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놀이참여 실태

        홍현명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놀이참여 실태 홍현명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권혜진)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놀이참여의 일반적 경향과 개인 배경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신념의 경향은 어떠하며, 개인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참여(놀이참여 시간, 놀이참여 유형)의 경향은 어떠하며, 개인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충청남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4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놀이신념은 Fogle(2003)이 개발한 ‘부모 놀이신념 척도(Parent Play Beliefs Scale: PPBS)’를 번안하여 검토·수정한 이현지(2016)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놀이참여는 선행연구(원희영, 1998; 윤상인, 2010)를 기초로 구성한 정은혜(2018)의 질문지를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카이검증과 t검정,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신념은 놀이가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에 도움이 되는 즐거운 활동이라고 믿는 놀이지지 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개인적 배경에 따른 어머니의 놀이신념을 살펴보면, 학력에 따라 4년제 대졸인 어머니의 놀이지지 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가 자녀와의 놀이에서 놀이지지 신념을 가질 때 휴일놀이 참여시간이 높게 나타나고, 학습중심 신념을 가질 때 휴일놀이 시간이 낮게 나타났다. 즉, 놀이신념은 어머니의 학력과 휴일놀이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참여는 평일놀이 시간으로 30분-1시간을 가장 많이 보냈으며, 휴일놀이 시간은 2시간-2시간 30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는 자녀와 평일보다 휴일에 더 많은 놀이참여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와 놀이에 대체로 소극적인 수준으로 참여하고, 교수놀이유형에 더 높은 수준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배경에 따른 어머니의 놀이참여를 살펴보면, 만 4세의 자녀를 둔 어머니가 게임놀이에서 참여가 높았으며, 36-40세 연령의 어머니는 교수놀이에서 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는 평일놀이 시간보다 휴일놀이 시간에 신체놀이와 역할놀이의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놀이참여는 자녀의 연령과 어머니의 연령, 평일놀이 시간, 휴일놀이 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놀이참여의 일반적 경향과 개인 배경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여, 놀이의 중요성 및 유아의 발달에 대한 특성의 이해를 돕는 부모교육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TV육아예능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기본생활습관 지도 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분석 : -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중심으로 -

        권진아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TV육아예능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기본생활습관 지도 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분석 -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중심으로 - 권 진 아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권혜진) 본 연구는 TV육아예능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기본생활습관지도 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과 기본생활습관 형성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나아가 TV육아예능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적절한 아버지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육아예능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기본생활습관 지도 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1-1. 예절지도 장면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지도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1-2. 식사지도 장면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지도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1-3. 배변지도 장면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지도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1-4. 청결지도 장면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지도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1-5. 수면지도 장면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지도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15년 1월 4일부터 2015년 4월 26일까지 총17편을 시청하여 44개의 지도 장면을 추출, 총 91분 27초(1시간 31분 27초)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였다. 전사 자료는 기본생활습관장면에 따른 아버지의 지도전략과 영유아의 반응으로 범주화 되었다. 범주에 맞춰 정리된 자료를 각 분석 준거별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고 연구자의 주관성을 배제하고자 자료 분석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V 육아예능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기본생활습관 지도전략으로는 직접적인 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의 지도전략 중에서 직접적 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분명한 설명’과 ‘단호한 지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분명한 설명’의 하위 범주로 제안하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설득하기가 나타났다. ‘강화’에서는 칭찬・보상이 높게 나타났으며, ‘단호한 지시’의 하위 범주 중에서 명령・지시하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결과 적용, 활동 중지 순으로 나타났다. 간접적 지도에서는 ‘주의환기’만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기본생활습관 지도 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으로는 수용적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거부적 반응, 반문적 반응, 관련 없는 반응 순으로 나타났다. 수용적 반응 중에서 ‘순응적 수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상황적 수용’ 나타났다. 거부적 반응에서는 ‘소극적 거부’가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의 각 지도 전략에 따른 수용적 반응은 칭찬・보상, 주의환기, 명령・지시하기, 제안하기, 설득하기, 화내기, 결과 적용 순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각 지도 전략에 따른 거부적 반응은 벌주기, 활동중지, 위협하기, 결과적용, 화내기, 제안하기, 명령・지시하기, 설득하기, 칭찬・보상하기 순으로 나타났다.

