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권도수련 다문화가정 학생의 친구관계 변화 사례연구

        백정훈 용인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peer relationships through Taekwondo training among multicultura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multicultural elementary students (one female and one male student) who did not have Taekwondo experienc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chosen for this study were children that had difficulties socializing with friends, and the changes in their peer relationships after Taekwondo training were analyzed in depth. The Friendship Networks Questionnaire developed by Eunjung Kim (2005) was used as a research instrument. The questionnaire included open-ended questions that students wrote down their “close friends,” “friends who I don’t like,” and “friends who I want to get along with” and an in-depth interview. Peer relationships examined by open-ended ques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pre and post analyses, using UCINET6 and NetDraw. In-depth interviews, includ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an unstructured interview, with teachers, parents, and friends were analyzed using pre and post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lose peer relationships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increased after Taekwondo training, indicating that the network of peer relationships moved from periphery to centrality. Second, the peer relationships that the multicultural students disliked decreased after Taekwondo training. Third, the close peer relationships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increased after Taekwondo training. Fourth, the relationships with the peers that multicultural students want to get along with increased after Taekwondo training. All things considered, the multicultural students exhibited positive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school life after Taekwondo training. That is, Taekwondo training instilled confidence in the multicultural students, which led to changes in their peer relationships. The findings in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research about improving confidence and the positive impact of Taekwondo training on friendships among multicultural student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학생이 태권도 수련을 통한 친구관계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자는 태권도 수련 경험이 없는 다문화가정 학생 2명(남학생 1명, 여학생 1명)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학교생활에서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학생들로 태권도 수련 후 친구 관계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은정(2005)이 사용한 친구 관계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친한 친구”, “싫어하는 친구”, “친해지고 싶은 친구”를 직접 작성하는 개방형 설문과 심층면담이다. 자료 분석은 개방형 설문으로 조사한 친구관계는 UCINET6, NetDraw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분석하였고, 심층면담은 학교 선생님, 학부모, 친구에게 사전·사후로 반구조화된 면담, 비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사전·사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태권도 수련 후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친한 친구관계가 증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친구관계 네트워크에서 친구들 주변에서 중앙으로 이동하였다. 둘째, 태권도 수련 후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싫어하는 친구관계가 줄어들었다. 셋째, 태권도 수련 후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친한 친구관계가 증가하였다. 넷째, 태권도 수련 후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친하게 지내고 싶은 친구가 증가하였다. 종합하면, 태권도 수련 후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체육수업과 학교생활에 적극적인 모습이 나타났다. 이는 태권도 수련이 다문화가정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주어 친구관계 변화에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태권도 수련을 통한 다문화가정 학생의 자신감 향상과 긍정적인 친구관계와 관련된 후속 연구에 기초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 태권도장 선택요인이 수련만족 및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임태희 용인대학교 태권도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태권도장 선택요인이 수련만족 및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련만족과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태권도장 선택요인을 확인하고 수련만족과 참여지속의도의 관계를 분석하여 태권도장 선택요인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지역 태권도 수련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263명을 표집 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자료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수련생을 대상으로 태권도장 선택요인이 수련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선택요인은 수련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수련생을 대상으로 태권도장 선택요인이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선택요인은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 수련생을 대상으로 수련만족이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수련만족은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권도장 선택요인과 수련만족, 참여지속의도는 인과관계가 있으며, 수련만족은 선택요인과 참여지속의도를 매개하는 매개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ection factors on training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participation intentions in taekwondo dojang based on customer marketing theory, and hypothetical models, then after, i examined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he clients who are using the taekwondo dojangs located in the vicinity of Chungnam, and 263 subjects were sampl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processing dat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SPSS 18.0 program,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AMOS 18.0 program.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and data analysis as above, the conclusions have been deriv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hypothesis 1, the value of path coefficient between two factors was .925(t=7.025) and the hypothesis ‘The selection factors of taekwondo doja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aining satisfaction' was adopted.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hypothesis 1, the value of path coefficient between two factors was .344(t=2.108) and the hypothesis ‘The selection factors of taekwondo doja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inuance participation intentions' was adopted.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hypothesis 1, the value of path coefficient between two factors was .842(t=6.105) and the hypothesis ‘The training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inuance participation intentions' was adopted.

