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언어치료가 실어증환자의 낱말 이해 및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유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3881215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재활의학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선진국형 질병으로 분류되는 뇌혈관질환 환자들의 신체적, 사회적 능력 뿐 아니라 언어능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들 뇌졸중환자 가운데 언어 우성반구(language dominant hemisphere)내 언어영역이 손상된 환자들은 후천적인 언어능력의 손실인 실어증을 경험한다. 실어증환자들은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전 언어영역에 걸쳐 능력의 손상을 보이며, 여러 언어영역 중 이름대기 문제는 어느 유형의 실어증에서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우선적인 언어치료의 목표가 된다. 실어증환자의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외에서는 지난 수십 년간 다방면으로 공식적인 언어재활 프로그램의 개발작업이 진행됐다. 그 결과, 공식적인 진단검사를 실시하고 체계적인 치료접근법을 개발해 다양한 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언어치료 프로그램이 새롭게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다양한 컴퓨터 치료프로그램들이 이미 개발단계를 넘어서 실용화되고 있으며 그 치료효과 또한 입증되고 있는 수준에 있다. 실어증연구에 있어서의 국내 실정은 아직까지 실어증에 대한 학문적 접근 내지는 연구결과에 따른, 한국어 특성에 맞는 치료방법의 개발이나 보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 국내에서 치료현장과 가정에서의 언어치료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실어증 치료프로그램이 개발 중에 있다. 비용절감이나 운영상의 능률성 측면에서 컴퓨터 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한 발 더 나아가 그 치료효과를 입증하는 과정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언어치료가 (1) 실어증환자의 낱말 이해 및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2) 비훈련 낱말에 대한 이해 및 표현 능력에 미치는 반응일반화 효과와 (3) 그림카드에 대한 이해 및 표현 능력에 미치는 자극일반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병원 언어치료실에서 언어평가를 받은 외래환자들 가운데, 발병경과 1년 이상의 이름대기 문제를 보이는 실어증환자들이었다.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치료 단계 동안 매 회기는 평가와 치료가 각 15분씩 총 30분으로 구성됐으며, 치료에 앞서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는 치료평가 목록에 대한 평가와 일반화평가 목록에 대한 수행력 평가로 이루어졌고,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을 적용해 실시하였다. 치료는 한 회기에 낱말 이해연습과 표현연습을 순서대로 진행했고 주 3회 실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언어치료는 대상자 세 명의 낱말 이해 및 표현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언어치료는 세 명의 대상자 모두에서 비훈련 낱말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대상자 세 명 모두는 컴퓨터 화면으로 습득한 낱말에 대한 이해 및 표현 능력을 그림카드로만 일반화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언어치료는 실어증환자의 낱말 이해 및 표현능력 증진에 효과적이었으며, 이는 전문 치료인력이 부족한 국내 상황에서 병원과 가정의 치료를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The effects of computer treatment program providing word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activities on language performance in aphasic adults were examined with a single subject study. Three aphasic patients have received intensive training on the Etalkie program: Two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and one with conduction aphasia. The thre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patients who visited medical center for aphasia assessment. These subjects were chosen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They had word finding difficulties as a consequence of acquired aphasia, on the basis of their naming score on the Paradise·K-WAB, with scores below 51.09 considered anomic; they were at least one year post onset at the time of study; they received at least six years of education; no subject demonstrated evidence of dementia, mental retardation, or psychiatric disorder as determined by medical history; they have been diagnosed to have adequate hearing and vision and (6) they did not receive any kind of speech-language therapy at the time of study.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tilized to examine treatment efficacy and generalization. Twenty treatment sessions followed, with four treatment phases respectively consisting of at most five sessions. Sessions took place three times a week.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o non trained words were taken in order to measure treatment efficacy as well as generalization during the baseline phases and treatment phases. Generalization efficacy to picture card stimulus in particular was taken only during the baseline phases and at the end of treatment phases.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phase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measured before each therapy session(treatment efficacy) or every two weeks (generalization to non trained item). Each measurement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reatment efficacy, was composed of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activities with 20 nouns and 12 words with declined or conjugated endings. During the treatment phases, stimulus sets A through D were presented in order. Each session was recorded and simultaneously transcribe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scored with O/X coding system.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naming ability was facilitated by computer based word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treatment program, and (2) the treatment effects were generalized into non trained items and picture card stimulus. This study suggests that computer based treatment program is beneficial to word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 내담아동 어머니와 언어재활사 간 치료적 관계 및 서비스 만족도가 언어치료 효과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은주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3864831

