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장가영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ttempted to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and analysis by confirming the impact of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n patient securi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provide data that can help medical institutions' judgment standards, and contribute to vitalization of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patient security activities, and establishment of the right organizational culture. The research data were surveyed on 122 nurses with more than one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experience at the general hospital level who obtained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and frequency analysis, standard deviation, T-test,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is study,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93.4% were women, 47.5% were in their 30s, 65% were married, and 76.2% were college graduates. As for the position, 74.6% were general nurses and 33.6% were working for 5-10 years. The working department was 57.4% in the general ward, and 95.1% had experience in patient safety education. 77.9%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was 'know in detail', and the number of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s was '0 times' 59.0%. The average degree of improvement by chapter of the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tandards is 3.64±0.83 out of 5, an average of 4.00±0.77 points out of 5 points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activities, organizational culture averaged 3.18±0.96 points out of 5 poi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ital status, position, work experience, and degree of awareness of the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in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mprovement by the head of the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tandar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ital status, working department,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awareness in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atient safety activities. In the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ultur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working department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by sub-items in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atient safety activit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working department,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in accurate patient identific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working department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in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staff,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ital status, position, work experience,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awareness in accurate surgery and procedur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ll prevention activities in age, position, work experience,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awarenes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ection prevention activities in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There is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each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tandard,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patient safe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dicating that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patient safe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re all related.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effect of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on patient securi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it was found that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atient securi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refor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is a factor that affects patient safety guarantee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hould be strategically used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hospitals by using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as a way to improve patient safety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conduct continuous evaluation rather than an attitude to establish patient safety in line with temporary external evaluation items for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and to create an organizational culture environment that can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by work experience and position for the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It is suggested to study the effect of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on patient securi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argeting not only the nursing profession of medical institutions but also members of other occupations.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미치 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객관적인 정보와 분석제시와, 의료기관의 판단 기준에 도움이 될만한 자료를 제공하고, 의료기관평가인증의 활성화, 환 자안전보장활동 및 올바른 조직문화 정착에 기여 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자료는 의료기관평가인증을 획득한 종합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 으로 의료기관평가인증을 1회 이상 경험이 있는 간호사 12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표준편차, T 검정, 분 산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여자가 93.4%, 연령은 30대가 47.5%, 기혼이 65%, 대학 졸업이 76.2%이었다.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74.6%, 근무경력은 5-10년 33.6%였다. 근무부서는 일반 병동 57.4%였으며, 환자안전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95.1%였다.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에 대해 ‘자세히 안다’ 77.9%였으며, 환자안전사고 보고 건수 ‘0회’ 59.0%였다. 의료기관평가인증 기준 장별 향상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4±0.83점, 환자안전보장활동 향상 정도 5점 만점에 평균 4.00±0.77점, 조직문화는 5점 만점에 평균 3.18±0.96점 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관평가인증 기준 장별 향상 정도 차이에는 연령, 결혼상태, 직위, 근무경력,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안전보장활동 향상 정도의 차이에는 결혼상태, 근무부서, 환자안전 교육경험,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직문화의 차이에는 근무부서,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보장활동 향상 정도의 하부 항목별 차이 분석 결과 정확한 환자 확인에는 근무부서, 환자안전 교육경험,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료진 간 의사소통에는 근무부서,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 차이가 있었으며, 정확한 수술·시술 확인에는 연령, 결혼상태, 직위, 근무경력, 환자안전 교육경험,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낙상예방 활동은 연령, 직위, 근무경력,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감염예방 활동은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료기관평가인증 기준 장별 향상 정도와 환자안전보장활동 향상 정도, 조직문화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어 의료기관평가인증과, 환자안전보장활동, 조직문화 모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의료기관평가인증은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 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의료기관평가인증이 병원의 환자안전과 조직문화를 증진 시키는 방법으로 의료기관평가인증을 전략적 으로 활용하여 병원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의료기관평가인증을 위한 일시적인 외부평가 항목에 맞춰 환자안전을 확립하려는 자세보다는 지속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 하며, 의료기관평가인증의 지속적인 실행을 위해 조직 구성원들의 근무경 력별, 직급별 역량을 강화 시킬 수 있는 조직문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료기관의 간호직 뿐만 아니라 다른 타 직종의 조직 구성원을 대상 으로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해 볼 것을 제안한다. 의료기관평가인증, 환자안전보장활동, 조직문화

      • 대학의 평가인증제가 조직 운영 요인을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윤문도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27