      • 태권도 540˚뒤후려차기 동작에 대한 운동역학적 분석

        김민재 용인대학교 태권도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태권도 격파시범을 대표하는 회전차기 기술이자 고난이도 회전차기 기술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540도뒤후려차기 동작을 운동역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훈련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태권도 시범단 선수들을 대상으로 3차원 동작분석 시스템 및 지면반력 측정 시스템을 활용하여 540도뒤후려차기 동작을 운동역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태권도 시범단 선수들의 540도뒤후려차기 동작 시 지지구간에 지면을 구르는 시간을 짧게 하고 수직충격력을 크게 증가시켜 도약함으로써 체공시간을 길게 하는 형태의 동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약 시 발목관절을 비롯한 하지의 반동작용을 통해 도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방으로의 신체중심이동 속도를 적절한 받음각을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전환하는 전략을 보였다. 또한 체공구간에서는 관성모멘트를 줄이기 위한 동작보다는 신체중심이 최고점에 가까운 위치에서 차기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차기다리의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을 굴곡시켜두는 모습을 보였다. 차기동작 시에는 무릎관절의 과신전을 예방하기 위한 기전으로서의 굴곡동작을 이용하여 타격하는 형태를 보였다. 또한 540도뒤후려차기 동작에서 역시 기존의 뒤후려차기 및 돌개차기 등의 회전차기 동작과 마찬가지로 몸통의 교호적인 회전동작을 이용하여 차기다리로 각운동량을 전이시키기 위한 동작 패턴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40도뒤후려차기는 과거에 최고난이도의 차기동작에 속했으나 현재는 운동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고난이도회전차기의 기본이라고 할 만큼 일반적인 기술로 분류되고 있다. 기존의 540도뒤후려차기 동작의 경우 관성모멘트를 감소시켜 회전속도를 빠르게 할 것이라는 이론적 예상과는 달리 차기동작에 초점을 둔 형태로 발전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보다 많은 회전수의 차기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차기동작에 유리하면서도 관성모멘트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동작이 필요하며 이러한 동작의 전략은 720도, 또는 900도 회전차기 동작에 대한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 및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 공중에서 복잡한 동작을 수행할 경우 기존의 방법을 이용한 신체중심 위치 추정은 오류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때문에 정밀한 사전측정과 관절 및 분절의 정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또한 선수들의 특성에 적합한 파라메터를 적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iomechanically analyze the 540°Dwihuryeochgi, the typical technique for taekwondo demonstration of Gyeokpa (smashing pine boards or roof tiles) and the basis of the advanced spin kick in order to provide the standard for safe and efficient training. To fulfill this purpose, the 540°Dwihuryeochgi motion was biomechanically analyzed with the members of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and the 3-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and force platform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o perform 540°Dwihuryeochgi, the members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appeared to increase the airborne time by reducing the time the foot rolls on the ground in the load bearing section of the motion and greatly increasing vertical impact during the jump and use the counteraction of the lower limbs including the ankle joints. Moreover, the taekwondo demonstrators used the strategy of turning the speed the center of mess forward into the vertical direction using appropriate angle of attack and flexed the hip joint and knee joint of the kicking leg in order to perform the kicking motion near the point where the centroid of body reaches the highest point rather than reducing the moment of inertia in the airborne section. In the kicking part, the demonstrators used flexion as the mechanism to prevent the hyperextension of knee joint in order to kick. Also, the demonstrators showed the pattern of motion to transfer the momentum to the kicking leg using the alternating spin of the torso to perform 540°Dwihuryeochgi as they do in other spin kicks such as Dwihuryeochagi and Dolgaechagi. 540°Dwihuryeochgi wa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kicks in the past, however, is considered as an ordinary technique today as much as it is referred to as the basic kick for various advanced spin kicks due to the advancement of kicking technique. The 540°Dwihuryeochgi evolved mainly through the kicking motion unlike the theoretical estimation that it would evolve by reducing moment of inertia to increase spinning speed. However, it would still need the motion that can effectively reduce the moment of inertia and also facilitates the kicking motion in order to perform the kick with higher number of rotations, and the strategy for such a kick could be achieved through the study of 720° spin kick or 900° spin kick. Furthermore, the potential of error cannot be excluded in the estimation of the center of mass using existing methods particularly for the complicated airborne motion according to this study and preceding stud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preliminary measurements precisely and define joints and segments alongside a study which applies parameters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son.

