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김세란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통제력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여수시에 소재한 특성화고 고등학교 1, 2, 3학년300명 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설문지는 휴대폰 중독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한주리 허경호(2004)가 타당도를 검증한 ‘한국형 이동전화 중독척도’를 중학생의 인지적 수준에 맞게 수정한 이진영(2006)의 척도를 기본으로 박용민(2011)이 추가 보완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 설문지는 이승국(1999)이 개발하고 최효순(2002)이 수정·보완한 것을 측정 도구로 사용하였다. 학업스트레스 설문지는 오미향과 천성문(1993)이 개발한 학업스트레스 요인 설문지를 김혜자(2006)가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기통제력 설문지는 Gottfredson과 Hirschi(1990)에 의하여 연구된 자기통제력 개념을 기초로 하여 Grasmick, Tittle, Bursik 및 Arnerklev(1993)이 개발한 자기통제력 척도를 하창순(2004)이 한국판 자기통제력 척도로 타당화 작업한 것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최종 294명을 선정하여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하여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다.측정도구의 신뢰도 산출 및 사용된 각 변인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알아보았고,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알아보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의 스트레스,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 스트레스와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고,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학업스트레스, 자기통제력, 스마트폰 중독은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학업스트레스, 자기통제력, 스마 트폰 중독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은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학업스트레스에 의해 매개되는가? 분석을 통한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 학업스트레스, 자기통제력은 스마트폰 중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 학업스트레스, 자기통제력, 스마트폰 중독은 서로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자기통제력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청소년이 부모를 자율적이고 수용적이라고 지각할수록 스마트폰 중독은 적었고, 자신을 잘 통제할 수 있다고평가할수록 스마트폰 중독도 낮아졌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학업스트레스 또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청소년이부모를 자율적이고 수용적이라고 지각할수록 스마트폰 중독은 적었고, 학업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고 평가할수록 스마트폰 중독도 낮아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후속연구의 실용적인 연구 모색을 위한 시사점 및 결론 및 제언을 하였다.

      •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이 이용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손순임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이 이용아동에게 심리·사회적 적응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이 이용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도움이 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아동에게 긍정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에 기인하는 한편, 저소득 가정 아동의 복지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아동이 프로그램 에 만족도를 갖는다면 심리·사회적 적응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 연구문제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이 지역아동센터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에 대해 느끼는 만족도를 조사한 후, 이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에 관한 만족도가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10개의 기관을 방문하여 현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프로그램 만족도와 심리·사회적 적응정도를 살펴보았다.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프로그램 만족도는 5점 만점 기준에서 평균 3.53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사회적 적응수준은 5점 만점에서 평균 2.01로 적응상의 심각한 문제로 보이지는 않는다. 이로써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은 아동일수록 심리·사회적 적응관계에서도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사회적 위축, 우울·불안, 비행, 공격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이 이용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지역아동센터의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자아 정체감 형성에 중요한 시기인 만큼 학업의 영향력은 매우커지고 따라서 학습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우울·불안감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복지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저소득 가정과 결손가정에게 사회적 위축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문화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아동에게 문화, 체험, 견학 등을 제공하여 비행을 감소 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정서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상담, 심리치료, 부모와의 상담, 친구관계 형성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서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이 이용아동에게 미치는 만족도와 심리·사회적적응과의 관계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우울·불안, 사회적 위축, 비행,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지역아동센터는 지금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있어야 하며 프로그램의 전문성에 노력을 더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교사들의 재교육 및 제도적·재정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프로그램이 만족도와 심리·사회적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

        오정숙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중학교 2, 3학년에 재학중인 남, 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그들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라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청소년들이 가정과 학교 및 사회생활에 올바르게 적응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는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는 어떠한가? 2) 일반적 특성에 따라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는 어떠한가? 3)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 간에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4) 부모양육태도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는 어떠한지를 순천시에 소재한 중학교 2, 3학년 남, 여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은 전반적으로 부모 모두를 온정적?