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경제수학 단원의 개념분석 및 지도방법

        김현수 제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수학에 대한 사고는 다양한 활동에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문제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하지만, 많은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고 있 고 재미없고 어려운 것이라 생각하고 실생활에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하는 학생 이 많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수학과 타교과와의 연결을 통해 수학의 필요 성을 느끼게 하기 위해 「경제수학」이라는 과목을 신설하였다. 새롭게 신설된 「경제수학」의 취지에 대해 교사들은 알지만 이 과목에 대한 거부감과 두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효과적 교과지도에 어려움을 격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하며 필요한 경제 관련 개념과 수학을 접목시켜 학습하며 더욱 합리적인 판단력과 사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경제수학」과목에 대한 효 과적인 수업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경제수학」과목의 내용체계 및 목표를 분석하였고, 메릴의 내용요소 전시이 론과 딕과 케리의 체제적 수업설계모형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수업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가 신설과목 교과 지도에 대한 자신감을 줄 수 있고 학습자 에게는 「경제수학」에 대한 의의와 목표를 올바로 인지하게 하고 수학에 대한 적극적이고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nking about mathematics can develop the ability to reasonably judge and solve various activities. However, many students feel rejected by mathematics and think it is not fun and difficult, and many students think it is not helpful in real lif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 subject called "Economic Mathematics" was newly established to make students feel the necessity of mathematics through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of mathematics. Teachers know about the purpose of the newly established "Economic Mathematics", but they feel the rejection and fear of this subject and have difficulty in effective curriculum guidance for students. This study explore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the subject of "economic mathematics" so that students can learn by combining the economic concepts and mathematics needed to live and develop more rational judgment and thinking skills. The contents system and goals of the subject of Economic Mathematicswere analyzed,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were studied based on Merrill's theory of contents element exhibition and Dick and Kerry's systematic teaching design model.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confidence in the new subject curriculum and help learners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and goal of economic mathematics correctly and to form an active and desirabl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수리논술 교육 현황과 개선방안 : 주요 사립대학의 수리논술고사 분석을 중심으로

        양은정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발표에 따른 2016학년도 대학 모집인원, 수시전형 모집인원 논술고사 실시대학과 논술고사 반영비율, 수능자격 기준, 특정대학의 논술성적 편차 등의 현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서울 소재의 주요 사립대학들 가운데 5개 대학인 고려대학교,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를 선정하여 2012학년도부터 2014학년도까지 최근 3년간 이들 5개 대학 수리 논술고사의 논제 유형과 과목(영역)별, 단원별, 빈도수와 난이도, 대학별 출제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3년간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독서·논술학교에서 실시한 수리논술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수리논술 교육에서 실시한 진단평가, 실전모의고사 문제를 관련과목, 관련단원, 출제형태, 난이도, 단원별 출제빈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주요 대학의 수리논술 문제 출제빈도와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수리논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이고 행·재정적 지원방안과 대책을 제언하였으며, 학교 현장에서 수리논술 교육에 대한 수학교사의 효과적인 지도방안도 자세히 제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나 일선 학교에서는 수리논술 교육의 방향과 활성화 방안, 그리고 학교 수리논술 교육의 효과적인 방안과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아울러 수학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인 수리논술 교육을 위해 방향 설정과 지도방안 수립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2016 university applicant numbers, nonscheduled admission applicant numbers, reflection rate of essay test, qualification standard of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score deviation of essay test in specific univers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ve major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such as Korea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are selected, and their topics for mathematical essay test and the features of test in the past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based on subject type, unit type, frequency of use, level of difficulty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current state of mathematical essay conducted by ‘Reading and Essay School’ program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analyzed, In the diagnostic test for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and mock test for real SAT, not only related subjects, related units, examination question trends, level of difficulty, the frequency of units are analyzed and its results are also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questions in major universities mathematical essay tes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politic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plan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vitalizing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ies for math teachers who want to teach math essay test in schol should be also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math teachers build effective math essay teaching plan as well as they would be practical and helpful in establishing math essay education plan and effective strategies for school math essay education.

