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 장기요양 재가서비스의 질 평가

        최영자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most countries, population aging brings an increase of social security expenditure due to emerging new social risks and a decrease of national growth rate with low-fertility. In addition, service quality for long-term care insurance could be deteriorated because it is supported by private sectors despite of expending public funds. Thus, effective management of service quality would be developed only when the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and development of systematic management of quality is conducted. Many ways of evaluating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 come out these days, but there are not many evaluations whether it is a good quality to satisfying service users. In this research, metrics of SERVQUAL were expended for long-term care service after reviewing the primary research, and expectations and perceived level of service were measured to the dimensions of reliability, competence, empathy, responsiveness, feedback, tangibility. Then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 in Cheon-An and Ah-San was acquired. In addition, Portfolio matrix analysis was utilized to arrange 6 dimensions on quadrant and to derive management strategies by service dimensions based on the result of substantiation. By using Key Informant Interview, reasons for the result of quality in local long-term care service were founded and methods for improvement were suggested. 480 service users of 15 organizations in Cheon-An and 8 organization in Ah-San where In-house service was supplied were research targets, and SPSS 21.0 was used to perform t-evaluation of independent samples for the method of statistic analysis on collections of research materials.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angibility was high and empathy was low in service quality. Second, as a result of Portfolio matrix, empathy, responsiveness, feedback were required to maintain, and tangibility was needed to enhance satisfaction and competence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priorities. Third, after reviewing management strategy, most of factors were needed to be maintained, but 8) supporting differentiated service from other organizations 23) the newest tools and equipment for service 26) acquiring guidelines of organization (books, brochures, leaflets. etc) were required to enhance satisfaction. Furthermore, 19) finding ways for dissatisfactions and 25) convenience of using service procedures were needed to improve the priorities. Plan for improvement about the result of Key Informant Interview are as follows. First, plans for enhancing the satisfaction are notice the importance of privacy and professional ethics awareness, increasing competitiveness of organizations through combination/closure of small organizations, enhancing the awareness of professions as care helpers and taking pre-training program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when using service, including a chapter of human rights in the training program, making weekly care plan, management of cases by targets, submitting pre-planning about salary, making care plan for bathing service. Second, plans for responding against emergency are displaying emergency notification, checking participants through reviewing daily status of a care giver more than once a week, monitoring of taking medications and preventing of mistaking medication, controlling service time through classification of levels. Reviews for this research result are as follows. First, for acquiring service quality, evaluations on service structure and process as well as research results targeted to service users should be conducted. Second, evaluation of service operators could not be reliable in objectivity and reliability, so it is important to maintain neutrality and acquire trust on result through a local government. Third, training to enhance ability and improve quality as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 is up to competence of care givers is necessary. Fourth, managing separated case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each service users is required. These reviews and plans for improvement through the research are reinforcing levels of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 and this will motivat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are givers with their satisfaction through activating of long-term care home based service 대다수의 국가에서 인구고령화는 노인부양이라는 새로운 신사회적위험으로 국가의 사회보장지출 증가를 가져왔으며, 저출산현상과 함께 국가성장률을 떨어뜨리고 있다. 장기요양보험은 공적자금투입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공급은 민간이 운영하는 시장방식을 택하고 있어 서비스 질이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질에 대한 평가 및 체계적인 질 관리가 구축되어야만 효과적인 서비스 질 관리를 구축할 수 있다. 