        Today, the environment surrounding universities is changing rapidly. The uncontrollable reduction of school-age population presents challenges for survival of the university and structural reform. In addition, the emergence of a borderless education market and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will require the establishment of a new education system in the long run. Thus, if a university does not have a competitive edge including quality of education, it will be difficult to surviv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certification system has expanded.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is a major policy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universities that enhances educ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continuous improvement of a university’s education. It expands the university’s specialization to achive its goals. Therefore,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will also vary depending on the leadership of the president; the main body of university operation, and how the participation and competence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re utilized.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the characteristics factors of the organization’s operation (The leadership of the top managers, the absorption capacity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a hypothe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leadership, absorption capac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To verify this statisticall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eachers and employees who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evaluation and and accreditation work of 4-year universities and colleges nationwide. The SPSS and SmartPLS were used for the 312 valid questionnaires collected and frequenc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was verified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LS structure model.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ncy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and the leadership of the CEO,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and purpose of the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on the strategic leadership and the participatory leadership were identified.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of the CEO and the absorption capacitie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he effects of the strategic leadership and the participatory leadership of the CEO on the absorption capacitie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ere identifie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absorption capacity of organizational members had an influence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 financial performance in relation between absorption capac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institutional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resul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and management performance had an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absorption capacity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is regul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the results of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in the moderating effect of institutional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between the absorption capac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Confirmed but not controled. This study has a distinctive meaning in that it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operation as an intermediate process variable in order to examine how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certification system effects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universities. The methodology of this mechanism help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institutional certification system more clearly and explain how the best certification and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should use the system as a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university. 오늘날 대학을 둘러싼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통제할 수 없는 학령인구의 감소는 대학의 생존과 구조개혁이라는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국경없는 교육시장의 출현과 산업구조의 변화도 장기적으로 신교육체제의 수립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은 교육의 질을 포함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할 경우 생존마저 어렵게 되면서, 평가・인증의 중요성 인식이 확대되었다. 기관평가인증제도는 대학 교육의 질 제고와 지속적 개선을 통해 교육경쟁력을 강화하고 대학의 특성화를 확대하여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대학의 주요한 정책이며 품질경영시스템이다. 그러므로 대학 운영의 중심 주체인 총장의 리더십과 조직구성원들의 참여와 역량이 어떻게 활용되느냐에 따라 대학의 경영성과도 달라질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기관평가인증제와 조직 운영의 특성 요인(최고경영자의 리더십, 조직구성원들의 흡수역량), 경영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하여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기관평가인증제와 리더십, 흡수역량,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전국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의 평가인증 업무와 직ㆍ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교원 및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312부의 유효설문지에 대해 SPSS와 SmartPL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모형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고 PLS의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평가인증제와 최고경영자의 리더십 간의 관계에서 평가인증제 인식과 평가인증제 목적이 전략적 리더십과 참여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둘째, 최고경영자의 리더십과 조직구성원들의 흡수역량 간의 관계에서 최고경영자의 전략적 리더십과 참여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흡수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직구성원들의 흡수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구성원들의 흡수역량이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기관평가인증제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기관평가인증결과 활용은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조직구성원들의 흡수역량과 경영성과 간 기관평가인증제의 조절효과에 있어서 인증평가결과 활용의 정도에 따라 흡수역량과 비재무성과 간의 관계가 조절되지만, 흡수역량과 재무성과 간의 관계는 조절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관평가인증제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대학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조직 운영의 특성 요인을 중간과정변수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적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메카니즘의 방법적 규명은 기관평가인증제의 효과를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대학의 품질경영시스템으로서의 평가인증제를 최고경영자와 조직구성원들이 어떻게 활용하여야 하는지를 설명해주고 있다.

