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중등 교사의 TPACK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요인에 관한 연구

        정용주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1990년대 중반 이후 인터넷과 컴퓨터가 대중화되면서 교육현장에서도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의 활용이 확대되었다. ICT 활용 교육은 교육의 질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수업방식을 가능하게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학교에서 ICT 활용이 증가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수업의 질이나 교사의 수업 능력이 향상되지는 않기 때문에, 교사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서 어떻게 ICT를 활용할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교사는 기존의 전통적인 지식 전달의 역할에서 벗어나 다양한 교수방법과 교육적 테크놀로지들을 어떻게 통합시켜서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하고 향상시킬 것인가에 대한 과제를 안게 되었다. 이 과제에 대한 해답으로 제시된 것이 TPACK(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이다. TPACK은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식, 교육적 지식, 내용 지식이 상호작용하는 통합적 지식이다. TPACK은 수업에서의 ICT 활용이 필수적인 상황에서 교사들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대두되었으며, 최근 TPACK을 측정하고 이를 제고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그 동안에는 현직 교사보다는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나 TPACK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에 치중되었다. 현장에서 직접 수업을 하는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 TPACK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며, 특히 TPACK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떠한 요인들이 현직 교사들의 TPACK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서 TPACK과 관련이 높은 교사 요인 9가지(성별, 교직경력, 연수 경험, 교육적 신념, 자기효능감, 테크놀로지에 대한 태도, 주위압력, 동기적 지원, 기술적 지원)를 선정하였고, 교사 요인들은 독립변인, TPACK은 종속변인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 요인들은 개인적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 등 세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재직 중인 초등학교 및 중·고등학교 교사 4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온라인 설문 링크 및 면대면 상황에서의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단,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의 특성이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여 두 집단으로부터 골고루 설문이 수집될 수 있도록 하였다. 설문 문항은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기존 설문 문항을 번안 및 수정한 뒤 교육공학 박사 3인 및 현직 교사 1인의 검토를 받은 후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 후에는 IBM SPSS Statistics 20을 활용하여 입력방식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개인적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 중에서 심리적 요인이 TPACK에 대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개인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은 TPACK에 대하여 상당히 미미한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는 교사의 TPACK은 교사의 배경 변인이나 사회적인 요인보다는 교사 개인의 신념, 태도, 효능감 등에 더 크게 좌우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개인적 요인에 포함되는 성별, 교직경력, 연수 경험 중에서는 성별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이 TPACK에 대하여 정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였기 때문에 이는 여성 교사일수록 TPACK 수준이 높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심리적 요인에 포함되는 교육적 신념, 자기효능감, 테크놀로지에 대한 태도 중에서는 세 요인 모두 TPACK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자기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요인에 포함되는 주위압력, 동기적 지원, 기술적 지원 중에서는 주위압력만이 TPACK에 대하여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예상했던 것과 달리 주위압력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위에서 ICT 활용에 대한 압력을 준다고 해서 교사의 TPACK이 향상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적 배경이나 외부적 압력보다는 교사에게 동기 부여를 실시하고 ICT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태도를 긍정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TPACK 수준 제고에 도움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 이는 TPACK의 향상과 직결되는 요인을 탐색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궁극적으로 TPACK 수준의 증진과 질 높은 ICT 활용 교육에 이바지할 것이다.

