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얼굴 유형에 따른 업스타일 이미지 형태적 특성 연구

        오형자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termine the direction and degree of volume of parting suitable for image production close to a standard image by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face when doing an up-style by identify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p-style image by face shape. This study classified face shape into five, and intended to analyze harmony and preference of up-style according to face shape, analyze images, and to identify difference in harmony, preference,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fference in image perception, and face shape close to standard shap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350 adults in North Jeolla Province from Apr 15 to May 5, 2020. Out of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331 questionnaires excluding 19 questionnaires that are deemed insufficient for analysi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6.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harmony of up-style by face shape, SR2 and OR2 suit standard and oblong face shape and CA1 and RA1 are the up-style that look the best on round and square face shape. It was identified that IL1 looks best on inverted triangle shape.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harmony of up-style by face shap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st significance level was shown in the position part of every face shape, standard face shape and square face shape showed 99 %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as SR2 F-value=6.607, p<.01 and RL1 F-value=8.700, p<.01 each, and round face shape and inverted triangle face shape showed 99 %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as CL1 F-value=7.862, p<.001 and IL1 F-value=10.642, p<.001 each. Also, it was identified that oblong face shape shows 95 %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of F-value=4.703, p<.05 in OL1. Thirdly, for image preference of form of volume by parting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ference of up-style type by face shape, SR2 was 4.17(±.96) in standard type, preference of round shape was CR13.92(±.91), oblong shape was RA1 3.82(±1.09), inverted triangle shape was IL1 3.75(±1.03), and preference of oblong shape was the highest of OR2 3.98(±.89).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of up-style by face shap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st significance level was shown in the position part of every face shape, standard face shape showed 99%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as F-value=7.182, p<.01 in SL1 and round face shape showed 99%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as F-value=10.287, p<.001 in CL1. For square face shape, RA1 showed 99%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of F-value=6.683, p<.01 and inverted triangle face shape showed 99%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of F-value=9.748, p<.001 in IL1. Also, oblong face shape showed 95% of a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of F-value=3.635, p<.05 in OL1. Fif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images of face shape according to up-style types, feminine image(4.08±.94) showed the highest result for SR2 in standard shape and feminine image(3.88±.91) was the highest for CR1 image in round shape. In square face shape, feminine image(3.91±.98) was the highest for RA1 and feminine image(3.81±.94) was the highest for IR2 image in inverted triangle shape. In oblong shape, feminine image(3.95±.92) showed the highest result for OR2 image. Sixth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in image evaluation of up-style by face shap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irst choice of SC1 of standard type was graceful, the first choice of SL1 was sophisticated, the first choice of SR2 1 was feminine, and the first choice of SA1 was feminine, and most of them were found to be most significant in their position. In round shape, the first choice of CC1 was graceful, the first choice of CL1 was feminine, the first choice of CR1 was feminine, and the first choice of CA1 was elegance, and it h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on, highest level of education, and experience in hairdressing and beauty care. In oblong shape, the first choice of RC2 was elegance, the first choice of RL1 was feminine, the first choice of RR2 was feminine, and the first choice of RA1 was feminine, and it h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st positions. In inverted triangle shape, the first choice of IC2 was graceful, the first choice of IL1 was feminine, the first choice of IR2 was feminine, and the first choice of IA1 was feminine, and it has identified that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parting direction are different. In oblong shape, the first choice of OC1 was graceful, the first choice of OR2 was feminine, the first choice of OL1 was feminine, and the first choice of OA1 was feminine, and most of them were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in their position. Seventhly,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analysis on up-style shape close to the standard type, CR1 of 160 people(48.3%) was the highest for round shape, RA1 of 158 people(47.7%) was the highest for square shape, IR2 of 160 people(48.3%) was the highest for inverted triangle shape, and OR2 of 168 people(50.8%) was the highest for oblong shape. Eighth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a correlation between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of up-style by face shape, a correlation between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according to parting direction was the highest in every face shape. Ninthly,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analysis on a correlation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up-style close to the standard shape by face shape,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verted triangle shape and experience in hairdressing and beauty care and oblong shape has been identifie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xperience in hairdressing and beauty care as well. It was identified that inverted triangle shape and oblong shape have a correlation with experience in hairdressing and beauty care. Also, round shape and oblong shape did not show general characteristic showing significant correlation. Tenth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a correlation between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of up-style and face shape image by face shape,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according to each type of up-style in all face types. In standard shape, the mo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of r=.695, p<.01 appeared in SC1 and has been identified to have the highe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atural image in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CL1 was the highest in round shape of r=.772, p<.01, and it was identified that harmony has the highe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ophisticated image and preference level with female image. It was the highest in oblong shape of r=.780, p<.01, and it was identified that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have the highe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female image. Inverted triangular shape was the highest as r=.754, p<.01 in IC2, and it was identified that harmony and preference level have the highe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llectual image. Oblong shape was the highest as r=.712, p<.01 in OL1, and harmony had the highes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llectual image and preference level with sophisticated image. Therefore, this study produced results by identifying face shapes of wome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analyzing harmony, preference level, and differences in images of up-styl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each face shape could be a standard image and suggested that it can be used in actual industrial sites. Also,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many fields required by various up-style designs by giving objectivity to image research through interaction of face shape and up-style and using morphological properties of up-style to hairdressers, and expects research on design to be developed further. 본 연구는 얼굴 유형에 따른 업스타일 이미지의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여 업스타일을 할 경우 얼굴의 단점을 보완하여 표준형에 가까운 이미지 연출에 적합한 가르마의 방향성과 볼륨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얼굴 유형은 다섯 가지로 나누었으며 얼굴 유형에 따른 업스타일형태의 어울림과 선호도, 이미지를 분석하고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어울림과 선호도, 이미지 지각의 차이와 표준형에 가까운 얼굴형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20년 4월 15일부터 5월 5일까지 전북 지역의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총 350부의 설문지 중 분석에 사용되기 불충분하다고 판단되는 19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331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어울림을 분석한 결과, 표준형과 장방형 얼굴에서 각각 SR2, OR2가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둥근형과 사각형은 CA1, RA1이 가장 잘 어울리는 업스타일 형태로 나타났다. 