      • 한·중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한 연구 : 메타평가를 중심으로

        황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727

        한국에서 인구감소와 더불어 학령인구감소로 인해 대학수능 응시인원은 날로 감소하고 있다. 대학입학정원의 감소로 인해 대학은 대학 내외부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조정을 통해 대학운영의 안정화를 꾀하고 있다. 하지만 물리적 인원감소로 인한 대학의 물리적 감소는 피할 수 없는 사안으로 '대학은 대학교육의 질을 어떻게 유지하고 제고할 것인가?', '그리고 대학이 가져야할 미래발전방향은 무엇인가?'의 질문에 응답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학의 대내외적 노력을 평가하는 한국 대학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해서 기존의 평가제도와 더불어 환경에 맞는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대학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한국과 중국이 가지고 있는 저출산·고령화, 학령인구 감소 등의 공통적인 문제에 대해 대학이 사회환경에 적응하고자 할 때, 대학을 평가하는 기관이 합리적인 대학기관평가인증을 시행하고 있는지 각 국 제도 비교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학은 사회 엘리트 인재양성이라는 사회적·교육적 책무성을 실현하기 위해, 대학생 수의 증가에만 주목하기보다는 대학생의 특성을 발전시키고, 성취할 수 있도록 더 많은 관심과 투자를 해야 한다. 대학기관평가인증제도는 바로 대학이 특성화 교육 개혁을 유도하는 수단이며 관련된 연구도 큰 의미를 갖는다. 현재까지 한국 학술계에서는 기관평가인증에 관한 연구, 대학교육에 관련된 메타평가모형 등 ’UFPA 모형‘, ’EIPOU 모형‘, ’PSPaVRU 모형‘ 각각의 연구에 대한 학술성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한 선행 연구 및 유사 연구는 부족했다. 중국에서는 대학교육에 대한 메타평가모형연구는 아직까지 UFPA 모형만이 전개되어 있으며 대다수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한 비교연구, 사례연구가 진행되었고 실증조사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연구평가모형으로 메타평가(meta-evaluation)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한국 '대학기관평가인증제도(1주기)'와 중국 '대학교육합격평가(本科教学合格评估)‘ 두 가지 대학평가제도에 대해 각각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이후 실증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대학기관평가인증제도의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즉, 각 제도 전반적인 평가시스템의 재평가를 통해 평가의 기능 및 활용성을 높이고, 일련의 재평가 과정을 통해 평가시스템의 발전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메타평가모형으로 EIPOU모형(평가환경, 평가투입, 평가수행, 평가결과, 평가활용)을 적용하였다.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한 메타평가를 통해, 첫째, 인증제도의 유용성의 정도를 확인하고 교육의 질을 제고시킬 수 있다; 둘째,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책결정자에게 추가적인 평가인증의 판단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정책평가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정책평가집행의 오류를 발견하여 평가시행의 책무성을 유도할 수 있다; 다섯째, 실증연구 결과를 통해 유사한 정책·제도에도 메타평가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로써 기여할 수 있다.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한 메타평가 설문조사는 대학교수, 대학행정직원, 연구원 그리고, 대학기관평가인증 기구 직원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총 231부(한국 111부, 중국 120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 하여, 한·중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한 메타평가 조사를 통해서 전문가와 실무자의 인식 차이에 따른 양국의 대학기관평가인증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사 대상은 두 개의 국가집단(한국, 중국)으로 구분하였고, 각 국가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검증(T-test)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세 개의 직업집단(대학교수, 대학기관평가인증 기구 직원/공무원. 대학행정직원)으로 구분하였다. 세 가지 직업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 보기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으며, 두 개의 역할집단(평가자, 피평가자)을 조사대상으로 구분하여, 각 역할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T검증(T-test)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적인 요인으로, 국가 간 차이분석 결과는 통계적으로 대부분 유의미하였다. 한국에서는 평가 자체에 대해 불신하는 경향이 있어 대부분 평가준거의 분석결과는 중국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중국의 대학기관평가인증제도가 중국 현황에 부합하게 구성되어 평가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한·중 각각의 직업평가집단 간 차이분석을 통해 본 권력 간 거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권력 간 거리 요인으로 한국과 중국 모두 대학기관평가인증 기구직원과 대학교수가 대학행정직원보다 재평가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행정직원이 대학기관평가인증 기구 직원과 대학교수에 비해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한 만족감이 적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한국과 중국 각 국가별 역할평가집단 간 차이분석 결과는 관대화 요인으로 인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해서 한·중 평가자는 피평가자보다 재평가 인식이 높게 나타난 것이다. 즉, 평가자는 피평가자와의 입장의 차이와 향후 영향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피평가자보다 평가자 자신이 주도로 한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연구결과 및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서는 대학기관평가인증의 평가기준 수정을 통해, 대학의 특성화를 강조하고, 대학의 경쟁력과 영향력을 제고시킬 수 있어야 한다. 동시에 평가자와 피평가자 간의 불일치한 만족도에 대해 양자 간에 서로 교류와 의사소통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갈등을 감소하고 순조로운 평가인증 작업을 촉진하여야 한다. 둘째, 중국에서는 대학기관평가인증의 인증유효기간을 수정해야 하여 '인증 후 다시 재인증 필요없음' 제도를 전환하고, 대학 교육의 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재인증 기한을 가져야 한다. 동시에 평가결과에 대한 이의가 발생한 경우를 대비한 이의신청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고, 평가인증 관련한 일정·배정과 각 부문이 담당하는 임무를 명확하게 구분해야 한다. 셋째, 한중 양국이 모두 메타평가의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에 대해 평가인증 진행 시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정식으로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한 메타평가를 실시하고, 그의 결과에 따라 시의적절하게 인증제도의 각 평가지표를 수정하여야 한다. In South Korea, the population pyramid has an inverted triangle as the total population decreases. Due to the mainstream trend of decreasing participation rates of students taking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Korea’s university entrance exam), a number of Korean universities have taken steps to a steady correction phase. To maintain and to steadily improve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objectives has become a new research area within the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of universities. Meanwhile, China is also experiencing decreasing birthrate and the issue of a growing elderly population, both of which have led to a sharp decline of the student population. In contrast to the trend in Korea, the number of Chinese universities has grown continuously over recent years. It remains to be verified whether they have been assessed thoroughly under an impeccable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Since they are the cradle of society elites and have social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s, universities should focus more on the investment in programs promoting students’ personal development and self-achievement instead of dealing only with the number of students. The university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plays a vital role in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reforms. Meanwhile, related research also shows great significance. Up to date, South Korean academia has relatively mature achievements among the meta-evaluation model in the relevant research field (e.g., UFPA model, EIPOU model and PSPaVRU model, etc.). However, a sufficient field study of university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has yet to be conducted. Coincidentally, Chinese meta-evaluation research on universities has remained with the UFPA model, mainly on the literature research but on massive practice investigation. To