애정적이라고 지각하고 있었으며, 무시ㆍ무관심, 공격적ㆍ적대적, 거부적 순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청소년의 아동학대는 부모 모두 방임, 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방임을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중 학년에 따른 양육태도는, 부의 온정적ㆍ애정적 태도는 3학년 자녀보다 2학년 자녀에게 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들이 온정적ㆍ애정적 태도는 3학년 자녀보다는 2학년 자녀에게, 무시ㆍ무관심 태도, 거부적 태도는 2학년보다는 3학년 자녀에게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별에 따른 양육태도에서는 부의 거부적 태도에서는 여학생 자녀보다 남학생 자녀에게서, 모의 온정적ㆍ애정적 태도는 남학생 자녀보다 여학생 자녀에게 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성적에 따른 부모양육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년, 성별, 성적 등에 따라 아동학대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 피해정도 간의 관련성을 알아 본 결과, 부의 온정적ㆍ애정적 태도와 부의 정서적 학대, 방임은 의미 있는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으며, 모의 온정적ㆍ애정적 태도와 신체적, 정서적 학대도 의미 있는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의 공격적ㆍ적대적 태도를 많이 경험하는 학생은 부의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도 경험하게 되는 경향이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모의 공격적ㆍ적대적 태도를 많이 경험하는 학생은 모의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를 받을 수 있는 경향이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부모의 무관심적, 거부적 태도를 경험하는 학생이 부모의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을 경험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넷째, 부의 공격적?적대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에, 부의 무시?무관심적 태도는 방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의 양육태도가 공격적?적대적일수록 청소년의 신체적 학대가 크고, 무시?무관심적 양육태도일수록 적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의 양육태도가 공격적?적대적일수록 청소년의 정서적 학대에 영향을 미치며, 모의 양육태도가 온정적?애정적일수록 방임은 낮게, 무시?무관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조직몰입 및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오교선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여성의 일 . 가정 양립으로 인한 사회구조로 영유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보육교사의 질적 성장은 보육의 질적 성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조직몰입,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향상과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의 증진을 위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의 발휘와 어린이집의 효율적 운영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라 어린이집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보육교사의조직문화, 조직몰입, 직무만족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조직몰입,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조직몰입,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1. 어린이집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육교사의 조직문화를 통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2. 어린이집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을 통해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전라남도 S시에 근무하는 323명의 보육교사를 임의 표집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조직문화, 조직몰입,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연구결과를 위해 수집된 자료를 SPSS Ver 22통계처리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독립표본)검증과 one-way ANOVA(일원분산분석),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 scheffé검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조직몰입 직무만족도는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2.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문화를 통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미쳤다. 3.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몰입을 통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미쳤다. 즉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을 높게 인식한 보육교사가 조직문화, 조직몰입, 직무만족도를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지속적 몰입과 보수와 승진에서는 비교적 높지 않게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을 높게 인식한 보육 교사가 조직의 문화를 향상시키고, 조직의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지속적몰입을 증진시켜 직무전반, 동료관계, 보수와 승진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만족도

        최금희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way that how efficiently manage university students on analyzing affecting factors between participant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volunteer activity. To validate this, 200 university students conducted a survey using Park Hye-seong(2010)'s questionnaire for participant motivation and Kim Min-hwan(2003)'s questionnaire to find out satisfaction. Selecting 164 people as a final example to picking out date and using 'SPSS WIN 21' program to analyze study. This work showed measurement tools reliability output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variables for the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It is carried out with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 as to learn more effect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nt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set the researching subjectsfollowing.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typical features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nt motivation?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nt satisfaction? Third, How participant motivation of volunteer ac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d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s participant motivation of volunteering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to typical features. It was assayed that participation form through a students' association enhances participant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 volunteer.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satisfaction of student's volunteering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 Besides,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ircle activity generally are likely to hold high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of volunteering. Lastly, The more students have strong motivation and positive attitude the more they have high satisfaction. It showed that satisfaction due to volunteering was high by providing positive and active motivation of volunteering. Therefore, By emphasizing volunteering as part of regular events, not only student's volunteer activity would be strengthened but also satisfaction would be promoted too.