      • 유보통합에 대한 유치원‧어린이집 부모의 인식

        지경애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 국문요약 > 유보통합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부모의 인식 지경애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권혜진) 본 연구는 유보통합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부모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유보통합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보 이원화체제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보통합의 필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보통합의 추진현황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4. 유보통합의 운영방식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5. 유보통합의 교사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6. 유보통합의 관리감독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A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부모 37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연구 절차는 예비조사를 거쳐, 본 조사를 4주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SPSS 21.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보 이원화체제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교육내용 및 프로그램에 차이에 있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분리되어 있어 불편한 점으로 부모들은 동일한 연령(만 3-5세) 임에도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이용 시간 및 비용에 차이가 있어 불공평하다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보통합의 필요성에 대해 대다수의 부모들은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보통합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유아교육의 질을 높이고 향후 공교육화를 위한다는 응답이 제일 많았으며, 유보통합이 불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부모가 필요에 따라 유치원과 어린이집 중에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셋째, 유보통합 추진현황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은 유아학비와 보육료 결재카드 통일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용시간, 교육과정 등 통합을 다음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다수의 부모들은 유보통합이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보통합의 운영방식에 대한 부모의 인식 중 유보통합에 참여하는 유아 연령 범위에 대하여서는 부모들은 만 3-5세, 정규적인 교육 및 보육시간으로는 부모들은 1일 8시간 이상 운영하는 종일제로 응답하였다. 교육 및 보육비용 부담에 대하여 기본과정은 국가가 부담, 방과 후 과정은 부모가 부담을 해야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부지원을 받을 경우, 우선적 지원 분야에서는 교육비 지원으로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람직한 운영 방식으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구분을 없애고, 연령과 부모의 희망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해야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유보통합 시 바람직한 교사자격 취득 방법으로는 지금의 형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보통합 시 통합교사 자격 구분 방법으로는 부모들은 연령(영아, 유아)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부모들은 영아와 유아의 교사자격 구분의 필요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유보통합 시 유아교육기관 설립유형에 대하여는 부모들은 지금의 형태로 유지하기를 원하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보통합 시 바람직한 기관 명칭으로는 영아학교(만 0-2세)와 유아학교(만 3-5세)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 교육과정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행정관리 주체가 누가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에 대해서 부모들은 교육부에서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통합 관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응답하였다.

      • 직장어린이집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기반 교육활동에 대한 부모 인식 및 만족도