      • 디지털교과서 정책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정광훈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집행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육정보화 정책의 집행과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교과서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책 요인, 집행조직 요인, 대상집단 요인, 환경 요인을 선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정책의 집행 과정을 분석하였다. 디지털교과서 정책은 2002년 정부가 ‘전자교과서 개발 및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면서 정책 의제가 형성되었다. 이어 2007년 당시 교육인적자원부가 발표한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추진 방안’을 통해 정책이 결정되었다. 이후 진행된 정책 집행 단계에서는 디지털교과서를 보여주기 위한 뷰어의 개발, 디지털교과서 콘텐츠의 시범개발, 효과성 검토 및 교과서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연구, 연구학교 운영을 통한 시범 적용 등의 과제가 추진되어 왔다. 디지털교과서 정책은 이와 같은 집행 과정에서 적용 대상과 범위가 여러 번 바뀌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정책 추진 과정을 분석한 결과 앞서 설정한 요인들이 정책의 집행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 실증적 자료를 통해 다음과 같이 규명되었다. 첫째, 정책 자체 요인의 측면에서는 쉽게 호응을 기대하기 어려운 정책 문제의 성격, 구제도와 신제도의 결합성 부족에서 비롯된 제도의 정합성 문제, 정책 집행의 일관성 문제가 정책 집행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집행조직의 관점에서는 최고 정책 관리자의 의지에 영향을 받았으며, 집행 기관 담당자의 이동과 집행 조직의 업무 특성으로 인해 제도적 기반의 마련이 상당 기간 지연되기도 하였다. 또한 불안정한 예산 투입으로 인해 일관된 정책 추진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셋째, 학생, 교사, 출판 관계자 등 다원화된 대상집단의 특성에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초․중․고등학생으로 분포되어 있는 학생의 특성은 적용 대상의 잦은 변경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아울러 주요 대상집단인 학생과 교사의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인식 차이로 인한 영향도 관찰되었다. 넷째, 환경적으로는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기 위한 단말기와 운영체제의 변화, 모바일 환경의 확대, 콘텐츠 개발 방식의 변화 등 기반 기술의 급격한 변화가 정책 집행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관련 정책으로 추진된 e-교과서의 보급,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과 주요 국가기관인 국회, 감사원 등의 정책 인식에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디지털교과서 정책이 도입 초기부터 2013년까지 디지털교과서 도입의 당위성을 유지하며 정책의 지속성을 유지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아 정책 변동의 양상이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즉, 2013년 이후 본격적으로 디지털교과서를 적용하고자 했던 당초 계획과 달리 시범 적용 기간이 연장되었으며, 디지털교과서 적용 대상 학년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생까지, 대상 과목은 사회, 과학으로 축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 정책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정보화 정책은 급속히 발전하는 정보통신기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에서 주변 여건의 변화에 정책의 방향이 좌우되지 않도록 정책 목표와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디지털교과서의 도입과 같이 제도적 기반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정책의 경우 관련 법령 및 제도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최고 정책 관리자와 집행 담당자의 교체 등으로 정책의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일관성 있는 정책 집행 기반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집행 대상이 누구인지 명확히 규정하고, 정책 집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의외의 사건을 최대한 억제할 필요가 있다.

      • 한국어 학습에서 중국인 학습자의 블렌디드 러닝 활용에 관한 질적 연구

        王汝佳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블렌디드 러닝을 한국어 학습에 활용하면서 겪는 경험을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학습하는데 있어 블렌디드 러닝의 활용 효과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통신 기술, 교수법의 패러다임 변천, 교육 환경의 급격한 변화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최근 한국어교육 현장에서도 오프라인 면대면 수업과 온라인 학습을 접목한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수요가 많아졌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수업 시간 이외에 이루어지는 온라인 러닝은 자기주도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한국어 교육에서도 이러한 장점을 고려하여 블렌디드 러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교육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졌왔다. 교수자 입장에서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를 확인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을 뿐, 학습자의 평소 학습 방식과 콘텐츠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래서 학습자들의 학습 활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블렌디드 러닝의 활용과 관련된 학습 경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중국인 대학생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현상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2015년 11월 27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의 월별통계에 따르면, 2015년 10월 말 기준으로 국내 체류하는 외국인 유학생은 9만9142명이다. 