consummate above deficiency, this article conducts a ‘re-assessment’ on both the Korean University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1stcycle) and Chinese Undergraduate Education Qualification System while seeking improvement of the program through comparison. To enhance the performance and applicability of systems, it combines the re-assessment along with a feasibility study of further development which has applied EIPOU model, which is one type of meta-evaluation model that combines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 input, process, output and utilization. Based on the following research objectives, it reveals the significance of implementing the captioned meta-evaluation model among university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s. Firstly, it may improve education quality as well as system capability. Secondly, it may identify deficiencies and provide decision-makers with isolate judgments. Thirdly, it may figure out the gap between practice with objectives which indicates the efficiency of the systems. Fourthly, it may trace out the mistakes of executives and improve the responsibility of participants. Lastly, it may contribute to related systems in the meta-evaluation area. Based on the questionnaires of the meta-evaluations on university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this study uses university professors, administrators, researchers and staff of university accreditation and evaluation organizations as respondents. A total of 117 South Korean questionnaires and 130 Chines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Except for 16 invalid questionnaires, a total of 231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differences between experts and practitioners, which are likely to result in problems and issues of the university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y groups (South Korea and China), a T-test was carried out. Furthermore, the respondents have been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ir occupations: university professors, university administrators, and staff of university accreditation and evaluation institutions. Then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Finally, the T-test was also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different role groups: evaluators and evaluate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are shown below. First, the analysis of varianc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chieved significant results. Since people distrust evaluations in South Korea, most of the evaluation rates ​​in Korea are lower than those in China. It indicates that compared with South Korea, the Chinese evaluation system is more applicable to national conditions. Second, the analysis of variance of differences between occupational groups is verified to be sufficient both in South Korea and China. Commonly, the rates ​​of university professors and staff of university accreditation and evaluation institutions are higher than those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This indicates that university administrators are less satisfied with the current system. Thirdly, the analysis of variance of different role groups is verified to be meaningful statistics. In both countries, the rates of evaluators are higher than those of evaluatees. This indicates that evaluators over-assess the systems with respect to their positions. The findings and policy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below. First,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and influence of universities, South Korea should revise the benchmarks of the university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and promote the construction of featured universities. Targeting the gap between evaluators and evaluates, bilateral communication should be improved. This may reduce clashes as well, which can finally lead to a smooth evaluation progress. Second, China should review and revise the expiration policy of university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from the permanent effective once validated to re-validation period that will definitely enhance the education quality, guarantee the steadily improvement of universities under crisis awareness. Meanwhile, an appeal system should be ready in case any objection occurs during the evaluation. Also, the schedule and tasks of a variety of departments should be clarified clearly. Third, both South Korea and China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eta-evalu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they need to re-assess the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by conducting periodically meta-evaluations and revising the system accordingly besides evaluating universities themselves. 在韩国,随着全国总人口减少,人口年龄结构金字塔出现倒三角缩减型状态,大学修业能力考试(韩国高考)应试人数减少趋势明显等客观因素,大学逐步走向调整阶段,即大学的数量呈现减小的态势。大学如何保持并提高大学教育水平质量,大学自身的未来发展方向等等,这些都成为韩国大学机构评估认证制度研究的新课题。 反观中国同样面临人口出生率低及高龄化、适龄受教育人数减少等问题。与韩国稳定的大学不同的是,中国大学数量历年来呈现不断增长的态势。日渐增加的大学是否通过合理的大学评估认证,中国的大学评估认证制度是否较为完善,这些课题有待深入地研究。 大学作为培养社会精英人才的摇篮,为了实现这一社会责任及义务,大学不仅应关注学生数量,更应注重学生的特色发展及成就。大学评估认证制度就是引导大学进行特色化教育改革的有效手段,与其相关的研究也具有极大的意义。 到目前为止,韩国学术界对于机构评估认证的相关研究,大学教育相关联的元评价模型(UFPA模型, EIPOU模型, PSPaVRU模型等)研究,有一定学术成果,但缺乏完善的大学评估认证的实践研究。而中国对于大学教育的元评价模型研究目前停滞在UFPA模型,多数为文献研究,鲜少进行大规模实践调查。 为了弥补这种模型及实践的缺失,本文将通过‘元评价(meta-evaluation)’,对韩国‘大学机构评估认证制度(第一周期)及中国‘本科教学合格评估’这两种的大学评价制度分别进行‘再评价’,并通过比较来寻找改善方案。即通过对各制度整体的评估系统进行再评价从而提高评估机能和应用的有效性,同时通过一系列的评估过程对评估系统整体的发展可能性进行更深入的分析。本研究使用的元评价模型是EIPOU模型(评价环境,投入评估,评估实施,评估结果,评估活用)。 以下的研究目标,揭示了实施有关大学机构评估认证的元评价的必要性。第一,通过大学评估认证的元评价的调查,可以提高教育的质量以及制度本身的有效性;第二,发现问题并提供给政策制定者独立的判断资料;第三,确定达成提高教育质量的目标与否并提高政策有效性;第四,发现政策执行者的错误及强化参与者的责任感;第五,对相似的政策制度的元评价研究作出贡献。 本研究是以大学教授、大学行政人员、研究员以及大学认证评估机构职员为研究对象,进行了有关大学机构评估认证之元评价的相关问卷调查,总共回收了117份韩国问卷和130份中国问卷。其中不可用问卷16份,可使用问卷231份,并对可使用问卷进行数据分析。通过此有关大学机构评估认证之元评价问卷调查,揭示专家和实务者间的认识差异,从而引出两国大学机构评估认证制度的问题及其改善点。 鉴于上述目的,本研究的调查对象分为两个国家,即韩国和中国,为了揭示两个国家的认识差异,分别进行了T检验(T-test)。本研究又将调查对象区分为三种职业——大学教授、大学行政职员、大学认证评估机构职员,为了揭示各种职业的认识差异,分别进行了单因素方差分析(One-way analysis of variance)。最后将调查对象分为两种角色,即评价者和被评价者,为了揭示两种角色的认识差异,分别进行了T检验(T-test)。 实证分析结果如下所示。 第一,韩中两国间的大部分差异分析结果证明为有意义的统计。由于在韩国对于评价本身有不信任的现象存在,所以韩国大部分评价数值比中国低。这表明,相对于韩国而言,中国的大学评估认证制度更符合中国的国家现状。 第二,韩中两国各自对于职业间的差异分析结果都证明为有意义的统计。两国大学教授及大学认证评估机构职员的评价数值高于大学行政职员。这表示大学行政职员对现行制度并不完全满意。 第三,韩中两国各自对于角色间的差异分析结果都证明为有意义的统计。韩中两国的评价者的评价数值都高于被评价者。这表明,评价者,相对于被评价者,会根据立场的差异和未来可能受到的影响进行评估之后,对于自身主导的制度给予过高的评价。 研究结果及政策性建议如下所示。 第一,韩国需要通过修改大学机构评估认证的基准,促进特色化大学的建设,从而提高大学自身的竞争力与影响力。同时鉴于评估者和被评估者不一致的满意度,需要努力加强两者间的双向交流沟通,减少矛盾和纠纷,促使评估认证工作的顺利进行。 第二,中国需要修改大学机构评估认证的认证有效期限,从‘认证后无需再认证’转为‘认证后需要有效认证’,增强大学提高教育质量之认识的迫切感。同时增加对评估结果产生异议时需要具备的异议申请系统,确定评估认证一系列的日程安排时间及各部门的责任。 第三,韩中两国都需要认识到元评价的重要性,为了提高教育的质量,在对大学进行评估认证的同时,应对有关大学评估认证之元评价付诸行动。根据元评价的结果适时修改认证制度的各个评估指标。

