이었다. 3)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 평점은 3.74점이었다. 2개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개인에 대한 태도영역은 3.59점이었고, 가족 구성원에 대한 태도영역은 4.15점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은 호스피스 교육시간(F=4.56, p=.012)과 호스피스 필요성(t=2.88, p=.05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는 학년(t=-3.64, p<.001), 호스피스 필요성(t=4.95, p<.001), 임종경험(t=3.18,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과 임종간호태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은 임종간호태도(r= .287, p<.001)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간호교육과정에 호스피스․완화간호 이론과 실습을 정규교과목으로 마련하여 미래의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의 말기 돌봄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삶과 죽음에 대한 가치관과 임종환자를 돌보는 건전한 태도를 형성하는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어 : 간호대학생, 호스피스, 완화간호, 지식, 임종간호, 태도

      •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과 가족탄력성과의 관계

        조미영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are burden and family resilience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variables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The participants were 120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including the family caregivers of outpatients with cancer who visited the hemato-oncology outpatient clinics of two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P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and the family caregivers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cancer in internal medicine wards at the same hospitals. The participants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from November 29 to December 10, 2018. Data from 115 participants were finally analyzed. In this study, care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was measured using the Caregiver Reaction Assessment (CRA-K). This tool was originally developed by Given et al. [71] with the aim of assessing the care experience of care providers of patients with physical and mental illness and was translated into Korean by Lee [5]. Family resilience was measured using a tool for quantifying family resilience tha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studies by Kim [15], Jung [26] and Wang [27]; used in a study by Park [28];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t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for use in this study. Its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two nursing professors and three nurses working in cancer ward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WIN 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50.5 years, with participants 40 years or younger being the most common (n=35, 30.4%), followed by those aged 61 years or older (n=33, 28.7%), and those aged 51-60 years (n=26, 22.6%). By gender, there were 39 men (33.9%) and 76 women (66.1%). In terms of religion, 91 (79.1%) had a religion and 24(20.9%) had no religion. Concerning the relationship with patients,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63 (54.8%) were patients’ children, followed by patients’ spouses (n=44,38.2%). The average number of caregivers was 2.37, followed by 2 caregivers (n=36, 31.3%), 3 caregivers (n=34, 29.6%) and 1 caregiver (n=29, 25.2%). In terms of health expenditure, patients most frequently reported bearing these expenses (41, 35.7%), followed by children (n=39, 33.9%), and spouses (n=32, 27.8%). 2. The mean score for the level of caregiver burden was 2.67 out of 5 points. By subdomain, the scores for change in life pattern, physical burden, economic burden, and lack of family cooperation were 3.18, 2.72, 2.59, and 2.17 points, respectively. 3. The mean score for the level of family resilience was 3.60 out of 5 points. By subdomain, the scores for family cohesion, family strengths, communication, coping strategies, social support, and family resources were 3.79, 3.75, 3.74, 3.56,3.55, and 3.26 points, respectively. 4.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care burden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 burden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regivers (F=6.24 p=.001). 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resili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regivers (F=5.71, p=.001) and average monthly medical expenses (F=3.09, p=.011). 6.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are burden and family resilience among the participants (r=-0.65, p<.001).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family resilience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was related to care burden. Further, in order to alleviate care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in clinical settings,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ir level of family resilience and consider related interventions for them. 본 연구는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과 가족탄력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P광역시에 소재한 2개 종합병원의 혈액종양내과 외래를 찾은 암환자 가족과 내과병동에 입원한 암환자 가족 12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29일부터 12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15명을 최종자료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을 측정하는 도구는 한국형 돌봄 경험평가도구(Caregiver Reaction Assessment-Korean Version: CRA-K)로 이는 Given 등[71]이 신체적, 정신적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를 돌보는 돌봄 제공자의 돌봄 경험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척도로 Lee[5]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가족탄력성을 측정하는 도구는 Kim[15], Jung[26], Wang[27]의 연구에서 수정·보완한 가족탄력성 도구를 Park[28]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암환자 가족에 맞게 수정·보완하였으며, 간호학 교수 2인과 암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3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50.5세이었고, 40세 이하 35명(30.4%), 61세 이 상 33명(28.7%), 51∼60세 26명(22.6%) 순이었으며, 성별은 남자 39명 (33.9%), 여자 76명(66.1%)이었다. 종교는 있음 91명(79.1%), 없음 24명(20.9%)이었고, 환자와의 관계는 자녀 63명(54.8%), 배우자 44명(38.2%) 순이었다. 간병인수는 평균 2.37명으로 2명 36명(31.3%), 3명 34명(29.6%), 1명이 29명(25.2%) 순이었고, 의료비 부담자는 환자본인 41명(35.7%), 자녀 39명(33.9%), 배우자 32명(27.8%)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돌봄 부담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은 2.67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생활패턴의 변화 3.18점, 신체적 부담 2.72점, 경제적부담 2.59점, 가족협조부족 2.17점이었다. 3. 대상자의 가족탄력성 정도는 5점 만점에 평점은 3.60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가족응집력 3.79점, 가족강점 3.75점, 의사소통 3.74점, 대처전략 3.56점, 사회적지지 3.55점, 가족자원 3.26점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 부담의 차이는 간병인수(F=6.24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탄력성의 차이는 간병인수(F=5.71, p=.001), 월 평균 의료비(F=3.09, p=.01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돌봄 부담, 가족탄력성간의 관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65, 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암환자 가족의 가족탄력성은 돌봄 부담에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제 임상에서 암환자가족의 돌봄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 가족탄력성의 사정과 중재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장준혁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for intensive care unit nurse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plan, moral sensitivity, attitude toward respect for self-de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role perception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role perception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participants were 152 nurses who are working for more than 6 months and experience of nursing to patient who have been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the intensive care unit at Dong-A University Hospital. The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October 17 to 21, 2022, and the final date used 148 statistical data for analysis excluding 4 missing response and unclear responded.