체류 자격 별로는 유학 7만386명, 한국어 연수 2만8750명, 외국어 연수 6명으로 각각 집계되었으며, 특히 한국어 연수생이 지난해 대비 무려 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학생 국적별로는 중국이 5만9940명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 7023명·몽골 4355명·일본 2620명·미국 1453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체류하는 외국인 유학생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중국인 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 대학교 한국어센터에 소속되어 있는 중국 국적 유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얻어진 면담 자료는 Moustakas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충 4가지 범주의 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각 주제에 해당하는 연구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학습에서 중국인 학습자가 수업 시간 이외 온라인 학습을 활용하게 된 요인은 강의실 수업에 대한 불만족, 강의실 수업과 온라인 학습의 결합에 대한 인식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주로 컴퓨터 강의, 스마트 기기 등을 통해 온라인 학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용 용도는 수업 외 부족한 부분 복습, TOPIK등 각종 시험 준비 등을 위해서였다. 둘째로, 학습자들의 블렌디드 러닝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1)학습자의 내적동기, 2)수업 진도 및 교사 발화, 3)난이도 및 자율학습의 특성, 4)블렌디드 러닝 자체의 편의성 및 효율성 등 크게 네 가지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세 번째로는 한국어 학습에서 활용된 블렌디드 러닝의 장점 및 단점을 알아보았다. 학습방법의 효과성 측면에서 블렌디드 러닝의 장점은 1)다양한 온라인 학습방법, 2)효과적인 학습관리 및 높은 학습효과, 3)강력한 맞춤형 학습이 그것이다. 반면에 자기주도적 학습방법으로써 블렌디드 러닝의 단점은 학습 이탈 행동의 유인과 정보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어렵고, 피드백을 받지 못한다는 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학습에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경우 중국인 학습자들은 공통적으로 학습만족도와 학습 효과 측면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블렌디드 러닝 활용 방식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도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수업 시간 이외의 온라인 러닝은 다양한 측면에서 학습자들의 학습 활동을 지원하며, 자기 주도 학습 전략을 촉진하는 도구로써의 가능성을 지닌다. 하지만 학습자의 블렌디드 러닝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양하며, 장점뿐만 아니라 단점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학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관련된 연구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핵심어: 온라인 러닝, 블렌디드 러닝, 질적 연구, 자기주도학습

      • 고등교육 교수역량에 대한 교수자와 예비교수자 요구분석

        문은경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대학들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대학교육의 질은 곧 교수의 질이라는 점에서, 대학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교수의 교수역량 개발이 최우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선행연구들은 우수한 교수들의 일관되게 발휘하는 능력을 파악하여 교수역량 모형을 개발하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고등교육에서 교수자의 교수능력과 관련한 역량을 규명하는 연구와 구체적인 교수역량을 개발 및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또한 초중등 교육의 예비교사 연구에 비하여, 고등교육을 이끌어갈 예비교수자들을 위한 교수역량 개발에 대한 논의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 교수역량에 대한 교수자와 예비교수자들의 요구를 분석하여 추후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에 있다. 연구를 위해 대학 교수, 대학원의 박사 과정생 중에 추후 교수자가 되고자 하는 예비교수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가 이루어졌다. 교육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조대연(2009)이 제안한 요구분석 우선순위 결정 방안에 따라 분석하였다. 집단별로 각 교수역량의 중요수준과 실행수준의 차이에 대한 t검정을 실시하고, Borich 요구도를 통해서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중요수준 평균과 차이 평균이 높은 HH분면에 해당하는 역량을 확인하고, Borich 요구도와 중복성을 확인하여 종합적 우선순위의 교육내용을 선정하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우선적으로 강의안을 개발, 적절한 교수전략 선정, 교수자료 개발, 평가 계획 및 개발, 강의몰입을 유도, 명확한 교수내용 전달 그리고 수업 개선 역량을 기본 교육과정으로 구성하고, 적극적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으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예비교수자들의 교수역량개발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점을 감안하여, 고등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현직 교수자들을 위한 교수역량개발 프로그램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예비교수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의 마련 및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교수자들은 학습자들과 상호작용에 대한 역량의 요구가 높고, 예비교수자들은 직접적인 강의진행을 위한 역량에 대한 요구가 높은 점을 반영하여 교수자와 예비교수자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하는 차별적 교수역량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수자와 예비교수자들의 실제적인 요구가 반영된 것으로 좀 더 효과적인 교수역량모형 개발 및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향후의 현직교수들을 위한 교수역량개발 교육과 예비교수자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 수학 교과 중심의 STEAM 교육을 적용한 입체도형 단원 수업이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현정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교과 중심의 STEAM 교육을 적용한 ‘입체도형’ 단원 수업이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및 수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수학 교과 중심의 STEAM 교육을 적용한 ‘입체도형’ 단원 수업이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 난이도 선호)에 유의미한 증가를 보일 것이다. 