역삼각형은 IL1가 가장 잘 어울리는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어울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얼굴형의 직책부분에서 가장 높은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표준형 얼굴형에서는 SR2 F-value=6.607, p<.01, 사각형 RL1 F-value=8.700, p<.01로 신뢰수준 99%의 유의수준을 보였으며, 둥근형 CL1 F-value=7.862, p<.001, 역삼각형 IL1 F-value=10.642, p<.001로 신뢰수준 99.9%의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방형 얼굴형에서도 OL1에서 F-value=4.703, p<.05로 신뢰수준 95%의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선호도 분석 결과, 가르마별 볼륨의 형태의 이미지 선호도는 표준형에서 SR2가 4.17(±.96), 둥근형의 선호도 또한 CR13.92(±.91), 사각형의 선호도는 RA1 3.82(±1.09), 역삼각형의 선호도는 IL1 3.75(±1.03), 장방형의 선호도는 OR2 3.98(±.89)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얼굴형의 직책부분에서 가장 높은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표준형 얼굴형에서는 SL1에서 F-value=7.182, p<.01로 신뢰수준 99%의 유의수준을 보였으며, 둥근형 얼굴형에서도 CL1에서 F-value=10.287, p<.001로 신뢰수준 99.9 %의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각형 얼굴형에서는 RA1에서 F-value=6.683, p<.01로 신뢰수준 99%의 유의수준을 보였으며, 역삼각형 얼굴형에서는 IL1에서 F-value=9.748, p<.001로 신뢰수준 99.9 %의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방형 얼굴형에서도 OL1에서 F-value=3.635, p<.05로 신뢰수준 95 %의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업스타일 형태에 따른 얼굴형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표준형에서 SR2 이미지는 여성스런 이미지(4.08±.94)가 가장 결과를 나타났으며, 둥근형에서 CR1 이미지는 여성스런 이미지(3.88±.91)가 가장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사각형에서는 RA1는 여성스런 이미지(3.91±.98)가 가장 높은 순으로 나타났으며, 역삼각형에서 IR2 이미지는 여성스런 이미지(3.81±.94)가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장방형에서는 OR2 이미지는 여성스런 이미지(3.95±.92)가 가장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여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 이미지 평가 차이를 분석한 결과, 표준형의 SC1 1순위는 단아한으로 나타났으며 SL1 1순위는 세련된, SR2 1순위는 여성스런, SA1 1순위는 여성스런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직책에서 가장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둥근형에서 CC1 1순위는 단아한, CL1 1순위는 여성스런, CR1 1순위는 여성스런, CA1 1순위는 우아한으로 나타났으며 직책 및 최종학력, 미용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각형에서 RC2 1순위는 단아한, RL1 1순위는 여성스런, RR2 1순위는 여성스런, RA1 1순위는 여성스런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직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삼각형에서 IC2 1순위는 단아한, IL1 1순위는 여성스런, IR2 1순위는 여성스런, IA1 1순위는 여성스런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가르마방향마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장방형에서 OC1 1순위는 단아한, OR2 1순위는 여성스런, OL1 1순위는 여성스런, OA1 1순위는 여성스런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직책에서 가장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표준형에 가까운 업스타일 형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둥근형은 CR1에서 160명(4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각형은 RA1 158명(47.7%), 역삼각형은 IR2 160명(48.3%), 장방형은 OR2 168명(50.8%)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어울림과 선호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얼굴 유형에서 가르마방향에 따른 어울림과 선호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일반적 특성과 얼굴 유형별 표준형에 가까운 업스타일 형태 연관을 분석한 결과, 역삼각형에서는 미용경력과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방형에서도 미용경력과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삼각형과 장방형은 미용경력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둥근형 및 사각형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는 일반적 특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째, 얼굴 유형별 업스타일 형태의 어울림, 선호도와 얼굴형 이미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얼굴 유형에서 각 업스타일 형태에 따른 어울림과 선호도에서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준형에서는 SC1에서 r=.695, p<.01로 가장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울림 및 선호도에서 자연 이미지와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둥근형에서는 CL1에서 r=.772, p<.01로 가장 높았으며, 어울림은 세련 이미지, 선호도는 여성 이미지와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각형에서는 RL1에서 r=.780, p<.01로 가장 높았으며, 어울림 및 선호도에서 여성 이미지와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삼각형에서는 IC2에서 r=.754, p<.01로 가장 높았으며, 어울림 및 선호도에서 지적 이미지와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방형에서는 OL1에서 r=.712, p<.01로 가장 높았으며, 어울림은 지적 이미지, 선호도는 세련 이미지와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여성들의 얼굴형을 파악하여 업스타일 형태의 어울림, 선호도, 이미지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각 얼굴형이 표준형의 이미지화 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실제 산업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얼굴형과 업스타일의 상호작용에 의한 이미지 연구에 객관성을 부여하여 미용사들에게 업스타일 형태적 특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업스타일 디자인에서 요구하는 많은 분야에서 활용이 되기를 바라며, 디자인 연구의 발전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 어수리 에탄올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 및 항산화 효과

        박설아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환경오염으로 인한 오존층 파괴와 대기오염 및 인스턴트식품 섭취 등의 요인으로 자외선 및 각종 유해환경에 노출된 인체를 보호하려는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특히 아름다움을 유지하려는 관심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나, 최근 합성항산화제 및 미백기능원료들의 유해성이 문제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천연물을 통한 미백원료 및 항산화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어수리(Heraclenm moellendorffii)는 한국, 중국, 일본 등의 산과 들에 분포되어 있고, 주로 식용으로 사용되고 예로부터 전통의학에서 고열, 요통, 피부질환, 살균 등에 사용되었으며, 각종 Coumarin, Saponin, Flavono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본 연구는 어수리의 멜라닌 합성 억제효과와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에탄올로 추출한 후 B16F10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실험 및 Tyrosinase 활성,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 Tyrosinase,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조사를 통한 미백실험과 DPPH radical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어수리를 추출해 1.9%수율의 시료를 얻었다. 어수리 에탄올추출물은 세포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세포의 수지상 돌기 형성과 색소침착을 억제하였다. Tyrosinase 활성 및 멜라닌의 합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멜라닌 합성 관련 효소 Tyrosinase,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였다. α-MSH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어 멜라닌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멜라닌 자극 호르몬이다. 따라서 α-MSH로 자극된 B16F10세포에 대한 어수리 에탄올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α-MSH로 증가된 수지상 돌기의 형성을 억제하였으며, Tyrosinase 활성과, 멜라닌 합성양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western blot을 통한 단백질 발현 조사결과 Tyrosinase, TRP-1, TRP-2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질병 및 노화의 원인과 향장소재로서의 유효성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전자공여능을 조사한 결과, 25 ㎍/㎖에서 76.98 ± 2%, 50 ㎍/㎖에서 88.00 ± 6%, 100 ㎍/㎖에서 98.64 ± 0.9%로 농도가 증가 할수록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어수리 에탄올추출물은 멜라닌 합성 억제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Tyrosinase 활성을 현저하게 억제하였고,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보아 미백 및 항산화의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개발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Skin is the body’s largest organ and one of its roles is to confer 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al injury, including exposure to the ultraviolet radiation (UVR). Melanogenesis is a physiological process that results in the synthesis of melanin pigments, which play crucial protective role against skin photocarcinogenesis. Heracleum moellendorffii has been used as food in Korea. Traditionally, Heracleum moellendorffii has been used for high-fever, low back pain and skin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melanogenic and anti-oxidative effect of Heracleum moellendorffii extract. The effect of the extract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content were determined spectrophotometrically; the expression of melanogenesis-related proteins was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the anti-oxidative activity was measur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assay. The results have been revealed that Heracleum moellendorffii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melanin synthesis and dendritic formation in B16F10 cell. Furthermore, Heracleum moellendorffii decreased the expression of melanogenic enzymes like as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1(TRP-1)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2 (TRP-2) in B16F10 cells. Additionally, Heracleum moellendorffii inhibited the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α-MSH)-induced tyrosinase activity, melanin synthesis, over-expression of the tyrosinase, TRP-1 and TRP-2. These results show that anti-melanogenic activity of Heracleum moellendorffii is correlated with the suppression of melanogenic enzyme expressions in B16F10 cells. Also, Heracleum moellendorffii showed highly efficacy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indicated that Heracleum moellendorffii could be utilized as whitening and anti-aging cosmetic ingredients.