      • 전문 평가·인증기관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 적합성 평가기관을 중심으로

        劉晋虎 韓國外國語大學敎 大學院 2017 국내박사

        RANK : 249726

        Tort Liability of a Professional Assessment & Certification Body: a Science & Technology-Based Conformity Assessment One This thesis examines the tort liability of a professional assessment and certification body. In particular, it deals with the professional negligence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based conformity assessment body. In doing so, the thesis aims to unveil that this professional certifier may owe a high degree of duty of care to third party individuals, who are not in privity with the certifier, under the English three stage of review process, the so-called Caparo test of the renowned English case in the year 1990. However, it might be worthwhile to note, at the same time, that, historically speaking, the Caparo Test has, since 1990, played a pivotal role in restraining an unbridled expansion of negligence liabilities in the U.K. for injuries incurred by the negligent activities of wrongdoers including professionals. This common sense-based theory logically presents not only foreseeability, but also proximity and public policy(fairness, just and reasonableness) before liability is imposed upon to any negligent behaviors under the law of torts. This paper seeks to emphasize the nature and criteria of the duty of care owed by the professional conformity assessment bodies, which lays foundation for those certification institutions to be reasonably found to be liable or not to be liable pursuant to the intelligible and restrictive review theory called the ‘Caparo Test’ for which this thesis demonstrate its general applicability regarding the issue of negligence and duty of care. The value which may be put on this study would be at the in-depth analysis with regard to the elements of the Caparo Test applicable to negligence cases of the certifiers, coping with the current unceasing demand for safety under the contemporary science & technology-driven society. First of all, this thesis proves that the conformity assessment bodies are not that remote to the third parties in that there could be, to some degree, normative expectations and potential reliance from the society on the certifiers who are legally sufficient to qualify as professionals under the precedent decisions of the court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Moreover, this paper offers that the certification bodies may be liable to individual citizens and consumers, who are injured by the products or services inspected and/or certified by the certifiers, depending on the assessment bodies’ inter-relationships with the third party normal persons regardless of contractual setting. The approaches taken in this paper highlight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s negligence theory under the article 750 of the Civil Act and the English negligence doctrine developed under the common law court system of a judge-made law. The distinguishing factors to differentiate each other seem to be at the way of approach to find how a duty of care may be owed given the factual circumstances and the requirements of the law of torts in each country. Korea appears to be more inclined to have the element of ‘Unlawfulness’ in the Article 750 of the Civil Code play more interpretive roles in finding negligence(‘dualist approach’). However, the English review test focuses on the prox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as well as public policy aspects of fairness in the U.K.(‘monolist methodology’). Rather than suggesting one outweighs the other, this thesis carefull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genera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English restrictive three stage methodology in professional negligence case. Notably, the Restatement (Second) of Torts that feeds the U.S. courts also provides intelligible principles involving the expert certifier's liability toward any remote third parties in Section 324A, 311 and 552, which are examined, in this thesis, to be understood in the same ambit of the restrictive English test. Moreover, the Principles of European Tort Law(PETL) unequivocally proscribes under Article 4:102(1) that the required standard of care should consider the expertise, the foreseeability, and the relationship of proximity or special reliance, hinting that the PETL embraces the Caparo principle. Consequently, this paper argues whether the conformity assessment body qualifies as, in a normative sense, a professional at the last citadel to check out safety in a product and what legal scrutiny may be available to find such a body liable for its negligent inspection or certification causing physical damages to the third party users not in agreement with the certifying body. The recent changes in societies, technologies, and jurisprudence cannot be taken for granted where the very function of negligence is required to legitimately interact with those changes. This paper is arranged into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involves societal reliance on the conformity assesment bodies and their function as professionals where this thesis examines the concept and function of a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conformity assessment body, suggesting that this assessment body falls within the definition of a professional who must act with a high degree of duty of care in most of countries like England, the U.S. Japan, France, Germany and Korea. In the second section, this paper touches the historic developments of a theory of duty of care in the western legal environment before a general duty of care is established and is found to be controlled by the well-balanced principle to scrutinize negligence. Most of all, the three elements underlying the 1990's Caparo Test show the potential for the English test to be a general tool to apply to any negligent incidents even in a code-based civil law system. Being widely recognized and cited by subsequent cases in the U.K. till now, the relationship-focused restrictive test appears to be useful to logically justify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certain duty of care between a wrongdoer and an injured. The generality of the English restraint theory is strong enough to be inclusive of the voluntary assumption of responsibility theory under the Hedley case and of the relevant clauses of the Restatement (Second) of Torts which are designed to protect the third parties who are reliant upon negligent misstatements by professional services. The last part deal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three stage test to negligence of the certification body under Korea's Civil Act. Whe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ertifier and the injured are closely looked into, this English approach appears to be quite novel, innovative, and so rarely observed in the Korean civil cases. However, the proximity approach presents the potential to be able to make up for the way how the Korean tort law judges negligent wrongdoings. Moreover, Korea’s Unlawfulness test may well be supplemented or partly reasonably replaced by this Caparo test’s proximity and public policy doctrine including fairness, just and reasonableness to finally reach a balanced conclusion as to liability. In the meantime, we can not dismiss the public function that the technical assessment body contributes to the considerable public good by means of developing, establishing,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de facto standards incorporating and absorbing a variety of conflicting interests among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Thus, without reconsidering the defense factors of the science-technology conformity assessment body, the courts would not be able to reach fair decisions as to negligence. The nature of certification inherently involves the uniqueness such as no warranty of product safety, methodology of sampling tests, professional judgement, autonomous rule-making & applying activities, and no physical control of the products under inspection, etc. In a nutshell, the duty of care as the core of negligence is expected to more effectively contribute, with the English three-stage restrictive test, to normatively engineering the safer society, protecting reliant individuals in this risk-riddled technical society from the risky products rolled out in the market which are so technically complicated that those convergence outputs get to the extent of threatening unspecified countless consumers with their potentially imperfect design, assembling and manufacturing process. Now is the time to take into account the social roles of, and the legal implications from, the science & technology based conformity assessment body.