둘째, 수학 교과 중심의 STEAM 교육을 적용한 ‘입체도형’ 단원 수업이 학습자의 수학적 태도(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교과에 대한 태도, 교과에 대한 학습습관)에 유의미한 증가를 보일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시흥의 E중학교 1학년 두 개 반이다. 한 학급은 STEAM 교육을 적용한 실험반으로 하고, 다른 한 학급을 통제반으로 선정하였다. 중학교 1학년의 입체도형 단원을 새롭게 재구성한 STEAM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4차시 동안 실험반은 STEAM교육 프로그램을, 통제반은 일반적인 교수 방법을 활용한 수학수업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은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는 사전사후 실험설계로 구성하였다. STEAM 교육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자기효능감과 수학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사의 점수는 집단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평균 차의 유의도를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처리는 SPSS/WIN 프로그램 (ver 21.0)을 사용하였고, 가설검증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은 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하위 요인인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에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은 수학적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수학적 태도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교과에 대한 태도, 교과에 대한 학습습관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STEAM교육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학적 태도 향상에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낭독방식과 학습자의 내-외향성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鄭蘭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교양 중국어 수업에서 두 가지 낭독방식(면대면/비디오 낭독)과 학습자의 내/외향성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내/외향성 학습자가 두 가지 낭독방식을 활용해서 학습한 내용을 기억하고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 하고자 하는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 88명(마지막 자료 수집: 7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전 동질성 검사를 통해 실험대상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1차 실험은 2015년 04월 16일부터 6월 18일까지 총 9주에 걸쳐 실험과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2차 실험은 2015년 09월 0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총 9주에 걸쳐 실험과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내향성과 외향성을 구분하기 위해 MBTI(Myers Briggs Type Indicator)성격유형 검사도구중 내향성과 외향성을 측정하는 것과 관련된 20문항을 사용하여 학생들을 구분하였다. 내향성 학습자로 구분된 절반은 면대면 낭독방식을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다른 절반의 학습자에게는 비디오 낭독방식을 적용시켰다. 외향성 학습자들에게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교재 및 강의시간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와 학습만족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는 실험의 수업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문항을 개발하였고, 학습만족도 검사는 학생들이 수업에 얼마나 만족하는지에 대해 설문 문항을 제작하였다. 두 검사지의 난이도와 타당도에 대해 중국어 전문가를 통해 설문지 평가를 의뢰하여 문제점을 수정하였다. 실험과 사후 검사에 충실하게 참여한 피험자는 총 77명 이었으며, 이들의 점수는 사전-사후검사 자료를 분석하는데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분석을 위해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검증하는데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과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학습자들의 학습만족도를 검증하는데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유의수준은 .05로 하였고 모든 통계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한글판)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낭독방식은 학습자의 중국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내/외향성이 중국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낭독방식은 학습자의 내/외향성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낭독방식은 학습자의 중국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자의 내/외향성은 중국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낭독방식은 학습자의 내/외향성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를 종합하면, 학습자의 내/외향성은 중국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자의 내/외향성에 따라 낭독방식을 사용한 중국어 수업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대학 교양 중국어 수업에서 학습자가 낭독방식에 대해 만족한 것을 시사해 준다.

