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이스터고등학교 직업교육정책 평가 연구

        조진호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2008년부터 추진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마이스터고등학교 직업교육정책을 정책의 수립, 정책의 과정, 정책의 산출로 나누고, Stufflebeam의 CIPP(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모형을 수정․보완한 평가모형을 이용하여 교사, 학생, 학부모, 직업교육전문가 집단 간의 인식 차이를 평가하고 규명함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이스터고등학교 직업교육정책의 수립 단계를 상황영역과 투입영역으로 나눈 후 정책문제의 진단성, 목표의 적절성, 의견 수렴의 민주성, 정책의 실현가능성과 재정자원의 충족성, 인적자원의 충족성과 적절성, 제도의 적절성, 대상학교 선정의 공평성과 균형성을 유지했는지 등을 평가하고 규명한다. 둘째, 마이스터고등학교 직업교육정책의 과정 단계를 과정영역과 조정영역으로 나눈 후 정책 운영의 일관성과 민주성, 정책 상황 변화에 대한 대응성, 정부 및 연구기관의 협력성 등을 평가하고 규명한다. 셋째, 마이스터고등학교 직업교육정책의 산출 단계를 산출영역과 환류영역으로 나눈 후 정책의 효과성, 신입생 유치 행사의 충족성, 교육과정 운영의 민주성, 해외취업을 위한 실현가능성, 산학협력의 효과성, 모니터링 시스템․평가체제의 적절성, 학교 운영의 제도적 실현가능성, 선취업 후진학 제도의 실현가능성, 중등 단계 직업교육의 선진 모델로서 적절성 등을 평가하고 규명한다. 넷째, 마이스터고등학교 직업교육정책 평가를 통해서 도출된 평가 결과의 분석 및 논의과정을 통해서 앞으로의 직업교육정책 운영에 발전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비조사를 통해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의 문항을 수정․보완하고 신뢰도(Cronbach α)를 검증한 후 최종 완성된 설문지를 전국 21개 마이스터고등학교의 교사, 학생, 학부모, 그리고 직업교육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유층군집표집방법에 의거하여 연구대상을 표집한 후 배부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967부 중에서 결측치가 발견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73부를 제외한 총 894부(92.5%)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방법에 의해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PASW Statistics 19.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마이스터고등학교 직업교육정책 수립, 과정, 산출 단계에 대한 평가문항에 대하여 4집단 간 인식의 평균을 분석한 후 변량분석(ANOVA)에 의해 집단 간 평균비교(F검증)를 하였으며, 집단 간 평균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검증방법으로는 R-E-G-W의 F 사후검증을 사용하였다. 일부 평가문항의 경우 문항의 내용 상 교사와 직업교육전문가 2집단의 인식을 두 집단 간 평균비교(t검증)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 연구 방법의 타당성을 높여주기 위해 보조적인 수단으로 질적 연구 방법인 심층 면담법과 문헌자료의 수집 등을 활용한 후 분석하여 본 연구의 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연구 문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영역에 있어서 직업교육정책 문제 진단의 정확성, 직업교육정책 목표의 적절성, 의견수렴 및 반영의 민주성, 교육적, 정치적, 사회적, 기술적 상황의 실현가능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학생의 정책 참여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의견수렴 및 반영의 민주성에서의 아쉬운 점은 정책 수립을 위한 수요조사, 공청회, 세미나 등에서 학생들에 대한 의견수렴 과정이 다소 미흡했으며, 정책 준비 기간이 충분하지 못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교육적, 정치적, 사회적, 기술적 상황의 실현가능성에 있어 일반적으로 연구학교 운영을 통해 교육문제의 해결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시범학교에서 실천한 후 교육문제 해결방안의 성과를 확인하고 일반학교에 널리 보급해야 하는 점에 있어서 국가적으로 많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는 마이스터고등학교 직업교육정책에 대해서 연구학교 및 시범학교 운영 없이 마이스터고등학교를 운영한 것은 큰 맹점이라 평가할 수 있다. 둘째, 재정적 자원의 충족성은 학생의 경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는 있으나 교사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긍정의 인식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적 자원의 충족성과 적절성은 학부모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한다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법 또는 제도의 적절성의 경우 4집단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했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대상학교 선정에 있어 공평성과 균형성은 직업교육전문가 집단과 교사 집단 모두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셋째, 과정영역 중 마이스터고등학교 정책 운영의 일관성은 학생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긍정의 인식수준을 나타낸다고 평가할 수 있다. 마이스터고등학교 정책 운영의 민주성의 경우 직업교육전문가와 학생 집단은 교사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긍정의 인식수준을 나타낸다고 평가할 수 있다. 넷째, 조정영역의 경우 정책 상황 변화에의 대응성에 대해서는 모든 집단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으며, 정부 및 연구기관의 적절성은 교사와 학생 집단의 경우 직업교육전문가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긍정의 인식수준으로 평가하였다. 다섯째, 산출영역 중 마이스터고등학교 정책 효과성에 있어서 학생 집단은 교사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긍정의 인식수준으로 평가하였다. 현재 졸업생의 대부분이 취업에 성공하였으나, 향후 성장 경로가 보장될지는 의문이라는 견해를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우수한 신입생 유치 행사의 충족성의 경우 학생과 학부모 집단은 직업교육전문가 집단과 교사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긍정의 인식수준으로 평가하였다. 재학생에 대한 진로 목표 및 성장 경로의 확보가 이행된다면 확고한 목표 의식을 가진 신입생 유치가 지속될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교육과정 운영의 민주성에 대해 학생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긍정의 인식수준으로 평가하였다. 마이스터고등학교에서 실시하는 해외취업 및 기술연수를 위한 글로벌 현장학습은 특성화고등학교와는 차별화된 새로운 성장 경로 모색과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와 학습 의욕 상승 등의 기회를 제공하는 측면에서는 긍정의 평가를 할 수 있다. 산학협력 강화를 위한 효과성에 있어서 학생 집단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긍정의 인식수준으로 평가하였다. 산학협력 강화를 위한 효과성은 기존의 특성화고등학교에서 미완성시킨 부분을 보완하였다는 평가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환류영역 중 마이스터고등학교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 학생 집단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는 있으나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긍정의 인식수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체제의 적절성에 있어서 학생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긍정의 인식수준으로 평가하였다. 마이스터고등학교 운영을 위한 제도적 실현가능성에 있어서 학생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긍정의 인식수준으로 평가하였다. 선취업 후진학 제도의 실현가능성에 있어서 학생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긍정의 인식수준으로 평가하였다. 중등 단계 직업교육 선진 모델로서의 적절성은 직업교육전문가 집단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학생 집단의 경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는 있으나 학부모․교사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긍정의 인식수준으로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마이스터고등학교 직업교육정책이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시점에서 현장에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계속적으로 마이스터고등학교에 대한 연구를 더욱 심도 있게 진행해 나갈 필요가 있다.

