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권력분립과 대통령제

        정원경 조선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ower structure of presidential system is the power separation where the Legislature and the Administration relationship is strict and it becomes welfare state anger of the nation today and the power separation principal deteriorates in positive supply and administration. The transfiguration of the power balance which it follows in present-day tendency of power separation reappraisal is demanded from present-day viewpoint. It shares the rule form of the nation is principal of the power separation is rule system principal of the modern time legal state function with legislation administrative administration of justice and Legislature which becomes independent each the restraint and a balance of agency trade name for as Judiciary the Administration it maintains to prevent the concentration and a misappropriation of political power, it secures the freedom from of political power of the individual and the rule principal which does to sleep it means. The presidential system which is born from power separation objection, to form the nation in modern time and to be introduced the government form of presidential system in each country and the government form to be changing, objective and scope of 1st chapter research, present-day tendency of 2nd chapter power separation and change of 3rd chapter Procedural Legitimacy Security Plan, in basic volume of and 4th chapter Our Constitution and Form of Government, 5th chapter current presidential system, problem point of and 6th chapter current presidential system it will conclude, 7th in order to try to observe the control measures of fight power separation and present-day power separation objection in the center With universal tendency of today about 200 it aims a democracy from the country of the country and from presidential system the temperament of the leader importance is must elect the leader which has both a tenacity from the system. Control outside the inside of the government there is. The station of the prime minister of state of State Council suspicion, prime minister of state nomination my Chung and dismissal it proposes, there is an inquiry back of the advisory organs with government inside control. Outside the government control there is control due to the National Assembly court of justice Constitutional Court citizen with. National Assembly control to act at law of the nation of President there to be control which leads, at constitution a Supreme Court market justice of Supreme Constitutional Court market nomination motion back treaty contracting which is important ratification and declaration of war, national military overseas dispatch, foreign nation military force domestic main stream and generality it buys the prior consent due to National Assembly previously act, prime minister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market there is. Time after death approval of the act which at law of the nation of President becomes accomplished the approval against a reserve fund expenses, an emergency order, an urgent establishment by law order, an urgent public finance economic order and a disposal and it is martial law cancellation demand volume. The even only proposes and parliamentary inspection investigation and prime minister of state dismissal, the government question back to lead it will be able to strengthen the control against President. The control due to the court of justice the order rule which President does the yes or no where the disposal is violated in constitution or law to the case where the prerequisite of justice becomes Supreme Court mind is a possibility of doing. The control due to the Constitutional Court will sell, the focus which burns unconstitutional legal judgment, constitutional appeal judgment and the authority dispute judgment back it will lead and the act at law of the nation of President against it will be able to control. Against the act at law of the nation of President the control due to the citizen limits in the case which feeble one President at constitution will send in national referendum and the control of main hoisting event is possible. Also the even only resistance volume event will be able to think but, President whom it follows in advancem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act at law of the nation act at description below spreading or law of the nation and the control due to the public opinion which it is living even after difficulty was had a substantial effect and It maintains the nation today with power structure of authoritarianism and in the information society it will not can protect it is living Sound of all citizens public opinion anger it is in order for the composition of dual oppositions of the civil society and the national institution to maintain the rule form of power structure of today with advancement of the scalpel media which it does.

      • 지방공기업의 지배구조와 책임성에 관한 연구 : 지방도시개발공사의 이사회를 중심으로