최근 장기요양서비스 질 평가에 대한 다양한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지만, 서비스 이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양질의 품질을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SERVQUAL의 측정지표를 장기요양서비스에 맞도록 확장하여 신뢰성, 전문성, 공감성, 대응성, 환류성, 유형성 차원으로 서비스의 기대수준과 지각수준을 측정하여 천안시와 아산시의 장기요양서비스 질을 확보하였다. 또한 실증결과를 토대로 Portfolio matrix 분석을 활용하여, 4분면에 6개 차원을 배치하여 서비스 차원별 관리전략을 도출 하였으며, Key Informant Interview를 이용하여 지역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결과 원인 탐색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재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천안시 15개 기관, 아산시 8개 기관의 서비스 이용자 4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자료 수집결과에 대한 통계분석 방법은 SPSS 21.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품질은 유형성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공감성이 가장 낮은 서비스 품질을 보이고 있다. 둘째, Portfolio matrix 결과 신뢰성, 공감성, 대응성, 환류성은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며, 유형성은 만족도 제고, 전문성은 중점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항목별 관리전략을 살펴보면 대다수의 항목들이 유지관리가 필요하나, 만족도 제고가 필요한 항목은 8) 다른 기관과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23) 서비스 제공을 위한 최신 도구 및 장비 26) 기관의 안내자료(책자, 정보자료, 설명서 등)구비이며, 중점 개선이 필요한 항목은 19) 불만사항 해결과 진행상황 알려줌과 25) 서비스 이용 절차의 편리함이다. Key Informant Interview결과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도 제고 영역에서 부분은 개인정보의 중요성 고지 및 직업윤리의식 고취, 소규모 기관의 통․폐합을 통한 기관의 경쟁력 키워나가기,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 고취와 서비스 이용 시 건강보험공단의 사전교육 이수 원칙, 교육 내용에 권리옹호를 위한 인권교육 포함, 주간케어계획서 작성, 대상별 사례관리, 급여제공 사전계획서 제출, 목욕서비스를 포함한 케어플랜 작성 등이다. 둘째, 위급사항에 대처하기 위한 비상연락망 비치, 최소 1주일에 1회 이상 요양보호사의 일지 검토를 통한 대상자의 상태 확인, 모니터링을 통한 복약행위와 복약과오 방지, 등급내의 세분화를 통한 서비스 이용시간 조정 등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질 확보를 위한 방법으로 서비스 구조․과정의 평가뿐만 아니라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결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서비스 운영주체의 평가는 객관성과 신뢰성이 떨어지므로 자치단체 평가를 통해 중립성의 유지와 결과의 신뢰를 확보하여야 한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전문성에 따라 장기요양서비스의 질이 좌우되는 만큼 역량강화와 Quality를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서비스 이용자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된 사례관리가 필요하다. 위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개선방안과 제언은 장기요양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장기요양 재가서비스의 활성화를 통해 서비스이용자의 만족과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 지역보건복지서비스의 장기요양 예방 효과

        이재숙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장기요양서비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어 이에 대한 장기요양보험의 재정 부담과 예방책에 대한 분석적 논의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이 2008년 7월 도입되어 올해로 7년째로 접어들었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노인들이 상당한 혜택을 받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장기요양 인정자수 확대에도 불구하고 장기요양 급여대상에서 제외된 등급외자는 여전히 등급밖에 머물러 제도권내의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장기요양 급여대상에서 제외된 등급외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에서 제공되는 지자체의 노인돌봄서비스와 보건소 맞춤형방문간호서비스가 장기요양에 대해 어느 정도 예방적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적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장기요양에 대한 예방서비스로서 천안시와 아산시 두 사례 지역의 등급외자 자료와 노인돌봄서비스, 보건소 맞춤형 방문간호서비스 대상자 자료를 통해 지역보건복지서비스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분석에 앞서 사회서비스와 노인보건과 복지의 개념과 원리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통하여 개념을 정리하고, 사회서비스와 장기요양 예방에 대한 선행연구와 우리나라의 장기요양체계와 예방 서비스, 외국의 사례연구 등 문헌분석을 통하여 예방서비스의 효과와 중요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지역보건복지서비스와 장기요양 간의 효과 분석을 위한 대상자는 2008년 4월 15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천안시와 아산시의 건강보험공단에 장기요양 인정신청을 하여 등급외 판정을 받은 3,075명이다. 이들 중 2013년 12월 31일까지 재신청하여 등급내로 편입된 대상자는 760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지자체 노인돌봄서비스, 보건소 맞춤형방문간호서비스 제공에 따른 등급내 편입기간의 차이와 영향요인 분석 등 지역보건복지서비스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인돌봄서비스와 맞춤형 방문간호서비스를 제공받은 대상자가 제공받지 않은 대상자보다 등급내로 편입되는 기간을 늦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사회서비스 제공기간과 장기요양편입기간 간 상관관계분석을 통한 결과도 서비스를 길게 받을수록 편입되는 기간이 길어지는 정적인 관계를 보여주었으며, 매우 밀접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하여 지역보건복지서비스를 강화하면 대상자의 기능상태 유지 및 중증도로 가는 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장기요양보험에 재정적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지역 간 지역적 특성, 재정차이, 서비스 시간 및 비용, 접근성, 서비스 질 차이 등 맥락의 차이를 통해 지역보건복지서비스의 효과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서비스가 확대되고 강화되어져야 하며, 둘째, 간호와 보건 관련 지역 보건서비스가 더 확대 보급되어야 하며, 특히 노인의 욕구에 맞는 맞춤형태의 보건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서비스 대상자들의 중증도를 기준으로 집중 대상그룹과 비 집중 대상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해야 하며, 넷째,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식, 즉 사례관리방식의 적용이 필요하다. 