      • 학교조직에서의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

        박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학교조직에서의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학전공 박 찬 지도교수 강 경 석 이 연구는 학교조직에서의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습조직화 간의 인과관계를 연구대상자 전체, 학교급, 직위, 성별, 경력으로 차별화하여 분석한 것이다. 또한 분산적 리더십이 학습조직화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교사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인과관계의 영향력의 크기가 학교급, 직위, 성별,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 전체에 대해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습조직화 간의 인과관계는 어떠한가? (1)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분산적 리더십이 학습조직화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교사효능감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각각 어떠한가? 둘째, 학교급(초등, 중등)에 따라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습조직화 간의 인과관계는 어떠한가? (1) 학교급(초등, 중등)에 따라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학교급(초등, 중등)에 따라 분산적 리더십이 학습조직화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각각 어떠한가? 셋째, 직위(부장교사, 평교사)에 따라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습조직화 간의 인과관계는 어떠한가? (1) 직위(부장교사, 평교사)에 따라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직위(부장교사, 평교사)에 따라 분산적 리더십이 학습조직화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각각 어떠한가? 넷째, 성별(남교사, 여교사)에 따라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습조직화 간의 인과관계는 어떠한가? (1) 성별(남교사, 여교사)에 따라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성별(남교사, 여교사)에 따라 분산적 리더십이 학습조직화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각각 어떠한가? 다섯째, 경력(5년 이하, 6-10년, 11년-20년, 21년 이상)에 따라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습조직화 간의 인과관계는 어떠한가? (1) 경력(5년 이하, 6-10년, 11년-20년, 21년 이상)에 따라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경력(5년 이하, 6-10년, 11년-20년, 21년 이상)에 따라 분산적 리더십이 학습조직화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각각 어떠한가? 여섯째, 학교급(초등, 중등), 직위(부장교사, 평교사), 성별(남교사, 여교사), 경력(5년 이하, 6-10년, 11년-20년, 21년 이상)에 따라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습조직화 간의 인과 관계의 영향력의 크기는 차이가 있는가? 이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비조사를 통하여 이 연구에 사용될 측정도구의 문항을 수정․보완하고 신뢰도(Cronbach α)를 검증하였다. 최종 완성된 설문지를 인천, 경기에 있는 초․중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배부하였다. 학교급(초등, 중등)을 고려하여 표집 대상 학교를 선정한 후 각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성별(남교사, 여교사), 직위(부장교사, 평교사), 경력(5년 이하, 6-10년, 11년-20년, 21년 이상) 분포를 고려하여 표집하였다. 학교소재지, 학교급별 등에 따라 120개교를 대상으로 각 학교당 8~10부씩 총 1,1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14개교에서 회수된 설문지 1,021부 중에서 결측치가 발견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63부를 제외한 총 958부(87.1%)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학교조직에서 교사가 지각하는 분산적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하여 문성윤(2013)의 분산적 리더십 진단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현정(1998)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김아영과 김미진(2004)이 수정하고 타당화한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학습조직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Marquardt(1996)의 연구를 토대로 김한분(2005)이 작성한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PASW Statistic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이 연구에서 사용한 구체적인 통계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인 학교조직에서의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습조직화 측정 설문지의 문항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값을 산출하였으며,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습조직화에 대한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후 변인들 간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공분산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SA)를 실시하였다. 셋째,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습조직화 간의 인과관계의 영향력의 크기는 학교급(초등, 중등), 직위(부장교사, 평교사), 성별(남교사, 여교사), 경력(5년 이하, 6년-10년, 11년-20년, 21년 이상)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집단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 전체에 대하여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습조직화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변인들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기준에 부합하였다. 또한 분산적 리더십은 교사효능감과 학습조직화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교사효능감은 학습조직화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분산적 리더십이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사효능감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분산적 리더십이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보다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초등, 중등), 직위(부장교사, 평교사), 성별(남교사, 여교사), 경력(5년 이하, 6년-10년, 11년-20년, 21년 이상)에 따라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습조직화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변인들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기준에 부합하였다. 또한 분산적 리더십은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효능감은 학습조직화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산적 리더십은 학습조직화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등학교, 경력 5년이하, 경력 6년-10년, 경력 20년 이상에서 교사효능감이 학습조직화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부장교사, 여교사, 경력 11년-20년 교사 집단에서의 분산적 리더십이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사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이 규명되었다. 또한 분산적 리더십이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보다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등학교, 평교사, 남교사, 경력 5년이하, 경력 6년-10년, 경력 20년 이상에서의 분산적 리더십은 학습조직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나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습조직화 간의 인과관계의 영향력의 크기가 학교급(초등, 중등), 직위(부장교사, 평교사), 성별(남교사, 여교사), 경력(5년 이하, 6년-10년, 11년-20년, 21년 이상)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학교급, 직위, 성별, 경력에 따른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습조직화를 학교현장에 적용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이러한 변인들 간의 관계를 학교현장에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학교현장에서 이에 대한 연구를 더욱 심도 있게 진행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교육체제 전반에 대한 환경변화와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학교경영체제의 구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지금, 학교조직의 역량이 강화되고 새로운 환경에 능동적으로 변화되어 적응하기 위해서 리더십과 교사, 학교조직의 변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작용하여 학습조직화를 이루어 나가는 것을 모형화 하여 그 적합성을 규명한다는 것은 이론적으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교사뿐만 아니라 학교장, 교감, 학부모, 학생 등으로 학교 구성원의 범위를 확대해 학교 내 다양한 구성원들의 분산적 리더십의 실제를 탐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학교 구성원들 모두에게 의미 있게 분산적 리더십 실행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 이외에 어떤 변인을 매개로 하여 학습조직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학습조직화뿐만 아니라 학교조직효과성과 같은 변인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과 같이 분산적 리더십과 관련한 다양한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이 연구는 인천, 경기에 있는 일부 초등, 중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정된 기간에 설문지 중심의 측정도구에 의해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학습조직화를 측정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설문지법의 한계를 보완하여 심층연구가 면접이나 사례연구 등의 질적 연구와 병행될 필요가 있다. [주제어]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학습조직화

      • 교사의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 대인신뢰,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관계