        박태양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기업경영의 목표는 경제적 측면에서의 이윤추구와 비경제적 측면에서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다. 현대 기업에 있어서의 경영목표 추구의 추세는 일반기업의 경우에는 경제적 측면의 이윤 추구에 중점을 둔 기업경영에서 비경제적 측면의 사회적 책임에도 상당한 비중을 두고 기업 경영을 해나가는 추세라면 공기업의 경우 지금까지의 비경제적 측면의 사회적 책임에 중점을 둔 경영에서 경제적 측면의 이윤 추구에도 상당한 비중을 두고 기업경영을 해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기업경영 목표의 변화는 공·사기업 모두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 존속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변화라고 본다. 최근 메스컴 보도를 통해서 공기업의 경영부실에 따른 재무상태가 취약하다는 뉴스를 많이 접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영부실의 근본적인 원인은 공공성 측면의 사회적 책임에 너무 많은 비중을 둔 기업 경영의 결과라고 본다. 특히 재정이 부실한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지방공기업의 경우에는 경영부실이 더욱더 심각한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이러한 보도를 접하면서 공기업의 책임성에 대하여 생각해보게 된다. 왜냐하면 경영부실은 따지고 보면 공기업의 책임에 대한 의무가 제되로 이행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렇게 공기업의 책임이 잘 이행되지 않는데는 많은 이유들이 있을 수 있으나 경영에 대한 통제 및 감독기능 및 경영의 중요 사항에 대한 심의·의결 권한을 갖고 있는 이사회의 역할 미흡이 중요한 요인의 하나라고 본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방공기업의 경영정상화를 위해서는 먼저 지방공기업의 책임성이 제고 되어야 한다고 보며 이러한 책임성 제고를 위해서는 이사회의 기능 및 역할이 제 되로 작동될 수 있는 업무시스템 구축 및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지방공기업의 책임성과 이사회와의 관계분석을 통하여 이사회가 책임성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책임성 제고를 위한 이사회 중심의 구체적인 업무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지방공기업의 책임성과 이사회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을 통하여 지방공기업의 개념 및 목적·책임성·이사회에 대한 개념 정립 및 책임성 유형과 이사회의 업무상 분류에 따른 변수측정지표를 마련했다. 책임성 유형은 수직적 책임성·내부적 책임성·고객에 대한 책임성·사회적 책임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사회의 업무 구분은 구성·운영·통제부문으로 구분하고 구성측면에서는 대표성과 전문성, 운영측면에서는 독립성과 투명성, 통제측면에서는 평가의 공정성과 보상의 적절성으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는 지방공기업의 책임성과 이사회에 대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전국 16개 도시개발공사의 이사회 구성원 및 공사의 이사회 담당자·지방자치단체 및 행정안전부의 지방공기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지방공기업의 책임성 인식 및 지방공기업의 이사회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 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현재의 인식분석 및 상호간의 관계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실증적 연구결과 지방공기업의 책임성과 이사회는 매우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사회의 전문성·독립성· 투명성·평가의 공정성은 지방공기업의 네 가지 유형의 책임성과 매우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편으로는 지방공기업의 책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업무개선을 통하여 이사회 본연의 업무를 충실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보여 주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지방공기업의 책임성 제고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이사회의 구성에 있어서는 지역적 한계에 따른 전문 인력 부족 및 정치성 개입으로 인한 전문성 및 대표성 확보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사회의 운영에 있어서도 설립의 주체인 자치단체 및 공사의 다양한 영향력 행사로 인한 독립성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운영되고 있음이 나타났고, 이사회의 통제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평가에 따른 차등 보상 방법이 없음으로 인해서 거의 모든 공사가 평가를 시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측면에서도 급여 및 상여금이 전혀 지급되지 않고 이사회 참석에 따른 실비개념의 경비만이 지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공기업의 책임성 제고를 위하여 이사회를 중심으로 한 개선방안을 이사회 구성·운영·통제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첫째, 구성측면에서는 지방공기업의 자율경영 및 책임경영을 위하여 당연직이사 선임제도 폐지·전문성 확보를 위하여 현실적인 보수 지급·전국단위 비상임 이사 인력풀 도입·소위원회 활성화·사후적 교육시스템(정보공유시스템)도입 및 대표성 확보를 위하여 전문분야 및 지역별 안배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운영측면에서는 독립성 확보를 위하여 비사임 이사의 정치성 배제·비상임 이사 비율 상향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통제측면에서는 평가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평가기준의 적정성 확보·연임평가의 의무적 반영 및 보상체계 개선을 위하여 비상임 이사 상여금 지급·유능한 비상임 이사 유인체계 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지방공기업의 책임성 제고를 위한 이사회 중심의 개선방안에 대한 업무추진을 위해서는 지방공기업과 이사회 차원에서의 개선 노력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제도개선 및 지방자치단체장을 포함한 관련 공무원의 의식이 지방공기업의 자율경영과 책임경영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정책적 배려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issues about the poor management of public enterprises have frequently appeared in the mass media these days; therefore, many people concerned worry about it. This problem draws a serious question of what the responsibility of public enterprises is. A close examination of the matters in a search for the truth would reveal that both duties and responsibilities of public enterprise were not properly implemented. In this sense, the role of their board of director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should be addressed. The active involvement by the board of directors is critical when it controls the management of public enterprises and deliberates on decision-makings of the management.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believed that the efficiency of operations supported by the board of directors can promote the responsibility of public enterprises. If the board proposes to make a reconsideration of the responsibility, it can make the management of public enterprises more efficient. Accordingly,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by the board. The study analyzes the amount of recognition which can be received in terms of evaluation and reward of performance of the board of director as well as its composition and operation, and suggests som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To gather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recognition and opinions about the improvement, the conduct of a survey is directed to the board members of the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s founded by 16 different provincial governments. Therefore, it is likely that public enterprises will remain efficient, through the board of directors system to seek enhanced efficiency by developing improvement plans; and the role of outside directors with responsibility and professionalism required to exercise good judgements when making decisions about management-related tasks, which can mostly meet the original purposes of the establishment of public enterprises. In this context, it is considered that the board of directors could play a role as an appropriate tool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exercising the responsibility of public enterprises.