      • 수학체험전의 운영과 발전 방향 : 제주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연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대부분의 학생들은 수학을 실생활에서 별 필요성도 없는데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학습해야 하는 어렵고 지겨우며 골치 아픈 과목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수학 학습의 필요성과 즐거움을 주기 위해서는 실생활에서 얼마나 많은 곳에 수학적 현상이 있으며, 학습을 통해 그러한 것을 알아낼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할 것이다. 그러한 방법의 하나로써 체험을 통하여 수학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 가는 기회를 제공하고, 교과서에 있는 많은 수학적 원리를 학생들로 하여금 직접 체험하며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수학체험전의 가치는 매우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 지역에서 도민들의 수학적 마인드 확산과 수학의 대중화를 위한 목적으로 매년 개최되는 수학체험전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발전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첫째, 최근 5년간 개최되었던 제주수학체험전의 운영 현황 전반을 살펴보았다. 둘째, 수학체험전에 참여했던 중학교 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제주수학체험전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알아본 후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제주수학체험전은 관람자들이 다양한 수학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직접 만지고, 조작하고 체험하는 활동을 통해 수학의 필요성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하는 행사로써, 수학적 마인드 확산과 수학의 대중화 확산에 노력해 왔으며, 도민들에게 꾸준한 수학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수학체험전이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수학 교사의 노력이 뒷받침이 되어야 하고, 수학 교사들의 공동 연구와 체험전 자료 보관을 위한 상설 연구 공간의 확보가 필요하다. Mathematics is supposed to most students as a difficult, boring and disturbing subject , taking a long time while it is useless in real life. I, Math teacher, should let them know there are many mathematical present states they should know and they can get the pleasure of them through math studying. Mathematics Experience Festival, one of these methods, has very important value. It can provid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easy-solving math process and math principal in the textbook to the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is study has an object to view the annual Math Experience Festival for diffusion of mathematical mind and popularization of math, thinking about the future for the mathematics. For this object First, I have checked the general management of the Mathematics Experience Festival for 5 years. Second, I have asked several questions to the math teachers who attended it about the problems they have felt and try to consider the developing directions for the future I conclude after this study. First, Jeju Math Experience Festival is an event to make participant touch, control, experience various math programs and feel the needs and pleasure of math. It also has the important meaning of providing steady opportunities for mathematical experience, for diffusion of mathematical mind and popularization of mathematics. Second, for the development of Math Experience Festival, math teachers need to make efforts for further various programs and procure the permanent studying place to cooperate among them and store the material for Math Experience Festival.

      • STAD 협동 학습이 수학부진아들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3학년 수업 중심으로

        고경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제 7차교육과정에 따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운영되는 수학교과에서 각 단계를 이수하지 못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특별보충 과정 운영이 너무나 형식적임에 착안, 그에 대한 대안으로 누적적 학습결손, 학습전략과 같은 교수-학습환경에서 생기는 수학부진아들의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STAD 협동 학습 (성취과제 분담학습 모형. Student Teams-Achievement Divisions) 을 2달에 거쳐 적용하여 수학부진아 학생들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고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부진아들의 학습태도 즉, 수학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변화, 수학교과에 대한 학습습관 변화, 수학교과에 대한 학습태도에 대하여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수학을 싫어하고 수학 수업 시간 때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 했던 학생들이 수학시간 종만 치면 모둠학습실로 뛰어갔던 모습이 생생하다. 둘째,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학습태도에 비해 학업성취도는 나아지지 않았다. 이는 학업성취도가 향상된 학생도 있었던 반면 그렇지 못한 학생도 있어 비교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짧은 연구기간이었던 2달 동안 이제까지 8년 동안 결손 되어온 수학실력을 바꾸기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수학부진아 9명만을 비교했을 때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동질집단 이었던 실험학급과 통제학급에 STAD 협동 학습을 적용한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실험집단의 평균 상승)를 보였으므로 전체학급을 대상으로는 STAD 협동 학습의 효과가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실험학급의 수학부진아 9명의 학습태도 변화와 학업성취도 변화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습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한 6명의 학업성취도가 한 학생은 거의 제자리였고 한 학생은 하락하였다. 이 둘을 제외한 4명의 학생은 많이 상승하였다. 즉, 긍정적인 학습태도 변화에 따라 학업성취도가 동반 상승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이유는 학습태도에 변화를 보이지 않았던 3명의 학생 중 한 학생을 제외하고는 두 명의 학생의 성적이 하락하였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는 짧은 연구기간이 수학부진아 학생들이 수학에 대해 느끼는 경계심을 풀기에는 짧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장기적인 연구기간을 잡고 실험학급도 더 늘리고 학습단원도 더 넓은 범위에서 연구자가 협동학습의 기술을 충분히 익혀 연구를 한다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특별보충 수업의 대안으로 STAD 협동 학습이 적절하게 될 것이다. Specially Designed Supplementary Course (SDSC), which was devised to help students who had failed to attain new levels of mathematics achievement based on the Level Based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the National 7th Curriculum, was an impractical system. In an effort to find a more practical method, for 2 months STAD (Student Teams - Achievement Divisions) cooperative learning, as an alternative to SDSC, was applied to the mathematics underachievers who had difficulty studying mathematics -STAD combats a mathematical deficiency that students have gradually accumulated, makes positive changes in the learning attitude, and improves learning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TAD on the learning attitude and the learning achievement of mathematics underachievers and there were three noticeable conclusions. 1.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the leaning attitude of mathematics underachievers, specially, changes in self-esteem and students' attitude toward learning mathematics. The mathematics underachievers who disliked mathematics and who seemed confused during class rushed to the classroom after having started to receive STAD cooperative learning when math class was about to begin. 2. Compared with STAD's effect on students' learning attitude, improvement on learning achievement was not remarkable. There were no salie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ome students earned higher scores while the others received lower scores, which suggests that just two months of learning was not enough time to recover an eight-year-loss of what would have been the appropriate learning of mathematics. When comparing two groups of nine students eac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received STAD application received higher score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ich means STAD cooperative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3. Among the nine mathematics underachiev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the learning attitude and the learning achievement is as follows: six students experienced a positive change in their learning attitude, one did not improve at all in learning achievement, one fell behind, and the other four improved a great deal.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ositive learning attitude seems to influence learning achievement. Among the three students out of the nine who made an improvement in learning achievement, only one students improved. The reason wh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s that the period of the study was too short for the mathematical underachievers to let down their hostility toward mathematics.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researchers continue to study this topic, ideally, with longer period of time, a larger group of students, a wider range of study units, and a more skilled cooperative learning method to apply STAD cooperative learning properly a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ly conducted SDSC.