      • 직업능력개발훈련비 부정사용에 관한 공법적 연구

        윤영관 경희대학교 법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07

        일자리를 위한 평생교육으로서 직업능력개발훈련은 평생직장이 사라진 시대에 국민들의 실업과 분배문제를 해결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지원규모 및 대상범위가 증가하면서 훈련지원금의 부정수급과 관련된 사건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보조금의 부정수급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누수와 고용보험의 재원 누수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훈련비용의 지원이 절실히 필요한 곳에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도 발생하게 되어, 훈련을 통하여 근로자의 고용안정 및 사회ㆍ경제적 지위 향상과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려는 공공이익이 제대로 실현되지 못할 위험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금에 대한 효과적인 법적통제 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 첫째로, 리베이트를 제재하는 법률을 제정하여 직업능력개발 훈련비의 부정사용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2018년 1월 25일 ‘부가서비스 제공’ 등 훈련비 부정사용과 관련하여 대법원 판결이 선고되었다. 대법원은 ‘리베이트는 부적절하지만 현행법상 위법으로 볼 수 없다’는 취지의 판결을 함으로써 직업훈련시장의 불공정거래행위를 관행 및 법령 미비라는 명목 하에 면죄부를 주는 판결이 있었다. 판결 이후 사업주 원격훈련의 대규모 부정수급이 적발되고 있으며, 훈련시장의 리베이트로 인한 불공정거래행위가 만연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제재 법률 마련 등의 조속한 대책이 필요하다. 둘째, 부정수급에 대한 연대책임 또는 양벌규정의 신설이 필요하다. 현행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금에 대한 부정수급 환수에 있어서는 지원 대상과 지원금 수급대상을 구분하지 않고 수급대상에 한하여 환수처분을 하고 있다. 훈련기관은 원칙적으로 지원대상은 아니나, 지원 대상 및 지원금 수급자 모두 수익적 혜택을 부여받는 위치에 있고, 부정행위가 상호간에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연대책임 또는 양벌규정의 신설이 필요하다. 셋째, 부정훈련기관이 훈련시장에서 자연스런 퇴출로 공정한 직업훈련 시장의 경쟁력이 확대 될 수 있도록 부정훈련 기관 명단공표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넷째, 훈련기관 인증평가 사업수행을 위한 법률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부정훈련기관의 진입을 차단하는 현행 인증평가제도가 법률에 근거가 없고 위임입법 일탈의 문제의 소지가 있으므로 조속한 시일에 법률의 개정을 통하여 법적 권한의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Although the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has greatly contributed to improving citizens’ quality of life by solving the problem of unemployment and distribution as a lifelong education for employment, with the increased size and scope of the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incidents involving fraudulent provision of training funds have been occurring frequently. The illegal supply and demand of subsidies not only causes financial leaks of the country and local governments and problems of human resources in employment insurance, but it also causes a concern that the support may not be provided where training grant are urgent needed, leading to creation of risk of not achieving the public interest to improve the employment stability and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the workers through the training and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vity of the enterprises. To solve suc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find effective legal controls on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grant. First, a legislation must be enacted to ban rebates to prevent fraudulent use of the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grant. On January 25, 2018, a Supreme Court ruling was passed in connection with fraudulent use of training grant, such as "provision of additional services."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rebate is inappropriate but cannot be viewed as illegal under current law," and this verdict was unjust because it gave indulgence to unfair trade practices in the vocational training market in the name of lack of practice and statute.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olidarity responsibility and penalty against employer and employee in relation to fraudulent provision. Regarding fraudulent provision and reimbursement for the current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grant, grant recipients are subject to redemption without a distinction between the beneficiary subjects and the grant recipients. Although training institutions are not in principle supported, both beneficiary subjects and the grant recipients are in a position to receive profitable benefits and fraudulent action can be made from both sides, so the establishment of solidarity responsibility and penalty against employer and employee need to be established. Third, the introduction of the fraud training institutions listing system as in USA, Australia and Japan is need in order to lead a natural withdrawal of fraud training institutions from the training market and exp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fair vocational training market.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certification assessment of training institutions. Since the current certification assessment system, which blocks the entry of fraud training institutions, is not based on law and there is a problem of delegation legislative deviation, it is necessary to secure legal authority through amendment of the law at the earliest.