      • 靑少年 自願奉仕活動이 自我正體感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 : 靑少年赤十字(RCY) 奉仕活動 中心으로

        朴在哲 順天大學校 社會文化藝術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청소년의 개인특성 및 자원봉사 참여관련 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이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과학적 관리방안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먼저 선행연구를 통하여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정체감간의 관계에 대한 관련된 변인들을 추출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청소년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자원봉사참여관련 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으로 구분하여 독립변수로 구성하고, 자아정체감을 자아존중감, 성취동기, 사회성, 도덕성으로 구성하여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자아정체감에 대한 주요 문헌연구를 통하여 각 변인들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문항들을 확보하여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자아정체감에 관한 문항은 허정철(2005)이 개발한 도구를 수정 사용하였으며, 자원봉사활동의 개인특성요인에 관한 문항은 권순미(2000)가 개발한 도구와 최무연(2002)이 개발한 도구를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구성하였으며, 가정요인과 학교요인은 김대중(1999)이 개발한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고등학교 재학중인 청소년 중에서 청소년 적십자(Red Cross Youth: RCY)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1, 2학년 학생 중심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3년 7월 29일부터 2013년 8월 5일까지 선정한 학교에 우편으로 설문지를 배포한 후 RCY활동 지도교사를 통하여 남·여 학생들에게 충분히 설명을 하도록 주문하고 설문지 300부를 배포하고 수거된 287부 중 표기누락 및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하고 27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통계 분석을 위해 SPSS Windows 18.0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분석, Cronbach alpha 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t-test,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와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과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원봉사활동의 계획과 운영에 대한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청소년의 자원봉사참여는 청소년에게 긍정적이고 건전한 사고의 형성을 위해 매우 바람직한 활동이므로 이를 권장하고 실천할 수 있는 여건의 마련이 중요하다. 2. 자원봉사활동 참여청소년에 대한 부모 및 교사의 지지가 중요하다. 자원봉사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지지는 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따른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소들로 밝혀졌다. 3. 부모와 청소년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 자원봉사 참여 청소년은 부모가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체계적인 관리 및 운영이 필요하다. 즉, 청소년이 정기적으로 체계적인 계획 하에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경험학습과 사회참여를 유도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참여요인(횟수, 시간, 유형, 지속기간)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은 조기에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어린 청소년이 참여하여 활동 할 수 있도록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참여를 확대시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청소년에게 자원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 동아리 활동을 활성화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청소년은 사회참여의 기회가 제한되고, 전인적 인성발달에 많은 제한을 받고 있는 상황임을 고려하여, 자원봉사활동 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유익한 경험학습이 가능하도록 RCY등 동아리 활동에 청소년이 보다 쉽게 참여하고 유익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학교 및 가정, 지역사회의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지역아동센터의 합창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모윤숙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층 아동에게 합창프 로그램을 실시한 후 합창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전라남도 G군에 위치한 지역 아동센터 2곳에서 초등학교 1, 2 ,3학년의 저소득층 아동을 표집 하여 1 학년 4명, 2학년 4명, 3학년 2명으로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 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서 실시한 합창 활동은 2014년 8월 7일부터 2014년 11월 1일까지 주1회, 매 회당 40분씩 총 12회기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프로그램의 자아존중감 효과 검증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 이주리 (1994)의 역량지각척도를 사용하여 합창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사 전-사후검사,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를 통 해 자아존중감 점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검사지를 통해 수집된 점수는 통계적 유의수준을 .05로 하여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진 행하였다. 자아존중감 개념의 개념신뢰도 분석을 위해서는 크론바하 알파테스트(Cronbach alpha 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해 실험의 진행에 앞서 사전에 실험집단과 통 제집단이 동질성이 있는지를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분석하였고, 실험집 단과 통제집단이 사후 비교결과 차이가 있는지를 공분산 분석 (ANC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모든 영역에서의 사전사후 점수 변화가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 역아동센터의 합창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점수 상승폭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후속연구에서의 효과적인 적용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회기구성을 장기로 할 경우 지역아동 센터의 합창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공립유치원 방과후 과정 교사의 직무수행상의 어려움