        본 연구는 내담아동의 어머니와 언어재활사 간 치료적 관계 및 서비스 만족도가 언어치료 효과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부산, 양산지역의 언어치료 기관에서 만 2세 이상 자녀가 월 8회기 이상 언어치료에 참가하며, 부모 상담에 동시에 참여하는 내담아동의 어머니 23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1. 내담아동과 내담아동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이 언어치료 효과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2. 내담아동 어머니와 언어재활사 간 치료적 관계, 서비스 만족도, 언어치료 효과인식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3. 내담아동 어머니와 언어재활사 간 치료적 관계 및 서비스 만족도가 언어치료 효과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측정 도구는 내담아동 어머니와 언어재활사 간의 치료적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최명선(2004)이 ‘부모와 치료자 간의 치료 관계척도로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최형주, 2012). 서비스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담 만족도’ 척도(박현주, 2000)를 최형주(2012)가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언어치료 효과인식의 측정은 최명선(2012)이 제작한 ‘놀이 치료 효과인식’과 박혜영(2013)의 ‘언어재활사와 연계한 치료 교육 및 교육 정보’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분석과 신뢰도 분석,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방식(stepwise)으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아동과 내담아동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언어치료 효과인식의 차이는 아동의 성별과 치료 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난다. 둘째, 내담아동 어머니와 언어재활사 간 치료적 관계, 서비스 만족도, 언어치료 효과인식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셋째, 내담아동 어머니와 언어재활사 간 치료적 관계 및 서비스 만족 도는 언어치료 효과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요약하면, 내담아동 어머니의 언어치료 효과인식은 언어치료 기간이 짧을수록, 내담아동이 여아일 때 언어치료 효과인식이 더 나타났으며, 치료적 관계의 하위요인인 부정적 감정의 감소, 내담자로서 협력, 조력자로서 협력관계 그리고 서비스 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기관만족도, 치료기관 환경, 상담 시간과 치료비용, 이용의 편리성, 치료사 만족도 등은 언어치료 효과인식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이다. 따라서 치료적 관계뿐만 아니라 서비스 만족도 또한 언어치료 효과인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 PDA를 이용한 기능적 언어치료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문장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혜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3864831