      • 국제해양질서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방안 : 해양경계획정문제를 중심으로

        성관실 조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국제해양질서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방안 -해양경계획정문제를 중심으로- 해양은 지구 표면적의 약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류에게는 그동안 생물자원의 주요 공급원으로서, 주요한 교통로로서 활용되어 왔다. 이러한 바다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어족자원을 비롯한 석유나 천연가스 등 광물자원이 풍부하여 ‘자원의 보고(寶庫)’로서 일컬어지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주요한 교통로로서 각국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육상자원의 고갈과 심해저의 망간단괴 등에 대한 개발이 현실화되면서 ‘인류의 마지막 뉴프런티어(new frontier)’로 불리기도 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관할권의 확대와 자원 확보를 둘러싼 각국의 대립과 경쟁 그리고 타협은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닐 수 없다. 이와 같은 대립과 타협의 역사 속에서 발전해온 해양법은 기본적으로 영해와 공해라는 2분법적 구성요소로 20세기 중반까지 이해되어 왔었다. 그러다가 미국이 1945년 9월 28일 ‘공해의 일정한 수역에서의 연안어업에 관한 미국의 정책에 관한 대통령 포고 2668호; 세칭 트루만 선언’을 통하여 배타적경제수역을 선포함으로써 이와 같은 2분법적 공간구도에 큰 변화가 시작되었다. 이후 1958년의 제1차 UN해양법회에서는 UN국제법위원회가 마련한 초안을 중심으로 영해 및 접속수역에 관한 협약, 대륙붕에 관한 협약, 공해에 관한 협약 등을 채택하여 해양법에 관한 많은 부분을 성문화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다만, 제1차 UN해양법회의는 물론 1960년에 개최된 제2차 UN해양법회의에서 선진국과 후진국의 대립으로 영해의 폭에 관하여 합의를 이루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영해의 폭 이외에 새로이 대두된 해양질서에 관한 도출이 시급하다는 국제사회의 공감대의 형성으로 1973년에 제3차 UN해양법회의가 개최되어 9년여의 지루한 회의 끝에 드디어 1982년 4월 30일 해양 분야를 전부 망라한 UN해양법협약을 채택하였고, 1994년 11월 16일 발효되었다. 이후 UN해양법협약은 심해저개발에 관한 제11장의 이행협약이 성공적으로 타결되었으며, 2015년 2월 4일 현재 당사국 수는 167개국에 이르는 등 포괄적 다자협약으로서 실효성과 보편성을 갖추게 되었다. 새로운 UN해양법협약은 영해를 비롯한 각종 국가 관할수역, 공해, 심해저 등 해양의 모든 영역과 해양환경, 해양과학조사, 해양기술이전, 분쟁해결제도 등 해양 분야를 전부 망라한 포괄적 협약으로서 해양에 관한 대헌장(magna carta)이 아닐 수 없다. 특히 동 협약은 국제법의 형성 역사에 있어서 이례적으로 짧은 기간에 관습법화 된 200해리 EEZ 체제를 성문화하였고, 새로운 대륙붕 개념의 정립 등을 통하여 연안국의 자원관할권을 대폭 확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국가 관할권 이원(以遠)의 해저․해상 및 그 하층토(sea-bed and ocean floor and subsoil)와 그 지하를 심해저(area)로 정의하고, 그 자원은 인류의 공동유산(common heritage of mankind)으로서 전 인류를 대표하는 국제심해저기구가 이를 관할하도록 함으로써 국제해양질서의 새로운 이정표를 수립하였다. 바야흐로 해양에 대한 관할권의 공간적 구성요소가 종래의 영해와 공해라는 2분적 구성요소에서 영해, 공해, 공해에 대한 연안국의 주권확장 수역(배타적 경제수역, 대륙붕, 군도수역 등), 인류의 공동유산 수역이라는 다원적 구성요소로 변화된 것이다. 새로운 국제해양질서의 수립은 연안국들의 해양관할권 확대정책으로 이어지고, 연안국의 관할권 확대정책은 좁은 해역을 두고 인접하거나 마주보고 있는 대부분의 국가 간에 마찰과 분쟁을 유발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갖고 있다. 특히, 한중일 동북아 3국은 거의 동시에 UN해양법협약의 당사국이 되었고, 그들의 해양관할권을 확대하기 위한 국내적․국제적 조치들을 실행함으로써 양자 간 또는 3자 간 해양관할권의 경계획정에 관한 마찰 내지는 분쟁이 현실화되고 있다. 따라서 “바다를 지배 한 자, 세계를 지배한다.”는 영국의 탐험가 월터 롤리 경(Sir Walter Raleigh)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국제해양질서의 변화에 따른 우리의 대응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것은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국가인 우리로서는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이와 같은 요청에 따라 본 연구는 동북아 3국간에 동북아해역에서 EEZ와 대륙붕 관할권을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마찰과 대립 문제의 핵심인 기점과 경계획정 원칙에 대한 문제를 국제법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북아 3국이 해당 분쟁을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함으로써 새로운 국제해양질서의 도도한 흐름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입안 내지는 집행에 기여하도록 하며 해양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국민적 이해의 도움자료로 활용되고, 국제법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국제해양질서의 성립과 발전에 대하여 고찰한 후, 국제해양질서의 변화와 동북아 주변국의 해양관할권 정책을 검토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는 그 핵심적 내용으로서 배타적경제수역과 대륙붕의 경계획정문제에 대한 쟁점을 정리하고 우리의 대응방안을 모색한 후, 이를 토대로 국제해양질서의 변화에 따른 우리의 대응방안을 거시적․종합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Transformation of International Order on the Law of the Sea and National Strategy of South Korea – A Focus on the Sea Boundary among Three Asian Nations - The sea explains 70 percents for the whole surface of earth, which had been used as a way of transportation and a principal source of biological resources. The importance of sea is still stark that the nations hold an attention and concern. It is the container of fisheries resources and major way of sea mobility. One notable issue plainly illustrates this aspect, say, exploitation of manganese nodules on the seabed to complement with the depletion of land resources, so that it is called as new frontier as last available for the mankind. For this reason, it is inescapable of conflict, competition, compromise among the interested nations that they effort to expand the jurisdiction and procurement of sea resources. In the wake of this interplay over history, the law of the sea had developed, and the foundational idea had sustained the dual framework between the territorial sea and high sea until the mid of last century. On Sept. 28, 1945, President Truman enacted the presidential proclamation No. 2668 concerning the policy of the United States with respect to coastal fishery in certain areas of high sea which includes the EEZ, a new concept within the law of the sea. This brought a moment of new understanding from the traditional dual framework. Thereafter, we note that the accomplishment