다섯째, 현재 등급내와 등급외로 이원화되어 있는 서비스를 대상자 중심으로 재정비해야하며 마지막으로 공단과 자치단체, 민간의 유기적인 협력체계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사회서비스정책에 매우 시사적이며, 지역서비스(자치단체)와 장기요양서비스(국가)간 유기적 관계 정립을 유인하데 의의가 있다. With advancement of agedness of population level of dependence on Long Term Care is heightening accordingly analytical discussion and research on financial burden of Long Term Care Insurance and measures for its prevention are ongoing. System of Long Term Care Insurance was introduced in July 2008 and it is 7th year now. From macroscopic perspective it is true that old people are receiving considerable benefit from it. But in spite of expanded number of old people eligible for receiving Long-term treatment however old people who are not included for receiving pay for Long Term Care are remaining outside of such scope and unable to receive service within the system. In this treatise studied old people care service and health center tailor-made type visit nursing service of local self government provided by local community for old people who are excluded from receiving pay for Long Term Care and analysed effect of such service for preventing the need for Long Term Care . This esearch made empirical and statist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social care as preventive service prior to Long Term Care through data on people who are off the list of insurance service in Cheonan and Asan Cities by means of data on the subjects of old people care service and data on health center tailor-made visit nursing service subject. Firstly this writer established concepts through study and review on effect and importance of preventive service through theoretical search on concept and principle of social service, health for old people and welfare. Then reviewed effect and importance of preventive service through analysis of precedent studies on social service and long term medical treatment and prevention and analysis of Long Term Care and preventive service in our country and case study in foreign countries. Subjects for analysis of effect on social service and Long Term Care were 3,075 persons who applied for approval for Long Term Care to social service of Cheonan and Asan from Apr. 15, 2008 to Dec. 31, 2010 and received decision as not acceptable into category for eligibility of such service. Among them 760 applied again until Dec. 31, 2013 and were accepted into category of eligibility for such service. On such persons this writer carried out statistical analysis empirically on difference and effect of the term of inclusion in eligibility category based on provision of old people care service, health center tailor-made visit nursing service of self governing body. Result of such analysis showed that subjects who have been provided with old people care service and tailor-made visit nursing service delayed the time for inclusion into such category rather than those who have not provided with such service.Result on analysi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d of supply of social service and period under inclusion of long-term care category showed that the longer the period of service was the longer the period of such inclusion became and such relationship was very close too. Through result of analysis as above this writer could propose the conclusion that if local social care is strengthened then by maintaining functional condition of the subjects and delaying speed for their advancing to serious symptom level reducing financial burden for long-term care insurance will be possible. In this treatise this writer also showed that effect of local health and welfare service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difference in context such as difference in regional characteristics, financial difference, service time and cost approachability and difference in service quality. Based on result of this result this writer's proposal is as follows: First, Social Service should be expanded and strengthened. Second, local health service related to nursing and health should be expanded and supplied. In particular tailor-made type health service suitable to desire of old people should be provided. Third, there is need for management by dividing subject groups into group requiring concentration and those which do not need it based on level of seriousness of the subjects for local Social Service. Fourth there is need for application of case management method, more specifically application of case management method. Fifth, through this research this writer suggested need for rearrangement of current dual system of category for on-list and off-list into a system with focus on the subjects and also proposed for need of organic cooperative system among the health service and self governing body and private sector. Result of this research is very suggestive to social service policy and is a meaningful research which induces establishment of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local service (self governing body) and long term medical treatment service (state).