        양은정 순천대학교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83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방과후 과정 교사들이 지각하는 방과후 과정의 현황과 직무수행상의 어려움을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가 개인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방과후 과정 교사들의 직무수행상의 어려움을 줄이고, 교사로서의 자기역량 강화와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높힘으로서 효율적인 방과후 과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방과후 과정 교사가 지각하는 방과후 과정의 현황은 어떠한가? 2. 방과후 과정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수행상의 어려움은 어떠한가? 3. 방과후 과정 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라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순천, 광양, 여수지역 소재 공립유치원 방과후 과정교사 112명이다. 연구도구는 Clark(1980)이 개발하고 D'Arienzo외 (1982)가 수정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질문지(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이며, 선행연구(김원희,2014; 심초혜, 2008)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 선형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0.05을 기준으로 하였다. 신뢰도는 크론바하 알파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과정 교사가 지각하는 방과후 과정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운영목적은 교육과 보육을 통합한 프로그램을 제공, 필요성에는 유아들의 발달에 맞는 특성화 프로그램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것, 운영 내용중 가장 강조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친구사귀기, 사이좋게 지내기 등 사회성을 기르는 활동, 다음으로는 기본적인 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활동으로 나타났다. 교육내용으로는 오전반과 같은 생활 주제 및 교육내용, 운영계획 담당자로는 방과후 과정반 교사가 직접 계획에 참여, 교육계획 구성시 참고하는 자료는 교육부 발간 방과후 과정 운영 지도 자료,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참고한다고 하였다. 교육활동 형태로는 대, 소집단을 연계, 활동유형에 따라 개별화 교육, 소집단 교육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방과후 과정 특성화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교사로는 외부강사가 높았으며, 방과후 과정 교사가 담당하는 곳도 많았다. 특성화 프로그램이 어떤면에서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인식은 다양한 교육을 통한 유아들의 발달, 전문 인력을 통한 특기교육으로 기능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순위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 과정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수생상의 어려움을 분석한 결과, 방과후 과정 운영 교육계획 작성시 참고자료의 부족, 혼합연령으로 구성된 학급에서는 연령별 교육계획을 작성, 급·간식 제공 이후 설거지하기, 균형적인 영양 섭취를 위한 식단이 고려 될 수 없다는 점이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이 담당하고 있는 업무량과 인간관계가 어려움으로 지적되었다. 방과후 과정 교사들은 방과후 과정 교육과정을 정상화하기 위해 오전반 교사와의 연계된 수업계획, 원아와의 활동이외의 과중한 업무와 바쁜 일과로 인해 충분히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오전반 교사와 방과후 과정 교사가 서로 협력관계가 아니라, 방과후 교사는 오전반 수업이 끝나 후 교실의 정리정돈이 잘 되어 있지 않아 정리 정돈, 청소, 환경구성, 행사 준비, 유치원의 전제적인 청소, 현장학습 보조 인력 등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교사로서의 자존감 상실과 수동적 근무 자세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었다. 동료 방과후 과정 교사와의 관계에서도 큰 어려움은 없지만, 경력과 연령에서 차이가 있을 경우 업무의 일부가 나이 어린 방과후 교사에게 전담되는 것도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 과정 교사의 처우문제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고용 불안정, 업무에 비해 낮은 급여, 연수 기회 참여 저조 등 방과후 과정 교사들은 경제적 요인으로 인한 사기저하, 전문성 신장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the purpose of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after-school-class realities that the teachers got to recognize and difficulties on their job performance, and to find out whether their jot stress is different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would be used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after-school-class with reducing difficulties of the teachers' job performance and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as a teacher and enhancing their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themes were selected as research themes. 1. What are the realities of after-school-class that teachers recognize? 