      • 미용종사자의 DISC 행동유형과 조직몰입이 미용경영에 미치는 영향

        강정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미용종사자의 DISC 행동유형과 조직몰입이 미용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전북지역에서 근무하는 미용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구성하였다. 조사기간은 2014년 5월 6일 ∼ 31일로 300부를 배포하여 255부가 회수되어 회수율 85%이며 회수된 설문지 중 36부의 불성실 자료를 제외하고 219부로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지는 행동유형 28문항, 조직몰입 22문항, 미용경영 12문항, 일반적 특성 9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적용된 분석방법은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 사후검증으로 Duncan-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결과 전체 구성의 90.9%가 여성이었고, 연령은 31∼35세가 23.7%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었으며, 학력에서는 고등학교졸업 이하가 63.0%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의 경우 기혼이 76.3%였고, 직급에서는 점장 및 원장이 63.9%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었으며, 미용실형태는 2∼3인 미용실이 36.5%, 1인 미용실이 31.5%로 나타났다. 근무형태는 정규직의 경우가 92.7%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었으며, 하루 평균 근무시간을 살펴보면, 8시간 이상 ∼ 10시간미만 근무하는 경우가 44.3%, 10시간 이상 ∼ 12시간미만 근무하는 경우는 41.6%로 8시간 근무하는 경우가 85% 가까이 차지하고 있었다. 미용업을 선택한 이유로는 적성에 맞아서가 45.7%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전문적 가능성이 29.7%, 독자적인 개업 가능성이 16.0%, 수입이 많아서 3.7%, 선택의 여지가 없어서 2.7%, 기타 1.4%, 가업임으로 0.9%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경영 차이는 성별의 경우, 여자(M=3.62)가 남자(M=3.35)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에서는 31∼35세, 51세 이상, 41∼45세, 46∼51세, 26∼30세, 36∼40세, 25세 이하 순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력의 경우, 대학교 졸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문대 졸업, 대학원 졸업 이상, 고등학교졸업 이하 순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결혼여부의 경우, 기혼이 미혼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급의 경우, 점장 및 원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디자이너(경력3년 이상), 실장, 초급디자이너(경력3년 미만), 스텝 순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미용실형태에서는 4∼6인 미용실과 프랜차이즈 미용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1인 미용실, 2∼3인 미용실, 대형 미용실 순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형태의 경우, 정규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파트타임, 실습생, 비정규직, 임시직 순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루 평균 근무시간의 경우, 10시간 이상∼12시간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8시간 이상∼10시간미만, 12시간 이상, 6시간 이상∼8시간미만, 6시간미만 순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업을 선택한 이유에서는 수입이 많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업임으로, 독자적인 개업 가능성, 기타, 적성에 맞아서, 전문적 가능성, 선택의 여지가 없어서 순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낮을수록 미용경영에는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은 높을수록 미용경영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이며 직급이 높아 경력이 높을수록 미용경영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정규직인 경우에 더욱 책임을 가지고 미용경영에 관심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이 많아서 미용을 선택한 경우에 미용경영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몰입이 미용경영에 미치는 영향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조직몰입 하위요인 3개와 미용경영 하위요인 3개에 대한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은 재무적성과, 고객성과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용경영이 조직몰입을 설명하는 비율은 24.1%로 나타났다. 정서적 몰입은 재무적성과, 고객성과, 내부적성과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용경영이 정서적 몰입을 설명하는 비율은 40.3%로 나타났다. 지속적 몰입은 재무적성과, 고객성과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부적성과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용경영이 지속적 몰입을 설명하는 비율은 12.6%로 나타났다. 규범적 몰입은 재무적성과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용경영이 규범적 몰입을 설명하는 비율은 12.3%로 나타났다. 넷째, 행동유형에 따른 미용경영 차이를 살펴보면, 미용경영에서 가장 높게 나온 행동유형은 사교형으로 나타났다. 그 중 내부적 성과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교형, 안정형, 신중형, 주도형 순으로 나타났다. 미용업의 경우 서비스업이기 때문에 고객들과 소통하기 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ISC behavioral typ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beauty professionals on beauty management. The subjects were those beauty professionals working in Jeollabuk-do. The period of this study is May 6 to 31 in 2014. A total of 300 copies were distributed. Of those, 255 copies were collected with collection rate of 85 percent. A total of 219 copies were utilized in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36 incomplete copi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8 questions of behavioral type, 22 question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12 questions of beauty management and 9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methods used in this study includ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ost-verification. Moreover, this study conducted Duncan-test.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omen accounted for 90.9 percent of the total subjects as a result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of. Those aged between 31 and 35 years old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with 23.7 percent. As for educational background, those with high school diploma or less accounted for 63.0 percent. As for marital status, those married women accounted for 76.3 percent. In regard to job position, those branch managers and director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with 63.9 percent. As for type of beauty shop, 2 or 3-person beauty shops accounted for 36.5 percent, followed by one-person beauty shop with 31.5 percent. In regard to work type, those having permanent position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with 92.7 percent. As for average daily work hours, those working for 8 to 10 hours accounted for 44.3 percent, followed by those working for 10 to 12 hours with 41.6 percent. That is to say, those working for more than 8 hours accounted for 85 percent. In regard to the reason for choosing beauty profession, fitting one’s aptitude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with 45.7 percent, followed by professional career prospect with 29.7 percent, possibility of starting one’s own business with 16.0 percent, possibility of making high income with 3.7 percent, having no other choice with 2.7 percent, others with 1.4 percent and family business with 0.9 percent. Second, as for the differences in beauty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women (M=3.62) had a high degree of difference than the men (M=3.35).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 ag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cause those aged between 31 and 35 years old had the highest value, followed by those aged 51 years old or older, those aged between 41 and 45 years old, those aged between 26 and 30 years old, those aged between 36 and 40 years old and those aged 25 years old or younger. As for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cause those with university degree had the highest value, followed by those with community college degree, those with graduate degree and those with high school diploma or less. As for marital status, those unmarried people had a higher degree of difference than the married people. Hereup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 work position, the branch managers and directors had the highest value, followed by the designers (with more than 3 years of work experience), the senior managers, the junior designers (with less than 3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the staffs. Thu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 type of beauty shop, 4 to 6-person beauty shops and franchise beauty shops had the highest value, followed by one-person beauty shops, 2 to 3-person beauty shops and large-scale beauty shop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gard to work type, full-time workers had the highest value, followed