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과 옹호활동에 관한 연구

        문성하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Sensibility of Human Rights and Civil Liberty Activities of the Employe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우석대학교 대학원 직업재활전공 문성하 지도교수: 김동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ensibility of human rights in work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and provide basic materials for human rights education to improve the sensibility of human rights of the disabled. To this end, it sent 500 questionnaires to 450 institutions reported as a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to local governments in 2016 and collected 190 questionnaires in return,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 head of the institution, head of the bureau, vocational teachers, managers in charge of production and sales, organization managers, and others (nutritionists, cooks). Of the 190 surveys returned out of a total of 500, 183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7 copies deemed to be prepared insincerely.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human rights sensibility (M=3.60)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worker, “the right to education for the disabled (M=4.35)” i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right to privacy of the mentally disabled (M=3.38)’, ‘the right to the body for the disabled (M=3.27)’, ‘the elderly's pursuit of happiness (M=3.27)’, and ‘gender equality (M=3.16)’. Since the average score of human rights sensibility is more than the average level, the degree of human rights sensibili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orker is high. Second, the human rights sensibility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worker varies depending on education, where ‘4-year college graduates (M=3.80)’ is the highest, followed by ‘those with master’s degree or PH. D. (M=3.61)’, and ‘those with associate degree (M=3.38)’, and ‘others (M=3.15)’. In terms of the types of disability, ‘mental disability (M=4.15) is the highest, followed by ’intellectual disability (M=3.64)’, ‘others (M=3.45)’, ‘physical disability (M=2.75)’.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rights sensibility and the advocacy activiti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orker showed that ‘human rights sensibility and ’advocacy’ have significance in ‘the right to privacy of the mentally disabled (.269)’ at p<.01, ‘the right to education for the disabled (.263)’ at p<.01, ‘the right to the body for the disabled (.247)’ at p<.01,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245)’ at p<.01. ‘Human rights sensibility’ and ‘advocacy’ have significance in ‘the right to the body for the disabled (.194)’ at p<.01. ‘Human rights sensibility’ and ‘advocacy’ have significance in ‘the right to the body for the disabled (.194)’ at p<.01. Human rights sensibility and advocacy activities have been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ight to receive education for the disabled (.184)' at p<.05, ‘the rights of privacy of the mentally disabled (.188)’ at p.<01, and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167)’ at p<.05. Fourth, the effect of human rights sensibility on case advocacy shows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R 2.166, F value of 11.904, and significance of .000.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perception of status and responsibility perceptio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se advocacy, while result perception does not. In terms of the positive influence on case advocacy, the perceived responsibility (β =.297) was higher than the perceived status (β=.239). The effect of human rights sensibility on social class and policy advocacy shows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R 2.070, F value of 4.058, and significance of .004.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responsibility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class and policy advocacy, while perception of situation and perception of results did not. Responsibility perception (Β=.293) had positive (+) impact. The effect of human rights sensibility on advocacy activities shows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R 2.124, F value of 8.460, and significance of .000.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responsibility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vocacy activities, while perception of situation and perception of results did not. Responsibility perception (Β=.293) had positive (+) impa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human rights sensibility and human rights advocacy activit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human rights sensibility development training in accordance with the human rights level of work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Human rights education is needed to improve the sensibility of human rights to improve positive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o offer desirable direction for advocacy activit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result showing that as the number of working years of workers increases, the sensibility of human rights deteriorates mean that the longer they work, the less they have the human rights sensibility toward the disabled treating them in just formal manners and do not register infringement on the human rights when it actually occurs. Therefore, systematic and practical human rights education is required in order to prevent the workers from falling into mannerism and strengthen their sensibility to human rights. In the course of the school curriculum, active education is necessary to emphasize not only the cognitive factors but also emotional sympathy and practical actions. Third, as the number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training is high, the sensibility of human rights is high. Therefore,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or institutions need to establish human rights guidelines or regulations for all services in accordance with human rights and provide the workers with systematic human rights education opportunities in stages so that they can well adapt to the institution. Fourth, in order to improve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disabled people,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enhancing the human rights sensibility of employe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for disabled persons in a step-by-step and systematic way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disability levels. Fifth, the human rights sensibility index developed in Korea is a measure derived from the measurement of moral attitude and sensitivity, and it can be answered in a way that is morally and socially desirable than the respondents' actual percep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human rights sensibility of employees in welfare center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redeveloping measurement tools based on human rights conditions directly related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Sixth, it is necessary to conduct detailed and empirical studies 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dvocacy activit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of active human rights-related studies as well as a close analysis and implication of human rights applicable to the social welfare field. Seventh, this study was conducted on employe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nationwide. These centers have a variety of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s by region and type, and when it comes to determining human rights-related situation, cognitive and emotional abilities can vary according to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education in which the person lives (Lee, 1993). Therefore, an expanded follow-up study on the human rights sensibility of employe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considering more comprehensive and diverse disability types and regions is needed.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과옹호활동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직업재활전공 문성하 지도교수: 김동주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직업재활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인권감수성 정도와 옹호활동을 탐색하여, 장애인 인권의식 향상을 위한 인권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16년 지방자치단체에 직업재활시설로 신고한 450개 기관에 500부 우편배포 후 190부 수집하였으며, 직업재활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로 시설장, 사무국장, 직업훈련교사, 생산 및 판매관리사, 시설관리사, 기타(영양사, 조리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배포된 500부의 설문지 중 190부가 회수 되었고, 그 중에서 응답이 불성실한 7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183부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인권감수성(M=3.60)은 ‘장애인의 교육받을 권리(M=4.35)’, ‘정신장애인의 사생활권(M=3.38)’, ‘장애인 신체의 자유권(M=3.27)’, ‘행복추구권(M=3.27)’, ‘남녀평등권(M=3.16)’ 순으로 나타났다. 인권감수성 평균점수가 보통수준 이상을 넘는 점수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므로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의 정도는 높은 편이라 볼 수 있다. 