        정민정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urrent states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grounding on the Reggio approach, and to provide significant base data for making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educational field more practical and efficient. The research questions set per such purpose are presented as follows. 1. How is the parental percep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employer-sup ported child care centers based on the Reggio Emilia approach? 2. How is parental satisfaction of child care centers in educational activiti e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based on the Reggio Emilia approa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paren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t the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 the Gyeonggi area, conducting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Reggio approach. Among the disseminated and returned questionnaires, 181 answe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by Hong Gyeong-ran (2008) was used, which was developed by reviewing the compatibility based on the literature on the Reggio approach. The questionnaire was consulted with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as corrected per the realities in educational activities at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is study then used the questionnaire after verifying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7 program. In the data process stage,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per parents' general backgrounds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 regarding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Reggio approac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satisfaction regarding educational activities grounding on the Reggio approach. The results this study showed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current daycare selection, knowing and choosing whether to apply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Reggio approach, most of the parents did not know whether to apply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Reggio approach when choosing a current child care center. As for the time when parents recognized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Reggio approach, most of the parents first sent their children to child care centers and then learned about the educational activities being applied through parental education at the centers. In addition, the awareness regard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being applied at the centers among many parents was low. To find out the reason why parents chose the current child care center,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s a result, regardless of the child care centers’ educational activities, most of the parents provided the answer 'because this center is operated by the company where I work.' On the other hand, a very small proportion of parents already knew about the center education activities or selected because other conditions were good regardless of the center education activities. Second, on the satisfaction of parents' child care centers with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child care centers operated by employers based on the Reggio approach, the questions were divided into subparts and asked: 'educational programs,' 'operational management,' 'physic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and 'parent education.‘ In each aspect, most were satisfied. For operation management, human environment, and parent education,' no one answered with the option ’very dissatisfied’; regarding educational programs and physical environment, 'very dissatisfied' had a proportion. As a result of thi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institution through continuous parental education for parents who lack information about the daycare center in workplace daycare cent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pen or guide parental education in a continuous and connected manner for parents who experience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Reggio Emilia approach.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so that parents can feel the satisfaction of parents even in the aspect of organizing various programs and a clean and safe physical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ing educational satisfaction of par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어린이집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기반 교육 활동의 실태를 파악하고 교육 현장에서 앞으로 나아가야 할 보다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활동을 위한 유의미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직장어린이집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기반 교육 활동에 대한 부모 인식은 어떠한가? 2. 직장어린이집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기반 교육 활동에 대한 부모의 어린이집 만족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기반 교육 활동을 적용하고 있는 경기지역의 직장어린이집 영유아 부모들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배포하고 회수한 설문지 중 181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레지오 접근법에 관련한 문헌들을 토대로 적합성을 검토받아 개발한 홍경란(2008)의 설문지를 유아교육 전문가와 협의하여 직장어린이집의 교육 활동 적용 실정에 맞게 수정한 뒤 타당도와 신뢰도를 거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기반 교육 활동에 대한 직장어린이집 부모의 일반적인 배경(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기반 교육 활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어린이집을 선택할 때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기반 교육 활동을 적용하는 곳인지를 알고 선택하였는지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의 부모가 현재 어린이집을 선택할 때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기반 교육 활동을 적용하는 곳인지를 모르고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기반 교육 활동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기반 교육 활동에 도입한 “레지오 접근법의 원리‘에 대한 인식은 근접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부모가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기반 교육 활동을 알게 된 시점에서는 상당수의 부모들이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낸 후 어린이집의 부모교육을 통해서 적용 중인 교육 활동에 대해 알게 된 것으로 나타났고 많은 부모들이 적용 중인 교육 활동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현재의 직장어린이집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왜 현재의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게 되었는지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어린이집 교육 활동과는 상관없이 ‘직장에서 운영하는 어린이집이라서’가 매우 높은 비율이 차지하는 반면 이미 어린이집 교육 활동에 대해 알고 있거나 어린이집 교육 활동과 상관없이 다른 조건들이 좋아서 선택한 경우가 가장 낮은 비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어린이집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기반 교육 활동에 대한 부모의 어린이집 만족도는 ‘교육 프로그램,. ‘운영 관리’, ‘물리적 환경’, ‘인적 환경’, ‘부모교육’으로 나누어 질문한 결과 각각의 측면에서 대부분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 관리 측면, 인적환경 측면, 부모교육 측면에서 ‘매우 불만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교육 프로그램 측면과,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는 ‘매우 불만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첫째, 직장어린이집에서는 어린이집의 정보가 부족한 부모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부모교육을 통해 기관에 대한 정보를 안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기반으로 한 교육 활동을 경험하는 부모들을 위하여 지속적이고 연결성 있게 부모교육을 열거나 안내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점점 높아지는 부모들의 교육적 