by part-time workers, interns, non-permanent workers and temporary workers. Thu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 average daily work hours, those working for 10 to 12 hours had the highest value, followed by those working for 8 to 10 hours, those working for more than 12 hours, those working for 6 to 8 hours and those working for less than 6 hour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gard to the reason for choosing beauty profession, high income had the highest value, followed by family business, possibility of starting one’s own business, others, fitting one’s aptitude, professional career prospect and having no choice. Hereup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younger the subject were, the less they were interested in beauty management. The highe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as, the more they were interested in beauty management. Those married women with a higher work position had a high degree of interest in beauty management. Those permanent workers had a higher degree of interest in beauty management with more responsibility. Those having chosen beauty profession for high income also showed a high degree of interest in beauty management. Third,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beauty management. The result thereof indicates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three sub-factors of beauty manag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s to financial performance and customer performance. Also, the ratio at which beauty management explaine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be 24.1 percent. Emo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s to financial performance, customer performance and internal performance. The ratio a

      • 중국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피부관리행동 및 외모만족도에 대한 연구

        유배봉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model wa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skin care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appearance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n this study, 418 copie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the final data for women over 20 years of age in Shanghai, China,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lifestyle on skin care behavior were shown in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β=.206, p<.01), epidemic pursuit type (β=.126, p<.05), and individual pursuit type (β=.137, p<.05) had a positive effect, and the economic pursuit type (β=-.254, p<.01) had a negative effect. Second, according to the lifestyle, the effe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was shown in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β=.193, p<.01), epidemic pursuit type (β=.141, p<.05), and individual pursuit type (β=.137, p<.05) had a positive effect, and the economic pursuit type (β=-.136, p<.01) had a negative effect. Third, the effects of skin care behavior on appearance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affected by both home care (β=.233, p<.01) and professional care (β=.341, p<.01) were all had a positive effects. Fourth, it can be said that it plays a role of mediating skin care behavior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lifestyle on appearance satisfaction. Fifth, the effects on appear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lifestyl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in marital status (β=-.115, p<.01) had a negative effect, and education (β=.219, p<.01), monthly income (β=.098, p<.05), and lifestyle (β=.307, p<.01)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Sixth, the effects on skin satisfaction according to skin care behavior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in age (β=-.162, p<.01) had negative effects, and education (β=.180, p<.01) and skin care behavior (β=.366, p<.01) had a positive effect. Seventh,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 by age 20-29 (4.02), unmarried (3.56), graduate school and graduation (3.53), and more than 15000 yuan (3.61) wer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kin care behavior, by age 20-29 years (4.08), unmarried (3.69), graduate and graduate school (3.62), and more than 15000 yuan (3.79) wer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among the lifestyle factors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fashion pursuit type and personal pursuit type on skin care behavi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skin care behavior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Lifestyle factors The economic pursuit type has a negative effect on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by constructing a sample of women in some parts of Chin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in generalizing or expan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In addition,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the responsive stereotypes or subjective values ​​may distort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피부관리행동 그리고 외모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라이프스타일과 피부관리행동의 관계, 라이프스타일과 외모만족도의 관계,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의 관계,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수의 관계라는 네 부분으로 구분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면, 중국 상하이 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연구 자료를 적합하다고 판정된 418부를 최종자료로 채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피부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과시소비형(β=.206, p<.01), 유행추구형(β=.126, p<.05), 개성추구형(β=.137, p<.05)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추구형(β=-.254,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과시소비형(β=.193, p<.01), 유행추구형(β=.141, p<.05), 개성추구형(β=.137, p<.05)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추구형(β=-.136,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부관리행동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홈케어(β=.233, p<.01)와 전문케어(β=.341, p<.01)가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라이프스타일이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피부관리행동의 매개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라이프스타일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결혼여부(β=-.115, p<.01)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β=.219, p<.01), 월수입(β=.098, p<.05), 라이프스타일(β=.307, p<.01)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피부관리행동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연령(β=-.162,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β=.180, p<.01), 피부관리행동(β=.366, p<.01)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라이프스타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2), 미혼(3.56), 대학원 재학 및 졸업(3.53), 15000위안 이상(3.61)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피부관리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8), 미혼(3.69), 대학원 재학 및 졸업(3.62), 15000위안 이상(3.79)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외모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8), 미혼(3.91), 대학원 재학 및 졸업(3.85), 15000위안 이상(3.89), 10000∼15000위안(3.89)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요인 중의 과시소비형, 유행추구형, 개성추구형은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 및 피부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 요인 경제추구형은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라이프스타일,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 중국 일부지역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구성하여, 진행한 연구로 본 연구의 결과가 중국의 전체 여성에게 일반화 하거나 확대 해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설문지 방식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고정관념이나 주관적인 가치 등으로 인해 변수들 사이의 관계가 왜곡될 수도 있다.