둘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인권감수성은 학력에 따라 ‘4년제 대학졸업(M=3.80)’, ‘대학원졸업(M=3.61)’, ‘전문대졸업(M=3.38)’, ‘기타(M=3.15)’ 순으로, 시설이용 장애인의 주 유형에 따라 ‘정신장애(M=4.15)’, ‘지적장애(M=3.64)’, ‘기타(M=3.45)’, ‘지체장애(M=2.75)’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과 옹호활동의 관계에서는 인권감수성과 옹호는 ‘정신장애인의 사생활권(.269)’ p<.01 수준에서, ‘장애인의 교육받을 권리(.263)’ p<.01 수준에서, ‘장애인신체의 자유권(.247)’ p<.01 수준에서, ‘ 행복추구권(.245)’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감수성과 계층 및 정책옹호는 ‘장애인신체의 자유권(.194)’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감수성과 옹호활동은 ‘장애인의 교육 받을 권리(.184)’ p<.05, ‘정신장애인의 사생활권(.188)’ p<.05, ‘장애인신체의 자유권(.237)’ p<.01, ‘ 행복추구권(.167)’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권감수성이 사례옹호에 미치는 영향은 결정계수 R2 .166, F값 11.904, 그리고 유의확률 .000으로 회귀분석결과 상황지각, 책임지각은 사례옹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결과지각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례옹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있어서는 책임지각(β=.297)이 상황지각(β=.239)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권감수성이 계층 및 정책옹호에 미치는 영향은 결정계수 R2 .070, F값 4.058, 그리고 유의확률 .004로 회귀분석결과 책임지각은 계층 및 정책옹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상황지각, 결과지각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책임지각(β=.247)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감수성이 옹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결정계수 R2 .124, F값 8.460, 그리고 유의확률 .000으로 회귀분석결과 책임지각은 옹호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상황지각, 결과지각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책임지각(β=.293)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장애인 인권감수성과 옹호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직업재활시설 종사자들의 인권수준에 맞는 인권감수성 개발 훈련이 필요하다.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향상시키고 장애인의 옹호활동을 함에 있어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 할 수 있는 인권감수성 증진을 위한 인권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종사자의 근무연수가 많아질수록 인권감수성이 떨어진다는 조사결과는 직업재활시설에서 근무연수가 많아질수록 종사자들의 인권의식이 점차 감소하면서 직업적이고 형식적인 차원에서 사무적으로 장애인들을 다루고, 실제로 인권침해현장을 발견하더라도 이를 침해사항으로 느끼지 못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종사자의 매너리즘을 방지하고 인권에 대한 감수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단계적이고 실질적인 장애인인권교육이 필요하며, 학교 교육과정안에서 실천윤리과정을 통해 인지적 요소뿐 아니라 정서적인 공감과 실천적인 행동을 강조 할 수 있는 인권감수성 수준의 적극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인권교육이나 연수 횟수가 많을수록 인권감수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직업재활시설이나 기관에서는 모든 서비스가 인권에 맞도록 인권관련 지침이나 규정을 제정하고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단계별 체계적인 인권교육의 기회를 제공함으로 기관 안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지도·관리가 필요하다. 넷째,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 향상의 궁극적인 목표인 장애인의 인권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장애인 특성과 장애 수준에 맞는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장애인 인권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다섯째, 현재 국내에서 개발되어있는 인권감수성 지표는 도덕적 태도와 민감성 측정에서 도출된 척도로서, 실제 응답자의 지각보다는 도덕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방향으로 응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애인들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인권상황만으로 측정도구를 재개발하여 장애인에 대한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인권관련 연구의 활성화로 장애인의 옹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들과 사회복지 현장에 적용 될 수 있는 인권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함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곱째, 본 연구는 전국 소재의 일부 직업재활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하였다. 시설은 지역과 시설유형별로 다양한 물리적·사회적 환경을 갖고 있으며 인권상황을 판단할 때 인지와 정서적 능력은 그 사람이 살고 있는 물리적 환경과 교육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이원웅, 1993). 따라서 더 포괄적이고 다양한 장애유형과 지역을 고려한 직업재활시설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에 대한 확대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이용의향 및 데이터방송의 가치평가

        신승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서비스는 디지털방송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중에 TV 동영상, 라디오 및 문자방송수신이 가능한 서비스로 CD 수준의 음질과 우수한 고정 및 이동 TV 품질을 제공하는 디지털방식의 통신과 방송이 융합된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다. DMB서비스는 기존의 방송 개념을 뛰어넘는 ‘새로운 미디어’로서 멀티미디어와 양방향 데이터방송이 핵심서비스이며 위성 DMB와 지상파 DMB로 구분된다. 양방향 데이터방송은 TV를 통하여 제공되는 기존의 방송 프로그램과 구별되는 새로운 서비스로서 방송과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를 시청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전달한다. 신규서비스인 DMB서비스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은 통신·방송 융합서비스라는 관점에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거나 장기적인 수요전망 및 산업파급효과를 분석하는데 국한되어온 반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DMB서비스의 시장 환경을 반영한 설문조사와 선호콘텐츠, 타 매체 이용특성 등의 변수를 고려한 소비자 수요특성 분석은 미흡하였다. 또한 위성 DMB의 가입자 정체와 지상파 DMB의 수익성 부재를 해결해 줄 대안으로 기대를 모아온 데이터방송 서비스의 가치평가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07년 5월에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DMB서비스의 이용의향과 데이터방송에 대한 소비자 지불의사액을 추정하였다. DMB서비스의 이용의향은 김동주&#8228;신승도(2008)의 경영과학 제25권 제1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선호 콘텐츠 및 타 매체 이용특성에 따른 이용의향 요인 분석”을 바탕으로 선호 콘텐츠, 타 매체 이용특성 등의 변수들이 DMB서비스 이용의향 및 위성과 지상파 DMB서비스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DMB 데이터방송 서비스의 가치평가 및 소비자 지불의사액은 김동주&#8228;신승도(2007)의 기술혁신연구 제15권 제2호 “이중경계 양분선택형 CVM을 이용한 DMB데이터방송의 가치평가”를 바탕으로 교통정보 데이터방송과 연동형 및 방송웹사이트 데이터방송에 대한 가치평가 및 소비자 지불의사액을 추정하였다. DMB서비스의 이용의향 추정결과 지상파 방송, 음악 및 영화 콘텐츠 선호자일수록 DMB서비스에 대한 이용의향이 높은 반면 HSDPA서비스 가입의사가 높을수록 DMB서비스의 이용확률이 낮게 나타났다. DMB서비스 선택요인 추정결과는 스포츠, 영화, 오락/게임/쇼 콘텐츠 선호자일수록, 제공 콘텐츠의 질을 중요하게 여길수록 위성 DMB서비스의 가입의향이 높은 반면 지상파 방송, 드라마, 뉴스/경제 콘텐츠 선호자일수록, DMB서비스의 이용요금에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지상파 DMB서비스의 이용의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소비자의 DMB서비스 선택은 위성과 지상파 DMB서비스가 제공하는 주요 콘텐츠와 서비스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경계 및 이중경계 양분선택형 CVM기법을 이용한 교통정보 데이터방송과 연동형 및 방송웹사이트 데이터방송에 대한 소비자 수요특성 및 지불의사액 추정결과 교통정보 데이터방송의 경우 단일경계 양분선택형의 경우 2,174원, 이중경계 양분선택형의 경우 2,049원, 연동형 및 방송웹사이트 데이터방송은 단일경계 양분선택형의 경우 1,728원, 이중경계 양분선택형의 경우 1,613원으로 각각 추정되어, 소비자들이 평균적으로 매월 일정 금액을 데이터방송 이용에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MB 이용의향자일수록, 유사한 서비스에 대한 경험이 많을수록, 데이터방송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가 있을수록 DMB 데이터방송에 대한 지불의사액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직업재활시설의 경영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종일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 문 초 록 직업재활시설의 경영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직업재활학전공 김종일 지도교수 : 김동주 본 연구는 직업재활시설의 경영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재활시설의 경영전략과 경영성과는 어떠한가에 대해 살펴보고, 경영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직업재활시설의 효율적 경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분석하고 지원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재활시설의 경영전략은 어떠한가? 둘째, 직업재활시설의 경영성과는 어떠한가? 셋째, 직업재활시설의 경영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전국의 직업재활시설 478곳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106부가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문제에 따라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t-test, F-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업재활시설의 경영전략을 분석해 보면, 방어형 전략, 분석형 전략, 공격형 전략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형별로는 근로사업장의 경영전략 수준이 보호작업장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장애인 수에서는 11~20명 이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제조업 집단의 수준이 비제조업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직업재활시설의 경영성과를 분석해 보면, 비재무적 성과가 재무적 성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11~20명 집단의 경영성과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소재지에서 시 집단의 수준이 가장 높고, 광역시 집단이 가장 낮았다. 직업재활시설의 경영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면, 경영전략이 재무적 성과에는 유의한 긍적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공격형 전략과 분석형 전략이며, 분석형 전략이 공격형 전략에 비해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직업재활시설이 경영적 측면에서 발전하기 위해서 경영전략 중 공격형 전략과 분석형 전략을 도입하여 매출과 순이익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더욱 많은 장애인들의 고용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둘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경영전문 인력육성이다. 직업재활시설의 종사자가 직업재활 전문가보다는 대부분 사회복지 전공자로 구성되어 있는 현실 속에서 경영분야에 대한 연수 및 교육 등을 통하여 경영전문 인력으로 육성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직업재활시설의 자체적인 노력이다. 직업재활시설들이 세제류, 제과 제빵 분야 등 비교적 쉬운 자체 생산품 아이템에서 벗어나고, 선진국들의 모범 사례들과 관련 시장 조사 및 마케팅, 홍보 등을 관련 기관들과 진행하여 직업재활시설이 장애인들의 직업재활의 요람으로 거듭나고 장애인들의 고용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개인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병섭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개인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직업재활전공 김병섭 지도교수 : 김동주 본 연구는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개인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직업재활시설의 경영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효율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인근로사업장 63개소, 장애인보호작업장 463개소를 포함하여 총 526개소를 대상으로 250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WIN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직업재활시설의 개인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개인역량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많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직위와 경력에 따라 개인능력 수준이 높았고, 성별에 따른 개인역량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경영성과는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직위와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직업재활시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개인역량의 수준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근로장애인 수가 많을수록, 훈련장애인 수가 많을수록, 평균임금이 높을수록, 평균임금이 많을수록, 매출액이 많을수록 기술역량, 지식역량, 능력역량 수준은 높았다. 