        이재운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교사의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 대인신뢰,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인과관계를 전체 연구대상자, 학교급, 직위, 교직경력, 교원단체, 성과급 등급으로 차별화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대인신뢰와 조직몰입의 매개변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인과관계 영향력의 크기가 학교급, 직위, 교직경력, 교원단체, 성과급 등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전체 연구대상자의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 대인신뢰,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인과관계는 어떠한가? (1)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대인신뢰,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대인신뢰와 조직몰입의 매개변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각각 어떠한가? 둘째, 배경변인(학교급, 직위, 교직경력, 교원단체, 성과급 등급)별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 대인신뢰,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인과관계는 어떠한가? (1) 배경변인(학교급, 직위, 교직경력, 교원단체, 성과급 등급)별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대인신뢰,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배경변인(학교급, 직위, 교직경력, 교원단체, 성과급 등급)별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대인신뢰와 조직몰입의 매개변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각각 어떠한가? 셋째, 배경변인에 따라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 대인신뢰,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간 인과관계 영향력 크기의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예비조사를 거쳐 본 연구에 사용할 측정도구의 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여 신뢰도(Cronbach α)를 검증하였다. 그 후, 최종 완성된 설문지를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소재 학교의 초․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배부하였다. 학교급(초등, 중등)을 고려하여 표집 대상 학교를 선정한 후, 각 학교의 근무 교사를 직위(부장교사, 일반교사)와 교직경력(5년 이하, 6∼10년, 11년∼20년, 21년 이상)의 분포를 고려하여 표집하였다. 학교 소재지, 학교급, 직위, 교직 경력에 따라 117개교를 대상으로 각 학교당 8~10부씩 총 1,0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13개교에서 회수된 설문지 989부 중에서 결측치가 발견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39부를 제외한 총 950부(92.2%)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사의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을 측정하기 위해 분배 공정성은 조국행(2001)의 분배 공정성 측정 설문지를, 절차 공정성은 Leventhal(1980)의 측정 항목과 조국행(2001)이 제작한 절차 공정성 설문지를, 상호작용 공정성은 홍철희(2009)의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대인신뢰를 측정하기 위해 안성익(2011)의 조직신뢰 측정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조직몰입을 측정하기 위해 Porter, Mowday, Steer와 Bouloan(1974)의 공동 연구로 개발한 조직몰입 설문지를 김지은(2006)이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직시민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Organ(1988)의 연구를 참고로, 주현식 외(2007), 이동준 외(2007)가 사용한 조직시민행동 측정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PASW Statistics 22.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구체적인 통계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인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 대인신뢰,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측정 설문지의 문항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값을 산출하였고, 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여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 대인신뢰,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 검증 후, 변인 간 영향 관계를 살피기 위해 공분산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SA)를 실시하였다. 셋째,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 대인신뢰,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간 인과관계 영향력의 크기는 학교급(초등, 중등), 직위(부장교사, 일반교사), 교직경력(5년 이하, 6년∼10년, 11년∼20년, 21년 이상), 교원단체(한국교총, 전교조, 미가입), 성과급 등급(S등급, A등급, B등급)에 따른 차이의 유무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집단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연구대상자의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 대인신뢰,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 적합도 검증과 변인 간 영향 관계의 분석을 위해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모형의 적합도는 구조방정식 모형 적합도의 기준에 부합하였다. 또한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은 대인신뢰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대인신뢰와 조직몰입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고, 대인신뢰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신뢰와 조직몰입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완전매개의 효과가 있었다. 또한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에서는 대인신뢰보다 조직몰입을 매개로 했을 때의 간접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초등, 중등), 직위(부장교사, 일반교사), 교직경력(5년 이하, 6년∼10년, 11년∼20년, 21년 이상), 교원단체(한국교총, 전교조, 미가입), 성과급 등급(S등급, A등급, B등급)별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 대인신뢰,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변인 간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모형의 적합도는 구조방정식 모형 적합도의 기준에 부합하였다. 초등학교, 부장교사, 교직경력 5년 이하, 6∼10년, 21년 이상, 한국교총, 전교조, 성과급 S등급, B등급 교사 의 경우, 대인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교조와 성과급 B등급 교사의 경우에는 대인신뢰와 함께 조직몰입 역시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중등학교, 일반교사, 교직경력 11∼20년, 교원단체 미가입, 성과급 A등급 교사의 경우,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대인신뢰와 조직몰입은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이 규명되었다. 중등학교, 일반교사, 성과급 A등급 교사의 경우, 조직몰입의 매개 효과가 대인신뢰의 매개 효과보다 크게 나타난 반면, 교직경력 11∼20년, 교원단체 미가입 교사의 경우, 대인신뢰의 매개 효과가 조직몰입의 매개 효과보다 크게 나타났다. 부장교사, 교직경력 6∼10년, 21년 이상, 한국교총, 성과급 S등급 교사의 경우, 조직몰입만이 매개 변인의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초등학교, 교직경력 5년 이하, 전교조, 성과급 B등급 교사의 경우, 조직신뢰와 조직몰입은 매개 변인의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 대인신뢰,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간 인과관계 영향력의 크기가 학교급(초등, 중등), 직위(부장교사, 일반교사), 교직경력(5년 이하, 6년∼10년, 11년∼20년, 21년 이상), 교원단체(한국교총, 전교조, 미가입), 성과급 등급(S등급, A등급, B등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학교급, 직위, 교직경력, 교원단체, 성과급 등급에 따른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학교 조직의 구성원인 교사가 교원성과급의 공정성을 어떻게 지각하는지 살피는 것은 교사 개인의 행동, 태도 및 성과뿐만 아니라 학교 조직의 효과성을 위한 조직시민행동의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대인신뢰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모형화하여 적합성을 규명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 대인신뢰,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을 함께 적용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이러한 변인 간 관계를 적용해 연구를 진행한데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심도 있게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성과급 제도의 목적 달성을 위해 현재처럼 차등 지급 비율이나 등급 간 지급 금액의 격차를 계속 늘리는 것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방법이다. 따라서 이제라도 성과급 제도의 근본에서부터 대폭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둘째, 교원성과급 제도의 진행 과정에서 분배 공정성과 절차 공정성 외에 교사가 존중과 예우를 받고 있다고 느낄 수 있도록 상호작용 공정성에 더 세심히 신경 쓸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 고려할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공정성의 범위를 확대하여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외에 교원의 보수와 학교 조직의 공정성을 함께 연구하여 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대인신뢰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외에 어떠한 다른 변인을 매개로 하여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직시민행동 외에 학교조직효과성 등의 변인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같은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과 관련 있는 다양한 변인 간 관계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이 연구는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에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일부를 대상으로 한정된 기간 동안 설문지 중심의 측정도구에 의해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 대인신뢰,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을 측정했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면접이나 사례연구 등의 질적 연구와 설문지법의 한계를 보완한 심층연구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 교사 자율성, 전문적 학습공동체 및 교사 협력이 수업 전문성과 수업 개선에 미치는 영향