      • 결혼이주여성의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재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결혼이주여성의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보건복지학 전공 이 재 준 지도교수 : 강 창 현 우리 한국사회의 출산율은 미래의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로 이어지는 국가적 차원의 문제로 인식 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 지난 10년 동안 100조원이라는 천문학 적인 예산을 투입 했으나 저 출산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면서 인구 감소가 한국의 장래 경제 성장률을 빠르게 떨어 뜨릴 것 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국제결혼 비율은 2005년 13.5%를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2015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여전히 10%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은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 등 출산율이 높은 개발도상국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 우리국민으로 유입되는 결혼이주여성의 출산의도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가 정책적으로 가야할 부분의 하나로 결혼이주 여성들의 출산의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출산율을 알아보고 결혼이주여성의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조사연구와 심층면접을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결혼이주여성의 출산양육 지원 정책과 서비스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출산의도 분석은 다중회귀 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PC WIN 21.0 Program 실시하였다. 또한 11명의 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대면 면접을 통한 면담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보완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귀분석 결과 전체 결혼이주여성, 유자녀 여성, 무자녀여성 모두 한국거주기간, 연령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국거주기간은 짧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출산의도는 높았다. 한국거주기간은 전체 결혼이주 여성과 유자녀 여성에게서, 연령은 무자녀 여성에게서 출산의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둘째, 로지스틱 분석결과, 전체 결혼이주여성, 유자녀 여성, 무자녀 여성 모두에게서 부부관계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경제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사회활동 모임이 없을수록 출산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로지스틱 분석결과, 전체 결혼여성과 무자녀 여성에서 생활만족도가 증가 할수록, 한국생활어려움이 감소할수록, 건강이 좋을수록 출산의도는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고, 학력에 있어서는 대학교 졸업이상에 비해 대학교 미만의 경우 교차비가 감소하여 출산의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특히 무학에 비해서 중학교/고등학교로 올라갈수록 출산의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로지스틱 분석 결과, 전체여성에 있어서, 월평균 소득은 500만원 이상 에 비해서 100만원 단위로 500만원 미만 까지 소득이 높을수록 출산의도 수준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자녀 여성에서는 소득이 작을수록 출산의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면담분석 결과 9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또한 면담 분석을 통해서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의 유의미성을 보완하였다. <주제 1> 결혼으로 한국거주와 임신출산에 대한 면담에서는 결혼과 동시에 임신과 출산으로 이어져야한다고 생각했다. <주제 2> 산전 정보와 교육이 없이 한국으로 이주 후 결혼을 통해 임신과 출산이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주제 3> 자녀 출산계획이 없이 막연하게 자녀수를 생각하고 있었다. <주제 4> 출산의도에 이주여성의 건강상태가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주제 5> 부모의 경제력이 출산의도에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결혼이주여성의 경제활동은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있지 않았다. <주제 6> 한국생활적응과 산후조리는 50%이상이 시댁식구와 이웃의 도움을 기대하고 있었다. <주제 7> 생활만족도가 중요한 출산결정 요인이었다. <주제 8> 출산 시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주제 9> 출신국에 따라 문화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의 출산의도 요인은 출신국가별로 차이가 있으며, 개인·가족·사회 환경에 따라 출산의도 요인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장기적으로 다문화가족 정책 수립과 결혼이주여성의 출산률을 제고하는 차원의 정책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인구정책 차원의 저출산 정책 개발과 보건복지 차원의 실천 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노인 성 건강에 대한 조사-개입-평가의 과정모델 연구