넷째, 직업재활시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영성과는 종사자 수, 근로장애인 수, 훈련장애인 수, 평균임금, 매출액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개인역량은 영리적 성과와 비영리적 성과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개인역량은 영리적 성과와 비영리적 성과를 포함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종사자의 지식역량과 능력역량이 직업재활시설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업재활시설의 경영성과와 관련하여 개인역량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the Impact of Individual Competencie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Major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Kim Byung Sub Supervised by Kim Dong Joo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of individual competence that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orker have and at finding an effective way to contribute to business perform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ith the purpose of attai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used 250 questionnaires at last, after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526 objects including 63 disabled person labour business places, 463 disabled person protection workshops. This study, by using WIN SPSS 21.0 Statistic Program, conducted over the collected materials T-test, Varia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zed the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over th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of individual competence that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orker have.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orker's individual competence had difference, depending on demo-sociological traits. That is, the older their age, and the higher their academic background, the higher their respective ability level was, depending on position and career. But, respective capability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ex. Seco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orker's business performance, depending on demo-sociological traits,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ex. The younger their age, and the higher their academic ability, the more significant the difference business performance had was, depending on position and career. Third, respective capability had difference in level, depending on the general trai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at is, the more the disabled persons, the more the trained disabled persons, the higher the average wage, the more the average wage, and the more the sales, the higher the technological capability, the knowledge capability, and ability capability were. Fourth, the business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general trai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had a difference in number of workers, number of working disabled person, number of trained disabled person, average wage, and sales. Fifth,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orker's respective cap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mercial performance and non-commercial performance. Sixth,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orker's respective capability had an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including commercial performance and non-commercial performance. The worker's knowledge capability and ability capability appeared as the factors which can enhanc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is study, concerning the business perform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conducted some political suggestions to enhance respective capability on the basis of the result.

      •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사회자본이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윤아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사회자본이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직업재활전공 이윤아 지도교수 : 김동주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사회자본이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효율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장애인직업재활시설 56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수거된 18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측정, 기술통계 산출,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사회자본의 차이는 학력, 직위, 월 평균 수입에 따라 유의미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사회자본의 차이는 고학력과 비례하지는 않으나 대학원에 재학중이거나 졸업한 종사자의 사회자본이 대체로 많으며 직위와 월 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사회자본이 많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역량의 차이는 성별, 학력, 직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보다 직무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위와 직무역량은 비례하였고, 학력이 높을수록 직무역량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나 비례하지는 않았다. 셋째, 사회자본과 직무역량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자본 중에서 결속성, 교류성은 기초행동, 호혜성, 연계성, 신뢰성은 관리관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자본 중 결속성, 연계성은 직무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교류성, 호혜성, 신뢰성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업재활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지역사회 교류를 활발히 지원하여야 한다. 직업재활시설에서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종사자들이 각종 네트워크와 업무 외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야 한다. 둘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들의 직무특성에 맞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훈련 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 수에 대한 현실적인 충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인건비 지원을 위한 재원 확보가 중요하다. 그리고 직업재활시설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하여 궁극적으로 직업재활시설의 중앙 환원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본 연구를 시작으로 일자리 복지 활성화에 걸맞게 장애인직업재활 종사자의 사회자본에 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Practitioners on Job Competency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Major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Lee Yun A Supervised by Kim Dong J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practitioners on the job competency and seek the effective way to increase the job competenc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practitioners based on the result. A survey was carried out in 562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handicapped for the research objective and 180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reliability measurement, descriptive statistic,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WIN SPSS 21.0 statistic program.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social capital according to socio- demographic variabl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practitioners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and average monthly income. The difference in social capital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 was not out of proportion but practitioners who are in attendance or graduated at graduate school has more social capital generally. And the higher position and average monthly income, the more social capital as well.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competenc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practitioners, depending on sex, educational background and position. Male was found to have higher job competency than female and the position was proportional to job competency. And the higher education background, the higher job competency but it was not directly proportional. Third, the result of analyze in cor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job competen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ocial capitals, the solidarity, exchange, basic behavior, reciprocity, connectivity and trust were found to have high correlation in the management relationship. Fourth, the solidarity and connectivity in social capitals had significant influence in job competency but exchange, reciprocity, trust did not. On the basis of research result, this study could suggest as follows to improve the job competenc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practitioners. First, the active support for the interchange between local communi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practitioners are needed.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re required to take long term view and support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network and local community exchange. Second, the opportunity for systematic and effective training is required and it needs to be appropriate and suitable for job characteristic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practitioners. Third, the number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practitioners need to be increased and reinforced. Thus, it’s important to secure financial resource for personnel expenses. And ultimately,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need to revert to the center for the stable development of facilities. Fourth, it’s expected to see follow-up study regarding the social capit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practitioners with this study as beginning to invigorate and promote the welfare at work.