        최지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학교가 혁신하기 위해서는 수업이 바뀌어야 하고 이러한 수업의 변화에 교사의 전문성은 필수 조건일 것이다. 또한 학교 내 교사 협력은 학교 개혁 실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수업은 교사의 가장 전문적이고 자율적인 영역으로 교사 개인의 특성에 영향을 강하게 받지만 학교가 여건을 갖춤으로써 전문성의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보다 활발한 수업 개선 활동은 동료 교사들과의 협력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학교 교육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고 있는 학교 혁신의 흐름에서 본 연구는 수업 전문성과 수업 개선을 견인하는 원동력을 교사 자율성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사 협력으로 보고 인천시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 자율성, 전문적 학습공동체 및 교사 협력이 교사의 수업 전문성과 수업 개선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2018년 10월 각 변인을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를 행복학교와 일반학교를 포함한 각 대상 초등학교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여 총 274부의 설문지를 회수, 자료를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는 양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라 크론바하 알파테스트, 일원변량분석과 독립표본 t 테스트,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자율성, 수업 전문성 면에서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교사 협력, 전문적 학습공동체, 수업 개선면에서는 여교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여교사가 협력적 교사 풍토를 가지고 있으나 남자교사가 여자교사보다 의사 결정에 더 많이 참여하고 역량에 대한 인식도 다소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교사 협력은 일반교사가 높은 반면, 나머지 항목에서는 수석‧부장교사가 높게 나타는데 이는 업무 수행 재량권, 학교 의사결정 참여 기회, 타 부서와의 공동체 의식, 수업 개선 비전 공유 등으로 인해 높게 나타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15~20년 미만 경력 교사의 경우 교사 협력 항목이 높고 교사 자율성, 전문적 학습공동체, 수업 전문성, 수업개선 항목은 20년 이상 경력교사가 높았다. 이는 고경력 교사로서 의사 결정 참여, 업무 및 교육과정 운영 및 수업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도 높아져 그에 따른 역량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리고 모든 항목에서 행복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행복학교 운영을 통한 실질적인 업무 감소, 교사 집단공동체 활동을 통한 창의적 교육과정 운영, 교사 스스로의 수업 개선을 통한 수업 혁신 노력 등 학교 혁신의 노력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연구 개념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사 자율성,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사 협력과 수업 전문성, 수업 개선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연구 변인이 수업 전문성과 수업 개선에 유기적이고 강한 관계가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셋째, 교사 자율성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및 교사 협력이 수업 전문성과 수업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으며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과 수업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교육적 정책 및 후속 연구와 관련된 제언을 제시하였다.

      • 學校長의 變革的 리더십, 敎師의 組織公正性, 敎師의 組織市民行動이 敎師의 革新行動에 미치는 影響

        홍철희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ore plans for teachers, who are main members of school organization, to implement innovations in desirable manner by finding out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and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and the following research task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differences do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hav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Per sex, per teaching career, per region, and per size of schools)? Second, what correlations are there between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Third, what effect do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teacher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rovide? For solving the above research task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Seoul Special Metropolitan City, Gyeonggi Province, Incheon Metropolitan City, Daejeon Metropolitan City, Daegu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nam Province and a total of 1,028 sheets were recovered. 942 sheets (78.5%) out of the total recov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86 questionnaires with unfaithful responses. For analysis of data of this study, SPSS 11.0 statistic program and Amos 5.0 program were used for the analysis. For analyzing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variable per teachers and per variable of school background,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and when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Scheffe' verification was conducted. In addition, for verifying feasibility of factors, factors analysis by Varimax rotation method was conducted and for measuring internal confidence of questions of the questionnaires, Cronbach α value was calculated. For finding out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for comprehensively analyzing effect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on dependent variable, declaratory/confirmativ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verifying appropriateness of research model and for finding out direct and indirect effect force of variables, a path analysis using Amos 5.0 program was conducted .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the follows: First, recognition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per background variable (Per sex, per teaching career, per region, and per size of schools) was shown higher than the average as a whole. Reviewing per background variable of teachers, (Per sex and per teaching career) 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longer careers have higher recognition than fe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less careers in all measurement variables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Reviewing per background variable of schools, (Per region and per size of schools) teachers working in small and medium cities recognize higher in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의 organization justice,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mong measurement variable except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While reviewing per size of class, regarding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recognition was high between over the 12th grade and under the 17th grade and in other measurement variable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not found. Second, among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And between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and between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and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igher correlation was shown compared to correlation between other variables. Third, a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ovides effects on all of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In particular, as an independent variable,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ovides significant effect on a dependent variable of teachers' organization justice and a variable providing the largest effect on a dependent variable of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was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urth, as the result of conduc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Amos 5.01 program for verifying hypothetical path model between measurement variables, in the appropriateness of the final model, χ²value did not satisfy the standard value (χ²>.05) as it was turned out as χ²=186.223(p<.001), GFI=.973, AGFI=.945, CFI=.977, NFI=.969, IFI=.977, RMR=.013 but other adjustment conformity values all satisfied the standard values and they were taken as the final models.