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plan was measured using the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Plan Scale developed by Kim[36]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37]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Jung[38]. Moral sensi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e(MSQ) developed by Lutzen[22] and adapated into Korean by Han et al[39]. Attitude toward respect for self-de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measured using the Attitude Toward Respect for Self-De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Scale developed by Kim[25]. Role perception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measured using the Role Perception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Scale developed by Byun et al[30]. For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è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using the SPSS WIN 2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tensive care unit nurses mean score of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plan was 68.84±11.61 out of 100 points. The mean score of moral sensitivity was 4.96±0.50 out of 7 points. The mean score of attitude toward respect for self-de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4.18±0.45 out of 5 points. The mean score of role perception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4.12±0.45 out of 5 points. 2. The difference in role perception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CU career(F=3.17, p=.016), experience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t=-2.08, p=.039), position(t=-2.03, p=.044). 3. The role perception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oral sensitivity(r=.44, p<.001), attitude toward respect for self-de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r=.45, p<.001). 4. Influencing factors role perception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attitude toward respect for self-de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β=.37, p<.001), moral sensitivity(β=.36, p<.001), and these variables explained role perception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by 31.0%. In summary, this study confirmed that moral sensitivity and attitude toward respect for self-de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are factors that affect role perception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refore,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mprove moral sensitivity and the attitude toward respect for self-de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role perception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developing specific practical guidelines that can contribute to playing a professional role in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명의료계획서 지식, 도덕적 민감성, 연명의료 자기결정존중에 대한 태도,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부산광역시 소재의 D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 중환자실 경력이 6개월 이상이고 연명의료중단을 이행한 대상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 152명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17일부터 2022년 10월 2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그 중 응답 누락이 있거나 불분명한 4부를 제외한 148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는 김분한[36]이 개발한 연명의료중단 지식 측정도구를 김성복[37]이 수정·보완한 측정도구를 토대로 2017년부터 시행 중인 연명의료결정법을 반영하여 정유진[38]이 수정·보완한 연명의료계획서 지식 측정도구, Lutzen[22]이 개발한 도덕적 민감성 측정도구(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e. MSQ)를 한성숙 등[39]이 번안하고 수정·보완한 한국형 도덕적 민감성 측정도구(Korea-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e, K-MSQ), 김진희[25]가 개발한 연명의료 자기결정존중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 변은경 등[30]이 개발한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7.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è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명의료계획서 지식 정도는 100점 만점에 평균 68.84±11.61점으로 나타났다. 도덕적 민감성은 7점 만점에 평균 4.96±0.50점으로 나타났다. 연명의료 자기결정존중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18±0.45점으로 나타났다.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4.12±0.45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의 차이는 중환자실 경력(F=3.17, p=.016), 연명의료중단 경험(t=-2.08, p=.039), 직급(t=-2.03, p=.04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은 도덕적 민감성(r=.44, p<.001), 연명의료 자기결정존중에 대한 태도(r=.45,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연명의료 자기결정존중에 대한 태도(β=.37, p<.001), 도덕적 민감성(β=.36, p<.001)이었으며, 이들 변수는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을 31.0% 설명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 연명의료 자기결정존중에 대한 태도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반으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을 높이기 위해 도덕적 민감성, 연명의료 자기결정존중에 대한 태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실무에서 연명의료결정시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무지침 개발의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과 그릿(Grit)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강선영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공감역량과 그릿, 직무만족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의 300병상 이상의 3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 임상경력이 1년 이상이고 환자 간호를 직접 수행하는 간호사 1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4월 20일부터 2022년 5월 1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최종자료는 응답이 부실한 4부를 제외한 158명을 통켸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는 Lee[13]가 개발한 공감역량 측정 도구를 Lee & Seomun[14]이 수정․보완한 측정 도구, Park 등[34]이 개발한 그릿 측정 도구(Clinical Nurses Grit Scale: CN-GRIT), Lee 등[35]이 개발한 직무만족 측정 도구(Job Satisfaction Scale for Clinical Nurses; JSS-CN)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공감역량은 5점 만점에 평균 3.81±0.33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은 ‘민감성’ 4.02±0.37점, ‘소통력’ 3.80±0.40점, ‘통찰력’ 3.63±0.46점 순이었다. 그릿은 4점 만점에 평균 2.94±0.36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은 ‘간호 전문가 열정’ 3.11±0.35점, ‘환자 지향성 내적동기’ 3.04±0.43점, ‘장기목표달성’ 2.68±0.47점 순이었다. 직무만족은 5점 만점에 평균 3.63±0.47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은 ‘책임완수’ 3.93±0.52점, ‘전문적 역량발휘’ 3.89±0.64점, ‘존중 및 인간관계’ 3.60±0.50점, ‘직업의 안정성과 보람’ 3.59±0.55점, ‘인격적 성숙’ 3.51±0.73점, ‘조직차원 지원과 인정’ 3.23±0.62점 순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는 연령(F=4.87, p=.009), 결혼상태(t=-2.85, p=.005), 종교(t=-3.16, p=.002), 직위(t=-3.17, p=.002), 근무형태(t=-3.52, p=.001), 근무부서(t=-2.47, p=.015), 보수 만족도(F=9.00,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직무만족은 공감역량(r=.57, p<.001), 그릿(r=.74, p<.001)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4.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그릿(β=.60, p<.001), 공감역량(β=.22, p<.001), 결혼상태(β=.14, p=.006)이었으며, 이들 변수는 직무만족을 60.0% 설명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 그릿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반으로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공감역량, 그릿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실무에서 공감역량과 그릿 향상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안 모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