만족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그램의 편성과 깨끗하고 안전한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도 부모들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영유아 사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최재원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영유아 사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고, 부모개인배경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함으로써 올바른 영유아교육의 방향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영유아 사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부모개인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영유아 사교육실태는 어떠하며, 부모개인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대상은 충청남도에 소재하며,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0세부터 만5세 자녀를 둔 부모 26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총 25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영유아 사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김승영(2003), 서금택(2004), 박순희(2006)연구에 사용되었던 질문지를 토대로 유아교육전문가 1인의 도움을 받아 본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버전을 사용하여, Cronbach’s a값과 백분율과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교차분석(χ²)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은 현행 영유아 사교육에 관심이 높고,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현행 영유아 사교육의 시작시기·종류·비용에 대해선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영유아 사교육의 구체적 시작시기에 대한 인식으로는 만4세가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실제로 만4세에 가장 많이 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효과시기에 대한 인식으로는 ‘초등학교’와 ‘사교육당시’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사교육에 자녀가 싫증을 느낄 때 부모들은 그만두게 한다는 응답보다 그래도 잠시 쉬더라도 시키겠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영유아 사교육의 과열현상의 원인으로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불신은 낮은 응답을 보였으며, 주로 ‘자녀가 뒤떨어지면 안된다는 생각’과 ‘입시위주의 영유아기 교육환경’이라고 답하였다. 이에 대한 문제해결방안으로 영유아교육의 체계적인 공교육 지원과 부모 스스로의 의식변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영유아 사교육을 실시하는 부모가 실시하지 않는 부모보다 더 많았고, 실시하는 이유로 대부분의 부모가 ‘자녀의 학습능력을 길러주기 위해’라고 답하였으며, 실시하지 않는 이유는 ‘영유아기에 자유로운 환경조성이 더 중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영유아 사교육의 결정은 어머니가 주로 주도하고 있었으며, 선택시 중요한 점으로 자녀발달과 아이의 적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류별로는 한글과 영어가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고, 학습지와 학원을 통해 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평균 10~29만원정도 영유아 사교육비로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부모들은 가정에서 지출되는 사교육비가 부담이 된다고 하였으며, 현행 영유아 사교육이 공교육화 될 시 아이교육을 위한 문화생활비에 사교육비를 보태겠다고 답하였다. 넷째, 부모개인배경에 따른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영유아 사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녀연령과 월평균수입에 있어서 자녀의 연령과 월평균수입이 높을수록 사교육을 더 실시하고, 만4세에 영유아 사교육을 시작했으며, 영유아 사교육비에 대해 더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와의 관계에 있어서 어머니일수록 어머니가 영유아 사교육을 결정하고, 아버지일수록 어머니, 자녀등과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획득경로에 있어서 어머니는 친구관계를 통해 주로 얻으며, 아버지는 이웃을 통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정에서 느끼는 사교육비 부담정도에 있어서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더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수에 있어서 자녀가 3명이상인 부모는 현행 영유아 사교육에 대한 인식이 가장 적절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부모직업유무에 있어서 직업이 없는 부모가 직업이 있는 부모보다 영유아 사교육비에 대한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여부에 있어 영유아 사교육의 시작시기에 대한 인식은 맞벌이를 하는 부모일수록 초등학교 때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며, 맞벌이를 하지 않는 부모일수록 만4~5세에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부모개인배경에 따라 영유아 사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차이가 있으므로, 부모개인배경변인에 따른 특성을 파악해서 체계적인 정부지원 정책 및 적합한 공교육 지원이 수행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이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최미선 순천향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 문 요 약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이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최미선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권혜진)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 및 유아문제행동 지도 전략의 일반적 경향,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 유아문제행동 지도전 략간의 상관이 있는지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이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 및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간의 상관관계 는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은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충청남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52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상순(2008)이 개발한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의 도구는 정민영(2013)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의 도구는 김연하(2007)이 개발한 도구를 유아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배부 및 회수는 2019년 8월 13일부터 9월 27일까지 연구자가 각 기관에 직접방문하고 배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의 처리는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이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편차(SD)과 평균(M)를 산출하였다.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이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적률상관계수(r)를 산출하였다.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이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 및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일반적 경향의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수준을 살펴보면, 전체 평균 5점 만점에 3.55로 보통 수준을 상회하였다. 구체적인 하위변인별로 살펴보면 인지적 공감(M=3.58), 정서적 공감(M=3.52)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수준을 살펴보면, 전체평균 5점 만점에 3.79로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하위변인을 살펴보면, 긍정적 예방전략 M=3.86과 긍정적 반응전략은 N=4.02로 높게 나타나 많이 사용하였으나, 부정적 반응전략(M=2.67)은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의 구체적인 하위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긍정적 예방전략, 긍정적 반응전략, 부정적 반응 전략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이 높을수록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감정과 상황을 유지하고, 유아가 느끼는 감정을 자신의 긍정적인 감정으로 유지하여 유아에게 부정적인 반응보다는 긍정적 반응전략을 자주 사용하고 유아가 사회적 기술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 큰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경향성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 하위변인과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하위변인 간에는 자기정서 조절하기 능력과 타인정서 조절하기 능력은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과 관계가 있음을 나타났으나 부정적 반응전략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인 간에 인지적 공감은 자기 정서 조절하기, 타인정서 조절하기 능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공감과 자기정서 조절하기 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인 정서 조절하기 능력과는 유의미한 상관은 보이지 않았다. 이는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지도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결과로 보인다. 셋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은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 모두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정서적 공감과 인지적 공감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예방전략과 반응전략에 영향을 미치며, 유아 교사들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긍정적 예방전략을 수립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공감능력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교사의 정서조절능력에는 자기정서 조절능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예방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자기정서 조절능력 역시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예방전략의 중요한 영향 변인임을 알 수 있다.