2. What are the difficulties of their job performance that they recognize? 3. Are there differences of their job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stress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12 teachers of after-school-class who were working at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Suncheon, Gwangyang, and Yeosu. The research tool is the 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Clark(1980) and modified by D'Arienzo et al (1982) ; The survey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that of the previous studies (Kim Won Hee,2014; Shim Cho Hye, 2008) was modified and completed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22.0. The significance level was specified by 0.05. Reliability was analyzed by producing Cronbach's alpha.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 Firstly, these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alities of after-school-class teachers recognize ; The purpose of the after-school-class operation is to provide the integrated programs of education and care ; Its necessity is to provide the special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s development ; The contents that are to be stressed most are the activities for fostering sociality like making friends and getting along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activities for developing the basic life habits.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the same life themes and learning themes of morning class, and the after-school-class teachers take part in the operational plan ; When they make educational plans, they said that they use as reference materials the guide book for the after-school-class operation and the guide book for teachers of Nuri Curriculum published by the Education Ministry. The educational activity forms are associated with big and small groups; Individual education and small group education a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gram of educational activities. Those who are in charge of the special programs of the after-school-class are both lecturers invited from outside or the teachers themselves. The reasons that the special programs give some helps : The development of children through diverse education, and then special talent education by professional manpower. Secondly, these are the results of the teachers' occupational difficulties they recognize ; The reference materials are lacking for the establishing of the after-school-class operation plan ; They have to make several educational plans according to the age in the mixed age class ; And these are also their difficulties : washing dishes after providing meals or refreshments and the reality that they cannot consider menu for taking balanced nutritions. In addition, it was also noted that the teachers took too much work and they felt difficulty i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after-school-class teachers felt difficulty in regard to making class plans associated with the teachers of morning class for the normalization of the after-school-class and in the lack of full communication with children owing to heavy works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with children care and busy daily task. These are also noted that teachers of morning class and after-school-class are not in cooperating relations; The after-school-class teachers have to clean the class and set it orderly after the morning class, and they have to prepare events, cleaning the whole kindergarten, and do as a para-educator's role in field learning. On occasion, they are forced to lose self-esteem as teacher or work passively. Although there is a big difficulty in the relationship among peer teachers, it was also noted as a difficulty that some task was given only the younger teacher, in case that they were different in age and career. Thirdly, the improved treatment is in need. It was found that the unstable economic position like unstable employment, low pay in comparison with their task, and rare opportunity for taking part in job training makes their morale low and it prevents their enhancement of specialty.