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models,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direct effect with the media of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과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rovided all meaningful effect and it was higher than the directly effect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This indicates higher than the direct effect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and it indicates that rather than direct effect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is largely affected when it is indirectly affected through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r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obtained. First, as the result of reviewing recognition of teachers regarding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all indicated higher than the average and teachers have positively recognized school principals and teachers themselves. In addition, teachers' recognition regarding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showed the highest and even though they are activities outside of their routine businesses, their sacrificing mind-set for school organizations were shown high. However, as their recognition for organization justice showed the lowest, they recognize that there are still surplus rooms for improving regarding the school organization justice. Also, since male teachers recognize higher in variables than female teachers, school principals shall do their best in increasing recognition of female teachers. Second, as an independent variable,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stablishes positive correlation with media variables of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or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t also establishes positive correlation with a dependent variable of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Judging from these results, school principals can increase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after all by increasing teachers' organization justice and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by exercising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ird, as the result of reviewing effect of an independent variable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a dependent variable of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rectly affects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And, it was shown that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rectly affects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with the media variables of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and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Looking from thes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out that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can be increased when school principals demonstrate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rectly through methods teachers recognize organization justice higher and through methods promoting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of teachers instead of directly exercising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for increasing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이 연구는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조직공정성, 교사의 조직시민행동이 교사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학교 조직의 주요 구성원인 교사가 혁신을 바람직하게 추진하여 나갈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조직공정성, 교사의 조직시민행동, 교사의 혁신행동은 배경 변인(성별, 교직경력, 지역별, 학교규모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조직공정성, 교사의 조직시민행동 및 교사의 혁신행동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조직공정성, 교사의 조직시민행동은 교사의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충청남도에 근무 중인 초등학교 교사에게 1,2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그중에서 1,028부를 회수한 후,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86부를 제외한 942부(78.50%)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11.0 통계프로그램과 Amos 5.0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각 변인들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Varimax 회전 방식에 의한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사 및 학교 배경 변인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때에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 문항들의 내적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Cronbach α 값을 산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독립 변인들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총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확인적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모형의 적합도 검증과 변인들의 직·간접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Amos 5.0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조직공정성, 교사의 조직시민행동, 교사의 혁신행동의 배경 변인(성별, 교직경력별, 지역별, 학교규모별)별 인식은 전체적으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배경변인별 인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 배경 변인별(성별, 교직경력별)로 살펴보면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경력이 높을수록, 모든 측정 변인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배경 변인별(지역별, 학교규모별)로 살펴보면 중소도시에 근무하는 교사가 측정 변인 중 교사의 혁신행동을 제외한 다른 측정변인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학급 규모별로 살펴보았을 때,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해서 12학급 이상 17학급이하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른 측정 변인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조직공정성, 교사의 조직시민행동, 교사의 혁신행동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의 조직공정성, 교사의 조직시민행동, 교사의 혁신행동에 모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속 변인인 교사의 혁신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의 조직시민행동이다. 넷째, 측정 변인 간의 가설적 경로 모형을 검증하고자 Amos 5.01 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 모형 적합도에서 χ²=186.223(p<.001), GFI=.973, AGFI=.945, CFI=.977, NFI=.969, IFI=.977, RMR=.013 으로 나타나 χ²값은 기준치(p>.05)를 충족시키지 못하였지만, 다른 조정 부합치들은 모두 기준치를 충족하고 있어 최종 모형으로 정하였다. 모형 분석 결과,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의 혁신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교사의 조직공정성과 교사의 조직시민행동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직접효과보다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혁신행동에 직접 미치는 효과보다는 교사의 조직시민행동이나 교사의 조직공정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때 교사의 혁신행동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조직공정성, 교사의 조직시민행동, 교사의 혁신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모두 평균을 상회하는 정도로 나타나며 교사들은 학교장, 교사 자신의 측정 변인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 공정성에 가장 낮은 인식을 나타내어 학교 조직 정의에 대해서는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학교장은 교사들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장학행정의 강화가 요구된다. 그리고,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측정된 변인들에 대해 대체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단위 학교의 책임을 맡고 있는 학교장은 여교사들에게 변혁적 리더십,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혁신행동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지도대책이 요구된다. 둘째, 독립변인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매개변인인 교사의 조직공정성이나 교사의 조직시민행동과 정적인 상관을 이루고 있으며, 종속 변인인 교사의 혁신행동에도 정적인 상관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학교장은 교사들의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을 더욱 조장하고 교사들의 혁신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셋째, 독립 변인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종속 변인인 교사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의 혁신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의 조직공정성 및 교사의 조직시민행동을 매개 변인으로 할 때 교사의 혁신행동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교사의 조직시민행동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큰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학교장은 교사의 혁신행동을 높이기 위해 변혁적 리더십을 교사들에게 직접 투영하기보다는 교사가 조직공정성을 높게 인식하는 방법과 조직시민행동을 조장하는 방법을 통해 간접적으로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여야 겠다.