      • 정신장애인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은아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ABSTRACT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ocial Integr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Major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Jung Eun-a Supervised by Kim Dong Joo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influencing social integr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effect sociodemographic factor, disorder-related factor, vocational rehabilitation-related factor,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 has on the social integration and to seek for service and intervention plan to improve social integr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to attain this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ocial integration level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 Third, what relation disorder-related factor, vocational rehabilitation-related factor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 of the mentally disabled has with social integration? Fourth, what effect disorder-related factor, vocational rehabilitation-related factor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 of the mentally disabled has on social integration? This study sampled the mentally disabled using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of Seoul, Gyeonggi, Gwangju and North Jeolla Regions, distributed 700 copies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344 copies were used for research analysis. T-test, F-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18 according to research subject.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actors having difference according to social integration level of sociodemographic factors were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religion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family. Disease duration of correlation between disorder-related factor and social integration was -.190(p<0.01), which indicated a negative correl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related factors, vocational rehabilitation desire was .122(p<0.05),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ttitude was .150(p<0.01), which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ocial support of socioenvironmental factors was .354(p<0.01), which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social stigma was -.145(p<0.01), which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e factor meaningfully influencing social integration was socioenvironmental factor;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but social stigma had a negative influence. Through these results, I suggest as follows: First, programs for promotion of supportive environment are needed to improve social support for the mentally disabled. Also, we need to expand service in hospital,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rehabilitation center to raise the qualitative aspects such as informational support and functional support as well as social support. Second, positive intervention is needed to reduce social stigma of the mentally disabled. Programs to help have a proper understanding are necessary through understanding, prevention education, experience and campaign regarding mental handicap targeting the whole local community. 국 문 초 록 정신장애인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직업재활학전공 정은아 지도교수 : 김동주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 관련 요인, 직업재활 관련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이 사회통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서비스와 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들의 사회통합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정신장애인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사회통합 수준에 차 이가 있는가? 셋째, 정신장애인들의 장애 관련 요인, 직업재활 관련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은 사회통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넷째, 정신장애인의 장애 관련 요인, 직업재활 관련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은 사회통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경기․광주․전북 지역의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임의표집하여 구조화된 설문지 700부를 배포하였고, 344부가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문제에 따라 수집된 자료는 SPSS 18을 이용하여, t-test, F-검증, 피어슨 상관계수 r,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사회통합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요인은 성별, 결혼여부, 학력, 종교, 가족의 월평균 소득으로 나타났다. 장애 관련 요인과 사회통합과의 상관관계는 유병기간이 -.190(p<0.01)로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직업재활 관련 요인 중에는 직업재활욕구가 .122(p<0.05), 직업재활태도는 .150(p<0.01)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회환경적 요인 중 사회적지지가 .354(p<0.01)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사회적 낙인은 -.145(p<0.01)로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회통합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사회적 낙인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정신장애인들의 사회적 지지 향상을 위해 지지적인 환경조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지지 뿐만 아니라 정보적 지지, 기능적 지지 등 질적인 측면을 향상시키기 위해 병원, 사회복지관, 재활기관 등에서 서비스를 확대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신장애인 사회적 낙인 감소를 위해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전체 대상으로 정신장애 이해 및 예방교육, 정신장애체험, 캠페인 등을 통해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는 프로그램 필요하다.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Network Embeddedness on Enterprise Performance in Private Start-up Enterprises in China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n Dynamic Capabilities and Innovation Capabilities

        가굉달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15

        Since China's embrace of reform and opening up, the private sector of the economy has blossomed forth with celeritous development, contributing greatly to the sustained burgeoning of the national economy and economic transformations afoot. Private enterprises have furnished over half of tax revenues, accounted for more than three fifths of domestic gross value added, engendered over seventy percent of technical innovations, provided over four fifths of urban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formed over nine tenths of the total number of enterprises. These figures evince privately unequivocally that the private economy functions as a prime impetus of China's economic advancement, playing an irreplaceable role in economic expansion, employment, and innovative vigor. Nevertheless, in their development private start-up enterprises have faced a series of challenges in raising enterprise effectiveness, encountering the ensuing problems therein. Limited by circumscribed resources and capital, some enterprises may overlook the cardinal importa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ioritizing pecuniary interests to the disregard of environmental protection, staff welfare, and social contribution. This shortsighted profit-driven mode of operation could work to the detriment of the enterprise image and reputation, restricting the potential for long term sustainable growth and performance enhancement. Private start-up enterprises may experience difficulties in achieving network embeddedness. Compared with large corporations or state-owned enterprises, private neoteric firms have relatively meager resources and webs of relation. The dearth of cogent partnership and supply chain networks could curtail the enterprise's power to procure resources, market opportunit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Moreover, the lack of effective network embeddedness may also lead to informational asymmetry, onerous market access, and other issues impacting enterprise competitiveness and effectiveness. Dynamic capabilities denote the enterprise's facility to adapt to and react to continually mutable external settings, encompassing innovation, acquisition, and adaptability. However, constricted by circumscribed resources and scale, private start-up enterprises could suffer from inadequate R&D investment and innovative skills, finding it vexing to adjust strategies seasonably or react to market fluctuations, limit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performance enhancement. Creativity is a prime moving factor for corporate growth and competitiveness. But private fledgling enterprises face difficulties in research and progress funding, talent recruitment and intellectual property safeguarding. The want of sufficient R&D commitment and innovative provisions, as well as the lack of cogent innovative administration, could lead to insufficient innovative abilities, restraining product or service pioneering of enterprises and affecting performance elevation. Chinese private start-up enterprises necessitate vanquishing problems relating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network embeddedness, dynamic capabilities and innovative skills in boosting enterprise effectiveness. By strengthening CSR cognizance, institut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cultivating dynamic competencies and accentuating innovative abilities, enterprises can effectively meet these challenges, escalate performance levels and accomplish sustainable progression. With this, the present research takes Chinese private start-up enterprises as the object of study, tak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network embeddedness as independent variabl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ynamic capabilities and innovative abilities. Drawing on stakeholder theory, embeddedness theory, dynamic capability theory and innovation theory, a theoretical analytical framework has been constructed for examining the impacts of these variables on enterprise effectiveness. This study endeavors to reveal the underlying mechanisms by whic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network embeddedness of private start-up enterprises affect enterprise effectiveness in the context of private economy, hoping to further enrich relevant theoretical research and propose pragmatic and policy recommendations to boost enterprise performance. To realize such research aim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dynamic capabilities, innovation capabilities, and enterprise performance of private start-up enterprises? Second, what is the impact of network embeddedness on dynamic capabilities, innovation capabilities, and enterprise performance of private start-up enterprises? Third, what is the impact of dynamic capabilities and innovation capabilities on enterprise performance of private start-up enterprises? Fourth, do dynamic capabilities have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network embeddedness and enterprise performance of private start-up enterprises? Fifth, do innovation capabilities have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network embeddedness and enterprise performance of private start-up enterprises? This study takes its research questions as the basis and constructs a research model by analyzing prior research, proposing 12 research hypothese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an initial survey conducted to validate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of the scales. Off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relevant personnel networks, while onlin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the survey platform (https://www.wjx.cn/), lasting 39 days. Surveyed enterprises were distributed across 18 provincial administrative regions in China. A total of 