      •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운영실태 분석 연구

        양해용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수준별 이동수업은 학생들의 수준과 능력에 맞는 반을 편성하고, 수준별 학습을 실시함으로써 학습 동기 및 흥미를 유발시키고,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이 원하는 수준의 학습 지도를 통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수준별 이동수업은 학교 현장에서 편성∙운영함에 있어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7차 교육과정이후 나타난 문제점들과 이를 개선한 개정교육과정에 의한 수준별 수업이 2009년 신입생부터 적용이 되고 있다. 이에 학교현장에서는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운영 실태와 교사 및 학생의 의식은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학교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준별 이동수업의 운영 실태, 교사 ․ 학생들의 인식과 문제점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수준별 이동수업이 교육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정착되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주시내 일반계 남․여 고등학교 각각 1개교에서 수준별 이동 수업을 경험한 2, 3학년 235명과 교사 2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준별 이동수업에 흥미와 관심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수학 수업에서 개선해야할 방안으로 남학생은 문제 풀이보다 수학의 원리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여학생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업에 참여 할 수 있는 기회의 부여를 원했다. 또한 수학 교과서에서 개선해야할 점으로는 남학생은 수학의 개념이나 공식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이 나와 있는 교과서를 여학생은 교과서 문제의 풀이부분이 더 자세하게 나와 있는 교과서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수업의 진행 수준, 수업 분위기, 학력향상정도는 이동수업 전․후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수업내용보다는 교실이동자체를 싫어하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수준별 이동수업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은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 진행을 할 수 있다’는 긍정적 평가와 동시에 원활한 수준별 수업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교재의 재구성 및 개발 ’, ‘평가 방법의 개선’이 필요 하다고 조사되었다. 또한 수준별 수업은 학업 향상에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응답이 주를 이루었고, 수준별 수업의 운영에 대해 수준별 수업초기와는 달리 운영에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평가의 차등화와 평가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수준별 수업에 곧바로 적용하여 활용 할 수 있는 다양한 양질의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가 개발되어 보급되어야 하며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이 학습적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수준별 이동수업을 위해서는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긍정적인 사고가 필요하고 그러기위해서는 수준별 수업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의 제공 등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필요한 인적, 물적,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할 것이다.