      • 영유아자녀를둔부모의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

        차선미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5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 차선미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권혜진)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 준의 차이를 살펴보고 중요도-실행수준(IPA)의 분석 결과를 알아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은 어 떠한가? 2.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의 차 이는 어떠한가? 3.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실행수준(IPA)의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C시와 A시에 위치한 영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 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1세~ 5세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 293명으로, 영유아 부모의 자녀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소미현 등(2013)이 개발한 도구 및 보건복지부의 ‘구강건강을 위한 수칙’을 이봄이 (2014)가 수정·보완한 선행연구를 기초로 추출하여 본 연구의 목적·대상에 맞게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IBM SPSS Statistics 25.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 하고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 중요도-실행수준(IPA) 매트릭스 분석 방법을 실 시하여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을 분석한 결과 구강건강관리영역과 구강건강교육영역 모두 중요도와 실행수준의 순위가 같았다. 구강건강관리영역에서는 ‘자녀가 치아가 아프다고 하면 빨리 치과에 가서 치료를 받게 한다.’문항의 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의 간식을 준비할 때 되도록 충치를 잘 일으키지 않는 음식을 준비한다.’의 문항 순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구강건강교육영역에서는 ‘자녀가 잠자기 전 칫솔 질 하도록 교육한다.’문항의 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가 간식을 먹 은 후 칫솔질 하도록 교육한다.’의 문항 순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 간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강건강관리와 구강건강교육의 두 영역 모두 중 요도 보다 실행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구강건강관리영역의 문항에서는, ‘자녀 의 간식을 준비할 때 되도록 충치를 잘 일으키지 않는 음식을 준비한다.’의 문 항이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구강건강교육영역의 문항에서는 ‘자녀가 간 식을 먹은 후 칫솔질 하도록 교육한다.’의 문항이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실행수준(IPA)분석 한 결과 구강건강교육영역에서 ‘충치는 예방이 중요하므로 자녀에게 칫솔질 방법을 교육한다.’, ‘자녀가 식사 후 칫솔질을 하도록 교육한다.’의 2개 항목들 이 자녀 구강건강교육에 있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이에 비해 행동으로 잘 실 행하지 않는 높은 중요도에 비해 낮은 실행수준을 보이는 2사분면에 위치하여 우선적으로 교육이 필요한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의 순위와 차이를 확인하고, 우선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영역을 알아 봄으로써 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한 부모교육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영유아 구강건강, 구강건강관리, 구강건강교육, 중요도, 인식, 실행수준 *이 논문은 2023년 12월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위원회에 제출한 교육학 석사(유아교육)학위 논문임

      • 유아교사의 그릿과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심효경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5

        유아교사의 그릿과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심효경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권혜진)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그릿과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상관이 있는지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그릿과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 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그릿 및 공감능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 한가? 2. 유아교사의 그릿,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충청남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그릿을 측정하기 위하여 차화연(2019)이 개발한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공감능력 도구는 박성희 (2004)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정숙(2003)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질문지 배부 및 회수는 2023년 7월 3일부터 8월 6일까지 연구자가 직접 및 SNS 배부 후 회수하는 방식으로 이루 어졌다. 자료처리는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해 Cronbach‘s ɑ를 산 출하였고, 유아교사의 그릿과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 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그릿과 공감 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모든 자료 처리는 SPSS 21.0을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 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그릿과 공감능력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그릿 하위변인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으며, 공감능력의 하위변인과 교사-유아 상호 작용 간에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그릿 하위 변인 간에는 열정, 끈기, 흥미지속은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간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의 하위변인 간에는 인지적 공감은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화작용 간에 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공감능력은 정서적 상호작용과 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언어적 상호작용과 행동적 상호작용과는 유의미한 상관은 보이지 않았다. 둘째, 유아교사의 그릿과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체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그 릿의 하위변인인 열정, 흥미지속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 으로 공감능력의 하위변인인 인지적 공감과 그릿의 하위변인인 끈기로 나타났 다. 유아교사의 그릿과 공감능력의 변인 중 독립 변수의 영향에는 각각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아교사의 그릿과 공감능력은 교사-유아 상호작 용에 영향을 미치며,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모 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릿의 하위변인인 열정은 교사- 유아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에 중요한 변인이 되 고 있음이 확인 되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그릿 및 공감 능력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를 볼 때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그릿과 공 감능력을 성찰하는 것에서 나아가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해주는 것이 필요하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높여가는 그릿과 공감능력에 따른 지도 방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사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유아교사, 그릿, 공감능력, 교사-유아 상호작용 ※ 이 논문은 2023년 12월 순천향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한 교육학 석사(유아교육)학위 논문임