        대뇌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실어증은 언어 이해와 표현 등 다양한 언어 영역에서 오류를 보여 원활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갖게 한다. 실어증을 대뇌 손상 영역이나 언어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지만, 언어적 특성 중 유창성(fluency)에 따라 비유창성 실어증과 유창성 실어증으로 나눌 수 있다.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두드러진 언어적 특징은 청각적 이해력에 비해 말의 유창성이 크게 저하된다는 것이다. 또한 다른 유형의 실어증 환자에게서도 흔히 관찰될 수 있는 낱말 이름대기(anomia), 또는 낱말 찾기(world finding)에서의 어려움을 보이며, 문법 형태소를 생략하는 전보식(telegraphic) 문장의 산출을 흔하게 볼 수 있다.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들의 문장 산출의 오류를 줄이고, 표현 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언어치료 접근법이 제시되었고 그 효과도 검증되었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이용한 언어치료를 통해 실어증 환자의 문장 표현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검증하는 선행 연구는 없지만, PDA를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도구로서 사용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에게 PDA를 이용하여 기능적 언어 치료를 실시하였을 때 문장 표현 능력이 향상되는지를 검증해 봄으로써 실어증 환자의 언어치료에 있어서 PDA의 유용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비유창성 유형의 실어증 환자 3명을 대상으로 PDA 이토키(e-Talki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장 표현 훈련을 실시하였을 때 문장 표현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예비연구 단계, 대상자 모집 및 선정 단계,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 일반화 단계, 유지 단계로 이루어 졌으며 중재는 주 5회 실시하였다. 실험 장소는 PDA의 이동 가능성 측면을 활용하여 제약을 두지 않고 환자와 직접 상의하여 선정하였다. 실험 설계는 단일대상연구 방법 중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 문장 선정은 기초선 평가 실시 전에 보호자 및 환자와 초기 면담을 통해 환자가 평소 필요성을 느끼고 흥미와, 의욕을 갖고 있는 두 개의 카테고리를 선정한 후 문장 12개를 선정하였다. 중재 전 매 회기 PDA 화면을 통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중재는 일반 중재와 상황 중재로 구성되어 진행 되었다. 기초선 단계와 중재 단계에서 향상된 문장 표현 능력이 중재 되지 않은 문장에서도 일반화 되어 나타나는지 평가하였다. 유지 단계는 중재 종결 후 2주간의 휴지기간을 거친 후 연속해서 3회기 동안 중재에 대한 유지 효과와 일반화 문장에 대한 유지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DA를 이용한 기능적 언어치료를 실시한 결과 대상자 세 명 모두 문장 표현 능력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PDA 이토키를 이용한 기능적 언어치료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문장 표현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초선 단계와 중재 단계, 유지 단계에서 일반화를 측정한 결과 중재 되지 않은 문장에서도 반응일반화가 되었다. 따라서 PDA 이토키를 이용한 기능적 언어치료가 중재 되지 않은 문장의 표현 능력 향상에도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재 종결 이후 2주간의 휴지기간을 거친 뒤 실시 된 유지 측정에서 대상자 3명 모두 향상 된 문장 표현 능력이 유지되었고 일반화 문장의 표현 능력도 유지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언어치료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기존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PDA를 이용한 언어치료가 문장 표현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PDA를 이용한 언어치료에 대한 연구와 그 검증이 없는 상황에서 이러한 결과는 임상적으로 의의가 있다. 또한 PDA가 언어치료의 보조적인 도구로서 의미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 및 표현 능력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 되었던 종이, 그림, 사진 대신 애니메이션, 음성, 텍스트 등의 다중 양식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 문장 표현 능력 향상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PDA는 언어치료효과성을 극대화시키는 도구로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PDA로 언어치료를 할 때 언어치료사의 역할 또한 환자들의 문장 표현 능력 향상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사료되며, PDA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한 기능적이고 개별화된 중재가 실어증 환자의 문장 표현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Aphasia caused by cerebral damage shows errors in various language areas such as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language, so it has difficulties in smooth communication.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nonfluent aphasia show low speaking fluency compared to auditory understanding, difficulties in anomia or word finding, and telegraphic sentences without grammar morpheme. Although various language therapy approaches to reduce errors of sentences of patients with nonfluent aphasia and promote their expression skills are suggested and the effects are verified, there is no precedent study that verifies improvements in sentence expression ability of patients with nonfluent aphasia through speech therapy using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effects of PDA in terms of speech therapy of patients with aphasia by verifying how much sentence expression skills of patients with nonfluent aphasia are improved with functional language treatment using PDA. It examined improvements in sentence expression ability with the PDA e-Talkie program by targeting three patients with nonfluent aphasia. This test was conducted five times a week, and the test place was selected under the negotiation with the patients without limitation by considering mobility of PDA. For the test design,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the participants among single subject study methods was used. With regards to intervention sentences, two categories that patients feel the need and interest in were selected through the early interview of caregivers and patients before baseline analysis, and then 12 sentences were selected. Pre-test of intervention was made, and interventions were divided into general intervention and situational intervention. The study evaluated whether improved sentence expression skills are generalized even in the sentences without intervention, as well as maintaining effects of intervention throughout the two-week dead time after interven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functional language therapy using PDA shows that three subjects’ sentence expression skills have been improved.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generalization at the baseline stage, the intervention stage, and the maintaining stage, sentences without intervention become generalized reaction. Third, three subjects maintain improved sentence expression ability at the maintaining measurement throughout a two-week dead time after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findings above, language treatment using PDA is effective in improving sentence expression ability like existing studies. Therefore, the results are empirically meaningful in that there aren’t sufficient studies and verification on language therapy using PDA. Multiple ways such as animation, sound, and text instead of paper, drawing, and photo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skills of patients with aphasia were used, and the result showed improvements in sentence expression skills. Therefore, PDA is meaningful as a tool to maximize the effects of speech therapy and as a support tool of speech therapy. This study finds out that language therapists’ role also affects improvements in patients’ sentence expression skills when treating language therapy using PDA. In addition, functional and individualized intervention using PDA advantages i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entence expression of patients with aphasia.