of the first UN conference on the law of the sea was remarkable with the aid of ILA drafters, to illustrate, the Convention on the Territorial Sea and the Contiguous Zone, the Convention on the Continental Shelf, the Convention on the High Sea, the Convention on Fishing and Conservation of the Living Resources of the High Sea. The organization had truly been a formulating agency of the sea law. It also was true that the organization had limitations in dealing with the boundary of territorial seas through the second session, which was because of the conflict and disagreement between the developed and underdeveloped nations. In this atmosphere, other major issues of the law of the sea arose to facilitate the agreement and conciliation of both groups. This new ethos and understanding had governed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the third Conference begun in 1973 and through the nine years of lengthy negotiation until the adoption of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on April, 30, 1982. Its coverage of issues was incomparably extensive as well as comprehensive that no major issues had not missed from it as eventually incorporated into the chapters of Convention. It came into effect on Nov. 16, 1994. Shortly thereafter, the agreement relating to the implementation of Part XI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was signed into effect. As of the date, Feb. 4, 2015, the number of member states amounted at 167 that the Convention is one of most successful treaties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universal character of international norm. In this light, this Convention earned a proud nickname, Magna Carta on the Law of Sea that deals with a variety of sea law issu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territorial sea, types of state jurisdictions, high sea, seabed and sea environment, scientific exploitation and investigation, transfer of sea knowledge as well as the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Most in highlight had it enacted the 200 nautical miles EEZ and provided a definition of continental shelf so that the jurisdictions of coastal state become to entertain a large extent of expansion for exploitation of sea resources. Other new development dealt with the law of seabed which encompasses the seabed, ocean floor, subsoil and beneath area, and pronounced their status as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In order to assign this responsibility, the nations established the 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 a milestone of the international order of sea jurisdictions. The transformation over time in history actually brought a traditional dual framework into the diverse regimes on new concepts and institutions – high sea and nation’s jurisdictional stretch into the EEZ, continental shelf and archipelagic waters as well as the area of common heritage of mankind. The new international order on the law of sea had spurred the sea expansion policy from the coastal states, which inextricably embroils with the conflict and dispute among the nations given a vast amount of cases with the narrow sea straight and adjacent nations. Korea, China and Japan, major states of the northeastern Asia, almost simultaneously signed the sea treaty as well as enacted and implemente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measure, which made tangible the conflict and dispute among them. The proposition from Sir Raleigh, “whosoever commands the sea….consequently the world itself” is one wisdom that now Korean government seriously should look out given the geographical condition as a peninsular state. In this backdrop, the studies were planned to explore the current issues and principle of sea baseline and maritime boundary determination in terms of international law, what is considered most crucial to solve the contention and disagreements concerned of EEZ and continental-shelf jurisdiction among the three nations. Then I will discuss and propose some alternatives for the peaceful and mutually satisfactory solution of problems and disputes. My purpose of studies, therefore, eventually intends (i) to assist with the creation and implementation of sea policy by the Korean government in response with the grand transformation of international sea order (ii) to enhance the popular awareness of sea value and its importance in Korea (iii) to contribute to the scholarship of international laws. In this consideration, the studies are structured with (i) the basic survey concerning the foundation of international sea order and its development (ii) its significant transformation over history and the sea policy of three states in the northeastern Asia (iii) intense focus on the EEZ issues and boundary determination of continental shelf (iv) exploration of our feasible policy response (v) final thought to relate the transformation with our policy response more in depth from the macro perspective and theory of international law.