      • 수학교과교실을 활용한 수업 실태와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이재동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ether the mathematics classroom fulfills its fundamental purpose of it. in especially high schools in suburban area in Jeju.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How do schools manage “Mathematics classroom system” in reality? 2) What is the perception of teachers regarding the operations of level-differentiated class in Mathematics classroom system? 3) What is the perception of students regarding the operations of level-differentiated class in Mathematics classroom system? The following are the outcome of analyzing the operating plans and surveying math teachers and learners in three example schools. 1) How do schools manage “Mathematics classroom system” in reality? Mathematics classroom system implemented in each school tries to achieve the reliability of public education and meet students’ satisfaction level by enhancing different types of teaching depending on students’ proficiency in math. It provides the circumstance where students do different activities related to math. 2) What is the perception of teachers regarding the operations of level-differentiated class in Mathematics classroom system? Teachers consider the math class system in a positive way since they can give a lesson which optimize students’ levels with well-organized teaching facility, although poor educational condition from the location of the schools make them feel hard in implementing the system. 3) What is the perception of students regarding the operations of evel-differentiated class in Mathematics classroom system? Some students think the math class system is ineffective because they do not have enough time to move to different classrooms. However, many of them mention its positive aspect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encourages them to comprehend the process of learning easier by using a variety of learning equipment and lead them to raise their study achievement.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 of the Mathematics classroom system, the proposals below a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for schools not only to arrange the classroom environment to promote students’ learning but to be prepared for having appropriate human resources such as instructors specialized for level-differentiated class and administrative assistant. Second, teachers try to apply diverse teaching techniques, utilizing different types of teaching equipment in math class. Last but not least, the example schools as well as other schools located in suburban area have poor condition that math teacher could be scarcely stationed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provide schools with more math teachers or make math teachers to pay attention to their teaching job itself with reducing teachers’ administrative works by supplying administrative assistants. 본 연구는 2014년 전국의 모든 중·고등학교가 교과교실제를 운영해야 함에 있어 제주도 시외 지역의 고등학교에서 수학 교과교실제가 도입 배경 및 운영 목적에 맞게 운영이 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학교별 수학교과교실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2) 수학교과교실에서의 수준별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수학교과교실에서의 수준별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시범적으로 수학교과교실제를 시행하고 있는 제주도의 시외 지역의 3개 고등학교의 운영계획서 및 교사, 학생 설문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학교별 수학교과교실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학생중심의 수준별 맞춤형 교육이라든지 교과특성에 따른 교실 환경 구성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함으로서 공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또한 수학교과와 관련 있는 활동을 하는데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수학교과교실에서의 수준별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수학교과교실제 운영에 있어서 제주도 시외지역이라는 환경적 측면이 수학교과교실 운영을 힘들게 한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수준별 수업에 있어서는 다양한 학습기자재 사용 하여 학생들의 수준에 맞추어 수업을 할 수 있다는 측면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3) 수학교과교실에서의 수준별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어떠한가? 교실을 이동하여 수업을 함으로 인해 쉬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부정적인 인식도 있었으나 학습기자재를 활용한 수업으로 인하여 학습에 대한 이해가 원활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학업성취도가 높아졌다는 긍정정인 인식이 높았다. 좀 더 발전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제주도내 시외지역학교에서 수학교과교실제를 운영하기 위하여 학습기자재와 같은 교실환경 구축뿐 만 아니라 수준별 수업 강사 및 행정적인 보조인력 수급 문제에 있어서 미리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는 수학교과교실을 이용한 수준별 수업 운영에 있어 학습기자재 활용을 통하여 다양한 수업을 시도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수학교과교실제의 본래 취지와는 달리 제주 시외지역 고등학교는 지리적 환경 및 학교 교육 여건이 좋지 않아 수학교과교실에 교사가 상주하기 힘들기 때문에 국가적인 차원의 교사 수급문제, 교사의 행정적인 업무를 줄여주기 위한 보조인력 수급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 수학교육과정 수학교과서 중등수학 부등식 단원의 활용문제 유형분석 : (중학교 17종 교과서를 중심으로)