      • 3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평가 전후 평가문항 수행도 차이에 관한 연구

        임희연 건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after two years later since evaluation of the Korean hospital Accreditation, was to examine whether the performance about the state accreditation test items is maintained or not. The survey targets were 231 senior nurses working in three hospitals, which was certified among the metropolitan medical facilities in 2011. The survey period was from February to March, 2013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questions of the questionnaire are three types : (1) the 8 questions which were typically characteristics, (2) about the accreditation test items, the 22 questions which were related to general adult ward nurse and, (3) the 44 questions which were the cause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creditation evaluation at the time and the execution of the current. SPSS 1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the frequency analysis about the 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s and the performance of each question, and paired t-test analysis about difference between performance evaluation at the time of accreditation and the curr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18 ques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accreditation than at the current. The 13 question items of them were P-value <0.001, the 5 questions were p-value <0.05. The others four questions were fairly maintained. The reasons of lower degree were "Busy works" the most responses and 'friction between staff' the second lot of answers, Some items associated with a doctor. The reason which kept performing well were 'habit saved' the most response and the second 'empathy for compliance'. This study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regulations were lower than at the time of accreditation evaluation, and,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 it will be necessary to supplement workforce and prepare the methods to observe the rules.

      • 고등교육기관의 평가인증제가 대학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윤문도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고등교육기관의 평가인증제가 대학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가 대학 균형성과표(BSC) 4가지 관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고등교육기관의 1주기 평가인증제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대학 조직의 균형성과표(BSC) 및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의 성과분석에 대한 선행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종속변수인 기관평가인증제 즉,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의 정도,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가 대학 균형성과표(BSC)의 고객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학습과 성장 관점, 재무 관점의 4가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검증하였다.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의 성과분석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주로 평가인증제 체제 자체의 성과와 각 평가요소에 있어서 대학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정작 기관평가인증제가 평가인증의 평가대상인 대학의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에 대한 분석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기관평가인증제가 대학의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기관평가인증제 중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는 대학 BSC의 학습과 성장 성과에만 영향을 미치며 그 외 고객 성과, 내부프로세스 성과, 재무 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관평가인증제 중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은 대학 BSC의 고객 성과, 내부프로세스 성과, 재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만 학습과 성장 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관평가인증제 중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고객 성과, 내부프로세스 성과, 학습과 성장 성과, 재무 성과 등 모든 관점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인식과 관심은 인증 획득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우수한 평가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평가인증의 여건 형성, 우수 인적자원 확보와 양성, 교육과 훈련, 의사소통 등 평가인증의 기반이 되는 학습과 혁신으로 이어지고,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를 통해 실질적인 교육체계 혁신이나 내부프로세스 효율성 향상, 재원의 확보와 효율적 집행 등으로 교육의 질이 개선되어 학생을 비롯한 교육수요자의 만족도와 선호도가 높아지며, 궁극적으로 기관평가인증의 효율적 자체평가와 만족스러운 결과는 인증평가에서 요구하는 기준 이상을 충족하면서 대학의 모든 분야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가져오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관평가인증제를 통한 대학의 경영성과 관리방안을 강구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학령인구의 급감 등 급변하는 대학의 대내외 환경에서 생존을 넘어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평가인증제를 다양한 대학의 경영성과로 연계할 경영전략 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정신의료기관 인증과 평가 기준의 환경디자인 요소 및 요구사항에 관한 연구