      • 아동의 또래괴롭힘이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丁珍京 順天大學校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583

        아동은 학령기를 거치면서 학령전의 시기보다 더 많은 시간을 또래와 보내게 됨으로써 또래관계는 아동의 사회·정서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아동은 또래관계를 통해서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며 갈등을 경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그리하여 아동은 다른 아동들과 적절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술을 학습하고 사회성을 발달시키게 된다. 이는 아동의 원만한 또래관계, 자신감 및 사회적 능력의 발달과 바람직한 적응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또래관계에 문제가 있는 아동들은 중요한 사회적지지 원천과 자신감을 잃게 되어, 정서적 불안정, 부정적 성격 그리고 낮은 자아존중감을 형성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이들은 외로움, 우울 및 사회적 위축과 같은 심리적 문제와 함께 학교부적응을 보이며 나아가 등교거부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아동의 또래괴롭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에 관련된 연구들을 종합하면 또래괴롭힘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에 중요한 변인이며, 또한 자아존중감은 학교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또래괴롭힘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으로 각기 연구되어졌을 뿐 세 변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살펴보거나 또래괴롭힘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나아가서는 이들 변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의 또래괴롭힘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경험적 검증을 통해 규명하고 더 나아가 아동기의 삶의질을 고양하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가지고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이 지각하는 또래괴롭힘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동이 지각하는 자아존중감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동의 학교적응 정도는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넷째, 아동의 또래괴롭힘이 학교적응과 자아존중감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여수시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중학교 남녀 중 의사소통 및 설문 응답에 어려움이 없는 자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장에서 바로 조사 후 회수 된 300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 1부를 제외하고 나머지 설문지 29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또래괴롭힘과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파악해 보기 위해서 수집된 자료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아동이 지각한 또래괴롭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및 백분율, 평균을 살펴보았고,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또래괴롭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검증 및 일원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고 사후검증으로 Scheffé 의 다중범위 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학교적응의 결정요인 및 변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통계적 분석처리는 SPSS 20.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하는 또래괴롭힘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면 관계상의 괴롭힘의 경우 가정 분위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백한 괴롭힘의 경우 성별과 가정 분위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의 부재의 경우 가정형편과 가정 분위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괴롭힘 전체의 경우 성별, 가정형편, 가정 분위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하는 자아존중감은 어떠하며 관련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은 가정형편, 가정 분위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학교적응 정도는 어떠하며, 관련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면 교사관계의 경우 성별, 가정형편, 가정 분위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우관계의 경우 성별, 가정형편, 가정 분위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업의 경우 성별, 모 교육정도, 가정형편, 가정 분위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규칙의 경우 성별, 가정형편, 가정 분위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 전체의 경우 성별, 가정형편, 가정 분위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또래괴롭힘이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면 또래괴롭힘과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친사회적행동이 부재할수록, 관계상의 괴롭힘이 클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낮아졌다. 그에 비해 명백한 괴롭힘의 경우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관련이 크지 않았다. 또래괴롭힘 중 관계상의 괴롭힘과 학교적응의 관련을 살펴본 결과 아동은 또래괴롭힘 이 커질수록 학교적응 중에서 교우관계가 가장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학교적응, 학교수업, 교사관계도 나빠졌다. 그에 비해 학교규칙은 관련성이 가장 낮았다. 또래괴롭힘 중 명백한 괴롭힘과 학교적응의 관련을 살펴본 결과 아동은 또래괴롭힘이 커질수록 학교적응 중에서 교우관계가 가장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학교적응, 학교수업, 학교규칙도 나빠졌다. 그에 비해 교사관계는 관련성이 가장 낮았다. 또래괴롭힘 중 친사회적 행동의 부재와 학교적응의 관련을 살펴본 결과 아동은 또래괴롭힘이 커질수록 학교적응 중에서 교우관계가 가장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학교적응, 교사관계, 학교수업도 나빠졌다. 그에 비해 학교규칙은 관련성이 가장 낮았다.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우관계가 가장 상관이 높았으며, 학교적응, 학교수업, 교사관계로 나타났으며, 학교규칙이 가장 낮은 상관을 보였다. 즉, 아동이 또래괴롭힘을 당할수록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이 낮았다. 다섯째, 또래괴롭힘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렇지만 아동이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에는 학교적응에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또래관계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이정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83