      • 敎師의 學校組織公正性 認識, 리더-構成員 交換關係(LMX), 組織支援認識이 學校組織效果性에 미치는 影響

        황구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교사의 학교조직공정성 인식,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조직지원인식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학교 조직의 주요 구성원인 교사가 학교조직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 및 교사의 배경 특성별 준거변인은 교사의 학교조직공정성 인식,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조직지원인식, 학교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교사의 학교조직공정성 인식,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조직지원인식은 학교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합된 설문지 중 결측치와 불성실한 답변을 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48개 학교 총 918부를 최종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15.0 프로그램, Amos 7.0 프로그램과 HLM/2L 6.0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 도구의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Cronbach α 값을 산출하였다. 학교 및 교사의 배경 특성별 준거변인의 차이와 학교조직공정성, LMX, 조직지원인식,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우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모형의 적합도 검증과 관련 변인들의 직·간접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Amos 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학교조직공정성 인식, LMX, 조직지원인식 및 학교조직효과성의 학교수준 분산비는 상호작용 공정성과 LMX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학교수준 변인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학부모관계는 분배공정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둘째, 교사의 학교조직공정성 인식, LMX, 조직지원인식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에는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학교조직공정성 인식, LMX, 조직지원인식의 하위변인들과 학교조직효과성 의 하위변인 간에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학교조직공정성 인식, LMX, 조직지원인식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영향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자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모형의 적합도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로모형을 살펴본 결과 분배공정성이 LMX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절차공정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분배공정성의 조직지원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절차공정성이 LMX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분배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LMX, 조직지원인식은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중 조직지원인식이 학교조직효과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MX에는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지원인식에는 LMX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의 LMX와 조직지원인식에 대한 차등적 효과를 살펴보면, 절차공정성은 조직지원인식에 더 강한 효과를, 상호작용공정성은 LMX에 더 강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분산 구조 분석을 통하여 교사의 학교조직공정성 인식은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LMX와 조직지원인식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MX와 조직지원인식은 교사의 학교조직공정성 인식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인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교사 리더십,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TMX)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인과관계

        서진상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교사 리더십,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TMX)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인과관계 인하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학전공 서 진 상 지도교수 강 경 석 이 연구는 교사 리더십,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TMX)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인과관계를 연구대상자 전체, 학교급, 설립, 직위,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인과관계의 영향력의 크기가 학교급, 설립, 직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 전체에 대해 교사 리더십,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인과관계는 어떠한가? (1) 교사 리더십,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는 어떠한가? (2) 교사 리더십,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가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교사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각각 어떠한가? 둘째, 학교급(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설립별(공립, 사립), 직위별(부장교사, 평교사), 성별(남교사, 여교사)에 따라 교사 리더십,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인과관계는 어떠한가? (1) 학교급(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설립별(공립, 사립), 직위(부장교사, 평교사), 성별(남교사, 여교사)에 따라 교사 리더십,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 모형의 적합도는 어떠한가? (2) 학교급(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설립별(공립, 사립), 직위(부장교사, 평교사), 성별(남교사, 여교사)에 따라 교사 리더십,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가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학교급(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설립별(공립, 사립), 직위(부장교사, 평교사), 성별(남교사, 여교사)에 따라 교사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각각 어떠한가? 셋째, 학교급(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설립(공립, 사립), 직위(부장교사, 평교사), 성별(남교사, 여교사)에 따라 교사 리더십,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인과관계의 영향력의 크기는 차이가 있는가? 이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비조사를 통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의 문항을 수정․보완하고 문항신뢰도(Cronbach α)를 검증한 후 최종 완성된 설문지를 학교급 및 설립특성, 직위, 성별을 고려하여 표집대상 학교를 선정·배포(112개교)하여 회수된 설문지(108개교, 972부)를 통계·분석하였다.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PASW Statistic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이 연구에서 사용한 구체적인 통계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 설문지의 문항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 값을 산출하였으며,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후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공분산구조분석(CSA)을 실시하였다. 셋째, 집단별 차이분석을 위해 다중집단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 전체에 대해 교사 리더십은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는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교사 리더십은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사 효능감과 팀-구성원 교환관계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교사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에 미치는 직접효과보다 교사 효능감과 팀-구성원 교환관계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구성원 교환관계의 매개역할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별, 설립별, 직위별, 성별에 따른 교사 리더십이 교사 효능감과 팀-구성원 교환관계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며,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는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교사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급별과 직위별에서는 초등학교와 부장교사에서 교사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보다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교환관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급별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직위별의 평교사와 설립별, 성별에서는 교사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매개효과면에서는 학교급별의 초등학교와 설립별의 공립학교, 직위별의 부장교사, 성별의 남교사는 팀-구성원 교환관계가 교사 효능감보다 매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급별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설립별의 사립학교, 직위별의 평교사, 성별의 여교사는 교사효능감이 팀-구성원 교환관계보다 매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 리더십,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인과관계의 영향력의 크기가 학교급, 설립, 직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학교급, 설립, 직위, 성별에 따른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교사 리더십,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 학교조직효과성을 학교현장에 적용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이러한 변인들 간의 관계를 학교현장에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학교현장에서 이에 대한 연구를 더욱 심도 있게 진행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의 개선을 위한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리더십 자체를 제고하기 위해서 교원임용 시험에 합격한 교사들에게 ‘직전 교원연수 프로그램’을 강화·시행하면서 교사로 입직해서 퇴직에 이르는 교직에서의 생애과정을 반영하여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체계화된 교원능력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밝혀진 교사 효능감과 팀-구성원 교환관계를 중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먼저 교사 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교사를 진정한 리더로서 인정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강력한 심리적 동기부여를 주는 방안을 실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교사들의 자율성을 신장하고 책임의식을 강화함으로 교육에 대한 내적동기를 부여함으로 교사들의 조직 헌신성을 이끌어 내고 조직성과에 대한 보람을 갖게 함으로 자아 효능감, 만족감, 동기 등에 영향을 주게 되고 나아가 교사의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학교조직효과성을 제고하는 선순환을 이끌어 내어낼 수 있다. 