      • 학습자의 상호작용과 독서 학습 흥미 증대를 위한 모바일 독서 지원 어플리케이션 설계

        황보성은 高麗大學校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교육 환경에 처한 학습자가 독서 학습 후에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흥미를 증대할 수 있는 독서 학습지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계는 다음의 연구 절차를 따라 진행되었다. 첫째, 스마트교육 콘텐츠 설계의 특징, 독서 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더욱 필요한 요소를 중심으로 문헌을 고찰하였다. 둘째, 개방형 안드로이드 스마트 기기에 알맞은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절차와 개발 환경을 설정하였다. 셋째, 독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개발 모형 중 객체 지향 개발 방법론을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넷째, 설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화면을 구현하고, 그를 평가하였다. 상호작용과 흥미 증대를 위한 스마트 독서 지원 어플리케이션 설계라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개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의 내용과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증대할 수 있도록 도서 정보, 독후 활동 정보를 입력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설계하였다. 또한 독후 활동의 퀴즈를 직접 출제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학습자가 독서 내용을 보다 밀접히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둘째, 학습자, 교사 등 다양한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증대하기 위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형식과 기존의 웹 커뮤니티 기능을 적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도서 정보 기능, 독후 활동 기능, 커뮤니티 기능을 통해 학습자는 독서와 관련된 게시물을 손쉽게 작성하고, 그를 다른 학습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갖게 되었다. 셋째, 학습자의 흥미를 증대하여 학습자 참여와 독서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설계를 위해 여행의 콘셉트를 바탕으로 메뉴를 구성하며 독서 활동을 여권 도장으로 표현하는 등의 시각화 기능 등을 포함하여 설계하였다. 또한 스마트교육에 있어서 흥미를 높이는 주요 요소인 상호작용 증대를 확대할 수 있는 기능들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독서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도서 내용과 학습자와의 관계를 확장해 독서를 한 다른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독서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독서교육의 필요성과 스마트교육의 특징에서 상호작용을 도출한 후, 스마트교육 시대에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스마트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독서 지원 시스템을 제시하였다는 성과가 있다. 하지만 실제 개발과 적용이 진행되지 않아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적용의 결과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제한점을 갖는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독서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시스템의 실제와 적용을 확인하기 위해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Effects of question and explanation orders on the logical thinking and achievement in a programming class

        이경숙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Novice students have been increasingly receiving computer programming instructions. The purpose of these instructions is usually to teach a computer language to expand the capability of learners in areas, such as problem solving, logic, and creativit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earning computer programming on logical thinking, achievement, academic self-efficacy, interest, and creativity. Furthermore, this research follows up on the difference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genders and two chosen teaching methods. This study used two instruction strategies that were differentiated by the reordered sequences of the instructional activities; one teaching method first presents a question to the students to construct a program before the teacher explains how to answer the question while the other method has the teacher demonstrating how to construct the program before presenting the question. The different order in presenting a question and explanation would affect the amount of scaffolding or support offered by the teacher and would result in different levels of achievement, logical thinking, academic self-efficacy, interest, and creativity of learner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tential gender differences on those in the learning process of programming. The sample was 48 students, who were all non-majors in computer science and were assigned randomly to two groups: one of which was taught by the teaching method of presenting the questions first and then giving the explanation after, and the other by presenting the explanation first and then giving questions. After first explaining the basic concept and commands of the programming language, Scratch, the instructions were as follows. For the question-first group, questions are given to the students to solve first. After giving sufficient time for the students to think over and construct the program, the instructor then explained the details by demonstrating how to solve the problem. For the explanation-first group, the instructor first explained the programming and the students followed up the programming code that teacher constructed. The students’ logic thinking skill was measured using the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GALT) test in a pretest and post-test. The achievement score was measured by the Scratch Programming construction with the maximum number of points. The change in sequence in giving questions and explanations causes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he scaffolding given by the instructor.