67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mally, of which 81 were invalid questionnaires(12.1%), and 591 were valid questionnaires(87.9%). SPSS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MOS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path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All 12 hypotheses proposed in this study were validat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dynamic capabilities, innovation capabilities and enterprise performance of private start-up enterprises. Secondly, network embeddednes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dynamic capabilities, innovation capabilities and enterprise performance of private start-up enterprises. Thirdly, dynamic capabilities and innovation capabiliti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nterprise performance of private start-up enterprises. Fourthly, dynamic capabilities play a mediating role respectively in the proces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s impact on enterprise performance of private start-up enterprises and the impact of network embeddedness on enterprise performance. Fifthly, innovation capabilities play a mediating role respectively in the proces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s impact on enterprise performance of private start-up enterprises and the impact of network embeddedness on enterprise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to improve the enterprise performance of Chinese private start-up enterprises. Policy suggestions include: Firstly, the government can establish incentive mechanisms and tax preferential policies to build a scientific and feasible system for assess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 evaluate and monitor private start-up enterprises and promote their fulfillment of social responsibility. Secondly, government departments should establish effective cooperation mechanisms to strengthen information sharing and resource integration to provide one-stop government services for private start-up enterprises, simplify business procedures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network embeddedness. Thirdly, the government can set up entrepreneurship training centers to provide professional training and consulting services to help private start-up enterprises improve management capabilities and operating skills, thereby enhancing their dynamic capabilities. Fourthly, the government should increase investment in scientific research and innovation infrastructure to provide advanced R&D facilities and laboratory resources and create a good environment for innovation for private start-up enterprises. Practical suggestions include: Firstly, enterprises should strategically emphasize and actively fulfill thei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hen fulfill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nterprises should pay attention to its multilayered nature, in addition to safeguarding shareholders' legal rights, they should also take into account the interests of multiple stakeholders and balance internal and externa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econdly, private start-up enterprises should focus on the influence of new media and build a good online brand image. Enterprises can utilize internet platforms for product promotion and marketing. Thirdly, enterprises should encourage employees to continuously learn and improve their own capabilities through organizing internal training, external training and knowledge sharing to improve employees' professional skills and knowledge and enhance the dynamic capabilities of the enterprise. Fourthly, enterprises should establish an innovative value orientation and encourage employees to propose innovative ideas and solutions. At the same time, enterprises can establish innovation incentive mechanisms to motivate employees to actively participate in innovative activities and transform innovation achievements into actual business operations. Academic suggestions include: First, the surveyed enterprises are only from certain industries and regions in China.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future research to cover more regions and industries with private start-up enterprises. Second, there i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e research model to observe the impacts of other variabl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of this study. Third, it is necessary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with open-ended questions to extensively solicit opinions from the survey subjects. 중국 민영 스타트업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네트워크 배태성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적역량과 혁신역량을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대학원 사회적 경제·경영학과 가굉달 지도교수: 김동주 개혁개방 이래 중국의 민영경제는 국민경제의 지속적 성장과 경제체제 변 화에 큰 기여를 하였다. 민영경제는 세수입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국내총생 산(GDP)의 60% 이상을 이루며, 기술 혁신성과의 70% 이상을 창출하고, 도 시 노동 일자리의 80%를 제공하며, 기업 수의 90%를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민영경제가 중국 경제 발전의 핵심 엔진으로 작용하며, 경제 성장과 고용 창출, 혁신에 불가결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명확히 입증하고 있다. 그러 나 민영 스타트업 기업은 성장과정에서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자원과 자금이 제한된 상황에서 일부 기업은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경제 적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며, 환경 보호, 직원 복지, 사회 공헌 등을 소홀히 할 수 있다. 이러한 단기적인 이익 중심적 경영은 기업의 이미지와 평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기업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과 성과 향상을 제약할 수 있다. 자원과 자금의 한계로 일부 기업은 사회적 책임을 간과하고, 단기적 경제적 이익에 집중하는 경영 방식을 택할 수 있다. 환경 보호, 직원 복지, 사회 공헌 등에 소홀히 함으로써 기업 이미지와 평판을 훼손하고,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 과 성과 향상을 제약할 수 있다. 네트워크 배태성 분야에서 민영 스타트업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대규모 기업이나 국영기업에 비해 자원과 관계 네트워크가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 다. 파트너 및 공급망 네트워크의 부재는 자원 확보, 시장 기회 및 기술 혁신에 제한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네트워크 부족은 정보 비대칭성과 시장 진입 난 이도 등을 야기하며, 기업의 경쟁력과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동적 역량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고 대응하는 기업 능력을 말한다. 그러나 자원과 규모의 제한으로 민영 스타트업은 충분한 연구개발 투자와 혁 신 능력이 부족할 수 있으며, 적시에 전략을 조정하기 어려워 시장 변화에 대 응하는 능력이 제한될 수 있다. 혁신은 기업의 성장과 경쟁력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민영 스 타트업은 연구개발 자금, 인재 유치, 지식재산권 보호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충분한 투자와 자원 부족, 효과적인 혁신 관리 부재는 혁신 역량을 저하 시키고 제품/서비스 혁신과 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국의 민영 스타트업 기업은 기업 성과 향상을 위해 사회적 책임, 네트워 크 배태성, 동적 역량, 그리고 혁신 역량과 같은 다양한 측면의 문제를 극복해 야 한다. 이러한 과제에 대처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 사회적 책 임 의식을 강화하고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동적 역량과 혁신 역량을 향상시키 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의 민영 스타트업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 임과 네트워크 배태성이 동적 역량과 혁신 역량에 미치는 매개효과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해관계자 이론, 배태성 이론, 동적 역량 이론, 그리고 혁신 이론을 참고하여 이러한 변수들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분 석하기 위한 틀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민영경제의 배경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네트워크 배태성이 민영 스타트업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내재적인 메 커니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기업 성과에 관련된 이론적 연구를 보다 풍 부하게 하고, 실천적이며 정책적인 제언을 통해 기업 성과를 향상시키는 방안 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연구 모형을 구축 하고, 이를 기반으로 12개의 연구 가설을 제시하였다. 이후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지를 설계하고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 다. 오프라인 조사는 관계자를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온라인 조사는 https://www.wjx.cn/플랫폼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총 39일 동안 설문조사 를 진행하였고, 조사 대상 기업은 중국 18개 성급 행정구에 분포되어 있었다. 조사 결과, 회수된 설문지 중 81건이 무효 설문지(12.1%)로 처리되었고, 591 건이 유효 설문지(87.9%)로 분류되었다. SPSS를 활용하여 기술 통계, 신뢰도 및 탐색적 요인 분석을 수행하였고, AMOS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 판별 분석, 경로 분석, 그리고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12개의 가설은 모두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책임은 민영 스타트업 기업의 동적 역량, 혁신 역량, 그리고 기업 성과에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네트워크 배태성은 민영 스타트업 기업의 동적 역량, 혁신 역량, 그리 고 기업 성과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적 역량과 혁신 역량은 민영 스타트업 기업의 기업 성과에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적 역량은 사회적 책임이 민영 스타트업 기업의 기업 성과에 미치 는 영향, 그리고 네트워크 배태성과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혁신 능력은 사회적 책임이 민영 스타트업 기업의 기업 성과에 미 치는 영향, 그리고 네트워크 배태성과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 각각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민영 신생 기업의 기업 성과를 개선하 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실천적, 학술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정책적 제언은 첫째, 정부는 과학적이고 실행 가능한 사회적 책임 평가시스 템을 구축하고, 민영 스타트업 기업에 대한 평가와 모니터링을 강화하여 기업 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촉진할 수 있도록 장려 메커니즘과 세수 우대정책을 도 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효과적인 정부 부문 간 협력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정보 공유와 자원 통합을 강화하며, 민영 스타트업 기업에게 원스톱 정무 서비스를 제공하고, 업 무 프로세스를 간소화하여 기업 네트워크 배태성의 효과를 높여야 한다. 셋째, 창업 훈련센터를 설립하여 전문 훈련과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민 영 신생 창업기업의 관리 능력과 경영 기능을 향상시키며, 기업의 동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넷째, 과학연구와 혁신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선진적인 연구개발 시설과 실험실 자원을 제공하여 민영 스타트업 기업에 유리한 혁신 환경을 조 성해야 한다. 실천적 제언은 첫째, 기업은 사회적 책임 이행을 전략적으로 고려해야 하 며, 주도적이고 적극적으로 사회적 책임을 수행해야 한다. 사회적 책임의 다층 성을 고려하며, 주주의 합법적 권익을 보호하는 동시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고려하여 내외부 사회적 책임을 균형 있게 추구해야 한다. 둘째, 민영 스타트업 기업은 인터넷 매체의 영향력을 인지하고, 견고한 인 터넷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야 한다. 인터넷 플랫폼을 활용하여 제품 및 시장 홍보를 강화할 수 있다. 셋째, 기업은 직원의 계속적인 학습과 능력 향상을 촉진해야 한다. 내외부 훈련 및 지식 공유를 통해 직원의 전문성과 기술을 향상시키고, 기업의 동적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기업은 혁신에 대한 가치관을 정립하고, 직원들에게 창의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촉진해야 한다. 혁신을 위한 인센티브 메커니즘을 구축하여 직원 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실제로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야 한다. 학술적 제언은 첫째, 조사 대상 기업은 중국의 일부 산업과 지역뿐이다. 따 라서 미래의 연구는 민영 스타트업 기업이 있는 더 많은 지역과 업종을 포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결과를 요약하는 데 한계가 있다. 연구 모형을 더욱 발전시켜 다른 변수들이 본 연구 변수들 사이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필요가 있 다. 셋째, 조사 대상자의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렴하기 위해 열린 질문과 함께 정성적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 중국 사립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적응력과 창업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유륜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15