      • 언어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조사

        이혜경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3864831

        국문초록 언어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혜경 지도교수 : 황상심 언어치료청각학과 남부대학교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가 제공하는 언어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적 특성에 관련된 8문항, 언어중재 특성에 관련된 3문항, 전문가 언어치료사가 소요하는 시간의 순위에 관련된 1문항, 언어치료 중재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련된 32문항, 언어치료 중재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에 관련된 1문항, 언어치료 중재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에 관련된 1문항으로 총 4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 문항의 타당도를 위해서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을 하였으며, Cronbach 알파계수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에 있는 장애인복지관, 병원 및 의원, 언어치료실, 교육기관, 기타 기관의 언어치료실에서 근무하는 202명의 언어치료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언어치료사가 전문가적인 소요 시간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검증으로는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고, 언어치료사의 중재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치료효과에 긍정적인 영향과 치료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로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연령)에 따라 전문가적으로 소요하는 시간의 순위에 대한 유의확률 분석 결과, 중재 0.005, 교육 0.00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언어치료사의 일반적 특성(학력)에 따라 전문가적으로 소요하는 시간의 순위에 대한 유의확률 분석 결과, 평가 0.034, 중재 0.006, 교육 0.00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언어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직책)에 따라 전문가적으로 소요하는 시간의 순위에 대한 유의확률 분석 결과, 평가 0.023, 교육 0.00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언어치료사의 일반적 특성(경력)에 따라 전문가적으로 소요하는 시간의 순위에 대한 유의확률 분석 결과, 평가 0.031, 중재 0.001, 교육 0.00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언어치료사의 중재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큰 영향” 대상자와의 교감, 대상자에 대한 언어치료사의 긍정적인 언어치료 효과 기대가 가장 높았고, “작은 영향” 문헌지식, 언어치료사가 증거-기반 중재 원칙에 따르는 정도가 높았고, “매우 작은 영향” 언어치료사의 대상자 사용 언어의 유창한 정도가 높았다. 셋째, 언어치료사의 치료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3가지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긍정적 영향1에서 대상자 부모와 의사소통의 정도, 긍정적 영향2에서 대상자 부모와 의사소통의 정도, 긍정적 영향3에서 언어치료사가 언어장애를 이해하는 지식의 정도가 언어치료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높았다. 넷째, 언어치료사의 치료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3가지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부정적 영향1에서 세션을 준비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양, 부정적 영향2에서 세션을 준비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양, 부정적 영향3에서 언어치료사가 전문가로 보이는 정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언어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언어치료사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언어치료사들이 대상자 & 부모님과의 교감, 의사소통, 치료 효과에 대한 기대가 긍정적인 언어치료 효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대상으로 한 DIR Floortime 기반 어머니 참여 언어치료 효과 : 전통적인 언어치료와 비교

        차진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13864815

        본 연구는 DIR Floortime 기반 어머니 참여 언어치료언어발달지연 유아 들의 언어발달과 정서발달,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 행동 변화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 전통적인 언어치료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DIR Floortime 기반 언어치료에 참여한 어머니들이 자기 반영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천, 경기에서 언어발달지연이 나타나는 만 2세에 서 만 4세 유아와 어머니를 모집하였다. 모집된 대상은 총 54명으로 실험집단 유아 14명과 어머니 14명, 비교집단 유아 13명과 어머니 13명이었다. 실험기간은 2023년 6월부터 8월까지였으며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한 총 8회기 프 로그램을 주 1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DIR Floortime을 기반으로 한 언어치료를 중재자와 유아, 어머니가 함께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전통적 인 언어치료를 중재자와 유아가 1:1로 실시한 후에 어머니 상담을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의 언어발달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동발달 검사 (Korean-Child Development Inventory: K-CDI)의 표현언어와 수용언어(언어이해)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정서발달은 기능적 정서발달 능력 (Functional emotional developmental capacities: FEDCs)을 통해 알아보았 다.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부모-아동 상호작용 행동 평가(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 & Child Behavior Rating Scale: K-MBRS & K-CBRS)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에 참여한 어머니들이 매주 작성한 자기 반영(Self-reflect) 기록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은 SPSS 25.0에서 기술통계분석과 독립표본 t 검정과 공분산분석(ANCOVA) 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각 집단의 사전·사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 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IR Floortime 기반 어머니 참여 언어치료 집단은 전통적 언어치료와 비교하여 언어발달지연 유아의 언어발달과 정서발달, 어머니와의 놀이상황에서 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실험집단인 DIR Floortime 기반 어머니 참여 언어치료 집단과 비교집단인 전통적인 언어치료 집단의 사전 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 검사를 비교한 결과, 언어발달지연 유아의 언어발달에 있어서 두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유아의 표현언어 및 수용언어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두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지는 못하여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대상으로 한 DIR Floortime 기반 어머니 참여 언어치료를 전통적인 언어치료와 비교하여 유아의 언어발달에 있어서는 그 효과를 증명하지는 못하였다. 언어발달지연 유아의 정서발달에 있어서 실험집단인 DIR Floortime 기반 어머니 참여 언어치료 집단과 비교집단인 전통적인 언어치료 집단의 사전 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 검사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DIR Floortime 기반 어머니 참여 언어치료가 전통적인 언어치 료에 비하여 유아의 정서를 발달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어머니와의 놀이상황에서 유아의 상호작용 행동 변화는 실험집단인 DIR Floortime 기반 어머니 참여 언어치료 집단과 비교집단인 전통적인 언어치료 집단의 사전 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 검사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집단 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인 활동적 행동요인(주의집 중, 문제해결력, 흥미, 협력)과 사회적 행동요인(주도성, 공동주의, 애정)이 비교집단에 비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DIR Floortime 기반 어 머니 참여 언어치료가 전통적인 언어치료에 비하여 어머니와의 놀이상황에서 유아의 상호작용 행동 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와의 놀이상황에서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 변화는 실험집단인 DIR Floortime 기반 어머니 참여 언어치료 집단과 비교집단인 전통적인 언어 치료 집단의 사전 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 검사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집단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인 반응적 행동요인 (민감성, 반응성, 수용성, 즐거움, 온정성, 언어적 칭찬)과 효율적 행동요인(효율성, 표현성, 독창성, 보조)이 비교집단에 비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며 지시적 행동요인(성취지향성, 지시성)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DIR Floortime 기반 어머니 참여 언어치료가 전통적인 언어치료에 비하여 유아와의 놀이상황 에서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 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DIR Floortime 기반 어머니 참여 언어치료 집단인 실험집단에 참가한 어머니들은 자기 반영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유아와 놀이하면서 유아들의 행동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유아들의 언어표현 증가의 변화를 보았다. 그리고 어머니 스스로 자신 을 돌아보는 기회가 되어 자신의 양육방법을 점검하는 계기가 되었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DIR Floortime 기반 어머니 참여 언어치료는 전통적 인 언어치료와 비교하여 유아의 언어발달 상승이 더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유아의 정서발달과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실험집단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자기 반영을 통해 DIR Floortime의 원리 와 기법을 경험하고 체득해 가는 과정을 질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DIR Floortime과 언어치료를 접목하였고 어머니를 직접적으로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언어발달지연 유아의 언어발달과 정서발달,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DIR Floortime의 연구대상을 언어발달지연 유아와 어머니로 확대하였다는 점 에서 의의가 있다. 주요어 : DIR Floortime, 언어치료, 언어발달지연, 어머니 참여, 언어발달, 정서발달, 상호작용 행동 변화