        현진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개정 7차 교육과정에 따른 17종 수학교과서와 새롭게 추가된 수학익힘책을 통하여 그에 실린 부등식 단원의 활용 문제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교육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얼마나 현실성 있게 구성되었는지, 각 출판사 별로 수록된 경향을 비교 분석 하였다. 교과서란 공식적인 자료로써 현재 교육과정에서 요구하고 있는 교육목표를 충실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모든 것을 가장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자료이다. 수학 과목의 목표는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수학적으로 사고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길러, 여러 가지 현상과 문제를 수학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합리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며, 수학학습자로서 바람직한 인성과 태도를 기른다는 것이다. 이에 생활 주변이나 사회 및 자연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 분석, 조직, 표현하는 경험을 통하여 수학의 기본적인 기능과 개념, 원리, 법칙과 이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학이라는 학문을 어렵고 단지 입시를 위해 해야 하는 도구과목으로 생각하고 있다. 또한, 일상생활과 관계없는 어려운 공부를 하는데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기본적인 사칙연산만 알고 있어도 살아가는데 지장이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이는 목표는 흥미와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지도록 하는것에 두고 있으나 현실적인 교육에서는 개념과 공식암기 문제풀이 반복 등의 실생활과 동떨어진 형태를 띄고 있는 현장에서의 상황에 있다고 본다.. 이에 기존에 진행되고 있는 교과교육이 활용문제를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 교과서를 통해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교고서가 정수와 경제부분에 문제의 내용이 치우쳐져 있었다. 이는 수학이 기초학문으로 충분히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수학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방향 또한 여러 방면으로 생각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몇몇 영역에만 치중함으로써, 오히려 더욱더 어려운 과목으로 생각하게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현실적으로 모든 교과서를 접하기란 쉽지 않다. 단 하나의 교과서를 가지고 학생들과 수업을 진행할 텐데, 17종이나 되는 교과서 중에서 어떤 교과서를 선택해야 하는지도 기준이 애매할 것이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충분히 모든 교과서를 검토해 보고, 교사 스스로 학생들을 위해 잘 구성된 교과서로 가르칠 필요가 있으며, 만약 선택한 교과서에 타 교과서에 비해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학생들이 배움에 빈자리가 없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howed how realistically the curriculums are made up by comparing and analyzing practical questions of 'Inequality' part from 17 kinds of textbook of mathematics and newly added workbooks from each publishing company responding to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Text book is an official material, which could fully show what is needed for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from the present course of study requires as curriculum goals. The purpose of Mathematics is to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 principles and laws, to develop thinking mathematically and communicating so that people could solve problems reasonably and creatively with consideration. Moreover, people could raise desirable personality and attitude as learner. Whereupon, it firstly develop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relations of basic mathematic concepts, principles, and laws by observing, analyzing, organizing, expressing experiences about social and natural phenomena. However, most students think mathematics as a hard subject and tool for their entrance examination. Moreover, they think they are studying useless and hard subject. They also think they could live life well only with the four fundamental arithmetic operations. This shows that the ideal goal is to help students keep interests in mathematics, but the real is not. Due to this problem, the object was searching the practical questions from text books. Most text books focus on Integer and Economic parts. This shows the problem, by concentrating on some parts, it makes mathematics seems more difficult. Even though it could be well applied and could consider more ways to trigger interests of mathematics if it was not focused on specific parts. Realistically, studying every text books is not easy. Teachers choose one text book and teach students. The standard will be vague to choose from 17 kinds of text books. However, one clear thing is that teachers must look through all text books and teach with good text book by themselves, and if there is shortage in the text book, they must help student not to have lack of learning.