        중국 사립대학생의 주도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진로적응력과 창업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적경제 경영학과 사회적경제전공 유륜륜 지도교수 김동주 최근의 청년 실업 문제와 취업 난으로 인해 고용 시장이 어려워지 고 있어, 대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부합하는 진로와 일자리 를 얻는 것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졸업생들의 취업 문제는 사립 대학의 미래뿐만 아니라 개별 학생들에게 중요한 부분일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도 관련이 깊다. 창업은 젊은 인재들 에게 품질 높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사립대학생들이 가진 주도적 성 격, 사회적 지지, 진로 적응력, 그리고 창업 자기효능감이 창업 의지 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 사회적 지지, 진로적 응력과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는 어떠한가? 둘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는 진로 적응력,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의지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는 진로 적응력,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진로적응력, 창업자기효능감은 창 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진로적응력, 창업자기효능감은 주도적 성격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가? 여섯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진로적응력, 창업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와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가? 중국의 절강성 지역을 중심으로 한 대학생 창업 활동을 연구 대상 으로 설정하였다. 중국 절강성에 위치한 사립대학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총 887부의 유효한 응답 데이터를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과 AMOS 25.0을 활용하여 기술적 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 그리고 매개효 과 분석 등의 다양한 통계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 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도적 성격은 진로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립대학 대학생 중 주도적 성격이 높을수록 진로적응 력이 높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들은 자신의 커리어 계획을 세우 고 환경을 적극적으로 변화시키며, 동료들과의 관계를 통해 적절한 기회를 발견하고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주도적 성격은 창업의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도적 성격을 가진 대학생들은 상황에 도전하는 성향이 강하며, 기회를 찾고 개척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창업 의지가 높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주도적 성격은 창업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도적 성격을 가진 대학생들은 혁신적 사고를 통 해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통해 창업에 필요한 능력과 자신감을 키울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넷째, 사회적 지지는 진로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정보, 정서적 지원을 통해 진로 관리를 도와 주고, 대학생들의 진로 적응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다섯째, 사회적 지지는 창업의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를 받은 대학생들은 목표를 실천하고 창업 의지를 실현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여섯째, 사회적 지지는 창업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과정에서의 사회적 지지는 창업자의 안정감과 자신감을 키워주고, 자기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일곱째, 진로적응력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적응력을 갖춘 대학생들은 변화하는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과 자원을 갖추어 창업 의지를 높일 수 있다. 여덟째,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높은 창업자기효능감을 가진 대학생들은 더 강한 신 념과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아홉째, 주도적 성격과 창업의지 간에는 진로적응력과 창업자기효능 감의 간접효과가 나타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열 번째, 사회적 지지와 창업의지 간에도 진로적응력과 창업자기효 능감의 간접효과가 나타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다음과 같 이 제시하였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첫째, 중국 정부는 창업 교육체계를 강화하여 창업 교육의 품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둘째, 창업을 원하는 학생들을 위한 자금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 다. 대학생들을 위한 창업 자금 지원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창업 대출, 벤처 투자, 그리고 창업 보조금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창업과 관련하여 정부는 지속적인 정책적 지지와 홍보에 투자 해야 한다. 창업자들에게 유리한 창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사무실, 장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적 재산권 보호를 강 화하고 혁신과 창업을 촉진하며, 창업 등록 및 승인 절차를 간소화해 야 한다. 실천적 제언으로는 첫째, 대학 창업 교육체계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적 지지 자 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창업 교육에서는 학생들의 주도적 성격을 강조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창업 교육은 이론적 지식 뿐만 아니라 창업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학생들의 주도적인 성향을 키 우는 데 주력해야 한다. 셋째, 창업 교육과정에 진로적응력을 포함시켜야 한다. 넷째, 사립대학은 창업 분위기를 조성하여 학생들의 창업 자신감을 높이는 데 노력해야 한다. 다섯째, 주도적이고 잠재력 있는 창업가를 중점으로 한 교육 프로그 램을 마련해야 한다. 중국 사립대학생들이 선택한 창업 분야에 맞춰 맞춤형 사업가를 초청하여 멘토링하고 지도하여 학생들의 창업 의지 를 증진시킬 수 있다.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으로는 첫째, 현재 연구는 잠재적 창업가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창업 의지와 실제 창업 간의 관련성을 다루지 못하였다. 둘째, 자료수집과 자료의 다양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전국적인 표본을 추출하여 지역별 창업 활 동을 비교하는 연구가 의미 있을 것이다. 또한, 주도적 성격 및 사회 - xviii - 적 지지와 창업 의지 사이의 관계 외에도 다른 요인들의 영향을 탐구 하는 연구 모형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Recently, due to the challenges in the job market, including high youth unemployment and job scarcity,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are finding it increasingly difficult to secure desired careers and jobs that align with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The issue of post-graduation employment is not only crucial for the future of private universities but also holds significanc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as a whole. Entrepreneurship is of great importance as it offers quality job opportunities for young individual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active personality,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among Chinese private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Firstly,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ith entrepreneurship intention among Chinese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econdly, how does proactive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relate to career adaptabilit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among Chinese private university students? Thirdly, what is the impact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adaptabilit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among Chinese private university students? Fourthly, how do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fluence entrepreneurship intention among Chinese private university students? Fifthly,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Finally,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 study focused on the Zhejiang Province of China, which is characterized by a thriving environment for student entrepreneurship, and collected data from students enrolled in private universities within the region. The survey resulted in 887 valid responses, which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PSS 26.0 and AMOS 25.0,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roactive personality positively influences career adaptability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tudents with a proactive personality exhibit higher career adaptability, demonstrating a clear career plan and a proactive approach to changing their environment. Secondly, proactive personality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Those with a proactive personality tend to challenge the status quo rather than passively accept their roles, actively seek opportunities, and are effective in identifying and seizing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Thirdly, proactive personality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tudents with a proactive personality employ innovative problem-solving techniques, which lead to the discovery,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potential commercial opportunities, enhancing thei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ourthly, social support positively affects career adaptability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ocial support provides information, emotional backing, and material assistance, facilitating active career management and enhancing career adaptability. Fifthly, social support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Higher levels of social support enable students to pursue their goals and intentions, including entrepreneurial endeavors. Sixthly, social support positively affect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ocial support during the entrepreneurial process assists entrepreneurs in overcoming challenges, increasing self-assurance and confidence in thei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eventhly, career adaptability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Higher career adaptability enables students to adapt to changes in their environment and develop more psychological resources and capabilities, making them more likely to have entrepreneurial intentions. Eighthly,entrepreneurial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tudents with high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ve strong beliefs in their ability to overcome current difficulties and to achieve their goals, including starting a business. Ninthly, the study reveale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f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well as between so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policy, practical, and academic recommendations: As a policy suggestion, First, the Chinese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qual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by strengthening the establishment of a entrepreneurship education system. Second, the necessary start-up funding support policy must be prepared. The government has observed that it establishes a mechanism for supporting start-up funds for college students and provides start-up loans, venture investments, and start-up subsidies. Third, investment should be made in supporting and promoting start-up policies.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low-cost offices, equipment, and services to provide a good start-up environment for founders. The government should als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encourage innovation and start-ups, and reduce the threshold for registration and approval of start-ups. As a practical suggestion, first, the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system should be abundantly supplemented by sufficiently mobilizing various social support resour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ormation of proactive personality in startup educa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uld focus more on cultivating the proac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s well as helping college students acquire knowledge of entrepreneurship theory and entrepreneurship practice skills. Third, fostering career adaptability should be included in the entrepreneurship curriculum. Fourth, private universities should contribute to enhancing student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by creating an atmosphere of start-up. Fifth, schools should focus on fostering potential entrepreneurs with strong initiativ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trengthen students' entrepreneurship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by inviting customized entrepreneurs to train and guide mentors according to the field of start-up chosen by these college students. As a proposal for future research, first, it is unclear whether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will lead to actual start-up by dealing with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rather than the actual start-up behavior because college students, who are potential founders, were the subjects of the survey.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ctual start-up process Second, there are limitations in data collection and limitations in data diversity. In the follow-up study, it would be meaningful if a comparative study by wide area was conducted by extracting a national sampl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e research model so that the influence of other paramet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ing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and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measured in this study can be examined.