      • 지방의회 의정활동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 기초의회를 중심으로

        강성휘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지방의회가 지역사회와 주민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하지만 지방의회에 대한 주민의 평가는 만족보다 불만족이 높다. 이러한 평가를 개선하는 출발점으로서 지방의회 의정활동에 대한 객관적 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자료포락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광주·전남 27개 기초의회의 정태적, 동태적 효율성을 분석하여 지방의회가 효율성 개선전략을 수립하는 데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기간은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간으로 설정하였고, 분석방법은 자료포락분석의 CCR 모형과 BCC 모형을 활용하여 기술적 효율성을 측정하였고, 맘퀴스트 모형을 활용하여 동태적인 생산성지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지방의회 의정활동 성과가 이전과 비교하여 다소 개선되고 있으나 여전히 효율성이 낮은 의회가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정태적인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효율성지수는 0.824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의회의 효율성이 82.4% 수준에 있음을 의미한다. 의회별로 효율성지수 1로 최고 효율을 나타낸 의회는 13곳, 1 이하를 나타내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으로 분석된 의회는 14곳이었다. 다음으로, 동태적 효율성인 생산성지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7년 동안 6.1%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회별로 평균 이상 상승한 곳은 11곳이었고, 평균 미만은 13곳, 반대로 하락한 곳은 3곳으로 나타났다. 의회 유형별로는 시·군의회에 비해 구의회의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 지방의회 전체적으로 효율성 개선전략이 요구된다. 내적으로는 관리운영의 혁신과 규모의 최적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외적으로는 제도적 정책적 변화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지방의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연수 프로그램의 확대와 지방의원연수원 설치가 필요하고, 예결산심의 및 행정사무감사의 내실화를 위한 회기운영의 변화가 필요하다. 제도적으로는 개별 의회 및 전국 의회를 대상으로 의정활동의 분석과 평가를 위한 성과평가시스템의 제도화가 요구된다. 이 연구는 학술적 측면에서 효율성 분석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정책적 측면에서는 효율성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며, 실무적 측면에서는 의회별로 효율성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치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반면, 분석에서 다양한 변수들을 적용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최고 효율을 나타낸 의회들에 대해 효율성 개선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Local councils have a huge impact on the lives of local communities and residents. However, residents' evaluation of local councils is more dissatisfied than satisfaction. As a starting point to improve this evaluation, an objective analysis of the legislative activities of local councils is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ic and dynamic efficiencies of the 27 basic council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local councils to come up with an efficiency improvement plan. The analysis period was set for 7 years from 2014 to 2020, and the analysis method used the CCR model and BCC model of data envelope analysis to measure technical efficiency, and the Malmquist model was used to measure the change in the dynamic productivity index.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although the performance of local councils has improved somewhat compared to the past, there are still more councils with low efficienc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ic efficiency, the efficiency index was found to be 0.824. This means that the efficiency of the local council is at the 82.4% level. By council, 13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with an efficiency index of 1, and 14 were analyzed relatively inefficiently with a score of 1 or less.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in the productivity index, which is dynamic efficiency, it was found that it rose by 6.1% over 7 years. By council, there were 11 places where the increase was above the average, 13 places where the increase was below the average, and 3 places showed a decrease. By type of council, the efficiency of the ward council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city and county council. As a result of the study, an overall efficiency improvement strategy is required for local councils. Internally, innovation in management and operation and efforts to optimize scale are required, and externally, institutional and policy changes are required.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local councilors and establish a training center for local councilors, a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ession operation to substantiate budget and settlement deliberation and administrative affairs audit. Institutionally,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legislative activities targeting individual and national councii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s the applicability of efficiency analysis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suggests a direction for efficiency improvement from a policy point of view, and proposes specific targets for efficiency improvement for each council in the practical aspect.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various variables cannot be applied in the analysis, and efficiency improvement measures cannot be suggested for the councils that have shown the relatively highest efficiency.