        유지혜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성 건강이란 정신적, 신체적, 감정적, 사회적인 성의 모든 영역에서 건강한 상태를 의미하므로, 성이란 삶 전반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노인들의 ‘성’은 오랜 시간 누적된 사회문화적, 심리ˑ정서적 요소를 포함하는 개별적이고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노인 성 건강에 대한 접근은 일반화와 개별화를 병행하는 조사-개입-평가의 과정모델이 적합하다. 본 연구의 성 건강 조사-개입-평가 과정모델은 WHO 성 건강 프로그램 가이드를 따르고 있으며, 개입과정에서는 PLISSIT 모델을 적용하였다. 설문을 통한 계량적 측정과 면담, 관찰을 통한 개별측정을 병행하면서 조사와 개입과정을 수행하였다. 양적조사의 결과는 t-검정과 ANOVA를 활용하여 성 건강과 성 건강 관련 요소로서의 행태를 비교분석하였고, 다중회귀분석으로 성 건강 영향요인을 추출하였다. 질적 조사의 결과는 심층면담에서 나타난 자신 만의 스토리텔링을 반복적 비교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과정에서 파악된 내용을 프로그램 구성에 반영하여, 개입과정에서 양적변화의 측정과 질적 변화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노인 성 건강 조사-개입-평가 과정모델에서 파악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연구 결과에서는 성별, 지역별, 연령별, 학력에 따른 성 건강의 편차가 크게 나타난다. 정신적, 신체적, 감정적 성 건강과 사회적 성 건강에서는 대상자 집단의 명확한 구분이 나타난다. 둘째, 정신적 성 건강은 성생활 만족도와 성지식에서, 신체적 성 건강은 삶의 만족도와 배우자 만족도에서, 감정적 성 건강은 이성교제, 성교육상담, 배우자 만족도, 성생활 만족도, 성지식에 비례하고 있다. 성생활 빈도는 감정적 성 건강에서 음의 영향으로 나타나, 노인들은 성교행위 보다는 새로운 만남을 추구하고, 친숙한 상대와의 친밀감을 원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사회적 성 건강은 배우자 만족도와 이성교제에서 음의 영향으로 나타나, 무배우자 여성노인들의 배우자에 대한 불만이 이성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으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심층면담에서 나타난 성 건강이 높은 대상자들의 성 건강 관련 행태 특성은 현재 삶의 만족도와 결혼생활 및 배우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성적친밀감을 표현하며, 상호존중의 소통방식을 취하고 있다. 면담에서도 노인들은 성교행위 보다는 스킨십과 같은 성적친밀감을 선호하고 있다. 이성교제는 양적연구에서는 남성대상자들의 높게 응답하였으나, 면담에서는 성별, 배우자 유무와는 무관하게 이성교제에 대해 허용적인 태도를 보인다. 넷째, 개입과정에서 대상자들의 욕구는 정보제공, 감정수용, 지지집단의 욕구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개인의 욕구는 고정된 것이 아닌 집단의 역동에 따라 변화되므로 교육과 면담, 관찰을 병행하는 과정모델로 수행하였다. 개입이후 결과의 측정에서 사전-사후의 양적측정으로는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개입과정의 면담과 관찰을 통해서 남성노인들은 배우자에 대한 이해와 소통의 필요성을, 여성노인들은 성적욕구의 표현과 노년기 성에 대한 수용적 자세로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다섯째, 노인 성 건강의 조사와 개입과정 전반에 대한 평가로는 조사결과를 반영한 개입을 통해 내용의 적절성과 효과성 및 욕구 대응성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대상자 욕구 및 문제의 진단과 과정모델의 평가를 위한 표준화된 도구의 개발은 향후 연구의 과제로 남아있다. 본 연구는 기존 노인 성교육의 결과론적 관점에서 벗어나 과정 중심의 모델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노인들의 성 건강이 신체ˑ기능적 건강에서 벗어나 노인 인권과 성인지 감수성 향상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다학제 간의 참여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연계된 조사-개입-평가 과정모델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손상 역학 연구 : 충청남도 TCS 분석을 중심으로

        윤치원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자동차의 증가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신속함과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경제성장에도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과 중상해와 같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 환경오염 등의 역효과로 중대한 사회문제가 되었다. 2018년 전국 교통사고 사망자 중 65세 이상 노인 사망자는 44.5%로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충청남도 지역에서도 전체 사망자의 51.8%가 노인 사망자이며, 이 중 40.2%가 노인보행자 교통사망자이다. 따라서 충청남도 지역 노인보행자 교통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교통사고 손상역학 연구를 진행하였다. 피해자 측 위험요인 규명에는 양적·계량적 자료인 TCS 통계 자료를 활용하였고, 가해 측 위험요인 규명에는 질적·비계량적 자료인 피의자신문조서를 활용하였다. 노인보행자의 보행특성 규명에는 설문자료를 분석하였고, 도로환경 특성 규명에는 노인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과 미지정된 곳에서 현장사례 관찰을 실시하였다. 첫째, TCS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사상자의 피해자 측 위험요인을 규명하였다. TCS를 활용하여 인적요인과 도로교통요인에 따라 사고 위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피의자신문조서를 활용하여 가해차량 운전자의 위험요인을 규명하였다. 