      • 정부지원이 전라북도 사회적경제기업의 사회적가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특성과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경래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social economy is being used as an alternative economic model that overcomes the contradictions and crises of the capitalist system and solves the problems of inequality,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the environment, and unemployment that modern society faces. The social economy has brought about remarkable growth in many countries based on the community initiative of cooperation and solidarity, common interests and social value creation. Unlike Europe's social economy, which has developed spontaneously centered on local communities, Korea's social economy has achieved high quantitative growth 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 government-led fostering policies. However, as the limitations of Korea's social economy ecosystem were revealed, the government policy was shifted to 'creation of an ecosystem in which social economy enterprises can grow on their own'. These policy changes have a great impact on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of Korea, which has not yet matured, and the creation of social value performance for sustainabilit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reality. This study selects government suppor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as factors influencing social value performance, which is the basis for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and examines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with various variables to ensure policy, practical, and It was intended to present academic implications. To this end, the Jeollabuk-do region, where social economic activities are revitalized, was set as the research scope,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and village enterprise managers and workers located in Jeollabuk-do. The research questions to be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in Jeollabuk-do?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in government suppor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ocial capital, and social value performance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in Jeollabuk-do?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ocial capital, and social value performance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in Jeollabuk-do? Fourth, how doe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and social valu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consisted of a questionnaire of 72 questions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Data of 467 response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6 to October 16, 2022, and SPSS 21 and Amos 23 were used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in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and social value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overnment suppor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performance, social performance, innovation performance,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structure, structural social capital, cognitive social capital, and relational social capital. Second, both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performance, social performance,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and social value performanc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First, as policy suggestions, supplementary measures for social economy enterprises with insufficient social value performance, discovery of policies that can increas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and substantialization of education for social economy enterprises were presented. Second, as practical suggestions, the need to increase the cognitive social capital of social enterprises, the creation of balanced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ocial value index (SVI),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social economy through solidarity and cooperation with the region and civil society were presented. Third, as an academic proposal, it was suggested that the scope of research on social value performance needs to be expanded to social, economic, and innovative performance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자본주의 체제에서 비롯된 모순과 위기를 극복하고 현대사회가 직면한 불평등, 빈부격차, 환경, 실업문제 등을 해결하는 대안적 경제모델로 사회적경제가 활용되고 있다. 사회적경제는 협동과 연대, 공동의 이익과 사회적가치 창출이라는 공동체적 이니셔티브를 기반으로 여러 국가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가져왔다. 지역사회 중심으로 자생적으로 발전해 온 유럽의 사회적경제와 달리, 한국의 사회적경제는 정부 주도의 육성정책으로 단기간에 높은 양적 성장을 실현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가 견고하지 못한 한계가 드러나면서 ‘사회적경제기업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으로 정부 정책이 전환되었다. 이러한 정책변화는 아직 성숙되지 못한 우리나라 사회적경제 생태계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지속가능성을 위한 사회적가치 성과의 창출은 현실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기업의 지속가능성 토대가 되는 사회적가치 성과의 영향요인으로 정부지원, 조직특성, 사회적자본을 선정하여 제 변인과의 영향관계 및 매개효과를 고찰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경제활동이 활성화된 전라북도 지역을 연구범위로 설정하고, 전라북도에 소재한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경영자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료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라북도 사회적경제기업의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전라북도 사회적경제기업의 정부지원, 조직특성, 사회적자본, 사회적가치 성과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전라북도 사회적경제기업의 정부지원, 조직특성, 사회적자본, 사회적가치 성과 간의 영향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정부지원과 사회적가치 성과의 영향 관계에서 조직특성과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72문항의 설문을 구성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2022년 9월 26일부터 10월 16일까지 467건의 응답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SPSS 21 및 Amos 23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정부지원과 사회적가치 성과의 영향 관계에서 조직특성과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 살펴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지원은 경제적성과, 사회적성과, 혁신성과, 조직문화, 조직구조, 구조적자본(Structural), 인지적자본(Cognitive), 관계적자본(Relational)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특성과 사회적자본은 모두 경제적성과, 사회적성과, 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부지원과 사회적가치 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특성 및 사회적자본은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경제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정책적 제언으로는 사회적가치 성과가 미흡한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보완대책 마련, 조직특성과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정책 발굴,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교육의 내실화가 제시되었다. 둘째, 실천적 제언으로는 사회적겅제기업의 인지적자본 증대 필요성, 사회적가치 지표(SVI)에 따른 균형 있는 성과창출, 지역 및 시민사회의 연대와 협력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가 제시되었다. 셋째, 학술적 제언으로는 사회적가치 성과에 대한 연구범위가 정부의 정책방향에 맞추어 사회적, 경제적, 혁신성과까지 확장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 Comparative Research of Social Economy and Marxist Economics : Comparative Research of Social Economy and Marxist Economics

        이소평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논문의 연구배경은 사회적 경제가 전 세계적으로 활성화되고 있으며, 현대사회의 사회적 거버넌스로 새롭고 혁신적인 매개체로 간주되고 있다는 것이다. 사회적 경제는 사회복지를 바탕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업모델을 운영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알렉스 니콜스(Alex Nichols)는 그의 저서 사회적 경제학자의 정신(The Spirit of a Social-Economist)에서 사회적경제를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 “서유럽에서는 정부와 유럽연합(EU)은 특히 사회적 경제를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분석하였다. 영국정부와 미국정부에서는 공공복지벤처자금과 새로운 재단은 사회적 경제 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일부 동유럽국가에서는 사회적경제의 발전에 있어 정부부처의 영향을 덜 받고 있지만 시장과 사회적 섹터의 하이브리드한 이중의 힘에 의존하고 있다: 아시아의 신흥공업국에서는 시장경제가 상대적으로 발전이 낙후된 경우에는 정부부처의 영향을 받고 있다. 사회적경제를 육성하는 토양은 주로 시민사회와 정부부처에 있다. 하지만 마르크스는 정치경제체계의 비판적 기여에 대한 서문(In the Preface to the Critical Contribution of Political Economy System)에서 정치경제의 대상으로 생산, 유통, 교환, 소비의 이론적 관계와 정치경제의 핵심적인 자산의 개념과 생산, 유통, 교환, 소비의 이론적 관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물질적인 생산은 인간의 생존과 사회발전의 목표이며, 가장 기본적인 인간의 실천활동이라것에 대한 오류를 지적하였다. 마르크스는 자본은 정치경제의 연구대상은 생산형태와 그에 상응하는 생산관계와의 기능이라고 분명하게 지적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경제와 마르크스 경제와의 관계를 역사적 배경, 개념, 주요 이론과 특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사회적 경제는 유럽과 미국에서 출현하였다. 사회적 경제는 상업적 활동을 통하여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새로운 모델은 고용, 환경문제, 그리고 취약계층을 위한 생활보조금과 같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점차 세계적인 관심과 인정을 받고 있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 선진국들은 일반적으로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고용률의 꾸준한 상승을 경험하였다. 또한, 유럽의 주요 선진국들은 높은 복지국가의 대열에 동참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석유파동과 세계경제 침체가 이어지면서 유럽의 선진국들은 심각한 수준의 경제적 위기에 시달리고, 정부지출은 지속적을 축소되었다. 현재 유럽은 사회와 경제, 도시의 변화와 발전의 과도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노인 간호서비스와 환경문제 등과 같은 새로운 사회적 요구가 점차 생겨났다. 게다가 소외된 집단의 실업과 빈곤 등 사회적 문제가 더욱 심각해졌으며, 이러한 환경 속에서 사회적 경제가 출현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유럽복지국가의 재정삭감과 새롭게 창출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없기 때문에 사회적 경제가 출현하게 되었다. 마르크스 경제 분야에서는 미국, 중국, 일본, 한국, 기타 국가의 학자들에 의해 대부분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사회적 경제와 마르크스 경제에 대한 비교는 이루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마르크스 경제와 사회적 경제의 관계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는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사회적 경제와 마르크스 경제가 공통점이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사회적 경제와 마르크스 경제의 특징, 성질, 제도적 구조, 이론적 방법, 그리고 둘 사이의 피할 수 없는 관계 즉 공통점, 상호보완성, 관계를 중심으로만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역사적 배경, 개념, 이론, 특징을 중심으로 5가지 측면에서 사회적경제와 마르크스 경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경제발전과 시장 경제발전에 이바지 하는 긍정적인 요소를 조합하여 실천 지침을 도출함으로 경제발전을 이룰 수 있다. 