      • 사과 꽃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연구

        남승숙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Recently, people's interest in and consumption of natural cosmetics with skin beauty and health purpose and usefulness has increased rapidly, and the cosmetics industry has also been developing and demanding new natural materials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who want natural cosmetic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natural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skin beauty is drawing attention to antimicrobial, antioxidant, whitening, moisturizing and inhibiting skin ag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apple flower extract and evaluate the potential and usefulness of functional cosmetics materials. We extracted apple flowers to measure the antimicrobial strength, antioxidant, cytotoxic, anti-infla㎜atory,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Collagen inhibitory activity, and stability evaluation by cosmetics manufacturing. After exploring the GC-MS component analysis using 70% ethanol extraction method and apple flower hydrothermal extraction method, we were able to check the possibility of using natural emulsifier, which is a cosmetic composition, and check the large amount of polyphenol compounds.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used as an antioxidant cosmetics material with a large amount of polyphenols, and 45 other ingredients such as skin moisturizing effects, alcohol, hydrocarbons, large amounts of acid, esters, polysaccharides, and oleic acid were identified. To assess the stability of apple flower extraction, RAW 264.7 cell survival rate was measured in Nitric Oxide generation low-availability measurements. NO production resulting from infla㎜atory diseases was found to decrease NO production in groups treated with 500 ppm of apple flower hydrothermal extract. Antibacterial experiments selected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rains of apple flower extract, showing antibacterial activity for dermatitis strains in groups extracted from 70% ethanol, and not in apple flower hydrothermal extracts. It was shown to have a low resistance of 16 ㎜ at a high concentration of 5000 rpm. To check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pple flower extract, DPPH concentration-specific measurements showed an increase in antioxidant activity from 0.25% to 22.1%; 0.5% to 30.5%; 1% to 41.2%; and apple flower extraction from 0.25% to 0.56% to 0.56%; The polyphenol content of apple flower extract was 18.3 ± 0.05 ㎎ (GAE)/g and 51.38 ± 0.43 ㎎ (GAE)/g was confirmed in apple flower hydrothermal extraction, showing a relatively high polyphenol content. The antioxidant active flavonoid content extraction of apple flower extract was found to contain high levels of flavonoid extraction, with 10.11 ± 0.20 ㎎(QE)/g of apple flower and 117.9 ± 11.63 ㎎(QE)/g of apple flower hydrothermal extract. As a result of a high measurement of flavonoid content, anti-aging experiments, cosmetics manufacturing experiments, and cell mobility tests were conducted with apple flower hydrothermal extraction methods. The amount of melanin was measured in B16F10 cells after processing the apple flower hydrothermal extract by concentration, and the positive control arbutin(ab)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at 1 ㎎/mL with an apple-like temperature of 73.33% at 1 ㎎/mL. In order to determine the low resistance of Collagenase in apple flower hydrothermal extract, the amount of Collagen was measured in B16F10 cells, and the positive control, ascorbic acid (aa) treatment group, was 1 ㎎/mL with a high cholagenase inhibition of ± 6 ㎎/mL, and 1 ㎎ of apple/mL, and 1 ㎎ of flower, respectively. Cell migration assays using human fibroblast confirmed faster movement and proliferation than those not treated in 1 ㎎/mL of apple flower water, with little difference up to 12 hours after treatment, but gradually after 24 hours. At 48 hours, the gap was significantly narrow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determines that aging skin can be improved by skin cell regeneration, the combination of Collagen and elastin. Cream with apple flower hydrothermal extract was found to be pH 4.9, pH 4.8, pH 4.6, pH 4.6 and pH 4.5 per week. Although pH tends to be somewhat lower, pH suitable for cosmetics raw materials was checked within the normal range value. The viscosity variation of the cream was measured over four weeks using control as a result of the viscosity difference of 11,826 cps in one week, 10,966 cps in two weeks, 9,892 cps in three weeks, and 9824 cps in four weeks.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mpan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using various functional cosmetics such as antioxidants and antibacterial, anti-aging inhibitory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apple flower extraction and apple flower 70% ethanol. 최근 사람들은 피부 아름다움과 건강을 위한 목적성과 유용성을 갖는 천연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천연 화장품을 원하는 소비자의 니즈(needs)에 맞춰 화장품 산업계에서도 새로운 천연물 소재에 대한 개발과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피부 미용을 목적으로 천연소재 물질 개발 연구는 항균, 항산화, 미백, 보습 및 피부 노화 억제 효과 등에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과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검증과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가능성 및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진행하였다. 사과 꽃을 추출하여 GC-MS 성분분석과 사과 꽃 추출물의 항균력, 항산화, 세포독성, 항염증, Melanin 합성 저해 활성 효과, Collagen 저해 활성 효과, 화장품 제조에 의한 안정성 평가를 측정하였다. 