        이은진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3

        As the quality of life improves, the quality of services and living spaces required is also increasing. Hospitals are also changing through various paradigm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and interest in environmental design of medical institutions for space-sensitive and steadily increasing mentally ill patient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within the criteria for psychiatric hospital certification and psychiatric institution evaluation, which present specific standards to psychiatric institutions, and to summarize and present their requirement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meaningful as a practical reference to practitioners preparing for certification and evaluation of psychiatric institutions.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as basic data to gauge the level of environmental design required by institutions that currently conduct certification and evaluation of psychiatric institutions in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such as hazard tool confirmation place, hazard tool storage place, fallable place, discharge information provision place, specimen laboratory, imaging laboratory, treatment program room, occupational treatment room (workplace), special treatment room, isolation room, and obsessive-compulsive room were extracted. The extracted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space, goods, and devices. Of the total 66 elements, 45 elements of space are included, and 21 elements of goods and equipment are included. The requirements of these factors suggested safety management and inspection of the space, and matters to be done when constructing the space. It was found that the psychiatric hospital certification and psychiatric institution evaluation criteria included matters related to space and goods, and that they were more detailed than medical law facility standards, but insufficient than environmental design studies for the healing of mentally ill patients. Therefore, considering that it is a medical institution that treats patients who are sensitive to space, more interest a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삶의 질이 좋아짐에 따라 요구되는 서비스 및 생활 공간의 질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병원 또한 다양한 패러다임을 지나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에 민감하며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정신질환자를 위한 의료기관의 환경디자인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적은 실정에 있다. 그에 따라 이 연구는 정신의료기관에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정신병원 인증과 정신의료기관 평가 기준 내에 환경디자인 요소를 추출하고 그 요구사항을 정리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의의는 정신의료기관의 인증과 평가를 준비하고 있는 실무자에게 실질적인 참고 자료로서의 의미가 있다. 더 나아가 현재 국내의 정신의료기관 인증 및 평가를 시행하는 기관이 요구하는 환경디자인의 수준을 가늠해 보는 기초자료로서 의미를 가진다. 이 연구의 결과로 위해도구 확인장소, 위해도구 보관장소, 낙상발생 가능 장소, 퇴원 정보 제공 장소, 검체검사실, 영상검사실, 치료프로그램실, 작업치료실(작업장), 특수치료실, 격리실, 강박실 등의 환경디자인 요소를 추출할 수 있었다. 추출된 요소들을 공간과 물품 및 기기로 분류하였다. 총 66개의 요소 중 공간의 요소는 45개이고, 물품 및 기기의 요소는 21개이다. 이 요소들의 요구사항은 공간의 안전관리 및 점검, 공간구성 시 해야 할 사항 등을 제시하고 있었다. 정신병원 인증과 정신의료기관 평가기준에 공간 및 물품 등 관련한 사항이 녹아 들어있었으며, 의료법 시설기준보다 자세하지만, 해외 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 정신질환자의 치유를 위한 환경디자인 연구보단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공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환자들을 진료하는 의료기관임을 고려하여 향후 더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가 보육기관 전문화에 미치는 영향 : 대전광역시 소재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허윤석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42

        최근 우리사회는 가족 내 자녀양육이 어려운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는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참여 증대, 영유아기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향상 등으로 판단된다. 그 결과, 육아 문제는 가정의 범위를 넘어 사회문제로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유아교육에 대한 사회적, 국가적 차원의 보호와 책임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지난 20여년동안 우리나라의 보육시설의 수는 양적으로 무수히 발전을 이루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영유아 보육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보육서비스의 질적 증가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그 일환으로 2006년부터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가 도입되었으며, 평가인증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 소재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평가인증제도가 보육기관 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보육종사자 들의 인식에 관하여 연구를 하였다. 연구는 대전광역시 소재 보육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보육기관에 종사하는 종사자의 자격등급, 학력, 나이 등 여러 계층 이었으며, 각 기관마다 종사자의 수도 다양하였다. 따라서 각 기관의 특성에 따라 설문의 결과가 상이할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각 기관마다 시설장 1명(경력5년이상, 대졸이상)과 보육교사2명(경력3년이상, 대졸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종사자의 자격등급, 나이 등 다른 변수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았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표본의 일반적 특성과 보육종사자들의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카이스퀘어 분석을 통하여 현황을 파악할수 있도록 하였으며,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들과 관련된 항목을 각 설문지에서 발췌하여 회귀분석을 통하여 검증을 실시 하였다. 또한 시설장과 교사사이의 각각의 인식에 대해서 가능한 교차된 의견을 분석하는데 노력 하였다. 그 결과 평가인증제도의 도입은 시설장의 자질과 역할, 보육교사의 전문성,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보육서비스의 질이 향상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평가인증제도가 보육기관 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본 연구를 위한 설문 과정에서 각 시설장과 면담을 통하여 평가인증제도의 문제점 및 발전방향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연구해본 결과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발결할 수 있었다. 첫째, 평가인증 수검대상 시설로 선정시 보육교사의 이직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둘째, 평가인증통과에 따른 정부 차원에서의 뚜렸한 혜택이 없다는 것이다. 셋째, 수검 항목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발전방향에 대해서는 결론에서 자세히 언급을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논문은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가 보육기관 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다루었을 뿐 위와 같은 평가인증제도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에 대해서는 깊이 다루어 보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훌륭한 제도로 거듭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