      • 카카오톡 어플 중재를 포함한 그룹언어치료 활동이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의 화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송선영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386481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language therapy program including Kakaotalk application on the progmatic competence of school 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tudy carried out group language therapy program organizing a group with 3 school 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level 3 and 2 speech-language pathologists including the researcher. Verbal and non-verbal progmatic competen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examinati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rough the progmatic competence check-list ammended and supplemented by the researcher. Additionally, the study looked into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nversational acts by analyzing Kakaotalk chat transcripts of each child with conversational acts analysis table by session, and on the maintenance of conversational acts with recovery time for 2 weeks. A Child’s speech-language pathologist and one’s parents utilized the progmatic competence check-list for evaluation before and after the group language therapy program, and the researcher compared and analyzed the transition process in conversational acts with communication acts analysis t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group language therapy program including Kakaotalk appl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verbal progmatic competence of school 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en child’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one’s parents examined verbal progmatic competence, it generally increased showing risen scores in the examination after the program than one before the program. Second, group language therapy program including Kakaotalk application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non-verbal progmatic competence of school 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en a child’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one’s parents examined non-verbal progmatic competence, it also generally increased showing risen scores in the examination after the program than one before the program. Third, group language therapy program including Kakaotalk application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in conversational acts of school 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en the researcher analyzed Kakaotalk chat transcripts of each child with conversational acts analysis table by session by each session, conversational acts including request, response, comment, statement, acknowledgement, organization devices, advanced speech act evenly improved. Fourth, group language therapy program including Kakaotalk application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aintenance of conversational acts of school 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us, the children all evenly utilized conversational acts including request, response, comment, statement, acknowledgement, organization devices, advanced speech act. This study proved that group language therapy program including Kakaotalk application shoed a positiv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and maintenance in progmatic competence of school 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Moreover, a few advantages of group language therapy program including Kakaotalk application can be detected including intrigu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good access, easy direction, and available visual feedback.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tool for language therapy and to have a positive effect as a new medium of language therapy programs. 본 연구는 카카오톡 어플 중재를 포함한 그룹언어치료 활동이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의 화용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가 그룹언어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시하였다. 지적장애 3급인 학령기 아동 3명과 연구자를 포함한 언어재활사 2명으로 그룹을 구성하고 그룹언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비교 분석하여 구어적 화용능력과 비구어적 화용능력의 변화를 연구자가 수정 및 보완한 화용능력 체크리스트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 아동들의 카카오톡 대화 내용을 대화 기능 분석표를 통해 회기별로 분석하여 대화 기능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고, 2주간의 휴지기를 두어 대화 기능의 유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다. 화용능력 체크리스트는 아동의 담당 언어재활사와 아동의 부모가 그룹언어치료 프로그램 시작 전, 후 평가하였고, 대화 기능은 연구자가 의사소통 기능 분석표를 참고하여 변화 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카카오톡 어플 중재를 포함한 그룹언어치료 활동이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들의 구어적 화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담당 언어재활사와 아동 부모가 구어적 화용능력을 검사한 결과,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모두 상승된 점수 결과를 나타내며 구어적 화용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둘째, 카카오톡 어플 중재를 포함한 그룹언어치료 활동이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들의 비구어적 화용능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담당 언어재활사와 아동 부모가 비구어적 화용능력을 검사한 결과,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모두 상승된 점수 결과를 나타내며 비구어적 화용능력도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셋째, 카카오톡 어플 중재를 포함한 그룹언어치료 활동이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들의 대화 기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가 매 회기별 각 아동들의 카카오톡 어플 단체방 대화 내용을 대화 기능 분석표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각 대화 기능(요구하기, 반응하기, 객관적 언급, 주관적 진술, 메시지 수신표현, 구성요소, 발전된 표현)들이 고르게 향상되어 대화 기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카카오톡 어플 중재를 포함한 그룹언어치료 활동이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들의 대화 기능 유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대상아동 모두 각 대화 기능(요구하기, 반응하기, 객관적 언급, 주관적 진술, 메시지 수신표현, 구성요소, 발전된 표현)들을 고르게 사용하고 있어 유지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화용능력에 문제를 보이는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카카오톡 어플 중재를 포함한 그룹언어치료 활동을 통하여 화용능력을 향상시키고 유지하기에도 효과적이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다. 또한 카카오톡 어플 중재를 포함한 그룹언어치료 활동이 지적장애 아동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접근의 용이성과 쉬운 사용방법, 시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는 여러 가지 장점을 발견할 수 있어 언어치료 도구로서 효과적이며, 새로운 언어치료 프로그램의 매개체로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와의 비교