셋째, 65세 이상 노인 221명에 대한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보행자 보행특성을 규명하였다. 넷째, 노인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과 미지정된 도로의 현장사례 관찰을 통하여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손상이 발생하는 도로환경 요인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충청남도 지역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손상을 통제하기 위해서 속도제어를 위한 시설물 설치와 단속활동, 국도에서의 교통사고 통제 정책 마련, 노인중심 신호체계 개선, 노인 보호 공간 지정 확대, 노인 등 교통보행 약자를 위한 보행로 확보, 내실 있는 노인교통 안전교육 실시, 교통안전 취약 지역의 응급의료시스템 구축 등이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지역에서 발생한 노인보행자 교통사고에 대하여 TCS 통계, 피의자신문조서, 설문조사, 현장사례 관찰 등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방법으로 손상역학 연구를 하였다. 앞으로 교통 분야 연구에 손상 역학적 접근이 진행되었으면 한다.

      • 어린이집 영유아 안전사고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현숙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조사 분석을 통해 어린이집 내 일어나는 영유아 안전사고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심층 면담 방법을 이용하여 어린이집 내 영유아 안전사고와 관련된 보육교사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어린이집의 보육환경과 영유아 및 보육교사의 정책 마련과 서비스 질을 향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5년도 전국 보육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조사 모집단은 2015년 4월 기준 어린이집 통합정보시스템에 등록된 어린이집 중 부모협동 어린이집을 제외한 4,046개소 어린이집의 3,866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분석은 SPSS/PC 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어린이집 특성과 보육교사 특성 및 영유아의 안전사고 현황은 빈도와 백분율, Chi-Square test(χ2 검증)로, 영유아 안전사고에 기여하는 요인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고, 면담분석을 통해 영유아 안전사고 요인을 설명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에서 안전사고는 부딪힘, 넘어짐이 대부분의 안전사고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의 안전사고 원인은 유아 부주의, 아동간 다툼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안전사고의 발생 장소는 보육실이 가장 높았다. 넷째, 어린이집 기관유형별 안전사고 발생빈도는 가정어린이집이 36%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국공립 어린이집이 비국공립 어린이집에 비해 안전사고가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안전사고 위험도는 높았으나 어린이집 1개소 당 사고건수는 국공립이 평균 3.9건으로 비국공립에 비해 안전사고는 낮았다. 다섯째, 건물형태면에서 어린이집 안전사고는 단독건물이 비단독건물에 비해 안전사고가 높았고, 단독건물 40.6%, 아파트 34.1%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물형태가 아파트인 가정어린이집이 안전사고의 사각지대로 인식된다. 여섯째, 1인당 원아수가 적을수록 안전사고는 많았다. 이는 일반적으로 보육교사의 1인당 원아수가 적을수록 돌봄의 질이 높다는 인식과는 차이가 있는 결과이다. 일곱째, 비정규기관에서 교육과정을 이수한 보육교사가 많은 어린이집에 안전사고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여덟째, 보육교사요인의 보육교사 스트레스가 어린이집 안전사고와 관련이 있고 스트레스 요인 중 업무피로도가 높을수록 안전사고는 증가하였다. 아홉째, 어린이집의 지원 중 대체교사 및 보조교사의 지원이 높을수록 안전사고는 증가하였다. 열번째, 어린이집의 교육은 교사교육 및 유아교육을 포함하여 안전사고 예방에는 효과가 없었다. 이상 살펴보았듯이, 어린이집 안전증진은 공적 접근 보다 과학적 인과적 분석에 의해 접근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의 보육환경의 안전장치와 영유아 및 보육교사의 제도 보완과 개선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여 보육의 서비스 질 향상과 정책 마련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pecific factors related to safety accident infant and child in child care center through research analysis, to understand the child care provider’ in-depth experience related to safety accident infant and child in child care center using in-depth interviews. and this is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olicy making and service quality improvement in child care environment, infant and child and child care provider in child care center. The study is based on the raw data of 2015 National Childcare Survey in Korea, the survey population is 4,046 collection child care centers in the registered Childcar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in Korea as of April 2015 except for parent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 subjects were 3,866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Using SPSS/WIN 21.0 program, child care center characteristics, child care provider characteristics, and infant and child safety accident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factors related to safety accident infant and child in child care center.