      • 통일헌법상의 경제질서에 관한 연구

        오기만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Constitution of Republic of Korea prescribe a followed clauses in Article 119 “(1) The economic order of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based on a respect for the freedom and creative initiative of enterprises and individuals in economic affairs. (2) The State may regulate and coordinate economic affairs in order to maintain the balanced growth and stability of the national economy, to ensure proper distribution of income, to prevent the domination of the market and the abuse of economic power and to democratize the economy through harmony among the economic agents”. In Article 119, it puts the first place on the individual freedom and market economy. Exceptionally, it permits the State to intervene with individual field to enhance social welfare. So we can find Korean Constitutional law pursues the economic efficiently and the social equalities in the Article. The State regulates and intervenes the economic order to guarantee the good operation of market economy and secure the social welfare. It can exercise the economic policy and social policy for the social justice, social safety and social integration. But its role has limits. it cannot impair the nature of individual freedom and market economy. For market economy to go with administrative plan, it must not interfere with individual field where everything operates autonomously. Only it has to put its nose on the field where market economy does not function well or can not operate at all. In the long time, Korean Constitutional Law adopts the social market economy which mixes the market economy with the planned economy. But social market economy puts the first value on the individual freedom and market economy. The plan is needed to promote the public good. Social market economy makes the market economy go toward social purposes, which are social qualities, social justice and social welfare. Consequently we can conclude that Uni-Korean Constitutional Law should have social market economy as the economic order and harmonizes the efficiency with equalities within certain boundary where the state must not impair the nature of individual freedom and the principle of market economy.

      • 결혼이주여성 경제활동지원정책에 대한 인식 연구

        이혜자 목포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과 윤택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결혼이주여성과 경제활동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전문가의 견해를 통해 다양한 경제활동 결정 요인을 구축하고,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욕구를 토대로 한 현실적인 경제활동 결정 요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먼저, 결혼이주여성들이 가지고 있는 주관적인 견해를 통해 경제활동 결정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유형(제Ⅰ유형, 제Ⅱ유형, 제Ⅲ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제Ⅰ유형, 제Ⅱ유형, 제Ⅲ유형 모두 취업준비를 위한 준비 및 지원에 해당되는 요인들이 대부분이었다. 다음으로는 각 유형 간의 차이분석 결과, 제Ⅰ유형과 제Ⅱ유형 간의 대표적인 진술문으로는 ‘결혼이주여성 및 가족의 건강을 위해 지속적인 건강검진 지원’ 문항이 긍정적으로, ‘경제적 자립과 창업 지원을 위해 융자혜택 및 각종 세제혜택 등을 지원’ 문항이 부정적으로 나타났고, 제Ⅰ유형과 제Ⅲ유형 간에는 ‘결혼이주여성 및 가족의 건강을 위해 지속적인 건강검진 지원’ 문항이 긍정적으로, ‘출산, 자녀 양육 등의 취업활동의 제한 요인을 해결하고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 선택제 일자리 발굴 및 확대’ 문항이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제Ⅱ유형과 제Ⅲ유형 간에는 ‘다문화 사회와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 개선’ 문항이 긍정적으로, ‘특화된 맞춤형 사회복지 사업 시행’ 문항이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유형 간 일치항목 분석 결과, 긍정적으로 동의한 진술문은 ‘자기계발 및 취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격취득 기회 제공’, ‘직업능력개발계좌제 및 취업 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지속적인 취업 정보 제공’,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보조금의 실질적인 혜택’,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적합한 업종을 발굴 및 지원하는 방안으로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 확대’,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같이 결혼이주여성의 교육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는 제도적 장치’, ‘한국사회 문화 적응을 위한 결혼이주여성들에게 교류의 장을 열어 주고 공동체의식을 심어줌’, ‘사회복지 기관에 정규직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취업 전형 및 지원’ 등으로 나타났고, 부정적으로 동의한 진술문은 ‘1:1 후원과 같은 자매결연을 통해 경제적 후원을 지속적 실시’, ‘경제활동을 하기 위한 기초 방안으로서 지역에서 실시하고 있는 공동체 행사에 참여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함’, ‘한국의 법·제도와 경제 및 소비형태 교육에 대한 학습활동 제공’, ‘정서적 맞춤 상담 서비스 제공’ 등으로 나타났다. This analysis perception typ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on the policy for their economic activity in order to find ways to live a prosperous life and adapt Korea lives of migrant wome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perception types on policy were analyzed as three types(Type I, Type II, and Type III) through subjective opinion research of marriage migrant women. All the type are related with preparation and support for career. Next, the result of the gap analysis between perception types are that the representative statement are 'ongoing health check support for immigrant women and family health' of positively perceived statement and 'economic self-reliance and entrepreneurship loans and other benefits, such as tax incentives to support’ of negatively perceived statement between Type I and II, 'ongoing health check support for immigrant women and family health' of positively perceived statement and 'Excavation and expansion of time selective job’ of negatively perceived statement between Type I and III, and 'awareness of the negative perception on multi-cultural society and women migrant' of positively perceived statement and ‘implementation of specifically tailored social welfare projects' of negatively perceived statement. Finally, the result of the match analysis between each type are that 'Offer qualification opportunities for personal development and employment competitiveness', 'Operating skills development account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 and ongoing provide of jobs information', ‘Practical benefits of subsidies to support entrepreneurship’, 'Expand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experience for migrant women', 'Institutional arrangements such as lifetime training programs that can raise the level of education of migrant women', ‘To provide a flow sheet of migrant women for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zoom instill a sense of community’ and 'Employment screening and support to full-time employment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re positively agreed, and ‘Ongoing financial support through twinning such as 1:1 sponsors', 'Participation in community events and a variety of experiences', 'Education opportunity offer for korean laws, institutions, economic behavior, and consumption’, and 'Emotional personalized consultation services' are negatively agreed.