      • EBS 수리영역 수능강의 시청 현황 및 만족도 조사

        이정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free EBS CSAT instruction programs for all the students in the nation started airing in April 2004 by EBS through EBS satellite broadcasting channels and the EBSi internet network with the purpose of reducing private education expenses. It aims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the instruction programs that allow easy access and are closely tied to the content of CSAT so that the students don't have to depend on other education programs or lessons than the school classrooms and the EBS instruction programs anymore. Besides, to solve the educational inequality by student's economical background,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may be practically granted to the students living in rural area or the students with poorest background by this programs.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EBS CSAT instruction program in mathematic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viewing status, the degree of viewer's satisfaction and overall effectiveness of learning. For this study, 836 effectiv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from 950 3rd grade male and female students, as of 2011, of an academic high school located in Jeju Island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42.1% of the students have watched the instruction program in mathematics. The number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watched the program is not higher than expected considering the content of the EBS CSAT instruction program has been selected as the major part of the examination problems of the CSAT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s announced that more content of the EBS CSAT instruction program will be reflected to the CSAT. Second, among the students having watched the instruction program, the students who do not take any type of private education(56.6%) have watched the instruction program more than the students who have, while among the students not having watched the instruction program, the students who are taking the private education(64.9%) have never watched the instruction program more than the students who are no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instruction program of the students who take private education is 4.28 while that of the students who don't take private education is 4.47. Third, the students living in Seoguipo area (66.1%) have watched the instruction program more than the students living in Jeju city area.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living in Seoguipo area (5.73) is higher than that of the students living in Jeju city area. 2004년 4월부터 전국의 수험생을 위한 EBS 교육방송이 ‘사교육비 절감’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EBS 위성 TV채널과 EBSi 인터넷을 통해 ‘EBS 수능강의’를 무료로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인터넷 방송을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의 EBS 수능방송에 대한 접근률을 높이며, 수능강의와 수능시험과의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앞으로 학교수업과 교육방송만으로 충분히 수능시험 대비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농어촌 및 저소득층 자녀에게도 대도시 지역의 학생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여 경제적인 여건으로 인한 교육의 불평등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EBS 수능강의 중 수리영역에 대한 시청 현황은 어떠한지, 만족도는 어떠한지, 그리고 학습효과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EBS 수리영역 수능강의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제주도에 위치하고 있는 인문계고등학교 3학년(2011년 기준)에 재학 중인 남·여 학생 95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총 836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BS 수능강의 수리영역 시청 경험이 있는 학생은 전체 인원의 42.1% 정도이며, 시청 경험이 없는 학생은 57.9% 정도이다. EBS 수능강의의 내용이 수능 시험에 많이 출제되었고, 앞으로 더 많이 반영하겠다는 교육과학기술부의 발표에도 불구하고 고등학생들의 EBS 수능강의 수리영역 시청경험이 예상만큼 높지 않았다. 둘째, EBS 수능강의 시청경험 여부에 따른 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에 대한 분석에서는 시청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사교육을 받지 않는 학생들이 높게(56.6%) 나타나고 있으며, 시청경험이 없는 학생들에서는 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이 높게(64.9%) 나타나고 있다. 또한 EBS 수능강의 시청 학생들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의 만족도는 4.28점이며, 사교육을 받고 있지 않은 학생들의 만족도는 4.47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에 따른 EBS 수능강의 시청경험은 서귀포지역이 전체 시청 경험 인원의 66.1% 로 제주시지역 보다 높은 시청경험을 보였고, 학생들의 만족도는 서귀포 지역이 제주시 지역에 비해 높은 만족도인 5.73점으로 나타났다.