사과 꽃 70% 에탄올 추출방법과 사과 꽃 열수 추출방법으로 GC-MS 성분분석을 탐색한 결과 화장품 조성물질인 천연유화제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다량의 폴리페놀 화합 성분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폴리페놀의 다량 함유로 항산화 화장품 소재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피부 보습 효능 성분 외, 알코올류, 탄화수소류, 다량의 산류, 에스테르류, 다당류, 올레산 등의 45종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사과 꽃 추출물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능 측정에서 RAW 264.7 세포 생존율 측정을 하였다. 염증성 질환을 초래하는 NO 생성량은 사과 꽃 열수 추출물 500 ppm을 처리한 군에서 NO 생성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과 꽃 추출물의 Staphylococcus epidermidis 균주를 선택하여 항균 실험 결과 사과 꽃 70% 에탄올에서 추출한 군에서 피부염 균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나타났고, 사과 꽃 열수 추출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고농도 5000 rpm에서 16 ㎜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사과 꽃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한 결과 DPPH 농도별 측정결과 사과 꽃 70% 에탄올 추출에서는 0.25%에서 22.1%, 0.5%에서 30.5%, 1%에서 41.2%, 저농도에서 항산화 활성 증가폭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사과 꽃 열수 추출은 0.25%에서 66.83%, 0.5에서 75.16%, 1%에서 86.16%로 사과 꽃 70% 에탄올 추출방법보다 사과 꽃 열수 추출방법에 소거능이 증가한 항산화능을 확인하였다. 사과 꽃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사과 꽃 70% 에탄올 추출은 18.3 ± 0.05 ㎎(GAE)/g 사과 꽃 열수 추출에서 51.38 ± 0.43 ㎎(GAE)/g 확인하였고, 사과 꽃 열수 추출방법이 상대적으로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냈다. 사과 꽃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플라보노이드 함량 추출은 사과 꽃 70% 에탄올 측정 10.11 ± 0.20 ㎎(QE)/g 과 사과 꽃 열수 추출물의 측정 결과 117.9 ± 11.63 ㎎(QE)/g 으로 사과 꽃 열수 추출방법이 플라보노이드 함유가 많이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많이 측정된 결과로 이후 항노화 실험과 화장품 제조실험, 세포 이동성 시험은 사과 꽃 열수 추출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사과 꽃 열수 추출물의 Melanin 합성 저해능을 알아보기 위해 B16F10 세포에 사과 꽃 열수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Melanin의 양을 측정하였고, 시료를 처치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양성 대조군인 arbutin(ab) 처치군은 1 ㎎/mL에서 멜라닌 합성 저해능이 86.6% 유의하게 높았으며, 사과 꽃 열수 추출물 처치군은 1 ㎎/mL 농도에서 78.7%로 사과 꽃 열수 추출물의 Tyrosinase(티로시나제) 저해능을 확인하였다. 사과 꽃 열수 추출물의 Collagenase의 저해능을 알아보기 위해 B16F10 세포에 농도별로 처리한 후 콜라겐의 양을 측정한 결과 시료를 처치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양성 대조군인 ascorbic acid(aa) 처치군은 1 ㎎/mL에서 Collagenase 저해능이 83%로 높았고, 사과 꽃 열수 추출물 처치군은 1 ㎎/mL 농도에서 50 ± 2.16%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으로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를 이용하여 세포 이동성 시험(Cell migration assay)을 통해 사과 꽃 열수 추출물 1 ㎎/mL 처리한 군에서 처리하지 않은 군보다 빠른 이동과 증식이 확인되었고 사과 꽃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후 12시간대까지는 차이가 거의 없으나 24시간 이후부터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8시간에서 대조군에 비해 간격이 많이 좁아진 양상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피부 세포 재생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결합으로 노화된 피부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사과 꽃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크림은 1주 pH4.9, 2주 pH4.8, 3주 pH4.6, 4주 pH4.5로 나타났다. pH가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정상범위 값 이내로 화장품 원료로 적합한 pH를 확인하였다. cream의 점도를 측정한 값을 control로 하여 4주 동안 점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점도 1주 11,826 cps, 2주 10,966 cps, 3주 9,892 cps, 4주 9,824 cps의 점도의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사과 꽃 열수 추출과 사과 꽃 70% 에탄올을 추출한 사과 꽃의 항산화 및 항균, 항노화 저해 활성, 미백효과 등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과 꽃 추출물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오배자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모발 염색성 연구

        이보림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ffects on hair when natural dyeing by using Galla Chinensis and compare the dyeing properties by solvents, mordants, and of how mordan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sulfation activity and Anti-microbial effect of Galla Chinensis extract based on, the hair protective effect when, mixed formulated treatment, and dyed Besides, pleochroic hairdyeing, Galla Chinensis is us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as a grayhair dye or stylish hair dye. Hair thickness, tensile strength, hair moisturizing ability, hair skin observation, hair microstructure, and color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were following: Showing 88.5% for a concentration of 1,000 ppm in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which represented the closest result to the control group vit C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as showed high by 2036.7 ± 2.66 mg/g, 399.5 ± 7.02 mg/g respectively, and 99.5% for a concentration of 1000ppm in ARTS radical scavenging capacity, which represented the similar activity with the control group vit C. To measure the monovalence to skin problem virus, pimple bacteria, staphylocoss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colon bacillus, a paper disc measurement was used and the result shows antimicrobial properties depending on concentration. The results in hair thickness of experiment showed virgin hair is 0.0390 ± 0.0019 ㎜ and T3 mordanted with treatment ferrous sulfate simultaniously is 0.0340 ± 0.0010 ㎜, which showed the thickest in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in tensile strength experiment showed the virgin hair is 123.52 ± 10.27 gf/㎟,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3 showing 110.56 ± 8.61 gf/㎟ makes big difference and the most tensile strength. The result of hair moisturizing ability showed Virgin hair is 90.34%, which represented increasing highly than T3, 80.28%. Overall, it showed lower moisturizing ability than virgin hair and it has deepest moisturizing ability in