      • 존엄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김태일 조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존엄사의 개념은 논자의 입장에 따라 유사 개념인 ‘치료중단’, ‘의사조력자살’ 등과 혼재되면서, 종래의 개념인 안락사의 일반적 분류유형과 정확하게 합치하지 못하고 그 의미도 변함에 따라 유형화 및 입법적 대책 마련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존엄사(death with dignity)’란 “죽음에 직면한 환자가 품위 있는 죽음을 맞도록 하기 위하여 생명유지조치를 중지하는 것” 또는 이와 유사하게 “의식회복의 가능성 없는 식물인간에 대하여 그에 부착된 생명유지장치를 제거하여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유지하면서 죽음을 맞게 하는 것”이라고 정의된다. 기존의 안락사의 찬성론의 입장에서는 무조건적인 생명유지가 인간존엄에 상응하는 것이 아니라, 죽음에 임박한 환자의 견딜 수 없는 고통을 덜어 주는 것도 존엄하게 죽을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안락사 반대론자들은 사회빈곤층, 노인들과 같은 의료의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의도와는 달리 가족들의 의사나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죽어갈 것이라는 점에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8대 국회에서 발의된 ‘존엄사’ 관련 법률은 「존엄사법안」(신상진의원대표발의), 「삶의마지막단계에서자연스러운죽음을맞이할권리에관한법률안」(김세연의원대표발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관한법률안」(김충환의원대표발의)이 있었다. ‘존엄사법안’에서의 존엄사 허용 행위는 “연명치료 보류 또는 중단, 응급의료처치의 보류 또는 중단”이고, ‘삶의마지막단계에서자연스러운죽음을맞이할권리에관한법률안’의 존엄사 관련 허용 행위는 “생명연장조치의 중단”이며, ‘호스피스·완화의료에관한법률안’의 존엄사 관련 허용행위는 “심폐소생술 등 생명연장치료거부 의사표시의 존중 및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의 이용”이라 할 수 있다. 존엄사 입법화를 위하여는 다음의 입법방향 및 정책과제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첫째, ‘회복불능상태의 환자’ 또는 ‘말기상태의 환자’의 판정은 그 근거가 될 수 있는 의학적 판단의 기준을 명확한 절차와 함께 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치료중단의 허용 여부를 둘러싼 논의도 중요하지만, 허용한다면 어떠한 기준과 요건 및 절차하에 치료중단을 인정할 것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심의기구의 설치 및 그 기구의 책무 및 지원사항에 대하여도 구체적으로 논의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의식불능의 환자의 의사를 대행하기 위한 대리인의 동의권에 대한 법적 근거의 마련이 필요하고, 말기환자가 아니더라도 의식불능이 될 경우를 대비하여 의사표시의 기회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넷째, 무의미한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에도 ‘치료중지의 범위’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필요하며, ‘뇌사판정기준’, ‘명확한 회복불능의 판정기준’,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판정기준’ 등을 먼저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존엄사 허용 이전에 치료중단의 관행을 제도적으로 인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치료목적보다도 ‘삶을 마감하는 과정’을 도와주는 호스피스에 대한 제도화 방안도 존엄사 입법과 더불어 검토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 간호조직의 리더십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은영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researches the leadership style of head nurse and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staff nurse in hospital setting, and analyse correlation between them: how vary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staff nurse for the leadership style of head nurse.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April 22 to May 3, 2011, 12 days. The target of the survey was nurses working in hospital setting in Mokpo City. 258 cases analysed. The measurement tool for leadership was a modification of the MLQ Form 6S developed by Bass and Avolio(1992), and the measurement tool for job satisfaction was the tool developed by Paula et al.(1978) with additions appropriate to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perceived higher than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in the result of the survey about head nurse's leadership style that staff nurse perceived. In the component of leadership, Charisma was perceived as a highest factor. Seco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that staff nurses perceived was as low as 2.9 average.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staff nurses had a descending order like doctor/nurse relationship > reciprocal action > work demand > professional position > administration > autonomy > wage. Third, the result of the survey about head nurse's leadership based on staff nurse's the personal background showed that age variable has significant difference in only management-by-exception which is a component of transactional leadership. Education variable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 some components such as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Work career variable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 some components such as inspirational motiva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ork department variable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 some components such as Charisma, inspirational motiva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Fourth, the job satisfaction based on staff nurse's personal background was investigated and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of work career and work period with the current head nurse. Fifth, the relation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job satisfaction was researche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came out to have positive(+) 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nd the components of two leadership style came to have positive(+) 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is study conclude that when a strategical alternative of leadership which can rais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th appropriate harmony of transactional leadership is provided, nurse organization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level of staff nurse, manage human resource efficiently, and cope with rapidly changing setting of hospital. 