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explained and supplemented the factors of infant and child safety accidents in child care cent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ed up as follow First, The types of safety accidents in child care center mostly showed to collide and fall. Second, The causes of safety accidents at child care center were child carelessness and conflict between children. Third, The child care room had the highest safety accidents at the child care center. Forth, The types of safety accidents by type of institution in child care center were the highest at 36% in the home child care centers. in addition, National public child care centers had higher safety accidents than non-national ones. In other words, overall,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t the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centers was higher than that of non-national ones but the number of accidents at the child care center per place was average 3.9 in the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center, which was lower than that in the non-national ones. Fifth, In the form of buildings, safety accidents at the child care centers of single buildings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single buildings and showed to 40.6% for single buildings and 34.1% for apartments. This result is recognized as a blind spot for safety accidents in the home child care center where the building type is apartment. Sixth, The smaller number of infant and child per person, the more safety accidents occurred. Generally, these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quality of care is higher as the number of infant and child per person is smaller. Seventh, There were relatively few safety accidents at the child care centers where the care providers who completed the curriculum at the irregular institutions had more. Eighth, For the factors of child care provider, the stress of child care provider is related to the safety accident of the child care center and among the stress factors, the higher the work fatigue, the more the safety accidents increased. Ninth, The higher the support of the substitute and assistant child care providers among the support of the chid care center, the more the safety accidents increased. Tenth, Child care center education, including child care provider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not effective in preventing accidents. As a result, the promotion of the safety of the child care center should be approached by a causal analysis rather than a public approach. Moreover, these results suggest specific directions for the safeguard against the child care environment of the child care center and for supplementing and improving the system of infants and children and child care providers in the child care center and this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hild care service quality and policy making. 