      •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의 참가동기가 사회생활태도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재묵 용인대학교 태권도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의 참가동기가 사회생활태도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의 인과관계를 구체적으로 규명하여 수련생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교육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소재하고 있는 태권도 체육관에 등록 되어있는 초등학교 3,4,5,6 학년을 모집대상으로 설정한 후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임의추출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본 조사는 2013년 3월 10일부터 4월 30일 까지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태권도 체육관을 직접 방문하여 협조를 구하고 설문지 내용과 응답요령을 설명한 후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련생에게 본인이 있는 곳에서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총 515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이중기입, 무기입 등의 가치가 불충분하다고 판단된 45부를 제외한 470부를 본 연구의 최종 대상으로 이용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참가동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특성에 따라 사회생활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특성에 따라 학교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참가동기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태권도 참가동기의 모든 요인은 전체적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학년에 따라서는 주변 환경, 자기개발, 건강 체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급수에 따라서도 주변 환경, 여가생활, 친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참여횟수에 따라서는 주변 환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수련기간에 따라서는 참가동기의 모든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사회생활태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사회생화태도의 모든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학년에 따라서는 협동성, 부적응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등급에 따라서도 주도성, 협동성, 부적응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수련기간에 따라서는 주도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참여횟수에 따른 사회생활태도의 모든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교사와의 관계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규칙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급수에 따라서도 규칙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련기간과 참여횟수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의 모든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provide fundamental educational material for more effective teaching by testifying the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trainees regarding their life attitud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aekwondo training. After the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registered in Taekwondo gym located in Gwangju megalopolis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sampling was performed using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013 to April as follows. I visit Taekwondo gym located in Gwangju megalopolis. Once I obtained cooperation, I described the contents and response tips of survey. Once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ractitioners, I asked them to answer the questionnaires through self-administration method while I stayed with them. A total of 51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5 questionnaires which were thought to have insufficient values such as dishonest answer, double posting and no answer were excluded. 470 copies were used as final subjects of this study. First, affiliation motives in particip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gender, male was higher than female and learning motive in training perio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ur or more times was higher. pleasure motive was the highest in more than five times. Second, as result of analysis on effect of Taekwondo training on life attitude positiv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sociability, responsibility, diligence sincerity and planning sprit. In every life attitude of soci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law abiding spirit, responsibility and diligence sincerity. In peer relationships of soci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sociability, responsibility diligence sincerity and planning spirit.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more than year less than one year and six months was higher in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raining period. Taken together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 fact can be seen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Taekwondo training as a means of physical activity partially influence school life satisfaction will have to try to improve practitioner's mental, health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various Taekwondo training programs.