        청소년은 국가장래의 운명을 짊어질 존재이므로 이들은 건전하게 보호 육성하는 것은 국가 백년대계의 과제이며 의무 중 하나이다. 그 동안 청소년의 비행을 예방하기 위한 사회 환경적 차원의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심리적·정서적 문제인 자아정체감의 긍정적 형성을 통한 청소년의 건전한 가치관을 세워주고 특히 비행 청소년에 대한 자아정체감의 회복을 통하여 건전한 사회인으로의 통합을 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비행청소년 85명과 일반청소년 116명, 총 201명 이었으며, 목표지향, 자기수용, 자기주장, 대인관계를 하위 변수로 하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아정체감을 측정하였다. 또한 또래관계의 경우는 유안진, 한유진, 김진경(2002)이 또래관계의 질적인 측면을 반영하는 요인들을 추론하여 이를 토대로 문항들을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으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18.0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상관관계, Cronbach's ⍺,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비행청소년은 또래관계 하위 영역 중 긍정적인 영역 즉, 상호친밀감, 정서․사회적 지지는 일반청소년에 비해 낮았으며, 부정적인 영역 중, 갈등․대립은 일반청소년보다 높았다. 또한, 비행 청소년 자아정체감의 하위 영역 중, 대인관계, 자기수용, 자기주장 등 3개 영역 모두가 일반 청소년보다 낮았다. 둘째, 가족구조에 따라 부모님 모두 계시는 가정과, 한분 또는 모두 안계시는 결손가정의 또래관계를 비교하여 보면 상호친밀감, 정서․사회적지지, 또래관계 만족, 일방적 주도, 철회․고립은 차이가 없었다. 그에 비해 갈등․대립은 부모님 모두 계시는 가정의 청소년보다 결손가정 청소년이 더욱 높았다. 또한, 가족구조에 따른 결손가정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은 대인관계가 낮았다. 셋째, 성별에 따른 또래관계를 비교하여 보면, 긍정적 또래관계 중 상호친밀감, 정서․사회적지지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았다. 부정적 또래관계 중 갈등․대립, 일방적 주도, 철회․고립에 있어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았다. 또한, 성별에 따라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는 차이가 없었다. 넷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은 또래관계만족이 높을수록 비행이 없는 경우 남학생인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제언으로는 첫째, 비행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정체감의 회복을 위하여 비행청소년을 지도하는 범죄예방위원과 복지사의 전문적인 교육을 통하여 이들로 하여금 개입이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자아정체감을 연구 분석 한 결과 또래관계가 일반 청소년과 비행 청소년 모두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건강한 또래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도가 요구된다. 셋째, 결손가정의 청소년에게 부모상실로 인한 심리적·정서적인 안정을 도모하며, 꿈과 비전을 가진 목표 지향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과 상담이 이루어져야한다. Adolescents are our future and developing them fully is the national assignment and obligati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 for preventing adolescents' delinqu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olescents' peer-relation on their self-identity according to delinquency status.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dolescents' self-identity and peer-relation depending on their sex, family structure and delinquency statu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1 adolescents, consisting of 85 delinquent adolescents and 116 normal adolescents, and the questionnaire about the self-identity and peer-relation (Yoo, Han and Kim, 2002) was us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Cronbach's ⍺,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WIN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linquent adolescents showed lower in the positive field of peer-relation, such as mutual intimacy, emotional and social support, than non delinquent adolescents. While delinquent adolescents showed higher in conflict/opposition than normal adolescents. Also delinquent adolescents showed lower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acceptance and self-assertiveness in self-identity than non delinquent adolescent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mutual intimacy, emotional and social support, satisfaction of peer-relation, unilateral initiative, withdrawal and isolation according to the family structure. On the other hand, parentless adolescents showed higher in conflict or opposition than those with two parents. In addition, parentless adolescents' self-identity was lower in personal relationship than those with two parents. Third, female showed higher in mutual intimacy, emotional and social support than male. In addition, male showed higher in conflict/opposition, unilateral initiative, withdrawal and isolation than female. Furthermore, there was no difference in adolescents' self-identity according to their gender. Fourth, adolescents’ self-identity was highly influenced by the peer-relation, sex and delinquency statu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recover the delinquent adolescents' positive self-identity, it is necessary to educate crime-prevention committee members and social workers who guide delinquent adolescents. Second, as the peer-relation has an effect on adolescents' self-identity regardless their delinquency status, it is necessary to make a guide system which is helpful in forming sound peer-relation for adolescents Third, constant support and consulting must be carried out so that adolescents from parentless families can develop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and live objective-oriented life with dream and vision by eliminating anxiety caused by loss of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