      • ‘배움의 공동체’ 수학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조사

        고민정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혁신학교 지정 학교 중 ‘배움의 공동체’ 수업방식을 도입하여 수학 수업을 하고 있는 A 중학교의 100명의 1학년 학생들과 1학년 수학을 담당하고 있는 3명의 수학교사, B중학교에서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하고 있는 1명의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배움의 공동체’ 수학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동기, 만족도 등과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즉 배움의 공동체 수학 수업이 얼마나 교육적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수학 교사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배움의 공동체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배움의 공동체 수학 수업의 긍정적 효과 및 시행상의 문제점을 알고 이에 대한 적용가능성과 대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또한 교실 수업 개선 방법의 하나로 새롭게 등장한 배움의 공동체 수업이 지속적으로 유지, 활용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수업을 배움의 공동체 수업으로 운영하는 것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성취동기, 자신감, 불안, 흥미)은 어떠한가? 둘째, 수학 수업을 배움의 공동체 수업으로 운영하는 것에 대한 수학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배움의 공동체 수업에 대한 연수를 이수하고 전문적공동체 학습연구 교사동아리를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A중학교의 수학 교사 3명과 B중학교에서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하고 있는 1명의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1차적으로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와 연산’ 단원을 18차시 배움의 공동체 수학 수업으로 운영하였고 서로 다른 수학교사의 수업을 받은 100명 학생을 대상으로 배움의 공동체 수학수업에 관한 설문조사를 제작하여 측정하였고, 4명의 수학교사들은 인터뷰를 통해 각각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배움의 공동체 수업은 학생들의 수업 부담을 줄이고 서로 소통하는 관계에서 자신감과 성취감과 수업참여도,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수업이라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교사들은 ‘배움의 공동체 수학 수업’이 수학적 지적 능력을 아주 높이기보다는 많은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이고 흥미를 이끌어가는 수업이라고 생각하며 학습자들이 서로 배우는 관계 속에서 스스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수업이라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위와 같은 교사들의 긍정적인 인식으로 교사로서의 전문성과 자긍심을 가지고 꾸준히 수업을 연구한다면 이런 교사들의 긍정적인 인식이 학생들에게도 자연스럽게 전달되어 ‘지식 전달’ 위주의 수업이 아닌 ‘배움이 일어나는’ 수업으로 공교육의 수업 목표와 분위기가 반전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targeted 100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ree Math teachers in charge of first year students’ Math at A Middle School carrying out Math classes by adopting learning community classes among innovation-designated schools and one Math teacher taking charge of learning community classes at B Middle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ents’ learning motives and satisfaction and teachers’ awareness on learning community Math classes. Namely, this study involves identifying how much educational effect the learning community Math classes has targeting Math teachers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to grasp learning community Math classes’ positive effects and problems in implementing the classes and explore the applicability and an alternative through awareness investigation on learning community Match classes.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help continuously maintaining and utilizing learning community Math classes emerging anew as a new classroom class improvement method. To this end, the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is students’ awareness (achievement motive, confidence, anxiety, and interest) level on operating Math classes as learning community classes? Second, What is Math teachers’ awareness level on operating Math classes as learning community classes? This study targeted three Math teachers who completed training on learning community classes and consistently operated teachers’ club for professional learning study at A Middle School and one Math teacher carrying out learning community classes at B Middle School. Primarily, this study made questionnaire survey on and measured the learning community Math classes targeting 100 first year students after operating “Numbers and Arithmetic Operation” for the learning community Math classes with 18 hours targeting the first year students. Also, four Math teachers were interviewed to investigate teachers’ awareness.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students felt confidence, a sense of accomplishment, class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the mutually communicative relationship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classes, and they showed that the learning community classes reduced class burdens and tensions. Second,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learning community Math classes enhanced many students’ participation and led their interest. They also showed that the students acquired knowledge themselves through mutually learning relationship in the classes. If teachers constantly research classes with professionalism and pride as a teacher through positive awareness, such teachers’ positive awareness can be naturally delivered to students. Therefore, public education’s class goals and atmosphere are expected to be reversed from knowledge delivery-focused classes to learning-generated classes.

      • 수학 익힘책을 활용한 수준별 수업에 관한 고등학생의 인식 비교

        김창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수준별 이동식 교육과정을 개정하여 수준별 수업으로 바꾸고 기본교과서를 1권으로 사용하던 것을 개선하여 기본교과서와 수학 익힘책 2권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2009년에 중·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부터 전체학년으로 수학 익힘책이 확대 사용되며 교과서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부교재로써 학생 스스로 교과서에서 학습할 내용을 익히는 것을 주목적으로 편찬되며 교사가 수업 중에도 활용할 수 있는 교재이다. 수학 익힘책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수학 익힘책을 수준별 수업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단지 문제지의 대용으로 생각하고 있는지, 짧은 수업시간에 교과서와 수학 익힘책을 모두 지도하려는 욕심을 부려서는 안 되겠지만 지도해야 될 것 같다는 부담감 증가 및 학습 분량의 증가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는 않은지, 단지 과제물로만 사용되고 있는지, 학력향상을 위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때 학생들이 수학 익힘책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등을 확인하여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익힘책이 활용을 도모하는 면에서 사교육이 부족하고 학생 개개인이 능력이 떨어지는 농어촌고등학교에서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제주시 동지역에 위치한 일반고등학교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두 학교를 비교하면서 수학 익힘책의 농어촌고등학교에서 어려운 점을 중심적으로 연구하였다. According to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they recommend that students should be classified on the basis of academic ability level and the maths workbook consisted of two books should be used in class along with the text book. The maths workbook, the use of which has been expanded to all graders since 2009, were published to aim both for students to learn about the content of the text book by themselves and for teachers to use it in class as teaching aids. We need to ask those questions in order to use the maths workbook effectively. 1. How can we use the maths workbook in the class on the basis of academic ability level? 2. Is the maths workbook only a substitute for some other maths exercise books? 3. Isn't the use of the maths workbook taken a burden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have to use it all in class along with the text book? 4. Is the maths workbook used only for students' homework? 5. How do students use the maths workbook in terms of self-directed learning? I study about how the maths workbook is used in practice at some schools located at countryside which have poor educational condition and how the use of it has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of school in the countryside, compared to some schools in the jeju city. The study also focuses on the difficulties of using the maths workbook in class at the countryside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