all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results in hair skin experiment showed that oxidative dye in control group was with melted and absorbed cuticle and the hair skin got thinner. Meanwhile Galla Chinensis in natural dyeing group appeared to be, somewhat lifted, but the experimental group was observed lifting reduced and the hair skin was more thick. The results in hair microstructure experiment showed the degree of cuticle lifting of virgin hair was 457.34 ± 6.34 ㎚, while oxidative dye C in control group was 331.88 ± 7.83 ㎚. The cuticle thickness of T3 and T4 were 450.93 ± 6.31 ㎚, 442.45 ± 3.39 ㎚ respectively, and they showed the stability representing the decrease of separation phenomenon of hair skin and degree of swelling compared to experiment group using distilled water. Control group C was observed crinkle effect heavily and the scale array uneven and swollen. But in experimental group using treatment as solvents the outline was clearly observed for somewhat rough surface. The roughness measurement result was also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surface element measurement result was that virgin hair contents 9.57 Wt%, and generally the experimental group's sulfur content dyed with simultaneous mordent treatment was more than that with after mordent by distilled water. Control C's sulfur content was 7.33 Wt%, while T3 mordanted with treatment ferrous sulfate simultaniously content high by 9.23 Wt%. In the result of comparison of hair color by finding the closest color to oxidative dye C in control group showed the possibility that natural dye with Galla Chinensis is used as a grayhair dye or stylish hairdye. D1, D2, D3 has a similar value with C and they can be used as a greyhair dye, meanwhile D4, T1, T2, T3, T4 as a stylish hair dye.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that Galla Chinensis extract is applied as natural cosmetic ingredient having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effects, In the hair dyes using the extract of Galla Chinensis, the treatment formulated with natural products has effect to relieve damaged hair and protect hair. In the study of dyeing of Galla Chinensis, with the mordant's various use, this research overcame the limits of manifestation of various colors and will be expected to be a basic data for developing of the natural dy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오배자를 이용한 천연염색시 모발보호 효과와 용매별, 매염제별, 매염방법별 염색성 비교를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오배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항균 효과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오배자 추출물을 제조한 트리트먼트에 교반하여 염색시 모발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다색성염료인 오배자를 매염제를 이용하여, 새치염색제나 멋내기염색제로써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모발 굵기, 인장강도, 모발 보습력, 모표피 관찰, 모발 미세구조, 색상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에서는 1,000 ppm의 농도에서 88.5%의 라디컬 소거능을 보여 대조군 Vit C와 가장 근접한 결과를 얻었다. ABTS 라디컬 소거능에서는 1,000 ppm의 농도에서 99.3%의 라디컬 소거능을 보여 대조군 Vit C와 유사한 활성도를 보였다.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036.7 ± 2.66 ㎎/g와 399.5 ± 7.02 ㎎/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피부질환 유발균과 여드름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과 표피포도구균, 대장균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해 paper disc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의 굵기를 측정한 결과 Virgin hair는 0.0390 ± 0.0019 ㎜로 측정되었으며, 오배자 추출물에 트리트먼트를 용매(이하 오배자 트리트먼트 염모제)로 사용하고 황산제1철로 동시매염한 T3는 0.0340 ± 0.0010 ㎜로 실험군 중 모발 굵기가 가장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인장강도 측정결과 Virgin hair는 123.52 ± 10.27 gf/㎟로 측정되었으며, 대조군과 비교 했을 때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낸 실험군은 T3가 110.56 ± 8.61 gf/㎟로 실험군 중 인장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발의 보습력 측정 결과 Virgin hair는 90.34%로 측정되었으며, T3의 모발보습력은 80.28%로 대조군보다 보습력이 월등히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Virgin hair에 비해 보습력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서 높은 보습력을 보였다. 모표피 관찰 결과 대조군인 산화염모제 염색군 C는 큐티클이 녹아 흡착된 모습을 보이고 모표피가 얇아진 반면, 오배자 천연염색군은 큐티클이 다소 들뜬 모습이 보이나 오배자 트리트먼트 염모제 실험군은 들뜸이 줄어들고 모표피 두께가 두꺼운 모습이 관찰되었다. 모발 미세구조 관찰 결과 Virgin hair의 큐티클 두께는 457.34 ± 6.34 ㎚로 측정되었고 대조군인 산화염모제 염색군 C의 큐티클 두께는 331.88 ± 7.83 ㎚로 측정되었다. T3와 T4의 큐티클 두께는 각각 450.93 ± 6.31 ㎚와 442.45 ± 3.39 ㎚로 나타났으며 오배자 증류수 염모제 실험군에 비해 모표피 박리현상 감소와 팽윤도의 감소를 나타내 큐티클 층이 안정된 모습이 관찰되었다. 대조군 C는 큐티클의 요철현상이 심하고 스케일의 배열이 고르지 못하고 팽윤된 부위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오배자 트리트먼트 염모제 실험군에서는 표면이 다소 거칠기는 하지만 윤곽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거칠기 측정결과 또한 대조군에 비해 낮아진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표면 원소를 분석한 결과 Virgin hair의 경우 황 함량이 9.57 Wt%로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오배자 트리트먼트 염모제를 사용하고 동시매염으로 염색한 실험군이 오배자 증류수 염모제를 사용하고 후매염한 실험군보다 황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 C의 황 함량은 7.33 Wt%인데 비해, T3는 9.23 Wt%로 나타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모발 색상도 비교는 대조군인 산화염모제 염색군 C와 근접한 색을 나타내는 실험군인 D1, D2, D3는 C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어 새치커버염색제의 가능성을 보였고, D4, T1, T2, T3, T4는 멋내기염색제로 사용 가능하다고 보여진다. 오배자 천연 모발염색이 새치커버염색제와 멋내기염색제로써 사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오배자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더불어 항균 효과를 갖는 천연화장품 원료로 응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배자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염색에서 천연소재로 제조된 트리트먼트를 용매로 사용함으로써 손상모발의 완화와 모발 보호 효과가 확인되었다. 오배자 염색성 연구에서 매염제를 통해 새치커버염색과 멋내기염색으로 다양하게 표현함으로써 천연염색의 한계점인 다양한 색 발현을 다소 극복하고 표현해냈다는 점이 앞으로 천연염모제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서 제공되기를 기대해 본다.