본 논문은 사회적 경제와 마르크스 경제와의 관계분석에 기초하여 5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1장은 이론으로 연구의 필요성, 연구목적, 연구문제, 용어의 정의 등을 주로 제시하였다. 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역사적 배경, 개념, 특성, 주요이론 등을 다루었다. 3장에서는 연구 대상, 연구범위, 연구구조 등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마르크스 경제와 사회적 경제의 역사적 배경의 비교, 주요 관점의 비교, 특징 비교 등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비교 결과는 마르크스 경제와 사회적 경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5장은 결론으로 요약, 제안, 제한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는 객관적인 사실에 의해 진행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경제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이론적 편견을 배제하고 두 이론의 경제 원리를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보편적이지 않고 다양한 연구들이 흩어져 있기 때문에 마르크스 경제와 사회적 경제를 정리하고 분석하는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하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역사적 맥락은 동일하다. 두 이론은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있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에서 출발하였다는 점이 유사하다. 차이점은 세대, 출현 장소, 시대의 배경에서 차이가 있다. (2) 개념적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두 이론은 사회적 모순을 해결하고, 사회적 저변에 주의를 기울이며, 사회적 모순을 더 심화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공통점이고, 차이점은 사회적 경제와 마르크스 경제는 이론적, 실천적 탐구의 양면에서 각각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3) 주요 관점이 동일하다. 두 이론은 취약계층의 사회복지에 집중하고 있다. 두 이론의 차이점은 경제적 규모, 경제적 위험에서 차이가 있다. (4)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두 이론은 경제적, 사회적, 인간 발달을 촉진하고 있다. 두 이론의 차이점은 경제적 소유권과 이익배분이다 (5) 주요 이론의 내용이 동일하다. 두 이론은 사회적 정의, 공정, 노동을 중요시하고 있으며, 차이점은 정부의 통제와 사회적 거버넌스에 있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회적 경제의 출현과 발전은 마르크스주의에서 요약한 사회발전의 기본원칙와 미래의 경제발전에 대한 다면적인 판단과 기본적인 원칙을 준수하고 있다. 둘째, 사회적 노동에 의해 창출된 가치는 가치 사슬에서 최고 위치에 있다. 마르크스 시대의 서비스 노동과 비교하여 사회적 경제는 사회에 제공하는 경제활동이다. 셋째, 마르크스주의는 경제 순환 서비스가 가치를 창출하고, 사회노동 가치를 창출한다. 사회적 경제는 마르크스 노동 가치이론의 축적과 발전이다. 본 연구의 연구과정에서의 제한점은 선행연구를 진행한 학자들의 개인적 의견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사회적 경제와 마르크스 경제에 대해 비교분석한 연구가 많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향후에는 사회적 경제와 마르크스 경제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research background of this paper is that the social economy is active all over the world and is regarded as a new and innovative medium for social governance in modern society. The social economy aims to solve social problems based on social welfare and uses a business model as a means of operation. In his book The Spirit of a Social-Economist, Alex Nichols comprehensively analyzed social economy: “In Western Europe, the government and the European Union (EU) play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social economy. Was done” analyzed. In the UK and US governments, public welfare venture funds and new foundations became important drivers of social economy development. In some Eastern European countries, social economy development is less influenced by government ministries, but relies on a hybrid dual force of market and social sectors: in emerging industrial countries in Asia, governments are relatively underdeveloped. The soil that fosters the social economy is mainly in civil society and government departments. However, in the Preface to the Critical Contribution of Political Economy System (In the "Preface to the Critical Contribution of Political Economy System)", Marx is the object of the political economy.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distribution, exchange, and consumption was explained in detail, and he pointed out the error that material production is the goal of human survival and social development and is the most basic human practical activity. It was clearly pointed out that the object of study of political economy was the function of the form of production and the corresponding relations of p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economy and the Marx economy, focusing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concepts, major theories and characteristics. Social economy emerged in Europe and America. The social economy is striving to achieve social goals through commercial activities. This new model plays an important role in solving social problems such as employment, environmental problems and subsidies for the vulnerable, and is increasingly gaining worldwide attention and recognition. After World War II, developed Western countries generally experienced sustained economic growth and steadily rising employment rates. Major developed countries in Europe began to join the ranks of high welfare states. However, as the oil shock and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in the 1970s continued, many European welfare states suffered from various levels of economic crisis. Government spending continued to decline. Currently, Europe is facing a transitional period of social, economic and urban change and development, and new social demands such as elderly nursing services and environmental problems are emerging. In addition, social problems such as unemployment and poverty of marginalized groups are becoming more and more serious. This environment became the soil from which the social economy emerged. The social economy emerged because the European welfare state's fiscal cuts and newly created social demands could not be met. In Marx's economic field, most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scholars from the United States, China, Japan, Korea, and other countries. However, looking at previous studies, there is no comparison between the social economy and the Marx economy. Therefore, how to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x economy and the social economy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believe that the social economy and the Marx economy have something in comm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ly on the characteristics, properties, institutional structures, theoretical methods, and inevitable relationships between the social economy and Marx economy, such as commonality, complementarity, and relationship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ocial economy and Marx economy in five aspects, focusing on historical background, concept, theory, and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economic development can be achieved by combining positive factors contributing to economic development and market economic development and deriving practical guidelines. This thesis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conomy and Marx economy. Chapter 1 is a theory, mainl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problem, and the definition of terms. Chapter 2 deals with historical background,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major theories as theoretical backgrounds. In Chapter 3, research methods such as research subject, research scope, and research structure are presented. Chapter 4 presents research results such as comparison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arx economy and social economy, comparison of main points, and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suggest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Marx economy and the social economy. Chapter 5 presents summarie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as conclusions. Economic development can be promo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conducted based on the current overview.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are to exclude theoretical biases and compare the economic principles of the two theories. Since this study is not universal and various studies are scattered, it takes a lot of time and energy to organize and analyze Marx's economy and social economy. Research results Thesis' findings: 1. Same in the historical context: Everyone has a good plan to solve the problems they face in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nd the differences are: generation, place of origin, era background. 2. Conceptual common ground: Solve social contradiction, pay attention the social floor, rein force social contradictions further. The difference: social economy and Marxist economy have their own strengths in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nquiry. 3. The main point of view is the same. Focus on the lowest group, social work. Differences: economic scale, economic risk, etc. 4. Same features: promoting economic, social and human development. The difference: economic ownership, profit distribution. 5. The main theories are the same: social fairness, justice, and labor. The difference: government power, social governance. Through this research method, this paper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social economy adheres to the basic principles of social development summarized in Marxism, multi-faceted judgments and basic principles for future economic development. Second, the value created by social labor is at the top of the value chain. Compared to service labor in the Marxian era, social economy is an economic activity provided to society. Third, Marx's economic cycle service creates value, and social labor also creates value. The social economy is the accumulation and development of Marx's labor value theory. The limitation in the research process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ersonal opinions of scholars who have conducted prior research. During the course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not many comparative studies of social economy and Marx econom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extensive research on social economy and Marx econom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