      •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강의평가에 관한 연구

        윤가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It is natural to be interested in good instruction because education places value on positive effects. Universities have made a concerted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courses. For this purpose, research on good instruction has been conducted and course evaluation by students has been implemented. Most universities have utilized student evaluation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and quality of courses, and to help implement good instruction. However, since student evaluation is based not only on instruction, student evaluation methods must be carefully developed to consist only of factors measuring instruction, where validity and reliability is verifiable. Further, considering attributes of instruction such as ‘relativity’, ‘subjectivity’, ‘situationality’ ‘complexity’, and ‘multiplicity’, student evaluation results should be interpreted and utilized carefull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comprises good instruction and elucidat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good instruction by exploring cases where perceptions of good instruction have changed over time. In order to identify the elements that comprise good instruction, 141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Based on prior studies on good instruction in universities, and the categories derived from results of content analysis, a survey was developed to explore course characteristics where perception of good instruction changed. In order to define and characterize good instruction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student evaluation, learners that had experienced a change in perception of good instruction were selected and a follow-up survey was conducted. The results collected were analyzed via ordered multiple response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s analysis. The conclusions are the following. Firstly, good instruction was comprised of various components such as content of lecture, student participation, operational skill of instruction, tasks and evaluation, interaction and feedback, application of what has been learnt in real life situations(usefulness and utilization of learning), learner attitude, lecture environment, and other factors. ‘usefulness’, ‘enthusiasm of the instructor’, ‘presentation of authentic cases and examples to help students better understand lecture content’ were cited by learners with high frequency. Secondly, not all students remembered their courses as having good instruction. Although students think there were instances of good instruction, there were cases where overall student feedback was negative. Thirdly, learners who experienced change of perception about good instruction reported ‘application of what they have learnt to real life situation(usefulness and utilization of learning)’, and ‘content of lecture’ as integral components of good instruction. Fourthly, based on the analysis of lecture characteristics on which perceptions of good instruction changed, the lectures corresponded to the following statements. ‘I thought it was good instruction in the past but now I don’t think of this lecture as good instruction’; it was an ‘instructor-led lecture focused on textbook’; there was an ‘absence of meaningful tasks’; ‘lack of interaction and feedback’; and a ‘lack of student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se lectures were reported as lacking components of learning results such as ‘continuity of knowledge’, ‘application of what has been learnt to real life situations(usefulness and utilization of learning)’ and ‘realization of learning’. Fifthly, the lectures corresponding to following case, ‘I did not think it was good instruction in the past, but now I think this lecture was good instruction’, were related to ‘realization of learning’, ‘continuity of knowledge’, ‘application of what has been learnt to real life situations(usefulness and utilization of learning)’, ‘meaningful tasks’, ‘enthusiasm of the instructor’, ‘learner attitude’ ‘offering enlightenment through lecture’. On the other hand, ‘adequate tasks’ and ‘level of course’ were n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rners later realized the significance of the course due to real world experience, but that when learners took the course, they felt pressure because of the tasks and heavy workload. It needs time for good instruction to actually implement. It is required a series of time and experience for learners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instruction and value of instruction. Student evaluation that is currently conducted by most universities has been utilized, facilitating various decision-making processes, including professor performance appraisal. Considering the purpose of student evaluation, these factors need to be interpreted and utilized carefully. ‘좋은 수업’의 의미와 실제를 이해하고 인식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다. 