      • 미용실 내부마케팅이 내부고객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병규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ternal marketing in beauty salon on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hile the recognition of the beauty industry as a high value added promising business expands, with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employees’ frequent moving, its internal growth is delayed compared to huge external growth. Thus, this study aims to perceive an issue about the management of internal customers as an important cause and increase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and alleviate their turnover intention.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nternal marketing in beauty salon on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conducted a reliability analysis on 97.5% of 390 copies of questionnaire for beauty salon staff in Seoul, Daejeon,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to investigate the internal consistency between variables with SPSS 19.0 program and for a factor analysis for a feasibility test of variables and percentage and frequency analyses were us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amples. In addition, for an analysis of the results, to verify the difference of influence between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and to valid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lated variables, One-way ANOVA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internal marketing on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reward (B=.190), communication (M=.079) and education (M=.279) were, the higher the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became.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internal marketing on turnover intention,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delegation of authority (B=-.185), reward (B=-.198), communication (M=-.361) and education (M=-.142) were,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became. Thir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M=-.713) was,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became. Fourth,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internal marketing on turnover intention interacted with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it turned out that in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marketing sub-factors and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there were weak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legation of authority (r=.535), reward (r=.633), communication (r=.654), management class support (r=.589) and education (r=.642) (p<.01) while in the correlations between internal marketing sub-factors and turnover intention, there were weak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legation of authority (r=-.458), reward (r=-.479), communication (r=-.525), management class support (r=-.390) and education (r=-.406) (p<.01). It seems that internal market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and turned out that the internal customers who were satisfied with the sub-factors of internal marketing had low turnover intention. Fifth,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internal marketing on turnover intention interact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it turned out that monthly income of 3-4 million won (p=.030<.05), delegation of authority (p=.008<.05), reward (p=.013<.05), communication (p=.000<.005) and education (p=.013<.05) had significant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p=.000<.05) while the higher their monthly income 3-4 million won (B=-.424), delegation of authority (B=-.201), reward (B=-.168), communication (B=-.342), education (B=.153) were,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became. Sixth,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impacts of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interact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experience of 5 to 7 years or less (p=.013<.05) and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p=.000<.05) had significant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p=.000<.05) while the higher their experience of 5 to 7 years or less (B=.458) was and the lower the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B=-.669) was,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became. Seventh,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difference in internal marketing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legation of authority (p=.019<.05) and communication (p=.049<.05) by education level: college graduates (M=3.35) had the highest delegation of authority while high school graduates or higher had the highest communication (M=3.35). By the number of service years,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significance differences in reward (p=0.21<.05) and education (p=.015<.05): those with experience less than 1 year (M=3.57) had the highest reward while those with experience 1 to 3 years (M=3.88) had the highest education. By average monthly incom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ward (p=.021<.05), communication (p.029<.05) and management class support (p=.035<.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p=.031<.05), too. It turned out that those with monthly income of more than 4 million won had a high reward (M=4.13) while they had the highest communication (M=3.85). Those with average monthly income of more than 4 million won had high management class support by average monthly income was also high (M=3.24) and they had high education (M=4.10). Lastly, in education (p=.000<.05) by pos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staff (M=3.98) had a high education score.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difference in the internal customers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by average monthly income (p=.045<.05) while those with more than 4 million won (M=3.61) had the highest.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 depending on the number of service years (p=.043<.05) and average monthly income (p=.016<.05), and by the number of service years, those with 5 to 7 years or less had the highest (M=3.07) while by average monthly income, those with less than 1 million won had the highest (M=2.60).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ternal marketing in beauty salon on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nternal marketing in beauty salon turned out to be a variable having significant effects on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at it chang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too. Like above, determining that internal marketing in beauty salon was an important variable that could give duties-related motivation to the employees working at beauty salon, that is, internal customers can minimize turnover from the current organization, and construct qualitative service improvement and effective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of the internal customers of beauty salon in the beauty field, which will be the based of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본 연구는 미용실 내부마케팅이 내부고객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 것으로, 미용산업이 고부가가치의 유망업종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반면, 양적인 팽창과 종업원들의 잦은 이동으로 거대한 외형적 성장에 비해 내적인 성장이 늦어지고 있다. 이에 가장 중요한 원인을 내부고객에 대한 관리의 문제로 인식하고 내부고객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완화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용실의 내부마케팅이 내부고객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 중심으로 하여 미용실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390부, 97.5%를 SPSS 19.0의 프로그램으로 변수간의 내적 일관성을 조사하기 위한 신뢰성 분석을 하였다. 변수들의 타당성검정을 위한 요인분석,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백분율과 빈도분석을 이용하였다. 또한 결과 분석을 위해서 변수들 간의 영향력 차이 검증을 위한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T-test 와 관련변수들의 차이검증을 위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마케팅은 내부고객만족에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보상(B=.190), 커뮤니케이션(M=.079), 교육(M=.279)이 높을수록 내부고객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부마케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권한위임(B=-.185), 보상(B=-.198), 커뮤니케이션(M=-.361), 교육(M=-.142)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부고객만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내부고객만족(M=-.713)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부마케팅이 내부고객만족과 상호작용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내부마케팅 하위요인과 내부고객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 권한위임(r=.535), 보상(r=.633), 커뮤니케이션(r=.654), 경영층지원(r=.589), 교육(r=.642)으로 약한 양의 상관을 보였고(p<.01), 내부마케팅 하위요인과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 보면 권한위임(r=-.458), 보상(r=-.479), 커뮤니케이션(r=-.525), 경영층지원(r=-.390), 교육(r=-.406)으로 약한 음의 상관을 보였다(p<.01). 이는 내부마케팅이 내부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보여 지며 내부마케팅의 하위요인에 만족한 내부고객은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내부마케팅이 일반적 특성과 상호작용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분석한 결과, 소득 300-400만원(p=.030<.05), 권한위임(p=.008<.05), 보상(p=.013<.05), 커뮤니케이션(p=.000<.005), 교육(p=.013<.05)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05), 소득 300-400만원(B=-.424), 권한위임(B=-.201), 보상(B=-.168), 커뮤니케이션(B=-.342), 교육(B=.153)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째, 내부고객만족이 일반적 특성과 상호작용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력5-7년미만(p=.013<.05),내부고객만족(p=.000<.05)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05), 경력5-7년미만(B=.458)이 높을수록 이직의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부고객만족(B=-.669)이 낮을수록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 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내부마케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 수준에 따라 권한 위임(p=.019<.05)과 커뮤니케이션(p=.049<.05)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권한위임에는 전문대 졸업(M=3.35)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커뮤니케이션에는 고졸이상(M=3.35)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무연수에 따라서는 보상(p=0.21<.05)과 교육(p=.015<.05)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보상에는 1년미만(M=3.57)이 교육에는 1-3년 미만(M=3.88)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에 따라 보상(p=.021<.05>과 커뮤니케이션(p.029<.05), 경영층 지원(p=.035<.05)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육(p=.031<.05)또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보상에는 400만원이상(M=4.13)이 높게 나타났으며 커뮤니케이션도 400만원이상(M=3.85)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에 따른 경영층 지원도 400만원이상(M=3.24)이 교육에서도 400만원이상(M=4.10)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위에 따른 교육(p=.000<.05)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스텝(M=3.98)이 교육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내부고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월평균 소득에 따른 내부고객만족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45<.05), 400만원이상(M=3.6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무연수(p=.043<.05)와 월평균 소득(p=.016<.05)에 따른 이직의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연수에는 5-7년 미만(M=3.07)이, 월평균 소득에는 100만원미만(M=2.6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용실 내부마케팅이 내부고객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고 그 결과 미용실 내부마케팅은 내부고객만족과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도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과는 미용실 내부마케팅은 미용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업원, 즉 내부고객들에게 직무와 관련된 동기부여를 줄 수 있고 현 조직에서의 이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임을 밝혀냄으로써 미용실의 내부고객들의 미용현장에서 질적인 서비스 향상과 효과적인 고객만족경영을 구축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의 바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