        김지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13864814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언어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동시에 치료사중심 언어치료 프로그램과의 비교를 통하여 그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언어장애아동의 어휘량을 증가시키고 의사소통 의도를 증진시키며 심리적 능동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나아가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이 언어장애아동 부모의 상호작용 행동 변화와 아동의 상호작용 행동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아동중심 언어치료와 아동중심 놀이치료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였으며 아동중심 언어치료의 현장연구를 통해 한계성을 검토하고 이를 보완한 예비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전문가의 협의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생활연령 만 3세에서 만 5세 사이의 언어장애아동으로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실시 집단인 실험집단 아동 6명, 치료사중심 언어치료 실시 집단인 비교집단 아동 6명, 통제집단 아동 6명과 이들 각 집단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과 치료사중심 언어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16회기를 각 아동마다 1 : 1의 개별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으며 회기시간은 아동은 40분, 부모상담 20분으로 총 60분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 실험집단,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 및 통제집단 간의 사전검사 결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Kruskal-Wallis 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 실험집단과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 통제집단 내 각 척도별 사전-사후 검사 결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 실험집단과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 통제집단 간 각 척도별 사후검사 결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Kruskal-Wallis Test를 실시하였으며, Bonfferoni correction을 통해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어휘량과 의사소통 의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발화 수집을 통한 자발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의 적용과 회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초기, 중기, 후기에 따른 비디오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은 기본 원리, 놀이 환경, 부모 상담, 치료사의 역할, 기법으로 구성된 언어장애 중재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집단과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 모두에서 어휘량과 의사소통 의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집단에서의 어휘양의 증가폭이 더 컸으며 의사소통 의도에서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집단은 주관적 진술의 증가가 높게 나타났고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은 반응의 증가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집단의 심리적 능동성이 향상되었으나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넷째, 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집단에서 부모의 상호작용 행동에서 지지적이고 반응적이고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아동의 상호작용 행동에서도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태도 변화가 나타났으나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언어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어휘량과 의사소통 의도, 심리적 능동성,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행동 변화에 모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치료자중심 언어치료와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놀이치료언어치료의 다 영역간의 통합된 중재 프로그램으로써 언어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언어치료 중재 전략의 이론적 틀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언어장애아동의 언어적, 심리적 어려움을 동시에 다루어 주는 중재 접근법을 개발함으로써 언어장애아동에게 심리적 문제를 감소시켜주고 동시에 언어능력을 향상시켜주는 새로운 중재 프로그램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아동중심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과 예시를 제시하여 언어치료사들이 현장에서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하였다. 넷째, 언어치료 현장에서 아동과 부모를 동시에 프로그램에 참여시켜 아동의 부모와 아동 모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치료사중심 언어치료, 언어장애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compared to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Kim, Ji A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ed by Professor Han, You‐Ji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and to test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the program to language‐impaired children and, at the same time, to compare it with a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program.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increase language‐impaired children’s vocabulary size, to reinforce their communication intent, and to enhance their psychological activity through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Furthermore, it examined the effects of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on language‐impaired children’s interaction behavior as well as on their parents’ interaction behavior. In order to develop a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on child‐centered intervention and child‐centered play therapy, and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child‐centered intervention through a field survey. Based on the results, a preliminary program was designed and applied, and through discussions with experts on the results,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language‐impaired children at 3‐5 of chronological age and their mothers, and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6) that participated in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a comparative group (n=6) that participated in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and a control group (n=6).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and the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program were applied twice a week and a total of 16 sessions. Each child attended an 1:1 individual session, and each session took 40 minutes for the child, and 20 minutes for parent counseling, so a total of 60 minutes.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through SPSS 18.0, and analysis methods used we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non‐parametric Kruskal‐Wallis 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pretest among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 the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rd,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examine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for each scale within each of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 the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urth, non‐parametric Kruskal‐Wallis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posttest for each scale among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 the clinician‐directed speech therap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a post‐hoc test was made through Bonfferoni correction. Fifth, spontaneous speech was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analysis of vocabulary size and communication intent. Sixth, changes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were examined by analyzing the videos of the early, middle and later session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as a language impairment intervention program consisting of basic principles, play environment, parent counseling, clinician’s roles, and techniques. Seco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both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 and the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group showed increased vocabulary size and communication intent. However,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 showed a larger increase in vocabulary size. With regard to communication intent, moreover, while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 showed a large increase in subjective statements, the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group showed a large increase in responses. Thir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child‐ 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 showed improvement in psychological activity, but the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Fourth, after the program, the parents of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 showed supportive, responsive, and positive changes in their interaction behavior, and the children also showed initiative and active attitudes in their interaction behavior, but the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This study developed a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and applied it to language‐impaired children, and proved that it was effective for the children’s vocabulary size, communication intent, and psychological activity and for their and their parents’ interaction behavior and that its effec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Give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meaning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n intervention program integrating both play therapy and speech therapy and provided a theoretical frame for new intervention strategies applicable in the field of speech therapy.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n intervention approach handling both language‐impaired children’s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at the same time and, by doing so, suggested a new intervention program mitigating language‐impaired children’s psychological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enhancing their language abilities. Third, this study presented specific child‐centered methods and examples for speech therapists’ easy application in the field. Fourt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 program that involves bo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help both of them. Keywords: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language impairment