학습자가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는 수업은 학습자의 시간과 경험을 통해 바뀔 수도 있다. 수업이 학습자의 실제적 삶에 의미 있게 와 닿지 않는다면, ‘좋은 수업’으로 기억되기 어려울 것이며, 이러한 이유로 어떤 수업들은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비로소 ‘좋은 수업’으로 인식된다. 대부분의 대학은 ‘좋은 수업’을 측정하고 구현하기 위해 강의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강의평가는 수업의 질을 확인하고, 수업의 질적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써 점차 보편화되고 있으며, 교수업적평가를 포함한 각종 평가에서 행정적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좋은 수업의 ‘가치성’, ‘상대성’, ‘상황성’ 등의 속성을 고려한다면, 강의에 대한 평가는 신중하게 내려져야 하며, 평가결과를 해석하고 활용하는 일에도 상당한 주의가 요구된다. 강의평가를 시행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좋은 수업’을 확보함으로써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는 것이다. 강의평가가 수업의 질적 수월성 확보라는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려면, 강의평가 문항은 ‘좋은 수업’의 특성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기초로 마련되어야 하며, 좋은 수업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바탕으로 수업의 질, 수업의 효과성을 타당하고, 신뢰롭게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 수정‧보완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입장과 견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좋은 수업’으로 기억하는 수업들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학습자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실제적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좋은 수업이 갖는 ‘상황성’ 등의 속성을 고려하여, 좋은 수업의 의미와 특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이 바뀐 수업을 탐색하였으며, 그 특성을 분석·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수업의 이론적·실제적 특성을 보다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수강 당시에는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였지만 현재에 와서는 더 이상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지 않는 수업’과 ‘과거 수강 당시에는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지 못하였지만 현재에 와서는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는 수업’의 특성을 탐색‧분석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좋은 수업의 의미와 특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도울 뿐만 아니라, 현행 강의평가 제도에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좋은 수업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개방형 설문을 통해 대학에서 수강한 수업 중 좋은 수업으로 기억하는 수업의 특성을 도출하고, 좋은 수업으로 기억하는 수업과 강의평가 결과가 일치하는가를 살펴보았다. 개방형 설문의 내용 분석을 통해 ‘좋은 수업으로 기억하는 수업의 특성’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범주를 기초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 설문지를 활용하여 수업에 대한 인식이 과거와 달라진 수업을 탐색하고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좋은 수업을 보다 깊이 있게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강의평가 제도의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서도 함의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좋은 수업은 강의내용, 학생 참여 활동, 동기유발, 수업내용 전달, 강의진행 기술, 과제 및 평가, 상호작용, 실제적 도움 및 활용, 학습자의 학습 태도, 수강 인원, 수업 시간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대학에서 수강한 수업 중 좋은 수업으로 기억하는 수업은 특히 수업내용을 실제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유용성, 실용성 등이 높은 수업이었다. 둘째, 좋은 수업으로 기억하는 모든 수업이 좋은 강의평가를 받은 것은 아니었으며, 이를 통해 좋은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전환 경험이 있는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중요 구성 요소를 분석한 결과, ‘수업내용의 실제적 도움 및 활용성’, ‘강의내용’ 등이 도출되었다. 넷째, ‘과거에는 좋은 수업으로 생각하였지만, 현재에 와서는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지 않는 수업’은 ‘수업내용에 대한 지속성’, ‘실제적 도움 및 활용성’, ‘배움에 대한 깨달음’과 같은 학습 결과적 측면이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과거에는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지 못하였지만, 현재에 와서는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는 수업’은 ‘배움에 대한 깨달음’, ‘수업내용의 실제성’ 등은 높게 인식되고 있는 반면, ‘적절한 과제의 양’, ‘학생의 수준을 고려한 수업진행’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강의평가의 목적이 좋은 수업에 있음을 통해 볼 때, 강의평가는 교수자에게 단순한 점수가 아닌 반성과 고찰의 의미를 제공해야 하며, 수업의 실제적인 개선을 이루어 나가는 계기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 시점에서의 좋은 수업의 특성을 살펴보고,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를 제공한 수업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좋은 수업에 대한 깊은 이해를 시도하였다는 점과 무엇을 바탕으로 수업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가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좋은 수업의 실제적 특성을 심도 있게 살펴보는 동시에 수업 만족도 중심의 강의평가가 아닌 수업의 특성을 의미 있게 분석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