이와 함께 팀-구성원 교환관계를 긍정적으로 이끌기 위해 동료교사간의 상호작용을 증가시켜 여러 가지 정보를 활발하게 공유하게 하고, 공식적인 조직뿐만 아니라 교사 상호간의 코칭, 멘토링, 동료교사와의 공동연구, 교사 동아리 활동 등의 비공식적인 조직을 활성화하여 교사 리더십이 보다 더 잘 발휘되도록 함으로 학교조직효과성을 제고해야 한다. 셋째, 교사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보다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의 두 변인 모두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훨씬 더 크다는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 리더십이 발휘될 수 있는 환경적인 요인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나타낸다. 교사가 교사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우선 학교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교사가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전체 교직원회 등에서 의사결정의 공유가 있어야하고 교사의 권한강화, 팀워크, 다양한 커뮤니티의 형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학교조직 풍토가 마련되어져야 한다. 넷째, 교사 리더십의 부정적인 측면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교사 리더십을 발휘하는 과정에서 관리자와의 갈등이 야기될 수도 있고, 같은 동료교사 사이에서 신뢰성의 저하, 동료교사와의 불화와 갈등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런 갈등은 새로운 직무관계와 동료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에서 나타나게 된다. 평등주의적인 교직문화의 정서에 거부감을 주는 결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런 관계의 변화로 인한 교사 리더십의 부정적 효과는 동료교사들과의 특별하고 소중한 관계로부터 소외감과 상실감 나아가서는 위화감마저 나타날 수 있기에 학교 현장에서 교사 리더십이 제대로 발휘되어 학교의 역량을 강화하고 학교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 효능감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교사 자신이 다른 사람들과 관계에서 주어지는 팀-구성원 교환관계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나아가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리더십, 교사 효능감, 팀-구성원 교환관계 및 학교조직효과성변인을 교사가 지각하는 것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관리자들이 지각 하는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향후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개념을 다차원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여러 변인들 간의 관계나 영향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나아가 학교조직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또 다른 형태의 정량적인 데이터를 발굴하는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서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보다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제고하는 노력도 지속할 필요가 있다. 셋째, 그 동안 경영학 분야 등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던 팀-구성원 교환관계 변인에 대해 교육행정학 분야에서도 지속적으로 연구가 추진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천모형의 개발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이 연구는 인천에 있는 일부 초․중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정된 기간에 설문지 중심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전국적으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양적인 연구방법과 더불어 질적인 연구방법이 병행된다면 보다 심층적이고 다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학교안전사고에 대한 교원의 책임과 교권의 보장에 관한 연구

        주성래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alities of school safety accidents taking place in school, to define teacher responsibility for th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at responsibility and educational authorities, and ultimately to seek out a solu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authority. To build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study, relevant literature and earlier studies were review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70 school teachers by using questionnaire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program.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acquir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x²(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o find out about their opinions on the state of safety accident, the range of teacher responsibility, the guarantee of educational authority and how to build that authorit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experienc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school safety accidents, 69.3 percent had that experience, and 30.7 percent hadn't. Concerning when those accidents took place, recess was pointed out by 31.0 percent, which signified that there was much probability for safety accidents to occur during recess when the teachers didn't keep an eye on students. Regarding places for safety accidents, 35.3 percent and 23.5 percent replied those accidents happened in schoolyard and classroom respectively. It denoted that safety guidance should be provided in relation to schoolyard where children were most active. As to the cause of safety accidents, 79.1 percent singled out the carelessness of students as the cause, and 77.4 percent believed that safet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ll the time to raise its efficiency as a way to take a precaution against safety accidents. Second, 92.6 percent hadn't ever been infringed on their educational authority in association with safety accidents. So most of the teachers had no such an experience. All the teachers whose educational authority was violated felt a mental pain because of safety accidents. In regard to the range of teacher responsibility for school safety accidents, 83.0 percent believed teachers should hold themselves accountable from a moral sense, and 66.2 percent looked upon the carelessness of students as the cause of school safety accidents that happened in the course of academic activities. In the event of school safety accidents during non-academic activities, 40.0 percent thought the responsibility of school safety accidents during recess should rest on teachers the most, and 45.9 percent believed homeroom teachers, school and parents should share that responsibility together. Concerning handling school safety accidents, 59.4 percent pointed out the relationship with victim students and their parents as what gave them the most difficulty, and just 10.7 percent found themselves to be in conflict with parents. As for the reason, 61.9 percent felt that parents were too demanding, and 53.3 percent feared the most that such a conflict might affect their relationship with students. In regard to compensation by health-care insurance for school safety accidents, 49.2 percent asked for a help from a mutual aid society for safety, and 47.1 percent took care of it on their own or under a mutual agreement.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felt the need for a mutual aid society for safety, but 40 percent didn't find that society satisfactory due to its complex administration process. Another 40 percent weren't satisfied with that society, either, on the ground that an injurer couldn't be relieved of the responsibility when the victim claims additional indemnity in spite of being compensated from a mutual aid society for safety. Third, as for the top priority about stemming the violation of educational authority, 60.4 percent argued the relevant system and its management should be revamped, and 41.9 percent put stress on enlarging a safety network among teachers at a national level. Concerning a need for a change of mind-set on the side of teachers and parents, 50.0 percent viewed stepped-up education by parents as most important. As to educational countermeasure, 65.9 percent placed the most emphasis on taking preventive educational measures. 33.0 percent stated that the best way to prevent school safety accidents was preparing a legal system and fund raising at a national level. 