본 연구는 조사 분석을 통해 어린이집 내 일어나는 영유아 안전사고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심층 면담 방법을 이용하여 어린이집 내 영유아 안전사고와 관련된 보육교사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어린이집의 보육환경과 영유아 및 보육교사의 정책 마련과 서비스 질을 향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5년도 전국 보육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조사 모집단은 2015년 4월 기준 어린이집 통합정보시스템에 등록된 어린이집 중 부모협동 어린이집을 제외한 4,046개소 어린이집의 3,866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분석은 SPSS/PC 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어린이집 특성과 보육교사 특성 및 영유아의 안전사고 현황은 빈도와 백분율, Chi-Square test(χ2 검증)로, 영유아 안전사고에 기여하는 요인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고, 면담분석을 통해 영유아 안전사고 요인을 설명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에서 안전사고는 부딪힘, 넘어짐이 대부분의 안전사고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의 안전사고 원인은 유아 부주의, 아동간 다툼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안전사고의 발생 장소는 보육실이 가장 높았다. 넷째, 어린이집 기관유형별 안전사고 발생빈도는 가정어린이집이 36%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국공립 어린이집이 비국공립 어린이집에 비해 안전사고가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안전사고 위험도는 높았으나 어린이집 1개소 당 사고건수는 국공립이 평균 3.9건으로 비국공립에 비해 안전사고는 낮았다. 다섯째, 건물형태면에서 어린이집 안전사고는 단독건물이 비단독건물에 비해 안전사고가 높았고, 단독건물 40.6%, 아파트 34.1%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물형태가 아파트인 가정어린이집이 안전사고의 사각지대로 인식된다. 여섯째, 1인당 원아수가 적을수록 안전사고는 많았다. 이는 일반적으로 보육교사의 1인당 원아수가 적을수록 돌봄의 질이 높다는 인식과는 차이가 있는 결과이다. 일곱째, 비정규기관에서 교육과정을 이수한 보육교사가 많은 어린이집에 안전사고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여덟째, 보육교사요인의 보육교사 스트레스가 어린이집 안전사고와 관련이 있고 스트레스 요인 중 업무피로도가 높을수록 안전사고는 증가하였다. 아홉째, 어린이집의 지원 중 대체교사 및 보조교사의 지원이 높을수록 안전사고는 증가하였다. 열번째, 어린이집의 교육은 교사교육 및 유아교육을 포함하여 안전사고 예방에는 효과가 없었다. 이상 살펴보았듯이, 어린이집 안전증진은 공적 접근 보다 과학적 인과적 분석에 의해 접근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의 보육환경의 안전장치와 영유아 및 보육교사의 제도 보완과 개선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여 보육의 서비스 질 향상과 정책 마련에 기여할 것이다.

      • 청년들의 정신건강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활용에 관한 연구

        박혜진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년층의 우울 및 불안 유병률, 자살률의 증가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청년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새롭게 등장한 방안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중심의 스마트헬스케어 활용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청년층의 연령을 20~30대로 설정하였고, 어플리케이션의 비교를 위해 공공에서 개발한 앱과 민간에서 개발한 앱 총 7개에 대하여 활용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활용도 분석을 위해 사용한 지표는 첫째, 이용자 수 및 접근성, 둘째, 효과성, 마지막으로 안전성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은 익명성과 비대면을 선호하기 때문에 청년층의 정신건강을 위해 스마트헬스케어를 활용하면 접근성을 제고할 수 있다. 둘째, 청년 대상 정신질환의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이 중요해짐에 따라 정부차원의 정책 또는 지원이 증가하고 있다. 셋째, 기존 어플리케이션을 활용도 지표로 분석하며, 이용자 관점의 장·단점을 도출하여 서비스 내용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청년층의 정신건강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의 자살예방사업과 자살률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최진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2020년 부여군의 자살률은 27.5명으로 충청남도 지방자치단체 중 계룡시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수치이며, 군 단위 지방자치단체 중에서는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또한, 부여군은 2017년 이후 자살률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성과를 이루었다. 충청남도의 대다수 지역은 농어촌 지역으로 노인인구 비중이 매우 크고, 농어촌 지역의 군 단위 지방자치단체 자살률은 충청남도 전체 자살률보다 매우 높은 편이다. 본 논문은 부여군이 농어촌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자살률이 낮은 성과의 핵심을 부여군의 자살예방사업을 위한 노력으로 보고, 부여군의 자살예방사업과 부여군의 자살률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의 부여군 자살예방시행 계획을 분석하여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부여군의 자살예방사업 결과와 자살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5개년 동안 부여군 자살예방사업 결과를 객관적 결과 지표로 정리하고, 부여군의 자살특징을 자살 수단별, 성별, 교육정도별, 연령별로 확인하였으며, 자살 수단별로는 가스중독, 농약 음독 관련 자살예방사업과 자살자수, 연령별 자살예방사업과 자살자수를 비교하고 의미를 부여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