      • 유소년 유도영재의 훈련체계 및 평가척도 요인분석

        초첩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한국유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체육영재육성이 강구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유도영재육성을 통해 체계적인 훈련이 있어야 하는데 세계추세인 독일의 사례를 보면 영재유도발굴로 인해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체육영재육성을 하지 않는 국가는 세계적인 유도가 될 수 없을 것이며, 현재 유도종목에 관한 연구 자료가 없기에 이 연구를 통해 체육영재유도의 기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유소년 유도영재 선수단 각각 5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경기 테스트 반응에 의한 평가척도는 10회씩 측정하였으며 모든 데이터의 산출은 기술에 따라 손기술, 발기술, 허리기술, 굳히기 기술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주요원인을 분석한 결과, 그 결론은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첫째, 한국유소년 유도선수들이 힘과 체력 및 손기술, 발기술, 허리기술, 굳히기 등 기술 그리고 적극적으로 시합에 임하는 자세는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 세계적인 유도의 추세는 기본적인 체력과 기술은 평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훈련계획을 통해 프로그램을 완성해야 한다. 여기에서 반드시 제일 중요한 것이 하고자 하는 정신적인 요소이다. 이 정신적인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은 심․기․체 중심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모든 것은 기본기가 중요하기에 지도자들의 체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통한 기본기 연습이 절대적으로 강구되어야 한다. 즉 지도자가 유도의 기술적 측면을 완전히 이해하고 있는지가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 유소년 유도에 있어서 교육학에 관련된 지적능력이 매우 중요하며 그에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영재유도학습의 질을 높이고 데이터 분석 및 피드백을 제공하여야 한다. 즉 체력을 기반으로 한 유도의 손기술, 발기술, 허리기술, 굳히기 등 다양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유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유소년 영재유도는 경쟁이 아니기 때문에 영재유도로서 세계화가 이미 된 유럽, 일본, 중국, 러시아 등 다양한 유도의 신체문화적 합동 교류가 이루어지면 보다 나은 한국유도가 발전 계기가 될 것이다. 셋째, 세계화가 된 독일영재유도는 독일유도회가 DVD, 교육가이드라인, 연구저서 등을 발행하여 체계적인 유도학을 완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독일유도는 급성장한 결과를 만들었으며 체계적인 기술훈련을 통해 손기술, 발기술, 허리기술, 굳히기 등 선수들이 높은 수준으로 올라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이를 통해 보듯이 우리 또한 시합중심의 유도가 아니라 교육중심의 유도로 발전되어야 한다. 그리고 국제유도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경기 시 심판들의 국제용어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주지의 사실이기에 앞으로 국제용어를 사용했을 경우 유소년 선수들이 세계무대에서 적응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종합해 볼 때 한국 유도훈련의 현장 관찰적 피드백과 훈련계획에 관한 체계적인 평가척도에 관련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라 사료된다. 이에 관련된 유도훈련 계획에 관한 체계적인 평가척도와 관련된 심도 있는 연구가 없었다. 즉 훈련을 통한 경기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파악하기 매우 어렵고 유도경기는 기록경기와 다른 요소인 투기 스포츠 경기적 요소이기 때문에 체계적인 학습프로그램이 강구되어야 한다. 반면 유도 경기적 측면의 연구는 사회학 측면의 질문지 및 생리학․역학적 측면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유도훈련의 현장 관찰적 피드백과 훈련계획에 관한 체계적인 평가척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한국유도는 체육영재육성 사업을 통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훈련프로그램을 만들어 세계대회 및 올림픽 등에서 좋은 성적을 올릴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한국유도의 체육영재육성 사업이 계속적으로 지속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우수한 유소년 영재유도선수들이 배출되어 국익선양에 일조를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must be developed to foster gifted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in order for Judo to develop.,In addition, there should be systematic train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Judo gifted students, which is a world trend, Germany has been making remarkable progress due to the discovery of gifted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oundation of Judo for the gifted in physical education because there is no research data on Judo events, and the country that does not nurture such gifted in physical education will not be a world-class Judo. Then, the evaluation scale by the game test response such as 5 youth Judo gifted athletes was measured 10 times, and the calculation of all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technology, hand technology, foot technology, waist technology, and hardening technology. First, the Korean youth Judo players should continue to play in the competition with their strength, physical strength and hand skills, foot skills, waist skills, and hardening skills.,The trend of Judo worldwide is that basic physical strength and skills are leveled, so the program should be completed through a systematic training plan.,This is the mental element that must be the most important thing. This mental weight should be centered on the mind, the body, but everything is important, so basic practice through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of leaders should be absolutely taken.,In other words, it should be prioritized whether the leader fully understands Judo's technical aspects. Second, the intellectual ability related to pedagogy is very important in Judo, and the quality of gifted Judo learning should be improved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and data analysis and feedback should be provided.,In other words, a systematic Judo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acquire various skills such as hand skill, foot skill, waist skill, and hardening of Judo based on physical strength.,In