      • 전래놀이를 활용한 그룹언어치료가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언어능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경희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3864798

        이 연구에서는 전래놀이를 활용한 그룹언어치료가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문장 따라 말하기, 문장 완성하기, 읽기 유창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대상자는 평균연령 55세로 브로카 실어증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선별검사 도구로 한국판-웨스턴 실어증 검사(K-WAB)와 대구 실어증 진단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하였고, 대응표본 t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전래놀이를 활용한 그룹언어치료가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문장 따라 말하기, 문장 완성하기, 읽기 유창성을 향상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래놀이를 활용한 그룹언어치료가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언어능력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at determining the effect of group language therapy by using Korean traditional play on Broca's aphasics' sentence repetition, sentence completion and reading fluenc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eight Broca's aphasics who were about 55 years old. For this purpose, two screening tests which are K-WAB(Korea version-Western Aphasia Battery) and Daegu Diagnostic Test of aphasia were operated. A group therapy program by using Korean traditional play included six games such as Kirogi game, Picking flowers, Fox play, Komaya, Word connecting game and Playing yut. Pre-Post experimental design was utilized. A t-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group therapy by using Korean traditional play improved Broca's aphasics' sentence repetition. Second, a group therapy by using Korean traditional play improved Broca's aphasics' sentence completion. Third, a group therapy by using Korean traditional play improved Broca's aphasics' reading fluency.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a group therapy by using Korean traditional play was effective on Broca's aphasics' language ability.