      • 유아교육기관 방과 후 과정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담당강사의 인식

        이지선 순천향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논 문 요 약 유아교육기관 방과 후 과정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담당강사의 인식 이 지 선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권혜진) 본 연구는 충청남도 소재 방과 후 과정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담당강사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분석하여, 방과 후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의 방향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 방과 후 과정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담당강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충청남도에 위치한 영어 프로그램 공급회사 소속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유아교육기관에 파견되어 유아를 대상으로 영어수업을 실시하는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 담당강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충청남도에 여러 곳의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속한 영어 프로그램 공급회사의 규모와 운영되는 프로그램의 수, 그리고 소속되어 있는 강사의 수를 고려하여 4개의 회사 A(삼성), B(튼튼), C(YBM시사), D(동심)사를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은아(1996), 황혜영(2005)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참고하고 기타 관련문헌 이경우 외(2004) 유아영어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조사하여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였다.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SPSS/Window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한 후,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방과 후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담당강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담당강사들이 영어 특성화 활동 실시에 찬성하였고 유아교육기관에서 행해지는 영어 특성화 활동이 유아의 영어에 대한 흥미와 동기유발을 가져올 수 있다고 답했다. 방과 후 영어 특성화 활동에 적합한 교사는 담임교사와 영어 특성화 담당강사가 함께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인식하였으며, 활동내용은 간단한 대화듣기, 말하기가 다루어져야 하며 활동방법으로는 알파벳 이름 배우기라고 인식하였으며, 이런 모든 활동은 정규유아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 보육교사의 워라밸(WLB) 및 조직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윤서연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5

        < 국문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워라밸과 조직문화 인식의 전반적 경향성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개인배경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워라밸은 어떠하며 이는 개인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보육교사의 조직문화는 어떠하며 이는 개인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 내 A 지역과 B 지역 소재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5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워라밸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연구 도구는 김정운, 박정열(2008)이 개발한 ‘일과 삶의 균형(Work-Life-Balance)’ 척도를 유치원 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한 도구(이소담, 2017)를 본 연구 목적에 부합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조직문화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연구 도구는 박정열, 손미영(2016)이 개발한 일과 삶의 균형 조직문화 척도를 수정·보완 후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배부 및 회수는 2021년 7월 26일부터 2021년 8월 20일까지 4주간 실시하였고 E-mail 발송과 구글 설문지 설문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문항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고, 주요 변인의 분포 파악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보육교사의 워라밸과 조직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개인배경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일원분산분석 후 유의미한 차이를 갖는 경우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위해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통계처리는 SPSS 21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워라밸에 대한 일반적 경향성은 5점 만점 기준에서 볼 때 평균 3점보다 약간 낮은 정도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워라밸은 개인배경 중 최종학력, 재직기관 내 직급, 급여수준, 담당 영유아의 연령, 하루 평균 근무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보육교사의 연령, 결혼여부, 경력, 근무기관의 유형, 근무기관 보육교직원 수에 따른 워라밸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조직문화에 대한 일반적 경향성은 5점 만점 기준에서 볼 때 평균 3점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조직문화는 개인배경 중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 직급, 급여수준, 근무기관의 유형, 보육교직원 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보육교사의 경력과 담당 영유아의 연령, 하루평균 근무시간에 따른 조직문화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워라밸과 조직문화 인식에 대해 살펴보며 보육교사의 워라밸에 관한 실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 워라밸에 지속적인 관심과 보육교사의 워라밸을 위한 조직문화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