other words, Judo is not a competition, so it will be a chance for the better Judo to develop if it is achieved through the physical and cultural joint exchange of various Judo countries such as Europe, Japan, China and Russia, which have already become globalized as a gifted Judo. Third, the German Judo Society, which has become a globalized German gifted student, has completed systematic Judo studies by publishing DVDs, educational guidelines, and research books.,Through this, Judo of Germany has created rapid growth results and systematic technical training has created an opportunity to climb to the high level of players such as hand technology, foot technology, waist technology, and hardening. As we can see from this, we should also develop Judo, which is not a match-oriented Judo but an education-oriented Judo.,And it is very important to use international judo terms, but it is also a well-known fact that the referees are not adapting to international terms in the game, so if the international terms are used in the future, it will help the youth players adapt to the world stage.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systematic evaluation scale of the field observation feedback and training plan of the Korean Judo training.,There was no in-depth study on the systematic evaluation scale of Judo training plan.,In other words, it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how the training has affected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and Judo games are different from record games, so systematic learning programs should be taken. However, Judo study in Korea was conducted on sociological questionnaires, physiology and epidemiological aspects.,However, the study on the systematic evaluation scale of Judo training on field observational feedback and training plan should be conducted. Therefore, Judo Korea should make systematic and continuous training programs through the athletic gifted development project so that it can improve good grades in world competitions and Olympics.,Furthermore, Judo's athletic gifted development project should continue and through this, excellent youth gifted Judo players will be released and contribute to the national interest.

      • 일탈청소년들의 무도 수련을 통한 변화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최정운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일탈청소년들이 무도를 수련하면서 겪게 되는 경험을 학술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무도 수련의 교육적 의의를 규명하는데 있다. Creswell(2007)의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청소년기 일탈 경험과 무도 수련 경력이 1년 이상인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심층면담을 통하여 원자료(Raw data)를 구성하였으며 사례 별 자료 분석 이후 사례 간 공통 분석을 통하여 일탈청소년들의 무도수련을 통한 경험의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탈의 원인은 “가정불화”, “친구의 권유”, “과시하고 싶은 ‘나’”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탈의 결과는 “탈선”, “처벌”, “후회하는 내 모습”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탈청소년들의 무도참여 동기는 “친구의 권유”, “새로운 도전”, “훌륭한 지도자가 되고 싶음”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도 참여 이후의 변화는 “신체적 변화”, “마음의 변화”, “태도의 변화”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가정에서의 변화”, “일탈과 영원한 안녕”, “대학진학의 꿈”, “지도자가 되고 싶은 ‘나’”라는 구체적인 목표가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무도 수련이 일탈청소년들을 교정하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일탈청소년들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무도 콘텐츠가 개발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martial arts training by investigating experiences of juvenile delinquents on martial arts trainings. Apply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of Creswell(2007), this research chose five participants with a background of juvenile delinquency and more than one year of martial arts experiences. In the data analysis, raw data were obtain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after the case-by-case data analysis, the common data analysis among the cases explored the various stages of experiences on martial arts training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linquency of the participants originated from factors such as “family discord,” “peer pressure,” and “self-aggrandizement.” Second, the consequences of delinquency were “crime,” “punishment,” “regretting oneself,” etc. Third, motivations for martial arts trainings were “suggestion by friends,” “new challenges,” “desires to be a great leader,” etc. Fourth, after martial arts trainings, the participants underwent “physical changes,” “mental changes,” and “attitudinal changes,” all of which in turn led to specific goals in life such as “harmony in family,” “end to delinquency,” “admission to college,” and “being a great leader.” This case study shows that martial arts training is very effective in rehabilitating juvenile delinquents. More martial arts programs for juvenile delinquents need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 태권도 지도자의 카리스마 리더십이 선수만족 및 경기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염정연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태권도 지도자의 카리스마 리더십이 선수만족 및 경기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2015년 대한태권도협회 산하 경기단체에 등록한 남‧여 경기겨루기 선수를 대상으로 총 346명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자료처리방법은 Window SPSS 18.0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회인구적 특성에 따른 카리스마 리더십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은 기대 및 신뢰표현행동, 모범적 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고. 