40.4 percent argued that the best way to let teachers suffer less damage from school safety accidents was creating a teacher insurance and having an insurance company take care of them. And 61.1 percent believed school should pay for the insurance in that cas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in regard to the reality of school safety accidents, a lo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went safety accidents. Those accidents occurred the most in recess when the teachers didn't keep an eye on children, and in school yard. It attached importance to the necessity of prior safety guidance in relation to schoolyard. The carelessness of students triggered school safety accidents, and teachers should provide a thorough preventive safety education and teach children to be safety- minded in every class. Second, lots of them had never been infringed on their educational authority, but most of those who had that experience were in pain. The teachers worried that the occurrence of school safety accidents might put their relationship with victim students and their parents on the line. In addition, they felt the need for a mutual aid society for safety, but they weren't satisfied with it for some reasons including complicated administration procedure. A nationwide legal system and fund raising were necessary as a way to protect the educational authority of teachers from school safety accidents. A lack of well-established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that could handle dispute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stirred up the complaints of parents, and a teacher safety network should be improved to help teachers dedicate themselves to education without being entangled in prolonged conflicts or disputes. Besides, a teacher insurance should be created to take care of safety accidents, and school should pay for that insurance from its operating fund. Every school should be insured to accelerate accident handling. Give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how future studies could excee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First,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should be examined separately and more profoundly to lay out guidelines on how teachers should behave in connection with school safety accidents. Studies of this approach will supply very informative data. Second, in which way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a teacher safety network and build a legal system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현장에서 벌어지는 학교안전사고와 관련된 제반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학교안전사고에서의 교원의 책임을 명확히 분석하고 교권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교권확립을 위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하여 문헌 연구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였고 연구 방법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초등학교교원 270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안전사고 실태와 교사의 책임한계 및 교권의 보장, 교권확립 방안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x²(Chi-square) 검증과 빈도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학교안전사고 경험을 살펴보면 안전사고를 경험한 경우는 69.3%, 없는 경우는 30.7%로 나타났으며, 학교안전사고의 발생 시기는 쉬는 시간이 31.0%로 응답하였는데 교사의 시선이 멀어지는 쉬는 시간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사고의 발생장소는 운동장이 35.3%, 교실 내가 23.5%로 나타났는데 이것으로 보아 아동들이 활동을 가장 활발하게 하는 운동장에서의 안전생활에 대한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안전사고의 발생 원인을 79.1%가 학생의 부주의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학교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에 대해서는 77.4%가 항상 이루어지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학교안전사고와 관련하여 교권침해를 경험하지 않은 교사는 92.6%로, 대부분의 교사가 교권침해를 경험한 적이 없다고 응답하였고, 교권침해를 경험한 교사 모두가 학교안전사고와 관련하여 정신적 고통을 경험하였다고 응답하였다. 학교안전사고와 관련한 교사의 책임한계에 대해서는 도의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고 83.0%가 응답하였으며, 교과활동 중 학교안전사고에 대한 원인을 62.2%가 학생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로 응답하였다. 또한 교과활동 외에 학교안전사고 발생 시 쉬는 시간에 발생한 사고가 교사의 책임이 가장 크다고 40.0%가 응답하였고, 교과 활동 외 학교안전사고 발생시 45.9%가 담임교사, 학교, 학부모가 서로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고 응답하였다. 학교안전사고 처리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피해학생과 학부모의 관계라고 응답한 교사가 59.4%였으며, 10.7%만이 학부모와의 마찰이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학부모와의 마찰이 생기는 원인은 61.9%가 학부모의 무리한 요구로 인하여 생긴다고 응답하였고, 이러한 마찰로 학생들과의 관계가 가장 걱정된다고 53.3%가 응답하였다. 또한 안전사고 발생시 의료보험외 보상방법으로는 49.2%가 안전공제회를, 47.1%는 자체해결 및 합의로 해결한다고 응답하였고, 대부분의 교사가 안전공제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으나, 행정절차의 복잡성과 안전공제회보상외에도 피해자의 손해배상 청구 시 가해자는 책임을 면치 못하기 때문에 안전공제회에 대해 만족하지 못한다고 각각 40%씩 응답하였다. 셋째, 학교안전사고에서 교권침해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한 점은 교권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 운영상의 개선이라고 응답한 교사가 60.4%이며, 제도, 운영상의 측면에서 국가적 차원의 교원안전망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고 41.9%가 응답하였다. 교사, 학부모의 인식변화의 측면에서는 학부모의 자녀에 대한 안전교육의 강화가 가장 중요하게 고려될 점이라고 50.0% 응답하였으며, 교육적 대처 측면에서는 65.9%가 학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적 대처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학교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안으로는 33.0%가 국가차원에서 법적 제도 마련과 기금조성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학교안전사고발생시 교사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가장 좋은 방안은 40.4%가 교원보험 등의 신설로 보험업체에 위탁 처리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보험제도 실시에 대한 보험료부담의 주체는 61.1%가 학교에서 부담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첫째, 학교안전사고의 실태는 상당수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으며, 교사의 시선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쉬는 시간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운동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운동장에서의 안전생활에 대한 사전지도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학교안전사고가 학생의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하는 만큼 교사는 항상 학교안전사고에 대한 철저한 예방교육과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안전생활지도가 아동들에게 습관화될 수 있는 지도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겠다. 둘째, 많은 교사가 학교안전사고로 인하여 교권 침해를 경험한 적이 없다고는 하나, 이를 경험한 교사 대부분이 정신적 고통을 경험하였다. 학교안전사고 발생 시 교사들은 피해학생 및 학부모와의 관계에서의 마찰을 우려하고 있으며, 또한 안전공제회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복잡한 행정절차 등의 이유로 안전공제회에 만족하고 있지는 않았다. 학교안전사고에서 교권의 침해예방을 위한 방안으로 국가적 차원에서의 법적 제도 마련 및 기금조성 필요하겠다. 또한, 그 동안 안전사고로 교원과 학부모간 분쟁이 발생 시 이를 적정하게 조절하는 제도적, 법적 장치가 미흡하여 학부모측으로부터 불만이 제기되어 왔으나, 갈등이나 분쟁이 장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교원이 안심하고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제도 운영상의 측면에서는 교원안전망제도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교사 보험을 신설하여 사고를 맡아서 처리하고, 보험료 부담은 학교 운영비에서 부담하는 것으로, 교사보험은 학교단위로 가입하여 학교자체 내에서 신속하게 사고 처리를 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후속연구를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별(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로 구분하여 교사의 인식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학교안전사고와 관련한 교원에게 요구되는 행동지침을 추출하는 연구는 교육현장에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 교원안전망의 활성화 방안 및 국가적 차원에서의 정책적, 법적 제도마련을 위한 국가적 노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초등교사의 교사발달단계와 교사학습공동체의 관계 연구

        최정래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교사발달단계와 교사학습공동체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교사발달단계가 교사학습공동체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성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 3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MINLITAB 17과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첫째,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사발달단계를 살펴본 결과, 평균 2.94의 교사발달단계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고, 교직경력이 16∼25년인 교사 집단에서 가장 높은 인식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사학습공동체를 살펴본 결과, 평균 3.84의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인식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고, 교직경력이 31년 이상인 교사, 기혼교사, 36학급 이상인 교사집단에서 높은 인식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초등교사의 교사발달단계와 교사학습공동체 인식 간의 상관관계와 성별, 교직경력, 결혼여부, 보직여부, 담임여부, 학교규모에 따른 영향성을 살펴본 결과, 성장, 성숙, 승진지향 단계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그리고, 생존, 좌절, 안정·침체 단계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직경력, 결혼여부에 대해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으나, 성별, 보직여부, 담임여부, 학교규모에 따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교직경력이 16∼25년인 교사는 교사발달단계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교사학습공동체의 인식이 높고, 미혼교사는 교사발달단계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교사학습공동체의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 교직경력, 결혼여부, 보직여부, 담임여부, 학교규모의 차이에 무관하게 교사의 좌절단계에 대한 지각과 교사학습공동체 인식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성장, 성숙, 승진지향단계에 대한 지각이 교사의 비전·목적의 공유, 지원환경, 협력적 학습, 학생의 학습력 신장 및 교사학습공동체 인식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반면, 생존, 좌절, 안정·침체단계에 대한 지각은 부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초등교사의 교사발달단계가 교사학습공동체의 인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고유 목적인 학생의 학습력 신장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사의 발달단계를 성장, 성숙, 승진지향단계에 머무르게 하는 교사 개인과 학교 현장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