본 연구는 병원의 간호조직에서 관리자의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즉 간호사가 인식하는 수간호사의 리더십 유형에 대해서 조사하고, 수간호사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서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리더십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근거로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제고를 위한 간호조직 관리자의 리더십 방안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목포시에 있는 1개 병원과 2개 종합병원에서 수간호사를 직속상급자로 두고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2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4월 22일부터 5월 3일까지 총 12일간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리더십 유형 측정도구는 Bass와 Avolio(1992)가 개발한 다중요인 리더십 설문지( MLQ Form 6S)를 김남현(2009)이 번역한 것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직무만족 측정도구는 Paula 등(1978)이 개발하고 박현태(1997)가 수정·보완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에 대한 분석은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패키지(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간호사의 리더십 유형에 대한 일반 간호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높게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리더십의 구성요인 중에서는 카리스마 요인이 가장 높게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호사의 직무만족 수준은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는데, 측정결과에 따르면 평균 2.9로 나타나 보통이하의 만족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직무만족을 구성하는 요인별로 볼 때 상대적으로 간호사/의사 상호관계〉상호작용 〉업무요구〉전문적 위치〉행정〉자율성〉보수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간호사의 리더십에 대하여 일반 간호사의 배경에 따라 차이를 분석한 결과, 거래적 리더십의 구성요인인 예외관리에서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변혁적 리더십의 전체 인식수준과 구성요인인 영감적 동기부여, 지적 자극에서 학력 수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임상근무경력에 따라서 전체 변혁적 리더십과 구성요인인 영감적 동기부여,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현재 근무하는 부서에 따라서도 전체 변혁적 리더십과 구성요인인 카리스마, 영감적 동기부여, 지적 자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일반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하여 간호사의 개인적 배경에 따라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임상근무경력, 현 수간호사와 함께 근무한 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리더십 유형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은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구성요인도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간호사들이 인식한 수간호사의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보다 변혁적 리더십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수간호사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직무만족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조직은 전문적인 간호 실무 환경을 조성하고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서 거래적 리더십의 적절한 조화와 함께 변혁적 리더십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인 방안이 마련된다면 간호사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효율적인 인력자원관리와 급변하는 의료 환경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리더십 방안이라고 생각된다.

      • 여성의 복지 증진을 위한 헌법적 연구

        이혜림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Constitution that considers assimilative incorporation of society as the ultimate value regulates as follows: Article 10. Human Worth and Dignity, Article 11. Equal Right, Section 4, Article 32. Prohibition for Sexual Discrimination and Section 3, Article 4, Respect for Women Welfare and Right. Reflecting such consitutional mind, it contains realization of women equal rights in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and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Framework on Women's Development, Prohibition and Remedy for Sexual Discrimination and Labor Standards and Labor Standards. However, as roles of men and women have been divided and fixed due to our patriarchal system for such a long time, women were subordinated to men. They have been forced to be superwomen both in caring children and housework and working, and had lower quality of life because of overwork so that their abilities could not be exercised completely at work and they had to choose one of them. In particular, Korean womem's welfare falls behind the standards of OECD member countries. According to the Human Development Report presented by UNDP, Korea's status is stagnant or lowering. For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based on distinction of sex, 48-50% of women participate in labor fore in our country while 75% of men participate in labor force. In addition, most of the former work in part time, which can not be explained through educational background or career. In spite of their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many women are engaged in part-time job, leave labor market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because of pregnancy and nurturing babies, and reemployed to lower position. They suffer from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and wages, and sexual harassment, which are in conflict with the Constitution. As the formula of “Men work outside and Women work inside” is still maintained, women have to have fourfold roles of mother, wife, housewife and worker, which causes continual conflicts in identity of their roles. Pregnancy and childbirth which are physiological nature of women are considered as personal matter by office, resulting in frequent damages to work and health rights of wome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ncourage accomplishment of human respect and value through realization of equal rights by mobilizing all the policies and facilitate equal and harmonious status for social incorporation. Through legislature cases of foreign countries, this study searches for directions of welfare realization(Chapter 3), reviews the Constitution, Framework on Women's Development,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and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and Labor Standards critically, tries to discover directions for equal right and welfare realization (Clause 1 and 2, Article 4), identifies the status of Korean women welfare and suggests political suggestions which meet the Constitutional intent (Clause 4 and 4, Article 4). This study suggest education of human rights and cooperation among members along with a series of measures to improve unequal welfare of women. Controversies on equal right of women are getting intense as they have been discriminated and as long as structural problems are not resolved, it is very difficult to resolve it. Therefore, it should be dealt with in longitudinal and macro point of view and assimilative incorporation of society should be facilitated through realization of human re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