      • 그룹언어치료를 통한 학령기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대화기술 중재 효과 : 대화차례 주고받기 및 주제운용능력을 중심으로

        박영롱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3864783

        성공적인 대화를 위해서는 대화차례 주고받기와 주제운용능력이 필요하다. 학령기는 친구와 학교로 또 다른 인간관계가 확장되며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대화능력이 정교하게 발달한다. 그룹언어치료는 또래와 상호작용을 연습하고 적극적인 학습자로 구성원 간에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언어발달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그룹언어치료를 통한 대화기술 중재 효과를 연구함으로써 치료의 효용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2학년의 언어발달지체 아동 3명이었다. 대화기술 중재 프로그램은 상호작용 증진과 전제능력, 마음읽기에 대한 내용을 위계에 따라 포괄적으로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중재는 60분, 주 2회, 총 20회기 동안 코칭, 모델링, 촉진, 환경 제공 등을 통해 실시되었다. 대화 자료는 일상대화나 공동 활동 상황에서 수집하여 대화차례 주고받기와 주제운용능력을 분석하였다. 대화차례 주고받기는 개시, 유지, 중첩, 중단을 분석하였고 주제운용능력은 개시, 유지, 변경을 적절성, 부적절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룹 내 또래 간의 대화능력은 AB설계를 적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효과를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연구자와 아동 간의 대화 자료와 아동의 주 양육자인 부모에게 화용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게 하여 사전·사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를 보면 그룹 내 또래 간의 대화능력은 세 아동 모두 대화차례 주고받기에서 중첩율이 감소하고 유지율이 증가하였다. 주제운용능력에서도 적절한 주제 유지율과 변경율이 증가하였다. 연구자와 아동 간의 대화능력은 세 아동 모두 대화차례 주고받기에서 개시율과 유지율은 증가하고 중첩율과 중단율은 감소하였다. 주제운용능력에서도 적절한 주제 개시율, 유지율, 변경율이 증가하였다. 부모 평정에서도 사후 평가 시 중재 이전 평가 수준보다 검사 결과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그룹언어치료를 통한 대화기술 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령기 언어발달지체 아동들은 대화차례 주고받기와 주제운용능력이 향상되었고 그에 따라 아동의 대화기술 능력이 증진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동의 전반적인 화용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됨을 알 수 있었다. A successful communication requires conversational turn-taking and topic manipulation skills. Children of school age make a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and schoolmates, and they develop the ability of accurate language skills. Through group language treatment, children can practice the way of making a friendship and they can help each other as active student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nversational skill intervention through group language treatment for school-age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and it checked its utility of the treat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children with language delay. They are second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e conversational skills intervention program was hierarchically designed to improve interaction, presuppositional-skills and mind-reading. The conversational skills intervention program was applied for 60 minutes 2 times per week for 20 sessions. The way of intervention included coaching, modeling, motivating and environment provision. This study collected the conversational samples from usual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in group activity. The performances of conversational turn-taking(total frequency, rates of initiation, maintenance, overlap, and breakdown) and topic manipulation(total rates of initiation, maintenance, and change of topic, and appropriate/inappropriate rates of initiation, maintenance, and change of topic) were measured. For peer conversation abilities, AB design was applied while analyzing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effect. In addition, conversational samples were collected individually by the examiner. Furthermore, parents' rating was evaluated to identify the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result disclosed that, in peer conversation, in terms of conversational turn-taking, rate of overlap was decreased and rate of maintenance was increased. The part of topic manipulation skills, appropriate rates of maintenance and change of topic were increased. In conversation between examiner and children, the result of conversational turn-taking was positive. The rates of initiation and maintenance were increased and rates of overlap and breakdown were decreased. The part of manipulation skills, appropriate rates of initiation, maintenance and change of topic were all increased. Parents' rating showed that their children's language ability level was improved from the before treatment. The study said, the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improved their ability of communication skills, such as conversational turn-taking and topic manipulation. Also a result, this study revealed the trea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s general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 요양시설 실어증 노인들에 대한 언어치료 프로그램 효과

        한은진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386476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aphasia from which elderly persons living in Nursing Home are suffering, and to develop the speech therapy program using volunteers and then prove its effect.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eight elderly persons of 65 or above who have been diagnosed as having cerebral apoplexy. Relevant experts and trained volunteers have implemented the speech therapy program for 6 months and evaluated speech performing ability of the tested person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tested patients are broken down by type of aphasia into 5 motor aphasiacs, 1 global aphasiac, and 2 sensory aphasiacs. Second, after applying the speech therapy program,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tested persons has improved in the lower domain of both accepting and expressing ability tests. Thirds, analysis on the effects that the speech therapy program has on the speech performance integrating functions shows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has been made in both accepting and expressing ability tests. Finally,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speech therapy program conducted by relevant experts and trained volunteers shows that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tested persons in both testing groups has improved after the speech therapy program has been appl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