선수경력은 비전제시 행동, 모범적 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입상경력은 기대 및 신뢰표현 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사회인구적 특성에 따른 선수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의 경우 코치자질 만족, 기술습득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입상경력의 경우 코치자질 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셋째, 사회인구적 특성에 따른 경기수행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의 경우 경기수행성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고, 선수경력의 경우 경기수행성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입상경력의 경우 경기수행성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넷째, 카리스마 리더십이 선수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코치자질 만족, 지도능력 만족은 집단정체성 강조행동, 비전제시 행동, 모범적 행동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으며, 기술분석 만족은 비전제시행동, 기대 및 신뢰표현행동, 모범적 행동에서 유의한 영향이 미친다. 다섯째, 카리스마 리더십이 경기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심리적 성숙은 비전제시행동, 기대 및 신뢰표현행동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으며, 경기수행성공은 집단정체성 강조행동에서 유의한 영향이 미친다. 경기수행성숙은 비전제시 행동, 모범적 행동에서 유의한영향이 미친다. 여섯째, 태권도 경기겨루기 선수만족이 경기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심리적 성숙은 코치자질 만족, 지도능력 만족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으며, 경기수행성공은 코치자질만족, 지도능력 만족, 기술분석 만족에서 유의한 영향이 미친다. 경기수행성숙은 코치자질 만족, 지도능력 만족에서 유의한 영향이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aekwondo leader's charismatic leadership on players' satisfaction and match performance ability.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rom total 346 Taekwondo sparring players in male and female teams whose organizations were registered at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in 2015.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treated using Window SPSS 18.0 program, and the study appli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F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ose methodologies and processe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leader's charismatic leadership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ectation and trust expressive behavior and exemplary behavior, players' career did so in vision suggestion behavior and exemplary behavior, and players' prize-winning career did so in expectation and trust expressive behavior. Secon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play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showed differences in their satisfaction with coach's qualification and learning of Taekwondo skills. Players' prize-winning care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atisfaction with coach's qualification.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players' match performance abilit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ch performance maturity, and players' career and prize-winning career did so in match performance maturity.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players' match performance abilit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showed differences in match performance maturity. Players' career showed differences in match performance maturity. Players' prize-winning career showed differences in match performance maturity. Fourth,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aekwondo leader's charismatic leadership on players' satisfaction, their satisfaction with coach's qualification and teaching ability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group identity emphasis behavior, vision suggestion behavior, and exemplary behavior. Satisfaction with the analysis of skill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vision suggestion behavior, expectation and trust expressive behavior, and exemplary behavior. Fifth,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charismatic leadership on players' match performance ability, psychological maturit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vision suggestion behavior and expectation and trust expressive behavior. Match performance success had influences on group identity emphasis behavior. Match performance maturity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vision suggestion behavior and exemplary behavior. Finally,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aekwondo sparring players' satisfaction on match performance ability, psychological maturity and match performance ability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satisfaction with coach's qualification and teaching ability. Match performance success had influences on their satisfaction with coach's qualification, teaching ability, and analysis of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